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2567A - Supporting means for pipe and the construction method using it - Google Patents
Supporting means for pipe and the construction method using i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22567A KR20130022567A KR1020110085208A KR20110085208A KR20130022567A KR 20130022567 A KR20130022567 A KR 20130022567A KR 1020110085208 A KR1020110085208 A KR 1020110085208A KR 20110085208 A KR20110085208 A KR 20110085208A KR 20130022567 A KR20130022567 A KR 2013002256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in body
- pipe
- support member
- pipe support
- ground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9412 basement excav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1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0 mortar (masonr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79 reinforc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435 ro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00—Laying or reclaiming pipes; Repairing or join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024—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land, e.g. above the ground
- F16L1/06—Accessories therefor, e.g. anchors
- F16L1/11—Accessories therefor, e.g. anchors for the detection or protection of pipes in the ground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26—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the pipes all along their length, e.g. pipe channels or 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성 재질에 의해 형성됨과 아울러, 중력방향 하중에 대하여 최소한의 저항이 가능한 정도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가 길이 방향을 따라 상호 접촉되도록 지반에 배열시에 상기 본체와 본체를 상호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받침부재를 제시함으로써, 지반의 국부침하와 같이 관로 받침부재의 주변토사에 불균등한 변형이 발생하더라도 파손에 이르지 않도록 하여 효율적인 지반의 보강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관로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by a flexible material, and the body formed to have a thickness of the minimum resistance to the gravity load; Coupling means for mutually coupling the main body and the main body when the main body is arranged on the ground such that the main body is in contact with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presenting the pipeline support member, which includes the structure, it is possible to stably support the pipeline by preventing damage even if uneven deformation occurs in the surrounding soil of the pipeline support member such as local settlement of the ground. It can be effective.
Description
본 발명은 토목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지반에 매설되는 관로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관로 받침부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field of civil engineering, and more particularly, to a pipe support member capable of stably supporting a pipe embedded in the ground.
지반을 구성하는 토사 및 암석은 대단히 불균질한 구조체이므로, 안정적으로 지반 위에 구조물을 설치하거나, 지중에 구조물을 매설하기 위하여, 지반을 보강하기 위한 공법이 다수 개발되어 있다.Soil and rock constituting the ground is a very heterogeneous structure, so a number of methods for reinforcing the ground have been developed to stably install the structure on the ground or to bury the structure in the ground.
그런데, 종래의 관로 받침부재는 취성재료(콘크리트, 몰탈 등)를 사용하므로, 지반의 국부침하와 같이 관로 받침부재의 주변토사에 불균등한 변형이 발생하는 경우, 관로 받침부재에 불균등한 응력이 발생하여 파손에 이르게 되는바, 실질적인 보강효과를 얻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pipe support member uses brittle material (concrete, mortar, etc.), if uneven deformation occurs in the surrounding soil of the pipe support member such as local settlement of the ground, uneven stress occurs in the pipe support member. This leads to breakage, which is difficult to obtain a substantial reinforcing effec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지반의 국부침하와 같이 관로 받침부재의 주변토사에 불균등한 변형이 발생하더라도 파손에 이르지 않도록 하여 효율적인 지반의 보강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관로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관로 받침부재 및 이를 이용한 관로 시공방법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riv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even if uneven deformation occurs in the surrounding soil of the pipe support member, such as local settlement of the ground, so as not to be damaged by the failure to reach the efficient ground reinforcement pipeline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ipe support member and a pip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연성 재질에 의해 형성됨과 아울러, 중력방향 하중에 대하여 최소한의 저항이 가능한 정도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가 길이 방향을 따라 상호 접촉되도록 지반에 배열시에 상기 본체와 본체를 상호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받침부재를 제시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by a flexible material, and the body formed to have a thickness of the minimum resistance to the load in the direction of gravity; Coupling means for mutually coupling the main body and the main body when the main body is arranged on the ground such that the main body is in contact with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t presents a pipe support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여기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호 접촉되는 상기 본체의 접촉면에 형성된 연결부재 삽입홈과, 상기 연결부재 삽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본체와 이웃하는 본체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coupling means may include a connection member insertion groove formed on the contact surface of the main body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a connection member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member insertion groove to interconnect the main body and the neighboring main body.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 삽입홈은 상기 본체의 폭 방향을 따라 긴 장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connection member insertion groove may be formed in a long long hole shape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main body.
