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9662A - 원격 제어 장치, 방송 수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원격 제어 장치, 방송 수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9662A
KR20130029662A KR20110093067A KR20110093067A KR20130029662A KR 20130029662 A KR20130029662 A KR 20130029662A KR 20110093067 A KR20110093067 A KR 20110093067A KR 20110093067 A KR20110093067 A KR 20110093067A KR 20130029662 A KR20130029662 A KR 201300296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and
macro
control
input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100930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99442B1 (ko
Inventor
안영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930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9442B1/ko
Priority to EP12162621.2A priority patent/EP2571279B1/en
Priority to ES12162621.2T priority patent/ES2650594T3/es
Priority to US13/615,011 priority patent/US9124917B2/en
Priority to CN201210345447.3A priority patent/CN103000021B/zh
Publication of KR201300296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96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94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94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1Dedicated function buttons, e.g. for the control of an EPG, subtitles, aspect ratio, picture-in-picture or teletex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26Reprogrammable remote contro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7Providing Remote input by a user located remotely from the client device, e.g. at 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방송 수신 장치를 제어하는 원격 제어 장치가 개시된다. 본 원격 제어 장치는 방송 수신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어 명령을 순차적으로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매크로 기능 설정 명령이 입력되면, 매크로 기능 설정 명령의 입력 시점 이전까지 입력된 제어 명령에 따라 매크로 명령을 생성하는 제어부 및 매크로 명령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원격 제어 장치, 방송 수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Remote controller device,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원격 제어 장치, 방송 수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격 제어 장치에 매크로 기능을 설정하여 방송 수신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원격 제어 장치, 방송 수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 기술의 발전에 따라, 리모컨을 이용하여 방송 수신 장치의 다양한 기능을 제어할 수 있게 되었다. 특히, 리모컨에 매크로 기능을 설정하면, 기입력된 제어 명령이 순차적으로 방송 수신 장치로 전달되므로, 사용자들은 방송 수신 장치의 특정 동작을 보다 쉽게 제어할 수 있었다.
한편, 종래에 리모컨에 매크로 기능을 설정하는 방식은 다음과 같았다. 매크로 등록 시작 키를 입력하고 매크로 기능으로 설정하고자 하는 리모컨 키를 순차적으로 입력하면, 리모컨은 사용자가 입력한 리모컨 키의 IR 코드 및 시간 간격 정보를 저장하였다. 이 후, 매크로 등록 종료 키를 입력하면 특정 매크로 기능이 설정되었다.
하지만, 이와 같은 방식에 의할 경우, 매크로 기능을 등록하기 위해 등록 시작 키를 입력해야 하므로 사용자에게 번거러움을 느끼게 하였으며, 실수로 등록 시작 키를 누르지 못한 경우 매크로 기능을 설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또한, 현재 방송 수신 장치의 상태를 고려하지 않고 단순히 사용자 기입력한 리모컨 키를 바탕으로 매크로 기능이 수행된다는 점에서, 사용자의 의도와 다르게 방송 수신 장치가 제어되는 경우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이에 따라, 현재 방송 수신 장치의 상태를 고려함과 동시에 보다 간단히 매크로 기능을 설정할 수 있는 방안의 모색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매크로 기능 설정 명령이 입력되면 그 이전 시점까지 입력된 제어 명령에 따라 매크로 명령을 생성하는 원격 제어 장치, 방송 수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방송 수신 장치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상태 정보에 대응되는 상태로 방송 수신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매크로 명령을 생성하는 원격 제어 장치, 방송 수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를 제어하는 원격 제어 장치는 상기 방송 수신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어 명령을 순차적으로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매크로 기능 설정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매크로 기능 설정 명령의 입력 시점 이전까지 입력된 제어 명령에 따라 매크로 명령을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매크로 명령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명령을 상기 방송 수신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명령에 따른 상기 방송 수신 장치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태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매크로 기능 설정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상태 정보에 대응되는 상태로 상기 방송 수신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매크로 명령을 생성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상태 정보는, 상기 방송 수신 장치의 채널 상태, 볼륨 상태, 입력 소스 상태, 음향 모드 상태, 화면 비율 상태 및 화면 밝기 상태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기저장된 상태 정보를 이후 수신된 상태 정보로 갱신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매크로 명령에 대한 탐색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매크로 명령 중 기 설정된 조건에 부합되는 매크로 명령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매크로 기능 설정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상태 정보에 대응되는 상태로 상기 방송 수신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매크로 명령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매크로 명령에 대한 매크로 타이틀을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자동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방송 수신 장치의 EPG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상태 정보에 대응되는 매크로 타이틀을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매크로 명령은, 채널 선국 명령 및 볼륨 조정 명령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매크로 명령에 포함되는 제어 명령 중 하나를 상기 방송 수신 장치로 전송한 후, 상기 방송 수신 장치가 상기 제어 명령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면 상기 매크로 명령에 포함된 후속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태 정보는, 암호화된 정보임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저장부는,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되는 상태 정보를 일시 저장하는 임시 저장 영역 및 상기 임시 저장 영역에 저장된 상태 정보를 백업하는 자동 저장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태 정보를 수신 후 기 설정된 대기 시간 이내에 매크로 기능 설정 명령이 미입력되면 상기 임시 저장 영역에 저장된 상태 정보를 상기 자동 저장 영역으로 백업하고, 상기 임시 저장 영역을 초기화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동 저장 영역에 백업된 상태 정보들 중 기 설정된 횟수 이상 반복되는 상태 정보가 존재하면, 상기 반복되는 상태 정보를 매크로 기능으로 설정할 것을 추천하는 추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매크로 기능 설정 명령의 입력 시점 이전의 기 설정된 단위 시간 동안 입력된 제어 명령을 조합하여 상기 매크로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저장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되는 제어 명령을 일시 저장하는 임시 저장 영역 및 상기 임시 저장 영역에 저장된 제어 명령을 백업하는 자동 저장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위 시간 경과 후 기 설정된 대기 시간 이내에 상기 매크로 기능 설정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단위 시간 동안 입력된 제어 명령을 조합하여 상기 매크로 명령을 생성하고, 상기 단위 시간 경과 후 기 설정된 대기 시간 이내에 상기 매크로 기능 설정 명령이 미 입력되면 상기 임시 저장 영역에 저장된 제어 명령을 상기 자동 저장 영역으로 백업하고, 상기 임시 저장 영역을 초기화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동 저장 영역에 백업된 제어 명령 패턴들 중 기 설정된 횟수 이상 반복되는 제어 명령 패턴이 존재하면, 상기 반복되는 제어 명령 패턴을 매크로 기능으로 설정할 것을 추천하는 추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는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제어 명령을 입력받고, 상기 제어 명령에 따라 제어된 상기 방송 수신 장치의 상태 정보를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 전송하는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방송 수신 장치의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매크로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매크로 명령에 포함된 복수의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방송 수신 장치의 상태를 변경한다.
