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8905B1 - Shoe sole with Improve walking function - Google Patents

Shoe sole with Improve walking fun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8905B1
KR101288905B1 KR1020110054241A KR20110054241A KR101288905B1 KR 101288905 B1 KR101288905 B1 KR 101288905B1 KR 1020110054241 A KR1020110054241 A KR 1020110054241A KR 20110054241 A KR20110054241 A KR 20110054241A KR 101288905 B1 KR101288905 B1 KR 1012889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dsole
sole
air
hemispherical
hemispherical protrus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424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134972A (en
Inventor
김준희
Original Assignee
김준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준희 filed Critical 김준희
Priority to KR10201100542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8905B1/en
Publication of KR201201349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497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89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890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20Pneumatic soles filled with a compressible fluid, e.g. air, ga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43B13/186Differential cushioning region, e.g. cushioning located under the ball of the foot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22Soles made slip-preventing or wear-resisting, e.g. by impregnation or spreading a wear-resisting layer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행기능을 향상시킨 신발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람이 서있을 때, 인체의 하중으로 인하여 상당한 압축력이 발생되어 무릎이나 발목 부위에 부하가 생기는 것을 완화시킴과 동시에 좌우 어느 한 쪽으로 기울거나 치우치지 아니하고 고른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복원력이 좋은 양호한 쿠션을 지속적으로 유지 시 킬 수 있게 하며, 또한 보행을 행할 경우 보행 시 요구되는 충격력, 지지력, 추진력에 의한 발의 뒤꿈치에 가해지는 보행충격으로부터 상기의 충격을 흡수하여 보다 더 편안하고 안정된 착지감을 얻을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쿠션기능을 가지는 중창과 논슬립기능을 가지는 겉창으로 이루어지는 신발창에 있어서, 상기 중창의 저면에는 다수개의 반구형돌출부가 외측을 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다수개의 반구형돌출부 사이에는 호형상의 저면굴곡홈부가 신발창의 폭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중창의 상부면은 내측으로 소정 깊이만큼 공간이 파여서 상측이 개방되게 형성되어 바깥쪽 둘레로 상향 돌출된 테두리부가 형성되며, 상기 겉창은 상기 중창의 저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반구형돌출부와 저면굴곡홈부가 안착되게 다수개의 반구형홈부와 저면굴곡부가 각각 대응되게 형성되며, 상기 중창이 상기 겉창에 견고하게 접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중창의 저면에 형성되는 저면굴곡홈부의 내측부위에 사각통형상의 공간부가 다수개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중창의 저면에 다수개로 형성되어 있는 반구형돌출부가 전방부 쪽은 크기가 작고 후방부 쪽으로 갈 수로 그 크기가 순차적으로 커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중창의 저면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반구형돌출부의 크기는 중창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전방부 쪽은 크기가 작고 후방부는 전방부에 형성되는 반구형돌출부 보다 크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신발창은 상부가 좁고 하부가 넓은 상협하광(上狹下廣)형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보행기능을 향상시킨 신발창은, 상기 중창의 저면에 다수개로 형성되는 반구형돌출부에 캡 형상의 반구형커버가 각각 접착됨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중창은 다수개로 형성된 반구형돌출부의 내부에 컵형상의 공기실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공기실을 연결하는 공기이동통로가 각각의 공기실을 서로 연결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공기가 한 방향으로 유입되어 한 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중창의 상부에 기공 역할을 하는 시트지가 형성되며, 상기 시트지의 전방부에는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중창의 후방부에 형성되는 공기실에는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배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e sole that improves the walking function, and more particularly, when a person is standing, a significant compressive force is generated due to the load of the human body to alleviate the load on the knee or ankle, and at the same time, tilting to either side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good cushion with good resilience to maintain an even, unbiased condition. Also, when walking, the above-mentioned walking impact from the heel of the foot caused by the impact force, support force, and driving force required for walking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ck absorber to obtain a more comfortable and stable landing.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is a shoe sole consisting of a midsole having a cushioning function and an outsole having a non-slip function, the bottom of the midsole is formed so that a plurality of hemispherical protrusions facing outwards, the arc-shaped bottom between the plurality of hemispherical protrusions A curved groove is form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ol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midsole is formed so that a space is dug inwardly by a predetermined depth to open the upper side to form an edge protruding upwardly outward, and the outsole is formed of the midsole. A plurality of hemispherical protrusions and bottom bent grooves ar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plurality of hemispherical protrusions and bottom bent grooves formed on the bottom, respectively, characterized in that the midsole is firmly bonded to the outsole.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rectangular cylindrical spaces are formed in the inner portion of the bottom curved groov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idsole, the hemispherical protrusion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idsole a plurality of front side is The size of the hemispherical protrusions formed on the bottom of the midsole is small in size, and the size of the hemispherical protrusions formed on the bottom of the midsole is small in size, and the rear portion of the midsole is form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larger than the hemispherical protrusion formed in the front portion, the shoe sol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portion is formed in a narrow upper and lower upper narrow light (上 狹 下 廣) shape.
In addition, the shoe sole having improved walk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emispherical protrusions of the cap shape are bonded to the hemispherical protrusions formed in plural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idsole, and the midsole has a cup in the hemispherical protrusions formed in plural. Shaped air chambers are formed respectively, and air movement passages connecting the respective air chambers are formed in a plurality of directions so as to connect the respective air chambers with each other, and the air is introduced in one direction and discharged in one direction. A sheet of paper i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midsole so as to form a pore. An air inlet through which air is introduced is formed at the front of the sheet, and an air outlet through which air is discharged is formed in the air chamber formed at the rear of the midsole. It is characterized by.

