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0386A - 전력량 데이터 검증 장치,전력량 데이터 검증 장치를 포함하는 전력량 데이터 검증 시스템,및 전력량 데이터 검증 방법 - Google Patents

전력량 데이터 검증 장치,전력량 데이터 검증 장치를 포함하는 전력량 데이터 검증 시스템,및 전력량 데이터 검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0386A
KR20130020386A KR1020110082999A KR20110082999A KR20130020386A KR 20130020386 A KR20130020386 A KR 20130020386A KR 1020110082999 A KR1020110082999 A KR 1020110082999A KR 20110082999 A KR20110082999 A KR 20110082999A KR 20130020386 A KR20130020386 A KR 201300203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data
amount data
power amount
def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29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00101B1 (ko
Inventor
이지선
김윤기
한자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100829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0101B1/ko
Publication of KR201300203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03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01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01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5/00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correcting errors; Monitor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2/0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 G01R22/06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 G01R22/061Details of electronic electricity mete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9/00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 G08C19/02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in which the signal transmitted is magnitude of current or voltag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전력량 데이터 검증 장치는, 수신부, 데이터 결함 검사부, 데이터 결함 보정부, 및 송신부를 포함한다. 수신부는 실시간으로 수집되는 전력량 데이터를 수신한다. 데이터 결함 검사부는 수신부에 수신된 전력량 데이터의 결함 여부를 검사한다. 데이터 결함 보정부는 데이터 결함 검사부에 의한 검사 결과 수신부에 수신된 전력량 데이터에 결함이 존재할 때, 결함이 있는 전력량 데이터를 결함이 없는 전력량 데이터로 보정한다. 송신부는 데이터 결함 검사부에 의해 검사된 결함이 없는 전력량 데이터 또는 데이터 결함 보정부에 의해 보정된 전력량 데이터를 송신한다.

Description

전력량 데이터 검증 장치,전력량 데이터 검증 장치를 포함하는 전력량 데이터 검증 시스템,및 전력량 데이터 검증 방법{Device for verifying electric energy data, system for verifying electric energy data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verifying electric energy data}
본 발명은 스마트 그리드(smart grid)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력량계로부터 실시간으로 수집된 전력량 데이터를 검증하는 전력량 데이터 검증 장치, 상기 전력량 데이터 검증 장치를 포함하는 전력량 데이터 검증 시스템, 및 전력량 데이터 검증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류의 산업화는 에너지 소비 증가에 따른 에너지 확보에 어려움을 겪게 하였으며 지구온난화의 주범인 CO2의 과다한 배출을 가져왔다. 이러한 에너지 확보의 위기와 지구온난화라는 중대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에너지 절약형 전력망이 스마트 그리드이다. 스마트 그리드는 에너지 효율향상 등으로 인해 에너지 낭비를 절감하고 신재생에너지에 바탕을 둔 분산전원 활성화를 통해 에너지 해외 의존도 감소 및 기존의 발전설비에 들어가는 화석 연료 사용 절감을 통한 온실 가스 감소 효과를 불러온다. 또한 환경과의 조화를 통한 지속적인 경제발전시스템 역할을 할 수 있다.
스마트 그리드의 주요기술은 사용자 전력관리를 위해 스마트 미터(Smart Meter), 스마트빌딩(Smart Building), 스마트 가전제품(Smart Appliance), 또는 수요자 전압조절(Consumer Voltage Regulation) 등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유무선 통신망(유무선 네트워크)을 이용하여 전력량 데이터를 수신하여 실시간으로 검증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전력량 데이터의 누락(손실) 또는 오류 등과 같은 데이터의 결함으로 데이터의 진위가 의심될 때 데이터의 결함 내역(내용)을 실시간으로 검사하고 검사 결과에 따라 전력량 데이터를 보정하여 전력량 데이터의 신뢰성을 회복시킬 수 있는 전력량 데이터 검증 장치, 전력량 데이터 검증 장치를 포함하는 전력량 데이터 검증 시스템, 및 전력량 데이터 검증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량 데이터 검증 장치는, 실시간으로 수집되는 전력량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에 수신된 전력량 데이터의 결함 여부를 검사하는 데이터 결함 검사부; 상기 데이터 결함 검사부에 의한 검사 결과 상기 수신부에 수신된 전력량 데이터에 결함이 존재할 때, 결함이 있는 전력량 데이터를 결함이 없는 전력량 데이터로 보정하는 데이터 결함 보정부; 및 상기 데이터 결함 검사부에 의해 검사된 결함이 없는 전력량 데이터 또는 상기 데이터 결함 보정부에 의해 보정된 전력량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신부에 수신된 전력량 데이터의 결함은 전력량 데이터의 누락 또는 전력량 데이터의 오류일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력량 데이터 검증 장치는, 실시간으로 수집되는 전력량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로부터 전달되는 전력량 데이터의 시간정보를 상기 수신부에 전달되는 전력량 데이터 직전의 전력량 데이터의 시간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수신부로부터 전달되는 전력량 데이터의 누락 여부를 검사하는 데이터 누락 검사부; 상기 데이터 누락 검사부에 의한 검사 결과 데이터 누락이 없을 때, 상기 데이터 누락 검사부에 의해 검사된 전력량 데이터 이전의 전력량 데이터의 패턴을 저장하는 전력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데이터 누락 검사부로부터 전달되는 전력량 데이터의 오류를 검사하는 데이터 오류 검사부; 상기 데이터 누락 검사부에 의한 검사 결과 누락된 전력량 데이터가 존재할 때, 