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1274A - 칫솔 - Google Patents

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1274A
KR20130021274A KR1020110083691A KR20110083691A KR20130021274A KR 20130021274 A KR20130021274 A KR 20130021274A KR 1020110083691 A KR1020110083691 A KR 1020110083691A KR 20110083691 A KR20110083691 A KR 20110083691A KR 20130021274 A KR20130021274 A KR 201300212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brush
teeth
bristle
tooth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36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90259B1 (ko
Inventor
조성수
Original Assignee
전남과학대학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남과학대학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남과학대학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0836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0259B1/ko
Publication of KR201300212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12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02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02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4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 A46B9/045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specially adapted for cleaning a plurality of tooth surfaces simultaneously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1/00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 A46B11/06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connected to supply pipe or to other external supply means
    • A46B11/063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connected to supply pipe or to other external supply means by means of a supply pip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3/00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 A46B13/02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power-driven carrier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02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 A46B15/0016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with enhancing means
    • A46B15/0034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with enhancing means with a source of radiation, e.g. UV, IR, LASER, X-ray for irradiating the teeth and associated surfac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004Additional brush head
    • A46B5/0012Brushes with two or more heads on the same end of a handle for simultaneous use, e.g. cooperating with each-other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26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where the surface of the brush body or carrier is not in one plane, e.g. not fl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02Rinsing or air-blowing devices, e.g. using fluid jets or comprising liquid medication
    • A61C17/032Rinsing or air-blowing devices, e.g. using fluid jets or comprising liquid medication using pressurised tap-water, e.g. rins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connected to the main water supp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16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 A61C17/22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칫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한번의 칫솔질로 치아의 내면 및 외면과 서로 마주보는 상/하 면을 동시에 닦을 수 있어 양치질을 편리하고 보다 깨끗하게 할 수 있는 칫솔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손잡이와, 그 손잡이의 일측에 마련되고 표면에 칫솔모가 설치된 칫솔모부로 이루어져 구강내의 치아를 닦아내는 칫솔에 있어서, 상기 칫솔모부는 길이방향의 양측이 개구된 중공형으로,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절개되어 내부가 개방되게 절개부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절개부를 통해 치아가 삽입되도록 중공의 치아삽입홈이 형성되며, 그 치아삽입홈을 이루는 내주면에는 상기 치아삽입홈을 통해 삽입된 치아의 윗면 또는 아랫면 중 어느 하나의 면과 내면 및 외면을 닦아내도록 칫솔모가 다수 설치되며, 외주면 일측에는 치아의 어느 한 면 또는 일부를 닦아내도록 외부칫솔모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칫솔{Toothbrush}
본 발명은 칫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한번의 칫솔질로 치아의 내면 및 외면과 서로 마주보는 상/하 면을 동시에 닦을 수 있어 양치질을 편리하고 보다 깨끗하게 할 수 있는 칫솔에 관한 것이다.
구강내의 치아를 세정하는 칫솔은 일반적으로, 막대형의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와 연결된 칫솔모 결합판과 상기 칫솔모 결합판의 일면에 고정된 칫솔모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칫솔을 이용하여 대부분의 사용자는 잇몸에서 치아가 돌출된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양치하는 방법 즉 소위 횡마법을 사용하는데, 이럴 경우 치아의 앞면과 윗니의 아랫면 및 아랫니의 윗면은 비교적 용이하게 세정되나 칫솔의 형태가 막대형이므로 치아의 뒷면과 치아와 잇몸 사이는 제대로 세정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의 칫솔로 치아의 뒷면을 세정하기 위해서는 손목을 비틀거나 입을 크게 벌려서 양치질을 해야 하는데, 이러한 양치질은 어린이나 노약자에게 손목이나 팔의 통증을 유발하게 되며, 양치질에 소요되는 시간도 증가 된다.
