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5518A - 휴대용 우산집 - Google Patents

휴대용 우산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5518A
KR20130025518A KR1020110088875A KR20110088875A KR20130025518A KR 20130025518 A KR20130025518 A KR 20130025518A KR 1020110088875 A KR1020110088875 A KR 1020110088875A KR 20110088875 A KR20110088875 A KR 20110088875A KR 20130025518 A KR20130025518 A KR 201300255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mbrella
portable
house
receiving portion
rain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88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대부
Original Assignee
전대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대부 filed Critical 전대부
Priority to KR10201100888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25518A/ko
Priority to PCT/KR2012/007039 priority patent/WO2013032307A2/ko
Publication of KR201300255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55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24Protective coverings for umbrellas when closed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28Drip receptacles for umbrellas; Attaching devices therefor

Landscapes

  • Walking Sticks, Umbrellas, And F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산에 묻은 빗물을 내부에 보관하였다가 필요시 배수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우산집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우산에 묻은 빗물의 자연스러운 배수가 가능하며, 우산집 내부에 모인 빗물이 우산집이 수평으로 놓이거나 뒤집어지더라도 외부로 쉽게 누수가 되지 않는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우산집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휴대용 우산집{Portable umbrella case}
본 발명은 우산에 묻은 빗물을 내부에 보관하였다가 필요시 배수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우산집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우산에 묻은 빗물의 자연스러운 배수가 가능하며, 우산집 내부에 모인 빗물이 우산집이 수평으로 놓이거나 뒤집어지더라도 외부로 쉽게 누수가 되지 않는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우산집에 관한 것이다.
우천시 사용한 우산에는 많은 빗물이 묻어있기 때문에 젖은 우산을 휴대하고 대중교통을 이용하면 주변 사람들에게 피해를 줄 수 있으며, 또한 건물 내부에 들어가면 건물 바닥에 빗물이 떨어져서 미관상 안 좋을 뿐만 아니라, 미끄럼에 의한 불의의 사고를 유발할 수 있다.
이에 건물입구에 설치된 우산보관통에 우산을 보관하게 하거나, 일회용 우산비닐을 사용하는 것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접이식 우산의 경우 우산보관통에 보관하기 어려우며 보관시 파손 및 분실의 우려가 있었고, 일회용 우산비닐은 자원의 낭비를 초래하고 언제 어디서나 휴대하고 다니며 사용하기가 불편한 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휴대용 우산집이 개발되었다. 도 1과 도 2는 종래의 휴대용 우산집의 개략도이다. 종래의 휴대용 우산집은 상단에 우산투입구(41)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뚜껑을 구비한 배수구(11)가 형성된 케이스(1), 상기 케이스의 중간부분에 형성된 자바라부(30), 상기 우산집의 하단부에 형성된 빗물을 저장하는 부분(15)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휴대용 우산집은 빗물의 배수구(21)를 우산이 막고 있으므로 우산에 묻은 빗물이 저장되는 부분(15)으로 자연 배수가 되기 어려워, 빗물이 실질적으로 a 부분에 고이게 되고, 이로 인하여 우산집이 기울어지거나 뒤집어지면 빗물이 우산투입구(41)를 통하여 외부로 누수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우산집의 내부에 우산을 고정시킬 수 있는 부분이 없으므로, 우산이 도 1과 도 2와 같이 정중앙에 위치하지 않게 되고 이로 인하여 우산과 우산집의 접하게 되어서 종래의 일회용 우산비닐을 사용할 경우와 같이 우산에 묻은 빗물이 자연배수되는 것이 어려웠다. 특히 도 2의 경우에는 우산이 가장 이상적으로 정중앙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하였는데, 실제로는 이러한 형상으로 우산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상당히 조심을 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나아가 신발을 벗고 들어가야 하는 실내, 예를 들어 신발을 벗고 들어가야 하는 식당과 같은 경우에는 도 1과 도 2와 같은 휴대용 우산집을 들고 들어가더라도, 이를 세워둘 수가 없으므로, 자신의 근처에 둘 수 없고 근처 벽에 설치된 못 같은 곳에 걸어두어야 하고, 제한적이고 불충분한 방수기능으로 인해, 언제 어디서나 휴대가 불가능하며, 우산집 본연의 기능을 충족하기 어렵다.
