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7946B1 - 적응적 무선전송 방식 기반 기지국의 부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적응적 무선전송 방식 기반 기지국의 부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7946B1
KR101367946B1 KR1020110077119A KR20110077119A KR101367946B1 KR 101367946 B1 KR101367946 B1 KR 101367946B1 KR 1020110077119 A KR1020110077119 A KR 1020110077119A KR 20110077119 A KR20110077119 A KR 20110077119A KR 101367946 B1 KR101367946 B1 KR 1013679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load
base station
wireless uni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71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5238A (ko
Inventor
이기호
이용규
지영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100771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7946B1/ko
Publication of KR201300152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52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79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79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04B1/707Spread spectrum techniques using direct sequence modulation
    • H04B1/7097Interference-related aspects
    • H04B1/711Interference-related aspects the interference being multi-path interference
    • H04B1/7115Constructive combining of multi-path signals, i.e. RAKE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8Load balancing or load distribution
    • H04W28/09Management thereof
    • H04W28/0925Management thereof using policies
    • H04W28/0942Management thereof using policies based on measured or predicted load of entities- or li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기지국이 부하를 제어하는 방법은 상기 기지국의 부하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부하를 기 정의된 임계치와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에 따라 제1 무선 유닛-상기 제1 무선 유닛은 상기 기지국과 연결되어 상기 기지국으로 무선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디지털 신호를 수신하여 동작하며, 원격지 셀마다 설치됨-의 동작을 변경하여 상기 기지국의 부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적응적 무선전송 방식 기반 기지국의 부하 제어 방법{METHOD FOR CONTROLLING BASE STATION'S LOAD BASED ON ADAPTIVE RADIO TRANSMISSION TECHNOLOGY}
본 발명은 적응적 무선전송 방식 기반 기지국의 부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신 기지국은 크게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는 디지털 유닛(Digital Unit, DU)과 무선 신호를 처리하는 무선 유닛(Radio Unit, RU)으로 구성된다. 그런데 최근 무선 유닛과 디지털 유닛을 분리하여 복수의 디지털 유닛을 일체화하여 중앙에 집중화한 가상화 무선망이 제안되어 있다.
이러한 가상화 무선망 구조에서는 복수개의 셀로부터 오는 신호의 처리 자원이 중앙에 집중되어 있으므로,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방법은 필수적이다. 하지만, 지금까지 이러한 자원의 효율적인 제어 방안은 마련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적응적 무선전송 방식 기반으로 기지국의 부하를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기지국이 부하를 제어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은, 기지국이 부하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의 부하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부하를 기 정의된 임계치와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에 따라 제1 무선 유닛-상기 제1 무선 유닛은 상기 기지국과 연결되어 상기 기지국으로 무선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디지털 신호를 수신하여 동작하며, 원격지 셀마다 설치됨-의 동작을 변경하여 상기 기지국의 부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비교하는 단계는, 상기 부하를 상한 임계치 및 하한 임계치와 각각 비교하고,
상기 부하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부하가 상기 상한 임계치보다 높은 경우, 상기 제1 무선 유닛의 동작 모드를 섹터 모드에서 중계기 모드로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부하가 상기 하한 임계치보다 낮은 경우, 상기 제1 무선 유닛의 동작 모드를 중계기 모드에서 섹터 모드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교하는 단계는, 상기 부하를 상한 임계치 및 하한 임계치와 각각 비교하고,
상기 부하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부하가 상기 상한 임계치보다 높은 경우, 상기 제1 무선 유닛의 전송 방식을 공간 다중화 모드에서 다이버시티 모드로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부하가 상기 하한 임계치보다 낮은 경우, 상기 제1 무선 유닛의 전송 방식을 다이버시티 모드에서 공간 다중화 모드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교하는 단계는, 상기 부하를 상한 임계치 및 하한 임계치와 각각 비교하고,
상기 부하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부하가 상기 상한 임계치보다 높은 경우, 상기 제1 무선 유닛의 동작 모드를 섹터 모드에서 중계기 모드로 변경 및 상기 제1 무선 유닛의 전송 방식을 공간 다중화 모드에서 다이버시티 모드로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부하가 상기 하한 임계치보다 낮은 경우, 상기 제1 무선 유닛의 동작 모드를 중계기 모드에서 섹터 모드로 변경 및 상기 제1 무선 유닛의 전송 방식을 다이버시티 모드에서 공간 다중화 모드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신호처리 집중화 장치 즉 가상화 기지국 장치의 처리 용량의 부하에 따라 효율적으로 부하를 제어할 수 있도록 셀 구조 및 MIMO 전송 방식을 변경함으로써 효율적 부하 제어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되는 가상화 무선망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유닛과 가상화 기지국 장치 간의 연동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가상화 기지국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부하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상화 기지국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가상화 기지국 장치의 부하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가상화 기지국 장치의 부하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응적 무선전송 방식 기반 기지국의 부하 제어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되는 가상화 무선망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가상화 무선망은 가상화 무선망은 복수의 무선 유닛(RU, Radio Unit)(100), 가상화 기지국 장치(200), IP 네트워크(300) 및 코어 시스템(400)을 포함한다.
