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7325A - 어플 실행을 확인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시스템 - Google Patents

어플 실행을 확인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7325A
KR20130027325A KR1020110090846A KR20110090846A KR20130027325A KR 20130027325 A KR20130027325 A KR 20130027325A KR 1020110090846 A KR1020110090846 A KR 1020110090846A KR 20110090846 A KR20110090846 A KR 20110090846A KR 20130027325 A KR20130027325 A KR 201300273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identifier
application
code
po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08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38032B1 (ko
Inventor
마국성
박진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지에이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지에이웍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지에이웍스
Priority to KR10201100908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8032B1/ko
Publication of KR201300273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73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80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80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06Identif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06F15/161Computing infrastructure, e.g. computer clusters, blade chassis or hardware partitio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software upgrading or downloa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60Subscription-based services using application servers or record carriers, e.g. SIM application toolk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플 실행을 확인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어플에는 다른 종류의 어플과 구분하기 위한 어플 식별자와, 상기 어플 식별자를 전송하기 위한 코드 생성 서버 주소가 저장되어 있으며, 어플이 실행될 경우, 어플을 다운로드한 핸드폰을 다른 핸드폰과 식별하기 위한 핸드폰 식별자를 획득하는 제 1단계와, 어플 식별자와 상기 핸드폰 식별자를 코드 생성 서버 주소에 전송하는 제 2단계와, 코드 생성 서버 주소로부터 팝코드를 수신하는 제 3단계 및 팝코드를 사용자에게 게시하는 제 4단계의 절차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 제공자 서버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어플 실행을 확인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시스템{MONITORING METHOD AND MONITORING SYSTEM FOR EXECUTING APPLICATION PROGRAM IN SMART PHONES}
본 발명은 어플 실행을 확인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웹 페이지 또는 스마트폰의 화면상에 어플 다운로드시 보상을 하겠다는 광고를 게재하고, 사용자가 스마트폰에 어플을 다운로드하고 실행할 경우 이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어플(App)은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의 줄임말로서, 통상 스마트폰 내 들어가는 응용 프로그램을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된다. 피쳐폰(스마트폰 이전의 핸드폰)에서도 고스톱 게임을 제공하는 등의 몇 가지 어플을 사용할 수 있었으나, 당시에는 컨텐츠라는 용어로 주로 불리웠으며, 스마트폰이 등장하면서 인터넷망 또는 이동통신망을 통해서 다양한 어플을 내려받기 편리하여 널리 사용 되고있다.
스마트폰에서 구동하는 어플이 활성화되면서 기업에서는 컴퓨터와 웹페이지를 통한 홍보 외에도 어플을 통한 스마트폰에서의 홍보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예를 들어 국내 최대 인터넷 검색 사이트 제공자인 '네이버' 또는 '다음'의 경우 웹을 통한 컴퓨터 검색에서는 '네이버'가 지배적인 사업자 지위를 누리고 있으나 어플을 통한 모바일 환경의 검색에서는 '다음'이 많이 약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어플을 통한 회사 홍보 또는 제품 홍보를 진행하기 위해 선행되어야 하는 작업은 스마트폰 사용자에게 해당 어플을 다운받도록 하는 것이다. 현재 특정 어플을 다운받도록 권유하는 방법은 스마트폰 사용자에게 단문 문자메세지 또는 트위터·싸이월드·페이스북·카카오톡과 같은 SNS(Social Network Service)를 활용하여 홍보를 하고, 특정의 사이트에 방문하여 해당 어플을 다운받도록 하는 방식이다. 만약 특정의 사이트 외 애플사에서 제공하는 앱스토어 등을 이용하여 해당 어플을 다운로드 받을 경우 이를 파악하기 어렵고, 따라서 실적 집계가 불가능하기에 광고 홍보 대행업체 등이 어플 다운로드 프로모션을 집행해도 보상받을 근거가 없기때문이다.