Description

보행기능을 향상시킨 신발창{Shoe sole with Improve walking function}Shoe sole with Improve walking function

본 발명은 보행기능을 향상시킨 신발창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람이 보행 시 인체의 하중으로 인하여 상당한 충격력이 발생되어 무릎이나 발목 부위에 부하가 생기는 것을 완화시킴과 동시에 좌우 어느 한 쪽으로 기울거나 치우치지 아니하고 고른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복원력이 좋은 양호한 쿠션을 지속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게 하며, 또한 보행 시 요구되는 충격력, 지지력, 추진력에 의한 발의 뒤꿈치에 가해지는 보행충격으로부터 상기의 충격을 흡수하여 보다 더 편안하고 안정된 착지감, 즉 잔디밭을 걷는 느낌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보행기능을 향상시킨 신발창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e sole that improves the walking function, and more particularly, a significant impact force is generated due to the load of the human body when a person walks, thereby alleviating the load on the knee or ankle, and at the same time tilting either side It is possible to continuously maintain a good cushion with good resilience to maintain an even state without bias, and also absorbs the above shock from the walking impact applied to the heel of the foot due to the impact force, support force, and driving force required for walking. It relates to a shoe sole with improved walking function, which allows a more comfortable and stable landing feeling, that is, a feeling of walking on a lawn.

일반적으로 사람은 두 다리로 좌우의 균형을 잡고 두 다리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붙어 있는 두발로 앞뒤의 균형을 잡고 보행을 하는 데, 앞뒤의 균형과 신체이동에 있어 가장 큰 역할을 하는 것이 발이다.In general, a person balances right and left with two legs, and walks with both feet attached in the direction intersecting with both legs, and walks. The most important role in the balance between front and rear and body movement is the foot.

상기의 발을 통하여 사람은 신체를 목적하는 곳으로 이동 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며, 물론, 발은 걸음걸이를 하는데 있어서 삼차원적으로 몸통을 목적하는 곳으로 이동을 추진하는 기관이며, 또는 몸을 지탱시켜주는 기관인 동시에 몸을 보호해 주는 기능도 하고 있다.Through the above feet, the person is able to move the body to the intended place, and of course, the foot is an organ that promotes the movement to the destination of the body three-dimensionally in walking, or supports the body At the same time, it is the organ that protects the body.

그러므로 발은 우리 몸의 중심기관인 동시에 몸의 자세와 균형을 유지시키고 발에서 다리로, 다리에서 척주까지 연결되는 운동으로 하여금 사람의 직접보행이 가능한 것이다.Therefore, the foot is the central organ of our body and at the same time maintains the body's posture and balance, and the movement of the foot from the foot to the leg and the spine to the spinal column enables human walking.

이런 발이 육중한 몸을 하루 종일 지탱해 주는 놀라운 역할을 하는 것은 뛰어난 충격흡수와 신축성, 또는 운동성에 기인한다.The surprising role that these feet support the massive body throughout the day is due to its excellent shock absorption, elasticity or mobility.

발의 기능으로 볼 때, 발가락 부분인 전족부(前足部), 발등 부분인 중족부(中足部), 발뒤꿈치 부분인 후족부(後足部)로 나눌 수 있으며, 측면에서 볼 때, 아치형으로 되어있어 체중이 지면에 작용할 때 완충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In terms of the function of the foot, it can be divided into the forefoot part of the toe, the midfoot part of the foot, and the rear part of the heel. It will act as a buffer when your weight acts on the ground.

따라서 발의 건강이 곧 신체의 건강과 직결된다는 말은 발에 이상이 생겼을 때, 발을 통해 온몸에 전해지는 반작용파를 효과적으로 흡수시키고 소멸 시키지 못하여 그 충격으로부터 신체 각 부분에 이상이 생기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the health of the foot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health of the body, when the abnormality occurs in the foot, the reaction wave transmitted to the whole body through the foot can not effectively absorb and extinguish it, so that the abnormalities in each part of the body from the impact.

상기와 같이 발에 이상이 생기면 발목, 무릎, 허리디스크, 관절염의 원인이 되며, 또한 대사성질환, 신경증, 당뇨병, 피부질환, 혈관질환, 비만 등을 일으키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bnormalities in the foot cause ankle, knee, lumbar disc, and arthritis, and also cause metabolic diseases, neurosis, diabetes, skin diseases, vascular diseases, obesity, and the like.

상기와 같은 발은 언제나 체중의 압력을 받게 되므로 보통 서 있을 때 보다는 걷거나 뛰는 것이 더 큰 압력을 받게 되고 높은 곳에서 뛰어 내릴 때는 더 큰 압력에 의한 충격을 받게 된다.Such feet are always subject to weight pressure, so walking or running is more pressured than normal standing, and shocked by greater pressure when jumping from high places.

또한, 오래 서 있거나 걸을 때 또는 뛸 때 발바닥에 족압이 걸려 통증을 느끼는 경우를 경험하게 되며, 이런 현상은 발바닥에만 끝나는 것이 아니라 몸 전체에 파급되며 그 결과 몸에 피로와 질병을 유발 시킨다.In addition, when you are standing, walking, or running for a long time, you experience foot pain in the soles of your feet, which can cause pain and spread to your entire body, not just the soles of your feet.

상기와 같은 발을 보호하기 위해 사람은 누구나 신발을 착용하고 일반적인 생활을 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신발은 인체의 발부위를 보호하기 위하여 착용하는 것으로서 매우 다양한 형태와 종류로 제작되어 시판되고 있으나, 통상적으로는 발등과 발목 부위을 덮어서 보호하는 갑피(甲皮)와, 발바닥을 보호하면서 지면과의 마찰력을 높여 보행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동시에, 보행 시 발바닥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키도록 하는 신발창으로 구성되는 신발을 착용하게 되는 데, 상기와 같은 통상적인 신발의 경우 보행 시 지면으로부터 발바닥으로 전해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신발의 내측 바닥면에 깔창을 깔거나 신발밑창과 뒤축 부분을 완충력이 우수한 고무 및 발포 스폰지재질로 제작하거나, 또는 스프링 등의 탄성복원체를 신발창에 내장시키도록 한 것이 알려져 있다.In order to protect the feet as described above, everyone wears shoes and lives a normal life. In general, shoes are worn to protect the feet of the human body, and are manufactured and marketed in a wide variety of shapes and types. The upper cover protects the instep and the ankle area, and the sole protects the sole and improves the walking ability by improving the friction with the ground, and at the same time, it is made up of the sole to reduce the impact on the sole during walking.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shoes, the insole is placed on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shoe, or the rubber sole has excellent cushioning force on the sole and the heel of the shoe so as to absorb the shock transmitted from the ground to the sole when walking. And foamed sponge material, or elastic restoring body such as spring It is known to make one.

