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0659A - 오실로메트릭법을 이용한 혈압측정방법 및 이를 이용한 혈압계 - Google Patents

오실로메트릭법을 이용한 혈압측정방법 및 이를 이용한 혈압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0659A
KR20130030659A KR1020110094275A KR20110094275A KR20130030659A KR 20130030659 A KR20130030659 A KR 20130030659A KR 1020110094275 A KR1020110094275 A KR 1020110094275A KR 20110094275 A KR20110094275 A KR 20110094275A KR 20130030659 A KR20130030659 A KR 201300306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od pressure
pressure
sensor
point
cuf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4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92295B1 (ko
Inventor
김원기
오현호
김경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942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2295B1/ko
Publication of KR201300306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06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22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22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1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 A61B5/022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by applying pressure to close blood vessels, e.g. against the skin; Ophthalmodynamometers
    • A61B5/02225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by applying pressure to close blood vessels, e.g. against the skin; Ophthalmodynamometers using the oscillometric metho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Abstract

혈압측정방법 및 이를 이용한 혈압계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혈압계는 압력을 인가하는 커프부, 혈관의 위치별 압력 변화를 검출하기 위해 상기 커프부 내에 서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제1 센서 및 제2 센서 및 상기 제1 센서 및 상기 제2 센서에서 센싱된 압력의 신호 패턴을 기초로 수축기 혈압과 이완기 혈압을 결정하는 혈압값 결정부를 포함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혈압 측정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사용자는 혼자서 간편하게 혈압을 측정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오실로메트릭법을 이용한 혈압측정방법 및 이를 이용한 혈압계{BLOOD PRESSURE MESURING METHOD USING OSCILLOMETRIC METHOD AND BLOOD PRESSURE MONITO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혈압측정방법 및 이를 이용한 혈압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오실로메트릭법을 이용하여 정확도를 향상시킨 혈압측정방법 및 이를 이용한 혈압계에 관한 것이다.
현재까지 상용화된 혈압계로는 수은혈압계, 아네로이드 혈압계, 전자혈압계가 있다. 이 중에서 수은혈압계가 측정의 정확성이나 일치도면에서 성능이 우월하다.
수은혈압계는 약 150여 년 전에 개발되어 100여 년 전부터 임상에 적용되면서 혈압측정의 표준이 되어왔다. 수은혈압계는 팔이나 다리에 감는 커프와 그 커프에 압력을 가할 수 있는 공기 펌프, 그리고 그 압력을 측정하는 수은주 압력계로 구성되어 있다. 압력을 어느 정도 가해서 혈액이 흐르지 못하도록 하고 서서히 압력을 줄여 나가면서 청진기로 코로트코프 음(Korotkoff sound)을 청음하면서 혈액이 흐르는 소리가 들리는 시점을 수축기 혈압(Systolic Pressure)으로 정의하고, 점점 더 압력을 줄여나가면서 혈액이 흐르는 소리가 들리지 않는 시점을 이완기 혈압(Diastolic Pressure)으로 정의한다. 수은혈압계는 수은이 환경오염에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측정자에 의한 편차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고 환자 혼자서 쉽게 측정할 수 없다는 단점을 갖고 있다.
이러한 단점들을 극복하기 위해 환자가 혼자서 쉽게 측정할 수 있는 전자혈압계가 개발되었으며, 대표적으로는 코로트코프(Korotkoff)방식과 오실로메트릭(Oscillometric) 방식이 있다.
1970년대 중반의 초기 전자혈압계는 수은혈압계를 모방하여 코로트코프음을 검출하는 센서로 수축기 혈압과 이완기 혈압을 측정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이 방법은 유아의 경우, 주위소음이 큰 경우, 근육움직임에 의한 동잡음(motion artifact)이 있는 경우 등 코로트코프 음 대역 내에 노이즈가 혼합될 여지가 있으면 측정된 수축기 혈압과 이완기 혈압에 매우 큰 오차가 생긴다.
