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5158A - 접착제 패치 및 접착제 제제 - Google Patents

접착제 패치 및 접착제 제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5158A
KR20130025158A KR1020110088516A KR20110088516A KR20130025158A KR 20130025158 A KR20130025158 A KR 20130025158A KR 1020110088516 A KR1020110088516 A KR 1020110088516A KR 20110088516 A KR20110088516 A KR 20110088516A KR 20130025158 A KR20130025158 A KR 201300251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adhesive patch
adhesive layer
patch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85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51397B1 (ko
Inventor
준 하리마
마사카츠 곤노
료 하시노
아키라 누마타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1100885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1397B1/ko
Publication of KR201300251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51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13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13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plasters or dressings
    • A61F13/0246Adhesive plasters or dressings characterised by the skin adhering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6Interconnection of layers permitting easy s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089Wound bandages
    • A61F2013/00289Wound bandages easy removing of the protection she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655Plasters adhesive

Abstract

본 발명은 지지체, 상기 지지체의 하나 이상의 표면 상의 접착제 층, 및 상기 지지체로부터 대향하는 접착제 층의 표면 상의 박리 라이너를 포함하는 접착제 패치로서,
(a) 접착제 층의 측단부가 노출되고,
(b) 하나 이상의 측단부에서, 접착제 층의 측단부가 지지체의 측단부로부터 접착제 패치의 중심부 쪽으로 위치되고,
(c) 박리 라이너가 아래를 향하도록 수평으로 배치된 경우, 접착제 패치의 상기 측단부에서 지지체의 상단부와 박리 라이너의 하단부 사이의 거리 A는 접착제 패치의 중심부의 두께 B를 초과하는 접착제 패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접착제 패치 및 접착제 제제{ADHESIVE PATCH AND ADHESIVE PREPARATION}
본 발명은 지지체 및 상기 지지체의 하나 이상의 표면 상에 형성되는 접착제 층을 포함하는 접착제 패치, 및 접착제 제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다양한 접착제 패치 및 접착제 제제가 개발되었다. 접착제 패치 및 접착제 제제는 외상 보호, 약물의 연속적인 경피성 투여, 간을 통한 초회 통과에 의한 약물 대사, 및 각종 부작용 방지의 측면에서 상당히 우수하다.
일반적으로, 접착제 패치 및 접착제 제제는 직물, 부직물, 플라스틱 필름 등으로 제조된 지지체 및 상기 지지체 상에 적층된 접착제 층을 갖고, 일반적으로 접착제 층 상에 적층된 박리 라이너가 제공된다. 이는 포장재, 예컨대 수지 필름 등으로 제조된 패키지로 제공된다.
이러한 접착제 패치 및 접착제 제제에 있어서, 접착제 층은 외상 보호 효과 및 효과적 약물 함량이 고려된 일정한 두께를 갖도록 요구된다. 하지만, 접착제 층이 두꺼워 지는 경우, 접착제 패치 등의 단부는 의복 등에 쉽게 마찰되고 틀어질 뿐만 아니라, 접착제 층의 성분이 접착제 패치 등의 단부로부터 흘러나오거나 돌출되는데, 즉 냉기가 흘러서 피부에 접착되는 동안 문제가 제기된다.
냉기 흐름은 접착제 층의 성질에 따라 발생한다. 이는, 특히 접착제 패치 또는 접착제 제제가 장시간 동안 로드 하에 존재하는 경우, 즉 접착제 패치 등이 패키지에 함유되고 장시간 동안 저장되는 경우, 종종 발생한다.
냉기 흐름의 역효과는, 예를 들면 흘러나오거나 돌출된 접착제 층 성분의 패키지 내부 접착에 의해 유발되는, 패키지로부터 접착제 패치 등을 떼어내는 것의 어려움, 피부에 접착되는 동안 접착제 패치 등의 틀어짐 또는 착색, 약물 등의 유출물로 인한 접착제 제제의 더 낮은 약리 효과를 포함한다. 따라서, 접착제 패치 및 접착제 제제는 의복에 쉽게 마찰되지 않는 단부를 갖고, 쉬운 냉기 흐름을 허용하지 않으며, 원래의 형상을 유지하는 접착제 층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문제를 다루기 위한 기법으로서, JP-A-11-1432(특허 문헌 1)에는 건조 에지를 갖고, 지지체 단부로부터 연장된 박리 라이너 및 접착제 층을 갖는 접착제 패치가 개시된다. 이러한 접착제 패치에 있어서, 박리 라이너와 접촉하는 접착제 층의 단부로부터 접착제 층 성분이 흘러나오고 돌출되는 것은 어느 정도 억제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접착제 패치에 있어서, 지지체와 접촉하는 접착제 층의 단부로부터 접착제 층 성분이 흘러나오고 돌출되는 것은 발생할 수 있으며, 제제는 완전히 만족스럽지 못하다.
JP-A-6-63071(특허 문헌 2)에는 피부에 적합한 윤곽과 접착제 층을 갖는 상처용 커버재(드레싱재)가 개시된다. 이러한 상처용 커버재의 일례로서, 단부는 반듯하게 절단되어, 단부로부터 접착제 층 성분이 흘러나오고 돌출되는 것이 발생할 수 있으며, 그 결과 패키지의 내부 표면에 성분의 결합을 초래한다.
특허 문헌 2에서 기술된 또다른 예로서, 커버재의 단부는 지지체로 피복된다. 하지만, 이러한 접착제 패치에 있어서, 지지체의 단부는 접착제 층의 단부를 피복하며, 접착제 패치의 단부에서, 지지체의 단부는 박리 라이너의 단부와 정렬된다. 따라서, 박리 라이너는 사용시 손가락에 의해 이의 단부를 쉽게 탈착시킬 수 없다. 또한, 지지체의 단부가 접착제 층의 단부를 구부리거나 피복시킬 수 있을 필요가 있기 때문에, 이의 재료 및 형상, 특히 두께 등에 대한 선택의 자유도는 낮다. 특히, 접착제 층이 두꺼울 경우, 산업적 생산 단계에서 접착제 층의 단부를 이로 인해 연장된 지지체의 단부로 피복하는 것은 쉽지 않다. 사실상, 이러한 예에서 접착제 패치의 접착제 층의 단부 두께는 중심부의 두께보다 얇게 성형되며, 접착제 층의 단부 두께는 유지되기 어려울 것으로 추정된다.
[특허문헌]
특허 문헌 1: JP-A-11-1432
특허 문헌 2: JP-A-6-63071
따라서, (i) 패키지로부터 떼어내는 것의 용이성, (ii) 사용 동안 접착제 층으로부터의 박리 라이너의 박리력, 및 (iii) 피부에 대한 높은 접착 성능을 만족하는, 접착제 패치 및 접착제 제제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상황의 관점에서 이루어졌으며,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에는
(i) 접착제 패치 등의 단부로부터 접착제 층 성분이 흘러나오거나 돌출되는 것이 억제되고, 패키지 내에 보존 동안 접착제 패치 등이 패키지의 내부 표면에 결합되는 것을 억제하며, 제제가 패키지로부터 쉽게 떼어질 수 있고;
(ii) 피부에 접착된 동안 의복 등에 단부의 마찰 빈도가 감소되고, 단부가 쉽게 틀어지지 않으며, 충분한 피부 접착이 보장되고, 제제가 피부 표면에서의 탈착에 상당히 내성을 갖고;
(iii) 사용 동안, 박리 라이너가 접착제 층으로부터 쉽게 탈착될 수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제 패치 또는 접착제 제제가 제공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언급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시도로서 집중적인 연구를 실시하였고, 접착제 패치 등의 하나 이상의 측단부에 있어서, 접착제 층의 측단부가 지지체의 측단부로부터 접착제 패치 등의 중심부 쪽으로 위치되고, 상기 단부에서 접착제 패치 등의 지지체의 상단부와 박리 라이너의 하단부 사이의 거리가 중심부에서 접착제 패치 등의 두께를 초과하여, 본 발명의 완성을 유도하는 경우 전술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기 [1] 내지 [9]에 관한 것이다.
[1] 지지체, 상기 지지체의 하나 이상의 표면 상의 접착제 층, 및 상기 지지체로부터 대향하는 접착제 층의 표면 상의 박리 라이너를 포함하는 접착제 패치로서,
(a) 접착제 층의 측단부가 노출되고,
(b) 하나 이상의 측단부에서, 접착제 층의 측단부가 지지체의 측단부로부터 접착제 패치의 중심부 쪽으로 위치되고,
(c) 박리 라이너가 아래를 향하도록 수평으로 배치된 경우, 접착제 패치의 상기 측단부에서 지지체의 상단부와 박리 라이너의 하단부 사이의 거리 A는 접착제 패치의 중심부의 두께 B를 초과하는 접착제 패치.
