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9746A - Optical sheet for 3d glasses and 3d glasses - Google Patents

Optical sheet for 3d glasses and 3d glass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9746A
KR20130029746A KR1020120102046A KR20120102046A KR20130029746A KR 20130029746 A KR20130029746 A KR 20130029746A KR 1020120102046 A KR1020120102046 A KR 1020120102046A KR 20120102046 A KR20120102046 A KR 20120102046A KR 20130029746 A KR20130029746 A KR 201300297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es
optical sheet
eye lens
film
base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204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요시토 니시노
Original Assignee
케이와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와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케이와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300297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974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2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 G02B30/25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using polarisation techniqu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22Ophthalmic lenses having special refractive features achieved by special materials or material struc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12Polaris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13/00Details of stereoscopic systems
    • H04N2213/008Aspects relating to glasses for viewing stereoscopic imag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PURPOSE: An optical sheet for the 3D eyeglasses and the 3D eyeglasses are provided to obtain a desired double refractivity and the durability even if it forms a curved shape. CONSTITUTION: An optical sheet(1) for 3D eyeglasses comprises a base film(2), a phase difference film(3), and a polarizing plate(4). The phase difference film is laminated on a backside of the base film and has a double refractivity in the planar direction. The polarizing plate is laminated on the backside of the phase difference film. The main component of the phase difference film is a cycloolefin copolymer or a cycloolefin polymer.

Description

3D 안경용 광학 시트 및 3D 안경{OPTICAL SHEET FOR 3D GLASSES AND 3D GLASSES}Optical sheet and 3D glasses for 3D glasses {OPTICAL SHEET FOR 3D GLASSES AND 3D GLASSES}

본 발명은 3D 안경용 광학 시트 및 이것을 사용한 3D 안경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ptical sheet for 3D glasses and 3D glasses using the same.

3D 안경은 3D(3차원) 입체 화상 표시 장치로부터 출사된 영상광을 시인할 때에 시인자가 장착하여 사용되고 있다. 이 3D 입체 화상 표시 장치는 시차를 가지는 우안용 영상 광선과 좌안용 영상 광선을 출사하고, 우안용 렌즈와 좌안용 렌즈로 광학 성능이 상이한 3D 안경을 통과하여 시인자가 시인함으로써, 이 시인자가 3D 입체 화상을 인식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예를 들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1-48236호 참조).The 3D glasses are used by attaching a viewer when viewing the video light emitted from the 3D (three-dimensional)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The 3D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emits a parallax right eye image beam and a left eye image beam, and the viewer visualizes through 3D glasses having different optical performances with the right eye lens and the left eye lens. It is comprised so that an image can be recognized (for example, refer Unexamined-Japanese-Patent No. 2011-48236).

구체적으로는 3D 입체 화상 표시 장치로부터 출사되는 우안용 영상 광선과 좌안용 영상 광선은 회전 방향이 상이한 원편광으로서 출사되고 있다. 그리고, 3D 안경은 3D 입체 화상 표시 장치측에 1/4 파장판을 가지고 있다. 이 1/4 파장판에 의해 원편광인 우안용 영상 광선과 좌안용 영상 광선이 직선편광으로 변환되어 투과한다. 여기서, 우안용 영상 광선과 좌안용 영상 광선은 회전 방향이 상이한 원편광이기 때문에, 1/4 파장판의 진상축에 대해 우회전의 영상 광선이 우회전측으로 45°, 좌회전의 영상 광선이 좌회전측으로 45° 경사진 방향의 직선편광으로 변환된다.Specifically, the right eye video ray and the left eye video light emitted from the 3D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are emitted as circularly polarized light having different rotation directions. The 3D glasses have a quarter wave plate on the 3D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side. The quarter wave plate converts the right eye video light and the left eye video light into linearly polarized light and transmits the light. Here, since the right eye video light beam and the left eye video light beam are circular polarized light having different rotation directions, the video light of the right rotation is 45 ° to the right side and the video light of the left rotation is 45 ° to the left side with respect to the fast axis of the quarter wave plate. It is converted into linearly polarized light in an oblique direction.

또, 3D 안경은 시인자측에 편광판을 가지고 있다. 이 편광판은 각 렌즈에 있어서, 1/4 파장판의 진상축 방향에 대해 투과축 방향이 일방의 렌즈에서는 일방향(예를 들면 우회전 방향)으로 경사지고, 타방의 렌즈에서는 타방향(좌회전 방향)으로 경사져서 배열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이 1/4 파장판에서 직선편광으로 변환된 직선편광 중, 일방의 렌즈에서는 좌회전의 영상 광선이 변환된 직선편광은 통과하지 않고 우회전의 영상 광선이 변환된 직선편광만이 통과한다. 한편, 타방의 렌즈에서는 우회전의 영상 광선이 변환된 직선편광은 통과하지 않고 좌회전의 영상 광선이 변환된 직선편광만이 통과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시인자는 우안으로 우안용 영상 광선에 기초하는 영상을 시인하고, 좌안으로 좌안용 영상 광선에 기초하는 영상을 시인할 수 있어, 그 결과 3D 입체 화상을 인식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3D glasses have a polarizing plate on the viewer side. In each lens, the polarizing plate is inclined in one direction (e.g., right rotational direction) in one lens and in the other direction (left rotational direction) in the other lens with respect to the fast axis direction of the quarter wave plate. It is arranged inclined. Therefore, of the linearly polarized light converted from the quarter wave plate to linearly polarized light as described above, in one lens, only the linearly polarized light in which the video light in the right rotation is converted does not pass through the linearly polarized light in which the left light is converted. To pass. On the other hand, in the other lens, the linearly polarized light in which the video light in the right rotation is converted does not pass, but only the linearly polarized light in which the video light in the left rotation is converted. Thereby, the viewer can visually recognize an image based on the right eye image light beam with his right eye, and can recognize a video based on the left eye video light beam with his left eye, and as a result can recognize a 3D stereoscopic image.

이러한 3D 안경의 렌즈에 사용되는 1/4 파장판으로서는 폴리카보네이트를 주성분으로 하여 시트체를 형성하고, 이 시트체를 연신시킨 광학 시트를 사용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As a quarter wave plate used for the lens of such 3D glasses, it is known to use an optical sheet in which a sheet body is formed with polycarbonate as a main component and the sheet body is stretched.

그러나, 폴리카보네이트로 이루어지는 시트체에 있어서는, 열성형하거나 하면 복굴절율이 바뀌어버리기 때문에, 이 광학 시트를 사용한 3D 안경의 렌즈는 평면적인 형상이 될 수 밖에 없다. 즉, 디자인성 등을 고려하여 3D 안경의 렌즈에 예를 들면 3차원적인 곡면을 갖게 하면, 이 곡면 형상의 형성시에 렌즈의 위상차 필름의 복굴절율이 변화되어 버려, 그 결과 원하는 영상 광선이 렌즈를 투과할 수 없어, 3D 입체 화상을 시인자가 인식할 수 없게 된다는 문제가 생긴다.However, in a sheet body made of polycarbonate, the birefringence is changed when the thermoforming is performed. Therefore, the lens of the 3D glasses using the optical sheet has a planar shape. In other words, if the lens of the 3D glasses has a three-dimensional curved surface in consideration of design and the like, for example, the birefringence of the phase difference film of the lens is changed at the time of forming the curved shape, and as a result, the desired video ray is the lens.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impossible to transmit the 3D stereoscopic image, so that the viewer cannot recognize the 3D stereoscopic image.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1-48236호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11-48236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본 발명자들은 곡면 형상 등의 형상으로 형성해도 원하는 복굴절성을 얻기 위해, 시클로올레핀 코폴리머 또는 시클로올레핀 폴리머를 주성분으로 하는 안경용 위상차 필름을 사용한 3D 안경용 광학 시트를 발안했다(일본 특허출원 2011-88695호).In view of these circumstances,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devised an optical sheet for 3D glasses using a retardation film for eyeglasses containing a cycloolefin copolymer or a cycloolefin polymer as a main component in order to obtain desired birefringence even when formed into a curved shape or the like (Japan Patent application 2011-88695).

일본 특허출원 2011-88695호에 따른 3D 안경용 광학 시트는 위상차 필름의 주성분이 시클로올레핀 코폴리머 또는 시클로올레핀 폴리머이기 때문에, 열이나 응력을 부가해도 복굴절성의 변화가 생기기 어렵다. 그 때문에, 이러한 3D 안경용 광학 시트는 곡면 형상으로 형성해도 원하는 복굴절성을 가진 것으로 할 수 있고, 렌즈에 원하는 광선을 투과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하여, 이 일본 특허출원 2011-88695호에 따른 3D 안경용 광학 시트에 있어서는, 시트 두께가 얇으면 내구성이 떨어져 버리고, 또 시트 두께를 두껍게 하기 위해 위상차 필름을 두껍게 하면 리타데이션의 조정이 곤란하게 된다.In the optical sheet for 3D glasses according to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2011-88695, since the main component of the retardation film is a cycloolefin copolymer or a cycloolefin polymer, birefringence changes hardly occur even if heat or stress is added. Therefore, even if it forms in a curved shape, such an optical sheet for 3D glasses can be made to have desired birefringence, and can transmit a desired light ray to a lens. Thus, in the optical sheet for 3D glasses according to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2011-88695, if the sheet thickness is thin, the durability is inferior, and if the retardation film is thickened to increase the sheet thickness, it becomes difficult to adjust the retardation.

그래서, 본 발명은 곡면 형상으로 형성해도 원하는 복굴절성이 얻어짐과 아울러, 높은 내구성을 가지는 3D 안경용 광학 시트 및 이것을 사용한 3D 안경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ptical sheet for 3D glasses having a high durability and 3D glasses using the same, while obtaining desired birefringence even when formed into a curved shape.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발명은,The inventio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기재 필름과,Base film,

이 기재 필름의 이면측에 적층되고, 평면 방향으로 복굴절성을 가지는 위상차 필름과,Retardation film laminated | stacked on the back surface side of this base film, and having birefringence in a planar direction,

이 위상차 필름의 이면측에 적층되는 편광판을 구비하고,The polarizing plate laminated | stacked on the back surface side of this retardation film is provided,

상기 위상차 필름이 주성분으로서 시클로올레핀 코폴리머 또는 시클로올레핀 폴리머를 포함하고,The retardation film comprises a cycloolefin copolymer or a cycloolefin polymer as a main component,

상기 기재 필름의 두께가 300μm 이상 2000μm 이하인 3D 안경용 광학 시트이다.It is an optical sheet for 3D glasses whose thickness of the said base film is 300 micrometers or more and 2000 micrometers or less.