상기 전력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고 상기 누락된 전력량 데이터에 유사한 전력량 데이터를 첨가하는 내삽부; 상기 데이터 오류 검사부에 의한 검사 결과 오류가 있는 전력량 데이터가 존재할 때, 상기 전력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고 상기 오류가 있는 전력량 데이터에 유사한 전력량 데이터로 상기 오류가 있는 전력량 데이터를 정정하는 정정부; 및 상기 데이터 오류 검사부에 의해 검사된 오류가 없는 전력량 데이터 또는 상기 내삽부에 의해 첨가된 전력량 데이터 또는 상기 정정부에 의해 정정된 전력량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력정보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실시간으로 수집되는 전력량 데이터를 계측하는 전력량계의 제1 사용자와 전력 서비스 사업자와의 전력 계약에 따른 전력정보 패턴, 상기 제1 사용자의 전력정보 패턴과 유사한 전력정보 패턴을 가지는 그룹의 전력량계의 제2 사용자와 상기 전력 서비스 사업자와의 전력 계약에 따른 전력정보 패턴, 상기 전력량 데이터의 패턴을 포함하는 상기 제1 사용자의 과거 전력정보 패턴, 상기 제2 사용자의 과거 전력정보 패턴, 상기 제1 사용자가 속한 그룹의 과거 전력정보 패턴, 또는 상기 제1 사용자가 속한 그룹과 유사한 그룹의 과거 전력정보 패턴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량 데이터 검증 시스템은, 전력량계에서 실시간으로 계측된 전력량 데이터를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수집하는 전력량 데이터 수집 장치; 및 상기 전력량 데이터 수집 장치에서 수집된 전력량 데이터에 대하여 결함이 있는 경우 보정하여 결함이 없는 전력량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전력량 데이터를 송신하는 전력량 데이터 검증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량 데이터 검증 방법은, (a) 실시간으로 수집되는 전력량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의 수신된 전력량 데이터의 결함 여부를 검사하여 결함이 없을 때 결함이 없는 전력량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 및 (c) 상기 (a) 단계의 수신된 전력량 데이터의 결함 검사 결과 결함이 있는 전력량 데이터가 존재할 때, 상기 결함이 있는 전력량 데이터를 결함이 없는 전력량 데이터로 보정하여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 단계의 수신된 전력량 데이터의 결함은 전력량 데이터의 누락 또는 전력량 데이터의 오류일 수 있다.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a) 단계에서 수신된 전력량 데이터의 시간정보를 상기 (a) 단계에서 수신된 전력량 데이터 직전의 전력량 데이터의 시간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a) 단계에서 수신된 전력량 데이터의 누락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 및 (b2) 상기 데이터 누락 검사 결과 데이터 누락이 없을 때, 상기 데이터 누락 검사에서의 전력량 데이터 이전의 전력량 데이터의 패턴을 저장하는 전력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데이터 누락 검사에서의 전력량 데이터의 오류를 검사하고, 상기 데이터 오류 검사 결과 데이터 오류가 없을 때 오류가 없는 전력량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b2) 단계의 전력정보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실시간으로 수집되는 전력량 데이터를 계측하는 전력량계의 제1 사용자와 전력 서비스 사업자와의 전력 계약에 따른 전력정보 패턴, 상기 제1 사용자의 전력정보 패턴과 유사한 전력정보 패턴을 가지는 그룹의 전력량계의 제2 사용자와 상기 전력 서비스 사업자와의 전력 계약에 따른 전력정보 패턴, 상기 전력량 데이터의 패턴을 포함하는 상기 제1 사용자의 과거 전력정보 패턴, 상기 제2 사용자의 과거 전력정보 패턴, 상기 제1 사용자가 속한 그룹의 과거 전력정보 패턴, 또는 상기 제1 사용자가 속한 그룹과 유사한 그룹의 과거 전력정보 패턴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c) 단계는, (c1) 상기 (b1) 단계의 데이터 누락 검사 결과 누락된 전력량 데이터가 존재할 때, 상기 전력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고 상기 누락된 전력량 데이터에 유사한 전력량 데이터를 첨가하여 송신하는 단계; 및 (c2) 상기 (b2) 단계의 데이터 오류 검사 결과 오류가 있는 전력량 데이터가 존재할 때, 상기 전력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고 상기 오류가 있는 전력량 데이터에 유사한 전력량 데이터로 상기 오류가 있는 전력량 데이터를 정정하여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력량 데이터 검증 장치, 전력량 데이터 검증 장치를 포함하는 전력량 데이터 검증 시스템, 및 전력량 데이터 검증 방법은 전력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사업자가 고객(전력량계의 사용자)의 전력 사용량, 전력 발전량, 또는 전력 저장량 등과 관련된 전력량 데이터를 수집하여 전력량 데이터의 유효성을 실시간으로 검증(검사)하고, 검증된 전력량 데이터를 기반으로 정확한 전력 서비스를 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력량 데이터 검증 장치, 전력량 데이터 검증 장치를 포함하는 전력량 데이터 검증 시스템, 및 전력량 데이터 검증 방법은 다양한 전기 요금제(예를 들어, 스마트 그리드 환경에서의 실시간 요금제) 및 전력 서비스의 기본 데이터인 전력량 데이터(전력 사용량 데이터)의 무결(無缺)성(integrity)을 확보하는 것에 의해 고객(전력 서비스 수혜자)에 대한 신뢰성 있는 전력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력량 데이터 검증 장치, 전력량 데이터 검증 장치를 포함하는 전력량 데이터 검증 시스템, 및 전력량 데이터 검증 방법은 수신된 전력량 데이터의 결함(예를 들어, 누락 및 오류 등)을 검사하여 신뢰성이 있는 데이터로 보정하여 대체하는 것에 의해 전력 서비스 수혜자(전력량계의 사용자)가 보다 정확한 전력량 데이터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전력 서비스 수혜자는 상기 정확한 전력량 데이터 정보에 근거하여 효율적인 전력 사용, 전력 발전, 또는 전력 저장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량 데이터 검증 시스템(100)을 설명하는 블락 다이어그램(block diagram)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력량 데이터 검증 장치(125)의 실시예(200)를 설명하는 블락 다이어그램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전력량 데이터 검증 장치(125)의 다른 실시예(300)를 설명하는 블락 다이어그램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량 데이터 검증 방법(400)을 나타내는 흐름도(flow chart)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력량 데이터 검증 방법(500)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이 참조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것에 의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나타낸다.