[2] 하나 이상의 측단부에서, 접착제 층의 측단부는 지지체의 측단부로부터 접착제 패치의 중심부 쪽으로 1 ㎛ ~ 1000 ㎛에 위치되는 것인 상기 언급된 [1]에 따른 접착제 패치.
[3] 하나 이상의 측단부에서, 접착제 패치의 상기 측단부에서 지지체의 상단부와 박리 라이너의 하단부 사이의 거리 A는 접착제 층의 측단부에서 접착제 패치의 두께 C를 초과하는 것인 상기 언급된 [1]에 따른 접착제 패치.
[4] 하나 이상의 측단부에서, 접착제 층의 측단부에서 접착제 패치의 두께 C는 접착제 패치의 중심부의 두께 B와 동일한 것인 상기 언급된 [1]에 따른 접착제 패치.
[5] 하나 이상의 측단부에서, 접착제 층의 단부는 오목 형상을 갖는 것인 상기 언급된 [1]에 따른 접착제 패치.
[6] 접착제 층은 고무계 접착제를 포함하는 것인 상기 언급된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접착제 패치.
[7] 접착제 층은 가교결합되지 않는 것인 상기 언급된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접착제 패치.
[8] 접착제 층은 유기 액체 성분을 포함하는 것인 상기 언급된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접착제 패치.
[9] 접착제 층은 약물을 함유하는 것인 상기 언급된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접착제 패치를 포함하는 접착제 제제.
본 발명의 접착제 패치 또는 접착제 제제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측단부에서, 접착제 층의 측단부는 지지체의 측단부로부터 접착제 패치 등의 중심부 쪽으로 위치된다. 따라서, 접착제 패치 또는 접착제 제제의 단부로부터 접착제 층 성분이 흘러나오거나 돌출되는 것은 쉽게 발생되지 않으며 냉기 흐름 현상은 접착제 패치 또는 접착제 제제의 보존 동안 억제된다. 그 결과, 접착제 패치 등의 패키지의 내부 표면에의 결합이 억제되며, 접착제 패치 등은 패키지로부터 쉽게 떼어낼 수 있다. 또한, 적용된 부위에서 불쾌한 감촉을 유발하는 손에 대한 점착성 및 끈적임 감촉이 사용 동안 더 적게 발생한다.
게다가, 본 발명의 접착제 패치 및 접착제 제제에서, 접착제 층의 측단부는 노출되고 지지체 또는 박리 라이너로 피복되지 않는다. 이는 패키지로부터 접착제 패치 등을 떼어내는 것에 있어서 전술된 바와 같은 개선된 용이성을 겸비하는데, 이는 접착제 층 성분이 흘러내리거나 돌출되는 것의 억제에서 기인하며, 본 발명의 접착제 패치 등은 사용시 박리 라이너의 단부로부터 손가락에 의한 용이한 탈착을 허용한다.
더욱 더 예견하기 어렵게도, 하나 이상의 측단부에서, 지지체 상단부와 박리 라이너 하단부 사이의 거리 A가 접착제 패치 등의 중심부의 거리 B를 초과하는 접착제 패치 등은 피부에 적용시 장기간 동안 쉽게 탈락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접착제 패치 또는 접착제 제제의 한 구체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접착제 패치 또는 접착제 제제의 한 구체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접착제 패치 또는 접착제 제제의 한 구체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접착제 패치 또는 접착제 제제의 한 구체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접착제 패치 또는 접착제 제제의 한 구체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6은 실시예 1의 접착제 패치 단부의 단면 주사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도 7은 실시예 2의 접착제 패치 단부의 단면 주사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도 8은 비교예 1의 접착제 패치 단부의 단면 주사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도 9는 비교예 2의 접착제 패치 단부의 단면 주사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도 10은 비교예 3의 접착제 패치 단부의 단면 주사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도 11은 접착제 패치 패키지가 가위로 또는 V형 표시를 따라 2개의 면을 절단함으로써 개봉되어 접착제 패치가 떼어지는 것을 도시한다.
본 명세서에서, "접착제 패치"는 약물의 경피성 흡수를 목적으로 하는 제제뿐만 아니라 활성 성분, 예컨대 약물 등을 함유하지 않는 건강 관리 또는 피부 위생을 위한 재료, 예컨대 피부 보호 시트 등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약물을 함유하는 것은 특별히 "접착제 제제"로서 언급된다.
본 발명의 접착제 패치의 건강 관리 또는 피부 위생을 위한 재료로서, 반창고, 피부용 테이프, 상처를 피복하기 위한 드레싱재 등이 언급될 수 있다. 이들은 필름, 시트, 패드 등의 형태로 제공된다. 접착제 제제는 또한 국소 또는 전신 작용을 목적으로 하는 경피성 흡수 유형 제제로서 제공될 수도 있고, 이는 매트릭스형 또는 저장형의 것이다. 제형은 다양할 수 있고 패치형, 접착제 테이프형, 시트형 등일 수 있다. 하기에 "접착제 패치"로서 간단히 언급될 경우, 이 용어는 또한 접착제 제제를 포함한다. 또한, 접착제 층과 지지체의 적층체는 "접착제 패치의 주요부"로서 언급된다.
이하,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 설명된다. 도 1 ~ 도 5에서, 각 요소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요소의 크기 등의 비율은 실제 접착제 패치 등의 것과 상이하다.
본 발명의 접착제 패치는 실질적으로 편평한 평면 형상을 갖는다. 본 발명의 접착제 패치의 편평한 형상은, 비제한적 예로서, 대략 직사각형, 다각형, 예컨대 삼각형, 오각형 등, 또는 대략 직선으로 규정된 형상, 곡선으로 규정된 형상, 예컨대 타원, 원형 형상 등, 이의 조합을 포함한다. 접착제 패치의 크기는 한정되지 않고, 접착제 패치의 용도, 적용 부위 등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접착제 패치가 대략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경우, 이의 한 변의 길이는 일반적으로 15 mm ~ 90 mm이고, 다른 변의 길이는 일반적으로 15 mm ~ 90 mm이다. 본 명세서에서, 복수의 구별가능한 영역이 본 발명의 접착제 패치의 편평한 평면에 존재하는 경우, 접착제 패치의 편평한 평면의 중력 중심을 함유하는 영역은 중심부로서 언급되고, 전술된 중심부의 외부에 존재하는, 접착제 패치의 편평한 평면의 윤곽부를 함유하는 영역은 주변부로서 언급된다. 또한, 접착제 패치 중심부의 두께는, 즉 접착제 패치의 편평한 평면의 중력 중심에서 접착제 패치의 코어부의 두께이다.
본 발명의 접착제 패치는 지지체의 하나 이상의 표면 상의 접착제 층 및 접착제 층의 대향 표면 상의 박리 라이너를 갖는다. 접착제 층의 측단부는 노출되고, 접착제 패치의 하나 이상의 측단부에서, 접착제 층의 측단부는 지지체의 측단부로부터 접착제 패치의 중심부 쪽으로 위치된다. 즉, 본 발명의 접착제 패치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 1에 있어서, 접착제 층(2)의 측단부에서 지지체(1)의 상단부(c) 및 박리 라이너(3)의 하단부(d)를 결합시키는 선분(cd)은 지지체(1)의 상단부(a) 및 박리 라이너(3)의 하단부(b)를 결합시키는 선분(ab)으로부터 접착제 패치의 중심부 쪽으로 위치된다. 이러한 형상은 지지체 상의 접착제 층 또는 박리 라이너의 형성 동안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접착제 층에 윤곽을 가짐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접착제 층은 접착제 층의 윤곽부가 접착제 패치의 지지체의 윤곽부에 상응하는 부분으로부터 접착제 패치의 중심부 쪽으로 위치되도록 형성된다. 대안적으로, 지지체 및 접착제 층의 측단부가 동일한 편평한 평면 상에 존재하는 접착제 패치에서, 전술된 형상은 접착제 층의 측단부의 한 부분을 이탈함으로써 형성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각 도면에 도시된 단면은 지지체(1) 표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절단된 접착제 패치의 단면이다.
