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4391A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4391A
KR20130024391A KR1020110087819A KR20110087819A KR20130024391A KR 20130024391 A KR20130024391 A KR 20130024391A KR 1020110087819 A KR1020110087819 A KR 1020110087819A KR 20110087819 A KR20110087819 A KR 20110087819A KR 20130024391 A KR20130024391 A KR 201300243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exible substrate
bumps
display device
bump
pixel ar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78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9410B1 (ko
Inventor
김성준
오충완
손호원
안현진
고영조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878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9410B1/ko
Publication of KR201300243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43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94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94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6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 G02F1/1675Constructional details
    • G02F1/1676Electrod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6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 G02F1/1675Constructional details
    • G02F1/1679Gaskets; Spacers; Sealing of cells; Filling or closing of cells
    • G02F1/1681Gaskets; Spacers; Sealing of cells; Filling or closing of cells having two or more microcells partitioned by walls, e.g. of microcup typ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01L27/1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 H01L27/12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 H01L27/1218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with a particular composition or structure of the substrat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chromic Elements, Electrophoresis, Or Variable Reflection Or Absorption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드라이버 IC와 플렉서블 기판의 컨택 불량을 방지하여 구동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플렉서블 기판; 상기 플렉서블 기판 상의 표시 영역에 형성된 화소 어레이; 상기 플렉서블 기판의 외곽부에 형성된 복수의 드라이버 IC; 상기 화소 어레이 상에 접착된 전기영동 필름; 상기 플렉서블 기판의 하부에 접착된 배면 기판; 및 상기 복수의 드라이버 IC에 형성된 복수의 범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범프 중에서 외곽부에 형성된 파워 범프는 내부에 형성된 신호 범프들보다 넓은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Description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FLEXIBL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드라이버 IC와 플렉서블 기판의 컨택 불량을 방지하여 구동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평판 표시장치로는 액정 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플라즈마 표시 패널(PDP: plasma display panel), 전계 방출 표시장치(FED: 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전기습윤 디스플레이 장치(EWD: electrowetting display device),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EPD: electrophoresis display device) 등이 개발되었다.
이러한, 평판 표시장치들 중에서 액정 표시장치가 현재까지는 가장 많이 이용되었지만, 액정 표시장치는 별도의 광원이 필요하고, 밝기, 명암비 및 시야각 등에서 한계가 있다.
이에 따라, 광원이 필요하지 않고, 밝기, 명암비, 시야각 및 저전력 소비의 장점과 함께 휨 자유도가 높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유기 발광장치(OLED), 전기습윤 디스플레이 장치(EWD) 및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EPD)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드라이버 IC의 범프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전기영동 표시장치는 플렉서블 기판(10), 전기영동 필름(30) 및 복수의 드라이버 IC(50)를 포함한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플렉서블 기판(10)의 하부에는 플렉서블 기판(10)을 지지하는 배면 기판이 접착되어 있다. 또한, 플렉서블 기판(10) 상에는 화소 어레이가 형성되어 있다.
플렉서블 기판(10)은 플라스틱(plastic) 재료, 일 예로서, 폴리이미드(polyimide)를 코팅(coating)하여 형성되면, 20um의 두께를 가진다.
플렉서블 기판(10)에 형성된 화소 어레이는 상호 교차하도록 형성된 데이터 라인들 및 게이트 라인들과, TFT(thin film transistor) 및 화소 전극을 포함한다.
전기영동 필름(30)은 라미네이팅(laminating) 방식으로 화소 레이어 상에 부착된다.
플렉서블 기판(10)의 외곽부에는 화소 어레이에 구동 신호 및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복수의 드라이버 IC(50)가 형성된다. 이때, 복수의 드라이버 IC(50)는 게이트 드라이버 IC와 데이터 드라이버 IC로 구성되며, COG(Chip On Glass) 또는 COF(Chip On Film) 방식으로 형성된다. 도 1에서는 플렉서블 기판(10) 상에 2개의 데이터 드라이버 IC와 3개의 게이트 드라이버 IC가 형성된 것을 일 예로 도시하고 있다.