이 경우, 상기 상태 정보는, 상기 방송 수신 장치의 채널 상태, 볼륨 상태, 입력 소스 상태, 음향 모드 상태, 화면 비율 상태 및 화면 밝기 상태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를 제어하는 원격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방송 수신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어 명령을 순차적으로 입력받는 단계, 매크로 기능 설정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매크로 기능 설정 명령의 입력 시점 이전까지 입력된 제어 명령에 따라 매크로 명령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매크로 명령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명령을 상기 방송 수신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명령에 따른 상기 방송 수신 장치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매크로 명령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상태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매크로 기능 설정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상태 정보에 대응되는 상태로 상기 방송 수신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매크로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상태 정보는, 상기 방송 수신 장치의 채널 상태, 볼륨 상태, 입력 소스 상태, 음향 모드 상태, 화면 비율 상태 및 화면 밝기 상태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기저장된 상태 정보를 이후 수신된 상태 정보로 갱신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된 매크로 명령에 대한 탐색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저장된 매크로 명령 중 기 설정된 조건에 부합되는 매크로 명령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크로 명령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매크로 기능 설정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상태 정보에 대응되는 상태로 상기 방송 수신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매크로 명령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매크로 명령에 대한 매크로 타이틀을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자동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크로 명령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방송 수신 장치의 EPG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상태 정보에 대응되는 매크로 타이틀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크로 명령은, 채널 선국 명령 및 볼륨 조정 명령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매크로 명령에 포함되는 제어 명령 중 하나를 상기 방송 수신 장치로 전송한 후, 상기 방송 수신 장치가 상기 제어 명령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면 상기 매크로 명령에 포함된 후속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태 정보는 암호화된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원격 제어 장치는, 상기 수신되는 상태 정보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임시 저장 영역 및 저장된 상태 정보를 백업하는 자동 저장 영역을 포함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태 정보를 수신 후 기 설정된 대기 시간 이내에 매크로 기능 설정 명령이 미입력되면 상기 임시 저장 영역에 저장된 상태 정보를 상기 자동 저장 영역으로 백업하고, 상기 임시 저장 영역을 초기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동 저장 영역에 백업된 상태 정보들 중 기 설정된 횟수 이상 반복되는 상태 정보가 존재하면, 상기 반복되는 상태 정보를 매크로 기능으로 설정할 것을 추천하는 추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크로 명령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매크로 기능 설정 명령의 입력 시점 이전의 기 설정된 단위 시간 동안 입력된 제어 명령을 조합하여 상기 매크로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격 제어 장치는, 상기 입력되는 제어 명령을 일시 저장하는 임시 저장 영역 및 상기 임시 저장 영역에 저장된 제어 명령을 백업하는 자동 저장 영역을 포함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매크로 명령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단위 시간 경과 후 기 설정된 대기 시간 이내에 상기 매크로 기능 설정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단위 시간 동안 입력된 제어 명령을 조합하여 상기 매크로 명령을 생성하고, 상기 단위 시간 경과 후 기 설정된 대기 시간 이내에 상기 매크로 기능 설정 명령이 미 입력되면 상기 임시 저장 영역에 저장된 제어 명령을 상기 자동 저장 영역으로 백업하고, 상기 임시 저장 영역을 초기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동 저장 영역에 백업된 제어 명령 패턴들 중 기 설정된 횟수 이상 반복되는 제어 명령 패턴이 존재하면, 상기 반복되는 제어 명령 패턴을 매크로 기능으로 설정할 것을 추천하는 추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의 제어 방법은,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제어 명령을 입력받고, 상기 제어 명령에 따라 제어된 상기 방송 수신 장치의 상태 정보를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매크로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매크로 명령에 포함된 복수의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방송 수신 장치의 상태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상태 정보는, 상기 방송 수신 장치의 채널 상태, 볼륨 상태, 입력 소스 상태, 음향 모드 상태, 화면 비율 상태 및 화면 밝기 상태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별도의 매크로 등록 시작의 입력 없이 제어 명령이 입력된 후 매크로 기능을 설정할 수 있다는 점에서, 보다 사용자들은 보다 편리하게 매크로 기능을 설정할 수 있으며, 방송 수신 장치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매크로 기능을 설정한다는 점에서, 방송 수신 장치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매크로 기능 설정을 설명하기 위한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3a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로부터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5a 내지 도 5g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기저장된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매크로 기능을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저장된 매크로 명령에 따라 방송 수신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를 제어하는 원격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의 방송 수신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매크로 기능 설정을 설명하기 위한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시스템은 원격 제어 장치(100)와 방송 수신 장치(200)를 포함한다.
방송 수신 장치(200)는 원격 제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제어 명령에 따라 제어된 방송 수신 장치의 상태 정보를 원격 제어 장치로 전송한다. 여기에서, 상태 정보는 방송 수신 장치의 채널 상태 정보, 볼륨 상태 정보, 입력 소스 상태 정보, 음향 모드 상태 정보, 화면 비율 상태 정보 및 화면 밝기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채널 상태, 볼륨 상태, 음향 모드 상태, 화면 비율 상태 및 화면 밝기 상태는 현재 방송 수신 장치가 선국하는 채널 정보, 볼륨 크기 정보, 음향 모드 정보(예를 들면, 모노 또는 스테레오), 화면 비율 정보(예를 들면, 16:9 또는 4:3), 화면 밝기 정보를 각각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입력 소스 상태란 현재 방송 수신 장치가 영상 신호 및 오디오 신호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받는 소스에 대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으며, 입력 소스는 방송 수신 장치에 구비된 S-Video, 컴포넌트, 컴포지트, D-Sub, DVI,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등이 될 수 있다.
그리고, 방송 수신 장치(200)는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매크로 명령이 입력되면 매크로 명령에 포함된 복수의 제어 명령에 따라 방송 수신 장치의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여기에서, 매크로 명령은, 방송 수신 장치가 전송한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채널 변경 명령, 볼륨 조정 명령, 입력 소스 변경 명령, 음향 모드 변경 명령, 화면 비율 변경 명령 및 화면 밝기 변경 명령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방송 수신 장치로부터 전송된 채널 상태, 볼륨 상태, 입력 소스 상태, 음향 모드 상태, 화면 비율 상태 및 화면 밝기 상태로 방송 수신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일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방송 수신 장치(200)는 디지털 TV 등이 해당 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외부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며 원격 제어 장치(100)로부터 전송되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동작할 수 있는 장치 예를 들어, 피시(PC), 노트북, PMP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원격 제어 장치(100)는 방송 수신 장치(200)를 제어하기 위해 입력된 적어도 하나의 제어 명령을 방송 수신 장치(200)로 전송하고, 그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의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원격 제어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매크로 기능 설정 명령이 입력되면 매크로 기능 설정 명령의 입력 시점 이전까지 입력된 제어 명령에 따라 매크로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원격 제어 장치(100)는 매크로 기능 설정 명령의 입력 시점 이전의 기설정된 단위 시간 동안 입력된 제어 명령을 조합하여 매크로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또는, 원격 제어 장치(100)는 방송 수신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태 정보에 대응되는 상태로 방송 수신 장치(200)를 제어하기 위한 매크로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원격 제어 장치(100)는 매크로 명령에 포함되는 제어 명령을 방송 수신 장치(200)로 전송함으로써, 방송 수신 장치(200)의 채널, 볼륨, 입력 소스, 음향 모드, 화면 비율 및 화면 밝기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원격 제어 장치는 매크로 기능 설정 명령의 입력 시점 이전의 기설정된 단위 시간 동안 입력된 제어 명령을 조합하여 매크로를 생성하고 방송 수신 장치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매크로를 생성한다는 점에서, 매크로 설정을 시작하기 위한 별도의 초기 명령 없이 사용자가 원하는 시점에서 매크로를 설정할 수 있으며, 방송 수신 장치에 최적화된 매크로를 설정할 수 있게 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격 제어 장치(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 제어부(120) 및 저장부(130)를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는 방송 수신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어 명령을 순차적으로 입력받는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는 방송 수신 장치에서 지원하는 각종 기능을 사용자가 설정 또는 선택할 수 있는 다수의 기능키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는 터치패드와 같이 입력과 출력이 동시에 구현되는 장치로 구현될 수 있고, 키패드 및 표시 장치의 결합을 통한 장치로도 구현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는 터치패드 또는 표시 장치를 통해 매크로 기능 설정 및 매크로 탐색 등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 창을 표시할 수 있다.