여기서, 복수의 무선 유닛(100)은 일반적으로 통신 기지국에서 무선 신호를 처리하는 구성 요소만을 분리하여 구현된다. 이러한 복수의 무선 유닛(100)은 서비스 지역 즉 셀 사이트(cell site)에 설치된다.
예를 들어, LTE(Long Term Evolution) 망의 각 셀, HSPA(High Speed Packet Access)+망의 각 셀, WiMAX(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망의 각 셀마다 무선 유닛(100)이 각각 설치된다.
이때, 복수의 무선 유닛(100)은 가상화 기지국 장치(200)으로 베이스밴드(Baseband) 신호를 전송하고 가상화 기지국 장치(200)으로부터 수신한 디지털 신호를 주파수 대역에 따라 RF(Radio Frequency) 신호로 변환하여 안테나로 송수신하는 변환장치와 RF 증폭기로 구성된다.
가상화 기지국 장치(200)는 일반적인 통신 기지국의 구성에서 분리된 무선 유닛(100)의 구성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 요소들로 구현되고, IP 네트워크(300)를 통해 코어 시스템(400)에 연결된다.
여기서, 가상화 기지국 장치(200)는 가상화 eNB(Evolved Node Base Station)라고 할 수 있다.
이때, 코어 시스템(400)은 외부망(미도시)과의 접속에 응답하기 위한 요소 들로 구성된다.
여기서, 가상화 기지국 장치(200)는 셀 별로 설치된 무선 유닛(100)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각각의 디지털 유닛(210)을 포함하는데, 이러한 각각의 디지털 유닛(210)은 각각의 소프트웨어 즉 LTE 소프트웨어, HSPA+ 소프트웨어, WiMAX 소프트웨어가 가상 머신 형태로 오픈 하드웨어 플랫폼 위에 탑재한 형태로 구현된다. 이때, SDR(Software Defined Radio) 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유닛과 가상화 기지국 장치 간의 연동 구조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복수의 디지털 유닛(210)이 탑재된 가상화 기지국 장치(200)는 복수의 무선 유닛(100)과 연결되고, 여러 셀의 자원을 처리하기 위하여 공통으로 자원을 사용한다.
이때, 무선 유닛(RU)(100)은 섹터(Secter) 모드 또는 중계(Reapeater)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그리고 섹터 모드로 동작할 때나 중계 모드로 동작할 때나 동일한 셀 ID가 무선 유닛(RU)(100)에 부여된다.
여기서, 가상화 기지국 장치(200)는 예를 들어 3개의 섹터 모드인 무선 유닛(RU)(100)을 처리하는데 자원이 필요하며 중계 모드인 경우에는 처리 자원을 크게 필요로 하지 않는다.
또한, 무선 유닛(RU)(100)에서는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를 활용한 전송 방식을 사용하는데, 이때, 전송 방식이 공간 다중화(Spatial Multiplexing) 모드인지 또는 다이버시티 모드(Diversity Mode)에 따라 가상화 기지국 장치(200)의 처리 자원 사용량이 달라진다.
