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6955A - 천연 한방 복합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호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천연 한방 복합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호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6955A
KR20130026955A KR1020110090438A KR20110090438A KR20130026955A KR 20130026955 A KR20130026955 A KR 20130026955A KR 1020110090438 A KR1020110090438 A KR 1020110090438A KR 20110090438 A KR20110090438 A KR 20110090438A KR 20130026955 A KR20130026955 A KR 201300269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effect
mixture
natural herbal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0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윤렬
심태흥
이선미
Original Assignee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유니크인터네셔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유니크인터네셔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0904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26955A/ko
Publication of KR201300269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69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44Elemental carbon, e.g. charcoal, carbon bla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8Saururaceae (Lizard's-tail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icrob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 보호 기능성, 구체적으로 UV 차단효과, 각질 개선 효과 및 피부 모공 축소 효과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천연 재료를 원료로 하여 안전성이 우수한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조성물, 상기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어성초, 당귀, 약쑥, 천궁, 신선초, 홰나무, 솔싹, 박하, 녹두, 살구씨, 송진, 상황버섯, 금은화, 생강, 현삼, 조피, 녹차, 금잔화, 도라지 및 검은콩의 분쇄물을 각각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조된 각각의 분쇄물을 중량을 기준으로 동일한 비율로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과 죽초액을 중량을 기준으로 7:3(혼합물:죽초액)의 함량으로 혼합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과 죽초액의 혼합물을 숙성시키는 단계; 상기 숙성된 혼합물의 액상성분을 제거하여 고상성분을 분리하는 단계; 및 상기 고상성분을 증류기를 이용하여 분리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 보호 효과가 있는 천연 한방 복합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천연 한방 복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천연 원료를 이용하여 제조된 것이므로, 자극성이 낮고 안전할 뿐만 아니라, UV 차단효과, 각질 개선 효과 및 피부 모공 축소 효과가 우수하여 피부 보호를 목적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한 다양한 외용 조성물에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천연 한방 복합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호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A SKIN-CARE COSMETICS CONTAINING NATURE ORIENTAL MEDICAL COMPLEX COMPOSITION AND A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기능성, 구체적으로 피부 보호와 관련된 기능성인 자외선에 의한 손상 회복 효과, 각질 개선 효과 및 피부 모공 축소 효과가 우수한 천연 한방 복합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호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과거에는 여성들이 사용하는 제품이라고 생각되던 화장품은 오늘날에는 단순한 아름다움의 표현 도구만이 아닌 생활용품으로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사용하고 있으며, 산업의 발전에 따라 화장품에 대한 고급화와 다양화의 요구가 증대됨에 따라, 특별한 효과나 효능을 기대하는 ‘기능성’ 제품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우리나라에서 현재 인정되고 있는 기능성 화장품은 피부의 미백에 도움을 주는 미백제품, 피부의 주름개선에 도움을 주는 주름개선 제품 및 피부를 곱게 태워주가나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데 도움을 주는 자외선 차단 제품이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기능성 화장품은 미용 효과뿐만 아니라 신체의 구조나 기능에 영향을 주고, 예방 및 치료 작용을 하는 화장품으로 해석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화장품 전체 매출에서 기능성 화장품의 매출비중이 현저하게 증가하면서, 인체에 미치는 새로운 효능 성분을 모색하고, 이를 피부에 효율적으로 이용하고자 하는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사람의 피부는 표피층(epidermis)과 진피층(dermis) 및 피하지방 조직의 3개 층으로 크게 구분되며, 유해미생물, 물리적 손상, 자외선 등과 같은 외부환경에 의한 물리적 자극 또는 화학적 자극으로부터 인체를 보호하는 1차적인 보호장벽의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피부는 인체에 필요한 각종 생리 활성 물질을 운반하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인체의 약 65% 내지 70%에 해당하는 수분이 체외로 증발되는 것을 조절한다.
상기 표피층은 외부로부터 각질층, 과립층, 유극층 및 기저층의 순서로 구분되는데, 각질층의 세포들은 벽돌과 같은 역할을 하고, 각질세포 사이의 세포간 지질들은 세라마이드, 콜레스테롤 또는 지방산등과 같은 지질혼합체로 ntercellular lamellae 구조를 이루고 상기 각질세포 사이에서 모르타르와 같은 역할로 작용하여 피부 장벽을 구성한다. 상기 표피층을 구성하는 세포로는 케라티노사이트, 랑겔한스 세포, 머켈 세포 등의 다양한 세포들이 있으며, 이 중에서 대부분을 차지하는 세포가 케라티노사이트이다. 상기 케라티노사이트(keratinocyte) 즉, 각질형성세포는 기저층에서 세포 증식활동을 하고 과립층을 지나면서 케라틴을 비롯한 세포 구성성분들을 합성을 하게 되며 최종적으로 피부 각질층에 도달한다.
상기 각질층(stratum corneum)은 약 10% 내지 20%의 수분을 함유하고 인체의 최외각에 존재함으로써, 체외로의 수분 증발을 억제하여 피부 내 수분량을 적절하게 유지시키는 한편, 외부로부터의 물질의 과잉 침투를 차단하여 피부의 방어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각질층의 표면은 피지선에서 나온 피지와 땀샘에서 나온 땀으로 만들어진 얇은 천연 보호막으로 감싸져 있어서 수분의 증발을 예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질층의 수분 함량이 10% 이하로 떨어지면, 건성 피부 증세가 나타나 피부가 갈라지거나 거칠어진다.
이러한 각질층을 구성하고 있는 각질세포에는 수용성 성분인 고농도의 자연보습인자(Natural Moisturizing Factor, NMF)가 존재하여 피부가 탄력과 유연성을 유지하도록 작용함은 물론 적절한 수분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돕는데, 예를 들면 아미노산과 같은 물질은 수용성 성분일 뿐 아니라, 효과적으로 수분과 결합하여 피부에서 수분이 건조되는 것을 억제한다.
상기 피부장벽 기능을 좌우하는 각질층의 방어기능을 약화시키는 요인은 내적요인과 외적인 요인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내적 요인으로는 질병, 유전적인 결함 또는 노화 등이 있으며, 상기 외적 요인으로는 비누나 세제의 잦은 사용, 자외선, 악조건의 온·습도 환경에서의 장기 노출 또는 좋지 않은 식습관 등이 있다. 이러한 요인에 의한 각질층의 손상은 피부 질환으로 연결되며, 각질층의 주요 지질성분인 세라마이드의 부족은 피부건조증, 건선염 또는 아토피성 피부염 등과 같은 다양한 질환으로 이어지게 된다.
상기 각질세포는 기저층으로부터 피부 최외각층인 상기 각질층까지 28일을 주기로 하여 사라지고 다시 만들어지는 과정을 거치면서 피부의 건강을 유지시켜 준다.
상기 각질층에 도착한 세포들은 각질(keratin)이 되어 납작하게 죽은 세포들로서 하루에 수백만 개의 죽은 각질 세포가 피부에서 떨어져 나가고 새 각질 세포로 교체된다. 상기 납작하게 된 각질 세포는 마치 벽돌을 쌓아 놓은 듯 층층이 단단하게 연결되어 있어 각질층을 강하게 만드는 동시에, 자유로운 움직임으로 설명되는 유연성을 획득하고 방어벽으로서 기능을 나타내는 것이다.