또한, 잇몸에서 치아가 돌출된 방향으로 양치하는 방법 즉 회전법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치아의 앞면과 윗니 및 아랫니의 외면은 비교적 용이하게 세정되나 윗니와 아랫니의 내면은 원활히 세정되지 않으며, 소요시간도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공개특허 제2010-0055844호(발명의 명칭: 칫솔, 2010.05.27)와 같이 치아의 외면과 내면, 즉 양면을 동시에 닦을 수 있는 칫솔이 개시된 바 있으나, 단순히 칫솔모를 경사지게 형성하거나 설치하는 데 불과하여 원하는 효과를 얻기 어려웠으며, 치아의 삽입공간이 별도로 마련되지 않은 채 사용자가 임의로 치아를 칫솔모에 근접시켜 사용함에 따라 사용이 불편하였다.
또한, 칫솔모가 종래의 칫솔에 비해 두 배 이상 많아짐에도 이를 살균할 수 있는 구성이 없음은 물론 살균도구가 없어 세균이 번식할 가능성이 높으며, 이에 따라 잇몸질환 등을 발생시킬 수도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한번의 칫솔질로 치아의 내면 및 외면과 서로 마주보는 상/하 면을 동시에 닦을 수 있어 편리하게 양치질을 할 수 있음은 물론 양치질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제2칫솔모에 의해 치아와 잇몸 사이를 꼼꼼히 닦을 수 있어 칫솔질에 따른 세정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으며, 살균램프에 의해 칫솔모와 함께 구강내를 살균할 수 있어 세균번식을 예방할 수 있는 칫솔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양치 후 또는 양치 중 구강 세정을 통해 치석제거는 물론 이물질 제거로 입냄새를 제거할 수 있는 칫솔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손잡이와, 그 손잡이의 일측에 마련되고 표면에 칫솔모가 설치된 칫솔모부로 이루어져 구강내의 치아를 닦아내는 칫솔에 있어서, 상기 칫솔모부는 길이방향의 양측이 개구된 중공형으로,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절개되어 내부가 개방되게 절개부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절개부를 통해 인입되는 치아가 삽입되도록 치아삽입홈이 형성되며, 그 치아삽입홈을 이루는 내주면에는 상기 치아삽입홈을 통해 삽입된 치아의 윗면 또는 아랫면 중 어느 하나의 면과 내면 및 외면을 닦아내도록 칫솔모가 다수 설치되며, 외주면 일측에는 치아의 어느 한 면 또는 일부를 닦아내도록 외부칫솔모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칫솔모부는 상기 치아삽입홈에 삽입된 치아의 윗면 또는 아랫면 중 어느 하나의 면과 내면 및 외면을 외부와 차단하도록 동서남북 4방향 중 적어도 3방향 이상을 커버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칫솔모부의 내주면에는 칫솔모의 살균과 잇몸 및 치아살균을 위해 살균램프가 설치되고, 상기 절개부에 인접하는 상기 칫솔모부의 내주면 단부에는 치아와 잇몸 사이를 닦아내도록 칫솔모에 비해 두께가 가늘게 제2칫솔모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칫솔모부는 상기 손잡이가 설치된 방향으로 만곡되게 구부러져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절개부에 대향되는 상기 칫솔모부의 타측에는 치아를 닦는 경우 반대쪽 치아의 아랫니 또는 윗니를 함께 닦아내도록 제2칫솔부가 일체 또는 분리가능하게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칫솔모부와 반대되는 상기 손잡이의 타측 단부에는 세면대 수전에 연결되게 연결호스가 설치되고, 상기 연결호스의 내부 세척수공급로에 연결되게 손잡이의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칫솔모부의 일측으로 연통되는 세척수이동로가 형성되며, 세척수이동로의 끝단부에는 고압의 가는 세척수를 분사시키도록 노즐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에는 세척수의 분사 또는 정지 동작시키고, 수압을 조절하기 위한 수압조절수단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한번의 칫솔질로 치아의 내면 및 외면과 서로 마주보는 상/하 면을 동시에 닦을 수 있어 보다 편리하고 용이하게 양치질을 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양치질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제2칫솔모에 의해 치아와 잇몸 사이를 꼼꼼히 닦을 수 있어 칫솔질에 따른 세정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고, 살균램프에 의해 칫솔모와 함께 구강내를 살균할 수 있어 이물질 등에 따른 세균번식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2칫솔부로 인해 한번의 칫솔질로 윗니와 아랫니를 모두 동시에 닦을 수 있으며, 고압의 세척수를 통한 세정으로 치아 사이의 잘 닦기지 않는 부분의 이물질 및 치석을 제거할 수 있음은 물론 잇몸자극으로 치주질환을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칫솔을 보인 부분 발췌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칫솔에서 칫솔모부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칫솔을 이용한 양치상태를 보인 단면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칫솔을 보인 부분 발췌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칫솔을 보인 부분 발췌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칫솔모부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한 칫솔을 보인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한 칫솔에서 세척수의 분사상태를 보인 칫솔의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칫솔을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칫솔은 구강내의 치아를 세정하기 위한 것으로, 손잡이(10)와, 그 손잡이(10)에 연결되는 칫솔모부(2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칫솔은 사용자가 직접 양치질을 하는 일반적인 칫솔이거나 또는 손잡이 내부에 배터리가 내장되어 칫솔모부를 회동 또는 유동시켜 양치질을 하는 전동칫솔일 수 있다.
