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3542A - 수분산 입술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수분산 입술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3542A
KR20130023542A KR1020110086378A KR20110086378A KR20130023542A KR 20130023542 A KR20130023542 A KR 20130023542A KR 1020110086378 A KR1020110086378 A KR 1020110086378A KR 20110086378 A KR20110086378 A KR 20110086378A KR 20130023542 A KR20130023542 A KR 201300235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osmetic composition
polymer
lip cosmetic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63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하진
고승용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100863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23542A/ko
Publication of KR201300235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35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04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li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2Colour properties
    • A61K2800/43Pigments; Dyes
    • A61K2800/432Direct dy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점증제 및 펄에 색소를 더 포함하는 수분산 입술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용성 고분자인 점증제와 펄을 함유함으로써 광택이 우수하면서 착색 효과가 있는 수분산 입술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수분산 입술 화장료 조성물{Water dispersive cosmetic composition for lip}
본 발명은 점증제 및 펄에 색소를 더 포함하는 수분산 입술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용성 고분자인 점증제와 펄을 함유함으로써 광택이 우수하면서 착색 효과가 있는 수분산 입술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에 용해되는 안료와 수상 보습제를 함유하는 수분산의 입술 화장료 조성물이 적용된 입술용 화장료를 대표적으로 립틴트라 부르며, 입술의 보습뿐 아니라 자연스러운 착색 효과를 준다. 그러나 이러한 수분산 조성물의 특징상 물에 용해되는 안료가 한정적이기 때문에 유분산 입술용 화장료와 같이 다양한 색상을 발현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시판되고 있는 수분산 입술 조성물은 수용성 색소를 사용하여 발색되는 색상의 종류가 극히 제한적이며, 입술의 색상을 단순히 엷게 물들일 뿐 광택을 부여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 2010-0046971 호
이에 본 발명자들은 수분산 입술용 화장료 즉 립틴트에 있어서 펄과 함께 수상 점증제를 함유하게 되면 수분산 입술용 화장료에서도 다양한 색상을 구현하면서 광택효과 또한 구현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수분산 입술 화장료 조성물에 수상 점증제와 펄을 동시에 함유하여 펄이 균일하게 분산됨으로써 다양한 색상을 구현하면서 광택 효과를 구현할 수 있고 착색효과 또한 갖는 수분산 입술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점증제 및 펄을 함유하는 수분산 입술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점증제, 펄 및 색소를 포함하는 수분산 입술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점증제, 펄, 색소 및 보습제를 포함하는 수분산 입술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수분산 조성물에 수상 점증제와 펄 및 색소를 함유함으로써 착색용 파우더인 펄을 조성물 내에 균일하게 분산시켜 수분산 입술용 화장료에서도 다양한 색상을 구현하면서 광택효과를 구현할 수 있으며 동시에 착색효과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비교예 1~4의 제형의 광택 및 겉보기 색상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2는 실시예 1~5의 제형의 광택 및 겉보기 색상을 나타낸 사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수분산 입술 화장료 조성물은 점증제 및 펄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점증제는 수용성 고분자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식물계 고분자, 미생물계 고분자, 동물계 고분자, 전분계 고분자, 아르긴산계 고분자, 비닐계 고분자, 폴리옥시에틸렌계 고분자,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계 고분자, 아크릴계 고분자 및 무기계 수용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이다.
