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2096A - 소수성 실리카의 포접에 의해 안정화된 수상을 함유하는 화장료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소수성 실리카의 포접에 의해 안정화된 수상을 함유하는 화장료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2096A
KR20130022096A KR1020110084846A KR20110084846A KR20130022096A KR 20130022096 A KR20130022096 A KR 20130022096A KR 1020110084846 A KR1020110084846 A KR 1020110084846A KR 20110084846 A KR20110084846 A KR 20110084846A KR 20130022096 A KR20130022096 A KR 201300220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aqueous phase
cosmetic
silica
soluble 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48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호
김동찬
진무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1100848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22096A/ko
Publication of KR201300220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20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61K8/022Powders; Compacted Pow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5Silicon;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7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single or double bond to nitrogen or by a heterocyclic ring containing nitrogen; Compositions or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g. vinylimidazol, vinylcaprolactame, allylamines (Polyquaternium 6)
    • A61K8/8182Copolymers of vinyl-pyrrolido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Abstract

본 발명은 수상 및 상기 수상을 포접하는 소수성 실리카를 포함하고, 오일 성분을 포함하지 않으며 파우더 형태의 외관을 가지는 화장료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수상은 물, 수용성 고분자 및 보습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는 소수성 실리카가 수상 주위를 포접하여 파우더 형태의 외관을 가지며, 이로 인해 피부 도포 후 피부에서 느끼는 감촉이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를 피부에 도포하는 경우 파우더 형태의 외관이 깨지면서 소수성 실리카로 포접된 내부의 유효성분을 포함한 수상이 방출되고, 피부에 높은 수분감과 보습 등과 같은 유효성분의 효능을 동시에 제공한다.

Description

소수성 실리카의 포접에 의해 안정화된 수상을 함유하는 화장료 및 이의 제조방법{Cosmetics comprising water phase stabilized in hydrophobic silica and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소수성 실리카의 포접에 의해 안정화된 수상을 함유하는 화장료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파우더 형태의 외관을 가지나 피부에 도포시 깨지면서 소수성 실리카로 포접된 내부의 유효성분을 포함한 수상이 방출되어 피부에 수분감과 유효성분의 효능을 제공하는 화장료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체에 있어서 피부는 외부환경으로부터 생체를 보호하는 보호막의 기능을 하는 기관으로서, 인체 내의 생체성분 즉, 물이나 전해질 등의 손실을 방지하는 동시에 외부로부터 유해물질이 인체내로 침입하지 못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피부는 크게 표피층, 진피층 및 피하지방층으로 구분된다. 표피층은 각질세포와 멜라닌세포로 구성되는데, 피부 최외곽의 각질 세포층은 외부환경과 직접 접촉하기 때문에 물리적, 화학적 혹은 물질의 투과에 대한 강한 저항성이 요구되며, 인체로부터 외부로 수분이 손실되는 것을 막아줌과 동시에 자체로도 적당한 수분을 보유함으로써 유연성을 유지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피부의 수분량은 진피층에서는 70% 정도이나 표피층으로 갈수록 감소하여 각질세포층에서는 약 10 내지 30%가 된다. 진피층에서 공급된 물은 주로 수동적 확산에 의해 각질층 상부로 이동하며 최종적으로는 외부로 배출된다. 이를 경피수분 손실(Trans Epidermal Water Loss : TEWL)이라 하며, 이러한 경피수분 손실을 적절한 수준으로 유지시켜주는 것이 각질세포층의 지질막 성분인 피지성분과 표피지질이라고 알려져 있다. 그리고, 각질세포층에는 천연보습 인자 (Natural Moisturizing Factor : NMF)라고 하는 친수성의 수분 보유능을 가진 물질이 존재하여 피부의 보습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정상적인 각질세포층의 수분이 10 내지 30% 정도가 유지되면 피부는 매끄럽고 부드러우며, 신체 보호기능을 정상적으로 발휘하게 된다.