상기 손잡이(10)에는 미끌림방지를 위해 고무재질의 미끌림방지부가 마련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일정 각도로 휘어질 수 있도록 성형될 수 있다. 상기 칫솔모부(20)는 손잡이(10)의 일측 단부에 일체 또는 착탈되게 마련되고, 표면에는 치아를 닦아내기 위한 칫솔모(30)가 다수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칫솔모부(20)는 양치질을 손쉽게 함은 물론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손잡이(10)가 설치된 방향으로 만곡되게 구부러져 형성되고, 일반적으로 치아의 일면만을 닦아내도록 형성된 형상이 아니라 치아의 3면을 닦아내기 위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진다.
따라서, 도 3과 같이 한번의 칫솔질로 3면(윗니의 경우 치아의 하면과 외면 및 내면, 아랫니의 경우 치아의 상면과 외면 및 내면)을 동시에 닦아낼 수 있어 양치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음은 물론 양치질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칫솔모부(20)는 길이방향의 양측이 개구된 중공형으로 형성되고,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절개되어 내부가 개방되게 하여 내외부가 서로 연통되도록 절개부(22)가 형성되며, 절개부에 의해 개방된 내부에는 상기 절개부(22)를 통해 인입되는 치아가 삽입되어 지도록 치아삽입홈(24)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치아삽입홈(24)을 이루는 칫솔모부(20)의 내주면에는 치아삽입홈(24)을 통해 삽입된 치아의 윗면 또는 아랫면 중 어느 하나의 면과 내면 및 외면을 닦아내도록 칫솔모(30)가 다수 설치되어 있고, 칫솔모부의 외주면 일측에는 치아의 어느 한 면 또는 일부를 닦아내도록 외부칫솔모(35)가 설치된다.
상기 치아삽입홈(24)은 그 형상이 치아의 어금니가 삽입된 상태에서 양치할 수 있는 크기의 공간으로 형성되며, 단면 형상을 어금니 형상으로 형성되게 할 수도 있다.
상기 칫솔모(30)는 모든 칫솔모의 길이가 동일하게 하여 설치할 수도 있고, 통상 치아와 치아 사이나 치아와 잇몸사이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치아의 외면과 내면을 다른 면에 비해 많은 시간 동안 닦아냄에 따라 윗니의 하면이나 아랫니의 상면을 닦는 칫솔모의 길이는 짧게 하고, 치아의 외면과 내면을 닦는 칫솔모의 길이는 길게 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절개부(22)에 인접하는 상기 칫솔모부(20)의 내주면 단부에는 치아와 잇몸 사이를 닦아내도록 칫솔모(30)에 비해 두께가 가늘게 제2칫솔모(32)를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칫솔모는 치아의 3면을 닦아내고, 상기 제2칫솔모(32)가 잇몸과 치아 사이를 닦아내도록 하여 잇몸을 맛사지하는 효과와 더불어 잇몸과 치아 사이를 보다 깨끗하게 세정할 수 있어 치석 등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보다 높은 양치효과를 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외부칫솔모(35)는 칫솔모부의 외주면 어디든지 상관없으나, 가능하면 손잡이가 구비되는 부분과 반대되는 부분에 설치되어져 사용이 편리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외부칫솔모(35)는 치간의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해 그 길이가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길거나 짧아지게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칫솔모부(20)는 상기와 같이 3면의 치아를 닦아내기 위한 것으로, 정면에서 바라본 경우, 절개부를 통해 치아삽입홈(24)에 삽입된 치아의 윗면 또는 아랫면(아랫니의 경우 윗면, 윗니의 경우 아랫면) 중 어느 하나의 면과 내면 및 외면을 외부와 차단하도록 절개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동서남북 4방향 중 적어도 3방향 이상을 커버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칫솔모부(20)의 내주면에는 칫솔모(30)의 살균을 위해 살균램프(40)가 설치된다. 상기 살균램프(40)는 손잡이 등에 내장된 배터리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될 수 있는 것으로, 배터리는 손잡이의 어느 위치에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살균램프(40)는 양치질 후 구강내에 칫솔모부를 넣은 상태로 잇몸 및 치아를 살균하기 위해서도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세균 등 번식을 방지할 수 있어 잇몸질환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칫솔은 윗니 또는 아랫니를 각각 닦아내도록 하는 방법 외에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아를 닦는 경우 아랫니와 윗니를 함께 닦아내도록 칫솔모부(20)의 타측에 제2칫솔부(50)가 형성된다.
