KR20130031443A - 평상 바디의 결합장치 - Google Patents

평상 바디의 결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1443A
KR20130031443A KR1020110095018A KR20110095018A KR20130031443A KR 20130031443 A KR20130031443 A KR 20130031443A KR 1020110095018 A KR1020110095018 A KR 1020110095018A KR 20110095018 A KR20110095018 A KR 20110095018A KR 20130031443 A KR20130031443 A KR 201300314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frame
groove
fixing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50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52083B1 (ko
Inventor
이용만
Original Assignee
이용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만 filed Critical 이용만
Priority to KR10201100950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2083B1/ko
Publication of KR201300314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14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20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20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5/00Other seating furniture
    • A47C15/004Seating furniture for specified purposes not covered by main groups A47C1/00 or A47C9/00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7/00Tables adapted for other particular purposes
    • A47B37/04Tabl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the garden or otherwise in the open air, e.g. with means for holding umbrellas or umbrella-like sunsha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44Leg joints; Corner joints

Landscapes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평상의 프레임에 바디를 조립하여 결합시키는 평상 바디의 결합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바디의 일측이 상기 프레임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게 하는 걸이부; 및 상기 바디의 타측이 상기 프레임에 끼워져서 결합되게 하는 고정부;를 구성하여서, 상기 바디가 상기 프레임에 결합될 때, 상기 바디의 일측을 상기 걸이부를 통해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시킨 후 타측은 상기 고정부를 통해서 끼워지도록 결합시키도록 구성되며, 이와 같이 슬라이딩 3점 결합방식의 장치를 이용함으로써 평상의 바디를 프레임에 결합 또는 분리시킬 때에 간편하게 실행할 수 있게 하며, 프레임에 바디가 결합된 상태에서 평상의 이동 등에 따른 외부의 힘을 받더라도 바디가 프레임으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평상 바디의 결합장치{Coupling apparatus of body for wooden bed}
본 발명은 평상 바디의 결합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평상의 프레임에 바디들을 결합시킬 때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누구라도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게 하고, 분리시킬 때에도 용이하게 작동시켜 분리시킬 수 있게 하는 평상 바디의 결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평상은 주재료를 나무로 하여 만든 침상의 하나를 일컫는 것으로, 마당 또는 야외 등의 밖에다 내어놓고 그 위에 앉거나 드러누워 쉴 수 있도록 만든 것을 말한다.
상기와 같이 사용되는 평상은 사람이 드러누울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다수 개의 바디와 상기 바디를 지지해주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을 받쳐주는 다리로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것들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나 못들을 통해서 서로 체결되어 일체로 형성시키거나 아니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를 프레임에 올려놓은 체로 하여 따로 분리될 수 있도록 형성시키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평상 바디의 결합장치를 살펴보면, 평상 바디(2)들이 결합될 수 있도록 그의 수에 대응하여 프레임(1)에 다수 개의 볼트(3)를 구비하고, 바디(2)에는 볼트(3)가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너트공(4)을 구비하여서, 바디(2)를 프레임(1)에 조립시킬 때에 바디(2)를 나사 결합방식으로 돌려서 결합시키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결합장치를 통해서 바디(2)를 프레임(1)에 결합시킬 때에는 무거운 바디(2)가 프레임(1)에 완전히 체결될 때까지 들어올린 상태에서 나사 결합을 진행해야 하기 때문에 많은 힘이 소요되고, 아울러 다수 개의 바디(2)를 일일이 체결해야 하기 때문에 힘이 많이 드는 것과 동시에 프레임(1)과 