특히, 최근에는 생활수준의 향상과 주 5일제 근무의 확산으로 야외활동을 즐기는 인구가 크게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야외활동을 즐기는 사람들이 보다 더 나은 착용감을 느끼도록 하는 동시에, 착용자의 발바닥 부분과 발목 및 무릎 관절에 무리가 가해지지 않도록 하며, 신발을 착용하고 걷는 것만으로도 건강증진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성 신발의 개발사업에 신발제조업체들이 많은 시간과 노력을 투자하고 있다.In particular, the recent increase in living standards and the spread of five-day workweeks have led to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number of people who enjoy outdoor activities, thereby making them more comfortable to wear, Shoe manufacturers are investing a lot of time and effort in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footwear that prevents stress on the ankle and knee joints and contributes to health promotion by simply walking and wearing shoes.

상기와 같이 고무나 발포 스폰지 재질로 신발밑창을 제조하거나 또는 스프링 등의 탄성복원체를 신발창에 내장시킨 경우는 단순한 충격 흡수의 기능만을 수행할 수 있을 뿐이며, 착용자의 발뒤꿈치로부터 발가락에 이르기까지의 보행경로에 맞추어 보다 자연적이고 안정적인 보행을 수행토록 함으로서, 발바닥의 피로를 경감시키는 한편 발목과 무릎의 관절을 보호하는 측면에는 거의 기여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As described above, when a shoe sole is manufactured from rubber or foam sponge or an elastic restoring body such as a spring is embedded in the sole, only a shock absorbing function can be performed, and the wearer's heel to toes By performing more natural and stable walking in accordance with the walking path, it is hard to contribute to the aspect of reducing the fatigue of the sole of the foot and protecting the joints of the ankle and knee.

