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1096A -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code and mobile device - Google Patents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code and mobile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1096A
KR20130031096A KR1020110094816A KR20110094816A KR20130031096A KR 20130031096 A KR20130031096 A KR 20130031096A KR 1020110094816 A KR1020110094816 A KR 1020110094816A KR 20110094816 A KR20110094816 A KR 20110094816A KR 20130031096 A KR20130031096 A KR 201300310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de
mobile device
recognition
server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481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형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오소프트웨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오소프트웨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오소프트웨어
Priority to KR10201100948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31096A/en
Publication of KR201300310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109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381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identifiers, e.g. barcodes, RFI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06V30/22Character recogni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riting
    • G06V30/224Character recogni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riting of printed characters having additional code marks or containing code marks
    • G06V30/2247Characters composed of bars, e.g. CMC-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60Subscription-based services using application servers or record carriers, e.g. SIM application toolk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PURPOSE: A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a mobile device using a recognition code are provided to perform a plurality of operations by using the recognition code, thereby easily supplying a service to a user. CONSTITUTION: A user recognizes a recognition code by using a first code recognition unit of a mobile device. A server transmits an application program file to the mobile device corresponding to a request of a server access unit of the mobile device. A data processing unit of the mobile device installs an application program in the mobile device by using the transmitted application program file. The user recognizes a recognition code by using a second code recognition unit of the mobile device. The server provides a saving service for the user. [Reference numerals] (AA) Recognizing a recognition code by using a first code recognition unit; (BB) Connecting to a server corresponded to the recognition code; (CC) Requesting an application program file to the server; (DD) Installing the application program by using the application program file; (EE) Recognizing the recognition code by using a second code recognition unit; (FF) Providing a service corresponded to the recognition code

Description

인식코드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방법 및 모바일 디바이스{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CODE AND MOBILE DEVICE}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CODE AND MOBILE DEVICE}

본 발명은 인식코드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방법 및 모바일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식코드를 이용하여 응용 프로그램과 서비스를 함께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방법 및 모바일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a mobile device using a recognition cod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a mobile device that can provide an application program and a service using a recognition code.

바코드(bar code)는 정보를 간편하게 제공하기 위해 사용된다. 바코드 정보는 컴퓨터가 읽고 입력하기 쉬운 형태로 만들기 위하여 문자나 숫자를 흑과 백의 막대 기호와 조합한 코드를 말한다. 광학식 마크판독장치로 자동 판독되며, 상품의 종류, 도서 분류, 신분증명서 등에 사용되고 있다.
Bar codes are used to conveniently provide information. Barcode information is code that combines letters and numbers with black and white bar symbols to make the computer easier to read and enter. It is automatically read by an optical mark reader, and is used for product types, book classifications, identity documents, and the like.

세계상품코드(UPC)를 따르는 상품의 종류를 나타내거나, 슈퍼마켓 등에서 매출정보의 관리(POS: Point Of sales System) 등에 이용된다. 코드화 방법은 세계상품코드, CODABAR, MSI, 코드39, 한국공통상품코드(KAN), 일본공통상품코드(JAN) 등 몇 가지가 있다.
It is used to indicate the kind of goods that comply with the World Product Code (UPC), or the point of sales system (POS) in supermarkets and the like. There are several methods of encoding such as World Product Code, CODABAR, MSI, Code 39, Korea Common Product Code (KAN), and Japan Common Product Code (JAN).

이와 같은 바코드는 1차원적인 정보 저장방식을 채택하므로, 저장되는 정보량이 극히 제한적이다. QR코드는 이와 같은 바코드를 이용한 정보제공 방식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제안되었다.
Since the barcode adopts a one-dimensional information storage method, the amount of information stored is extremely limited. QR code has been proposed to overcome the shortcomings of the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using such a barcode.

QR코드는 흑백 격자 무늬 패턴으로 정보를 나타내는 매트릭스 형식의 이차원 코드이다. QR코드는 주로 일본에서 많이 사용되며, 명칭은 덴소 웨이브의 등록상표 Quick Response에서 유래하였다. QR코드는 종래에 많이 쓰이던 바코드의 용량 제한을 극복하고 그 형식과 내용을 확장한 2차원의 바코드이며, 종횡의 정보를 가지므로 숫자 외에 문자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디지털 카메라나 전용 스캐너로 읽어들여 활용할 수 있다.
The QR code is a two-dimensional code in a matrix format representing information in a black and white plaid pattern. QR codes are commonly used in Japan, and their names are derived from DENSO WAVE's registered trademark Quick Response. QR code is a two-dimensional bar code that overcomes the limitations of the bar code used in the past and expands its format and contents, and can store data of characters besides numbers because it has vertical and horizontal information. It can be read and used with a digital camera or a dedicated scanner.

