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3944A - 휴대용 단말기의 핸드오버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의 핸드오버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3944A
KR20130023944A KR1020110087063A KR20110087063A KR20130023944A KR 20130023944 A KR20130023944 A KR 20130023944A KR 1020110087063 A KR1020110087063 A KR 1020110087063A KR 20110087063 A KR20110087063 A KR 20110087063A KR 20130023944 A KR20130023944 A KR 201300239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terminal
network
communication sensitivity
service area
sel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70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태
박희범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870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23944A/ko
Priority to US13/589,774 priority patent/US20130053038A1/en
Priority to EP12181837.1A priority patent/EP2566247B1/en
Priority to CN2012103105877A priority patent/CN102970720A/zh
Publication of KR201300239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39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18Received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2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location or mobility data, e.g. speed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4Arrangements for maintain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58Transmission of hand-off measurement information, e.g.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 H04W36/302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due to low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2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location or mobility data, e.g. speed data
    • H04W36/3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location or mobility data, e.g. speed data by mobility data, e.g. speed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8Re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네트워크의 서비스 지역(service coverage area) 내에 위치한 휴대용 단말기가 이동 중 자신의 통신감도를 체크하는 과정; 체크 된 상기 통신감도가 기 설정된 통신감도 미만으로 확인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이동속도를 반영하여, 상기 기 설정된 통신감도 이상으로 확인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변(neighbor) 네트워크의 서비스 지역을 선정하는 과정; 선정된 상기 주변 네트워크의 서비스 지역 중, 어느 하나의 제2 네트워크의 서비스 지역을 선택하는 과정; 및 상기 선택된 제2 네트워크의 서비스 지역으로 핸드오버(handover)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핸드오버 방법이다.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의 핸드오버 장치 및 그 방법{APPARATAS AND METHOD FOR HANDOVER IN A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효율적인 핸드오버(handover)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단말의 이동속도에 따라 후보셀을 결정하고 수신감도의 품질 증가가 높은 셀(cell)에 더 높은 우선순위를 부여하여, 무선통신 환경에서 이동중인 휴대용 단말기의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핸드오버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무선통신 기술은 과거의 음성위주의 통신에서,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환경으로 변화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높은 품질의 무선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데이터 레이트(data rate)를 높이려는 노력이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서는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에서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를 거쳐 LTE(Long Term Evolution) 및 LTE advanced로 진화해갔고, 무선랜 분야에서는 802.11B/G가 주류를 이루고 있었으나 최근에는 802.11n까지 상용화에 이르렀다.
무선통신 기술 중 셀룰러 진영과 무선랜 진영은 각각 장단점을 갖고 있는데, 무선랜 분야는 데이터 레이트가 높은 반면 이동성 지원은 낮으며, 셀룰러 분야는 이동성 보장은 높으나 데이터 레이트가 다소 낮은 상황이었다. 그러나 최근 3GPP에서는 LTE의 등장으로 인하여 이동성과 데이터 레이트를 모두 높이는 것이 가능해졌고, 무선랜 분야에서도 802.11n의 등장으로 더 높은 데이터 레이트를 지원하게 되었다.
또한, 더 높은 데이터 레이트를 지원하기 위해 셀 사이즈도 종전보다 작게 계획함으로써 현재의 무선통신 환경하에서는 다양한 크기의 셀이 존재하게 되었다. 이와같이 서로 다른 방식의 무선통신 분야의 진화가 거듭 되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다양한 방식의 셀이 서로 중첩되어 있는 환경에서 이를 지원하기 위한 멀티모드 이동 단말들도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멀티모드를 지원하는 단말은 서로 다른 방식의 무선통신 기술 간에 끊김 없는 서비스를 위한 핸드오버를 지원하고 있으며, 보다 효율적인 방안들에 대한 연구가 계속 진행되고 있다.
