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0470A - 액정표시장치모듈 - Google Patents

액정표시장치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0470A
KR20130020470A KR1020110083126A KR20110083126A KR20130020470A KR 20130020470 A KR20130020470 A KR 20130020470A KR 1020110083126 A KR1020110083126 A KR 1020110083126A KR 20110083126 A KR20110083126 A KR 20110083126A KR 20130020470 A KR20130020470 A KR 201300204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crystal panel
panel
crystal display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31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혁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831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20470A/ko
Publication of KR201300204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04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17Intermediate frames, e.g. between backlight housing and front fram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22Mechanical guidance or alignment of LCD panel support compon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Liquid Crystal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모듈을 개시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좁은 베젤형 액정표시장치에서 액정패널과 가이드패널간의 부착공차에 의해 외부프레임의 틈새로 시인되는 빛샘현상을 개선한 액정표시장치모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모듈은, 액정패널과, 액정패널과 결합되는 기구 구조물과, 기구 구조물의 내측으로 실장되는 백라이트 유닛, 그리고 액정패널 및 기구 구조물의 사이에 도포 및 경화되어 액정패널과 기구 구조물을 고정시키는 수지물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액정패널과 가이드 패널의 결합하며 새어나오는 빛을 차단하는 차광테잎을 생략하고, 수지물계열의 점착성물질을 이용하여 액정패널과 가이드 패널을 결합시킴으로서 단순구조로서 빛샘현상을 개선한 액정표시장치모듈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액정표시장치모듈{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 모듈에 관한 것으로, 특히 좁은 베젤형 액정표시장치에서 액정패널과 가이드패널간의 부착공차에 의해 외부프레임의 틈새로 시인되는 빛샘현상을 개선한 액정표시장치모듈에 관한 것이다.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는 우수한 시인성, 용이한 박막화, 저전력 및 저발열 등의 장점을 갖는다. 이러한 액정표시장치의 액정은 수광(Non-emissive)소자이기 때문에 대부분의 액정표시장치는 백라이트 유닛(Backlight Unit)를 구비하며, 액정패널과 백라이트 유닛은 각종 기구 구조물을 통해 결합됨으로 하나의 액정표시장치모듈로 구성되어 TV, 모니터, 및 모바일 기기 등에 장착된다. 도 1은 종래의 액정표시장치모듈의 단면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액정표시장치모듈은 화상을 표시하는 액정패널(10)과, 액정패널(10)에 빛을 제공하는 백라이트 유닛(20) 및, 이를 모듈화하는 기구부(30, 50)를 포함한다.
액정패널(10)은 두 기판(12, 14)가 합착되어 그 사이에 액정층이 개재되고,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액정층의 광 투과율을 제어하여 화상을 구현한다. 이러한 액정패널(10)의 전후면에는 각각 광 특성을 변환하는 편광자(17,18)가 부착된다.
백라이트 유닛(20)은 액정패널(10)의 배면으로 위치하며, 광원(미도시)과, 광원과 일 측면이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도광판(23)과, 도광판(23)의 전면으로 구비되는 다수의 광학시트(24)와, 도광판(24)의 배면으로 배치되는 반사시트(28)를 포함한다.
가이드 패널(30)은 내측 단차부에 액정패널(10)이 안착되어 액정패널(10)의 각 모서리를 테두리하며, 그 하부로 도광판(23) 및 광학시트(24)가 실장된다. 또한 가이드 패널(30)은 액정패널(10)을 지지하는 역할 이외에도 도광판(23) 내부를 진행하는 빛이 상부가 아닌 측면방향으로 출광되는 경우 이를 반사하여 다시 도광판 내부(23)로 진입시키는 역할을 하며, 이를 위해 반사율이 높은 백색의 합성수지물로 제조된다.
차광테입(40)은 액정패널(10)의 배면으로 가장자리부분에 배치되어, 액정패널(10)과 가이드 패널(30)을 고정시키고, 백라이트 유닛(20)으로부터 출광되는 빛샘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커버버텀(40)은 외측으로 가이드 패널(30)과 체결되어 바닥면에 백라이트 유닛(20)을 수납한다.
이러한 구조의 액정표시장치모듈에서 백라이트 유닛(20)으로부터 출광된 빛은 대부분 액정패널(10)의 표시영역으로 진행하며, 액정패널(10)의 비표시영역 즉, 외곽모서리 부분으로 진행하는 빛은 차광테입(40)에 의해 차단된다.