따라서, 신발을 착용한 사람들이 보다 더 자연스럽고 안정적인 보행을 수행토록 함으로서, 발바닥의 피로를 경감시키고 발목과 무릎 부위의 관절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일차적으로 발뒤꿈치의 바깥쪽으로부터 발의 앞 볼 쪽으로 진행되는 회내운동(廻內運動, Pronation: 발바닥의 아치 부분이 내려 앉는 움직임)이 정상적이며 안정적인 범위내에서 자연스럽게 수행되어야 하는 데, 이러한 기능을 만족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되는 것이다.Therefore, in order to reduce the fatigue of the soles and to protect the joints of the ankles and knees, the people who wear the shoes will be able to walk more naturally and stably. Pronation (pronation: movement of the arch of the foot) should be performed naturally within the normal and stable range, and this problem cannot be satisfi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저면에는 다수개의 반구형돌출부와 상기 다수개의 반구형돌출부 사이에 호형상의 저면굴곡홈부가 바닥면을 향하도록 하향 돌출 형성되며, 상부면은 바깥쪽 둘레로 상향 돌출된 테두리부가 형성되어 지속적이고 복원력이 뛰어난 쿠션기능을 가지는 중창과 상기 중창의 저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반구형돌출부와 반구형돌출부 사이에 형성되는 저면굴곡홈부가 대응되게 접착되는 다수개의 반구형홈부와 저면굴곡부로 이루어진 논슬립기능을 가지는 겉창이 견고하게 접착, 형성된 본 발명에 의한 신발창은 우수한 착지감과 정상적이며 안정적인 범위내의 회내운동식 보행으로 좌우의 치우침 없이 자연스럽게 보행이 이루어지도록 한 신발창을 제공하기 위한 것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the bottom surface is formed between the plurality of hemispherical protrusions and the plurality of hemispherical protrusions arc-shaped bottom curved groove portion projected downward toward the bottom surface, the upper surface Is formed by the edge portion protruding upwards to the outer periphery, the midsole having a continuous and resilient cushioning function and the plurality of hemispherical protrusions formed on the bottom of the midsole and the bottom curved grooves formed between the hemispherical protrusions correspondingly The so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irmly bonded and formed outsole having a non-slip function consisting of a hemispherical groove portion and a bottom bent portion provides an excellent landing feeling and natural soles without walking left and right by the internal movement walking within the normal and stable range The purpose is to do that.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쿠션기능을 가지는 중창과 논슬립기능을 가지는 겉창으로 이루어지는 신발창에 있어서, 상기 중창의 저면에는 다수개의 반구형돌출부가 바닥면을 향하도록 하향 돌출 형성되며, 상기 다수개의 반구형돌출부 사이에는 호형상의 저면굴곡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중창의 상부면은 바깥쪽 둘레로 상향 돌출된 테두리부가 형성되며, 상기 겉창은 상기 중창의 저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반구형돌출부와 저면굴곡홈부가 안착되게 다수개의 반구형홈부와 저면굴곡부가 각각 대응되게 형성되며, 상기 중창이 상기 겉창에 견고하게 접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hoe sole consisting of a midsole having a cushion function and a non-slip function outsole, the bottom surface of the midsole is formed protruding downward so that a plurality of hemispherical protrusions toward the bottom surface, An arc-shaped bottom curved groove portion is formed between the plurality of hemispherical protrusions, and an upper surface of the midsole is formed with an edge protruding upward toward the outer circumference, and the outsole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hemispherical protrusions and bottom flexures formed on the bottom of the midsole. A plurality of hemispherical grooves and bottom curved portions are formed to correspond to each other so that the grooves are seated, and the midsole is firmly bonded to the outsol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중창의 저면에 형성되는 저면굴곡홈부의 내측부위에 사각통형상의 공간부가 다수개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중창의 저면에 다수개로 형성되어 있는 반구형돌출부가 전방부 쪽은 크기가 작고 후방부 쪽으로 갈 수로 그 크기가 순차적으로 커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중창의 저면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반구형돌출부의 크기는 중창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전방부 쪽은 크기가 작고 후방부는 전방부에 형성되는 반구형돌출부 보다 크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신발창은 상부가 좁고 하부가 넓은 상협하광(上狹下廣)형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rectangular cylindrical spaces are formed in the inner portion of the bottom curved groov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idsole, the hemispherical protrusion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idsole a plurality of front side is The size of the hemispherical protrusions formed on the bottom of the midsole is small in size, and the size of the hemispherical protrusions formed on the bottom of the midsole is small in size, and the rear portion of the midsole is form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larger than the hemispherical protrusion formed in the front portion, the shoe sol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portion is formed in a narrow upper and lower upper narrow light (上 狹 下 廣) shape.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신발창은, 상기 중창의 저면에 다수개로 형성되는 반구형돌출부에 캡 형상의 반구형커버가 각각 접착됨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중창은 다수개로 형성된 반구형돌출부의 내부에 컵형상의 공기실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공기실을 연결하는 공기이동통로가 각각의 공기실을 서로 연결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공기가 한 방향으로 유입되어 한 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중창의 상부에 기공역할을 하는 시트지가 형성되며, 상기 시트지의 전방부에는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중창의 후방부에 형성되는 공기실에는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배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shoe sole according to the inven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cap-shaped hemispherical cover is adhered to the hemispherical protrusion formed in the plurality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idsole, respectively, the midsole has a cup-shaped air chamber inside the hemispherical protrusion formed in plurality Respectively formed, the air movement passages connecting the respective air chambers are formed in a plurality of directions so as to connect the respective air chambers with each other,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midsole so that the air is introduced in one direction and discharged in one direction; Sheet paper is formed in the role of a pore, the front portion of the sheet is formed with an air inlet through which air is introduced, the air chamber formed in the rear portion of the midsol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ir outlet port is discharged .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신발창은 복원력이 탁월하고 양호한 쿠션을 지속적으로 제공하며, 반구형으로 형성된 쿠션돌기는 쿠션이 좋은 소재로 형성되어 소재 자체의 쿠션과 더불어 착지시의 충격 흡수를 이상적으로 할 수 있게되어 뛰어난 충격흡수와 부드러운 보행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서, 보행 시 우수한 완충작용으로 잔디밭을 걷는 듯이 편안한 착지감과 좌우로 치우치지 않고 올바른 회내운동식 보행을 제공할 수 있고, 또한 외관상 미려함을 충족시키고 발이 불쾌하거나 쉽게 피로해지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hoe so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excellent restoring force and provides a good cushion continuously, and the hemispherical cushion protrusion is formed of a good cushion material, ideally absorbing the shock when landing together with the cushion of the material itself. It is able to keep excellent shock absorption and smooth walking continuously, and it provides excellent cushioning effect when walking, providing a comfortable landing feeling like walking on the lawn, and providing correct inner walking movement without biasing from side to side. It has the effect of satisfying and preventing the feet from becoming unpleasant or easily tir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행기능을 향상시킨 신발창의 제 1 실시예의 저면을 나타내는 저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행기능을 향상시킨 신발창의 제 1 실시예의 측면을 나타내는 계략적인 측면분해단면도.
도 3의 (가) 및 (나)는 본 발명에 따른 보행기능을 향상시킨 신발창의 제 1 실시예로써, (가)는 결합된 상태의 계략적인 측단면도이고, (나)는 계략적인 정단면도.
도 4의 (가) 및 (나)는 본 발명에 따른 보행기능을 향상시킨 신발창의 제 2 실시예로써, (가)는 계략적인 측단면도이고, (나)는 계략적인 정단면도.
도 5의 (가) 및 (나)는 본 발명에 따른 보행기능을 향상시킨 신발창의 제 3, 제 4 실시예를 나타내는 계략적인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보행기능을 향상시킨 신발창의 제 5 실시예를 나타내는 계략적인 정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보행기능을 향상시킨 신발창의 제 6 실시예를 나타내는 저면사시도.
도 8의 (가) 및 (나) 본 발명에 따른 보행기능을 향상시킨 신발창의 제 7 실시예로써, (가)는 평면도이고, (나)는 계략적인 측단면도.
1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ottom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shoe sole with improved walk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chematic side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id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sole improved walk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a) and (b) is a first embodiment of the sole improved the walk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schematic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mbined state, (b) is a schematic front cross-sectional view .
4 (a) and (b) is a second embodiment of the sole improved the walk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schematic side cross-sectional view, (b) is a schematic front sectional view.
Figure 5 (a) and (b) is a schematic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third, fourth embodiment of the sole improved the walk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chematic front sectional view showing a fifth embodiment of a shoe sole having improved walk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a sixth embodiment of the sole improved walk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a) and (b) as a seventh embodiment of the sole improved the walk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plan view, (b) is a schematic side cross-sectional view.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보행기능을 향상시킨 신발창은 일반적인 신발과 같이 발등부위를 보호하는 신발갑피의 하측에 구성되어 지속적인 쿠션작용을 하는 중창과 지면에서의 논슬립작용을 하는 겉창으로 이루어진 신발창으로 구성된다.Sole improved walk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shoe sole consisting of a midsole having a continuous cushioning action and a non-slip outsole in the ground is configured on the lower side of the shoe upper to protect the instep like a normal sho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신발창에 있어서, 보행 시 발생되는 착지감이나 회내운동식 보행으로 좌우로 치우침 없이 올바른 보행이 이루어지게 하기 위한 신발창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e sole for making the correct walking without the left and right to the landing feeling or the internal exercise walking in the sole as described above.

