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4524A - 위젯 편집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위젯 편집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4524A
KR20130024524A KR1020110088023A KR20110088023A KR20130024524A KR 20130024524 A KR20130024524 A KR 20130024524A KR 1020110088023 A KR1020110088023 A KR 1020110088023A KR 20110088023 A KR20110088023 A KR 20110088023A KR 20130024524 A KR20130024524 A KR 201300245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dget
editing
command
size
targ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80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14042B1 (ko
Inventor
강유진
이정욱
차재욱
정재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100880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4042B1/ko
Publication of KR201300245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45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40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40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9Textured surface identifying touch areas, e.g. overlay structure for a virtual keyboar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위젯 편집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사용자 단말에서 위젯을 편집할 수 있는 방법은, 사용자 단말을 통해 디스플레이된 위젯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위젯을 선택하고, 선택된 위젯에 대한 편집 명령 입력시, 선택된 위젯이 편집 가능한 위젯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편집 가능하면, 선택된 위젯의 편집을 위한 편집 레이아웃을 표출시킨 후, 선택된 위젯의 드래그 동작에 상응하여 선택된 위젯의 크기 변경 또는 병합 중 적어도 하나를 완료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Description

위젯 편집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editing widget}
본 발명은 전자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위젯의 크기를 변경하거나 복수의 위젯을 하나의 위젯으로 통합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위젯은 PC, 휴대폰, 블로그, 카페 등에서 웹브라우저를 통하지 않고 날씨,달력,계산기 등의 기능과 뉴스, 게임, 주식정보 등을 바로 이용할 수 있도록 만든 미니 응용프로그램으로, 현재 매우 범용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현재, 웹 페이지에 포함된 여러 개의 하이퍼링크 선택에 상응하여 위젯을 생성하고, 일정 영역에 표출하는 등과 같이, 위젯을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매우 다양한 기술들이 공지되어 있으나, 위젯의 특성상 위젯을 편집하는 기술은 단순히 위젯의 스킨을 변경하는 수준으로 가능하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공보 제10-2011-0028053호(2011.03.17)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위젯을 편집할 수 있는 위젯 편집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취향에 적합하게 위젯의 크기를 변경하거나 통합하여 사용자 맞춤형 화면을 설계하도록 할 수 있는 위젯 편집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에서 위젯을 편집할 수 있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에서 위젯을 편집할 수 있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디스플레이된 위젯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위젯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위젯에 대한 편집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편집 명령에 상응하여 상기 선택된 위젯이 편집 가능한 위젯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편집 가능하면, 상기 선택된 위젯의 편집을 위한 편집 레이아웃을 표출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위젯에 상응하는 드래그 동작에 상응하여 상기 선택된 위젯의 크기 변경 또는 병합 중 적어도 하나를 완료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젯 편집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위젯을 편집할 수 있는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위젯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선택된 위젯의 편집을 위한 편집 레이아웃을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출시키고, 상기 편집 레이아웃내에서 상기 선택된 위젯에 상응하는 드래그 동작에 상응하여 상기 선택된 위젯의 크기 변경 또는 병합 중 적어도 하나를 완료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출시키는 위젯 편집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젯 편집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위젯을 편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취향에 적합하게 위젯의 크기를 변경하거나 통합하여 사용자 맞춤형 화면을 설계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적어도 하나의 위젯을 편집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위젯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
도 3은 위젯에 대한 편집 레이아웃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위젯 편집에 상응하는 안내 표시 아이콘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위젯 크기 변경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6은 위젯을 병합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
도 7은 표시 포인터가 출력된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8 및 도 9는 위젯 병합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9 설명]
도 1은 적어도 하나의 위젯을 편집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2는 위젯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며, 도 3은 위젯에 대한 편집 레이아웃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위젯 편집에 상응하는 안내 표시 아이콘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위젯 크기 변경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위젯을 병합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며, 도 7은 표시 포인터가 출력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 및 도 9는 위젯 병합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00)은 통신부(110), 입력부(115), 디스플레이부(120), 위젯 편집부(125), 저장부(130) 및 제어부(13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통신부(110)는 통신망을 통해 다른 장치들(예를 들어, 다른 사용자 단말)과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수단이다.