유무선 통신망(유무선 네트워크)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전력량 데이터를 수집하는 기술이 이용되고 있으나, 전력량 데이터가 누락(손실)되거나 전력량 데이터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 원거리의 전력량계 설치 위치에 직접 방문하거나 추후 해당 데이터를 재요청해야 하고 해당하는 전력량 데이터를 실시간 요금제, 전력 거래, 및 정산(예를 들어, 전기 요금 정산) 등과 같은 실시간 데이터 기반 전력 서비스 등에 활용할 수 없게 된다. 특히, 스마트 그리드에서는 여러 가지 전기 요금제들 및 서비스에서 전력량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있으므로, 전력량 데이터의 보정 및 신뢰성 검증은 중요한 기술이 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량 데이터 검증 시스템(100)을 설명하는 블락 다이어그램(block diagram)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력량 데이터 검증 시스템(100)은, 전력량계(watt-hour meter)(105), 유무선 통신망(115), 전력량 데이터 수집 장치(120), 및 전력량 데이터 검증 장치(125)를 포함한다. 전력량 데이터 검증 시스템(100)은, 예를 들어, 전력 서비스 시스템(130)에 검증된 전력량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전력량계(105)는 원격 검침 시스템(automatic meter reading system)에 사용될 수 있다. 원격 검침 시스템은 공동 주택 또는 사무실 등에 설치된 전기, 가스, 수도, 온도, 또는 열량 등 각종 계량기의 사용량 등을 검침원이 직접 세대를 방문하지 않고 원격의 검침센터에서 자동으로 검침을 수행하고 컴퓨터를 이용하여 검침 데이터를 검색하고 출력할 수 있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전력량계(105)는 전력의 사용량(수요량), 전력의 저장량, 또는 전력의 발전량 등에 관련된 전력량을 계측(측정)하여 전력량 데이터(원격 검침 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전력량 데이터를 유무선 통신망(115)으로 송신하기 위한 통신 모듈(110)을 포함한다. 전력량계(105)는 전력량 데이터가 생성되는 시간을 지시(indication)하는 전력량 데이터의 시간 정보를 생성하여 유무선 통신망(115)을 통해 해당하는 전력량 데이터와 함께 송신할 수 있다. 통신 모듈(110)은 유선통신수단과 무선통신수단을 포함하며, 유선통신수단으로 RS-232/485, DC PLC(DC power line communication), PLC(power line communication), 또는 internet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무선 통신 수단으로 WiFi, 지그비(Zigbee), Bluetooth, CDMA/GSM, 3G,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또는 LTE(long term evolution)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전력량계(105)는 전력량 데이터 수집 장치(120) 및 전력량 데이터 검증 장치(125)로부터 원거리에 위치하는 전력량계일 수 있다. 즉, 전력량계(105)는 원격 검침 인프라(infra)에 사용된다. 전력량계(105)는 도 1에서 하나로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전력량계는 다수개가 존재하여 유무선 통신망(115)에 연결될 수 있다.
전력량계(105)는, 예를 들어, 5분 또는 15분마다 한 번의 검침 주기로, 즉 하루 총 288번 또는 96번 주기로 전력량 데이터를 자동으로 계측(검침)할 수 있다. 전력량계(105)는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스마트 미터(smart meter)로도 언급될 수 있다. 스마트 미터는 시간대별로 전력 사용량을 측정하여 그 정보(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추어, 시간대별 요금을 알 수 있는 전자식 전력량계를 말한다.
전력량 데이터 수집 장치(120)는 전력량계(105)에서 실시간으로 계측된 전력량 데이터를 유무선 통신망(115)을 통해 수집(수신)한다. 전력량 데이터 수집 장치(120)는 서버(server)로 구현될 수 있다.
전력량 데이터 검증 장치(125)는 전력량 데이터 수집 장치(120)에서 수집된 전력량 데이터를 수신하여 전력량 데이터의 유효성을 검증(검사)한 후 데이터의 누락 또는 데이터의 오류 등과 같은 데이터의 결함이 검출될 경우 결함이 있는 전력량 데이터를 보정하여 결함이 없는 전력량 데이터를 생성한다. 전력량 데이터 검증 장치(125)는 전력량 데이터 수집 장치(120)에서 수집된 전력량 데이터에 대하여 결함이 있는 경우 보정하여 결함이 없는 전력량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전력량 데이터를 송신한다. 상기 생성된 전력량 데이터는 전력 서비스 시스템(130)에 제공(전송)될 수 있다.
전력 서비스 시스템(130)은, 예를 들어, 전력을 공급(판매)하거나 또는 전력을 구매하는 전력회사(또는 전력 거래소)와 같은 전력 서비스 사업자의 전력 서비스 시스템(130)으로서, 전력량 데이터 검증 장치(125)로부터 검증된 무결한(결함이 없는) 전력량 데이터를 수신하여 전력 서비스를 전력량계(105)의 사용자와 같은 고객에게 제공한다. 상기 전력 서비스는, 예를 들어, 유무선 통신망(115)을 통한 전기 사용량에 따른 전기요금 과금(billing) 서비스일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력량 데이터 검증 장치(125)의 실시예(200)를 설명하는 블락 다이어그램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력량 데이터 검증 장치(200)는, 수신부(205), 데이터 결함 검사부(210), 데이터 결함 보정부(215), 및 송신부(220)를 포함한다.
수신부(205)는 전력량 데이터 수집 장치(도 1의 120)로부터 실시간으로 수집되는 전력량 데이터(원격 검침 데이터)를 수신한다. 수신부(205)는 전력량 데이터 수집 장치(도 1의 120)로부터 전력량 데이터의 시간 정보를 수신하거나 또는 전력량 데이터의 시간 정보를 자체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수신부(205)에 수신된 전력량 데이터의 결함은, 예를 들어, 도전(Energy Theft, 盜電), 통신 장애, 또는 유무선 통신망(도 1의 115) 또는 전력량 데이터 수집 장치(도 1의 120) 등에 포함된 디바이스(device)의 장애 등으로 인한 전력량 데이터의 누락 또는 전력량 데이터의 오류일 수 있다.