상기 수용성 고분자는 아라비아 고무, 카라기난, 펙틴, 한천, 퀸스시드(마루메로), 전분, 아르게콜로이드(갈조 엑기스) 등의 식물계 고분자, 덱스트란, 플루란 등의 미생물계 고분자, 콜라겐, 카제인, 젤라틴 등의 동물계 고분자, 카르복시메틸전분, 메틸히드록시프로필전분 등의 전분계 고분자, 아르긴산 나트륨 등의 아르긴산계 고분자, 카르복시비닐폴리머(CARBOPOL 등) 등의 비닐계 고분자, 폴리옥시에틸렌계 고분자,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계 고분자, 폴리아크릴산 나트륨, 폴리아크릴아미드, 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소듐 아크릴로일디메틸 타우레이트 코폴리머 등의 아크릴계 고분자, 벤토나이트, 규산 알루미늄마그네슘, 라포나이트 등의 무기계 수용성 고분자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용성 고분자는 아크릴계 고분자, 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소듐 아크릴로일디메틸 타우레이트 코폴리머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점증제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0.1~10 질량%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점증제를 0.1 질량% 미만으로 사용하면 펄이 가라앉아 본 발명에서 얻고자 하는 효과를 얻지 못하며, 10 질량% 를 초과하여 사용하는 경우 수상 점증이 지나치게 되어 조성물 내에 펄을 믹싱하는 것이 어려워 지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펄은 착색용 파우더를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백운모 파우더, 합성운모 파우더, 견운도 파우더, 카올린 파우더, 이산화티탄 파우더, 산화티탄 피복 운모 파우더, 알루미늄 파우더, 황산화철 파우더, 흑산화철 파우더 및 황산바륨 등의 파우더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착색용 파우더는 산화티탄 피복 운모 파우더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펄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0.1~10 질량%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펄을 0.1 질량% 미만으로 함유하는 경우 글로시 효과 및 다양한 색상 구현의 본 발명에서 얻고자 하는 효과를 달성할 수 없으며, 10 질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사용감이 뻑뻑해지고 펄을 균일하게 믹싱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색소는 수용성 착색용 염료로서 유기색소 및 무기색소의 색소성분을 포함하며,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황색 203호, 황색 4호, 황색 5호, 적색 227호, 228호 등의 착색용 염료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색소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 10.0 질량%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색소를 0.001 질량% 미만으로 함유하면 착색효과가 미미하며, 10.0 질량% 를 초과하여 함유하는 경우 착색효과가 너무 심하여 실제 입술제품으로 사용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의한 수분산 입술 화장료 조성물은 보습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보습제는 바람직하게는 1,3-부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헥실렌글리콜,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크실리톨, 말티톨, 말토스, D-만니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보습제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 40.0 질량%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습제를 0.001질량% 미만으로 함유하면 보습 효과가 미미하며, 40.0 질량% 를 초과하여 함유하는 경우 끈적이는 등의 사용감의 단점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수성성분으로서 화장품, 의약품 등에 통상적으로 사용 가능한 것을 조성물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목적에 따라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항산화제, 자외선 차단제, 향료성분 및 영양성분 등을 더 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사용 목적에 따라 립틴트, 립글로스 제형으로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제조예 및 시험예를 들어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제조예 및 시험예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의 목적으로만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범위가 하기 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수분산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아래 표 1과 같이 수분산 입술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수성성분으로글리세린 및 부틸렌 글라이콜을 첨가하고, 색소로는 입술용 화장료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황색 5호 또는 적색 227호를 사용하였으며, 펄은 Ronastar Series (Merck 사 제조)를 사용하였고, 실시예 2~5순으로 ronastar blue, ronastar red, ronastar silver, ronastar gold를 각 1.0%씩 사용하였다. 점증제로 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소듐 아크릴로일디메틸 타우레이트 코폴리머를 사용하였다. 비교예 1은 수성성분에 색소만을 함유하는 조성물이고, 비교예 2는 수성성분에 색소 및 펄을 함유하는 조성물이며, 비교예 3 및 4는 수성성분에 색소와 점증제를 함유하는 조성물이고, 실시예 1은 수성성분과 펄과 점증제를 동시에 함유하는 것이고 실시예 2~5는 수성성분과 펄, 점증제, 그리고 색소를 함유하는 조성물이다. 각 성분을 모두 비이커에 평량하여 담고 상온에서 아지믹싱하여 균일하게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함량 (질량 %)
성분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실시예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79.9 78.9 78.9 78.9 78.0 77.9 77.9 77.9 77.9
글리세린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부틸렌
글라이콜
5.0 5.0 5.0 5.0 5.0 5.0 5.0 5.0 5.0
색소
(황색5호)
- 0.1 0.1 - - - - - -
색소
(적색227호)
0.10 - - 0.1 - 0.1 0.1 0.1 0.1
ronastar blue - - - - - 1.0 - - -
ronastar red - - - - 1.0 - 1.0 - -
ronastar silver - - - - - - - 1.0 -
ronastar gold - 1.0 - - - - - - 1.0
점증제
(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소듐 아크릴로일디메틸 타우레이트 코폴리머)
- - 1.0 1.0 1.0 1.0 1.0 1.0 1.0
제조된 각 제조예의 조성물의 겉보기 사진을 도1 및 도2에 나타내었다.