1980년대 말 이러한 코로트코프 방식의 대안으로 오실로케트릭 방법이 개발되었다. 이 방법은 동맥혈관에 혈류에 의한 압력이 커프에 전달되어 커프내에서 미세압력변화가 발생한다. 이 신호를 오실로메트릭 신호라고 하고 이 신호로부터 수축기 혈압 및 이완기 혈압을 구하는 방식이 현재 대부분의 혈압계가 채용하고 있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노이즈에 대한 개선은 있었지만 동백 혈관의 탄성도, 맥박, 커프 재질 및 상태 등 여러 원인으로 측정 오차가 발생해 정확도가 수은혈압계에 못 미친다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혈압 측정의 정확도를 향상시키면서 환자가 간편하게 혈압을 측정할 수 있는 혈압측정방법 및 이를 이용한 혈압계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압계는, 압력을 인가하는 커프부; 혈관의 위치별 압력 변화를 검출하기 위해 상기 커프부 내에 서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제1 센서 및 제2 센서; 및 상기 제1 센서 및 상기 제2 센서에서 센싱된 압력의 신호 패턴을 기초로 수축기 혈압과 이완기 혈압을 결정하는 혈압값 결정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혈압값 결정부는, 상기 제1 센서에서 센싱된 신호와 상기 제2 센서에서 센싱된 신호가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차이를 보이는 시점에, 상기 커프부에서 인가된 압력을 수축기 혈압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혈압값 결정부는, 상기 수축기 혈압이 결정된 후, 상기 제1 센서에서 센싱된 신호와 상기 제2 센서에서 센싱된 신호의 차이가 사라지는 시점에, 상기 커프부에서 인가된 압력을 이완기 혈압으로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프부는, 기설정된 최대 압력을 인가한 이후 기설정된 최소 압력까지 압력을 서서히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센서 및 상기 제2 센서에서 센싱된 압력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데이터 변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혈압값 결정부에서 결정된 상기 수축기 혈압과 이완기 혈압을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압측정방법은 커프부를 통해 사용자 신체에 기설정된 최대 압력을 인가하는 단계; 상기 커프부의 압력을 서서히 줄여가면서 상기 사용자 신체 내 혈관의 제1 지점 및 제2 지점의 압력 변화를 센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지점 및 상기 제2 지점에서 센싱된 압력의 신호 패턴을 기초로 수축기 혈압과 이완기 혈압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지점 및 상기 제2 지점은 상기 커프부와 접촉하는 상기 사용자 신체 부위에서 이격된 지점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지점에서 센싱된 신호와 상기 제2 지점에서 센싱된 신호가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차이를 보이는 시점에, 상기 커프부의 압력을 판단해 수축기 혈압으로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수축기 혈압이 결정된 후, 상기 제1 지점에서 센싱된 신호와 상기 제2 지점에서 센싱된 신호의 차이가 사라지는 시점에, 상기 커프부의 압력을 판단해 이완기 혈압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정된 상기 수축기 혈압과 이완기 혈압을 상기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혈압측정방법 및 이를 이용한 혈압계에 의하면 혈압 측정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사용자는 혼자서 간편하게 혈압을 측정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압계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압측정방법의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압측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압측정방법에 있어서, 수축기 혈압을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압측정방법에 있어서, 이완기 혈압을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압계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압계(100)는 커프부(110), 제1 센서(120), 제2 센서(121), 데이터 변환부(130), 혈압값 결정부(140) 및 표시부(150)를 포함한다.
커프부(110)는 사용자의 신체에 압력을 가하는 기능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커프부(110)는 사용자의 상완 부근에 놓이게 되며 수축기 혈압보다 높은 압력으로 가압해 상완 부위의 혈관을 차단한 다음 압력을 점차 줄여가며, 특정 시점에서 커프부(110)의 압력을 판단해 후술할 혈압값 결정부(140)로 전송한다.
