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0630A - Variable binder - Google Patents

Variable bind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0630A
KR20130030630A KR1020110094228A KR20110094228A KR20130030630A KR 20130030630 A KR20130030630 A KR 20130030630A KR 1020110094228 A KR1020110094228 A KR 1020110094228A KR 20110094228 A KR20110094228 A KR 20110094228A KR 20130030630 A KR20130030630 A KR 201300306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ring member
binder
front cov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422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채원
Original Assignee
박채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채원 filed Critical 박채원
Priority to KR10201100942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30630A/en
Publication of KR201300306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063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13/00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 B42F13/0006Covers for loose-leaf binders
    • B42F13/0066Covers for loose-leaf binders with means for attaching the filing appliance to the cover
    • B42F13/0073Covers for loose-leaf binders with means for attaching the filing appliance to the cover remov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13/00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 B42F13/16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with claws or rings
    • B42F13/20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with claws or rings pivotable about an axis or axes parallel to binding edges
    • B42F13/22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with claws or rings pivotable about an axis or axes parallel to binding edges in two sections engaging each other when closed

Landscapes

  • Sheet Holders (AREA)

Abstract

PURPOSE: A variable binder is provided to prevent the loss of a ring unit, thereby improving use convenience. CONSTITUTION: A variable binder comprises; a case(100) which consists of a front cover(110) and a back cover(120); a ring unit(200) formed of a ring part(210) which fixes an inner sheet and has one closable side, an insertion part which is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ring part and is fixed to the case, and a ring unit(200) which is connected to the insertion part and generates elasticity; and a frame(300) which is formed along the inner boundary of the front cover and the back cover, has a through hole, a transfer part, and a plurality of grooves. The insertion part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The transfer part transfers the ring unit in a longitudinal direction.

Description

가변형 바인더{Variable Binder}Variable Binder {Variable Binder}

본 발명은 가변형 바인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바인더의 구성을 이루는 링부재를 사용자 임의로 2개 또는 3개로 탈착 가능하게 하여 2공 내지 또는 3공 내지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는 가변형 바인더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riable binder, and more particularly to the user's convenience by enabling two or three holes to be selectively detachable by two or three ring members constituting the binder. It relates to a variable binder.

바인더는 외부에 구비되는 케이스와 내부에 서류 등의 내지를 고정하는 링부재를 구비하여 서류를 휴대 보관하기 위한 목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고, 다양한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Binders are widely used for the purpose of carrying and storing documents by having a case provided on the outside and a ring member for fixing the inside of the documents and the like, and various products have been released.

다만, 종래의 바인더는 링부재가 바인더 프레임에 고정되어 있어 이에 호환하는 내지를 사용하거나 일일이 링부재에 맞추어 내지를 천공하여 사용해야 했다. 따라서 사용자의 편의대로 2공, 3공 또는 그 이상의 타공된 내지를 사용함에 큰 불편이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binder, the ring member is fixed to the binder frame, so that the tor is used to be compatible with the ring member, or to the perforated to the ring member. Therefore, there was a great inconvenience in using two holes, three holes or more perforated to the user's convenience.

이러한 불편에도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0290344호는 서류를 천공할 수 있는 커팅부를 구비한 바인더를 설시하고 있을 뿐 링부재를 탈착하여 선택적으로 내지를 사용할 수 있는 발명에 대한 것은 기타 다른 선행발명을 포함하여 언급하고 있지 않다.In spite of this inconvenience,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290344 only describes a binder having a cutting part for punching documents, and the invention that can selectively use a ring member by detaching the ring member is another prior art. It is not mentioned, including.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링부재와 이와 결합하는 프레임을 탈착 가능하게 형성하여 2공, 3공 또는 그 이상 타공된 다양한 내지를 사용할 수 있게 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제공하는 데 있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rea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by forming a ring member and the frame coupled to it detachably to enable a variety of perforated two-hole, three-hole or more to facilitate the user's convenience To provide.

또한, 제거된 링부재의 분실을 방지하고 타공된 내지에 따라 선택적으로 링부재를 용이하게 탈착하기 위해 수용홈을 제공하는 데 있다.In addition, to provide a receiving groove for preventing the loss of the removed ring member and to easily detach the ring member according to the perforated.