당해 3D 안경용 광학 시트는 위상차 필름의 주성분으로서 시클로올레핀 코폴리머 또는 시클로올레핀 폴리머가 사용되고 있다. 그 때문에 이 위상차 필름은 곡면 형상 등을 형성하기 위해서 열성형을 행하는 등, 열이나 응력을 부가해도 복굴절성의 변화가 생기기 어렵다. 즉, 시클로올레핀 코폴리머 또는 시클로올레핀 폴리머는 열이나 응력에 의한 위상차의 변화가 작으므로, 열성형시 등에도 복굴절성이 유지되기 쉽다. 이 때문에, 당해 3D 안경용 광학 시트는 원하는 복굴절성 및 원하는 곡면 형상을 가지는 3D 안경용 렌즈로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 당해 3D 안경용 광학 시트는 원하는 곡면 형상 등을 형성함으로써, 안경의 의장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당해 3D 안경용 광학 시트는 위상차 필름의 표면측에 기재 필름이 적층되고, 이 기재 필름의 두께가 상기 범위로 되어 있으므로, 이 기재 필름에 의해 위상차 필름에 대한 상처 형성을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당해 3D 안경용 광학 시트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cycloolefin copolymer or cycloolefin polymer is used as the main component of the retardation film in the said optical sheet for 3D glasses. Therefore, this retardation film hardly produces a birefringence change even if heat or stress is added, such as thermoforming to form a curved shape or the like. That is, since the cycloolefin copolymer or the cycloolefin polymer has a small change in retardation caused by heat or stress, birefringence is likely to be maintained even during thermoforming. For this reason, the said optical sheet for 3D glasses can be used suitably as a lens for 3D glasses which has desired birefringence and a desired curved shape. The optical sheet for 3D glasses can improve the design of the glasses by forming a desired curved shape or the like. Moreover, since the base film is laminated | stacked on the surface side of the retardation film, and the thickness of this base film is the said range, the said 3D glasses optical sheet can prevent the wound formation with respect to retardation film by this base film, The durability of the optical sheet for 3D glasses can be improved.

당해 3D 안경용 광학 시트는 상기 기재 필름의 주성분의 광탄성계수의 절대값이 10×10-12Pa-1 이하이면 된다. 이것에 의해, 기재 필름의 열이나 응력에 의한 위상차의 변화를 저감할 수 있고, 곡면 형상으로 형성해도 원하는 복굴절성을 얻을 수 있다.The absolute value of the photoelastic coefficient of the main component of the said base film should just be 10x10 <-12> Pa <-1> or less of the said optical sheet for 3D glasses. Thereby, the change of the phase difference by the heat and stress of a base film can be reduced, and even if it forms in a curved shape, desired birefringence can be obtained.

당해 3D 안경용 광학 시트는 상기 기재 필름의 주성분이 아크릴 수지이면 된다. 이것에 의해, 기재 필름의 열이나 응력에 의한 위상차의 변화를 거의 없앨 수 있고, 곡면 형상으로 형성해도 원하는 복굴절성을 얻을 수 있다. 또, 당해 3D 안경용 광학 시트는 상기 구성에 의하면, 기재 필름의 상처 형성 방지성, 내구성 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As for the said 3D glasses optical sheet, the main component of the said base film should just be acrylic resin. Thereby, the change of the phase difference by the heat and stress of a base film can be almost eliminated, and even if it forms in a curved shape, desired birefringence can be obtained. Moreover, according to the said structure, the said 3D glasses optical sheet can further improve the wound formation prevention property, durability, etc. of a base film.

당해 3D 안경용 광학 시트는 상기 기재 필름의 주성분이 시클로올레핀 코폴리머 또는 시클로올레핀 폴리머여도 된다. 이것에 의해, 기재 필름의 열이나 응력에 의한 위상차의 변화를 저감할 수 있고, 곡면 형상으로 형성해도 원하는 복굴절성을 얻을 수 있다.In the optical sheet for 3D glasses, a main component of the base film may be a cycloolefin copolymer or a cycloolefin polymer. Thereby, the change of the phase difference by the heat and stress of a base film can be reduced, and even if it forms in a curved shape, desired birefringence can be obtained.

당해 3D 안경용 광학 시트는 상기 기재 필름의 연필경도가 H 이상이면 된다. 이것에 의해, 기재 필름의 상처 형성 방지성을 향상시키고, 나아가서는 당해 3D 안경용 광학 시트의 취급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당해 3D 안경용 광학 시트는 기재 필름이 이러한 경도를 가짐으로써 내구성을 향상시켜, 적합하게 반복 사용할 수 있다.The pencil hardness of the said base film should just be H or more for the said 3D glasses optical sheet. Thereby, the wound formation prevention property of a base film can be improved, and also the ease of handling of the said optical sheet for 3D glasses can be improved. Moreover, since the said base film has such hardness, the said 3D eyeglasses optical sheet improves durability, and can be used repeatedly suitably.

당해 3D 안경용 광학 시트는 상기 기재 필름의 면방향 리타데이션값(Ro값)이 100nm 이하이면 된다. 이것에 의해, 위상차 필름의 광학적 기능을 저해할 우려를 방지하고, 원하는 복굴절 작용을 얻을 수 있다.The surface direction retardation value (Ro value) of the said base film should just be 100 nm or less in the said optical sheet for 3D glasses. Thereby, the possibility of inhibiting the optical function of a retardation film can be prevented, and a desired birefringence action can be obtained.

당해 3D 안경용 광학 시트는 두께가 350μm 이상 2100μm 이하이면 된다. 이것에 의해 내구성, 취급 용이성 등을 적합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The said optical sheet for 3D glasses should just be 350 micrometers or more and 2100 micrometers or less. Thereby, durability, ease of handling, etc. can be improved suitably.

당해 3D 안경용 광학 시트는 상기 편광판의 이면측에 보호 필름을 구비하면 된다. 이것에 의해 내구성, 취급 용이성 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The optical sheet for 3D glasses may be provided with a protective film on the back side of the polarizing plate. Thereby, durability, ease of handling, etc. can be improved further.

당해 3D 안경용 광학 시트는 상기 위상차 필름의 진상축 방향과 편광판의 투과축 방향이 약45°의 각도로 배열설치되어 있으면 된다. 이것에 의해, 상기 위상차 필름에 원편광이 입사되면 원편광이 직선편광으로 변환되어 위상차 필름을 투과한다. 이 투과한 직선편광의 편광 방향(진동 방향)은 원편광의 회전 방향 및 위상차 필름의 진상축 방향에 의해 결정된다. 구체적으로는 원편광이 광의 진행 방향으로부터 보아 우회전인 경우에는 투과한 직선편광의 편광 방향은 위상차 필름의 진상축 방향에 대해 광의 진행 방향으로부터 보아 우회전측으로 45° 경사진 방향이 된다. 한편, 원편광이 광의 진행 방향으로부터 보아 좌회전인 경우에는 투과한 직선편광의 편광 방향은 위상차 필름의 진상축 방향에 대해 광의 진행 방향으로부터 보아 좌회전측으로 45° 경사진 방향이 된다. 이 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이 진상축 방향과 투과축 방향이 약45°의 각도로 배열설치됨으로써, 편광판은 일방향의 회전 방향의 원편광이 변환된 직선편광(투과축 방향과 편광 방향이 일치한 직선편광)만을 투과하고, 타방향의 회전 방향의 원편광이 변환된 직선편광(투과축 방향에 대해 수직인 편광 방향이 되는 직선편광)을 투과하지 않게 된다. 이것에 의해,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3D 안경용 광학 시트는 3D 안경의 렌즈로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The optical sheet for 3D glasses may be arranged at an angle of about 45 ° between the fast axis direction of the retardation film and the transmission axis direction of the polarizing plate. As a result, when circularly polarized light is incident on the retardation film, circularly polarized light is converted into linearly polarized light and is transmitted through the retardation film. The polarization direction (vibration direction) of this transmitted linearly polarized light is determined by the rotation direction of circularly polarized light and the fast-axis direction of retardation film. Specifically, when circularly polarized light is turned right when viewed from the traveling direction of light, the polarization direction of the transmitted linearly polarized light becomes a direction inclined 45 ° to the right-turned side when viewed from the traveling direction of light with respect to the fast axis direction of the retardation film. On the other hand, when circularly polarized light turns to the left when viewed from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light, the polarization direction of the transmitted linearly polarized light becomes the direction inclined 45 ° to the left-turned side when viewed from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light relative to the fast axis direction of the retardation film. Therefore,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fast axis direction and the transmission axis direction are arranged at an angle of about 45 °, the polarizing plate is a linearly polarized light in which circularly polarized light in one direction of rotation is converted (a straight line in which the transmission axis direction and the polarization direction coincide). Only the polarized light is transmitted, and the circularly polarized light in the other direction of rotation does not transmit the linearly polarized light (the linearly polarized light which becomes the polarization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transmission axis direction). Thereby, the optical sheet for 3D glasses which consists of the said structure can be used suitably as a lens of 3D glasses.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3D 안경은,3D glasses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당해 3D 안경용 광학 시트를 각각 포함하는 우안용 렌즈 및 좌안용 렌즈를 구비하고,A right eye lens and a left eye lens each containing the optical sheet for 3D glasses;

상기 우안용 렌즈의 위상차 필름의 진상축 방향이 우안용 렌즈의 편광판의 투과축 방향에 대해 일방향측에서 약45°의 각도로 배열설치되어 있고,The fast axis direction of the phase difference film of the said right eye lens is arrange | positioned at the angle of about 45 degrees with respect to the transmission axis direction of the polarizing plate of the right eye lens,

상기 좌안용 렌즈의 위상차 필름의 진상축 방향이 좌안용 렌즈의 편광판의 투과축 방향에 대해 타방향측에서 약45°의 각도로 배열설치되어 있는 3D 안경이다.The 3D eyeglasses of which the retardation film direction of the retardation film of the said left eye lens are arranged at an angle of about 45 degrees from the other direction side with respect to the transmission axis direction of the polarizing plate of the left eye lens.