종래의 이동단말의 핸드오버는 주로 현재의 서빙 셀(serving cell)에 대해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가 어느 임계값 이하로 떨어질 경우 주변(neighbor) 셀의 후보 중 RSSI가 높은 셀로의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방법이 주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기술은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 레이트를 고려하여 셀 사이즈도 매우 다양한 됨에 따라 셀 사이즈에 따른 핸드오버 방법에 대한 고려가 없었으며, 단말의 이동속도에 따른 영향에 대한 고려를 핸드오버 결정에서 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RSSI가 높은 셀의 경우 핸드오버의 오버헤드나 서비스 가능 시간에 무관하게 서빙 셀이 될 가능성이 증가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셀 사이즈가 다양한 무선통신 환경에서 수신감도의 품질 증가가 높은 셀(cell)에 더 높은 우선순위를 부여하여, 이동중인 휴대용 단말기의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핸드오버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양한 셀 사이즈 및 이동중인 휴대용 단말기의 이동속도를 고려하여, 이동중인 휴대용 단말기의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핸드오버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핸드오버 방법은,
제1 네트워크의 서비스 지역(service coverage area) 내에 위치한 휴대용 단말기가 이동 중 자신의 통신감도를 체크하는 과정;
체크 된 상기 통신감도가 기 설정된 통신감도 미만으로 확인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이동속도를 반영하여, 상기 기 설정된 통신감도 이상으로 확인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변(neighbor) 네트워크의 서비스 지역을 선정하는 과정;
선정된 상기 주변 네트워크의 서비스 지역 중, 어느 하나의 제2 네트워크의 서비스 지역을 선택하는 과정; 및
상기 선택된 제2 네트워크의 서비스 지역으로 핸드오버(handover)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핸드오버 장치는,
제1 네트워크의 서비스 지역(service coverage area) 내에 위치한 휴대용 단말기가 이동 중 자신의 이동속도 및 통신감도를 체크하는 모니터링(monitoring)부;
체크 된 상기 통신감도가 기 설정된 통신감도 미만으로 확인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이동속도를 반영하여, 상기 기 설정된 통신감도 이상으로 확인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변(neighbor) 네트워크의 서비스 지역을 선정하며, 선정된 상기 주변 네트워크의 서비스 지역 중,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통신감도의 향상도를 반영하여, 어느 하나의 제2 네트워크의 서비스 지역을 선택하는 결정(decision)부; 및
상기 선택된 제2 네트워크의 서비스 지역으로 핸드오버(handover)하는 실행(execution)부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휴대용 단말기의 핸드오버 장치 및 그 방법에 따르면, 다양한 셀 사이즈가 서로 중첩되어 인스톨 되어있는 무선통신 환경에서 이동속도에 따라 통신감도의 향상도가 높은 셀을 서빙 셀로 하여 핸드오버 결정을 내림으로써 잦은 핸드오버 수행에 따른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핸드오버 장치의 구성도 도시한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핸드오버 방법에 있어서, 제1 네트워크, 주변 네트워크 및 제2 네트워크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핸드오버 방법에 있어서, 휴대용 단말기의 이동속도를 반영한 핸드오버 방법을 시간의 순서대로 나타낸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핸드오버 방법에 있어서, 통신감도의 향상도를 반영한 핸드오버 방법을 시간의 순서대로 나타낸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핸드오버 방법에 있어서, 휴대용 단말기의 이동속도와 통신감도를 반영한 핸드오버 방법을 시간의 순서대로 나타낸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핸드오버 장치의 구성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핸드오버 장치는 제어부(101), 모니터링부(102), 결정부(103), 실행부(104), 입력부(105), 표시부(106), 저장부(107), 통신모듈(108) 및 오디오 처리부(109)로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101)는 휴대용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본 발명에서는 모니터링부(102), 결정부(103), 실행부(10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모니터링부(102)는 제1 네트워크의 서비스 지역 내에 위치한 휴대용 단말기가 이동 중 자신의 이동속도 및 통신감도를 체크한다. 여기에서 통신감도는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SNR(Signal to Noise Ratio), SINR(Signal-to-interference ratio), BER(Bit Error Rate), FER(Frame Error Rate) 및 CQI(Channel Quality Indicator) 중 어느 하나 일수 있다.
결정부(103)는 체크 된 상기 통신감도가 기 설정된 통신감도 미만으로 확인되면, 휴대용 단말기의 이동속도를 반영하여, 기 설정된 통신감도 이상으로 확인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변(neighbor) 네트워크의 서비스 지역을 선정하며, 선정된 주변 네트워크의 서비스 지역 중, 휴대용 단말기의 통신감도의 향상도를 반영하여, 어느 하나의 제2 네트워크의 서비스 지역을 선택한다. 통신감도의 향상도는 추후 상세히 설명하겠다.