제1 센서(120) 및 제2 센서(121)는 상기 커프부(110)가 접촉되는 부위에 일정한 간격으로 떨어져서 혈관의 압력을 센싱하는 기능을 갖는다. 제1 센서(120) 및 제2 센서(121)는 압력을 센싱할 수 있는 압전 소자(piezoelectric element)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센서(120)가 놓이는 지점은 상기 커프부(110)가 놓인 부위에 있어서 심장으로부터 가까운 부분이며, 상기 제2 센서(121)가 놓이는 지점은 상기 커프부(110)가 놓인 부위에서 심장으로부터 먼 부분일 수 있으며, 상기 제1 센서(120) 및 상기 제2 센서(121)는 일직선상에 놓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데이터 변환부(130)는 상기 커프부(110)에서 판단한 압력, 혹은 각 센서들(120,121)로부터 센싱한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혈압값 결정부(140)로 전달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러한 데이터 변환부(130)의 기능이 혈압값 결정부(140)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데이터 변환부(130)의 구성은 별도로 구비되지 않아도 좋다.
혈압값 결정부(140)는 수축기 혈압과 이완기 혈압을 결정하는 기능을 갖는다. 심장이 수축해서 강한 힘으로 혈액을 동맥에 보낼 때의 혈관 내압을 수축기 혈압이라고 한다. 즉 수축기 혈압은 심장의 주기 중 혈압의 최고치를 의미하며 최대혈압, 최고혈압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한편 이완기 혈압이란 확장기의 동맥혈압을 말한다. 즉 이완기 혈압은 심장의 주기 중 혈압의 최저치를 의미하며 최소 혈압, 최저혈압, 확장기 혈압으로 불리기도 한다.
혈압값 결정부(140)는 제1 센서(120)에서 센싱된 신호와 제2 센서(121)에서 센싱된 신호가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차이를 보이는 시점에, 커프부(110)에서 인가된 압력을 수축기 혈압으로 결정한다. 그리고 수축기 혈압이 결정된 이후에 상기 커프부(110)에서 지속적으로 압력을 줄여가는 도중, 제1 센서(120)에서 센싱된 신호와 제2 센서(121)에서 센싱된 신호의 차이가 사라지는 시점을 이완기 혈압으로 판단하고, 이때 커프부에서 인가된 압력을 이완기 혈압으로 결정한다. 이렇게 혈압값 결정부(140)는 제1 센서(120) 및 제2 센서(121)에서 센싱된 신호 및 커프부(110)에서 인가되는 압력값을 기초로 수축기 혈압 및 이완기 혈압을 쉽게 결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동작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와 관련해서는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표시부(150)는 혈압값 결정부(140)에 의해 결정된 수축기 혈압 및 이완기 혈압을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기능을 갖는다. 다만 이러한 표시부(150)의 구성은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혈압값 결정부(140)에 의해 결정된 수축기 혈압 및 이완기 혈압에 관한 데이터를 통신부(미도시)를 이용해 유선 혹은 무선으로 외부 장치 혹은 시스템에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압측정방법의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우선 커프를 통해 압력을 인가한다(S200). 여기서 인가되는 압력은 사용자에 의해서 기설정될 수 있고, 최고혈압보다는 높은 압력이 될 것이다. 이후 인가된 압력을 서서히 줄여나가면서(S210), 제1 지점과 제2 지점의 압력 신호를 센싱한다. 이후 센싱된 결과를 기초로, 제1 지점 센싱 신호와 제2 지점 센싱 신호가 일정한 시간차를 보이며 나타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20).
만약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차이를 나타내지 않는 경우(S220-NO), 계속해서 압력을 줄여나간다(S210). 하지만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차이가 나타나기 시작하는 경우(S220-YES), 그 시점을 수축기 혈압으로 판단하고, 차이를 나타낸 시점의 커프 압력을 판단한다(S230).