게다가, 본 발명의 접착제 패치에서, 접착제 패치는 박리 라이너가 아래를 향하도록 수평면으로 배치되는 경우, 접착제 패치의 상기 전술된 측단부에서 지지체의 상단부와 박리 라이너의 하단부 사이의 거리 A, 즉 도 1에 있어서 지지체(1)의 상단부(a)로부터 박리 라이너(3)의 하단부까지 도시된 수직선(ab')의 길이는 접착제 패치 중심부에서 두께 B의 길이, 즉 도 1에 있어서 접착제 패치 코어부에서 지지체(1)의 상단부(e)로부터 박리 라이너(3)의 하단부까지 도시된 수직선(ef)을 초과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A는 B의 101% ~ 200%인 것이 바람직하고, 101% ~ 15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예견하기 어렵게도, 전술된 구조를 갖는 접착제 패치가 피부에 적용되는 경우, 이는 장시간 동안 쉽게 탈락되지 않는다. 접착제 층을 포함하지 않는 부분이 접착제 패치의 단부에 형성되는 경우, 접착제 패치의 단부에서의 피부 접착력은 일반적으로 감소하고 접착제 패치는 피부로부터 용이하게 탈락될 것으로 기대된다. 하지만, 전술된 형상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접착제 패치가 피부에 적용되는 경우, 지지체의 측단부는 의복을 다소 밀어올리고 측단부로부터 의복을 떨어뜨린다. 따라서, 접착제 패치의 주요부는 장시간 동안 피부로부터 탈락되지 않는다. 이러한 형상을 실현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접착제 층 상에 전술된 형상으로 미리 성형된 지지체를 적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및 접착제 층 상에 평판형 지지체를 적층하는 단계 및 전술된 형상으로 접착제 패치를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접착제 패치의 하나 이상의 측단부에서, 접착제 층의 측단부는 지지체의 측단부로부터 접착제 패치의 중심부 쪽으로 1 ㎛ ~ 1000 ㎛,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 ㎛ ~ 800 ㎛에 위치된다. 즉, 도 1에서, 접착제 층(2)의 측단부에서 지지체(1)의 상단부(a)와 지지체(1)의 상단부(c)를 연결하는 선분(ac)의 길이는 1 ㎛ ~ 1000 ㎛,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 ㎛ ~ 800 ㎛이다. 접착제 층(2)의 측단부가 지지체(1)의 측단부로부터 1 ㎛ ~ 1000 ㎛에 위치되는 경우, 접착제 패치의 측단부로부터 접착제 층 성분이 흘러나오거나 돌출되는 것은 접착제 패치의 보존 동안 충분하게 억제될 수 있고, 접착제 패치의 측단부에서의 접착력은 더 감소되지 않는다.
게다가, 본 발명의 또다른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접착제 패치는 박리 라이너가 아래를 향하도록 수평면으로 배치되는 경우, 접착제 패치의 하나 이상의 측단부에 있어서, 측단부에서 지지체 상단부와 박리 라이너 하단부 사이의 거리 A는 접착제 층의 측단부에서 접착제 패치의 두께 C를 초과한다. 즉, 구체예의 접착제 패치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도시하는 도 2에 있어서, 접착제 패치의 측단부에서 지지체(1)의 상단부(a)로부터 박리 라이너(3)의 하단부까지 도시된 수직선(ab')의 길이는 접착제 층(2)의 측단부에서 지지체(1)의 상단부(c)로부터 박리 라이너(3)의 하단부까지 도시된 수직선(cd')을 초과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A는 C의 101% ~ 200%인 것이 바람직하고, 101% ~ 15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체예의 접착제 패치에서, C는 B를 초과한다.
게다가, 접착제 패치의 제조 방법 및 성형 방법에 따라, 접착제 패치는 주변부 및 주변부보다 두꺼운 중심부를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심지어 접착제 층의 측단부에서 접착제 패치의 두께 C가 접착제 패치 중심부의 두께 B보다 얇은 경우에도, 측단부에서 지지체 상단부 및 박리 라이너 하단부 사이의 거리 A가 접착제 층의 중심부에서 접착제 패치의 두께 B를 초과하는 경우에, 박리 라이너가 아래를 향하도록 수평면 상에 접착제 패치를 배치함으로써, 접착제 패치는 본 발명의 접착제 패치에 포함된다.
개략적인 단면도는 도 3에 도시된다. 이러한 구체예의 접착제 패치에서, 접착제 패치의 하나 이상의 측단부에 있어서, 접착제 층의 측단부에서 접착제 패치의 두께 C는 접착제 패치의 중심부의 두께 B와 동일하다. 그 결과, (i) 접착제 패치는 패키지의 내부 벽 표면에 쉽게 결합하지 않고, 접착제 패치는 패키지로부터 쉽게 떼어낼 수 있고, (ii) 박리 라이너는 접착제 패치의 주요부로부터 쉽게 탈착될 수 있으며, (iii) 접착제 패치의 주요부는 피부로부터 쉽게 탈락되지 않는 본 발명의 효과는 더욱 명확해졌다. 심지어 접착제 패치가 주변부 및 중심부를 갖는 경우에도, 접착제 패치의 측단부에서 지지체 상단부와 박리 라이너 하단부 사이의 거리 A가 접착제 패치 중심부의 두께 B보다 크고 접착제 층의 측단부에서 접착제 패치의 두께 C가 접착제 패치 중심부의 두께 B와 동일한 경우, 접착제 패치는 접착제 패치의 이러한 구체예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바람직한 구체예에 있어서, 접착제 패치의 하나 이상의 측단부에서 접착제 층 단부는 오목 형상을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구체예의 접착제 패치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도시하는 도 4에서, 접착제 층(2)의 측단부의 단면은 중심부 쪽에 단층 환형 아치를 갖는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박리 라이너는 접착제 패치로부터 쉽게 탈착될 수 있다. 전술된 구조가 각종 방법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 반면, 접착제 층의 측면은 레이저 조사 등에 의해 처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접착제 패치에 사용되는 지지체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실질적으로 약물 불투과성인 지지체, 즉 접착제 층에서 활성 성분, 첨가제 등이 지지체를 통과하고 접착제 패치의 후면으로부터 손실되어 감소된 함량을 유발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 재료로 제조된 지지체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수지 또는 금속 호일의 단일 필름, 또는 이의 적층체가 지지체로서 사용된다. 지지체와 접착제 층 사이의 접착성(고정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공성 물질과 수지 필름의 적층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 접착제 층은 적층체의 다공성 물질 상에 적층된다. 다공성 물질은 오목부와 볼록부를 갖고, 그 자체에 공극(기포)을 갖는다. 접착제 층이 전술된 공극으로 진입할 수 있기 때문에, 이는 접착제 층 성분이 흘러나오거나 돌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언급된 다공성 물질의 예는 다공성 필름 및 시트를 포함한다. 시트가 200 ㎛ 이상의 두께를 갖는 경우, 다공성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된 다공성 필름은 단일층 필름 또는 적층체 필름일 수 있고, 접착제 층의 다공성 물질로의 이동을 억제하는 고정 특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는 종이, 직물, 부직물, 편물, 기계적으로 천공 처리된 필름 및 금속 호일, 이의 적층체 등을 포함한다. 물론, 종이, 직물, 부직물, 및 이의 적층체는 취급 성능 등의 측면에서 특히 바람직하고, 부직물은 특히 바람직하다.
다공성 물질 및 수지 필름은 동일한 재료 또는 상이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이는 공지된 방법에 따라 적층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특징을 손상시키기지 않는 한 적절하게 각종 첨가제, 예컨대 산화방지제, 안료, 정전기 방지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이의 표면에는 코로나 방전 처리, 자외선 조사 처리 등이 실시될 수 있다.
지지체를 구성하는 전술된 다공성 물질 및 수지 필름의 재료의 예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예컨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등; 폴리아미드계 수지, 예컨대 나일론 등; 올레핀계 수지, 예컨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 비닐계 수지, 예컨대 Saran(Asahi Kasei Corporation 또는 미국 Dow Chemical Company의 상표명으로 등록됨)을 비롯한 폴리비닐리덴 클로라이드,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Surlyn(미국 DuPont의 상표명으로 등록됨)을 비롯한 이오노머 수지 등; 아크릴계 수지, 예컨대 에틸렌-에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등; 플루오르화탄소 수지, 예컨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등; 이의 조합 등
을 포함한다.
이후 언급되는 바와 같이, 접착제 패치의 주변부에 상응하는 영역을 가압하고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이 사용되는 경우, 지지체를 구성하는 다공성 물질 및 수지 필름은 가열 및 연화에 의해 변형되고 냉각 후 변형된 형상을 유지하는 재료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따라서 접착제 층 성분은 적당하게 움직일 수 있고 원하는 형상을 성형할 수 있다. 이러한 재료로서, 열가소성 수지, 예컨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올레핀계 수지, 예컨대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등이 바람직하고,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예컨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가 특히 바람직하다.