저장부(130)는 매크로 명령을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저장부(13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입력되는 제어 명령을 일시 저장하는 임시 저장 영역 및 임시 저장 영역에 저장된 제어 명령을 백업하는 자동 저장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저장부(130)는 휘발성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EE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및 HDD(Hard Disk Drive) 등으로 구현가능하다.
제어부(120)는 원격 제어 장치(100) 내의 각 구성을 제어하여, 원격 제어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12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매크로 기능 설정 명령이 입력되면, 매크로 기능 설정 명령의 입력 시점 이전까지 입력된 제어 명령에 따라 매크로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0)는 매크로 기능 설정 명령의 입력 시점 이전의 기설정된 단위 시간 동안 입력된 제어 명령을 조합하여 매크로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즉,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입력된 제어 명령들 중 매크로 기능 설정 명령의 입력 전 소정 시간 동안 입력된 제어 명령을 매크로 명령으로 생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0)는 단위 시간 경과 후 기설정된 대기 시간 이내에 매크로 기능 설정 명령이 입력되면, 단위 시간 동안 입력된 제어 명령을 조합하여 매크로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20)는 생성된 매크로 명령을 저장부(130)에 저장하며, 저장부(130)의 임시 저장 영역에 저장된 제어 명령을 삭제하여 임시 저장 영역을 초기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정 시간 동안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채널 다운", "볼륨 업", "채널 업", "채널 업"의 제어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20)는 입력된 제어 명령을 저장부(130)의 임시 저장 영역에 저장한다.
그리고, 마지막 제어 명령이 입력된 후 기설정된 대기 시간 이내에 매크로 기능 설정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20)는 소정 시간 동안 입력된 제어 명령 중 매크로 기능 설정 명령이 입력되기 이전의 기설정된 단위 시간 동안 입력된 제어 명령, 예를 들면, "채널 업", "채널 업"을 매크로 명령으로 생성하여 저장부(130)에 저장할 수 있다. 이 후, 제어부(120)는 저장부(130)에 저장된 "채널 다운", "볼륨 업", "채널 업", "채널 업"의 제어 명령을 삭제하여 임시 저장 영역을 초기화한다.
여기에서, 대기 시간 및 매크로 명령으로 생성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포함하는 단위 시간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가능하다.
또한, 제어부(120)는 매크로 기능 설정 명령이 입력되기 이전이 아닌, 마지막으로 입력된 제어 명령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단위 시간 동안 입력된 제어 명령을 조합하여 매크로 명령을 생성할 수도 있다.
즉, 상술한 예에서, 마지막으로 입력된 제어 명령인 "채널 업"을 기준으로, 그 이전에 기설정된 단위 시간 동안 입력된 제어 명령 예를 들어, "볼륨 업", "채널 업", "채널 업"을 매크로 명령으로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20)는 단위 시간 경과 후 기 설정된 대기 시간 이내에 매크로 기능 설정 명령이 미입력되면, 임시 저장 영역에 저장된 제어 명령을 자동 저장 여역으로 백업하고 임시 저장 영역을 초기화할 수 있다.
즉, 상술한 실시 예에서, 제어부(120)는 임시 저장 영역에 저장된 "채널 다운", "볼륨 업", "채널 업", "채널 업"을 자동 저장 영역으로 백업하고, 임시 저장 영역에 저장된 제어 명령들을 삭제하여 임시 저장 영역을 초기화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20)는 자동 저장 영역에 백업된 제어 명령 패턴들 중 기설정된 횟수 이상 반복되는 제어 명령 패턴이 존재하면, 반복되는 제어 명령 패턴을 매크로 기능으로 설정할 것을 추천하는 추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채널 다운", "볼륨 업", "(채널 설정을 위한)숫자 버튼 1", "(채널 설정을 위한)숫자 버튼 1", "볼륨 다운", "채널 업", "(채널 설정을 위한)숫자 버튼 1", "(채널 설정을 위한)숫자 버튼 1"의 제어 명령이 자동 저장 영역에 저장된 경우를 상정한다.
이 경우, "(채널 설정을 위한)숫자 버튼 1", "(채널 설정을 위한)숫자 버튼 1"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제어 명령 패턴들이 2회 이상 반복되므로, 제어부(120)는 "(채널 설정을 위한)숫자 버튼 1", "(채널 설정을 위한)숫자 버튼 1"을 매크로 기능으로 설정할 것을 추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에서, 기설정된 횟수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가능하다.
다만,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매크로 기능으로 설정할 것을 추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이 원격 제어 장치(100)에 구비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으로 상정하였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다. 즉, 원격 제어 장치(100)는 매크로 기능 설정을 추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이 방송 수신 장치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되도록 하는 제어 명령을 방송 수신 장치로 전송할 수도 있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격 제어 장치(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 제어부(120), 저장부(130) 및 인터페이스부(140)를 포함한다. 한편, 도 2b를 설명함에 있어, 도 2a과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는 구성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는 점에서, 이들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인터페이스부(14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입력된 적어도 하나의 제어 명령을 방송 수신 장치로 전송하고, 적어도 하나의 제어 명령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의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태 정보는 방송 수신 장치의 채널 상태, 볼륨 상태, 입력 소스 상태, 음향 모드 상태, 화면 비율 상태 및 화면 밝기 상태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한편, 상태 정보는 방송 수신 장치에서 암호화되어 인터페이스부(140)로 전송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인터페이스부(140)는 방송 수신 장치에 대한 IR 코드 셋 중 사용자의 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IR 코드를 방송 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IR 송신부(미도시) 및 방송 수신 장치에서 전송하는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IR 수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인터페이스부(140)는 방송 수신 장치와 양방향 무선 통신을 통해 제어 명령을 전송하고, 제어 명령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의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양방향 무선 통신이란, BT(BlueTooth), RF(Radio Frequency), WI-FI(Wireless Fiedlity), HDMI-CEC(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Wireless HDMI-CE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상태 정보를 저장부(130)에 저장하고, 매크로 기능 설정 명령이 입력되면 상태 정보에 대응되는 상태로 방송 수신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매크로 명령을 생성하여 저장부(130)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예로, 인터페이스부(140)에서 방송 수신 장치의 채널 상태가 "채널 11"임을 나타내는 채널 상태 정보가 수신되어 저장부(130)에 저장되고 매크로 기능 설정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20)는 방송 수신 장치의 채널을 "채널 11"로 변경하기 위한 IR 코드를 해당 매크로 기능에 매핑시킬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추후 설정된 매크로 기능을 실행하면 방송 수신 장치의 채널이 "채널 11"로 변경될 수 있도록, 제어부(120)는 채널 설정을 위한 숫자 버튼 1에 대응되는 IR 코드 및 채널 설정을 위한 숫자 버튼 1에 대응되는 IR 코드를 매크로 명령으로 생성하여 저장부(13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기저장된 상태 정보를 이후 수신된 상태 정보로 갱신하여 저장부(130)에 저장할 수 있다.