상기 각질세포는 차례차례로 계속해서 만들어지고, 최외층의 오래된 각질세포가 때로 이탈해가기 때문에 표피는 일정한 두께를 유지한다. 이렇게 통상적으로 새로운 세포층으로 바뀌어 가는 것을 턴오버(turnover)라고 하며, 부위나 나이에 따라 다르지만 정상적인 피부에서 이 표피의 턴오버는 대략 28일간이라고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각화 과정이 순조롭지 못하면 비정상적인 각질 세포가 생성되고 피부 표면에 쌓여, 각질층이 두꺼워지고 피부가 거칠어지며, 피부가 칙칙해져 화장을 잘 안 받게 된다든지 또는 생기 없어 보이게 된다.
따라서, 여성들은 이러한 현상을 극복하고자 노력하고 있으며, 더불어 화장품 업체들은 피부의 칙칙함을 해소하고자 노폐 각질의 박리와 보습을 이용한 여러 가지 화장품을 출시하고 있다.
상기 각질 제거의 방법으로는 물리적인 방법과 생리적인 방법이 있는데, 물리적인 방법을 통한 각질 제거용 화장품으로 가장 대표적인 품목은 팩 제품이다. 상기 팩 제품은 일반적으로 타입에 따라 필 오프(peel off) 팩과 워시 오프(wash off) 팩으로 나뉠 수 있다. 상기 필 오프 타입은 팩 제품을 얼굴에 바르고 일정 기간이 경과하여 피막이 건조되면 떼어내는 형태를 말하며, 워시 오프 타입은 팩 제품을 얼굴에 바르고 난 후 물에 씻어내는 형태의 제품을 말한다. 각질 제거 효과는 강한 피막을 형성하여 각질을 뜯어내는 형태의 제품인 필 오프 타입의 제품이 훨씬 우수하지만 피부 자극 등의 문제점이 있고, 워시 오프 타입의 제품은 자극의 문제점은 없으나 각질 제거 효과에 대한 소비자의 만족도가 매우 떨어진다. 이외에도 물리적인 마찰로 각질을 제거하도록 하는 스크럽제 함유 제품 등이 있는데, 이들은 뜯어내는 팩 제품에 비하여 자극도는 떨어지지만 역시 피부 자극의 문제점이 있다.
한편, 피부 노화는 피부가 햇빛, 추위, 바람, 환경 오염물질과 같은 외인성 자극에 지속적으로 노출됐을 때 발생하는 현상이며, 이중 자외선에 의한 영향이 가장 크다. 특히, 최근 환경오염으로 인해 자외선을 차단해 주는 오존층이 약화되면서 피부에 직접 조사되는 생활자외선의 양은 날로 급속히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 자외선은 파장의 길이에 따라 크게 3가지 즉, 자외선 A(UVA), 자외선 B(UVB) 및 자외선 C(UVC) 나눌 수 있다. 상기 자외선 C는 공기층의 오존층에 완전히 흡수되어 지표면에 도달하지 못하므로, 대기중의 자외선은 자외선 A 및 자외선 B로 구성된다.
상기 자외선 A는 표피 내에서의 흡수가 적고 자외선 B 보다 좀더 깊숙이 침투할 수 있으며, 주로 혈관의 손상과 진피 내 세포침윤을 일으키고, 멜라닌 형성을 촉진하는 등 피부 노화 및 피부 자극을 유발하는 반면, 자외선 B는 짧은 시간 동안 과도하게 노출되면 피부의 표피까지 침투되어 홍반, 주근깨 또는 부종 등을 유발한다.
최근에는 환경오염으로 인한 오존층의 파괴로 지표에 도달하는 자외선 양이 많아 피부의 질환에 자외선이 미치는 영향에 대한 보고가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환경적인 문제로 인한 자외선의 영향은 1차적으로는 자외선 B에 의한 것으로 급성노출 시에는 홍반, 열, 부종 또는 통증 등이 일어나고, 그 다음에 표피가 비후되는 현상이 나타나며, 만성적으로 노출되면 피부의 노화와 육종형성이 유발된다.
한편, 모공이란 피지선에서 분비되는 유분이 피부 표면으로 흘러나오는 작은 구멍으로, 털이 자라나는 입구를 말한다. 피부에는 cm2 당 100개 내지 120개의 모공이 존재하며, 사람의 얼굴엔 약 2만개의 모공이 있다. 일반적으로 모공의 지름은 약 0.02 mm내지 0.05 mm로 매우 작아 보통 눈에 잘 띄지 않으나 나이, 계절, 여성의 생리주기, 임신 또는 스트레스 등에 의해 피지 분비가 과다해지면 눈에 띌 만큼 커져 보기 흉해지기도 한다.
모공이 넓은 피부는 깨끗해 보이지 않을 뿐만 아니라 무엇보다 항상 얼굴이 번들거려 지저분하게 보인다. 또한, 모공이 열려 있으면 모낭 내로 세균이 침입하기 쉬워져 피부 트러블을 일으키기 쉽게 된다. 이에 따라 많은 이들이 모공축소에 큰 관심을 가지게 되어 화장품을 이용한 모공의 관리가 중요하게 되었다.
모공이 확장되는 원인에는 피지 과다 분비, 피부 노화 또는 모공 속 노폐물 축적 등이 있다. 우선 피지 과다 분비의 경우, 피지 분비가 많아지게 되면 많아진 피지를 배출하기 위해 모공이 커지게 되며, 피지가 모공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장애가 생기게 되면 모공은 점점 더 커지게 된다. 사춘기 이후 본격적으로 피지 분비가 늘어나면 피지가 나오는 길인 모공은 넓어지게 되며, 피지가 과도하게 분비되면 모공이 피지 분비량을 따라가지 못해 막히고 이로 인해 여드름의 원인이 된다.
상기 과도한 피지 분비는 자외선과 깊은 관계가 있다. 상기 자외선은 피지 분비 촉진 작용을 하는 것으로 보고 되고 있다. 일 예로, 자외선 양이 많은 여름철에는 금방 세안을 해도 곧 얼굴이 번들거리나, 자외선 양이 비교적 적은 겨울에는 지성 피부라도 번들거리는 것이 덜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지성 피부 또는 여드름 피부인 사람들은 피지의 분비가 많으므로 점차 모공이 늘어나게 된다.
또한, 일반적으로 20대 후반부터 모공이 커지게 되는데, 이는 피부가 나이 들면서 케라티노사이트와 섬유아세포(fibroblast)의 활성이 감소하게 되고, 콜라겐 합성능력 및 엘라스틴 합성능력의 감소되기 때문이다.
상기 콜라겐 합성능력 및 엘라스틴 합성능력의 감소로 인해, 수분보유능력이 감소하면서, 피부의 탄력이 감소하고, 피부의 탄력이 떨어지면서 모공 벽을 지지하던 콜라겐과 탄력섬유가 점차 감소하고, 모공을 조여주는 힘이 떨어지기 때문에 최종적으로 모공이 늘어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모공이 넓어지면 그 속으로 세균들이 침입하기 쉬워지므로 여드름과 같은 피부 트러블이 일어나기 쉬워진다. 또한, 화장이 잘 받지 않을 뿐만 아니라 칙칙하고 지저분하게 보이고, 미세한 먼지나 화장 찌꺼기 등 노폐물이 끼어 큰 모공이 더욱 두드러져 보이므로 깨끗한 피부를 가지지 못하고 얼굴이 지저분해지는 결과를 얻게 된다.