또한,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져 바인더 제작단가를 절감할 수 있는 바인더를 제공하는 데 있다.In addition, to provide a binder that can be made of a simple structure to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binder.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은, 전면커버 및 후면커버로 이루어진 케이스; 내지의 타공에 삽입되어 내지를 고정하고 일측이 개폐가능한 링형상의 고리부, 고리부 하단에 형성되어 케이스에 고정되도록 구비된 삽입부 및 삽입부와 연결되고 중심영역이 오목하게 형성되며 횡압력이 작용할 경우 오목한 부분이 상승변형되어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탄성부로 이루어지는 링부재; 및 전면커버 및 후면커버의 내면 경계를 따라 구비되고, 일단에서 삽입부가 삽입가능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관통공, 링부재가 관통공에 삽입되어 길이방향으로 왕복가능 하도록 형성된 이송부 및 링부재가 고정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이송부에 소정간격으로 복수 개가 형성된 고정홈으로 이루어지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eans for achiev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se consisting of a front cover and a rear cover; Is inserted into the perforations of the to secure the to and the ring-shaped ring portion that is openable on one side,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ring portion is connected to the insertion portion and the insertion portion provided to be fixed to the case, the central region is formed concave and lateral pressure A ring member made of an elastic portion in which the concave portion is deformed upward to generate an elastic force; And a through hole formed along the inner boundary of the front cover and the rear cover, the through hol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such that the insertion portion is insertable at one end, the transfer member and the ring member formed to be reciproc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being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And a frame made of a fixing groove having a plurality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conveying par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또한, 링부재는 2개 또는 3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ring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with two or three.

또한, 전면커버 및 후면커버로 이루어진 케이스; 내지의 타공에 삽입되어 내지를 고정하고 일측이 개폐가능한 링형상의 고리부, 고리부 하단에 형성되어 케이스에 고정되도록 구비된 판형상의 블록체 및 블록체의 외주면에 대칭되게 형성된 볼 스토퍼로 이루어지는 링부재; 및 전면커버 및 후면커버의 내면 경계를 따라 구비되고, 링부재가 삽입가능하고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으로 복수 개가 형성된 결합홈 및 결합홈의 내주면에 볼 스토퍼에 대응하여 형성된 내측홈으로 이루어지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ase consisting of a front cover and a rear cover; Ring consisting of a ring-shaped ring portion inserted into the perforations of the to secure the to and openable on one side, a plate-shaped block body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ring portion and fixed to the case and a ball stopper symmetrically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lock body. absence; And a frame provided along the inner boundary of the front cover and the rear cover, the ring member being insertable and having a plurality of coupling grooves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nner groove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upling groove corresponding to the ball stopp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또한, 블록체의 상면 일측에 고리부가 수직상태 또는 수평상태로 회동할 수 있게 회동홈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rotating groove is furthe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lock body to be rotated in a vertical state or a horizontal state.

또한, 링부재는 2개 또는 3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ring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with two or three.

또한, 전면커버 및 후면커버 내면 일측에 링부재를 수납할 수 있는 수용홈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inner side of the front cover and the rear cov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ceiving groove for accommodating the ring member is further provide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프레임에 결합된 링부재를 프레임으로부터 탈착 가능하게 형성하여 2공, 3공 또는 그 이상 타공된 다양한 내지를 사용할 수 있게 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ing member coupled to the frame is detachably formed from the frame to enable the use of a variety of holes punched in two holes, three holes, or more, so as to facilitate the user's convenience.

또한, 링부제를 수납할 수 있는 수용홈을 구비함으로써 제거된 링부재의 분실을 방지하고 타공된 내지에 따라 선택적으로 링부재를 용이하게 탈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providing an accommodating groove for accommodating the ring subsidiary,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the loss of the removed ring member and selectively detaching the ring member according to the perforated.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이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바인더의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링부재의 종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바인더의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링부재의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링부재의 종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variable bind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ring memb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 modific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variable bind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ring memb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ring memb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 modifica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바인더의 구성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configuration of the variable bind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 1 실시예)(Embodiment 1)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바인더의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링부재의 종단면도이고, 도 3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variable bind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ring memb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modified exampl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erspective view.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바인더는 대략 케이스(100), 링부재(200) 및 프레임(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As shown in Figure 1 and 2, the variable bin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pproximately a case 100, a ring member 200 and the frame 300.