다공성 물질의 두께는 향상된 고정 특성, 전체 접착제 패치의 가요성, 결합 조작성 등을 제공하도록 10 ~ 100 ㎛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직물 또는 부직물이 다공성 물질로서 사용되는 경우, 이의 기본 중량은 충분한 공극을 확보하고 고정 특성을 실현하기 위해 5 ~ 50 g/m2이 바람직하고, 10 ~ 30 g/m2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언급된 다공성 물질의 두께는 접착제 패치를 수성 루테늄 산 용액으로 착색시키고, 동결 절편기로 제조된 절편을 초고해상도 전계 방출 주사 전자 현미경(FE-SEM)에 의해 50 배율 내지 1000 배율에서 이미징하고, 게이지 스케일을 판독함으로써 측정된다. 이러한 경우에, 오목부 및 볼록부는 다공성 물질의 표면 상에 존재한다. 절편 이미지에서, 10개의 볼록부를 무작위로 선택하고, 상기 볼록부에서 다공성 물질의 평균 두께는 다공성 물질의 두께로서 계산되고 취해진다.
게다가, 본 발명에 있어서, 다공성 물질의 기본 중량은 상기 언급된 다공성 물질의 두께와 다공성 물질의 비중(겉보기 비중)와 곱하고 단위 면적 당 다공성 물질의 중량을 계산함으로써 측정된다.
다공성 물질 상에 적층하고자 하는 수지 필름은 단일층 필름 또는 적층체 필름일 수 있다. 활성 성분에 대해 불투과성인 수지로 제조된 비다공성 필름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수지 필름은 지지체의 후면을 통해 접착제 층 성분을 투과하여 이의 함량을 감소시키는 것을 억제한다. 또한, 접착제 층이 약물을 함유하는 경우, 이는 밀봉 붕대 기법(ODT)으로 언급되는 기법의 효과를 실현하는데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수지 필름의 두께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1 ~ 45 ㎛인 것이 람직하다. 이것이 1 ㎛ 이상인 경우, 성형성이 우수해지고, 조작성이 뛰어나며, 취급성이 용이해진다. 반면, 이것이 45 ㎛ 이하인 경우, 수지 필름의 강성도로 인해 피부에 적용되는 동안 불편한 감촉이 덜 발생한다. 이후 언급되는 바와 같이, 접착제 패치의 주변부에 상응하는 영역을 가압하고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이 사용되는 경우, 우수한 성형성이 관찰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수지 필름의 두께는 상기 언급된 다공성 물질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측정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지지체로서, 1 ~ 45 ㎛ 두께를 갖는 폴리에스테르계 필름(더욱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적층체 필름 및 기본 중량이 10 ~ 30 g/m2인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더욱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 제조된 부직물이 언급될 수 있다.
접착제 패치의 적용 동안 피부-추종력 및 편안함을 고려하여, 지지체의 총 두께는 5 ~ 20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제 층의 구성 성분 및 이의 제조 방법은 하기 설명된다. 접착제 층의 제조를 위해 하기에 기술되는 각 성분의 양은 용매를 제외한 전체 성분의 양을 기준으로 각 성분의 양의 중량% 비율이다.
접착제 층은 필요에 따라 성분, 예컨대 약물, 점착부여제, 유기 액체 성분 등과 함께 접착제를 용매에 첨가하고 이를 혼합하여 접착제 층의 형성을 위한 조성물을 형성하고, 코팅 등과 같은 방법에 의해 이의 층을 형성하고, 층을 건조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접착제 층은 피부에의 접착 관점에서 소수성 접착제 층인 것이 바람직하고, 이에 따라, 무수 접착제 층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측면으로부터, 전술된 용매는 유기 용매가 바람직하다.
접착제 층을 구성하는 접착제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이의 예는 아크릴계 중합체를 포함한 아크릴계 접착제; 스티렌-디엔-스티렌 블럭 공중합체(예,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럭 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럭 공중합체 등); 고무계 접착제, 예컨대 폴리이소프렌, 폴리이소부틸렌, 폴리부타디엔 등; 실리콘계 접착제, 예컨대 실리콘 고무, 디메틸실록산계, 디페닐실록산계 등; 비닐 에테르계 접착제, 예컨대 폴리(비닐 메틸 에테르), 폴리(비닐 에틸 에테르), 폴리(비닐 이소부틸 에테르) 등; 비닐 에스테르계 접착제, 예컨대 비닐 아세테이트-에틸렌 공중합체 등; 카르복실레이트 성분, 예컨대 디메틸 테레프탈레이트, 디메틸 이소프탈레이트, 디메틸 프탈레이트 등을 포함한 폴리에스테르계 접착제, 및 다가 알콜 성분, 예컨대 에틸렌 글리콜 등을 포함한다.
접착제 층은 전술된 접착제 층에 가교결합 처리를 실시하여 얻어진 가교결합된 접착제 층 또는 본 발명에서 가교결합 처리없이 얻어진 비가교결합된 접착제 층일 수 있다. 여기서, 가교결합 처리는 접착제 층을 구성하는 접착제 층 성분에서 분자 사이 또는 분자 내 결합을 형성할 수 있는 공지된 처리를 말한다. 가교결합 처리는 접착제 패치의 충분한 피부 접착력의 유지, 및 피부 표면으로부터 접착제 패치를 박리시키는 동안 피부 자극, 예컨대 피부의 끌어당기는 감촉 및 피부 각질층의 물리적 긁힘의 감소를 동시에 가능하게 한다. 가교결합 처리의 예는 가교결합제를 사용한 화학적 가교결합 처리, 이온 가교결합 처리, 및 전자빔, 자외선 광 등을 사용한 물리적 가교결합 처리를 포함한다. 가교결합제의 예는 금속 염, 예컨대 아연 아세테이트 등, 에폭시 화합물, 아미드 화합물, 아민 화합물, 산 무수물, 퍼옥시드,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등을 포함한다.
접착제 층이 비가교결합된 접착제 층인 경우, 접착제 층 성분은 접착제 패치의 단부로부터 흘러나오거나 돌출되는 경향이 있다. 심지어 접착제 층이 비가교결합된 접착제 층인 경우에도, 본 발명의 접착제 패치는 접착제 층 성분이 흘러나오거나 돌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으며, 그러한 경우에 특히 유리하다.
유사하게, 접착제 층이 고무계 접착제를 포함하는 경우, 접착제 층 성분은 접착제 패치의 단부로부터 흘러나오거나 돌출되는 경향이 있고, 본 발명의 접착제 패치는 그러한 경우에 특히 유리하다.
약물의 적절한 접착력 및 용해 특성을 실현하기 위해, 상이한 평균 분자량을 갖는 동일한 성분 또는 상이한 성분의 혼합물이 고무계 접착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예로서 폴리이소부틸렌으로 설명하자면, 점도 평균 분자량이 1,800,000 ~ 5,500,000인 고 분자량 폴리이소부틸렌, 점도 평균 분자량이 40,000 ~ 85,000인 중 분자량 폴리이소부틸렌, 및 필요에 따라, 저 분자량 폴리이소부틸렌의 혼합물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점도 평균 분자량은 모세관 1을 갖는 Ubbelohde 점도계를 사용하여 20℃에서 흐름 시간을 측정하고, 하기 Schulz-Blaschke 등식(등식 (1))에 따라 Staudinger 지수(J0)를 계산하고, 이어서 전술된 J0값을 하기 Mark Houwink-Sakurada 등식(등식 (2))에 대입함으로써 계산된다.
J0sp/c(1+Aηsp) (1)
상기 식에서, ηsp=t/t0-1
t; 용액 흐름 시간(Hagenbach-couette 보정 등식)
t0; 용매 흐름 시간(Hagenbach-couette 보정 등식)
c; 용액 농도(g/cm3)
A; 중합체 용액의 특정 상수
J0=kMvα (2)
Mv; 점도 평균 분자량
k, α; 중합체의 특정 상수
폴리이소부틸렌의 경우, A=0.31, k=3.06×10-2, α=0.65를 상기 언급된 등식 (1) 및 등식 (2)에 삽입하고, J0값으로부터 Mv값을 계산할 수 있다.
폴리이소부틸렌이 접착제로서 사용된 경우, 고 분자량 폴리이소부틸렌은 일반적으로 10 중량% ~ 80 중량%,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 50 중량%에서 첨가되고, 중 분자량 폴리이소부틸렌은 일반적으로 0 중량% ~ 90 중량%,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 80 중량%에서 첨가되며, 저 분자량 폴리이소부틸렌은 일반적으로 0 중량% ~ 80 중량%, 바람직하게는 0 중량% ~ 60 중량%에서 첨가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접착제 층은 고 분자량 성분의 비율이 증가되는 경우에 경화되고, 저 분자량 성분의 비율이 증가되는 경우에 연화된다.