실행부(104)는 선택된 제2 네트워크의 서비스 지역으로 핸드오버(handover)를 실행한다. 입력부(105)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발생하는 입력 데이터를 제어부(101)에 제공한다. 표시부(106)는 제어부(101)의 제어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의 상태 정보, 메뉴 화면 및 스토리 정보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표시부(106)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저장부(107)는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저장부 및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로 구성될 수 있다. 통신 모듈(108)은 음성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해 안테나를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를 처리한다. 오디오 처리부(109)는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입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처리한다.
상술한 블록 구성에서, 제어부(101)는 단말기의 전반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를 별도로 구성하여 도시한 것은 각 기능들을 구별하여 설명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실제로 제품을 구현하는 경우에 단말기의 기능 모두를 제어부(101)에서 처리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며, 기능 중 일부만을 제어부(101)에서 처리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핸드오버 방법에 있어서, 제1 네트워크, 주변 네트워크 및 제2 네트워크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네트워크(201)의 서비스 지역 내에 휴대용 단말기(206)가 위치하여 있고, 제1 네트워크(201)의 서비스 지역 주위에는 서로 크기가 다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변 네트워크(202, 203. 204, 205)의 서비스 지역이 있다.
본 발명에서 정의되는 제1 네트워크의 서비스 지역은 바람직하게는 현재 휴대용 단말기(206)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빙 셀을 의미하고, 주변 네트워크(202, 203, 204, 205)는 서빙 셀 주위의 주변 셀(neighbor cell)을 의미한다. 즉, 현재 휴대용 단말기(206)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셀은 제1 네트워크(201)이고, 휴대용 단말기(206)가 이동함에 따라, 새로운 서빙 셀은 주변 네트워크(202, 203, 204, 205)가 될 수 있다. 제2 네트워크는 주변 네트워크(202, 203, 204, 205) 중, 제1 네트워크에서 핸드오버 되는 네트워크를 말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핸드오버 방법에 있어서, 휴대용 단말기의 이동속도를 반영한 핸드오버 방법을 시간의 순서대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네트워크의 서비스 지역 내에 위치한 휴대용 단말기가 이동 중 자신의 통신감도를 체크 한다(301). 즉, 제1 네트워크의 서비스 지역 내에 휴대용 단말기가 위치하여 있지만, 휴대용 단말기가 이동함에 따라 통신감도가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오버헤드 없이 통신감도가 높은 주변 네트워크로 핸드오버 하기 위하여 휴대용 단말기는 계속해서 자신의 통신감도를 체크 한다. 여기에서, 통신감도는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SNR(Signal to Noise Ratio), SINR(Signal-to-interference ratio), BER(Bit Error Rate), FER(Frame Error Rate) 및 CQI(Channel Quality Indicator)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가 자신의 통신감도를 체크한 후, 기 설정된 통화감도 미만인지 판단하는 과정을 거친다(302). 앞선 판단과정(302)에서, 체크 된 상기 통신감도가 기 설정된 통신감도 미만으로 확인되면, 휴대용 단말기의 이동속도를 반영하여, 기 설정된 통신감도 이상으로 확인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변 네트워크의 서비스 지역을 선정한다(303).
구체적으로는, 주변 네트워크의 서비스 지역의 크기에 관한 정보와 휴대용 단말기의 이동속도에 관한 정보를 비교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서비스 가능시간이 보다 긴 순서로 선정된다. 또한, 주변 네트워크의 커패시터(capacitor)가 보다 큰 순서로 선정된다. 주변 네트워크의 서비스 지역의 크기에 관한 정보는 주변 네트워크로부터 휴대용 단말기가 수신받는다.