공간 다중화 방식의 경우, 2×2 MIMO 일 경우 동시에 2개의 스트림(Stream)이 전송되므로, 데이터 전송 속도는 2배가 되지만, 많은 양의 처리 자원이 필요하다. 반면, 다이버이시티 모드는 동시에 1개의 스트림을 전송하여 전송 속도는 공간 다중화 방식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지만 상대적으로 처리 자원의 양이 적게 필요하고, 채널 환경이 나쁜 경우에도 효율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가상화 기지국 장치(200)는 각 셀의 부하에 따라 자원을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부하 제어 기능을 구비하는데, 부하 제어 기능은 다음과 같은 세가지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 따르면, 가상화 기지국 장치(200)는 무선 유닛(RU)(100)의 전송 방식을 변경하여 부하를 제어한다.
제2 실시예에 따르면, 가상화 기지국 장치(200)는 무선 유닛(RU)(100)의 동작 모드를 변경하여 부하를 제어한다.
제3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실시예와 제2 실시예를 결합한 실시예로서, 가상화 기지국 장치(200)는 무선 유닛(RU)(100)의 전송 방식 및 동작 모드를 변경하여 부하를 제어한다.
그러면, 이러한 실시예 별로 가상화 기지국 장치(200)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먼저,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가상화 기지국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부하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가상화 기지국 장치(200)는 모니터링부(201), 비교부(203) 및 부하 제어부(205)를 포함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모니터링부(201)가 가상화 기지국 장치(200)의 부하를 측정한다(S101). 부하 측정 방식은 현재 무선 유닛에게 할당한 자원의 처리량을 측정할 수 있다.
비교부(203)는 S101 단계에서 측정된 부하를 기 정의된 임계치와 비교(S103)하는데, 기 정의된 임계치는 상한 임계치(threshold_high)와 하한 임계치(threshold_low)를 포함한다.
부하 제어부(205)는 S103 단계의 비교 결과, 가상화 기지국 장치(200)의 부하가 상한 임계치보다 높은지 또는 하한 임계치보다 낮은지를 판단한다(S105).
이때, 가상화 기지국 장치(200)의 부하가 상한 임계치보다 높은 경우, 부하 제어부(205)는 제1 무선 유닛(100)의 전송 방식을 공간 다중화 모드에서 다이버시티 모드로 변경한다(S107).
그리고 부하 제어부(205)는 제1 무선 유닛(100)에 활성화(Active) 상태로 연결된 즉 호 연결된 사용자 단말(미도시)의 채널 상태를 체크(S109)하여 채널 상태가 안 좋은 사용자 단말(미도시)부터 순차적으로 S107 단계의 모드 변경을 적용한다(S111).
반면, 가상화 기지국 장치(200)의 부하가 하한 임계치보다 낮은 경우, 부하 제어부(205)는 제1 무선 유닛(100)의 전송 방식을 다이버시티 모드에서 공간 다중화 모드로 변경한다(S113).
그리고 부하 제어부(205)는 제1 무선 유닛(100)에 활성화 상태로 연결된 즉 호 연결된 사용자 단말(미도시)의 채널 상태를 체크(S115)하여 채널 상태가 좋은 사용자 단말(미도시)부터 순차적으로 S113 단계의 모드 변경을 적용한다(S117).
<제2 실시예, 제3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상화 기지국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가상화 기지국 장치(200)는 모니터링부(201), 비교부(203),부하 제어부(205) 및 핸드오버 제어부(207)를 포함한다.
이때, 가상화 기지국 장치(200)는 제2 실시예 및 제3 실시예 각각으로 동작하는데,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가상화 기지국 장치의 부하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모니터링부(201)가 가상화 기지국 장치(200)의 부하를 측정한다(S201). 부하 측정 방식은 현재 무선 유닛에게 할당한 자원의 처리량을 측정할 수 있다.
비교부(203)는 S201 단계에서 측정된 부하를 기 정의된 임계치와 비교(S203)하는데, 기 정의된 임계치는 상한 임계치(threshold_high)와 하한 임계치(threshold_low)를 포함한다.
부하 제어부(205)는 S203 단계의 비교 결과, 가상화 기지국 장치(200)의 부하가 상한 임계치보다 높은지 또는 하한 임계치보다 낮은지를 판단한다(S205).
이때, 가상화 기지국 장치(200)의 부하가 상한 임계치보다 높은 경우, 핸드오버 제어부(207)는 기존 섹터 모드의 제1 무선 유닛(100)에 활성화 상태로 연결된 즉 호가 유지된 사용자 단말(미도시)들을 제1 무선 유닛(100)의 셀과 오버레이(overlay)된 다른 셀의 제2 무선 유닛(100)으로 핸드오버 시킨다(S207). 즉 오버레이(overlay)된 시스템의 다른 주파수나 또는 다른 RAT(Radio Access Technology)로 천이시킨다.