즉, 제어 명령이 인터페이스부(140)를 통해 순차적으로 방송 수신 장치로 전송되어 제어 명령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의 상태 정보가 순차적으로 수신된 경우, 제어부(120)는 순차적으로 수신된 상태 정보를 덮어 쓰기하여, 마지막으로 수신된 상태 정보만이 저장부(130)에 저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에서, 채널 상태 정보는 채널 상태 정보끼리 덮어 쓰기되어 마지막으로 수신된 채널 상태 정보만이 저장부(130)에 저장되고, 볼륨 상태 정보는 볼륨 상태 정보끼리 덮어 쓰기되어 마지막으로 수신된 볼륨 상태 정보만이 저장부(130)에 저장될 수 있다. 즉, 채널 상태 정보 및 볼륨 상태 정보는 별도로 관리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입력 소스 상태 정보, 음향 모드 상태 정보, 화면 비율 상태 정보 및 화면 밝기 상태 정보도 개별적으로 덮어 쓰기되어, 마지막으로 수신된 입력 소스 상태 정보, 음향 모드 상태 정보, 화면 비율 상태 정보 및 화면 밝기 상태 정보 각각이 저장부(13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저장부(130)에 저장된 매크로 명령에 대한 탐색 명령이 입력되면, 저장부(130)에 저장된 매크로 명령 중 기설정된 조건에 부합되는 매크로 명령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는 매크로 명령이 디스플레이되는 요일 또는 시간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표시할 수 있으며, 제어부(12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통해 입력된 요일 또는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매크로 명령이 특정 요일 또는 특정 시간대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 명령에 따라 특정 매크로 명령은 "매주 수요일", "19:00 ~ 20:00"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설정된 경우, 제어부(120)는 매크로 탐색 명령이 "매주 수요일", "19:00 ~ 20:00" 사이에 입력된 경우에만 해당 매크로 명령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일 예로, 제어부(120)는 매크로 기능을 설정함에 있어, 매크로 기능을 설정하는 시간 정보가 매크로 명령과 함께 저장부(130)에 저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매크로 명령이 디스플레이되기 위한 시간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별도로 입력받지 않아도, 제어부(120)는 저장부(130)에 저장된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 매크로 명령을 특정 요일 또는 특정 시간대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일 예로, "채널 11", "볼륨 16"의 상태로 방송 수신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매크로 명령이 "월요일 9시 50분"에 생성된 경우, 제어부(120)는 "월요일", "19시 50분"의 시간 정보를 방송 수신 장치의 채널 및 볼륨을 "채널 11", "볼륨 16"로 변경하기 위한 IR 코드와 함께 저장부(130)에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20)는 "매주 월요일", "19:00 ~ 20:00" 사이에 매크로 탐색 명령이 입력되면, "채널 11", "볼륨 16"에 대응되는 매크로 명령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매크로 기능 설정 명령이 입력되면, 상태 정보에 대응되는 상태로 방송 수신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매크로 명령을 생성하고, 생성된 매크로 명령에 대한 매크로 타이틀을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자동 생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어부(120)는 방송 수신 장치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정보에 기초하여, 상태 정보에 대응되는 매크로 타이틀을 생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인터페이스부(140)는 상태 정보와 함께 EPG 정보를 방송 수신 장치로부터 수신할 수 있으며, 또한, 외부 서버(미도시)로부터 EPG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부(120)는 EPG 정보에 포함된 프로그램 이름에 기초하여, 방송 수신 장치의 채널 상태 정보에 대응되는 매크로 타이틀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예로, 방송 수신 장치로부터 현재 채널 상태가 "채널 11"임을 나타내는 상태 정보와 함께 EPG 정보를 수신한 경우를 상정한다.
이 경우, 제어부(120)는 매크로 기능 설정 명령에 따라 방송 수신 장치의 채널을 "채널 11"로 변경하기 위한 매크로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EPG 정보에 기초하여 "채널 11"에서 현재 방송 중인 프로그램 명이 "스타워즈"라면, 제어부(120)는 "채널 11"로 변경하기 위한 매크로 명령의 매크로 타이틀을 "스타워즈"로 자동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매크로 명령에 포함되는 제어 명령 중 하나를 방송 수신 장치로 전송한 후, 방송 수신 장치가 제어 명령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면 매크로 명령에 포함된 후속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여기에서, 매크로 명령은 채널 선국 명령 또는 볼륨 조정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인터페이스부(140)를 통해 방송 수신 장치로 채널 선국 명령을 전송하면, 그에 따른 응답으로 방송 수신 장치로부터 채널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인터페이스부(140)를 통해 채널 상태 정보가 수신되면 볼륨 조정 명령을 방송 수신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매크로 명령에 포함된 제어 명령을 방송 수신 장치로 순차적으로 전송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채널 선국 명령을 먼저 전송하는 것으로 상정하였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며, 볼륨 조정 명령을 먼저 전송하여 방송 수신 장치로부터 볼륨 상태 정보가 수신되면 채널 선국 명령을 전송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채널 선국 명령과 불륨 조정 명령이 매크로 명령에 포함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는 일 예에 불과하다. 즉, 입력 소스 변경 명령, 음향 모드 변경 명령, 화면 비율 상태 변경 명령 및 화면 밝기 변경 명령도 매크로 명령에 포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일 예로, 매크로 명령에 입력 소스를 "HDMI 포트"로 변경하기 위한 하기 위한 입력 소스 변경 명령과 화면 비율 상태를 "와이드(16:9)"로 변경하기 위한 화면 비율 상태 변경 명령이 포함된다고 상정한다.
이 경우, 해당 매크로 명령이 사용자로부터 선택되면 인터페이스부(140)를 통해 방송 수신 장치로 입력 소스 변경 명령을 전송하고, 그에 따른 응답으로 방송 수신 장치로부터 입력 소스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20)는 인터페이스부(140)를 통해 입력 소스 상태 정보가 수신되면 화면 비율 상태 변경 명령을 방송 수신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저장부(130)는 인터페이스부(140)를 통해 입력되는 상태 정보를 일시 저장하는 임시 저장 영역 및 임시 저장 영역에 저장된 상태 정보를 백업하는 자동 저장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20)는 상태 정보를 수신 후 기 설정된 대기 시간 이내에 매크로 기능 설정 명령이 미입력되면 임시 저장 영역에 저장된 상태 정보를 자동 저장 영역으로 백업하고, 임시 저장 영역을 초기화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20)는 자동 저장 영역에 백업된 상태 정보들 중 기 설정된 횟수 이상 반복되는 상태 정보가 존재하면, 반복되는 상태 정보를 매크로 기능으로 설정할 것을 추천하는 추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볼륨 16", "채널 11", "채널 10, "채널 11", "볼륨 15", "볼륨 16"의 상태 정보가 자동 저장 영역에 저장된 경우를 상정한다.
이 경우, "채널 11", "볼륨 16"의 상태 정보가 2회 이상 반복되므로, 제어부(120)는 "채널 11", "볼륨 16"을 매크로 기능으로 설정할 것을 추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에서, 기설정된 횟수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가능하다.
다만,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매크로 기능으로 설정할 것을 추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이 원격 제어 장치(100)에 구비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으로 상정하였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다. 즉, 원격 제어 장치(100)는 매크로 기능 설정을 추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이 방송 수신 장치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되도록 하는 제어 명령을 방송 수신 장치로 전송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채널 11", "볼륨 16"에 대응되는 상태로 방송 수신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매크로 명령이 생성되는 것을 상정하였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다. 즉, "채널 11"대응되는 상태로 방송 수신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1 매크로 명령 및 "볼륨 16"에 대응되는 상태로 방송 수신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2 매크로 명령을 각각 설정할 것을 추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a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 수신 장치(200)는 인터페이스부(210) 및 제어부(220)를 포함한다.