그런데 사용자에게 특정 웹사이트에 방문하여 관련 어플을 다운로드하라는 방법은 어플이 얼마나 많이 다운로드 되었는지 여부를 파악하고자 하는 관리자에게는 적절할지 모르나, 그 사이트를 검색해서 찾아 들어가야하는 스마트폰 사용자 입장에서는 대단히 불편한 방식이다. 더구나 애플사의 아이폰이나 아이패드 등 아이오에스(iOS)기반 어플인 경우에는, 애플사의 앱스토어에서만 다운이 가능하기에, 특정 웹사이트에서 다운받으라는 현 방식의 경우 적용 자체가 불가능하다. 아이오에스 (iOS)가 아닌 안드로이드 기반의 어플이라 할지라도 동일한 어플이 여러 군데의 어플 스토어에서 다운로드되고 있는 현실을 고려할 때 특정 사이트를 방문하여 관련 어플을 다운로드 하라는 방식은 적절하지 않아 어플 홍보 수단으로 널리 사용되지 않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스마트폰 사용자에게 어플을 홍보하고 실질적으로 얼마나 다운로드 받고 실행하였는지를 정확하게 집계할 수 있도록, 어플 실행을 확인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핸드폰 내에서 실행되는 응용 프로그램인 어플을 다운로드 받고 실행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복수 개 어플이 저장된 메모리를 구비하는 어플 제공자 서버로서, 어플에는 다른 종류의 어플과 구분하기 위한 어플 식별자와, 상기 어플 식별자를 전송하기 위한 코드 생성 서버 주소가 저장되어 있으며, 어플이 실행될 경우, 어플을 다운로드한 핸드폰을 다른 핸드폰과 식별하기 위한 핸드폰 식별자를 획득하는 제 1단계와, 어플 식별자와 상기 핸드폰 식별자를 상기 코드 생성 서버 주소에 전송하는 제 2단계와, 코드 생성 서버 주소로부터 팝코드를 수신하는 제 3단계 및 팝코드를 사용자에게 게시하는 제 4단계의 절차를 수행하는 어플 제공자 서버와, 사용자가 본인의 스마트 폰에서 발견한 팝코드를 입력할 수 있도록 입력창을 제공하는 웹 서비스 제공자 서버와 사용자가 입력한 팝코드의 진정성을 확인하는 코드 생성 서버에 의해서 달성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어플 설치를 확인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의하면 사용자가 어플을 다운로드 받은 후 실행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보다 정교한 어플 홍보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다. 즉, 종래 네이버, 야후 등의 검색 사이트에서 광고 방법으로 가장 정교한 방식은 해당 광고를 클릭한 건에 대해서만 광고 비용을 청구하는 방식(Cost Per Click)이 있는데, 본 발명에 따른 어플 설치 확인 방법은 이보다 더 정교하게 어플을 설치하고 실행한 경우(Cost Per Execution)에 한해서 광고 비용을 청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종래에는 핸드폰 이용자가 어플을 다운받았는지 확인하기 위해 특정 사이트에만 접속하여 다운받기를 강요할 수밖에 없는 한계가 있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어플 실행을 확인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의하면 사용자가 종래 어플을 거래하는 어느 어플 스토어를 방문하여 다운받고 실행하더라도 확인 가능하게 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어플 설치 확인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도 1에 제시된 시스템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라 어플 설치를 확인하는 절차를 보여주는 흐름도.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장점 및 특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어플 설치 확인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어플 설치 확인 시스템은 인터넷망 및/또는 이동통신망(20)으로 상호 연결되는 웹 서비스 제공자 서버(10), 핸드폰(70), 어플 스토어 서버(30), 코드 생성 서버(60) 및 어플 제공자 서버(80)로 구성된다. 통상 웹 서비스 제공자 서버(10), 어플 스토어 서버(30), 어플 제공자 서버(80) 및 코드 생성 서버(60)는 상호 인터넷망으로 연결되며, 핸드폰(70)은 웹 서비스 제공자 서버(10), 어플 스토어 서버(30), 어플 제공자 서버(80) 및 코드 생성 서버(60)와 인터넷망 또는 이동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정보를 송수신한다.