그러나, 각질세포층의 수분함량이 10% 이하가 되면 피부는 거칠어지고 신체의 보호기능을 잃게 되어 노화현상이 일어난다. 예를 들어, 건성피부의 경우에는 각질세포의 결집력이 약화되어 피부표면으로부터 비늘조각과 같이 각질세포가 허옇게 벗겨져 나오는 스케일(Scale) 현상이 나타나는 바, 이와 같이 피부가 건성화되는 것은 각질 세포층의 수분함량이 정상피부에 비해 적기 때문이다. 이 밖에, 건강한 피부라 할지라도 혹독한 외부환경 즉, 바람, 추운 날씨, 햇빛, 세안, 면도 등에 의해 수분 부족현상이 일어나 피부상태가 나빠지기도 한다. 따라서, 피부의 각질세포층의 수분함량을 적절히 유지하고, 동시에 피부의 각질 세포층에 보습 내지 항산화와 같은 효능을 가진 성분을 적정 수준으로 공급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한편, 피부에 적정 수분을 공급하기 위한 종래의 화장료 조성물은 유화제를 사용하여 유상 안에 일정량의 수상을 유화시키거나 반대로 수상 안에 일정량의 유상을 유화시키는 방식을 사용하여 점성을 띠는 액체 형태로 만들어진다. 이때 유화 형태의 화장료 조성물은 유화제와 함께 일정량의 오일 성분을 포함하고 있어서 수분감을 극대화시키는데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스킨과 같은 가용화 형태의 화장료 조성물은 수분감을 충분히 부여할 수 있으나 크림 또는 파우더 형태의 화장료 조성물에 비해 도포 후 피부에서 느끼는 감촉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피부에 가용화 형태의 화장료 조성물과 동일하거나 그 이상의 수분감을 가지며, 동시에 파우더 형태의 화장료 조성물과 같은 도포 후의 피부 감촉을 가지는 화장료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특성을 가진 화장료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에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상 및 상기 수상을 포접하는 소수성 실리카를 포함하고, 오일 성분을 포함하지 않으며 파우더 형태의 외관을 가지는 화장료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수상은 바람직하게는 물, 수용성 고분자 및 보습 성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혼합기에 수상을 투입하고 교반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기에 소수성 미립 실리카 분체를 투입하고 교반하여 파우더 형태의 외관을 가지는 화장료를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수상은 소수성 미립 실리카 분체로 포접되고, 상기 수상 대 소수성 미립 실리카 분체의 중량비는 97:3 내지 90:10이며, 상기 화장료는 오일 성분을 포함하지 않으며 파우더 형태의 외관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는 소수성 실리카가 수상 주위를 포접하여 파우더 형태의 외관을 가지며, 이로 인해 피부 도포 후 피부에서 느끼는 감촉이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를 피부에 도포하는 경우 파우더 형태의 외관이 깨지면서 소수성 실리카로 포접된 내부의 유효성분을 포함한 수상이 방출되고, 피부에 높은 수분감과 보습 등과 같은 유효성분의 효능을 동시에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는 냉장 온도, 예를 들어 4~10℃,로 보관된 상태에서 사용할 경우 파우더 형태의 외관이 깨지면서 차가워진 수상이 피부에 도포됨으로써 사용자에게 상당히 독특한 냉감을 부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조예 1에서 제조한 화장료를 주사전자현미경(SEM)으로 관찰한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파우더 형태의 외관을 가지며 피부에 도포시 파우더 형태의 외관이 깨지면서 내부의 수상이 방출되는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는 수상 및 소수성 실리카를 포함하고, 오일 성분을 포함하지 않으며 파우더 형태의 외관을 가진다. 이때 상기 수상 대 소수성 실리카의 중량비는 97:3 내지 90:10인 것이 바람직하고, 96:4 내지 92:8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수상 대 소수성 실리카의 중량비가 97:3을 초과하면 수상을 포접하기 위한 소수성 실리카의 양이 적어 파우더 형태의 외관 형성이 어려울 수 있고, 수상 대 소수성 실리카의 중량비가 90:10 미만인 경우 소수성 실리카의 양이 많아 수상을 포접하지 않는 소수성 실리카가 화장료 내에 존재할 염려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에서 상기 수상(water phase)은 물, 수용성 고분자, 및 특정 효능을 가진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수용성 고분자는 물에 용해되어 증점제 역할을 하는 것으로, 그 종류가 크게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천연의 수용성 고분자, 반합성된 수용성 고분자 또는 합성된 수용성 고분자 등이 있다. 