인터페이스부(210)는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제어 명령을 입력받고, 제어 명령에 따라 제어된 방송 수신 장치의 상태 정보를 원격 제어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태 정보는 방송 수신 장치의 채널 상태 정보, 볼륨 상태 정보, 입력 소스 상태 정보, 음향 모드 상태 정보, 화면 비율 상태 정보 및 화면 밝기 상태 정보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인터페이스부(210)는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전송된 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IR 코드를 수신하는 IR 수신부(미도시) 및 원격 제어 장치로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IR 송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인터페이스부(210)는 원격 제어 장치와 양방향 무선 통신을 통해 제어 명령을 전송하고, 제어 명령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의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양방향 무선 통신이란, BT(BlueTooth), RF(Radio Frequency), WI-FI(Wireless Fiedlity), HDMI-CEC(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Wireless HDMI-CE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방송 수신 장치(200) 내의 각 구성을 제어하여, 방송 수신 장치(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220)는 제어 명령에 따라 방송 수신 장치의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220)는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된 제어 명령에 따라, 채널 변경, 볼륨 조정, 입력 소스 변경, 음향 모드 변경, 화면 비율 변경 및 화면 밝기 변경 등의 동작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20)는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매크로 입력이 입력되면, 매크로 명령에 포함된 복수의 제어 명령에 따라 방송 수신 장치의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여기에서, 매크로 명령은 방송 수신 장치의 채널 변경 명령, 볼륨 조정 명령, 입력 소스 변경, 음향 모드 변경, 화면 비율 변경 및 화면 밝기 변경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220)는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입력된 매크로 입력에 기초하여, 방송 수신 장치의 채널 변경, 볼륨 조정, 입력 소스 변경, 음향 모드 변경, 화면 비율 변경 및 화면 밝기 변경 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20)는 상태 정보를 원격 제어 장치로 전송함에 있어, 상태 정보를 암호화하여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20)는 원격 제어 장치와의 사이에서 기정의된 암호키를 이용하여 상태 정보를 암호화하여, 원격 제어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암호화 방식의 일 예로 RSA(Rivesr Shamir Adleman) 암호화 방식을 들 수 있다.
일 예로, 방송 수신 장치가 인터넷 망을 이용하여 특정 웹 사이트에 로그인 하기 위해,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비밀번호를 입력받는 경우를 상정한다.
이 경우, 사용자는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비밀번호 "ABCD"를 입력받아 방송 수신 장치로 전달하면, 제어부(220)는 전달받은 비밀번호 "ABCD"를 암호화하여 암호화된 값(예를 들어, "RFCV")을 생성한다. 이 후, 제어부(220)는 인터페이스부(210)를 제어하여 암호화된 값 "RFCV"을 방송 수신 장치의 상태 정보로서 원격 제어 장치로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원격 제어 장치는 암호화된 값 "RFCV"을 저장하거나, 방송 수신 장치와 동일한 암호화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된 값을 복호화하여 "ABCD"를 저장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로부터 매크로 기능 설정 명령이 입력되면 "ABCD"에 대응되는 IR 코드를 해당 매크로 기능에 매핑시켜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다만, 매크로 타이틀은 "암호 RFCV 입력" 또는 "암호 입력"으로 설정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다른 사용자가 원격 제어 장치에서 매크로 탐색 명령을 실행하여도 "암호 RFCV 입력" 또는 "암호 입력"이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에 표시되므로, 개인 정보 유출 등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 수신 장치(200)는 인터페이스부(210), 제어부(220), 수신부(230), 신호 분리부(240), A/V 처리부(250) 및 디스플레이부(260)를 포함한다. 한편, 도 3b를 설명함에 있어, 도 3a과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는 구성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는 점에서, 이들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수신부(230)은 방송국 또는 위성으로부터 유선 또는 무선으로 방송을 수신하여 복조한다. 구체적으로 수신부(230)는 적어도 하나의 튜너로 구현가능하다. 경우에 따라서 수신부(230)는 복수 개의 튜너를 구비하여, 복수 개의 채널에서 동시에 방송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신호분리부(240)는 방송신호를 영상신호, 음성신호, 방송정보로 분리한다. 그리고, 신호분리부(240)는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를 A/V처리부(250)로 전송하고, 방송정보를 인터페이스부(210) 및 제어부(220)로 전송한다.
A/V 처리부(250)는 신호분리부(240)에서 입력되는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에 대해 비디오 디코딩, 비디오 스케일링, 오디오 디코딩 등의 신호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A/V 처리부(250)는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부(260)로 출력하고, 음성신호를 오디오 출력부(미도시)로 출력한다.
디스플레이부(260)는 A/V 처리부(250)에서 출력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거나 외부 출력단자를 통해 연결된 외부기기(예를 들면, 외부 디스플레이)로 출력한다.
오디오 출력부(미도시)는 A/V 처리부(250)에서 출력되는 음성을 스피커를 통해 출력시키거나, 외부 출력단자를 통해 연결된 외부기기(예를 들면, 외부 스피커)로 출력한다.
또한, 본 방송 수신 장치(200)는 방송 수신 장치를 인터넷 등의 통신망에 연결하거나 또는 외부 서버와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연결부(미도시), 화면에 표시될 GUI를 생성하고, 생성한 GUI를 A/V처리부(250)에서 출력되는 영상에 부가하는 GUI 생성부(미도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로부터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 수신 장치(310)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현재 채널은 "채널 9"인 것으로 상정한다.
이 후,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격 제어 장치(400)를 통해 "채널 업" 명령이 방송 수신 장치로 전송되면, 방송 수신 장치(320)의 채널이 "채널 10"으로 변경된다. 이 경우, 방송 수신 장치(320)는 현재 채널 상태가 "채널 10"임을 나타내는 상태 정보를 원격 제어 장치(400)로 전송하고, 원격 제어 장치(400)는 해당 채널 상태 정보를 저장한다.
이 후,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격 제어 장치(400)를 통해 "채널 업" 명령이 방송 수신 장치로 전송되면, 방송 수신 장치(330)의 채널이 "채널 11"으로 변경된다. 이 경우, 방송 수신 장치(330)는 현재 채널 상태가 "채널 10"임을 나타내는 상태 정보를 원격 제어 장치(400)로 전송하고, 원격 제어 장치(400)는 해당 채널 상태 정보를 저장한다.
여기에서, 원격 제어 장치(400)는 기저장된 채널 정보를 이후 수신된 채널 정보로 갱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즉, 원격 제어 장치(400)는 기 저장된 방송 수신 장치의 채널 상태 정보인 "채널 10"을 "채널 11"로 덮어 씌어 저장할 수 있다.
이 후,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격 제어 장치(400)를 통해 "볼륨 업" 명령이 방송 수신 장치로 전송되면, 방송 수신 장치(340)의 볼륨이 "볼륨 16"으로 변경된다. 이 경우, 방송 수신 장치(340)는 현재 볼륨 상태가 "볼륨 16"임을 나타내는 상태 정보를 원격 제어 장치(400)로 전송하고, 원격 제어 장치(400)는 해당 볼륨 상태 정보를 저장한다.
이에 따라, 원격 제어 장치(400)에는 방송 수신 장치의 현재 채널 상태 및 현재 볼륨 상태가 각각 "채널 11", "볼륨 16"임을 나타내는 상태 정보가 저장되게 된다.
도 5a 내지 도 5g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기저장된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매크로 기능을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격 제어 장치(400)에 구비된 특정 버튼(예를 들면, 매트로 설정 키)를 입력하면, 원격 제어 장치(400)에 마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 매크로 설정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430)이 표시된다.
이 후, 사용자가 "예"를 선택하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크로 타이틀을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440)에 표시된다. 여기에서, 매크로 타이틀은 기저장된 상태 정보(예를 들어, 1. CH11, Vol 16) 또는 프로그램 명(예를 들어, 2. 주말 드라마 시청)이 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440)에 표시된 "3. 사용자 설정"를 선택하여,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450)을 통해 매크로 타이틀을 직접 입력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1. CH11, Vol 16", "2. 주말 드라마 시청", "3. 사용자 설정" 중 하나를 선택하여 매크로 타이틀을 설정할 수 있다.
