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7739A - 조명장치 및 조명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조명장치 및 조명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7739A
KR20130027739A KR1020110091146A KR20110091146A KR20130027739A KR 20130027739 A KR20130027739 A KR 20130027739A KR 1020110091146 A KR1020110091146 A KR 1020110091146A KR 20110091146 A KR20110091146 A KR 20110091146A KR 20130027739 A KR20130027739 A KR 201300277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white light
pulse width
emitting device
emitting devi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11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승범
권기수
김도엽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911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27739A/ko
Publication of KR201300277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77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03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 F21V23/0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arranged on a substrate, e.g. a printed circuit boar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 Led Device Packages (AREA)

Abstract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는, 기판 상에 배치된 제1 내지 제4 백색 발광소자; 제1 및 제3 백색 발광소자에 인가되는 전류를 펄스폭 변조 제어하는 제1 제어기; 및 제1 및 제3 백색 발광소자와 색온도의 차이가 있는 제2 및 제4 백색 발광소자에 인가되는 전류를 펄스폭 변조 제어하는 제2 제어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조명장치 및 조명제어방법{LIGHTING DEVICE AND LIGHTING CONTROL METHOD}
실시예는 조명장치 및 조명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백색 발광소자는 LCD 백라이트 유닛, 카레라폰 플래시, 전광판, 조명 등 그 적용영역이 점점 확대되고 있기 때문에, 백색 발광소자에 대한 연구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백색 발광소자의 제작방법으로는, 단일 칩을 이용한 방법으로 청색이나 UV LED 칩 위에 형광물질을 결합하여 백색을 얻는 방법과, 멀티 칩을 이용한 방법으로 두 개 또는 세 개의 서로 다른 파장의 광을 방출하는 LED 칩들을 조합하여 백색을 얻는 방법이 있다.
멀티 칩을 이용하여 백색을 구현하는 방법 중 하나가 R,G,B 세 개의 칩을 조합하여 제작한 것인데, 각각의 칩마다 동작전압이 불균일하고, 주변온도에 따라 각각의 칩의 출력이 변해 색 좌표가 달라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백색 발광소자를 구현하는 방법으로 비교적 제작이 용이하고 효율이 우수한 단일 칩을 이용한 방법이 많이 이용된다. 예를 들어, 청색 발광 LED와, 청색 발광 LED에 의해 여기되어 황색을 발광하는 형광체를 조합하여 백색 LED를 제작한다. 또한, UV 발광 LED와 UV 발광 LED에 의해 여기된 복수 파장의 광을 혼합하여 백색을 구현하는 방법이 있는데, 이때 UV 광은 형광 물질을 여기시키기 위한 광으로 전체가 사용되며 백색광을 형성하는데 직접적으로 기여하지는 않는다.
한편, 백색광의 특성을 분석하는 지표로서, 상관 색온도(CCT; Correlated Color Temperature)와 연색성 지수(CRI; Color Rendering Index)가 있다. 상관 색온도는 물체가 가시광선을 내며 빛나고 있을 때, 그 색이 어떤 온도의 흑체가 복사하는 색과 같을 때, 그 흑체의 온도와 물체의 온도가 같다고 보고 그 온도를 나타낸 것이다. 같은 백색광이라도 색온도가 낮으면 그 색이 좀더 따뜻하게 느껴지고 색온도가 높으면 차게 느껴지므로, 색온도를 조절하여 다양한 색감을 연출할 수 있다.
또한, 연색성지수는 태양광을 사물에 조사했을 때와 인공조명을 조사했을 때 사물의 색이 달라지는 정도를 나타내며, 사물의 색이 태양광에서와 같을 때 CRI를 100으로 정의한다. 즉, 연색성지수는 인공 조명하에서 사물의 색상이 태양광에서의 사물의 색상에 얼마나 근접한지를 나타내는 지수로서 0~100까지의 수치를 갖는다. CRI가 100에 접근하는 백색광원일수록 태양광에 가깝게 느껴진다. 백열전구의 CRI는 80 이상이고, 형광램프의 CRI는 75 이상인데 비하여 상용화된 백색 LED의 CRI는 대략 70~75 정도를 나타낸다.