즉, 일반 바코드는 한쪽 방향으로 1차원 적인 정보저장방식을 채택하는 반면에, QR코드는 종횡 방향으로 2차원적인 정보 저장방식을 채택하므로 많은 정보를 저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숫자 외에 알파벳과 한자 등 문자 데이터도 저장할 수 있다. 농담의 판별이 가능한 색조라면 색상이 들어가도 상관 없으며, QR코드는 숫자 최대 7089자, 문자(ASCII) 최대 4296자, 이진 8비트 최대 2953 바이트, 한자 등 아시아 문자 최대 1817자를 담을 수 있다. 특히, 인식률이 좋고 처리속도도 상당히 빠른 장점이 있다.
In other words, the general barcode adopts one-dimensional information storage in one direction, while the QR code adopts two-dimensional information storage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which not only can store a lot of information, but also alphabets and Chinese characters. Character data can also be stored. If the color tone can be determined, the color can be included. The QR code can contain up to 7089 characters, up to 4296 characters (ASCII), up to 2953 bytes in binary 8 bits, and up to 1817 Asian characters, including Chinese characters. In particular, the recognition rate is good and the processing speed is considerably fast.

현재까지, QR코드는 단순히 특정 홈페이지의 URL 정보를 스캔하여 해당 홈페이지로 접속을 안내하는 용도로 주로 사용이 되고 있다.To date, QR codes have been used primarily for the purpose of guiding access to a specific homepage by simply scanning the URL information of a specific homepage.

한국등록특허공보 10-1018432호 2011. 3. 2.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018432 2011. 3. 2. 한국등록특허공보 10-1039647호 2011. 6. 8.Korea Patent Publication 10-1039647 June 6, 2011

본 발명의 목적은 인식코드를 활용하여 복수의 동작을 할 수 있는 인식코드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방법 및 모바일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a mobile device using a recognition code that can perform a plurality of operations by using a recognition cod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식코드를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하여 손쉽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인식코드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방법 및 모바일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a mobile device using a recognition code that can easily provide a service by using the recognition code in various way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한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Still other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인식코드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방법은 인식코드를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인식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상기 인식코드에 대응되는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응용 프로그램 파일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응용 프로그램 파일을 이용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응응 프로그램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상기 응용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인식코드를 인식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응용 데이터에 대응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an identification code may include: recognizing an identification code using a mobile device; Connecting the mobile device to a server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code; Transmitting an application file from the server to the mobile device; Installing an application on the mobile device using the application file; Recognizing, by the mobile device, the identification code using the application program; And providing a service corresponding to the application data.

상기 인식코드는 URL 데이터 및 응용 데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상기 URL 데이터에 대응되는 서버에 접속할 수 있다.The identification code includes URL data and application data, and the mobile device may access a server corresponding to the URL data.

상기 인식코드는 QR코드일 수 있다.The recognition code may be a QR cod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모바일 디바이스는 인식코드를 인식하는 제1 코드인식부; 상기 인식코드에 대응되는 서버에 접속하는 서버 접속부; 상기 서버 접속부로부터 응용 프로그램 파일을 수신하여 응용 프로그램을 설치하는 데이터 처리부; 그리고 상기 응용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인식코드를 인식하는 제2 코드인식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obile device includes a first code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a recognition code; A server connection unit for connecting to a server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code; A data processing unit receiving an application program file from the server connection unit and installing an application program; And a second code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the recognition code by using the application program.

상기 인식코드는 URL 데이터 및 응용 데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서버 접속부는 상기 URL 데이터에 대응되는 상기 서버에 접속하고, 상기 제2 코드인식부는 상기 응용 데이터를 인식할 수 있다.The identification code may include URL data and application data, the server connection unit may be connected to the server corresponding to the URL data, and the second code recognition unit may recognize the application data.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제2 코드인식부를 통해 인식된 상기 인식코드에 대응되는 서비스 데이터를 상기 서버 접속부에 제공하며, 상기 서버 접속부는 상기 서비스 데이터를 상기 서버에 제공할 수 있다.The data processor may provide service data corresponding to the recognition code recognized by the second code recognition unit to the server connection unit, and the server connection unit may provide the service data to the server.

