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1031A - 독립형 태양광 발전설비의 충전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독립형 태양광 발전설비의 충전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1031A
KR20130021031A KR1020110083306A KR20110083306A KR20130021031A KR 20130021031 A KR20130021031 A KR 20130021031A KR 1020110083306 A KR1020110083306 A KR 1020110083306A KR 20110083306 A KR20110083306 A KR 20110083306A KR 20130021031 A KR20130021031 A KR 201300210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voltage
battery
auxiliary generator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33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59143B1 (ko
Inventor
정영호
Original Assignee
(주)월드에너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월드에너텍 filed Critical (주)월드에너텍
Priority to KR10201100833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9143B1/ko
Publication of KR201300210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10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91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91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38Arrangements for parallely feeding a single network by two or more generators, converters or transformers
    • H02J3/381Dispersed genera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 G01R31/384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combining voltage and current measur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38Arrangements for parallely feeding a single network by two or more generators, converters or transformers
    • H02J3/46Controlling of the sharing of output between the generators, converters, or transformers
    • H02J3/50Controlling the sharing of the out-of-phase compon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 H02J7/00718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in response to battery volta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4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4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4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8Energy storage means, e.g. batteri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V modu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00/00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decentralized, dispersed, or local generation
    • H02J2300/20The dispersed energy generation being of renewable origin
    • H02J2300/22The renewable source being solar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6Power conversion systems, e.g. maximum power point track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70/00Other energy conversion or management systems reducing GHG emissions
    • Y02E70/30Systems combining energy storage with energy generation of non-fossil origin

Abstract

본 발명은 독립형 태양광 발전설비의 충전 제어 장치로서 독립 전원이 요구되는 부하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축전지의 충전을 제어하여 발전기와 축전지의 효율적 관리를 제공할 수 있는 복합 발전기의 충전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태양광 발전을 수행하여 전원을 생산하는 태양광 발전기; 상기 태양광 발전기에서 생산된 전원을 변환하는 인버터 회로; 상기 태양광 발전기에서 생산된 전원을 충전하고, 상기 충전된 전원을 방전을 통해 부하에 공급하는 축전지; 상기 축전지 전원의 전압 및 전류를 검출하는 전압/전류 센서부; 상기 전압/전류 센서부가 검출한 전압을 분석하여 상기 축전지로의 추가 충전을 위한 보조 발전기의 동작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보조 발전기의 동작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동작 제어 신호에 따라 온/오프되어 전원을 생산하고, 상기 생산된 전원이 축전지에 충전되도록 하는 보조 발전기를 포함한다. 따라서 축전지가 최적의 전압 및 전류 조건에서 충전 및 방전을 수행함으로써 축전지의 사용 효율 개선과 함께 축전지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독립형 태양광 발전설비의 충전 제어 장치 및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HARGE OF STAND ALONE SOLAR PHOTOVOLTAIC POWER FACILITIES}
본 발명은 독립형 태양광 발전설비의 충전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발명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독립 전원이 요구되는 부하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축전지의 충전을 제어하여 발전기와 축전지의 효율적 관리를 제공할 수 있는 독립형 태양광 발전설비의 충전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 비계통 지역이나 산간 오지, 섬 등에서는 전기에 의하여 작동하는 전기장치를 이용할 수 없기 때문에 디젤 발전기를 이용하여 작동시키는 방법이 흔히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디젤 발전기는 발전기를 작동시킬 때 소비되는 연료비가 비싸며 연료를 구하러 다녀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자연 에너지인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기를 소비하는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는 방법이 연구되고 있으며, 이러한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력을 공급하는 방법으로는 대체로 독립형과 계통 연계형으로 나뉜다.
독립형은 주로 자가발전을 말하는 것으로 전력 공급시스템에 의하여 생산된 전기를 전선망에 연결하지 않고 생산된 장소에서 사용하는 형태를 가리키는 것이고, 계통 연계형은 전선망을 통하여 전기를 받아들이거나 전기를 보낼 수 있는 형태를 가리킨다.
한편, 태양광 발전은 반도체 소자인 태양전지판에 햇빛을 쏘이면 광전자효과를 일으켜 전기가 발생하는 원리를 이용하는 것으로 무공해, 무소음, 무한 에너지로서 대표적인 대체 에너지중 하나이다.