예를 들어, 통신부(110)는 제어부(135)의 제어에 따라 특정 서버(미도시)와 연결되어 위젯을 다운로드받아 제어부(135)로 출력할 수 있다.
입력부(1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 임의의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수단이다. 예를 들어, 입력부(220)는 복수의 키 버튼(예를 들어, 숫자/문자키, * 또는 # 기호키, 하나 이상의 기능키(예를 들어, 메뉴키, 통화키, 확인키, 어플리케이션 실행키 등)로 구현되거나 터치 스크린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115)는 사용자로부터 위젯의 크기를 변경하거나 위젯을 통합하기 위해 특정 위젯의 선택 명령, 특정 위젯의 크기 변경을 위한 알림 표시 아이콘의 클릭 및 드래그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이다.
본 명세서에서 위젯은 PC, 휴대폰, 블로그, 카페 등에서 웹브라우저를 통하지 않고 날씨,달력,계산기 등의 기능과 뉴스, 게임, 주식정보 등을 바로 이용할 수 있도록 만든 미니 응용프로그램을 나타낸다.
디스플레이부(12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 입력되거나 위젯을 표출하기 위한 수단이다. 즉, 디스플레이부(120)는 사용자 단말(100)상에 저장, 수신 또는 입력되는 다양한 정보를 시각정보의 형태로 표출하기 위한 수단이다.
위젯 편집부(125)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위젯의 크기를 변경하거나 다른 위젯과 병합하기 위한 수단이다.
이하,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위젯 편집부(125)를 통한 위젯 편집 방법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선택된 위젯의 크기를 변경하는 방법에 대해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단계 210에서 위젯 편집부(125)는 당해 사용자 단말(100)에 설치된 복수의 위젯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받는다.
단계 215에서 위젯 편집부(125)는 선택된 위젯에 대한 편집 명령(즉, 크기 변경 명령)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다.
단계 220에서 위젯 편집부(125)는 선택된 위젯이 편집 가능한 위젯인지(즉, 크기 변경이 가능한 위젯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위젯 편집부(125)는 해당 선택된 위젯의 속성 정보에 위젯 크기 정보가 복수인 경우, 해당 위젯이 편집 가능한 위젯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만일 편집 가능한 위젯이면, 단계 225에서 위젯 편집부(125)는 해당 선택된 위젯에 대한 편집 레이아웃을 표출한다.
여기서, 편집 레이아웃은 위젯이 표출된 화면을 N X M 크기의 그리드 단위로 분할한 레이아웃을 나타낸다. 여기서, N, M은 자연수이다. 도 3은 편집 레이아웃이 출력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의 310과 같이 분할된 레이아웃의 각 셀을 본 명세서에서는 그리드라 칭하기로 한다.
도 3에서는 편집 레이아웃에 하나의 위젯만 포함된 것을 가정하여 도시하고 있으나, 편집 레이아웃은 해당 사용자 단말(100)에서 해당 선택된 위젯이 포함된 하나의 윈도우 단위에 포함된 모든 위젯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윈도우는 당해 사용자 단말(100)의 디스플레이부(120)를 통해 동시에 표출가능한 GUI 레이아웃으로, 복수의 윈도우를 포함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120)를 통해 표출된 윈도우 이외에 다른 윈도우는 디스플레이부(120)를 통해 미표출되어 백그라운드로 숨겨져 있을 수 있다.
이는 당업자에게는 일반적인 기술 사항이므로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단계 230에서 위젯 편집부(125)는 해당 선택된 위젯의 크기 변경 가능한 방향(즉, 세로 및 가로 방향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안내 표시 아이콘을 해당 선택된 위젯에 연계하여 표출시킨다.
도 4에 안내 표시 아이콘이 선택된 위젯에 연계되어 표출된 화면이 예시되어 있다.
선택된 위젯은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의 크기 변경, 가로 방향으로의 크기 변경 및 세로 방향으로의 크기 변경과 같이 크게 세가지로 구분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세가지 크기 변경 유형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9가지 크기 변경 유형으로 구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위젯 크기 변경은 위젯의 크기를 축소 및 확장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단계 235에서 위젯 편집부(125)는 해당 안내 표시 아이콘에 대한 드래그 동작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다.