케이스(100)는 내지를 오염 또는 훼손으로부터 안전하게 수용하는 구성요소로, 전면커버(110)와 후면커버(120)로 이루어진다. 전면커버(110)는 외면에 서류의 제목을 기재할 수 있는 표찰 등이 위치하는 곳으로, 일반적으로 후면커버(120)와 프레임(300)을 중심으로 대칭되게 형성한다.The case 100 is a component for safely receiving the contamination from or damage to the front cover 110 and the rear cover 120 is composed of. The front cover 110 is a place where a label or the like, which can describe the title of the document,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and is generally symmetrically formed around the rear cover 120 and the frame 300.

링부재(200)는 타공된 내지가 고정되고 프레임(300)과 결합하는 구성요소로, 프레임(300)과 탈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대략 고리부(210), 삽입부(220) 및 탄성부(230)로 이루어진다. Ring member 200 is a component that is fixed to the perforated to and coupled with the frame 300, characterized in that the removable frame 300, the ring portion 210, the insertion portion 220 and the elastic portion 230.

고리부(210)는 내지의 타공에 관통하여 내지를 고정할 수 있는 것으로, 일측이 개폐가능하고 타공된 내지를 용이하게 끼울 수 있는 링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때, 고리부(210)의 개폐방식은 다양한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다만, 도 2 처럼 링형상의 일측에 소정범위 내에서 회전가능한 개폐축(212)을 구비하고, 개폐 일단에 개폐삽입홈(214a)이 있고 타단에 개폐돌기(214b)가 있도록 형성하여 이들 접촉면에서 마찰력이 작용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The ring portion 210 may penetrate through the perforations of the to, and may be formed in a ring shape in which one side is openable and easily inserts the perforated to. At this time, the opening and closing method of the ring portion 210 may be used in various ways. However, as shown in FIG. 2, the opening and closing shaft 212 rotatable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ring shape, and the opening and closing groove 214a is formed at one end of the ring, and the opening and closing protrusion 214b is formed at the other end thereof. The friction force can be formed.

이렇게 개폐삽입홈(214a)과 개폐돌기(214b)로 이루어진 개페부(214)는 내지를 용이하게 끼울 수 있는 위치라면 어디라도 무방하다. 다만, 수평에 가깝게 비스듬하게 놓인 내지의 타공이 용이하게 수직방향에서 개폐돌기(214b)에 관통될 수 있는 위치가 바람직하다. 그리고 고리부(210)의 하측은 개방된 형태로 양단이 돌출된 형태로 형성한다.The opening part 214 made of the opening / closing insertion groove 214a and the opening / closing protrusion 214b may be anywhere as long as it can be easily fitted. Howe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perforation of the slant placed close to the horizontal can easily penetrate the opening / closing protrusion 214b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lower side of the ring portion 210 is formed in a form in which both ends protrude in an open form.

삽입부(220)는 고리부(210)가 프레임(300)에 고정되도록 구비된 것으로, 고리부(210) 하측 양단과 연결되고, 형상은 프레임(300)의 관통공(310)에 삽입될 수 있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무방하다. 다만, 도 2 처럼 바인더 사용의 편의성을 위해 종단면이 납작한 프레임(300)에 대응한 형성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삽입부(220)의 외곽이 관통공(310)의 내측면과 접하도록 하여 링부재(200)가 확고히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Insertion portion 220 is provided with a ring portion 210 is fixed to the frame 300, i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ring portion 210, the shape may be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310 of the frame 300. Any shape may be used. However, as shown in FIG. 2, it is preferable to form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rame 300 having a flat end surface for convenience of using a binder. In addition, the outer portion of the insertion portion 220 may be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through hole 310 so that the ring member 200 is firmly fixed.