휴대용 단말기의 이동속도를 반영한다는 의미는 다양한 셀 크기를 가지고 있는 주변 네트워크 중에서, 휴대용 단말기의 이동속도에 따른 셀 크기를 고려한다는 의미이다. 예를 들면, 휴대용 단말기의 속도(V1<V2<V3)가 V1이하(저속) 일 때, 기 설정된 통신감도 이상으로 확인되는 C1, C2, C3, C4, C5(셀 크기: C1<C2<C3<C4<C5)가 주변 네트워크로 선정되고, 휴대용 단말기의 속도가 V1~V2일 때, 기 설정된 통신감도 이상으로 확인되었지만, 가장 셀 크기가 좁은 C1이 제외된 C2, C3, C4, C5가 주변 네트워크로 선정된다는 의미이다. 같은 의미로 휴대용 단말기의 속도가 V2~V3일 때, 기 설정된 통신감도 이상으로 확인된 주변 네트워크(C1, C2, C3, C4, C5) 중, 셀 크기가 좁은 C1, C2가 제외된 C3, C4, C5가 주변 네트워크로 선정된다는 의미이다. 즉, 휴대용 단말기의 이동속도를 고려하지 않고, 주변 네트워크의 서비스 범위로 핸드오버 하는 경우, 잦은 핸드오버로 인하여 오버헤드가 발생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후, 선정된 주변 네트워크 중에서, 어느 하나의 제2 네트워크의 서비스 지역을 선택하게 된다(304). 보다 구체적으로는, 앞선 과정(303)에서 선정된 주변 네트워크 중에서, 통신감도가 가장 높은 주변 네트워크의 서비스 지역을 제2 네트워크로 선택하게 된다. 제2 네트워크가 선택되었으면, 휴대용 단말기는 선택된 제2 네트워크의 서비스 지역으로 핸드오버 하는 과정(305)을 거치고, 핸드오버 하기 위한 방법은 종료된다. 만약 앞선 판단과정(302)에서, 기 설정된 통화감도 이상으로 판단되었으면, 핸드오버를 거치지 않고, 바로 과정이 종료됨은 물론이다.
도 3에서 설명한 방법은 휴대용 단말기가 핸드오버를 선택하는 과정을 설명한 것이지만, 휴대용 단말기의 이동속도에 관한 정보 및 통신감도에 관한 정보를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아, 제1 네트워크가 선택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핸드오버 방법에 있어서, 통신감도의 향상도를 반영한 핸드오버 방법을 시간의 순서대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네트워크의 서비스 지역 내에 위치한 휴대용 단말기가 자신의 통신감도를 체크 한다(401). 여기에서 통신감도는 RSSI, SNR, SINR, BER, FER 및 CQI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가 자신의 통신감도를 체크한 후, 기 설정된 통화감도 미만인지 판단하는 과정을 거친다(402). 앞선 판단과정(402)에서, 체크 된 통신감도가 기 설정된 통신감도 미만으로 확인되면, 기 설정된 통신감도 이상으로 확인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변 네트워크의 서비스 지역을 선정한다(403).
이후, 선정된 주변 네트워크의 서비스 지역 중, 통신감도의 향상도가 가장 높은 어느 하나의 제2 네트워크의 서비스 지역을 선택하게 된다(404). 여기에서, 통신감도의 향상도는 아래의 수학식 1에 따라 결정된다.
Figure pat00001
여기에서 Qual_Improve(t+1)는 시간이 t+1일 때 통신감도의 향상도이고, Qual_Improve(t)는 시간이 t일 때 통신감도이고, Qual_Diff는 시간이 t+1일 때의 통신감도에서 시간이 t일 때 통신감도의 차를 나타낸 것이고, α값은 Qual_Improve(t)값의 반영 비율을 나타낸 것이다.
통신감도의 향상도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x축을 시간(t) 값으로 하고, y축을 통신감도의 값으로 설정한 그래프에서, t1, t2, t3, t4의 시간일 때, 각각 통신감도의 값을 그래프에 표시하여 이를 연결하여 보면, 총 3개의 기울기 값이 나온다. 앞서 도출된 총 3개의 기울기 값 중에서, 가장 최근의 기울기 값에 가중치를 둔다는 의미이다. 즉, t1과 t2 일 때의 통신감도를 연결한 기울기 값보다는, t3과 t4 일 때의 통신감도를 연결한 기울기 값에 가중치를 둔다는 의미이다.
