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6572B1 - Shoe sole - Google Patents

Shoe so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6572B1
KR101166572B1 KR1020110088335A KR20110088335A KR101166572B1 KR 101166572 B1 KR101166572 B1 KR 101166572B1 KR 1020110088335 A KR1020110088335 A KR 1020110088335A KR 20110088335 A KR20110088335 A KR 20110088335A KR 101166572 B1 KR101166572 B1 KR 1011665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e
shoe sole
shoe
midsole
reinforc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833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서우승
Original Assignee
(주)지원에프알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원에프알에스 filed Critical (주)지원에프알에스
Priority to KR10201100883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657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65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657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42Filling materials located between the insole and outer sole; Stiffening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12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 A43B13/125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midsole or middle lay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22Soles made slip-preventing or wear-resisting, e.g. by impregnation or spreading a wear-resisting lay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1/00Heels; Top-pieces or top-lifts
    • A43B21/24Heels; Top-pieces or top-lif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21/26Resilient hee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PURPOSE: A shoes sole with a cushion part is provided to absorb impact at grounding, to disperse the weight of a wearer, thereby capable of minimizing fatigue of a user foot. CONSTITUTION: A shoes sole with a cushion part comprises a midsole(3), a bottom sole(2), and a reinforcing member(6). The reinforcing unit is inserted between the midsole and the bottom sole. The reinforcing member comprises a reinforcing plate(7) covering the bottom of the midsole, an upward wing part(8) upwardly extended from the reinforcing plate to cover the left and the right parts of the midsole, and a downward wing part downwardly bent from the reinforcing plate to connect to the bottom sole. A front cushion part attached to a bottom floor of a front side of the midsole through a cut part of a reinforcing plate. A back cushion part separated from a bottom floor of a back side of the midsole by specific distance through a cut hole of the reinforcing plate.

Description

신발창{Shoe sole}Shoe sole

본 발명은 신발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신발중창과 신발밑창의 사이에 보강부재를 설치하여 신발창의 강도를 상승시키도록 하는 동시에, 신발밑창의 전방측과 후방측에 신발중창과 직접 연계되어 발뒷꿈치로부터 앞발에 이르기까지의 추진식 구름보행을 적극적으로 유도하는 쿠션부를 제공함으로서, 추진식 구름보행이 한층 더 안정적이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보행 또는 정지시 지면과 발바닥 사이의 완충작용을 보다 확실하게 보장하여 착지감을 배가시키고, 사용자의 체중을 고르게 분산하여 발의 피로도를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신발창 내부의 공간을 확대시키고 경량소재의 사출부위를 증대시키는 구조적 개선에 의하여 신발 제품의 경량화를 달성토록 함으로서, 신발 제품의 착화감을 더욱 향상시키고 보행시 신체에너지의 효율을 높이도록 하며, 쿠션 기능을 향상시켜 부상방지 효과를 보다 더 높이도록 한 신발창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e sole, and more specifically, to increase the strength of the shoe sole by installing a reinforcing member between the shoe sole and the shoe sole, and at the same time is directly linked to the shoe sole on the front side and the rear side of the shoe sole By providing a cushion that actively induces propelled cloud walking from the heel to the forefoot, the propelled cloud walking can be made more stable and smooth, while providing a cushioning function between the ground and the sole when walking or stopping. It ensures the doubled landing feeling by guaranteeing surely, minimizes the fatigue of the foot by evenly distributing the user's weight, and achieves the weight reduction of the shoe products by the structural improvement which enlarges the space inside the sole and increases the injection part of the lightweight material. By further improving the ignition of footwear products and walking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body energy, and to improve the cushion function to the sole to increase the effect of preventing more injury.

일반적으로 신발은 인체의 발 부위를 보호하기 위하여 착용하는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의 신발이 제공되고 있으며, 특히 바닥 부분은 신발창으로서 보행시 충격을 완화시켜서 신체를 보호하도록 되어 있다.In general, shoes are worn to protect the foot of the human body, and various types of shoes are provided. In particular, the sole portion is to protect the body by relieving an impact when walking as a shoe sole.

신발은 크게 발등 전체를 감싸는 갑피 부분과, 이 갑피에 결합되어 발바닥의 저면을 보호하는 바닥재 즉, 신발창으로 구분되며, 이 신발창은 통상 신발밑창과 신발중창 및 안창의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Shoes are largely divided into an upper part covering the entire instep and a flooring material that is coupled to the upper to protect the bottom of the sole, that is, a shoe sole, which is usually composed of a shoe sole, a midsole, and an insole.

상기 신발밑창은 실제 지면과 직접 맞닿는 부분으로서 어느 정도의 강성을 가지며 마찰에 잘 견디는 소재로 제작되고, 신발중창은 신발밑창의 윗면에 적층식으로 설치되는 한편, 보행시 쿠션을 제공하는 소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안창은 발바닥과 직접 맞닿는 요소로서 신발중창의 윗면에 적층된다.The shoe sole is made of a material that has a certain degree of rigidity as a part of direct contact with the ground, and is made of a friction-resistant material, and the shoe sole is lamin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hoe sole and is made of a material that provides a cushion when walking. The insole is a direct contact with the sole and is laminated to the top of the shoe midsole.

이러한 신발창의 경우 보행시 지면으로부터 발바닥으로 전해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신발의 내측 바닥면에 안창을 깔거나, 신발밑창 또는 뒷꿈치 부분을 완충력이 우수한 고무 또는 발포 스폰지 등의 재질로 제조한 것들이 알려져 있으며, 근래에는 신발창에 에어백이나 스프링 등의 탄성체를 형성하여 탄성효과를 높인 것도 널리 알려져 있다.In the case of these soles, insoles are placed on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shoes to absorb shocks transmitted from the ground to the soles when walking, or those made of a material such as rubber or foam sponge having excellent cushioning power in the sole or heel portion of the shoe are known. In recent years, it is also widely known that an elastic body such as an airbag or a spring is formed on a shoe sole to increase an elastic effect.

상기와 같이 고무나 발포 스폰지 재질로 신발밑창을 제조하거나 또는 에어백이나 스프링 등의 탄성복원체를 신발창에 내장시킨 경우에는 단순한 충격 흡수의 기능만을 수행할 수 있을 뿐이며, 보행자의 발뒤꿈치로부터 발가락에 이르기까지 대략 원호 형상을 이루면서 지면과 접촉하게 되는 보행경로를 기준으로 할 경우, 종래의 일반적인 신발창은 자연적이고 능률적인 보행을 수행토록 하는 측면에 거의 기여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As described above, when manufacturing a shoe sole made of rubber or a foamed sponge, or when an elastic restoration such as an air bag or a spring is embedded in the shoe sole, only a simple shock absorbing function can be performed. When based on a walking path that is in contact with the ground while forming an approximately arc shape, the conventional general shoe has a problem that hardly contributes to the side to perform a natural and efficient walking.

특히, 최근에 들어 생활수준의 향상과 주 5일제 근무의 확산으로 야외활동을 즐기는 인구가 크게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야외활동을 즐기는 사람들이 보다 더 나은 착용감을 느끼도록 하는 동시에, 착용자의 무릎과 발 부위의 관절 및 발바닥 부분에 무리가 가해지지 않도록 하며, 신발을 착용하고 걷는 것만으로도 건강증진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성 신발의 개발사업에 신발제조업체들이 많은 시간과 노력을 투자하고 있다.In particular, the recent increase in living standards and the spread of five-day workweeks have led to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number of people who enjoy outdoor activities. Footwear manufacturers are investing a lot of time and effort in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footwear that prevents excessive stress on the joints and soles of the foot and contributes to health promotion by simply walking and wearing shoes.

