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3380A - 다중-주파수 네트워크에서 콘텐츠를 분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다중-주파수 네트워크에서 콘텐츠를 분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3380A
KR20130023380A KR1020137002296A KR20137002296A KR20130023380A KR 20130023380 A KR20130023380 A KR 20130023380A KR 1020137002296 A KR1020137002296 A KR 1020137002296A KR 20137002296 A KR20137002296 A KR 20137002296A KR 20130023380 A KR20130023380 A KR 201300233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ltiplexes
distribution
multiplex
service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22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67908B1 (ko
Inventor
비니타 굽타
안 메이 첸
데바시 샤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300233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33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79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79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30Resource management for broadcast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주파수 네트워크에서 콘텐츠를 분배하기 위한 방법들 및 장치들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법은 서비스 계층 멀티플렉스들을 생성하기 위하여 콘텐츠 멀티플렉스와 서비스 오버헤드들을 결합하는 단계; 서비스 계층 멀티플렉스가 분배될, 다중-주파수 네트워크의 지역들을 결정하는 단계; 분배 계층 멀티플렉스들을 생성하기 위하여 서비스 계층 멀티플렉스와 분배 오버헤드들을 결합하는 단계; 및 다중-주파수 네트워크의 지역들에 분배 계층 멀티플렉스들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장치는 서비스 계층 멀티플렉스들을 생성하기 위하여 콘텐츠 멀티플렉스와 서비스 오버헤드들을 결합하고; 서비스 계층 멀티플렉스가 분배될, 다중-주파수 네트워크의 지역들을 결정하며; 분배 계층 멀티플렉스들을 생성하기 위하여 서비스 계층 멀티플렉스와 분배 오버헤드들을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결합 로직을 포함한다. 장치는 또한 다중-주파수 네트워크의 지역들에 분배 계층 멀티플렉스들을 전송하도록 구성된 출력 로직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다중-주파수 네트워크에서 콘텐츠를 분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METHODS AND APPARATUS FOR DISTRIBUTING CONTENT IN A MULTI­FREQUENCY NETWORK}
본 출원은 "다중-주파수 네트워크에서 서비스 및 흐름 멀티플렉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라는 명칭으로 2007년 4월 3일에 출원된 미국 가출원번호 제60/909,932호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 가출원은 본 발명의 양수인에게 양도되고 여기에 참조로 통합된다.
본 출원은 "다중-주파수 네트워크에서 등가 멀티플렉스들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라는 명칭으로 2007년 4월 4일에 출원된 미국 가출원 번호 제60/910,182호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 가출원은 본 발명의 양수인에게 양도되고 여기에 참조로 통합된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데이터 네트워크의 동작에 관한 것이며, 특히 다중-주파수 네트워크에서 콘텐츠를 분배하기 위한 방법들 및 장치들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과 같은 데이터 네트워크들은 단일 단말을 위하여 커스터마이징(customize)되는 서비스들과 많은 수의 단말들에 제공되는 서비스들 사이에서 트레이드 오프(trade off)해야 한다. 예컨대, 많은 수의 자원 제한 휴대용 장치들(가입자들)에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분배는 복잡한 문제이다. 따라서, 네트워크 오퍼레이터들, 콘텐츠 소매사업자들, 및 서비스 공급자들이 콘텐츠 및/또는 다른 네트워크 서비스들을 고속 및 효율적 방식으로 분배하여 대역폭 활용 및 전력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다중-주파수 네트워크(MFN: multi-frequency network)는 미디어 콘텐츠를 전송하기 위하여 다수의 무선 주파수들(RF)(또는 RF 채널들)이 사용되는 네트워크이다. 한 타입의 MFN은 분배 파형이 상이한 로컬 영역들에서 상이한 RF 채널들을 통해 전송되는 수평 다중-주파수 네트워크(HMFN: horizontal multi-frequency network)이다. 동일한 또는 상이한 콘텐츠는 이러한 로컬 영역들에서 상이한 RF 채널들을 통해 반송(carry)되는 분배 파형의 일부분으로서 전송될 수 있다. 다른 타입의 MFN은 (장치/최종 사용자에게 더 많은 콘텐츠를 전송하는 능력의 측면에서) 네트워크의 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독립적인 분배 파형들을 전송하기 위하여 다수의 무선 주파수(RF) 채널들이 주어진 로컬 영역에서 사용되는 수직 다중-주파수 네트워크(VMFN: vertical multi-frequency network)이다. MFN 디플로이먼트(deployment)는 또한 임의의 영역들에서의 VMFN과 임의의 다른 영역들에서의 HMFN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전형적인 HMFN에서, 로컬 동작 인프라스트럭처(LOI: local operations infrastructure)는 주어진 로컬 영역에서 RF 채널을 통해 단일 분배 파형을 전송하도록 동작하는 전송 사이트들(site)을 포함한다. 수직 MFN에서, 다수의 RF 채널들은 주어진 로컬 영역에서 콘텐츠들의 상이한 세트들을 반송하는 다수의 분배 파형들을 전송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MFN에서, 콘텐츠는 오버헤드 정보와 함께 하나 이상의 RF 채널들을 통해 전송된다. 콘텐츠와 연관된 오버헤드 정보는 수신 장치들이 자신의 원하는 콘텐츠들을 선택하고 수신하여 디코딩하도록 수신 장치들에 제어 및 시그널링을 제공한다.
특정 콘텐츠와 연관된 오버헤드 정보는 상기 콘텐츠가 반송되는 지리적 영역에 기초하여 상이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다중-주파수 네트워크의 다수의 영역들 및 다수의 RF 채널들에 콘텐츠 및 이와 연관된 오버헤드 정보를 효율적으로 분배하는 것이 복잡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다중-주파수 네트워크의 다수의 영역들 및 다수의 RF 채널들에 콘텐츠 및 이와 연관된 오버헤드 정보를 효율적으로 분배하도록 동작하는 분배 메커니즘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나 이상의 양상들에서, 다중-주파수 네트워크에서 콘텐츠 및 연관된 오버헤드 정보를 효율적으로 분배하도록 동작하는, 장치들 및 방법들을 포함하는 분배 시스템이 제공된다.
일 양상에서는 다중-주파수 네트워크에서 멀티플렉스를 분배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방법은 하나 이상의 서비스 계층 멀티플렉스들을 생성하기 위하여 선택된 콘텐츠 멀티플렉스와 하나 이상의 서비스 오버헤드들을 각각 결합하는 단계; 및 선택된 서비스 계층 멀티플렉스가 분배되는, 상기 다중-주파수 네트워크의 하나 이상의 지역들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방법은 또한 하나 이상의 분배 계층 멀티플렉스들을 생성하기 위하여 상기 선택된 서비스 계층 멀티플렉스와 하나 이상의 분배 오버헤드들을 각각 결합하는 단계 ― 상기 하나 이상의 분배 오버헤드들은 각각 상기 하나 이상의 지역들에 기초하여 결정됨 ―; 및 상기 다중-주파수 네트워크의 하나 이상의 지역들에 상기 하나 이상의 분배 계층 멀티플렉스들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양상에서는 다중-주파수 네트워크에서 멀티플렉스를 분배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된다. 본 장치는 하나 이상의 서비스 계층 멀티플렉스들을 생성하기 위하여 선택된 콘텐츠 멀티플렉스와 하나 이상의 서비스 오버헤드들을 각각 결합하고; 선택된 서비스 계층 멀티플렉스가 분배되는, 상기 다중-주파수 네트워크의 하나 이상의 지역들을 결정하며; 및 하나 이상의 분배 계층 멀티플렉스들을 생성하기 위하여 상기 선택된 서비스 계층 멀티플렉스와 하나 이상의 분배 오버헤드들을 각각 결합하도록 구성된 결합 로직을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분배 오버헤드들은 각각 상기 하나 이상의 지역들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본 장치는 또한 상기 다중-주파수 네트워크의 하나 이상의 지역들에 상기 하나 이상의 분배 계층 멀티플렉스들을 전송하도록 구성된 출력 로직을 포함한다.
일 양상에서는 다중-주파수 네트워크에서 멀티플렉스를 분배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된다. 본 장치는 하나 이상의 서비스 계층 멀티플렉스들을 생성하기 위하여 선택된 콘텐츠 멀티플렉스와 하나 이상의 서비스 오버헤드들을 각각 결합하기 위한 수단; 선택된 서비스 계층 멀티플렉스가 분배되는, 상기 다중-주파수 네트워크의 하나 이상의 지역들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 하나 이상의 분배 계층 멀티플렉스들을 생성하기 위하여 상기 선택된 서비스 계층 멀티플렉스와 하나 이상의 분배 오버헤드들을 각각 결합하기 위한 수단 ― 상기 하나 이상의 분배 오버헤드들은 각각 상기 하나 이상의 지역들에 기초하여 결정됨 ―; 및 상기 다중-주파수 네트워크의 하나 이상의 지역들에 상기 하나 이상의 분배 계층 멀티플렉스들을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일 양상에서는 다중-주파수 네트워크에서 멀티플렉스를 분배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제공된다. 본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머신-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하며, 상기 머신-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로 하여금 하나 이상의 서비스 계층 멀티플렉스들을 생성하기 위하여 선택된 콘텐츠 멀티플렉스와 하나 이상의 서비스 오버헤드들을 각각 결합하도록 하기 위한 코드들의 제 1 세트;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선택된 서비스 계층 멀티플렉스가 분배되는, 상기 다중-주파수 네트워크의 하나 이상의 지역들을 결정하도록 하기 위한 코드들의 제 2 세트;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하나 이상의 분배 계층 멀티플렉스들을 생성하기 위하여 상기 선택된 서비스 계층 멀티플렉스와 하나 이상의 분배 오버헤드들을 각각 결합하도록 하기 위한 코드들의 제 3 세트 ― 상기 하나 이상의 분배 오버헤드들은 각각 상기 하나 이상의 지역들에 기초하여 결정됨 ―; 및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다중-주파수 네트워크의 하나 이상의 지역들에 상기 하나 이상의 분배 계층 멀티플렉스들을 전송하도록 하기 위한 코드들의 제 4 세트를 포함한다.
