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5112A - 저온 폐열 및 흡수식 냉동기를 이용한 orc 열병합 시스템 - Google Patents

저온 폐열 및 흡수식 냉동기를 이용한 orc 열병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5112A
KR20130025112A KR1020110088457A KR20110088457A KR20130025112A KR 20130025112 A KR20130025112 A KR 20130025112A KR 1020110088457 A KR1020110088457 A KR 1020110088457A KR 20110088457 A KR20110088457 A KR 20110088457A KR 20130025112 A KR20130025112 A KR 201300251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 temperature
waste heat
heat
evaporator
absorption chi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8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15918B1 (ko
Inventor
이창준
권혁민
최장현
김남웅
Original Assignee
한국지역난방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지역난방공사 filed Critical 한국지역난방공사
Priority to KR10201100884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5918B1/ko
Publication of KR201300251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51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59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59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KSTEAM ENGINE PLANTS; STEAM ACCUMULATORS; ENGINE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NGINES USING SPECIAL WORKING FLUIDS OR CYCLES
    • F01K23/00Plants characterised by more than one engine delivering power external to the plant, the engines being driven by different fluids
    • F01K23/02Plants characterised by more than one engine delivering power external to the plant, the engines being driven by different fluids the engine cycles being thermally coupled
    • F01K23/06Plants characterised by more than one engine delivering power external to the plant, the engines being driven by different fluids the engine cycles being thermally coupled combustion heat from one cycle heating the fluid in another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KSTEAM ENGINE PLANTS; STEAM ACCUMULATORS; ENGINE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NGINES USING SPECIAL WORKING FLUIDS OR CYCLES
    • F01K19/00Regenerating or otherwise treating steam exhausted from steam engine plant
    • F01K19/02Regenerating by compression
    • F01K19/04Regenerating by compression in combination with cooling or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0/00District heating systems
    • F24D10/006Direct domestic delivery st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KSTEAM ENGINE PLANTS; STEAM ACCUMULATORS; ENGINE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NGINES USING SPECIAL WORKING FLUIDS OR CYCLES
    • F01K7/00Steam engine pla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types of engine; Plants or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special steam systems, cycles or processes;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systems, cycles or processes; Use of withdrawn or exhaust steam for feed-water heating
    • F01K7/16Steam engine pla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types of engine; Plants or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special steam systems, cycles or processes;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systems, cycles or processes; Use of withdrawn or exhaust steam for feed-water heating the engines being only of turbine typ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40Solar thermal energy, e.g. solar towers
