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0341A - Built-in contactless wireless charger using sticky adhesive material - Google Patents

Built-in contactless wireless charger using sticky adhesive materi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0341A
KR20130020341A KR1020110082925A KR20110082925A KR20130020341A KR 20130020341 A KR20130020341 A KR 20130020341A KR 1020110082925 A KR1020110082925 A KR 1020110082925A KR 20110082925 A KR20110082925 A KR 20110082925A KR 20130020341 A KR20130020341 A KR 201300203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material
mobile device
sticky
wireless charger
bui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292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수환
나기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더파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더파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더파워
Priority to KR10201100829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20341A/en
Publication of KR201300203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034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11Supports for sets, e.g. incorporating armrests
    • H04M1/12Adjustable supports, e.g. extensible
    • H04M1/13Adjustable supports, e.g. extensible pantograph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PURPOSE: A stand device in an arbitrary location of a non-contact wireless charger using an adhesive material is provided to charge and operate a mobile device at the same time when the mobile device is placed on an arbitrary location. CONSTITUTION: A stand device in an arbitrary location of a non-contact wireless charger fixes a mobile device by using a sticky unit of an adhesive material. The sticky unit is composed of an adhesive tape or material to adhere to a holder without a support. The adhesive material of the sticky unit is easily separated from the mobile device and is easily fixed on the mobile device. [Reference numerals] (AA) Sticky unit(sticky adhesive material or tape); (BB) Front side; (CC) Base unit; (DD) Holder; (EE) Attaching or detaching a mobile device; (FF) TA unit; (GG) When the sticky adhesive material is used, there is no need of a mobile device support

Description

끈적이 접착 재질을 사용한 무접점 무선 충전기 내장 임의의 위치에서 세워 보는 장치{.}Built-in contactless wireless charger using sticky adhesive material.

본 발명은 끈적이 접착 재질을 사용한 무접점 무선 충전기 내장 임의의 위치에서 세워 보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임의의 위치에서 모바일 기기를 충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유로운 위치 즉 거치대의 어느 위치에나 얹어 놓으면 끈적이 재질로 인하여 모바일 기기가 거치대에 붙어 고정되어서 충전과 함께 모바일 기기가 세워진 상태에서 TV 등의 기능을 볼 수 있도록 구성된 끈적이 접착 재질을 사용한 무접점 무선 충전기 내장 임의의 위치에서 세워 보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standing up at any position with a built-in contactless wireless charger using a sticky adhesive material, more specifically, it is possible to charge the mobile device at any position, as well as a free position, that is, any position of the cradle When placed on the stand, the mobile device is fixed to the cradle due to the sticky material, and the built-in contactless wireless charger using the sticky adhesive material configured to be able to watch TV functions while the mobile device is standing up with charging Relates to the viewing device.

종래에는 무선충전을 사용하지 아니하는 경우, 모바일 기기를 세워서 거치하면서 TV 등의 기능을 볼 때, 모바일 기기가 충전되지 아니하여 모바일 기기의 배터리가 방전이 되어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다.Conventionally, when the wireless charging is not used, when the mobile device is standing up and mounted, watching a function such as a TV, the mobile device is not charged and the battery of the mobile device is discharged.

또한, 유선으로 충전하는 방식을 이용할 경우, 모바일 기기를 가로로 하여 TV 등의 기능을 볼 때, 충전선이 옆으로 튀어나와 미관상 좋지 않은 문제가 있고, 세로로 세워서 TV 등의 기능을 보게 되면, 충전 잭(jack)이 밑에 있는 경우에는 충전선 때문에 충전하는 구조가 어렵게 되어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when using a wired charging method, when viewing a function such as a TV with the mobile device horizontally, the charging line protrudes to the side, which is aesthetically unfavorable problem, and when viewed vertically to see a function such as a TV, If the charging jack (jack) is underneath,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harging structure becomes difficult because of the charging line is inconvenient.