웹 서비스 제공자 서버(10)는 개인용 컴퓨터 또는 스마트폰(70)에 다양한 정보의 웹 페이지를 제공하는 서버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마우스, 모니터, 터치패드 등과 같은 통상 입출력 장치와, 메모리 등의 저장 장치를 구비하는 컴퓨터로 구성된다. 웹 서비스 제공자 서버(10)는 인터넷 브라우저 스크린이나 스마트폰(70)에 어플 다운로드를 권하는 광고를 게시하고, 사용자가 어플을 다운받은 후 발행되는 팝코드를 입력받는 창을 제공한다.
스마트폰(70)은 사용자가 원격지에 있는 수신자와 음성 또는 영상 통화를 진행하는 기기로서, 인터넷망 및/또는 이동통신망(20)을 통해서 웹 서비스 제공자 서버(10), 어플 스토어 서버(30) 및 코드 생성 서버(60)와 접속한다. 본 발명에서 의미하는 핸드폰(70)은 피쳐폰 및 스마트폰 중 어느 것이나 무관하지만 인터넷 접속이 자유로운 스마트폰이 더 바람직하다.
어플 스토어 서버(30)는 핸드폰에서 실행되는 응용 프로그램인 어플을 업로드하거나 다운로드 받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이트로서, 애플사의 아이폰의 경우 앱스토어(http://www.apple.com/kr/iphone/apps-for-iphone/)가 있으며, 안드로이드폰의 경우 SK사가 운영하는 티-스토어(http://www.tstore.co.kr/)와 구글사가 운영하는 구글스토어 등이 있다. 어플 스토어 서버(30)는 일반적으로 복수 개의 웹서버와 결제 서버 등의 복수 개 서버 시스템으로 구성되며, 각각의 서버는 입출력 장치와 메모리 장치를 구비한다. 어플은 이러한 서버의 메모리에 저장되는데,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어플은 다운로드 후 최초 실행시 다운로드를 받은 핸드폰(70)의 핸드폰 식별자와 어플 식별자를 획득하여 이를 암호화하여 코드 생성 서버(60)에 제공하고, 코드 생성 서버(60)로부터 수신되는 팝코드를 어플 프로그램 내에 저장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여기서 어플 식별자란, 웹 서비스 제공자가 어플 스토어 서버(30)에 제공한 종류의 어플을 다른 종류의 어플과 구분하기 위해 사용하는 식별자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Fox media'사가 자사의 신문 기사를 제공하기 위한 'Fox media App'을 다른 종류의 어플과 구분하기 위해 사용하는 식별자이다. 따라서 모든 'Fox media App'은 동일한 어플 식별자를 갖는다. 다음으로 핸드폰 식별자는 특정된 하나의 핸드폰을 타 핸드폰과 구분하기 위한 식별자이다. 동일한 종류의 아이폰 4G 핸드폰이라 하더라도 핸드폰마다 각기 다른 핸드폰 식별자가 할당된다.
코드 생성 서버(60)는 핸드폰으로부터 전송받은 어플 식별자와 핸드폰 식별자를 이용하여 팝코드를 생성하고, 어플 식별자와 핸드폰 식발자를 저장하는 팝코드 DB(61)를 구비하는 서버 장치로서, 마우스, 모니터, 터치패드 등과 같은 통상 입출력 장치와, 메모리 등의 저장 장치를 구비하는 컴퓨터로 구성된다. 팝코드란, 특정 어플을 다운받고 이를 실행하는 핸드폰을 다른 핸드폰과 식별하기 위해 발행되는 고유코드로서, 어플 식별자와 핸드폰 식별자를 키(key)로 하여 발행된다. 예를 들어, 'Fox media App'라는 어플을 '핸드폰 A'와 '핸드폰 B'에서 다운받을 경우 각각 서로 식별되는 별도의 코드(예를 들어 '핸드폰 A'에는 팝코드 '1234567', '핸드폰 B'에는 팝코드 '1234568')가 생성된다. 유사하게 또 다른 어플인 'Angry bird Rio version App'을 동일한 '핸드폰 A'가 다운받은 후 실행할 경우에도 'Fox media App'을 최초 실행한 경우 발행되는 팝코드('1234567')와는 다른 별도의 식별코드인 팝코드가 발행된다.