따라서, 같은 백색광이라 하더라도 연색성을 높여 자연광에 가깝게 느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요구된다.
한국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07-0080694호(공개일 : 2007년 8월 13일)
실시예는 자연광에 가까운 백색광을 방출하는 조명장치 및 조명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는, 기판 상에 배치된 제1 내지 제4 백색 발광소자; 상기 제1 및 제3 백색 발광소자에 인가되는 전류의 크기와 펄스폭을 변조하는 제1 제어기; 및 상기 제1 및 제3 백색 발광소자와 색온도의 차이가 있는 상기 제2 및 제4 백색 발광소자에 인가되는 전류의 크기와 펄스폭을 변조하는 제2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기 및 제2 제어기의 전류의 크기와 펄스폭 변조에 의해 상기 제1 내지 제4 백색 발광소자에서 방출되는 광의 혼합에 의한 1931 CIE 색도 다이어그램 상의 영역 내의 x, y 좌표를, 상기 1931 CIE 색도 다이어그램 상의 영역 내의 흑체복사곡선 상으로 이동시키는, 조명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내지 제4 백색 발광소자는, 상기 제1 백색 발광소자, 상기 제2 백색 발광소자, 상기 제3 백색 발광소자, 상기 제4 백색 발광소자의 순서로 선형 어레이되어 배치된, 조명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3 백색 발광소자의 색온도는 상기 제2 및 제4 백색 발광소자의 색온도보다 높은, 조명장치를 제공한다.
다른 실시예는, 기판 상에 배치된 제1 및 제2 백색 발광소자에 각각 제1 설정전류, 제2 설정전류를 인가하여, 상기 제1 및 제2 백색 발광소자에서 방출되는 광의 혼합에 의한, 1931 CIE 색도 다이어그램 상의 영역 내의 x, y 좌표를 얻는 제1 단계;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된, 상기 제1, 제2 백색 발광소자와 색온도의 차이가 있는 제3 및 제4 백색 발광소자에 각각 제3 설정전류, 제4 설정전류를 인가하여, 상기 제1 내지 제4 백색 발광소자에서 방출되는 광의 혼합에 의한, 1931 CIE 색도 다이어그램 상의 영역 내의 x, y 좌표를 얻는 제2 단계; 및 상기 제1 내지 제4 백색 발광소자 중 적어도 하나의 발광소자에 인가되는 전류의 크기와 펄스폭을 변조하여, 상기 제1 내지 제4 백색 발광소자에서 방출되는 광의 혼합에 의한 상기 x, y 좌표를, 상기 1931 CIE 색도 다이어그램 상의 영역 내의 흑체복사곡선 상으로 이동시키는 제3 단계;를 포함하는, 조명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3 단계에서, 상기 제1 내지 제4 백색 발광소자에 인가되는 전류의 크기와 펄스폭은 독립적으로 제어되는, 조명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3 단계에서, 상기 제1 내지 제4 백색 발광소자 중 어느 하나에 인가되는 전류의 펄스폭이 작을수록 상기 x, y 좌표의 x값과 y값이 작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조명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백색 발광소자에서 방출되는 광의 색좌표가 1931 CIE 색도 다이어그램 상의 영역 내의 흑체복사곡선 상에 있도록 하여 자연광에 가까운 백색광을 방출하는 조명장치 및 조명제어방법을 제공함으로써, 광효율과 연색성을 더욱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펄스폭 변조에 의한 전류의 크기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도 2의 펄스폭 변조에 의한 색좌표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흑체복사곡선 상에서의 조명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각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어느 한 element가 다른 element의 "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는 두 개의 element가 서로 직접(directly)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element가 상기 두 element사이에 배치되어(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element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는, 방열체(110), 광원부(130), 반사체(150) 및 제1 PWM(Pulse Width Modulation) 제어기(200), 제2 PWM 제어기(300)를 포함할 수 있다.