바디(2)의 조립 및 분리작업을 아주 번거롭게 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프레임(1)과 바디(2)의 조립 및 분리작업을 수월하게 하기 위해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2)의 양측에 돌출부(5)를 구비하고 프레임(1)에는 돌출부(5)가 정합될 수 있게 하는 결합홈(6)을 형성함으로써, 바디(2)를 프레임(1)에 올려놓는 형태로 결합시키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결합방식은 프레임(1)에 바디(2)가 완전히 단단하게 체결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예기치 않은 외부의 힘을 받을 때 쉽게 분리 및 이탈하는 문제점이 있어 사용상 불편한 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슬라이딩 3점 결합방식의 장치를 이용함으로써 평상의 바디를 프레임에 결합 또는 분리시킬 때에 간편하게 실행할 수 있게 하며, 프레임에 바디가 결합된 상태에서 평상의 이동 등에 따른 외부의 힘을 받더라도 바디가 프레임으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게 하는 평상 바디의 결합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성취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평상의 프레임에 바디를 조립하여 결합시키는 평상 바디의 결합장치는, 상기 바디의 일측이 상기 프레임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게 하는 걸이부; 및 상기 바디의 타측이 상기 프레임에 끼워져서 결합되게 하는 고정부;를 구성하여서, 상기 바디가 상기 프레임에 결합될 때, 상기 바디의 일측을 상기 걸이부를 통해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시킨 후 타측은 상기 고정부를 통해서 끼워지도록 결합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걸이부는, 상기 바디의 일측에 형성된 슬라이딩홈과, 상기 슬라이딩홈의 하단부에서 돌출 형성된 단턱과, 상기 슬라이딩홈의 전방에서 하향 돌출된 걸이구와, 상기 슬라이딩홈에서 돌출 형성된 지지핀과, 상기 걸이구가 삽입되어 걸어지도록 상기 프레임에 구비된 걸이홈과, 상기 슬라이딩홈의 내면이 슬라이딩하여 접촉되게 하는 슬라이딩면과, 상기 슬라이딩면에 형성되되 상기 지지핀이 끼워지도록 대응하여 형성된 제1 핀홈과, 상기 슬라이딩면의 하단부에서 상기 단턱이 끼워져 결합되게 하는 끼움홈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부는, 상기 바디의 하부에 형성된 고정홈과, 상기 바디에 내설되되 탄성작용하도록 구비된 고정부재와,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구비되어서 상기 고정홈에 삽설되어 설치되는 고정구와, 상기 고정핀이 삽입되도록 대응하여 상기 프레임에 형성된 제2 핀홈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부재는, 소정의 길이로 이루어진 조절공이 구비되고 전방단부에 내측으로 하향경사진 하향경사면이 구비되며 상기 제2 핀홈에 삽설되는 고정핀과, 전방부에 단부를 향하여 상향으로 경사진 상향경사면을 구비하여 상기 조절공으로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2 핀홈에 상기 고정핀의 삽설을 제어하는 제어핀과, 상기 고정핀이 탄성작용하도록 후방에 장착된 제1 스프링과, 상기 제어핀이 탄성작용하도록 하부에 장착된 제2 스프링과, 이탈방지고정핀에 의해 상기 바디에 장착되어서 상기 제어핀 및 상기 제2 스프링의 이탈을 방지해주는 이탈방지부재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핀이 상기 제2 핀홈에 삽설될 때 탄성작용을 돕도록 제3 스프링이 전방에 추가로 설치되게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3점 결합방식에 의한 평상 바디의 결합장치를 이용할 경우에는,
평상의 바디를 프레임에 결합시킬 때에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걸이부를 통해서 체결하고 고정부를 통해서 고정시킴으로써 이루어지게 하고 분리시킬 때에는 고정부의 결합을 해제한 후 바디를 들어올려 걸이부가 해체되게 함으로써 아주 간편하게 조립 및 분리 작업을 실행할 수 있게 하며,
프레임에 바디가 결합된 상태에서 평상의 이동 등에 따른 외부의 힘을 받더라도 바디가 고정부를 통해서 프레임에 고정되어 있게 때문에 프레임으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아 평상의 사용시 바디의 이탈 등에 따른 불편함을 없앨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평상 바디의 결합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평상 바디의 결합장치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장치를 통해서 평상의 바디가 프레임에 결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장치를 통해서 평상의 바디가 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평상 바디의 결합장치의 실시예를 보인 결합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평상 바디의 결합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평상 바디의 결합장치를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장치를 통해서 평상의 바디가 프레임에 결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장치를 통해서 평상의 바디가 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평상 바디의 결합장치의 실시예를 보인 결합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평상의 프레임(1)에 바디(2)들을 조립하여 결합시키는 평상 바디의 결합장치는, 프레임(1)과 바디(2) 사이에 구비된 걸이부(10)와 고정부(20)로 구성된다.