또한, 상기 본체의 상면에는 관로가 안착될 수 있도록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관로의 외면과 접촉되도록 상기 본체의 두께 방향을 따라 하측으로 굴곡지게 함몰 형성된 안착홈이 구비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may be provided with a seating groove which extend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pipe can be seated, and is formed to be bent downward along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main body so as to contact the outer surface of the pipe.
아울러, 상기 본체에는 그 두께 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된 토사 관통공이 더 구비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ain body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soil through hole formed through the thickness direction.
그리고, 상기 토사 관통공은 상기 본체의 전영역에 걸쳐 다수가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the earth and sand through holes may be formed over the entire area of the main body.
또한, 상기 본체의 두께는 상기 토사 관통공 폭의 1/2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hickness of the main body may be formed to be larger than 1/2 of the width of the sand through hole.
상기 과제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지반을 굴착하여 굴착홈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굴착홈부에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관로 받침부재를 복수로 설치하되, 상기 복수의 관로 받침부재의 연결부재 삽입홈에 연결부재를 공통으로 삽입하여, 상기 복수의 관로 받침부재를 상호 연결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관로 받침부재의 상면에 관로를 안착시키는 단계; 상기 굴착홈부를 되메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관로 받침부재를 이용한 관로 시공공법을 제시한다.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excavating the ground to form an excavation groove; A plurality of pipe support members according to any one of
여기서, 상기 관로를 상기 관로 받침부재에 안착시키기 전에 상기 관로 받침부재에 관통 형성된 토사 관통공에 토사를 충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 step of filling the earth and sand in the earth and sand through-holes formed in the pipe support member before the pipe is seated on the pipe support member.
본 발명은 지반의 국부침하와 같이 관로 받침부재의 주변토사에 불균등한 변형이 발생하더라도 파손에 이르지 않도록 하여 효율적인 지반의 보강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관로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that it is possible to stably support the pipeline by enabling efficient reinforcement of the ground by preventing damage even if uneven deformation occurs in the surrounding soil of the pipe support member such as local settlement of the groun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로 받침부재에 관로가 안착된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Ⅱ-Ⅱ' 선에 따른 선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Ⅲ-Ⅲ' 선에 따른 선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로 받침부재의 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며,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로 받침부재 및 관로가 지반에 매설된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in which a pipe is seated on a pipe support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 of FIG. 1,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II' of FIG. 1,
Figure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pipe support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and 6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pipe support member and the pipe embedded in the grou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로 받침부재에 관로가 안착된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Ⅱ-Ⅱ' 선에 따른 선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Ⅲ-Ⅲ' 선에 따른 선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로 받침부재의 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며,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로 받침부재 및 관로가 지반에 매설된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in which a pipe is seated on a pipe support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 of FIG. 1, and FIG.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pipe support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5 and 6 are pipelin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sectional drawing which shows the structure which the support member and the pipe were embedded in the ground.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로 받침부재는, 연성 재질에 의해 형성됨과 아울러, 중력방향 하중에 대하여 최소한의 저항이 가능한 정도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된 본체(100)와, 본체(100)가 길이 방향을 따라 상호 접촉되도록 지반에 배열시에 본체(100)와 본체(100)를 상호 결합시키는 결합수단(20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As shown in Figures 1 to 3, the pipe support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the body formed so as to have a thickness to the minimum resistance to the gravity load ( And a coupling means 200 for coupling the