방열체(110)는 광원부(130)로부터 열을 전달받고, 이를 방출할 수 있다. 방열체(110)는 광원부(130)가 배치되는 하나의 면을 갖는다. 여기서, 광원부(130)가 배치되는 면은 평평한 면일 수도 있고, 소정의 굴곡을 갖는 면일 수도 있다.
또한, 방열체(110)는 방열핀(115)을 가질 수 있다. 방열핀(115)은 방열체(110)의 일측에서 외측방향으로 돌출 또는 연장된 것일 수도 있다. 방열핀(115)은 방열체(110)의 방열면적을 넓힌다. 따라서, 방열핀(115)에 의해 조명장치는 방열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방열체(110)는 열 방출 효율이 뛰어난 금속재질 또는 수지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방열체(110)의 재질은 알루미늄(Al), 니켈(Ni), 구리(Cu), 은(Ag), 주석(S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광원부(130)는 방열체(110) 위에 배치되고, 소정의 광을 방열체(110) 위로 방출한다. 광원부(130)는 기판(131)과 발광소자(133)를 포함할 수 있다.
기판(131)은 일반적인 PCB, 금속 코어 PCB(MCPCB), 표준형 FR-4 PCB 또는 유연성 PCB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기판(131)은 방열체(110)와 직접 접촉할 수 있다. 기판(131)은 방열체(110)의 일 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기판(131) 상에는 하나 이상의 발광소자(133)가 배치된다. 기판(131) 상에는 발광소자(133)로부터의 광을 용이하게 반사하기 위해, 광 반사 물질이 코팅 또는 증착될 수 있다.
기판(131)은 구조적 목적상 또는 방열체(110)로의 열 전달을 향상시키기 위해 선택적으로 방열 테이프 또는 방열 패드 등을 가질 수 있다.
발광소자(133)는 기판(131) 상에 복수로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발광소자(133)들은 같은 파장의 광을 방출할 수 있고, 서로 다른 파장의 광을 방출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발광소자(133)들은 같은 색상의 광을 방출할 수 있고, 서로 다른 색상의 광을 방출할 수 있다.
또한, 발광소자(133)는 청색광을 방출하는 청색 발광소자, 녹색광을 방출하는 녹색 발광소자, 적색광을 방출하는 적색 발광소자 및 백색광을 방출하는 백색 발광소자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발광소자(133)는 발광 다이오드(LED) 칩(chip)을 포함할 수 있다. LED 칩은 가시광 스펙트럼의 청색광을 방출하는 청색 LED 칩, 녹색광을 방출하는 녹색 LED 칩 및 적색광을 방출하는 적색 LED 칩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여기서, 청색 LED 칩은 약 430nm부터 480nm 범위에서 주 파장을 갖고, 녹색 LED 칩은 약 510nm부터 535nm 범위에서 주 파장을 갖고, 적색 LED 칩은 약 600nm부터 630nm 범위에서 주 파장을 갖는다.
또한, 발광소자(133)는 형광체(phospho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형광체는 용매인 수지에 혼합되어 LED 칩을 덮은 것일 수 있다. 형광체는 황색 형광체, 녹색 형광체 및 적색 형광체 중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황색 형광체는 청색 LED 칩으로부터의 청색광(430nm ~ 480nm)에 응답하여 540nm부터 585nm 범위에서 주 파장을 갖는 황색광을 방출할 수 있다. 녹색 형광체는 청색광(430nm ~ 480nm)에 응답하여 510nm부터 535nm 범위에서 주 파장을 갖는 녹색광을 방출할 수 있다. 적색 형광체는 청색광(430nm ~ 480nm)에 응답하여 600nm부터 650nm 범위에서 주 파장을 갖는 적색광을 방출할 수 있다.