상기와 같이 신발에 적용시킬 수 있는 각종 기능으로서, 미끄럼 방지기능과 충격흡수기능 및 통풍에 따른 무좀방지와 악취제거 기능은 이미 활발하게 적용되고 있으며, 보행시의 충격흡수와 더불어 구(球)가 평면 위를 구르듯이 자연스럽고 능률적인 추진식(推進式) 보행(이하, '추진식 구름보행'이라 한다)을 행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성 신발 또한 제공되고 있다.As various functions that can be applied to the shoes as described above, the anti-slip function, shock absorption function and athlete's foot prevention and odor removal function according to the ventilation is already being actively applied, and the ball with the shock absorption during walking Functional shoes are also provided that enable natural and efficient propulsion walking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opulsional rolling walking') as if rolling on a plane.

상기와 같이 충격분산기능과 추진식 구름보행이 가능토록 하는 신발중창으로서, 본 출원인에 의하여 선출원 및 제 10-0884659호로 특허등록된 구름보행기능을 가지는 신발중창이 알려져 있다.As a shoe midsole that allows the impact dispersion function and propulsion rolling walk as described above, a shoe midsole having a rolling walk function patented by the applicant and No. 10-0884659 by the present applicant is known.

본 출원인에 의하여 선등록된 상기 신발중창은, 중창의 상부면에 완충공간을 형성시키는 한편, 상기 중창의 바닥부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요홈부를 형성시키고, 상기 완충공간에는 요홈부와 대응되는 부분을 따라 리브가 돌출 형성되도록 함으로서, 발바닥 전체면에 걸쳐 보행경로를 따라 중창 부분이 원호상으로 압축 변형됨으로서, 자연스럽고 능률적인 추진식 구름보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shoe midsole pre-registered by the applicant, while forming a buffer spac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idsole, while forming a groove in the bottom portion of the midsole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ength direction, the buffer space and the groove in the buffer space By protruding ribs along the corresponding portions, the midsole portion is circularly deformed along the walking path over the entire surface of the sole, thereby enabling natural and efficient propulsion of rolling.

그러나, 상기와 같은 본 출원인의 선등록된 특허는 신발중창의 내부에 완충공간과 요홈부가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서, 이러한 구성은 보행시 요홈부에 의해 보행경로를 따라 중창 부분이 원호상으로 압축 변형되어 추진식 구름보행이 이루어지게 되나, 요홈부에 의해 과도한 압축 변형이 이루어져 유연성이 매우 높아지게 됨으로서 오히려 보행성 및 안정성이 개선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However, the applicant's pre-registered patent as described above i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buffer space and the recess is formed in the inside of the shoe midsole, such a configuration is the compression deformation deformation of the midsole portion along the walking path by the recess portion during walking Propelled rolling walk is made, but the excessive compression deformation caused by the recessed portion is made to be very high flexibility, rather the problem of walking and stability is not improved.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서, 신발중창을 상부중창과 하부중창으로 구성하고, 이 상부중창과 하부중창의 사이에 외부로 노출되는 날개부가 형성된 보강부재를 매입 설치하되, 상기 하부중창에는 보강부재의 날개부가 안착되는 받침편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상부중창의 저면에는 날개부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도록 한 신발중창이 본 출원인에 의하여 선출원 및 제 10-1006923호로 특허등록 되어 있다.As a supplement to the above problems, the shoe midsole consists of an upper midsole and a lower midsole, and installs a reinforcing member having a wing portion exposed to the outside between the upper midsole and the lower midsole, but reinforcing the lower midsole The shoe sole is formed by the present applicant and the patent registration No. 10-1006923, so that the supporting piece is formed to seat the wing of the member is formed, the bottom of the upper midsole is formed a seating groove for seating the wing.

상기와 같이 본 출원인에 의하여 선등록된 또 다른 신발중창은, 상기 보강부재에 의하여 과도한 압축변형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적절한 강성을 부여하여 유연성을 억제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구름보행이 가능한 동시에, 보행시나 정지시에 보강부재의 날개부가 완충작용을 하여 착지감을 향상시키는 한편, 사용자의 체중을 고르게 분산시켜 발의 피로도를 최소화 할 수 있으며, 보강부재의 날개부를 신발의 외부로 노출시킨 상태에서, 이 날개부의 길이를 변화시키거나, 날개부를 문자 또는 도형 등으로 형성시킴으로서 신발 전체의 미관 또한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Another midsole pre-registered by the present applicant as described above, by providing the appropriate rigidity to prevent excessive compression deformation by the reinforcing member to suppress the flexibility to enable more stable walking and at the same time walking or stopping The wing of the reinforcing member buffers to improve the feeling of landing, while evenly distributing the user's weight to minimize the fatigue of the foot, while changing the length of the wing while exposing the wing of the reinforcing member to the outside of the shoe By forming the wing portion in the form of letters or figures, or the aesthetics of the entire shoe can also be improved.

그러나, 상기와 같이 선등록된 신발중창의 경우는, 신발중창을 상부중창과 하부중창으로 분리하여 그 사이에 보강부재를 매입식으로 설치함으로서, 신발창의 전체적인 제조과정이 다소 복잡함은 물론, 신발의 제조단가를 상승시키는 요인이 되었으며, 상기 보강부재가 신발중창의 과도한 유연성을 적절하게 억제시킬 수는 있었으나, 보강부재가 상부중창의 바닥면 전체를 커버하는 식으로 설치됨으로서, 발뒷꿈치로부터 앞발에 이르기까지 구름보행에 필요한 원호상의 보행경로를 제공하는 측면에서는 다소 불리한 상황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pre-registered shoe midsole, by separating the shoe midsole into the upper midsole and the lower midsole and installing a reinforcing member therebetween, the overall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shoe sole is of course somewhat complicated, Although the reinforcing member was able to appropriately suppress excessive flexibility of the shoe midsole, the reinforcing member covers the entir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midsole, and thus, from the heel to the forefoot. In terms of providing a circular arc pedestrian path required for cloud walking, there was a problem that caused a somewhat unfavorable situation.