화장품은 의약품과는 달리 일상 생활에서 매일 또는 장기간에 걸쳐 연속하여 이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여러 가지 조건을 염두에 두어 사용상 안전해야 하고 부작용은 허용되지 않아야 한다. 따라서, 기존 화학제품을 사용하던 기능성 화장품 분야의 경우에도, 이러한 화장품의 특성을 고려하여 안전성이 보장되는 천연 식물 유래 물질로 기능성 성분을 대체하고자 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일 예로,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 방지를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자외선 차단제의 경우, 최근 끈적이고 번들거려 사용감이 나쁘며 분자형태로 피부에 흡수될 수 있어 피부자극을 유발하는 화학적 자외선차단제의 단점과 무거운 사용감과 백화 현상을 유발하여 미용적으로 적절하지 못하다는 물리적 자외선차단제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무기물이나 고분자 입자 표면에 무기차단제인 이산화티탄을 흡착시키거나 입자 내부에 유기차단제를 함유하는 형태 또는 이산화티탄이나 산화아연과 같은 무기물을 초미립자로 제조하여 기존 무기차단제의 단점을 보완하고 고효율의 차단효과를 갖는 형태가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화학 물질을 재료로 한 유기 자외선차단제 또는 무기 자외선차단제는 그 부작용이 문제가 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인체에 전혀 무해한 천연 자외선차단제에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피부 보호와 관련된 천연 물질 유래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연구는 현재까지 다양하게 제안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 예로, 모공과 관련된 피부 트러블을 개선하는 방법으로 수렴제로서 홍경천 추출물을 이용하여 모공을 수축시키는 방법(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997-0070601호) 이 제시되었고, 허브 추출물을 화장료에 적용시켜 피지 분비를 억제하여 모공수축의 효과를 얻는 방법(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2003-0034474호)이 제시되었으며, 인삼 추출물 및 풍란 추출물을 화장료에 적용시켜 각질을 제거하는 방법(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0-0041233호)이 제시되었고, 매실 추출물을 화장료에 적용시켜 피부 각질을 제거하고 피부 보습효과를 얻는 방법(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845723호)이 제시되었다.
본 발명은 기능성, 구체적으로 피부 보호와 관련된 기능성인 자외선에 의한 손상 회복 효과, 각질 개선 효과 및 피부 모공 축소 효과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천연 재료를 원료로 하여 안전성이 우수한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조성물, 상기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호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피부 보호와 관련된 기능성인 자외선 손상 회복 효과, 각질 개선 효과 및 피부 모공 축소 효과가 우수한 천연 한방 복합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천연 한방 복합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천연 한방 복합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기존 자극성이 문제되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또는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의 유효성분과 달리 저자극적이고 안전성이 뛰어난 성분을 기초로 피부 보효 효과, 구체적으로 모공 축소 효과, 각질 제거 효과 및 자외선 차단 효과가 뛰어난 성분을 개발하기 위해 연구하던 중,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천연 한방 복합 조성물은 천연물 유래로 안전성이 뛰어나면서도, 기존 과학적 검증을 거치지 않거나 제한적으로 거친 화장품과 달리, 임상과 동물실험을 통하여 상기 천연 한방 복합 조성물이 효과적으로 피부 모공을 축소시키고, 각질을 제거하며, 자외선에 의한 피부손상을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피부 보호와 관련된 기능성인 자외선에 의한 손상 회복 효과, 각질 개선 효과 및 피부 모공 축소 효과가 우수한 천연 한방 복합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천연물의 분쇄물의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과 죽초액을 혼합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과 죽초액의 혼합물을 숙성시키는 단계; 상기 숙성된 혼합물로부터 고상물질 즉, 고상성분을 분리하는 단계; 및 상기 고상성분을 가열 및 증류하여 증류액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 보호 효과가 있는 천연 한방 복합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조방법은 어성초, 당귀, 약쑥, 천궁, 신선초, 홰나무, 솔싹, 박하, 녹두, 살구씨, 송진, 상황버섯, 금은화, 생강, 현삼, 조피, 녹차, 금잔화, 도라지 및 검은콩의 분쇄물을 각각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조된 각각의 분쇄물을 중량을 기준으로 동일한 비율로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과 죽초액을 중량을 기준으로 8:2(혼합물:죽초액) 내지 6:4(혼합물:죽초액)의 함량으로 혼합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과 죽초액의 혼합물을 숙성시키는 단계; 상기 숙성된 혼합물의 액상성분을 제거하여 고상성분을 분리하는 단계; 및 상기 고상성분을 증류기를 이용하여 분리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 보호 효과가 있는 천연 한방 복합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피부 보호 효과는 UV 차단효과, 각질 개선 효과 및 피부 모공 축소 효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분쇄물을 제조하는 단계는 어성초, 당귀, 약쑥, 천궁, 신선초, 홰나무, 솔싹, 박하, 녹두, 살구씨, 송진, 상황버섯, 금은화, 생강, 현삼, 조피, 녹차, 금잔화, 도라지 및 검은콩 각각을 건조하고 분쇄하는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어성초는 삼백초과의 약모밀(Houttuynia cordata)의 개화기의 지상부를 의미하며, 십약이라고도 한다. 상기 어성초는 폐렴구균이나 황색포도상구균 등에 대한 항균 활성이 있고, 항 바이러스 효과가 있으며, 폐렴, 급만성기관지염, 장염 등에 대한 효과가 있고, 면역증강효과 및 이뇨작용, 강심작용 및 진해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당귀는 참당귀(Angelica gigas)의 뿌리를 의미하며, 상기 참당귀는 토당귀, 숭검초 또는 조선당귀라고도 하고, 상기 당귀는 보혈작용, 활혈작용, 항암효과 및 혈압강하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약숙은 쌍덕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Asteraceae ) 의 여러해살이풀인 쑥의 별칭으로 약쑥이라고도 한다. 상기 약숙은 지혈작용 및 항균작용이 우수하고, 세포활성, 세포증식 및 재생효과가 뛰어나 상처치료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혈액순환이나 해열 작용이 뛰어나고, 무좀, 습진이나 피부 트러블에 효과가 있어, 외용약제로도 사용되기도 한다.
상기 천궁(Cnidium officinale)은 쌍떡잎식물 이판화군 산형화목 미나리과의 여러해살이풀인 약용 식물로 진정, 진통 및 강장 효과가 있어서, 두통, 빈혈증 및 부인병 등에 치료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신선초는 쌍떡잎식물 산형화목 미나리과의 여러해살이풀로 명일엽 또는 신립초라고도 한다. 상기 신선초는 혈액순환, 동맥경화, 빈혈 등에 효과가 있고, 항염 효과나 항균 효과를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홰나무는 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의 낙엽교목으로 회하나무(Japases pagoda tree, Chinese scholar tree)라고도 한다. 상기 홰나무에는 루틴, 트리테르페노이드사포닌 및 탄닌 성분이 들어 있어, 장 출혈, 치루, 충혈, 고혈압 등에 효과가 있고, 소염 작용, 지혈 작용, 항균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솔싹은 생송진인 테레빈에 의한 살균작용, 항염증작용이 있고, 피부를 통하여 잘 흡수되므로 류머티스성 관절염에 바르면, 아픔이 멎고 염증이 치유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박하는 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 꿀풀과의 여러해살이 숙근초(Mentha arvensis)의 지상부로, 야식향, 번하채, 인단초 또는 구박하라고도 한다. 상기 박하의 기름샘에 저장되어 있는 정유의 주성분은 멘톨로, 상기 멘톨은 진통효과 및 혈액순환효과가 우수하고 항균효과가 뛰어나, 가려움증, 신경통, 구강염 또는 후두염 등의 치료 또는 개선을 위해 사용된다.
