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1270A - Washing tool - Google Patents

Washing too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1270A
KR20130021270A KR1020110083687A KR20110083687A KR20130021270A KR 20130021270 A KR20130021270 A KR 20130021270A KR 1020110083687 A KR1020110083687 A KR 1020110083687A KR 20110083687 A KR20110083687 A KR 20110083687A KR 20130021270 A KR20130021270 A KR 201300212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nose
cutting edge
shaving
led 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368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279632B1 (en
Inventor
조성수
Original Assignee
전남과학대학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남과학대학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남과학대학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0836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9632B1/en
Publication of KR201300212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127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96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963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55Brush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normally separate from the brushing process, e.g. combs, razors, mirrors
    • A46B15/0079Brushes fitted with a razor or other shaving equipment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02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 A46B15/0016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with enhancing means
    • A46B15/0022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with enhancing means with an electrical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02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 A46B15/0016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with enhancing means
    • A46B15/0036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with enhancing means with a lighting means, e.g. laser, bulb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095Removable or interchangeable brush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08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changeable blades
    • B26B21/14Safety razors with one or more blades arranged transversely to the handle
    • B26B21/34Safety razors with one or more blades arranged transversely to the handle of the type carrying rollers
    • B26B21/36Safety razors with one or more blades arranged transversely to the handle of the type carrying rollers with provision for reciprocating the bla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08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changeable blades
    • B26B21/14Safety razors with one or more blades arranged transversely to the handle
    • B26B21/38Safety razors with one or more blades arranged transversely to the handle with provision for reciprocating the blade by means other than roller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Brushes (AREA)

Abstract

PURPOSE: A washing tool is provided to improve user convenience and to facilitate portability thereof. CONSTITUTION: A washing tool comprises a handle(10) which is formed with a first accommodation space and a second accommodation space and is open i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accommodation space, a sensor(20) which senses the face of a user, an LED lamp which is turned on by the signal of the sensor, a power supply source for supplying power source to the LED lamp, a washing tool(40) which comprises a toothbrush unit or a razor blade uni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LED lamp and sensor.

Description

세면용구{WASHING TOOL}WASHING TOOL

본 발명은 세면용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의 손잡이에 양치질이나 면도시 사용되는 칫솔과 면도기를 선택적으로 간편하게 탈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불빛이 희미한 어두운 곳에서도 용이하게 면도 및 양치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세면용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ilet bowl, and more particularly, to a toothbrush and a razor which are used for toothbrushing and shaving, and which can be selectively detached and attached to a single handle, and is easily shaved and cleaned in a dark place where light is dim. To the toilet.

출장이나 여행이 잦은 남성들에게는 세면시 사용되는 세면용구인 면도기, 칫솔이 출장용이나 여행용 가방에 필수적으로 구비해야할 필수품이고, 여성들또한 여행시나 출장시에는 세면시 사용되는 세면용구인 칫솔을 필수적으로 구비해야 할 필수품이다. For men on business trips or traveling frequently, toiletries such as razors and toothbrushes, which are used for toiletries, are a necessity that must be provided for business trips and travel bags. Women are also required to use toothbrushes It is a necessity to be equipped.

상기 소형 경량화된 일회용 칫솔, 치약 및 면도기에 대해서는 당해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출장이나 여행을 다니면서 그들의 사용에 대해서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The disposable toothbrush, toothpaste, and razor of this size and weight can be easi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hile traveling on business or traveling.

보편화된 면도기나, 칫솔 일회용일 수 있고, 다회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필수품이다. 다회용면도기는 면도날을 교체할 수 있는 면도기임을 의미한다. It can be a universal razor, toothbrush disposable, and is a necessity that can be used in multiple uses. A multi-use shaver means a razor that can replace the razor blade.

한편, 일반적으로 호텔이나, 여관, 목욕탕 등에서는 손님들에게 목욕의 편의를 제공하기 위하여 일회용 칫솔 및 일회용 면도기를 지급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일회용 칫솔, 치약과 면도기는 각각 따로 따로 지급하고 있다. On the other hand, in general, hotels, inns, and bathrooms provide disposable toothbrushes and disposable razors to provide guests with convenience of bathing. These disposable toothbrushes, toothpaste and razor are provided separately.

그러나, 상기 일회용 칫솔이나, 치약 및 면도기는 각기 따로따로 사용자들에게 지급되어짐으로서, 경제적인 부담을 가중시키는 문제가 있는 실정이다. However, since the disposable toothbrush, the toothpaste and the razor are separately provided to the users, there is a problem of increasing the economical burden.

또한, 출장이나 여행시에도 각각의 면도기, 칫솔을 별개로 준비해야 하는 번거러움으로 인해 상기 면도기와 칫솔중 어느 하나를 미쳐 준비하지못한 문제가 빈번히 발생되고, 산간지역으로의 여행시나 저녁에 불빛이 희미한 지역에서의 면도를 수행시 불빛이 희미하여 사용자가 면도기를 사용하여 면도하는데 큰 어려움이 있는 실정이다. In addition, it is troublesome to prepare separate razors and toothbrushes for traveling on business trips, so that problems such as not being able to prepare one of the razor and the toothbrush are frequently encountered, and when the trip to the mountain area or the evening light is faint The light is blurred when performing the shaving in the area, which makes it difficult for the user to shave the shaver using the shaver.

