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3492A - 입체감과 내스크래치성이 향상된 장식유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장식유리 - Google Patents

입체감과 내스크래치성이 향상된 장식유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장식유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3492A
KR20130023492A KR1020110086288A KR20110086288A KR20130023492A KR 20130023492 A KR20130023492 A KR 20130023492A KR 1020110086288 A KR1020110086288 A KR 1020110086288A KR 20110086288 A KR20110086288 A KR 20110086288A KR 20130023492 A KR20130023492 A KR 201300234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glass
aqueous
oil
scratch res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62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원기
김판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휴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휴먼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휴먼스
Priority to KR10201100862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23492A/ko
Publication of KR201300234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34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16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for applying transfer pictures or the like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7/00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 C03C17/06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metals
    • C03C17/09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metals by deposition from the vapour phase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7/00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 C03C17/28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organic material
    • C03C17/32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organic material with synthetic or natural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7/00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 C03C17/34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at least two coating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 C03C17/36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at least two coating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at least one coating being a metal
    • C03C17/38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at least two coating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at least one coating being a metal at least one coating being a coating of an organic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3/00Other 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 C03C23/007Other 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thermal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3/00Other 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 C03C23/0095Solution impregnating; Solution doping; Molecular stuffing, e.g. of porous 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217/00Coatings on glass
    • C03C2217/70Properties of coatings
    • C03C2217/72Decorative coat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217/00Coatings on glass
    • C03C2217/70Properties of coatings
    • C03C2217/78Coatings specially designed to be durable, e.g. scratch-resista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urface Treatment Of Glass (AREA)
  • Printing Meth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체감과 내스크래치성이 향상된 장식유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장식유리에 관한 것으로서, 제판을 형성하는 단계(단계 1); 상기 제판을 유리의 전면에 위치시키고, 무늬 또는 글자 부위를 제외한 부위를 수성수지 또는 유성수지를 증점하여 실크스크린 인쇄하는 단계(단계 2); 상기 무늬 또는 글자 부위의 유리 및 실크스크린 인쇄된 부위의 수성수지 또는 유성수지 위에 진공증착을 하는 단계(단계 3); 및 상기 실크스크린 인쇄된 부위의 수성수지 또는 유성수지를 상기 유리로부터 제거하는 단계(단계 4); 를 포함하여 제조하면, 장식유리의 전면에 진공 증착함으로 인해 입체감이 뛰어나면서도 스크래치가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입체감과 내스크래치성이 향상된 장식유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장식유리{Manufacturing Method of decoration glass improved cubic effect and scratch resistance and decoration glass manufactured by the same}
본 발명은 입체감과 내스크래치성이 향상된 장식유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장식유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장식유리의 전면에 진공증착함으로 인해 입체감이 뛰어나면서도 스크래치가 발생하지 않는 입체감과 내스크래치성이 향상된 장식유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장식유리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는 식생활의 변화 및 제품의 고급화의 추세에 따라 점차 대형화, 다기능화되고 있는 추세이며, 사용자의 편의를 고려한 다양한 구조 및 편의장치를 구비한 냉장고가 출시되고 있다.
근래에 들어서는 기능은 물론 냉장고의 디자인이 구매결정의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어 다양한 색감과 질감, 문양 등을 가지는 냉장고가 개발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냉장고의 본체 또는 도어의 전면을 다양한 색깔과 문양이 인쇄된 브이씨엠(VCM) 강판으로 구성하거나, 보다 다양한 색감과 질감을 표현하는 한편 고급스러운 느낌을 주기 위해 강화유리에 의해 외관의 전체 또는 일부가 형성되어 전체적인 냉장고의 디자인의 향상 및 고급화가 진행되고 있는 추세이다.
최근에는 글래스, 즉 강화유리에 여러 도수의 인쇄층을 통해 무늬효과를 구현함으로써 디자인의 향상 및 고급화를 구형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서는 단순히 글래스의 일면에 여러 도수의 인쇄층을 적층시켜 무늬에 입체감을 형성하게 되는데, 유리 인쇄의 경우 다양한 무늬 및 효과를 구현하기에는 기술적으로 많은 제약이 따르게 된다.
즉, 유리면은 표면조도가 낮아 유리용 잉크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유리용 잉크는 저온에서 녹는 유리가루와 착색안료 등의 무기화합물을 혼합해서 만들어진다.