탄성부(230)는 이하에서 설명할 고정홈(330)에 링부재(200)의 고리부(210) 하단이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링부재(20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삽입부(220)의 양측 종단 사이에 구비된다. 이러한 탄성부(230)는 중심영역이 오목하게 형성되어 횡압력이 작용할 경우(도 2의 점선부분) 오목한 부분이 상승변형됨으로써 탄성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무방하다. 다만, 안정적인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해 얇은 판형상을 오목하게 형성한 판스프링이 바람직하다. 한편, 고리부(210) 및 삽입부(220)는 횡압력에 대하여 다소간의 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The elastic portion 230 is to provide an elastic force to the ring member 200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ring portion 210 of the ring member 200 is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330 to be described below, the insertion portion 220 It is provided between both ends of the. The elastic portion 230 may have any shape as long as the central region is formed concave so that the lateral pressure acts (dashed line portion in FIG. 2) so that the concave portion may be elastically deformed by rising deformation. However, in order to provide stable elastic force, a leaf spring in which a thin plate shape is concave is preferable. On the other hand, the ring portion 210 and the insertion portion 220 is preferably formed of a material that can be somewhat modified with respect to the lateral pressure.

프레임(300)은 케이스(100)와 링부재(200)를 연결하는 구성요소로, 전면커버 및 후면커버의 내면 경계를 따라 길게 형성된다. 이러한 프레임(300)은 대략 관통공(310), 이송부(320) 및 고정홈(330)으로 이루어진다. Frame 300 is a component that connects the case 100 and the ring member 200, it is formed long along the inner boundary of the front cover and the rear cover. The frame 300 consists of a through hole 310, a transfer part 320, and a fixing groove 330.

관통공(310)은 삽입부(220)의 외곽이 관통공(310)의 내측면과 접하도록 하여 링부재(200)가 확고히 고정되도록 하는 것으로, 프레임(300)의 일단에서 삽입부(220)가 삽입가능하도록 프레임(3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The through hole 310 is such that the outer portion of the insertion portion 220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through hole 310 so that the ring member 200 is firmly fixed, and the insertion portion 220 at one end of the frame 300. I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ame 300 to be insertable.

이송부(320)는 링부재(200)가 관통공(300)에 삽입되어 프레임(3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할 수 있는 통로역할을 하는 것으로, 프레임(3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프레임(300)의 상면에 관통공(310)과 연결되게 형성한다. 이러한 이송부(320)의 폭은 횡압력이 작용되어 변형된 링부재(200)의 고리부(210) 하단이 이송부(320)를 따라 기동할 수 있을 정도면 충분하다.The transfer part 320 serves a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ring member 200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300 to reciprocat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ame 300, and the frame 30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ame 300. It is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through hole 310 on the upper surface. The width of the conveying part 320 is sufficient enough that the lower end of the ring portion 210 of the deformed ring member 200 can be started along the conveying part 320 by the lateral pressure applied.

고정홈(330)은 링부재(200)가 프레임(300)에 결착되게 하는 것으로, 이송부(320)와 직각방향으로 형성하되 소정간격으로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고정홈(330)은 이송부(320)와 직각방향을 이루며 일정한 간격으로 5개를 형성하였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프레임(300)과 이송부(320)의 기능을 훼손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수십 개의 고정홈(330)을 형성할 수 있다. The fixing groove 330 is to allow the ring member 200 to be bound to the frame 300, and may be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transfer part 320, but a plurality of fixing grooves 330 may b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The fixing grooves 330 shown in FIG. 1 form five at regular intervals at right angles to the conveying part 320, but, as necessary, within the limits of not impairing the functions of the frame 300 and the conveying part 320. In the dozens of fixing grooves 330 can be formed.

이러한 고정홈(330)의 폭은 고리부(210) 하단의 굵기에 대응하여 고리부(210)가 가동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한다. 그리고 고정홈(330)의 길이는 고리부(210) 하단이 고정홈(330)에 삽입되어 결착된 상태에서도 적당한 탄성력이 작용할 수 있는 길이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The width of the fixing groove 330 is formed to a size that the ring portion 210 can move in response to the thickness of the lower end of the ring portion (210). And the length of the fixing groove 330 is preferably formed to a length that the appropriate elastic force can act even in the state in which the lower end of the ring portion 210 is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330.