본 발명에 의하면 인식코드를 활용하여 복수의 동작을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보다 손쉽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손쉽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operations can be performed by using a recognition code. Through this, the service can be provided to the user more easily, and the user can easily use the servi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인식코드를 나타낸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모바일 디바이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1 schematically shows a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shows a recognition code shown in FIG.
FIG. 3 schematically illustrates the mobile device shown in FIG. 1.
4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ervice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들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나타난 각 요소의 형상은 보다 분명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하여 과장될 수 있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The embodiments are provided to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Accordingly, the shape of each element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to emphasize a clearer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인식코드(1), 모바일 디바이스(2), 그리고 서버(3)를 포함하며, 사용자는 모바일 디바이스(2)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사용자는 모바일 디바이스(2)를 이용하여 인식코드(1)를 인식함으로써 모바일 디바이스(2)에 인식코드(1)를 입력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2)는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3)에 접속할 수 있다. 서버(3)는 모바일 디바이스(2)에 응용 프로그램 파일을 전송하며, 모바일 디바이스(2)는 수신한 응용프로그램 파일을 설치한 후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인식코드(1)를 인식함으로써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1 schematically shows a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the service providing system includes an identification code 1, a mobile device 2, and a server 3, and a user may receive a service using the mobile device 2. The user may input the identification code 1 into the mobile device 2 by recognizing the identification code 1 using the mobile device 2, whereby the mobile device 2 may access the server 3 via a network. Can be accessed. The server 3 transmits an application file to the mobile device 2, and the mobile device 2 may receive a service by installing a received application file and recognizing the recognition code 1 through the application. have.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인식코드를 나타낸다. 인식코드(1)는 모바일 디바이스(2)에 일정한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하나의 매개체가 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식코드(1)는 QR(Quick Response) 코드일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QR 코드는 2차원 바코드의 일종이며, 데이터를 평면(X방향, Y방향)으로 배열하고 있으므로, 1차원 바코드에 비해 대용량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2차원 바코드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QR 코드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QR 코드 외에 다른 형태의 2차원 바코드가 인식코드(1)로 사용될 수 있다.
2 shows a recognition code shown in FIG. The identification code 1 is one medium capable of inputting certain data to the mobile device 2. As shown in FIG. 1 and FIG. 2, the recognition code 1 may be a Quick Response (QR) code. As described above, the QR code is a kind of two-dimensional barcode, and since data is arranged in a plane (X-direction, Y-direction), a large amount of data can be stored as compared with a one-dimensional barcode. In addition, various types of two-dimensional barcodes have been developed and used. In the present embodiment, a QR code is described as an example. However, in addition to the QR code, another two-dimensional barcode may be used as the identification code 1.

인식코드(1)는 사용자에게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며, 예를 들어, 사용자가 물건이나 서비스를 구매한 경우, 구매액에 대한 포인트(또는 마일리지)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인식코드(1)는 물건이나 서비스를 판매하는 매장에 설치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매장을 방문하여 구매한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2)를 이용하여 매장에 설치된 인식코드(1)를 인식함으로써 구매액에 대한 포인트를 적립할 수 있다.
The identification code 1 serves to provide a specific service to the user. For example, when the user purchases an object or a service, the identification code 1 serves to provide the user with points (or mileage) for the purchase amount. To this end, the identification code 1 may be installed in a store that sells goods or services, and when a user visits the store and purchases the recognition code 1, the recognition code 1 may be recognized using the mobile device 2. You can earn points for the purchase amount.

이때, 인식코드(1)는 두 가지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는 URL 데이터로써, 모바일 디바이스(2)를 이용하여 URL 데이터를 입력한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2)는 URL 데이터에 대응되는 서버(3)에 접속할 수 있다. 즉, 모바일 디바이스(2)를 서버(3)에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In this case, the identification code 1 may include two types of data. One is URL data. When URL data is input using the mobile device 2, the mobile device 2 may access the server 3 corresponding to the URL data. That is, it serves to guide the mobile device 2 to the server 3.

