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3047A - Customized shoe sole having multi-level cushion column - Google Patents

Customized shoe sole having multi-level cushion colum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3047A
KR20130023047A KR1020120035072A KR20120035072A KR20130023047A KR 20130023047 A KR20130023047 A KR 20130023047A KR 1020120035072 A KR1020120035072 A KR 1020120035072A KR 20120035072 A KR20120035072 A KR 20120035072A KR 20130023047 A KR20130023047 A KR 201300230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ffer
buffer layer
columns
layers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507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288036B1 (en
Inventor
서우승
Original Assignee
서우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우승 filed Critical 서우승
Priority to KR10201200350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8036B1/en
Publication of KR201300230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304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80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803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12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6Pieced sol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PURPOSE: A customized shoe sole is provided to improve impact absorption and dispersion characteristics and to reduce the weight thereof. CONSTITUTION: A customized shoe sole comprises multiple buffer layers(110,210,310) provid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one or more multi-stage cushion columns(100). At least one among the multiple buffer layers has different hardness and is elastically deformed in different load conditions. The cushion column is formed to correspond to a part or the whole of the shoe sole.

Description

다단계 완충칼럼을 갖는 맞춤형 신발 솔{CUSTOMIZED SHOE SOLE HAVING MULTI-LEVEL CUSHION COLUMN}CUSTOMIZED SHOE SOLE HAVING MULTI-LEVEL CUSHION COLUMN < RTI ID = 0.0 >

본 발명은 신발 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충격 흡수 및 분산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경량화에 기여할 수 있는 다단계 완충칼럼을 갖는 맞춤형 신발 솔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e so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ustom shoe sole having a multistage buffer column capable of improving impact absorption and dispersion characteristics and contributing to weight reduction.

일반적으로 신발은 발을 보호하기 위해 착용하도록 개발되었지만, 최근 삶의 질이 높아지면서 신발에 대한 인식 또한 많이 변화하고 있는 추세이다.In general, shoes have been developed to be worn to protect their feet, but as their quality of life has increased recently, the perception of shoes has also changed a lot.

특히, 운동화 한 켤레로 여러 가지 운동을 하던 예전과 달리, 최근에는 사용자의 니즈에 따라 걷기(walking), 뛰기(running), 등산, 축구, 테니스, 야구, 골프 등 다양한 용도에 맞게 특성화된 기능성 신발이 개발되고 있다.Especially, unlike the previous exercise that used a pair of athletic shoes, recently, functional shoes that are customized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walking, running, climbing, soccer, tennis, Is being developed.

일반적으로 신발은 크게 발등 및 관절 부위를 보호하는 갑피부분(upper part), 및 발바닥을 보호하는 밑창부분(sole part)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밑창부분을 통해서는 보행 및 주행시 충격이 신체로 전달될 수 있고, 밑창부분이 무거울 경우에는 사용자가 쉽게 피로감을 느낄 수 있기 때문에, 밑창부위는 충격을 완충 및 흡수할 수 있으며 가벼운 구조로 제공될 수 있어야 한다.In general, the shoe consists largely of an upper part that protects the foot and joint region, and a sole part that protects the sole. Since the sole portion can transmit the impact to the body when walking and running and the sole portion is heavy, the user can feel fatigue easily, so that the sole portion can absorb and absorb the shock and is provided with a light structure Should be able to.

이에 따라, 최근에는 보행 및 주행시 신체로 전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경량화에 기여할 수 있는 밑창부분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아직 미흡하여 이에 대한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Accordingly, in recent years, impacts to the body during walking and running can be minimized, and various studies on the sole that contributes to weight reduction have been made. However, development of the sole has been urgently required.

또한, 기존에는 사용자별 체중 차이에 대한 고려없이 일률적으로 발 사이즈만을 고려하여 신발이 제작되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별 체중 조건에 따라 효과적으로 충격을 흡수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270㎜의 발 사이즈를 갖는 특정 사용자의 경우 체중이 많고 적음(예를 들어, 60㎏ vs 100㎏)에 상관없이 일정 조건의 충격 흡수 성능을 갖도록 구성됨에 따라, 사용자의 체중에 따라 능동적으로 충격 흡수 성능을 가변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hoe is manufactured considering only the foot size uniformly without consideration of the weight difference per user,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effectively absorb the shock according to the weight condition for each user. For example, a specific user having a foot size of 270 mm is configured to have a shock absorbing performance under a certain condition irrespective of whether the user is heavy or small (for example, 60 kg vs. 100 kg)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actively vary shock absorbing performance.

또한, 기존에는 사용 용도에 대한 고려없이 일률적으로 특정 조건에서의 충격 흡수 성능을 갖도록 구성됨에 따라, 여러 사용 조건에서 효과적으로 충격을 흡수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가령, 워킹(walking)시에 비해 러닝(running)시에는 대략 2~3배 정도로 큰 충격이 가해지지만, 기존에는 워킹 또는 러닝 중 어느 한쪽 조건에 맞춰 충격 흡수 성능을 갖도록 구성됨에 따라, 워킹 또는 러닝 중 다른 한쪽의 용도로 사용할 경우, 효과적으로 충격을 흡수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hock absorbing performance is uniformly set under specific conditions without considering the use purpose,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effectively absorb the impact under various use conditions. For example, when running, compared to when walking, a large impact is applied about 2 to 3 times. However, since the shock absorbing performance is adapted to one of walking and running conditions,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effectively absorb shock.

본 발명은 보행 및 주행시 신체로 전달되는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는 다단계 완충칼럼을 갖는 맞춤형 신발 솔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ustom shoe sole having a multistage buffer column capable of minimizing the shock transmitted to the body during walking and running.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신체 조건(예를 들어, 체중)에 따라 능동적으로 충격 흡수 성능이 조절될 수 있는 다단계 완충칼럼을 갖는 맞춤형 신발 솔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ustom shoe sole having a multi-stage cushioning column in which shock absorption performance can be actively adjusted according to a user's physical condition (for example, weight).

또한, 본 발명은 사용 용도(예를 들어, 워킹 및 러닝)에 따른 충격량 변화에 따라 능동적으로 충격 흡수 성능이 조절될 수 있는 다단계 완충칼럼을 갖는 맞춤형 신발 솔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ustom shoe sole having a multi-stage shock absorbing column capable of actively adjusting the shock absorbing performance in accordance with a change in the amount of impact due to use (for example, walking and running).

또한, 본 발명은 보행 및 주행시 신체 밸런스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신체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단계 완충칼럼을 갖는 맞춤형 신발 솔을 제공한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ustom shoe sole having a multi-stage buffering column capable of stably maintaining a body balance at the time of walking and traveling, and capable of improving body stability.