일 양상에서는 다중-주파수 네트워크에서 멀티플렉스를 분배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집적회로가 제공된다. 이 적어도 하나의 집적회로는 하나 이상의 서비스 계층 멀티플렉스들을 생성하기 위하여 선택된 콘텐츠 멀티플렉스와 하나 이상의 서비스 오버헤드들을 각각 결합하기 위한 제 1 모듈; 선택된 서비스 계층 멀티플렉스가 분배되는, 상기 다중-주파수 네트워크의 하나 이상의 지역들을 결정하기 위한 제 2 모듈; 하나 이상의 분배 계층 멀티플렉스들을 생성하기 위하여 상기 선택된 서비스 계층 멀티플렉스와 하나 이상의 분배 오버헤드들을 각각 결합하기 위한 제 3 모듈 ― 상기 하나 이상의 분배 오버헤드들은 각각 상기 하나 이상의 지역들에 기초하여 결정됨 ―; 및 상기 다중-주파수 네트워크의 하나 이상의 지역들에 상기 하나 이상의 분배 계층 멀티플렉스들을 전송하기 위한 제 4 모듈을 포함한다.
다른 양상들은 이하의 도면의 간단한 설명,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를 참조할때 더욱더 명백해 질 것이다.
여기에서 제시된 전술한 양상들은 첨부 도면들을 참조로하여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고찰할때 더욱더 명백해 질 것이다.
도 1은 다중-주파수 네트워크의 2개의 와이드 영역 지역들에 콘텐츠 멀티플렉스들을 분배하는 것을 기술한 네트워크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에 기술된 콘텐츠 멀티플렉스들이 3개의 LOI들에 의하여 활용되는 RF 채널들에 어떻게 할당되는지를 기술한 다이어그램이다.
도 3은 분배 시스템의 양상들에서 사용하는 서비스 계층 멀티플렉스 및 분배 계층 멀티플렉스를 생성하는 것을 기술한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4는 분배 시스템의 양상들에서 분배 계층 멀티플렉스들이 어떻게 분배되는지를 기술한 네트워크를 도시한다.
도 5는 분배 시스템의 양상들에서 사용하는 예시적인 어그리게이션 로직을 도시한다.
도 6은 분배 시스템의 양상들에서 분배 멀티플렉스들이 어떻게 생성되는지를 기술한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7은 도 1에서 캡처(capture)된 디플로이먼트에 기초하여 서비스 및 분배 멀티플렉스들을 생성하는 것을 기술한 예를 도시한다.
도 8은 분배 시스템의 양상들에서 사용하는 전송 프레임의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9는 분배 시스템의 양상들에서 다중-주파수 네트워크의 로컬 동작 인프라스트럭처들 내에서 분배 멀티플렉스들이 어떻게 분배되는지를 기술한 다이어그램이다.
도 10은 분배 시스템의 양상들에서 사용하는 콘텐츠 및 이와 연관된 오버헤드를 분배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한다.
도 11은 분배 시스템의 양상들에서 사용하는 예시적인 어그리게이션 로직을 도시한다.
하나 이상의 양상들에서는 다중-주파수 네트워크에서 콘텐츠 및 이와 연관된 오버헤드 정보를 효율적으로 분배하도록 동작하는 분배 시스템이 제공된다. 일 양상에서, 분배 시스템은 다중-주파수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하나 이상의 분배 멀티플렉스들에 콘텐츠 데이터 및 이와 연관된 오버헤드 정보를 결합한다. 오버헤드 정보는 서비스 오버헤드 및 분배 오버헤드를 포함한다. 서비스 오버헤드는 콘텐츠와 연관된 서비스 계층 특정 제어 및 시그널링 정보를 포함한다. 예컨대, 서비스 오버헤드는 콘텐츠의 일부분으로서 반송되는 채널들/서비스들에 대한 프로그래밍 가이드 데이터를 포함한다. 분배 오버헤드는 분배 네트워크 특정 제어 및 시그널링 정보를 포함한다. 예컨대, 분배 오버헤드는 다중-주파수 네트워크에서 LOI들 및 RF 채널들을 식별하며, 다중-주파수 네트워크에서 이들 RF 채널들을 통해 반송되는 RF 채널들 및 콘텐츠 흐름들간의 매핑을 제공하는 등을 수행한다. 일 양상에서, 분배 시스템은 동일한 콘텐츠 데이터 그러나 상이한 서비스 오버헤드 및/또는 분배 오버헤드 데이터를 반송하는 분배 멀티플렉스들의 세트인 등가 분배 멀티플렉스들을 식별한다. 분배 시스템은 리던던트 정보(redundant information)의 전송을 감소시킴으로써 다중-주파수 네트워크를 통해 이들 등가 분배 멀티플렉스들을 효율적으로 전송하도록 동작한다.
시스템은 무선 네트워크 환경들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나, 통신 네트워크들, 인터넷과 같은 공중 네트워크들, 가상 사설 네트워크들(VPN: Virtual Private Network)과 같은 사설 네트워크들, 근거리 통신망들, 광역 통신망들, 롱홀(long haul) 네트워크들 또는 임의의 다른 타입의 데이터 네트워크를 포함하는(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음) 임의의 타입의 네트워크 환경에서 사용될 수 있다.
정의들
이하의 정의들은 분배 시스템의 양상들을 기술하기 위하여 여기에서 사용된다.
1. 로컬 영역(local area) - 빌딩, 빌딩들의 그룹, 커뮤니티(community), 도시(city), 군(county) 또는 서비스들이 방송될 수 있는 다른 좁은 지역과 같은 좁은 지리적 영역을 지칭한다.
2. 와이드 영역(wide area) - 군(county), 다수의 군들, 주(state), 다수의 주들, 또는 서비스들이 방송될 수 있는 다른 넓은 지역과 같은 넓은 지리적 영역을 지칭한다.
3. 콘텐츠 - 미디어 데이터, 예컨대 오디오, 비디오, 텍스트 및 임의의 다른 형태의 미디어 데이터를 지칭한다.
4. 콘텐츠 멀티플렉스 - 콘텐츠 흐름들(flow)의 그룹핑(grouping)을 지칭한다.
5. 멀티플렉스 세트 - 콘텐츠 멀티플렉스들의 그룹핑을 지칭한다.
6. 와이드 영역 멀티플렉스 - 적어도 하나의 와이드 영역에 방송되는 콘텐츠 흐름들의 그룹핑을 지칭한다.
7. 로컬 영역 멀티플렉스 - 적어도 하나의 로컬 영역에 방송되는 콘텐츠 흐름들의 그룹핑을 지칭한다.
8. 와이드 영역 동작 인프라스트럭처(WOI) - 와이드 영역에 콘텐츠 흐름들을 전송하도록 동작하는 송신기들 및 연관된 시스템들의 그룹핑을 지칭한다. WOI는 와이드 영역 멀티플렉스를 반송할 수 있는 가장 작은 지리적 와이드 영역에 매핑된다. 와이드 영역 멀티플렉스는 하나 이상의 WOI들에 방송될 수 있다.
9. 로컬 영역 동작 인프라스트럭처(LOI) - 로컬 영역에 콘텐츠 흐름들을 전송하도록 동작하는 송신기들 및 연관된 시스템들의 그룹핑을 지칭한다. LOI는 로컬 영역 멀티플렉스를 반송할 수 있는 가장 작은 지리적 로컬 영역에 매핑된다. 로컬 영역 멀티플렉스는 하나 이상의 LOI들에 방송될 수 있다. LOI는 하나 이상의 WOI들에 속할 수 있다.
10. RF 채널 - 선택된 LOI에 콘텐츠 분배 파형을 전송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을 지칭한다.
11. 콘텐츠 채널 - 특정 분배 파형내의 선택된 콘텐츠 흐름들을 지칭한다. 예컨대, 분배 파형은 다수의 콘텐츠 채널들을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콘텐츠 채널은 하나 이상의 콘텐츠 흐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약어들
이하의 약어들은 분배 시스템의 양상들을 기술하기 위하여 여기에서 사용된다.
LM - 로컬 영역 멀티플렉스
WM - 와이드 영역 멀티플렉스
NOC - 네트워크 동작 센터
LOI - 로컬 동작 인프라스트럭처
WOI - 와이드 동작 인프라스트럭처
VM - 수직 멀티플렉스
VMFN - 수직 다중 주파수 네트워크
HMFN - 수평 다중 주파수 네트워크
도입
도 1은 2개의 와이드 영역 인프라스트럭처들(WOI1, WOI2)에 와이드 및 로컬 콘텐츠 멀티플렉스들을 분배하는 것을 기술한 네트워크(100)를 도시한다. 예컨대, 제 1 와이드 영역 멀티플렉스(WM1)는 WOI1 및 WOI2 모두에 분배된다. WOI1은 LOI1 및 LOI2를 포함한다. WOI2는 LOI3 및 LOI4를 포함한다. 제 2 와이드 영역 멀티플렉스(WM2)는 또한 WOI1에 분배되고, 제 3 와이드 영역 멀티플렉스(WM3)는 WOI2에 분배된다. 더욱이, 제 1 로컬 영역 멀티플렉스(LM1)는 LOI1, LOI2 및 LOI3에 분배되며, 제 2 로컬 영역 멀티플렉스(LM2)는 LOI1 및 LOI2에 분배되며, 제 3 로컬 영역 멀티플렉스(LM3)는 LOI3에 분배된다. 게다가, 제 4 로컬 멀티플렉스(LM4) 및 제 5 로컬 멀티플렉스(LM5)는 LOI4에 분배된다. 도 1에 도시된 각각의 LOI가 각각의 연관된 로컬 지역에 와이드 및 로컬 멀티플렉스들을 방송하기 위하여 적어도 2개의 RF 채널들을 이용한다는 것이 가정될 것이다.
도 2는 도 1에 기술된 콘텐츠 멀티플렉스들이 3개의 LOI들에 의하여 활용되는 RF 채널들에 어떻게 할당되는지를 기술하는 다이어그램(200)을 도시한다. 예컨대, LOI1, LOI2 및 LOI3에 의하여 활용되는 RF 채널들은 다이어그램(200)으로 도시된다. LOI1 및 LOI2는 콘텐츠 및 이와 연관된 오버헤드 정보를 반송하기 위하여 제 1 RF 채널(RF1) 및 제 2 RF 채널(RF2)을 활용한다. LOI3는 콘텐츠 및 이와 연관된 오버헤드 정보를 반송하기 위하여 제 3 RF 채널(RF3) 및 제 4 RF 채널(RF4)을 활용한다.