그러나, 차광테입(40)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외곽부분에서 새어나오는 빛에 의한 빛샘현상을 완벽하게 차폐하는 것은 어려움이 있다. 상세하게는, 백라이트 유닛(20)으로부터 액정패널(10)로 진입한 빛 중, 일부는 측면으로 출광하여 가이드 패널(30)에 의해 반사되어 상부로 진행하게 된다. 이러한 빛은 액정표시장치모듈이 탑재되는 표시기기의 상부커버 프레임(90)에 의해 외부로의 출광이 차단되나(L1), 일부는 액정패널(10)과 상부커버 프레임(90)의 틈새로 새어나와 빛샘현상이 발생하게 된다(L2). 이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정패널(10)과 가이드 패널(30)의 경계면에서 빛(BB)이 새어나오는 것으로서 사용자에 의해 시인되어 화질저하의 원인이 된다.
이러한 빛샘현상은, 액정패널(10)과 가이드 패널(30)간의 결합공차에 의한 것으로, 액정패널(10)의 각 모서리가 가이드 패널(30)내에 이탈없이 안정적으로 결합되기 위해서는 액정패널(10) 측면과 가이드 패널(30)의 내부사이에 여분의 공간(a)이 확보되어야 한다. 또한, 가이드 패널(30)의 단차부에 차광테입(40) 의 부착시 노출되는 영역을 최소화하는 데도 한계가 있으며, 각 가이드 패널(30)은 이는 표시기기의 얇은 베젤(narrow bezel)영역을 구현하는 데 제약이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소형 모바일 기기 등에 탑재되는 액정표시장치모듈에서 액정패널과 가이드 패널간의 공차에 의해 발생하는 빛샘현상을 방지하여 화질을 개선한 액정표시장치모듈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모듈은, 액정패널; 상기 액정패널과 결합되는 기구 구조물; 상기 기구 구조물의 내측으로 실장되는 백라이트 유닛; 및 상기 액정패널 및 상기 기구 구조물의 사이에 도포 및 경화되어 상기 액정패널과 상기 기구 구조물을 고정시키는 수지물을 포함한다.
상기 기구 구조물은, 상기 액정패널의 모서리를 테두리하고, 상기 수지물이 도포되어 상기 액정패널과 결합되는 주입 홈이 형성되는 가이드 패널; 및, 상기 가이드 패널의 일면으로 결합하여 상기 백라이트 유닛을 수납하는 커버버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 패널은, 상기 수지물의 넘침을 방지하는 방지턱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지턱은 상기 액정패널의 모서리 하부면과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지물은, 점도가 4000 cps ~ 9000 cps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지물은 Si를 포함하는 불투명의 흑색 열가소성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지물은 핫 멜트 방식(hot-melt type)으로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백라이트 유닛은, 광원; 적어도 하나의 면이 상기 광원과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도광판; 상기 도광판의 일면에 배치되는 광학시트; 및 상기 도광판의 타면에 배치되는 반사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액정패널과 가이드 패널의 결합하며 새어나오는 빛을 차단하는 차광테잎을 생략하고, 수지물계열의 점착성물질을 이용하여 액정패널과 가이드 패널을 결합시킴으로서 단순구조로서 빛샘현상을 개선한 액정표시장치모듈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액정표시장치모듈의 단면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액정표시장치모듈에서 발생하는 빛샘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모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모듈의 단면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모듈의 단면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모듈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구성요소의 연결형태 및 배치가 도시된 형태로 한정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며, 특히 도면에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 구조 및 형상의 이해를 돕기 위해 일부 구성요소의 스케일을 과장하거나 축소하여 표현하였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모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모듈은 화상을 표시하는 액정패널(100)과, 액정패널(100)에 빛을 제공하는 백라이트 유닛(120), 그리고 이를 고정 및 수납하는 각종 기구 구조물로 이루어진다.
상세하게는 액정패널(100)은 하부기판 및 상부기판이 서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합착되고, 하/상부기판 사이에 개재되는 액정층(미도시)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액정패널(100)의 일 측에는 액정패널(100)을 구동하기 위한 주사신호 또는 데이터신호 등을 제공하는 구동IC(115)와, 외부시스템과의 신호 송수신을 위한 플렉서블 케이블이 본딩된다. 여기서, 구동IC(115)는 하부기판(112)의 적어도 하나의 측단에 COG(Chip On Glass)방식으로 본딩될 수 있다.