    • Y02E10/46Conversion of thermal power into mechanical power, e.g. Rankine, Stirling or solar thermal engi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20/00Combustion technologies with mitigation potential
    • Y02E20/14Combined heat and power generation [CH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orption Type Refrigeration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온 폐열 및 흡수식 냉동기를 이용한 ORC 열병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저온성 폐열을 공급받아 작동 유체를 증발시키는 증발기와; 상기 증발기를 통하여 열을 전달받는 작동 유체에 의해 동작되는 터빈과; 상기 터빈의 회전에 의해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기와; 상기 터빈에서 팽창된 작동 유체를 액화하는 응축기와; 상기 응축기에서 액화된 작동 유체를 상기 발전기로 공급하는 펌프; 및 상기 증발기를 통해 작동 유체와 열교환되어 배출되는 배출 온수를 가온열로 이용하고, 외부로부터 유입되어 순환되는 냉각수를 냉각열로 이용하여 저온 냉각수를 생산하며, 생산된 저온 냉각수를 상기 응축기로 순환시키고, 열교환된 온수를 지역난방수로 공급하는 흡수식 냉동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저온의 폐열을 증발기에 공급한 후 증발기에서 배출되는 저온수를 저온수 2단 흡수식 냉동기로 공급하여 냉수를 생산하고, 생산된 냉수를 응축기의 냉각수로 공급하여 열원과 냉각수의 열낙차를 증대시켜 발전 출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저온 폐열 및 흡수식 냉동기를 이용한 ORC 열병합 시스템{ORGANIC RANKINE CYCLE FOR USING LOW TEMPERATURE WASTE HEAT AND ABSORBTION TYPE REFRIGERATOR}
본 발명은 저온 폐열 및 흡수식 냉동기를 이용한 ORC 열병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저온의 폐열을 증발기에 공급한 후 증발기에서 배출되는 저온수를 저온수 2단 흡수식 냉동기로 공급하여 냉수를 생산하고, 생산된 냉수를 응축기의 냉각수로 공급하여 열원과 냉각수의 열낙차를 증대시켜 발전 출력을 증대시키도록 하는 저온 폐열 및 흡수식 냉동기를 이용한 ORC 열병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기 랭킨 사이클(ORC : ORGANIC RANKINE CYCLE)은 유기 매체를 작동 유체로 사용하는 랭킨 사이클(RANKIn Cycle)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기 랭킨 사이클 시스템(10)은 보일러 또는 작동 유체의 증발을 위한 증발기(11), 발전기(15) 또는 다른 부하부를 구동하도록 보일러로부터 증기가 공급되는 터빈(13), 터빈(13)으로부터의 배출 증기를 응축하기 위한 응축기(17) 및 응축된 작동 유체를 보일러로 순환시키기 위한 펌프(19)를 포함한다. 이러한 시스템은 미국 특허 제3,393,515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유기 랭킨 사이클 시스템(ORGANIC RANKINE CYCLE SYSTEM)은 통상 여러 나라에서 주거용 및 상업용 동력 분배 시스템 또는 그리드에 제공되는 전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일반적인 랭킨 사이클 시스템(RANKINE CYCLE SYSTEM)에 사용되는 운동 유체는 흔히 물이며, 터빈은 스팀에 의해 구동된다. 보일러의 열원은 예컨대 오일, 석탄, 천연 가스 또는 원자력과 같은 임의의 형태의 화석 연료일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의 터빈은 비교적 고압 및 고온에서 작동되도록 설계되고 제조와 사용에 있어서 비교적 비용이 많이 든다.
발전 제품용 랭킨 사이클은 다음의 네 가지 과정을 순서대로 겪는다.
1. 펌프를 통한 단열 승압
2. 증발기에서의 등압 수열
3. 터빈에서의 단열 팽창
4. 응축기에서의 등압 방열
유기 랭킨 사이클에서 주된 열역학적 비가역성은 증발기에서 폐열 흐름과 비등하는 냉매의 온도 사이의 큰 온도 차이에 의해 발생된다. 폐열 흐름 온도가 더 높아질수록 이러한 비가역성은 더 커진다. 즉, 폐열의 온도가 150℃대에서는 효율이 13~14% 수준이나, 폐열의 온도가 100℃ 이하에서는 효율이 6~7% 수준이고, 발전 출력이 저하된다.
그리하여, 이러한 유기 랭킨 사이클은 통상적으로 100℃ 이상의 열원을 이용해서 가동해야만 되는 데, 국내의 경우 고온성 폐열, 특히 지열이 존재하지 않아서 국내 적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저온의 폐열을 증발기에 공급한 후 증발기에서 배출되는 저온수를 저온수 2단 흡수식 냉동기로 공급하여 냉수를 생산하고, 생산된 냉수를 응축기의 냉각수로 공급하여 열원과 냉각수의 열낙차를 증대시켜 발전 출력을 증대시키도록 하는 저온 폐열 및 흡수식 냉동기를 이용한 ORC 열병합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저온성 폐열을 공급받아 작동 유체를 증발시키는 증발기와; 상기 증발기를 통하여 열을 전달받는 작동 유체에 의해 동작되는 터빈과; 상기 터빈의 회전에 의해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기와; 상기 터빈에서 팽창된 작동 유체를 액화하는 응축기와; 상기 응축기에서 액화된 작동 유체를 상기 발전기로 공급하는 펌프; 및 상기 증발기를 통해 작동 유체와 열교환되어 배출되는 배출 온수를 가온열로 이용하고, 외부로부터 유입되어 순환되는 냉각수를 냉각열로 이용하여 저온 냉각수를 생산하며, 생산된 저온 냉각수를 상기 응축기로 순환시키고, 열교환된 온수를 지역난방수로 공급하는 흡수식 냉동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저온 폐열 및 흡수식 냉동기를 이용한 ORC 열병합 시스템은 상기 증발기의 인입단과 배출단 사이에서 분기 관로를 통해 온도 조절 밸브가 더 설치되고, 상기 온도 조절 밸브를 통해 상기 증발기에서 배출되는 배출수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여기에서 또한, 상기 저온성 폐열은 70~80℃의 온도를 갖는다.