당해 3D 안경은 위상차 필름의 주성분으로서 시클로올레핀 코폴리머 또는 시클로올레핀 폴리머가 사용되고 있다. 그 때문에, 당해 3D 안경은 우안용 렌즈 및 좌안용 렌즈를 곡면 형상 등으로 형성하기 위해서 열성형을 행하는 등, 열이나 응력을 부가해도 위상차 필름의 복굴절성의 변화가 생기기 어렵다. 이 때문에, 당해 3D 안경은 우안용 렌즈 및 좌안용 렌즈를 곡면 형상으로 형성한 경우에도 용이하게 원하는 복굴절 작용을 얻을 수 있다. 또, 당해 3D 안경은 우안용 렌즈 및 좌안용 렌즈를 원하는 곡면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의장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당해 3D 안경은 위상차 필름의 표면측에 기재 필름이 적층되고, 이 기재 필름의 두께가 상기 범위로 되어 있으므로, 이 기재 필름에 의해 위상차 필름에 대한 상처 형성을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당해 3D 안경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Cycloolefin copolymer or cycloolefin polymer is used for the 3D glasses as a main component of the retardation film. For this reason, the birefringence of the retardation film hardly occurs even if heat or stress is added to the 3D glasses, for example, by thermoforming to form the right eye lens and the left eye lens in a curved shape. For this reason, the 3D glasses can easily obtain the desired birefringence effect even when the right eye lens and the left eye lens are formed in a curved shape. In addition, the design of the 3D glasses can be improved by forming the right eye lens and the left eye lens in a desired curved shape. Moreover, since the base film is laminated | stacked on the surface side of retardation film, and the thickness of this base film is the said range, the said 3D glasses can prevent the wound formation with respect to retardation film with this base film, The durability of the 3D glasses can be improved.

또, 당해 3D 안경은 우안용 렌즈의 진상축 방향이 우안용 렌즈의 편광판의 투과축 방향에 대해 일방향측에서 약45°의 각도로 배열설치되고, 좌안용 렌즈의 진상축 방향이 좌안용 렌즈의 편광판의 투과축 방향에 대해 타방향측에서 약45°의 각도로 배열설치되어 있으므로, 우안용 렌즈에는 일방향의 회전 방향의 원편광만이 투과하고, 좌안용 렌즈에는 타방향의 회전 방향의 원편광만이 투과하게 된다. 이 때문에, 당해 3D 안경에 의하면, 시인자는 입체 화상 표시 장치로부터 출사되는 우안용 영상 광선을 우안으로 시인하고, 좌안용 영상 광선을 좌안으로 시인할 수 있어, 3D 입체 화상을 적합하게 인식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3D glasses of the right eye lens is arranged at an angle of about 45 ° from on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transmission axis direction of the polarizing plate of the right eye lens, and the fast axis of the left eye lens is arranged in the left eye lens. Since it is arranged at an angle of about 45 ° from the other side with respect to the transmission axis direction of the polarizing plate, only the circularly polarized light in one direction of rotation passes through the right eye lens, and the circularly polarized light in the other direction rotates to the left eye lens. Only permeation is made. For this reason, according to the said 3D glasses, the viewer can visually recognize the right eye video light beam radiate | emitted from a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and can visually recognize the left eye video light beam to the left eye, and can recognize a 3D stereoscopic image suitably. .

당해 3D 안경은 상기 우안용 렌즈 및 좌안용 렌즈의 렌즈 커브가 3 이상 6 이하이면 된다. 이것에 의해, 시인자의 시선 방향에 대한 우안용 렌즈 및 좌안용 렌즈의 곡면 형상을 적합하게 유지하여, 시인자의 눈의 피로를 저감하고, 사용의 장시간화를 촉진할 수 있다.As for the said 3D glasses, the lens curve of the said right eye lens and the left eye lens should just be 3 or more and 6 or less. Thereby, the curved shape of the right eye lens and the left eye lens with respect to the visual direction of a viewer can be hold | maintained suitably, the eye fatigue of a viewer can be reduced, and the prolongation of use can be promoted.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표면측」은 시인자가 3D 안경을 장착한 상태에서의 3D 입체 화상 표시 장치측을 의미한다. 또, 「이면측」은 시인자가 3D 안경을 장착한 상태에서의 시인자측을 의미한다. 「광탄성계수」는 외력에 의한 굴절율의 변화가 생기기 쉬움을 나타내는 계수로, CR[Pa-1]=Δn/σR로 구해지는 값이다. 여기서, σR은 신장 응력 [Pa], Δn은 응력 부가시의 굴절율차이며, Δn은 다음 식에 의해 정의된다.In addition, in this invention, "surface side" means the 3D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side in the state in which the viewer wore 3D glasses. In addition, "back side" means the viewer side in the state which the viewer wore 3D glasses. "Photoelastic coefficient" is a coefficient which shows the tendency of the change of the refractive index by external force, and is a value calculated | required by CR [Pa < -1 > = (DELTA) n / (sigma) R. Here, sigma R is an extension stress [Pa], Δn is a refractive index difference at the time of stress addition, and Δn is defined by the following equation.

Δn=n1-n2 Δn = n 1 -n 2

(식 중, n1은 신장 응력과 평행한 방향의 굴절율이며, n2는 신장 방향과 수직인 방향의 굴절율이다.)(Wherein n 1 is a refractive index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stretching stress, and n 2 is a refractive index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tretching direction.)

또, 「연필경도」는 JIS K5400에 규정하는 시험 방법의 8.4에 기재된 연필 긁기값에 기초하는 값을 말한다. 「면내 리타데이션값(Ro)」은 Ro=(Ny-Nx)×d로 구해지는 값이다. 여기서, Nx는 필름의 진상축(면방향과 평행한 축)의 굴절율이며, Ny는 필름의 지상축(면방향과 평행하며 또한 진상축과 수직인 축)의 굴절율이며, d는 필름의 두께이다. 「렌즈 커브」는 렌즈 커브(D)=(N-1)×1000/SR로 구해지는 값이다. 여기서, N은 렌즈의 굴절율이며, SR은 렌즈 전체면의 곡률반경이다.Moreover, "pencil hardness" means the value based on the pencil scratch value of 8.4 of the test method prescribed | regulated to JISK5400. "In-plane retardation value Ro" is a value calculated | required by Ro = (Ny-Nx) xd. Where Nx is the refractive index of the fast axis of the film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direction), Ny is the refractive index of the slow axis of the film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direction and perpendicular to the fast axis), and d is the thickness of the film. . "Lens curve" is a value obtained by lens curve D = (N-1) x 1000 / SR. Where N is the refractive index of the lens and SR is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entire lens surface.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3D 안경용 광학 시트 및 이것을 사용한 3D 안경은 렌즈를 곡면 형상 등으로 형성해도 원하는 복굴절성이 얻어짐과 아울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optical sheet for 3D glass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3D glasses using the same can achieve desired birefringence and improve durability even when the lens is formed into a curved shape or the lik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3D 안경용 광학 시트를 나타내는 모식적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3D 안경용 광학 시트를 사용한 3D 안경을 나타내는 모식적 사시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typical sectional drawing which shows the optical sheet for 3D glasses concerning one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3D glasses using the optical sheet for 3D glasses of FIG. 1. FIG.

이하, 적당히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in detail, referring drawings suitably.

[제1 실시형태][First Embodiment]

도 1의 3D 안경용 광학 시트(1)는 기재 필름(2)과, 기재 필름(2)의 이면측에 적층되고, 평면 방향으로 복굴절성을 가지는 위상차 필름(3)과, 위상차 필름(3)의 이면측에 적층되는 편광판(4)을 가지고 있다.The optical sheet 1 for 3D glasses of FIG. 1 is laminated | stacked on the back surface side of the base film 2, the base film 2, and the retardation film 3 which has birefringence in a planar direction, and the retardation film 3 It has the polarizing plate 4 laminated | stacked on the back surface side.

(기재 필름(2))(Base film (2))

기재 필름(2)의 주성분의 광탄성계수의 절대값으로서는 10×10-12Pa-1 이하인 것이 적합하게 사용되고, 8×10-12Pa-1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6×10-12Pa-1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As an absolute value of the photoelastic coefficient of the main component of the base film 2, the thing of 10 * 10 <-12> Pa <-1> or less is used suitably,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8 * 10 <-12> Pa <-1> or less, More preferably, it is 6 * 10 <-12> Pa <-1> It is especially preferable that it is the following.

기재 필름(2)은 아크릴 수지, 시클로올레핀 코폴리머 또는 시클로올레핀 폴리머를 주성분으로 하여 형성되어 있다.The base film 2 is formed with an acrylic resin, a cycloolefin copolymer, or a cycloolefin polymer as a main component.

상기 아크릴계 수지로서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폴리부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시클로헥실메타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시클로올레핀 코폴리머로서는 에틸렌과 노르보르넨의 공중합체나, 에틸렌과 테트라시클로도데센의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시클로올레핀 폴리머로서는 노르보르넨계 중합체, 단환의 환상 올레핀계 중합체, 환상 공액 디엔계 중합체, 비닐 지환식 탄화수소계 중합체 수지 등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acrylic resin include polymethyl methacrylate (PMMA), polybutyl methacrylate, polycyclohexyl methacrylate, and the like. Examples of the cycloolefin copolymers include copolymers of ethylene and norbornene, copolymers of ethylene and tetracyclododecene, and the like. Examples of the cycloolefin polymers include norbornene polymers, monocyclic cyclic olefin polymers, cyclic conjugated diene polymers, and vinyl alicyclic hydrocarbon polymer resins.

또한, 기재 필름(2)의 형성재료 중에는 가공성, 내열성, 내후성, 기계적 성질, 치수 안정성 등을 개량, 개질할 목적에서 각종 첨가제 등을 혼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로서는 열안정제, 자외선 흡수제, 적외선 흡수제, 산화 방지제, 광안정제, 이형제, 대전 방지제, 충전제 등을 들 수 있다.In the forming material of the base film 2, various additives and the like can be mixed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and modifying workability, heat resistance, weather resistance, mechanical properties, dimensional stability, and the like. Examples of such additives include heat stabilizers, ultraviolet absorbers, infrared absorbers, antioxidants, light stabilizers, mold release agents, antistatic agents and fillers.