도 1 은 3공이 형성된 내지를 위해 3개의 링부재(200)를 프레임(300)에 결착한 상태를 보이고 있다. 그리고 도 3 은 2공이 형성된 내지를 위해 2개의 링부재(200)를 결착한 상태를 보이고 있다. 이렇게 링부재(200)를 탈착 가능하게 형성함으로써 시판중인 복수 개의 타공이 형성된 다양한 내지에 대하여 탄력적으로 적용하여 서류를 철할 수 있다. 또한, 여분의 링부재(200)를 전면커버(110) 및 후면커버(120) 내면 일측에 수납할 수 있도록 수용홈(130)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수용홈(130)은 필요에 따라 복수 개로 형성가능하다.
1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ree ring members 200 are bound to the frame 300 for three holes formed therein. 3 shows a state in which two ring members 200 are bound for two holes. Thus, by forming the detachable ring member 200 can be flexibly applied to a variety of to form a plurality of perforations on the market by forming a commercially available. In addition, the receiving groove 130 may be formed to accommodate the extra ring member 200 on one sid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front cover 110 and the rear cover 120. The receiving groove 130 may be formed in plural as necessary.

(제 2 실시예)(Second Embodiment)

도 4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바인더의 사시도이고, 도 5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링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6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링부재의 종단면도이고, 도 7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사시도이다.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variable bind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ring memb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ring memb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 modifica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 2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100)는 제 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 생략한다.The case 1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s the same as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Therefore, it is omitted below.

제 2 실시예에 따른 링부재(200)는 타공된 내지가 고정되고 프레임(300)과 결합하는 구성요소로, 프레임(300)과 탈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링부재(200)는 대략 고리부(210), 블록체(240) 및 볼 스토퍼(250)로 이루어진다.The ring member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s a component that is perforated and fixed to the frame 300, and is detachable from the frame 300. The ring member 200 is composed of approximately the ring portion 210, the block body 240 and the ball stopper 250.

고리부(210)는 내지의 타공에 관통하여 내지를 고정할 수 있는 것으로, 일측이 개폐가능하고 타공된 내지를 용이하게 끼울 수 있는 링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때, 고리부(210)의 개폐방식은 다양한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다만, 도 5 및 도 6 처럼 고리부(210) 일측에 개폐부(214)를 구비하고, 고리부(210)를 제 1 반고리(216a) 및 제 2 반고리(216b)로 분할한 후 제 1 반고리(216a) 및 제 2 반고리(216b)가 각각 수직상태 또는 수평상태로 회동가능하게 회동홈(242)을 형성하여 고리부(210)를 개폐할 수 있다. The ring portion 210 may penetrate through the perforations of the to, and may be formed in a ring shape in which one side is openable and easily inserts the perforated to. At this time, the opening and closing method of the ring portion 210 may be used in various ways. However, as shown in FIGS. 5 and 6, the opening part 214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ring part 210, and the ring part 210 is divided into a first half ring 216a and a second half ring 216b and then the first half ring ( 216a and the second half ring 216b may rotate to open and close the ring portion 210 by forming the rotation groove 242 so as to be rotatable in a vertical state or a horizontal state, respectively.

이러한 제 1 반고리(216a), 제 2 반고리(216b)로 이루어진 고리부(210) 하측은 개방된 형태로 양단은 판스프링(218)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판스프링(218)은 제 1 반고리(216a)와 제 2 반고리(216b)가 서로 맞닿은 상태에 있는 경우 휘어짐으로 인한 탄성력을 제공하여 개페부(214)가 쉽게 개방되지 않도록 한다. The lower end of the ring portion 210 formed of the first half ring 216a and the second half ring 216b is connected to the leaf spring 218 in an open form. Here, the leaf spring 218 provides an elastic force due to bending when the first half ring 216a and the second half ring 216b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at the opening part 214 is not easily opened.