RF 채널들의 각각은 선택된 콘텐츠 및/또는 서비스들을 각각의 영역들의 장치들에 전송하는 하나 이상의 멀티플렉스들을 반송한다. 예컨대, LOI1 및 LOI2에서는 채널 RF1이 (WM1, LM1)을 전송하고 RF2가 (WM2, LM2)를 전송하며 LOI3에서는 채널 RF3가 (WM1, LM1)을 반송하고 채널 RF4가 (WM3, LM3)을 전송하는 것이 본 명세서에서 가정될 것이다. 지리적 영역 및 또한 연관된 수직 멀티플렉스 세트에 따라 콘텐츠 멀티플렉스와 연관된 오버헤드 정보가 상이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수직 멀티플렉스 세트(VM 세트)는 LOI에 반송되는 콘텐츠 멀티플렉스들의 고유 조합으로서 정의된다. VM 세트들은 와이드 및 로컬 콘텐츠 멀티플렉스들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정의된다. 동일한 VM 세트는 또한 다수의 LOI들에 반송될 수 있다. 도 2에서, LOI1 및 LOI2는 동일한 와이드 VM 세트(WM1, WM2) 및 동일한 로컬 VM 세트(LM1, LM2)를 반송하며, LOI3는 와이드 VM 세트(WM1, WM3) 및 로컬 VM 세트(LM1, LM3)를 반송한다. 따라서, 도 2에서, LOI2의 WM1과 연관된 오버헤드 정보는 상이한 지리적 지역들 및 이들 지역들내의 상이한 연관된 와이드 VM 세트들 때문에 LOI3의 WM1과 연관된 오버헤드 정보와 상이할 수 있다. WM1과 연관된 오버헤드 정보가 서비스 오버헤드 및 분배 오버헤드로 구성된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도 3은 분배 시스템의 양상들에서 사용하는 서비스 계층 멀티플렉스 및 분배 계층 멀티플렉스를 생성하는 것을 기술한 다이어그램(300)을 도시한다. 서비스 계층 멀티플렉스들 및 분배 계층 멀티플렉스들은 와이드 및 로컬 멀티플렉스들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생성된다. 일 양상에서, 콘텐츠 계층 멀티플렉스를 나타내는 콘텐츠 데이터(302)는 서비스 계층 멀티플렉스(306)를 형성하기 위하여 서비스 오버헤드(304)에 포함된 서비스 특정 제어 및 시그널링 정보와 결합된다. 예컨대, 서비스 오버헤드(304)는 콘텐츠 데이터에서 이용가능한 다양한 콘텐츠 흐름들을 식별하는 정보를 제공하며, 예컨대 사용자가 콘텐츠 흐름들을 액세스하도록 프로그래밍 가이드 정보를 제공한다. 서비스 오버헤드(304)는 콘텐츠 멀티플렉스가 방송되는 상이한 지역들에 대하여 상이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그래밍 가이드 데이터는 VM 세트의 모든 멀티플렉스들을 통해 반송되는 모든 서비스들을 위하여 통합 방식(integrated fashion)으로 생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도 2에서, WM1과 연관된 서비스 오버헤드는 WM1이 LOI1 및 LOI2들의 2개의 상이한 와이드 VM 세트들과 연관되기 때문에 LOI1 및 LOI2에서 상이할 것이다.
서비스 멀티플렉스(306)는 분배 계층 멀티플렉스(308)를 형성하기 위하여 분배 오버헤드(310)에 포함된 분배 네트워크 특정 제어 및 시그널링 정보와 결합된다. 예컨대, 분배 오버헤드(310)는 다중-주파수 네트워크에서 콘텐츠 흐름들을 분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LOI들 및 RF 채널들을 식별하고 콘텐츠 흐름 및 서비스 오버헤드를 디코딩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연관된 디스크램블링 시퀀스들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분배 오버헤드(310)는 또한 다중-주파수 네트워크에서 반송되는 RF 채널들 및 콘텐츠 흐름들간의 매핑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분배 계층 멀티플렉스(308)는 다중-주파수 네트워크에서 분배 파형의 일부분으로서 장치들에 분배된다. 앞서 기술된 바와같이, 주어진 콘텐츠 멀티플렉스와 연관된 분배 오버헤드 및 서비스 오버헤드는 그 콘텐츠 멀티플렉스가 방송되는 지리적 지역들(LOI)과 이들 지역들의 연관된 VM 세트에 기초할때 상이할 수 있다. 콘텐츠 데이터(302), 서비스 오버헤드(304) 및 분배 오버헤드(310)의 각각의 고유 조합은 분배 계층 멀티플렉스를 형성한다. 하나 이상의 분배 계층 멀티플렉스들은 각각의 콘텐츠 멀티플렉스와 연관된 다양한 서비스 오버헤드 및 분배 오버헤드에 따라 각각의 콘텐츠 멀티플렉스에 대하여 생성된다. 따라서, 분배 시스템의 양상들에서, 하나 이상의 분배 계층 멀티플렉스들은 다중-주파수 네트워크에서 분배하기 위하여 생성된다. 일 양상에서, 동일한 콘텐츠 데이터와 연관되는 모든 분배 계층 멀티플렉스들은 등가(equivalent) 분배 계층 멀티플렉스들로서 식별된다. 예컨대, LOI1, LOI2 및 LOI3에 분배하기 위하여 WM1에 대하여 생성된 분배 계층 멀티플렉스들은 등가 분배 멀티플렉스들로서 식별될 것이다. 등가 분배 멀티플렉스들의 모든 세트에 대하여, 콘텐츠 데이터의 단지 하나의 인스턴스(instance)만이 백홀(backhaul) 전송 대역폭을 최적화하기 위하여 네트워크 동작 센터(NOC: network operations center)로부터 송신기 사이트들로 전송된다.
도 4는 분배 계층 멀티플렉스들이 분배 시스템의 양상들에서 어떻게 분배되는지를 기술하는 네트워크(400)를 도시한다. 예컨대, 네트워크(400)는 도 1에 도시된 네트워크(100)의 부분이다. 네트워크(400)는 네트워크 동작 센터(NOC)(402), LOI2 및 LOI3를 포함한다.
NOC(402)는 다중-주파수 네트워크의 선택된 WOI들 및 LOI들에 분배하기 위한 와이드 및 로컬 콘텐츠 멀티플렉스들을 수신하도록 동작한다. NOC(402)는 또한 와이드 및 로컬 콘텐츠 멀티플렉스들과 연관된 적절한 오버헤드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제어 및 시그널링 정보를 수신하도록 동작한다. NOC(402)는 콘텐츠 및 연관된 오버헤드 정보를 분배하는 다중-주파수 네트워크를 구성(configure)하도록 동작한다.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NOC(402)는 네트워크의 지리적 지역들, 각각의 지역에서 사용되는 RF 채널들, 및 네트워크를 구성(configure)하고 와이드 및 로컬 콘텐츠 멀티플렉스들 및 연관된 오버헤드 정보를 분배하는데 필요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네트워크 정보를 안다.
일 양상에서, NOC(402)는 어그리게이션 로직(aggregation logic)(404)을 포함한다. 어그리게이션 로직(404)은 서비스 계층 멀티플렉스들을 생성하기 위하여 선택된 콘텐츠 멀티플렉스 및 이와 연관된 서비스 오버헤드 정보를 결합하도록 동작한다. 서비스 오버헤드는 서비스 특정 제어 정보, 예컨대 프로그래밍 가이드, 가입 패키지들의 리스트 등을 식별한다. 주어진 콘텐츠 멀티플렉스와 연관된 서비스 오버헤드는 상이한 연관된 VM 세트들 때문에 콘텐츠 멀티플렉스가 반송되는 상이한 지역들에서 상이할 수 있다. 예컨대, 콘텐츠 멀티플렉스 WM1(도 2)를 위하여 전송되는 프로그래밍 가이드 데이터는 LOI2 및 LOI3들의 상이한 연관된 VM 세트들 때문에 LOI2 및 LOI3에 대하여 상이할 수 있다. 제 1 통합된 프로그래밍 가이드는 연관된 VM 세트(WM1, WM2)에서 멀티플렉스들에 대한 서비스/채널 정보를 포함하는 LOI2의 WM1과 함께 전송되며, 제 2 통합된 프로그래밍 가이드는 연관된 VM 세트(WM1, WM3)에서 멀티플렉스들에 대한 서비스/채널 정보를 포함하는 LOI3의 WM1과 함께 전송될 수 있다. 이에 기초하여, 어그리게이션 로직(404)은 콘텐츠 멀티플렉스 WM1에 대한 2개의 상이한 서비스 멀티플렉스들, 즉 LOI2에 대한 서비스 멀티플렉스 및 LOI3에 대한 서비스 멀티플렉스를 생성할 것이다. 따라서, 어그리게이션 로직(404)은 각각의 콘텐츠 멀티플렉스와 연관된 서비스 오버헤드 정보의 상이한 세트에 기초하여 각각의 콘텐츠 멀티플렉스에 대한 하나 이상의 서비스 계층 멀티플렉스들을 생성하도록 동작한다.
어그리게이션 로직(404)은 분배 계층 멀티플렉스들을 생성하기 위하여 각각의 서비스 계층 멀티플렉스 및 이와 연관된 분배 오버헤드 정보를 결합하도록 추가로 동작한다. 분배 오버헤드는 분배 네트워크 특정 제어 정보, 예컨대 현재 및 인접 LOI들에 디플로이(deploy)되는 RF 채널들의 리스트, RF 채널 및 이들 RF 채널들을 통해 반송되는 콘텐츠 흐름들간의 매핑, 와이드 및 로컬 인프라스트럭처 식별자들(WOI 및 LOI 식별자들) 등을 식별한다. 주어진 서비스 멀티플렉스와 연관된 분배 오버헤드는 상이한 지역들에 대한 상이한 연관된 인프라스트럭처(WOI들 및 LOI들)과 이들 지역들에 대한 상이한 RF 채널 디플로이먼트(deployment) 때문에 서비스 멀티플렉스가 반송되는 상이한 지역들에서 상이할 수 있다. 예컨대, 현재 및 인접 LOI들에 디플로이되는 RF 채널들의 리스트는 LOI2 및 LOI3에 대하여 상이할 것이다. 이에 기초하여, 어그리게이션 로직(404)은 각각 LOI2 및 LOI3에 분배하기 위하여 WM1과 연관된 2개의 분배 계층 멀티플렉스들을 생성할 것이다. 따라서, 어그리게이션 로직(404)은 각각의 서비스 멀티플렉스와 연관된 분배 오버헤드 정보의 상이한 세트에 기초하여 각각의 서비스 멀티플렉스에 대한 하나 이상의 분배 계층 멀티플렉스들을 생성하도록 동작한다. 어그리게이션 로직(404)은 또한 생성된 분배 계층 멀티플렉스들로부터 등가 분배 계층 멀티플렉스들의 하나 이상의 세트들을 식별하도록 동작한다. 어그리게이션 로직(404)에 대한 더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의 다른 단락에 제공된다.