기재 필름(2)의 두께(평균 두께)는 300μm 이상 2000μm 이하로 되어 있고, 바람직하게는 500μm 이상 1500μm 이하로 되어 있다. 당해 3D 안경용 광학 시트(1)는 기재 필름(2)의 두께가 상기 범위보다 작으면 내구성이 저하할 우려가 있다. 반대로, 기재 필름(2)의 두께가 상기 범위를 넘으면 기재 필름(2)의 무게가 늘고, 장시간 사용하면 피로해질 우려가 있다.The thickness (average thickness) of the base film 2 is 300 micrometers or more and 2000 micrometers or less, Preferably it is 500 micrometers or more and 1500 micrometers or less. If the thickness of the base film 2 is smaller than the said range, the said optical sheet 1 for 3D glasses has a possibility that durability may fall. On the contrary, when the thickness of the base film 2 exceeds the said range, the weight of the base film 2 increases, and there exists a possibility that it may become tired when it uses for a long time.

기재 필름(2)의 연필경도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H 이상이 바람직하고, 2H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당해 3D 안경용 광학 시트(1)는 기재 필름(2)의 연필경도가 상기 범위 미만이면 기재 필름(2)의 상처 형성 방지성이 저감하고, 당해 3D 안경용 광학 시트(1)의 취급 용이성이 저하할 우려가 있다. 이것에 대해, 당해 3D 안경용 광학 시트(1)는 기재 필름(2)의 연필경도가 상기 범위 내인 것에 의해 적합하게 반복 사용할 수 있다.Although it does not specifically limit as the pencil hardness of the base film 2, H or more is preferable and 2H or more is more preferable. If the pencil hardness of the base film 2 is less than the said range, the said 3D glasses optical sheet 1 will reduce the wound formation prevention property of the base film 2, and the ease of handling of the 3D glasses optical sheet 1 will fall. There is concern. On the other hand, the said 3D glasses optical sheet 1 can be repeatedly used suitably because the pencil hardness of the base film 2 exists in the said range.

기재 필름(2)의 면방향 리타데이션값(Ro값)으로서는 100nm 이하가 바람직하고, 60nm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당해 3D 안경용 광학 시트(1)는 기재 필름(2)의 면방향 리타데이션값(Ro값)이 상기 범위를 넘으면 위상차 필름(3)의 광학적 기능을 저해할 우려가 있고, 원하는 복굴절 작용을 얻을 수 없을 우려가 있다.As surface direction retardation value (Ro value) of the base film 2, 100 nm or less is preferable and 60 nm or less is more preferable. When the surface direction retardation value (Ro value) of the said base film 2 exceeds the said range, the said optical sheet 1 for 3D glasses may impair the optical function of the retardation film 3, and a desired birefringence action can be obtained. There is no fear.

기재 필름(2)의 두께 방향 리타데이션값(Rth)으로서는 200nm 이하가 바람직하고, 100nm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당해 3D 안경용 광학 시트(1)는 기재 필름(2)의 두께 방향 리타데이션값(Rth)이 상기 범위를 넘으면 위상차 필름(3)의 광학적 기능을 저해할 우려가 있고, 원하는 복굴절 작용을 얻을 수 없을 우려가 있다. 또한, 「두께 방향 리타데이션값(Rth)」은 Rth=((Nx+Ny)/2-Nz)×d로 구해지는 값이다. 여기서, Nz는 두께 방향(면방향과 수직인 방향)에서의 필름의 굴절율이다.As thickness direction retardation value Rth of the base film 2, 200 nm or less is preferable and 100 nm or less is more preferable. When the thickness direction retardation value Rth of the base film 2 exceeds the said range, the said optical sheet 1 for 3D glasses may impair the optical function of the retardation film 3, and a desired birefringence action may not be obtained. There is concern. In addition, "thickness direction retardation value Rth" is a value calculated | required by Rth = ((Nx + Ny) / 2-Nz) xd. Here, Nz is the refractive index of the film in the thickness direction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lane direction).

기재 필름(2)의 헤이즈값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0.6% 이하가 바람직하고, 0.3%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기재 필름(2)의 헤이즈값이 상기 범위를 넘으면 화상의 시인성이 저하할 우려가 있다.Although it does not specifically limit as haze value of the base film 2, 0.6% or less is preferable and 0.3% or less is more preferable. When the haze value of the base film 2 exceeds the said range, there exists a possibility that the visibility of an image may fall.

기재 필름(2)의 전광선투과율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88% 이상이 바람직하고, 90%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기재 필름(2)의 전광선투과율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광선을 충분히 투과시킬 수 없어, 시인성을 저하시킬 우려가 있다.Although it does not specifically limit as a total light transmittance of the base film 2, 88% or more is preferable and 90% or more is more preferable. If the total light transmittance of the base film 2 is less than the said range, light may not be transmitted enough, but there exists a possibility that visibility may be reduced.

기재 필름(2)의 소재의 굴절율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1.44 이상 1.54 이하가 바람직하고, 1.46 이상 1.52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며, 1.49가 특히 바람직하다. 기재 필름(2)의 굴절율을 이러한 범위로 함으로써, 기재 필름(2)의 소재의 굴절율을 위상차 필름(3)의 소재의 굴절율 이하로 억제하고, 또한 기재 필름(2)의 소재와 위상차 필름(3)의 소재의 굴절율의 차를 일정 정도로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당해 3D 안경용 광학 시트(1)는 3D 입체 화상 표시 장치로부터 출사되는 영상광을 적합하게 투과시킬 수 있다.Although it does not specifically limit as the refractive index of the raw material of the base film 2, 1.44 or more and 1.54 or less are preferable, 1.46 or more and 1.52 or less are more preferable, 1.49 is especially preferable. By making the refractive index of the base film 2 into such a range, the refractive index of the raw material of the base film 2 is suppressed below the refractive index of the raw material of the retardation film 3, and also the raw material of the base film 2 and the retardation film 3 The difference in the refractive index of the raw material can be suppressed to a certain degree. As a result, the optical sheet 1 for 3D glasses can suitably transmit the video light emitted from the 3D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기재 필름(2)은 T다이법 또는 인플레이션법 등의 압출법, 캐스트 성형법, 절삭법 등의 공지의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The base film 2 can be manufactured by well-known methods, such as an extrusion method, such as a T-die method or an inflation method, a cast molding method, and a cutting method.

(위상차 필름(3))(Phase difference film (3))

본 실시형태에서는 위상차 필름(3)으로서 1/4 파장판이 사용되고 있다. 위상차 필름(3)은 주성분으로서 시클로올레핀 코폴리머 또는 시클로올레핀 폴리머를 포함하고 있다. 위상차 필름(3)이 주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시클로올레핀 코폴리머 또는 시클로올레핀 폴리머로서는 기재 필름(2)의 주성분과 마찬가지인 것을 들 수 있다. 위상차 필름(3)의 첨가제로서는 기재 필름(2)과 마찬가지이다.In this embodiment, a quarter wave plate is used as the retardation film 3. The retardation film 3 contains a cycloolefin copolymer or a cycloolefin polymer as a main component. As a cycloolefin copolymer or cycloolefin polymer which the retardation film 3 contains as a main component, the thing similar to the main component of the base film 2 is mentioned. As an additive of the retardation film 3, it is the same as that of the base film 2.

위상차 필름(3)의 유리 전이 온도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100℃ 이상 170℃ 이하가 바람직하고, 105℃ 이상 160℃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며, 110℃ 이상 150℃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당해 3D 안경용 광학 시트(1)는 위상차 필름(3)의 유리 전이 온도가 상기 범위를 넘으면 필름에 연신할 때에 연신 불균일이 일어나기 쉬워져 열성형이 곤란해질 우려가 있다. 한편, 당해 3D 안경용 광학 시트(1)는 위상차 필름(3)의 유리 전이 온도가 상기 범위 미만이면 내열성이 떨어질 우려가 있다. 이것에 대해, 당해 3D 안경용 광학 시트(1)는 위상차 필름(3)의 유리 전이 온도가 상기 범위 내이면 열성형을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행할 수 있음과 아울러, 복굴절성을 적합하게 유지할 수 있다.Although it does not specifically limit as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retardation film 3, 100 to 170 degreeC is preferable, 105 to 160 degreeC is more preferable, 110 to 150 degreeC is especially preferable. When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retardation film 3 exceeds the said range, the said 3D eyeglasses optical sheet 1 will be easy to generate | occur | produce a stretch nonuniformity when extending | stretching to a film, and there exists a possibility that thermoforming may become difficult. On the other hand, if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retardation film 3 is less than the said range, the said optical sheet 1 for 3D glasses may fall in heat resistance. On the other hand, when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retardation film 3 is in the said range, the said optical sheet 1 for 3D glasses can easily and reliably thermoform, and can maintain birefringence suitably.

위상차 필름(3)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시클로올레핀 코폴리머 또는 시클로올레핀 폴리머를 주성분으로 하는 조성물을 제막, 연신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Although it does not specifically limit as a manufacturing method of the retardation film 3, It can manufacture by forming a film and extending | stretching the composition which has a cycloolefin copolymer or a cycloolefin polymer as a main component.

위상차 필름(3)의 제막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공지의 방법에 의해 행할 수 있다. 위상차 필름(3)의 제막 방법으로서는 용액 캐스트법(용액유연법), 용융 압출법, 캘린더법, 압축 성형법 등의 공지의 제막 방법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용액 캐스트법 또는 용융 압출법이 바람직하다.It does not specifically limit as a film forming method of the retardation film 3, It can carry out by a well-known method. As a film forming method of the retardation film 3, well-known film forming methods, such as the solution casting method (solution flexible method), the melt-extrusion method, the calender method, the compression molding method, are mentioned. Especially, the solution casting method or the melt extrusion method is preferable.