상기 걸이부(10)는 바디(2)의 일측이 프레임(1)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게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슬라이딩홈(11), 단턱(12), 걸이구(13), 지지핀(14), 걸이홈(15), 슬라이딩면(16), 제1 핀홈(17) 및 끼움홈(18)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슬라이딩홈(11)은 바디(2)의 일측 하부에 움푹 들어간 형상으로 형성되어서 바디(2)를 프레임(1)에 결합시키거나 분리시킬 때에 프레임(1)의 슬라이딩면(16)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딩홈(11)은 프레임(1)에 대한 바디(2)의 원활한 슬라이딩 역할을 위해서 원호형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턱(12)은 슬라이딩홈(11)의 하단부에서 돌출 형성되어서 바디(2)를 프레임(1)에 결합시킬 때에 끼움홈(18)에 삽입되어 맞물리면서 바디(2)가 프레임(1)에 고정될 수 있게 해준다.
따라서, 상기 단턱(12)은 바디(2)가 프레임(1)에 결합되고 난 후에 바디(2)의 상향 이동을 저지시켜서 고정될 수 있게 해주는 것이다.
상기 걸이구(13)는 프레임(1)의 걸이홈(15)에 삽설되어서 바디(2)의 슬라이딩 결합을 실행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 슬라이딩홈(11)의 전방에서 하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걸이구(13)를 걸이홈(15)에 삽입한 다음 슬라이딩홈(11)이 슬라이딩면(16)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지지핀(14)은 슬라이딩홈(11)에서 돌출 형성되어서, 바디(2)가 프레임(1)에 결합될 때 제1 핀홈(17)으로 삽입되어 단단히 고정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지지핀(14)과 그에 대응하여 형성된 제1 핀홈(17)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핀홈(17)을 소정의 직경을 가진 원 형태로 이루어지게 하고 상기 지지핀(14)도 상기 제1 핀홈(17)에 삽설되는 형태인 소정의 직경으로 이루어진 봉 형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단턱(12) 및 지지핀(14)과 다음에 기술될 고정부재(22)를 통해서 프레임(1)과 바디(2)는 상하 및 좌우로 어긋나지 않도록 동시에 고정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걸이부(10)에 있어서 바디(2)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지지핀(14)은 항상 돌출되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지만, 나사산 결합 등을 통해서 이루어지게 하여 분해결합을 용이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걸이홈(15)은 프레임(1)에 구비되어서, 상술된 바와 같이 걸이구(13)가 삽입되어 걸어지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슬라이딩면(16)은 슬라이딩홈(11)의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되며, 상술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홈(11)의 내면이 슬라이딩하여 접촉되게 함으로써 바디(2)가 프레임(1)에 결합될 때 용이하게 행해질 수 있게 한다.
상기 제1 핀홈(17)은 슬라이딩면(16)에 형성되되,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핀(14)이 끼워지도록 대응하여 형성된다.
즉, 상기 걸이부(10)의 슬라이딩홈(11)에는 전방으로 돌출된 지지핀(14)이 구비되게 하고, 슬라이딩면(16)에 형성되되 지지핀(14)이 끼워지도록 대응하여 형성된 제1 핀홈(17)을 구비하여서, 상기 바디(2)와 프레임(1)과의 결합을 조력(助力)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끼움홈(18)은 상술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면(16)의 하단부에서 단턱(12)이 끼워져 결합되게 형성됨으로써, 단턱(12)이 끼움홈(18)에 맞물려 끼워짐으로써 바디(2)가 프레임(1)으로부터의 상향 이동없이 단단히 고정될 수 있게 해준다.