그리고, 상기 유리용 잉크를 이용하여 유리면에 스크린 인쇄 또는 직접전사 등의 방식을 통해 인쇄를 한 이후에는 600℃ 정도의 온도에서 인쇄된 부분을 소성하여 색료를 발색 융착시키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따라서, 냉장고용 장식유리를 제조하는데 소요되는 공정이 증가하게 되며, 소요시간도 늘어나게 되어 생산성이 저하됨은 물론, 다양한 무늬 및 효과를 구현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09-0105245호(2009.10.27.)에는 냉장고용 장식유리 및 이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냉장고용 장식유리는 냉장고용 장식유리를 형성하는 배강도유리의 표면에 진공증착층이 형성되어 이러한 진공증착층에 인쇄층을 형성함으로써 다양한 무늬 및 효과의 장식유리 창출이 가능한 장점이 있지만, 장식유리의 전면에 인쇄하게 되면 스크래치가 발생하므로 장식유리의 배면에 인쇄할 수밖에 없어 입체감이 미흡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자들은 장식유리의 전면에 진공 증착함으로 인해 입체감이 뛰어나면서도 스크래치가 발생하지 않는 장식유리의 제조방법을 개발하였다.
KR 10-2009-0105245 (공개번호) 2009.10.27.
본 발명의 목적은 장식유리의 전면에 진공증착함으로 인해 입체감이 뛰어나면서도 스크래치가 발생하지 않는 입체감과 내스크래치성이 향상된 장식유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장식유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수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제판을 형성하는 단계(단계 1); 상기 제판을 유리의 전면에 위치시키고, 무늬 또는 글자 부위를 제외한 부위를 수성수지 또는 유성수지를 증점하여 실크스크린 인쇄하는 단계(단계 2); 상기 무늬 또는 글자 부위의 유리 및 실크스크린 인쇄된 부위의 수성수지 또는 유성수지 위에 진공증착을 하는 단계(단계 3); 및 상기 실크스크린 인쇄된 부위의 수성수지 또는 유성수지를 상기 유리로부터 제거하는 단계(단계 4);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감과 내스크래치성이 향상된 장식유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단계 2에서, 상기 수성수지는 수성 아크릴 에멀젼 수지, PVAc(Poly Vinyl acetate) 에멀젼 수지, EVA(Ethylene-Vinylacetate Copolymer) 수지, PVA(Poly Vinyl Alcohol), 수성 에폭시 수지 및 수성 우레탄 수지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고, 상기 유성수지는 유성 아크릴 수지, 유성 에폭시 수지 및 유성 우레탄 수지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계 2에서, 상기 수성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수성 아크릴 증점제 또는 수성 우레탄 증점제 0.5~3중량부를 혼합하여 5~15분 동안 500~1500rpm으로 고속 교반하여 증점하거나, 상기 유성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Fumed Silica 증점제 1~5중량부를 혼합하여 5~15분 동안 500~1500rpm으로 고속 교반하여 증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계 2 이후에, 상기 실크스크린 인쇄된 유리를 건조기에서 50~100℃의 온도에서 10~40분 동안 건조하는 단계가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계 3에서, 상기 진공증착은 SUS, Ti(티타늄), Ni(니켈) 및 Pt(백금)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금속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계 3에서, 상기 진공 층착시, 상기 유리의 전면을 100~250℃의 온도로 5~15분 동안 열풍 또는 전기가열로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계 4에서, 상기 유리를 50~90℃의 물에 5~20분 동안 함침시켜, 상기 실크스크린 인쇄된 부위의 수성수지 또는 유성수지를 상기 유리로부터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감과 내스크래치성이 향상된 장식유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식유리는 장식유리의 전면에 진공증착함으로 인해 입체감이 뛰어나면서도 스크래치가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식유리는 냉장고뿐만 아니라 에어콘 등의 전면에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무늬를 제외한 부위에 합성수지로 실크스크린 인쇄한 상태의 장식유리를 나타내는 그림.