용액 캐스트법에 사용되는 용매로서는 예를 들면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등의 염소계 용매; 톨루엔, 크실렌, 벤젠, 및 이들의 혼합 용매 등의 방향족계 용매;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n-부탄올, 2-부탄올 등의 알코올계 용매; 메틸셀로솔브, 에틸셀로솔브, 부틸셀로솔브,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술폭시드, 디옥산, 시클로헥산온, 테트라히드로푸란, 아세톤, 아세트산에틸, 디에틸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용매는 1종만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As a solvent used for the solution casting method, For example, Chlorine solvents, such as chloroform and dichloromethane; Aromatic solvents such as toluene, xylene, benzene, and mixed solvents thereof; Alcohol solvents such as methanol, ethanol, isopropanol, n-butanol and 2-butanol; Methyl cellosolve, ethyl cellosolve, butyl cellosolve, dimethylformamide, dimethyl sulfoxide, dioxane, cyclohexanone, tetrahydrofuran, acetone, ethyl acetate, diethyl ether; And the like. These solvents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용액 캐스트법을 행하기 위한 장치로서는 드럼식 캐스팅 머신, 밴드식 캐스팅 머신, 스핀 코터 등을 들 수 있다.As a device for performing the solution cast method, a drum type casting machine, a band type casting machine, a spin coater, etc. are mentioned.

용융 압출법으로서는 T다이법, 인플레이션법 등을 들 수 있다. 용융 압출시의 수지 온도는 조성물의 유리 전이 온도를 Tg로 할 때, Tg 이상이 바람직하고, Tg+50℃~Tg+250℃가 보다 바람직하며, Tg+80℃~Tg+200℃가 더욱 바람직하다.Examples of the melt extrusion method include a T-die method and an inflation method. When the resin temperature at the time of melt extrusion makes Tg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a composition, Tg or more is preferable, Tg + 50 degreeC-Tg + 250 degreeC is more preferable, Tg + 80 degreeC-Tg + 200 degreeC is still more preferable. Do.

위상차 필름(3)은 이들의 성막과 동시에, 혹은 연속하여 연신을 행하고, 원하는 1/4 파장판으로 할 수 있다. 또, 이들 성막 방법으로 얻어진 필름을 별도 연신하여 1/4 파장판으로 해도 된다.The retardation film 3 can be stretched simultaneously with these film formation or continuously, and can be made into a desired quarter wave plate. Moreover, you may extend | stretch separately the film obtained by these film-forming methods, and may set it as a quarter wave plate.

위상차 필름(3)의 연신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공지의 방법에 의해 행할 수 있다. 위상차 필름(3)은 조성물을 제막한 후, 1축 연신 또는 2축 연신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이러한 1축 연신 방법으로서는 텐터법에 의한 횡 1축 연신, 롤간에 의한 종 1축 연신, 롤간 압연법 등의 임의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연신 배율은 통상 1.01~5배의 범위에서 필름의 연신성이나 광학 특성(예를 들면, 굴절율 분포, 면내 리타데이션값, 두께 방향 리타데이션값, Nz계수) 등에 따라 실시할 수 있다. 이 연신은 1단으로 행해도 되고, 다단으로 행해도 된다. 또, 연신시의 온도는 Tg-30℃~Tg+50℃, 보다 바람직하게는 Tg-10℃~Tg+30℃이다. 이 온도 범위이면 폴리머의 분자 운동이 적당하며, 연신에 의한 배향의 완화가 일어나기 어렵고, 배향 억제가 용이해져 원하는 광학 특성이 얻어지기 쉽기 때문에 바람직하다.It does not specifically limit as a extending | stretching method of the retardation film 3, It can carry out by a well-known method. The retardation film 3 can be obtained by uniaxial stretching or biaxial stretching after forming a composition into a film. As such a uniaxial stretching method, arbitrary methods, such as lateral uniaxial stretching by a tenter method, longitudinal uniaxial stretching by a roll between rolls, and an inter-roll rolling method, can be used. A draw ratio can be normally performed according to the elongation property of an film, optical characteristics (for example, refractive index distribution, in-plane retardation value, thickness direction retardation value, Nz coefficient), etc. in the range of 1.01-5 times. This stretching may be performed in one step or may be performed in multiple steps. Moreover, the temperature at the time of extending | stretching is Tg-30 degreeC-Tg + 50 degreeC, More preferably, it is Tg-10 degreeC-Tg + 30 degreeC. If it is this temperature range, the molecular motion of a polymer is suitable, since the relaxation of the orientation by extending | stretching hardly does not occur, orientation suppression becomes easy and a desired optical characteristic is easy to be obtained, and it is preferable.

(편광판(4))(Polarizing plate 4)

편광판(4)은 일정 방향의 진동 방향의 광선만을 투과하도록 설치된 시트 형상 부재이다. 편광판(4)으로서는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폴리비닐알코올을 주체로 요오드 화합 분자를 흡착 배향시킨 것을 사용할 수 있다.The polarizing plate 4 is a sheet-like member provided so as to transmit only light in the vibration direction in a constant direction. As a polarizing plate 4, a well-known thing can be used, For example, what adsorbed and oriented the iodine compound molecule mainly using polyvinyl alcohol can be used.

또한, 기재 필름(2), 위상차 필름(3) 및 편광판(4)은 각종 방법에 의해 고착되고, 예를 들면 접착제 등을 통하여 적층 고착되어 있다. 또한, 접착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투명한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위상차 필름(3)의 진상축 방향과 편광판(4)의 투과축 방향은 약45°의 각도로 배열설치되도록 고착되어 있다.In addition, the base film 2, the retardation film 3, and the polarizing plate 4 are fixed by various methods, for example, laminated | stacked and fixed through an adhesive agent etc., for example. In addition, when using an adhesive, it is preferable to use a transparent adhesive agent. In addition, the fast axis direction of the retardation film 3 and the transmission axis direction of the polarizing plate 4 are fixed so as to be arranged at an angle of about 45 °.

<3D 안경용 광학 시트(1)><Optical sheet 1 for 3D glasses>

3D 안경용 광학 시트(1)의 두께(평균 두께)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350μm 이상 2100μm 이하가 바람직하고, 550μm 이상 1600μm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3D 안경용 광학 시트(1)의 두께가 상기 범위보다 작으면 내구성이 저하하여, 반복 사용이 곤란해질 우려가 있다. 반대로, 3D 안경용 광학 시트(1)의 두께가 상기 범위를 넘으면 무게가 늘고, 장시간 사용하면 피로해질 우려가 있다. 이것에 대해, 3D 안경용 광학 시트(1)의 두께가 상기 범위 내이면 내구성, 취급 용이성 등을 적합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Although it does not specifically limit as thickness (average thickness) of the optical sheet 1 for 3D glasses, 350 micrometers or more and 2100 micrometers or less are preferable, and 550 micrometers or more and 1600 micrometers or less are more preferable. When the thickness of the optical sheet 1 for 3D glasses is smaller than the said range, durability may fall and repetitive use may become difficult. On the contrary, when the thickness of the optical sheet 1 for 3D glasses exceeds the said range, weight will increase, and when used for a long time, it may become tired. On the other hand, if the thickness of the optical sheet 1 for 3D glasses is in the said range, durability, ease of handling, etc. can be improved suitably.

3D 안경용 광학 시트(1)의 헤이즈값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1% 이하가 바람직하고, 0.5%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당해 3D 안경용 광학 시트(1)는 헤이즈값이 상기 범위를 넘으면 화상의 시인성이 저하할 우려가 있다.Although it does not specifically limit as haze value of the optical sheet 1 for 3D glasses, 1% or less is preferable and 0.5% or less is more preferable. If the haze value exceeds the said range, the said 3D glasses optical sheet 1 may fall visibility of an image.

3D 안경용 광학 시트(1)의 전광선투과율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87% 이상이 바람직하고, 90%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당해 3D 안경용 광학 시트(1)는 전광선투과율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광선을 충분히 투과시킬 수 없어, 시인성을 저하시킬 우려가 있다.Although it does not specifically limit as a total light transmittance of the optical sheet 1 for 3D glasses, 87% or more is preferable and 90% or more is more preferable. If the total light transmittance is less than the said range, the said optical sheet 1 for 3D glasses cannot fully transmit a light beam, but there exists a possibility that it may reduce visibility.

<3D 안경(11)><3D glasses 11>

다음에 도 2를 참조하여, 3D 안경용 광학 시트(1)를 사용한 3D 안경(11)에 대해 설명한다.Next, with reference to FIG. 2, the 3D glasses 11 using the 3D glasses optical sheet 1 are demonstrated.

3D 안경(11)은 프레임(12)과, 프레임(12)에 부착된 우안용 렌즈(13) 및 좌안용 렌즈(14)를 가지고 있다. 우안용 렌즈(13) 및 좌안용 렌즈(14)로서는 3D 안경용 광학 시트(1)를 열성형하여 삼차원으로 만곡시킨 것이 사용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우안용 렌즈(13) 및 좌안용 렌즈(14)는 중앙측이 표면측으로 만곡한 형상이 되도록 열성형되어 있다.The 3D glasses 11 have a frame 12, a right eye lens 13 and a left eye lens 14 attached to the frame 12. As the right eye lens 13 and the left eye lens 14, those obtained by thermoforming the 3D glasses optical sheet 1 and curved in three dimensions are used. Specifically, the right eye lens 13 and the left eye lens 14 are thermoformed so that the center side is curved to the surface side.