상기 고정부(20)는 바디(2)의 타측이 프레임(1)에 끼워져서 결합되어 고정되게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고정홈(21), 고정부재(22), 고정구(23) 및 제2 핀홈(2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홈(21)은 바디(2)의 하부에 형성되어서 프레임(1)의 고정구(23)가 삽설되게 한다.
상기 고정부재(22)는 도 4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2)에 내설되게 설치되어서 탄성작용을 통해서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고정부재(22)는 프레임(1)의 제2 핀홈(24)에 입출가능하게 설치되어서 바디(2)가 프레임(1)에 고정 설치될 수 있게 해주는 역할을 하며, 고정핀(22-1), 제어핀(22-3), 제1 스프링(22-5), 제2 스프링(22-7) 및 이탈방지부재(22-9)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핀(22-1)은, 중간부에 소정의 길이로 이루어진 조절공(22-2)을 구비하고 있고, 전방단부에 내측으로 하향경사진 하향경사면(22-8)이 구비되어 있으며, 다음에 기술될 제어핀(22-3)을 조절공(22-2)에 삽입 또는 빼냄에 따라서 제2 핀홈(24)에 삽설되거나 그로부터 빠져나오게 된다.
상기와 같이 고정핀(22-1)의 전방단부에 하향경사면(22-8)을 형성한 이유는, 바디(2)를 프레임(1)에 결합시킬 때에 고정핀(22-1)이 제2 핀홈(24)으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어핀(22-3)은 전방부에 단부를 향하여 상향으로 경사진 상향경사면(22-4)을 구비하여서 그가 조절공(22-2)으로 삽입됨으로써 제2 핀홈(24)에 고정핀(22-1)의 삽설을 제어한다.
즉, 상기 제어핀(22-3)이 조절공(22-2)으로 삽입될 때는 삽입되는 제어핀(22-3)의 직경이 커져서 고정핀(22-1)이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며, 반대로 상기 제어핀(22-3)이 조절공(22-2)으로부터 이탈될 때는 삽입되는 제어핀(22-3)의 직경이 작아지고 다음에 기술될 제1 스프링(22-5)의 복원력에 의해 고정핀(22-1)은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제1 스프링(22-5)은 고정핀(22-1)이 탄성작용하도록 후방에 장착되며, 상술된 바와 같이 제어핀(22-3)에 의해 고정핀(22-1)이 후방으로 이동할 때 압축되었다가 제어핀(22-3)이 조절공(22-2)으로부터 빠져나올 때 원위치로 탄성 복원되어 고정핀(22-1)이 전방으로 이동되게 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핀(22-1)은 제1 스프링(22-5)에 의해서 항상 돌출된 상태로 있게 된다.
상기 제2 스프링(22-7)은 제어핀(22-3)이 탄성작용하도록 하부에 장착되며, 상기 고정핀(22-1)이 제2 핀홈(24)으로부터 빠져나오도록 하기 위해서 제어핀(22-3)을 손가락으로 누를 때 팽창하고, 반대로 고정핀(22-1)을 제2 핀홈(24)으로 삽설되도록 하기 위해서 제어핀(22-3)을 누르고 있는 손가락을 놓을 때 원위치로 복원하여 제어핀(22-3)이 하향으로 이동되게 한다.
한편, 상기 고정핀(22-1)이 제2 핀홈(24)에 삽설될 때 탄성작용을 돕도록 제3 스프링(25)이 전방에 추가로 설치되게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제3 스프링(25)이 고정핀(22-1)의 전방에 설치되면, 제어핀(22-3)의 작동에 따른 고정핀(22-1)의 전방 이동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바디(2)에 내설된 제어핀(22-3) 및 제2 스프링(22-7)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지지해주는 이탈방지부재(22-9)가 구비된다.
