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1997A - 드래그 앤 드롭에 따른 콘텐츠 전송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드래그 앤 드롭에 따른 콘텐츠 전송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1997A
KR20130021997A KR1020110084604A KR20110084604A KR20130021997A KR 20130021997 A KR20130021997 A KR 20130021997A KR 1020110084604 A KR1020110084604 A KR 1020110084604A KR 20110084604 A KR20110084604 A KR 20110084604A KR 20130021997 A KR20130021997 A KR 201300219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drop
touch screen
dr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46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백현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846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21997A/ko
Publication of KR201300219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19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드래그 앤 드롭에 따른 콘텐츠 전송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사용자 아이콘 및 다수의 수신자들의 아이콘들을 화면에 표시하고, 사용자가 자신의 아이콘에서 수신자 아이콘으로 드래그 앤 드롭 입력을 하면, 드롭 지정된 수신자의 이동통신 단말로 콘텐츠를 전송한다. 즉, 본 발명은 직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드래그 앤 드롭 방식으로 콘텐츠 수신자를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드래그 앤 드롭에 따른 콘텐츠 전송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 및 그 방법{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contents transmission according to drag&drop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통신 단말의 콘텐츠 전송 기술에 관한 것이다.
단말 간 콘텐츠 전송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발명이 특허출원 제10-2008-0130928호를 통해 알려져 있다. 이 종래 발명은 통신 단말 사용자가 전달하고자 하는 콘텐츠 목록 및 수신 단말 식별정보를 입력하면, 통신 단말이 콘텐츠 목록에 해당하는 콘텐츠를 추출하고 추출된 콘텐츠를 수신 단말 식별정보와 매핑하여 중계 서버에 전달을 요청하고, 중계 서버가 콘텐츠를 수신 단말의 사용 환경 정보(코덱 정보 등)에 상응하도록 변환하여 수신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르면, 통신 단말에 저장된 콘텐츠를 다른 단말로 전달함에 있어서, 우체국에 우편물을 맡기듯이 콘텐츠와 함께 수신 단말의 전화번호만을 중계 서버에 전송하기만 하면 되므로 매우 편리하다. 그런데 종래 콘텐츠 전송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측면에서는 여전히 사용자가 수신 단말 식별정보를 입력해야 한다. 이러한 방식은 특히 콘텐츠를 다수의 수신 단말들로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의 불편함을 초래할 수밖에 없다.
본 발명은 사용자 입장에서 용이하게 원하는 콘텐츠 수신자를 선택하여 콘텐츠를 송부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 및 그 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사용자가 콘텐츠 송부시 수신자가 위치한 방향을 알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 및 그 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무선 통신을 위한 통신부, 화면 출력 및 사용자 입력을 위한 터치스크린, 및 상기 터치스크린에 이동통신 단말 및 타 이동통신 단말들에 대응되는 아이콘들을 표시하며,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 아이콘으로부터 상기 타 이동통신 단말 아이콘으로의 드래그 앤 드롭 입력에 따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드롭 지정된 타 이동통신 단말로 콘텐츠를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나아가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타 이동통신 단말들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이동통신 단말 아이콘을 상기 터치스크린 화면 중앙에 표시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현 위치를 중심으로 상기 수신된 타 이동통신 단말들의 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타 이동통신 단말들의 아이콘들을 상기 터치스크린 화면에 표시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아이콘들의 수에 따라 상기 터치스크린의 화면을 축소하거나 확대한다.
한편,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에서 수행되는 드래그 앤 드롭 방식의 콘텐츠 송부 방법은 이동통신 단말 및 타 이동통신 단말들의 위치를 터치스크린에 아이콘으로 표시하는 단계,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 아이콘으로부터 상기 타 이동통신 단말 아이콘으로의 드래그 앤 드롭 입력을 받는 단계, 및 상기 드롭 지정된 타 이동통신 단말로 콘텐츠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타 이동통신 단말들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 아이콘을 상기 터치스크린 화면 중앙에 표시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현 위치를 중심으로 상기 수신된 타 이동통신 단말들의 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타 이동통신 단말들의 아이콘들을 상기 터치스크린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직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를 통해 드래그 앤 드롭 방식으로 콘텐츠 수신자를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는 효과를 창출한다. 또한 콘텐츠 송신뿐만 아니라 수신시에도 이 같은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UI를 통해 사용자 위치를 중심으로 수신자들이 위치한 방향을 파악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래그 앤 드롭에 따른 콘텐츠 전송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전송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제1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전송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제2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위치 정보 획득을 위한 시스템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에서 수행되는 드래그 앤 드롭에 따른 콘텐츠 송부 방법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5에 도시된 S100의 상세 흐름도.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본 발명의 양상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이러한 실시예를 통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래그 앤 드롭에 따른 콘텐츠 전송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 블록도이다.