관로 받침부재는 지반에 매설되는 관로(1)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부재로서 일정한 깊이의 지반에 매설되는 본체(100)와, 본체(100)와 본체(100)를 길이 방향으로 배치시에 상호 연결되도록 결합시키는 결합수단(200)으로 이루어진다. The pipe support member is a member that serves to support the
본체(100)는 장방 형상의 단면을 갖는 직육면체 형상의 부재로서, 관로(1)를 지지할 수 있는 일정한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며 지반의 부분 침하가 발생되더라도 관로(1)를 지지할 수 있도록 연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The
즉, 지반의 부분 침하가 발생하더라도 그 상면에 안착된 관로(1)를 지지할 수 있도록 본체(100)는 고무나 혹은 이와 유사한 합성수지와 같은 연성(탄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That is, even if partial settlement of the ground occurs, the
본체(100)의 상면은 평탄하게 형성되어 그 상면에 관로(1)를 안착시킨 후에 토사를 되메움하여 본체(100)의 상면에서 관로(1)가 유동하지 않도록 할 수도 있지만, 본체(100)의 상면에 하측으로 굴곡진 안착홈(110)을 형성하고 안착홈(110)에 관로(1)가 안착되도록 한 후에 토사를 되메움함으로써 관로(1)가 유동함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도 있다. Alth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본체(100)는 복수가 상호 결합에 의해 보강구조를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 설치작업의 편의성 및 구조적 안정성을 위하여 바람직한데, 이를 위하여 본체(100)에는 별도의 결합수단(200)이 구비되어 있다. The
결합수단(200)은 상호 접촉되는 본체(100)의 접촉면 즉, 본체(100)의 전면과 후면에 형성된 연결부재 삽입홈(210)과, 연결부재 삽입홈(210)에 삽입되어 본체(100)와 이웃하는 본체(100)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재(220)로 구성될 수 있다. Coupling means 200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연결부재 삽입홈(210)에는 인접하여 설치되는 본체(100)의 연결부재 삽입홈(210)에 공통으로 강재 바 등의 구조를 취하는 연결부재(220)를 결합함으로써 복수의 본체(100)를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원하는 길이만큼 연장되도록 하여 지반에 시공할 수 있다. The connection
이러한 구성을 취하는 경우, 연결부재(220)에 의해 양측의 본체(100)가 상호 결합하면서도, 지반의 변동에 따른 각 본체(100)의 연성 거동을 방해하지 않게 된다. In this case, the
연결부재 삽입홈(210)은 본체(100)의 폭방향, 즉 좌우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 단면을 갖는 긴 장공 형상을 취하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지반의 측방향 변형이 일어나더라도 그 장공의 유격에 의해 상호 결합된 본체(100)에 어느 정도의 측방향 변형을 허용함으로써, 파손을 방지하여 지속적인 보강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The connection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로 받침부재의 경우에는 본체(100)의 두께 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된 별도의 토사 관통공(120)이 더 구비되어 있다. As shown in Figure 4 to 6, in the case of the pipe support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urther provided with a separate soil through
토사 관통공(120)은 본체(100)의 전체 영역에 걸쳐 다수가 형성될 수 있으며, 그 단면의 형상은 원형, 사각형 기타 어떠한 구조를 취하더라도 무방하다.The earth and sand through
토사 관통공(120)은 지반의 국부침하가 발생하더라도 그 침하발생에 의한 함몰부위에 상부의 토사가 토사 관통공(120)을 통해 유입되어 상기 함몰부위를 메우게 된다.The earth and sand through
따라서, 지반의 국부침하에 의해 본 발명에 의한 관로 받침부재가 변형을 일으킨다 하더라도, 그 변형량을 최소화하여 안정적으로 관로(1)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Therefore, even if the pipe support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uses deformation by local settlement of the ground, the deformation amount can be minimized so that the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일반적으로 관로(1)는 콘크리트와 같은 취성 재질에 의해 형성되고, 관로 받침부재 또한 취성 재질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에는 지반의 부등침하에 의해 상기 관로 받침부재가 파손되면 당연히 관로(1)도 파괴에 이르게 된다.In more detail, in general, the
이에 비해, 본 발명에 따른 관로 받침부재와 같이, 관로 받침부재를 연성(탄성) 재질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관로(1)가 콘크리트와 같은 취성 재질에 의해 형성되더라도, 상술한 바와 같은 본체(100)의 연성 거동으로 인하여, 지반의 부등침하가 발생하더라도 관로(1)를 지속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므로, 관로(1)의 파괴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On the contrary, when the pipe support member is formed of a flexible (elastic) material, such as the pipe support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한편, 기존의 토목 보강재료 중 지오그리드는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그물 구조를 취하는데,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된다는 점은 본 발명에 의한 관로 받침부재와 같지만, 본 발명에 의한 관로 받침부재의 본체(110)는 상부에 설치되는 중력방향 하중(구조물 또는 토사의 하중)에 대하여 최소한의 저항이 가능한 정도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는데 반해, 지오그리드는 횡방향 하중에 대하여만 저항할 수 있을 뿐 중력방향 하중에 대하여는 전혀 저항할 수 없다는 차이가 있다.On the other hand, the geogrid of the existing civil reinforcing material takes a net structure form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the number of through holes is the same as the pipe support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의한 관로 받침부재의 본체(110)의 두께는 중력방향 하중에 대하여 최소한의 저항이 가능하도록, 토사 관통공(210) 폭의 1/2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기존의 지오그리드와 완전히 차별되는 특징이라 할 수 있다.Specifically, it is preferable that the thickness of the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관로 받침부재와 관로를 지반에 시공하는 시공공법은 다음과 같다. Construction method for constructing the pipe support member and the pipe in the grou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s as follows.
