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3564A - 광 투과 및 확산 잉크 조성물 - Google Patents

광 투과 및 확산 잉크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3564A
KR20130023564A KR1020110086416A KR20110086416A KR20130023564A KR 20130023564 A KR20130023564 A KR 20130023564A KR 1020110086416 A KR1020110086416 A KR 1020110086416A KR 20110086416 A KR20110086416 A KR 20110086416A KR 20130023564 A KR20130023564 A KR 201300235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k
light
weight
ink composition
diff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64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성돈
강상수
Original Assignee
케이에스씨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에스씨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케이에스씨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864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23564A/ko
Publication of KR201300235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35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1/00Inking and printing with a printer's forme
    • B41M1/12Stencil printing; Silk-screen prin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02Printing inks
    • C09D11/03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features other than the chemical nature of the bind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02Printing inks
    • C09D11/03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features other than the chemical nature of the binder
    • C09D11/033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features other than the chemical nature of the binder characterised by the solven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3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02B6/004Scattering dots or dot-like elements, e.g. microbeads, scattering particles, nanoparticles
    • G02B6/0043Scattering dots or dot-like elements, e.g. microbeads, scattering particles, nanoparticles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Inks, Pencil-Leads, Or Crayons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잉크 바인더와 잉크 용제와 광확산을 위한 이산화티탄(TiO2) 입자를 포함하는 광 투과 및 확산 잉크 조성물을 제공하며, 상기 잉크 바인더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이산화티탄 입자 165 내지 700 중량부와 상기 잉크 용제 75 내지 400 중량부가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광 투과 및 확산용 잉크 조성물은 투과되는 빛의 양을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다량을 빛을 후방으로 반사하여 넓게 확산시키므로 조명광의 광확산제로서 효과가 우수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광 투과 및 확산용 잉크 조성물은 직하형 백라이트유닛의 도광판에 적용되어 광원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백라이트유닛이나 디스플레이 장치 기타 간판의 도광판 제조에서 원가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광 투과 및 확산 잉크 조성물{Light Transmitting/Diffusive Ink Composition}
본 발명은 잉크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광판을 조명하는 광원의 수를 줄일 수 있도록 소량의 빛을 투과시키고 다량의 빛을 반사하여 확산시키는 광 투과 및 확산 잉크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광판은 광원의 빛을 균일한 휘도의 면광원 형태로 출사하기 위한 조명부품으로서, 액정표시장치(LCD)나 간판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조명을 구현하는 백라이트유닛(Back Light Unit, BLU) 등에 적용되고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백라이트유닛의 일 예인 에지형 백라이트유닛(10, Edge type Back Light Unit)은 일반적으로 플라스틱 재질의 투명한 도광판(11)과 상기 도광판(11)의 측면 모서리와 마주하는 광모듈(1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광모듈(12)은 측면 모서리를 따라 배치되는 다수개의 광원(12a)들을 포함하며, 상기 도광판(11)이 전방으로 면광원 형태의 조명광을 출사하도록 상기 도광판(11)의 배면에는 빛의 진행방향을 바꾸는 패턴(11a)이 형성된다.
상기 패턴(11a)은 빛을 산란/굴절/반사시켜서 면광원 형태로 확산시키는 구성으로서, 레이저 가공기술을 이용하여 상기 도광판(11)의 표면(배면)에 홈이나 도트(Dot) 형태로 구성되거나, 상기 도광판(11)의 배면에 광확산 잉크를 인쇄하는 등의 방식으로 형성되는데, 상기 광확산 잉크를 상기 도광판(11)에 인쇄하는 방식의 예로는 실크 스크린 인쇄법이 있으며, 상기 광확산 잉크는 크게 광확산제(광학 입자)와 잉크 바인더와 잉크 용제를 주요 구성으로 포함한다.