여기에서 또, 상기 배출 온수는 65℃의 온도를 갖는다.
여기에서 또, 상기 흡수식 냉동기는 저온수 2단 흡수식 냉동기이다.
여기에서 또, 상기 흡수식 냉동기의 저온 냉각수는 8~10℃의 온도를 갖는다.
여기에서 또, 상기 흡수식 냉동기로 유입되는 냉각수는 냉각탑을 순환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인 저온 폐열 및 흡수식 냉동기를 이용한 ORC 열병합 시스템에 따르면, 저온의 폐열을 증발기에 공급한 후 증발기에서 배출되는 저온수를 저온수 2단 흡수식 냉동기로 공급하여 냉수를 생산하고, 생산된 냉수를 응축기의 냉각수로 공급하여 열원과 냉각수의 열낙차를 증대시켜 발전 출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유기 랭킨 사이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저온 폐열 및 흡수식 냉동기를 이용한 ORC 열병합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저온 폐열 및 흡수식 냉동기를 이용한 ORC 열병합 시스템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저온 폐열 및 흡수식 냉동기를 이용한 ORC 열병합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저온 폐열 및 흡수식 냉동기를 이용한 ORC 열병합 시스템(100)은, 증발기(110)와, 터빈(120)과, 발전기(130)와, 응축기(140)와, 펌프(150)와, 흡수식 냉동기(160) 및 온도 조절 밸브(170)로 구성된다.
먼저, 증발기(110)는 저온성 폐열을 공급받아 작동 유체를 증발시킨다. 여기에서, 저온성 폐열은 70~80℃의 온도를 갖는 지열수, 공장 폐열수, 태양열 온수 등이 적용되며, 바람직하게 국내에 부존(賦存)하나 활용성이 낮은 저온성 지열수가 적용된다.
그리고, 터빈(120)은 증발기(110)를 통하여 열을 전달받는 작동 유체에 의해 동작된다.
또한, 발전기(130)는 터빈(120)의 회전에 의해 전력을 생산하여 세대에 공급한다.
또, 응축기(140)는 하기에서 설명할 흡수식 냉동기(160)에서 공급되는 저온 냉각수를 이용하여 터빈(120)에서 팽창된 작동 유체를 액화시킨다. 여기에서, 응축기(140)에는 동절기시 운전되어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탑(미도시)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하절기시에는 흡수식 냉동기(160)를 통해 저온 냉각수를 공급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펌프(150)는 응축기(140)에서 액화된 작동 유체를 발전기(130)로 공급한다.
그리고, 흡수식 냉동기(160)는 증발기(110)를 통해 작동 유체와 열교환되어 배출되는 배출 온수를 가온열로 사용하고, 냉각탑(161)으로부터 유입되어 순환되는 냉각수를 냉각열로 이용하여 8~10℃의 온도를 갖는 저온 냉각수를 생산하며, 생산된 저온 냉각수를 응축기(140)로 공급하며, 50~55℃의 열교환된 온수를 지역난방수로 공급한다. 여기에서, 흡수식 냉동기(160)는 저온수 2단 흡수식 냉동기로서 이는 본 출원인에 의해 등록된 국내특허등록공보 10-0746241호와 동일한 구성이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저온 냉각수의 온도를 현재 개발된 저온수 2단 흡수식 냉동기가 8~10℃의 냉각수를 배출할 수 있기 때문에 8~10℃로 한정하였으나, 저온 냉각수의 온도가 낮을수록 열낙차를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온도 조절 밸브(170)는 증발기(110)의 인입단과 배출단 사이에서 분기 관로에 설치되고, 증발기(110)에서 배출되는 배출수의 온도를 체크하여 분기 관로의 유량 제어를 통해 배출수의 온도를 65℃로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저온 폐열 및 흡수식 냉동기를 이용한 ORC 열병합 시스템의 동작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70~80℃의 온도를 갖는 저온성 폐열이 증발기(110)로 공급되면 증발기(110)는 작동 유체를 증발시켜 터빈(120)으로 공급한다.