어플 식별자와 핸드폰 식별자를 이용하여 팝코드를 생성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으나 그 중 하나의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팝코드를 생성하는 방식 중 하나는 핸드폰 식별자와 어플 식별자가 각각 저장되는 팝코드 DB(61)의 메모리 주소(어드레스)값에 타임 스탬프(time stamp)를 찍어서 해쉬하여 생성하는 것이다. 핸드폰 식별자와 어플 식별자는 상당히 길게 되므로 이를 그대로 송부할 경우 수신한 핸드폰 사용자가 입력하기 불편한 반면, 해쉬 함수를 이용하여 해슁하면 짧은 코드로 생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어플 제공자 서버(80)는 통상 웹서비스 제공자 서버(10)의 요청에 의해 핸드폰(70)에 제공될 다양한 정보의 어플을 제작하고, 제작된 어플을 어플 스토어 서버(30)에 등록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마우스, 모니터, 터치패드 등과 같은 통상 입출력 장치와, 메모리 등의 저장 장치를 구비하는 컴퓨터로 구성된다. 어플 제공자 서버(80)에서 제작된 어플(50)은 메모리에 저장된 후, 어플 스토어 서버(30)로 통상 인터넷망/이동통신망(20)을 통해 어플 스토어 서버(80)에 구비된 메모리로 전송된다. 통상적으로는 어플 제공자 서버(80)와 웹 서비스 제공자 서버(10)가 분리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웹 서비스 제공자 서버(10)가 어플 제공자 서버(80)의 기능을 함께 제공하는 경우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2는 도 1에 제시된 시스템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라 어플 설치를 확인하는 흐름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2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라 어플 설치를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적으로 도 2에서는 어플 스토어 서버는 관련 어플을 저장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 요청에 핸드폰으로 이를 전송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도 2에 도시된 웹 서비스 제공자 서버, 코드 생성 서버 및 스마트폰에 비해 비중이 크지 않으므로 지면 관계상 이를 제외한 상태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웹 서비스 제공자 서버는 어플을 다운받을 경우 소정의 보상을 지급하겠다는 광고를 웹페이지에 게재한다(ST 1). 광고의 예로는 'Fox media'사의 웹사이트를 방문할 경우 팝업창으로 'Fox Media App을 여러분의 핸드폰에 다운로드하고 실행할 시 1개월 무료 구독권을 드립니다'라는 광고를 게재하는 것이다. 사용자는 핸드폰 또는 개인용 피씨(PC)를 이용하여 해당 웹 서비스 제공자 서버에서 제공하는 광고 페이지를 보고,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어플 스토어 서버를 방문하여 해당 어플을 다운받는다(ST 2). ST 2 단계 이전에 어플 제공자 서버는 제작된 'Fox Media App'을 어플 스토어 서버에 전송하여 핸드폰 사용자가 다운로드 가능한 상태로 만들어 놓는다. 해당 어플에는 다른 종류의 어플과 구분하기 위한 어플 식별자가 저장되고 해당 어플을 다운받은 사용자의 핸드폰을 다른 핸드폰과 구별하기 위한 핸드폰 식별자를 전송할 코드 생성 서버 주소가 저장되어 있다.
사용자가 다운로드 받은 어플을 실행하면, 해당 어플은 사용자 핸드폰 식별자를 획득하고(ST 3), 핸드폰 식별자와 미리 저장되어 있는 어플 식별자를 암호화한 후(ST 4), 코드 생성 서버로 전송한다. ST 4단계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실질적으로는 핸드폰 식별자와 어플 식별자는 데이터 변환없이 그대로 인터넷망 또는 이동통신망으로 코드 생성 서버로 전송되고, 추가적으로 핸드폰 식별자와 어플 식별자의 무결성을 확인하기 위해 핸드폰 식별자 및 어플 식별자를 키(key)값으로 하는 특정의 해쉬 함수를 통해 생성한 해쉬값을 함께 전송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코드 생성 서버는 핸드폰 식별자 및 어플 식별자와 함께 전송되는 해쉬값을 해당 해쉬 함수와 대응되는 특정의 알고리듬으로 검증함으로써 정상적인 데이터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핸드폰 식별자를 획득하는 방식은 여러 가지 방안이 있을 수 있으며 그 중 하나의 방식을 설명하기로 한다. 어플 실행 전에는 핸드폰 식별자 변수 또는 필드를 초기화시킨 상태로 유지하게 한 후, 어플이 최초로 실행되면 다운로드 받는 핸드폰의 핸드폰 식별자를 획득한 후 핸드폰 식별자 필드에 입력하는 방식이다. 해당 어플이 처음 실행되는 것인지 여부에 대한 판단은 임의의 상태 변수를 설정하고, 실행 전에는 상태 변수를 초기화시키고 한번이라고 실행이 되면 상태 변수를 변경하는 방식을 이용하였다.