가중치의 수치는 주어진 α값의 수치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α값이 0.1인 경우, 가장 최근의 기울기 값을 90% 반영한다는 의미이다. 즉, 과거의 값을 10% 반영한다는 의미하고도 같다.
앞선 과정(404)에서 통신감도의 향상도를 반영한다는 의미는 주변 네트워크 중에서, 앞서 설명한 통신감도의 향상도의 값을 도출하여, 통신감도의 향상도가 가장 큰 주변 네트워크를 제2 네트워크로 선택한다는 의미이다.
이후, 제2 네트워크가 선택되었으면, 휴대용 단말기는 선택된 제2 네트워크의 서비스 지역으로 핸드오버 하는 과정(405)을 거치고, 핸드오버 하기 위한 방법은 종료된다. 만약 앞선 판단과정(402)에서, 기 설정된 통화감도 이상으로 판단되었으면, 핸드오버를 거치지 않고, 바로 과정이 종료됨은 물론이다.
도 4에서 설명한 방법은 휴대용 단말기가 핸드오버를 선택하는 과정을 설명한 것이지만, 휴대용 단말기의 통신감도의 향상도에 관한 정보를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아, 제1 네트워크가 선택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핸드오버 방법에 있어서, 휴대용 단말기의 이동속도와 통신감도를 반영한 핸드오버 방법을 시간의 순서대로 나타낸 순서도 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네트워크의 서비스 지역 내에 위치한 휴대용 단말기가 이동 중 자신의 통신감도를 체크 한다(501). 즉, 제1 네트워크의 서비스 지역 내에 휴대용 단말기가 위치하여 있지만, 휴대용 단말기가 이동함에 따라 통신감도가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오버헤드 없이 통신감도가 높은 주변 네트워크로 핸드오버 하기 위하여 휴대용 단말기는 계속해서 자신의 통신감도를 체크 한다. 여기에서, 통신감도는 RSSI, SNR, INR, BER, FER 및 CQI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가 자신의 통신감도를 체크한 후, 기 설정된 통화감도 미만인지 판단하는 과정을 거친다(502). 앞선 판단과정(502)에서, 체크 된 상기 통신감도가 기 설정된 통신감도 미만으로 확인되면, 휴대용 단말기의 이동속도를 반영하여, 기 설정된 통신감도 이상으로 확인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변 네트워크의 서비스 지역을 선정한다(503).
구체적으로는, 주변 네트워크의 서비스 지역의 크기에 관한 정보와 휴대용 단말기의 이동속도에 관한 정보를 비교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서비스 가능시간이 보다 긴 순서로 선정된다. 또한, 주변 네트워크의 커패시터가 보다 큰 순서로 선정된다. 주변 네트워크의 서비스 지역의 크기에 관한 정보는 주변 네트워크로부터 휴대용 단말기가 수신받는다. 휴대용 단말기의 이동속도를 반영한다는 의미는 앞서 상세히 설명한바 생략한다.
이후, 선정된 주변 네트워크의 서비스 지역 중, 통신감도의 향상도가 가장 높은 어느 하나의 제2 네트워크의 서비스 지역을 선택하게 된다(504). 통신감도의 향상도 역시 앞서 상세히 설명한바 생략하기로 한다.
제2 네트워크가 선택되었으면, 휴대용 단말기는 선택된 제2 네트워크의 서비스 지역으로 핸드오버 하는 과정(505)을 거치고, 핸드오버 하기 위한 방법은 종료된다. 만약 앞선 판단과정(502)에서, 기 설정된 통화감도 이상으로 판단되었으면, 핸드오버를 거치지 않고, 바로 과정이 종료됨은 물론이다.