상기 제2칫솔부(50)는 도 5 및 도 6과 같이 상기 절개부(22)에 대향되는 상기 칫솔모부(20)의 타측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도 4와 같이 결합수단을 통해 분리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결합수단은 절개부에 대향되는 상기 칫솔모부(20)의 타측 외주면에 일정 깊이로 패여져 단턱지게 형성된 결합부(26)와, 상기 결합부(26)에 체결되도록 상기 제2칫솔부(50)의 외주면에 형성된 체결부(52)로 구성된다.
상기 결합부와 체결부의 형상은 서로 뒤바뀔 수 있음은 당연하고, 본 발명에서는 결합부와 체결부를 통해 서로 결합시킬 수 있는 것이면 충분함에 따라 첨부의 도면에 도시된 구조외에도 다른 구조로 형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제2칫솔부(50)는 칫솔모부(20)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내주면에 칫솔모가 설치될 수 있으며, 외주면 일측에도 상기 외부칫솔모(35)와 같이 보조칫솔모(54)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보조칫솔모(54)가 설치된 경우에는 외부칫솔모(35)와 동일한 방향의 상,하측에 마련됨에 따라 손잡이를 이용하여 양치질을 하는 경우, 별도로 윗니와 아랫니의 양치질 없이 한번의 상/하 회전동작으로 윗니의 외면은 외부칫솔모(35)로 닦아내고, 아랫니의 외면은 보조칫솔모(54)로 닦아낼 수 있어 보다 편리하게 양치질을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칫솔에는 고압의 세척수를 분사하여 구강을 세정할 수 있는 세정수단이 마련된다. 상기 세정수단은 연결호스(60)와, 세척수이동로(65) 및 노즐(67)로 이루어진다.
물론, 세면대의 세전에 직접연결하지 않고, 별도로 세척수탱크를 손잡이에 구비하거나 손잡이에 연결되게 하여 펌프에 의한 구동으로 세척수를 분사시키도록 할 수도 있으나, 이 경우 부품의 증가로 칫솔의 원가를 높이게 되는 요인이 되고, 특히 칫솔의 크기가 비대해짐은 물론 무거워져 사용하는데 상당한 불편함이 있다.
상기 연결호스(60)는 상기 칫솔모부(20)와 반대되는 상기 손잡이(10)의 타측 단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손잡이에 일체로 형성시킬 수도 있고, 사용시에만 부착하여 사용하도록 착탈가능하게 구비할 수 있으며, 세면대 수전에 직접 연결하여 사용된다. 상기 연결호스에는 내부에 형성된 세척수공급로(62)를 개폐하도록 별도로 레버가 설치될 수 있다. 후술되는 수압조절수단이 마련된 경우에는 수압조절수단이 레버의 기능을 대신함에 따라 레버를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그리고, 상기 세척수이동로(65)는 상기 연결호스(60)의 내부 세척수공급로(62)에 연결되게 손잡이(10)의 내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칫솔모부(20)의 일측에 연통되게 형성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치아삽입홈(24)으로 연통되게 형성되게 하거나, 도 8과 같이 절개부(22)를 형성하는 칫솔모부(20)의 선단부에 형성될 수 있고, 그 세척수이동로(65)의 끝단에 고압의 가는 세척수를 분사시키도록 노즐(67)이 설치되는 것이다.