일반적인 태양광 발전 시스템은 태양광 발전 모듈인 전지패널과, 제어기, 축전지 및 인버터로 구성되어 있으며 시스템 이용방법에 따라 산간, 벽지 및 섬 등의 원격지와 주택에 설치되는 독립 발전 시스템과 외부의 전선에 연결하여 사용되고 남은 잉여전력을 전력회사에 판매하는 계통 연계형 시스템, 태양광 발전기에 디젤 발전, 풍력 발전 등을 복합적으로 연결하여 발전하는 하이브리드 복합 발전 시스템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하이브리드형 복합 발전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로서, 태양광 발전을 수행하는 태양광 발전기(10)와, 상기 태양광 발전기(10)에서 생산된 전압을 다른 직류 전압으로 바꾸는 DC/DC 컨버터(20)와 상기 DC 전압을 AC 전압으로 변환하는 DC/AC 컨버터(21)와 디젤 발전기(50)에서 생산된 AC 전압을 DC 전압으로 바꾸는 AC/DC 컨버터(22)를 포함하는 인버터 회로와, 상기 태양광 발전기(10)와 디젤 발전기(50)에서 생산된 DC 전압을 충전하는 축전지(30)와, 상기 복합 발전기에서 생산된 전기를 사용하는 부하(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하이브리드형 복합 발전기는 태양광 발전기(10)를 이용하여 생산된 전력을 축전지(30)에 충전하고, 태양광의 일사량이 부족하여 축전지(30)에 충분한 충전이 이루어지지 못한 경우 디젤 발전기(50)를 동작시켜 부족한 전력을 충전시키도록 한다.
도 2는 일반적인 축전지의 전압/전류 충전 패턴을 나타낸 파형도로서, 일반적으로 축전지(30)는 충전이 발생될 경우 A와 같은 특성의 전압 곡선과 B와 같은 특성의 전류 곡선을 형성하며 충전 동작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축전지(30)의 전압/전류 특성 곡선으로 인하여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한다.
첫 번째, 전압이 예를 들면 1.83V에 도달하면 디젤 발전기(50)는 비상 발전을 수행하여 전력을 생산하게 되고, 이때 축전지(30)에 충전된 전압이 예를 들어, 점선의 2.35V에 도달하면 디젤 발전기(50)는 오프되어 발전을 종료하며, 그때까지 축전지(30)에는 B1과 같은 작은 양의 전류가 충전되어 B2와 같은 충분한 충전이 이루어지지 못하여 축전지(30)가 부하(40)에 충분한 전원을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두 번째, 축전지(30)에 전원이 충분히 충전되지 못한 상태에서 축전지(30)가 부하(40)에 전원을 공급하므로 부족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디젤 발전기(50)의 잦은 발전으로 인해 발전기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다.
세 번째, 생산된 전력을 충전하는 축전지(30)는 사용 환경이나 조건에 따라 축전지의 사용 효율이 바뀌므로 축전지(30)의 사용 효율이 최대가 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1.83V ~ 2.35V 사이에서 충전과 방전이 이루어지게 해야 하지만 1.83V 이하까지 방전이 이루어지거나, 상기 1.83V 이하에서 충전 시작 또는 2.35V 이상까지 과충전이 이루어지는 경우 축전지의 사용 효율이 감소되고,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독립형 태양광 발전설비의 충전 제어 장치로서 독립 전원이 요구되는 부하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축전지의 충전을 제어하여 발전기와 축전지의 효율적 관리를 제공할 수 있는 독립형 태양광 발전설비의 충전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독립형 태양광 발전설비의 충전 제어 방법으로서 독립 전원이 요구되는 부하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축전지의 충전을 제어하여 발전기와 축전지의 효율적 관리를 제공할 수 있는 독립형 태양광 발전설비의 충전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독립형 태양광 발전설비의 충전 제어 장치로서,
태양광 발전을 수행하여 전원을 생산하는 태양광 발전기; 상기 태양광 발전기에서 생산된 전원을 변환하는 인버터 회로; 상기 태양광 발전기에서 생산된 전원을 충전하고, 상기 충전된 전원을 방전을 통해 부하에 공급하는 축전지; 상기 축전지 전원의 전압 및 전류를 검출하는 전압/전류 센서부; 상기 전압/전류 센서부가 검출한 전압 및 전류를 분석하여 상기 축전지로의 추가 충전을 위한 보조 발전기의 동작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보조 발전기의 동작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동작 제어 신호에 따라 온/오프되어 전원을 생산하고, 상기 생산된 전원이 축전지에 충전되도록 하는 보조 발전기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축전지의 충전이 완료되면 상기 축전지로 공급되는 전원의 유입을 차단하는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어부는 보조 발전기가 동작하면 상기 보조 발전기의 동작 후 경과되는 충전 시간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충전 시간을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과 비교하여 충전 시간이 기준 시간을 초과하면 상기 스위치가 오프되도록 동작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축전지의 전압이 충전 시작 전압에 도달하면 상기 보조 발전기가 온 되도록 동작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어부는 보조 발전기가 동작하여 상기 축전지의 전압이 충전 종료 전압에 도달하면, 상기 축전지의 전류량이 일정 전류량에 도달하였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보조 발전기의 온/오프 동작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독립형 태양광 발전설비의 충전 제어 방법으로서,