상술한 에지형 백라이트유닛(10)에 의하면, 상기 광원(12a)들로부터 출사되는 빛은 상기 도광판(11)의 일측면(11b)로 입사된 후 상기 도광판(11)의 반대 측면으로 진행하며, 상기 도광판(11)의 내부를 투과하는 과정에서 상기 패턴(11a)에 의해 빛의 진행방향이 편향되어서 상기 도광판(11)의 전면에 면광원 형태로 출력된다.
그러나, 상기 에지형 백라이트유닛(10)에서 상기 광원(12a)의 수를 줄이면 상기 광원(12a)들 사이의 간격이 멀어져서 상기 도광판의 입사부에 암대(어두운 영역)이 생길 수 있으므로 상기 광원(12a)의 수를 줄이기 어려우며, 상기 도광판(11)의 면적이 넓어질수록(화면이 넓어질수록) 측면 입사방식(에지형 백라이트유닛 구조)의 도광판에 패턴을 설계하는데 제약이 따르고 다수의 광원(12a)들을 필요로 하므로, 전력 소모가 크면 백라이트유닛의 제조원가가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백라이트유닛은 원가절감에 한계가 있고, 상기 광원이 도광판의 측면에 배치됨으로 인해 모니터나 TV화면이나 간판의 면적을 줄이는데 한계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59571호((주) 엔피케미칼), 2008년 9월 16일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43233호(주식회사 우즈필), 2010년 2월 11일 등록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소량의 빛을 투과시키고 다량의 빛은 후방으로 넓게 확산시켜서 직하형 백라이트유닛의 도광판에 적용 가능한 광 투과 및 확산 잉크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잉크 바인더와 잉크 용제와 광확산을 위한 이산화티탄(TiO2) 입자를 포함하는 광 투과 및 확산 잉크 조성물을 제공하며, 상기 잉크 바인더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이산화티탄 입자 165 내지 700 중량부와 상기 잉크 용제 75 내지 400 중량부가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산화티탄 입자는 상기 잉크 바인더 100 중량부에 대하여 200 내지 600 중량부가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광 투과 및 확산 잉크 조성물은, 실버 파우더(Silver Powder)와 실버 플레이크(Silver Flake)로 이루어진 군에서 1종 이상 선택되는 보조 입자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잉크 바인더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보조 입자는 50 중량부 이하로 포함되는 것이 색 시인 현상의 방지 또는 최소화를 위해 바람직하다.
그리고, 광 투과 및 확산 잉크 조성물분산제와 소포제와 레벨링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잉크 용제로는 케톤계와 에스테르계와 에테르계와 석유계와 글리콜에테르계 잉크 용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비점이 150℃ 이상인 잉크 용제가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이 인쇄성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잉크 용제는 이소포론과 사이클로헥사논과 부틸 케비톨 아세테이트와 에틸 케비톨 아세테이트와 부틸 케비톨과 에틸 케비톨과 하이드로 카본계 용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한다.
상기 이산화티탄 입자는 잉크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35~65 중량%로 포함된다.
보다 구체적인 일 형태로서, 본 발명은: 잉크 바인더 10 내지 20 중량%; 이산화티탄 입자 35 내지 65 중량%; 케톤계와 에스테르계와 에테르계와 석유계 및 글리콜에테르계 잉크용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잉크 용제 15 내지 40 중량%; 그리고 분산제와 소포제와 레벨링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첨가제 0.5~3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투과 및 확산 잉크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광 투과 및 확산 잉크 조성물은, 실버 파우더와 실버 플레이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보조 입자를 5 중량% 이하로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 투과 및 확산용 잉크 조성물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광 투과 및 확산용 잉크 조성물은 투과되는 빛의 양을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다량을 빛을 후방으로 반사하여 넓게 확산시키므로 조명광의 광확산제로서 효과가 우수하고, 광원의 직전방이 다른 부분에 비해 휘도가 높게 나타나는 현상을 최소화 또는 방지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광 투과 및 확산용 잉크 조성물은 직하형 백라이트유닛의 도광판에 적용되어 광원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백라이트유닛이나 디스플레이 장치 기타 간판의 도광판 제조에서 원가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광 투과 및 확산용 잉크 조성물은 실크 스크린 인쇄법에 의해 도광판에 인쇄 가능한 소정의 두께 범위에서 빛의 투과량과 후방 확산량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패턴 설계의 자유도가 향상된다.