데이터 결함 검사부(210)는 수신부(205)에 수신된 전력량 데이터의 결함 여부를 검사하여 수신부(205)에 수신된 전력량 데이터에 결함이 없을 때 결함이 없는 전력량 데이터를 송신부(220)로 전달한다.
데이터 결함 보정부(215)는 데이터 결함 검사부(210)에 의한 검사 결과 수신부(205)에 수신된 전력량 데이터에 결함이 존재할 때, 결함이 있는 전력량 데이터를 결함이 없는 전력량 데이터로 보정하여 송신부(220)로 전달한다.
송신부(220)는 데이터 결함 검사부(210) 또는 데이터 결함 보정부(215)로부터 전달된 전력량 데이터를 전력 서비스 시스템(도 1의 130)으로 송신(전송)할 수 있다. 즉, 송신부(220)는 데이터 결함 검사부(210)에 의해 검사된 결함이 없는 전력량 데이터, 또는 데이터 결함 보정부(215)에 의해 보정된 전력량 데이터를 송신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전력량 데이터 검증 장치(125)의 다른 실시예(300)를 설명하는 블락 다이어그램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력량 데이터 검증 장치(300)는, 수신부(305), 데이터 누락 검사부(310), 내삽부(315), 전력 정보 데이터베이스(320), 데이터 오류 검사부(325), 정정부(330), 및 송신부(335)를 포함한다.
수신부(305)는 전력량 데이터 수집 장치(도 1의 120)로부터 실시간으로 수집되는 전력량 데이터(원격 검침 데이터)를 수신한다. 또한, 수신부(305)는 전력량 데이터 수집 장치(도 1의 120)로부터 전력량 데이터의 시간 정보를 수신한다. 수신부(305)는 전력량 데이터의 시간 정보를 자체적으로 생성할 수도 있다. 수신부(305)에 수신된 전력량 데이터의 결함은, 예를 들어, 도전(Energy Theft), 통신 장애, 또는 유무선 통신망(도 1의 115) 또는 전력량 데이터 수집 장치(도 1의 120) 등에 포함된 디바이스(device)의 장애 등으로 인한 전력량 데이터의 누락 또는 전력량 데이터의 오류일 수 있다.
데이터 누락 검사부(310)는 수신부(305)로부터 전달되는 현재 전력량 데이터의 시간정보를 수신부(305)에 전달되는 현재 전력량 데이터 직전의 전력량 데이터의 시간정보와 비교하여 수신부(305)로부터 전달되는 전력량 데이터의 누락 여부를 검사한다.
데이터 오류 검사부(325)는 데이터 누락 검사부(310)에 의한 검사 결과 데이터 누락이 없을 때, 데이터 누락 검사부(310)에 의해 검사된 전력량 데이터 이전의 전력량 데이터의 패턴을 저장하는 전력정보 데이터베이스(320)를 참조하여 데이터 누락 검사부(310)로부터 전달되는 전력량 데이터의 오류를 검사하고, 상기 데이터의 오류 검사 결과 데이터 오류가 없을 때 데이터 누락 검사부(310)로부터 전달되는 전력량 데이터를 송신부(335)로 전달한다. 상기 전력정보 데이터베이스(320)에서 참조되는 이전 전력량 데이터는, 예를 들어, 현재 전력량 데이터가 발생되는 요일 및 시간과 동일한 요일 및 시간의 데이터일 수 있다. 따라서 전력정보 데이터베이스(320)에 저장되는 전력량 데이터는 신뢰성이 있는 데이터일 수 있다.
전력정보 데이터베이스(320)는, 실시간으로 수집되는 전력량 데이터를 계측하는 전력량계(도 1의 105)의 제1 사용자와 전력 서비스 사업자와의 전력 계약에 따른 전력정보(전력량 데이터) 패턴(즉, 계약된 전력사용량 패턴), 상기 제1 사용자의 전력정보 패턴(전력량 데이터들)과 유사한 전력정보 패턴을 가지는 그룹의 전력량계의 제2 사용자와 상기 전력 서비스 사업자와의 전력 계약에 따른 전력정보 패턴, 상기 전력량 데이터의 패턴을 포함하는 제1 사용자의 과거 전력정보 패턴, 상기 제2 사용자의 과거 전력정보 패턴, 상기 제1 사용자가 속한 그룹의 과거 전력정보 패턴, 또는 상기 제1 사용자가 속한 그룹과 유사한 그룹의 과거 전력정보 패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제1 사용자와 상기 제2 사용자는, 예를 들어,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한 전력정보 패턴을 가지는 공장 그룹에 포함되거나, 또는 일반 주택 그룹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 사용자가 속한 그룹과, 상기 제1 사용자가 속한 그룹과 유사한 그룹은, 주택의 종류 또는 공장의 종류에 따라 분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사용자가 속한 그룹은 일반 주택 그룹 중 단독 주택 그룹일 수 있고, 상기 제1 사용자가 속한 그룹과 유사한 그룹은 단독 주택 그룹과 유사한 일반 주택 그룹 중 공동 주택 그룹(예를 들어, 아파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전력정보 데이터베이스(320)는 사용자가 가지고 있는 전력량계의 위치에 따른 전력정보 패턴, 또는 전력량계의 사용자가 가지고 있고 전력량계에 연결된 전력 설비에 따른 전력정보 패턴을 더 저장할 수도 있다. 전력량계들의 위치가 서로 가까운 경우, 전력량계들은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한 전력정보 패턴을 가지는 그룹을 형성할 수 있다.