전술한 액정패널(100)의 일 기판에는 스위칭 소자인 박막트랜지스터와, 각종 배선 및 전극들이 형성되어 화소영역을 정의하고, 타 기판에는 적(R), 녹(G), 청(B)의 삼원색을 표시하기 위한 컬러필터와, 각 화소영역을 구획하는 블랙매트릭스(BM)가 형성된다. 구동IC(115)는 전술한 박막트랜지스터를 구동하기 위한 주사신호를 제공하는 게이트 구동부와, 액정패널(100)내의 전극에 데이터신호를 제공하는 데이터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플렉서블 케이블 등을 통해 영상신호를 제공하는 외부시스템 및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등과 연결된다.
특히, 액정패널(100)에 정의되는 화소는 일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게이트배선과 이와 교차하는 복수의 데이터배선, 그 배선들의 교차지점으로 정의된다. 각 화소에는 스위칭 소자인 박막트랜지스터가 형성되며, 박막트랜지스터는 전술한 게이트라인과 접속되는 게이트 전극, 게이트 전극의 상부에 비정질실리콘 등이 적층되어 형성되는 반도체층, 반도체층 위에 형성되고 데이터라인 및 화소전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소스전극 및 드레인전극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기판의 종류에 따라, 액정표시패널이 TN(twisted nematic, TN) 구동방식인 경우에는 상부기판의 전면에는 액정층에 전압을 인가하는 투명한 공통전극이 형성되며, IPS(in-plane switching, IPS) 구동방식인 경우에는 일 기판상에 공통전극이 화소전극과 모두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액정패널(100)의 두 기판은 외곽으로 형성된 실런트(sealant)에 의해 대향하도록 합착되어 액정패널(100)을 구성하게 되며,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액정패널(100)의 전후면에는 각각 편광자가 부착되어 입사 및 출사되는 빛의 성분을 변환하여 화상을 구현하게 된다.
백라이트 유닛(120)은 전술한 액정패널(100)의 하부 일측단에 배치되는 램프기판(121)과, 램프기판(121)상에 본딩되어 빛을 방출하는 복수의 점광원인 LED 램프(122)와, 적어도 하나의 측면이 LED 램프(122)와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LED 램프(122)로부터 출사되는 빛을 도광, 확산 및 집광하는 광학부재(123, 124, 128)로 이루어진다.
먼저, 램프기판(121)은 복수의 LED 램프(122)가 일렬로 본딩되며, LED 램프(122)의 발광면이 도광판(123)을 향하도록 가이드패널(100)의 일측면에 배치된다. 도면에서는 광원이 액정패널(100)의 측면에 배치되는 측광형 방식의 백라이트 유닛의 일 예를 도시하였지만, 도광판(123)을 생략하고 액정패널(100)의 배면 전체에 LED 램프가 배치되는 직하형 방식의 백라이트 유닛도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램프기판(121)은 일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전극 및 배선을 통해 다수의 LED 램프(122)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별도의 케이블을 통해 외부의 전원공급부 등과 연결된다.
LED 램프(122)는 적(R), 녹(G), 청(B)의 단색광을 각각 발광하는 R, G, B 발광다이오드 (Light Emitting Diode, LED)램프가 조합되어 사용되거나, 또는 백색광을 발광하는 LED 램프가 사용될 수 있다.
광학부재는, 입사되는 빛을 액정패널(100)의 전 영역에 걸쳐 공급하는 도광판(123)과, 액정패널(100)과 도광판(123) 사이에 구비되어 도광판(123)에서 인도된 빛을 확산 및 집광하는 복수의 확산시트 및 프리즘시트(125)와, 도광판(123) 배면에 배치되어 하부방향으로 출사되는 빛을 다시 도광판(123)방향으로 반사시키는 반사시트(128)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광학부재는 LED 램프(122)로부터 출광되는 빛의 효율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도광판(123)의 일측면으로 입사되는 빛은 도광판(125b)에 첨가된 확산제에 의해 굴절 및 반사를 반복하여 타측면까지 진행한 후 상부로 출사된다.
확산시트 및 프리즘 시트(124)는 도광판(123)으로부터 출사된 빛을 확산 및 집광하여 액정패널(100)로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확산시트는 1매가 구비되지만 프리즘시트는 프리즘 형상이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교차하도록 적어도 두 장의 제1 및 제2 프리즘시트가 구비되어 각 방향에서 입사된 모든 광을 굴절시켜 빛의 직진성을 향상시키도록 구성된다.