또한, 본 발명은 우수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으며, 장시간 착용시에도 신체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켜 발의 피로감을 최소화할 수 있는 다단계 완충칼럼을 갖는 맞춤형 신발 솔을 제공한다.Als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ustom shoe sole having a multi-stage buffer column capable of providing an excellent fit feeling and minimizing fatigue of the foot by improving energy efficiency of the body even when worn for a long time.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다단계 완충칼럼을 갖는 맞춤형 신발 솔은 상하 방향으로 서로 밀착되게 연속적으로 제공되는 복수개의 완충층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다단계 완충칼럼(cushion column)을 구비하며, 복수개의 완충층 중 적어도 하나는 다른 경도를 가져서 서로 다른 하중 조건에서 탄성 변형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ustom shoe sole having a multistage buffering column includes at least one multistage buffering column including a plurality of buffer layers successively provided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in the up- wherei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buffer layers has a different hardness and is elastically deformed under different load conditions.

참고로, 본 발명에서 상하 방향이라 함은, 사용자의 하중이 가해지는 방향으로서, 완충칼럼에 대략 수직한 방향으로 이해될 수 있다.For reference, the up and down direc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nderstood as a direction in which the load of the user is applied,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buffer column.

또한, 본 발명에서 서로 다른 완충층이 서로 다른 하중 조건에서 탄성 변형된다 함은, 예를 들어 완출칼럼이 서로 다른 경도를 갖는 제1완충층 및 제2완충층으로 구성될 경우, 소정 하중 조건에서 제1완충층은 탄성 변형되지 않고 제2완충층만이 탄성 변형되고, 일정 이상의 하중 조건에서는 제1완충층이 탄성 변형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아울러, 제1완충층이 탄성 변형될 시에는 제2완충층 역시 함께 탄성 변형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ifferent buffer layers are elastically deformed under different loading conditions, for example, when the filling column is composed of the first buffer layer and the second buffer layer having different hardness, the first buffer layer It can be understood that only the second buffer layer is elastically deformed without elastic deformation, and the first buffer layer is elastically deformed under a load condition of a certain level or more. In addition, when the first buffer layer is elastically deformed, the second buffer layer may also be elastically deformed together.

완충칼럼은 신발 솔의 전체에 대응하도록 형성되거나, 신발 솔의 일부에 부분적으로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완충칼럼의 크기, 형상, 및 배치위치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buffer column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entire shoe sole, or may be formed to partially correspond to a part of the shoe sol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 size, shape, and position of the buffer column.

또한, 완충칼럼은 신발 솔의 일부 면적 상에서 복수개가 수평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제공되거나, 신발 솔의 전체 면적 상에 복수개가 상호 이격되게 제공될 수 있으며, 완충칼럼의 개수 및 이격 간격은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Further, the buffering column may be provided so that a plurality of the buffering columns are spaced from each other along the horizontal direction on a partial area of the shoe sole, or a plurality of the buffering columns may be provided on the entire area of the shoe sole, And can be variously changed depending on conditions and design specifications.

이러한 완충칼럼의 구조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 완충칼럼은 제1완충층 및 제2완충층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완충층은 제1완충층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제2완충층이 제1완충층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structure of such a buffer column can be variously changed according to the required conditions and design specifications. In one example, the buffer column may comprise a first buffer layer and a second buffer layer. Here, the second buffer layer may be disposed above the first buffer layer, and in some cases, the second buffer layer may be disposed under the first buffer layer

아울러, 제1완충층과 제2완충층의 각 경도값은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 상대적으로 하부에 배치되는 제1완충층이 제2완충층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경도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제2완충층이 제1완충층보다 높은 경도를 가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hardness values of the first buffer layer and the second buffer layer can be variously changed according to required conditions and design specifications. In one example, the first buffer layer disposed at a relatively lower portion may be configured to have a relatively higher hardness than the second buffer layer. In some cases, the second buffer layer may have a higher hardness than the first buffer layer.

또한, 복수개의 복수칼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제2완충층의 상하 방향을 따라 제공되는 제3완충층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3완충층은 제1완충층 및 제2완충층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서로 다른 경도를 갖도록 제공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복수개의 복수칼럼이 서로 다른 4개 이상의 완충층에 의해 구성될 수 있으며, 완충층의 개수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columns may include a third buffer layer provided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second buffer layer and the third buffer layer may have a different hardness from at least one of the first buffer layer and the second buffer layer . In some cases, the plurality of columns may be constituted by four or more different buffer layers,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 number of buffer layers.

복수개의 완충칼럼은 각각 동일 또는 다른 완충층 구성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참고로, 복수개의 완충칼럼이 동일한 완충층 구성을 가진다 함은, 예를 들어 복수개의 완충칼럼이 각각 제1완충층 및 제2완충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복수개의 완충칼럼의 각 제1완충층은 서로 동일한 경도를 가지고, 복수개의 완충칼럼의 각 제2완충층은 서로 동일한 경도를 가지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완충칼럼이 서로 다른 완충층 구성을 가진다 함은, 예를 들어 복수개의 완충칼럼이 각각 제1완충층 및 제2완충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복수개의 완충칼럼 중 어느 하나의 제1완충층 및 제2완충층은 복수개의 완충칼럼 중 다른 하나의 제1완충층 및 제2완충층과 서로 다른 경도를 가지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buffer columns may each be configured to have the same or different buffer layer configuration. For reference, a plurality of buffer columns having the same buffer layer structure may include, for example, a plurality of buffer columns each comprising a first buffer layer and a second buffer layer, wherein each first buffer layer of the plurality of buffer columns has the same It can be understood that each of the second buffer layers of the plurality of buffer columns has the same hardness.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buffer columns having different buffer layer configurations may be configured such that, for example, a plurality of buffer columns each include a first buffer layer and a second buffer layer, and the first buffer layer and the second buffer layer,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second buffer layer has a different hardness from the other of the first buffer layer and the second buffer layer of the plurality of buffer columns.

또한, 복수개의 완충칼럼은 각각 동일한 개수의 완층층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다르게는 복수개의 완충칼럼이 서로 다른 개수의 완충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복수개의 완충칼럼 중 일부는 3개의 완충층으로 구성될 수 있고, 복수개의 완충칼럼 중 다른 일부는 2개의 완충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복수개의 완충칼럼이 모두 동일한 개수의 완충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buffer columns may each be composed of the same number of full layer layers, but alternatively, the plurality of buffer columns may be composed of different numbers of buffer layers. In one example, some of the plurality of buffer columns may be composed of three buffer layers, and another part of the plurality of buffer columns may be composed of two buffer layers. In some cases, the plurality of buffer columns may consist of the same number of buffer layers.