본 발명은 상기한 실정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이 목적은 하나의 손잡이에 양치질이나 면도시 사용되는 칫솔과 면도기를 선택적으로 간편하게 탈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세면용구의 근접위치에 사용자의 얼굴이 감지되면 그 감지에 의해 발광하게 되는 LED램프를 세면용구에 설치함으로서 불빛이 희미한 어두운 곳에서의 면도나 양치질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가 파지하게 되는 손잡이에 코털면도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양치질이나 면도후, 코털 손질시 간편하게 손질할 수 있도록 하는 양치 및 면도, 코털정리를 하나의 세면용구를 모두 가능하도록 하는 세면용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oothbrush and a razor for selectively brushing and shaving a toothbrush and a razor which are used for brushing and shaving, When the face is detected, the LED lamp which is emitted by the detection is installed on the tool, so that the user can smoothly perform the shaving and brushing in the dark place where the light is dim and by installing the nose shaving device on the handl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oiletry tool that allows a user to easily clean a nose after brushing or shaving, and a toilet with a shaving and a hair cleanser.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내부에 제1수용공간과 제2수용공간이 구획되게 형성되되 상기 제1수용공간의 상측이 개구된 일정길이이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의 상측 외주연에 설치되어 그 손잡이로 근접되는 사용자의 얼굴을 감지되는 감지센서와; 상기 손잡이의 외주연에 설치되어 상기 감지센서의 감지신호에 의해 점등되는 LED램프와; 상기 손잡이의 제2수용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LED램프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원와; 상기 손잡이의 상측 외주연을 감싼 상태로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되 일측에 양치를 위한 칫솔유닛이나 면도를 위한 면도날 유닛이 설치된 세면구와; 상기 손잡이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감지센서의 감지동작 및 상기 LED램프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a handle having a first receiving space and a second receiving space defined therei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receiving space being open; A sensing sensor installed on an upper outer periphery of the handle and sensing a face of a user coming close to the handle; An LED lamp installed on an outer periphery of the handle and illuminated by a sensing signal of the sensing sensor; A power supply source installed in the second accommodation space of the handle to supply power to the LED lamp; A toilet bowl provided with a toothbrush unit for brushing teeth or a blade unit for shaving on one side, detachably mounted on the upper outer periphery of the handle; And a controller installed inside the handle to control the sensing operation of the sensing sensor and the power supply to the LED lamp.

그리고, 상기 손잡이의 제1수용공간(11)에 설치된 상태로 일측이 상기 제1수용고안의 개구부 외측으로 노출되고, 상기 전원공급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제어부에 설치된 작동스위치에 의해 구동되는 코털면도장치가 더 포함된다. One side of the nose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opening of the first receiving space in a state of being installed in the first receiving space 11 of the handle, and a nose shoe driven by an operation switch installed in the control unit, Devices are further included.

또한, 상기 코털면도장치는, 상기 손잡이의 제1수용공간 내부에 고정되게 설치되되 상측이 개구된 통체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측에 설치되되 상기 전원공급원과 제어부에 선로를 매개로 연결되는 구동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 상측에 설치되되 하측면에 상기 구동체의 구동축이 관통되도록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측단이 상기 몸체의 상측 내주연에 일체로 결합되는 통체의 수용구와; 상기 수용구의 내측에 설치되되 상기 관통공을 통해 돌출된 상기 구동체의 구동축에 결합되어 회전되게 구성되고, 코털을 절삭하는 절삭날이 상기 몸체의 개구부 외측으로 노출되게 설치되는 절삭날부와; 상기 몸체의 상측 개구부에 나사결합되어 그 개구부 외측으로 노출된 상기 절삭날부의 절삭날을 보호하는 안전망으로 구성된다. The nose hair shav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cylindrical body fixedly installed in the first receiving space of the handle and opened at an upper side; A driving body installed inside the body and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source and the control unit via a line; A cylindrical receiving hole formed at an inner upper side of the body and having a through hole so that a driving shaft of the driving body passes through the lower side and an upper end integrally coupled to an upper inner peripheral edge of the body; A cutting edge portion provided on the inside of the receiving port and coupled to a driving shaft of the driving body protruding through the through hole and rotated so that a cutting edge cutting the nose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opening of the body; And a safety net which is screwed to the upper opening of the body and protects the cutting edge of the cutting edge exposed outside the opening.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양치질이나 면도시 사용되는 칫솔과 면도기를 필요시 선택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여줄 뿐 아니라 여행이나 출장시 소지품을 줄여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어 휴대성또한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use a toothbrush and a razor to be used for brushing teeth or shaving, thereby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use, reducing the number of items during travel or traveling, .