NOC(402)는 네트워크(400)에서 LOI들에 분배 계층 멀티플렉스들을 전송하도록 동작한다. 비록 단지 2개의 LOI들이 도시될지라도 NOC(402)가 임의의 수의 LOI들에 분배 멀티플렉스들을 전송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일 양상에서, LOI2 및 LOI3은 하나 이상의 송신기 사이트들을 포함한다. 예컨대, LOI2는 송신기 사이트들(406, 408)을 포함하며, LOI3는 송신기 사이트들(410, 412)을 포함한다. 각각의 송신기 사이트는 정보를 선택된 RF 채널을 통해 자신의 각각의 LOI에 전송하도록 동작한다. 예컨대, 송신기 사이트(406)는 정보를 RF 채널(RF1)을 사용하여 LOI2에 전송한다.
일 양상에서, NOC(402)는 분배 계층 멀티플렉스들(414)을 송신기 사이트들에 효율적으로 전송하도록 동작한다. 등가 분배 계층 멀티플렉스들의 모든 세트에 대하여, NOC(402)는 백홀 전송 대역폭 사용을 최적화하기 위하여 콘텐츠 데이터의 단지 하나의 인스턴스만을 송신기 사이트들에 전송한다. 예컨대, 어그리게이션 로직(404)은 도시된 바와같이 LOI2 및 LOI3에 대한 WM1에 대하여 2개의 분배 계층 멀티플렉스들(426, 428)을 생성하도록 동작한다. 분배 멀티플렉스들(426, 428)은 그들이 동일한 콘텐츠 멀티플렉스 WM1(콘텐츠-WM1) 그러나 상이한 서비스 오버헤드들(S1, S2) 및 분배 오버헤드들(D1, D2)과 연관되기 때문에 등가 멀티플렉스들이다. NOC(402)는 도면부호 430으로 도시된 바와같이 송신기 사이트들에 분배 계층 멀티플렉스들(426, 428)을 전송한다. 콘텐츠 데이터 컴포넌트(콘텐츠-WM1)의 단지 하나의 인스턴스만이 서비스 오버헤드 컴포넌트들(S1, S2) 및 분배 오버헤드 컴포넌트들(D1, D2)과 함께 전송된다. 그러므로, NOC(402)는 분배 계층 멀티플렉스들(426, 428)을 전송하는데 필요한 백홀 대역폭에 대하여 최적화한다.
NOC(402)는 도면부호 414에 기술된 바와같이 임의의 적절한 전송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송신기 사이트들에 분배 계층 멀티플렉스들을 전송하도록 동작한다. 분배 계층 멀티플렉스들의 각각의 컴포넌트(콘텐츠, 서비스, 오버헤드 및 분배 오버헤드)에는 선택된 전송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전송을 위한 전송 식별자가 할당된다. 예컨대, 일 양상에서, NOC(402)는 MPEG-2 전송 메커니즘(414)을 사용하여 송신기 사이트들에 분배 멀티플렉스들을 전송한다. 이러한 구성에서, 분배 멀티플렉스들의 각각의 컴포넌트에는 각각의 송신기 사이트가 연관된 LOI에 전송하는 것을 목표로 한 분배 멀티플렉스와 연관된 적절한 컴포넌트들을 검출하고 수신하기 위하여 전송 식별자들을 사용할 수 있도록 MPEG-2 전송 식별자들이 할당된다. 분배 멀티플렉스의 분배 오버헤드, 서비스 오버헤드 및 콘텐츠 데이터 컴포넌트들에는 상이한 전송 식별자들이 할당된다.
일 양상에서, 송신기 사이트들의 서버들은 그들이 자신의 각각의 LOI들에 전송하기 위하여 분배 멀티플렉스들의 어느 특정 컴포넌트들이 예정되어 있는지를 결정하기 위하여 전송 식별자들을 사용한다. 그 다음에, 서버들은 전송을 위한 전송 프레임들에 그들의 각각의 분배 계층 멀티플렉스들의 상이한 컴포넌트들을 팩(pack)하도록 동작한다. 서버들은 전송을 위한 전송 프레임들에 분배 계층 멀티플렉스 컴포넌트들을 팩하기 위하여 임의의 적절한 물리 계층 프로세스를 활용한다.
일 양상에서, 송신기 사이트들(406)은 도면부호 416으로 도시된 바와같이 RF 채널(RF1)을 사용하여 LOI2에 자신의 전송 프레임들을 전송하도록 동작하며, 송신기 사이트(408)는 도면부호 418로 도시된 바와같이 RF 채널(RF2)을 사용하여 LOI3에 전송 프레임들을 전송하도록 동작한다. 다수의 RF 채널들을 사용함으로써, 네트워크(100)는 더 많은 분배 계층 멀티플렉스들을 각각의 LOI에 전송할 수 있다. 유사한 방식으로, 송신기 사이트들(410, 412)은 RF3 및 RF4를 사용하여 LOI3의 장치들에 전송하기 위하여 NOC(402)로부터 분배 계층 멀티플렉스들을 수신하도록 동작한다. 송신기 사이트들(406, 408, 및 410, 412)이 그들의 각각의 LOI들내에 함께 배치되거나 또는 임의의 원하는 거리만큼 분리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도면부호 432 및 434로 도시된 바와같이, 송신기 사이트들(406, 410)의 서버들은 전송 계층으로부터 적절한 분배 멀티플렉스 컴포넌트들을 수신하고 그들의 각각의 LOI들에 이들 컴포넌트들을 전송하도록 동작한다.
일 양상에서, 장치(420)는 선택된 전송 프레임들을 수신하기 위하여 LOI2의 선택된 RF 채널에 동조(tune)하도록 동작하는 수신기(422)를 포함한다. 예컨대, 수신기(422)는 송신기 사이트(406)로부터 전송 프레임들(416)을 수신하기 위하여 RF 채널(RF1)에 동조하도록 동작한다. 수신되는 전송 프레임들은 어그리게이션 로직(404)에 의하여 생성된 분배 계층 멀티플렉스들(와이드 및 로컬 분배 멀티플렉스들)을 포함한다.
수신기(422)는 디코더(424)에 수신된 전송 프레임들을 패스(pass)한다. 디코더(424)는 장치 사용자가 연관된 콘텐츠 멀티플렉스들을 선택하여 렌더링(rendering)하도록 분배 계층 멀티플렉스들을 디코딩하도록 동작한다. 예컨대, 서비스 오버헤드는 사용자로 하여금 디코딩될 콘텐츠를 선택하도록 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분배 오버헤드는 선택된 콘텐츠를 디코딩하도록 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예컨대, 서비스 오버헤드는 렌더링을 위한 장치상에서 특정 서비스/채널을 선택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프로그래밍 가이드 데이터를 포함하며, 분배 오버헤드는 RF 채널 매핑 정보에 콘텐츠 흐름들을 제공하며 또한 선택된 콘텐츠를 디코딩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 RF 채널들과 연관된 디스크램블링 시퀀스 식별자들을 제공한다.
따라서, 분배 시스템의 양상들은 다중-주파수 네트워크에서 콘텐츠 및 연관된 오버헤드 정보를 효율적으로 분배하도록 동작한다. 네트워크(400)가 단지 하나의 구현을 기술하며 다른 구현들이 다양한 양상들의 범위내에서 가능하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도 5는 분배 시스템의 양상에서 사용하는 어그리게이션 로직(500)을 도시한다. 예컨대, 어그리게이션 로직(500)은 도 4에 도시된 어그리게이션 로직(404)으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어그리게이션 로직(500)은 결합 로직(502), 멀티플렉스 세트 로직(504), 멀티플렉스 입력 로직(506) 및 출력 로직(508)을 포함하며, 이 로직들 모두는 데이터 버스(510)에 접속된다.
멀티플렉스 입력 로직(506)은 CPU, 프로세서, 게이트 어레이, 하드웨어 로직, 메모리 엘리먼트들, 및/또는 하드웨어 실행 소프트웨어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멀티플렉스 입력 로직(506)은 다중-주파수 분배 네트워크의 와이드 및 로컬 지역들에 분배되는 하나 이상의 와이드 및/또는 로컬 영역 콘텐츠 멀티플렉스들(512)을 수신하도록 동작한다.
멀티플렉스 세트 로직(504)은 CPU, 프로세서, 게이트 어레이, 하드웨어 로직, 메모리 엘리먼트들, 및/또는 하드웨어 실행 소프트웨어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멀티플렉스 세트 로직(504)은 수신된 콘텐츠 멀티플렉스들이 하나 이상의 수직 멀티플렉스 세트들과 연관되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도록 동작한다. 일 양상에서, 와이드 영역 수직 멀티플렉스 세트는 선택된 LOI에 전송되는 모든 와이드 영역 멀티플렉스들을 포함하며, 로컬 영역 수직 멀티플렉스 세트는 선택된 LOI에 전송되는 모든 로컬 영역 멀티플렉스들을 포함한다. 일 양상에서, 만일 콘텐츠 멀티플렉스가 다수의 수직 멀티플렉스 세트들에 속하면, 그것은 각각의 멀티플렉스 세트에 대한 상이한 서비스 오버헤드 및 분배 오버헤드 정보와 연관될 수 있다. 멀티플렉스 세트 로직(504)은 또한 수신된 콘텐츠 멀티플렉스들이 하나 이상의 인프라스트럭처들(WOI들, LOI들)에 반송되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도록 동작한다. 일 양상에서, 만일 콘텐츠 멀티플렉스가 다수의 인프라스트럭처를 통해 반송되면, 그것은 이들 인프라스트럭처들의 각각에 대한 상이한 분배 오버헤드 정보와 연관될 수 있다.
결합 로직(502)은 CPU, 프로세서, 게이트 어레이, 하드웨어 로직, 메모리 엘리먼트들 및/또는 하드웨어 실행 소프트웨어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결합 로직(502)은 콘텐츠 멀티플렉스들이 다중-주파수 네트워크에서 어떻게 분배되는지를 결정하도록 동작한다. 예컨대, 결합 로직(502)은 콘텐츠 멀티플렉스들 및 멀티플렉스 세트들이 네트워크에서 어떻게 분배되는지를 결정하기 위하여 멀티플렉스 세트 로직(504)에 의하여 제공되는 정보를 활용한다. 결합 로직(502)은 멀티플렉스 세트 로직(504)으로부터 수신된 연관된 멀티플렉스 분배 정보에 기초하여 각각의 콘텐츠 멀티플렉스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서비스 오버헤드들 및 분배 오버헤드들을 결정하도록 동작한다. 결합 로직(502)은 서비스 계층 멀티플렉스들을 생성하기 위하여 콘텐츠 멀티플렉스들에 연관된 하나 이상의 서비스 오버헤드 정보를 더하도록 동작한다. 예컨대, 콘텐츠 멀티플렉스는 콘텐츠를 기술하는 프로그래밍 가이드와 같은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오버헤드와 결합된다. 그 다음에, 결합 로직(502)은 분배 계층 멀티플렉스들을 생성하기 위하여 서비스 멀티플렉스에 하나 이상의 연관된 분배 오버헤드 정보를 더한다. 분배 오버헤드는 다중-주파수 네트워크에서 장치들에 분배 계층 멀티플렉스를 전송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LOI들 및 RF 채널들을 기술한다.