또한, FPC(Flexible Printed Circuit)를 이용하여 복수의 드라이버 IC(50) 이외의 구동회로부가 플렉서블 기판(10)에 연결된다. FPC 및 복수의 드라이브 IC(50)는 실리콘(silicone)을 통해 실링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드라이버 IC(50)는 복수의 범프(60)를 통해 플렉서블 기판(10)에 형성된 패드와 접속되어, 플렉서블 기판(10)의 화소 어레이에 구동 전압(VCC), 그라운드 전압(GND), 데이터 출력 신호(data output signal) 및 인에이블 신호(enable signal)를 공급하게 된다.
여기서, 복수의 범프(60)들 중에서 외곽부에는 파워 범프(62)가 1열로 형성되어 플렉서블 기판(10)에 구동 전압(VCC)의 공급을 한다. 그리고, 파워 범프(62)의 안쪽에 복수의 신호 범프(64)가 형성되어 데이터 출력 신호(data output signal) 및 인에이블 신호(enable signal)를 플렉서블 기판(10)에 공급하게 된다.
도 3은 드라이버 IC와 플렉서블 기판의 컨택 불량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플렉서블 기판(10)은 플라스틱 재료로, 20um의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됨으로 플렉서블 한 특성을 가지게 되는데, 표시 패널에 외력이 가해지면 플렉서블 기판(10)이 휘어지게 된다.
이때, 플렉서블 기판(10)과 드라이브 IC(50)의 탄성계수가 상이하여 드라이브 IC(50)의 외곽부(edge)가 플렉서블 기판(10)에서 떨어져 컨택 불량이 발생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드라이버 IC(50)의 외곽부에는 구동 전압(VCC)을 공급하기 위한 파워 범프(62)가 1열로 형성되어 있어, 컨택 불량이 발생되면 플렉서블 기판(10)에 구동 전압(VCC)가 공급되지 않게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컨택 불량은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 불량을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외력에 의해 드라이버 IC의 외곽부와 플렉서블 기판이 떨어져 컨택 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컨택 불량으로 인해 구동 전압(VCC)의 공급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구동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위에서 언급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 외에도,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이 이하에서 기술되거나, 그러한 기술 및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플렉서블 기판; 상기 플렉서블 기판 상의 표시 영역에 형성된 화소 어레이; 상기 플렉서블 기판의 외곽부에 형성된 복수의 드라이버 IC; 상기 화소 어레이 상에 접착된 전기영동 필름; 상기 플렉서블 기판의 하부에 접착된 배면 기판; 및 상기 복수의 드라이버 IC에 형성된 복수의 범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범프 중에서 외곽부에 형성된 파워 범프는 내부에 형성된 신호 범프들보다 넓은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파워 범프를 통해 상기 화소 어레이에 구동 전압(VCC)을 공급하고, 상기 신호 범프들을 통해 상기 화소 어레이에 데이터 출력 신호(data output signal) 및 인에이블 신호(enable signal)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상기 파워 범프는 복수의 범프 패턴으로 구성되고, 복수의 열을 가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플렉서블 기판 상에 형성된 패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패드는 상기 파워 범프와 접속되는 제1 영역 및 상기 신호 범프들과 접속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상기 패드의 제1 영역은 상기 파워 범프의 면적과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패드의 제2 영역은 상기 신호 범프들과 대응되도록 복수의 패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외력에 의해 드라이버 IC의 외곽부와 플렉서블 기판이 떨어지는 컨택 불량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컨택 불량을 방지하여 플렉서블 기판에 구동 전압(VCC)이 원활이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구동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이 밖에도,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이 새롭게 파악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드라이버 IC의 범프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드라이버 IC와 플렉서블 기판의 컨택 불량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4의 B1-B2 선에 따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기영동 필름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도 4의 C1-C2 선에 따른 단면에서 드라이브 IC의 범프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도 4의 C1-C2 선에 따른 단면에서 플렉서블 기판에 형성된 패드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첨부되는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어떤 구조물이 다른 구조물 '상에 또는 상부에' 및 '아래에 또는 하부에' 형성된다고 기재된 경우, 이러한 기재는 이 구조물들이 서로 접촉되어 있는 경우는 물론이고 이들 구조물들 사이에 제3의 구조물이 개재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중에서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는, 착색된 대전입자가 외부로부터 가해진 전계에 의해 이동하는 전기영동(Electrophoresis) 현상을 이용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장치를 말한다.