그러면, 터빈(120)은 증발기(110)를 통하여 열을 전달받는 작동 유체에 의해 동작되고, 터빈(120)의 회전에 따라 발전기(130)에서 전력이 생산된다.
그리고, 터빈(120)에서 배출되는 작동 유체가 응축기(140)로 공급되는 데, 응축기(140)에는 흡수식 냉동기(160)를 통해 저온 냉각수가 공급되고, 응축기(140)는 저온 냉각수를 이용하여 터빈(120)에서 팽창된 작동 유체를 액화시켜, 펌프(150)를 통해 다시 증발기(110)로 순환시킨다.
이때, 흡수식 냉동기(160)에는 증발기(110)에서 배출되는 배출 온수가 공급되고, 냉각탑(161)으로부터 유입되어 순환되는 냉각수가 공급되는 데, 이들을 열교환시켜 9~10℃의 온도를 갖는 저온 냉각수를 생산하여 응축기(140)로 공급하고, 50~55℃의 열교환된 온수를 지역난방수로 공급한다. 이때, 온도 조절 밸브(170)는 증발기(110)의 인입단과 배출단 사이에서 분기 관로에 설치되고, 증발기(110)에서 배출되는 배출수의 온도를 65℃로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한편, 증발기(110)로 공급되는 열원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것과, 응축기(140)의 냉각수 온도를 하강시키는 것, 즉 터빈(120)의 공급단으로 공급되는 작동 유체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것과, 터빈(120)의 배기단으로 배출되는 작동 유체의 온도를 낮추는 것중 배기단의 온도를 낮추는 것이 상대적으로 효율이 높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응축기(140)의 냉각수 온도를 낮춰 열원과 냉각수의 열낙차(ΔT)를 증대시킴으로써 저온성 폐열을 유기 랭킨 사이클에 적용이 가능하고, 또한 유기 랭킨 사이클의 발전 출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1, 110 : 증발기 13, 120 : 터빈
15, 130 : 발전기 17, 140 : 응축기
19, 150 : 펌프 160 : 흡수식 냉동기
170 : 온도 조절 밸브

Claims (7)

  1. 저온성 폐열을 공급받아 작동 유체를 증발시키는 증발기와;
    상기 증발기를 통하여 열을 전달받는 작동 유체에 의해 동작되는 터빈과;
    상기 터빈의 회전에 의해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기와;
    상기 터빈에서 팽창된 작동 유체를 액화하는 응축기와;
    상기 응축기에서 액화된 작동 유체를 상기 발전기로 공급하는 펌프; 및
    상기 증발기를 통해 작동 유체와 열교환되어 배출되는 배출 온수를 가온열로 이용하고, 외부로부터 유입되어 순환되는 냉각수를 냉각열로 이용하여 저온 냉각수를 생산하며, 생산된 저온 냉각수를 상기 응축기로 순환시키고, 열교환된 온수를 지역난방수로 공급하는 흡수식 냉동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폐열 및 흡수식 냉동기를 이용한 ORC 열병합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온 폐열 및 흡수식 냉동기를 이용한 ORC 열병합 시스템은,
    상기 증발기의 인입단과 배출단 사이에서 분기 관로를 통해 온도 조절 밸브가 더 설치되고, 상기 온도 조절 밸브를 통해 상기 증발기에서 배출되는 배출수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폐열 및 흡수식 냉동기를 이용한 ORC 열병합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온성 폐열은,
    70~80℃의 온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폐열 및 흡수식 냉동기를 이용한 ORC 열병합 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온수는,
    65℃의 온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폐열 및 흡수식 냉동기를 이용한 ORC 열병합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식 냉동기는,
    저온수 2단 흡수식 냉동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폐열 및 흡수식 냉동기를 이용한 ORC 열병합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식 냉동기의 저온 냉각수는,
    8~10℃의 온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폐열 및 흡수식 냉동기를 이용한 ORC 열병합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식 냉동기로 유입되는 냉각수는,
    냉각탑을 순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저온 폐열 및 흡수식 냉동기를 이용한 ORC 열병합 시스템.