본 발명은 상기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우산에 묻은 빗물의 자연스러운 배수가 가능하며, 우산집 내부에 모인 빗물이 우산집이 수평으로 놓거나 뒤집어지더라도 외부로 쉽게 누수가 되지 않는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우산집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우산집은 우산이 삽입되는 우산삽입부; 상기 우산삽입구에 연결되어 내부에 우산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우산수용부; 상기 우산수용부에 연결되어서 우산에서 발생한 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수부; 및 상기 우산삽입부의 내측에서 상기 우산수용부의 내부로 상기 우산수용부의 내면과 일정거리 이격된 우산수용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방수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방수지지대는 원통형상을 가진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방수지지대는 상기 우산삽입부에서 우산수용부의 내부로 우산수용부의 내벽과 평행하게 직선으로 연장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우산삽입부에는 우산수용부 내부의 빗물이 외부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밀폐형 도어가 부착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우산수용부에는 우산의 길이에 따라서 우산수용부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자바라 또는 컵홀더 형상의 신축부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배수부는 상기 우산수용부의 내부에 수용된 우산의 꼭대기 부분이 안착되는 우산수용부의 중심에 형성된 우산안착부, 및 상기 우산안착부와 경사지게 연결되며 다수의 제1배수구가 형성된 경사판을 포함하는 상단지지판; 상기 상단지지판의 하부에 위치하며 내부에 빗물이 수용되는 빗물저장소; 및 상기 빗물저장소의 하부에 형성된 외부배수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단지지판의 하부에 위치하며 중앙에 제2배수구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하부방향으로 경사진 깔때기 형성의 하부지지판이 추가로 형성되며, 제2배수구의 하부에는 외부배수구 방향으로 돌출된 역류방지대가 추가로 설치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외부배수구에는 나선형상의 밸브 또는 마개가 부착된다.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우산집은 방수지지대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우산집이 수평상태가 되거나 상하가 뒤집어지더라도, 방수지지대의 내부는 우산에 의해 막혀있으므로 우산집 내부의 빗물의 대부분은 방수지지대와 우산수용부의 내벽 사이의 공간에 머물게 되고 따라서 우산집 내부에 모인 빗물이 우산집의 외부로 쉽게 누수가 되지 않는다.
또한 방수지지대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우산집 내부에서의 우산의 이동이 최대한 억제되고, 우산은 우산집의 내벽과 일정한 거리 이격된 상태로 보관이 되므로, 우산과 우산집의 내벽이 접하지 않게 되어서, 우산에 묻은 빗물이 자연스럽게 빗물저장소로 흘러내릴 수 있다.
또한 우산의 상부가 우산안착부에 안착이 되고, 우산에 묻은 물은 우산안착부를 통하여 경사면으로 흘러서 자연스럽게 빗물저장소로 흘러들 수 있으므로, 종래에서와 같이 우산이 배수구를 막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우산의 손잡이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므로, 우산집을 파지하기 수월하다.
또한 우산집의 바닥이 평평하고 방수지지대가 있으므로 우산집을 세우거나 눕혀서 보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신발을 벗고 들어가는 장소에서도 자신의 근처에 우산집을 보관할 수 있으므로 분실되거나 파손될 우려가 없다.
신축부가 자바라 형상인 경우에는 우산집을 접으면 자바라가 외부로 노출이 되지 않으므로 외관이 수려하고 연질의 재질로 만들어지는 자바라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과 도 2는 종래의 휴대용 우산집의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우산집의 개략도,
도 4와 도 5는 밀폐형도어의 일실시예로서의 상부면 사시도,
도 6은 도 4와 도 5에서의 밀폐형 도어의 결합부분의 확대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의 자바라가 채택된 휴대용 우산집의 개략도,
도 8은 도 3에서의 배수부의 확대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우산집에 접는 우산이 삽입된 경우의 단면도,
도 10은 휴대용 우산집이 옆으로 누운 상태의 단면도,
도 11은 휴대용 우산집의 상하부가 완전히 뒤집어진 상태의 단면도,
도 12와 도 13은 도 3과 도 7의 휴대용 우산집을 접은 경우의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우산집에 긴 우산이 삽입된 경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우산집의 개략도이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우산집은 우산삽입부(100), 우산수용부(200), 배수부(300) 및 방수지지대(400)를 포함하고 있고 있다.