도 1은 종래의 백라이트 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광 투과 및 확산용 잉크 조성물이 적용된 백라이트유닛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광확산 잉크 조성물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광 투과 및 확산 잉크 조성물은 광의 일부를 투과시키고 다량의 빛을 광의 입사방향으로 넓게 확산시킬 수 있는 광확산 잉크로서, 특히 실크 스크린 인쇄법(Silk Screen Printing)에 의해 인쇄되는 두께 범위에서 빛의 0.1~15%의 빛을 투과시키고 손실되는 소량의 빛을 제외한 나머지 다량의 빛을 확산시키는 광확산 잉크 조성물이다.
예를 들어, 광 손실을 무시할 경우 본 발명에 따른 광 투과 및 확산 잉크 조성물(이하 '잉크 조성물'이라 약칭함)은 실크 스크린 인쇄법에 의해 도광판에 인쇄된 상태에서 빛의 0.1~15%의 빛을 투과시키고 85~99.9%의 빛을 반사/확산시키게 되나, 실제로는 잉크 바인더 등에 의한 소량의 광 손실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잉크 조성물의 일 실시예는, 잉크 바인더(Ink Binder)와 잉크 용제와 광확산을 위한 광학 입자, 즉 광확산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잉크 조성물이 인쇄되는 도광판은 일반적으로 PMMA(Polymethylmethacrylte)와 PC(Poly carbonate) 등의 다양한 재질로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잉크 바인더는 상기 도광판에 대한 부착성 및 인쇄 적정을 확보하기 위해 사용되는데 그 예로는 염화비닐 공중합체(PVC Copolymer)나 아크릴, 우레탄, 폴리에스테르 수지 등이 있으며, 이러한 잉크 바인더들 중 어느 1종 단독 또는 2종 이상이 혼용될 수 있으며, 이들 중 상기 아크릴 수지는 구입이 쉽고 플라스틱 소재의 표면에 대한 부착성이 우수하여 잉크 바인더로서 적용성이 뛰어나다.
다음으로, 상기 잉크 용제는, 케톤계와 에스테르계와 에테르계와 석유계와 글리콜에테르계 용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1종 이상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잉크 용제의 종류 그 자체는 당업계에서 공지된 것이므로 그에 대한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된다.
상술한 다양한 종류의 잉크 용제 중에서 본 발명을 위해 선택되는 잉크 용제는, 실크 스크린 인쇄시에 메쉬 빠짐성을 고려하여 비점이 15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케톤계 잉크 용제의 예로는 이소포론(Isophorone)과 사이클로헥사논(Cyclohexanone) 등이 있으며, 상기 에스테르계 잉크 용제의 예로는 부틸케비톨 아세테이트(Buthyl Cabitol Acetate)과 에틸케비톨 아세테이트(Ethyl Cabitol Acetate) 등이 있고, 상기 에테르계 잉크 용제의 예로는 부틸 케비톨(Buthyl Cabitol)과 에틸케비톨(Ethyl Cabitol) 등이 있으며, 상기 석유계 잉크 용제로는 다.
본 발명에 따른 잉크 조성물을 위한 잉크 용제로는 비점이 150℃ 이상인 전술한 다양한 종류의 잉크 용제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의 잉크 용제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종 이상이 혼용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잉크 조성물은, 상기 광확산제, 즉 광확산 입자로 이산화티탄(TiO2) 입자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이산화티탄 입자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후술하는 바와 같이 금속 입자인 보조 입자가 상기 이산화티탄 입자와 함께 추가로 혼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광확산을 위한 잉크 조성물에 사용 가능한 광확산제 종류로는, TiO2, SiO2, BaSO4 및 CaCO3 등의 무기 입자와, PMMA 비드(Bead), PU(Poly Urethan) 비드 및 PBMA(Polybutylmethacrylate) 비드 등의 유기 입자와, 실버 파우더(Silver Powder) 및 실버 플레이크(Silver Flake), 알루미늄 페이스트(Aluminium Paste) 및 코퍼 파우더(Copper Powder) 등의 금속 입자가 있다.