황색 형광체는 실리케이트계, 가넷계의 야그(YAG), 옥시나이트라이드계 형광체일 수 있다. 황색 형광체는 청색광에 응답하여 555nm ~ 585nm 범위에서 주 파장을 갖는 광을 방출할 수 있다. 또한, 황색 형광체는 Y3Al5O12:Ce3+(Ce:YAG), CaAlSiN3:Ce3+, Eu2+-SiAlON 계열 중에서 선택된 형광체, 및/또는 BOSE 계열 중에서 선택된 것일 수 있다. 또한, 황색 형광체는 원하는 파장의 광 출력을 제공하기 위해 임의의 적합한 레벨로 도핑될 수 있다. Ce 및/또는 Eu가 약 0.1% 내지 약 20% 범위의 도펀트 농도로 형광체에 도핑될 수 있다. 적당한 형광체로는 Mitsubishi Chemical Company(Japan, Tokyo 소재), Leuchtstoffwerk Breitungen GmbH(Germany, Breitungen 소재) 및 Intermatix Company (California, Fremont 소재)의 제품을 이용할 수 있다.
녹색 형광체는 실리케이트계, 나이트라이드계, 옥시나이트라이드계 형광체일 수 있다. 녹색 형광체는 청색광에 응답하여 510nm ~ 535nm 범위에서 주 파장을 갖는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적색 형광체는 나이트라이드계, 설파이드계 형광체일 수 있다. 적색 형광체는 청색광에 응답하여 600nm ~ 650nm 범위에서 주 파장을 갖는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적색 형광체는 CaAlSiN3:Eu2+및 Sr2Si5N8:Eu2+를 포함할 수 있다. 이 형광체는 양자효율을 150℃ 이상의 온도에서 80% 이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용될 수 있는 다른 적색 형광체는 CaSiN2:Ce3+, CaSiN2:Eu2+는 물론 Eu2+-SiAlON 형광체 계열 중에서 선택된 형광체, 및/또는 (Ca,Si,Ba)SiO4:Eu2+(BOSE) 계열 중에서 선택된 형광체를 포함한다. 특히, Mitsubishi Chemical Company의 CaAlSiN:Eu2+형광체는 약 624nm의 주파장, 약 628nm의 피크 파장 및 약 100nm의 FWHM을 가질 수 있다.
복수의 발광소자(133)들은 1) 청색 발광소자들과 적색 발광소자들이 조합된 것, 2) 청색 발광소자들, 적색 발광소자들 및 녹색 발광소자들이 조합된 것, 3) 백색 발광소자들로만 구성된 것일 수 있다.
반사체(150)는 광원부(130)로부터의 광을 반사한다. 반사체(150)는 광원부(130)를 둘러싸며, 광원부(130)로부터의 광을 외부로 용이하게 반사할 수 있다.
또한, 반사체(150)는 광원부(130)로부터의 광을 반사하는 반사면을 가질 수 있다. 반사면은 기판(131)과 실질적으로 수직을 이룰 수도 있고, 기판(131)의 상면과 둔각을 이룰 수도 있다. 반사면은 광을 용이하게 반사할 수 있는 재료로 코팅 또는 증착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반사체(150) 및 방열체(110)에 의해, 믹싱 공간(160)이 형성될 수 있다. 믹싱공간(160)은 광원부(130)에서 방출되는 또는 광원부(130)에서 방출되어 반사체(150)에서 반사된 광들이 믹싱되는 공간을 의미한다.