도 5에서 설명한 방법은 휴대용 단말기가 핸드오버를 선택하는 과정을 설명한 것이지만, 휴대용 단말기의 이동속도 및 통신감도의 향상도에 관한 정보를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아, 제1 네트워크가 선택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1: 제어부 102: 모니터링부
103: 결정부 104: 실행부
105: 입력부 106: 표시부
107: 저장부 108: 통신모듈
109: 오디오 처리부 201: 제1 네트워크
202, 203, 204, 205 : 주변 네트워크
206: 휴대용 단말기

Claims (20)

  1. 제1 네트워크의 서비스 지역(service coverage area) 내에 위치한 휴대용 단말기가 이동 중 자신의 통신감도를 체크하는 과정;
    체크 된 상기 통신감도가 기 설정된 통신감도 미만으로 확인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이동속도를 반영하여, 상기 기 설정된 통신감도 이상으로 확인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변(neighbor) 네트워크의 서비스 지역을 선정하는 과정;
    선정된 상기 주변 네트워크의 서비스 지역 중, 어느 하나의 제2 네트워크의 서비스 지역을 선택하는 과정; 및
    상기 선택된 제2 네트워크의 서비스 지역으로 핸드오버(handover)하는 과정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핸드오버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감도는,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SNR(Signal to Noise Ratio), SINR(Signal-to-interference ratio), BER(Bit Error Rate), FER(Frame Error Rate) 및 CQI(Channel Quality Indicator)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핸드오버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네트워크의 서비스 지역을 선정하는 과정은,
    상기 주변 네트워크의 서비스 지역의 크기에 관한 정보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이동속도에 관한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서비스 가능시간이 보다 긴 순서로 선정되는 과정; 및
    상기 주변 네트워크의 커패시터(capacitor)가 보다 큰 순서로 선정되는 과정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핸드오버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네트워크의 서비스 지역의 크기에 관한 정보는,
    상기 주변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수신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핸드오버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네트워크의 서비스 지역을 선택하는 과정은,
    상기 선정된 주변 네트워크의 서비스 지역 중, 상기 통신감도가 보다 더 높은 서비스 지역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핸드오버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네트워크의 서비스 지역을 선택하는 과정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이동속도에 관한 정보 및 통신감도에 관한 정보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아, 상기 제1 네트워크가 선택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핸드오버 방법.
  7. 제1 네트워크의 서비스 지역(service coverage area) 내에 위치한 휴대용 단말기가 자신의 통신감도를 체크하는 과정;
    체크 된 상기 통신감도가 기 설정된 통신감도 미만으로 확인되면, 상기 기 설정된 통신감도 이상으로 확인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변(neighbor) 네트워크의 서비스 지역을 선정하는 과정;
    선정된 상기 주변 네트워크의 서비스 지역 중, 통신감도의 향상도가 보다 더 높은 어느 하나의 제2 네트워크의 서비스 지역을 선택하는 과정; 및
    상기 선택된 제2 네트워크의 서비스 지역으로 핸드오버(handover) 하는 과정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핸드오버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감도는,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SNR(Signal to Noise Ratio), SINR(Signal-to-interference ratio), BER(Bit Error Rate), FER(Frame Error Rate) 및 CQI(Channel Quality Indicator)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핸드오버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감도의 향상도는,
    아래의 수학식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핸드오버 방법.

    여기에서 Qual_Improve(t+1)는 시간이 t+1일 때 통신감도의 향상도이고, Qual_Improve(t)는 시간이 t일 때 통신감도이고, Qual_Diff는 시간이 t+1일 때의 통신감도에서 시간이 t일 때 통신감도의 차를 나타낸 것이고, α값은 Qual_Improve(t)값의 반영 비율을 나타낸 것임.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네트워크의 서비스 지역을 선택하는 과정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상기 통신감도의 향상도에 관한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아, 상기 제1 네트워크가 선택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핸드오버 방법.
  11. 제1 네트워크의 서비스 지역(service coverage area) 내에 위치한 휴대용 단말기가 이동 중 자신의 통신감도를 체크하는 과정;
    체크 된 상기 통신감도가 기 설정된 통신감도 미만으로 확인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이동속도를 반영하여, 상기 기 설정된 통신감도 이상으로 확인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변(neighbor) 네트워크의 서비스 지역을 선정하는 과정;
    선정된 상기 주변 네트워크의 서비스 지역 중,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통신감도의 향상도를 반영하여, 어느 하나의 제2 네트워크의 서비스 지역을 선택하는 과정; 및
    상기 선택된 제2 네트워크의 서비스 지역으로 핸드오버(handover) 하는 과정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핸드오버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감도는,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SNR(Signal to Noise Ratio), SINR(Signal-to-interference ratio), BER(Bit Error Rate), FER(Frame Error Rate) 및 CQI(Channel Quality Indicator)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핸드오버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네트워크의 서비스 지역을 선정하는 과정은,
    상기 주변 네트워크의 서비스 지역의 크기에 관한 정보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이동속도에 관한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서비스 가능시간이 보다 긴 순서로 선정되는 과정; 및
    상기 주변 네트워크의 커패시터(capacitor)가 보다 큰 순서로 선정되는 과정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핸드오버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네트워크의 서비스 지역의 크기에 관한 정보는,
    상기 주변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단말기가 수신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핸드오버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감도의 향상도는,
    아래의 수학식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핸드오버 방법.