상기 이탈방지부재(22-9)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이탈방지고정핀(22-6)을 통해서 바디(2)에 장착된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2)를 프레임(1)에 고정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손가락으로 제어핀(22-3)을 눌러서 조절공(22-2)으로 삽설되게 하여 고정핀(22-1)이 후방으로 이동되게 한 후 제2 핀홈(24)과 일치할 때 제어핀(22-3)을 누르고 있는 손가락을 놓아 제1 스프링(22-5)의 복원력에 의해 고정핀(22-1)이 제2 핀홈(24)으로 삽입되게 하여 이루어지게 하거나, 아니면 상기 바디(2)를 프레임(1)에 고정시킬 때에 바디(2)가 아래로 내려오게 하는 누르는 힘에 의해 고정핀(22-1)이 후방으로 이동(도 5 참조)하여 제1 스프링(22-5)이 압축되었다가 제2 핀홈(24)과 일치할 때 제1 스프링(22-5)이 원위치로 복원하여 고정핀(22-1)을 전방으로 이동(도 6 참조)되게 함으로써 제2 핀홈(24)에 삽설시켜 이루어지게 한다.
반대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2)를 프레임(1)으로부터 분리시킬 때에는, 손가락으로 제어핀(22-3)을 눌러서 조절공(22-2)으로 삽설되게 하여 고정핀(22-1)이 후방으로 이동(도 7 참조)함으로써 제2 핀홈(24)으로부터 이탈되게 한 후 바디(2)를 들어올려(도 8 참조) 실행하면 된다.
상기 고정구(23)는 바디(2)에 형성된 고정홈(21)과 대응되게 프레임(1)의 하부에 구비되어서 바디(2)가 프레임(1)에 결합될 때 고정홈(21)에 삽설되어 설치된다.
상기 제2 핀홈(24)은 상술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22)의 고정핀(22-1)이 삽입되도록 대응하여 프레임(1)에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결합장치를 통해서 평상의 바디(2)를 프레임(1)에 결합시킨 작동 실시예를 간략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는 바디(2)를 들어올려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의 걸이홈(15)에 바디(2)의 걸이구(13)를 삽설한다.
상기 걸이구(13)가 걸이홈(15)에 삽설되면 슬라이딩홈(11)이 슬라이딩면(16)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게 한 후 지지핀(14)을 제1 핀홈(17)으로 삽통되게 하고 그리고 단턱(12)을 끼움홈(18)에 끼워 맞춘다.
따라서, 상기 걸이부(10)를 통해서 바디(2)는 프레임(1)에 결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걸이부(10)에 의한 바디(2)와 프레임(1)의 결합과 동시에 고정부(20)에서는 고정구(23)가 고정홈(21)에 삽입되게 한다.
이때, 사용자는 그의 손가락으로 고정부재(22)의 제어핀(22-3)을 눌러서 고정핀(22-1)이 후방으로 이동되게 하거나, 바디(2)를 아래로 누르는 힘을 통해서 그리고 프레임(1)과의 접촉을 통해서 고정핀(22-1)이 후방으로 눌러짐과 동시에 제1 스프링(22-5)의 압축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되게 한다(도 5 참조).
이러한 상태에서 고정부(20)에서도 바디(2)와 프레임(1)이 일자형태로 이루어져서 제어핀(22-3)을 누르고 있는 손가락을 놓거나 제1 스프링(22-5)의 복원력에 의해 고정핀(22-1)이 제2 핀홈(24)으로 이동하여 삽입하게 된다(도 6 참조).
상기와 같이 바디(2)가 프레임(1)에 결합될 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A- B-A의 3점 결합을 실행하는 결합장치를 통해서 바디(2)의 일측을 걸이부(10)를 통해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시킨 후 타측은 고정부(20)를 통해서 끼워지도록 결합시켜 고정하면 된다.
반대로, 상기 바디(2)를 프레임(1)으로부터 분리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먼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22)의 제어핀(22-3)을 손가락으로 눌러서 고정핀(22-1)이 후방으로 이동되게 함으로써 제2 핀홈(24)으로부터 빠져나오게 한다.