코드 생성 서버는 전송받은 암호화된 어플 식별자 및 핸드폰 식별자의 유효성을 검사하고, 이를 복호화한다(ST 6). ST 6단계에서 수행되는 유효성 검사는 인터넷망 또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수신된 어플 식별자 및 핸드폰 식별자에 전송 중 오류가 없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것을 의미한다. 코드 생성 서버는 핸드폰 식별자와 어플 식별자를 이용하여 해당 종류의 어플을 다운받은 사용자마다 고유한 코드인 팝코드를 생성하고 이를 암호화한다(ST 7). 코드 생성 서버는 핸드폰 식별자와 어플 식별자를 팝코드 DB에 저장하고, 생성된 팝코드를 해당 사용자의 스마트폰에 전송한다(ST 8).
스마트폰은 전송받은 팝코드를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게시한다(ST 9). 게시의 한 방법으로는 통상의 어플의 경우 어플 특정 페이지를 제공한다. 어플 특정 페이지를 통해 버젼 등에 관한 공급자 정보와 기타 정보를 제공하는데 이러한 어플 특정 페이지의 일부 필드를 팝코드 필드로 할당하고, 할당된 팝코드 필드에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가 조회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사용자는 스마트폰에 전송된 팝코드를 웹 서비스 제공자 서버에 입력한다(ST 10). 이때 웹 서비스 제공자 서버는 사용자가 팝코드를 입력할 수 있는 '팝코드 입력창'을 웹페이지에 제공함으로써 가능하다. 웹 서비스 제공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팝코드를 코드 생성 서버에 전송하면서, 해당 팝코드가 이전에 이미 보상을 해 준 적이 있는 코드인지 또는 사용자가 임의로 조작하여 생성한 코드가 아닌지 등에 대한 유효성 여부를 요청한다(ST 11).
코드 생성 서버는 전송받은 팝코드가 유효한 것인지를 팝코드 DB를 참조하여 체크한 후(ST 12), 유효한지 여부를 웹 서비스 제공자 서버에 통지하고(ST 13), 웹 서비스 제공자 서버는 해당 팝코드가 유효한 것일 경우에 한하여 사용자에게 보상을 진행하게 된다(ST 14). 팝코드 DB에는 ST 7 단계에서 생성된 모든 팝코드가 기록되며, ST 11 단계에서 팝코드 유효성 검사 요청이 접수되면 전송 받은 팝코드가 팝코드 DB에 있는 것인지 여부를 검사한다. 한번 유효성 검사가 수행된 팝코드의 경우에는 이를 저장하여 둠으로써 동일한 팝코드 사용을 방지할 수 있게 하였다.