따라서, 양치 중 또는 양치 후 구강을 세정하거나 치아와 치아 사이를 세정할 수 있어 이물질을 말끔히 제거할 수 있게 되고, 또한 잇몸을 마사지할 수 있어 잇몸질환 등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손잡이(10)에는 세척수를 분사시키거나 정지시키도록 함은 물론 분사되는 수압을 조절하도록 수압조절수단(70)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칫솔은 윗니 또는 아랫니의 어금니 부분을 양치질 하는 경우, 어금니 부분의 치아를 치아삽입홈(24)에 삽입시킨 후 횡마법(치아의 방향에 대한 수직방향으로 양치하는 방법)으로 양치하거나 회전법(잇몸에서부터 치아쪽으로 쓸어내리면서 양치하는 방법)을 통해 양치하면 되는데, 이때 치아의 모든 면을 닦을 수 있어 보다 꼼꼼하게 양치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양치질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외부칫솔모(35)를 통해 양치하기 번거로운 부위의 치아나 어금니 안쪽 또는 앞니를 양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칫솔모(35)로 잇몸을 맛사지 할 수 있어 편리하게 양치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제2칫솔모(32)가 설치된 경우에는 칫솔모보다 가는 제2칫솔모(32)를 통해 잇몸과 치아 사이의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함은 물론 잇몸을 맛사지할 수 있어 튼튼한 잇몸을 갖게 할 수 있다.
또한, 살균램프가 설치된 경우에는 살균램프의 작동으로 칫솔모의 살균과 아울러 구강내를 살균할 수 있어 잇몸질환 등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게 되며, 칫솔모부(20)에 제2칫솔부(50)가 마련된 경우에는 윗니와 아랫니를 한번에 양치할 수 있어 양치질을 용이하고 편리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에는 회전법보다는 횡마법을 이용하여 양치를 하고, 이 후 외부칫솔모나 보조칫솔모를 이용하여 회전법으로 양치하여 마무리하면 된다.
한편, 양치 후 또는 양치 중 구강을 세정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연결호스를 세면대 세전에 연결한 후 세척수를 공급하여 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고압의 세척수로 구강을 세정할 수 있다.
10; 손잡이 20: 칫솔모부
22: 절개부 24: 치아삽입홈
26: 결합부 30: 칫솔모
32: 제2칫솔모 35: 외부칫솔모
40: 살균램프 50: 제2칫솔부
52: 체결부 54: 보조칫솔모
60: 연결호스 62: 세척수공급로
65: 세척수이동로 67: 노즐
70: 수압조절수단

Claims (8)

  1. 손잡이(10)와, 그 손잡이(10)의 일측에 마련되고 표면에 칫솔모가 마련된 칫솔모부(20)로 이루어져 구강내의 치아를 닦아내는 칫솔에 있어서,
    상기 칫솔모부(20)는 길이방향의 양측이 개구된 중공형으로,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절개되어 내부가 개방되게 절개부(22)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절개부(22)를 통해 인입되는 치아가 삽입되도록 치아삽입홈(24)이 형성되며, 그 치아삽입홈(24)을 이루는 내주면에는 상기 치아삽입홈(24)을 통해 삽입된 치아의 윗면 또는 아랫면 중 어느 하나의 면과 내면 및 외면을 닦아내도록 칫솔모(30)가 다수 설치되며, 외주면 일측에는 치아의 어느 한 면 또는 일부를 닦아내도록 외부칫솔모(35)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칫솔모부(20)는 상기 치아삽입홈(24)에 삽입된 치아의 윗면 또는 아랫면 중 어느 하나의 면과 내면 및 외면을 외부와 차단하도록 동서남북 4방향 중 적어도 3방향 이상을 커버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칫솔모부(20)의 내주면에는 칫솔모(30)의 살균과 잇몸 및 치아살균을 위해 살균램프(4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22)에 인접하는 상기 칫솔모부(20)의 내주면 단부에는 치아와 잇몸 사이를 닦아내도록 칫솔모(30)에 비해 두께가 가늘게 제2칫솔모(32)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칫솔모부(20)는 상기 손잡이(10)가 설치된 방향으로 만곡되게 구부러져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22)에 대향되는 상기 칫솔모부(20)의 타측에는 치아를 닦는 경우 반대쪽 치아의 아랫니 또는 윗니를 함께 닦아내도록 제2칫솔부(50)가 일체 또는 