우선, 지반을 굴착하여 굴착홈부(2)를 형성하고, 굴착홈부(2)에 관로 받침부재를 원하는 길이가 되도록 그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로 배치한다. First, the ground is excavated to form the
이때, 복수의 관로 받침부재의 연결부재 삽입홈(210)에 연결부재(220)를 공통으로 삽입하여, 상기 복수의 관로 받침부재를 상호 연결하게 된다. At this time, the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로 받침부재의 경우에는 토사 관통공(120)에 토사를 충진하고, 상기 복수의 관로 받침부재 상면에 형성된 안착홈(110)에 관로(1)를 안착시키게 된다. And, in the case of the pipe support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fill the earth and sand to the through
관로(1)가 상기 복수의 관로 받침부재의 안착홈(110)에 안착되면, 굴착홈부(2)를 토사로 되메움함으로써 관로 받침부재와 관로(1)의 시공이 완료되어, 관로(1)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When the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technical idea 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 관로 2 : 굴착홈부
100 : 본체 110 : 안착홈
120 : 토사 관통공 200 : 결합수단
210 : 연결부재 삽입홈 220 : 연결부재1: pipeline 2: excavation groove
100: main body 110: seat groove
120: through earth hole 200: coupling means
210: connection member insertion groove 220: connection member
Claims (9)
상기 본체가 길이 방향을 따라 상호 접촉되도록 지반에 배열시에 상기 본체와 본체를 상호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받침부재.A main body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and formed to have a thickness such that a minimum resistance to gravity load is possible;
Coupling means for mutually coupling the main body and the main body when the main body is arranged on the ground such that the main body is in contact with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Pipe support member comprising a.
상기 결합수단은, 상호 접촉되는 상기 본체의 접촉면에 형성된 연결부재 삽입홈과, 상기 연결부재 삽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본체와 이웃하는 본체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받침부재.The method of claim 1,
The coupling means includes a connection member insertion groove formed in the contact surface of the main body to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a connection member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member insertion groove to connect the main body and the neighboring main body to each other.
상기 연결부재 삽입홈은 상기 본체의 폭 방향을 따라 긴 장공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받침부재.The method of claim 2,
The connecting member insertion groove is a pipe support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 long long hole shape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body.
상기 본체의 상면에는 관로가 안착될 수 있도록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관로의 외면과 접촉되도록 상기 본체의 두께 방향을 따라 하측으로 굴곡지게 함몰 형성된 안착홈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받침부재.The method of claim 1,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is provided with a seating groov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pipe can be seated, recessed grooves formed recessed downward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main body so as to contact the outer surface of the pipe. absence.
상기 본체에는 그 두께 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된 토사 관통공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받침부재.The method of claim 1,
The main body support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ain body is further provided with a through-hole formed through the thickness direction.
상기 토사 관통공은 상기 본체의 전영역에 걸쳐 다수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받침부재.The method of claim 5,
The earth and sand through-hole support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is formed over the entire area of the body.
상기 본체의 두께는 상기 토사 관통공 폭의 1/2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받침부재.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thickness of the main body is a pipe receiving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greater than 1/2 of the width of the earth through holes.
상기 굴착홈부에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관로 받침부재를 복수로 설치하되, 상기 복수의 관로 받침부재의 연결부재 삽입홈에 연결부재를 공통으로 삽입하여, 상기 복수의 관로 받침부재를 상호 연결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관로 받침부재의 상면에 관로를 안착시키는 단계;
상기 굴착홈부를 되메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관로 받침부재를 이용한 관로 시공공법.Excavating the ground to form an excavation groove;
A plurality of pipe support member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are installed in the excavation groove, and a plurality of pipe lines are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member insertion grooves of the plurality of pipe support members. Interconnecting the support members;
Mounting a conduit on an upper surface of the plurality of conduit support members;
Backfilling the excavation groove;
Pipe construction method using a pipe support member containing.