더욱이, 감지센서의 감지에 의해 사용자의 얼굴을 감지되면 발광하는 LED램프가 세면용구의 손잡이에 설치됨으로써 여행시 불빛이 희미한 곳에서의 면도가 양치질을 수월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고, 손잡이에 코털면도장치가 구비되어 있어 양치질이나 면도후, 코 외부로 삐져나온 코털을 용이하게 정리할 수 있게 된다. Moreover, since the LED lamp that emits light when the face of the user is detected by the detection of the detection sensor is installed on the handle of the washing utensil, it is possible to easily carry out brushing of the shaving in the place where light is light when traveling, The device is provided so that the nose protruding outside the nose can be easily arranged after brushing or shaving.

이와 같이 하나의 세면용구에서 양치, 면도, 코털정리를 일괄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되어 각각의 용구구입에 따른 비용 낭비를 줄일 수 있으며 휴대성이나 사용상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In this way, brushing, shaving, and hair straightening can be carried out collectively in one washing utensil, thereby wasting costs for purchasing each utensil can be reduced, and portability and ease of use can be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세면용구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세면용구의 분리상태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에 결합되는 면도날 유닛의 상태를 나타낸 저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의 내측에 설치되는 코털면도장치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에 설치되는 칫솔유닛이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1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of a toilet bow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paration state of a toilet bow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ate of the blade unit coupled to the han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of a nose shaving device provided inside the han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state of the toothbrush unit installed in the han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세면용구를 상세히 설명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세면용구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세면용구의 분리상태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에 결합되는 면도날 유닛의 상태를 나타낸 저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의 내측에 설치되는 코털면도장치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에 설치되는 칫솔유닛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FIG. 1 is a state view showing a state of a toilet bow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paration state of a toilet bow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a blade unit coupled to a han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of a nose shaving device installed inside a han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of a toothbrush unit installed on a han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세면용구는 양치질이나 면도시 사용되는 칫솔과 면도기를 간편하게 탈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면도기와 칫솔 사용의 편리성 및 휴대성을 갖도록 하면서 사용자의 얼굴이 감지되면 조명이 발광되게 하여 조명이 밝지 않는 어두운 곳에서도 용이하게 면도를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The washing utensi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detach and use a toothbrush and a razor which are used for brushing or brushing teeth, so that the user can easily use the shaver and the toothbrush, So that shaving can be easily performed even in a dark place where it is not bright.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 용어들은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용어들의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Further,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terms set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se terms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producer producing the product, and definitions of the terms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상기와 같이 칫솔과 면도기를 간편하게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하면서 센서의 감지에 의해 조명이 발광되게 하는 본 발명의 세면용구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일정길이의 손잡이(10)와, 상기 손잡이(10)에 설치되는 감지센서(20)와 LED램프(25), 전원공급원(30), 상기 손잡이(10)에 결합되는 세면구(40), 제어부(50)로 이루어진다. The washing utensi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allows light to be emitted by sensing the sensor while easily detachably attaching the toothbrush and the razor as described above, comprises a handle 10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for allowing the user to grasp the hand, 10, a LED lamp 25, a power supply source 30, a toilet bowl 40 coupled to the handle 10, and a control unit 50.

상기 손잡이(10)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길이를 갖는 것으로, 그 내부에는 제1수용공간(11)과 제2수용공간(12)이 구획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수용공간(11)의 상측은 개구되어 있다. The first housing space 11 and the second housing space 12 are partitioned into a first housing space 11 and a second housing space 12. The handle 10 has a length that the user can grasp, And the upper side is opened.

여기서, 상기 제1수용공간(11)에는 사용자의 코털 정리를 위한 코털면도장치(60)가 설치되는데, 상기 코털면도장치(60)는 상기 손잡이(10)에 설치된 상태로 일측이 상기 제1수용공간(11)의 개구부 외측으로 노출되고, 상기 전원공급원(30)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후술되는 제어부(50)에 설치된 작동스위치(56)에 의해 구동된다. A nose shaving device 60 for cleaning the user's nose is installed in the first accommodation space 11. The nose shaving device 60 is installed on the handle 10 so that one side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opening of the space 11 and is driven by an operation switch 56 provided in the control unit 50 to be described later and supplied with power from the power source 30.

상기 코털면도장치(60)는, 상기 손잡이(10)의 제1수용공간(11)내부에 고정되게 설치되되 상측이 개구된 통체의 몸체(61)와, 상기 몸체(61)의 내측에 설치되되 상기 전원공급원(30)과 제어부(50)에 선로를 매개로 연결되는 구동체(63)와, 상기 몸체(61)의 내부 상측에 설치되되 하측면에 상기 구동체(63)의 구동축(63a)이 관통되도록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측단이 상기 몸체(61)의 상측 내주연에 일체로 결합되는 통체의 수용구(64)와, 상기 수용구(64)의 내측에 설치되되 상기 관통공을 통해 돌출된 상기 구동체(63)의 구동축(63a)에 결합되어 회전되게 구성되고 코털을 절삭하는 절삭날(65b)이 상기 몸체(61)의 개구부 외측으로 노출되게 설치되는 절삭날부(65)와, 상기 몸체(61)의 상측 개구부에 나사결합되어 그 개구부 외측으로 노출된 상기 절삭날부(65)의 절삭날(65b)을 보호하는 안전망(66)으로 구성된다. The nose hair shaving apparatus 60 includes a tubular body 61 fixed to the inside of the first receiving space 11 of the handle 10 and opened at an upper side thereof and a tubular body 61 provided inside the tubular body 61 A driving body 63 connected to the power source 30 and the control unit 50 through a line and a driving shaft 63a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body 61, (64) having an upper end formed integrally with an inner circumferential edge of an upper side of the body (61), and a protrusion (64) provided inside the receiving port (64) and protruding through the through hole A cutting edge 65 that is coupled to the driving shaft 63a of the driving body 63 and is rotated so that a cutting edge 65b for cutting the nose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opening of the body 61, The cutting edge 65b of the cutting blade 65, which is screwed to the upper opening of the body 61 and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opening, is protected It is composed of a safety net (66).