참고적으로 말씀 드리면, 스마트폰 상에서 수행되는 ST 2 내지 ST 5 및 ST 9은 어플 프로그램에서 수행되는 일련의 과정을 나타내는 것으로 해당 어플을 구성하는 프로그램 소스 내지 프로그램 모듈로 저장된다. 따라서 이러한 어플이 어플 스토어 서버에서는 해당 서버의 메모리 내에 저장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야 한다. 또한, 코드 생성 서버에서 수행되는 ST 6 내지 ST 8 단계와 ST 12 및 ST 13 단계의 경우 하드웨어로 처리할 수도 있으나, 프로그램 형태로 메모리에 저장되어 소프트웨어적으로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여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그러한 용어는 오로지 본 발명을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음의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고서 여러가지 변경 및 변화가 가해질 수 있는 것을 자명한 일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는 웹 서버 제공자 서버의 웹 페이지 또는 스마트폰의 화면을 통해서 '어플을 다운받고 실행하면 보상을 합니다'라는 광고가 제시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광고는 종이 쿠폰, 모바일 쿠폰 등의 형태로 변형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 웹 서비스 제공자 서버 11: 광고 게시 웹 페이지
13: 팝코드 입력창 20: 인터넷망/이동통신망
30: 어플 스토어 서버 50: 어플
60: 코드 생성 서버 61: 팝코드 DB
70: 핸드폰 80: 어플 제공자 서버

Claims (8)

  1. 핸드폰 내에서 실행되는 응용 프로그램인 어플을 다운로드 받고 실행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복수 개 어플이 저장된 메모리를 구비하는 어플 제공자 서버로서,
    상기 어플에는 다른 종류의 어플과 구분하기 위한 어플 식별자와, 상기 어플 식별자를 전송하기 위한 코드 생성 서버 주소가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어플이 실행될 경우,
    상기 어플을 다운로드한 핸드폰을 다른 핸드폰과 식별하기 위한 핸드폰 식별자를 획득하는 제 1단계;
    상기 어플 식별자와 상기 핸드폰 식별자를 상기 코드 생성 서버 주소에 전송하는 제 2단계;
    상기 코드 생성 서버 주소로부터 상기 어플 식별자와 핸드폰 식별자를 이용하여 생성되는 고유코드인 팝코드를 수신하는 제 3단계; 및
    상기 팝코드를 상기 핸드폰에 게시하는 제 4단계의 절차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 제공자 서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단계에서 상기 어플 식별자와 상기 핸드폰 식별자를 암호화한 후 상기 코드 생성 서버 주소에 전송하고,
    상기 제 3단계에서 수신되는 팝코드는 암호화되어 있으며, 상기 제 4단계 이전에 암호화된 팝코드를 복호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 제공자 서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4단계는 상기 팝코드를 상기 어플의 특정 페이지에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 제공자 서버.
  4. 핸드폰 내에서 실행되는 응용 프로그램인 어플을 다운로드 받고 실행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팝코드를 생성하고, 이를 핸드폰에 제공하는 코드 생성 서버로서,
    상기 핸드폰으로부터 상기 어플을 다른 종류의 어플과 구분하기 위한 어플 식별자와, 상기 핸드폰을 다른 핸드폰과 구별하기 위한 핸드폰 식별자를 구분하기 위한 핸드폰 식별자를 전송받는 제 1단계;
    상기 전송받은 어플 식별자와 핸드폰 식별자를 조합하여 고유 코드인 팝코드를 생성하는 제 2단계; 및
    상기 어플 식별자 및 상기 핸드폰 식별자를 팝코드 DB에 저장하고, 상기 팝코드를 상기 핸드폰에 전송하는 제 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 실행을 확인하는 코드 생성 서버.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3단계 이후에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팝코드에 대한 유효성을 요청받는 제 4단계; 및
    상기 팝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팝코드 DB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어플 식별자 및 상기 핸드폰 식별자로부터 생성된 것인지 여부와 이미 유효성 체크를 한 적이 없는 팝코드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이에 대한 확인 결과를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제 5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 실행을 확인하는 코드 생성 서버.
  6. 핸드폰 내에서 실행되는 응용 프로그램인 어플이 상기 핸드폰에 다운로드 되고 실행되었는지를 확인하는 코드 생성 서버 내에서 수행되는 어플 실행을 확인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어플에는 다른 종류의 어플과 구분하기 위한 어플 식별자와, 상기 어플 식별자를 전송하기 위한 코드 생성 서버 주소가 저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핸드폰으로부터 상기 어플 식별자와, 상기 핸드폰을 다른 핸드폰과 구별하기 위한 핸드폰 식별자를 구분하기 위한 핸드폰 식별자를 전송받는 제 1단계;
    상기 전송받은 어플 식별자와 핸드폰 식별자를 이용하여 고유 코드인 팝코드를 생성하는 제 2단계; 및
    상기 어플 식별자 및 상기 핸드폰 식별자를 상기 팝코드 DB에 저장하고, 상기 팝코드를 상기 핸드폰에 전송하는 제 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 실행을 확인하는 방법.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3단계 이후에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팝코드에 대한 유효성을 요청받는 제 4단계; 및
    상기 팝코드가 상기 팝코드 DB에 저장되어 있는 어플 식별자와 핸드폰 식별자로부터 생성된 팝코드 인지 여부와 이미 유효성 체크를 한 적이 없는 팝코드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이에 대한 확인 결과를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제 5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 실행을 확인하는 방법.