천연의 수용성 고분자로는 예컨대 식물계 고분자(예컨대 아라비아 검, 트래거캔스 검, 갈락탄, 구아검, 카로브검, 카라야 검, 카라기난, 펙틴, 한천, 퀸스시드(마멜로), 알게콜로이드(갈조 진액), 전분(쌀, 옥수수, 감자, 밀), 글리실리진산); 미생물계 고분자(예컨대 크산탄 검, 덱스트란, 석시노글루칸, 풀룰란(pullulan) 등); 동물계 고분자(예컨대, 콜라겐, 카제인, 알부민, 젤라틴 등) 등을 들 수 있다. 반합성된 수용성 고분자로는 예컨대 전분계 고분자(예컨대, 카르복시메틸 전분, 메틸히드록시프로필 전분 등); 셀룰로오스계 고분자(메틸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메틸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 황산 나트륨,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결정 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 분말 등); 알긴산계 고분자(예컨대 알긴산 나트륨, 알긴산 프로필렌글리콜에스테르 등) 등을 들 수 있다. 합성된 수용성 고분자로는, 예컨대 비닐계 고분자(예컨대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메틸에테르, 폴리비닐피롤리돈, 카르복시비닐폴리머 등); 폴리옥시에틸렌계 고분자(예컨대 폴리에틸렌글리콜 20,000, 40,000, 60,000의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 등); 아크릴계 고분자(예컨대 폴리아크릴산 나트륨, 폴리에틸아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아미드 등); 폴리에틸렌이민; 양이온 폴리머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에서 수상을 구성하는 수용성 고분자는 다른 성분과의 조화 및 수상의 안정화 측면을 고려할 때 암모늄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와 비닐피롤리돈의 공중합체(Ammonium Acryloyldimethyltaurate/VP copolymer)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수상 내에서 수용성 고분자의 함량은 수용성 고분자의 증점 효과 및 수상의 안정화 효과 등을 고려할 때 물 100 중량부 당 0.05~1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0.1~0.5 중량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에서 수상은 바람직하게는 특정 효능을 가진 유효성분을 포함하는데, 이때, 상기 유효성분은 산화 방지, 보습, 미백 또는 주름 개선 등과 같은 특정 효능을 가지면서 물에 용해될 수 있는 것이라면 그 종류가 크게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산화 방지 성분으로는 인산, 시트르산, 아스코르브산 등을 들 수 있고, 보습 성분으로는 폴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1,3-부틸렌글리콜, 자일리톨, 소르비톨, 말티톨, 판테놀, 콘드로이틴 황산, 히알루론산, 무코이틴 황산, 카론산, 아테로콜라겐, 콜레스테릴-12-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 락트산 나트륨, 담즙산염, dl-피롤리돈카르복실산염, 단쇄 가용성 콜라겐, 디글리세린(EO)PO 부가물, 자리(Rosa roxburghii) 추출물, 서양톱풀 추출물, 메리로드 추출물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에서 수상을 구성하는 보습 성분은 다른 성분과의 조화 측면을 고려할 때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글리세린(Glycerin), 및 판테놀(Pantheno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상 내에서 특정 효능을 가진 유효성분, 특히 보습 성분의 함량은 다른 성분과의 조화 및 소정의 효능 발휘 등을 고려할 때 물 100 중량부 당 10~3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15~25 중량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는 수상을 포접하기 위한 성분으로 소수성 실리카를 포함하는데, 소수성 실리카는 그 표면에 위치한 하이드록실기의 일부가 소수기로 치환되어 표면이 