매크로 타이틀의 설정이 완료되면,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크로 활성 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470)이 표시될 수 있다. 여기에서, 매크로 활성 시간은 저장된 매크로 명령이 표시되는 특정 요일 또는 특정 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
사용자는 도 5d에 도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470)에서 "1. 항상", "2. 사용자 설정" 중 하나를 선택하여 매크로 활성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1. 항상"은 방송 수신 장치의 전원을 온 시키기 위한 제어 명령이 입력된 순간부터 매크로 명령이 활성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2. 사용자 설정"이 선택되면 도 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크로 활성 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480)이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도 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트로 명령이 활성되는 특정 요일을 "매주 토요일", 특정 시간을 "18:00 ~ 19:00"으로 설정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이는 일 예에 불과할 뿐, 매크로 활성 시간은 다양한 범위에서 설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매크로 활성 시간의 설정이 완료되면, 도 5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크로 설정의 완료 여부를 문의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480)이 표시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자가 "예"를 선택하면, 매크로 기능 설정이 완료되게 된다.
한편, 매크로 기능 설정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원격 제어 장치(400)에 구비된 특정 버튼(예를 들면, 매트로 탐색 키)를 입력하여, 원격 제어 장치(400)에 기저장된 매크로 명령을 확인할 수 있다.
상술한 도 5a 내지 도 5f에서 사용자는 "주말 드라마 시청"을 매크로 타이틀로 설정하여 매크로 명령 2을 생성하고, 매크로 명령 1은 매크로 명령 2를 생성하기 전에 기저장되어 있던 것으로 상정한다.
이에 따라, 도 5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격 제어 장치에 저장된 매크로 명령은 "1. CH9, Vol 20", "2. 주말 드라마 시청"인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에서, "1. CH9, Vol 20"는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매크로 명령의 타이틀이 결정된 경우이고, "2. 주말 드라마 시청"는 프로그램 명에 기초하여 매크로 명령의 타이틀이 결정된 경우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저장된 매크로 명령에 따라 방송 수신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사용자가 원격 제어 장치(400)에 구비된 특정 버튼(예를 들면, 매크로 탐색 키)를 입력하면, 원격 제어 장치(400)에 기저장된 매크로 명령들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 디스플레이된다.
일 예로,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매크로 탐색 명령에 따라 기저장된 매크로 명령들 즉, "1. CH9, Vol 20", "2. 주말 드라마 시청"이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610)에 디스플레이된다.
이 후, 사용자가 "1. CH9, Vol 20"을 선택하면 원격 제어 장치는 방송 수신 장치의 채널 상태 및 볼륨 상태를 "CH 9, Vol 20"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 수신 장치(520)의 채널은 "CH 9"로 변경되며, 볼륨은 "Vol 20"으로 변경되게 된다.
한편, 원격 제어 장치에서 방송 수신 장치의 채널 상태 및 볼륨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도 6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채널 상태를 "CH 9"로 변경하기 위해, 채널 설정을 위한 숫자 버튼 9에 대응되는 IR 코드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볼륨 상태를 "Vol 20"으로 변경하기 위해, 원격 제어 장치는 일단 "볼륨 업" 또는 "볼륨 다운" 명령을 방송 수신 장치로 전송한다. 이에 대한 응답으로, 원격 제어 장치는 방송 수신 장치의 볼륨 상태 정보를 수신하게 된다.
예를 들어, 방송 수신 장치로부터 수신된 볼륨 상태 정보가 "Vol 17"이라면, 원격 제어 장치는 "볼륨 업" 명령을 순차적으로 3번 전송하여 방송 수신 장치의 볼륨 상태를 "Vol 20"으로 변경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방송 수신 장치를 제어하는 원격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에 따르면, 우선, 방송 수신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어 명령을 순차적으로 입력받는다(S710).
이어서, 매크로 기능 설정 명령이 입력되는지 확인한다(S720).
S720 단계에서 매크로 기능 설정 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확인되면(S720:Y), 매크로 기능 설정 명령의 입력 시점 이전까지 입력된 제어 명령에 따라 매크로 명령을 생성한다(S730).
이 후, S730 단계에서 생성된 매크로 명령을 저장한다(S740).
또한, 적어도 하나의 제어 명령을 방송 수신 장치로 전송하고, 적어도 하나의 제어 명령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의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매크로 명령을 생성하는 S730 단계에서는, 상태 정보를 저장하고, 매크로 기능 설정 명령이 입력되면 상태 정보에 대응되는 상태로 방송 수신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매크로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태 정보는, 방송 수신 장치의 채널 상태 및 볼륨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기저장된 상태 정보를 이후 수신된 상태 정보로 갱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저장된 매크로 명령에 대한 탐색 명령이 입력되면, 저장된 매크로 명령 중 기 설정된 조건에 부합되는 매크로 명령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매크로 명령을 생성하는 S730 단계에서는, 매크로 기능 설정 명령이 입력되면, 상태 정보에 대응되는 상태로 방송 수신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매크로 명령을 생성하고, 생성된 매크로 명령에 대한 매크로 타이틀을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자동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매크로 명령을 생성하는 S730 단계에서는, 방송 수신 장치의 EPG 정보에 기초하여, 상태 정보에 대응되는 매크로 타이틀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매크로 명령은, 채널 선국 명령 및 볼륨 조정 명령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매크로 명령에 포함되는 제어 명령 중 하나를 상기 방송 수신 장치로 전송한 후, 상기 방송 수신 장치가 상기 제어 명령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면 상기 매크로 명령에 포함된 후속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태 정보는 암호화된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원격 제어 장치는, 수신되는 상태 정보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임시 저장 영역 및 저장된 상태 정보를 백업하는 자동 저장 영역을 포함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며, 상태 정보를 수신 후 기 설정된 대기 시간 이내에 매크로 기능 설정 명령이 미입력되면 임시 저장 영역에 저장된 상태 정보를 자동 저장 영역으로 백업하고, 임시 저장 영역을 초기화할 수 있다.
또한, 자동 저장 영역에 백업된 상태 정보들 중 기 설정된 횟수 이상 반복되는 상태 정보가 존재하면, 반복되는 상태 정보를 매크로 기능으로 설정할 것을 추천하는 추천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매크로 명령을 생성하는 S730 단계에서는, 매크로 기능 설정 명령의 입력 시점 이전의 기 설정된 단위 시간 동안 입력된 제어 명령을 조합하여 매크로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원격 제어 장치는, 입력되는 제어 명령을 일시 저장하는 임시 저장 영역 및 임시 저장 영역에 저장된 제어 명령을 백업하는 자동 저장 영역을 포함하는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매크로 명령을 생성하는 S730 단계에서는, 단위 시간 경과 후 기 설정된 대기 시간 이내에 상기 매크로 기능 설정 명령이 입력되면 단위 시간 동안 입력된 제어 명령을 조합하여 상기 매크로 명령을 생성하고, 상기 단위 시간 경과 후 기 설정된 대기 시간 이내에 매크로 기능 설정 명령이 미 입력되면 임시 저장 영역에 저장된 제어 명령을 상기 자동 저장 영역으로 백업하고, 임시 저장 영역을 초기화할 수 있다.