<시험예 1> 광택도 조사
상기 표 1의 비교예 1~4 및 실시예 1~5의 조성물을 일정한 힘으로 3회 왕복 도포한 후 광택계(Gardner사)를 이용하여 60도 각도에서의 반사 각도로 도포면에 빛을 쏘았을 때의 반사량을 측정하여 광택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3회 측정 후 평균값). 하기 표 2의 결과에 나타낸 수치가 높을수록 광택도가 우수한 것을 의미한다.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광택 2.5 3.0 2.0 2.0 40.0 45.0 45.0 45.0 45.0
일반적으로 수성 입술용 화장료에 사용되는 물에 용해되는 색소는 한정되어 있으며, 그 중 가장 많이 사용되는 색소는 황색 4호 및 5호 또는 적색 227호이다. 이러한 색소만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도 1의 비교예 1, 비교예 3 및 4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오렌지계열과 적색계열의 2 가지로 한정되어 다양한 색상을 구현하기 어려움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2의 비교예 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수분산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은 유분산 조성물과 달리 펄만을 함유하는 경우, 믹싱 후에 5분 정도가 지나자 펄이 바닥에 가라앉아버려 조성물의 색상구현에 효과를 주지 못함을 알 수 있다. 도 2의 비교예 3과 같이 점증제와 색소만을 함유한 경우 비교예 1과 그 외관 및 광택면에 있어 차이가 없어 다양한 색상 구현이 되지 않으며 광택효과도 없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와 같이 이러한 황색 5호 또는 적색 227호를 펄과 점증제를 사용하는 경우 도 2의 실시예 2~5와 같이 동일 색소를 사용하더라도 첨가하는 펄에 따라 전혀 다른 색상을 구현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표 2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외관에 있어서도 일반적으로 수분산 입술 화장료에서 구현되기 어려운 광택효과(글로시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도 2의 실시예 1에서와 같이 색소 없이 펄만으로도 외관의 글로시 효과를 구현할 수 있으나, 입술에서의 착색효과를 높이기 위해 색소를 소량이라도 함께 함유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Claims (14)

  1. 점증제 및 펄을 함유하는 수분산 입술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점증제는 수용성 고분자인 수분산 입술 화장료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점증제는 식물계 고분자, 미생물계 고분자, 동물계 고분자, 전분계 고분자, 아르긴산계 고분자, 비닐계 고분자, 폴리옥시에틸렌계 고분자,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계 고분자, 아크릴계 고분자 및 무기계 수용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인 수분산 입술 화장료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펄은 백운모 파우더, 합성운모 파우더, 견운도 파우더, 카올린 파우더, 이산화티탄 파우더, 산화티탄 피복 운모 파우더, 알루미늄 파우더, 황산화철 파우더, 흑산화철 파우더 및 황산바륨 등의 파우더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인 수분산 입술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증제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0.1~10 질량%로 함유하는 수분산 입술 화장료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펄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0.1~10 질량%로 함유하는 수분산 입술 화장료 조성물.
  7. 제 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색소를 더 포함하는 수분산 입술 화장료 조성물.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색소는 유기색소 또는 무기색소인 수분산 입술 화장료 조성물.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색소는 수용성 착색용 염료인 수분산 입술 화장료 조성물.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색소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 10 질량%로 함유하는 수분산 입술 화장료 조성물.
  11.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보습제를 더 포함하는 수분산 입술 화장료 조성물.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보습제는 1,3-부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헥실렌글리콜,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크실리톨, 말티톨, 말토스 및 D-만니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수분산 입술 화장료 조성물.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보습제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 40 질량%로 함유하는 수분산 입술 화장료 조성물.