상기 녹두는 쌍떡잎 식물 장미목 콩과의 한해살이풀의 열매로, 안두 또는 길두라고도 한다. 상기 녹두는 항균 효과와 항염 효과가 우수하고 해독 효과가 뛰어나, 피부 트러블이나 염증의 개선 또는 붓기를 빠지게 할 때 사용되고 있다.
상기 살구씨는 살구나무(Apricot, Prunus armeniaca)의 열매의 씨로, 심장과, 간, 대장에 작용하여 혈의 움직임을 활발히 하여 어혈을 없애므로 생리불순이나 생리통의 치료에 주로 사용되고, 변비나 설사와 같은 장 질환에 좋다고 알려져 있다.
상기 송진은 소나무 속 진을 말린 것으로서, 피이피크린, 탄닌 및 비타민 등이 함유되어 있어 외용약제나 각종 피부 트러블에 주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 상황버섯은 담자균류 민주름버섯목 진흙버섯과의 버섯으로 목질진흙버섯 또는 상목이라고 불리운다. 상기 상황버섯은 항암작용, 항산화작용, 치매방지 효과, 면역 기능 강화 효과 및 해독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암, 당뇨, 소화기계통의 질병에 대한 예방 및 치료에 사용되고 있다.
상기 금은화는 인동과의 인동덩굴(Lonicera japonica)이나 그 변종의 꽃봉오리를 말하며, 인동이라고도 불리운다. 상기 금은화는 염증, 궤양, 위암 등의 치료에 사용되고, 항균작용, 항염증작용, 해열작용, 혈청 콜레스테롤 강하 작용 및 궤양 예방 효과 등고, 면역 강화 기능이 탁월하다고 알려져 있다.
상기 생강은 생강과의 생각(ginger, Zingiber officinale)의 뿌리줄기로, 건강, 새앙 또는 새양이라고도 한다. 상기 생강은 빵, 과자, 카레, 소스 등의 향신료로 이용되기도 하고, 소화불량, 구토 설사에 효고가 있으며, 혈액순환을 촉진하고, 항염 및 진통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현삼은 현삼과의 다년초(Scrophularia buergeriana)의 뿌리를 말하며, 상기 현삼과의 다년초는 현삼, 중대, 현대, 귀장 또는 축마라고도 한다. 상기 현삼은 한방에서 해독 및 항균을 위해 사용되고, 인후염, 종기 또는 림프선염에 사용된다.
상기 산초는 운향과의 초피나무(Zanthoxylum piperitum)의 과피로서 씨를 제거하여 만든 약재이며 천초, 남초, 진초, 파초 또는 당의 등으로 불리운다. 상기 산초는 진통 효과, 항균 효과 및 소화 촉진 효과가 있ㅇ서, 위염, 이질, 관절염, 회충 등에 사용된다.
상기 녹차는 차를 건조하여 제조된 차잎으로, 피부 조직재생 효과가 있고, 건선과 같은 아토피성 피부염, 습진, 뽀로지, 곰팡이성 피부질환의 치료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우수한 항산화능과 향균력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금잔화(Calendula officinalis)는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로 금송화라고도 한다. 상기 금잔화는 수렴 작용, 항균 작용 및 항염증 작용이 뛰어나서, 피부염, 상처, 염증 또는 종기의 치료에 사용되고, 피부 진정용으로 이용된다.
상기 도라지(Platycodon grandiflorum)는 초롱꽃목 초롱꽃과의 식물로 길경, 돌갓, 산도라지 또는 백약이라고 불리우며, 진정효과, 진통효과, 해열작용 및 혈압조절효과 등이 있으며, 주로 기관지와 관련된 기관지 확장증이나 인후두염 등에 효과적이다.
상기 검은콩은 항산화 효과 및 뛰어난 피부 재상효과로 인해 피부노화 예방효과가 있고, 피부에 영양 공급을 원활히 하여 투명하고 윤기 있게 해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분쇄물을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천연물 즉, 식물 또는 식물의 부위를 유수를 이용하여 각각 세척하고, 이를 각각 건조한 후, 분쇄기를 이용하여 50 메쉬 이상 또는 30 메쉬 내지 100 메쉬 또는 50 메쉬 내지 70 메쉬 크기의 분말로 분쇄하는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분쇄물을 질량 또는 중량을 기준으로 동일한 함량으로 각각 첨가한 후,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한다.
상기 혼합물과 죽초액을 혼합하는 단계는 상기 혼합물에 죽초액을 중량을 기준으로 8:2(혼합물:죽초액) 내지 6:4(혼합물:죽초액), 바람직하게는 7:3(혼합물:죽초액)의 함량으로 혼합하는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죽초액은 대나무의 탄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연기를 냉각시킨 다음 정치 숙성시키거나 및 여과 정제하여 제조되는 적갈색의 투명한 액체를 의마하며, 구체적으로, 상기 죽초액은 대나무를 직접 탄화시킬 때 발생하는 연기를 포집하여 냉각·응축시켜 얻어진 액(조죽초액) 또는 상기 조죽초액을 정치시킨 후 유성층인 상층과 하층을 제거하고 얻어지는 중층의 액(죽초액) 또는 상기 중층의 죽초액에 대해 정치법, 증류법(감압증류법 또는 상압증류법), 또는 여과법(여과지 및/또는 활성탄을 이용)을 수행하여 타르 성분을 더 제거한 정제 죽초액을 의미한다.
상기 죽초액과 관련하여, 탄화시키는 대상인 대나무의 종류는 제한이 없으며, 일 예로 왕대 속(Phyllostachys sp.) 대나무, 해장죽 속(Arundinaria sp.) 대나무, 조릿대 속(Sasa sp.) 또는 이대속(Pseudosasa sp.)일 수 있다. 상기에서 "직접 탄화시킨다"는 것은 열 전달 매체, 예컨대 옹기나 금속제 용기 등의 매개 없이 탄화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혼합물과 죽초액의 혼합물 즉, 혼합액을 숙성시키는 단계는 상기 식물 분쇄물의 혼합물과 죽초액을 혼합하여 제조한 혼합물을 용기, 일 예로 항아리에 넣고, 30℃ 내지 40℃ 일 예로 35℃에서 5일 내지 9일 또는 7일 동안 숙성시키는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숙성과정은 동안 1일 2회 내지 6회 또는 4회 상기 혼합물이 골고루 섞일 수 있도록 교반하면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숙성된 혼합물의 액상성분을 제거하여 고상성분을 분리하는 단계는 유압압착방식 또는 회전탈수방식으로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숙성된 혼합물 즉, 혼합액의 액상 성분을 제거하는 과정은 우선 상기 액상 성분과 고상 성분을 분리한 후, 고상성분을 유압압착기 또는 회전 탈수기를 이용하여 액상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고상성분을 증류기를 이용하여 분리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액상 성분을 제거하여 수득한 상기 고상성분 즉, 고상물질에 대해 증류과정을 수행하여 수증기를 포집하는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상성분을 증류기에 넣고 300℃ 내지 350℃ 또는 330℃로 가열하면서 수증기를 포집하여 증류액을 수집하는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피부 보호 효과가 있는 천연 한방 복합 조성물 즉, 상기 제조방법에서 증류를 통하여 최종적으로 추출된 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본 발명의 효과를 확인한 실험을 통하여 피부 보호 효과, 구체적으로 동물실험 및 임상실험 결과 자외선에 의한 손상 회복 효과, 각질 개선 효과 및 피부 모공 축소 효과가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상기 천연 한방 복합 조성물은 피부 보효 효과를 목적으로 하는 외용 조성물, 바람직하게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발명은 천연 한방 복합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구체적으로 피부 보호용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피부 보호용 조성물은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한 피부 보호용 외용제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또는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천연 한방 복합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외용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외용제란 일반적으로 외용에 사용하는 조성물 전반을 포괄하는 개념이고, 예를 들어, 기초 화장료, 메이크업 화장료, 모발용 화장료 등 각종 화장료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이나 연고제 등의 다양한 의약품 내지 의약외품 등으로 폭넓게 적용 가능한 것을 말하며, 바람직하게는 화장료 조성물, 더욱 바람직하게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또는 기능성 화장품일 수 있다.