반사시트(128)은 도광판(123)의 배면으로 배치되어 하부로 출사되는 빛을 다시 도광판(123)의 상부방향 즉, 액정패널(100) 방향으로 진행하도록 반사시키는 역할을 한다.
전술한 구조의 액정패널(100) 및 백라이트 유닛(120)은 후술하는 기구 구조물(130, 140)에 의해 기구적으로 모듈화 된다.
기구 구조물 중, 가이드 패널(130)은 직사각형 틀 형태의 불투명 합성수지 구조물로서, 내측방향으로 상부면에 액정패널(100)이 안착되는 단차가 형성되어, 내부공간에는 백라이트 유닛(120)이 배치된다.
또한, 가이드 패널(130)의 배면으로는 커버버텀(140)이 결합됨으로서, 가이드 패널(130)의 내부공간에 배치된 백라이트 유닛(120)이 커버버텀(140)의 바닥면에 수납되게 된다.
전술한 가이드 패널(130)의 내부 단차에는 액정패널(100)의 모서리를 따라 소정의 주입 홈(134)이 형성된다. 이러한 주입 홈은 액정패널(100)과 가이드 패널(300)사이를 매꿔주는 열 경화성 수지물이 주입되는 공간으로서, 액정표시장치모듈의 조립공정시 액정패널(100)을 가이드 패널(130)에 안착시킨 이후 그 사이에 수지물을 주입하여 경화공정을 거쳐 굳힘으로서 액정패널(100)과 가이드 패널(130)을 결합하게 된다.
여기서, 주입되는 수지물은 액정표시장치모듈의 크기 및 액정패널(100)과 가이드 패널(130)사이의 이격공간의 거리가 고려되어 흘러넘치지 않는 정도의 적절한 양이 도포되어야 하며, 이하의 표 1은 액정표시장치모듈의 크기별 수지물의 도포량을 나타내고 있다.
크기(inch) 도포량 점도
3.5'' ~ 4'' 0.27g ~ 0.3g 4000cps ~ 9000cps
4'' ~ 4.5'' 0.3g ~ 0.35g
특히, 도포되는 수지물의 종류는 점도 및 경화특성을 고려하여 결정되어야 하며, Si를 포함하는 불투명의 흑색 열가소성 수지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지물은 핫 멜트 방식(hot-melt type)으로 도포되고, 상온수분 경화방식으로 굳어지며, 도포 및 경화과정에서 각각 40 sec 및 90 sec 의 작업시간이 소요된다.
전술한 핫 멜트 방식은 고형의 수지물을 액정패널(100) 및 가이드 패널(130) 사이에 용융 상태로 도포 후 압착하여 냉각고화 시키는 것에 의해 결합시키는 방식이다.
이에 따라, 경화된 수지물은 액정패널(100)과 가이드 패널(130)을 고정하는 역할 뿐만 아니라, 가이드 패널(130)의 내측면을 완전히 차폐하게 되어, 백라이트 유닛(120)으로부터 출광되는 빛을 외부로 새어나가지 못하게 하는 역할도 수행하게 된다. 즉, 수지물은 액정패널(100)의 각 모서리 부분을 테두리하는 형태로 도포되어 액정패널(100)의 측면과 가이드패널(130)의 단차부분을 가로막아 서로간 빛의 경로를 차폐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립된 액정표시장치모듈의 일 단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모듈의 단면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모듈은 기구 구조물에 의해 지지 및 고정되는 액정패널(100) 및 백라이트 유닛(120)으로 구성된다.
액정패널(100)은 서로 대향하도록 합착된 제1 및 제2 기판(102, 104)으로 구성되며 전후면에 각각 제1 편광자(117) 및 제2 편광자(118)가 부착된다.
백라이트 유닛(120)은 액정패널(100)의 후면에 배치되며, 광원과, 광원으로부터 출사되는 빛을 도광, 확산 및 집광하는 광학부재로 이루어진다. 광학부재는 입사되는 빛을 액정패널(100)의 전 영역에 걸쳐 공급하는 도광판(123)과, 액정패널(100)과 도광판(123) 사이에 구비되어 도광판(123)에서 인도된 빛을 확산 및 집광하는 복수의 확산시트 및 프리즘시트(124)와, 도광판(123) 배면에 배치되어 하부방향으로 출광되는 빛을 다시 도광판(123)방향으로 반사시키는 반사판(128)을 포함한다.