또한, 도 5 의 점선부분처럼 제 1 반고리(216a)만이 수평상태에 놓인 경우 뒤틀림으로 인한 탄성력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회동홈(242)의 형상은 제 1 반고리(216a)와 제 2 반고리(216b)가 서로 맞닿은 상태뿐 아니라 맞닿지 않는 상태일 때에도 안정적으로 수직 또는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한다. 이로 인해 제 1 반고리(216a) 또는 제 2 반고리(216b) 중 어느 하나를 수평상태로 한 후 내지의 타공을 수직상태의 반고리에 용이하게 끼울 수 있다. In addition, when only the first half ring 216a is placed in the horizontal state as shown by the dotted line of FIG. 5, it provides an elastic force due to distortion. On the other hand, the shape of the rotation groove 242 is formed in a shape capable of stably maintaining the vertical or horizontal state even when the first half ring 216a and the second half ring 216b are not in contact with each other but also in a non-contact state. For this reason, after making any one of the 1st half-ring 216a or the 2nd half-ring 216b into a horizontal state, the perforation to can be easily inserted in the vertical half-ring.

개폐부(214)의 위치는 내지를 용이하게 끼울 수 있는 위치라면 어디라도 무방하다. 다만, 수평에 가깝게 비스듬하게 놓인 내지의 타공이 용이하게 수직방향에서 제 1 반고리(216a) 또는 제 2 반고리(216b)에 관통될 수 있는 위치가 바람직하다.The position of the opening / closing part 214 may be anywhere as long as it can be easily fitted. Howe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perforations of the slant placed close to the horizontal can easily penetrate the first half ring 216a or the second half ring 216b in the vertical direction.

블록체(240)는 고리부(210)를 지지함과 동시에 고리부(210)가 프레임(300)에 고정되도록 구비된 것으로, 고리부(210) 하단에 판형상으로 형성한다. 이러한 블록체(240)는 앞서 살핀 바와 같이, 고리부(210)가 수직상태 또는 수평상태로 회동할 수 있도록 회동홈(242)을 구비할 수 있다.The block body 240 is provided to support the ring portion 210 and at the same time the ring portion 210 is fixed to the frame 300, and is formed in a plate shape at the bottom of the ring portion 210. As described above, the block body 240 may include a rotation groove 242 such that the ring portion 210 may rotate in a vertical state or a horizontal state.

볼 스토퍼(250)는 블록체(240)가 프레임(30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결합방식으로, 블록체(240)의 외주면 일측에 형성한다. 이때, 볼 스토퍼(250)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다만, 블록체(240) 외주면에 대칭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볼 스토퍼(250)는 공지의 결합부재로 그 사용태양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ball stopper 250 is a coupling method for providing an elastic force so that the block body 240 can be firmly fixed to the frame 300, and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lock body 240. At this time, the number of ball stoppers 250 can be changed as necessary. However, it is preferable to form the block body 240 symmetrically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ball stopper 250 is a known coupling member and its usage is as shown in FIG. 6,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프레임(300)은 케이스(100)와 링부재(200)를 연결하는 구성요소로, 전면커버 및 후면커버의 내면 경계를 따라 길게 형성된다. 이러한 프레임(300)은 대략 결합홈(340) 및 내측홈(350)으로 이루어진다.Frame 300 is a component that connects the case 100 and the ring member 200, it is formed long along the inner boundary of the front cover and the rear cover. The frame 300 is composed of approximately the coupling groove 340 and the inner groove 350.

결합홈(340)은 링부재(200)가 프레임(300)에 결착되게 하는 것으로, 링부재(200)의 블록체(240)가 삽입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한다. 이러한 결합홈(340)은 프레임(3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으로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도 4 에 도시된 결합홈(340)은 일정한 간격으로 3개를 형성하였으나, 필요에 따라서 프레임(300)의 길이 및 블록체(240)의 크기를 고려하여 적정한 수의 결합홈(340)을 형성할 수 있다.The coupling groove 340 is to allow the ring member 200 to be bound to the frame 300, and is formed in a shape in which the block body 240 of the ring member 200 can be inserted. The coupling groove 340 may be formed in plural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ame 300. Four coupling grooves 340 shown in FIG. 4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but if necessary, an appropriate number of coupling grooves 340 are formed in consideration of the length of the frame 300 and the size of the block body 240. can do.