우안용 렌즈(13) 및 좌안용 렌즈(14)의 렌즈 커브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3 이상 6 이하가 바람직하고, 4 이상 5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우안용 렌즈(13) 및 좌안용 렌즈(14)의 렌즈 커브가 상기 범위 미만이면 시인자의 시선 방향에 대해 렌즈면이 수직으로 형성되지 않아, 시인자의 눈이 피로해지기 쉬워질 우려가 있다. 반대로, 렌즈 커브가 상기 범위를 넘으면 시인자의 시선 방향에 대해 렌즈면이 수직으로 형성되지 않을 뿐만아니라, 열성형시에 원하는 복굴절성이 얻어지기 어려워질 우려가 있다. 이것에 대해, 우안용 렌즈(13) 및 좌안용 렌즈(14)의 렌즈 커브가 상기 범위 내이면 우안용 렌즈(13) 및 좌안용 렌즈(14)의 렌즈면을 시인자의 시선 방향에 대해 대략 수직으로 유지할 수 있어, 시인자의 위화감을 저감할 수 있고, 시인자의 눈의 피로를 저감하여, 사용의 장시간화를 촉진할 수 있다.Although it does not specifically limit as a lens curve of the right eye lens 13 and the left eye lens 14, 3 or more and 6 or less are preferable, and 4 or more and 5 or less are more preferable. If the lens curve of the right eye lens 13 and the left eye lens 14 is less than the said range, a lens surface will not be formed perpendicularly to the visual direction of a viewer, and there exists a possibility that a viewer's eyes may become tired easily. On the contrary, when the lens curve exceeds the above range, the lens surface is not formed perpendicularly to the visual direction of the viewer, and there is a fear that desired birefringence cannot be obtained during thermoforming. On the other hand, if the lens curves of the right eye lens 13 and the left eye lens 14 are within the above ranges, the lens surfaces of the right eye lens 13 and the left eye lens 14 are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visual direction of the viewer. Can be maintained, the discomfort of the viewer can be reduced, the eye fatigue of the viewer can be reduced, and the prolongation of use can be promoted.

우안용 렌즈(13)의 위상차 필름(3)의 진상축 방향은 우안용 렌즈(13)의 편광판(4)의 투과축 방향에 대해 우회전측에서 약45°의 각도로 배열설치되어 있다. 또, 좌안용 렌즈(14)의 위상차 필름(3)의 진상축 방향은 좌안용 렌즈(14)의 편광판(4)의 투과축 방향에 대해 좌회전 방향에서 약45°의 각도로 배열설치되어 있다.The fast-axis direction of the phase difference film 3 of the right eye lens 13 is arrange | positioned at the angle of about 45 degrees with respect to the transmission axis direction of the polarizing plate 4 of the right eye lens 13 at the right rotation side. Moreover, the fast-axis direction of the phase difference film 3 of the left eye lens 14 is arrange | positioned at the angle of about 45 degrees with respect to the transmission axis direction of the polarizing plate 4 of the left eye lens 14 in the left rotation direction.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하나의 구체예를 들어 설명하면, 우안용 렌즈(13) 및 좌안용 렌즈(14)는 편광판(4)의 투과축 방향이 수평 방향(우안용 렌즈(13)와 좌안용 렌즈(14)가 늘어서서 배치되는 방향)으로 배열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우안용 렌즈(13)의 위상차 필름(3)의 진상축 방향은 수평 방향에 대해 좌회전측으로 약45° 경사져 배열설치되고, 좌안용 렌즈(14)의 위상차 필름(3)의 진상축 방향은 수평 방향에 대해 우회전측으로 약45° 경사져 배열설치되어 있다.In order to describe in more detail, one specific example will be described. In the right eye lens 13 and the left eye lens 14, the transmission axis directions of the polarizing plate 4 are in the horizontal directions (the right eye lens 13 and the left eye). The lenses 14 are arranged side by side). And the fast-axis direction of the retardation film 3 of the right eye lens 13 is arrange | positioned inclined at about 45 degrees to the left rotation side with respect to a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fast-axis direction of the retardation film 3 of the left eye lens 14 is It is installed at an angle of about 45 ° to the right turn side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direction.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3D 안경(11)에 있어서는, 장착자에게 3D 입체 화상 표시 장치로부터의 영상 광선에 기초하여 3D 입체 화상을 인식시킬 수 있다. 즉, 우안용 영상 광선은 우안용 렌즈(13)를 투과하지만 좌안용 렌즈(14)는 투과하지 않고, 좌안용 영상 광선은 좌안용 렌즈(14)를 투과하지만 우안용 렌즈(13)를 투과하지 않는다.In the 3D glasses 11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wearer can recognize the 3D stereoscopic image based on the video light beam from the 3D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That is, the right eye image ray passes through the right eye lens 13, but the left eye lens 14 does not, and the left eye image ray passes through the left eye lens 14, but does not pass through the right eye lens 13. Do not.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예를 들면, 우안용 영상 광선이 우회전의 원편광인 경우, 이 원편광은 우안용 렌즈(13)의 위상차 필름(3)을 투과하면, 위상차 필름(3)은 수평 방향에 대해 좌회전측으로 약45° 경사진 진상축을 가지므로, 편광 방향이 수평 방향의 직선편광으로 변환된다. 이 경우에는 좌안용 영상 광선은 좌회전이므로, 이 원편광은 우안용 렌즈(13)의 위상차 필름(3)을 투과하면, 편광 방향이 상하 방향(수평 방향에 대해 수직 방향)의 직선편광으로 변경된다. 편광판(4)의 투과축 방향은 수평 방향이기 때문에 우안용 영상 광선의 원편광을 변환한 직선편광(편광 방향이 수평 방향)만이 편광판(4)을 투과하고, 좌안용 영상 광선의 원편광을 변환한 직선편광(편광 방향이 상하 방향)은 편광판(4)을 투과하지 않는다.More specifically, for example, when the image light for the right eye is circularly polarized light of right rotation, when the circularly polarized light passes through the phase difference film 3 of the lens 13 for the right eye, the retardation film 3 i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Since it has a fast axis inclined about 45 ° to the left side with respect to, the polarization direction is converted into linearly polarized ligh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is case, since the left eye video ray is left-turned, when the circularly polarized light passes through the retardation film 3 of the right eye lens 13, the polarization direction is changed to linearly polarized light in the vertical direction (vertical direction to the horizontal direction). . Since the direction of the transmission axis of the polarizing plate 4 is the horizontal direction, only linearly polarized light in which the circularly polarized light of the right eye image beam is converted (the polarization direction is the horizontal direction) passes through the polarizing plate 4 and converts the circularly polarized light of the left eye image light beam. One linearly polarized light (polarization direction is vertical) does not pass through the polarizing plate 4.

또, 좌안용 렌즈(14)에 대해서는, 좌안용 영상 광선이 좌회전의 원편광인 경우, 이 원편광은 좌안용 렌즈(14)의 위상차 필름(3)을 투과하면, 위상차 필름(3)은 수평 방향에 대해 우회전측으로 약45° 경사진 진상축을 가지므로, 편광 방향이 수평 방향의 직선편광으로 변환된다. 이 경우에는 우안용 영상 광선은 우회전이므로, 이 원편광은 좌안용 렌즈(14)의 위상차 필름(3)을 투과하면, 편광 방향이 상하 방향(수평 방향에 대해 수직 방향)의 직선편광으로 변경된다. 편광판(4)의 투과축 방향은 수평 방향이기 때문에 좌안용 영상 광선의 원편광을 변환한 직선편광(편광 방향이 수평 방향)만이 편광판(4)을 투과하고, 우안용 영상 광선의 원편광을 변환한 직선편광(편광 방향이 상하 방향)은 편광판(4)을 투과하지 않는다.In addition, with respect to the left eye lens 14, when the left eye video light beam is left circularly polarized light, when the circularly polarized light passes through the retardation film 3 of the left eye lens 14, the retardation film 3 is horizontal. Since it has a fastening axis inclined about 45 ° to the right turn side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the polarization direction is converted into linearly polarized ligh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is case, since the right eye video ray is rotated to the right, when the circularly polarized light passes through the retardation film 3 of the left eye lens 14, the polarization direction is changed to linearly polarized light in the vertical direction (vertical direction to the horizontal direction). . Since the transmission axis direction of the polarizing plate 4 is the horizontal direction, only the linearly polarized light (the polarization direction is the horizontal direction) that converted the circularly polarized light of the left eye video beam passes through the polarizing plate 4, and converts the circularly polarized light of the right eye video beam. One linearly polarized light (polarization direction is vertical) does not pass through the polarizing plate 4.

이와 같이, 우안용 영상 광선의 원편광을 변환한 직선편광만이 우안용 렌즈(13)를 투과하고, 좌안용 영상 광선의 원편광을 변환한 직선편광만이 좌안용 렌즈(14)를 투과하므로,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3D 안경(11)을 장착함으로써, 장착자는 3D 화상 표시 장치로부터의 영상 광선에 기초하여 3D 입체 화상을 인식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only the linearly polarized light obtained by converting the circularly polarized light of the right eye video light beam passes through the right eye lens 13, and only the linearly polarized light converted by the circularly polarized light of the left eye video light beam passes through the left eye lens 14. By mounting the 3D glasses 11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wearer can recognize the 3D stereoscopic image based on the video light beam from the 3D image display device.

또, 당해 3D 안경(11)은 우안용 렌즈(13) 및 좌안용 렌즈(14)가 삼차원으로 만곡하고 있으므로, 디자인성이 우수한 제품으로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당해 3D 안경(11)은 화상 표시 장치를 보기 위해서만 사용하지 않고, 예를 들면 옥외 등의 편광 선글라스의 용도로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In addition, since the right eye lens 13 and the left eye lens 14 are curved in three dimensions, the 3D eyeglasses 11 can be a product having excellent design. Therefore, the 3D glasses 11 can be used not only for viewing the image display device but also for use in polarized sunglasses, for example, outdoors.