상기 몸체(61)는 상측이 개구되고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통체로, 상기 손잡이(10)의 제1수용공간(11)에 설치된다. The body 61 is provided in the first accommodation space 11 of the handle 10 with the upper side thereof opened and a space formed therein.

상기 구동체(63)는 상기 몸체(61)의 내부 하면에 형성된 끼움돌기(62)에 구동축(63a)이 상측을 바라도록 하여 끼워진다. The driving body 63 is inserted into the fitting projection 62 formed on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body 61 such that the driving shaft 63a faces the upper side.

상기 수용구(64)는 그 상측단이 상기 몸체(61)의 내주면 상측에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구동체(63)의 상측에 위치하록 설치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수용구(64) 하면에는 상기 구동체(63)의 구동축(63a)이 상기 수용구(64)의 내측으로 관통되게 관통공이 설치된다. The upper end of the receiving port 64 is integrally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61 and is positioned above the driving body 63. At this time, a through hole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 64 so that the driving shaft 63a of the driving body 63 penetrates to the inside of the receiving port 64.

상기 절삭날부(65)는, 상기 수용구(64)의 내측으로 관통된 상기 구동체(63)의 구동축(63a)이 연결되는 회전몸체(61)와 상기 회전몸체(61)에 결합되는 절삭날(65b)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구동체(62)의 구동에 의해 회전된다. 이때, 상기 절삭날부(65)의 절삭날(65b)은 상기 몸체(61)의 개구부를 통해 외측으로 노출된다. The cutting edge portion 65 includes a rotary body 61 to which a driving shaft 63a of the driving body 63 penetrating to the inside of the receiving opening 64 is connected, (65b), and is rotated by driving the driving body (62). At this time, the cutting edge 65b of the cutting blade 65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pening of the body 61.

상기 안전망(66)은, 상기 몸체(61)의 상측 개구부에 나사 결합되는데, 상기 몸체(61)의 상측 개구부에 나사결합됨으로써 상기 몸체(61)의 개구부를 통해 외측으로 노출된 상태의 상기 절삭날(65b)을 그 내측에 수용하게 되는 것으로, 상기 안전망(66)부분이 사용자의 코 내부로 인입된다. The safety net 66 is screwed to the upper opening of the body 61 and is screwed to the upper opening of the body 61 so as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pening of the body 61. [ (65b) is received therein, whereby the portion of the safety net (66) is drawn into the inside of the user's nose.

여기서, 상기 안전망(66)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장공((66)이 그 안전망(66)의 외주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데, 상기 장공((66)을 통해 사용자의 코털이 인입되어 상기 절삭날부(65)의 회전시 상기 절삭날(65b)에 의해 잘려진다. Here, the elongated holes 66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afety net 66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periphery of the safety net 66. The nose of the user is drawn through the elongated holes 66, 65 is cut by the cutting edge 65b.

그리고, 상기 안전망(66)이 상기 몸체(61)에 나사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코털 면도시 상기 절삭날부(65)의 내측으로 인입된 코털의 잔해에 대한 청소가 용이하게 되어 제품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since the safety net 66 is screwed to the body 61, it is easy to clean the debris of the nose drawn into the inside of the cutting edge 65 when the nose is shaved, So that it can be extended.

한편, 상기 손잡이(10)의 상측 외주연에는 사용자의 얼굴을 감지하는 감지센서(20)가 설치되는데,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10)를 잡고 얼굴 가까이에 본 발명에 따른 세면용구를 가져가게 되면 상기 감지센서(20)에서 감지하게 되는 것이다. On the other hand, a detection sensor 20 for detecting the face of the user is installed on the upper outer periphery of the handle 10. When the user holds the handle 10 and takes the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ear the face, It is sensed by the detection sensor 20.

그리고, 상기 LED램프(25)는 상기 손잡이(10)의 외주연에 돌출되게 설치되어 상기 감지센서(20)의 감지신호에 의해 점등됨으로써 불빛이 없는 야외나 어두운 장소에서 본 발명의 세면용구를 사용하는 경우, 용이하게 세면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The LED lamp 25 is installed to protrude from the outer periphery of the handle 10 and is turned on by the detection signal of the detection sensor 20 so that the toilet lamp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n an outdoor or dark place where there is no light. So that the user can easily wash his / her face.