통신부(110)는 이동통신 단말(100)의 무선 통신을 위한 구성으로서, 하나 이상의 무선 통신 모듈이 포함된다. 무선 통신 모듈로는 RF 모듈, 와이파이 모듈, 근거리 통신을 위한 블루투스 모듈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GPS 수신기(120)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으로부터 이동통신 단말(100)의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구성이다. 터치스크린(130)은 텍스트 및 영상을 화면 출력함은 물론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위한 구성이다. 저장부(140)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로 구성되는 기억 수단이며, 저장부(140)에는 디지털 방식으로 제작된 문자, 음성, 이미지, 동영상 등의 콘텐츠가 저장된다. 또한 저장부(140)에는 타 이동통신 단말들에 대한 정보를 가진 전화번호부와 같은 디지털 데이터가 저장된다. 제어부(150)는 이동통신 단말(1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제어부(150)는 콘텐츠 전송을 위해 드래그 앤 드롭(Drag & Drop) 방식을 지원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며, 그 구성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터치스크린(130)을 통해 제공한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이동통신 단말의 동작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사용자가 터치스크린(130) 혹은 별도로 구성된 입력 수단을 통해 콘텐츠 전송을 위한 입력을 할 경우, 제어부(150)는 그 입력에 따라 콘텐츠 전송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구성하여 터치스크린(130)을 통해 제공한다. 도 2에 콘텐츠 전송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 예시되어 있다. 예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의 사용자(나) 아이콘이 표시되며, 그 외에 타 이동통신 단말들의 사용자들(누나, 동생, 친구 A, 친구 B, 친구 C, 친구 D, 선배 A, 후배 A) 아이콘이 표시된다. 여기서 타 이동통신 단말 사용자들의 정보는 저장부(140)에 기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사용자는 이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서 드래그 앤 드롭 입력을 통해 콘텐츠 수신자를 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나’아이콘으로부터 ‘누나’아이콘으로 드래그 앤 드롭 입력을 하면, 제어부(150)는 콘텐츠의 수신처가 ‘누나’의 이동통신 단말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다. 이후, 제어부(150)는 ‘누나’의 이동통신 단말을 수신처로 하여 통신부(110)를 통해 콘텐츠를 전송한다. 여기서 전송하고자 하는 콘텐츠의 선택은 도 2의 화면을 통해 수신자가 지정된 이후 혹은 도 2의 화면 전에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도 2의 화면에서 드래그 앤 드롭 반복을 통해 다수의 수신자를 지정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라 제어부(15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구성할 때, 이동통신 단말의 위치와 타 이동통신 단말들의 위치, 즉 사용자와 타 사용자들의 현 위치를 고려하여 화면 내에서 아이콘 배치 위치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50)는 도 3과 같이 ‘나’아이콘을 화면 중앙에 배치하고, 나의 현재 위치를 중심으로 실제 타 사용자들의 위치에 따라 해당 아이콘을 배치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나’는 현재 수원에 있고 ‘누나’는 서울에 있는 경우, ‘누나’는 ‘나’의 북쪽에 위치해 있으므로, 화면상에서 ‘누나’아이콘은 ‘나’아이콘의 위쪽에 표시되는 것이다. 또한 제어부(1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별 실제 거리에 따라 ‘나’아이콘과 타 사용자들의 아이콘들 간의 화면 내에서 거리가 상대적으로 가깝거나 먼 위치에 아이콘들을 표시한다. 또한 제어부(150)는 화면에 표시되는 아이콘들의 수 또는 아이콘 간의 거리에 따라 한 화면에 모든 아이콘이 표시되지 않는 경우, 자동으로 화면을 축소할 수도 있고 반대 상황의 경우는 화면을 확대할 수도 있다. 또한 아이콘의 표시 위치가 일부분 겹치는 경우, 제어부(150)는 사용자의 정확한 드래그 앤 드롭을 위해 화면을 확대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부(150)는 타 이동통신 단말들의 위치 정보를 외부의 서비스 서버로부터 통신부(110)를 통해 획득한다. 이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시스템 구성이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서비스 서버(200)는 이동통신 단말(100) 및 타 이동통신 단말들(300)의 위치 정보를 추적 및 관리하며, 이동통신 단말(100)의 요청에 따라 타 이동통신 단말들(300)의 위치 정보를 제공해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서비스 서버(200)는 이동통신 단말(100)의 요청에 따라 타 이동통신 단말들(300)의 위치 정보와 함께 이동통신 단말의 위치 정보를 제공해줄 수도 있다. 따라서 제어부(150)는 GPS 수신기(120)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또한 서비스 서버(200)로부터 통신부(110)를 통해 타 이동통신 단말들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아니면 제어부(150)는 서비스 서버(200)로부터 통신부(110)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의 위치 정보 및 타 이동통신 단말들의 위치 정보를 모두 획득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에서 수행되는 드래그 앤 드롭에 따른 콘텐츠 송부 방법 흐름도이다.