a) 제어부가 전압/전류 센서부를 통해 축전지의 전압 및 전류를 검출하여 전압 및 전류 값을 분석하고, 상기 분석 결과에 따라 보조 발전기의 발전을 통한 축전지의 충전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b) 상기 b) 단계의 판단 결과, 축전지의 충전이 필요한 경우 상기 제어부가 보조 발전기로 온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보조 발전기에 의한 축전지의 충전을 수행하는 단계; c)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전압/전류 센서부를 통해 축전지의 전압 및 전류를 검출하여 전압 및 전류 값을 분석하고, 상기 분석 결과에 따라 축전지의 충전 완료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d) 상기 c) 단계의 판단 결과, 축전지의 충전이 완료되면 상기 제어부는 보조 발전기로 오프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보조 발전기에 의한 축전지의 충전을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어부는 c-1) 단계로서, 상기 b) 단계에서 보조 발전기에 의한 축전지의 충전이 시작되면 경과되는 충전 시간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충전 시간을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과 비교하여 충전 시간이 기준 시간을 초과하면 충전 회로를 차단시켜 상기 축전지로의 충전이 종료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축전지가 최적의 전압 및 전류 조건에서 충전 및 방전을 수행함으로써 축전지의 사용 효율 개선과 함께 축전지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축전지에 충전되는 전압과 전류를 검출하여 축전지의 충전 상태를 판단하고, 그에 따라 충전을 제어함으로써 보조 발전기에 의한 효율적 충전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 은 일반적인 하이브리드형 복합 발전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 는 일반적인 축전지의 전압/전류 충전 패턴을 나타낸 파형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독립형 태양광 발전설비의 충전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독립형 태양광 발전설비의 충전 제어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독립형 태양광 발전설비의 충전 제어 장치 및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독립형 태양광 발전설비의 충전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독립형 태양광 발전설비의 충전 제어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우선 동일한 기술에 대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독립형 태양광 발전설비의 충전 제어 장치는 태양광 발전을 수행하는 태양광 발전기(10)와, 인버터 회로로서 상기 태양광 발전기(10)에서 생성된 불규칙한 전압의 직류 전원을 일정 전압의 다른 직류 전원으로 바꾸는 DC 컨버터(20)와, 상기 직류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DC/AC 컨버터(21)와, 보조 발전기(120)에서 출력되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바꾸는 AC/DC 컨버터(22)와, 상기 태양광 발전기(10)와 보조 발전기(120)에서 발전된 전원을 충전하고, 상기 충전된 전원을 방전을 통해 부하(40)에 공급하는 축전지(30)와, 부하(40)와 제어부(100)와, 전압/전류 센서부(110)와, 보조 발전기(120)와, 스위치(130)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100)는 전압/전류 센서부(110)가 검출한 전압을 분석하여 상기 축전지(30)로의 추가 충전을 위한 보조 발전기(120)의 동작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동작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즉 축전지(30)의 전압에 따라 충전 상태를 판단하여 검출된 충전 전압이 미리 설정된 충전 시작 전압 이하이면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검출된 충전 전압이 미리 설정된 충전 종료 전압에 도달하거나 또는 초과하는 경우 충전이 종료될 수 있도록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00)는 축전지(30)의 전류량을 검출하여 전압과 함께 충분한 전류량이 축전지(30)에 충전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보조 발전기(120)의 온/오프 여부를 결정한다.