도 2는 실크스크린 인쇄한 부위의 합성수지를 유리로부터 제거한 상태의 장식유리를 나타내는 그림.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리의 전면에 진공 증착된 장식유리의 사진.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냉장고용 장식유리의 전면에 실크스크린 인쇄를 하게 되면 스크래치가 발생하게 되어, 장식유리의 배면에 실크스크린 인쇄를 할 수밖에 없으므로, 입체감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특징은 장식유리의 전면에 진공 증착함으로 인해 입체감이 우수하면서도 스크래치가 발생하지 않는 장식유리를 개발한 것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입체감과 내스크래치성이 향상된 장식유리의 제조방법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입체감과 내스크래치성이 향상된 장식유리의 제조방법은,
제판을 형성하는 단계(단계 1);
상기 제판을 유리의 전면에 위치시키고, 무늬 또는 글자 부위를 제외한 부위를 수성수지 또는 유성수지를 증점하여 실크스크린 인쇄하는 단계(단계 2);
상기 무늬 또는 글자 부위의 유리 및 실크스크린 인쇄된 부위의 수성수지 또는 유성수지 위에 진공증착을 하는 단계(단계 3); 및
상기 실크스크린 인쇄된 부위의 수성수지 또는 유성수지를 상기 유리로부터 제거하는 단계(단계 4);
를 포함한다.
실크스크린인쇄는 일명 스크린인쇄라고 불리우는 것으로, 비단이나 화학섬유의 천을 팽팽하게 하여 스크린으로 하고, 비화선부가 되는 부분을 형지 또는 아교재로 덮어씌운 다음, 그 위에서 잉크를 부여하면 화선부에만 잉크가 스크린을 통과하여 인쇄하는 인쇄방법이다.
본 발명에서는 일반적인 실크스크린 인쇄의 방법과 다르게, 화선부를 형지 또는 아교재로 덮어씌운 것에 특징이 있다.
상기 단계 1에서는 다양한 형태로 디자인한 무늬 또는 글자 부위를 형지 또는 아교재로 덮어씌워 제판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상기 단계 2는 상기 제판을 유리 전면에 위치시키고, 상기 다양한 형태로 디자인한 무늬 또는 글자를 제외한 부위에 수성수지 또는 유성수지를 증점하여 실크스크린 인쇄하는 단계이다. (도 1 참조)
일반적인 실크스크린인쇄는 잉크를 사용하여 인쇄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단계 4에서 유리로부터 제거가 용이하도록 잉크 대신 수성수지 또는 유성수지를 증점하여 인쇄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상기 수성수지는 수성 아크릴 에멀젼 수지, PVAc(Poly Vinyl acetate) 에멀젼 수지, EVA(Ethylene-Vinylacetate Copolymer) 수지, PVA(Poly Vinyl Alcohol), 수성 에폭시 수지 및 수성 우레탄 수지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유성수지는 유성 아크릴 수지, 유성 에폭시 수지 및 유성 우레탄 수지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다음은 수성수지 또는 유성수지를 증점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상기 수성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수성 아크릴 증점제 또는 수성 우레탄 증점제 0.5~3중량부를 혼합하여 5~15분 동안 500~1500rpm으로 고속 교반을 하면 점성이 상승되어 실크스크린 인쇄가 가능한 점도를 갖게 되고,
상기 유성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Fumed Silica 증점제 1~5중량부를 혼합하여 5~15분 동안 500~1500rpm으로 고속 교반을 하면 점성이 상승되어 실크스크린 인쇄가 가능한 점도를 갖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무늬 또는 글자 부위에는 실크스크린 인쇄되지 않고 무늬 또는 글자 이외의 부위만 실크스크린 인쇄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단계 2 이후에, 상기 실크스크린 인쇄된 유리를 건조기에서 50~100℃의 온도에서 10~40분 동안 건조하는 단계를 추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계 3은 무늬 또는 글자 부위의 유리 및 실크스크린 인쇄된 부위의 수성수지 또는 유성수지 위에 진공증착을 하는 단계이다. 상기 진공증착은 물리증착(Physical Vapor Deposition) 기술의 일종으로 공정이 간단하고 증발율이 높은 방법으로, 특별히 한정되지 아니하며, 통상의 진공증착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진공증착에 사용하는 금속은 SUS(스테인레스 스틸), Ti(티타늄), Ni(니켈) 및 Pt(백금)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금속일 수 있다.