일 양상에서, 결합 로직(502)은 다중-주파수 네트워크에서 분배될 등가 분배 계층 멀티플렉스들의 세트를 식별하도록 동작한다. 예컨대, 동일한 콘텐츠 데이터 그러나 상이한 서비스 오버헤드 및 분배 오버헤드들을 포함하는 분배 멀티플렉스들은 등가 멀티플렉스들(equivalent multiplex)로서 식별된다. 일단 등가 멀티플렉스들이 식별되면, 결합 로직(502)은 이러한 정보를 출력 로직(508)에 패스하도록 동작한다. 결합 로직(502)의 동작에 대한 더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의 다른 단락들에 제공된다.
출력 로직(508)은 CPU, 프로세서, 게이트 어레이, 하드웨어 로직, 메모리 엘리먼트들, 및/또는 하드웨어 실행 소프트웨어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출력 로직(508)은 다중-주파수 네트워크에서 LOI들과 연관된 송신기들에 의하여 분배하기 위한 분배 계층 멀티플렉스들을 출력하도록 동작한다. 예컨대, 출력 로직(508)은 임의의 타입의 전송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다중-주파수 네트워크에서 송신기 사이트들에 분배 계층 멀티플렉스들을 출력하도록 동작한다.
일 양상에서, 출력 로직(508)은 송신기 사이트들에 전송하기 위한 분배 멀티플렉스들의 상이한 컴포넌트들에 전송 식별자들을 할당하도록 동작한다. 백홀 대역폭 사용을 최적화하기 위하여, 출력 로직(508)은 등가 분배 멀티플렉스들의 각각의 세트에 대한 콘텐츠 데이터의 단지 하나의 인스턴스만을 전송한다. 그 다음에, 등가 멀티플렉스들의 각각의 세트에 대한 상이한 서비스 오버헤드들, 분배 오버헤드들 및 공통 콘텐츠 데이터는 임의의 선택된 전송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출력 로직(508)에 의하여 송신기 사이트들에 전송된다.
일 양상에서, 분배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예컨대 결합 로직(502)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될때 여기에서 기술된 기능들을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명령들("명령들") 또는 "코드들의 세트들"을 저장한 머신-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포함한다. 예컨대, 코드들의 세트들은 플로피 디스크, CDROM, 메모리 카드, FLASH 메모리 장치, RAM, ROM 또는 어그리게이션 로직(500)에 인터페이싱하는 임의의 다른 타입의 메모리 장치 또는 머신-판독가능 매체와 같은 머신-판독가능 매체로부터 어그리게이션 로직(500)으로 로드될 수 있다. 다른 양상에서, 코드들의 세트들은 외부 장치 또는 네트워크 자원으로부터 어그리게이션 로직(500)으로 다운로드될 수 있다. 코드들의 세트들은 실행될때 여기에서 제시된 분배 시스템의 양상들을 제공한다.
도 6은 서비스 멀티플렉스들 및 분배 멀티플렉스들이 분배 시스템의 양상들에서 어떻게 생성되는지를 기술한 다이어그램(600)을 도시한다. 예컨대, 도 5에 도시된 어그리게이션 로직(500)은 도 6에 도시된 서비스 멀티플렉스들 및 분배 멀티플렉스들을 생성하도록 동작한다.
일 양상에서, 와이드 또는 로컬 멀티플렉스를 나타내는 콘텐츠 멀티플렉스 데이터(602)는 최대 N개의 서비스 계층 멀티플렉스들(606)을 생성하기 위하여 상이한 서비스 오버헤드 정보(604)와 결합된다. 예컨대, 단일 콘텐츠 멀티플렉스와 연관된 각각의 서비스 멀티플렉스의 서비스 오버헤드는 상이할 것이다. N개의 서비스 계층 멀티플렉스들(606)은 다중-주파수 네트워크에서 다수의 WOI들/LOI들에 분배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결합 로직(502)은 하나 이상의 서비스 계층 멀티플렉스들(606)을 생성하기 위하여 콘텐츠 멀티플렉스 데이터(602)에 하나 이상의 서비스 오버헤드(604)를 더하도록 동작한다.
서비스 계층 멀티플렉스들(606)은 최대 N개의 분배 계층 멀티플렉스들(610)을 생성하기 위하여 분배 오버헤드 정보(608)와 결합된다. 예컨대, 단일 서비스 멀티플렉스와 연관된 각각의 분배 멀티플렉스의 분배 오버헤드는 상이할 것이다. 일 양상에서, 결합 로직(502)은 하나 이상의 분배 계층 멀티플렉스들(610)을 생성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분배 오버헤드(608)와 서비스 멀티플렉스를 결합하도록 동작한다.
동일한 콘텐츠 멀티플렉스와 연관되는 상이한 분배 계층 멀티플렉스들이 등가 멀티플렉스들로서 지칭되고 이들이 등가 멀티플렉스 세트를 형성한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예컨대, 도 6에 도시된 분배 멀티플렉스들은 그들이 동일한 콘텐츠 멀티플렉스(602)와 연관되기 때문에 등가 멀티플렉스 세트의 부분이다. 동일한 콘텐츠 멀티플렉스(602)와 연관되는 모든 서비스 멀티플렉스(606)와 연관되는 모든 분배 멀티플렉스들의 세트는 완전한 등가 멀티플렉스 세트를 형성한다. 일 양상에서, 분배 시스템은 백홀 대역폭 사용을 최적화하기 위하여 등가 분배 멀티플렉스들의 세트의 모든 분배 멀티플렉스들에 대한 콘텐츠 데이터의 단지 하나의 인스턴스를 전송함으로써 송신기 사이트들에 등가 분배 멀티플렉스들을 효율적으로 전송하도록 동작한다.
도 7은 네트워크(100)에서 캡처(capture)된 디플로이먼트에 대한 서비스 멀티플렉스들 및 분배 멀티플렉스들을 생성하는 것을 기술한 예를 도시한다. 일 양상에서, 어그리게이션 로직(404)은 서비스 멀티플렉스들 및 분배 멀티플렉스들을 생성하도록 동작한다. 와이드 콘텐츠 멀티플렉스(WM1)는 콘텐츠 멀티플렉스 WM1과 연관된 2개의 상이한 와이드 VM 세트들에 대한 2개의 상이한 와이드 서비스 멀티플렉스들(WSM1, WSM2)에 매핑된다. WSM1은 연관된 VM 세트{WM1, WM2}가 반송되는 WOI1과 연관된 제 1 와이드 분배 멀티플렉스(WDM1)에 매핑된다. WSM2는 연관된 VM 세트(WM1, WM3)가 반송되는 WOI2와 연관된 제 2 와이드 분배 멀티플렉스(WDM2)에 매핑된다. 로컬 콘텐츠 멀티플렉스 LM1은 콘텐츠 멀티플렉스 LM1과 연관된 2개의 상이한 로컬 VM 세트들에 대한 2개의 상이한 로컬 서비스 멀티플렉스들(LSM1, LSM2)에 매핑된다. LSM1은 연관된 VM 세트{LM1, LM2}가 반송되는 LOI1 및 LOI2와 각각 연관된 2개의 상이한 로컬 분배 멀티플렉스(LDM1, LDM1)에 매핑된다. LSM2는 연관된 VM 세트{LM1, LM3}가 반송되는 LOI3와 연관된 제 3 로컬 분배 멀티플렉스(LDM3)에 매핑된다.
도 8은 분배 시스템의 양상들에서 사용하는 전송 프레임(800)의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예컨대, 전송 프레임(800)은 분배 멀티플렉스들과 팩(pack)될 수 있고 도 4에 도시된 송신기 사이트들중 하나 이상에 전송될 수 있다.
전송 프레임(800)은 일반적으로 도면부호 802로 도시되고 와이드 및 로컬 콘텐츠를 전송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4개의 서브-프레임들을 포함한다. 예컨대, 각각의 서브프레임(802)은 와이드 영역 콘텐츠와 팩(pack)되는 와이드 영역 파티션(partition)(804) 및 로컬 영역 콘텐츠와 팩(pack)되는 로컬 영역 파티션(806)을 포함한다.
와이드 영역 파티션(804)에는 와이드 영역 분배 계층 멀티플렉스(826)가 포함된다. 와이드 영역 분배 계층 멀티플렉스(826)는 와이드 영역 콘텐츠 및 연관된 서비스 및 분배 오버헤드 정보를 장치들에 전송한다. 로컬 영역 파티션(806)에는 로컬 영역 분배 멀티플렉스(828)가 포함된다. 로컬 영역 분배 멀티플렉스(828)는 로컬 영역 콘텐츠 및 연관된 서비스 및 분배 오버헤드 정보를 장치들에 전송한다.
전송 프레임(800)의 시작부분에는 서브-프레임들(802)에서 와이드 영역 분배 멀티플렉스(826) 및 로컬 영역 분배 멀티플렉스(828)의 부분으로서 반송되는 콘텐츠 및 오버헤드 정보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제어 정보를 제공하는 오버헤드 정보 심볼들(OIS)(812)이 있다. OIS(812)는 와이드 영역 파티션(804)에 대한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와이드 OIS 부분(814)과 로컬 영역 파티션(806)에 대한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로컬 OIS 부분(816)을 포함한다.
일 양상에서, 와이드 영역 파티션(804)은 와이드 영역 분배 멀티플렉스(826)와 연관되는, 와이드 콘텐츠(808), 서비스 오버헤드(818) 및 분배 오버헤드(820)의 제 1 부분을 전송한다. 분배 오버헤드(820)의 제 2 부분은 와이드 OIS(814)로 반송된다. 로컬 영역 파티션(806)은 로컬 영역 분배 멀티플렉스(828)와 연관되는, 로컬 콘텐츠(810), 서비스 오버헤드(822) 및 분배 오버헤드(824)의 제 1 부분을 전송한다. 분배 오버헤드(824)의 제 2 부분은 로컬 OIS(816)으로 반송된다.