여기서 전기영동 현상이란, 대전입자를 액체 속에 분산시킨 전기영동 분산액(e-ink)에 전계를 인가하는 경우에 상기 대전입자가 쿨롱력에 의하여 액체 속을 이동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전하를 갖는 물질이 전기장에 놓이면 그 물질들은 전하, 분자의 크기 및 모양 등에 따라 특유의 이동을 한다. 이동 정도의 차이에 의하여 물질이 분리되는 현상을 전기영동이라 한다.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는 쌍안정성(Bistability)의 특징을 갖고 있어, 인가된 전압이 제거되어도 원래의 이미지를 장시간 표시할 수 있다. 즉,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는 지속적으로 전압을 인가하지 않아도 일정 화면을 장기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화면의 신속한 전환이 요구되지 않는 전자 책(e-book) 분야에 적합한 디스플레이 장치이다.
또한,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는 액정 표시장치와는 달리 시야각(Viewing Angle)에 대한 의존성이 없을 뿐만 아니라, 종이와 유사한 정도로 눈에 편안한 화상을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자유롭게 휘어지는 유연성(Flexibility), 저전력 소비(low power consumption), 친환경(eco like)의 장점을 가지고 있어 차세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로써 수요가 증가되고 있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전기영동 필름 방식 및 전기영동 분산액(용매 및 전기영동 입자)이 하부 기판에 내재화된 방식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이하 설명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모노 타입 및 컬러 필터를 포함하는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방법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전기영동 분산액을 구성하는 대전 입자가 레드(red), 블루(blue), 그린(green), 엘로우(yellow), 시안(cyan), 마젠타(magenta), 블랙(black) 및 화이트(white)의 색상이 선택적으로 착색된 풀 컬러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제조방법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모노 또는 컬러 구현의 여부와 관계없이 모든 타입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될 수 있으나, 이하에는 모노 화상을 표시하는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를 본 발명의 일 예로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B1-B2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플렉서블 기판(110), 전기영동 레이어, 복수의 드라이버 IC(150) 및 배면 기판(170)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플렉서블 기판(110)에 형성된 화소 어레이(120)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회로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구동회로부를 플렉서블 기판(110)에 FPC(Flexible Printed Circuit)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서는 전기영동 레이어로서, 전기영동 필름(130)이 적용된 것을 일 예로 나타내고 있으며, 플렉서블 기판(110)에 형성된 화소 어레이(120) 위에 전기영동 필름(130)이 라미네이션 방식으로 접착된다.
제조 과정에서 플렉서블 기판(110)은 캐리어 글래스(미도시, 제조 공정 중 플렉서블 기판(110)의 배면에서 분리되어 회수 됨) 상에 형성되고, 화소 어레이(120)가 형성된 이후에 캐리어 글래스는 플렉서블 기판(110)에서 분리된다.
이후, 캐리어 글래스가 분리됨으로 인해 플렉서블 기판(110)이 말리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플렉서블 기판(110)의 하부에 배면 기판(170)이 접착된다.
플렉서블 기판(110)은 캐리어 글래스 상에 액상 플라스틱(Liquid Plastic) 재료, 일 예로서, 폴리이미드(polyimide)를 코팅(coating)하여 형성되면, 20um의 두께로 형성된다.
화소 어레이(120)는 상호 교차하는 복수의 게이트 라인(미도시) 및 복수의 데이터 라인(미도시)을 포함한다. 상기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의 교차에 의해 복수의 화소 영역이 정의된다.
여기서, 상기 게이트 라인 및 데이터 라인은 비저항(Resistivity)이 낮은 은(Ag), 알루미늄(Al), 또는 이들의 합금(Alloy)으로 이루어진 단일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게이트 라인 및 데이터 라인은 상기 단일막에 더하여 전기적 특성이 우수한 크롬(Cr), 티타늄(Ti), 또는 탄탈륨(Ta)으로 이루어진 막을 더 포함하는 다층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 사이에는 질화막(SiNx) 등으로 이루어진 게이트 절연막이 형성될 수 있다.
화소 어레이(120)에는 무기 물질(SiNx)로 절연층이 형성되고, 상기 절연층 상에 화소 별로 스위칭 소자인 TFT 및 화소 전극이 형성된다.