다른 하나는 응용 데이터로써,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2)를 이용하여 응용 데이터를 입력한 경우, 응용 데이터에 해당하는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2)를 이용하여 응용 데이터를 입력한 경우, 사용자는 응용 데이터에 해당하는 포인트를 적립할 수 있다.
The other is application data. When the user inputs application data using the mobile device 2, a service corresponding to the application data may be provid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user inputs the application data using the mobile device 2, the user may earn points corresponding to the application data.

도 3은 도 1에 도시한 모바일 디바이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모바일 디바이스(2)는 서버(3)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나 단말기를 포함한다.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한다.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스마트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FIG. 3 schematically illustrates the mobile device shown in FIG. 1. The mobile device 2 comprises a computer or terminal capable of connecting to the server 3. Computers include, for example, laptops, desktops, laptops, etc., equipped with a web browser. The terminal is, for example,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at ensures portability and mobility, and includes a smartphone, a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PCS), a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nd an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IMT)- 2000,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2000, 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Wireless Broadband Internet (WBRO) terminal, and the like, and all kinds of handheld base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have.

모바일 디바이스(2)는 제1 및 제2 코드인식부, 서버접속부, 데이터처리부를 포함한다. 제1 코드인식부는 앞서 설명한 인식코드(1)를 최초로 인식하며, 이때, 제1 코드인식부는 인식코드(1)를 표준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표준 프로그램에 해당한다. 즉, 제1 코드인식부는 인식코드(1)를 인식할 수 있는 다른 리더기와 동일한 방식으로 인식코드(1)를 인식한다.
The mobile device 2 includes a first and second code recognition unit, a server connection unit, and a data processing unit. The first code recognition unit first recognizes the recognition code 1 described above, and in this case, the first code recognition unit corresponds to a standard program capable of standardly recognizing the recognition code 1. That is, the first code recognition unit recognizes the recognition code 1 in the same manner as other readers capable of recognizing the recognition code 1.

사용자가 제1 코드인식부를 구동하여 인식코드(1)를 인식하면, 제1 코드인식부는 인식코드(1) 중 응용 데이터를 무시한 채 URL 데이터를 인식하여 URL 데이터에 포함된 정보를 서버접속부로 전송한다. 서버접속부는 네트워크를 통해 URL 데이터에 대응되는 서버(3)에 접속하며, URL 데이터에 대응되는 서비스를 서버(3)에 요청한다. 이때, 네트워크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등과 같은 유선 네트워크나 3G, Wifi 등의 이동 통신망 또는 위성 통신망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무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When the user drives the first code recognition unit to recognize the recognition code 1, the first code recognition unit recognizes the URL data while ignoring application data among the recognition codes 1 and transmits th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URL data to the server connection unit. do. The server connection unit connects to the server 3 corresponding to the URL data via a network and requests the server 3 for a service corresponding to the URL data. In this case, the network may be implemented as a wired network such as a local area network (LAN), a wide area network (WAN), or any kind of wireless network such as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3G or Wifi or a satellite communication network. .

서버(3)는 서버접속부의 요청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2)에 응용 프로그램 파일을 전송한다. 응용 프로그램 파일은 모바일 디바이스(2)에 응용 프로그램을 설치하기 위한 파일이며, 응용 프로그램은 후술하는 제2 코드인식부에 해당한다. 데이터 처리부는 서버(3)로부터 전송 받은 응용 프로그램 파일을 이용하여 모바일 디바이스(1)에 응용 프로그램을 설치한다.
The server 3 transmits the application file to the mobile device 2 at the request of the server connection unit. The application file is a file for installing an application on the mobile device 2, and the application corresponds to a second code recognition unit described later. The data processor installs an application program on the mobile device 1 using the application file received from the server 3.

응용 프로그램은 사용자가 특정 서비스를 받기 위한 유틸리티에 해당하며, 사용자는 응용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인식코드(1)를 인식함으로써 특정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제2 코드인식부는 응용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인식코드(1) 중 URL 데이터를 무시한 채 응용 데이터를 인식하며, 사용자는 응용 데이터를 통해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The application program corresponds to a utility for a user to receive a specific service, and the user may receive a specific service by recognizing the identification code 1 using the application program. The second code recognition unit recognizes the application data while ignoring the URL data in the recognition code 1 by using the application program, and the user can be provided with the service through the application data.