단계 240에서 위젯 편집부(125)는 드래그 동작에 상응하여 선택된 위젯의 크기 변경 가능한 여유 공간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위젯 편집부(125)는 도 5와 같이 안내 표시 아이콘이 선택된 위젯에 연계되어 표출된 상태에서, 510과 같이 안내 표시 아이콘을 클릭한 후 520과 같이 변경 가능한 크기에 상응하여 드래그한 경우, 편집 레이아웃에 포함된 다른 위젯과 선택된 위젯의 크기 변경 후 레이아웃이 중첩되는 경우, 크기 변경 가능한 여유 공간이 미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반면, 선택된 위젯의 크기 변경 후 레이아웃이 편집 레이아웃에 포함된 다른 위젯과 미중첩되는 경우, 위젯 편집부(125)는 크기 변경 가능한 여유 공간이 존재하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선택된 위젯의 크기는 사용자에 의해 임의로 변경 가능할 수도 있으며, 선택된 위젯에 대해 변경 가능한 크기가 미리 지정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안내 표시 아이콘이 선택되어 드래그되는 경우, 위젯 편집부(125)는 드래그 동작 인식과 함께 선택된 위젯의 변경 가능한 크기에 상응하는 크기 변경 안내 레이아웃을 별도로 더 표출할 수도 있다.
만일 선택된 위젯의 크기 변경 가능한 여유 공간 미존재시, 단계 245에서 위젯 편집부(125)는 선택된 위젯의 드래그 동작 완료에 상응하여 크기 변경을 수행하지 않는다. 이때, 위젯 편집부(125)는 크기 변경 미수행에 관해 미리 지정된 안내 메시지를 디스플레이부(120)를 통해 표출할 수 있다.
이때, 위젯 편집부(125)는 선택된 위젯의 변경 가능한 크기의 레이아웃과 중첩되는 다른 위젯의 레이아웃을 복수회 깜빡이도록 표출시켜 중첩 여부를 사용자가 인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러나 만일 선택된 위젯의 크기 변경 가능한 여유 공간이 존재하는 경우, 단계 250에서 위젯 편집부(125)는 드래그 동작 완료에 상응하여 선택된 위젯의 크기 변경을 수행한다.
즉, 위젯 편집부(125)는 해당 선택된 위젯의 레이아웃을 사용자의 드래그 동작 방향에 상응하여 축소 또는 확장시켜 표출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위젯 편집부(125)는 선택된 위젯에 상응하여 크기 변경이 가능한 경우에는 해당 선택된 위젯에 연계하여 안내 표시 아이콘을 표출시키고, 사용자에 의해 해당 안내 표시 아이콘의 드래그 동작에 상응하여 해당 선택된 위젯의 크기를 변경시킬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위젯 편집부(125)가 특정 위젯의 크기를 변경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으며.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위젯 편집부(125)가 복수의 위젯을 통합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단계 610에서 위젯 편집부(125)는 디스플레이부(120)를 통해 출력된 복수의 위젯 중 어느 하나를 선택받는다.
단계 615에서 위젯 편집부(125)는 해당 선택된 위젯에 대한 편집 명령(즉, 통합 명령)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다.
단계 620에서 위젯 편집부(125)는 편집 명령에 상응하여 편집 레이아웃을 위젯의 백그라운드로 표출시킨다.
편집 레이아웃은 이미 전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단계 625에서 위젯 편집부(125)는 선택된 위젯에 대한 타겟 위젯으로의 드래그를 인식한다.
보다 상세하게, 사용자는 위젯 편집부(125)를 통해 선택된 위젯을 병합하고자 하는 타겟 위젯으로 드래그시킨다.
위젯 편집부(125)는 도 7에 도시되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위젯이 클릭 또는 드래그 시작에 상응하여 클릭 또는 드래그에 상응하는 표시 포인터를 표출시킨다. 본 명세서에서는 표시 포인터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가락 모양인 것을 가정하여 도시하고 있으나, 손가락 모양 이외에도 일반적인 마우스 포인터와 같은 화살 모양 포인터, 특정 캐릭터 포인터 등과 같이 매우 다양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때, 도 8의 810과 같이, 선택된 위젯과 타겟 위젯이 중첩되는 경우, 위젯 편집부(125)는 선택된 위젯과 타겟 위젯이 통합 대상임을 알리기 위해 선택된 위젯과 타겟 위젯의 레이아웃 색상을 변경하여 표출시킨다. 물론 이외에도 선택된 위젯과 타겟 위젯을 깜빡임 등으로 표출시켜 통합 대상임을 표출시킬 수도 있다.