또한, 선등록된 신발중창의 경우, 신발중창을 상부중창과 하부중창으로 분리하여 그 사이에 보강부재를 매입식으로 설치함으로서, 신발 제품의 경량화를 달성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로 인하여 신발 제품의 착화감을 향상시키는 한편 보행시 신체에너지의 효율을 높이도록 하는 측면에서 다소 불리한 문제점이 있었으며, 신발중창 내부에 많은 공간을 두어 쿠션 기능을 향상시킴으로서 부상방지 효과를 보다 더 높이는 측면에서도 다소 불리한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a pre-registered shoe midsole, by separating the shoe midsole into the upper midsole and the lower midsole and installing a reinforcing member therebetween,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achieve the weight reduction of the shoe product, thereby There were some disadvantages in terms of improving the feeling of ignition while improving the efficiency of body energy when walking, and there were some disadvantages in terms of enhancing the cushioning function by improving the cushion function by placing a lot of space inside the sole of the shoe. .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10-0884659호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0884659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10-1006923호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006923

본 발명은 선등록된 신발중창의 장점은 모두 취하도록 하면서 선등록된 신발중창의 단점은 보완할 수 있도록 안출된 것으로서, 상기 보강부재를 신발중창과 신발밑창의 사이에 설치하여 신발창의 강도를 상승시키면서도 신발창의 전체적인 구조와 제조방식은 선등록의 경우와 비교하여 간단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신발밑창의 전방측과 후방측에 신발중창과 직접 연계되어 발뒷꿈치로부터 앞발에 이르기까지의 추진식 구름보행을 적극적으로 유도하는 쿠션부를 제공함으로서, 추진식 구름보행이 한층 더 안정적이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보행시 또는 정지시에 지면과 발바닥 사이의 완충작용을 보다 확실하게 보장하여 착지감을 배가시키고, 사용자의 체중을 한층 더 고르게 분산하여 발의 피로도를 극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그 기술적 과제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devised to compensate for the disadvantages of the pre-registered shoe midsole while taking all the advantages of the pre-registered shoe midsole, install the reinforcing member between the shoe midsole and the shoe sole to increase the strength of the sole However, the overall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hoe soles are simpler than in the case of pre-registration, and propelled rolling walks from the heel to the forefoot are directly connected to the shoe midsoles on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shoe soles. By providing a cushion that actively induces, the propelled rolling walk can be made more stable and smooth, while also ensuring the cushioning action between the ground and the sole when walking or stopping, thereby doubling the feeling of landing. Can evenly distribute the weight of the dog to minimize foot fatigue And that as a technical problem.

이와 더불어, 신발창 내부의 공간을 확대시키는 동시에 경량소재의 사출부위를 증대시키는 구조적 개선에 의하여 신발 제품의 경량화를 달성토록 함으로서, 신발 제품의 착화감을 더욱 향상시키는 한편, 보행시 신체에너지의 효율을 높이도록 하고, 신발창의 내부에 제공된 보다 더 많은 공간부에 의하여 쿠션 기능을 향상시킴으로서 부상방지 효과를 보다 더 높이도록 함은 물론, 보강부재의 일부가 신발 외측으로 노출되게 하여 신발의 미관 또한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또 다른 기술적 과제로 한다.In addition, by increasing the space inside the shoe sole and at the same time to increase the injection part of the lightweight material to achieve a lighter weight of the shoe product, further improve the ignition of the shoe product, while improving the efficiency of body energy when walking By improving the cushioning function by the more space provided in the sole of the sole, the anti-wounding effect can be further increased, and the part of the reinforcing member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shoe to improve the aesthetics of the shoe. To make it another technical task.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은, 신발중창과 신발밑창을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는 신발창에 있어서, 상기 신발중창과 신발밑창의 사이에는 보강부재가 삽입 설치되고, 상기 보강부재는, 신발중창의 바닥면을 커버하는 보강판과, 신발중창의 좌,우 측면부를 커버하도록 보강판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상향날개부와, 신발밑창과 연결되도록 보강판으로부터 하방향으로 굴곡 형성되는 하향굴곡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신발밑창의 전방측에는 보강판의 절개부를 통하여 신발중창의 앞발측 바닥면과 밀착되는 전방쿠션부가 형성되고, 상기 신발밑창의 후방측에는 보강판의 절개공을 통하여 노출되는 신발중창의 뒷꿈치측 바닥면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는 후방쿠션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s a means for sol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n the sole comprising a shoe sole and a shoe sole, a reinforcing member is inserted between the shoe sole and the shoe sole, the reinforcing member is a shoe sole A reinforcement plate cover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shoe, an up-wing portion extending upwardly from the reinforcement plate to cover the left and right side portions of the shoe sole, and a downward bending portion bent downward from the reinforcement plate to be connected to the shoe sole The front side of the shoe sole is formed in front of the front cushion portion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front foot of the shoe sole through the incision of the reinforcement plate, the rear side of the shoe sole of the sole is exposed through the cut hole of the reinforcement plate Characterized in that the rear cushion portion spaced apart from the heel bottom surfac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이와 더불어, 상기 전방쿠션부와 후방쿠션부는, 신발중창의 바닥면을 지지하는 받침패드와, 상기 받침패드의 주연부를 따라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하방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다수 개의 지지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방쿠션부와 후방쿠션부를 제외한 신발밑창의 나머지 외곽 부분이 논슬립창을 이루고, 상기 보강부재의 하향굴곡부 하단면과 각각의 지지대 하단면이 논슬립창과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신발밑창은 밑창판과 논슬립창이 적층식으로 설치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전방쿠션부와 후방쿠션부의 지지대 및 보강부재의 하향굴곡부 하단면이 상기 밑창판과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신발중창의 뒷꿈치측 바닥면과 후방쿠션부의 사이에 제공된 간격에는 완충재가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상향날개부는 보강부재의 후방측에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ront cushion portion and the rear cushion portion, the support pad for support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shoe sole, and a plurality of supports are disposed radially along the periphery of the support pad is installed inclined downward, the front cushion The remaining outer portion of the shoe sole except for the portion and the rear cushion portion forms a non-slip window, and the bottom surface of each of the lower bends of the reinforcement member and the bottom surface of each support are installed in connection with the non-slip window, and the shoe sole has a sole plate and The non-slip window is made of a laminated type, characterized in that the front cushion portion and the rear cushion portion of the support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downward bent portion of the reinforcing member is connected to the sole plate, the heel side bottom surface and the rear of the shoe sole The gap provided between the cushion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ushioning material is filled, the upward wing portion It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nly at the back side of the reinforcing member.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보강부재에 의하여 과도한 압축변형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적절한 강성을 부여하여 유연성을 억제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구름보행이 가능한 동시에, 보행시나 정지시에 보강부재의 날개부가 완충작용을 하여 착지감을 향상시키는 한편, 사용자의 체중을 고르게 분산시켜 발의 피로도를 최소화 할 수 있으며, 보강부재의 날개부를 신발의 외부로 노출시킨 상태에서, 이 날개부의 길이를 변화시키거나, 날개부를 문자 또는 도형 등으로 형성시킴으로서 신발 전체의 미관 또한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는 선등록의 작용효과를 모두 가지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y providing the appropriate rigidity to prevent excessive compression deformation by the reinforcing member to suppress the flexibility, more stable rolling walking is possible, while the wing portion of the reinforcing member when walking or stopping buffer By improving the landing feeling, while evenly distributing the user's weight to minimize the fatigue of the foot, while changing the wings of the reinforcing member to the outside of the shoe, changing the length of the wings, or the wings or letters It has all the working effects of the pre-registration that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aesthetics of the whole shoe by forming the back.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은 상기 보강부재를 신발중창과 신발밑창의 사이에 설치하여 신발창의 강도를 상승시키면서도 신발창의 전체적인 구조와 제조방식은 선등록의 경우와 비교하여 간단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신발밑창의 전방측과 후방측에 신발중창과 직접 연계되어 발뒷꿈치로부터 앞발에 이르기까지의 추진식 구름보행을 적극적으로 유도하는 쿠션부를 제공함으로서, 추진식 구름보행이 한층 더 안정적이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보행시 또는 정지시에 지면과 발바닥 사이의 완충작용을 보다 확실하게 보장하여 착지감을 배가시키고, 사용자의 체중을 한층 더 고르게 분산하여 발의 피로도를 극소화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신발 제품의 경량화를 달성하여 착화감을 향상시키는 한편, 보행시 신체에너지의 효율을 높이도록 하고, 신발중창의 내부에 보다 더 많은 공간을 두어 쿠션 기능을 향상시킴으로서 부상방지 효과를 보다 더 높이도록 하는 등의 추가적인 작용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stall the reinforcing member between the shoe sole and the shoe sole, while increasing the strength of the sole, so that the overall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ole is made simple compared to the case of pre-registration, the sole By providing a cushioning section on the front and rear side of the shoe that is directly linked with the sole of the shoe to actively induce a propelled rolling walk from the heel to the forefoot, the propelled rolling walk can be made more stable and smooth, When walking or stopping, the cushioning effect between the ground and the sole is more reliably ensured to double the feeling of landing, and to distribute the user's weight more evenly, thereby minimizing the fatigue of the foot. Improve the efficiency of body energy when walking Rock, and it will be placed more space than in the interior of the shoe midsole have the additional advantageous effects, such as to more increase the improvement effect sikimeuroseo prevent injury cushioning func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창의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신발창의 분해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신발창을 이루는 보강부재의 확대 측단면도.
도 4는 도 1의 저면도.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
도 6은 도 4의 B-B선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 4의 B-B선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신발창의 측단면도.
도 9은 도 8에 사용되는 보강부재의 확대 측단면도.
1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shoe so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so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nlarged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reinforcing member forming the sole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ottom view of FIG. 1.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4.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of FIG. 4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shoe sole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nlarged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reinforcing member used in FIG. 8;