수축기 혈압을 판단한 이후에도 감압을 지속하며(S240), 계속해서 제1 지점과 제2 지점의 압력 신호를 센싱한다. 이후 제1 지점 센싱 신호와 제2 지점 센싱 신호의 시간적 차이가 사라지지 않는 경우에는(S250-NO), 감압을 지속한다(S240).
만약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차이를 보이던 센싱 신호들이, 시간 차이가 사라지는 신호 양상을 보이면(S250-YES), 상기 시간 차이가 사라지는 시점의 커프 압력을 이완기 혈압으로 판단하고, 그때의 커프 압력을 판단한다(S260).
그리고, S230 단계에서 판단한 압력을 수축기 혈압, S260 단계에서 판단한 압력을 이완기 혈압의 값으로 결정하고(S270), 결정된 수축기 혈압 및 이완기 혈압의 값을 사용자에게 표시한다(S280).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압측정방법에 의하면 2개의 센서만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스스로 혈압을 측정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6을 이용하여 상술한 혈압계 및 혈압측정방법에 있어서 수축기 혈압 및 이완기 혈압을 결정하는 방식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커프의 압력을 수축기 혈압 및 이완기 혈압과 비교하여 구간별로 나타낸 그래프와 혈압계의 구성을 함께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3에서 ①번 구간은 수축기(SYSTOLIC) 혈압보다 커프의 압력이 높은 영역이고, ②번 구간은 수축기(SYSTOLIC) 혈압과 이완기(DIASTOLIC) 혈압 사이의 영역, 그리고 ③번 구간은 이완기(DIASTOLIC) 혈압보다 커프의 압력이 낮은 영역이다.
한편 커프부(110)는 사용자의 상완 부위에 위치하며, A로 표시된 제1 센서(120) 및 B로 표시된 제2 센서(121)는 커프부(110) 내에서 동일 직선상에 위치한다. 그리고 포인트 P,Q,R,S는 혈액이 동맥을 지나가면서 압력이 센싱되는 부분, 즉 혈류파의 진행을 나타내는 것으로, 도 4 내지 도 6을 통해 수축기 혈압과 이완기 혈압의 결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서 임의로 도시하였다.
도 4는 도 3의 ①번 구간에서의 혈류파와 각 센서(120,121)에서의 신호 패턴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①번 구간에서는 커프의 압력이 수축기 혈압보다 높기 때문에 혈액이 동맥내에서 손가락까지 이동하지 못하고 P포인트까지 이동하게 된다. 이를 그래프로 나타내면 도 4와 같다. 즉 P포인트에서는 혈류파가 검출되지만 제1 센서(120)와 제2 센서(121)에서는 신호가 거의 감지되지 않는다.
다만 P포인트에서의 혈류 압력이 커프를 진동시키기 때문에 도 4에서와 같이 제1 센서(120)와 제2 센서(121)에서 약한 신호가 감지될 수 있다.
도 5는 도 3의 ②번 구간에서의 혈류파와 각 센서(120,121)에서의 신호 패턴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②번 구간에서는 커프 내의 압력이 수축기 혈압보다는 작고 이완기 혈압보다는 높기 때문에 혈액이 동맥을 따라 이동하며, 따라서 포인트 P,Q,R,S에서는 혈류파가 감지된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 P,Q,R,S를 따라 신호가 움직일 것이다.
이때 포인트 Q상에 위치한 제1 센서(120) 및 포인트 R상에 위치한 제2 센서(121)에서는 혈류파가 Q포인트와 R포인트에 위치했을 때 큰 신호가 감지된다. 즉, 도 4에서와 같이 제1 센서(120) 및 제2 센서(121)에서 신호가 거의 감지되지 않다가, 제1 센서(120) 및 제2 센서(121)에서 센싱되는 신호가 일정한 간격을 보이기 시작한다. 그리고 이때의 커프 압력이 수축기 혈압이 되며, 이는 도 3에서 ①번 구간과 ②번 구간 사이의 점선으로 표시된 부분이다.