내삽부(315)는 데이터 누락 검사부(310)에 의한 검사 결과 누락된 전력량 데이터가 존재할 때, 전력정보 데이터베이스(320)에 저장되고 상기 누락된 전력량 데이터에 유사한(대응하는) 전력량 데이터를 첨가하여 송신부(335)로 전달한다.
정정부(330)는 데이터 오류 검사부(325)에 의한 검사 결과 오류가 있는 전력량 데이터가 존재할 때, 전력정보 데이터베이스(320)에 저장되고 상기 오류가 있는 전력량 데이터에 유사한(대응하는) 전력량 데이터로 상기 오류가 있는 전력량 데이터를 정정하여 송신부(335)로 전달한다.
송신부(335)는 데이터 오류 검사부(325) 또는 내삽부(315) 또는 정정부(335)로부터 전달된 전력량 데이터를 전력 서비스 시스템(도 1의 130)에 송신할 수 있다. 즉, 송신부(335)는 데이터 오류 검사부(325)에 의해 검사된 오류가 없는 전력량 데이터, 또는 내삽부(315)에 의해 첨가된 전력량 데이터, 또는 정정부(335)에 의해 정정된 전력량 데이터를 송신한다.
전술한 데이터 누락 검사부(310)와 데이터 오류 검사부(325)와 전력 정보 데이터베이스(320)는 도 2에 도시된 데이터 결함 검사부(210)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고, 내삽부(315)와 정정부(330)와 전력 정보 데이터베이스(320)는 도 2에 도시된 데이터 결함 보정부(215)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량 데이터 검증 방법(400)을 나타내는 흐름도(flow chart)이다. 전력량 데이터 검증 방법(400)은 도 1에 도시된 전력량 데이터 검증 시스템(100), 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전력량 데이터 검증 장치들(200, 300)에 적용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대기 단계(405)에서, 전력량 데이터 검증 장치(200)는 전력량 데이터를 검침 주기로 수신하기 위하여 대기 상태를 유지한다.
수신 단계(410)에 따르면, 전력량 데이터 검증 장치(200)의 수신부(205)는 실시간으로 수집되는 전력량 데이터를 수신한다. 수신부(205)는 전력량 데이터의 시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결함 검사 단계(415 및 420)에 따르면, 전력량 데이터 검증 장치(200)의 데이터 결함 검사부(210)는 수신부(205)로부터 전달된 전력량 데이터의 결함 여부를 검사하고 판단한다. 상기 전력량 데이터의 결함은, 예를 들어, 전력량 데이터의 누락 또는 전력량 데이터의 오류일 수 있다.
보정 단계(425)에 따르면, 전력량 데이터 검증 장치(200)의 데이터 결함 보정부(215)는 수신부(205)로부터 전달된 전력량 데이터의 결함 검사 결과 결함이 있는 전력량 데이터가 존재할 때, 상기 결함이 있는 전력량 데이터를 결함이 없는 전력량 데이터로 보정한다.
전송 단계(430)에 따르면, 데이터 결함 검사부(210)는 검사 결과 결함이 없을 때 결함이 없는 전력량 데이터를 전력량 데이터 검증 장치(200)의 송신부(220)를 통해 전력 서비스 시스템(도 1의 130)으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전송 단계(430)에서, 데이터 결함 보정부(215)는 보정 단계(425)에서 보정된 전력량 데이터를 송신부(220)를 통해 전력 서비스 시스템(도 1의 130)으로 송신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력량 데이터 검증 방법(500)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전력량 데이터 검증 방법(전력량 데이터 검증 알고리즘)(500)은 도 1에 도시된 전력량 데이터 검증 시스템(100), 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전력량 데이터 검증 장치들(200, 300)에 적용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대기 단계(505)에서, 전력량 데이터 검증 장치(300)는 전력량 데이터를 검침 주기로 수신하기 위하여 대기 상태를 유지한다.
수신 단계(510)에 따르면, 전력량 데이터 검증 장치(300)의 수신부(305)는 실시간으로 수집되는 전력량 데이터와, 상기 전력량 데이터의 시간 정보를 수신한다.
누락 검사 단계(515 및 520)에 따르면, 전력량 데이터 검증 장치(300)의 데이터 누락 검사부(310)는 수신부(305)로부터 전달된 현재 전력량 데이터의 시간정보를 수신부(305)로부터 전달된 현재 전력량 데이터 직전의 전력량 데이터의 시간정보와 비교하여 수신부(305)로부터 전달된 전력량 데이터의 누락 여부를 검사하고 판단한다.
오류 검사 단계(530 및 535)에 따르면, 데이터 누락 검사부(310)에 의한 데이터 누락 검사 결과 데이터 누락이 없을 때, 전력량 데이터 검증 장치(300)의 데이터 오류 검사부(325)는 상기 데이터 누락 검사에서의 현재 전력량 데이터 이전의 전력량 데이터의 패턴을 저장하는 전력정보 데이터베이스(320)를 참조하여 상기 데이터 누락 검사에서의 현재 전력량 데이터의 오류를 검사하고 판단한다. 상기 전력정보 데이터베이스(320)에서 참조되는 이전 전력량 데이터는, 예를 들어, 현재 전력량 데이터가 발생되는 요일 및 시간과 동일한 요일 및 시간의 데이터일 수 있다. 따라서 전력량 데이터 검증 장치(300)의 전력정보 데이터베이스(320)에 저장되는 전력량 데이터는 신뢰성이 있는 데이터일 수 있다.
전력정보 데이터베이스(320)는, 실시간으로 수집되는 전력량 데이터를 계측하는 전력량계(도 1의 105)의 제1 사용자와 전력 서비스 사업자와의 전력 계약에 따른 전력정보 패턴, 제1 사용자의 전력정보 패턴과 유사한 전력정보 패턴을 가지는 그룹의 전력량계의 제2 사용자와 상기 전력 서비스 사업자와의 전력 계약에 따른 전력정보 패턴, 상기 전력량 데이터의 패턴을 포함하는 제1 사용자의 과거 전력정보 패턴, 상기 제2 사용자의 과거 전력정보 패턴, 상기 제1 사용자가 속한 그룹의 과거 전력정보 패턴, 또는 상기 제1 사용자가 속한 그룹과 유사한 그룹의 과거 전력정보 패턴 등을 저장한다.