상기 고정핀(22-1)이 제2 핀홈(24)으로부터 빠져 이탈되면 사용자는 바디(2)의 고정부(20)쪽을 화살표 방향으로 들어올려서 걸이부(10)쪽의 단턱(12)이 끼움홈(18)으로부터 분리되게 하고, 지지핀(14)이 제1 핀홈(17)으로부터 빠져 나오게 하며, 걸이구(13)가 걸이홈(15)으로부터 이탈되게 함으로써 걸이부(10)쪽에서도 바디(2)가 프레임(1)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결합장치를 통해서 평상의 바디(2)를 프레임(1)에 결합 및 분리시키고자 할 경우에 많은 힘을 들이지 않고도 용이하게 실행될 수 있게 해주며, 결합 후에도 바디(2)가 프레임(1)으로부터 분리되는 일이 없기 때문에 사용상 편리함과 안정성을 제공해주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1: 프레임 2: 바디
10: 걸이부 11: 슬라이딩홈
12: 단턱 13: 걸이구
14: 지지핀 15: 걸이홈
16: 슬라이딩면 17: 제1 핀홈
18: 끼움홈 20: 고정부
21: 고정홈 22: 고정부재
22-1: 고정핀 22-2: 조절공
22-3: 제어핀 22-4: 상향경사면
22-5: 제1 스프링 22-6: 이탈방지고정핀
22-7: 제2 스프링 22-8: 하향경사면
22-9: 이탈방지부재
23: 고정구 24: 제2 핀홈
25: 제3 스프링

Claims (4)

  1. 평상의 프레임에 바디를 조립하여 결합시키는 평상 바디의 결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바디(2)의 일측이 상기 프레임(1)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게 하는 걸이부(10); 및
    상기 바디(2)의 타측이 상기 프레임(1)에 끼워져서 결합되게 하는 고정부(20);를 구성하여서,
    상기 바디(2)가 상기 프레임(1)에 결합될 때, 상기 바디(2)의 일측을 상기 걸이부(10)를 통해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시킨 후 타측은 상기 고정부(20)를 통해서 끼워지도록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상 바디의 결합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10)는,
    상기 바디(2)의 일측에 형성된 슬라이딩홈(11)과,
    상기 슬라이딩홈(11)의 하단부에서 돌출 형성된 단턱(12)과,
    상기 슬라이딩홈(11)의 전방에서 하향 돌출된 걸이구(13)와,
    상기 슬라이딩홈(11)에서 돌출 형성된 지지핀(14)과,
    상기 걸이구(13)가 삽입되어 걸어지도록 상기 프레임(1)에 구비된 걸이홈(15)과,
    상기 슬라이딩홈(11)의 내면이 슬라이딩하여 접촉되게 하는 슬라이딩면(16)과,
    상기 슬라이딩면(16)에 형성되되 상기 지지핀(14)이 끼워지도록 대응하여 형성된 제1 핀홈(17)과,
    상기 슬라이딩면(16)의 하단부에서 상기 단턱(12)이 끼워져 결합되게 하는 끼움홈(18)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상 바디의 결합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20)는,
    상기 바디(2)의 하부에 형성된 고정홈(21)과,
    상기 바디(2)에 내설되되 탄성작용하도록 구비된 고정부재(22)와,
    상기 프레임(1)의 하부에 구비되어서 상기 고정홈(21)에 삽설되어 설치되는 고정구(23)와,
    상기 고정부재(22)가 삽입되도록 대응하여 상기 프레임(1)에 형성된 제2 핀홈(24)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상 바디의 결합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22)는,
    중간부에 소정의 길이로 이루어진 조절공(22-2)이 구비되고 전방단부에 내측으로 하향경사진 하향경사면(22-8)을 구비하여서 상기 제2 핀홈(24)에 삽설되는 고정핀(22-1)과,
    전방부에 단부를 향하여 상향으로 경사진 상향경사면(22-4)을 구비하여 상기 조절공(22-2)으로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2 핀홈(24)에 상기 고정핀(22-1)의 삽설을 제어하는 제어핀(22-3)과,
    상기 고정핀(22-1)이 탄성작용하도록 후방에 장착된 제1 스프링(22-5)과,
    상기 제어핀(22-3)이 탄성작용하도록 하부에 장착된 제2 스프링(22-7)과,
    이탈방지고정핀(22-6)에 의해 상기 바디(2)에 장착되어서 상기 제어핀(22-3) 및 상기 제2 스프링(22-7)의 이탈을 방지해주는 이탈방지부재(22-9)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상 바디의 결합장치.