본 발명에 따른 도 1 내지 도 3의 (가) 및 (나)는 본 발명에 따른 신발창의 제 1 실시예의 구성으로써,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창의 요부를 보여주는 저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신발창의 측면을 나타내는 계략적인 측면 분해단면도이며, 도 3의 (가) 및 (나)는 본 발명에 따른 신발창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가)는 결합된 상태의 계략적인 측단면도이고, (나)는 계략적인 정단면도이다.1 to 3 (a) and (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figur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so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portion of the so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Figure 3 is a schematic side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ide of the so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a) and (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o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schematic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mbined state And (b) is a schematic forward sectional view.

상기의 도 1 내지 도 3의 (가) 및 (나)를 참조하면, 중창(10)의 저면에는 다수개의 반구형돌출부(11)가 바닥면을 향하도록 하향 돌출 형성되며, 상기 다수개의 반구형돌출부(11) 사이에는 호형상의 저면굴곡홈부(13)가 반구형돌출부(11)와 서로 연결되게 구성된다.1 to 3, (a) and (b), a plurality of hemispherical protrusions 11 are formed on the bottom of the midsole 10 to protrude downward to face the bottom surface, and the plurality of hemispherical protrusions ( 11) between the arc-shaped bottom curved groove 13 is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hemispherical projection (11).

그리고 상기 중창(10)의 상부면은 바깥쪽 둘레로 상향 돌출된 테두리부(12)가 구성된다.And the upper surface of the midsole 10 is composed of a border portion 12 protruding upward outward.

상기 겉창(20)의 구성은 상기 중창(10)의 저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반구형돌출부(11)와 저면굴곡홈부(13)에 대응되게 다수개의 반구형홈부(21)와 다수개의 저면굴곡부(22)가 각각 안착되어 접착되게 구성된다.The outsole 20 has a plurality of hemispherical grooves 21 and a plurality of bottom curved portions 22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hemispherical protrusions 11 and the bottom curved grooves 13 formed on the bottom of the midsole 10. Each seat is configured to be bonded.

예를 들어 중창(10)의 저면에는 지면과 맞닫아 점접촉을 함과 동시에 쿠션작용을 하는 다수개의 반구형상의 반구형돌출부(11)가 신발창(100)의 외측을 향하도록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어 있다.For example, the bottom surface of the midsole 10 is formed to face each other so as to face the outside of the sole 100, a plurality of hemispherical hemispherical protrusions 11 which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ground and at the same time a cushioning action.

그리고 상기 쿠션작용을 하는 다수개의 반구형상의 반구형돌출부(11) 사이에는 호형상의 저면굴곡홈부(13)가 상기의 반구형돌출부(11)에 연장된 상태로 형성되는 것이다.And between the plurality of hemispherical hemispherical protrusions (11) having the cushioning action is to form an arc-shaped bottom curved groove 13 extending in the hemispherical protrusions (11).

또한, 상기 중창(10)의 상부면은 발바닥이 안착되게 바깥쪽 둘레로 상향 돌출된 형태의 테두리부(12)가 형성된다.In addi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midsole 10 is formed with a border portion 12 protruding upward toward the outer circumference so that the sole is seated.

지면과 밀착되어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상기 겉창(20)은 쿠션작용을 지속적으로 유지시켜 편안한 보행을 추구하는 상기 중창(10)의 저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반구형상의 반구형돌출부(11)와 반구형돌출부에 연결형성되어진 저면굴곡홈부(13)에 대응되게 안착될 수 있는 다수개의 반구형홈부(21)와 저면굴곡부(22)가 각각의 위치에 알맞게 접착, 형성되게 되는 것이다.The outsole 20,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ground and prevents slipping,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hemispherical hemispherical protrusions 11 and hemispherical protrusion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idsole 10 in pursuit of comfortable walking by maintaining a cushioning action. The plurality of hemispherical grooves 21 and the bottom curved portion 22, which may be seated corresponding to the bottom curved groove portion 13, are adhered and formed appropriately at their respective positions.

상기와 구성되어 형성된 신발창은 지면과 점접촉으로 인해 미끌림이 현저히 줄어듬과 동시에 순간적인 완충작용이 일어나 착지에 의한 강한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어 편안하고 안정된 착지와 더불어 좌우측으로 기울어짐이 없이 회내운동식 보행이 가능하여 건강증진과 함께 쾌활한 보행을 보장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Shoe sole formed by the above is significantly reduced sliding due to the point of contact with the ground and at the same time instantaneous buffering effect can effectively absorb the strong impact by landing, so comfortable and stable landing, and without tilting to the left and right side movement It is possible to walk on a diet to ensure cheerful walking with health promotion.

도 4의 (가),(나)는 본 발명에 따른 신발창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가)는 본 발명에 따른 신발창의 계략적인 측단면도이고, (나)는 본 발명에 따른 신발창의 계략적인 정단면도이다.Figure 4 (a), (b) shows a second embodiment of the so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schematic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sole according to the invention, (b) is a shoe so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도 4의 (가) 및 (나)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신발창(100)은 중창(10)의 저면에 형성되는 저면굴곡홈부(13)의 내측에 사각통형상으로 구성된 공간부(30)가 다수개로 형성된다.Referring to Figure 4 (a) and (b), the shoe sol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pace portion 30 is formed in a rectangular cylindrical shape on the inner side of the bottom curved groove portion 13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idsole 10 ) Is formed in plural.