이하,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신발창(1)은 신발중창(3)과 신발밑창(2)을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며, 상기 신발중창(3)과 신발밑창(2)의 사이에 보강부재(6)가 삽입 설치되어 있다.1 to 6, the sol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shoe sole 3 and a shoe sole 2, between the shoe sole 3 and the shoe sole 2 The reinforcing member 6 is inserted.

상기 보강부재(6)는 합성수지로 되어 신발중창(3)과 신발밑창(2)의 사이에 배치되며, 그 중앙부가 신발중창(3)의 바닥면을 지지하는 보강판(7)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보강판(7)의 양측으로 상향날개부(8)와 하향굴곡부(9)가 연속적으로 반복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전체적으로는 신발중창(3) 및 신발밑창(2)의 외곽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게 된다.The reinforcing member 6 is made of synthetic resin and is disposed between the shoe sole 3 and the shoe sole 2, the center portion of which is formed of a reinforcing plate 7 support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shoe sole 3, On both sides of the reinforcing plate (7), the upper wing portion (8) and the downward bent portion (9) are formed to be continuously repeated, as a whole corresponding to the outer shape of the shoe sole (3) and the shoe sole (2) It has a shape.

상기 상향날개부(8) 및 하향굴곡부(9)는 도 2 및 도 3에 보다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판(7)의 주연부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이어져 개략 물결 모양을 가지는 한편, 보강판(7)의 주연부를 따라 상향날개부(8) 및 하향굴곡부(9)가 지그재그식으로 엇갈리게 배치되도록 이루어지며, 보강판(7)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인출된 형태로 설치됨으로서 그 단부는 탄성을 가지게 된다.The upward wing 8 and the downward bend 9 is shown in Figures 2 and 3 more clearly, extending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along the periphery of the reinforcing plate 7 has a substantially wavy shape while The upper wing portion 8 and the downward bent portion 9 are arranged in a staggered manner in a staggered manner along the periphery of the reinforcement plate 7, and the end portion thereof is installed in a shape drawn outward from the reinforcement plate 7. It has elasticity.

그러나,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형태 이외에도 선등록된 신발중창의 보강부재에서와 같이, 상향날개부(8) 및 하향굴곡부(9)가 각각 별개로 돌출된 형태를 이루더라도 무방하며, 도면상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지는 아니하지만 선등록된 신발중창에서와 같이, 상향날개부(8)와 하향굴곡부(9)의 단부측이 삽입 및 접착되는 안착홈이나 받침편 등을 신발중창(3)의 좌,우 측면부나 신발밑창(2)의 상부면에 형성시킬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However, in addition to the shapes shown in FIGS. 2 and 3, as in the reinforcing member of the pre-registered shoe sole, the upper wing portion 8 and the downward bend portion 9 may form a separately protruding shape, respectively. Although not shown in detail, as shown in the pre-registered shoe midsole, a seating groove or a supporting piece to which the end side of the upward wing 8 and the downward bend 9 are inserted and glued is provided. Of course, it can be formed on the left, right side portion or the upper surface of the shoe sole (2).

따라서, 상기 보강부재(6)는 신발중창(3)과 신발밑창(2)의 사이에 삽입 설치된 상태에서, 상향날개부(8)의 단부는 신발중창(3)의 좌,우 측면으로 노출되어 신발중창(3)을 받치는 형태로 신발중창(3)과 접착 설치되고, 하향굴곡부(9)의 하단부는 신발밑창(2)과 연결되도록 절곡된 형태로 이루어져 신발밑창(2)과 일체로 접착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reinforcing member 6 is inserted between the shoe sole 3 and the shoe sole 2, and the ends of the upward wing 8 are expos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hoe sole 3. Attached to the shoe sole 3 in the form of supporting the shoe sole 3, the lower end of the downward bent portion 9 is formed to be bent to be connected to the shoe sole (2) is integrally bonded to the shoe sole (2) will be.

또한, 상기 보강부재(6)가 신발중창(3)과 신발밑창(2)의 사이에 설치되는 형태를 살펴보면, 보강판(7) 자체는 신발중창(3)의 바닥면과 접착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아니하고, 상향날개부(8) 및 하향굴곡부(9)의 외측 단부는 신발중창(3)의 좌,우 외측면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며, 이로 인하여 신발창(1)의 측면에서 보면, 상향날개부(8) 및 하향굴곡부(9)의 외측 단부가 상,하 반복적으로 엇갈리게 돌출된 모양을 이루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reinforcing member 6 is installed between the shoe sole 3 and the shoe sole 2, the reinforcing plate 7 itself is bond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shoe sole 3 and exposed to the outside. Not so, the outer end of the upward wing (8) and the downward bend (9) is installed to be exposed to the left and right outer surface of the sole midsole (3), whereby looking from the side of the sole (1), upward wing (8) and the outer end of the downward bend 9 is formed to be alternately projected alternately up and down.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신발창(1)에 있어서도 보강부재(6)의 하측으로 접착되는 신발밑창(2)은 신발 제품에 통상적으로 적용되는 것이 사용될 수 있지만, 도면에서와 같이 연속 반복적으로 요철(凹凸)을 형성하는 형태의 것을 사용하는 측면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also in the sol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ole 2 to be bonded to the lower side of the reinforcing member 6 can be used that is conventionally applied to the shoe product, as shown in the figure is continuously repeated irregularities The side which uses the thing of the form which forms (i) is preferable.