상기 외용제에는 유효성분 외에 사용용도 및 외용제 조성물의 성질에 따라 통상 외용제에 배합되고 있는 성분, 일예로 보습제, 자외선 흡수제, 비타민류, 동식물 추출성분, 소화제, 미백제, 혈관확장제, 수렴제, 청량제, 호르몬제 등을 추가로 배합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외용제의 제형은 사용용도 및 외용제 조성물의 성질에 따라 적절한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일예로 수용액계, 가용화계, 유화계, 유액계, 겔계, 페이스트계, 연고계, 에어졸계, 물-기름 2층계, 물-기름-분말 3층계일 수 있으며, 상기 제형에 의해 본 발명의 외용제의 제형 및 형태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외용제는 유효성분 즉, 천연 한방 복합 조성물을 피부조직으로 침투 또는 이행시키기 위해서 필요한 기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효성분은 외용제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30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기로는 0.05 내지 20 중량%일 수 있으나, 함량은 제형 또는 외용제에 함유되는 유효성분외의 성분의 함량에 따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일 예인, 상기 천연 한방 복합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효용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 이외에, 통상의 화장품에 사용가능한 모든 종류의 성분, 예컨대 향료, 색소, 살균제, 산화방지제, 방부제, 보습제, 점증제, 부형제, 희석제, 무기염류 및 합성 고분자 물질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기초화장품, 메이크업 화장품, 바디 화장품, 두발용 화장품, 두피용 화장품 또는 면도용 화장품의 용도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기초화장품의 예로는 크림, 화장수, 팩, 마사지 크림, 유액 등이 있으며, 상기 메이크업 화장품으로는 파운데이션, 메이크업 베이스, 립스틱, 아이새도, 아이라이너, 마스카라, 아이브로우 펜슬 등이 있으며, 바디 화장품으로는, 비누, 액체 세정제, 입욕제, 선스크린 크림, 선 오일 등이 있으며, 두발용 화장품으로는 샴푸, 린스, 헤어 트리트먼트, 헤어 무쓰, 헤어 리퀴드, 포마드, 헤어 칼라제, 헤어 블릿치제, 칼라 린스가 있으며, 두피용 화장품으로는 헤어 토닉, 스칼프 트리트먼트가 있으며, 면도용 화장품으로는 애프터셰이브로션, 셰이빙 크림 등이 있다.
또한,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상기 천연 한방 복합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외선에 의한 손상 회복용 화장료 조성물 또는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천연 한방 복합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또는 세정 조성물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천연 한방 복합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공 축소용 화장료 조성물 또는 세정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자외선에 의한 손상 회복용 화장료 조성물 또는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상기 천연 한방 복합 조성물은 자외선에 의한 손상의 회복 효과가 우수하고, 보습효과도 뛰어나므로, 자외선에 의한 손상 회복 효과를 갖는 화장품에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은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류, 스핑고 지질 및 해초 엑기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성 비타민은 본 발명의 효과를 유지할 수 있고,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포함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B6, 피리독신, 염산피리독신, 비타민 B12, 판토텐산, 니코틴산, 니코틴산아미드, 엽산 또는 비타민 C이거나, 이들의 염(티아민염산염, 아스코르빈산나트륨염 등) 또는 이들의 유도체(아스코르빈산-2-인산나트륨염, 아스코르빈산-2-인산마그네슘염 등)일 수 있다. 상기 수용성 비타민은 미생물 변환법, 미생물의 배양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법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수득될 수 있다.
상기 유용성 비타민은 본 발명의 효과를 유지할 수 있고,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포함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비타민 A, 카로틴, 비타민 D2, 비타민 D3, 비타민 E(D-알파 토코페롤, D-알파 토코페롤, D-알파 토코페롤) 등일 수 있고, 그들의 유도체(팔미틴산아스코르빈, 스테아르산아스코르빈, 디팔미틴산아스코르빈, 아세트산-알파 토코페롤, 니코틴산-알파 토코페롤비타민 E, D-판토테닐알코올, D-판토테닐알코올, 판토테닐에틸에테르 등)일 수 있다. 상기 유용성 비타민은 미생물 변환법, 미생물의 배양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법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수득될 수 있다.
상기 고분자 펩티드는 본 발명의 효과를 유지할 수 있고,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포함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콜라겐, 가수 분해 콜라겐, 젤라틴, 엘라스틴, 가수 분해 엘라스틴 또는 케라틴 등일 수 있다. 상기 고분자 펩티드는 미생물의 배양액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법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수득된 후, 정제과정을 거쳐 취득할 수 있으며, 통상 돼지나 소 등의 진피, 누에의 견섬유 등의 천연물로부터 정제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고분자 다당류는 본 발명의 효과를 유지할 수 있고,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포함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크산탄검, 히알루론산나트륨 또는 콘드로이틴 황산 등일 수 있고, 그들의 염(나트륨염 등)등 일 수 있다. 상기 콘드로이틴 황산 또는 그 염 등은 통상 포유동물이나 어류로부터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스핑고 지질은 본 발명의 효과를 유지할 수 있고,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포함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세라미드, 피토스핑고신, 스핑고당지질일 수 있다. 상기 스핑고 지질은 통상 포유류, 어류, 패류, 효모 또는 식물 등으로부터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하거나 화학 합성법에 의해 수득될 수 있다.
상기 해초 엑기스는 본 발명의 효과를 유지할 수 있고,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포함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갈조 엑기스, 홍조 엑기스, 녹조 엑기스 등일 수 있고, 상기 해초 엑기스에는 상기 해초 엑기스로부터 정제된 칼라기난, 아르긴산, 아르긴산나트륨, 아르긴산칼륨 등도 포함된다. 상기 해초 엑기스는 해초로부터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하여 수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는 통상 화장료에 배합되는 다른 성분이 더욱 포함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통상 화장료에 배합되는 다른 성분은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안료 및 무기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제 또는 정제수 등일 수 있다.
상기 유지 성분은 구체적으로 에스테르계 유지, 탄화수소계 유지, 실리콘계 유지, 불소계 유지, 동물 유지 또는 식물 유지 등일 수 있다.