사용자가 콘텐츠를 송부하고자 할 경우, 터치스크린(130)을 통해 콘텐츠 송부를 위한 입력을 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150)는 이동통신 단말(100)의 위치 및 타 이동통신 단말들(300)의 위치, 즉 사용자 위치 및 타 사용자들의 위치를 터치스크린(130)에 아이콘으로 표시한다(S100). 예를 들어, 터치스크린(130)에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은 도 2와 같다. 도 2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사용자는 타 사용자들로 콘텐츠를 송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친구 A에게 콘텐츠를 송부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나’아이콘으로부터 ‘친구 A’아이콘으로 드래그 앤 드롭 입력을 수행한다. 이에 제어부(150)는 드래그 앤 드롭의 입력 지점을 확인한다. 제어부(150)는 터치스크린(130)을 통해 드래그 앤 드롭 입력이 있는지 판단하고, 판단 결과 드래그 앤 드롭 입력이 있으면, 드래그 앤 드롭 입력 지점을 확인한다(S200)(S300). 드래그 입력 ‘나’아이콘으로부터 시작되어 ‘친구 A’아이콘에서 드롭 되었음이 확인되면, 제어부(150)는 ‘친구 A’의 이동통신 단말로 콘텐츠를 전송한다(S400). 한편, 사용자가 ‘친구 A’에게 송부하고자 하는 콘텐츠의 선택은 S100 이전에 수행될 수도 있고, S300과 S400 사이에 수행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5에 도시된 S100의 상세 흐름도이다.
제어부(150)는 통신부(110)를 통해 서비스 서버(200)에 접속하여 타 이동통신 단말들(300)의 위치 정보를 요청한다(S110). 이에 서비스 서버(200)는 요청된 타 이동통신 단말들(300)의 위치 정보를 이동통신 단말(100)로 전송하고, 제어부(150)는 서비스 서버(200)로부터 통신부(110)를 통해 타 이동통신 단말들(300)의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S120). 이때 제어부(150)는 이동통신 단말(100)의 위치 정보 또한 서비스 서버(200)에 요청하여 획득할 수도 있고, 아니면 단말에 탑재된 GPS 수신기(120)를 통해 획득할 수도 있다. 이동통신 단말(100) 및 타 이동통신 단말들(300)의 위치 정보가 획득되면, 제어부(150)는 이동통신 단말 아이콘을 터치스크린(130) 화면의 중앙에 배치하고, 이동통신 단말의 현 위치를 중심으로 도 3과 같이 타 이동통신 단말들의 아이콘을 각각의 위치 정보에 따라 배치한다(S130).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이동통신 단말 110 : 통신부
120 : GPS 수신기 130 : 터치스크린
140 : 저장부 150 : 제어부
200 : 서비스 서버 300 : 타 이동통신 단말

Claims (5)

  1. 무선 통신을 위한 통신부;
    화면 출력 및 사용자 입력을 위한 터치스크린; 및
    상기 터치스크린에 이동통신 단말 및 타 이동통신 단말들에 대응되는 아이콘들을 표시하며,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 아이콘으로부터 상기 타 이동통신 단말 아이콘으로의 드래그 앤 드롭 입력에 따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드롭 지정된 타 이동통신 단말로 콘텐츠를 전송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래그 앤 드롭에 따른 콘텐츠 전송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타 이동통신 단말들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이동통신 단말 아이콘을 상기 터치스크린 화면 중앙에 표시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현 위치를 중심으로 상기 수신된 타 이동통신 단말들의 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타 이동통신 단말들의 아이콘들을 상기 터치스크린 화면에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드래그 앤 드롭에 따른 콘텐츠 전송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
  3.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아이콘들의 수에 따라 상기 터치스크린의 화면을 축소하거나 확대함을 특징으로 하는 드래그 앤 드롭에 따른 콘텐츠 전송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
  4. 이동통신 단말 및 타 이동통신 단말들의 위치를 터치스크린에 아이콘으로 표시하는 단계;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 아이콘으로부터 상기 타 이동통신 단말 아이콘으로의 드래그 앤 드롭 입력을 받는 단계; 및
    상기 드롭 지정된 타 이동통신 단말로 콘텐츠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에서 수행되는 드래그 앤 드롭에 따른 콘텐츠 송부 방법.