즉, 제1 코드인식부는 인식코드(1) 중 URL 데이터를 인식하는 반면에, 제2 코드인식부는 인식코드(1) 중 응용 데이터를 인식한다. 제2 코드인식부는 앞서 설명한 제1 코드인식부와 인식방법을 달리하며, 모바일 디바이스(2)는 동일한 인식코드(1)를 통해 다른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That is, the first code recognition unit recognizes URL data in the recognition code 1, while the second code recognition unit recognizes application data in the recognition code 1. The second code recognition unit differs from the above-described first code recognition unit in a recognition method, and the mobile device 2 may perform different functions through the same recognition code 1.

한편, 제2 코드인식부를 통해 인식코드(1)를 인식하면, 데이터 처리부는 응용 데이터에 포함된 정보를 서버접속부에 제공하며, 서버접속부는 해당 정보를 서버(3)에 제공한다. 예를 들어, 서버접속부는 응용 데이터에 해당하는 포인트를 서버(3)에 제공할 수 있으며, 서버(3)는 사용자에 해당하는 계정에 포인트를 적립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f the recognition code 1 is recognized through the second code recognition unit, the data processing unit provides the information contained in the application data to the server connection unit, the server connection unit provides the information to the server (3). For example, the server connection unit may provide a point corresponding to the application data to the server 3, and the server 3 may accumulate points in an account corresponding to the user.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도 4를 참고하여 서비스 제공방법(예를 들어, 포인트 적립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4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ervice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a service providing method (for example, a point earning metho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먼저, 사용자가 매장에 방문하여 구매를 완료한 경우, 사용자는 매장에 설치된 인식코드(1)를 모바일 디바이스(2)를 이용하여 인식한다. 이때, 사용자는 모바일 디바이스(2)의 제1 코드인식부를 이용하여 인식코드(1) 중 URL 데이터를 인식하며, 모바일 디바이스(2)는 서버접속부를 통해 URL 데이터에 대응되는 서버(3)에 접속한다.
First, when a user visits a store and completes a purchase, the user recognizes the recognition code 1 installed in the store by using the mobile device 2. At this time, the user recognizes the URL data of the identification code 1 using the first code recognition unit of the mobile device 2, the mobile device 2 is connected to the server 3 corresponding to the URL data through the server connection unit do.

서버접속부는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3)에 접속한 후, URL 데이터에 대응되는 응용 프로그램 파일을 요청하며, 서버(3)는 서버접속부의 요청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2)에 응용 프로그램 파일을 전송한다. 데이터 처리부는 서버(3)로부터 전송 받은 응용 프로그램 파일을 이용하여 모바일 디바이스(1)에 응용 프로그램을 설치한다.
After connecting to the server 3 via the network, the server connection unit requests an application file corresponding to the URL data, and the server 3 transmits the application file to the mobile device 2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server connection unit. . The data processor installs an application program on the mobile device 1 using the application file received from the server 3.

이후, 사용자는 모바일 디바이스(2)의 제2 코드인식부(또는 응용 프로그램)를 이용하여 인식코드(1)를 인식하며, 제2 코드인식부는 인식코드(1) 중 응용 데이터를 인식한다. 제2 코드인식부를 통해 인식코드(1)를 인식하면, 데이터 처리부는 응용 데이터에 포함된 정보(예를 들어, 포인트)를 서버접속부에 제공하며, 서버접속부는 해당 정보를 서버(3)에 제공한다. 서버(3)는 해당 정보를 사용자에 해당하는 계정에 적립함으로써 사용자에 대한 적립서비스를 제공한다.
Thereafter, the user recognizes the recognition code 1 using the second code recognition unit (or application program) of the mobile device 2, and the second code recognition unit recognizes application data among the recognition codes 1. When the recognition code 1 is recognized through the second code recognition unit, the data processing unit provides information (for example, a point) included in the application data to the server connection unit, and the server connection unit provides the information to the server 3. do. The server 3 provides the earning service for the user by accumulating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in the account corresponding to the user.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와 다른 형태의 실시예들도 가능하다. 그러므로, 이하에 기재된 청구항들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by way of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other forms of embodiment are possible. Therefore, the technical idea and scope of the claims set forth below are not limited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1 : 인식코드
2 : 모바일 디바이스
3 : 서버
1: Recognition code
2: mobile device
3: server

Claims (7)