    Figure pat00003

    여기에서 Qual_Improve(t+1)는 시간이 t+1일 때 통신감도의 향상도이고, Qual_Improve(t)는 시간이 t일 때 통신감도이고, Qual_Diff는 시간이 t+1일 때의 통신감도에서 시간이 t일 때 통신감도의 차를 나타낸 것이고, α값은 Qual_Improve(t)값의 반영 비율을 나타낸 것임.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네트워크의 서비스 지역을 선택하는 과정은,
    상기 선정된 주변 네트워크의 서비스 지역 중, 상기 통신감도의 향상도가 보다 더 높은 서비스 지역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핸드오버 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네트워크의 서비스 지역을 선택하는 과정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이동속도에 관한 정보 및 상기 통신감도의 향상도에 관한 정보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아, 상기 제1 네트워크가 선택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핸드오버 방법.
  18. 제1 네트워크의 서비스 지역(service coverage area) 내에 위치한 휴대용 단말기가 이동 중 자신의 이동속도 및 통신감도를 체크하는 모니터링(monitoring)부;
    체크 된 상기 통신감도가 기 설정된 통신감도 미만으로 확인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이동속도를 반영하여, 상기 기 설정된 통신감도 이상으로 확인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변(neighbor) 네트워크의 서비스 지역을 선정하며, 선정된 상기 주변 네트워크의 서비스 지역 중,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통신감도의 향상도를 반영하여, 어느 하나의 제2 네트워크의 서비스 지역을 선택하는 결정(decision)부; 및
    상기 선택된 제2 네트워크의 서비스 지역으로 핸드오버(handover)하는 실행(execution)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핸드오버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감도는,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SNR(Signal to Noise Ratio), SINR(Signal-to-interference ratio), BER(Bit Error Rate), FER(Frame Error Rate) 및 CQI(Channel Quality Indicator)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핸드오버 장치.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감도의 향상도는,
    아래의 수학식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핸드오버 장치.
    Figure pat00004

    여기에서 Qual_Improve(t+1)는 시간이 t+1일 때 통신감도의 향상도이고, Qual_Improve(t)는 시간이 t일 때 통신감도이고, Qual_Diff는 시간이 t+1일 때의 통신감도에서 시간이 t일 때 통신감도의 차를 나타낸 것이고, α값은 Qual_Improve(t)값의 반영 비율을 나타낸 것임.