접착제 층에 충분한 접착성을 부여하기 위해, 예를 들어 점착부여제, 예컨대 로진계 수지, 폴리터펜 수지, 크로만-인덴 수지, 석유계 수지, 터펜-페놀 수지, 크실렌 수지 등이 함유될 수 있다. 이는 단독으로 또는 둘 이상 유형의 혼합물로 사용될 수 있다. 전술된 석유계 수지의 예는 지방족(C5계) 석유 수지, 방향족(C9계) 석유 수지, 공중합체 종(C5-C9계) 석유 수지 및 방향족(C9계) 석유 수지를 일부 또는 전부 수소화시킴으로써 얻은 지환족 포화 탄화수소 수지를 포함한다. 지환족 포화 탄화수소 수지로서, 90 ~ 150℃의 링 및 볼 방법에 의한 연화점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부여제의 함량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적절한 접착성 및 비용 효과를 부여하는 측면에서는 10 중량% ~ 40 중량%이다.
바람직한 경우, 접착제 층은 유기 액체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유기 액체 성분은 실온(25℃)에서 액체이거나, 또는 실온(25℃)에서 최종적으로 액체가 되는 둘 이상 유형의 혼합물인 한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유기 액체 성분의 예는 글리콜, 예컨대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부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트리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등; 식물성 지방 및 오일, 예컨대 올리브유, 피마자유 등; 동물성 지방 및 오일, 예컨대 액체 라놀린; 탄화수소, 예컨대 스쿠알란 및 액체 파라핀; 각종 계면활성제; 에톡시화된 스테아릴 알콜; 지방산의 글리세롤 모노에스테르, 예컨대 올레산 모노슬리세라이드, 카프릴산 모노슬리세라이드 및 라우릴산 모노슬리세라이드; 폴리알킬렌 글리콜의 디알킬 에스테르, 예컨대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라우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디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디올레에이트 등; 글리세롤 디에스테르, 예컨대 글리세롤 디아세테이트 등; 글리세롤 트리에스테르, 예컨대 글리세롤트리아세테이트 등, 또는 이의 혼합물; 지방산의 알킬에스테르, 예컨대 트리에틸 시트레이트 등; 장쇄 알콜, 예컨대 이소스테아릴 알콜, 올레일 알콜 등; 고급 지방산, 예컨대 카프릴산, 올레산, 리놀레산; 고급 지방산의 알킬에스테르, 예컨대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피롤리돈, 예컨대 N-메틸피롤리돈, N-도데실피롤리돈; 설폭시드, 예컨대 데실메틸설폭시드 등을 포함한다. 이는 단독으로 또는 둘 이상 유형의 혼합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언급된 유기 액체 성분의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 6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중량% ~ 60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20 중량% ~ 60 중량%이다. 성분의 함량이 10 중량% 이상인 경우, 접착제 층은 쉽게 가소화되고, 접착제 층 성분은 접착제 층의 말단으로부터 쉽게 흘러나오거나 돌출된다. 따라서, 상기 현상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본 발명은 그러한 경우에 유리하다. 유기 액체 성분이 60 중량% 초과의 비율로 함유되는 경우, 접착제 층은 제시된 형상을 유지할 수 없다.
본 발명에서 접착제 층의 제조에 사용되는 유기 용매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접착제 층을 구성하고 건조 단계에서 쉽게 휘발되는 상기 언급된 성분과 상용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유기 액체 용매의 예는 방향족 탄화수소, 예컨대 벤젠, 톨루엔, 크실렌 등; 지방족 탄화수소, 예컨대 n-헥산 등; 에스테르, 예컨대 에틸 아세테이트 등; 알콜, 예컨대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등; 에테르, 예컨대 디에틸 에테르, 테트라히드로퓨란 등; 케톤, 예컨대 아세톤 등을 포함한다. 이는 단독으로 또는 둘 이상 유형의 혼합물로 사용될 수 있다.
전술된 각 성분을 혼합시키는 방법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이의 예는 혼련 기기, 예컨대 혼련기, 유성 믹서, Henschel 믹서, 롤밀; 분산 기기, 예컨대 콜로이드 밀, 균질기 등; 교반 기기, 예컨대 프로펠러형 블레이드 교반기 등을 포함한다. 이는 단독으로 또는 둘 이상 유형의 혼합물로 사용될 수 있다.
접착제 층을 형성하는 조성물은, 예를 들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코터(coater), 예컨대 로토그라비어 롤 코터, 리버스 롤 코터, 키스-롤 코터, 딥 롤 코터, 바 코터, 나이프 코터, 스프레이 코터 등으로 적용될 수 있다. 가교결합 반응의 촉진, 생산 효율의 향상 등을 위해, 전술된 조성물은 가열 하에 건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성물로 코팅하고자 하는 지지체의 종류에 따라, 건조 온도는, 예를 들어 약 40℃ ~ 150℃이다.
전술된 건조는 공기 건조, 또는 드라이기, 열기, 원적외선 방사 등을 사용하는 공지된 방법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접착제 패치에 있어서, 접착제 층은 접착제 패치의 코어부에서 50 ㎛ ~ 500 ㎛,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 ㎛ ~ 300 ㎛의 두께를 갖는다. 게다가, 접착제 패치의 전체 중심부에서 접착제 층의 두께는 전술된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제 층이 전술된 범위 내에 있는 두께를 갖는 경우, 피부 보호 효과에 뛰어나고, 활성 성분, 예컨대 약물 등을 충분하게 함유할 수 있으며, 피부 접착 성능이 뛰어나다.
접착제 표면을 보호하기 위한 박리 라이너는 접착제 패치의 주요부를 피부에 적용하기 전에 접착제 패치의 주요부 중 접착제 층의 접착제 표면 상에 적층될 수 있다. 박리 라이너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이러한 재료의 예는 당업계에서 자체 기술 분야에 공지된 것을 포함한다. 이의 특정예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필름의 플라스틱 필름, 예컨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비닐계 수지 필름, 예컨대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폴리(비닐리덴 클로라이드), 폴리스티렌 등; 아크릴계 수지 필름, 예컨대 각종 아크릴산계 및 메타크릴계 중합체;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필름; 폴리이미드 수지 필름; 셀룰로스계 수지 필름, 예컨대 아세틸 셀룰로스, 재생 셀룰로스 (셀로판), 셀룰로이드 등; 고품질 종이, 글라신 종이 등의 적층체 필름 및 폴리올레핀계 필름 등을 포함한다. 안전, 경제적 효율 및 약물 전달 특성을 위해,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필름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된 박리 라이너의 두께는 일반적으로 10 ㎛ ~ 200 ㎛이고, 25 ㎛ ~ 100 ㎛가 바람직하다.
박리 라이너는 접착제 층으로부터의 박리가 용이하도록 계면 표면 쪽에서 용이한 박리를 위해 접착제 층으로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이한 박리 처리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공지된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코팅 방법, 예컨대 바 코팅, 그라비어 코팅 등에 의해 주요 성분으로서 경화성 실리콘 수지를 함유하는 박리제를 사용하여 박리 처리된 층을 형성하는 처리 방법이 언급될 수 있다.
전술된 박리 처리된 층의 두께는 박리력 및 코팅의 균일성을 보장하기 위해 0.01 ㎛ ~ 5 ㎛가 바람직하다. 박리 처리된 층을 갖는 박리 라이너의 두께는 취급 특징의 측면으로부터 일반적으로 10 ㎛ ~ 200 ㎛, 바람직하게는 50 ㎛ ~ 100 ㎛이다.