도 8의 810과 같이, 표시 포인터가 선택된 위젯내에 위치하거나, 표시 포인터의 일부분이 선택된 위젯내에 위치하는 상태에서는 위젯 병합 동작이 완료되지 않을 수 있다.
반면, 도 8의 820과 같이, 표시 포인터가 타겟 위젯내에 모두 포함되는 경우, 위젯 편집부(125)는 해당 선택된 위젯과 타겟 위젯의 통합 동작 완료 가능을 알리기 위해 선택된 위젯 및 타겟 위젯의 레이아웃을 또 다른 방식으로 변경하여 표출시킬 수 있다.
도 8에서는 선택된 위젯과 타겟 위젯의 레이아웃을 푸른색으로 변경하여 표출시키는 것을 가정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외에도 다양한 방식으로 표출시킬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단계 630에서 위젯 편집부(125)는 선택된 위젯의 타겟 위젯으로의 드래그 동작에 상응하여 선택된 위젯과 타겟 위젯이 통합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통합 가능성은 선택된 위젯과 타겟 위젯이 통합된 통합 위젯의 레이아웃이 편집 레이아웃 상의 다른 위젯과 미중첩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통합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통합 위젯의 레이아웃이 다른 위젯과 미중첩되는 경우(즉, 드래그 동작이 완료된 타겟 위젯의 위치에 상응하여 통합 위젯이 배치될 공간이 존재하는 경우), 위젯 편집부(125)는 통합 가능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반면, 통합 위젯의 레이아웃이 다른 위젯과 중첩되는 경우(즉, 드래그 동작이 완료된 타겟 위젯의 위치에 상응하여 통합 위젯이 배치될 공간이 미존재하는 경우), 위젯 편집부(125)는 통합 불가능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도 9 참조).
또한, 도 9와 같이, 사용자 단말의 한 패널에 A위젯, B위젯, C 위젯 및 D 위젯이 각각 표출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A 위젯이 선택되어 편집모드(즉, 병합 모드)가 수행되는 경우, B 위젯과 C 위젯은 A 위젯과 병합 가능하고, D 위젯은 A 위젯과 병합 불가능하다고 가정하자. 위젯 편집부(125)는 도 9에는 미도시 되어 있으나, A 위젯에 상응하여 통합(즉, 병합) 가능한 B 위젯 및 C 위젯에 대해 병합 가능을 알리는 별도의 표지자를 표출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로 하여금 A 위젯을 일일이 다른 위젯과 병합 시도 하지 않고서도, 해당 A 위젯과 병합 가능한 위젯을 쉽게 인지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선택된 위젯에 상응하여 병합 가능한 다른 위젯을 별도의 표지자를 이용하여 표출시키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병합 가능한 다른 위젯과 병합 불가능한 위젯이 시각적으로 다른 형태로 표출될 수 있는 경우 모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만일 통합 불가능한 경우, 단계 635에서 위젯 편집부(125)는 통합 불가능에 상응하여 미리 지정된 안내 메시지를 디스플레이부(120)를 통해 표출시킨다.
그러나 만일 통합 가능한 경우, 단계 640에서 위젯 편집부(125)는 선택된 위젯과 타겟 위젯을 통합하여 통합 위젯을 표출시킨다.
예를 들어, 위젯 편집부(125)는 선택된 위젯과 타겟 위젯의 레이아웃을 통합하여 단일 레이아웃으로 지정하여 통합 위젯을 표출시킬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위젯 편집부(125)는 선택된 위젯과 타겟 위젯의 통합에 상응하여 서버(미도시)로 통합 위젯 다운로드를 요청하여 다운로드된 통합 위젯을 표출시킬 수도 있다. 이때, 위젯 편집부(125)는 선택된 위젯과 타겟 위젯의 식별정보를 각각 포함하는 통합 위젯 다운로드 요청을 서버로 전송하여 해당 선택된 위젯과 타겟 위젯이 통합된 통합 위젯을 서버로부터 별도로 다운로드받아 표출시킬 수 있다.