이하 각 구성요소별로 설명한다.
우산삽입부(100)는 우산이 삽입되는 부분으로. 휴대용 우산집에 수용된 우산에서 배출된 빗물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개폐수단(120)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의 개폐수단(120)은 똑딱단추, 부직포, 지퍼 등 다양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나, 휴대용 우산집의 내부에 보관중인 빗물이 외부로 누수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하여 밀폐형도어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와 도 5는 밀폐형도어의 일실시예로서의 상부면 사시도이다. 밀폐형도어의 예시로서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우산삽입부(100)의 상면에 형성된 레일(121)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는 플렉서블한 재질로 만들어진 미닫이 형식의 밀폐형도어(122,123), 또는 도 5에서와 같이 일단이 우산삽입부(100)의 상면에 회전가능하도록 고정(129)되어 회전에 의해 개폐할 수 있는 밀폐형도어(127,128)를 들 수 있다.
도 4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밀폐형도어는 2개가 쌍으로 제작되며, 그 밀폐형도어의 중앙에는 우산손잡이 부분이 휴대용 우산집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우산대가 관통할 수 있는 관통구(125)가 형성되어 있다.
밀폐형 도어를 열고 닫기 위한 손잡이(124,126)이 밀폐형도어에 부착될 수 있으며, 도 4의 밀폐형도어에는 2개의 밀폐형 도어(122,123)가 레일(121)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홈(미도시)이나 방지막(미도시)이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2개의 밀폐형도어가 접하는 부분은 빗물의 누수를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하여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2개의 밀폐형도어가 겹치면서 결합될 수 있는 구조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a)는 도 4에서의 2개의 밀폐형 도어가 결합되는 부분에 대한 확대 단면도이고, 도 6(b)는 도 5에서의 2개의 밀폐형 도어가 결합되는 부분에 대한 확대 단면도이다.
우산삽입부(100)의 외부 단면 형상에 대해서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예를들어, 원형, 사각형, 육각형등의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제작될 수 있으나, 밀폐형도어가 설치되는 경우에는 도 4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원형 또는 사각형의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우산삽입부(100)의 내부의 단면은 우산의 형태를 고려할 때, 원형으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우산수용부(200)는 우산삽입부(100)에 연결되며, 실질적으로 내부에 우산이 수용되는 부분이다. 우산수용부(200)에는 우산수용부(20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신축부를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신축부는 우산의 길이에 맞게 우산수용부(20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우산을 보관하지 않을 경우에는 휴대가 편리하게 그 부피를 최소화시킬 수 있게 해준다. 신축부의 예시로서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컵홀더(210) 형식으로 만들 수도 있으나,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자바라(223) 형식으로 제작할 수도 있다. 신축부가 컵홀더(210) 형식으로 제작할 경우에는 빗물의 누수방지와 컵홀더 부분이 임의로 신축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2개의 컵홀더가 결합하는 관절부분에 연질의 오링(미도시)을 삽입할 수도 있다.
또한 자바라(223) 형식으로 제작할 경우에는, 도 7에서 보는 바와같이, 우산수용부(200)는 상부우산수용부(221), 하부우산수용부(222) 및 자바라부(223)로 나누어지고, 자바라부(223)는 상부우산수용부(221)와 하부우산수용부(222)의 내측에 완전밀착되게 고정된다. 자바라부(223)를 밀착고정시키는 방법은 고주파부착방식등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을 사용하면 된다.
휴대용 우산집을 휴대를 위하여 그 부피를 최소화시키려면 자바라부(223)는 상부우산수용부(221)와 하부우산수용부(222)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부우산수용부(221)와 하부우산수용부(222)가 결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2는 자바라부가 채택된 휴대용 우산집을 접은 경우의 단면도이다. 이 경우에 자바라부(223)는 휴대용 우산집의 부피를 최소화시킬 경우에 외부로 노출이 되지 않으므로, 연질의 자바라부(223)가 손상되는 것이 방지되고 미관이 수려할 뿐더라, 그 보관이 용이해진다.