소수성으로 개질된 것으로서,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하거나 공지된 것에서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를 구성하는 소수성 실리카는 수상을 포접하여 화장료의 외관을 파우더 형태로 형성시키는 능력을 고려할 때, 실리카 실릴레이트(Silica silylate)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리카 실릴레이트는 친수성 실리카, 특히 발연 실리카의 표면에 위치한 실란올(silanol, SiOH)의 하이드록실기(hydroxyl, -OH)의 일부(예를 들어 실란올 기준으로 약 20~80%)를 디메틸실록실(dimethylsiloxyl)기 또는 트리메틸실록실(trimethylsiloxyl)기로 치환하여 제조한 것으로서, 실리카 디메틸실릴레이트 또는 실리카 트리메틸실릴레이트 등이 있다. 상기 실리카 실릴레이트는 미립 분체의 형태를 가지며, 그 입자의 평균크기는 수십~수백 나노미터이며 수상의 균일한 포접을 위해 5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파우더 형태의 외관을 가지며 피부에 도포시 파우더 형태의 외관이 깨지면서 내부의 수상이 방출되는 화장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의 제조방법은 혼합기에 수상을 투입하고 교반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기에 소수성 미립 실리카 분체를 투입하고 교반하여 파우더 형태의 외관을 가지는 화장료를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이때 상기 수상은 소수성 미립 실리카 분체로 포접되고, 상기 수상 대 소수성 미립 실리카 분체의 중량비는 97:3 내지 90:10이며, 상기 화장료는 오일 성분을 포함하지 않으며 파우더 형태의 외관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혼합기에 소수성 미립 실리카 분체를 투입하고 교반하여 파우더 형태의 외관을 가지는 화장료를 수득하는 단계에서 교반 속도는 미립 실리카 분체에 의한 수상의 균일한 포접을 위해 약 3000~10000 rpm인 것이 바람직하고, 약 3000~5000 rpm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제조방법에서 상기 수상은 바람직하게는 물, 수용성 고분자 및 보습 성분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수용성 고분자는 암모늄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와 비닐피롤리돈의 공중합체(Ammonium Acryloyldimethyltaurate/VP copolymer)인 것이 바람직하고, 수상 내 수용성 고분자의 함량은 물 100 중량부 당 0.05~1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습 성분은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글리세린(Glycerin), 및 판테놀(Pantheno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수상 내 보습 성분의 함량은 물 100 중량부 당 10~3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제조방법에서 상기 소수성 미립 실리카는 실리카 실릴레이트(Silica silylate)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명확하게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한정하는 아니다.
1. 화장료의 제조
제조예 1.
하기 표 1에 나타난 원료 중 원료 ① 내지 ⑥을 표 1에 나타난 배합비로 교반기에 투입하고 혼합하여 수상을 제조하였다. 이후, 교반기에 표 1에 나타난 원료 ⑦을 표 1에 나타난 배합비로 투입하고, 약 4000 rpm으로 교반하여 화장료를 제조하였다. 이때, 실리카 실리케이트는 약 10~100㎚의 입자 크기를 가지며 수상 주위를 포접하여 겉보기에는 파우더 형태의 외관을 가진 화장료를 형성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조예 1에서 제조한 화장료를 주사전자현미경(SEM)으로 관찰한 사진이다. 도 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조예 1에서 제조한 화장료는 파우더 형태의 외관을 가진 다수의 입자로 존재함을 알 수 있다.
원료 번호 원료명 배합비(중량%)
수상 정제수 79.4
암모늄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와 비닐피롤리돈의 공중합체(Ammonium Acryloyldimethyltaurate/VP copolymer) 0.1
프로필렌글리콜 10.0
글리세린 5.0
판테놀 0.5
소수성 실리카 실리카 트리메틸실릴레이트 5.0
비교제조예 1.