일 실시예에서는, 발광소자(133)는 제1 백색 발광소자, 제2 백색 발광소자, 제3 백색 발광소자, 제4 백색 발광소자로 구성된 것을 일 예로 하여 설명한다. 제1 내지 제4 백색 발광소자는, 제1 백색 발광소자, 제2 백색 발광소자, 제3 백색 발광소자, 제4 백색 발광소자의 순서로 선형 어레이되어 배치된다. 제1 및 제3 백색 발광소자와 제2 및 제4 백색 발광소자는 색온도의 차이가 있는데, 제1 및 제3 백색 발광소자의 색온도는 제2 및 제4 백색 발광소자의 색온도보다 높다. 즉, 제1 및 제3 백색 발광소자는 차가운 백색(cool white)의 발광소자이고, 제2 및 제4 백색 발광소자는 따뜻한 백색(warm white)의 발광소자이다. 그리고, 제1 내지 제4 백색 발광소자에서 방출되는 광의 혼합에 의한 x, y 좌표가, 1931 CIE 색도 다이어그램 상의 영역 내의 흑체복사곡선 상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제1 및 제3 백색 발광소자에 인가되는 전류는 제1 PWM 제어기(200)에 의해 그 크기와 펄스폭이 변조되고, 제1 및 제3 백색 발광소자와 색온도의 차이가 있는 제2 및 제4 백색 발광소자에 인가되는 전류는 제2 펄스폭 변조 제어기(200)에 의해 그 크기와 펄스폭이 변조된다.
이와 같이, 제1 PWM 제어기(200) 및 제2 제어기(300)의 펄스폭 변조에 의해 제1 내지 제4 백색 발광소자에서 방출되는 광의 혼합에 의한 1931 CIE 색도 다이어그램 상의 영역 내의 x, y 좌표를, 1931 CIE 색도 다이어그램 상의 영역 내의 흑체복사곡선 상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펄스폭 변조에 의한 전류의 크기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3은 도 2의 펄스폭 변조에 의한 색좌표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시간에 따라 백색 발광소자에 인가되는 전류의 크기의 변화를 알 수 있다. 여기서, 듀티 사이클(duty cycle)은 e-a(t)이다.
제1 PWM 제어기의 펄스폭 변조에 의해 제1 및 제3 백색 발광소자에 인가되는전류의 크기를 변화시킬 수 있는데, 이때 턴온시간(turn on)에 전류의 크기를 나타내는 면적이 백색 발광소자의 밝기에 해당한다. 마찬가지로, 제2 PWM 제어기의 펄스폭 변조에 의해 제2 내지 제4 백색 발광소자에 인가되는 전류의 크기를 변화시킬 수 있다.
턴온시간이 b-a인 경우 백색 발광소자에 흐르는 전류는 2500mA이고, 턴온시간이 c-b인 경우 백색 발광소자에 흐르는 전류는 1500mA이고, 턴온시간이 d-c인 경우 백색 발광소자에 흐르는 전류는 175mA이다.
이때, 턴온시간 동안 흐르는 전류의 크기는 3가지 경우에 모두 다르지만, 밝기는 3가지 경우에 모두 동일하다.
이와 관련하여,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백색 발광소자에 인가된 전류가 175mA, 350mA, 700mA, 1000mA, 1500mA, 2000mA, 2500mA인 경우의 색좌표를 보이고 있는데, 전류의 크기가 클수록 x, y 색좌표 상의 x, y값이 작아짐을 알 수 있다.
즉, 백색 발광소자에 인가되는 전류의 펄스폭이 작도록 변조하면 백색 발광소자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가 커지므로, 백색 발광소자에서 방출되는 광의 x, y 색좌표는 왼편 아래쪽에 위치하게 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흑체복사곡선 상에서의 조명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A, B는 차가운 백색 발광소자에 인가되는 전류의 크기와 펄스폭을 변조하여 방출되는 광의 x, y 색좌표가 이동할 수 있는 구간의 두 끝점을 나타내고, A′, B′는 따뜻한 백색 발광소자에 인가되는 전류의 크기와 펄스폭을 변조하여 방출되는 광의 x, y 색좌표가 이동할 수 있는 구간의 두 끝점을 나타낸다. 또한, 차가운 백색 발광소자에 인가되는 전류의 크기와 펄스폭을 변조하여 방출되는 광의 x, y 색좌표가 이동할 수 있는 구간은, 따뜻한 백색 발광소자에 인가되는 전류의 크기와 펄스폭을 변조하여 방출되는 광의 x, y 색좌표가 이동할 수 있는 구간보다 왼편 아래에 위치한다.