배수부(300)는 우산에서 발생한 빗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부분으로서, 필요에 따라서는 우산에서 발생한 빗물을 보관하였다가 원할 경우에 배수할 수 있도록 추가 장치가 부착될 수 있다.
배수부(300)의 바람직한 형태에 대해서는 도 3과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도 8은 도 3에서의 배수부의 확대사시도이다. 도 3과 도 8에서의 배수부(300)는 우산에서 발생한 빗물을 보관하였다가 사용자가 원할 경우에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즉, 배수부(300)는 상단지지판(310), 하단지지판(320), 빗물저장소(330), 외부배수구(350)를 포함한다.
상단지지판(310)은 우산이 안착되는 우산안착부(311)와 우산에서 발생한 빗물이 흐를 수 있도록 하부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판(312)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경사판(312)의 하부에는 다수의 제1배수구(313)가 형성되어 있다.
도 9는 우산이 삽입된 상태의 휴대용 우산집의 단면도이다. 도 1과 도 2에서의 종래의 우산집은 삽입된 우산이 배수구를 막아서 삽입된 우산에 의해 배수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나, 본 발명에서는 우산이 안착되는 우산안착부(311)와 우산에서 발생한 빗물을 하부로 배출하는 제1배수구(313)가 사로 다른 위치에 존재하게 되므로, 삽입된 우산이 우산에서 발생한 빗물의 흐름을 방해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한편 우산안착부에는 빗물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우산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둔턱(미도시)이 설치될 수도 있다.
하단지지판(320)은 깔때기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상단지지판(310)의 제1배수구(313)에서 배수된 빗물을 모아서 중앙에 형성된 제2배수구(322)를 통하여 빗물저장소(330)로 빗물을 배수시키는 역할을 한다. 다만, 빗물저장소(330)에 저장된 빗물이 우산수용부(200)의 상부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2배수구(322)는 상단지지판(310)과 반대방향으로 수직연장된 역류방지대(323)가 형성되어 있다. 휴대용 우산집이 완전히 뒤집어진 경우에는 깔때기 형상의 하부지지판(320)의 상부로 빗물이 이동하게 되고 역류방지대(323)가 빗물의 상부로 이동하게 되므로 빗물이 우산수용부(200)의 상부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과 도 8에서는 하단지지판(320)이 도시되어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상단지지판(310)만 설치할 수도 있다.
빗물저장소(330)는 빗물을 저장하는 장소이며, 빗물저장소(330)의 하부에는 외부배수구(350)가 형성되어 있다. 외부배수구(350)에는 밸브 또는 마개가 부착되어 있어서 밸브 또는 마개를 열어서 사람이 원할 경우에 빗물저장소(330)에 저장된 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외부배수구(350)에 부착되는 밸브와 마개의 형태에 대해서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마개만 부착된 경우에는 손으로 마개를 직접 열고 닫아서 외부배수구(350)를 열고 닫을 수 있다. 또한 밸브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도 1과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밸브(340)는 마개(341), 마개에 연결된 회전축(342), 회전축을 지지하는 상부회전지지대(345)와 하부회전지지대(346), 및 회전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조작톱니(343)를 포함하고 있다. 조작톱니(343)의 회전에 의해 회전축(342)이 상하로 회전이동하면서 마개(341)가 열리고 닫히는 형태가 된다. 여기서 조작톱니(343)는 손으로 조작하기 위하여 휴대용 우산집의 외부에 노출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이 경우에 상부회전지지대(345)와 하부회전지지대(346)는 별도로 설치하지 않고 휴대용 우산집 케이스에 설치할 수도 있다.
방수지지대(400)는 본 발명의 가장 핵심이 되는 부분으로서, 우산삽입부(100)의 내측에서 우산수용부(200)의 내부로 우산수용부(20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다. 방수지지대(400)는 반드시 우산수용부(200)의 내벽과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어서, 도 3에서 보는 바와같이 우산수용부(200)의 내벽과 방수지지대(400) 사이에는 일정한 공간(도 10의 X)이 형성된다. 방수지지대(400)는 원통형상으로 만들어야 하며, 방수지지대(400)의 직경은 우산이 삽입된 경우에 우산이 밀착될 수 있을 정도의 직경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방수지지대(400)는 우산삽입부(100)의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우산수용부(200)의 내부벽과 평행하게 수직으로 직선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배수부 방향으로 가면서 직경이 점점 커지거나 작게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방수지지대(400)의 상단에는 우산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직경이 넓어지는 형태로 경사진 경사면(410)을 형성할 수도 있다.