기구 구조물은 가이드 패널(130)과, 백라이트 유닛(120)을 수납하고, 및 가이드 패널(130)과 결합되는 커버버텀(140)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가이드 패널(130)은 직사각형 틀 형태의 불투명 합성수지 구조물로서, 내측방향으로 액정패널(100)이 안착되는 단차부가 형성되며, 내부공간에는 백라이트 유닛(120)이 수납된다. 그리고, 가이드 패널(130)의 배면으로는 커버버텀(140)이 결합됨으로서 가이드 패널(130)의 내부로 배치되는 백라이트 유닛(120)이 커버버텀(140)의 바닥면에 수납된다.
또한, 가이드 패널(130)의 단차부에는 소정 깊이의 주입홈(134)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주입홈(134)에는 도포된 수지물(resin, rg)이 경화되어 있다. 그 수지물(rg)는 Si를 포함하는 불투명의 흑색 열가소성 수지물이고, 액정패널(100)의 상부에서 도포되어 주입홈(134)의 내부에서부터 액정패널(100)의 측면과 가이드 패널(130)의 내측면까지 연장되는 형태이다.
전술한 주입홈(134)의 폭은 액정패널(100) 및 가이드패널(130) 사이의 내부공간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며, 액정패널(100)과 가이드패널(130)의 조립공정 이후, 주입홈(134)의 상부로 수지물(rg)은 핫 멜트 방식(hot-melt type)으로 도포되고, 상온수분 경화방식으로 경화된다.
전술한 구조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모듈은, 차광테입을 구비하지 않고 액정패널과 가이드패널 사이에 수지물을 주입 및 경화시켜 액정패널을 가이드 패널에 고정시킴으로서 안정적으로 고정하고, 가이드 패널에 의해 반사되는 빛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한편, 제1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수지물의 주입시, 유동성에 의해 수지물의 일부가 가이드패널의 내측방향으로 흘러들어가 액정패널의 표시영역, 편광자, 및 백라이트 유닛의 광학시트까지 번짐으로서 불량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전술한 번짐문제를 방지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모듈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모듈의 단면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모듈은 기구 구조물에 의해 지지 및 고정되는 액정패널(200) 및 백라이트 유닛(220)으로 구성된다.
액정패널(200)은 서로 대향하도록 합착된 제1 및 제2 기판(202, 204)으로 구성되며 전후면에 각각 제1 편광자(217) 및 제2 편광자(218)가 부착된다.
백라이트 유닛(220)은 액정패널(200)의 후면에 배치되며, 광원과, 광원으로부터 출사되는 빛을 도광, 확산 및 집광하는 광학부재로 이루어진다. 광학부재는 입사되는 빛을 액정패널(200)의 전 영역에 걸쳐 공급하는 도광판(223)과, 액정패널(200)과 도광판(223) 사이에 구비되어 도광판(223)에서 인도된 빛을 확산 및 집광하는 복수의 확산시트 및 프리즘시트(224)와, 도광판(223) 배면에 배치되어 하부방향으로 출광되는 빛을 다시 도광판(223)방향으로 반사시키는 반사판(228)을 포함한다.
기구 구조물은 액정패널(200)이 안착되는 가이드 패널(230)과, 백라이트 유닛(220)을 수납하고, 및 가이드 패널(230)과 결합되는 커버버텀(140)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가이드 패널(230)은 직사각형 틀 형태의 불투명 합성수지 구조물로서, 내측방향으로 액정패널(200)이 안착되는 단차부가 형성되며, 내부공간에는 백라이트 유닛(220)이 수납된다. 그리고, 가이드 패널(230)의 배면으로는 커버버텀(240)이 결합됨으로서 가이드 패널(130)의 내부로 배치되는 백라이트 유닛(220)이 커버버텀2140)의 바닥면에 수납된다.
또한, 가이드 패널(130)의 단차부에는 소정 깊이의 주입홈(234)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주입홈(234)에는 도포된 수지물(resin, rg)이 경화되어 있다. 그 수지물(rg)는 Si를 포함하는 불투명의 흑색 열가소성 수지물이고, 액정패널(200)의 상부에서 도포되어 주입홈(234)의 내부에서부터 액정패널(200)의 측면과 가이드 패널(230)의 내측면까지 연장되는 형태이다.
또한, 주입홈(234)의 폭은 액정패널(200) 및 가이드패널(230) 사이의 내부공간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며, 액정패널(200)과 가이드패널(230)의 조립공정 이후, 주입홈(234)의 상부로 수지물(rg)은 핫 멜트 방식(hot-melt type)으로 도포되고, 상온수분 경화방식으로 경화된다.