당해 3D 안경용 광학 시트(1)는 위상차 필름(3)의 주성분으로서 시클로올레핀 코폴리머 또는 시클로올레핀 폴리머가 사용되고 있다. 그 때문에, 이 위상차 필름(3)은 곡면 형상 등을 형성하기 위해서 열성형을 행하는 등, 열이나 응력을 부가해도 복굴절성의 변화가 생기기 어렵다. 즉, 시클로올레핀 코폴리머 또는 시클로올레핀 폴리머는 광탄성계수가 낮아, 열이나 응력에 의한 위상차의 변화가 작으므로, 열성형시 등에도 복굴절성이 유지되기 쉽다. 이 때문에, 당해 3D 안경용 광학 시트(1)는 원하는 복굴절성 및 원하는 곡면 형상을 가지는 3D 안경용 렌즈로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당해 3D 안경용 광학 시트(1)는 시인자의 시선 방향과 대략 수직인 렌즈면이 되도록 곡면 형상을 형성함으로써, 시인자의 눈의 피로를 저감하여, 사용의 장시간화를 촉진할 수 있다. 또, 당해 3D 안경용 광학 시트(1)는 원하는 곡면 형상 등을 형성함으로써, 안경의 의장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당해 3D 안경용 광학 시트(1)는 위상차 필름(3)의 표면측에 기재 필름(2)이 적층되고, 기재 필름(2)의 두께가 상기 범위로 되어 있으므로, 기재 필름(2)에 의해 위상차 필름(3)에 대한 상처 형성을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당해 3D 안경용 광학 시트(1)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 결과, 당해 3D 안경용 광학 시트(1)는 적합하게 반복 사용할 수 있다.As the main component of the retardation film 3, a cycloolefin copolymer or a cycloolefin polymer is used for the 3D glasses optical sheet 1. Therefore, this retardation film 3 hardly produces birefringence even if heat or stress is added, for example, thermoforming to form a curved shape or the like. That is, the cycloolefin copolymer or the cycloolefin polymer has a low photoelastic coefficient and a small change in retardation caused by heat or stress, so that birefringence is easily maintained even during thermoforming. For this reason, the said optical sheet 1 for 3D glasses can be used suitably as a lens for 3D glasses which has a desired birefringence and a desired curved shape. The optical sheet 1 for 3D glasses can form a curved surface so as to have a lens surface that 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viewer's line of sight, thereby reducing eye fatigue of the viewer and facilitating prolonged use. Moreover, the designability of the glasses can be improved by the optical sheet 1 for 3D glasses forming a desired curved shape or the like. In addition, since the base film 2 is laminated | stacked on the surface side of the retardation film 3, and the thickness of the base film 2 is the said range, the said optical sheet 1 for 3D glasses is made of the base film 2 by The wound formation to the retardation film 3 can be prevented, and the durability of the optical sheet 1 for 3D glasses can be improved. As a result, the said 3D glasses optical sheet 1 can be used suitably repeatedly.

당해 3D 안경용 광학 시트(1)는 기재 필름(2)의 주성분의 광탄성계수의 절대값이 상기 범위로 되어 있으므로, 기재 필름(2)의 열이나 응력에 의한 위상차의 변화를 저감할 수 있고, 곡면 형상으로 형성해도 원하는 복굴절성을 얻을 수 있다.Since the absolute value of the photoelastic coefficient of the main component of the base film 2 is the said range, the said 3D glasses optical sheet 1 can reduce the change of phase difference by the heat and stress of the base film 2, and can be curved Even if formed in a shape, desired birefringence can be obtained.

당해 3D 안경용 광학 시트(1)는 기재 필름(2)의 주성분이 아크릴 수지인 것에 의해, 기재 필름(2)의 열이나 응력에 의한 위상차의 변화를 거의 없앨 수 있고, 곡면 형상으로 형성해도 원하는 복굴절성을 얻을 수 있다. 또, 당해 3D 안경용 광학 시트(1)는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기재 필름(2)의 상처 형성 방지성, 내구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당해 3D 안경용 광학 시트(1)는 기재 필름(2)의 주성분이 시클로올레핀 코폴리머 또는 시클로올레핀 폴리머인 것에 의해, 기재 필름(2)의 열이나 응력에 의한 위상차의 변화를 저감할 수 있고, 곡면 형상으로 형성해도 원하는 복굴절성을 얻을 수 있다.Since the main component of the base film 2 is an acrylic resin, the said 3D glasses optical sheet 1 can almost eliminate the change of phase difference by the heat and the stress of the base film 2, and even if it forms in a curved shape, desired birefringence You can get the last name. Moreover, according to such a structure, the said 3D glasses optical sheet 1 can improve the wound formation prevention property, durability, etc. of the base film 2. Moreover, since the main component of the base film 2 is a cycloolefin copolymer or a cycloolefin polymer, the said 3D glasses optical sheet 1 can reduce the change of phase difference by the heat and stress of the base film 2, Even if formed in a curved shape, desired birefringence can be obtained.

당해 3D 안경(11)은 위상차 필름(3)의 주성분으로서 시클로올레핀 코폴리머 또는 시클로올레핀 폴리머가 사용되고 있다. 그 때문에, 당해 3D 안경(11)은 우안용 렌즈(13) 및 좌안용 렌즈(14)를 곡면 형상 등으로 형성하기 위해서 열성형을 행하는 등, 열이나 응력을 부가해도 위상차 필름(3)의 복굴절성의 변화가 생기기 어렵다. 이 때문에, 당해 3D 안경(11)은 우안용 렌즈(13) 및 좌안용 렌즈(14)를 곡면 형상으로 형성한 경우에도 용이하게 원하는 복굴절 작용을 얻을 수 있다. 당해 3D 안경(11)은 우안용 렌즈(13) 및 좌안용 렌즈(14)를 시인자의 시선 방향과 대략 수직인 렌즈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시인자의 눈의 피로를 저감하여, 사용의 장시간화를 촉진할 수 있다. 또, 당해 3D 안경(11)은 우안용 렌즈(13) 및 좌안용 렌즈(14)를 원하는 곡면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의장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당해 3D 안경(11)은 위상차 필름(3)의 표면측에 기재 필름(2)이 적층되고, 기재 필름(2)의 두께가 상기 범위로 되어 있으므로, 기재 필름(2)에 의해 위상차 필름(3)에 대한 상처 형성을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당해 3D 안경(11)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 결과, 당해 3D 안경(11)은 적합하게 반복 사용할 수 있다.As the main component of the retardation film 3, the 3D glasses 11 are cycloolefin copolymers or cycloolefin polymers. Therefore, the 3D glasses 11 perform birefringence to form the right eye lens 13 and the left eye lens 14 in a curved shape or the like, even if heat or stress is added to the birefringence of the phase difference film 3. It is difficult to change sex. For this reason, the 3D glasses 11 can easily obtain a desired birefringence effect even when the right eye lens 13 and the left eye lens 14 are formed in a curved shape. The 3D glasses 11 forms the right eye lens 13 and the left eye lens 14 in a lens shape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visual direction of the viewer, thereby reducing the eye fatigue of the viewer and promoting prolonged use. can do. In addition, the design of the 3D glasses 11 can be improved by forming the right eye lens 13 and the left eye lens 14 in a desired curved shape. In addition, since the base film 2 is laminated | stacked on the surface side of the retardation film 3, and the thickness of the base film 2 is the said range, the said 3D glasses 11 are retardation film by the base film 2 The wound formation to (3) can be prevented, and the durability of the said 3D glasses 11 can be improved. As a result, the 3D glasses 11 can be repeatedly used suitably.

또, 당해 3D 안경(11)은 우안용 렌즈(13)의 진상축 방향이 우안용 렌즈(13)의 편광판(4)의 투과축 방향에 대해 일방향측에서 약45°의 각도로 배열설치되고, 좌안용 렌즈(14)의 진상축 방향이 좌안용 렌즈(14)의 편광판(4)의 투과축 방향에 대해 타방향측에서 약45°의 각도로 배열설치되어 있으므로, 우안용 렌즈(13)에는 일방향의 회전 방향의 원편광만이 투과하고, 좌안용 렌즈(14)에는 타방향의 회전 방향의 원편광만이 투과하게 된다. 이 때문에, 당해 3D 안경(11)에 의하면, 시인자는 입체 화상 표시 장치로부터 출사되는 우안용 영상 광선을 우안으로 시인하고, 좌안용 영상 광선을 좌안으로 시인할 수 있어, 3D 입체 화상을 적합하게 인식할 수 있다.In the 3D glasses 11, the fast axis direction of the right eye lens 13 is arranged at an angle of about 45 ° from one side with respect to the transmission axis direction of the polarizing plate 4 of the right eye lens 13, Since the fast axis direction of the left eye lens 14 is arranged at an angle of about 45 ° from the other side with respect to the transmission axis direction of the polarizing plate 4 of the left eye lens 14, the right eye lens 13 Only circularly polarized light in one direction of rotation is transmitted, and only circularly polarized light in one direction of rotation is transmitted to the left eye lens 14. For this reason, according to the said 3D glasses 11, a viewer can visually recognize the right-eye image light beam radiate | emitted from a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apparatus, and can recognize a left-eye video light beam to the left eye, and recognizes a 3D stereoscopic image suitably. can do.

[그 밖의 실시형태]Other Embodiments

또한, 본 발명의 3D 안경용 광학 시트 및 이것을 사용한 3D 안경은 상기 태양 외에 각종 변경, 개량을 시행한 태양으로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3D 안경용 광학 시트는 편광판의 이면측에 보호 필름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이러한 보호 필름의 주성분으로서는 기재 필름과 마찬가지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이러한 보호 필름의 첨가제, 광탄성계수, 연필경도, 리타데이션값에 대해서는 기재 필름과 마찬가지이다. 보호 필름의 두께(평균 두께)로서는 기재 필름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당해 3D 안경용 광학 시트는 이러한 보호 필름을 가지는 것에 의해, 내구성, 취급 용이성 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Moreover, the optical sheet for 3D glasses of this invention and the 3D glasses using this can be implemented with the aspect which performed various changes and improvement other than the said aspect. For example, the optical sheet for 3D glasses may be equipped with the protective film in the back surface side of a polarizing plate. As a main component of such a protective film, the thing similar to a base film can be used. Moreover, about the additive, photoelastic coefficient, pencil hardness, and retardation value of such a protective film, it is the same as that of a base film. As thickness (average thickness) of a protective film, it is preferable that it is below a base film. The optical sheet for 3D glasses can further improve durability, ease of handling, and the like by having such a protective film.