그리고, 상기 전원공급원(30)은 상기 손잡이(10)의 제2수용공간(12)에 설치되어 상기 LED램프(25)로 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건전지를 사용할 수 있다. The power supply source 30 is installed in the second accommodation space 12 of the handle 10 and supplies power to the LED lamp 25 so that a conventional battery can be used.

또한, 상기 손잡이(10)에는 상기 제2수용공간(12)을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개폐도어(15)가 설치된다. The handle 10 is provided with an opening / closing door 15 for opening / closing the second accommodation space 12.

그리고, 상기 세면구(40)는 상기 손잡이(10)의 상측 외주연을 감싼 상태로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양치를 위한 칫솔유닛(42)이나 면도를 위한 면도날 유닛(41)으로,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상기 손잡이(10)의 상태에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The toilet bowl 40 is provided with a toothbrush unit 42 for toothbrush and a blade unit 41 for shaving to be detachably mounted on the upper peripheral edge of the handle 10 in a detachable manner, And may be selectively coupled to the state of the handle 10.

여기서, 상기 손잡이(10)의 상측 외주연을 감싸는 상기 세면구(40)의 내주연에는 상기 손잡이(10)의 제1수용공간(11)에 설치된 코털면도장치(60)로 물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는 실링패드(45)가 설치된다. Herein, on the inner periphery of the toilet bowl 40 surrounding the upper outer periphery of the handle 10, water is prevented from penetrating into the nose shaving apparatus 60 provided in the first accommodation space 11 of the handle 10 A sealing pad 45 is provided.

즉, 상기 면도날 유닛(41)은 예리한 절삭 에지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면도날을 구비하는 면도날본체(41a)와, 상기 면도날본체(41a)를 결합한 상태로 상기 손잡이(10)의 상측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되 하측이 개구된 통체의 제1연결체(41b)로 구성되는데, 상기 제1연결체(41b)의 내주연에 상기 실링패드(45)가 설치됨으로써 상기 손잡이(10)의 상측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코털면도장치(60)로 물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코털면도장치(60)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어 그 코털면도장치의 고장으로 인한 유지 및 보수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That is, the blade unit 41 includes a blade main body 41a having at least one blade having a sharp cutting edge, and a blade body 41a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blade 10 in a state where the blade body 41a is engaged with the blade body 41a. And a first connecting body 41b having a lower side opened. The sealing pad 45 is provided on the inner peripheral edge of the first connecting body 41b, so that the first connecting body 41b is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handle 1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water from penetrating into the nose shaving device 60.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reakage of the nose hair shaver 60, thereby reducing maintenance and repair costs due to failure of the nose shaver.

그리고, 상기 손잡이(10)의 외주연에는, 상기 절삭날부(65)를 상기 수용구(64)로 부터 이탈시키는 경우 사용되는 집게(70)가 설치된다. A tongue 70 is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handle 10 to be used when the cutting edge 65 is to be removed from the receiving opening 64.

즉, 상기 손잡이(10)의 하측 외주연에는 상기 집게(70)를 끼워 보관할 수 있도록하는 끼움구(18)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끼움구(18)에 상기 집게(70)를 끼워 보관하다가 상기 수용구(64)내측으로 인입된 코털의 잔해를 청소시, 상기 집게(70)를 이용하여 상기 절삭날부(65)를 구동체(63)의 구동축(63a)으로부터 분리한 후, 상기 수용구(64)내측 잔해물을 청소할 수 있게 된다. In other words, a fitting hole 18 is formed in the outer peripheral edge of the lower side of the handle 10 so as to be able to hold the forceps 70. The forceps 70 is inserted into the fitting hole 18, The cutting blade 65 is separated from the driving shaft 63a of the driving body 63 by using the tongue 70 and then the receiving tool 64 ) The inside debris can be cleaned.

상기 집게(70)로 인해 사용자가 상기 절삭날부(65)를 분리하는 과정에서 그 절삭날부의 절삭날에 의해 손이 베이거나 신체손상을 입게 되는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It is possible to prevent a problem that the user's hands or the body are damaged due to the cutting edge of the cutting edge portion in the process of separating the cutting edge portion 65 by the user.

한편, 상기 세면구(40)중 양치를 위해 사용되는 칫솔유닛(42)은, 양치를 위한 칫솔모가 형성된 헤드부(42a)와 상기 헤드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10)의 상측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되 하측이 개구된 통체의 제2연결체(42b)로 구성되는데, 상기 제2연결체(42b)의 내주연에 상기 실링패드(45)가 설치됨으로써 상기 손잡이(10)의 상측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코털면도장치(60)로 물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코털면도장치(60)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어 그 코털면도장치의 고장으로 인한 유지 및 보수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The toothbrush unit 42 used for tooth brushing of the toilet bowl 40 includes a head portion 42a having bristles for brushing and a removable portion 42a formed integrally with the head portion, And the sealing pad 45 is provided on the inner periphery of the second connection body 42b so as to be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handle 10. The second connection body 42b is formed of a cylindrical,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water from penetrating into the nose shaving apparatus 60 in a state where the nose shaving apparatus 60 is in a state of being open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reakage of the nose hair shaver 60, thereby reducing maintenance and repair costs due to failure of the nose shaver.