그러나 상술한 이산화티탄 입자를 제외한 나머지 무기 입자와 유기 입자는 굴절율이 낮으므로, 잉크 조성물의 광확산제에 적용되는 경우 투과율이 높아서 이산화티탄을 광확산제로 사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다량의 빛을 그대로 투과시키며, 상기 금속 입자는 반사율 높은 반면 색 시인의 문제로 인한 색상편차가 발생하므로 단독 사용이 어렵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산화티탄 입자에 추가로 혼합되는 보조 입자로 사용될 수 있다.
참고로, 이산화티탄 입자의 굴절율은 2.7이고, SiO2의 굴절율은 대략 1.43, BaSO4과 CaCO3의 굴절율은 대략 1.7 또는 1.8이다. 그리고 실버 파우더 및 실버 플레이크는 광원의 빛을 받으면 잉크의 색이 노란색으로 나타나는 색 시인 현상이 발생하고, 알루미늄 페이스트는 어둡게 색 시인이 나타나고 코퍼 파우더는 황색의 색 시인이 나타난다.
일반적으로 상술한 다양한 종류의 광확산제는 당업계에 공지된 바와 같이 미세 크기의 입자로서, 참고적으로 상기 이산화티탄 입자는 크기(평균 입도)가 대략 0.15㎛~0.55㎛이고, 상기 실버 파우더 및 실버 플레이크는 대략 0.1㎛~20㎛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이산화티탄 입자는 잉크 바인더 100 중량부에 대하여 대략 165 내지 700 중량부가 혼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잉크 바인더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이산화티탄 입자가 175 내지 650 중량부, 특히 200 내지 600 중량부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 잉크 용제는 상기 잉크 바인더 100 중량부에 대하여 대략 75 내지 400 중량부가 혼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잉크 조성물의 잉크 점도가 5,000~20,000cps(25℃ 기준)가 되도록 상기 잉크 바인더와 잉크 용제와 이산화티탄 입자가 상술한 함량 범위에서 혼합된다.
이때 상기 잉크 바인더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이산화티탄 입자가 165 중량부 미만이면 광투과율이 과대해지고 700 중량부를 초과하면 잉크 유동성 측면에서 인쇄 점도를 확보하기 힘들고 이로 인해 잉크 부착성이 저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잉크 바인더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이산화티탄 입자가 175 중량부 내지 650 중량부의 범위 내인 것이 광투과율 측면과 잉크 부착성과 인쇄 작업성 측면에서 보다 좋으며, 특히 200 내지 600 중량부의 범위인 경우에 실크 스크린 인쇄법을 통한 적정 두께를 갖는 잉크 도막의 안정적인 인쇄와 광투과율 등의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실크 스크린 인쇄법을 통해 도광판의 표면에 형성되는 잉크 건조도막 두께의 안정적 작업범위는 대략 50㎛이하인데, 이러한 두께 범위 내에서 잉크 조성물의 광 투과율을 0.1~15% 범위에서 조절하고 잉크 부착성을 고려할 때 상술한 수치 범위가 가장 효과적이다. 물론 실크 스크린 인쇄법으로 인쇄 가능한 잉크 건조도막 두께가 상술한 범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대략 50㎛를 초과하면 도막에 크랙(Crack)이 발생하는 등 인쇄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잉크 조성물은 보조 입자로서 상술한 금속 입자들 중 상기 실버 파우더와 실버 플레이크 중 적어도 1종의 금속 입자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보조 입자는 상기 잉크 바인더 100 중량부에 대하여 50 중량부 이하로 혼합되는 것이 좋은데, 상기 보조 입자가 50 중량부를 초과하면 색 시인 현상이 급격하게 증가하여 상기 잉크 조성물이 금속 고유의 색을 띠게 되어 색상 편차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상기 광확산 잉크 조성물은 첨가제, 예를 들면 소포제와 분산제와 레벨링제 등의 첨가제를 1종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상기 잉크 바인더 100중량부에 대하여 2~35 중량부가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개시되는 잉크 조성물의 구체적인 예로서, 잉크 바인더 10 내지 20 중량%, 이산화티탄 입자 35 내지 65 중량%, 잉크 용제 15 내지 40 중량%, 첨가제 0.4 내지 3.5 중량%를 포함하는 잉크 조성물을 개시한다.