상기 제1 사용자와 상기 제2 사용자는, 예를 들어,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한 전력정보 패턴을 가지는 공장 그룹에 포함되거나, 또는 일반 주택 그룹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 사용자가 속한 그룹과, 상기 제1 사용자가 속한 그룹과 유사한 그룹은, 주택의 종류 또는 공장의 종류에 따라 분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사용자가 속한 그룹은 일반 주택 그룹 중 단독 주택 그룹일 수 있고, 상기 제1 사용자가 속한 그룹과 유사한 그룹은 단독 주택 그룹과 유사한 공동 주택 그룹(예를 들어, 아파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전력정보 데이터베이스(320)는 사용자가 가지고 있는 전력량계의 위치에 따른 전력정보 패턴, 또는 전력량계의 사용자가 가지고 있고 전력량계에 연결된 전력 설비에 따른 전력정보 패턴을 더 저장할 수도 있다. 전력량계들의 위치가 서로 가까운 경우, 전력량계들은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한 전력정보 패턴을 가지는 그룹을 형성할 수 있다.
내삽 단계(525)에 따르면, 데이터 누락 검사부(310)에 의한 데이터 누락 검사 결과 누락된 전력량 데이터가 존재할 때, 전력량 데이터 검증 장치(300)의 내삽부(315)는 전력정보 데이터베이스(320)에 저장되고 상기 누락된 전력량 데이터에 유사한(대응하는) 전력량 데이터를 첨가(내삽)한다.
정정 단계(540)에 따르면, 데이터 오류 검사부(325)에 의한 데이터 오류 검사 결과 오류가 있는 전력량 데이터가 존재할 때, 전력량 데이터 검증 장치(300)의 정정부(330)는 전력정보 데이터베이스(320)에 저장되고 상기 오류가 있는 전력량 데이터에 유사한(대응하는) 전력량 데이터로 상기 오류가 있는 전력량 데이터를 정정한다.
전송 단계(545)에 따르면, 데이터 오류 검사부(325)는 검사 결과 데이터 오류가 없을 때 오류가 없는 전력량 데이터를 전력량 데이터 검증 장치(300)의 송신부(335)로 전달하고 송신부(335)는 오류가 없는 전력량 데이터를 전력 서비스 시스템(도 1의 13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전송 단계(545)에서, 내삽부(315)는 첨가(추가)된 전력량 데이터를 송신부(335)로 전달하고 송신부(335)는 추가된 전력량 데이터를 전력 서비스 시스템(도 1의 130)으로 전송(송신)할 수 있고, 정정부(330)는 오류가 정정된 전력량 데이터를 송신부(335)로 전달하고 송신부(335)는 오류가 정정된 전력량 데이터를 전력 서비스 시스템(도 1의 13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전술한 누락 검사 단계(515 및 520)와 오류 검사 단계(530 및 535)와 내삽 단계(525)와 정정 단계(540)와 전송 단계(545)는 도 4에 도시된 결함 검사 단계(415 및 420)와 보정 단계(425)와 전송 단계(430)에 포함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력량 데이터 검증 장치, 전력량 데이터 검증 장치를 포함하는 전력량 데이터 검증 시스템, 및 전력량 데이터 검증 방법은 전력 서비스 사업자가 고객의 전력 사용량 등과 관련된 전력량 데이터를 수집하여 전력량 데이터의 유효성을 실시간으로 검증하고, 검증된 전력량 데이터를 기반으로 정확한 전력 서비스를 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전기 요금제(예를 들어, 스마트 그리드 환경에서의 실시간 요금제)와 전력 서비스의 기본 데이터인 전력량 데이터의 무결성을 확보하는 것에 의해 고객에 대한 신뢰성 있는 전력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신된 전력량 데이터의 결함(예를 들어, 누락 및 오류 등)을 검사하여 신뢰성이 있는 데이터로 보정하여 대체하는 것에 의해 전력량계의 사용자가 보다 정확한 전력량 데이터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전력량계의 사용자는 상기 정확한 전력량 데이터 정보에 근거하여 효율적인 전력 사용, 전력 발전, 또는 전력 저장을 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며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으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5: 전력량계
110: 통신 모듈
115: 유무선 통신망
120: 전력량 데이터 수집 장치
125: 전력량 데이터 검증 장치
130: 전력 서비스 시스템
205: 수신부
210: 데이터 결함 검사부
215: 데이터 결함 보정부
220: 송신부
305: 수신부
310: 데이터 누락 검사부
315: 내삽부
320: 전력정보 데이터베이스
325: 데이터 오류 검사부
330: 정정부
335: 송신부

Claims (10)

  1. 실시간으로 수집되는 전력량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에 수신된 전력량 데이터의 결함 여부를 검사하는 데이터 결함 검사부;
    상기 데이터 결함 검사부에 의한 검사 결과 상기 수신부에 수신된 전력량 데이터에 결함이 존재할 때, 결함이 있는 전력량 데이터를 결함이 없는 전력량 데이터로 보정하는 데이터 결함 보정부; 및
    상기 데이터 결함 검사부에 의해 검사된 결함이 없는 전력량 데이터 또는 상기 데이터 결함 보정부에 의해 보정된 전력량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전력량 데이터 검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에 수신된 전력량 데이터의 결함은 전력량 데이터의 누락 또는 전력량 데이터의 오류인 전력량 데이터 검증 장치.