상기 에스테르계 유지는 일 예로, 트리-2-에틸헥산산글리세릴, 2-에틸헥산산세틸, 미리스틴산이소프로필, 미리스틴산부틸, 팔미틴산이소프로필, 스테아르산에틸, 팔미틴산옥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부틸, 리놀레산에틸, 리놀레산이소프로필, 올레인산에틸, 미리스틴산이소세틸, 미리스틴산이소스테아릴, 팔미틴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세바신산디에틸, 아디핀산디이소프로필, 네오펜탄산이소알킬, 트리(카프릴, 카프린산)글리세릴, 트리-2-에틸헥산산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이소스테아르산트리메틸롤프로판, 테트라-2-에틸헥산산펜타엘리슬리톨, 카프릴산세틸, 라우린산데실, 라우린산헥실, 미리스틴산데실, 미리스틴산미리스틸, 미리스틴산세틸, 스테아르산스테아릴, 올레인산데실, 리시노올레인산세틸, 라우린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이소트리데실, 팔미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옥틸, 스테아르산이소세틸, 올레인산이소데실,올레인산옥틸도데실, 리놀레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프로필, 2-에틸헥산산세토스테아릴, 2-에틸헥산산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헥실, 디옥탄산에틸렌글리콜, 디올레인산에틸렌글리콜, 디카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카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린산네오펜틸글리콜, 디옥탄산네오펜틸글리콜, 트리카프릴산글리세릴, 트리운데실산글리세릴, 트리이소팔미틴산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르산글리세릴, 네오펜탄산옥틸도데실, 옥탄산이소스테아릴, 이소노난산옥틸, 네오데칸산헥실데실, 네오데칸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옥틸데실, 폴리글리세린올레인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이소스테아르산에스테르, 시트르산트리이소세틸, 시트르산트리이소알킬, 시트르산트리이소옥틸, 락트산라우릴, 락트산미리스틸, 락트산세틸, 락트산옥틸데실, 시트르산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부틸, 시트르산트리옥틸, 말산디이소스테아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 2-에틸헥실, 숙신산디2-에틸헥실, 아디핀산디이소부틸, 세바신산디이소프로필, 세바신산디옥틸, 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 콜레스테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올레인산콜레스테릴, 올레인산디히드로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 피트스테릴, 올레인산피트스테릴,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세틸,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 스테아릴 또는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등일 수 있다.
상기 탄화 수소계 유지는 일 예로 스쿠알렌, 유동 파라핀, 알파-올레핀올리고머, 이소파라핀, 세레신, 파라핀, 유동 이소파라핀, 폴리부덴,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또는 와셀린 등일 수 있다.
상기 실리콘계 유지는 일 예로 폴리메틸실리콘, 메틸페닐실리콘, 메틸시클로폴리실록산, 옥타메틸폴리실록산, 데카메틸폴리실록산, 도데카메틸시클로실록산, 디메틸실록산ㆍ메틸세틸옥시실록산 공중합체, 디메틸실록산ㆍ메틸스테알록시실록산 공중합체, 알킬 변성 실리콘유 또는 아미노 변성 실리콘유 등일 수 있다.
상기 불소계 유지는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등일 수 있다.
상기 동물 유지 또는 식물 유지는 아보카도유, 아르몬드유, 올리브유, 참깨유, 쌀겨유, 새플라워유, 대두유, 옥수수유, 유채유, 행인유, 팜핵유, 팜유, 피마자유, 해바라기유, 포도종자유, 면실유, 야자유, 쿠쿠이너트유,소맥배아유, 쌀 배아유, 시아버터, 월견초유, 마커데이미아너트유, 메도홈유, 난황유, 우지, 마유, 밍크유, 오렌지라피유, 호호바유, 캔데리러왁스, 카르나바왁스, 액상 라놀린 또는 경화피마자유 등일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구체적으로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 또는 양성 계면활성제일 수 있다.
상기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는 일 예로, 지방산비누, 알파-아실술폰산염, 알킬술폰산염, 알킬알릴술폰산염, 알킬나프탈렌술폰산염, 알킬황산염, POE 알킬에테르황산염, 알킬아미드황산염, 알킬인산염, POE 알킬인삼염, 알킬아미드인산염, 알킬로일알킬타우린염, N-아실아미노산염, POE 알킬에테르카르복실산염, 알킬술포숙신산염, 알킬술포아세트산나트륨, 아실화 가수분해 콜라겐펩티드염 또는 퍼플루오로알킬인산에스테르 등일 수 있다.
상기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는 일 예로, 염화알킬트리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브롬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세토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디메틸벤질암모늄, 브롬화베헤닐트리메틸암모늄, 염화벤잘코늄, 스테아르산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드, 스테아르산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또는 라놀린 유도체 제4급 암모늄염 등일 수 있다.
상기 양성 계면 활성제는 일 예로, 카르복시베타인형, 아미드베타인형, 술포베타인형, 히드록시술포베타인형, 아미드술포베타인형, 포스포베타인형, 아미노카르복실산염형, 이미다졸린 유도체형 또는 아미드아민형의 양성 계면 활성제 등일 수 있다.
상기 안료는 유기안료, 무기안료 및 이들의 복합 안료 등일 수 있다.
상기 무기안료는 일 예로 규산, 무수규산, 규산마그네슘, 탤크, 세리사이트, 마이카, 카올린, 벵갈라, 클레이, 벤토나이트, 티탄피막운모, 옥시염화비스무트, 산화지르코늄, 산화마그네슘, 산화아연, 산화티탄, 산화알루미늄, 황산칼슘, 황산바륨, 황산마그네슘,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산화철, 군청, 산화크롬, 수산화크롬, 칼라민 및 이들의 복합체 등일 수 있다.
상기 유기안료는 일 예로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우레탄, 비닐수지, 요소수지, 페놀수지, 불소수지, 규소수지, 아크릴수지, 멜라민수지, 에폭시수지, 폴리카보네이트수지, 디비닐벤젠ㆍ스티렌 공중합체, 실크파우더, 셀룰로오스, CI 피그먼트옐로우, CI 피그먼트 오렌지 및 이들의 복합체 등일 수 있다.
상기 유기 분체는 일 예로 스테아르산칼슘 등의 금속비누; 세틸린산아연나트륨, 라우릴린산아연, 라우릴린산칼슘 등의 알킬인산금속염; N-라우로일-베타-알라닌칼슘, N-라우로일-베타-알라닌아연, N-라우로일글리신칼슘 등의 아실아미노산 다가금속염; N-라우로일-타우린칼슘, N-팔미토일-타우린칼슘 등의 아미드술폰산 다가금속염; N-엡실론-라우로일-L-리진, N-엡실론-팔미토일리진, N-알파-파리토일올니틴, N-알파-라우로일아르기닌, N-알파-경화우지지방산아실아르기닌 등의 N-아실염기성아미노산; N-라우로일글리실글리신 등의 N-아실폴리펩티드; 알파-아미노카프릴산, 알파아미노라우린산 등의 알파-아미노지방산;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스티렌, 사불화에틸렌 등일 수 있다.
상기 자외선에 의한 손상 회복용 화장료 조성물 또는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은 공지된 자외선 차단제를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차단제는 유기 자외선 차단제 및/또는 무기 자외선 차단제일 수 있다.
상기 자외선에 의한 손상 회복용 화장료 조성물 또는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유액, 크림, 화장수, 팩, 파운데이션, 로션, 미용액, 모발 화장료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기존 식용, 약용 또는 외용으로 사용되어 안전성이 인정된 식물 성분을 이용하여 피부 보호 효과, 구체적으로 자외선에 의한 손상 회복 효과, 각질 제거 효과, 모공 축소 효과 및 보습 효과가 우수한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천연 한방 복합 조성물은 다양한 사용 용도를 제공함으로써 기존 안전성이 문제되던 화학물질 위주의 기능성 화장품을 대체할 수 있어서, 그 산업적 효과가 매우 클 것으로 예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천연 한방 복합 조성물의 세정 효과를 확인한 그래프로, 세로축은 설문에 응답한 피험자의 수를 의미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천연 한방 복합 조성물의 보습 효과를 확인한 그래프로, 세로축은 설문에 응답한 피험자의 수를 의미하고, 가로축은 보습 정도에 대한 응답 항목을 의미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천연 한방 복합 조성물의 모공 축소 효능을 갖는지 현재 판매되고 있는 시제품과 비교하여 확인하기 위해 피부의 모공을 촬영한 사진으로, 가로축은 순서대로 세안전 피부, 천연 한방 복합 조성물로 세안한 피부 및 대조군인 시판제품으로 세안한 피부를 의미하고, 세로축은 제품사용 후 1분, 5분 및 30분이 경과한 시점을 의미한다.