또한, 자동 저장 영역에 백업된 제어 명령 패턴들 중 기 설정된 횟수 이상 반복되는 제어 명령 패턴이 존재하면, 반복되는 제어 명령 패턴을 매크로 기능으로 설정할 것을 추천하는 추천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방송 수신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방송 수신 장치의 제어 방법에 따르면, 우선,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제어 명령을 입력받고, 제어 명령에 따라 제어된 상기 방송 수신 장치의 상태 정보를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 전송한다(S810).
이어서,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매크로 명령이 입력되면 매크로 명령에 포함된 복수의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방송 수신 장치의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S820).
여기서, 상태 정보는, 방송 수신 장치의 채널 상태 정보 및 볼륨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 및 방송수신 장치의 제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저장매체, 즉, 컴퓨터 판독 기록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 판독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 판독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라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컴퓨터 판독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110 :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120 : 제어부
130 : 저장부

Claims (32)

  1. 방송 수신 장치를 제어하는 원격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방송 수신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어 명령을 순차적으로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매크로 기능 설정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매크로 기능 설정 명령의 입력 시점 이전까지 입력된 제어 명령에 따라 매크로 명령을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매크로 명령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원격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명령을 상기 방송 수신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명령에 따른 상기 방송 수신 장치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태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매크로 기능 설정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상태 정보에 대응되는 상태로 상기 방송 수신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매크로 명령을 생성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정보는,
    상기 방송 수신 장치의 채널 상태, 볼륨 상태, 입력 소스 상태, 음향 모드 상태, 화면 비율 상태 및 화면 밝기 상태 중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기저장된 상태 정보를 이후 수신된 상태 정보로 갱신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매크로 명령에 대한 탐색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매크로 명령 중 기 설정된 조건에 부합되는 매크로 명령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매크로 기능 설정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상태 정보에 대응되는 상태로 상기 방송 수신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매크로 명령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매크로 명령에 대한 매크로 타이틀을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자동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방송 수신 장치의 EPG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상태 정보에 대응되는 매크로 타이틀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매크로 명령은,
    채널 선국 명령 및 볼륨 조정 명령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매크로 명령에 포함되는 제어 명령 중 하나를 상기 방송 수신 장치로 전송한 후, 상기 방송 수신 장치가 상기 제어 명령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면 상기 매크로 명령에 포함된 후속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정보는 암호화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되는 상태 정보를 일시 저장하는 임시 저장 영역 및 상기 임시 저장 영역에 저장된 상태 정보를 백업하는 자동 저장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태 정보를 수신 후 기 설정된 대기 시간 이내에 매크로 기능 설정 명령이 미입력되면 상기 임시 저장 영역에 저장된 상태 정보를 상기 자동 저장 영역으로 백업하고, 상기 임시 저장 영역을 초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동 저장 영역에 백업된 상태 정보들 중 기 설정된 횟수 이상 반복되는 상태 정보가 존재하면, 상기 반복되는 상태 정보를 매크로 기능으로 설정할 것을 추천하는 추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매크로 기능 설정 명령의 입력 시점 이전의 기 설정된 단위 시간 동안 입력된 제어 명령을 조합하여 상기 매크로 명령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되는 제어 명령을 일시 저장하는 임시 저장 영역 및 상기 임시 저장 영역에 저장된 제어 명령을 백업하는 자동 저장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위 시간 경과 후 기 설정된 대기 시간 이내에 상기 매크로 기능 설정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단위 시간 동안 입력된 제어 명령을 조합하여 상기 매크로 명령을 생성하고, 상기 단위 시간 경과 후 기 설정된 대기 시간 이내에 상기 매크로 기능 설정 명령이 미 입력되면 상기 임시 저장 영역에 저장된 제어 명령을 상기 자동 저장 영역으로 백업하고, 상기 임시 저장 영역을 초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동 저장 영역에 백업된 제어 명령 패턴들 중 기 설정된 횟수 이상 반복되는 제어 명령 패턴이 존재하면, 상기 반복되는 제어 명령 패턴을 매크로 기능으로 설정할 것을 추천하는 추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장치.
  15. 방송 수신 장치에 있어서,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제어 명령을 입력받고, 상기 제어 명령에 따라 제어된 상기 방송 수신 장치의 상태 정보를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 전송하는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방송 수신 장치의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매크로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매크로 명령에 포함된 복수의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방송 수신 장치의 상태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정보는,
    상기 방송 수신 장치의 채널 상태, 볼륨 상태, 입력 소스 상태, 음향 모드 상태, 화면 비율 상태 및 화면 밝기 상태 중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장치.
  17. 방송 수신 장치를 제어하는 원격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송 수신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어 명령을 순차적으로 입력받는 단계;
    매크로 기능 설정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매크로 기능 설정 명령의 입력 시점 이전까지 입력된 제어 명령에 따라 매크로 명령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매크로 명령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명령을 상기 방송 수신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명령에 따른 상기 방송 수신 장치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매크로 명령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상태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매크로 기능 설정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상태 정보에 대응되는 상태로 상기 방송 수신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매크로 명령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정보는,
    상기 방송 수신 장치의 채널 상태, 볼륨 상태, 입력 소스 상태, 음향 모드 상태, 화면 비율 상태 및 화면 밝기 상태 중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기저장된 상태 정보를 이후 수신된 상태 정보로 갱신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된 매크로 명령에 대한 탐색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저장된 매크로 명령 중 기 설정된 조건에 부합되는 매크로 명령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22.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매크로 명령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매크로 기능 설정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상태 정보에 대응되는 상태로 상기 방송 수신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매크로 명령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매크로 명령에 대한 매크로 타이틀을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자동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매크로 명령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방송 수신 장치의 EPG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상태 정보에 대응되는 매크로 타이틀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24.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매크로 명령은,
    채널 선국 명령 및 볼륨 조정 명령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매크로 명령에 포함되는 제어 명령 중 하나를 상기 방송 수신 장치로 전송한 후, 상기 방송 수신 장치가 상기 제어 명령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면 상기 매크로 명령에 포함된 후속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25.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정보는 암호화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26.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제어 장치는,
    상기 수신되는 상태 정보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임시 저장 영역 및 저장된 상태 정보를 백업하는 자동 저장 영역을 포함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태 정보를 수신 후 기 설정된 대기 시간 이내에 매크로 기능 설정 명령이 미입력되면 상기 임시 저장 영역에 저장된 상태 정보를 상기 자동 저장 영역으로 백업하고, 상기 임시 저장 영역을 초기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저장 영역에 백업된 상태 정보들 중 기 설정된 횟수 이상 반복되는 상태 정보가 존재하면, 상기 반복되는 상태 정보를 매크로 기능으로 설정할 것을 추천하는 추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2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매크로 명령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매크로 기능 설정 명령의 입력 시점 이전의 기 설정된 단위 시간 동안 입력된 제어 명령을 조합하여 상기 매크로 명령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제어 장치는,