인식코드를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인식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상기 인식코드에 대응되는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응용 프로그램 파일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응용 프로그램 파일을 이용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응응 프로그램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상기 응용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인식코드를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인식코드에 대응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식코드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방법.
Recognizing the identification code using a mobile device;
Connecting the mobile device to a server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code;
Transmitting an application file from the server to the mobile device;
Installing an application on the mobile device using the application file;
Recognizing, by the mobile device, the identification code using the application program; And
And providing a service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co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코드는 URL 데이터 및 응용 데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상기 URL 데이터에 대응되는 서버에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식코드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recognition code includes URL data and application data,
The mobile device provides a service using a recognition code,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necting to the server corresponding to the URL data.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코드는 QR코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식코드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recognition code is a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a recognition code, characterized in that the QR code.
인식코드를 인식하는 제1 코드인식부;
상기 인식코드에 대응되는 서버에 접속하는 서버 접속부;
상기 서버 접속부로부터 응용 프로그램 파일을 수신하여 응용 프로그램을 설치하는 데이터 처리부; 및
상기 응용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인식코드를 인식하는 제2 코드인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A first code recognition unit recognizing an identification code;
A server connection unit for connecting to a server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code;
A data processing unit receiving an application program file from the server connection unit and installing an application program; And
And a second code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the recognition code using the application program.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코드는 URL 데이터 및 응용 데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서버 접속부는 상기 URL 데이터에 대응되는 상기 서버에 접속하고,
상기 제2 코드인식부는 상기 응용 데이터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5. The method of claim 4,
The recognition code includes URL data and application data,
The server connection unit connects to the server corresponding to the URL data,
And the second code recognition unit recognizes the application data.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코드는 QR코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or 5,
The identification code is a mobil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QR code.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제2 코드인식부를 통해 인식된 상기 인식코드에 대응되는 서비스 데이터를 상기 서버 접속부에 제공하며,
상기 서버 접속부는 상기 서비스 데이터를 상기 서버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or 5,
The data processor provides service data corresponding to the recognition code recognized by the second code recognition unit to the server connection unit.
And the server connection unit provides the service data to the server.
KR1020110094816A 2011-09-20 2011-09-20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code and mobile device KR2013003109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4816A KR20130031096A (en) 2011-09-20 2011-09-20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code and mobil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4816A KR20130031096A (en) 2011-09-20 2011-09-20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code and mobile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1096A true KR20130031096A (en) 2013-03-28

Family

ID=48180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4816A KR20130031096A (en) 2011-09-20 2011-09-20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code and mobile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31096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3228B1 (en) * 2013-03-05 2014-09-23 유넷시스템주식회사 Network automatic connecting method using qr cod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3228B1 (en) * 2013-03-05 2014-09-23 유넷시스템주식회사 Network automatic connecting method using qr cod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01357B1 (en) Document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US9818011B2 (en) Method and device for identifying two-dimensional barcodes
Gao et al. Understanding 2d-barcode technology and applications in m-commerce-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2d barcode processing solution
CN105144215B (en) multi-dimensional code translation
CN102375969A (en) System and method for document processing
Kan et al. QR code based augmented reality applications
CN106991350B (en) Data application method and system for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ag
CN103548046A (en) Electronic transactions with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via encoded graphical representations
KR102353281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ayment service in offline using code
KR20130012158A (en) Server system,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multi-dimensional code providing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both information collection and information use using multi-dimensional code
KR20130031096A (en)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code and mobile device
KR20130131846A (en) Mobile device for ordering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and pos system using the mobile device
Falk Physical Mobile Interaction in Omni-Channel Retailing: Using the customers’ smartphone to interact with smart objects in a store
Anand et al. Cloud based shopping guide system using qrcode
Paulson Scanning the future with new barcodes
CN106339907A (en) Data tracing interaction method
WO2019134545A1 (en) Method and device for generating barcode
US20200273077A1 (en) Rating system and method
Kurt et al. The Role of Mobile Devices and Applications in Supply Chains
KR20130012157A (en) Server system, multi-dimensional code processing mehtod, multi-dimensional code providing system and method for matching information on online and offline using multi-dimensional code
RU48083U1 (en) SYSTEM FOR READING AND EVALUATION OF IDENTIFICATION ELEMENTS
CN203084840U (en) Portable shopping terminal
CN202711277U (en) Intelligent traceability and goods identification Internet of things terminal based on RFID
KR20120136619A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ccessing to landing page using multi-dimensional code and mobile system and access method for accessing landing page using multi-dimensional code
Bhargava et al. The Effective QR Code Development using VB .N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