그러면, 부하 제어부(205)가 부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셀의 구조를 변경하는데, 즉 제1 무선 유닛(100)의 동작 모드를 섹터 모드에서 중계기 모드로 변경한다(S209).
그리고 핸드오버 제어부(207)는 제2 무선 유닛(100)으로 핸드오버 시켰던 사용자 단말(미도시)들을 다시 중계기 모드로 변경된 제1 무선 유닛(100) 핸드오버 (S211)시켜 서비스를 계속한다.
한편, S205 단계에서 가상화 기지국 장치(200)의 부하가 하한 임계치보다 낮은 경우, 핸드오버 제어부(207)는 기존 중계기 모드의 제1 무선 유닛(100)에 활성화 상태로 연결된 즉 호가 유지된 사용자 단말(미도시)들을 제1 무선 유닛(100)의 셀과 오버레이(overlay)된 다른 셀의 제2 무선 유닛(100)으로 핸드오버 시킨다(S213). 즉 오버레이(overlay)된 시스템의 다른 주파수나 또는 다른 RAT로 천이시킨다.
그러면, 부하 제어부(205)가 제1 무선 유닛(100)의 동작 모드를 중계기 모드에서 섹터 모드로 변경한다(S215).
그리고 핸드오버 제어부(207)는 제2 무선 유닛(100)으로 핸드오버 시켰던 사용자 단말(미도시)들을 섹터 모드로 변경된 제1 무선 유닛(100) 다시 핸드오버 (S217)시켜 서비스를 계속한다.
다음,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가상화 기지국 장치의 부하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모니터링부(201)가 가상화 기지국 장치(200)의 부하를 측정한다(S301).
비교부(203)는 S301 단계에서 측정된 부하를 기 정의된 임계치와 비교(S303)하는데, 기 정의된 임계치는 상한 임계치(threshold_high)와 하한 임계치(threshold_low)를 포함한다.
부하 제어부(205)는 S303 단계의 비교 결과, 가상화 기지국 장치(200)의 부하가 상한 임계치보다 높은지 또는 하한 임계치보다 낮은지를 판단한다(S305).
이때, 가상화 기지국 장치(200)의 부하가 상한 임계치보다 높은 경우, 부하를 낮추기 위해서 부하 제어부(205)는 제1 무선 유닛(100)의 동작 모드 및 전송 방식을 변경하는데 다음과 같다.
즉 핸드오버 제어부(207)가 기존 섹터 모드의 제1 무선 유닛(100)에 활성화 상태로 연결된 즉 호가 유지된 사용자 단말(미도시)들을 제1 무선 유닛(100)의 셀과 오버레이(overlay)된 다른 셀의 제2 무선 유닛(100)으로 핸드오버 시킨다(S307).
그러면, 부하 제어부(205)가 제1 무선 유닛(100)의 동작 모드를 섹터 모드에서 중계기 모드로 변경한다(S309). 그리고 핸드오버 제어부(207)는 S307 단계에서 핸드오버 시켰던 사용자 단말(미도시)들을 중계기 모드로 변경된 제1 무선 유닛(100) 다시 핸드오버(S311)시켜 서비스를 계속한다.
또한, 부하 제어부(205)는 제1 무선 유닛(100)의 전송 방식을 공간 다중화 모드에서 다이버시티 모드로 변경한다(S313). 그리고 제1 무선 유닛(100)에 활성화상태로 연결된 사용자 단말(미도시)들의 채널 상태를 체크(S315)하여 채널 상태가 안 좋은 사용자 단말(미도시)부터 순차적으로 S313 단계의 모드 변경을 적용한다(S317).
한편, S305 단계에서 가상화 기지국 장치(200)의 부하가 하한 임계치보다 낮은 경우, 핸드오버 제어부(207)는 기존 중계기 모드의 제1 무선 유닛(100)에 활성화 상태로 연결된 사용자 단말(미도시)들을 제1 무선 유닛(100)의 셀과 오버레이(overlay)된 다른 셀의 제2 무선 유닛(100)으로 핸드오버 시킨다(S319).