하기 표 2에 나타난 원료 중 유상 성분을 표 2에 나타난 배합비로 균일하게 혼합하여 유상을 제조하였다. 또한, 하기 표 2에 나타난 원료 중 수상 성분을 표 2에 나타난 배합비로 균일하게 혼합하여 수상을 제조하였다. 이후 유상을 교반하면서 수상을 서서히 투입하여 유중수형 에멀젼 형태의 화장료를 제조하였다.
구분 원료명 배합비(중량%)
유상 성분 사이클로메티콘 20.0
옥틸헥사노에이트 5.0
디메티콘 1.0
디스테아르디모늄 헥토라이트 0.5
디메티콘/비닐디메티콘 크로스폴리머 0.5
실리카 트리메틸실릴레이트 1.0
수상 성분 정제수 잔량
에탄올 5.0
마그네슘설페이트 1.0
글리세린 2.0
프로필렌글리콜 3.0
부틸렌글리콜 2.0
2. 화장료의 도포 후 피부 감촉, 수분감, 및 보습성 시험
시험예 1.
20명의 패널을 대상으로 제조예 1에서 제조한 화장료를 화장품용 스파츌러(spatula)로 떠서 피부에 도포한 후, 화장료의 도포 후 피부 감촉, 수분감, 보습성, 및 사용 편리성을 관능적으로 평가하였다. 상기 평가 항목 모두에 대해 척도(1~5점)로 평가하였고, 도포 후 피부 감촉은 화장료를 도포한 후 피부의 끈적임 정도를 기준으로 평가하였고, 수분감은 도포 직후 수분에 의한 피부의 산뜻함 정도를 기준으로 평가하였고, 보습성은 수분 보유의 지속 여부를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비교시험예 1.
비교제조예 1에서 제조한 화장료를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는 시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화장료의 도포 후 피부감, 수분감, 및 보습성을 평가하였다.
시험예 1 및 비교시험예 1의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표 3에서 각 평가 항목의 점수가 높을수록 도포 후 끈적거림이 적고, 도포 직후 피부의 산뜻함이 좋고, 도포 후 수분 보유의 지속성이 큼을 의미한다.
평가 항목 시험예 1 비교시험예 1
도포 후 피부 감촉 4.5 3.5
수분감 4.9 3.9
보습성 4.7 4.5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을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반드시 여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본질적인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서도 많은 변형을 실시하여 특정 상황 및 재료를 본 발명의 교시내용에 채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계획된 최상의 양식으로서 개시된 특정 실시 태양으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에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 속하는 모든 실시 태양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5)

  1. 수상 및 상기 수상을 포접하는 소수성 실리카를 포함하고,
    오일 성분을 포함하지 않으며 파우더 형태의 외관을 가지는 화장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상 대 소수성 실리카의 중량비는 97:3 내지 90: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상은 물, 수용성 고분자 및 보습 성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수상 내 수용성 고분자의 함량은 물 100 중량부 당 0.05~1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고분자는 암모늄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와 비닐피롤리돈의 공중합체(Ammonium Acryloyldimethyltaurate/VP copolym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수상 내 보습 성분의 함량은 물 100 중량부 당 10~3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보습 성분은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글리세린(Glycerin), 및 판테놀(Pantheno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8.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소수성 실리카는 실리카 실릴레이트(Silica silylat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9. 혼합기에 수상을 투입하고 교반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기에 소수성 미립 실리카 분체를 투입하고 교반하여 파우더 형태의 외관을 가지는 화장료를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수상은 소수성 미립 실리카 분체로 포접되고,
    상기 수상 대 소수성 미립 실리카 분체의 중량비는 97:3 내지 90:10이며,
    상기 화장료는 오일 성분을 포함하지 않으며 파우더 형태의 외관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의 제조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수상은 물, 수용성 고분자 및 보습 성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의 제조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수상 내 수용성 고분자의 함량은 물 100 중량부 당 0.05~1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의 제조방법.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고분자는 상기 수용성 고분자는 암모늄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와 비닐피롤리돈의 공중합체(Ammonium Acryloyldimethyltaurate/VP copolym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의 제조방법.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수상 내 보습 성분의 함량은 물 100 중량부 당 10~3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의 제조방법.