KR1020110087063A 2011-08-30 2011-08-30 휴대용 단말기의 핸드오버 장치 및 그 방법 KR20130023944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7063A KR20130023944A (ko) 2011-08-30 2011-08-30 휴대용 단말기의 핸드오버 장치 및 그 방법
US13/589,774 US20130053038A1 (en) 2011-08-30 2012-08-20 Handover apparatus and method of portable terminal
EP12181837.1A EP2566247B1 (en) 2011-08-30 2012-08-27 Handover apparatus and method of portable terminal
CN2012103105877A CN102970720A (zh) 2011-08-30 2012-08-28 便携式终端的切换装置及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7063A KR20130023944A (ko) 2011-08-30 2011-08-30 휴대용 단말기의 핸드오버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3944A true KR20130023944A (ko) 2013-03-08

Family

ID=46796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7063A KR20130023944A (ko) 2011-08-30 2011-08-30 휴대용 단말기의 핸드오버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30053038A1 (ko)
EP (1) EP2566247B1 (ko)
KR (1) KR20130023944A (ko)
CN (1) CN10297072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98983B2 (en) 2012-12-06 2018-06-12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Network-assisted device-based intelligent radio access control
US9374773B2 (en) * 2012-12-06 2016-06-21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Traffic steering across cell-types
US9549343B2 (en) 2012-12-06 2017-01-17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Traffic steering across radio access technologies and radio frequencies utilizing cell broadcast messages
US10129822B2 (en) 2012-12-06 2018-11-13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Device-based idle mode load balancing
US9544841B2 (en) 2012-12-06 2017-01-10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Hybrid network-based and device-based intelligent radio access control
US9544842B2 (en) 2012-12-06 2017-01-10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Network-based intelligent radio access control
US9357468B1 (en) * 2013-08-12 2016-05-31 Sprint Spectrum L.P. Small cell handover technique based on speed
US9380646B2 (en) 2013-09-24 2016-06-28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Network selection architecture
US9226197B2 (en) 2013-10-21 2015-12-29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Network based speed dependent load balancing
US9241305B2 (en) 2013-10-28 2016-01-19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Access network discovery and selection function enhancement with cell-type management object
WO2015122811A1 (en) * 2014-02-14 2015-08-20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neighbor cell relation configuration
US9398518B2 (en) 2014-10-21 2016-07-19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Cell broadcast for signaling resource load from radio access networks
CN105517077A (zh) * 2015-06-17 2016-04-20 广东通宇通讯股份有限公司 网络重选和网络切换的方法、基站及移动终端
CN108289316B (zh) * 2017-01-10 2020-10-16 中国移动通信有限公司研究院 一种小区选择或重选方法、小区切换参数的设置方法及装置
WO2019127414A1 (zh) * 2017-12-29 2019-07-04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小区驻留方法、装置、用户设备及基站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70449A (en) * 2000-12-15 2002-06-26 Motorola Inc Cell selection using kinetic characteristics
JP4806307B2 (ja) * 2006-07-28 2011-11-02 京セラ株式会社 無線通信方法、無線基地局、無線通信端末及び基地局制御装置
US8140076B2 (en) * 2007-12-17 2012-03-20 Motorola Mobility, Inc. Method for facilitating a mobile station to perform a fast handoff
EP2207383A1 (en) * 2009-01-09 2010-07-14 Alcatel, Lucent Method and apparatus for use in performing a handover function in a cellular wireless network
WO2010109591A1 (ja) * 2009-03-24 2010-09-30 富士通株式会社 基地局装置、移動端末、通信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
WO2011162654A1 (en) * 2010-06-23 2011-12-29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for handling handover in a communication network
EP2614669A1 (en) * 2010-09-07 2013-07-17 Nokia Siemens Networks Oy Mobility in heterogeneous network environments
EP2649842B1 (en) * 2010-12-07 2019-02-2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Handover in a radio networ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970720A (zh) 2013-03-13
EP2566247A1 (en) 2013-03-06
US20130053038A1 (en) 2013-02-28
EP2566247B1 (en) 2014-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23944A (ko) 휴대용 단말기의 핸드오버 장치 및 그 방법
US10050343B2 (en) Radio communication device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 radio communication device
US10142007B2 (en) Radio communication device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 radio communication device
US8855709B2 (en) Communication devices and methods for selecting a radio access mode
US10560176B2 (en) Radio communication device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 radio communication device
US8649790B2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handover or cell reselection evaluation
JP4305915B2 (ja) 基地局選択に用いる基準を求める方法
EP3345428B1 (en) Enhanced connection performance in ul/dl imbalance scenarios
US8351944B2 (en) Soft handover for mobile device
KR101595682B1 (ko) 이동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아이들 모드 이동성 측정 실행
KR20140090245A (ko) 플렉서블 대역폭 시스템들에서의 동적 대역폭 조정
EP3069210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reducing modem power based on a present state of charge of battery
JP2009532936A (ja) 送信ギャップにおけるダイバーシチ受信パス測定を行う無線端末及び方法
US11363501B2 (en) Intelligent connectivity switching mechanisms
US10285118B2 (en)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performing a cell search
EP3148246B1 (en) Measurement device and method, and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wireless network
EP231780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ignal monitor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JP4305933B2 (ja) 移動通信端末及び基地局装置
KR101367946B1 (ko) 적응적 무선전송 방식 기반 기지국의 부하 제어 방법
KR20070016455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셀 탐색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