  8. 핸드폰 내에서 실행되는 응용 프로그램인 어플을 핸드폰이 다운로드 받고 이를 실행하였는지 여부를 이용하여 광고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어플을 다운받고 실행할 경우 보상을 하겠다는 광고 페이지를 보고, 해당 어플을 어플 스토어를 방문하여 다운로드하고, 이를 실행할 경우, 상기 핸드폰을 타 핸드폰과 구별하기 위한 핸드폰 식별자를 획득하는 제 1단계;
    상기 어플 식별자와 상기 핸드폰 식별자를 키(key)로 하여 고유한 코드를 생성하기 위한 코드 생성 서버 주소에 전송하는 제 2단계;
    상기 코드 생성 서버 주소로부터 고유 코드인 팝코드를 수신하는 제 3단계; 및
    상기 팝코드를 사용자에게 게시하는 제 4단계의 절차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을 실행하였는지 여부를 이용하여 광고하는 방법.
KR1020110090846A 2011-09-07 2011-09-07 어플 실행을 확인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시스템 KR1018380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0846A KR101838032B1 (ko) 2011-09-07 2011-09-07 어플 실행을 확인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0846A KR101838032B1 (ko) 2011-09-07 2011-09-07 어플 실행을 확인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7325A true KR20130027325A (ko) 2013-03-15
KR101838032B1 KR101838032B1 (ko) 2018-03-14

Family

ID=48178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0846A KR101838032B1 (ko) 2011-09-07 2011-09-07 어플 실행을 확인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8032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1554B1 (ko) * 2010-07-09 2011-04-27 김재국 코드값을 통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8032B1 (ko) 2018-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91088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llecting and providing application usage analytics
US10050822B2 (en) Method and system for sharing application, and application service platform
US9485146B1 (en) Providing services using a device capabilities service
EP2942927B1 (en) Associating user interactions across multiple applications on a client device
US20130347078A1 (en) Aggregating Online Activities
CN110771126B (zh) 用于用户设备事件的匹配与归因的系统
CN104365077A (zh) 用于通过个人通信设备利用定向电子广告内容进行用户认证的方法和/或系统
US20140025469A1 (en) Reward granting apparatus, reward granting method, and reward granting program
JP2016538662A (ja) オンライン・システムのユーザのカスタマイズされたグループに対する広告のターゲティング
US20220337562A1 (en) Connecting Web Publisher Inventory to Programmatic Exchanges without Third-Party Cookies
US9881317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communication system, and computer program
CN110929183A (zh) 一种数据处理方法、装置和机器可读介质
US896600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web contents
AU2015277507B2 (en) User/interaction association via a media gateway
US20230388120A1 (en) Client-Side Device Bloom Filter Mapping
KR20150114604A (ko) 고객 보상 서비스를 적용한 설문 조사 시스템
KR101838032B1 (ko) 어플 실행을 확인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시스템
US20140019837A1 (en) Online document distribution method and system for moble device
US11936627B2 (en) Privacy preserving data sharing for campaigns
KR102072133B1 (ko) 광고 시스템 및 광고 방법
CN116703480A (zh) 广告投放方法和装置
JP2016029595A (ja) コンバージョン計測方法
KR20160000004A (ko) 광고제공 서버 및 이를 이용한 광고제공 방법
KR20150107496A (ko) 어플리케이션간 사용자 페어링 시스템 및 방법, 이를 수행하는 단말 및 서버
CN117033617A (zh) 信息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