본 발명의 접착제 패치에서 박리 라이너는 접착제 패치의 주요부 상으로 표면적으로 연장된 연장부를 가질 수 있다. 접착제 패치가 패키지에 함유되는 경우, 심지어 접착제 층 성분이 접착제 패치의 주요부의 단부로부터 흘러나오거나 돌출되는 경우에도 연장부가 패키지의 내부에 대해 접착제 패치의 주요부의 단부의 접촉 빈도를 감소시키기 때문에, 패키지로부터 접착제 패치를 떼어내는 데 어려움을 유발하는 패키지 내부에 대한 접착력은 억제될 수 있다. 이러한 효과를 제공하기 위해, 접착제 패치의 주요부의 주변부 중 하나 이상의 부분은 바람직하게는 연장부를 갖는 박리 라이너를 가지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접착제 패치의 주요부의 전체 주변부가 연장부를 갖는 박리 라이너를 갖는다. 박리 라이너의 전술된 연장부의 길이는 전술된 효과를 실현하고 패키지 내로 부드러운 삽입을 보장하도록 약 0.5 mm ~ 10 mm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 mm ~ 3 mm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박리 라이너는 또한 분할 후부를 가질 수도 있다. 전술된 분할 후부는 접착제 층을 갖는 박리 라이너의 접촉 표면의 반대면 상의 표면 상 상에 파선을 형성함으로써 제조된다. 전술된 파선의 형상은 선형 또는 곡선형(예, 웨이브 형상), 또는 이의 조합일 수 있다. 파선은 실선 또는 쇄선(dashed line), 또는 이의 조합일 수 있다. 박리 라이너가 분할 후부를 갖기 때문에, 박리 라이너는 접착제 패치가 사용되는 경우에 쉽게 제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접착제 층은 접착제 제제를 형성하는 데 바람직한 경우 약물을 함유할 수 있다. 여기서 약물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전신 작용을 위한 약물 및 국소 작용을 위한 약물 중 임의의 약물이 사용될 수 있다. 피부를 통해 인간 등과 같은 포유동물에게 투여될 수 있는 약물, 즉 경피성 흡수형 약물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약물은, 예를 들어 전신마취약, 항정신병제, 항우울제, 기분 안정화제, 정신자극제, 최면제, 항불안제, 항간질제, 편두통용 치료 약물, 구토방지제, 현기증용 약물, 국소마취제, 근이완제, 자율신경제, 경련방지제, 파킨슨병용 치료 약물, 코르티코스테로이드,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 해열 진통제, 항류마티즘약, 항히스타민제, 항알레르기제, 강심제, 항부정맥제, 이뇨제, 혈압강하제, 혈관수축제, 혈관확장제, 협심증용 치료 약물, 아나프노익(anapnoics), 기관지 확장제, 기관지 천식용 치료 약물, 기침약, 거담약, 호르몬제, 조혈제, 지혈제, 항혈전제, 통풍·고요산혈증용 치료 약물, 당뇨병용 치료 약물, 과지혈증용 치료 약물, 항종양성 약물, 면역억제제, 항세균제, 화학적 치료제, 항진균제, 항바이러스제, 항기생충제, 마취제, 금연 보조제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약물은 유리 형태 또는 염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접착제 제제에서 상기 언급된 약물의 함량은 경피성 흡수용 약물의 효과가 충분하게 발휘될 수 있고, 접착제 층의 접착 특성 등이 저하되지 않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이는 접착제 층의 0.1 중량% ~ 60 중량%가 바람직하고, 0.5 중량% ~ 40 중량%가 더욱 바람직하다. 0.1 중량%보다 낮은 경우, 충분한 치료 효과가 얻어질 수 없고, 60 중량%보다 높은 경우, 피부 자극이 발생할 수 있으며, 그 뿐만 아니라 치료 효과가 향상될 수 없어서, 경제적 단점을 제공한다.
접착제 패치의 제조 방법으로서, 각종 방법은 접착제 패치의 형상 등의 상기 설명에 언급된 바와 같이 이용가능하다. 하지만, 산업용 제조의 경우, 높은 생산 효율을 위해서는 예를 들어 하기 방법이 바람직하다.
우선, 접착제 층의 형성을 위한 조성물은 박리 라이너의 한쪽 표면에 적용되고 건조되어 접착제 층을 형성한다. 지지체는 그 위에 적층되어 접착제 패치로부터 펀칭을 위한 오리지날 시트를 형성한다. 대안적으로, 접착제 층의 형성을 위한 조성물은 지지체의 한쪽 표면에 적용되고 건조되어 접착제 층을 형성한다. 지지체는 그 위에 적층되어 접착제 패치로부터 펀칭을 위한 오리지날 시트를 형성한다. 상기 언급된 적층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공지된 방법, 예컨대 프라이머 등의 적용, 접착, 융합 결합, 용융 결합, 가압 결합 등이 언급될 수 있다.
이후, 접착제 패치로부터 펀칭을 위한 오리지날 시트는 소정의 형상을 갖는 가열된 스템프로 가압함으로써 지지체 쪽으로부터 스템프 처리된다. 스템프 처리 후, 전술된 오리지날 시트는 소정의 펀칭 위치에서 펀칭되어 본 발명의 접착제 패치를 형성한다. 전술된 스템프의 소정의 형상은 가압 동안 적어도 접착제 패치의 주변부에 상응한 부분을 가압한 형상이다. 주변부에 상응한 영역을 가압함으로써, 접착제 패치의 주변부에서 접착제 층은 감소되거나 제거될 수 있다. 또한, 접착제 패치의 측단부에서 지지체 상단부와 박리 라이너 하단부 사이의 거리 A가 접착제 패치의 중심부의 두께 B를 초과하는 접착제 패치는 지지체가 회복력을 갖기 때문에 전술된 오리지날 시트를 스템프로 가압하고 스템프를 제거함으로써 효과적으로 얻을 수 있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측단부에서 지지체 상단부와 박리 라이너 하단부 사이의 거리 A가 접착제 패치의 중심부의 두께 B를 초과하는 접착제 패치는 바람직하게는 가열된 스템프를 사용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전술된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접착제 패치의 개략적인 단면도는 도 5에 도시된다. 가열된 스템프로 스템프 처리함으로써, 가압된 영역의 접착제 패치 중심부 쪽에 인접한 부분을 함유하는 지지체는 열에 의해 연화된다. 그 결과, 가압된 영역에서 접착제 층은 박리되고, 중심부(4)보다 더 적은 두께를 갖는 얇은 주변부(5)의 형성이 조장된다. 일단 형성된 접착제 패치의 전술된 형상은 이후에 냉각 허용되거나 그렇지 않은 경우 냉각되고 이의 형상을 유지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부 및 중심부(4)보다 작은 두께를 갖는 주변부(5)를 함유한다. 가열된 스템프의 온도가 지지체의 재료 및 두께, 접착제 층의 조성 등에 따라 달라지지만, 바람직하게는 90℃ ~ 200℃, 더욱 바람직하게는 120℃ ~ 180℃이다.
오목한 접착제 층의 측단부를 형성하고 주변부의 접착제 층을 제거하기 위해, 가압 동안 압력 및 가압 시간은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압 동안 압력은 지지체의 재료 및 두께, 접착제 층의 조성 등에 따라 달라진다. 바람직하게는 10 N/10 cm2 ~ 1,000,000 N/10 cm2(1.0×104 N/m2 ~ 1.0×109 N/m2), 더욱 바람직하게는 500 N/10 cm2 ~ 10,000 N/10 cm2(5.0×105 N/m2 ~ 1.0×107 N/m2)이다. 가압 시간은 또한 지지체의 재료 및 두께, 접착제 층의 조성 등에 따라 달라진다. 바람직하게는 0.05초 ~ 5초, 더욱 바람직하게는 0.1초 ~ 2초이다.
스템프 처리 동안, 스템프와 스템프 처리 테이블 사이의 간격은 지지체, 접착제 층의 주변부 및 박리 라이너의 총 두께의 ± 1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스템프의 바람직한 형상은 접착제 패치와 접촉되고 가압된 가압 표면으로서 평판형 절편을 함유한 임의의 것이고, 접착제 패치의 주변부만을 특정적으로 가압할 수 있는 한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가압 표면으로서 평판형 절편은 접착제 패치의 주변부에 상응한 형상을 갖는다. 예를 들면, 스템프의 형상은 볼록부 상의 주변의 제1 직사각형(정사각형, 오블롱 형태) 및 이와 유사한 더 작은 제2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지고, 제1 및 제2 직사각형의 상응한 쪽은 서로에게 평행하게 배치된다. 스템프 재료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철이 바람직하다. 스테인레스 강철은 열 뒤틀림이 발생할 수 있고 이의 가공은 어려울 수 있다. 알루미늄 및 놋쇠는 쉽게 가공될 수 있지만, 스템프 기간에 불리하게 불량해질 수 있다.
접착제 패치 등을 위한 펀칭 수단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레이저, 프레스-컷팅 블레이드 등을 사용하는 펀칭 방법이 언급될 수 있다. 절단 크기의 조정 및 위치 조정이 쉽고 확실한 단부 표면이 얻어질 수 있기 때문에, 오리지날 시트는 프레스-컷팅 블레이드 다이 세트(암수 유형)로 펀칭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접착제 패치의 바람직한 구체예에 있어서, 박리 라이너는 접착제 패치의 주요부의 주변부 중 하나 이상의 부분에 연장부를 갖고, 더욱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박리 라이너는 접착제 패치의 주요부의 모든 주변부에 연장부를 갖는다. 주변부의 하나 이상의 부분의 연장부는 필요한 형상을 갖는 프레스-컷팅 블레이드 다이 세트(암수 유형)를 사용하여 접착제 패치의 주요부만을 펀칭하고 이후 박리 라이너를 펀칭함으로써 쉽게 형성될 수 있다.