상기 잉크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5 중량% 이하의 보조 입자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잉크 바인더와 잉크 용제와 보조 입자와 첨가제의 종류는 전술한 바와 같고, 상술한 수치 범위 내에 속하는 보다 구체적인 잉크 조성물의 예가 아래 [표 1]과 같이 제조될 수 있다.
구 분 조성명 함량(중량%)
잉크 바인더 아크릴 수지 10~20
광학 입자(광확산제)
이산화티탄 40~60
실버 파우더/플레이크 0~5
잉크 용제 케톤계, 에스테르계,
에테르계, 석유계
15~40
첨가제 소포제, 레벨링제, 분산제 0.5~3.5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잉크 조성물의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와 이에 대한 비교예를 설명하며,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실시예 1과 실시예 2 및 비교예 1과 비교예 2의 제조]
다음과 같이 [표 2]의 성분과 함량에 따라 실시예 1과 실시예 2에 따른 잉크 조성물 및 비교예 1과 비교예 2에 따른 잉크 조성물을 제조하고, 이러한 광확산 잉크 조성물을 잉크 건조도막 20㎛ 두께로 5mm두께의 PMMA 재질 도광판에 인쇄하였다.
구 분 실시예1 실시예2 비교예1 비교예2 비고
A-21 17.50 17.50 17.50 17.50 아크릴 수지
Rohm&Hass 제품
TiO2 53.49 52.49 0 47.49 광확산제
CaCO3 0 0 53.49 0 광확산제
Silver Powder 0 1.00 0 6.00 광확산제
Isophorone 8.63 8.63 12.90 8.63 잉크 용제
Di Basic Ester 17.20 17.20 12.90 17.20 잉크 용제
BYK-052 1.06 1.06 1.07 1.06 소포제
BYK社(독일)
G-410 1.06 1.06 1.07 1.06 레벨링제
Tego社
BYK-2008 1.06 1.06 1.07 1.06 분산제
BYK社(독일)
TOTAL 100 100 100 100
상술한 조성과 함량으로 제조된 실시예들과 비교예들을 전술한 바와 같이 잉크 건조도막 20㎛ 두께로 PMMA 재질의 도광판에 실크 스크린 인쇄법으로 인쇄한 후에 색차계 측정장치 CM-3600D(미놀타)를 이용하여 광투과율과 색상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아래 [표 3]에 나타내었다.