  3. 실시간으로 수집되는 전력량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로부터 전달되는 전력량 데이터의 시간정보를 상기 수신부에 전달되는 전력량 데이터 직전의 전력량 데이터의 시간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수신부로부터 전달되는 전력량 데이터의 누락 여부를 검사하는 데이터 누락 검사부;
    상기 데이터 누락 검사부에 의한 검사 결과 데이터 누락이 없을 때, 상기 데이터 누락 검사부에 의해 검사된 전력량 데이터 이전의 전력량 데이터의 패턴을 저장하는 전력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데이터 누락 검사부로부터 전달되는 전력량 데이터의 오류를 검사하는 데이터 오류 검사부;
    상기 데이터 누락 검사부에 의한 검사 결과 누락된 전력량 데이터가 존재할 때, 상기 전력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고 상기 누락된 전력량 데이터에 유사한 전력량 데이터를 첨가하는 내삽부;
    상기 데이터 오류 검사부에 의한 검사 결과 오류가 있는 전력량 데이터가 존재할 때, 상기 전력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고 상기 오류가 있는 전력량 데이터에 유사한 전력량 데이터로 상기 오류가 있는 전력량 데이터를 정정하는 정정부; 및
    상기 데이터 오류 검사부에 의해 검사된 오류가 없는 전력량 데이터 또는 상기 내삽부에 의해 첨가된 전력량 데이터 또는 상기 정정부에 의해 정정된 전력량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전력량 데이터 검증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정보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실시간으로 수집되는 전력량 데이터를 계측하는 전력량계의 제1 사용자와 전력 서비스 사업자와의 전력 계약에 따른 전력정보 패턴, 상기 제1 사용자의 전력정보 패턴과 유사한 전력정보 패턴을 가지는 그룹의 전력량계의 제2 사용자와 상기 전력 서비스 사업자와의 전력 계약에 따른 전력정보 패턴, 상기 전력량 데이터의 패턴을 포함하는 상기 제1 사용자의 과거 전력정보 패턴, 상기 제2 사용자의 과거 전력정보 패턴, 상기 제1 사용자가 속한 그룹의 과거 전력정보 패턴, 또는 상기 제1 사용자가 속한 그룹과 유사한 그룹의 과거 전력 패턴을 저장하는 전력량 데이터 검증 장치.
  5. 전력량계에서 실시간으로 계측된 전력량 데이터를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수집하는 전력량 데이터 수집 장치; 및
    상기 전력량 데이터 수집 장치에서 수집된 전력량 데이터에 대하여 결함이 있는 경우 보정하여 결함이 없는 전력량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전력량 데이터를 송신하는 전력량 데이터 검증 장치를 포함하는 전력량 데이터 검증 시스템.
  6. (a) 실시간으로 수집되는 전력량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의 수신된 전력량 데이터의 결함 여부를 검사하여 결함이 없을 때 결함이 없는 전력량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 및
    (c) 상기 (a) 단계의 수신된 전력량 데이터의 결함 검사 결과 결함이 있는 전력량 데이터가 존재할 때, 상기 결함이 있는 전력량 데이터를 결함이 없는 전력량 데이터로 보정하여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력량 데이터 검증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의 수신된 전력량 데이터의 결함은 전력량 데이터의 누락 또는 전력량 데이터의 오류인 전력량 데이터 검증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a) 단계에서 수신된 전력량 데이터의 시간정보를 상기 (a) 단계에서 수신된 전력량 데이터 직전의 전력량 데이터의 시간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a) 단계에서 수신된 전력량 데이터의 누락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 및
    (b2) 상기 데이터 누락 검사 결과 데이터 누락이 없을 때, 상기 데이터 누락 검사에서의 전력량 데이터 이전의 전력량 데이터의 패턴을 저장하는 전력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데이터 누락 검사에서의 전력량 데이터의 오류를 검사하고, 상기 데이터 오류 검사 결과 데이터 오류가 없을 때 오류가 없는 전력량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력량 데이터 검증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b2) 단계의 전력정보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실시간으로 수집되는 전력량 데이터를 계측하는 전력량계의 제1 사용자와 전력 서비스 사업자와의 전력 계약에 따른 전력정보 패턴, 상기 제1 사용자의 전력정보 패턴과 유사한 전력정보 패턴을 가지는 그룹의 전력량계의 제2 사용자와 상기 전력 서비스 사업자와의 전력 계약에 따른 전력정보 패턴, 상기 전력량 데이터의 패턴을 포함하는 상기 제1 사용자의 과거 전력정보 패턴, 상기 제2 사용자의 과거 전력정보 패턴, 상기 제1 사용자가 속한 그룹의 과거 전력정보 패턴, 또는 상기 제1 사용자가 속한 그룹과 유사한 그룹의 과거 전력 패턴을 저장하는 전력량 데이터 검증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c1) 상기 (b1) 단계의 데이터 누락 검사 결과 누락된 전력량 데이터가 존재할 때, 상기 전력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고 상기 누락된 전력량 데이터에 유사한 전력량 데이터를 첨가하여 송신하는 단계; 및
    (c2) 상기 (b2) 단계의 데이터 오류 검사 결과 오류가 있는 전력량 데이터가 존재할 때, 상기 전력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고 상기 오류가 있는 전력량 데이터에 유사한 전력량 데이터로 상기 오류가 있는 전력량 데이터를 정정하여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력량 데이터 검증 방법.