연장된 박리 라이너의 길이는 프레스-컷팅 블레이드 다이 세트의 암수 유형에서 크기 차이를 변화시킴으로써 조정될 수 있다. 연장된 박리 라이너의 길이는 크기 차이를 증가시킴으로써 연장될 수 있다. 분할 후부가 박리 라이너 상에 셋팅되는 경우, 박리 라이너의 중심부는 다이 롤로 절반 절단되고, 파선은 박리 라이너에서만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접착제 패치 및 접착제 제제는 패키지에 보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패키지는 접착제 패치의 포장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포장재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포장재의 예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 예컨대 폴리에틸렌 필름, 폴리프로필렌 필름, 폴리메틸펜텐 필름 등; 비닐계 수지 필름, 예컨대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필름, 폴리비닐리덴 클로라이드 필름, 폴리비닐 알콜 필름, 폴리스티렌 필름,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필름, 이오노머 필름 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필름, 예컨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등; 폴리아미드계 수지 필름, 예컨대 나일론 필름 등; 셀룰로스계 수지 필름, 예컨대 셀로판 등;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필름; 및 이의 적층 필름; 이의 적층 필름 및 알루미늄 등을 포함한다. 접착제 패치는 전술된 포장재를 사용하여 제조된 패키지에 하우징되고, 가열 밀봉 등과 같은 공지된 방법에 의해 단단하게 밀봉될 수 있다.
[실시예]
본 발명은 실시예 및 비교예에 언급함으로써 하기에 더욱 상세한 사항을 설명하고, 이는 한정적으로 이해되지 않는다.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 3] 접착제 제제
(1) 접착제 시트의 제조
<접착제 층의 형성을 위한 조성물의 제조>
고 분자량 폴리이소부틸렌(점도 평균 분자량; 4,000,000, 0.620 kg), 지환족 포화 탄화수소 수지(링 및 볼 방법에 의한 연화점; 120℃ ~ 160℃, 1.127 kg), 톨루엔(4.456 kg) 및 n-헥산(4.726 kg)을 칭량하고, 배합 탱크에서 24시간 이상 동안 교반하였다. 중 분자량 폴리이소부틸렌(점도 평균 분자량; 55,000, 1.071 kg)을 칭량하고, 배합 탱크에 투입하고 그 혼합물을 24시간 이상 동안 교반하였다. 그 후,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1.232 kg) 및 톨루엔(0.270 kg)을 칭량하고, 배합 탱크에 투입하고 그 혼합물을 4시간 이상 동안 교반하여 접착제 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을 형성하였다.
<펀칭을 위한 오리지날 시트의 제조>
상기 언급된 조성물을, 건조 후 접착제 층의 두께가 160 ㎛이도록 백 롤 및 코마 롤로 이루어진 코터에 의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이하, "PET"로 제시됨)로 제조된 박리 라이너의 용이-박리 처리된 표면(두께 75 ㎛)에 적용하고, 건조시켰다. 접착제 층의 얻어진 접착제 표면을, 가압 결합에 의해 3.5 ㎛ 두께의 PET 필름 및 PET 부직물의 적층체(기본 중량: 10 g/m2 ~ 20 g/m2)인 지지체의 PET 부직물 표면에 접착시켜 접착제 패치로부터 펀칭을 위한 오리지날 시트를 형성하였다.
(2) 펀칭 및 포장 기기에 의한 접착제 패치의 형성
접착제 패치 펀칭을 위한 상기 언급된 오리지날 시트는 스템프 처리 부품(고온 가압 + 스템프 처리 금속 성형) 및 다이 세트 금속 성형체(암수 유형)가 구비된 펀칭 및 포장 기기에 의해 펀칭되어 접착제 패치를 형성한다. 스템프 처리 부품의 스템프 처리 너비, 스템프 처리 동안의 가열 온도 및 압력은 하기 표 1에 제시된 바와 같이 조정되어 실시예 1 및 2, 그리고 비교예 1 ~ 3의 접착제 패치를 형성하였다.
Figure pat00001
[실험 실시예 1] 접착제 패치 형상의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의 각 접착제 패치를 수성 루테늄 산 용액으로 착색하고, 동결 절편기(LR-85, YAMATO KOHKI INDUSTRIAL CO., LTD.에 의해 제조됨)로 절단하였다. 50배율 내지 1000배율에서 FE-SEM(S-4800, Hitachi, Ltd.에 의해 제조됨)에 의해 절편을 취했다. 각 접착제 패치의 전자 현미경 사진에서, 주변부 및 중심부의 게이지 스케일을 판독하여, 이에 의해 PET 필름 및 PET 부직물의 두께, 그리고 접착제 패치의 주요부의 두께(접착제 층 및 지지체의 총 두께)를 측정하였다. 이러한 경우에, 오목부 및 볼록부는 PET 부직물의 표면 상에 존재한다. 절편 이미지에서, 10개의 볼록부를 무작위로 선택하고, 볼록부에서 PET 부직물의 평균 두께를 계산하고 PET 부직물의 두께로서 취하였다. 이 후, PET 필름의 두께 및 전술된 PET 부직물의 두께를 접착제 패치의 주요부의 두께로부터 제하고, 주변부 및 중심부에서 접착제 층의 두께를 측정하였다. 또한, 접착제 패치의 측단부에서 지지체의 상단부와 박리 라이너의 하단부 사이의 거리 A, 및 지지체의 측단부로부터 중심부 쪽의 접착제 층의 측단부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의 각 접착제 패치 단부의 절편 이미지를 하기 도 6 ~ 도 10에 도시한다.
실시예 및 비교예의 각 접착제 패치 단부의 절편 이미지로부터, 실시예 및 비교예의 각 접착제 패치는
(1) 측단부에서, 접착제 층의 측단부가 지지체의 측단부로부터 접착제 패치의 중심부 쪽으로 위치되는지 여부,
(2) 측단부에서 지지체의 상단부와 박리 라이너의 하단부 사이의 거리가 접착제 패치의 중심부의 두께를 초과하는지 여부, 및
(3) 접착제 층의 단부가 오목 형상을 갖는지 여부
에 대해 관찰되었다.
하기 표 2에는 관찰 결과가 '예'인 경우, Y가 표시되고 그 결과가 '아니오'인 경우, N이 표시된다. 각 접착제 패치에서, 접착제 층의 중심부의 두께는 펀칭한 오리지날 시트를 건조한 후 접착제 층의 두께와 동일하였고 이는 160 ㎛였다. 게다가, 실시예 1 및 2의 접착제 패치에서, 측단부에서 지지체의 상단부와 박리 라이너의 하단부 사이의 거리 A는 접착제 패치의 중심부의 두께의 101% ~ 150% 범위 내에 있었다. 실시예 1의 접착제 패치에서, 접착제 층의 측단부는 지지체의 측단부로부터 접착제 패치의 중심부 쪽으로 500 ㎛에 위치되었다. 반면, 실시예 2의 접착제 패치에서, 접착제 층의 측단부는 지지체의 측단부로부터 접착제 패치의 중심부 쪽으로 50 ㎛에 위치되었다.
[실험 실시예 2] 패키지로부터 접착제 패치를 떼어내는 것의 성능 평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제 패치 패키지의 2개의 면을 가위로 또는 V형 표시를 따라 개봉하였다. 코너를 쥐면서 접착제 패치를 떼어내었고, 패키지로부터 접착제 패치를 떼어내는 것의 성능을, 다음의 3단계 평가 기준을 따라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
○; 접착제 층 성분의 흘러내림 또는 돌출 없음; 손쉽게 떼어내는 것이 가능하였음
△; 접착제 패치의 일부에서 접착제 층 성분의 흘러내림 또는 돌출; 떼어내는 것이 가능하였음
×; 접착제 층 성분의 현저한 흘러내림 또는 돌출; 떼어내는 것이 어려웠음
[실험 실시예 3] 피부 접착 성능의 평가
전문 평가자들은 패키지로부터 접착제 패치를 떼어내고, 아침부터 24시간 동안 가슴에 패치를 접착하고, 다음의 3단계 평가 기준에 따라 접착 상태를 평가하였다. 접착제 패치의 접착 동안, 평가자는 평상시처럼 행동하였다. 평가자가 아침에 목욕을 한 경우, 패치는 목욕을 한 직후(30분 내)를 피하여 부착되었다. 동일한 한 평가자가 한번에 실시예 및 비교예의 각 접착제 패치를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
○; 접착제 패치가 24시간 동안 탈락하지 않았음; 접착제 패치의 단부는 틀어지지 않았음
△; 접착제 패치가 24시간 동안 탈락하지 않았음; 접착제 패치의 단부는 틀어졌음
×; 접착제 패치는 24시간 내에 탈락하였음
[실험 실시예 4] 박리 라이너의 박리력 평가
5명의 남성 패널(50세 이상)이 접착제 패치로부터 박리 라이너를 탈착하고, 관능 평가에 의해 이의 박리력을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는 하기 기준에 의해 요약되었다.
<평가 요약 기준>
○; 모든 패널이 손쉬운 탈착력을 느낌
△; 일부 패널이 탈착에 어려움을 느낌
×; 모든 패널이 탈착에 어려움을 느낌
상기 언급된 실험 실시예 2 ~ 4의 평가 결과가 또한 하기 표 2에 제시된다.