예를 들어 신발창(100)에 형성된 공간부(30)의 공간 때문에 반구형돌출부(11)가 전후좌우 어느 방향으로 자유롭게 확장될 수 있어서, 그 만큼의 쿠션이 더 발생되어 보다 더 뛰어난 쿠션력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For example, because of the space of the space portion 30 formed in the shoe sole 100, the hemispherical protrusion 11 can be freely extended in any direction in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so that more cushions are generated to have more excellent cushioning force. will be.

도 5의 (가) 및 (나)는 본 발명에 따른 신발창의 제 3, 제 4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가)는 제 3 실시예의 계략적인 측단면도이고, (나)는 제 4 실시예의 계략적인 측단면이다.5 (a) and (b) show the third and fourth embodiments of the so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schematic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third embodiment, and (b) is the fourth embodiment It is a lateral cross section.

도 5의 (가) 및 (나)를 참조하면, 먼저 도 5의 (가)인 제 3 실시예는 신발창(100)의 저면에 다수개로 형성되어 있는 반구형돌출부(11)가 전방부 쪽은 크기가 작고 후방부 쪽으로 갈수록 그 크기가 순차적으로 커지게 형성된다.Referring to (a) and (b) of FIG. 5, first, the third embodiment of (a) of FIG. 5 has a hemispherical protrusion 11 formed in plural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hoe sole 100. Smaller and toward the rear portion is formed to increase in size sequentially.

도 5의 (나)인 제 4 실시예는 신발창(100)의 저면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반구형돌출부(11)의 크기는 중창(10)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전방부 쪽은 크기가 작고 후방부는 전방부에 형성되는 반구형돌출부(11) 보다 크게 형성된다.In the fourth embodiment of (b) of FIG. 5, the size of the plurality of hemispherical protrusions 11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ole 100 is smaller in size in front of the midsole 10 and the rear in front of the midsole 10. It is formed larger than the hemispherical protrusion 11 formed in the part.

앞뒤의 높이차이로 인해 발의 뒤꿈치부분은 착지감이 상향되고 발의 앞부분은 상당한 쿠션을 받을 수 있어 발에 전해지는 피로감을 해소할 수 있으며, 좌우로 치우침이 없이 편안한 보행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Due to the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front and back, the heel part of the foot has a higher landing feeling, and the front part of the foot can receive a considerable cushion to relieve the fatigue transmitted to the foot, and can walk comfortably without side to side.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창의 제 5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계략적인 정단면도이다.Figure 6 is a schematic front sectional view showing a fifth embodiment of the so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신발창(100)은 상부가 좁고 하부가 넓은 상협하광(上狹下廣)형상으로 형성된다.Referring to FIG. 6, the shoe sole 100 is formed in a narrow upper and lower upper narrow light beam shape.

예를 들어 신발창의 하부가 신발창의 상부 보다 넓게 형성되어 있어 보다 더 넓은 면적으로 지면을 지탱할 수 있게 되어 즉, 착지면적이 넓어 그만큼 지면으로 부터의 충격을 잘 견딜 수 있으며, 또한 완충작용이나 충격흡수가 뛰어나 편안하게 안정된 보행을 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For example, the lower part of the sole is formed wider than the upper part of the sole so that it can support the ground with a larger area, that is, the landing area is wide enough to withstand the impact from the ground, and also cushioning or shock absorption. It is excellent to be able to walk comfortably and stable.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창의 제 6 실시예의 요부인 저면부를 나타내는 저면사시도이다.7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a bottom portion which is a main portion of a sixth embodiment of the so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신발창(100)은 쿠션작용을 하는 중창(10)과 미끌림을 방지하는 겉창(2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중창(10)의 저면에는 다수개로 구성되는 반구형돌출부(11)에 캡 형상으로 구성된 반구형커버(23)가 각각의 반구형돌출부(11)에 씌워져 접착되게 구성된다.Referring to Figure 6, the shoe sole 100 is made of a midsole 10 for cushioning and the outsole 20 to prevent slipp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midsole 10 in the hemispherical protrusion 11 is composed of a plurality A hemispherical cover 23 formed in a cap shape is covered with each hemispherical protrusion 11 and bonded.

예를 들어 신발창으로 구성되는 중창이나 겉창 중에서 지속적인 쿠션작용을 하는 중창보다 지면과의 마찰로 인해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겉창을 상기 중창의 반구형돌출부의 외부를 감쌀 수 있도록 캡 형상으로 형성하여 반구형돌출부에 견고하게 접착하여 지면으로 부터의 미끌림도 방지하고 재료의 원가도 줄이고 또한 부피가 줄어들게 되어 신발창의 경량화도 이룰 수 있는 일석이조의 효과를 느낄 수 있게 되는 것이다.For example, a midsole or outsole composed of shoe soles is formed in a cap shape so as to cover the outside of the hemispherical protrusion of the midsole to prevent slippage due to friction with the ground, rather than a midsole having a continuous cushioning function. It can be glued to prevent slippage from the ground, reduce the cost of the material, and also reduce the volume, so that you can feel the effect of two stones that can achieve the weight of the sole.

도 8의 (가) 및 (나) 본 발명에 따른 신발창의 제 7 실시예로써, (가)는 시트지를 제거한 상태의 평면도이고, (나)는 전체적인 상태를 단면으로 도시한 계략적인 측단면도이다.8 (a) and (b) as a seventh embodiment of the shoe so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plan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sheet paper is removed, (b) is a schematic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overall state in cross section. .

도 8를 참조하면, 중창(10)은 다수개로 구성된 반구형돌출부(11)의 내부에 컵 형상의 공기실(40)이 각각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8, in the midsole 10, a cup-shaped air chamber 40 is formed inside the hemispherical protrusion 11.