한편, 복수개의 완충칼럼에서 동일한 층으로 인접한 완충층들은 연결리브를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 복수개의 완충칼럼의 각 제1완충층은 제1연결리브를 매개로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같은 방식으로, 제2완충층은 제2연결리브를 매개로 서로 연결될 수 있고, 제3완충층은 제3연결리브를 매개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별도의 연결리브를 배제하고 각각의 제1완충층, 제2완충층, 및 제3완충층이 서로 독립적으로 분리된 형태로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르게는 복수개의 완충칼럼에서 동일한 재질의 인접한 완충층들(동일한 재질로 구성되며 서로 다른 층에 배치되는 완충층들 포함)이 연결리브를 통해 상호 연결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adjacent buffer layers in the same layer in a plurality of buffer columns can be interconnected via connection ribs. In one example, each first buffer layer of the plurality of buffer columns may be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via a first connection rib. In the same manner, the second buffer layer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via the second connection rib, and the third buffer layer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via the third connection rib. In some cases, the first buffer layer, the second buffer layer, and the third buffer layer may be provided separately from each other independently of each other, except for a separate connecting rib. Alternatively, adjacent buffer layers of the same material (including the buffer layers constituted of the same material and arranged in different layers) in the plurality of buffer columns may be configured to be interconnected through the connection ribs.

복수개의 완충칼럼에서 인접한 완충층들은 동일 또는 다른 사이즈(두께 및 크기)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복수개의 완충칼럼의 각 제1완충층, 제2완충층 및 제3완충층은 모두 다른 두께를 갖도록 제공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복수개의 완충칼럼의 각 제1 내지 제3완충층이 모두 동일한 두께를 갖도록 제공될 수 있으며, 다르게는 복수개의 완충칼럼의 각 제1 내지 제3완충층 중 어느 하나만이 다른 두께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완충칼럼의 각 완충층은 특정 구간 또는 하중이 가해지는 조건 별로 다른 두께를 갖도록 제공될 수 있다.Adjacent buffer layers in a plurality of buffer columns may be provided in the same or different sizes (thickness and size). In one example, each of the first buffer layer, the second buffer layer and the third buffer layer of the plurality of buffer columns may be provided to have a different thickness. In some cases, each of the first to third buffer layers of the plurality of buffer columns may be provided to have the same thickness, or alternatively, only one of the first to third buffer layers of the plurality of buffer columns may have a different thickness . In addition, each buffer layer of the plurality of buffer columns may be provided to have a different thickness depending on a specific section or a condition in which a load is applied.

또한, 완충칼럼을 구성하는 복수개의 완충층의 형상(또는 단면 형상)은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완충층, 제2완충층 및 제3완충층은 대략 원형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각 완충층이 타원형, 삼각형, 사각형 및 오각형 등과 같은 통상의 다각형은 물론, 별 형상 또는 하트 형상과 같이 여타 다른 기하학적 단면 형상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제1완충층, 제2완충층 및 제3완충층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다른 단면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the shape (or cross-sectional shape) of the plurality of buffer layers constituting the buffer column can be variously changed according to the required conditions and design specifications. In one example, the first buffer layer, the second buffer layer and the third buffer layer may be formed to have a substantially circular cross-section. In some cases, each buffer layer may be configured to have other geometric cross-sectional shapes, such as a star shape or a heart shape, as well as conventional polygons such as ellipses, triangles, squares and pentagons. In some cases, at least one of the first buffer layer, the second buffer layer and the third buffer layer may have a different cross-sectional shape.

또한, 복수개의 완충층 중 서로 인접한 완충층 중 어느 하나에는 인접한 다른 하나의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완충층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완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ny one of the buffer layers adjacent to each other among the plurality of buffer layers may be formed with a receiving section for receiving a part of the adjacent buffer layer, and a buffer space may be formed i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buffer layers.

본 발명에 따른 다단계 완충칼럼을 갖는 맞춤형 신발 솔에 의하면, 충격 흡수 및 분산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경량화에 기여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ustomized shoe sole having the multistage buffering colum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shock absorption and dispersion characteristics and contribute to weight reduction.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서로 다른 경도를 가지는 복수개의 완충층이 상하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된 완충칼럼을 이용함으로써, 보행 및 주행시 발생하는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 및 분산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보행 및 주행시 발생하는 충격이 서로 다른 경도를 가지는 완충층에 의해 순차적으로 분산 및 흡수될 수 있기 때문에 충격 흡수 및 분산 특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Particular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a buffer column in which a plurality of buffer layers having different hardnesses are continuously arranged along the up-and-down directio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absorb and disperse impacts occurring during walking and running. 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cks generated at the time of walking and running can be sequentially dispersed and absorbed by the buffer layer having different hardness, so that the shock absorption and dispersion characteristics can be maximized.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완충칼럼을 구성하는 복수개의 완충층이 서로 다른 하중 조건에 따라 탄성 변형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능동적으로 충격 흡수 성능이 조절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체중이 많고 적음에 따라 서로 다른 완층층이 작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체중에 따라 능동적으로 충격 흡수 성능을 가변시킬 수 있다. 가령, 270㎜의 발 사이즈를 가지며 60㎏의 체중을 갖는 특정 사용자의 경우, 보행시 상단부에 배치된 하나의 완충층이 탄성 작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270㎜의 발 사이즈를 가지며 100㎏의 체중을 갖는 다른 사용자의 경우, 보행시 상단에 배치된 두개의 완충층이 각각 탄성 작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특정 사용자의 발 사이즈가 동일하더라도 체중에 따라 다른 충격 흡수 성능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별로 최적화된 충격 흡수 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lurality of buffer layers constituting the buffer column can be elastically deformed according to different load conditions, the shock absorption performance can be actively controlled according to the user's body condition. 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user's body weight is high and the user's body weight is small and the user's body weight is small, different impact layers can act, and the shock absorbing performance can be actively varied according to the weight of the user.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specific user having a foot size of 270 mm and a weight of 60 kg, one cushioning layer disposed at the upper end during walking may be configured to act elastically, having a foot size of 270 mm and a weight of 100 kg In the case of the other user having the gait, the two buffer layers disposed on the upper side at the gait can be configured to act elastically. In this w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foot size of a specific user is the same, it is possible to have different shock absorbing performance depending on the body weight, so that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optimal shock absorbing performance for each user.