제1 PWM 제어기는 제1 및 제3 백색 발광소자에 인가되는 전류의 크기와 펄스폭을 변조하고, 제2 PWM 제어기는 제2 및 제4 백색 발광소자에 인가되는 전류의 크기와 펄스폭을 변조한다. 제1 PWM 제어기의 전류의 크기와 펄스폭 변조에 의해 차가운 백색 발광소자는 A, B를 잇는 직선 상에서 x, y 색좌표를 갖고, 제2 PWM 제어기의 전류의 크기와 펄스폭 변조에 의해 따뜻한 백색 발광소자는 A′, B′를 잇는 직선 상에서 x, y 색좌표를 갖는다.
이때, 제1 내지 제4 백색 발광소자에서 방출되는 광의 혼합에 의한 x, y 색좌표는 4가지의 구간 상에 존재할 수 있다. 즉, 1) A와 A′를 잇는 직선이 나타내는 구간, 2) A와 B′를 잇는 직선이 나타내는 구간, 3) B와 A′를 잇는 직선이 나타내는 구간, 4) B와 B′를 잇는 직선이 나타내는 구간이다.
이와 같은 원리로부터, 제1 내지 제4 백색 발광소자 중 적어도 하나의 발광소자에 인가되는 전류의 크기와 펄스폭을 변조하여, 제1 내지 제4 백색 발광소자에서 방출되는 광의 혼합에 의한 x, y 좌표를, 1931 CIE 색도 다이어그램 상의 영역 내의 흑체복사곡선 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은 제어원리를 바탕으로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제어방법을 간략히 설명한다.
먼저, 기판 상에 배치된 제1 및 제2 백색 발광소자에 각각 제1 설정전류, 제2 설정전류를 인가하여, 제1 및 제2 백색 발광소자에서 방출되는 광의 혼합에 의한, 1931 CIE 색도 다이어그램 상의 영역 내의 x, y 좌표를 얻는다.
그 이후에, 기판 상에 배치된, 제1, 제2 백색 발광소자와 색온도의 차이가 있는 제3 및 제4 백색 발광소자에 각각 제3 설정전류, 제4 설정전류를 인가하여, 제1 내지 제4 백색 발광소자에서 방출되는 광의 혼합에 의한, 1931 CIE 색도 다이어그램 상의 영역 내의 x, y 좌표를 얻는다.
그 이후에, 제1 내지 제4 백색 발광소자 중 적어도 하나의 발광소자에 인가되는 전류의 크기와 펄스폭을 변조하여, 제1 내지 제4 백색 발광소자에서 방출되는 광의 혼합에 의한 x, y 좌표를, 1931 CIE 색도 다이어그램 상의 영역 내의 흑체복사곡선 상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제1 내지 제4 백색 발광소자에 인가되는 전류의 크기와 펄스폭은 독립적으로 제어되고, 제1 내지 제4 백색 발광소자 중 어느 하나에 인가되는 전류의 펄스폭이 작을수록 x, y 좌표의 x값과 y값이 작은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한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권리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110 : 방열체
115 : 방열필
130: 광원부
131 : 기판
133 : 발광소자
150: 반사체
160 : 믹싱 공간
20O : 제1 PWM 제어기
300 : 제2 PWM 제어기

Claims (6)

  1. 기판 상에 배치된 제1 내지 제4 백색 발광소자;
    상기 제1 및 제3 백색 발광소자에 인가되는 전류의 크기와 펄스폭을 변조하는 제1 제어기; 및
    상기 제1 및 제3 백색 발광소자와 색온도의 차이가 있는 상기 제2 및 제4 백색 발광소자에 인가되는 전류의 크기와 펄스폭을 변조하는 제2 제어기;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기 및 제2 제어기의 전류의 크기와 펄스폭 변조에 의해 상기 제1 내지 제4 백색 발광소자에서 방출되는 광의 혼합에 의한 1931 CIE 색도 다이어그램 상의 영역 내의 x, y 좌표를, 상기 1931 CIE 색도 다이어그램 상의 영역 내의 흑체복사곡선 상으로 이동시키는,
    조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4 백색 발광소자는, 상기 제1 백색 발광소자, 상기 제2 백색 발광소자, 상기 제3 백색 발광소자, 상기 제4 백색 발광소자의 순서로 선형 어레이되어 배치된,
    조명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3 백색 발광소자의 색온도는 상기 제2 및 제4 백색 발광소자의 색온도보다 높은,
    조명장치.