구 분
실시예1 실시예2 비교예1 비교예2
광투과율%(650㎚) 12 11 35 9
잉크 점도(cps/25℃) 15,000 15,000 17,000 13,000

색상
Color(L) 97.42 93.28 97.43 88.67
Color(a) -0.86 -0.11 -0.86 1.01
Color(b) 0.41 2.03 0.41 8.33
[표 3]을 참조하면, 비교예1은 광확산제로 탄산칼슘(CaCO3)이 적용됨으로 인해 광 투과율이 과다하게 높게 나타나며, 이러한 경우 후술하는 바와 같이 도광판에 적용되는 경우 확산량이 감소되어 광원의 직전방이 상대적으로 밝게 나타나는 백색 휘점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한편, Color(L)이 밝기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실시예들과 비교예들 모두 그 값이 88 이상이 되어 육안 비교시에느 큰 차이가 없이 밝은 편임을 나타내고, Color(a)의 경우 (-)값은 그린(Green) 계열임을 나타내고 (+)값은 레드(Red) 계열내며, Color(b)의 경우 (-)값은 블루(Blue)계열임을 나타내고 (+)값은 옐로우(Yellow)계열임을 나타낸다. 비교예2의 경우 Color(b) 값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나는데 이는 색상 편차가 나타난 것임을 알 수 있다. 이에 반해 실시예1과 2는 광투과율이나 색상에 있어서 모두 양호함을 알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잉크 조성물이 적용된 직하형 백라이트유닛의 일 예를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직하형 백라이트유닛(100)은 도광판(110)과 상기 도광판(110)의 후방에 배치되는 광원(1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광원(120)의 예로는 발광 다이오드(LED)가 개시되며, 상기 광원(120)은 인쇄회로기판(121)에 탑재된다. 그리고 상기 도광판(110)의 전면에는 광 투과 및 확산을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잉크 조성물이 도포되어서 전면 잉크층(111)을 형성하고, 상기 도광판(110)의 배면에는 종래의 일반적인 광확산 잉크 조성물이 도포되어 도트(Dot) 형태의 후방 패턴층(112, Pattern Layer)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전면 잉크층(111)은 상기 광원(120)의 직전방에 형성되며, 상기 광원(120)의 빛을 받아서 일부(대략 0.1~15%)를 투과시키고 대부분(예를 들면, 65%~90%)의 빛을 후방으로 반사하여 확산시킨다. 상기 전면 잉크층(111)의 광투과율과 반사율은 상기 전면 잉크(111)을 이루는 구성성분의 함량을 조절하거나 전면 잉크층의 두께를 조절하는 등의 방식으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후방 패턴층(112)은 상기 전면 잉크층(111)에 의해 후방으로 확산되는 빛을 편향시켜서 상기 도광판(110)의 전방으로 출사하며, 이에 따라 상기 도광판(110)의 전방으로 면광원 형태의 빛이 형성된다.
상기 백라이트유닛(100)은 액정표시장치나 간판 기타 각종 디스플레이 장치의 조명유닛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 도광판(110) 자체(예를 들면 전면)에 디스플레이용 이미지가 구현될 수도 있다.
상술한 구조의 백라이트유닛(100)은 종래의 직하형 백라이트유닛에 비해 광원의 수를 현저히 줄일 수 있으며, 종래의 에지형 백라이트유닛과 비교하여도 광원의 수를 현저히 줄일 수 있고 광원에 의해 화면의 면적이 넓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화면 테두리 디자인이 단순화되고 얇게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광원(120)의 수는 휘도 설계조건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으며, 상기 광원(120)의 직전방에는 상술한 전면 잉크층(111)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백라이트유닛 110: 도광판
111: 전면 잉크층 112: 후방 패턴층
120: 광원 121: 인쇄회로기판

Claims (10)

  1. 잉크 바인더와 잉크 용제와 광확산을 위한 이산화티탄(TiO2) 입자를 포함하는 광 투과 및 확산 잉크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잉크 바인더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이산화티탄 입자 165 내지 700 중량부와 상기 잉크 용제 75 내지 400 중량부가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투과 및 확산 잉크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산화티탄 입자는, 상기 잉크 바인더 100 중량부에 대하여 200 내지 600 중량부가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투과 및 확산 잉크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실버 파우더(Silver Powder)와 실버 플레이크(Silver Flake)로 이루어진 군에서 1종 이상 선택되는 보조 입자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투과 및 확산 잉크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 바인더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보조 입자는 50 중량부 이하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투과 및 확산 잉크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분산제와 소포제와 레벨링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투과 및 확산 잉크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 용제로는 케톤계와 에스테르계와 에테르계와 석유계와 글리콜에테르계 잉크 용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비점이 150℃ 이상인 잉크 용제가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투과 및 확산 잉크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 용제는 이소포론과 사이클로헥사논과 부틸 케비톨 아세테이트와 에틸 케비톨 아세테이트와 부틸 케비톨과 에틸 케비톨과 하이드로 카본계 용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투과 및 확산 잉크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산화티탄 입자는 잉크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35~6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투과 및 확산 잉크 조성물.