저장부(13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을 운용하기 위해 필요한 다양한 알고리즘, 당해 사용자 단말(100)상에 설치된 위젯에 대한 다양한 정보등을 저장한다.
제어부(13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의 내부 구성 요소들(예를 들어, 통신부(110), 입력부(115), 디스플레이부(120), 위젯 편집부(125), 저장부(130) 등)을 제어하기 위한 수단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사용자 단말에서 위젯을 편집할 수 있는 방법은 다양한 전자적으로 정보를 처리하는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저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저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저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소프트웨어 분야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저장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또한 상술한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전자적으로 정보를 처리하는 장치, 예를 들어,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통신부
115: 입력부
120: 디스플레이부
125: 위젯 편집부
130: 저장부
135: 제어부

Claims (22)

  1. 사용자 단말에서 위젯을 편집할 수 있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디스플레이된 위젯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위젯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위젯에 대한 편집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편집 명령에 상응하여 상기 선택된 위젯이 편집 가능한 위젯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편집 가능하면, 상기 선택된 위젯의 편집을 위한 편집 레이아웃을 표출하는 단계; 및
    상기 편집 레이아웃내에서 선택된 위젯에 상응하는 드래그 동작에 상응하여 상기 선택된 위젯의 크기 변경 또는 병합 중 적어도 하나를 완료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젯 편집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 명령은 크기 변경 명령 및 병합 명령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젯 편집 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 명령이 상기 크기 변경 명령이면,
    상기 선택된 위젯에 대한 가로 및 세로 중 적어도 하나로의 편집을 위한 안내 표시 아이콘을 상기 선택된 위젯에 연계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선택된 위젯에 상응하는 드래그 동작은 상기 안내 표시 아이콘의 드래그 동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젯 편집 방법.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 명령이 상기 크기 변경 명령이면,
    상기 선택된 위젯에 상응하는 드래그 동작에 상응하여 상기 선택된 위젯의 크기 변경 또는 병합 중 적어도 하나를 완료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드래그 동작에 상응하는 상기 선택된 위젯에 대한 크기 변경에 따른 위젯의 레이아웃이 상기 편집 레이아웃상에 기표출된 다른 위젯과의 겹침 여부를 판단하여 겹치는 경우, 상기 크기 변경 명령에 따른 상기 선택된 위젯의 크기 변경을 수행하지 않는 단계; 및
    상기 다른 위젯과 겹쳐지지 않는 경우 상기 크기 변경 명령에 따른 상기 선택된 위젯의 크기 변경을 완료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젯 편집 방법.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위젯과 겹치는 경우, 상기 선택된 위젯 및 겹쳐지는 위젯의 레이아웃을 복수회 깜빡이며 출력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젯 편집 방법.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위젯의 크기 변경은, 상기 선택된 위젯에 상응하여 미리 지정된 크기로의 변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젯 편집 방법.
  7.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 명령이 상기 병합 명령이면,
    상기 선택된 위젯에 상응하는 드래그 동작에 상응하여 상기 선택된 위젯의 크기 변경 또는 병합 중 적어도 하나를 완료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위젯을 클릭한 후 병합할 타겟 위젯까지 드래그하는 단계; 및
    상기 타겟 위젯으로의 드래그 동작에 상응하여 상기 선택된 위젯과 상기 타겟 위젯을 병합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젯 편집 방법.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위젯과 상기 타겟 위젯의 병합은,
    상기 선택된 위젯과 상기 타겟 위젯의 레이아웃을 병합하여 단일 레이아웃으로 통합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젯 편집 방법.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위젯과 상기 타겟 위젯의 병합은,
    상기 선택된 위젯과 상기 타겟 위젯이 병합된 통합 위젯을 서버로부터 요청하여 다운로드받고, 상기 다운로드받은 통합 위젯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젯 편집 방법.
  10.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위젯과 상기 타겟 위젯의 병합시,
    상기 선택된 위젯을 상기 타겟 위젯으로 드래그시, 상기 선택된 위젯과 상기 타겟 위젯이 일정 영역 겹쳐지는 경우, 상기 선택된 위젯과 상기 타겟 위젯의 레이아웃의 색을 변경하여 통합 가능을 표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젯 편집 방법.