도 5의 그래프는 도 3의 ②번 구간이 지나갈 때까지 유사한 패턴이 계속된다. 하지만 도 3의 ③번 구간에서는 또 다른 패턴의 신호를 나타낸다.
도 6은 ③번 구간에서의 신호를 나타낸다. 즉 ③번 구간에서는 이완기 혈압보다 커프의 압력이 낮기 때문에 제1 센서(120) 및 제2 센서(121)에 신호가 센싱되지 않는다. 이는 혈류파가 포인트 P,Q,R,S를 지나면서 아무런 저항이 없기 때문이다. 즉 이 영역에서는 제1 센서(120)와 제2 센서(121)에서 신호의 차이가 없어지게 된다.
이를 이용해서 이완기 혈압을 결정하면, 도 5에서와 같이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제1 센서(120) 및 제2 센서(121)에서 신호가 감지되다가, 도 6과 같이 신호 상 차이가 사라지는 시점이 이완기 혈압이 된다. 이는 도 3에서 보면 ②번 구간과 ③번 구간 사이의 점선으로 표시된 부분을 말한다. 즉 이완기 혈압은 도 6에서와 같이 제1 센서(120)와 제2 센서(121)에서 센싱되는 신호의 차이가 사라지는 시점의 커프내 압력으로 결정한다.
상기 설명에서는 2개의 센서를 채용한 혈압계 및 2개의 센서를 이용한 혈압측정방법을 상정하였으나, 3개의 센서 혹은 더 많은 수의 센서를 이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설명에 있어서, 혈압계의 동작을 위한 전원부나 커프부에 압력을 주기위한 모터부 등과 같은 일반적인 전자혈압계에 필요한 구성요소는 발명의 본질을 명확히 하기 위하여 생략하였다. 따라서 상술한 구성 외에도 전원부, 모터부, 신호처리부, 신호검출부 등과 같은 요소들이 더 부가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자명하다.
상기한 바에서, 다양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각 구성요소 및/또는 기능은 서로 복합적으로 결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혈압계
110............................................커프부
120............................................제1 센서
121............................................제2 센서
130............................................데이터 변환부
140............................................혈압값 결정부
150............................................표시부

Claims (10)

  1. 압력을 인가하는 커프부;
    혈관의 위치별 압력 변화를 검출하기 위해 상기 커프부 내에 서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제1 센서 및 제2 센서; 및
    상기 제1 센서 및 상기 제2 센서에서 센싱된 압력의 신호 패턴을 기초로 수축기 혈압과 이완기 혈압을 결정하는 혈압값 결정부;를 포함하는 혈압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혈압값 결정부는,
    상기 제1 센서에서 센싱된 신호와 상기 제2 센서에서 센싱된 신호가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차이를 보이는 시점에, 상기 커프부에서 인가된 압력을 수축기 혈압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압계.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혈압값 결정부는,
    상기 수축기 혈압이 결정된 후, 상기 제1 센서에서 센싱된 신호와 상기 제2 센서에서 센싱된 신호의 차이가 사라지는 시점에, 상기 커프부에서 인가된 압력을 이완기 혈압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압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프부는,
    기설정된 최대 압력을 인가한 이후 기설정된 최소 압력까지 압력을 서서히 줄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압계.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 및 상기 제2 센서에서 센싱된 압력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데이터 변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압계.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혈압값 결정부에서 결정된 상기 수축기 혈압과 이완기 혈압을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압계.