상기 각각의 공기실(40)을 연결하는 공기이동통로(42)는 각각의 공기실(40)을 서로 연결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방향으로 구성되고, 상기 중창(10)의 후방부에 구성되어 있는 공기실(40)에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배출구(43)가 구성된다.The air movement passage 42 connecting the respective air chambers 40 is configured in a plurality of directions so as to connect the respective air chambers 40 with each other, and the air is formed at the rear portion of the midsole 10. An air discharge port 43 through which air is discharged to the chamber 40 is configured.

상기 중창의 상부면에는 공기의 유출을 방지하는 시트지(50)가 구성되고 또한 상기 중창(10)의 전방부에는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구(41)가 전방 중앙부에 구성된다.The upper surface of the midsole is configured with a sheet paper 50 to prevent the outflow of air, and in the front portion of the midsole 10 is an air inlet 41 through which air is introduced is configured in the front central portion.

예를 들어 중창(10)의 저면 외측방향으로 다수개의 반구형돌출부(1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다수개의 반구형돌출부(11) 내부에 소정의 깊이와 면적을 가지는 컵 형태의 공기실(40)이 각각 형성되어 상부는 개방되게 형성된다.For example, a plurality of hemispherical protrusions 11 are formed in an outer direction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midsole 10, and a cup-shaped air chamber 40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and area inside the plurality of hemispherical protrusions 11 is formed. Each is formed so that the top is open.

상기 각각의 공기실(40)에는 유입된 공기가 공기실을 경유해서 일방향으로 배출시키는 공기이동통로(42)가 다수개의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창(10)의 후방부에 형성된 반구형돌출부(11)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공기실(40)에는 유입된 공기가 최종적으로 배출되는 공기배출구(43)가 형성되어 있다.Each air chamber 40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air movement passages 42 in which air flows into one direction via the air chamber in a plurality of directions, and the hemispherical protrusions formed at the rear of the midsole 10 ( In the air chamber 40 formed inside 11), an air discharge port 43 through which the introduced air is finally discharged is formed.

또한, 상기 중창(10)의 상부면에는 유입된 공기가 신발창(100)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밀을 지속적으로 유지시키는 시트지(5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기밀을 유지시키는 시트지(50)의 전방부 중앙에는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구(41)가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midsole 10 is formed with a sheet paper 50 for continuously maintaining the airtight to prevent the air flowing into the outside of the shoe sole 100, the sheet paper 50 for maintaining the airtight In the center of the front portion of the air inlet 41 is formed an air inlet.

중창에 형성되어 있는 각각의 반구형돌출부의 내부를 소정의 깊이와 넓이를 가지는 컵 형태의 공기실을 마련함으로 신발창의 경량화는 물론 재료의 절감과 그로인한 쿠션작용과 완충작용, 편안한 착지감을 동시에 느낄 수 있게 되고, 또한 신발 내부에 형성되는 악취등을 신발의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어 보다 더 쾌적한 착용감을 형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By providing a cup-shaped air chamber with a predetermined depth and width inside each hemispherical protrusion formed in the midsole, you can feel the weight of the sole and the saving of materials, thereby cushioning, cushioning, and comfortable landing. It is also possible to discharge the odor and the like formed in the shoe to the outside of the shoe to be able to form a more comfortable fit.

10 : 중창 11 : 반구형돌출부
12 : 테두리부 13 : 저면굴곡홈부
20 : 겉창 21 : 반구형홈부
22 : 저면굴곡부 23 : 반구형커버
30 : 공간부 40 : 공기실
41 : 공기유입구 42 : 공기이동통로
43 : 공기배출구 50 : 시트지
100 : 신발창
10: midsole 11: hemispherical protrusion
12: edge portion 13: bottom bend groove
20: outsole 21: hemispherical groove
22: bottom bend 23: hemispherical cover
30: space part 40: air chamber
41: air inlet 42: air movement passage
43: air outlet 50: sheet paper
100: Shoe sole

Claims (7)