그러면, 부하 제어부(205)가 제1 무선 유닛(100)의 동작 모드를 중계기 모드에서 섹터 모드로 변경한다(S321). 그리고 핸드오버 제어부(207)는 제2 무선 유닛(100)으로 핸드오버 시켰던 사용자 단말(미도시)들을 섹터 모드로 변경된 제1 무선 유닛(100)으로 다시 핸드오버(S323)시켜 서비스를 계속한다.
또한, 부하 제어부(205)는 제1 무선 유닛(100)의 전송 방식을 다이버시티 모드에서 공간 다중화 모드로 변경한다(S325). 그리고 부하 제어부(205)는 제1 무선 유닛(100)에 활성화 상태로 연결된 사용자 단말(미도시)들의 채널 상태를 체크(S327)하여 채널 상태가 좋은 사용자 단말(미도시)부터 순차적으로 S325 단계의 모드 변경을 적용한다(S329).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7)

  1. 기지국이 부하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의 부하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부하를 기 정의된 임계치와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에 따라 제1 무선 유닛-상기 제1 무선 유닛은 상기 기지국과 연결되어 상기 기지국으로 무선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디지털 신호를 수신하여 동작하며, 원격지 셀마다 설치됨-의 동작을 변경하여 상기 기지국의 부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기지국의 부하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부하를 상기 임계치와 비교한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무선 유닛의 동작 모드를 섹터 모드 또는 중계기 모드로 변경하고, 상기 제1 무선 유닛의 전송 방식을 공간 다중화 모드 또는 다이버시티 모드로 변경하며,
    상기 중계기 모드는 상기 섹터 모드에 비해 처리 자원 사용량이 상대적으로 적고, 상기 다이버시티 모드는 상기 공간 다중화 모드에 비해 처리 자원 사용량이 상대적으로 적은 부하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하는 단계는,
    상기 부하를 상한 임계치 및 하한 임계치와 각각 비교하고,
    상기 부하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부하가 상기 상한 임계치보다 높은 경우, 상기 제1 무선 유닛의 동작 모드를 섹터 모드에서 중계기 모드로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부하가 상기 하한 임계치보다 낮은 경우, 상기 제1 무선 유닛의 동작 모드를 중계기 모드에서 섹터 모드로 변경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부하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하는 단계는,
    상기 부하를 상한 임계치 및 하한 임계치와 각각 비교하고,
    상기 부하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부하가 상기 상한 임계치보다 높은 경우, 상기 제1 무선 유닛의 전송 방식을 공간 다중화 모드에서 다이버시티 모드로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부하가 상기 하한 임계치보다 낮은 경우, 상기 제1 무선 유닛의 전송 방식을 다이버시티 모드에서 공간 다중화 모드로 변경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부하 제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하는 단계는,
    상기 부하를 상한 임계치 및 하한 임계치와 각각 비교하고,
    상기 부하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부하가 상기 상한 임계치보다 높은 경우, 상기 제1 무선 유닛의 동작 모드를 섹터 모드에서 중계기 모드로 변경 및 상기 제1 무선 유닛의 전송 방식을 공간 다중화 모드에서 다이버시티 모드로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부하가 상기 하한 임계치보다 낮은 경우, 상기 제1 무선 유닛의 동작 모드를 중계기 모드에서 섹터 모드로 변경 및 상기 제1 무선 유닛의 전송 방식을 다이버시티 모드에서 공간 다중화 모드로 변경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부하 제어 방법.
  5.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유닛의 동작 모드를 변경하기 전에 활성화 상태로 연결된 사용자 단말들을 상기 제1 무선 유닛의 셀과 오버레이된 다른 셀의 제2 무선 유닛-상기 제2 무선 유닛은 상기 제1 무선 유닛의 현재 동작 모드와 동일함-으로 핸드오버 시키고, 상기 제1 무선 유닛의 동작 모드가 변경되면 상기 제2 무선 유닛의 셀로 핸드오버 된 사용자 단말들을 상기 제1 무선 유닛의 셀로 다시 핸드오버 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부하 제어 방법.