즉 상기 제어부(100)는 축전지(30)의 전압과 함께 전류량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전류량이 미리 설정된 충전 완료 판단용 전류값을 초과하면 보조 발전기(120)로 오프 신호를 출력하여 발전이 종료되도록 하며, 상기 확인된 전류량이 충전 완료 판단용 전류값 미만이면 상기 보조 발전기(120)가 발전을 계속 유지할 수 있도록 온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00)는 태양광 발전기(1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충분히 공급되어 축전지(30)의 충전이 완료되면 상기 축전지(30)로의 과충전이 차단될 수 있도록 스위치(130)로 오프 신호를 출력하여 과충전에 의한 축전지(3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00)는 기상 불량 등으로 인해 태양광 발전기(10)의 전력 생산이 부족하여 축전지(30)의 충전이 필요한 경우 보조 발전기(120)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00)는 보조 발전기(120)에 의한 전원 공급이 이루어질 경우 상기 보조 발전기(120)에 의해 축전지(30)가 충전되는 시간을 카운트하고, 상기 충전 시간과 과충전 방지를 판단하기 위해 설정된 기준 시간과 비교하여 상기 충전 시간이 기준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충전 작업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여 과충전에 의한 축전지(30)의 파손을 방지한다.
상기 기준 시간은 축전지(30)에 정상적으로 충전이 이루어질 경우 완충전이 이루지는데까지 걸리는 시간으로써, 충전중에 상기 전압/전류 센서부(110)의 파손이나 오동작이 발생할 경우 축전지(30)에 과충전이 발생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전압/전류 센서부(110)는 축전지(30)의 충전 및 방전에 따른 전압과 전류의 변동을 검출하여 제어부(100)로 출력한다.
상기 보조 발전기(120)는 제어부(100)로부터 출력되는 동작 제어 신호에 따라 온 또는 오프되어 발전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발전 동작으로 인해 생산되는 전원을 축전지(30)로 공급하며, 상기 보조 발전기(120)는 바람직하게 디젤 발전기로 이루어진다.
상기 스위치(130)는 축전지(30)의 충전이 완료되면 상기 축전지(30)로 공급되는 전원의 유입을 차단하는 구성으로서, 제어부(100)의 동작 제어 신호에 따라 온/오프되며, 과충전의 방지를 위해 오프된 경우 부하(40)로의 방전을 위해 선택적으로 온 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독립형 태양광 발전설비의 충전 제어 과정을 설명한다.
제어부(100)가 전압/전류 센서부(110)를 통해 축전지(30)의 전압을 검출(S100)하고, 보조 발전기(120)를 통한 충전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상기 S100단계에서 검출된 전압을 분석하며, 상기 분석 결과에 따라 보조 발전기(120)의 발전을 통한 축전지(30)의 충전 여부를 판단(S110)한다.
즉 상기 제어부(100)는 축전지(30)의 전압이 축전지의 최적 사용 전압인 1.83V ~ 2.35V 범위이거나 또는 최소 전압인 1.83V 이하로 떨어지기 전인 예를 들면, 1.85V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S110 단계의 판단 결과, 축전지(30)로의 충전이 필요한 경우 상기 제어부(100)가 보조 발전기(120)가 동작하도록 온(ON) 신호를 출력(S120)하여 상기 보조 발전기(120)에 의한 축전지(30)의 충전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S110 단계의 판단 결과, 축전지(30)의 전압 및 전류가 충분한 충전 전압과 전류량을 유지하고 있는 경우 태양광 발전기(10)에서 공급되는 추가 전원이 축전지(30)로 유입되지 않도록 스위치(130)를 오프(OFF) 시켜 과충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상기 S120 단계에서 보조 발전기(120)가 온 되어 발전을 시작하면, 제어부(100)는 내재된 타이머 등의 시간 카운트 수단을 통해 보조 발전기(120)가 발전을 시작한 후 경과되는 축전지(30)의 충전 시간과, 전압/전류 센서부(110)를 통해 전압 및 전류 값을 검출(S130)하고, 상기 검출된 축전지(30)의 충전 시간, 전압 및 전류 값을 분석하여 축전지(30)의 충전 완료 여부를 판단(S140)한다.