쿠션기능을 가지는 중창과 논슬립기능을 가지는 겉창으로 이루어지는 신발창에 있어서,
상기 중창(10)의 저면에는 다수개의 반구형돌출부(11)가 바닥면을 향하도록 하향 돌출 형성되며,
상기 다수개의 반구형돌출부(11) 사이에는 호형상의 저면굴곡홈부(13)가 형성되며,
상기 중창(10)의 상부면은 바깥쪽 둘레로 상향 돌출된 테두리부(12)가 형성되며,
상기 겉창(20)은 상기 중창(10)의 저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반구형돌출부(11)와 저면굴곡홈부(13)가 안착되게 다수개의 반구형홈부(21)와 저면굴곡부(22)가 각각 대응되게 형성되며,
상기 중창(10)이 상기 겉창(20)에 견고하게 접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기능을 향상시킨 신발창.
In the sole which consists of a midsole having a cushion function and the outsole having a non-slip functi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idsole 10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hemispherical protrusions 11 protrude downward to face the bottom surface,
An arc-shaped bottom curved groove 13 is formed between the plurality of hemispherical protrusions 11.
The upper surface of the midsole 10 is formed with a border portion 12 protruding upward outward,
The outsole 20 has a plurality of hemispherical grooves 21 and bottom curved portions 22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hemispherical protrusions 11 and bottom curved grooves 13 formed on the bottom of the midsole 10, respectively. ,
Shoe sole with improved walking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midsole 10 is firmly bonded to the outsole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창(10)의 저면에 형성되는 저면굴곡홈부(13)의 내측에 원통형상의 공간부(30)가 다수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기능을 향상시킨 신발창.The sole of claim 1, wherein a plurality of cylindrical spaces (30) are formed inside the bottom flexure groove (13) formed on the bottom of the midsole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창(100)의 저면에 다수개로 형성되어 있는 반구형돌출부(11)가 전방부 쪽은 크기가 작고 후방부 쪽으로 갈수록 그 크기가 순차적으로 커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기능을 향상시킨 신발창.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hemispherical protrusions 11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ole 100 have a plurality of steps, characterized in that the front portion thereof has a smaller size and the size thereof is sequentially increased toward the rear portion. Sole with improved functionalit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창(100)의 저면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반구형돌출부(11)의 크기는 중창(10)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전방부 쪽은 크기가 작고 후방부는 전방부에 형성되는 반구형돌출부(11) 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기능을 향상시킨 신발창.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ize of the plurality of hemispherical protrusions 11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hoe sole 100 is a hemispherical shape is small in the front side and the rear portion is formed in the front portion relative to the center of the midsole 10 Sole with improved walking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larger than the projection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창(100)은 상부가 좁고 하부가 넓은 상협하광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기능을 향상시킨 신발창.The sole of claim 1, wherein the sole 100 has a narrow upper portion and a lower lower side having a wide upper narrow light shap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창(10)의 저면에 다수개로 형성되는 반구형돌출부(11)에 캡 형상의 반구형커버(23)가 각각 접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기능을 향상시킨 신발창.The shoe sole of claim 1, wherein a cap-shaped hemispherical cover (23) is attached to each of the hemispherical protrusions (11)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idsole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창(10)은 다수개로 형성된 반구형돌출부(11)의 내부에 컵 형상으로 형성된 공기실(40)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공기실(40)을 연결하는 공기이동통로(42)는 각각의 공기실(40)을 서로 연결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중창(10)의 후방부에 형성된 공기실(40)에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배출구(43)가 형성되며,
상기 중창의 상부면에는 공기의 유출을 방지하는 시트지(50)가 형성되고 상기 시트지(50)의 전방부에는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구(4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기능을 향상시킨 신발창.
According to claim 1, The midsole 10 has a plurality of air chamber 40 formed in a cup shape inside the hemispherical protrusion 11 formed in plurality, respectively, the air movement connecting the respective air chamber 40 The passage 42 is formed in a plurality of directions to connect the respective air chambers 40 with each other,
An air discharge port 43 through which air is discharged is formed in the air chamber 40 formed at the rear portion of the midsole 10,
The upper surface of the midsole is formed with a sheet of paper 50 to prevent the outflow of air and the front portion of the sheet 50 is formed with an air inlet 41 through which the air is introduced, characterized in that the sole .
KR1020110054241A 2011-06-04 2011-06-04 Shoe sole with Improve walking function KR10128890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4241A KR101288905B1 (en) 2011-06-04 2011-06-04 Shoe sole with Improve walking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4241A KR101288905B1 (en) 2011-06-04 2011-06-04 Shoe sole with Improve walking fun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4972A KR20120134972A (en) 2012-12-12
KR101288905B1 true KR101288905B1 (en) 2013-07-23

Family

ID=47903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4241A KR101288905B1 (en) 2011-06-04 2011-06-04 Shoe sole with Improve walking fun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890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56930A (en) * 2018-08-30 2019-01-08 许景贤 A kind of affixed sole of buckle-type and the air hermetic damping respiratory ventilation shoes with the so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9136B1 (en) * 2022-07-20 2023-02-13 송신흡 sole cush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8090U (en) * 1995-02-24 1996-09-17 한비산업 주식회사 Shoe cushion sole
KR200319525Y1 (en) 2003-04-02 2003-07-18 김창호 Air cushion shoes for indoor exercise
JP2008054780A (en) 2006-08-30 2008-03-13 Mizuno Corp Midsole part structure of sole assembly of shoe
KR20110014121A (en) * 2009-08-03 2011-02-10 박영설 The midsole or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8090U (en) * 1995-02-24 1996-09-17 한비산업 주식회사 Shoe cushion sole
KR200319525Y1 (en) 2003-04-02 2003-07-18 김창호 Air cushion shoes for indoor exercise
JP2008054780A (en) 2006-08-30 2008-03-13 Mizuno Corp Midsole part structure of sole assembly of shoe
KR20110014121A (en) * 2009-08-03 2011-02-10 박영설 The midsole or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56930A (en) * 2018-08-30 2019-01-08 许景贤 A kind of affixed sole of buckle-type and the air hermetic damping respiratory ventilation shoes with the sole
CN109156930B (en) * 2018-08-30 2023-07-18 许景贤 Buckled fixedly connected sole and airtight type shock-absorbing breathing ventilation shoe with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4972A (en) 2012-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59798B2 (en) Shoe sole element
JP5325042B2 (en) Footwear with separable upper and sole structure
US8635785B2 (en) Midsole for a shoe
US8555526B2 (en) Resilient shoe with pivoting sole
AU2010352681B2 (en) High foot mobility shoe
KR101006923B1 (en) Mid-sole of a shoes
US20110126422A1 (en) Shoe sole with compressible protruding element
US20100242305A1 (en) Therapeutic cushioned sole
JP2012075864A (en) Midsole for shoe
TW201715979A (en) Sandal with cushioning and contoured support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JP2009101139A (en) Functional sockliner for high-heeled shoe
US20170202306A1 (en) Article of footwear with new insole board and insole structure to absorb shock and keep resilience at forefoot and heel areas of foot
US20180042336A1 (en) Cushion pad
KR101685112B1 (en) Insoles for high heels
KR100940011B1 (en) The Shoes which Disperses a Load
KR20130015995A (en) Shock absorbing breathable shoes
KR101288905B1 (en) Shoe sole with Improve walking function
KR101166572B1 (en) Shoe sole
KR101059393B1 (en) Shoe midsole with impact dispersion and cloud walking
US20210361025A1 (en) Slidekers
KR200427366Y1 (en) An sandal for shock absorption having support form of arch type
KR101178866B1 (en) Functional shoes
KR101063735B1 (en) Health walking sandals
KR101760432B1 (en) Lower structure of functional footwear
KR101222850B1 (en) The shoes having a heel having the other elastic force and excha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