분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 용도에 따른 충격량 변화에 따라 능동적으로 충격 흡수 성능이 조절될 수 있기 때문에, 여러 사용 조건에서 효과적으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가령, 워킹(walking)시에 비해 러닝(running)시에는 대략 2~3배 정도로 큰 충격이 가해지는 바, 본 발명에 따르면 워킹시에는 상단부에 배치된 하나의 완충층이 탄성 작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러닝시에는 상단에 배치된 두개의 완충층이 각각 탄성 작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워킹 및 러닝시와 같이 여러 사용 조건에 따라 능동적으로 충격 흡수 성능이 가변될 수 있으며, 하나의 신발을 통해 사용 용도별로 최적화된 충격 흡수 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mpact absorption performance can be actively controlled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impact amount according to the intended use, so that the impact can be effectively absorbed under various use conditions. For example, when running, the shock is applied by about 2 to 3 times as much as when walking, 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e buffer layer disposed at the upper end may be configured to act elastically during walking , And the two buffer layers disposed at the upper end may be configured to act elastically when running. In this w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hock absorbing performance can be actively varied according to various use conditions such as during walking and running, and the shock absorbing performance optimized for each use purpose can be provided through one sho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각 완충칼럼이 수평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독립적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측면으로부터 발생한 충격의 흡수가 가능하다. 즉, 각 완충칼럼이 수평 방향을 따라 일체로 붙어 있을 경우에는, 신발 솔의 측면에서 발생한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각 완충칼럼이 수평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며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측면에서 충격이 발생하더라도 측면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 및 분산시킬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buffer columns are independently arrang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horizontal direction, it is possible to absorb shocks generated from the side surfaces. That is, when each buffer column is integrally attached along the horizontal direction,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effectively absorb an impact generated at the side surface of the shoe sole. In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each buffer column is separated and separated from each other along the horizontal direction Therefore, even if an impact occurs on the side, the side impact can be effectively absorbed and dispersed.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우수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으며, 보다 편안한 보행을 보장할 수 있음은 물론, 장기간 착용시에도 신체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켜 발의 피로감을 최소화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xcellent wearing feeling, to ensure more comfortable walking, and to improve the energy efficiency of the body even when wearing for a long period of time, thereby minimizing fatigue of the feet.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각 완충칼럼이 수평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기 때문에, 우수한 충격 흡수 성능을 보장하면서 신발 솔을 보다 경량으로 제작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buffer columns are dispos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shoe sole can be made lighter in weight while ensuring excellent shock absorption performanc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보행 및 주행시 신체 밸런스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신체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개의 완충칼럼이 서로 독립적으로 작용하도록 구성되는 바, 돌맹이와 같은 위험요소를 잘못 밟을 경우에도, 위험요소에 대응되는 특정 영역의 완충칼럼이 독립적으로 작용하며 신발의 전체적인 밸런스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발목의 꺽임 위험이 적고, 발목관절, 무릎, 허리의 부담을 최소화해 신체안정성을 높이고, 신체밸런스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balance can be stably maintained at the time of walking and running, and the body stability can be improved. 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buffer columns are configured to operate independently of each other. Even if a risk element such as a rock is erroneously pressed, the buffer column of a specific region corresponding to a risk element functions independently, The risk of bending of the ankle is small and the burden on the ankle joint, knee and waist is minimized, so that the body stability can be enhanced and the body balance can be maintained stabl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단계 완충칼럼을 갖는 맞춤형 신발 솔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단계 완충칼럼을 갖는 맞춤형 신발 솔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단계 완충칼럼을 갖는 맞춤형 신발 솔을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단계 완충칼럼을 갖는 맞춤형 신발 솔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다단계 완충칼럼을 갖는 맞춤형 신발 솔의 일 사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단계 완충칼럼을 갖는 맞춤형 신발 솔을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ructure of a custom shoe sole having a multistage buffer colum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ide view showing a custom shoe sole having a multi-stage buffering colum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bottom view of a custom shoe sole having a multi-stage cushioning colum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5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CC of Fig.
7 and 8 are views showing a custom shoe sole having a multistage buffer colum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for explaining a use example of a custom shoe sole having a multistage buffer colum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of a custom shoehorn having a multistage buffer colum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설명에서 동일한 번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며, 상기 규칙 하에서 다른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인용하여 설명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판단되거나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For reference, the same numbers in this description refer to substantially the same elements and can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other drawings under the above-mentioned rules, and the contents which are judged to be obvious to the person skilled in the art or repeated can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단계 완충칼럼을 갖는 맞춤형 신발 솔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단계 완충칼럼을 갖는 맞춤형 신발 솔을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단계 완충칼럼을 갖는 맞춤형 신발 솔을 도시한 저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B-B선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3의 C-C선 단면도이다.FIG. 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a custom shoe sole having a multistage buffering colum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ide view showing a custom shoe sole having a multistage buffering colum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bottom view showing a custom shoehorn having a multi-stage buffer colum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3, Fig. 5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in Fig. 3, and Fig. 6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C-C in Fig.

이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신발 솔은 상하 방향으로 서로 밀착되게 연속적으로 제공되는 복수개의 완충층(110,210,310)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다단계 완충칼럼(cushion column)(100)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완충층(110,210,310) 중 적어도 하나는 다른 경도를 가지며 서로 다른 하중 조건에서 탄성 변형하도록 구성된다.As shown in these drawings, the shoe so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t least one multi-stage cushion column 100 including a plurality of buffer layers 110, 210, and 310 continuously provided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buffer layers (110, 210, 310) has a different hardness and is configured to elastically deform under different load conditions.

상기 완충칼럼(100)은 신발 솔의 전체에 대응하도록 형성되거나, 신발 솔의 일부에 부분적으로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완충칼럼(100)의 크기 및 형상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buffering column 100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entire shoe sole, or may be formed to partially correspond to a part of the shoe sol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or limited by the size and shape of the buffering column 100 no.

이하에서는 상기 완충칼럼(100)이 신발 솔의 일부 면적 상에서 복수개가 수평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제공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완충칼럼이 신발 솔의 전체 면적 상에 복수개가 상호 이격되게 제공될 수 있으며, 완충칼럼의 개수 및 이격 간격은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Hereinafter, a description will be made of an example in which a plurality of buffer columns 100 are provided on a partial area of the shoehorn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one another along the horizontal direction. In some cases, a plurality of buffer columns may be provided on the entire area of the shoe sole, and the number and spacing of the buffer columns may be variously changed according to required conditions and design specifications.

일 예로, 상기 완충칼럼(100)은 제1완충층(110) 및 제2완충층(21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buffering column 100 may include a first buffer layer 110 and a second buffer layer 210.

상기 제1완충층(110)과 제2완충층(210)은 서로 다른 경도를 가지도록 제공되고, 상기 제2완충층(210)은 제1완충층(110)의 상하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제1완충층(110)과 제2완충층(210)은 서로 다른 하중 조건에서 탄성 변형되도록 구성된다.The first buffer layer 110 and the second buffer layer 210 are provided to have different hardnesses and the second buffer layer 210 is disposed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first buffer layer 110, The first buffer layer 110 and the second buffer layer 210 are elastically deformed under different loading conditions.

이하에서는 상기 제2완충층(210)이 제1완충층(110)과 동일 하중 방향에 배치되도록 제1완충층(110)의 상부에 배치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제2완충층이 제1완충층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상하 방향이라 함은, 사용자의 하중이 가해지는 방향으로서, 제1완충층(110)에 대략 수직한 방향으로 이해될 수 있다.Hereinafter, the second buffer layer 210 is disposed on the first buffer layer 110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first buffer layer 110, for example. In some cases, the second buffer layer may be disposed under the first buffer layer. Here, the vertical direction can be understood to be a direc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first buffer layer 110 as a direction in which the load of the user is applied.

상기 제1완충층(110) 및 제2완충층(210)은 통상의 고무 및 합성수지 등을 이용하여 통상의 발포 성형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제1완충층 및 제2완충층이 미발포체로 형성되거나 여타 다른 재질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first buffer layer 110 and the second buffer layer 210 may be formed by conventional foam molding using ordinary rubber, synthetic resin, etc. In some cases, the first buffer layer and the second buffer layer may be formed as a non- Or formed of other materials.