  6.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무선 유닛의 전송 방식을 변경할 때, 상기 제1 무선 유닛에 활성화 상태로 연결된 사용자 단말들의 채널 상태에 따라 순차적인 변경을 수행하는 부하 제어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무선 유닛의 전송 방식을 공간 다중화 모드에서 다이버시티 모드로 변경할 때 상기 제1 무선 유닛에 활성화 상태로 연결된 사용자 단말들 중에서 채널 상태가 안 좋은 사용자 단말부터 순서대로 변경하고, 상기 제1 무선 유닛의 전송 방식을 다이버시티 모드에서 공간 다중화 모드로 변경할 때 상기 제1 무선 유닛에 활성화 상태로 연결된 사용자 단말들 중에서 채널 상태가 좋은 사용자 단말부터 순서대로 변경하는 부하 제어 방법.
KR1020110077119A 2011-08-02 2011-08-02 적응적 무선전송 방식 기반 기지국의 부하 제어 방법 KR1013679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7119A KR101367946B1 (ko) 2011-08-02 2011-08-02 적응적 무선전송 방식 기반 기지국의 부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7119A KR101367946B1 (ko) 2011-08-02 2011-08-02 적응적 무선전송 방식 기반 기지국의 부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5238A KR20130015238A (ko) 2013-02-13
KR101367946B1 true KR101367946B1 (ko) 2014-02-27

Family

ID=47895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7119A KR101367946B1 (ko) 2011-08-02 2011-08-02 적응적 무선전송 방식 기반 기지국의 부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794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9527A (ko) * 2004-03-05 2006-12-15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무선통신에서 다중―안테나 수신 다이버시티 제어
WO2010060467A1 (en) * 2008-11-26 2010-06-03 Nokia Siemens Networks Oy Transmission mode selection based on radio link quality and radio load on the air interface
US20100234035A1 (en) * 2009-03-10 2010-09-16 Hitachi, Ltd. Radio communications system
KR101040783B1 (ko) 2006-11-25 2011-06-13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무선링크를 효율적으로 사용가능하게 하는 적응형 멀티미디어 다운로드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9527A (ko) * 2004-03-05 2006-12-15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무선통신에서 다중―안테나 수신 다이버시티 제어
KR101040783B1 (ko) 2006-11-25 2011-06-13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무선링크를 효율적으로 사용가능하게 하는 적응형 멀티미디어 다운로드 시스템 및 방법
WO2010060467A1 (en) * 2008-11-26 2010-06-03 Nokia Siemens Networks Oy Transmission mode selection based on radio link quality and radio load on the air interface
US20100234035A1 (en) * 2009-03-10 2010-09-16 Hitachi, Ltd. Radio communications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5238A (ko) 2013-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06341B2 (en) Electronic de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CN110493830B (zh) 切换方法及装置
US9319999B2 (en)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communication system, and terminal device which takes into account at least one proximate multi-mode terminal serviced by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services
US910712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limiting mobile device measurements for cell reselection and handover
JP5842066B2 (ja) 通信干渉処理方法及び無線ルータ
US10098003B2 (en) Access node, a communication device, respective method performed thereby for carrier hopping
KR101547406B1 (ko) 무선 기지국, 중계 기지국, 이동 단말, 이동 통신 시스템, 및 동작 제어 방법
KR101728990B1 (ko) 릴레이 구성 방법 및 디바이스
US921063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election of a handover destination
EP3189689B1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r-radio access technology handoff
US20110009117A1 (en) Flexible Sharing of Measurement Gaps
CN103546920A (zh) 一种系统信息的接收方法和装置
CA3023353C (en) Measurement of received quality in wireless communications
KR20130023944A (ko) 휴대용 단말기의 핸드오버 장치 및 그 방법
CN103733684A (zh) 用于提供增强的小型小区资源利用的方法和装置
CN113261315A (zh) 用户装置、网络节点及通信系统
WO2020217539A1 (ja) ユーザ装置
JP6232991B2 (ja) 無線アクセスシステム,及び無線制御装置
KR20120114964A (ko) 다중 안테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JP5557349B2 (ja) 無線中継装置、無線中継方法および無線中継プログラム
US20230023444A1 (en) Network node, and method performed in a communication network
US20110075634A1 (en) Handover method, radio base station, and mobile terminal
US20170373818A1 (en) Method, Micro Base Station, and Macro Base Station for Adjusting Communications Mode
WO2020202513A1 (ja) ユーザ装置及び基地局
KR101367946B1 (ko) 적응적 무선전송 방식 기반 기지국의 부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