또, 상기 실시형태의 3D 안경에 있어서는, 우안용 렌즈의 편광판의 투과축 방향과 좌안용 렌즈의 편광판의 투과축 방향을 일치시킨 것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예를 들면, 우안용 렌즈의 편광판의 투과축 방향과 좌안용 렌즈의 편광판의 투과축 방향을 서로 직교하도록 배열설치하여(예를 들면, 수평 방향에 대해, 일방을 좌회전 방향 45° 경사시키고, 타방을 우회전 방향으로 45° 경사시켜 배열설치하여), 우안용 렌즈의 위상차 필름의 진상축 방향과 좌안용 렌즈의 위상차 필름의 진상축 방향을 일치시키고, 상기 각 진상축 방향을 상기 투과축 방향에 대해 약45°의 각도로 배열설치하는(진상축 방향을 수평 방향으로 배열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Moreover, in the 3D glasses of the said embodiment, although what demonstrated the transmission axis direction of the polarizing plate of the right eye lens and the transmission axis direction of the polarizing plate of the left eye lens was demonstrated,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That is, for example, the transmission axis direction of the polarizing plate of the right eye lens and the transmission axis direction of the polarizing plate of the left eye lens are arranged so as to b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for example, one side is inclined at 45 ° to the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arranging the other by inclining the other by 45 ° in the right rotation direction), and matching the fast-axis direction of the retardation film of the right-eye lens with the fast-axis direction of the retardation film of the left-eye lens. It is also possible to arrange them at an angle of about 45 ° with respect to them (arrange the fast axi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또, 당해 3D 안경용 광학 시트는 편광판과 위상차 필름 사이에 중간층을 설치하는 것도 적당히 설계 변경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기재층의 일면에 편광판을 적층 접착하고, 타방의 면에 위상차 필름을 적층 접착하는 것도 가능하다.Moreover, the said optical sheet for 3D glasses can also change design suitably also providing an intermediate | middle layer between a polarizing plate and retardation film. Specifically, it is also possible to laminate-bond a polarizing plate to one surface of a base material layer and to laminate-bond a retardation film to the other surface.

또한, 당해 3D 안경용 광학 시트는 위상차 필름이 반드시 1/4 파장판일 필요는 없고, 3D 입체 화상 표시 장치에 따라 적당히 변경해도 된다.In addition, the said 3D glasses optical sheet does not necessarily need to be a quarter wave plate, and you may change suitably according to a 3D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3D 안경용 광학 시트는 곡면 형상 등으로 형성해도 원하는 복굴절성이 얻어짐과 아울러, 우수한 내구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3D 안경용 광학 시트 및 이것을 사용한 3D 안경은 3D 입체 화상 표시 장치를 시인할 때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even when the optical sheet for 3D glasse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to a curved shape or the like, desired birefringence is obtained and excellent durability. Therefore, the optical sheet for 3D glass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3D glasses using the same can be suitably used when viewing the 3D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1…3D 안경용 광학 시트 2…기재 필름
3…위상차 필름 4…편광판
11…3D 안경 12…프레임
13…우안용 렌즈 14…좌안용 렌즈
One… Optical sheet for 3D glasses; Base film
3 ... Retardation film 4... Polarizer
11 ... 3D glasses 12... frame
13 ... Right eye lens 14... Left eye lens

Claims (11)

기재 필름과,
이 기재 필름의 이면측에 적층되고, 평면 방향으로 복굴절성을 가지는 위상차 필름과,
이 위상차 필름의 이면측에 적층되는 편광판을 구비하고,
상기 위상차 필름이 주성분으로서 시클로올레핀 코폴리머 또는 시클로올레핀 폴리머를 포함하고,
상기 기재 필름의 두께가 300μm 이상 2000μ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안경용 광학 시트.
Base film,
Retardation film laminated | stacked on the back surface side of this base film, and having birefringence in a planar direction,
The polarizing plate laminated | stacked on the back surface side of this retardation film is provided,
The retardation film comprises a cycloolefin copolymer or a cycloolefin polymer as a main component,
The thickness of the said base film is 300 micrometers or more and 2000 micrometers or less, The optical sheet for 3D glasses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 필름의 주성분의 광탄성계수의 절대값이 10×10-12Pa-1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안경용 광학 시트.The optical sheet for 3D glasse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bsolute value of the photoelastic coefficient of the main component of the base film is 10 x 10 -12 Pa -1 or less.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 필름의 주성분이 아크릴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안경용 광학 시트.The optical sheet for 3D glasses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main component of the base film is an acrylic resin.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 필름의 주성분이 시클로올레핀 코폴리머 또는 시클로올레핀 폴리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안경용 광학 시트.The optical sheet for 3D glasses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main component of the base film is a cycloolefin copolymer or a cycloolefin polym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 필름의 연필경도가 H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안경용 광학 시트.The pencil hardness of the said base film is H or more, The optical sheet for 3D glasses of Claim 1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 필름의 면방향 리타데이션값(Ro값)이 100n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안경용 광학 시트.The surface direction retardation value (Ro value) of the said base film is 100 nm or less, The optical sheet for 3D glasses of Claim 1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제 1 항에 있어서, 두께가 350μm 이상 2100μ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안경용 광학 시트.The optical sheet for 3D glasse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hickness is 350 µm or more and 2100 µm or les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판의 이면측에 보호 필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안경용 광학 시트.The optical sheet for 3D glasses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protective film on the back side of the polarizing pla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차 필름의 진상축 방향과 편광판의 투과축 방향이 약45°의 각도로 배열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안경용 광학 시트.The optical sheet for 3D glasse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ast axis direction of the retardation film and the transmission axis direction of the polarizing plate are arranged at an angle of about 45 degrees. 제 9 항에 기재된 3D 안경용 광학 시트를 각각 포함하는 우안용 렌즈 및 좌안용 렌즈를 구비하고,
상기 우안용 렌즈의 위상차 필름의 진상축 방향이 우안용 렌즈의 편광판의 투과축 방향에 대해 일방향측에서 약45°의 각도로 배열설치되어 있고,
상기 좌안용 렌즈의 위상차 필름의 진상축 방향이 좌안용 렌즈의 편광판의 투과축 방향에 대해 타방향측에서 약45°의 각도로 배열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안경.
A right eye lens and a left eye lens each comprising the optical sheet for 3D glasses according to claim 9,
The fast axis direction of the phase difference film of the said right eye lens is arrange | positioned at the angle of about 45 degrees with respect to the transmission axis direction of the polarizing plate of the right eye lens,
3D glasses, characterized in that the fast axis direction of the retardation film of the left eye lens is arranged at an angle of about 45 ° from the other side with respect to the transmission axis direction of the polarizing plate of the left eye lens.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우안용 렌즈 및 좌안용 렌즈의 렌즈 커브가 3 이상 6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안경.The 3D glasses according to claim 10, wherein the lens curves of the right eye lens and the left eye lens are 3 or more and 6 or less.
KR1020120102046A 2011-09-15 2012-09-14 Optical sheet for 3d glasses and 3d glasses KR20130029746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201634A JP2013061600A (en) 2011-09-15 2011-09-15 Optical sheet for three-dimentional (3d) glasses and 3d glasses
JPJP-P-2011-201634 2011-09-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9746A true KR20130029746A (en) 2013-03-25

Family

ID=47927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2046A KR20130029746A (en) 2011-09-15 2012-09-14 Optical sheet for 3d glasses and 3d glasses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13061600A (en)
KR (1) KR20130029746A (en)
CN (1) CN102998732B (en)
TW (1) TWI470276B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02672A1 (en) * 2019-07-02 2021-01-07 주식회사 엘지화학 Injection molded produc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85194B (en) * 2014-04-08 2016-07-13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3D glasses, flexible displays and 3D display device
JP6938455B2 (en) * 2014-05-07 2021-09-22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Protective equipment for spectacle wearers
JP7107756B2 (en) * 2018-06-05 2022-07-27 ポリプラ・エボニック株式会社 Sheet and sheet manufacturing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225006B (en) * 2001-06-01 2004-12-11 Mitsubishi Gas Chemical Co Palsitc forming bodies having optical color features and/or light deflecting features
JPWO2008020570A1 (en) * 2006-08-18 2010-01-07 東レ株式会社 Acrylic resin film
KR101625693B1 (en) * 2007-10-11 2016-05-30 리얼디 인크. Curved optical filters
JP2010039220A (en) * 2008-08-05 2010-02-18 Miyoshi Industrial Enterprise Inc Polarizing len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CN101598830B (en) * 2009-07-10 2010-09-08 深圳市三利谱光电科技有限公司 Reusable three-dimensional polarized glass polarizer and glasses using same
US20110193248A1 (en) * 2010-02-09 2011-08-11 Roger Wen-Yi Hsu Method and Appartus for Making Retarder in Stereoscopic Glasses
JP5871455B2 (en) * 2010-02-23 2016-03-01 山本光学株式会社 Circularly polarizing plate and circularly polarizing lens, and circularly polarizing glasses
CN201773194U (en) * 2010-09-07 2011-03-23 深圳市盛波光电科技有限公司 Polarizer for solid polarizing glasses
CN102135638A (en) * 2011-03-07 2011-07-27 深圳市盛波光电科技有限公司 Flexible glue type polarizer for 3D stereo glasse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02672A1 (en) * 2019-07-02 2021-01-07 주식회사 엘지화학 Injection molded product
KR20210003689A (en) * 2019-07-02 2021-01-12 주식회사 엘지화학 Injection-molded Produc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470276B (en) 2015-01-21
JP2013061600A (en) 2013-04-04
CN102998732A (en) 2013-03-27
CN102998732B (en) 2015-06-17
TW201312166A (en) 2013-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04094B1 (en) Protective film for polarizing film and polarizing multilayer body
US9921351B2 (en) Multilayered optical film,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TWI590942B (en)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including the same
KR102412038B1 (en) ELONGATED CIRCULARLY POLARIZING PLATE, ELONGATED BROADBAND λ/4 PLAT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5104373B2 (en) Production method of retardation plate
JP5263069B2 (en) Retardation plate manufacturing method, retardation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6050569B2 (en) Circular polarizing lens for 3D viewing and glasses using the same
US10464272B2 (en) Phase difference plate manufacturing method, phase difference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O2017010218A1 (en) Polarizable molded body
KR102577635B1 (en) Optical laminate and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 optical laminate
KR20130029746A (en) Optical sheet for 3d glasses and 3d glasses
KR20190039441A (en) Optical laminate and image display device
KR102627997B1 (en) Optical laminates and image display devices
JP2008225283A (en)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20100073607A1 (en) Optical fil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453814B1 (en) Optical film and polarization sunglass
KR20200100054A (en) Circular polarizer, long broadband λ/4 plat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and liquid crystal display
KR20140138689A (en) Retarder manufacturing method
JP5541273B2 (en) Production method of retardation plate
JP5282821B2 (en) Production method of retardation plate
KR20120116357A (en) Phase difference film for glasses, optical sheet for 3d glasses and 3d glasses
JP2013200408A (en) Retardation plat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KR20110109247A (en) Circular polarized fil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13011725A (en) Bi-layered film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