아울러, 상기 제1완충층(110)과 제2완충층(210)은 서로 다른 경도를 가지도록 제공되는 바, 상기 제1완충층(110)과 제2완충층(210)의 각 경도값은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 상대적으로 하부에 배치되는 제1완충층(110)이 제2완충층(210)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경도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제2완충층이 제1완충층보다 높은 경도를 가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The first buffer layer 110 and the second buffer layer 210 are provided to have different hardness values so that the hardness values of the first buffer layer 110 and the second buffer layer 210 satisfy the required conditions and / It can be changed variously according to the design specification. For example, the first buffer layer 110 disposed at a relatively lower portion may be configured to have a relatively higher hardness than the second buffer layer 210. In some cases, the second buffer layer may have a higher hardness than the first buffer layer.

상기 복수개의 완충칼럼(100)은 각각 동일 또는 다른 완충층 구성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복수개의 완충칼럼(100)이 서로 동일한 완충층 구성을 가지도록 구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The plurality of buffer columns 100 may be configured to have the same or different buffer layer structures, respectively. Hereinafter, an example in which the plurality of buffer columns 100 are configured to have the same buffer layer structure will be described.

참고로, 상기 복수개의 완충칼럼(100)이 동일한 완충층 구성을 가진다 함은, 예를 들어 복수개의 완충칼럼(100)이 각각 제1완충층(110) 및 제2완충층(21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복수개의 완충칼럼(100)의 각 제1완충층(110)은 서로 동일한 경도를 가지고, 복수개의 완충칼럼(100)의 각 제2완충층(210)은 서로 동일한 경도를 가지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plurality of buffer columns 100 may include a first buffer layer 110 and a second buffer layer 210, respectively, It can be understood that each of the first buffer layers 110 of the plurality of buffer columns 100 has the same hardness and each of the second buffer layers 210 of the plurality of buffer columns 100 has the same hardness.

또한, 상기 복수개의 완충칼럼(100)이 서로 다른 완충층 구성을 가진다 함은, 예를 들어 복수개의 완충칼럼(100)이 각각 제1완충층(110) 및 제2완충층(21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복수개의 완충칼럼(100) 중 어느 하나의 제1완충층(110) 및 제2완충층(210)은 복수개의 완충칼럼(100) 중 다른 하나의 제1완충층(110) 및 제2완충층(210)과 서로 다른 경도를 가지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buffer columns 100 have different buffer layers. For example, the plurality of buffer columns 100 may include a first buffer layer 110 and a second buffer layer 210, The first buffer layer 110 and the second buffer layer 210 of any one of the plurality of buffer columns 100 may be formed of the first buffer layer 110 and the second buffer layer 210, Quot; and " hardness "

한편, 복수개의 상기 복수칼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제2완충층(210)의 상하 방향을 따라 제공되는 제3완충층(3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완충층(310)은 제1완충층(110) 및 제2완충층(2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서로 다른 경도를 갖도록 제공될 수 있으며, 전술한 제1완충층(110) 및 제2완충층(210)과 동일 하중 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3완충층(310)이 제2완충층(210)보다 낮은 경도를 갖도록 제공되어 제2완충층(210)의 상부에 배치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제3완충층이 제2완충층보다 높은 경도를 가지거나, 제1완충층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columns may include a third buffer layer 310 provided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second buffer layer 210. The third buffer layer 310 may be provided to have a different hardness from at least one of the first buffer layer 110 and the second buffer layer 210. The first buffer layer 110 and the second buffer layer 210 ) Along the same load direction. Hereinafter, the third buffer layer 310 is provided at a lower hardness than that of the second buffer layer 210 to be disposed on the second buffer layer 210, for example. In some cases, the third buffer layer may have a hardness higher than that of the second buffer layer, or may be arranged below the first buffer layer.

상기 제3완충층(310)은 통상의 고무 및 합성수지 등을 이용하여 통상의 발포 성형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제3완충층이 미발포체로 형성되거나 여타 다른 재질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third buffer layer 310 may be formed by conventional foam molding using ordinary rubber, synthetic resin, etc. In some cases, the third buffer layer may be formed of a non-foamed material or other materials .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완충칼럼은 각각 동일한 개수의 완층층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다르게는 복수개의 완충칼럼(100)이 서로 다른 개수의 완충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복수개의 완충칼럼(100) 중 일부가 다른 개수의 완충층을 포함하여 구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즉, 복수개의 완충칼럼(100) 중 일부는 3개의 완충층으로 구성될 수 있고, 복수개의 완충칼럼(100) 중 다른 일부는 2개의 완충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복수개의 완충칼럼이 모두 동일한 개수의 완충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lurality of buffer columns may each be composed of the same number of full layer layers, but alternatively, the plurality of buffer columns 100 may be composed of different numbers of buffer layers. Hereinafter, an example in which some of the plurality of buffer columns 100 include a different number of buffer layers will be described. That is, some of the plurality of buffer columns 100 may be composed of three buffer layers, and another part of the plurality of buffer columns 100 may be composed of two buffer layers. In some cases, the plurality of buffer columns may consist of the same number of buffer layers.

한편, 상기 복수개의 완충칼럼(100)에서 동일한 층으로 인접한 완충층들은 연결리브를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복수개의 완충칼럼(100)의 각 제1완충층(110)은 제1연결리브(120)를 매개로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연결리브(120)는 각 완충칼럼(100)의 각 제1완충층(110)의 사이를 연결하며, 각각의 제1완충층(110)이 서로 연결될 수 있게 한다. 같은 방식으로, 상기 제2완충층(210)은 제2연결리브(220)를 매개로 서로 연결될 수 있고, 제3완충층(310)은 제3연결리브(320)를 매개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별도의 연결리브를 배제하고 각각의 제1완충층, 제2완충층, 및 제3완충층이 서로 독립적으로 분리된 형태로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르게는 복수개의 완충칼럼에서 동일한 재질의 인접한 완충층들(동일한 재질로 구성되며 서로 다른 층에 배치되는 완충층들 포함)이 연결리브를 통해 상호 연결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도 7 참조)On the other hand, adjacent buffer layers in the same layer in the plurality of buffer columns 100 can be interconnected through a connection rib. For example, the first buffer layers 110 of the plurality of buffer columns 10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via the first connection ribs 120. That is, the first connection ribs 120 connect the first buffer layers 110 of the buffering columns 100 and allow the first buffering layers 110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second buffer layer 21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via the second connection rib 220 and the third buffer layer 31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via the third connection rib 320. In this case, In some cases, the first buffer layer, the second buffer layer, and the third buffer layer may be provided separately from each other independently of each other, except for a separate connecting rib. Alternatively, adjacent buffer layers of the same material (including the buffer layers which are made of the same material and arranged in different layers) in the plurality of buffer columns may be configured to be interconnected through the connection ribs (see FIG. 7).