내측홈(350)은 블록체(240)에 구비된 볼 스토퍼(250)에 대응하여 블록체(240)와 프레임(300)의 결합력을 증대시키는 것으로, 결합홈(340)의 내주면에 볼 스토퍼(250)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이로 인해 링부재(200)는 프레임(300)으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는다. The inner groove 350 is to increase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block body 240 and the frame 300 in response to the ball stopper 250 provided in the block body 240, the ball stopper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upling groove 340 ( 250). As a result, the ring member 200 is not easily separated from the frame 300.

도 4 는 3공이 형성된 내지를 위해 3개의 링부재(200)를 프레임(300)에 결착한 상태를 보이고 있다. 그리고 도 7 은 2공이 형성된 내지를 위해 2개의 링부재(200)를 결착한 상태를 보이고 있다. 이렇게 링부재(200)를 탈착 가능하게 형성함으로써 시판중인 복수 개의 타공이 형성된 다양한 내지에 대하여 탄력적으로 적용하여 서류를 철할 수 있다. 또한, 여분의 링부재(200)를 전면커버(110) 및 후면커버(120) 내면 일측에 수납할 수 있도록 수용홈(130)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수용홈(130)은 필요에 따라 복수 개로 형성가능하다. 제 2 실시예에서 여분의 링부재(200)는 고리부(210)를 수평방향으로 회동시킨 후 수납할 수 있다.
4 shows a state in which three ring members 200 are bound to the frame 300 for three holes formed therein. And Figure 7 shows a state in which the two ring member 200 is bound for the two holes are formed. Thus, by forming the detachable ring member 200 can be flexibly applied to a variety of to form a plurality of perforations on the market by forming a commercially available. In addition, the receiving groove 130 may be formed to accommodate the extra ring member 200 on one sid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front cover 110 and the rear cover 120. The receiving groove 130 may be formed in plural as necessary.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extra ring member 200 may be accommodated after rotating the ring portion 21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1: 가변형 바인더
100: 케이스 110: 전면커버
120: 후면커버 130: 수용홈
200: 링부재 210: 고리부
212: 개폐축 214: 개폐부
214a: 개폐삽입홈 214b: 개폐돌기
216a: 제 1 반고리 216b: 제 2 반고리
218: 판스프링 220: 삽입부
230: 탄성부 240: 블록체
242: 회동홈 250: 볼 스토퍼
300: 프레임 310: 관통공
320: 이송부 330: 고정홈
340: 결합홈 350: 내측홈
1: variable binder
100: case 110: front cover
120: rear cover 130: receiving groove
200: ring member 210: ring portion
212: opening and closing shaft 214: opening and closing portion
214a: opening and closing groove 214b: opening and closing protrusion
216a: first half ring 216b: second half ring
218: leaf spring 220: insertion portion
230: elastic portion 240: block body
242: pivoting groove 250: ball stopper
300: frame 310: through hole
320: transfer unit 330: fixed groove
340: coupling groove 350: inner groove

Claims (6)