방수지지대(400)의 길이 및 방수지지대와 우산수용부의 내벽 사이의 거리에 대해서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내부에 수용되는 빗물의 양을 고려하여 제작하면 된다.
방수지지대(400)가 존재함으로 인하여,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휴대용 우산집이 옆으로 누운 상태가 되거나, 도 11에서와 같이 상하부가 완전히 뒤집어져도, 휴대용 우산집 내부에 보관된 빗물은 방수지지대(400)의 내부로는 방수지지대(400)에 삽입된 우산에 의해 막혀서 빗물이 흐르게 어렵게 되어, 대부분의 빗물(500)은 방수지지대(400)와 우산수용부(200)의 내벽사이의 공간(X)에 머물게 된다. 따라서 휴대용 우산집이 옆으로 누운 상태가 되거나 상하가 완전히 뒤바뀌어도 휴대용 우산집 내부에 보관된 빗물은 방수지지대(400)에 의해 외부로 누수가 되지 않는다.
또한 방수지지대(400)는 삽입된 우산을 지지하게 되므로, 삽입된 우산이 휴대용 우산집의 내부에서의 원치 않는 유동이 억제되게 되므로, 우산의 유동에 의한 휴대용 우산집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삽입된 우산과 우산수용부(200)의 내벽이 밀착하게 되면 우산에 묻은 빗물이 중력에 의해 하부방향으로 흐르는 것이 어려울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방수지지대(400)가 존재함으로 인하여 삽입된 우산과 우산수용부(200)의 내벽의 사이에 일정한 공간을 형성하게 되어 삽입된 우산이 우산수용부(200)의 내벽과 밀착되지 않으므로, 우산에 묻은 빗물이 중력에 의해 자연스럽게 배수부(300) 방향으로 흐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방수지지대와 하부지지판에 형성된 역류방지대에 의해 휴대용 우산집의 내부에 보관된 빗물이 쉽게 외부로 누수가 되지 않으며, 우산과 우산집의 내벽이 일정거리 이격되므로 우산과 우산집의 내벽이 접하지 않아서 빗물이 자연스럽게 하부 방향으로 흐를 수 있으며, 우산의 꼭대기가 배수구가 아닌 우산안착부에 안착할 수 있으므로 배수구가 항상 열린 상태를 유지하여 빗물이 원치않는 곳에 고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2와 도 13은 도 7과 도 3의 휴대용 우산집을 접은 경우의 단면도이다. 도 12와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우산집은 접은 경우 작은 원통형상으로서 그 부피가 최소화 되므로 휴대가 매우 편리하다.
상기에서의 설명은 접는 우산을 기준으로 설명하였지만, 긴 우산을 사용할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되며, 다만 신축부의 길이가 긴 우산의 길이에 맞도록 조정하여 사용하면 된다. 도 14는 긴 우산이 보관된 휴대용 우산집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면에서는 컵홀더의 개수가 3개로 도시되어 있지만, 필요에 따라서 그 개수는 임의로 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컵홀더의 직경이 하부로 갈수로 작은 것으로 만들 수도 있다.
상기에 기술된 구성요소들은 그 개개의 구성요소들이 종래기술과는 다른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므로, 이를 전부 구비할 필요는 없고 경우에 따라서 취사선택적으로 채택될 수 있다. 예를들어서, 방수지지대(400)만 채택될 수도 있고, 상단지지판을 포함하는 배수부만도 채택될 수 있으며, 이들을 결합해서도 채택될 수도 있다.