상기 관로를 상기 관로 받침부재에 안착시키기 전에 상기 관로 받침부재에 관통 형성된 토사 관통공에 토사를 충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받침부재를 이용한 관로 시공공법.9. The method of claim 8,
The method of constructing a pipe line using the pipe support member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filling the earth and sand into the earth-through holes formed through the pipe support member before the pipe is seated on the pipe support membe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85208A KR20130022567A (en) | 2011-08-25 | 2011-08-25 | Supporting means for pipe and the construction method using i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85208A KR20130022567A (en) | 2011-08-25 | 2011-08-25 | Supporting means for pipe and the construction method using it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22567A true KR20130022567A (en) | 2013-03-07 |
Family
ID=48175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85208A KR20130022567A (en) | 2011-08-25 | 2011-08-25 | Supporting means for pipe and the construction method using i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30022567A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23727A (en) | 2018-08-27 | 2020-03-06 | 이지은 | A Pet Manager Based Beauty Care Support System |
CN116608324A (en) * | 2023-05-29 | 2023-08-18 | 中铁二十四局集团有限公司 | A reinforcement structure for underground pipelines under bridges crossing rivers under tunnel construction |
-
2011
- 2011-08-25 KR KR1020110085208A patent/KR20130022567A/en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23727A (en) | 2018-08-27 | 2020-03-06 | 이지은 | A Pet Manager Based Beauty Care Support System |
CN116608324A (en) * | 2023-05-29 | 2023-08-18 | 中铁二十四局集团有限公司 | A reinforcement structure for underground pipelines under bridges crossing rivers under tunnel construction |
CN116608324B (en) * | 2023-05-29 | 2024-03-15 | 中铁二十四局集团有限公司 | Underground pipeline reinforcing structure below river-crossing bridge under tunnel construction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91139B1 (en) | Construction method using soil retaining wall | |
KR100913569B1 (en) | P. file for retaining wall | |
KR100247361B1 (en) | Method for constructing a retaining wall by using blocks | |
KR101652163B1 (en) | Concrerte pannel for retaining wall and method for constructing retaining wall using the same | |
KR101572561B1 (en) | Steel assembly for Pile | |
KR101595702B1 (en) | Soil retaining structure using plate pile with reinforcing bridg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101973566B1 (en) | Sheathing method for constructing both sheathing wall and cutoff collar by bolting cutoff plate to phc pile with longitudinal plate | |
KR100952608B1 (en) | Foundation reinforced concrete pipe structure | |
KR100980860B1 (en) | Retaining wall fixed device and method for constructing retaining wall using thereof | |
JP6785591B2 (en) | Construction method of the end structure of the leading element and the continuous underground wall | |
KR20130022567A (en) | Supporting means for pipe and the construction method using it | |
KR102257315B1 (en) | Construction method of block type retaining wall using reinforcing strip and it's block | |
JP5944970B2 (en) | Open shield method | |
KR101019265B1 (en) | Concrete retaining wall blocks for roads | |
KR101318363B1 (en) | Elastic reinforcement member and reinforcement method for ground using the same | |
KR100827009B1 (en) | Earth plate for water and sewage pipe laying | |
KR100776778B1 (en) | Spacer for protection and fixing of corrugated pipe for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 |
KR101552065B1 (en) | Apparatus for connecting block with stiffener in retaining wall | |
KR20110037320A (en) |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 |
JP5800765B2 (en) | Rock fall prevention structure | |
KR101906198B1 (en) | Temporary retaining wall structure | |
KR101732133B1 (en) | Reinforcement structure for pile and construction method of reinforcement structure for pile using the same | |
KR101866792B1 (en) | Temporary retaining wall structure | |
JP6138887B2 (en) | Retaining plate | |
KR101811377B1 (en) | Concrete block and method for constructing concrete block ne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82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4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3102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3041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3102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30612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PX0601 |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4S01D Patent event date: 2013122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3111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3102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3061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X06013S01I Patent event date: 201304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