화소 어레이(120)위에 전기영동 필름(130)이 라미네이팅되어 부착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기영동 필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전기영동 필름(130)은 복수의 전기영동 캡슐(131)을 포함하며, 각각의 전기영동 캡슐(131)은 네거티브(-) 또는 포지티브(+)로 대전된 복수의 대전 입자(132)와, 상기 대전 입자(132)의 거동을 위한 용매를 포함한다.
여기서,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가 모노 화상을 표시하는 경우, 대전 입자(132)는 블랙 및 화이트 컬러로 착색될 수 있다.
한편,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가 풀 컬러 화상을 표시하는 경우, 대전 입자(132)는 레드, 그린, 블루, 옐로우, 마젠타, 시안 블랙 및 화이트 컬러로 착색될 수 있다.
전기영동 필름(130)의 하부에는 플렉서블 기판(110)과의 접착을 위한 접착층(135)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공통 전극(133) 및 보호 시트(134)가 형성된다.
공통 전극(133)은 인듐 틴 옥사이드(ITO: Indium Tin Oxide) 또는 인듐 징크 옥사이드(IZO: Indium Zinc Oxide)와 같은 전도성 투명 물질로 공통 전극(150)이 형성된다.
보호 시트(134)도 화상이 표시되는 면에 위치하므로, 보호 시트(134)는 가요성(Flexibility)의 투명한 플라스틱의 재질로 형성된다.
이러한, 플렉서블 기판(110)에 형성된 화소 전극과 전기영동 필름(130)에 형성된 공통 전극(133) 사이에 형성된 전계에 의해 전기영동 캡슐(131) 내의 대전 입자(132)들이 거동되어 화상을 표시하게 된다.
한편, 제조 공정 중에, 마더 기판으로 이용되는 캐리어 글래스와 플렉서블 기판(110)이 표시 패널 단위로 스크라이브 된 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런트(140, sealant)를 이용하여 표시 패널의 외곽이 실링된다.
플렉서블 기판(110)의 외곽부에는 화소 어레이(120)에 구동 신호 및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복수의 드라이버 IC(150)가 형성된다. 이때, 복수의 드라이버 IC(150)는 게이트 드라이버 IC와 데이터 드라이버 IC로 구성되며, COG(Chip On Glass) 또는 COF(Chip On Film) 방식으로 형성된다. 도 4에서는 플렉서블 기판(110) 상에 2개의 데이터 드라이버 IC와 3개의 게이트 드라이버 IC가 형성된 것을 일 예로 도시하고 있다.
또한, FPC(Flexible Printed Circuit)를 이용하여 복수의 드라이버 IC(150) 이외의 구동회로부가 플렉서블 기판(110)에 연결된다. FPC 및 복수의 드라이브 IC(50)는 실리콘(silicone)을 통해 실링된다.
제조 과정에서 모듈 공정이 완료된 후, 실리콘으로 FPC 및 드라이브 IC를 실링한다.
모듈 공정 이전 또는 이후에 레이저 릴리즈 공정을 진행하여 플렉서블 기판(110)으로부터 캐리어 글래스가 분리되는데, 캐리어 글래스가 분리된 플렉서블 기판(110)은 박막이므로 쉽게 변경될 수 있다. 플렉서블 기판(110)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플렉서블 기판(110)의 하부에 배면 기판(170)이 부착된다.
도 7은 도 4의 C1-C2 선에 따른 단면에서 드라이브 IC의 범프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도 4의 C1-C2 선에 따른 단면에서 플렉서블 기판에 형성된 패드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을 결부하면, 복수의 드라이버 IC(150)는 복수의 범프(160)를 통해 플렉서블 기판(110)에 형성된 패드(112)와 접속되어, 플렉서블 기판(110)의 화소 어레이(120)에 구동 전압(VCC), 그라운드 전압(GND), 데이터 출력 신호(data output signal) 및 인에이블 신호(enable signal)를 공급하게 된다.
여기서, 복수의 범프(160) 중에서 파워 범프(162)는 복수의 범프 패턴들로 구성되어 넓은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파워 범프(162)는 플렉서블 기판(110)에 구동 전압(VCC)의 공급을 한다. 도 7에서는 9개의 범프 패턴들을 통해 파워 범프(162)가 복수의 열로 구성된 것을 일 예로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파워 범프(162)의 안쪽에는 복수의 신호 범프(164)가 형성되어 있으며, 복수의 신호 범프(164)를 통해 데이터 출력 신호(data output signal) 및 인에이블 신호(enable signal)를 플렉서블 기판(110)에 공급하게 된다.