상기 S140 단계에서, 제어부(100)는 축전지(30)에 충전된 전압이 충전 종료 전압인 2.35V에 도달되었는지 여부와, 상기 충전 전압이 2.35V에 도달한 경우 축전지(30)의 전류량이 미리 설정된 충전 완료 판단을 위한 전류 값(예를 들면, 5A)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충전 완료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S140 단계의 판단 결과, 축전지(30)의 충전이 완료되면 제어부(100)는 보조 발전기(120)로 발전 종료를 위한 오프(OFF) 신호를 출력(S150)하여 보조 발전기(120)에 의한 축전지(30)의 충전을 종료한다.
한편, 상기 S140 단계의 판단 결과, 축전지(30)가 충전 중이면, 제어부(100)는 전압/전류 센서부(110)의 파손 또는 오동작으로 인한 축전지(30)의 과충전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S130 단계에서 검출한 보조 발전기(120) 동작 후 경과된 충전 시간과 과충전 방지를 판단하기 위해 설정된 기준 시간과 비교(S141)한다.
상기 S141 단계의 비교 결과, 상기 충전 시간이 기준 시간을 초과하지 않은 경우 상기 S120 단계로 돌아가 보조 발전기(120)에 의한 충전이 유지되도록 하고, 상기 충전 시간이 기준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축전지(30)로의 충전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스위치(130)로 오프 신호를 출력하여 충전 회로가 차단(S151)되도록 하며, 보조 발전기(150)의 발전이 종료되도록 오프 신호를 출력(S150)한다.
따라서 축전지(30)에 충전되는 전압과 전류를 검출하여 축전지(30)의 충전 상태를 판단하고, 그에 따라 충전을 제어함으로써 보조 발전기(120)에 의한 충전을 최적화시킬 수 있다.
또한, 축전지(30)가 최적의 전압 및 전류 조건에서 충전 및 방전을 수행함으로써 축전지의 사용 효율 개선과 함께 축전지(30)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태양광 발전기
20 : DC/DC 컨버터
21 : DC/AC 컨버터
22 : AC/DC 컨버터
30 : 축전지
40 : 부하
100 : 제어부
110 : 전압/전류 센서부
120 : 보조 발전기
130 : 스위치

Claims (7)

  1. 독립형 태양광 발전설비의 충전 제어 장치로서,
    태양광 발전을 수행하여 전원을 생산하는 태양광 발전기;
    상기 태양광 발전기에서 생산된 전원을 변환하는 인버터 회로;
    상기 태양광 발전기에서 생산된 전원을 충전하고, 상기 충전된 전원을 방전을 통해 부하에 공급하는 축전지;
    상기 축전지 전원의 전압 및 전류를 검출하는 전압/전류 센서부;
    상기 전압/전류 센서부가 검출한 전압 및 전류를 분석하여 상기 축전지로의 추가 충전을 위한 보조 발전기의 동작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보조 발전기의 동작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동작 제어 신호에 따라 온/오프되어 전원을 생산하고, 상기 생산된 전원이 축전지에 충전되도록 하는 보조 발전기를 포함하는 독립형 태양광 발전설비의 충전 제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축전지의 충전이 완료되면 상기 축전지로 공급되는 전원의 유입을 차단하는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형 태양광 발전설비의 충전 제어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보조 발전기가 동작하면 상기 보조 발전기의 동작 후 경과되는 충전 시간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충전 시간을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과 비교하여 충전 시간이 기준 시간을 초과하면 상기 스위치가 오프되도록 동작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형 태양광 발전설비의 충전 제어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축전지의 전압이 충전 시작 전압에 도달하면 상기 보조 발전기가 온 되도록 동작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형 태양광 발전설비의 충전 제어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보조 발전기가 동작하여 상기 축전지의 전압이 충전 종료 전압에 도달하면, 상기 축전지의 전류량이 일정 전류량에 도달하였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보조 발전기의 온/오프 동작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형 태양광 발전설비의 충전 제어 장치.