상기 금속 중 어느 하나를 증발시켜 상기 무늬 또는 글자 부위의 유리 및 실크스크린 인쇄된 부위의 수성수지 또는 유성수지 위에 증착시킬 수 있다.
상기 진공 층착시, 상기 유리(피도물)의 전면을 100~250℃의 온도로 5~15분 동안 열풍 또는 전기가열로 가열하면, 증착이 더욱 견고하게 되고 내화학성이 우수하며 증착 표면의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박막을 얻을 수 있다.
상기 단계 4는 상기 실크스크린 인쇄된 부위의 수성수지 또는 유성수지를 상기 유리로부터 제거하는 단계이다. 상기 단계 3에서 진공 증착한 유리를 50~90℃의 물에 5~20분 동안 함침하면, 유리면과 실크스크린 인쇄된 수성수지 또는 유성수지의 박리가 잘 이루어져서, 상기 실크스크린 인쇄한 부위의 수성수지 또는 유성수지와 상기 수성수지 또는 유성수지 위에 진공 증착된 금속이 유리로부터 제거되게 된다. (도 2 참조)
실크스크린 인쇄한 부위의 수성수지 또는 유성수지가 제거되고 나면, 디자인된 무늬 또는 글자 부위의 유리에 진공 증착된 금속만 남게 되고, 진공 증착된 유리는 실크스크린 인쇄한 유리와는 달리 스크래치가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입체감과 내스크래치성이 향상된 장식유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식유리는 유리의 전면에 진공 증착함으로 인해 입체감이 우수하면서도 스크래치가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식유리는 냉장고, 에어컨 등 가전제품에 사용될 뿐만 아니라, 입체감과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하여 건축 내, 외장재로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 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 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꽃무늬를 디자인하고, 상기 꽃무늬 부위를 형지로 덮어씌워 제판을 형성하였다.
상기 제판을 유리의 전면에 위치시키고, 상기 꽃무늬 부위를 제외한 부위를, 수성 아크릴 에멀젼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수성 아크릴 증점제 1중량부를 혼합하여 10분 동안 1000rpm으로 고속 교반을 하여 증점한 후, 상기 증점된 수성 아크릴 에멀젼 수지로 실크스크린 인쇄하였다.
상기 실크스크린 인쇄된 유리를 건조기에서 80℃의 온도에서 30분 동안 건조하였다.
상기 유리의 전면을 200℃의 온도로 10분 동안 열풍으로 가열하면서, 상기 꽃무늬 부위의 유리 및 실크스크린 인쇄된 부위의 수성 아크릴 에멀젼수지 위에 DSC-1200T(대한진공엔지니어링) 진공증착기를 이용하여 니켈(Ni)금속으로 진공증착을 하였다.
상기 유리를 70℃의 물에 10분 동안 함침시켜, 상기 실크스크린 인쇄된 부위의 수성 아크릴 에멀젼수지를 상기 유리로부터 제거하였다.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입체감과 내스크래치성이 향상된 장식유리의 사진을 도 3에 나타내었다.

Claims (8)

  1. 제판을 형성하는 단계(단계 1);
    상기 제판을 유리의 전면에 위치시키고, 무늬 또는 글자 부위를 제외한 부위를 수성수지 또는 유성수지를 증점하여 실크스크린 인쇄하는 단계(단계 2);
    상기 무늬 또는 글자 부위의 유리 및 실크스크린 인쇄된 부위의 수성수지 또는 유성수지 위에 진공증착을 하는 단계(단계 3); 및
    상기 실크스크린 인쇄된 부위의 수성수지 또는 유성수지를 상기 유리로부터 제거하는 단계(단계 4);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감과 내스크래치성이 향상된 장식유리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2에서,
    상기 수성수지는 수성 아크릴 에멀젼 수지, PVAc(Poly Vinyl acetate) 에멀젼 수지, EVA(Ethylene-Vinylacetate Copolymer) 수지, PVA(Poly Vinyl Alcohol), 수성 에폭시 수지 및 수성 우레탄 수지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고, 상기 유성수지는 유성 아크릴 수지, 유성 에폭시 수지 및 유성 우레탄 수지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감과 내스크래치성이 향상된 장식유리의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2에서,
    상기 수성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수성 아크릴 증점제 또는 수성 우레탄 증점제 0.5~3중량부를 혼합하여 5~15분 동안 500~1500rpm으로 고속 교반하여 증점하거나, 상기 유성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Fumed Silica 증점제 1~5중량부를 혼합하여 5~15분 동안 500~1500rpm으로 고속 교반하여 증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감과 내스크래치성이 향상된 장식유리의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2 이후에,
    상기 실크스크린 인쇄된 유리를 건조기에서 50~100℃의 온도에서 10~40분 동안 건조하는 단계가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감과 내스크래치성이 향상된 장식유리의 제조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3에서,
    상기 진공증착은 SUS, Ti(티타늄), Ni(니켈) 및 Pt(백금)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금속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감과 내스크래치성이 향상된 장식유리의 제조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3에서,
    상기 진공 층착시, 상기 유리의 전면을 100~250℃의 온도로 5~15분 동안 열풍 또는 전기가열로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감과 내스크래치성이 향상된 장식유리의 제조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4에서,
    상기 유리를 50~90℃의 물에 5~20분 동안 함침시켜, 상기 실크스크린 인쇄된 부위의 수성수지 또는 유성수지를 상기 유리로부터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입체감과 내스크래치성이 향상된 장식유리의 제조방법.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감과 내스크래치성이 향상된 장식유리.