즉, 연속적으로 반복되는 요철에서 요부(凹部)에 해당하는 부분이 하향굴곡부(9)의 하단면과 대응되도록 함으로서, 각각의 하향굴곡부(9) 하단면을 신발밑창(2)의 요부로 삽입시켜 신발밑창(2)과 접착 및 고정되도록 하면, 각각의 하향굴곡부(9)가 신발밑창(2)을 거쳐 지면과 보다 직접적으로 접촉 및 반응되도록 할 수 있다는 것이다.That is, by making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recessed portion in the continuously repeated irregularities correspond to the lower end surface of the downturned portion 9, the lower end surface of each downturned portion 9 is inserted into the recessed portion of the shoe sole 2. By adhering and fixing with the shoe sole 2, each downward bend 9 can be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and react with the ground via the shoe sole 2.

그러나, 선등록된 신발중창의 명세서에도 기재된 바와 같이, 신발밑창(2)의 구성은 신발의 용도나 특성, 그리고 그에 따른 신발중창(3)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적용될 수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다.However, a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of the pre-registered shoe midsole,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e configuration of the shoe sole 2 can be applied in various forms depending on the use or characteristics of the shoe and the shape of the shoe sole 3 accordingly. .

본 발명의 요부를 이루는 구성요소로서는, 도 2 내지 도 6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신발밑창(2)의 전방측에는 신발중창(3)의 앞발측 바닥면과 밀착되는 전방쿠션부(11)가 돌출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신발밑창(2)의 후방측에는 신발중창(3)의 뒷꿈치측 바닥면과 소정의 간격(14)을 두고 이격되는 후방쿠션부(12)가 돌출 형성되도록 한 것이다.As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main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s 2 to 6, respectively, the front cushion portion 11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front foot of the shoe sole 3 on the front side of the shoe sole (2). To protrude is formed, the rear cushion portion 12 is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heel side of the shoe sole (3) at a predetermined interval (14) is formed to protrude.

상기와 같이 전방쿠션부(11)와 후방쿠션부(12)가 신발중창(3)의 바닥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도 3 및 도 4에 보다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부재(6)의 보강판(7) 선단에는 개략 "⊃"자 형상의 절개부(7a)가 형성되고, 보강판(7)의 후방측에는 타원 형상의 절개공(7b)이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3 and FIG. 4 more clearly, the front cushion portion 11 and the rear cushion portion 12 can support the bottom surface of the shoe sole 3 as described above. At the tip of the reinforcing plate 7, the cutout portion 7a having a roughly "⊃" shape is formed, and an elliptic cutout 7b is formed at the rear side of the reinforcing plate 7.

도 4에서는 이러한 보강판(7)의 절개부위를 시각적으로 보다 알기 쉽게 나타내기 위하여, 신발밑창(2)의 상부에 위치하는 보강판(7) 부분을 어두운 색으로 하여 신발밑창(2)과 구분되도록 도시하였음을 밝혀두는 바이다.In FIG. 4, in order to visually more clearly show the incision of the reinforcement plate 7, the reinforcement plate 7 located at the upper part of the shoe sole 2 is made dark and distinguished from the shoe sole 2. As shown, it is shown.

상기 전방쿠션부(11)와 후방쿠션부(12)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로서는, 각각의 쿠션부가 신발중창(3)의 바닥면을 지지하는 받침패드(11a)(12a)와, 상기 받침패드(11a)(12a)의 주연부를 따라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하방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다수 개의 지지대(11b)(12b)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As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front cushion portion 11 and the rear cushion portion 12, the support pads (11a) (12a) and the support pad (11a), each of which cushion portion supports the bottom surface of the shoe sole (3) It is to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supports (11b) (12b) disposed radially along the periphery of the (12a) is installed inclined downward.

이를 위하여, 상기 신발중창(3)의 전방측 바닥면과 후방측 바닥면에는 전방쿠션부(11)의 받침패드(11a)와 후방쿠션부(12)의 받침패드(12a)에 각각 대응되는 전방받침부(4)와 후방받침부(5)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방받침부(4)와 후방받침부(5)를 제외한 신발중창(3)의 나머지 바닥면이 보강부재(6)의 보강판(7)에 의하여 지지되도록 이루어진다.(도 5 내지 도 6참조)To this end, the front bottom surface and the rear bottom surface of the shoe sole 3, the front corresponding to the support pad 11a of the front cushion portion 11 and the support pad 12a of the rear cushion portion 12, respectively. The supporting portion 4 and the rear supporting portion 5 are formed, and the remaining bottom surface of the shoe sole 3 except for the front supporting portion 4 and the rear supporting portion 5 is reinforcement of the reinforcing member 6. It is made to be supported by the plate 7 (see FIGS. 5 to 6).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전방쿠션부(11)와 후방쿠션부(12)를 신발밑창(2)에 형성시키게 되면, 신발중창(3)으로부터 받침패드(11a)(12a)로 가해지는 인체의 하중을 각각의 지지대(11b)(12b)가 신발밑창(2)의 전체 면적을 통하여 골고루 분산시킴으로서, 안정적인 추진식 구름보행 및 충격분산의 측면에서 매우 유리한 잇점을 제공할 수 있다.When the front cushion portion 11 and the rear cushion portion 12 are formed on the sole 2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the load of the human body applied to the support pads 11a and 12a from the shoe sole 3 is determined. By distributing each support 11b, 12b evenly through the entire area of the sole 2, it can provide very advantageous advantages in terms of stable propulsion rolling and impact dispersion.

이와 더불어, 상기 전방쿠션부(11)와 후방쿠션부(12)를 제외한 신발밑창(2)의 나머지 외곽 부분이 논슬립창(13)을 이루도록 하고, 상기 보강부재(6)의 하향굴곡부(9) 하단면과 각각의 지지대(11b)(12b) 하단면을 접착방식에 의하여 논슬립창(13)과 견고하게 연결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remaining outer portion of the shoe sole 2, except for the front cushion portion 11 and the rear cushion portion 12 to form a non-slip window 13, the downward bent portion 9 of the reinforcing member (6) It is preferable to firmly connect the low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each support 11b, 12b with the non-slip window 13 by an adhesive method.

상기와 같이 하향굴곡부(9)의 하단면과 각각의 지지대(11b)(12b) 하단면이 신발밑창(2)을 이루는 논슬립창(13)과 보다 더 견고하게 접착될 수 있도록, 합성수지 재질을 가지는 별도의 연결패드(10)를 사용할 수도 있는 바, 상기 연결패드(10)는 보강부재(6)와 신발밑창(2)의 접착강도 뿐만 아니라 신발밑창(2)에 의한 인체 하중의 지지력을 보강하는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bottom surface of the downward curved portion 9 and the bottom surface of each support 11b, 12b may be more firmly bonded to the non-slip window 13 that forms the shoe sole 2, and has a synthetic resin material. It is also possible to use a separate connection pad 10, the connection pad 10 to reinforce the bearing strength of the human load by the shoe sole 2 as well as the adhesive strength of the reinforcing member 6 and the shoe sole (2). It will perform the function at the same time.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신발밑창(2)을 밑창판(2a)과 논슬립창(13)이 적층식으로 설치되는 2중 구조로 형성시키는 한편, 상기 전방쿠션부(11)와 후방쿠션부(12)의 지지대(11b)(12b) 및 보강부재(6)의 하향굴곡부(9) 하단면이 밑창판(2a)과 연결 설치되도록 함으로서, 전방쿠션부(11)와 후방쿠션부(12)에서 발생하는 반발탄성기능을 극대화시키도록 하는 것이며, 이를 위하여 상기 밑창판(2a)은 논슬립창(13)보다 단단한 경질 소재를 사용한다.Even more preferably, as shown in FIG. 2, the shoe sole 2 is formed in a double structure in which the sole plate 2a and the non-slip window 13 are stacked, and the front cushion portion 11 is formed. And the lower surfaces of the support members 11b and 12b of the rear cushion portion 12 and the downwardly curved portion 9 of the reinforcing member 6 are connected to the sole plate 2a so as to connect the front cushion portion 11 and the rear cushion. It is to maximize the resilient elastic function generated in the part 12, for this purpose, the sole plate (2a) uses a hard material harder than the non-slip window (13).