KR1020110088457A 2011-09-01 2011-09-01 저온 폐열 및 흡수식 냉동기를 이용한 orc 열병합 시스템 KR1013159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8457A KR101315918B1 (ko) 2011-09-01 2011-09-01 저온 폐열 및 흡수식 냉동기를 이용한 orc 열병합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8457A KR101315918B1 (ko) 2011-09-01 2011-09-01 저온 폐열 및 흡수식 냉동기를 이용한 orc 열병합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5112A true KR20130025112A (ko) 2013-03-11
KR101315918B1 KR101315918B1 (ko) 2013-10-08

Family

ID=48176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8457A KR101315918B1 (ko) 2011-09-01 2011-09-01 저온 폐열 및 흡수식 냉동기를 이용한 orc 열병합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591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39822A (zh) * 2017-08-14 2017-11-10 中盐安徽红四方股份有限公司 蒸汽冷凝液余热利用系统及余热利用方法
CN110159368A (zh) * 2019-05-31 2019-08-23 深圳大学 中低温地热梯级利用orc磁悬浮发电系统及方法
CN114687825A (zh) * 2022-04-02 2022-07-01 西安热工研究院有限公司 超临界二氧化碳循环发电机组冷端温度控制策略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8289B1 (ko) * 2021-01-28 2023-06-27 주식회사 킹메이커 다종 폐열 재활용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0627A (ko) * 2009-04-03 2010-10-13 주식회사 동흥산업개발 개별 난방과 중앙 난방을 연계한 에너지 절약형 열병합 발전 난방 시스템
KR20110063935A (ko) * 2009-12-07 2011-06-15 김미금 온도차를 이용한 발전장치를 장착한 에너지절약형 선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39822A (zh) * 2017-08-14 2017-11-10 中盐安徽红四方股份有限公司 蒸汽冷凝液余热利用系统及余热利用方法
CN110159368A (zh) * 2019-05-31 2019-08-23 深圳大学 中低温地热梯级利用orc磁悬浮发电系统及方法
CN110159368B (zh) * 2019-05-31 2024-03-29 深圳大学 中低温地热梯级利用orc磁悬浮发电系统及方法
CN114687825A (zh) * 2022-04-02 2022-07-01 西安热工研究院有限公司 超临界二氧化碳循环发电机组冷端温度控制策略
CN114687825B (zh) * 2022-04-02 2023-08-25 西安热工研究院有限公司 超临界二氧化碳循环发电机组冷端温度控制策略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5918B1 (ko) 2013-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89110A (ko) 가변용량 orc 분산발전시스템
Ksayer Design of an ORC system operating with solar heat and producing sanitary hot water
JP2005527730A (ja) 冷熱発生用原動所
CN102242698A (zh) 分布式蓄能蓄热热电联产机组
CN109026243A (zh) 能量转换系统
Li et al. Entransy dissipation/loss-based optimization of two-stage organic Rankine cycle (TSORC) with R245fa for geothermal power generation
KR101315918B1 (ko) 저온 폐열 및 흡수식 냉동기를 이용한 orc 열병합 시스템
KR20150022311A (ko) 히트펌프 발전 시스템
KR101397621B1 (ko) 가스 화력 발전소의 에너지 효율 향상 시스템
CN205297661U (zh) 一种带回热器的余热发电系统
KR20150094190A (ko) 소형 열병합 orc발전시스템
CN211116438U (zh) 一种基于海洋温差能的发电制冷联合循环系统
KR20150109102A (ko) Orc 발전시스템
CN102865112B (zh) 背热循环发电及多级背热循环发电及多联产系统
KR20150105162A (ko) Orc 발전시스템
CN103615293B (zh) 二氧化碳热泵与有机工质联合发电系统
KR20150140061A (ko) 스팀 발전시스템
Wang et al. Flexible PVT-ORC hybrid solar-biomass cogeneration systems: The case study of the University Sports Centre in Bari, Italy
CN208347995U (zh) 基于气液两相集热器的太阳能复叠有机朗肯循环发电系统
KR20150096266A (ko) 소형 열병합 orc발전시스템
Gursoy et al. A solar based system for integrated production of power, heat, hot water and cooling
KR20150140904A (ko) 스팀 터보-발전기
KR20150111079A (ko) Orc 발전시스템
KR102285675B1 (ko) 냉동공조기 실외기 폐열 및 태양열 이용 유기 랭킨 사이클 발전장치
CN202900338U (zh) 背热循环发电及多级背热循环发电及多联产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