도 4는 상기 천연 한방 복합 조성물의 모공 축소 효능을 촬영한 사진을 바탕으로 모공의 크기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로, 가로축은 제품사용 후 경과된 시간 별로 구분된 것이고, 세로축은 모공 크기(Total pore size)를 의미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천연 한방 복합 조성물의 각질 제거능을 확인하기 위해 corneocytes를 이용하여 피부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 6은 상기 천연 한방 복합 조성물의 각질 제거능을 corneocytes를 이용하여 촬영한 사진을 바탕으로 desquamation index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천연 한방 복합 조성물의 자외선에 의한 손상의 회복 효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자외선 B를 조사하여 피부 손상을 유도한 후, 피부 조직을 H&E 염색하고 촬영한 사진이다.
도 8은 상기 천연 한방 복합 조성물의 자외선에 의한 손상의 회복 효능을 확인하기 위해 촬영한 사진을 바탕으로 표피의 두께를 측정한 것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제조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 및 제조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한 것을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의해 어떤 식으로든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수행되어지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의 변형 등도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실시예 1: 기능성 조성물의 제조
실험에 사용하기 기능성 조성물 즉, 천연 한방 복합 조성물을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우선, 대한민국 강원도 춘천시 소재의 약재구입상에서 어성초, 당귀, 약쑥, 천궁, 신선초, 홰나무, 솔싹, 박하, 녹두, 살구씨, 송진, 상황버섯, 금은화, 생강, 현삼, 조피, 녹차, 금잔화, 도라지 및 검은콩을 각각 1 kg씩 구입하여, 이들을 유수로 3회 깨끗이 세척하고 햇빛이 비치지 않는 응달에서 건조시켰다.
상기 건조된 각각의 약재를 분쇄기를 이용하여 각각 50 메쉬 정도의 크기로 분쇄한 후, 분쇄물을 각각 500 g씩 혼합하였다.
상기 혼합된 혼합물 중 3.5 kg을 분리한 후, 죽초액 1.5 kg과 혼합하여 잘 섞어 주었다. 상기 잘 혼합된 혼합액을 항아리에 넣고 밀봉한 후, 약 35℃를 유지하면서 1주일간 숙성시켰다. 상기 숙성시키면서 1일에 4번 혼합액이 전체가 골고루 섞일 수 있도록 교반시켜주었다.
상기 1주일간 숙성시킨 후, 체를 이용하여 액상을 제거하고, 고상만을 수득한 후, 다시 한번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탈수시켜주었다.
상기 액체를 분리한 고상을 증류기에 넣은 후, 330℃로 가열하면서, 수증기를 포집하고, 냉각하여 증류액을 수집하는 방법으로 추출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기능성 조성물의 보습효과 및 세정효과 확인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기능성 조성물 즉, 천연 한방 복합 조성물에 대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10명의 피시험자를 대상으로 임상실험을 수행하였다. 상기 피시험자는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천연 한방 복합 조성물 원액을 사용하였다.
우선적으로, 상기 10명의 피시험자의 피부 특성을 설문 조사하여 분석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으며, 제품 사용 후 설문에 의한 피험자의 주관적인 평가 방법을 실시하여, 세정효과와 보습효과(느낌)을 확인하여 그 결과를 도 1 및 도 2에 나타내었다.
Item Classification Frequency (N) Percentage (%)
Skin Type Dry 2 20
Normal 5 50
Oily 2 20
Problematic 1 10
Hydration Sufficient 0 0
Normal 6 0
Dry 4 0
Sebum Glossy 2 20
Normal 8 80
Rough 0 0
Surface Smooth 3 30
Normal 6 60
Rough 1 10
상기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안 청결도’ 항목에서 피험자의 60%가 긍정적인 답변을 하였으며, 상기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품 사용시 느낌을 묻는 항목에서는 피험자의 70%가 ‘촉촉하다’ 또는 ‘부드럽다’는 답변을 하여, 본 발명의 천연 한방 복합 조성물은 보습력 및 세척력이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3: 기능성 조성물의 모공축소 효과 확인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기능성 조성물 즉, 천연 한방 복합 조성물의 모공축소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2의 10명의 피시험자를 대상으로 임상실험을 수행하였다. 상기 피시험자는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천연 한방 복합 조성물 원액 또는 기존에 시판되고 있는 L사의 세정 제품(세안비누)을 사용하였다.
상기 제품 사용 전과 사용 후 1분, 5분 및 30 분 시점에서 모공 측정 장비를 사용하여 뺨 정면 우측 부위의 피부 표면을 촬영하여,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고, 상기 촬영하여 측정한 모공 중에서 임의로 5개의 모공 크기의 평균값을 분석하여,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상기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안 전과 비교하였을 때 비하여 천연 한방 복합 조성물 원액을 사용한 경우 세안 전에 비하여 육안으로 확인가능할 정도로 모공이 축소된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계면활성제 등의 화학물질이 포함된 기존 세정제품으로 사용되는 제품과 비교해서도 거의 유사한 정도로 확인되어 천연 한방 복합 조성물 원액의 모공 축소 효과가 현저하게 뛰어난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4: 기능성 조성물의 각질제거 효과 확인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기능성 조성물 즉, 천연 한방 복합 조성물의 각질제거 효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2의 10명의 피시험자를 대상으로 임상실험을 수행하였다. 상기 피시험자는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천연 한방 복합 조성물 원액 또는 기존에 시판되고 있는 L사의 세정 제품(세안 비누)을 사용하였다.
상기 제품 사용 전과 사용 직후 시점에 피부표면의 corneocytes을 탈착하는 특수호일인 corneofix F20을 뺨 정면 우측 부위의 피부 표면에 5초간 부착한 후, 상기 corneofix, F20을 떼어내고, visioscan(CCD-camera)에 접착 후 촬영하여 desquamation index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5 및 도 6에 나타내었다.
상기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안 전과 비교하였을 때 비하여 천연 한방 복합 조성물 원액을 사용한 경우 세안 전에 비하여 육안으로 확인가능할 정도로 corneocytes의 크기가 감소되었고, desquamation index가 감소된 것도 확인되었다. 또한, 계면활성제 등의 화학물질이 포함된 기존 세정제품으로 사용되는 제품과 비교해서도 거의 유사한 정도로 확인되어 천연 한방 복합 조성물 원액의 각질 제거 효과가 현저하게 뛰어난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5: 기능성 조성물의 자외선 회복 효과 확인
털이 없는 6주령 내지 8 주령의 체중 25 g 내지 35 g 인 hairless mice를 실험군별로 5마리씩 총 15마리를 사용하였으며, 대조군을 제외한 10마리의 마우스 등쪽 피부에 UVB lamp GL20SE를 이용하여 UVB를 200 mJ/cm2 의 조사량으로 1분간 1회 조사하였다.