여기서, 복수의 신호 범프(164)들은 범프 패턴이 1열로 형성되어 작은 면적을 가진다. 이와 대비하여, 복수의 범프 패턴들을 통해 복수의 열을 가지도록 파워 범프(162)가 형성되어 넓은 면적을 가지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드라이버 IC의 범프(160)를 구성함에 있어, 외곽에 형성된 파워 범프(162)의 면적이 내부에 형성되는 신호 범프(164)들의 면적보다 크도록 형성한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서블 기판(110) 상에서 드라이버 IC(150)들이 형성되는 곳에는 드라이버 IC(150)들의 범프(160)와 접속되는 패드(122)가 형성된다.
여기서, 패드(122)는 드라이버 IC(150)의 파워 범프(162)가 접속되는 제1 영역(113)과, 복수의 신호 범프(164)가 접속되는 제2 영역(11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패드(122)의 제1 영역(113)은 파워 범프(162)의 면적과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제2 영역(114)은 복수의 신호 범프(164)와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즉, 복수의 신호 범프(164) 각각과 접속되도록 제2 영역(114)은 복수의 패턴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드라이브 IC(150)의 범프(160)와 플렉서블 기판(110)의 패드(122)는 ACF(Anisotropic Conductive Film)를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플렉서블 기판(110)은 플렉서블 한 특성으로 인해 표시 패널에 외력이 가해지면 쉽게 휘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플렉서블 기판(110)과 드라이브 IC(150)의 탄성계수가 상이하여 드라이브 IC(150)의 외곽부(edge)가 플렉서블 기판(110)에서 떨어져 컨택 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파워 범프(162)를 복수의 범프 패턴으로 형성하여 넓은 면적을 가지도록 구성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외력에 의해 드라이버 IC(150)의 외곽부와 플렉서블 기판(110)이 떨어져 컨택 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외력에 의해 드라이브 IC(150)의 외곽부가 플렉서블 기판(110)과 떨어지더라도, 파워 범프(162)가 넓은 면적으로 형성되어 컨택 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줄일 수 있다. 즉, 컨택 불량으로 인해 구동 전압(VCC)의 공급 차단되는 것을 방지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예로서,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여러 실시 예들 중에서 하나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내용은 유기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장치, 액정 표시장치 및 전기습윤 표시장치의 제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은 기존의 액정 표시장치 또는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의 제조 공정에 이용되는 제조 인프라(infra)를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상술한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플렉서블 기판 120: 화소 어레이
130: 전기영동 필름 140: 실런트
150: 드라이버 IC 160: 범프
162: 파워 범프 164: 신호 범프
112: 패드 113: 제1 영역
114: 제2 영역

Claims (7)

  1. 플렉서블 기판;
    상기 플렉서블 기판 상의 표시 영역에 형성된 화소 어레이;
    상기 플렉서블 기판의 외곽부에 형성된 복수의 드라이버 IC;
    상기 화소 어레이 상에 접착된 전기영동 필름;
    상기 플렉서블 기판의 하부에 접착된 배면 기판; 및
    상기 복수의 드라이버 IC에 형성된 복수의 범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범프 중에서 외곽부에 형성된 파워 범프는 내부에 형성된 신호 범프들보다 넓은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 범프를 통해 상기 화소 어레이에 구동 전압(VCC)이 공급되고,
    상기 신호 범프들을 통해 상기 화소 어레이에 데이터 출력 신호(data output signal) 및 인에이블 신호(enable signal)가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 범프는 복수의 범프 패턴으로 구성되고, 복수의 열을 가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기판 상에 형성된 패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패드는 상기 파워 범프와 접속되는 제1 영역 및 상기 신호 범프들과 접속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의 제1 영역은 상기 파워 범프의 면적과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패드의 제2 영역은 상기 신호 범프들과 대응되도록 복수의 패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범프와 상기 패드는 ACF(Anisotropic Conductive Film)를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 어레이는 복수의 화소를 정의하도록 형성된 게이트 라인들과 데이터 라인들, 상기 복수의 화소에 형성된 TFT 및 화소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10087819A 2011-08-31 2011-08-31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18794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7819A KR101879410B1 (ko) 2011-08-31 2011-08-31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7819A KR101879410B1 (ko) 2011-08-31 2011-08-31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4391A true KR20130024391A (ko) 2013-03-08
KR101879410B1 KR101879410B1 (ko) 2018-08-17

Family