KR1020110095018A 2011-09-21 2011-09-21 평상 바디의 결합장치 KR1013520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5018A KR101352083B1 (ko) 2011-09-21 2011-09-21 평상 바디의 결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5018A KR101352083B1 (ko) 2011-09-21 2011-09-21 평상 바디의 결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1443A true KR20130031443A (ko) 2013-03-29
KR101352083B1 KR101352083B1 (ko) 2014-01-14

Family

ID=48180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5018A KR101352083B1 (ko) 2011-09-21 2011-09-21 평상 바디의 결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208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98040A (zh) * 2014-11-24 2015-03-11 苏州市吴中区光福姑苏明御阁红木家具厂 椅子管脚组合
CN104481992A (zh) * 2014-11-13 2015-04-01 苏州市吴中区光福姑苏明御阁红木家具厂 家具方材连接组件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8554B1 (ko) * 2018-06-29 2020-06-03 주식회사 네오퍼스 조립이 용이한 침대프레임과 이에 의해 조립된 침대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3130Y1 (ko) * 1997-05-28 1999-08-02 조복운 조립식 평상
KR200315701Y1 (ko) * 2003-03-21 2003-06-09 김덕분 조립식 테이블 연결구조
KR200331216Y1 (ko) * 2003-08-06 2003-10-30 김준용 조립식 평상
KR200432757Y1 (ko) * 2006-09-28 2006-12-06 이용만 조립식 평상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81992A (zh) * 2014-11-13 2015-04-01 苏州市吴中区光福姑苏明御阁红木家具厂 家具方材连接组件
CN104398040A (zh) * 2014-11-24 2015-03-11 苏州市吴中区光福姑苏明御阁红木家具厂 椅子管脚组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2083B1 (ko) 2014-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56994B2 (en) Positioning device for a drawer
US8312570B1 (en) Quick-installation structure of a toilet seat cover assembly
US7695080B2 (en) Securing device for a drawer slide
US9212474B2 (en) Quick assembly and disassembly mechanism for faucet
KR101352083B1 (ko) 평상 바디의 결합장치
US20100282748A1 (en) Hermetic container
KR200417916Y1 (ko) 목걸이 체결구조
JP6395589B2 (ja) 靴用ヒール
JP4678622B2 (ja) スライドロック装置
US8267408B2 (en) Hand tool that can replace tips easily and quickly
TW523432B (en) Upper mold support
CN103198945B (zh) 一种拆装便捷的面板组件
GB2490297A (en) Conveniently removable toilet cover board connection device
KR200471390Y1 (ko) 액세서리 연결고리
US9815183B2 (en) Quick detachable wrench structure
GB2456542A (en) Controller structure for an electric wheel chair
KR200421453Y1 (ko) 옷걸이 행거용 고정지주의 길이 조절장치
KR101493453B1 (ko) 승·하강 및 분리가 가능한 비데
US2766650A (en) Heel plate assembly for a removable jaw wrench
CN208551635U (zh) 智能马桶盖板底座快装机构
JP3136124U (ja) 突っ張り支柱
CN204319443U (zh) 一种快速拆装结构
JP3194922U (ja) イージー・ネットワークコネクタ
KR101149605B1 (ko) 의료용 침대의 조립 구조
JP2011167474A (ja) 家具、オプション取付装置及びオプション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