도 9는 분배 멀티플렉스들이 분배 시스템의 양상들에서 다중-주파수 네트워크의 LOI들내에 어떻게 분배되는지를 기술하는 다이어그램(900)을 도시한다. 예컨대, 송신기 사이트들(406, 408, 410, 412)은 LOI2 및 LOI3내에 분배 멀티플렉스들을 분배하도록 동작한다. 일 양상에서, 각각의 송신기 사이트는 NOC(402)로부터 분배 멀티플렉스들을 수신하도록 동작한다. 분배 멀티플렉스들은 분배 오버헤드, 서비스 오버헤드 및 연관된 콘텐츠 데이터를 포함한다. 각각의 송신기는 자신의 LOI을 위하여 의도된 분배 멀티플렉스의 적절한 컴포넌트들을 획득하며, 그 다음에 분배 멀티플렉스는 할당된 RF 채널을 통해 연관된 LOI에 전송하기 위한 전송 프레임들에 팩(pack)된다.
분배 멀티플렉스들(902, 904, 906, 908)이 분배 오버헤드, 서비스 오버헤드, 및 와이드 및 로컬 콘텐츠 멀티플렉스들을 포함한다는 것이 가정될 것이다. 따라서, 와이드 영역 멀티플렉스들(WM1, WM2)은 LOI2에 분배되는 모든 와이드 영역 콘텐츠 멀티플렉스들을 포함한다. 로컬 영역 멀티플렉스들(LM1, LM2)은 LOI2에 분배되는 모든 로컬 영역 멀티플렉스들을 포함한다.
LOI2는 전송 프레임들(910, 912)을 전송하기 위하여 각각 사용되는 2개의 RF 채널들(RF1, RF2)을 포함한다. 각각의 전송 프레임은 OIS, 및 와이드(W) 및 로컬(L) 데이터 파티션들을 포함한다. LOI2에서, 분배 멀티플렉스(902)는 전송 프레임들(912)의 와이드 파티션내에 분배된다. 와이드 분배 멀티플렉스(902)와 연관된 분배 오버헤드의 부분은 또한 OIS의 부분으로서 분배된다. 분배 멀티플렉스(904)는 전송 프레임들(912)의 로컬 파티션내에 분배된다. 로컬 분배 멀티플렉스(904)와 연관된 분배 오버헤드의 부분은 또한 OIS의 부분으로서 분배된다. 유사한 분배가 RF1에 분배되는 분배 멀티플렉스들(906, 908)과 관련하여 LOI2내에서 수행된다. 도 9에 도시된 분배 멀티플렉스들의 각각이 상이한 서비스 오버헤드들 및 분배 오버헤드들을 가진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도 10은 분배 시스템의 양상들에서 사용하는 방법(1000)을 도시한다. 명확화를 위하여, 방법(1000)은 도 5에 도시된 어그리게이션 로직(500)과 관련하여 여기에 기술된다. 예컨대, 일 양상에서, 결합 로직(502)은 이하에 기술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하여 어그리게이션 로직(500)을 제어하기 위한 코드들의 하나 이상의 세트들을 실행한다.
블록(1002)에서, 하나 이상의 와이드 및/또는 로컬 콘텐츠 멀티플렉스들은 다중-주파수 네트워크에 분배하기 위하여 수신된다. 예컨대, 멀티플렉스들은 도 4에 도시된 NOC(402)에서 수신된다.
블록(1004)에서는 콘텐츠 멀티플렉스들의 분배가 결정된다. 예컨대, 결합 로직(502)은 선택된 WOI들 및 LOI들에 와이드 영역 및 로컬 영역 콘텐츠 멀티플렉스들을 분배하는 것을 결정하도록 동작한다.
블록(1006)에서, 하나 이상의 서비스 오버헤드들은 WOI들 및 LOI들에 대한 콘텐츠 멀티플렉스 분배 정보에 기초하여 각각의 콘텐츠 멀티플렉스에 대하여 결정된다. 예컨대, 결합 로직(502)은 WOI들 및 LOI들로의 연관된 콘텐츠 멀티플렉스의 분배에 기초하여 각각의 콘텐츠 멀티플렉스에 대한 하나 이상의 서비스 오버헤드들을 결정하도록 동작한다.
블록(1008)에서, 서비스 멀티플렉스들은 콘텐츠 계층 멀티플렉스들로부터 생성된다. 예컨대, 결합 로직(502)은 연관된 콘텐츠 멀티플렉스에 대한 하나 이상의 서비스 계층 멀티플렉스들을 생성하기 위하여 그 연관된 콘텐츠 멀티플렉스와 하나 이상의 서비스 오버헤드들을 결합하도록 동작한다.
블록(1010)에서는 서비스 계층 멀티플렉스들의 분배가 결정된다. 예컨대, 결합 로직(502)은 선택된 WOI들 및 LOI들로의 와이드 영역 및 로컬 서비스 멀티플렉스들의 분배를 결정하도록 동작한다.
블록(1012)에서, 하나 이상의 분배 오버헤드들은 WOI들 및 LOI들에 대한 서비스 멀티플렉스 분배 정보에 기초하여 각각의 콘텐츠 멀티플렉스에 대하여 결정된다. 예컨대, 결합 로직(502)은 WOI들 및 LOI들로의 연관된 서비스 멀티플렉스의 분배에 기초하여 각각의 서비스 멀티플렉스에 대한 하나 이상의 분배 오버헤드들을 결정하도록 동작한다.
블록(1014)에서, 서비스 계층 멀티플렉스들은 분배 계층 멀티플렉스들을 생성하기 위하여 분배 오버헤드들과 결합된다. 예컨대, 결합 로직(502)은 하나 이상의 분배 계층 멀티플렉스들을 생성하기 위하여 각각의 서비스 멀티플렉스와 하나 이상의 연관된 분배 오버헤드들을 결합하도록 동작한다.
블록(1016)에서, 등가 분배 계층 멀티플렉스들의 하나 이상의 세트들이 식별된다. 예컨대, 등가 분배 계층 멀티플렉스 세트는 동일한 콘텐츠 데이터 그러나 상이한 서비스 오버헤드들 및/또는 분배 오버헤드들을 반송하는 모든 분배 계층 멀티플렉스들을 포함한다. 일 양상에서, 결합 로직(502)은 등가 분배 멀티플렉스들의 세트들을 식별하도록 동작한다.
블록(1018)에서, 분배 계층 멀티플렉스들은 다중-주파수 네트워크에서 분배하기 위한 송신기 사이트들에 전송된다. 예컨대, 분배 계층 멀티플렉스들은 임의의 적절한 전송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NOC(402)로부터 송신기 사이트들로 전송하기 위하여 출력 로직(508)으로부터 출력된다. 분배 계층 멀티플렉스의 상이한 컴포넌트들(콘텐츠 데이터, 서비스 오버헤드 및 분배 오버헤드)에는 송신기 사이트들로 전송하기 위한 전송 식별자들이 할당된다. 일 양상에서, 출력 로직(508)은 백홀 대역폭 사용을 최적화하기 위하여 등가 분배 멀티플렉스들의 각각의 세트에 대하여 송신기 사이트들에 콘텐츠 데이터의 단일 인스턴스를 전송한다.
따라서, 방법(1000)은 분배 시스템의 양상들을 제공하도록 동작한다. 방법(1000)이 단지 하나의 구현만을 나타내고 다른 구현들이 양상들의 범위내에서 가능하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도 11은 분배 시스템의 양상들에 사용하는 어그리게이션 로직(1100)을 도시한다. 예컨대, 어그리게이션 로직(1100)은 도 5에 도시된 어그리게이션 로직(500)으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일 양상에서, 어그리게이션 로직(1100)은 여기에 기술된 분배 시스템의 양상들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들에 의하여 구현된다. 예컨대, 일 양상에서, 각각의 모듈은 하드웨어 및/또는 하드웨어 실행 소프트웨어를 포함한다.
어그리게이션 로직(1100)은 하나 이상의 서비스 계층 멀티플렉스들을 각각 생성하기 위하여 선택된 콘텐츠 멀티플렉스와 하나 이상의 서비스 오버헤드들을 결합하기 위한 수단(1102)을 포함하는 제 1 모듈을 포함하며, 일 양상에서 결합 로직(502)을 포함한다. 어그리게이션 로직(1100)은 또한 선택된 서비스 계층 멀티플렉스가 분배되는 다중-주파수 네트워크의 하나 이상의 지역들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1104)을 포함하는 제 2 모듈을 포함하며, 일 양상에서 결합 로직(502)을 포함한다. 어그리게이션 로직(1100)은 또한 하나 이상의 분배 계층 멀티플렉스들을 각각 생성하기 위하여 선택된 서비스 계층 멀티플렉스와 하나 이상의 분배 오버헤드들을 결합하기 위한 수단(1106)을 포함하는 제 3 모듈을 포함하며, 하나 이상의 분배 오버헤드들은 각각 하나 이상의 지역들에 기초하며, 일 양상에서 어그리게이션 로직(1100)은 결합 로직(502)을 포함한다. 어그리게이션 로직(1100)은 또한 다중-주파수 네트워크의 하나 이상의 지역들에 하나 이상의 분배 계층 멀티플렉스들을 전송하기 위한 수단(1108)을 포함하는 제 4 모듈을 포함하며, 일 양상에서 출력 로직(508)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제시된 양상들과 관련하여 기술된 다양한 예시적인 로직들, 논리 블록들, 모듈들, 및 회로들이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DSP; 집적회로, ASIC; 필드 프로그램어블 게이트 어레이, 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램어블 논리 장치;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또는 여기에 기술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것들의 조합을 통해 구현 또는 수행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일 수 있지만; 대안적 실시예에서, 이러한 프로세서는 임의의 기존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또는 상태 머신일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예컨대, DSP 및 마이크로프로세서, 다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결합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 프로세서, 또는 임의의 다른 이러한 구성들의 조합과 같이 계산 장치들의 조합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시된 양상들과 관련하여 기술된 방법의 단계들 및 알고리즘은 하드웨어에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에서,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직접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들; 하드디스크; 휴대용 디스크; CD-ROM; 또는 공지된 저장 매체의 임의의 다른 형태로서 존재한다. 예시적인 저장매체는 프로세서와 결합되어, 프로세서는 저장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하여 저장매체에 정보를 기록한다. 대안적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의 구성요소일 수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매체는 ASIC 에 위치할 수 있다. ASIC 는 사용자 단말에 위치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사용자 단말에서 이산 컴포넌트들로서 존재할 수 있다.