한편, 도 5와 도 6을 기준으로 할 경우, 전방쿠션부(11)의 받침패드(11a)는 신발중창(3)과의 접촉면적이 넓은 대신 그 위치가 낮게 되고, 후방쿠션부(12)의 받침패드(12a)는 신발중창(3)과의 접촉면적이 좁은 대신 그 위치가 높게 되도록 이루어져 있는 바, 이는 발바닥으로부터 해당 쿠션부에 가해지는 하중 및 변형량을 고려하여 추진식 구름보행에 적합하도록 설계된 것이며, 도면부호 13a는 신발중창(3)의 뒷꿈치 부분을 추가적으로 지지하는 보조받침대를 나타낸 것이다.5 and 6, the support pad 11a of the front cushion portion 11 has a large contact area with the shoe sole 3 and a low position thereof, and the rear cushion portion 12 The support pad 12a of the foot pad is made so that its position is high instead of the narrow contact area with the shoe sole 3, which is designed to be suitable for propelled rolling walking in consideration of the load and deformation applied to the corresponding cushion part from the sole. Reference numeral 13a denotes an auxiliary support for additionally supporting the heel portion of the midsole 3.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작용관계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working relationship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신발창(1) 즉, 신발중창(3)과 신발밑창(2)의 사이에 보강부재(6)를 삽입 설치한 신발창(1)이 적용된 신발을 사용자가 착용하게 되면, 신발중창(3)의 좌,우 측면을 감싸도록 설치된 보강부재(6)의 상향날개부(8)가 신발의 갑피 부분까지 감싸게 됨으로서, 착용자의 발을 보다 편안하고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신발의 착용감과 안정성을 높이게 된다.When the user wears a shoe applied to the sol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the sole 1 is inserted into the reinforcing member 6 between the shoe sole 3 and the shoe sole 2, the shoe sole ( 3) The upper wing 8 of the reinforcing member 6 installed to surround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reinforcing member 6 is wrapped up to the upper part of the shoe, thereby supporting the wearer's foot more comfortably and stably to increase the wearing comfort and stability of the shoe. do.

또한, 사용자가 신발을 착용한 상태에서 보행이 이루어지게 되면, 보행경로에 따라 신발중창(3)의 압축변형이 이루어져 추진식 구름보행이 가능하게 되며, 이때 상기 보강부재(6)가 신발중창(3)의 과도한 압축변형을 적절하게 억제시키는 강성을 부여하게 됨으로서, 신발중창(3)의 유연성을 조정하여 추진식 구름보행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In addition, if the user is walking in the state wearing the shoes, the compression deformation of the shoe midsole (3) is made in accordance with the walking path is possible to propelled rolling gait, wherein the reinforcing member (6) is a shoe midsole (3) By providing the rigidity to appropriately suppress excessive compression deformation of the), by adjusting the flexibility of the shoe sole (3), the propelled rolling walk is made more stable.

이와 더불어, 사용자가 신발을 착용한 상태에서 보행이 이루어지거나 또는 정지상태일 경우, 보강부재(6)의 보강판(7)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신발밑창(2)과 접착된 다수 개의 하향굴곡부(9)가 완충작용을 함으로서 착지감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체중을 고르게 분산시킴으로써 발의 피로도를 최소화하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when the user walks in a state where the user wears shoes or stops, a plurality of downward bends are bent downward from the reinforcement plate 7 of the reinforcement member 6 and bonded to the shoe sole 2. (9) improves the feeling of landing by buffering, and minimizes foot fatigue by evenly distributing the user's weight.

특히, 본 발명에서는 보행의 시작점이 되는 발뒷꿈치와 보행의 종결점이 되는 앞발 부분에 후방쿠션부(12)와 전방쿠션부(11)가 각각 제공됨으로서, 보강부재(6)가 설치된 조건하에서도 발뒷꿈치로부터 앞발에 이르기까지 원호 형상의 보행경로를 적극적으로 유도할 수 있게 되며, 이로 인하여 추진식 구름보행이 한층 더 안정적이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Particular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r cushion portion 12 and the front cushion portion 11 are provided on the heel which is the starting point of the walking and the forefoot which is the ending point of the walking, respectively, so that the foot is provided even under the condition in which the reinforcing member 6 is installed. From the heel to the forefoot, it is possible to actively guide arc-shaped walking paths, which makes the propelled rolling walking more stable and smooth.

다시 말해서, 발뒷꿈치가 지면과 맞닿는 보행의 시작 시점에서는 도 6에서 가상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신발중창(3)의 뒷꿈치 부분이 후방쿠션부(12)의 상부에 제공된 간격(14)의 폭만큼 인체의 하중에 의하여 1차적으로 눌려진 다음, 후방쿠션부(12)의 받침패드(12a)를 하방으로 다시 누르게 되므로, 총 2차에 걸쳐 충격완화 및 보행추진기능에 필요한 압축변형 및 반발탄성이 제공되고, 앞발이 지면과 맞닿은 보행의 종결시점에서는 도 5에서 가상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인체의 하중에 의하여 전방쿠션부(11)가 하방으로 탄성 변형되어 충격완화 및 보행추진기능을 마무리 한다는 것이다.In other words, at the start of walking where the heel is in contact with the ground, as shown in phantom in FIG. 6, the heel portion of the sole 3 is provided with the width of the gap 14 provided at the top of the rear cushion portion 12. As it is primarily pressed by the load of the human body, and then press the support pad 12a of the rear cushion portion 12 downward again, the compression deformation and rebound elasticity required for the impact relaxation and walking propulsion function over a total of two At the end of the walking where the forefoot is in contact with the ground, the front cushion portion 11 is elastically deformed downward by the load of the human body as shown by a virtual line in FIG. 5 to finish the shock-absorbing and walking-propulsion functions. .

상기와 같은 방식에 의하여, 본 발명의 신발창(1)이 선등록된 신발중창에 비하여 보다 안정적인 원호상의 보행경로와 원활한 추진식 구름보행을 제공할 수 있는 한편, 보행시 또는 정지시에 지면과 발바닥 사이의 완충작용을 상향날개부(8)와 하향굴곡부(9) 및 전방쿠선부(11)와 후방쿠션부(12)가 보다 확실하게 보장하여 착지감을 배가시키고, 사용자의 체중을 한층 더 고르게 분산하여 발의 피로도를 극소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By the above-described method, the sole 1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more stable arc-shaped walking path and smooth propulsive rolling walking, compared to the pre-registered shoe sole, while walking between the ground and the sole when walking or stopping. The cushioning action of the up wing (8) and the down bend (9) and the front cushion portion (11) and the rear cushion portion (12) to ensure more double the feeling of landing, and evenly distribute the weight of the user It can minimize foot fatigue.