  6. 독립형 태양광 발전설비의 충전 제어 방법으로서,
    a) 제어부가 전압/전류 센서부를 통해 축전지의 전압을 검출하여 전압을 분석하고, 상기 분석 결과에 따라 보조 발전기의 발전을 통한 축전지의 충전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b) 상기 b) 단계의 판단 결과, 축전지의 충전이 필요한 경우 상기 제어부가 보조 발전기로 온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보조 발전기에 의한 축전지의 충전을 수행하는 단계;
    c)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전압/전류 센서부를 통해 축전지의 전압 및 전류를 검출하여 전압 및 전류 값을 분석하고, 상기 분석 결과에 따라 축전지의 충전 완료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d) 상기 c) 단계의 판단 결과, 축전지의 충전이 완료되면 상기 제어부는 보조 발전기로 오프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보조 발전기에 의한 축전지의 충전을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독립형 태양광 발전설비의 충전 제어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c-1) 상기 제어부는 상기 b) 단계에서 보조 발전기에 의한 축전지의 충전이 시작되면 경과되는 충전 시간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충전 시간을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과 비교하여 충전 시간이 기준 시간을 초과하면 충전 회로를 차단시켜 상기 축전지로의 충전이 종료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형 태양광 발전설비의 충전 제어 방법.
KR1020110083306A 2011-08-22 2011-08-22 독립형 태양광 발전설비의 충전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2591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3306A KR101259143B1 (ko) 2011-08-22 2011-08-22 독립형 태양광 발전설비의 충전 제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3306A KR101259143B1 (ko) 2011-08-22 2011-08-22 독립형 태양광 발전설비의 충전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1031A true KR20130021031A (ko) 2013-03-05
KR101259143B1 KR101259143B1 (ko) 2013-04-30

Family

ID=48174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3306A KR101259143B1 (ko) 2011-08-22 2011-08-22 독립형 태양광 발전설비의 충전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914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7262A (ko) 2018-07-24 2018-11-28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계통 연계 및 독립형으로 운전이 가능한 소규모 태양광/태양열 융복합 시스템
KR20190017247A (ko) * 2017-08-10 2019-02-20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에너지 저장 시스템
KR20190017246A (ko) * 2017-08-10 2019-02-20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에너지 저장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7176B1 (ko) * 2005-05-24 2007-12-21 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충방전 제어장치 및 충방전 제어방법
CN101855769A (zh) * 2007-07-25 2010-10-06 特鲁丽特公司 管理混合电力的产生及应用的装置、系统和方法
JP2011036043A (ja) 2009-08-03 2011-02-17 Asuko:Kk 二次電池の充電制御システム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7247A (ko) * 2017-08-10 2019-02-20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에너지 저장 시스템
KR20190017246A (ko) * 2017-08-10 2019-02-20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에너지 저장 시스템
US11205902B2 (en) 2017-08-10 2021-12-21 Lsis Co., Ltd. Energy storage system
KR20180127262A (ko) 2018-07-24 2018-11-28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계통 연계 및 독립형으로 운전이 가능한 소규모 태양광/태양열 융복합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9143B1 (ko) 2013-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06276B1 (en) Energy storage system and management method thereof
KR101531625B1 (ko) 충전 장치
US8148844B2 (en) Power supply system including alternative sources
JP5614626B2 (ja) 電力システム
CN111953016B (zh) 一种移动式多能源微电网控制方法及系统
KR101294807B1 (ko) 독립형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JP2011250649A (ja) 電力システム
CN105207341A (zh) 一种并离网型光伏储能充电桩的控制装置及方法
US10749346B2 (en) Power management system
KR101794837B1 (ko) 태양광 발전기의 충·방전 제어 유닛 시스템
KR20150106694A (ko) 에너지 저장 시스템과 그의 구동방법
CN112736910A (zh) 微电网系统及其黑启动方法、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170075146A (ko) 에너지 하베스팅 시스템
KR101259143B1 (ko) 독립형 태양광 발전설비의 충전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50085227A (ko) 에너지 저장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2222560B1 (ko) 에너지 저장 시스템
US11336099B2 (en) Photovoltaic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for
JP2016116428A (ja) 分散型電源の自律運転システム
US11418051B2 (en) Direct current power supplying system
JP2003092831A (ja) 電力供給システムおよびその運転方法
CN111095717A (zh) 储能系统
RU2726735C1 (ru) Система автономного электроснабжения с комбинированным накопителем энергии
JP2015073368A (ja) パワーコンディショナシステム
KR20200066759A (ko) 마이크로그리드 연계 백업전원 자동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20150024738A (ko) 마이크로 그리드 운영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