ID=48176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7819A KR101879410B1 (ko) 2011-08-31 2011-08-31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941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1738A (ko) * 2013-11-28 2015-06-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장치
KR20160089574A (ko) * 2015-01-19 2016-07-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06409149A (zh) * 2015-07-28 2017-02-15 乐金显示有限公司 背板基板和使用该背板基板的柔性显示器
US9936591B2 (en) 2015-12-10 2018-04-03 Samsung Display Co., Ltd. Printed circuit board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6593A (ja) * 1995-07-11 1997-01-28 Hitachi Ltd 液晶表示装置
JP2003036039A (ja) * 2001-04-16 2003-02-07 Seiko Epson Corp 電気光学装置、その製造方法及び電子機器
KR20050019025A (ko) * 2003-08-08 2005-02-28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전기 광학 패널, 전기 광학 장치 및 전자 기기
JP2005243913A (ja) * 2004-02-26 2005-09-08 Seiko Epson Corp 半導体装置、実装構造体、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20070077461A (ko) * 2006-01-23 2007-07-26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전기 영동 표시 시트, 전기 영동 표시 장치, 및 전자 기기
JP2008241801A (ja) * 2007-03-26 2008-10-09 Epson Imaging Devices Corp 電気光学装置用基板、この基板を用いた電気光学装置及びこの電気光学装置を搭載した電子機器。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6593A (ja) * 1995-07-11 1997-01-28 Hitachi Ltd 液晶表示装置
JP2003036039A (ja) * 2001-04-16 2003-02-07 Seiko Epson Corp 電気光学装置、その製造方法及び電子機器
KR20050019025A (ko) * 2003-08-08 2005-02-28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전기 광학 패널, 전기 광학 장치 및 전자 기기
JP2005243913A (ja) * 2004-02-26 2005-09-08 Seiko Epson Corp 半導体装置、実装構造体、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20070077461A (ko) * 2006-01-23 2007-07-26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전기 영동 표시 시트, 전기 영동 표시 장치, 및 전자 기기
JP2008241801A (ja) * 2007-03-26 2008-10-09 Epson Imaging Devices Corp 電気光学装置用基板、この基板を用いた電気光学装置及びこの電気光学装置を搭載した電子機器。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1738A (ko) * 2013-11-28 2015-06-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장치
KR20160089574A (ko) * 2015-01-19 2016-07-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06409149A (zh) * 2015-07-28 2017-02-15 乐金显示有限公司 背板基板和使用该背板基板的柔性显示器
US9936591B2 (en) 2015-12-10 2018-04-03 Samsung Display Co., Ltd. Printed circuit board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9410B1 (ko) 2018-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0798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제조방법
KR102110013B1 (ko) 백플레인 어셈블리들을 위한 멀티-레이어 확장 전극 구조들
CN104583853B (zh) 用于生产电光显示器的工艺
JP5825379B2 (ja) 電気泳動表示基板、電気泳動表示装置、及び電子ペーパー、並びに電気泳動表示装置の製造方法及び電子ペーパーの製造方法
JP5266815B2 (ja) 電気泳動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KR20160119195A (ko) 전기-광학 디스플레이 백플레인 구조들
US9897846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7478284B2 (ja) 表示装置
EP1998221B1 (en) E-paper apparatus
US20170090650A1 (en) Display device
KR101879410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JP5691744B2 (ja) マイクロカプセル型電気泳動表示装置及び製造方法
KR20150105568A (ko) 표시 장치
KR101697972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장치
KR101863142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KR101795736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KR20130073187A (ko) 터치 및 입체 영상 표시 기능을 갖는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859525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제조방법
KR101667055B1 (ko)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22621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263659B1 (ko) 전기영동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457770B1 (ko) 표시 장치
KR101870799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KR20110065683A (ko) 전기영동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48613A (ko)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