Figure pat00002
표 2로부터,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2의 접착제 패치에서, 접착제 층의 측단부는 측단부에서 지지체의 측단부로부터 접착제 패치의 중심부 쪽으로 위치되었고; 측단부에서 지지체의 상단부와 박리 라이너의 하단부 사이의 거리는 접착제 패치의 중심부 두께를 초과하며; 접착제 층의 단부는 측단부에서 오목하다는 것이 분명하다. 이러한 접착제 패치는 패키지로부터의 떼어냄 성능 및 피부 접착 성능에 대해 우수한 평가 결과를 얻었다. 접착제 층의 측단부가 지지체의 측단부로부터 접착제 패치의 중심부 쪽의 500 ㎛에 위치되는 실시예 1의 접착제 패치는 접착제 층의 측단부가 지지체의 측단부로부터 접착제 패치의 중심부 쪽의 50 ㎛에 위치되는 실시예 2의 접착제 패치와 비교하였을 때 박리 라이너의 박리력과 관련하여 더욱 더 높은 평가를 얻었다. 대조적으로, 측단부에서 지지체의 상단부와 박리 라이너의 하단부 사이의 거리가 접착제 패치의 중심부 두께를 초과하지 않는 비교예 1의 접착제 패치는 피부 접착 성능과 관련하여 낮은 평가를 얻었다. 추가적으로, 접착제 층의 단부가 측단부에서 오목하지 않은 비교예 2의 접착제 패치는 박리 라이너의 박리력과 관련하여 또한 낮은 평가를 얻었다. 접착제 층의 측단부가 측단부에서 지지체의 측단부로부터 접착제 패치의 중심부 쪽으로 위치되지 않고; 측단부에서 지지체의 상단부와 박리 라이너의 하단부 사이의 거리가 접착제 패치의 중심부 두께를 초과하지 않으며; 접착제 층의 단부가 측단부에서 오목하지 않은 비교예 3의 접착제 패치는 패키지로부터의 떼어냄 성능, 피부 접착 성능 및 박리 라이너의 박리력과 관련하여 우수한 평가를 받지 못했다.
[실시예 3 및 4] 패치 제조
접착제 층의 형성을 위한 상기 언급된 조성물에 톨루엔을 제외한 전체 배합 성분 100 중량부 당 1 중량부의 인도메타신(항염증제)을 첨가하여, 경피성 흡수 제제를 위한 접착제 층의 형성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전술된 조성물을 사용하고 상기 언급된 실시예 1 및 2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접착제 제제를 얻었다. 실시예 3 및 4의 접착제 제제는 패키지로부터의 떼어냄 성능, 피부 접착 성능 및 박리 라이너의 박리력에 있어서 상기 언급된 실시예 1 및 2의 접착제 패치의 제제와 유사한 효과를 제공한다.
상기 상세하게 기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단부로부터 접착제 층 성분이 흘러내리고 돌출되는 일 없이, 보존 동안 소위 냉기 흐름 현상의 발생을 억제하고, 패키지의 내부 표면에 쉽게 결합되지 않으며, 패키지로부터 쉽게 떼어내질 수 있고, 점착성으로 인한 손에의 불쾌한 감촉과 사용 동안 적용 부위 상의 끈적임 감촉을 덜 유발하는 접착제 패치 또는 접착제 제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충분한 피부 접착을 보장하고, 피부 표면으로부터의 탈착에 상당히 내성을 가지며, 박리 라이너의 손쉬운 탈착을 허용하는 접착제 패치 또는 접착제 제제로서, 의복 등에 대한 단부의 마찰 빈도는 피부에의 접착 동안 감소되고, 단부는 쉽게 틀어지지 않는 접착제 패치 또는 접착제 제제를 제공할 수 있다.
1 지지체
2 접착제 층
3 박리 라이너
4 중심부
5 주변부
a 접착제 패치의 측단부에서 지지체의 상단부
b 접착제 패치의 측단부에서 박리 라이너의 하단부
b' 접착제 패치의 측단부에서 지지체의 상단부(a)로부터 박리 라이너의 하단부까지 도시되는 수직선과, 박리 라이너의 하단부의 교차점
c 접착제 층의 측단부에서 지지체의 상단부
d 접착제 층의 측단부에서 박리 라이너의 하단부
d' 접착제 층의 측단부에서 지지체의 상단부(c)로부터 박리 라이너의 하단부까지 도시되는 수직선과, 박리 라이너의 하단부의 교차점
e 접착제 패치의 코어부에서 지지체의 상단부
f 접착제 패치의 코어부에서 지지체의 상단부(e)로부터 박리 라이너의 하단부까지 도시되는 수직선과, 박리 라이너의 하단부의 교차점
A 접착제 패치의 측단부에서 지지체의 상단부와 박리 라이너의 하단부 사이의 거리
B 접착제 패치의 중심부 두께
C 접착제 층의 측단부에서 접착제 패치의 두께

Claims (9)

  1. 지지체, 상기 지지체의 하나 이상의 표면 상의 접착제 층, 및 상기 지지체로부터 대향하는 접착제 층의 표면 상의 박리 라이너를 포함하는 접착제 패치로서,
    (a) 접착제 층의 측단부가 노출되고,
    (b) 하나 이상의 측단부에서, 접착제 층의 측단부가 지지체의 측단부로부터 접착제 패치의 중심부 쪽으로 위치되고,
    (c) 박리 라이너가 아래를 향하도록 수평으로 배치된 경우, 접착제 패치의 상기 측단부에서 지지체의 상단부와 박리 라이너의 하단부 사이의 거리 A는 접착제 패치의 중심부의 두께 B를 초과하는 접착제 패치.
  2. 제1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측단부에서, 접착제 층의 측단부는 지지체의 측단부로부터 접착제 패치의 중심부 쪽으로 1 ㎛ ~ 1000 ㎛에 위치되는 것인 접착제 패치.
  3. 제1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측단부에서, 접착제 패치의 상기 측단부에서 지지체의 상단부와 박리 라이너의 하단부 사이의 거리 A는 접착제 층의 측단부에서 접착제 패치의 두께 C를 초과하는 것인 접착제 패치.
  4. 제1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측단부에서, 접착제 층의 측단부에서 접착제 패치의 두께 C는 접착제 패치의 중심부의 두께 B와 동일한 것인 접착제 패치.
  5. 제1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측단부에서, 접착제 층의 단부는 오목 형상을 갖는 것인 접착제 패치.
  6. 제1항에 있어서, 접착제 층은 고무계 접착제를 포함하는 것인 접착제 패치.
  7. 제1항에 있어서, 접착제 층은 가교결합되지 않는 것인 접착제 패치.
  8. 제1항에 있어서, 접착제 층은 유기 액체 성분을 포함하는 것인 접착제 패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접착제 패치를 포함하고 접착제 층이 약물을 함유하는 접착제 제제.
KR1020110088516A 2011-09-01 2011-09-01 접착제 패치 및 접착제 제제 KR1018513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8516A KR101851397B1 (ko) 2011-09-01 2011-09-01 접착제 패치 및 접착제 제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8516A KR101851397B1 (ko) 2011-09-01 2011-09-01 접착제 패치 및 접착제 제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5158A true KR20130025158A (ko) 2013-03-11
KR101851397B1 KR101851397B1 (ko) 2018-04-23

Family

ID=48176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8516A KR101851397B1 (ko) 2011-09-01 2011-09-01 접착제 패치 및 접착제 제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139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76615A1 (ko) * 2014-11-10 2016-05-19 주식회사 스몰랩 마이크로 니들 패치
KR102072100B1 (ko) * 2019-11-01 2020-03-02 방인란 플록킹이 접목된 실리콘 와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25558A (ja) 2009-12-18 2011-06-30 Nitto Denko Corp 貼付剤および貼付製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76615A1 (ko) * 2014-11-10 2016-05-19 주식회사 스몰랩 마이크로 니들 패치
KR102072100B1 (ko) * 2019-11-01 2020-03-02 방인란 플록킹이 접목된 실리콘 와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1397B1 (ko) 2018-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5238848B2 (en) Adhesive patch
JP5285356B2 (ja) 貼付剤
US8974816B2 (en) Water resistant patch preparation
JP2011178696A (ja) 貼付製剤
JP5662038B2 (ja) 貼付剤および貼付製剤
KR20130025158A (ko) 접착제 패치 및 접착제 제제
EP2564789B1 (en) Adhesive patch and adhesive preparation
JP5688121B2 (ja) 貼付剤
US8349357B1 (en) Adhesive patch and adhesive preparation
RU2573104C2 (ru) Лейкопластырь и клейкий препарат
CA2751350C (en) Adhesive patch and adhesive preparation
CN102973359A (zh) 胶粘贴片和胶粘制剂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