KR1020110086288A 2011-08-29 2011-08-29 입체감과 내스크래치성이 향상된 장식유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장식유리 KR201300234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6288A KR20130023492A (ko) 2011-08-29 2011-08-29 입체감과 내스크래치성이 향상된 장식유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장식유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6288A KR20130023492A (ko) 2011-08-29 2011-08-29 입체감과 내스크래치성이 향상된 장식유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장식유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3492A true KR20130023492A (ko) 2013-03-08

Family

ID=48175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6288A KR20130023492A (ko) 2011-08-29 2011-08-29 입체감과 내스크래치성이 향상된 장식유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장식유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2349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6785A (ko) * 2018-05-31 2019-12-10 주식회사 휴먼스 유리패널 입체패턴용 실크스크린 잉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입체패턴을 갖는 가전제품 전면패널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6785A (ko) * 2018-05-31 2019-12-10 주식회사 휴먼스 유리패널 입체패턴용 실크스크린 잉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입체패턴을 갖는 가전제품 전면패널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276898B (zh) 镀膜涂料、具有金属效果涂层的塑胶件及其制备工艺
KR102095611B1 (ko) 컬러 표면 입체패턴이 구현된 인테리어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CN103042849B (zh) 浮雕烫金工艺
KR102033487B1 (ko) 잉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인테리어 필름
CN101704633A (zh) 一种彩釉玻璃及其生产方法
CN103962292A (zh) 一种磁性颜料的涂装设备及涂装工艺
CN104533044A (zh) 一种感温变色立体图案墙贴及其制备方法
CN102085773B (zh) 丝绸磨漆画及其制备方法
CN106365694A (zh) 一种组合陶瓷墨水的立体图案陶瓷砖及其生产方法
CN102320751B (zh) 高低温正反印光栅立体彩晶玻璃及制备方法
KR100785887B1 (ko) 반짝이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100963949B1 (ko) 양면 무늬를 갖는 데코 글라스 및 그 제조 방법
KR20130023492A (ko) 입체감과 내스크래치성이 향상된 장식유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장식유리
CN106066734A (zh) 一种具有隐形触控显示功能的装饰面板及其制备方法
CN102493269A (zh) 仿真墙纸涂料技术及其施工工艺
CN102225680B (zh) 一种仿木质纹路的搪瓷装饰板制作方法
KR20180059152A (ko) 그라데이션 장식필름 및 그 제조방법
CN104419242A (zh) 一种新配方丝网印刷转色膏
CN104760441A (zh) 激光印花墙纸及其加工方法
KR100481627B1 (ko) 금속질감을갖는합성수지재시트의제조방법
CN107140851A (zh) 一种具有高温镜面材料层的玻璃装饰面板的制备方法
CN101367311A (zh) 立体图案的制作方法
CN1172027A (zh) 新型版画及其制造方法
CN201545788U (zh) 一种窑变抛釉砖
CN101229958A (zh) 透光立体彩色图案工艺玻璃及其制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SUBM Surrender of laid-open application requ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