  14.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보습 성분은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글리세린(Glycerin), 및 판테놀(Pantheno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의 제조방법.
  15. 제 9항 내지 제 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수성 미립 실리카는 실리카 실릴레이트(Silica silylat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의 제조방법.
KR1020110084846A 2011-08-24 2011-08-24 소수성 실리카의 포접에 의해 안정화된 수상을 함유하는 화장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300220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4846A KR20130022096A (ko) 2011-08-24 2011-08-24 소수성 실리카의 포접에 의해 안정화된 수상을 함유하는 화장료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4846A KR20130022096A (ko) 2011-08-24 2011-08-24 소수성 실리카의 포접에 의해 안정화된 수상을 함유하는 화장료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2096A true KR20130022096A (ko) 2013-03-06

Family

ID=48174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4846A KR20130022096A (ko) 2011-08-24 2011-08-24 소수성 실리카의 포접에 의해 안정화된 수상을 함유하는 화장료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2209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2698A (ko) * 2014-07-25 2016-02-0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반투명 화장료 조성물
WO2017003130A1 (ko) * 2015-06-30 2017-01-05 (주)아모레퍼시픽 다공성 다면체 파우더를 포함하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2698A (ko) * 2014-07-25 2016-02-0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반투명 화장료 조성물
WO2017003130A1 (ko) * 2015-06-30 2017-01-05 (주)아모레퍼시픽 다공성 다면체 파우더를 포함하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KR20170002989A (ko) 2015-06-30 2017-01-09 (주)아모레퍼시픽 다공성 다면체 파우더를 포함하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7608B1 (ko) 에멀젼화된 하이드로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45440B1 (ko) 다량의 유분을 포함하면서 피부개선효과가 우수한 하이드로겔 마스크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하여 제조된 하이드로겔 조성물
KR102323105B1 (ko) 다공성 다면체 파우더를 포함하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KR20110058949A (ko) 고유상 안정화 화장료 조성물
CN111643401B (zh) 一种高含水量的口红及其制备方法
CN109453043A (zh) 一种稳定性良好的纳米乳液
CN107296764A (zh) 膏霜及其制备方法
KR101242356B1 (ko) 메이크업 화장료와 액상 화장료를 함께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도포 방법
KR101817765B1 (ko) 미백 화장료 조성물
CN106389168A (zh) 具有美白祛斑功效带正电荷的水包油纳米乳霜及制备方法
CN104644532A (zh) 使用天然乳化剂的低粘度化妆品组合物
KR101895037B1 (ko) 스피큘을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20130022096A (ko) 소수성 실리카의 포접에 의해 안정화된 수상을 함유하는 화장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56116B1 (ko) 천연 추출물과 천연오일을 포함한 나노 액정 에멀젼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814035B1 (ko) 아데노신 베이스를 함유한 유분산 타입의 입술 주름 개선용화장료 조성물
CN111343960A (zh) 含有高含量油成分的化妆品组合物及使用其的片状面膜
KR20110073935A (ko) 아디프산/네오펜틸글리콜 크로스폴리머 서스펜션 솔루션을 함유한 모공 커버 화장료 조성물
KR102309618B1 (ko) 라이스 하이드로겔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644609B1 (ko) 마스크 겔 조성물, 이를 포함한 마스크 팩 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20220070608A (ko) 반응성 실리콘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76302B1 (ko) 제형 안정성이 향상된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한 마스크팩
KR102003982B1 (ko) 금속산화물을 포함하는 유중폴리올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KR100737391B1 (ko) 알로에젤을 함유한 주름개선용 나노입자 조성물 및 그를함유한 화장료
KR102211754B1 (ko) 늘어나는 질감과 형상복원 능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9010083A (zh) 一种具有两亲物质构成的层状结构体的二氧化碳复合面膜组合物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