  14.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립틴트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산 입술 화장료 조성물.
KR1020110086378A 2011-08-29 2011-08-29 수분산 입술 화장료 조성물 KR201300235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6378A KR20130023542A (ko) 2011-08-29 2011-08-29 수분산 입술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6378A KR20130023542A (ko) 2011-08-29 2011-08-29 수분산 입술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3542A true KR20130023542A (ko) 2013-03-08

Family

ID=48175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6378A KR20130023542A (ko) 2011-08-29 2011-08-29 수분산 입술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23542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8326A (ko) * 2014-10-24 2016-05-04 주식회사 세화 피앤씨 젤라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립타투 필오프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8131901A1 (ko) * 2017-01-13 2018-07-19 (주)아모레퍼시픽 스타치 유도체 및 고함량의 분체를 포함하는 수분산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KR20190003206A (ko) 2017-06-30 2019-01-09 (주)아모레퍼시픽 수중유형 에멀젼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36827B1 (ko) * 2021-12-15 2022-08-26 한국콜마주식회사 다량의 펄을 포함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30029082A (ko) * 2021-08-23 2023-03-03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과량의 펄을 함유하는 저점도 가용화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8326A (ko) * 2014-10-24 2016-05-04 주식회사 세화 피앤씨 젤라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립타투 필오프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8131901A1 (ko) * 2017-01-13 2018-07-19 (주)아모레퍼시픽 스타치 유도체 및 고함량의 분체를 포함하는 수분산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KR20180083615A (ko) * 2017-01-13 2018-07-23 (주)아모레퍼시픽 스타치 유도체 및 고함량의 분체를 포함하는 수분산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KR20190003206A (ko) 2017-06-30 2019-01-09 (주)아모레퍼시픽 수중유형 에멀젼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30029082A (ko) * 2021-08-23 2023-03-03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과량의 펄을 함유하는 저점도 가용화 화장료 조성물
KR102436827B1 (ko) * 2021-12-15 2022-08-26 한국콜마주식회사 다량의 펄을 포함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WO2023113147A1 (ko) * 2021-12-15 2023-06-22 한국콜마 주식회사 다량의 펄을 포함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02762A (ko) 실리콘 오일 및 에몰리언트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30023542A (ko) 수분산 입술 화장료 조성물
WO2018097584A1 (ko) 수분산 타입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CN114504511B (zh) 一种粉状化妆品组合物
KR20120113661A (ko) 안료의 블랙 색상 혼합물을 함유하는 메이크업 조성물
KR101823022B1 (ko) 소듐 폴리아크릴레이트 스타치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쉐이딩용 수분산형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CN106798657A (zh) 一种美颜果冻口红
JP5653697B2 (ja) ベースメイクアップ用化粧料及びその製造方法
CN103596547A (zh) 乳化型底妆化妆品及其制造方法
US20190240136A1 (en) Composition
JP4412673B2 (ja) 水系唇用下地化粧料および化粧方法
KR100941496B1 (ko) 번들거림 및 지속성을 개선시키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2273235B1 (ko) 다양한 착색이 가능한 무수제형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86685B1 (ko) 수분광 모사한 화장료 조성물
KR102084418B1 (ko) 성형성이 향상된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EP1888011B1 (en) Pigment dispersion composition comprising an ester blend and manufacture thereof
JP2006089409A (ja) 固型粉末メーキャップ化粧料の製造方法
KR102264150B1 (ko) 신규한 화장료 색재 및 이의 용도
KR20170031817A (ko) 소수성 실리카를 포함하는 자가 탄성 복원용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395903B1 (ko) 화장료 조성물
JP2003012459A (ja) 化粧料
KR102624282B1 (ko) 흑색도 또는 청색도 향상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KR20150065019A (ko) 미세 복합분체를 함유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2321692B1 (ko) 나일론에 폴리메칠실세스퀴옥산이 코팅된 원료를 포함하는 글리터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58238A (ko) 실리카로 표면처리된 무기안료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