상기 조사한 후, 자외선 조사도 하지 않고 아무런 처리도 하지 않은 대조군, UAB 조사 후 물을 처리한 군 및 UAB 조사 후 천연 한방 복합 조성물의 원액을 처리한 군으로 나누어 비교하였다. 상기 물 또는 원액을 처리한 후, 24시간이 경과하고 변화를 관찰하였다.
피부 조직 병리 상태의 확인을 위하여, 마우스 등쪽 피부의 중앙을 기준으로 가로 3 cm, 세로 4 cm의 피부를 샘플링하여 4% paraformaldehyde에 12시간 동안 고정하였으며, 고정이 끝난 조직은 수돗물에서 1시간 동안 수세하였다. 수세가 끝난 조직은 카세트로 옮겨 automatic paraffin processor를 이용하여 조직 내 수분을 파라핀으로 치환하였으며, 파라핀화 된 조직은 embedding center에서 paraffin block으로 제조하였다. 제조된 block은 microtom을 이용하여 5㎛ 두께로 절편화 하여 슬라이드에 부착하였으며, 조직 절편은 xylen 및 alcohol을 거치는 통상적인 함수과정을 거친 다음 Harris's hematoxyline 용액에 약 4분간 염색을 한 후 약 7분간 수세를 하였다. 수세가 끝난 조직을 1% HCL-Alcohoh에 약 5회 가량 넣었다 빼었다 한 후 수세를 하였으며, 0.5 ~ 1% 암모니아수에 중화를 한 다음 Eosin 용액에 약 5분간 염색을 한 후 alcohol 및 xylen을 거치는 통상적인 탈수과정을 거쳐 canada balsam으로 마운팅하여, 디지털 카메라(Axiocam, Cal Zeiss, Germany)가 부착되어 있는 악시오엠1 현미경(AxioM1 microscope, Carl Zeiss, 독일)으로 표피를 400배로 확대하여 각 조직절편들을 사진 촬영하였다. 촬영 결과를 도 7에 나타내었고, 표피 두께는 도 8에 나타내었다.
상기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조군(Control), UAB 조사 후 용매인 물을 처치한 군(UVB) 및 UAB 조사 후 천연 한방 복합 조성물의 원액을 처리군(UVB+원액)을 비교 하였을 때, 대조군에 비하여 UVB 조사한 실험동물에서 표피의 두께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기 용매인 물을 처리한 군에 비하여 천연 한방 복합 조성물의 원액을 처리한 군에서 표피의 두께가 감소되어, 물에 비하여 천연 한방 복합 조성물의 원액을 처리한 경우, 자외선 조사에 의한 회복 효과가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상기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피의 두께를 측정한 결과, UVB 조사 후 용매인 물을 처리한 군에 비하여 천연 한방 복합 조성물의 원액을 처리한 군에서 약 35% 가량 표피 두께가 감소하는 것이 확인되어, 상기 천연 한방 복합 조성물이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의 회복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Claims (5)

  1. 어성초, 당귀, 약쑥, 천궁, 신선초, 홰나무, 솔싹, 박하, 녹두, 살구씨, 송진, 상황버섯, 금은화, 생강, 현삼, 조피, 녹차, 금잔화, 도라지 및 검은콩의 분쇄물을 각각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조된 각각의 분쇄물을 중량을 기준으로 동일한 비율로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과 죽초액을 중량을 기준으로 7:3(혼합물:죽초액)의 함량으로 혼합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과 죽초액의 혼합물을 숙성시키는 단계;
    상기 숙성된 혼합물의 액상성분을 제거하여 고상성분을 분리하는 단계; 및
    상기 고상성분을 증류기를 이용하여 분리 추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피부 보호 효과가 있는 천연 한방 복합 조성물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보호 효과는 UV 차단효과, 각질 개선 효과 및 피부 모공 축소 효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천연 한방 복합 조성물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숙성시키는 단계는 30℃ 내지 40℃에서 1일 2회 내지 6회 교반하면서, 5일 내지 9일 동안 수행하고,
    상기 고상성분을 분리하는 단계는 유압압착방식 또는 회전탈수방식으로 수행하며,
    상기 분리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고상성분을 증류기에 넣고 300℃ 내지 350℃로 가열하면서 증류액을 수집하는 방법으로 수행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한방 복합 조성물의 제조방법.
  4. 제1항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피부 보호 효과가 있는 천연 한방 복합 조성물.
  5. 제4항의 천연 한방 복합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10090438A 2011-09-06 2011-09-06 천연 한방 복합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호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269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0438A KR20130026955A (ko) 2011-09-06 2011-09-06 천연 한방 복합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호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0438A KR20130026955A (ko) 2011-09-06 2011-09-06 천연 한방 복합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호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6955A true KR20130026955A (ko) 2013-03-14

Family

ID=48178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0438A KR20130026955A (ko) 2011-09-06 2011-09-06 천연 한방 복합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호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2695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0260B1 (ko) * 2020-01-07 2020-07-23 주식회사 폴메디 피부 개선 효과를 갖는 천연 광물질 함유 화장료 조성물
KR20220107376A (ko) * 2021-01-25 2022-08-02 (주)더부움 항균, 항염, 항산화 또는 피부진정 효과를 갖는 황금, 로즈마리, 어성초, 사철쑥 및 카렌둘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복합 기능성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0260B1 (ko) * 2020-01-07 2020-07-23 주식회사 폴메디 피부 개선 효과를 갖는 천연 광물질 함유 화장료 조성물
KR20220107376A (ko) * 2021-01-25 2022-08-02 (주)더부움 항균, 항염, 항산화 또는 피부진정 효과를 갖는 황금, 로즈마리, 어성초, 사철쑥 및 카렌둘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복합 기능성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3636B1 (ko) 천연물 복합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및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0928726B1 (ko) 아토피성 피부 질환 치료용 천연 특수 한방 조성물 및 그제조방법
CN104922000A (zh) 一种防晒修复凝胶及其制备方法
KR102083294B1 (ko) 피부재생 효과를 갖는 미선나무 추출물 및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재생용 조성물
CN103845277A (zh) 一种天然中药材面膜粉及其制备方法和面膜
Adlakha et al. Value-added products of Aloe species: Panacea to several maladies
CN106821929A (zh) 一种用于细致毛孔的海洋生物功能面膜
KR102037030B1 (ko) 피토실리카(Phytosilica)를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776346B1 (ko) 한련초, 숙지황, 하수오 및 반하 혼합 생약 추출물을함유하는 항비듬, 항염 활성을 갖는 조성물
KR102300581B1 (ko)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CN109310724A (zh) 一种用于皮肤和/或头发护理和/或治疗的组合物
KR102214985B1 (ko)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1168796B1 (ko)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2257448B1 (ko) 흑다시마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2472629A (zh) 一种高良姜草果防晒乳液及其制备方法
CN108938511B (zh) 天然植物提取物的组合物及在皮肤保湿祛痘产品中的应用
JP7338842B2 (ja) しわ改善用組成物およびしわ改善用皮膚化粧料
KR20150106070A (ko) 여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세안제품
KR101034405B1 (ko) 여드름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26080B1 (ko) 비누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비누
KR20130026955A (ko) 천연 한방 복합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호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RU2180214C1 (ru) Крем-скраб
KR20110012601A (ko) 창포 추출물을 이용한 미용향장용 조성물, 바디 전용 비누, 두피 전용 비누 및 두피 세정제
CN104013549A (zh) 一种含中华金丝提取物的护肤品
CN110090193B (zh) 一种具有减脂功效的祛痘保湿精华液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