    상기 입력되는 제어 명령을 일시 저장하는 임시 저장 영역 및 상기 임시 저장 영역에 저장된 제어 명령을 백업하는 자동 저장 영역을 포함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매크로 명령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단위 시간 경과 후 기 설정된 대기 시간 이내에 상기 매크로 기능 설정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단위 시간 동안 입력된 제어 명령을 조합하여 상기 매크로 명령을 생성하고, 상기 단위 시간 경과 후 기 설정된 대기 시간 이내에 상기 매크로 기능 설정 명령이 미 입력되면 상기 임시 저장 영역에 저장된 제어 명령을 상기 자동 저장 영역으로 백업하고, 상기 임시 저장 영역을 초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저장 영역에 백업된 제어 명령 패턴들 중 기 설정된 횟수 이상 반복되는 제어 명령 패턴이 존재하면, 상기 반복되는 제어 명령 패턴을 매크로 기능으로 설정할 것을 추천하는 추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31. 방송 수신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제어 명령을 입력받고, 상기 제어 명령에 따라 제어된 상기 방송 수신 장치의 상태 정보를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매크로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매크로 명령에 포함된 복수의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방송 수신 장치의 상태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정보는,
    상기 방송 수신 장치의 채널 상태, 볼륨 상태, 입력 소스 상태, 음향 모드 상태, 화면 비율 상태 및 화면 밝기 상태 중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KR1020110093067A 2011-09-15 2011-09-15 원격 제어 장치, 방송 수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7994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3067A KR101799442B1 (ko) 2011-09-15 2011-09-15 원격 제어 장치, 방송 수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EP12162621.2A EP2571279B1 (en) 2011-09-15 2012-03-30 Remote controller apparatus,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ES12162621.2T ES2650594T3 (es) 2011-09-15 2012-03-30 Aparato de control a distancia, aparato receptor de difusión y procedimiento de control del mismo
US13/615,011 US9124917B2 (en) 2011-09-15 2012-09-13 Remote controller apparatus,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201210345447.3A CN103000021B (zh) 2011-09-15 2012-09-17 遥控器设备、广播接收设备和控制广播接收设备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3067A KR101799442B1 (ko) 2011-09-15 2011-09-15 원격 제어 장치, 방송 수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9662A true KR20130029662A (ko) 2013-03-25
KR101799442B1 KR101799442B1 (ko) 2017-11-21

Family

ID=46331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3067A KR101799442B1 (ko) 2011-09-15 2011-09-15 원격 제어 장치, 방송 수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124917B2 (ko)
EP (1) EP2571279B1 (ko)
KR (1) KR101799442B1 (ko)
CN (1) CN103000021B (ko)
ES (1) ES2650594T3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52571B2 (en) 2014-03-24 2018-04-24 Xiaomi Inc. Method and terminal device for controlling smart home applian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52576B2 (en) 2012-10-16 2018-04-24 Sonos, Inc. Methods and apparatus to learn and share remote commands
US9258508B2 (en) * 2013-03-15 2016-02-09 Time Warner Cable Enterprises Llc IR pairing for RF4CE remote controls
CN104157115A (zh) * 2013-12-26 2014-11-19 浙江工商大学 基于云服务的网络型万能遥控装置及方法
CN103905871B (zh) * 2014-03-24 2016-08-17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智能家电控制方法、装置及终端
US20150325109A1 (en) * 2014-05-09 2015-11-12 Looq System Inc. Quick Remote Control Method and Device
KR102269473B1 (ko) * 2014-10-24 2021-06-28 삼성전자주식회사 제어 장치, 그의 제어 방법 및 통합 제어 시스템
KR102609545B1 (ko) * 2016-08-16 2023-12-05 삼성전자주식회사 파워 제어 장치, 시스템 및 방법
KR102507161B1 (ko) * 2016-09-27 2023-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주변 기기의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방법
US11350153B2 (en) * 2020-04-03 2022-05-31 Charter Communications Operating, Llc Remote control with automated audio and video selection control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57459A (en) 1986-05-29 1988-07-12 Cincinnati Milacron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programming a computer operated robot arm using macro instructions
GB2233128B (en) 1989-05-01 1993-12-01 Honda Motor Co Ltd Method of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control program
CA2295756C (en) * 1997-06-25 2003-04-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Browser based command and control home network
US6690392B1 (en) * 1999-07-15 2004-02-10 Gateway, Inc. Method system software and signal for automatic generation of macro commands
TW456112B (en) * 1999-12-10 2001-09-21 Sun Wave Technology Corp Multi-function remote control with touch screen display
CA2329693A1 (en) * 2000-12-28 2002-06-28 Bruce C. Lundeen Reconfigurable remote control unit with preprogrammed macro functions and method
US7602413B2 (en) * 2002-10-18 2009-10-13 Sony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mage-capturing device and method, recording medium, and program
US9131272B2 (en) * 2003-11-04 2015-09-08 Universal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saving and recalling state data for media and home appliances
US7363028B2 (en) * 2003-11-04 2008-04-22 Universal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device location determination
KR101000923B1 (ko) 2004-01-08 2010-12-13 삼성전자주식회사 원격 제어기의 매크로 설정 장치 및 방법
JP3832664B2 (ja) 2004-06-28 2006-10-11 シャープ株式会社 遠隔操作装置、操作装置、遠隔操作装置の遠隔操作方法、操作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100647915B1 (ko) * 2004-08-31 2006-11-23 주식회사 오성전자 원격제어장치
CN1971653A (zh) * 2005-11-25 2007-05-30 乐金电子(沈阳)有限公司 具备宏功能的遥控器及使用该遥控器的电视机
KR100647914B1 (ko) 2006-07-27 2006-11-23 주식회사 오성전자 원격제어장치
US8863189B2 (en) 2008-02-19 2014-10-14 AT&T Intellectual Properties I, LP System for configuring soft keys in a media communication system
KR101611540B1 (ko) * 2008-05-27 2016-04-12 삼성전자주식회사 제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JP2010068259A (ja) 2008-09-11 2010-03-25 Sharp Corp 電気機器
CN101465986A (zh) * 2008-12-12 2009-06-24 康佳集团股份有限公司 带双向遥控功能的电视系统及其遥控器
EP2230653B1 (en) 2009-03-17 2013-01-23 Onkyo Corporation Remote controll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52571B2 (en) 2014-03-24 2018-04-24 Xiaomi Inc. Method and terminal device for controlling smart home applian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71279A2 (en) 2013-03-20
EP2571279A3 (en) 2013-04-10
US20130070154A1 (en) 2013-03-21
CN103000021A (zh) 2013-03-27
US9124917B2 (en) 2015-09-01
CN103000021B (zh) 2017-10-13
ES2650594T3 (es) 2018-01-19
KR101799442B1 (ko) 2017-11-21
EP2571279B1 (en) 2017-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9442B1 (ko) 원격 제어 장치, 방송 수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0853895B1 (ko) 쌍방향 통신 시스템, 표시 장치, 베이스 장치 및 쌍방향통신 방법
US20130069769A1 (en) Remote control user interface for handheld device
KR20120078071A (ko) 제어 디바이스 및 방송수신장치 제어 방법
US8522296B2 (en)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figuring the same according to configuration setting values received from outside
US20150172744A1 (en) Remote control device capable of synchronizing screens
KR20150117862A (ko) 음량 제어를 위한 원격 제어 장치, 방법 및 음량 조절을 위한 멀티미디어 시스템
KR20130024016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부팅 방법
US20140181857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mart televisions
EP2160023B1 (en)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external apparatus and method for using content
US7934246B2 (en) Broadcast receiver
WO2015181906A1 (ja) 携帯端末装置及び番組視聴システム
US20150189383A1 (en) Display Apparatus, Method, and Storage Medium
KR101917749B1 (ko) 방송 수신 장치, 서버, 방송 수신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서버의 제어 방법
US20090201422A1 (en) Automatic input change based on remote control mode change
US8887198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searching channel
KR100860173B1 (ko) 채널설정정보 공유 장치 및 방법
US20130076983A1 (en) Television system and method of watching television programs
KR20030067995A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프로그램 안내 정보 갱신 방법
US20140181869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KR100449722B1 (ko) 방송 수신기의 방송 정보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2572699B1 (ko)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1079594B1 (ko)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디지털 tv 및 이를 포함하는디지털 tv 시스템
JP2019068185A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携帯端末、および、デジタル放送受信システム
JP2009017095A (ja) 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