그리고, 상기 세면구(40)를 상기 손잡이(10)의 상측에 결합하는 과정을 간략히 살펴보면 상기 손잡이(10)의 상측단에 돌출되게 형성된 돌출구(14)가 상기 세면구(40)의 내주연에 형성된 걸림홈(47)에 걸림되도록 하여 결합한 상태에서 분리하는 경우에는 상기 세면구(40)의 외주연에 형성된 누름구(48)를 누른 상태에서 이탈시키면 되는 것이다. A protrusion 14 protruding from an upper end of the handle 10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toilet bowl 40 so as to be fasten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handle 10, In the case of detaching in the state of being engaged with the groove 47, the pressing hole 48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toilet bowl 40 may be depressed.

그리고,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손잡이(10)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감지센서(20)의 감지동작 및 상기 LED램프(25)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한다. The controller 50 is installed inside the handle 10 to control the sensing operation of the sensing sensor 20 and the power supply to the LED lamp 25.

즉,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손잡이(10)의 내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그 제어부에는 상기 구동체(63)의 구동을 위한 작동스위치(56)와 상기 감지센서의 감지동작을 on/off시키는 감지센서동작스위치(52)가 상기 손잡이(10)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That is, the control unit 50 is installed inside the handle 10, and an operation switch 56 for driving the driving body 63 and a sensing operation of the sensing sensor are turned on / off to the control unit A sensing sensor operation switch 52 is formed to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handle 10.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세면용구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먼저 휴가지나 야영지에서 불빛이 희미하거나 어두운 장소에서 사용자가 면도를 할 경우 상기 손잡이의 상측에 면도를 위한 면도날 유닛(41)을 장착한 후, 본 발명의 세면용구를 얼굴 가까이에 가져가면 상기 손잡이(10)이 설치된 감지센서(20)에서 이를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에 의해 상기 LED램프(25)가 발광하여 거울을 보면서 용이하게 면도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The shaving unit 41 for shaving is mounted on the upper side of the handle when the user shaves the shade in a dim or dark place where light is lit at a vacation or campsite , When the toilet pap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rought close to the face, the detection signal is sensed by the detection sensor 20 provided with the handle 10, and the LED lamp 25 emits light by the sensed signal, .

그리고, 양치를 할 경우 상기 면도날 유닛(41)을 상기 손잡이(10)에서 분리한 후, 상기 칫솔유닛(42)을 상기 손잡이(10)에 설치하여 양치를 수행한다. 이때에서 역시 상기 감지센서(20)에 의해 상기 LED램프(25)가 발광하게 되어 어두운 곳에서 원활하게 양치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When the toothbrush unit 42 is detached from the knob 10, the blade unit 42 is installed on the knob 10 to perform toothbrushing. At this time, the LED lamp 25 emits light by the sensing sensor 20, so that the user can smoothly brush his teeth in the dark.

여기서, 상기 감지센서(20)의 감지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제어부(50)에 설치된 감지센서동작스위치(52)는 on상태에 있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detection sensor operation switch 52 provided in the controller 50 is in an ON state so that the detection operation of the detection sensor 20 can be performed.

그리고, 면도와 양치를 수행한 후 사용자가 코털 정리를 수행하는 경우에는 상기 세면구(40)를 상기 손잡이(10)에서 분리한 후, 그 손잡이에 설치된 코털면도장치(60)에 의해 코털 정리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When the user performs shaving and brushing, after the user removes the toilet bowl 40 from the handle 10, the user performs the cleaning of the hide with the nose shaver 60 provided on the handle .

즉, 상기 세면구(40)를 상기 손잡이(10)로부터 분리한 후, 상기 손잡이(10)에 돌출되게 형성된 작동스위치(56)를 누르면 상기 코털면도장치(60)의 구동체가 회전되고, 이후 안전망(66)이 형성된 부분을 콧속으로 넣으면 상기 구동체(63)의 구동축(63a)에 끼움결합된 절삭날부(65)가 회전하면서 코털을 면도하게 된다. That is, after separating the toilet bowl 40 from the handle 10, pressing the operation switch 56 protruding from the handle 10 rotates the driving body of the nose shaver 60, 66 is formed in the nose of the nose, the nose portion 65 engaged with the driving shaft 63a of the driving body 63 is rotated to shave the nose.

한편, 상기와 같이 코털면도장치(60)를 이용하여 코털의 면도를 수행하다보면 상기 코털면도장치(60)의 수용구(64)내측으로 코털의 잔해가 인입되는데, 이를 청소하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안전망(66)을 상기 몸체(61)로부터 분리한 후, 상기 손잡이(10)에 설치된 집게(70)를 이용하여 상기 절삭날부(65)를 외부로 이탈시켜 청소를 하면 된다. Meanwhile, when shaving the nose hair using the nose shaver 60 as described above, the nose of the nose is drawn into the receiving port 64 of the nose shaver 60. To clean the nose, After the safety net 66 is detached from the body 61, the cutting blade 65 may be removed by using a forceps 70 installed on the handle 10 to clean it.