전술 및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복수개의 완충칼럼이 서로 다른 2개~3개의 완충층으로 구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서로 다른 4개 이상의 완충층이 사용될 수 있으며, 완충층의 개수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 plurality of buffer columns are described as being composed of two or three different buffer layers. However, in some cases, four or more different buffer layers may be use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전술 및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서로 다른 경도를 갖는 제1완충층(110) 내지 제3완충층(310)을 동일 하중 방향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배치하되, 제1완충층(110) 내지 제3완충층(310)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큰 경도를 갖도록 구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제1완충층 내지 제3완충층이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작은 경도를 갖도록 구성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first to third buffer layers 110 to 310 having different hardnesses are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same load direction, and the first buffer layer 110 to the third buffer layer 310, The first buffer layer 310 to the third buffer layer 310 may be configured to gradually increase in hardness progressively from the upper portion to the lower portion depending on circumstances. .

한편, 상기 완충칼럼(100)을 구성하는 상기 제1완충층(110), 제2완충층(210) 및 제3완충층(310)의 단면적 크기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완충층(110), 제2완충층(210) 및 제3완충층(310)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큰 단면적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제1완충층, 제2완충층 및 제3완충층이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작은 단면적을 갖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sizes of the cross-sectional areas of the first buffer layer 110, the second buffer layer 210 and the third buffer layer 310 constituting the buffer column 100 may be appropriately changed according to required conditions and design specifications. For example, the first buffer layer 110, the second buffer layer 210, and the third buffer layer 310 may have a gradually larger sectional area from the upper portion to the lower portion. In some cases, the first buffer layer, the second buffer layer, and the third buffer layer may have a small cross-sectional area gradually from the upper portion to the lower portion.

또한, 상기 제1완충층(110), 제2완충층(210) 및 제3완충층(310)의 형상(또는 단면 형상)은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완충층(110), 제2완충층(210) 및 제3완충층(310)은 대략 원형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각 완충칼럼이 타원형, 삼각형, 사각형 및 오각형 등과 같은 통상의 다각형은 물론, 별 형상 또는 하트 형상과 같이 여타 다른 기하학적 단면 형상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각 완충칼럼(100)의 형상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shapes (or cross-sectional shapes) of the first buffer layer 110, the second buffer layer 210, and the third buffer layer 310 can be variously changed according to required conditions and design specifications. For example, the first buffer layer 110, the second buffer layer 210, and the third buffer layer 310 may have a substantially circular cross-section. In some cases, each buffer column may be configured to have other geometric cross-sectional shapes, such as a star shape or a heart shape, as well as conventional polygons such as elliptical, triangular, square and pentagonal,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제1완충층(110), 제2완충층(210) 및 제3완충층(310)이 모두 동일한 단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제1완충층, 제2완충층 및 제3완충층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다른 단면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가령, 제1완충층은 원형 단면 형상을 갖고, 제2완충층은 사각형 단면 형상을 갖고, 제3완충층은 오각형 단면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buffer layer 110, the second buffer layer 210, and the third buffer layer 310 which are sequentially arranged are all formed to have the same cross-sectional shape. However, in some cases, 1 buffer layer, the second buffer layer and the third buffer layer may have different cross-sectional shapes. For example, the first buffer layer may have a circular cross-sectional shape, the second buffer layer may have a rectangular cross-sectional shape, and the third buffer layer may have a pentagonal cross-sectional shape.

상기 복수개의 완충칼럼(100)에서 인접한 완충층들은 동일 또는 다른 사이즈(두께 및 크기)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복수개의 완충칼럼(100)의 각 제1완충층(110), 제2완충층(210) 및 제3완충층(310)은 모두 다른 두께를 갖도록 제공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복수개의 완충칼럼의 각 제1 내지 제3완충층이 모두 동일한 두께를 갖도록 제공될 수 있으며, 다르게는 복수개의 완충칼럼의 각 제1 내지 제3완충층 중 어느 하나만이 다른 두께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Adjacent buffer layers in the plurality of buffer columns 100 may be provided in the same or different sizes (thickness and size). For example, each of the first buffer layer 110, the second buffer layer 210, and the third buffer layer 310 of the plurality of buffer columns 100 may be provided to have a different thickness. In some cases, each of the first to third buffer layers of the plurality of buffer columns may be provided to have the same thickness, or alternatively, only one of the first to third buffer layers of the plurality of buffer columns may have a different thickness .

또한, 상기 복수개의 완충칼럼(100)의 각 완충층은 특정 구간(예를 들어, 전족, 중족, 후족) 또는 하중이 가해지는 조건 별로 다른 두께를 갖도록 제공될 수 있다. 가령, 복수개의 완충칼럼(100)의 각 제1완충층(110)은 후족에서 전족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얇은 두께를 갖도록 제공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복수개의 완충칼럼(100)의 각 제2완충층(210) 중 적어도 하나도 다른 두께를 갖도록 제공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완충칼럼(100)의 각 제3완충층(310) 중 적어도 하나도 다른 두께를 갖도록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each buffer layer of the plurality of buffer columns 100 may be provided to have a different thickness depending on a specific interval (for example, full, middle, and rear) or conditions under which a load is applied. For example, each of the first buffer layers 110 of the plurality of buffer columns 100 may be provided so as to gradually have a thin thickness from the rear to the front. Similarly, at least one of each second buffer layer 210 of the plurality of buffer columns 100 may be provided to have a different thickness, and at least one of each third buffer layer 310 of the plurality of buffer columns 100 may have a different thickness .

한편, 전술한 완충칼럼(100)은 통상의 상부 미드솔(midsole)(400)과 아웃솔(outsole)(50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아웃솔(500)은 지면에 직접 접촉하는 부분으로서 미끄럼을 방지하고 안정감을 부여할 수 있는 재질 및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Meanwhile, the buffering column 100 described above may be disposed between a normal upper midsole 400 and an outsole 500. The outsole 500 may be provided in a material and structure that can prevent slipping and give a sense of stability as a portion directly contacting the ground.

한편,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단계 완충칼럼을 갖는 맞춤형 신발 솔을 도시한 도면이다. 아울러, 전술한 구성과 동일 및 동일 상당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동일 상당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7 and 8 are views showing a custom shoehorn having a multistage buffer colum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same or equivalent portions as those i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re denoted by the same or equivalent reference numerals,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전술 및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복수개의 완충칼럼(100)의 각 제1완충층(110)이 모두 서로 동일한 경도를 갖고, 각 제2완충층(210) 역시 서로 동일한 경도를 가지며, 각 제3완충층(310)이 모두 동일한 경도를 갖도록 구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복수개의 완충칼럼의 각 제1완충층 중 적어도 하나는 다른 경도를 갖도록 제공될 수 있고, 각 제2완충층 중 적어도 하나는 다른 경도를 갖도록 제공될 수 있으며, 각 제3완충층 중 적어도 하나는 다른 경도를 갖도록 제공될 수 있다.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first buffer layers 110 of the plurality of buffer columns 100 all have the same hardness, the second buffer layers 210 also have the same hardness, In some cases, at least one of the first buffer layers of the plurality of buffer columns may be provided to have a different hardness, and at least one of each of the second buffer layers may be provided One may be provided to have a different hardness, and at least one of each third buffer layer may be provided to have a different hardness.