KR1020110082999A 2011-08-19 2011-08-19 전력량 데이터 검증 장치,전력량 데이터 검증 장치를 포함하는 전력량 데이터 검증 시스템,및 전력량 데이터 검증 방법 KR1013001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2999A KR101300101B1 (ko) 2011-08-19 2011-08-19 전력량 데이터 검증 장치,전력량 데이터 검증 장치를 포함하는 전력량 데이터 검증 시스템,및 전력량 데이터 검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2999A KR101300101B1 (ko) 2011-08-19 2011-08-19 전력량 데이터 검증 장치,전력량 데이터 검증 장치를 포함하는 전력량 데이터 검증 시스템,및 전력량 데이터 검증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0386A true KR20130020386A (ko) 2013-02-27
KR101300101B1 KR101300101B1 (ko) 2013-08-30

Family

ID=47898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2999A KR101300101B1 (ko) 2011-08-19 2011-08-19 전력량 데이터 검증 장치,전력량 데이터 검증 장치를 포함하는 전력량 데이터 검증 시스템,및 전력량 데이터 검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0101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09596A (ko) * 2013-03-06 2014-09-1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미검침 구간의 검침 데이터 예측 및 보정 방법과 그 장치
KR20140122010A (ko) * 2013-04-09 2014-10-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태양광 모듈의 전력 데이터 관리 향상을 위한 검침 데이터 보정 방법 및 장치
KR101502579B1 (ko) * 2012-10-31 2015-03-16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소수성 치환기를 갖는 글리콜 키토산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용도
WO2016186234A1 (ko) * 2015-05-18 2016-11-24 옴니시스템주식회사 공동주택 검침장치의 이상 사용 감지 시스템
KR101896043B1 (ko) * 2017-07-04 2018-09-06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전력량계 데이터 추정 방법, 및 전력 데이터 관리 시스템
KR20200039970A (ko) * 2018-10-08 2020-04-17 한국전력공사 전력 시계열 데이터의 전송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147610B1 (ko) * 2019-12-23 2020-08-25 (주) 그린텍아이엔씨 자가진단 및 자가복구 기능을 갖는 스마트형 상하수도 원방 감시장치
KR102491128B1 (ko) * 2022-05-09 2023-01-19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인공지능 기반의 고장 판단 모델의 생성을 통해 수도미터기에 대한 고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0100B1 (ko) * 2018-01-12 2022-10-05 한국전력공사 오류 계량데이터 추정 장치 및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KR102648458B1 (ko) * 2021-12-10 2024-03-19 한국전력공사 전력사용량 추정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72644B2 (ja) * 2004-06-03 2008-04-0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力または電力量の計測データの妥当性判定方法および電力または電力量の計測システム
KR101164009B1 (ko) * 2009-06-17 2012-07-18 (주)재신정보 누설 전류 측정 기능을 포함하는 원격 검침용 전력량계
KR101081368B1 (ko) * 2009-08-27 2011-11-08 한국전력공사 전력 손실 감시가 가능한 원격검침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65487B1 (ko) * 2011-07-22 2013-05-20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검침 데이터 오류 정정 시스템, 이를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2579B1 (ko) * 2012-10-31 2015-03-16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소수성 치환기를 갖는 글리콜 키토산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용도
KR20140109596A (ko) * 2013-03-06 2014-09-1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미검침 구간의 검침 데이터 예측 및 보정 방법과 그 장치
KR20140122010A (ko) * 2013-04-09 2014-10-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태양광 모듈의 전력 데이터 관리 향상을 위한 검침 데이터 보정 방법 및 장치
WO2016186234A1 (ko) * 2015-05-18 2016-11-24 옴니시스템주식회사 공동주택 검침장치의 이상 사용 감지 시스템
KR101896043B1 (ko) * 2017-07-04 2018-09-06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전력량계 데이터 추정 방법, 및 전력 데이터 관리 시스템
KR20200039970A (ko) * 2018-10-08 2020-04-17 한국전력공사 전력 시계열 데이터의 전송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147610B1 (ko) * 2019-12-23 2020-08-25 (주) 그린텍아이엔씨 자가진단 및 자가복구 기능을 갖는 스마트형 상하수도 원방 감시장치
KR102491128B1 (ko) * 2022-05-09 2023-01-19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인공지능 기반의 고장 판단 모델의 생성을 통해 수도미터기에 대한 고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0101B1 (ko) 2013-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0101B1 (ko) 전력량 데이터 검증 장치,전력량 데이터 검증 장치를 포함하는 전력량 데이터 검증 시스템,및 전력량 데이터 검증 방법
US10833532B2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a power grid
US9797935B2 (en) Device, arrangement and method for verifying the operation of electricity meter
KR101663369B1 (ko) 분산형 태양광발전소의 경제성 검토 장치 및 방법
Chakravarthi et al. IoT–based smart energy meter for smart grids
BRPI0908471A2 (pt) método e sistema para a medição remota de consumo de eletricidade, de água ou de gás
US2021001109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Transformers and Performing Actions Based on the Monitoring
Veloso et al. An iot smart metering solution based on ieee 802.15. 4
Sebastian et al. Internet of things based smart energy meter with fault detection feature and theft detection
Güçyetmez et al. Enhancing smart grids with a new IOT and cloud-based smart meter to predict the energy consumption with time series
KR101680226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해 rj_11 커넥터 및 dlms/cosem 프로토콜을 내장하고 있는 전자식 전력량계를 관리하는 시스템
CN201749557U (zh) 一种基于无线网络的电表远程集抄装置
AU2012241193A1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a power grid
Dujak et al.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as key enabler in smart metering systems
JP2014182824A (ja) 温度に基づいてエネルギー使用量データを記憶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20170117794A (ko) 국제 표준 프로토콜에 기반한 가정용 통합검침장치 및 그 방법
KR20090085923A (ko) 원격 검침 데이터를 이용한 누출감시 시스템 및 방법
KR102097260B1 (ko) 전자식 전력량계 시스템의 데이터 전송 방법
AU2021209785A1 (en) Certification of at least one facility-specific amount of energy of an energy system
AU2015230786A1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a power grid
Li et al. Research on Model Construction of Electric Energy Metering System Based on Intelligent Sensor Data
RU2620041C1 (ru) Аналитическая система оценки потребления воды абонентами
US20130116838A1 (en) System and device for utility management
KR102134971B1 (ko) 일체형 유무선 통신모듈을 이용한 상위 서버 또는 데이터 수집 장치에 정전 및 설치된 상을 감지하여 데이터를 전송해 주는 인공지능형 전자식 전력량계
EP3796620B1 (en) Monitoring of heat consump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