  5.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하는 단계는 :
    상기 타 이동통신 단말들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 아이콘을 상기 터치스크린 화면 중앙에 표시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현 위치를 중심으로 상기 수신된 타 이동통신 단말들의 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타 이동통신 단말들의 아이콘들을 상기 터치스크린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에서 수행되는 드래그 앤 드롭에 따른 콘텐츠 송부 방법.
KR1020110084604A 2011-08-24 2011-08-24 드래그 앤 드롭에 따른 콘텐츠 전송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 및 그 방법 KR201300219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4604A KR20130021997A (ko) 2011-08-24 2011-08-24 드래그 앤 드롭에 따른 콘텐츠 전송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4604A KR20130021997A (ko) 2011-08-24 2011-08-24 드래그 앤 드롭에 따른 콘텐츠 전송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1997A true KR20130021997A (ko) 2013-03-06

Family

ID=48174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4604A KR20130021997A (ko) 2011-08-24 2011-08-24 드래그 앤 드롭에 따른 콘텐츠 전송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2199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16607A (zh) * 2013-09-05 2014-12-17 侯金涛 基于html5的虚拟操作系统的图标拖拽方法及系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16607A (zh) * 2013-09-05 2014-12-17 侯金涛 基于html5的虚拟操作系统的图标拖拽方法及系统
CN104216607B (zh) * 2013-09-05 2017-10-20 侯金涛 基于html5的虚拟操作系统的图标拖拽方法及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71890B2 (en) Electronic device, server, and control method and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for the electronic device
KR101701151B1 (ko)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통합 메시지 송수신 방법 및 장치
US20120003989A1 (en) Location Status Update Messaging
TW200912360A (en) Location data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of importing location information
US9918193B1 (en) Hybrid electronic navigation and invitation system
CN103559183A (zh) 基于情境自动更新文本显示
US20100317373A1 (en) Image provision device and image provision system
US20190132267A1 (en) Instant Messaging
KR20170096010A (ko) 네비게이션 정보에 기초한 비즈니스 처리 방법 및 장치, 및 전자 디바이스
JP2015519023A (ja) 位置情報基盤通信装置と方法、および位置情報基盤通信アプリケーション装置
KR20080029036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화상 통화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50188863A1 (en) Method for controlling data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JP2007336311A (ja) 通信装置
KR20130021997A (ko) 드래그 앤 드롭에 따른 콘텐츠 전송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 및 그 방법
EP2165562A1 (en) A method and device for position data transfer
KR20180061908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14135024A (ja) 投稿情報の表示システム、表示方法、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1296596B1 (ko) 다자간 위치 추적 시스템 및 그 방법
TWI482482B (zh) 結合電子地圖的即時通訊方法、電子裝置及電腦程式產品
KR100867887B1 (ko) 위치 경로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9294715B2 (en) Controlling display of video data
KR101739558B1 (ko) 조건부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00051893A (ko) 멀티미디어 지도서비스 시스템 및 이의 제공방법
US20110009131A1 (en) Permission-Based Mobile-Device Position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KR20150111267A (ko) 라우터 액세스 제어 방법, 장치, 라우터, 프로그램 및 저장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