즉,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하중이 가해지는 조건, 각 완충칼럼(100)의 경도 조건 및 여타 다른 설계 사양에 따라 복수개의 완충칼럼(100)의 각 제1완충층(110), 제2완충층(210), 및 제3완충층(310)은 서로 다른 경도를 갖도록 제공될 수 있다. 참고로, 도 7 및 도 8에서는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각 완충층(110,210,310)의 경도를 나타내기 위해 경도값 "1 ~ 4"을 도시하였다. 여기서 "1"은 상대적으로 경도가 가장 낮고, "4"은 상대적으로 경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7 and 8, the first buffer layer 110 and the second buffer layer 110 of the plurality of buffer columns 100 are 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load applied condition, the hardness condition of each buffer column 100 and other design specifications, 2 buffer layer 210, and the third buffer layer 310 may be provided to have different hardnesses. For reference, in FIGS. 7 and 8, hardness values "1 to 4" are shown in order to show the hardness of each buffer layer 110, 210, 310 in order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Here, "1" is relatively low in hardness and "4" is relatively high in hardness.

한편,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다단계 완충칼럼을 갖는 맞춤형 신발 솔의 일 사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아울러, 전술한 구성과 동일 및 동일 상당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동일 상당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9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using a custom shoe sole having a multistage buffer colum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same or equivalent portions as those i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re denoted by the same or equivalent reference numerals,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르면 상하 방향으로 제공되는 복수개의 완충층(110,120,130)을 갖는 완충칼럼(100)이 서로 독립적으로 작용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보행 및 주행시 돌맹이와 같은 위험요소를 잘못 밟을 경우에도, 위험요소에 대응되는 특정 영역의 완충칼럼(100)이 독립적으로 작용하며 신발의 전체적인 밸런스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발목의 꺽임 위험이 적고, 발목관절, 무릎, 허리의 부담을 최소화해 신체안정성을 높이고, 신체밸런스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buffer columns 100 having a plurality of buffer layers 110, 120 and 130 provided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act independently of each other, when a dangerous element such as a stance The buffer column 100 of a specific region corresponding to a risk element acts independently, and the overall balance of the shoe can be stably maintained. Therefore, the risk of ankle bending is reduced, and the burden on the ankle joint, knee, and waist is minimized Increase body stability, can maintain a stable body balance.

또한,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단계 완충칼럼을 갖는 맞춤형 신발 솔을 도시한 도면이다. 아울러, 전술한 구성과 동일 및 동일 상당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동일 상당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10 is a view showing a custom shoe sole having a multistage buffer colum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same or equivalent portions as those i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re denoted by the same or equivalent reference numerals,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개의 완충칼럼(1100)은 서로 다른 경도를 가지며 상하 방향으로 제공되는 복수개의 완충층(1110,1210,1310)을 포함하되, 서로 인접한 완충층 중 어느 하나에는 다른 하나의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1114,1214)가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buffer columns 1100 includes a plurality of buffer layers 1110, 1210, and 1310 having different hardnesses and provide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one of them may be formed with receiving portions 1114 and 1214 for receiving a portion of the other.

일 예로, 상기 제1완충층(1110)의 상단부에는 제2완충층(1210)의 하단부 일부가 수용되기 위한 제1수용부(1114)가 형성될 수 있고, 제2완충층(1210)의 상단부에는 제3완충층(1310)의 하단부 일부가 수용되기 위한 제2수용부(1214)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복수개의 완충층(1110,1210,1310) 중 서로 인접한 완충층들은 수용부를 통해 배치될 수 있기 때문에, 각 완충층(1110,1210,1310) 간의 상하 배치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으며, 완충칼럼(1100)에 의한 충격 흡수 성능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For example, a first receiving portion 1114 for receiving a portion of the lower end of the second buffer layer 1210 may be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first buffer layer 1110, and a second receiving portion 1114 may be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second buffer layer 1210. [ A second receiving portion 1214 for receiving a portion of the lower end of the buffer layer 1310 may be formed. In this manner, since the buffer layers adjacent to each other among the plurality of buffer layers 1110, 1210, and 1310 can be disposed through the accommodating portion, the vertical arrangement state between the buffer layers 1110, 1210, and 1310 can be stably maintained, The shock absorption performance by the buffer column 1100 can be stably maintained.

또한, 도 10을 참조하면, 복수개의 완충칼럼(1100)은 서로 다른 경도를 가지며 상하 방향으로 제공되는 복수개의 완충층(1110,1210,1310)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개의 완충층(1110,1210,13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완충공간(1112,1212,131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완충공간 내지 제3완충공간(1112,1212,1312)은 완충칼럼(1100)에 가해지는 충격이 보다 효과적으로 흡수 및 분산될 수 있게 하고, 각 완충공간(1112,1212,1312)에 의한 공간 설계를 통해 신발을 보다 경량으로 제작할 수 있게 한다.10, the plurality of buffer columns 1100 include a plurality of buffer layers 1110, 1210, and 1310 having different hardnesses and provid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plurality of buffer layers 1110, 1210, 1310 The buffer spaces 1112, 1212, and 1312 may be formed. The first to third buffer spaces 1112, 1212, and 1312 allow the impact applied to the buffer column 1100 to be more effectively absorbed and dispersed, and the buffer spaces 1112, 1212, Space design makes it possible to make shoes lightweight.

일 예로, 상기 제1완충층(1110)의 상면에는 제1완충공간(1112)이 형성될 수 있고, 제2완충층(1210)의 상면에는 제2완충공간(1212)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3완충층(1310)의 상면에는 제2완충공간(1312)이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a first buffer space 1112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buffer layer 1110, a second buffer space 1212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buffer layer 1210, A second buffer space 1312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uffer layer 1310.

상기 제1완충공간 내지 제3완충공간(1112,1212,1312)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큰 크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제1완충공간 내지 제3완충공간이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작은 크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다르게는 각 완충공간이 모두 동일한 크기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first to third buffer spaces 1112, 1212, and 1312 may be formed to gradually increase in size from the upper portion to the lower portion. In some cases, the first buffer space to the third buffer space may be formed at the upper portion The buffer space may be formed to have a gradually smaller size as it goes down. Alternatively, the buffer spaces may be formed to have the same size.

상기 제1완충공간 내지 제3완충공간(1112,1212,1312)은 폐쇄된 공기챔버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각 완충공간이 적어도 일측이 외부와 연통된 개방된 공기챔버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다르게는 제1완충층 내지 제3완충층 중 어느 하나에만 완충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완충공간의 개수 및 배치 구조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first to third buffer spaces 1112, 1212 and 1312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closed air chamber, but in some cases, each buffer space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n open air chamber in which at least one side communicates with the outside May be provided. Alternatively, a buffer space may be formed only in any one of the first buffer layer to the third buffer layer,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 number and arrangement of the buffer space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isclosed for illustrative purpose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dditions and substitu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and spirit of the invention as disclosed in the accompanying claims.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hanged.