상기와 같이 하나의 손잡이에 양치질이나 면도시 사용되는 칫솔과 면도기를 선택적을 간편하게 탈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어 사용상 편리하고, 감지센서의 감지에 의해 LED램프가 발광됨으로 인해 불빛이 희미한 어두운 곳에서의 면도가 양치질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고, 코털면도장치를 이용하여 코털 손질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 toothbrush and a razor for toothbrushing or shaving can be selectively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a single handle, so that it is convenient to use. Since the LED lamp is emitted by the detection of the sensor, shaving in a dark place The toothbrush can be smoothly performed and the nose shaving can be simplified by using the nose shaving device.

<도면이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손잡이 11: 제1수용공간
12: 제2수용공간 14: 돌출구
15: 개폐도어 18: 끼움구
20: 감지센서 25: LED램프
30: 전원공급원 40: 세면구
41: 면도날 유닛 41a: 면도날 본체
41b: 제1연결체 42: 칫솔유닛
42a: 헤드부 42b: 제2연결체
45: 실링패드 47: 걸림홈
48: 누름구 50: 제어부
52: 감지센서동작스위치 56: 작동스위치
60: 코털면도장치 61: 몸체
62: 끼움돌기 63: 구동체
63a: 구동축 64: 수용구
65: 절삭날부 65a: 회전몸체
65b: 절삭날 66: 안전망
67: 장공 70: 집게
DESCRIPTION OF REFERENCE NUMERALS
10: handle 11: first accommodation space
12: second accommodation space 14: protrusion
15: opening / closing door 18:
20: Detection sensor 25: LED lamp
30: power supply source 40:
41: razor blade unit 41a: razor blade main body
41b: first connector 42: toothbrush unit
42a: head portion 42b: second connector
45: sealing pad 47: latching groove
48: pressing means 50:
52: Detection sensor operation switch 56: Operation switch
60: nose shaving device 61: body
62: insertion projection 63:
63a: drive shaft 64:
65: cutting edge part 65a: rotating body
65b: cutting edge 66: safety net
67: Slots 70: Tongs

Claims (5)

내부에 제1수용공간(11)과 제2수용공간(12)이 구획되게 형성되되 상기 제1수용공간(11)의 상측이 개구된 일정길이이 손잡이(10)와;
상기 손잡이(10)의 상측 외주연에 설치되어 그 손잡이로 근접되는 사용자의 얼굴을 감지되는 감지센서(20)와;
상기 손잡이(10)의 외주연에 설치되어 상기 감지센서(20)의 감지신호에 의해 점등되는 LED램프(25)와;
상기 손잡이(10)의 제2수용공간(12)에 설치되어 상기 LED램프(25)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원(30)와;
상기 손잡이(10)의 상측 외주연을 감싼 상태로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되 일측에 양치를 위한 칫솔유닛(42)이나 면도를 위한 면도날 유닛(41)이 설치된 세면구(40)와;
상기 손잡이(10)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감지센서(20)의 감지동작 및 상기 LED램프(25)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5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용구.
A handle 10 having a first receiving space 11 and a second receiving space 12 defined therein and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opened above the first receiving space 11;
A sensing sensor 20 installed on an outer periphery of the upper side of the handle 10 and sensing a face of a user coming close to the handle 10;
An LED lamp 25 installed at an outer periphery of the handle 10 and illuminated by a sensing signal of the sensing sensor 20;
A power source 30 installed in the second accommodation space 12 of the handle 10 to supply power to the LED lamp 25;
A toilet bowl (40) detachably mounted on an upper outer periphery of the handle (10) and provided with a toothbrush unit (42) for tooth brushing or a blade unit (41) for shaving on one side;
And a controller (50) installed inside the handle (10) for controlling the sensing operation of the sensing sensor (20) and the power supply to the LED lamp (2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10)의 제1수용공간(11)에 설치된 상태로 일측이 상기 제1수용고안(11)의 개구부 외측으로 노출되고, 상기 전원공급원(30)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제어부(50)에 설치된 작동스위치(56)에 의해 구동되는 코털면도장치(60)가 더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용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ne side of the handle 10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opening of the first housing 11 in a state where the handle 10 is installed in the first housing space 11 and the power is supplied from the power source 30 to the controller 50, Further comprising a nose shaving device (60) driven by an operating switch (56) installed on the toilet sea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코털면도장치(60)는, 상기 손잡이(10)의 제1수용공간(11) 내부에 고정되게 설치되되 상측이 개구된 통체의 몸체(61)와;
상기 몸체(61)의 내측에 설치되되 상기 전원공급원(30)과 제어부(50)에 선로를 매개로 연결되는 구동체(63)와;
상기 몸체(61)의 내부 상측에 설치되되 하측면에 상기 구동체(63)의 구동축(63a)이 관통되도록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측단이 상기 몸체(61)의 상측 내주연에 일체로 결합되는 통체의 수용구(64)와;
상기 수용구(64)의 내측에 설치되되 상기 관통공을 통해 돌출된 상기 구동체(63)의 구동축(63a)에 결합되어 회전되게 구성되고, 코털을 절삭하는 절삭날(65b)이 상기 몸체(61)의 개구부 외측으로 노출되게 설치되는 절삭날부(65)와;
상기 몸체(61)의 상측 개구부에 나사결합되어 그 개구부 외측으로 노출된 상기 절삭날부(65)의 절삭날(65b)을 보호하는 안전망(66)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용구.
3. The method of claim 2,
The nose hair shaving apparatus (60) comprises a tubular body (61) fixedly installed in the first receiving space (11) of the handle (10) and opened at the upper side;
A driving body 63 installed inside the body 61 and connected to the power source 30 and the control unit 50 via a line;
A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upper side of the body 61 so that the driving shaft 63a of the driving body 63 penetrates through the lower side and the upper end is integrally coupled to the upper inner periphery of the body 61 A cylindrical receiving port 64;
And a cutting edge 65b provided on the inside of the receiving opening 64 and coupled to a driving shaft 63a of the driving body 63 projected through the through hole and rotated to cut the nose, A cutting edge portion 65 provided so as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opening portion;
And a safety net (66) screwed to the upper opening of the body (61) to protect the cutting edge (65b) of the cutting edge (65)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opening.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10)의 상측 외주연을 감싸는 상기 세면구(40)의 내주연에는 상기 손잡이(10)의 제1수용공간(11)에 설치된 코털면도장치(60)로 물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도록 실링패드(45)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용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A sealing pad 40 is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edge of the toilet bowl 40 surrounding the upper outer periphery of the handle 10 to prevent water from penetrating into the nose shaving apparatus 60 provided in the first accommodation space 11 of the handle 10. [ (45) is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toilet bowl.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10)의 외주연에는, 상기 절삭날부(65)를 상기 수용구(64)로부터 이탈시키는 경우 사용되는 집게(70)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용구.
5. The method of claim 4,
And a tongue (70) used for detaching the cutting edge (65) from the receiving hole (64) is mounted on an outer periphery of the handle (10).
KR1020110083687A 2011-08-22 2011-08-22 Washing tool KR10127963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3687A KR101279632B1 (en) 2011-08-22 2011-08-22 Washing too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3687A KR101279632B1 (en) 2011-08-22 2011-08-22 Washing too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1270A true KR20130021270A (en) 2013-03-05
KR101279632B1 KR101279632B1 (en) 2013-06-26