또한, 본 발명의 신발창(1)은 신발중창(3)을 상부중창과 하부중창으로 분리하여 보강부재(6)를 상,하부중창의 사이에 매입식으로 설치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보강부재(6)를 신발중창(3)과 신발밑창(2)의 사이에 삽입식으로 설치토록 하였기 때문에, 선등록된 경우보다 신발창(1)의 전체적인 구조를 단순하게 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신발창(1)의 제조단가를 절감시키는 측면에도 기여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sole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to install the reinforcement member 6 between the upper and lower midsole by separating the shoe midsole 3 into the upper midsole and the lower midsole, the reinforcing member 6 ) Is installed between the midsole (3) and the sole of the shoe (2), so that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sole (1) can be simplified than the case of pre-registered, and thus the sole of the sole (1) It can also contribute to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특히, 보강부재(6)의 하향굴곡부(9)에 의하여 신발중창(3)과 신발밑창(2)의 사이에 전방쿠션부(11)와 후방쿠션부(12)를 제외한 많은 공간부가 제공되도록 하는 한편, 보강부재(6)와 같은 경량소재의 사출부위를 증대시키는 구조적인 개선에 의하여, 본 발명의 신발창(1)이 장착된 신발 제품의 경량화를 달성할 수 있게 된다.In particular, by the downward bending portion 9 of the reinforcing member 6 to provide a lot of space except for the front cushion portion 11 and the rear cushion portion 12 between the shoe sole 3 and the shoe sole (2). On the other hand, by the structural improvement to increase the injection portion of the lightweight material such as the reinforcing member (6), it is possible to achieve the weight reduction of the shoe product equipped with the sole (1)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와 같은 신발 제품의 경량화로 인하여, 신발 제품의 착화감을 더욱 향상시키는 한편, 보행시 신체에너지의 효율을 높이도록 하고, 신발창(1)의 내부에 제공된 보다 더 많은 공간부에 의하여 쿠션 기능을 향상시킴으로서 부상방지 효과를 보다 더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Due to the weight reduction of the shoe products as described above, the wearability of the shoe products is further improved, while the efficiency of body energy when walking is increased, and the cushion function is improved by more spaces provided in the inside of the sole 1. By doing so, the injury prevention effect can be further increased.

도 7에 도시된 것은 신발중창(3)의 뒷꿈치측 바닥면과 후방쿠션부(12)의 사이에 제공된 간격(14)에 완충재(15)가 충진된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완충재(15)는 신발중창(3)보다 부드러운 연질 소재, 예를 들어 EVA(ethylene vinylacetate copolymer: 에틸렌 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7 is another embodiment in which the cushioning material 15 is filled in the gap 14 provided between the heel side bottom surface of the shoe sole 3 and the rear cushion portion 12. It is preferable to use a soft material softer than the shoe sole 3, for example, an EVA (ethylene vinylacetate copolymer) resin.

상기와 같이 신발중창(3)의 뒷꿈치측 바닥면과 후방쿠션부(12)의 사이에 제공된 간격(14)에 완충재(15)를 적용시키게 되면, 앞에서 설명되어진 바와 같이 발뒷꿈치가 지면과 맞닿은 보행초기 시점에 원호상의 구름보행을 유도하는 압축변형을 충분히 발생시키도록 하는 한편, 신발중창(3)과 후방쿠션부(12)를 일체로 연결시키는 완충재(15)에 의하여 보행시의 뒤틀림 등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한층 더 안정적인 추진식 구름보행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When the shock absorbing material 15 is applied to the space 14 provided between the heel side bottom surface of the shoe sole 3 and the rear cushion portion 12 as described above, the heel is in contact with the ground as described above. While sufficiently compressive deformation to induce rolling gait on the arc at the initial time, while the cushioning material 15 which connects the sole midsole 3 and the rear cushion portion 12 integrally prevents warping during walking. As a result, more stable propulsion can be achieved.

또한,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것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상기 상향날개부(8)를 보강부재(6)의 후방측에만 형성시키는 한편, 상기 연결패드(10)가 하향굴곡부(9)의 하단면에 각각 개별적으로 부착 설치되도록 한 것이며, 이와 같은 방식으로 신발창(1)을 구성하게 되면, 보강부재(6)가 제공하는 반발탄성기능과 충격완화 및 분산기능과 발바닥의 지지기능을 저하시키는 않는 범위내에서 신발창(1)을 보다 더 경량화시킬 수 있다.8 and 9 show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le the upward wing 8 is formed only at the rear side of the reinforcing member 6, the connection pad 10 It is to be installed separately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downward bend (9), and when the sole 1 is configured in this way, the resilient elasticity and shock relief and dispersion function provided by the reinforcing member 6 and the sole The sole 1 can be made more lightweight within the range of not lowering the support function of the.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신발창(1)에 있어서도 선등록된 신발중창의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보강부재(6)의 상향날개부(8)를 신발의 갑피측으로 길게 형성하여 보행시 발의 균형을 더욱 안정적으로 유지시키도록 하거나, 상향날개부(8)의 사출 성형시 이웃한 상향날개부(8)와 연계하여 문자 또는 도형을 형성시킴으로써 시각적으로 미감을 얻도록 할 수도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다.Lastly, in the sol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of the pre-registered shoe sole, the upward wing 8 of the reinforcing member 6 is formed to the upper side of the shoe to balance the foot during walking. It is to be noted that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more stable, or to obtain a visual aesthetic by forming a character or figure in connection with the neighboring upward wing (8) during the injection molding of the upward wing (8).

이상에서 설명하고 도시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하는 취지는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nd illustrated above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may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예를 들면, 상기 보강부재(6)의 상향날개부(8)와 하향굴곡부(9) 및 전방쿠션부(11)와 후방쿠션부(12)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을 것이며, 보강부재(6)와 연계되는 신발중창(3) 및 신발밑창(2)의 구성 또한 필요에 따라 얼마든지 변형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For example, the upward blade 8 and the downward bent portion 9 and the front cushion portion 11 and the rear cushion portion 12 of the reinforcing member 6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s needed, The configuration of the shoe sole 3 and shoe sole 2 associated with the reinforcing member 6 may also be carried out in a modified form as needed.

1 : 신발창 2 : 신발밑창
2a : 밑창판 3 : 신발중창
4 : 전방받침부 5 : 후방받침부
6 : 보강부재 7 : 보강판
7a : 절개부 7b : 절개공
8 : 상향날개부 9 : 하향굴곡부
10 : 연결패드 11 : 전방쿠션부
12 : 후방쿠션부 11a,12a : 받침패드
11b,12b : 지지대 13 : 논슬립창
13a : 보조받침대 14 : 간격
15 : 완충재
1: shoe sole 2: shoe sole
2a: Sole plate 3: shoe sole
4: front support part 5: rear support part
6: reinforcing member 7: reinforcing plate
7a: incision 7b: incision hole
8: upward wing part 9: downward bending part
10: connection pad 11: front cushion portion
12: rear cushion portion 11a, 12a: support pad
11b, 12b: support 13: non-slip window
13a: auxiliary base 14: spacing
15: cushioning material

Claims (6)