  7. 커프부를 통해 사용자 신체에 기설정된 최대 압력을 인가하는 단계;
    상기 커프부의 압력을 서서히 줄여가면서 상기 사용자 신체 내 혈관의 제1 지점 및 제2 지점의 압력 변화를 센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지점 및 상기 제2 지점에서 센싱된 압력의 신호 패턴을 기초로 수축기 혈압과 이완기 혈압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지점 및 상기 제2 지점은 상기 커프부와 접촉하는 상기 사용자 신체 부위에서 이격된 지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압측정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지점에서 센싱된 신호와 상기 제2 지점에서 센싱된 신호가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차이를 보이는 시점에, 상기 커프부의 압력을 판단해 수축기 혈압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압측정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수축기 혈압이 결정된 후, 상기 제1 지점에서 센싱된 신호와 상기 제2 지점에서 센싱된 신호의 차이가 사라지는 시점에, 상기 커프부의 압력을 판단해 이완기 혈압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압측정방법.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상기 수축기 혈압과 이완기 혈압을 상기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압측정방법.
KR1020110094275A 2011-09-19 2011-09-19 오실로메트릭법을 이용한 혈압측정방법 및 이를 이용한 혈압계 KR1018922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4275A KR101892295B1 (ko) 2011-09-19 2011-09-19 오실로메트릭법을 이용한 혈압측정방법 및 이를 이용한 혈압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4275A KR101892295B1 (ko) 2011-09-19 2011-09-19 오실로메트릭법을 이용한 혈압측정방법 및 이를 이용한 혈압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0659A true KR20130030659A (ko) 2013-03-27
KR101892295B1 KR101892295B1 (ko) 2018-08-27

Family

ID=48180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4275A KR101892295B1 (ko) 2011-09-19 2011-09-19 오실로메트릭법을 이용한 혈압측정방법 및 이를 이용한 혈압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229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9532A (ja) * 1993-07-30 1995-02-10 Sony Corp 拡張期血流スピード検査装置
KR20080017176A (ko) * 2006-08-21 2008-02-26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혈압 측정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9532A (ja) * 1993-07-30 1995-02-10 Sony Corp 拡張期血流スピード検査装置
KR20080017176A (ko) * 2006-08-21 2008-02-26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혈압 측정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2295B1 (ko) 2018-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29338B2 (en) Blood pressure measurement device and calibration method thereof
FI103760B (fi) Menetelmä ja järjestely verenpaineen mittauksessa
KR101460922B1 (ko) 비침습 혈압 측정 장치 및 측정 방법
US7497831B2 (en) Blood pressure measuring system and method
US20110257539A1 (en) Electronic sphygmomanometer and blood pressure measurement method
US2010021095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nsing radial arterial pulses for noninvasive and continuous measurement of blood pressure and arterial elasticity
KR101798495B1 (ko) 웨어러블 손목 혈압계
EP1808123B1 (en) Blood pressure measuring device and blood pressure measuring method
US6440080B1 (en) Automatic oscillometric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US20020052554A1 (en) Automatic blood-pressure measuring apparatus
CN112890790B (zh) 一种穿戴式无创血压动态跟踪监测方法
JP2018153259A (ja) 生体情報測定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20209129A1 (en) Blood pressure monitoring cuff with acoustic sensor
US20190200879A1 (en) Non-invasive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variability
JP2024502997A (ja) 血圧の測定の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TWI392478B (zh) A blood pressure monitor with a blood vessel sclerosis
US8409106B2 (en) Blood pressure measurement device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with clothes on
JP7281777B2 (ja) 血圧測定システム及びそれを利用した血圧測定方法
US20200397318A1 (en) Pulse transit time measuring apparatus and blood pressure measuring apparatus
KR101892295B1 (ko) 오실로메트릭법을 이용한 혈압측정방법 및 이를 이용한 혈압계
TW200642658A (en) Method for measuring irregular pulsation of electronic sphygmomanometer
JP4540784B2 (ja) 血圧測定方法及び血圧計
CN216124435U (zh) 一种用于无创血压动态跟踪监测的穿戴式装置
KR102214774B1 (ko) 흡착 컵형 혈류변화 측정 센서를 이용한 심혈관 및 뇌혈관 질환 위험도 분석 지표 검출 시스템
US9022943B2 (en) Method for detecting vascular scleros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