전면커버 및 후면커버로 이루어진 케이스;
내지의 타공에 삽입되어 상기 내지를 고정하고 일측이 개폐가능한 링형상의 고리부, 상기 고리부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도록 구비된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와 연결되고 중심영역이 오목하게 형성되며 횡압력이 작용할 경우 오목한 부분이 상승변형되어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탄성부로 이루어지는 링부재; 및
상기 전면커버 및 후면커버의 내면 경계를 따라 구비되고, 일단에서 상기 삽입부가 삽입가능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관통공, 상기 링부재가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어 길이방향으로 왕복가능 하도록 형성된 이송부 및 상기 링부재가 고정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이송부에 소정간격으로 복수 개가 형성된 고정홈으로 이루어지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바인더.
A case consisting of a front cover and a rear cover;
Ring-shaped ring portion which is inserted into the other hole of the to secure the to and openable on one side thereof,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ring portion and is connected to the insertion portion and the insertion portion provided to be fixed to the case, and the center region is formed to be concave. A ring member formed of an elastic portion in which the concave portion is deformed to generate an elastic force when the lateral pressure is applied; And
It is provided along the inner boundary of the front cover and the rear cover, the through hol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insertion portion is insertable at one end, the conveying portion formed so that the ring member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and reciproc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And a frame having a ring member fixed thereto and having a plurality of fixing grooves formed in a plurality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conveying part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링부재는 2개 또는 3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바인더.
The method of claim 1,
Variable ring binder,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with two or three ring members.
전면커버 및 후면커버로 이루어진 케이스;
내지의 타공에 삽입되어 상기 내지를 고정하고 일측이 개폐가능한 링형상의 고리부, 상기 고리부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도록 구비된 판형상의 블록체 및 상기 블록체의 외주면에 대칭되게 형성된 볼 스토퍼로 이루어지는 링부재; 및
상기 전면커버 및 후면커버의 내면 경계를 따라 구비되고, 상기 링부재가 삽입가능하고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으로 복수 개가 형성된 결합홈 및 상기 결합홈의 내주면에 상기 볼 스토퍼에 대응하여 형성된 내측홈으로 이루어지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능한 가변형 바인더.
A case consisting of a front cover and a rear cover;
A ring-shaped ring portion inserted into the other hole of the to fix the to and open at one side thereof, a plate-shaped block body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ring portion and fixed to the case and a ball formed symmetrically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lock body A ring member made of a stopper; And
It is provided along the inner boundaries of the front cover and the rear cover, the ring member is inserted into the groove formed in the plurality of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inner groove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upling groove corresponding to the ball stopper Possible variable binder comprising a frame made of.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체의 상면 일측에 상기 고리부가 수직상태 또는 수평상태로 회동할 수 있게 회동홈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바인더.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A variable binder, characterized in that the rotating groove is furthe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lock body to rotate the ring portion in a vertical state or a horizontal stat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링부재는 2개 또는 3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바인더.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Variable ring binder,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with two or three ring members.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커버 및 후면커버 내면 일측에 상기 링부재를 수납할 수 있는 수용홈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바인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3,
A variable binder, characterized in that the receiving groove for accommodating the ring member on one sid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front cover and the rear cover is further provided.
KR1020110094228A 2011-09-19 2011-09-19 Variable binder KR2013003063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4228A KR20130030630A (en) 2011-09-19 2011-09-19 Variable bind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4228A KR20130030630A (en) 2011-09-19 2011-09-19 Variable bind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0630A true KR20130030630A (en) 2013-03-27

Family

ID=48180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4228A KR20130030630A (en) 2011-09-19 2011-09-19 Variable bind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30630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8756A (en) 2015-04-29 2016-11-08 이택동 Ring Binder Having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of Slide Typ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8756A (en) 2015-04-29 2016-11-08 이택동 Ring Binder Having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of Slide Typ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26453A1 (en) Back plate for ring binder, and file cover
US20130084122A1 (en) Binder ring
KR20130030630A (en) Variable binder
US5839843A (en) Combination book and holepunch assembly
US9844971B2 (en) Paper binding fasteners
JP2006198726A (en) Punch with gage
KR20200039546A (en) A Binder with atachable clips
KR101711569B1 (en) Ring Binder Having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of Slide Type
US20120039664A1 (en) Binder having structure for punching document
JP2007218429A (en) Spring clip
KR200372871Y1 (en) clear file for keeping documents
KR200388594Y1 (en) A stapler with an edge clip dispenser
JP5998711B2 (en) Binding tools and files
KR101514260B1 (en) Clear file
GB2252938A (en) Loose leaf rivetted binding
KR200402208Y1 (en) Book for easy grasp
JP3078340U (en) Simple binder type file
KR200296343Y1 (en) File
KR200273391Y1 (en) A filing which has a holder of a compact-disc
JP3058320U (en) Notebook with portable calculator
JPH09156275A (en) Binding device for refill sheet
JP2019034494A (en) Cover body
KR200483379Y1 (en) Binder
JP3421919B2 (en) File
JP3110398U (en) Loose leaf bin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