100 : 우산삽입부
200 : 우산수용부
300 : 배수부
400 : 방수지지대

Claims (8)

  1. 우산이 삽입되는 우산삽입부;
    상기 우산삽입구에 연결되어 내부에 우산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우산수용부;
    상기 우산수용부에 연결되어서 우산에서 발생한 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수부; 및
    상기 우산삽입부의 내측에서 상기 우산수용부의 내부로 상기 우산수용부의 내면과 일정거리 이격된 우산수용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방수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우산집.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지지대는 원통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우산집.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지지대는 상기 우산삽입부에서 우산수용부의 내부로 우산수용부의 내벽과 평행하게 직선으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우산집.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산삽입부에는 우산수용부 내부의 빗물이 외부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밀폐형 도어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우산집.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산수용부에는 우산의 길이에 따라서 우산수용부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자바라 또는 컵홀더 형상의 신축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우산집.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부는
    상기 우산수용부의 내부에 수용된 우산의 꼭대기 부분이 안착되는 우산수용부의 중심에 형성된 우산안착부, 및 상기 우산안착부와 경사지게 연결되며 다수의 제1배수구가 형성된 경사판을 포함하는 상단지지판;
    상기 상단지지판의 하부에 위치하며 내부에 빗물이 수용되는 빗물저장소; 및
    상기 빗물저장소의 하부에 형성된 외부배수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우산집.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지지판의 하부에 위치하며 중앙에 제2배수구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하부방향으로 경사진 깔때기 형상의 하부지지판이 추가로 형성되며, 상기 제2배수구에는 상단지지판과 반대방향으로 수직 연장된 역류방지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우산집.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배수구에는 나선형상의 밸브 또는 마개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우산집.
KR1020110088875A 2011-09-02 2011-09-02 휴대용 우산집 KR2013002551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8875A KR20130025518A (ko) 2011-09-02 2011-09-02 휴대용 우산집
PCT/KR2012/007039 WO2013032307A2 (ko) 2011-09-02 2012-09-03 캔형상의 휴대용 우산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8875A KR20130025518A (ko) 2011-09-02 2011-09-02 휴대용 우산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5518A true KR20130025518A (ko) 2013-03-12

Family

ID=48177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8875A KR20130025518A (ko) 2011-09-02 2011-09-02 휴대용 우산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2551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9557A (ko) * 2013-08-14 2015-02-2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피부 재생, 주름개선, 항산화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
CN108703455A (zh) * 2018-08-28 2018-10-26 浙江妃儿雨具有限公司 伞套
KR102440286B1 (ko) 2021-06-15 2022-09-06 황인수 우산용 빗물 저장 및 배출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9557A (ko) * 2013-08-14 2015-02-2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피부 재생, 주름개선, 항산화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
CN108703455A (zh) * 2018-08-28 2018-10-26 浙江妃儿雨具有限公司 伞套
KR102440286B1 (ko) 2021-06-15 2022-09-06 황인수 우산용 빗물 저장 및 배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554232T3 (es) Taza de inodoro plegable como un fuelle
KR20130025518A (ko) 휴대용 우산집
KR100647075B1 (ko) 빗물 낙수방지용 우산커버
KR100655402B1 (ko) 빗물받이 우산집
KR100825510B1 (ko) 이동식 간이 화장실
KR100869629B1 (ko) 휴대용 우산커버
FR2921960B1 (fr) Dispositif de verrouillage dans trois directions du couvercle d'un compartiment de rangement
KR100634840B1 (ko) 우산 물기 제거 장치
KR101734171B1 (ko) 빗물여과가 가능한 에너지 자립형 파고라
KR20170030183A (ko) 탈수 기능을 갖춘 휴대용 우산 홀더
ES2598498T3 (es) Fregadero con cavidad para el alojamiento de utensilios de limpieza
KR0130829Y1 (ko) 분리조립식 직립수저통
KR101176331B1 (ko) 캔형상의 휴대용 우산집
KR200470210Y1 (ko) 변기 솔 홀더
KR20180129373A (ko) 휴대용 빗물받이 받침대를 이용한 우산
KR200395993Y1 (ko) 우산 물기 제거 장치
KR20190037414A (ko) 욕실용 바닥배수트랩
KR101066085B1 (ko) 방수커버 수납가이드와 인장 수단을 구비한 우산
KR200436036Y1 (ko) 회전식 수납구조
KR20180129277A (ko) 흘러 내리는 빗물을 받을수 있는 우산 받침대 가 달린 우산
KR20140100080A (ko) 케이스를 구비한 우산
JP6268339B1 (ja) 簡易トイレ小便器
KR200315828Y1 (ko) 신발장에 적용된 우산 물받이
JP2005329183A (ja) 雨傘専用水貯留及び排出器
KR20100000614A (ko) 물받이 우산 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