분리가능하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칫솔모부(20)와 반대되는 상기 손잡이(10)의 타측 단부에는 세면대 수전에 연결되게 연결호스(60)가 설치되고, 상기 연결호스(60)의 내부 세척수공급로(62)에 연결되게 손잡이(10)의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칫솔모부(20)의 일측으로 연통되는 세척수이동로(65)가 형성되며, 세척수이동로(65)의 끝단부에는 고압의 가는 세척수를 분사시키도록 노즐(67)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10)에는 세척수의 분사 또는 정지 동작시키고, 수압을 조절하기 위한 수압조절수단(7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KR1020110083691A 2011-08-22 2011-08-22 칫솔 KR1012902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3691A KR101290259B1 (ko) 2011-08-22 2011-08-22 칫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3691A KR101290259B1 (ko) 2011-08-22 2011-08-22 칫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1274A true KR20130021274A (ko) 2013-03-05
KR101290259B1 KR101290259B1 (ko) 2013-07-26

Family

ID=48174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3691A KR101290259B1 (ko) 2011-08-22 2011-08-22 칫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025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9116B1 (ko) * 2014-04-10 2015-05-12 성기원 잇몸 강화를 위한 마사지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2927B1 (ko) 2018-05-23 2018-10-29 정지영 가정용 잇몸치료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1312U (ko) * 2007-06-09 2007-12-24 윤덕하 치아를 감싸서 닦는 도구가 있는 칫솔
KR100904477B1 (ko) * 2009-02-17 2009-06-23 티엔씨 퍼스트 주식회사 자외선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살균 칫솔
KR20100138680A (ko) * 2009-06-25 2010-12-31 김순곤 물분사식 칫솔
US20110113576A1 (en) * 2009-11-17 2011-05-19 Yankell Samuel L Toothbrush with movable hea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9116B1 (ko) * 2014-04-10 2015-05-12 성기원 잇몸 강화를 위한 마사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0259B1 (ko) 2013-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80542A (en) Tongue cleaner
MY162528A (en) Toothbrush having soft tissue cleaning elements
TWI583361B (zh) 一種多功能口腔護理工具的刷頭裝置
CN111407446A (zh) 一种个性化定制u型电动牙刷
CN205144768U (zh) 一种牙齿清洁冲洗器
KR101290259B1 (ko) 칫솔
KR101613786B1 (ko) 세정액의 분사가 가능한 치간 칫솔
CN201067445Y (zh) 电动冲水牙刷
CN201861790U (zh) 一种洁牙装置
CN210228368U (zh) 一种带冲洗功能的电动牙刷
KR200420016Y1 (ko) 컵을 구비하는 양치세트
KR200458963Y1 (ko) 워터 픽 겸용칫솔
CN220141852U (zh) 一种口腔护理器
CN204132692U (zh) 一种带有喷冲水功能的牙刷
CN215080031U (zh) 一种牙齿清洁牙套
CN210697878U (zh) 一种带有冲洗功能的医用口腔护理电动牙刷
KR200370916Y1 (ko) 구강 세척기
KR200229913Y1 (ko) 칫솔모 사이로 세척수가 분사되는 칫솔
CN211021396U (zh) 一种用于清洁口腔的清洁装置
CN211750207U (zh) 一种套牙式电动牙刷
KR102594383B1 (ko) 세정제 일체형 치간 칫솔
CN202774862U (zh) 自洁牙刷
CN201211247Y (zh) 无毛牙刷
CN206473006U (zh) 一种牙套刷头以及包括该牙套刷头的口腔护理套盒
CN202980765U (zh) 尾部带刷子的牙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