  11.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 명령이 상기 병합 명령이면, 상기 병합할 타겟 위젯까지 드래그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선택된 위젯에 상응하여 병합 가능한 모든 다른 위젯을 별도의 시각 정보를 이용하여 표출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젯 편집 방법.
  12. 복수의 위젯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복수의 위젯 중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위젯에 대한 편집 명령 입력시, 상기 선택된 위젯이 편집 가능한 위젯이면, 상기 선택된 위젯의 편집을 위한 편집 레이아웃을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출시키고, 상기 편집 레이아웃내에서 상기 선택된 위젯에 상응하는 드래그 동작에 상응하여 상기 선택된 위젯의 크기 변경 또는 병합 중 적어도 하나를 완료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출시키는 위젯 편집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 명령은 크기 변경 명령 및 병합 명령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 명령이 상기 크기 변경 명령이면,
    상기 위젯 편집부는, 상기 선택된 위젯에 대한 가로 및 세로 중 적어도 하나로의 편집을 위한 안내 표시 아이콘을 상기 선택된 위젯에 연계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출시키고, 상기 안내 표시 아이콘의 드래그 동작에 상응하여 상기 선택된 위젯의 크기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 명령이 상기 크기 변경 명령이면,
    상기 위젯 편집부는, 상기 드래그 동작에 상응하는 상기 선택된 위젯에 대한 크기 변경에 따른 위젯의 레이아웃이 다른 위젯과의 겹침 여부를 판단하여 겹치는 경우, 상기 크기 변경 명령에 따른 상기 선택된 위젯의 크기 변경을 수행하지 않고, 상기 다른 위젯과 겹쳐지지 않는 경우 상기 크기 변경 명령에 따른 상기 선택된 위젯의 크기 변경을 완료하여 표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위젯과 겹치는 경우, 상기 위젯 편집부는,
    상기 선택된 위젯 및 겹쳐지는 위젯의 레이아웃을 복수회 깜빡이며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17.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위젯의 크기 변경은, 상기 선택된 위젯에 상응하여 미리 지정된 크기로의 변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18.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 명령이 상기 병합 명령이면,
    상기 위젯 편집분, 상기 선택된 위젯을 클릭한 후 병합할 타겟 위젯까지 드래그 동작에 상응하여, 상기 선택된 위젯과 상기 타겟 위젯을 병합하여 디스플레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위젯과 상기 타겟 위젯의 병합은,
    상기 선택된 위젯과 상기 타겟 위젯의 레이아웃을 병합하여 단일 레이아웃으로 통합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20.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위젯과 상기 타겟 위젯의 병합은,
    상기 선택된 위젯과 상기 타겟 위젯이 병합된 통합 위젯을 서버로부터 요청하여 다운로드받고, 상기 다운로드받은 통합 위젯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21.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위젯과 상기 타겟 위젯의 병합시, 상기 위젯 편집부는,
    상기 선택된 위젯을 상기 타겟 위젯으로 드래그시, 상기 선택된 위젯과 상기 타겟 위젯이 일정 영역 겹쳐지는 경우, 상기 선택된 위젯과 상기 타겟 위젯의 레이아웃의 색을 변경하여 통합 가능을 표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22.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 명령이 상기 병합 명령이면, 상기 병합할 타겟 위젯까지 드래그 동작 이전에, 상기 위젯 변집부는, 상기 선택된 위젯에 상응하여 병합 가능한 모든 다른 위젯을 별도의 시각 정보를 이용하여 표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KR1020110088023A 2011-08-31 2011-08-31 위젯 편집 방법 및 장치 KR1015140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8023A KR101514042B1 (ko) 2011-08-31 2011-08-31 위젯 편집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8023A KR101514042B1 (ko) 2011-08-31 2011-08-31 위젯 편집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4524A true KR20130024524A (ko) 2013-03-08
KR101514042B1 KR101514042B1 (ko) 2015-04-21

Family

ID=48176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8023A KR101514042B1 (ko) 2011-08-31 2011-08-31 위젯 편집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4042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02493A (zh) * 2014-07-28 2014-10-15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插件编辑方法和移动终端
WO2014182067A1 (ko) * 2013-05-06 2014-11-13 (주)카카오 모바일 디바이스에 위젯을 표시하는 방법 및 모바일 디바이스
KR20160032938A (ko) * 2014-09-17 2016-03-25 삼성전자주식회사 애플리케이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방법