신발중창(3)과 신발밑창(2)을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는 신발창(1)에 있어서,
상기 신발중창(3)과 신발밑창(2)의 사이에는 보강부재(6)가 삽입 설치되고,
상기 보강부재(6)는, 신발중창(3)의 바닥면을 커버하는 보강판(7)과, 신발중창(3)의 좌,우 측면부를 커버하도록 보강판(7)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상향날개부(8)와, 신발밑창(2)과 연결되도록 보강판(7)으로부터 하방향으로 굴곡 형성되는 하향굴곡부(9)로 이루어지며,
상기 신발밑창(2)의 전방측에는 보강판(7)의 절개부(7a)를 통하여 신발중창(3)의 앞발측 바닥면과 밀착되는 전방쿠션부(11)가 형성되고,
상기 신발밑창(2)의 후방측에는 보강판(7)의 절개공(7b)을 통하여 노출되는 신발중창(3)의 뒷꿈치측 바닥면과 소정의 간격(14)을 두고 이격되는 후방쿠션부(1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창.
In a shoe sole 1 comprising a shoe midsole 3 and a shoe sole 2,
The reinforcing member 6 is inserted between the shoe midsole 3 and the shoe sole 2,
The reinforcing member 6 is formed to extend upward from the reinforcing plate 7 to cover the bottom surface of the sole midsole 3 and the left and right side portions of the shoe sole 3. Being made up of the downward wing (9) is bent downward from the reinforcement plate (7) to be connected to the upper wing portion (8), and the shoe sole (2),
The front cushion portion 11 is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shoe sole 2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forefoot side of the shoe sole 3 through the cutout portion 7a of the reinforcement plate 7,
The rear cushion portion 12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heel side of the shoe sole 3 exposed through the incision hole 7b of the reinforcing plate 7 at a predetermined interval 14 at the rear side of the shoe sole 2. Sol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쿠션부(11)와 후방쿠션부(12)는, 신발중창(3)의 바닥면을 지지하는 받침패드(11a)(12a)와, 상기 받침패드(11a)(12a)의 주연부를 따라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하방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다수 개의 지지대(11b)(12b)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방쿠션부(11)와 후방쿠션부(12)를 제외한 신발밑창(2)의 나머지 외곽 부분이 논슬립창(13)을 이루고, 상기 보강부재(6)의 하향굴곡부(9) 하단면과 각각의 지지대(11b)(12b) 하단면이 논슬립창(13)과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창.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ront cushion portion 11 and the rear cushion portion 12, the support pad (11a) (12a) for support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shoe sole 3, and the support pad (11a) ( It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supports (11b) (12b) disposed radially along the periphery of 12a) installed inclined downward,
The remaining outer portion of the shoe sole 2 except for the front cushion portion 11 and the rear cushion portion 12 forms a non-slip window 13, and each of the lower surface of the downward curved portion 9 of the reinforcing member 6 and the bottom surface thereof. Sole of the support (11b) (12b)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ottom surface is connected with the non-slip window (1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밑창(2)은 밑창판(2a)과 논슬립창(13)이 적층식으로 설치되어서 이루어지며,
상기 전방쿠션부(11)와 후방쿠션부(12)의 지지대(11b)(12b) 및 보강부재(6)의 하향굴곡부(9) 하단면은 밑창판(2a)과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창.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hoe sole 2 is made by the sole plate (2a) and the non-slip window 13 is installed in a laminated manner,
The lower surfaces of the support members 11b and 12b of the front cushion portion 11 and the rear cushion portion 12 and the downwardly curved portion 9 of the reinforcing member 6 are connected to the sole plate 2a. Sole.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중창(3)의 뒷꿈치측 바닥면과 후방쿠션부(12)의 사이에 제공된 간격(14)에는 완충재(15)가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창.The cushioning material (15)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gap (14) provided between the heel side bottom surface of the shoe sole (3) and the rear cushion portion (12) is filled with a cushioning material (15). Shoe sole.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날개부(8)는 보강부재(6)의 후방측에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창.4. The shoe sol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upward wing is formed only at the rear side of the reinforcing member.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날개부(8)는 보강부재(6)의 후방측에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창.5. The sole of claim 4, wherein the upward wing (8) is formed only at the rear side of the reinforcing member (6).
KR1020110088335A 2011-09-01 2011-09-01 Shoe sole KR10116657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8335A KR101166572B1 (en) 2011-09-01 2011-09-01 Shoe so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8335A KR101166572B1 (en) 2011-09-01 2011-09-01 Shoe so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6572B1 true KR101166572B1 (en) 2012-07-18

Family

ID=46717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8335A KR101166572B1 (en) 2011-09-01 2011-09-01 Shoe so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6572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9821B1 (en) * 2011-09-01 2013-10-18 (주)지원에프알에스 Shoe sole
KR101483775B1 (en) 2013-06-07 2015-01-16 하용호 A shoe having shock absorbing and enforced drive function
KR101534655B1 (en) * 2014-10-15 2015-07-07 (재)부산경제진흥원 Trail shoes with the effect on reducing fatigue and the waveform cushion sole structure
KR20220141528A (en) * 2021-04-13 2022-10-20 주식회사 엘에스네트웍스 Sho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2318B1 (en) 2006-11-17 2008-02-13 (주)알와이엔코리아 Well-being healthy shoes for rollin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2318B1 (en) 2006-11-17 2008-02-13 (주)알와이엔코리아 Well-being healthy shoes for rolling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9821B1 (en) * 2011-09-01 2013-10-18 (주)지원에프알에스 Shoe sole
KR101483775B1 (en) 2013-06-07 2015-01-16 하용호 A shoe having shock absorbing and enforced drive function
KR101534655B1 (en) * 2014-10-15 2015-07-07 (재)부산경제진흥원 Trail shoes with the effect on reducing fatigue and the waveform cushion sole structure
KR20220141528A (en) * 2021-04-13 2022-10-20 주식회사 엘에스네트웍스 Shoe
KR102495179B1 (en) * 2021-04-13 2023-02-06 주식회사 엘에스네트웍스 Sho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6923B1 (en) Mid-sole of a shoes
TWI531326B (en) Interchangeable midsole system
JP2012075864A (en) Midsole for shoe
JP5601593B2 (en) Insole of footwear with impact dispersion function and rolling walking function
US20070151124A1 (en) Woman's shoe
US20130036629A1 (en) High foot mobility shoe
AU2010352681A1 (en) High foot mobility shoe
KR101047352B1 (en) Shoe sole with improved shock absorption and rebound resilience
JP2018153355A (en) Shoe sole structure and shoe using the same
JP2009101139A (en) Functional sockliner for high-heeled shoe
KR101166572B1 (en) Shoe sole
KR101265080B1 (en) Article of footwear
KR101319821B1 (en) Shoe sole
KR101685112B1 (en) Insoles for high heels
KR101251572B1 (en) Shock absorbing shoes with a triangle shock absorbing space
KR101625917B1 (en) Article of footwear
KR101075787B1 (en) Mid-sole for a shoes with impact dispersion and round walking function
KR200461631Y1 (en) Shoes having selectable shock-absorber at arch portion of sole
KR101483775B1 (en) A shoe having shock absorbing and enforced drive function
KR20130056814A (en) Article of footwear
KR101063735B1 (en) Health walking sandals
KR101288905B1 (en) Shoe sole with Improve walking function
KR20160050595A (en) Shoes insole
KR101435757B1 (en) insole
KR101101415B1 (en) Mid-sole of a sho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