제시된 양상들에 대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양상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양상들, 예컨대 인스턴스 메시징 서비스 또는 임의의 일반적인 무선 데이터 통신 애플리케이션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양상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용어 “예시적인”은 여기서 “예, 보기, 또는 예시로서 기능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용된다. “예시적인” 것으로서 여기 기재되는 임의의 양상들이 반드시 다른 양상들에 비해 바람직하거나 유리한 것으로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Claims (34)

  1. 다중-주파수(multi-frequency) 네트워크에서 멀티플렉스를 분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하나 이상의 서비스 계층 멀티플렉스들을 생성하기 위하여 선택된 콘텐츠 멀티플렉스와 하나 이상의 서비스 오버헤드들을 각각 결합하는 단계;
    선택된 서비스 계층 멀티플렉스가 분배될, 상기 다중-주파수 네트워크의 하나 이상의 지역들을 결정하는 단계;
    하나 이상의 분배 계층 멀티플렉스들을 생성하기 위하여 상기 선택된 서비스 계층 멀티플렉스와 하나 이상의 분배 오버헤드들을 각각 결합하는 단계 ― 상기 하나 이상의 분배 오버헤드들은 각각 상기 하나 이상의 지역들에 기초하여 결정됨 ―; 및
    상기 다중-주파수 네트워크의 상기 하나 이상의 지역들에 상기 하나 이상의 분배 계층 멀티플렉스들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멀티플렉스를 분배하기 위한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콘텐츠 멀티플렉스가 분배될, 상기 다중-주파수 네트워크의 하나 이상의 선택된 지역들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선택된 지역들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서비스 오버헤드들을 각각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멀티플렉스를 분배하기 위한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다수의 콘텐츠 멀티플렉스들에 대한 서비스 계층 멀티플렉스들을 생성하는 단계; 및
    다수의 서비스 계층 멀티플렉스들에 대한 분배 계층 멀티플렉스들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멀티플렉스를 분배하기 위한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와이드(wide) 콘텐츠 멀티플렉스들 및 로컬(local) 콘텐츠 멀티플렉스들에 대한 개별 서비스 계층 멀티플렉스들을 각각 생성하는 단계; 및
    와이드 서비스 계층 멀티플렉스들 및 로컬 서비스 계층 멀티플렉스들에 대한 개별 분배 계층 멀티플렉스들을 각각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멀티플렉스를 분배하기 위한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하나 이상의 분배 계층 멀티플렉스들의 각각의 컴포넌트에 전송 식별자를 할당하는 단계; 및
    전송 메커니즘 및 연관된 전송 식별자들을 사용하여 상기 다중-주파수 네트워크의 하나 이상의 지역들과 연관된 송신기 사이트들에 상기 하나 이상의 분배 계층 멀티플렉스들의 각각의 컴포넌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멀티플렉스를 분배하기 위한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등가(equivalent) 분배 계층 멀티플렉스들의 하나 이상의 세트들을 식별하는 단계 ― 상기 등가 분배 계층 멀티플렉스들의 선택된 세트의 각각의 분배 계층 멀티플렉스는 동일한 콘텐츠 데이터와 연관됨 ―; 및
    상기 등가 분배 계층 멀티플렉스들의 선택된 세트의 모든 분배 계층 멀티플렉스들에 대하여 송신기 사이트들에 콘텐츠 데이터의 단일 인스턴스(single instance)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멀티플렉스를 분배하기 위한 방법.
  7. 다중-주파수 네트워크에서 멀티플렉스를 분배하기 위한 장치로서,
    결합 로직(combining logic) 및 출력 로직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 로직은,
    하나 이상의 서비스 계층 멀티플렉스들을 생성하기 위하여 선택된 콘텐츠 멀티플렉스와 하나 이상의 서비스 오버헤드들을 각각 결합하고
    선택된 서비스 계층 멀티플렉스가 분배될, 상기 다중-주파수 네트워크의 하나 이상의 지역들을 결정하며,
    하나 이상의 분배 계층 멀티플렉스들을 생성하기 위하여 상기 선택된 서비스 계층 멀티플렉스와 하나 이상의 분배 오버헤드들을 각각 결합하도록 구성되며 ― 상기 하나 이상의 분배 오버헤드들은 각각 상기 하나 이상의 지역들에 기초하여 결정됨 ―;
    상기 출력 로직은,
    상기 다중-주파수 네트워크의 상기 하나 이상의 지역들에 상기 하나 이상의 분배 계층 멀티플렉스들을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멀티플렉스를 분배하기 위한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로직은,
    상기 선택된 콘텐츠 멀티플렉스가 분배될, 상기 다중-주파수 네트워크의 하나 이상의 선택된 지역들을 결정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선택된 지역들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서비스 오버헤드들을 각각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멀티플렉스를 분배하기 위한 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로직은,
    다수의 콘텐츠 멀티플렉스들에 대한 서비스 계층 멀티플렉스들을 생성하고,
    다수의 서비스 계층 멀티플렉스들에 대한 분배 계층 멀티플렉스들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멀티플렉스를 분배하기 위한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로직은,
    와이드(wide) 콘텐츠 멀티플렉스들 및 로컬(local) 콘텐츠 멀티플렉스들에 대한 개별 서비스 계층 멀티플렉스들을 각각 생성하고,
    와이드 서비스 계층 멀티플렉스들 및 로컬 서비스 계층 멀티플렉스들에 대한 개별 분배 계층 멀티플렉스들을 각각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멀티플렉스를 분배하기 위한 장치.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로직은,
    상기 하나 이상의 분배 계층 멀티플렉스들의 각각의 컴포넌트에 전송 식별자를 할당하고,
    전송 메커니즘 및 연관된 전송 식별자들을 사용하여 상기 다중-주파수 네트워크의 상기 하나 이상의 지역들과 연관된 송신기 사이트들에 상기 하나 이상의 분배 계층 멀티플렉스들의 각각의 컴포넌트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멀티플렉스를 분배하기 위한 장치.
  12.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로직은,
    등가(equivalent) 분배 계층 멀티플렉스들의 하나 이상의 세트들을 식별하고 ― 상기 등가 분배 계층 멀티플렉스들의 선택된 세트의 각각의 분배 계층 멀티플렉스는 동일한 콘텐츠 데이터와 연관됨 ―,
    상기 등가 분배 계층 멀티플렉스들의 선택된 세트의 모든 분배 계층 멀티플렉스들에 대하여 송신기 사이트들에 콘텐츠 데이터의 단일 인스턴스(single instance)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멀티플렉스를 분배하기 위한 장치.
  13. 다중-주파수 네트워크에서 멀티플렉스를 분배하기 위한 장치로서,
    하나 이상의 서비스 계층 멀티플렉스들을 생성하기 위하여 선택된 콘텐츠 멀티플렉스와 하나 이상의 서비스 오버헤드들을 각각 결합하기 위한 수단;
    선택된 서비스 계층 멀티플렉스가 분배될, 상기 다중-주파수 네트워크의 하나 이상의 지역들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
    하나 이상의 분배 계층 멀티플렉스들을 생성하기 위하여 상기 선택된 서비스 계층 멀티플렉스와 하나 이상의 분배 오버헤드들을 각각 결합하기 위한 수단 ― 상기 하나 이상의 분배 오버헤드들은 각각 상기 하나 이상의 지역들에 기초하여 결정됨 ―; 및
    상기 다중-주파수 네트워크의 상기 하나 이상의 지역들에 상기 하나 이상의 분배 계층 멀티플렉스들을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멀티플렉스를 분배하기 위한 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콘텐츠 멀티플렉스가 분배될, 상기 다중-주파수 네트워크의 하나 이상의 선택된 지역들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선택된 지역들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서비스 오버헤드들을 각각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멀티플렉스를 분배하기 위한 장치.
  15. 제 13항에 있어서, 다수의 콘텐츠 멀티플렉스들에 대한 서비스 계층 멀티플렉스들을 생성하기 위한 수단; 및
    다수의 서비스 계층 멀티플렉스들에 대한 분배 계층 멀티플렉스들을 생성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멀티플렉스를 분배하기 위한 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와이드(wide) 콘텐츠 멀티플렉스들 및 로컬(local) 콘텐츠 멀티플렉스들에 대한 개별 서비스 계층 멀티플렉스들을 각각 생성하기 위한 수단; 및
    와이드 서비스 계층 멀티플렉스들 및 로컬 서비스 계층 멀티플렉스들에 대한 개별 분배 계층 멀티플렉스들을 각각 생성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멀티플렉스를 분배하기 위한 장치.
  17.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하나 이상의 분배 계층 멀티플렉스들의 각각의 컴포넌트에 전송 식별자를 할당하기 위한 수단; 및
    전송 메커니즘 및 연관된 전송 식별자들을 사용하여 상기 다중-주파수 네트워크의 하나 이상의 지역들과 연관된 송신기 사이트들에 상기 하나 이상의 분배 계층 멀티플렉스들의 각각의 컴포넌트를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멀티플렉스를 분배하기 위한 장치.
  18.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기 위한 수단은,
    등가(equivalent) 분배 계층 멀티플렉스들의 하나 이상의 세트들을 식별하기 위한 수단 ― 상기 등가 분배 계층 멀티플렉스들의 선택된 세트의 각각의 분배 계층 멀티플렉스는 동일한 콘텐츠 데이터와 연관됨 ―; 및
    상기 등가 분배 계층 멀티플렉스들의 선택된 세트의 모든 분배 계층 멀티플렉스들에 대하여 송신기 사이트들에 콘텐츠 데이터의 단일 인스턴스(single instance)를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멀티플렉스를 분배하기 위한 장치.
  19. 다중-주파수 네트워크에서 멀티플렉스를 분배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머신-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하며,
    상기 머신-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로 하여금, 하나 이상의 서비스 계층 멀티플렉스들을 생성하기 위하여 선택된 콘텐츠 멀티플렉스와 하나 이상의 서비스 오버헤드들을 각각 결합하도록 하기 위한 코드들의 제 1 세트;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선택된 서비스 계층 멀티플렉스가 분배될, 상기 다중-주파수 네트워크의 하나 이상의 지역들을 결정하도록 하기 위한 코드들의 제 2 세트;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하나 이상의 분배 계층 멀티플렉스들을 생성하기 위하여 상기 선택된 서비스 계층 멀티플렉스와 하나 이상의 분배 오버헤드들을 각각 결합하도록 하기 위한 코드들의 제 3 세트 ― 상기 하나 이상의 분배 오버헤드들은 각각 상기 하나 이상의 지역들에 기초하여 결정됨 ―; 및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다중-주파수 네트워크의 상기 하나 이상의 지역들에 상기 하나 이상의 분배 계층 멀티플렉스들을 전송하도록 하기 위한 코드들의 제 4 세트를 포함하는,
    머신-판독가능 매체.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들의 제 1 세트는,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선택된 콘텐츠 멀티플렉스가 분배될, 상기 다중-주파수 네트워크의 하나 이상의 선택된 지역들을 결정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선택된 지역들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서비스 오버헤드들을 각각 결정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머신-판독가능 매체.