  4. 기판 상에 배치된 제1 및 제2 백색 발광소자에 각각 제1 설정전류, 제2 설정전류를 인가하여, 상기 제1 및 제2 백색 발광소자에서 방출되는 광의 혼합에 의한, 1931 CIE 색도 다이어그램 상의 영역 내의 x, y 좌표를 얻는 제1 단계;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된, 상기 제1, 제2 백색 발광소자와 색온도의 차이가 있는 제3 및 제4 백색 발광소자에 각각 제3 설정전류, 제4 설정전류를 인가하여, 상기 제1 내지 제4 백색 발광소자에서 방출되는 광의 혼합에 의한, 1931 CIE 색도 다이어그램 상의 영역 내의 x, y 좌표를 얻는 제2 단계; 및
    상기 제1 내지 제4 백색 발광소자 중 적어도 하나의 발광소자에 인가되는 전류의 크기와 펄스폭을 변조하여, 상기 제1 내지 제4 백색 발광소자에서 방출되는 광의 혼합에 의한 상기 x, y 좌표를, 상기 1931 CIE 색도 다이어그램 상의 영역 내의 흑체복사곡선 상으로 이동시키는 제3 단계;
    를 포함하는,
    조명제어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에서, 상기 제1 내지 제4 백색 발광소자에 인가되는 전류의 크기와 펄스폭은 독립적으로 제어되는,
    조명제어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에서, 상기 제1 내지 제4 백색 발광소자 중 어느 하나에 인가되는 전류의 펄스폭이 작을수록 상기 x, y 좌표의 x값과 y값이 작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조명제어방법.
KR1020110091146A 2011-09-08 2011-09-08 조명장치 및 조명제어방법 KR201300277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1146A KR20130027739A (ko) 2011-09-08 2011-09-08 조명장치 및 조명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1146A KR20130027739A (ko) 2011-09-08 2011-09-08 조명장치 및 조명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7739A true KR20130027739A (ko) 2013-03-18

Family

ID=48178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1146A KR20130027739A (ko) 2011-09-08 2011-09-08 조명장치 및 조명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2773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67062B2 (ja) フルスペクトル発光装置
JP6215207B2 (ja) 照明装置及び照明制御方法
US9006986B2 (en)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s having selectable and/or adjustable color points and related methods
US8796952B2 (en)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s having selectable and/or adjustable color points and related methods
US9192013B1 (en) Lighting devices with variable gamut
US9241384B2 (en) Solid state lighting devices with adjustable color point
US8884508B2 (en) Solid state lighting device including multiple wavelength conversion materials
US8508127B2 (en) High CRI lighting device with added long-wavelength blue color
CN108305929B (zh) 具有高显色性的白光发光装置
TW201146075A (en) High CRI adjustable color temperature lighting devices
KR20130027740A (ko) 조명장치 및 조명제어방법
KR20130027741A (ko) 조명장치 및 조명제어방법
KR20130041552A (ko) 조명 장치
TW201248833A (en) White light illumination device
US9054278B2 (en) Lighting apparatuses and driving methods regarding to light-emitting diodes
KR101948220B1 (ko) 조명 장치
KR20130027739A (ko) 조명장치 및 조명제어방법
CN103782092B (zh) 照明装置及照明控制方法
KR20130128516A (ko) 조명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