  9. 잉크 바인더 10 내지 20 중량%;
    이산화티탄 입자 35 내지 65 중량%;
    케톤계와 에스테르계와 에테르계와 석유계 및 글리콜에테르계 잉크용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잉크 용제 15 내지 40 중량%; 그리고
    분산제와 소포제와 레벨링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첨가제 0.5~3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투과 및 확산 잉크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실버 파우더와 실버 플레이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보조 입자를 5 중량% 이하로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투과 및 확산 잉크 조성물.
KR1020110086416A 2011-08-29 2011-08-29 광 투과 및 확산 잉크 조성물 KR201300235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6416A KR20130023564A (ko) 2011-08-29 2011-08-29 광 투과 및 확산 잉크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6416A KR20130023564A (ko) 2011-08-29 2011-08-29 광 투과 및 확산 잉크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3564A true KR20130023564A (ko) 2013-03-08

Family

ID=48175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6416A KR20130023564A (ko) 2011-08-29 2011-08-29 광 투과 및 확산 잉크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23564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47651B2 (en) 2013-07-31 2016-05-24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KR20180085179A (ko) * 2017-01-18 2018-07-2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조명 장치
WO2017191996A3 (ko) * 2016-05-03 2018-08-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조명 장치
WO2018212436A1 (ko) * 2017-05-17 2018-11-22 주식회사 서한라이텍 로컬 디밍을 위한 백라이트유닛 및 광속제어부재
US11659971B2 (en) 2019-06-04 2023-05-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Robot cleaner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47651B2 (en) 2013-07-31 2016-05-24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9696588B2 (en) 2013-07-31 2017-07-04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WO2017191996A3 (ko) * 2016-05-03 2018-08-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조명 장치
KR20180085179A (ko) * 2017-01-18 2018-07-2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조명 장치
WO2018212436A1 (ko) * 2017-05-17 2018-11-22 주식회사 서한라이텍 로컬 디밍을 위한 백라이트유닛 및 광속제어부재
CN108957846A (zh) * 2017-05-17 2018-12-07 西韩Litek 用于局部调光的背光单元及光束控制部件
US11659971B2 (en) 2019-06-04 2023-05-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Robot clean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9011B1 (ko) 광확산 잉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광패널
KR101360885B1 (ko) 광확산 잉크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도광패널 및 백라이트 유닛
KR20130023564A (ko) 광 투과 및 확산 잉크 조성물
US8789997B2 (en) Light guide plate, surface light source device, and transmission image display device
EP3591463B1 (en) Lighting unit
KR20130098244A (ko) 광확산 잉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광패널
US20130258643A1 (en) Optical panel display
KR101375400B1 (ko) 투과형 액정표시장치 및 광확산판
KR20120065752A (ko) 액정표시장치
KR102106883B1 (ko) 빔 프로젝터 스크린 형성용 도료 조성물 및 빔 프로젝터용 스크린
KR101363938B1 (ko) 자동차 후미등
KR101360893B1 (ko) 광확산 잉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광패널
KR20140004033A (ko) 광확산 잉크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도광패널 및 백라이트 유닛
KR20130023529A (ko) 직하형 백라이트유닛 및 이를 갖는 디스플레이장치
WO2013162106A1 (ko) 광확산 잉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광패널
KR101309012B1 (ko) 광확산 잉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광패널
KR102013498B1 (ko) 고휘도 필름을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및 액정표시장치용 복합시트
KR20130110121A (ko) 광확산 잉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광패널
KR102061942B1 (ko) Lcd 구조
KR20130098243A (ko) 광확산 잉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광패널
JP2008250109A (ja) 光拡散反射シート
KR102293369B1 (ko) 반사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20180056585A (ko) 휘도가 향상된 액정표시장치 및 액정표시장치용 복합시트
KR102171403B1 (ko) 광학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디스플레이 장치
KR200266574Y1 (ko)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유닛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