  21.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들의 제 1 세트는,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다수의 콘텐츠 멀티플렉스들에 대한 서비스 계층 멀티플렉스들을 생성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머신-판독가능 매체.
  22.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들의 제 3세트는,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다수의 서비스 계층 멀티플렉스들에 대한 분배 계층 멀티플렉스들을 생성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머신-판독가능 매체.
  23.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들의 제 1 세트는,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와이드(wide) 콘텐츠 멀티플렉스들 및 로컬(local) 콘텐츠 멀티플렉스들에 대한 개별 서비스 계층 멀티플렉스들을 각각 생성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머신-판독가능 매체.
  24.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들의 제 3세트는,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와이드 서비스 계층 멀티플렉스들 및 로컬 서비스 계층 멀티플렉스들에 대한 개별 분배 계층 멀티플렉스들을 생성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머신-판독가능 매체.
  25.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들의 제 4 세트는,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하나 이상의 분배 계층 멀티플렉스들의 각각의 컴포넌트에 전송 식별자를 할당하고,
    전송 메커니즘 및 연관된 전송 식별자들을 사용하여 상기 다중-주파수 네트워크의 하나 이상의 지역들과 연관된 송신기 사이트들에 상기 하나 이상의 분배 계층 멀티플렉스들의 각각의 성분을 전송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머신-판독가능 매체.
  26.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들의 제 4 세트는,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등가(equivalent) 분배 계층 멀티플렉스들의 하나 이상의 세트들을 식별하고 ― 상기 등가 분배 계층 멀티플렉스들의 선택된 세트의 각각의 분배 계층 멀티플렉스는 동일한 콘텐츠 데이터와 연관됨 ―,
    상기 등가 분배 계층 멀티플렉스들의 선택된 세트의 모든 분배 계층 멀티플렉스들에 대하여 콘텐츠 데이터의 단일 인스턴스(single instance)를 전송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머신-판독가능 매체.
  27. 다중-주파수 네트워크에서 멀티플렉스를 분배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집적회로로서,
    하나 이상의 서비스 계층 멀티플렉스들을 생성하기 위하여 선택된 콘텐츠 멀티플렉스와 하나 이상의 서비스 오버헤드들을 각각 결합하기 위한 제 1 모듈;
    선택된 서비스 계층 멀티플렉스가 분배될, 상기 다중-주파수 네트워크의 하나 이상의 지역들을 결정하기 위한 제 2 모듈;
    하나 이상의 분배 계층 멀티플렉스들을 생성하기 위하여 상기 선택된 서비스 계층 멀티플렉스와 하나 이상의 분배 오버헤드들을 각각 결합하기 위한 제 3 모듈 ― 상기 하나 이상의 분배 오버헤드들은 각각 상기 하나 이상의 지역들에 기초하여 결정됨 ―; 및
    상기 다중-주파수 네트워크의 하나 이상의 지역들에 상기 하나 이상의 분배 계층 멀티플렉스들을 전송하기 위한 제 4 모듈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집적회로.
  28.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모듈은,
    상기 선택된 콘텐츠 멀티플렉스가 분배될, 상기 다중-주파수 네트워크의 하나 이상의 선택된 지역들을 결정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선택된 지역들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서비스 오버헤드들을 각각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집적회로.
  29.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모듈은 다수의 콘텐츠 멀티플렉스들에 대한 서비스 계층 멀티플렉스들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집적회로.
  30.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모듈은 다수의 서비스 계층 멀티플렉스들에 대한 분배 계층 멀티플렉스들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집적회로.
  31.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모듈은 와이드(wide) 콘텐츠 멀티플렉스들 및 로컬(local) 콘텐츠 멀티플렉스들에 대한 개별 서비스 계층 멀티플렉스들을 각각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집적회로.
  32.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모듈은 와이드 서비스 계층 멀티플렉스들 및 로컬 서비스 계층 멀티플렉스들에 대한 개별 분배 계층 멀티플렉스들을 각각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집적회로.
  33.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모듈은,
    상기 하나 이상의 분배 계층 멀티플렉스들의 각각의 컴포넌트에 전송 식별자를 할당하고,
    전송 메커니즘 및 연관된 전송 식별자들을 사용하여 상기 다중-주파수 네트워크의 하나 이상의 지역들과 연관된 송신기 사이트들에 상기 하나 이상의 분배 계층 멀티플렉스들의 각각의 컴포넌트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집적회로.
  34.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모듈은,
    등가(equivalent) 분배 계층 멀티플렉스들의 하나 이상의 세트들을 식별하고 ― 상기 등가 분배 계층 멀티플렉스들의 선택된 세트의 각각의 분배 계층 멀티플렉스는 동일한 콘텐츠 데이터와 연관됨 ―,
    상기 등가 분배 멀티플렉스들의 선택된 세트의 모든 분배 계층 멀티플렉스들에 대하여 송신기 사이트들에 콘텐츠 데이터의 단일 인스턴스(single instance)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집적회로.
KR1020137002296A 2007-04-03 2008-04-03 다중-주파수 네트워크에서 콘텐츠를 분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3679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90993207P 2007-04-03 2007-04-03
US60/909,932 2007-04-03
US91018207P 2007-04-04 2007-04-04
US60/910,182 2007-04-04
US12/060,789 2008-04-01
US12/060,789 US8594025B2 (en) 2007-04-03 2008-04-01 Methods and apparatus for distributing content in a multi-frequency network
PCT/US2008/059312 WO2008124540A1 (en) 2007-04-03 2008-04-03 Methods and apparatus for distributing content in a multi-frequency network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2970A Division KR101274070B1 (ko) 2007-04-03 2008-04-03 다중-주파수 네트워크에서 콘텐츠를 분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3380A true KR20130023380A (ko) 2013-03-07
KR101367908B1 KR101367908B1 (ko) 2014-02-27

Family

ID=3973972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2296A KR101367908B1 (ko) 2007-04-03 2008-04-03 다중-주파수 네트워크에서 콘텐츠를 분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0097022970A KR101274070B1 (ko) 2007-04-03 2008-04-03 다중-주파수 네트워크에서 콘텐츠를 분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2970A KR101274070B1 (ko) 2007-04-03 2008-04-03 다중-주파수 네트워크에서 콘텐츠를 분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8594025B2 (ko)
EP (1) EP2143291A1 (ko)
JP (2) JP5296049B2 (ko)
KR (2) KR101367908B1 (ko)
CN (1) CN101641972B (ko)
AU (1) AU2008237266A1 (ko)
BR (1) BRPI0809481A2 (ko)
CA (1) CA2679891A1 (ko)
IL (1) IL200595A0 (ko)
MX (1) MX2009010356A (ko)
WO (1) WO200812454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59911A1 (en) * 2007-03-21 2008-10-23 Binita Gupta Methods and Apparatus for Distributing and Acquiring Overhead Flow Data in a Multi-Frequency Network
US8358986B2 (en) 2007-03-21 2013-01-2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RF channel selection in a multi-frequency network
US8422477B2 (en) * 2007-04-03 2013-04-16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RF channel switching in a multi-frequency network
US8149764B2 (en) * 2007-04-04 2012-04-0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distributing and acquiring overhead flow data in a multi-frequency network
US8855655B2 (en) * 2007-07-20 2014-10-0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signaling parameter distribution for neighboring radio frequencies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735836A1 (de) 1997-08-12 1999-02-18 Mannesmann Ag Verfahren zur Verbreitung von Service-Informationen, ein System und eine Service-Informationszentrale
FI106603B (fi) * 1998-03-26 2001-02-28 Nokia Networks Oy Monipistelähetyspalvelujen lähettäminen kohdealueelle
JP2003078482A (ja) 2001-09-03 2003-03-14 Mitsubishi Electric Corp 地域情報配信方法、地域情報配信システムおよび移動携帯端末
CN1245037C (zh) * 2001-10-17 2006-03-0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多频段扩频无线接入网
FR2849571B1 (fr) * 2002-12-31 2005-02-11 Cegetel Groupe Procede et dispositif de diffusion de contenus multimedia a des terminaux mobiles
US7162253B2 (en) * 2003-09-08 2007-01-09 Nokia Corporation Geographical position extension in messaging for a terminal node
US7394778B2 (en) * 2004-04-12 2008-07-01 Lg Electronics Inc. Mapping of point of multipoint service identifications
US8280368B2 (en) 2005-04-07 2012-10-0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system for re-acquiring signals of a wireless broadcast network
JP4437490B2 (ja) 2006-11-01 2010-03-24 ソフトバンクモバイル株式会社 デジタル無線電話による文字情報放送方法及びその放送システム
US20080259911A1 (en) * 2007-03-21 2008-10-23 Binita Gupta Methods and Apparatus for Distributing and Acquiring Overhead Flow Data in a Multi-Frequency Network
US8149764B2 (en) * 2007-04-04 2012-04-0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distributing and acquiring overhead flow data in a multi-frequency networ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679891A1 (en) 2008-10-16
JP2010524351A (ja) 2010-07-15
EP2143291A1 (en) 2010-01-13
WO2008124540A1 (en) 2008-10-16
CN101641972A (zh) 2010-02-03
CN101641972B (zh) 2013-06-26
JP5559387B2 (ja) 2014-07-23
US8594025B2 (en) 2013-11-26
KR101367908B1 (ko) 2014-02-27
KR20090130310A (ko) 2009-12-22
US20080259858A1 (en) 2008-10-23
JP2013179634A (ja) 2013-09-09
BRPI0809481A2 (pt) 2014-09-09
JP5296049B2 (ja) 2013-09-25
KR101274070B1 (ko) 2013-06-12
MX2009010356A (es) 2009-10-19
IL200595A0 (en) 2010-05-17
AU2008237266A1 (en) 2008-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2510B1 (ko) 멀티-주파수 네트워크에서 rf 채널 스위칭을 위한 방법들 및 장치
JP2010524353A (ja) マルチ周波数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オーバーヘッドフローデータの配信及び取得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KR101367908B1 (ko) 다중-주파수 네트워크에서 콘텐츠를 분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208620B1 (ko) 멀티-주파수 네트워크에서 rf 채널 스위칭을 위한 방법들 및 장치
US8634843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RF channel selection in a multi-frequency network
US8855655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signaling parameter distribution for neighboring radio frequencies
KR20120020036A (ko) 버티컬 다중 주파수 네트워크에서의 서비스 패키지 관리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