CN108664192A (zh) * 2013-12-20 2018-10-16 青岛海信移动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应用于触摸屏界面上的业务显示方法及装置
US10331317B2 (en) 2013-08-20 2019-06-25 Huawei Technologies Co., Ltd. Widget area adjustment method and apparatus
CN113873312A (zh) * 2021-09-22 2021-12-31 北京达佳互联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视频编辑方法及装置
CN114968018A (zh) * 2022-07-26 2022-08-30 荣耀终端有限公司 卡片显示方法、终端设备
WO2024034913A1 (ko) * 2022-08-08 2024-02-15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복수의 위젯들을 그룹화하는 방법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82067A1 (ko) * 2013-05-06 2014-11-13 (주)카카오 모바일 디바이스에 위젯을 표시하는 방법 및 모바일 디바이스
KR101478557B1 (ko) * 2013-05-06 2015-01-05 (주)카카오 모바일 디바이스에 위젯을 표시하는 방법 및 모바일 디바이스
US10331317B2 (en) 2013-08-20 2019-06-25 Huawei Technologies Co., Ltd. Widget area adjustment method and apparatus
US10901587B2 (en) 2013-08-20 2021-01-26 Huawei Technologies Co., Ltd. Widget area adjustment method and apparatus
CN108664192B (zh) * 2013-12-20 2021-06-04 青岛海信移动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应用于触摸屏界面上的业务显示方法及装置
CN108664192A (zh) * 2013-12-20 2018-10-16 青岛海信移动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应用于触摸屏界面上的业务显示方法及装置
CN104102493A (zh) * 2014-07-28 2014-10-15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插件编辑方法和移动终端
KR20160032938A (ko) * 2014-09-17 2016-03-25 삼성전자주식회사 애플리케이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방법
CN113873312A (zh) * 2021-09-22 2021-12-31 北京达佳互联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视频编辑方法及装置
CN113873312B (zh) * 2021-09-22 2023-12-01 北京达佳互联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视频编辑方法及装置
CN114968018A (zh) * 2022-07-26 2022-08-30 荣耀终端有限公司 卡片显示方法、终端设备
CN114968018B (zh) * 2022-07-26 2022-12-16 荣耀终端有限公司 卡片显示方法、终端设备
WO2024034913A1 (ko) * 2022-08-08 2024-02-15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복수의 위젯들을 그룹화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4042B1 (ko) 2015-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4042B1 (ko) 위젯 편집 방법 및 장치
US10474352B1 (en) Dynamic expansion of data visualizations
US9928028B2 (en) Mobile terminal with voice recognition mode for multitasking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091235B1 (ko) 휴대 단말기에서 메시지를 편집하는 장치 및 방법
CN105683895B (zh) 提供用户交互的用户终端设备及其方法
US10503255B2 (en) Haptic feedback assisted text manipulation
TWI522889B (zh) 管理使用者介面中之工作空間
US9360992B2 (en) Three dimensional conditional formatting
KR101639074B1 (ko)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 인식 및 문자 입력 장치 및 그 방법
KR101381484B1 (ko) 그래픽 오브젝트 플로팅 기능을 갖는 모바일 디바이스 및 그 실행 방법
EP1855185A2 (en) Method of displaying text using mobile terminal
US9274686B2 (en) Navigation framework for visual analytic displays
CN104007894A (zh) 便携式设备及其多应用操作方法
CN105393205A (zh) 电子设备以及在电子设备中控制应用的方法
US10878175B2 (en) Portlet display on portable computing devices
US9154578B2 (en) Display device with scaling of selected object images
US969047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pplication using key inputs or combination thereof
CN103677514A (zh) 用于在便携式装置中控制分割视图的设备和方法
KR102228335B1 (ko)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부분을 선택하는 방법
CN104603733A (zh) 用户终端装置及其控制方法
KR20130124854A (ko) 락 스크린의 제공 방법 및 그 제공 방법이 구현된 단말 장치
US20160124931A1 (en) Input of electronic form data
JP2013145471A (ja) 表示スクロール装置、表示スクロール装置の制御方法、表示スクロール装置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該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コンピュータ読取り可能な記録媒体
US20130063494A1 (en) Assistive reading interface
CN106445956B (zh) 一种购物数据的管理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