100 : 완충칼럼 110 : 제1완충층
120 : 제1연결리브 210 : 제2완충층
220 : 제2연결리브 310 : 제3완충층
320 : 제3연결리브
100: buffer column 110: first buffer layer
120: first connection rib 210: second buffer layer
220: second connection rib 310: third buffer layer
320: third connecting rib

Claims (13)

상하 방향으로 제공되는 복수개의 완충층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다단계 완충칼럼(cushion column)을 구비하며,
상기 복수개의 완충층 중 적어도 하나는 다른 경도를 가져서 서로 다른 하중 조건에서 탄성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계 완충칼럼을 가지는 맞춤형 신발 솔.
And at least one multi-stage cushion column including a plurality of buffer layers provided in a vertical direction,
Wherei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buffer layers has different hardness and is elastically deformed under different loading conditio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칼럼은 신발 솔의 전체 또는 일부에 대응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계 완충칼럼을 가지는 맞춤형 신발 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uffer column is formed to correspond to all or a portion of the shoe so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칼럼은 신발 솔의 전체 또는 일부 면적에 대해 복수개가 제공되며,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계 완충칼럼을 가지는 맞춤형 신발 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uffer column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hoe soles for all or some of the area of the shoe sole an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완충칼럼은 각각 동일 또는 다른 완충층 구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계 완충칼럼을 가지는 맞춤형 신발 솔.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said plurality of buffer columns each comprise the same or different buffer layer configura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완충칼럼은 각각 동일 또는 다른 개수의 완충층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계 완충칼럼을 가지는 맞춤형 신발 솔.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plurality of buffer columns each comprise the same or different numbers of buffer layer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완충칼럼에서 인접한 완충층들은 동일 또는 다른 사이즈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계 완충칼럼을 가지는 맞춤형 신발 솔.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adjacent buffer layers in said plurality of buffer columns are provided in the same or different sizes. ≪ RTI ID = 0.0 > 15. < / RTI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완충칼럼에서 동일한 층으로 인접한 완충층들은 연결리브를 통해 상호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계 완충칼럼을 가지는 맞춤형 신발 솔.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adjacent buffer layers in the same layer in the plurality of buffer columns are interconnected via connection rib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완충칼럼에서 동일한 재질의 인접한 완충층들은 연결리브를 통해 상호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계 완충칼럼을 가지는 맞춤형 신발 솔.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adjacent buffer layers of the same material in the plurality of buffer columns are interconnected via connection rib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완충층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 별 형상, 하트 형상 중 어느 하나의 단면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계 완충칼럼을 갖는 맞춤형 신발 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buffer layers has a cross-sectional shape of any one of circular, elliptical, polygonal, star-shaped, and heart-shap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칼럼은,
제1완충층; 및
상기 제1완충층의 상하 방향을 따라 제공되는 제2완충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완충층 및 상기 제2완충층은 서로 다른 경도를 가지며, 서로 다른 하중 조건에서 탄성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계 완충칼럼을 가지는 맞춤형 신발 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buffer column,
A first buffer layer; And
And a second buffer layer provided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first buffer layer,
Wherein the first buffer layer and the second buffer layer have different hardnesses and are elastically deformed under different loading conditions.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완충층 및 상기 제2완충층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서로 다른 경도를 가지며, 상기 제2완충층의 상하 방향을 따라 제공되는 제3완충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계 완충칼럼을 갖는 맞춤형 신발 솔.
11. The method of claim 10,
Further comprising a third buffer layer having a different hardness from at least one of the first buffer layer and the second buffer layer and provided along a vertical direction of the second buffer layer,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완충층 중 서로 인접한 완충층 중 어느 하나에는 인접한 다른 하나의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계 완충칼럼을 갖는 맞춤형 신발 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one of the plurality of buffer layers adjacent to each other is formed with a receiving portion for receiving a portion of the adjacent one of the buffer layer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완충층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완충공간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계 완충칼럼을 갖는 맞춤형 신발 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cushioning space is formed i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buffer layers.
KR1020120035072A 2012-04-04 2012-04-04 Customized shoe sole having multi-level cushion column KR10128803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5072A KR101288036B1 (en) 2012-04-04 2012-04-04 Customized shoe sole having multi-level cushion colum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5072A KR101288036B1 (en) 2012-04-04 2012-04-04 Customized shoe sole having multi-level cushion column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5078A Division KR101178266B1 (en) 2011-08-25 2011-08-25 Customized shoe sole having multi-level cushion colum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3047A true KR20130023047A (en) 2013-03-07
KR101288036B1 KR101288036B1 (en) 2013-07-22

Family

ID=48175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5072A KR101288036B1 (en) 2012-04-04 2012-04-04 Customized shoe sole having multi-level cushion colum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803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45843B (en) * 2016-03-21 2020-09-01 黑金刚(福建)自动化科技股份公司 Shoe customization manufacturing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884A (en) * 1990-02-09 1991-08-21 海·克雷默 The article of footwear that has the end in the improvement
KR200444068Y1 (en) * 2008-12-02 2009-04-10 이점순 Shoe sole for active walk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8036B1 (en) 2013-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8266B1 (en) Customized shoe sole having multi-level cushion column
EP2410886B1 (en) Shoe sole for increasing instability
JP5207555B2 (en) Shoe sole with replaceable shock absorbing member
KR101329615B1 (en) Article of footwear
US20140202031A1 (en) Lightweight shoe sole having structure displaying shock absorption and rebound elasticity
US8732984B2 (en) Shock absorbing shoes with triangle shock absorbing space
KR101006923B1 (en) Mid-sole of a shoes
KR101251572B1 (en) Shock absorbing shoes with a triangle shock absorbing space
KR101253208B1 (en) Article of footwear having structure for light weight and high elasticity
KR101288036B1 (en) Customized shoe sole having multi-level cushion column
KR101625917B1 (en) Article of footwear
KR200427366Y1 (en) An sandal for shock absorption having support form of arch type
KR101063735B1 (en) Health walking sandals
KR101329616B1 (en) Article of footwear
KR200489122Y1 (en) Bottom piece of hiking boots
KR101288905B1 (en) Shoe sole with Improve walking function
KR101395840B1 (en) Article of footwear
KR101352091B1 (en) Light weight article of footwear with high elasticity
KR101354529B1 (en) Article of footwear
KR100885066B1 (en) The shoe
KR101709953B1 (en) Footwear improving stability of walking
KR102502480B1 (en) Footwear providing rebounce function
KR101021289B1 (en) The shoes
KR100979262B1 (en) A health shoes constructed double hills
KR101088459B1 (en) Shoe sole with shock absorption and function of propulsion walking by multiple hardne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