Family

ID=48174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3687A KR101279632B1 (en) 2011-08-22 2011-08-22 Washing too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963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65558A (en) * 2016-07-12 2016-09-28 佛山杰致信息科技有限公司 Novel shave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0535B1 (en) 2008-02-11 2009-12-10 양원동 Toothbrush and shaving combiner with rotating body
KR100942722B1 (en) 2009-07-09 2010-02-16 조현주 Tooth brush
US20110083691A1 (en) 2009-10-08 2011-04-14 Mitch Junkins Vibratory apparatus
US20120246858A1 (en) 2009-12-23 2012-10-04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Position sensing toothbrush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65558A (en) * 2016-07-12 2016-09-28 佛山杰致信息科技有限公司 Novel shav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9632B1 (en) 2013-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13479C2 (en) Electrical tooth-brush and replacement components
MXPA06002705A (en) Electric toothbrushes and replaceable components.
US20140130642A1 (en) Anatomically Configured Razor
BR112020017003A2 (en) shaving or hair removal system comprising a shaving or hair removal device and a cleaning device, cleaning device for use in a shaving or hair removal system, and shaving or hair removal device for use in a shaving or hair removal system
KR101279632B1 (en) Washing tool
KR20090108376A (en) Nail gloss tool
KR20120026955A (en) Replacement oscillation toothbrush by silicon and fine brush
JP2008295994A (en) System toothbrush with illumination
CN105992542A (en) Face washing device having brush structure in which external brush and internal brush are attached or detached together
RU2336846C2 (en) Electric tooth bruch and disposable components
EP1339300B1 (en) Case comprising means for storage, cleaning and sterilization of a safety razor
TWI597023B (en) Face washing apparatus having brush structure in which inner brush is positioned on outer brush
KR20200052587A (en) Vibration toothbrush
US20190001375A1 (en) Blade Cleaner and Method of Using
US20120003906A1 (en) Device for the cleaning and care of shaving devices
KR100881752B1 (en) Vibrating razor combined vibration toothbrush
KR20120103809A (en) Toothbrush with a replaceable head section
CN211610160U (en) Electric toothbrush
WO2012091166A1 (en) Combined-use tooth brush and electric interdental brush
US6386211B1 (en) Oral hygiene maintenance system
CN211067123U (en) Angle-adjustable oral cavity cleaning device
RU2781875C2 (en) Shaving system with shaving device and cleaning device
CN208435833U (en) Visual mouth cleaner portable box
US20110083691A1 (en) Vibratory apparatus
JP3863692B2 (en) Nose hair cut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