그리고, 주입홈(234)에 인접하여 가이드패널(230)의 단차부에는 주입홈(234)과 액정패널(200)사이에 소정높이로 돌출된 부분인 방지턱(237)이 형성되어 있다. 방지턱(237)은 액정패널(200)의 각 모서리 하부면과 이격공간없이 맞닿는 높이까지 형성되어 주입홈(234)에서 상부로 연장된 수지물(rg)의 도포시 액정패널(200) 및 백라이트 유닛(220)까지 수지물(rg)이 흘러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한 설명에 많은 사항이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이것은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라기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예시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발명은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에 균등한 것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한다.
100 : 액정패널 102 : 제1 기판
104 : 제2 기판 117, 118 : 편광자
120 : 백라이트 유닛 123 : 도광판
124 : 광학시트 128 : 반사시트
130 : 가이드패널 134 : 주입 홈
140 : 커버버텀

Claims (8)

  1. 액정패널;
    상기 액정패널과 결합되는 기구 구조물;
    상기 기구 구조물의 내측으로 실장되는 백라이트 유닛; 및
    상기 액정패널 및 상기 기구 구조물의 사이에 도포 및 경화되어 상기 액정패널과 상기 기구 구조물을 고정시키는 수지물
    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구 구조물은,
    상기 액정패널의 모서리를 테두리하고, 상기 수지물이 도포되어 상기 액정패널과 결합되는 주입 홈이 형성되는 가이드 패널; 및,
    상기 가이드 패널의 일면으로 결합하여 상기 백라이트 유닛을 수납하는 커버버텀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모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패널은,
    상기 수지물의 넘침을 방지하는 방지턱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모듈.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방지턱은 상기 액정패널의 모서리 하부면과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모듈.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물은, 점도가 4000 cps ~ 9000 cps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모듈.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물은, Si를 포함하는 불투명의 흑색 열가소성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모듈.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물은 핫 멜트 방식(hot-melt type)으로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모듈.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백라이트 유닛은,
    광원;
    적어도 하나의 면이 상기 광원과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도광판;
    상기 도광판의 일면에 배치되는 광학시트; 및
    상기 도광판의 타면에 배치되는 반사시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모듈.

KR1020110083126A 2011-08-19 2011-08-19 액정표시장치모듈 KR201300204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3126A KR20130020470A (ko) 2011-08-19 2011-08-19 액정표시장치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3126A KR20130020470A (ko) 2011-08-19 2011-08-19 액정표시장치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0470A true KR20130020470A (ko) 2013-02-27

Family

ID=478984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3126A KR20130020470A (ko) 2011-08-19 2011-08-19 액정표시장치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2047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23661B2 (en) 2013-12-19 2016-08-23 Samsung Display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JP2020134945A (ja) * 2019-02-19 2020-08-31 フォーレシア アンテリュ アンドゥストリ 表示装置用フレーム、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23661B2 (en) 2013-12-19 2016-08-23 Samsung Display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JP2020134945A (ja) * 2019-02-19 2020-08-31 フォーレシア アンテリュ アンドゥストリ 表示装置用フレーム、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27643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754288B1 (ko) 표시모듈을 포함하는 보더리스 표시장치
TWI414847B (zh) 保護板一體型顯示裝置
US20150301266A1 (en) Lighting device and display device
US9417379B2 (en) Imag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ption device
KR101386579B1 (ko) 액정표시장치모듈
KR20140021333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70014226A (ko) 액정 표시 장치
TW201040620A (en) Protective plate integrated display apparatus
KR101580492B1 (ko) 차광테이프구조 및 차광테이프 부착방법
KR102238482B1 (ko) 이물침투가 방지된 액정표시소자
KR20130020470A (ko) 액정표시장치모듈
KR20090055770A (ko) 액정 표시장치
JP2013171619A (ja) 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KR101920760B1 (ko)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모듈
KR20170079805A (ko) 백라이트 유닛 및 그를 가지는 액정 표시 모듈
KR101854697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모듈
KR20120047715A (ko) 발광소자와, 이를 구비한 백라이트 및 액정표시장치
KR102141549B1 (ko) 액정표시장치
KR20120118354A (ko) 액정표시장치모듈
KR101829857B1 (ko) 액정표시장치
KR101684861B1 (ko) 디스플레이 모듈의 제조방법
KR102480329B1 (ko) 액정표시장치
KR102143371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20130034A (ko) 도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액정표시장치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