또한, 무선충전이 있다고 하나 현재의 충전 방식은 고정위치에서만 충전되므로 거치대에 어느 위치든 얹어 놓으면 충전되지 않는 문제가 있어 , 고정위치에만 충전되므로 거치대에 자유로운 위치에서 충전할 수 있도록 하지 못해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wireless charging, but the current charging method is charged only in a fixed pos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be charged if placed on any position on the cradle, because it is charged only in a fixed position, it is inconvenient because it can not be charged in the free position on the cradle There is.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거치대에 자유로운 위치 즉 거치대에 얹어 놓으면 자유로이 충전과 동시에 모바일 기기를 동작시킬 수 있도록 하는 끈적이 접착 재질을 사용한 무접점 무선 충전기 내장 임의의 위치에서 세워 보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vice to stand at any position of the built-in contactless wireless charger using a sticky adhesive material that can be freely charged and the mobile device can be operated at the same time freely placed on the holder. It is.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끈적이 접착 재질을 사용한 무접점 무선 충전기 내장 임의의 위치에서 세워 보는 장치는, 접착성 있는 재질의 끈적이부를 사용하여 모바일 기기를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evice to stand at any position built-in contactless wireless charger using a sticky adhesive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technical problem, can be fixed to the mobile device using the sticky portion of the adhesive material.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또한, 상기 끈적이부는 모바일 기기가 받침 지지대 없이 거치대에 붙을 수 있도록 접착성 테입 또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ticky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dhesive tape or made of a material so that the mobile device can be attached to the cradle without the support.

또한, 상기 끈적이부의 접착성 재질은 모바일 기기를 쉽게 이탈하게 할 수 있어야 하고, 모바일 기기를 붙이면 고정되는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adhesive material of the sticky portion should be able to easily detach the mobil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material is fixed by attaching the mobile device.

또한, 모바일 기기를 세워서 충전하거나 눕혀서 평면에서 충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obile device can be charged upright or lying down and can be charged in a flat.

또한, 모바일 기기를 자유로운 임의의 위치에서 거치만 하면 충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mobile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charged just by mounting at any free position.

본 발명에 의하면 거치대에 자유로운 위치에서 얹어 놓기만 하면 충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충전과 동시에 모바일 기기를 동작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can it be charged by placing it on a cradle at a free position, but it also has the effect of operating a mobile device at the same time as charging.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세워서 충전하는 것은 물론 거치대를 접으면 평면에서 충전할 수 있는 구조가 되어 사용자가 편리하게 선택하여 충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well as charging the stand up and folding the cradle has a structure that can be charged in the plane has the effect that the user can conveniently select and charge.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접어서 평면에서 눕혀서 충전하는 경우에는 충전 베이스부에 올려 놓으면 끈적이 재질이 휴대용 기기를 고정하기 때문에 진동이 있거나, 약간의 충격 등으로 층전 베이스부가 흔들려도 모바일 기기가 계속 떨어지지 않고 충전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별도로 자동차의 DC 전원 입력을 받는 회로를 구비하면, 자동차 내에서도 운전 중에도 모바일 기기의 충전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charging by folding and lying down on a flat surface, the mobile device does not fall off even if there is vibration or a layered base part shakes due to a slight impact, because the sticky material fixes the portable device when placed on the charging base part.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charged. In addition, if a circuit having a DC power input of the vehicle is provided, the mobile device can be charged while driving in a vehicl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끈적이 접착 재질을 사용한 무접점 무선 충전기 내장 임의의 위치에서 세워 보는 장치의 앞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끈적이 접착 재질을 사용한 무접점 무선 충전기 내장 임의의 위치에서 세워 보는 장치에서 있어서, 거치대가 2개인 경우 뒷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끈적이 접착 재질을 사용한 무접점 무선 충전기 내장 임의의 위치에서 세워 보는 장치에서 있어서, 거치대가 1개인 경우 뒷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끈적이 접착 재질을 사용한 무접점 무선 충전기 내장 임의의 위치에서 세워 보는 장치에 모바일 기기를 올려놓고 세워서 충전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끈적이 접착 재질을 사용한 무접점 무선 충전기 내장 임의의 위치에서 세워 보는 장치에 모바일 기기를 올려놓고 눕혀서 충전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끈적이 접착 재질을 사용한 무접점 무선 충전기 내장 임의의 위치에서 세워 보는 장치의 TA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끈적이 접착 재질을 사용한 무접점 무선 충전기 내장 임의의 위치에서 세워 보는 장치의 회로부에서의 무선전력 전달 주파수 발생기(발진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끈적이 접착 재질을 사용한 무접점 무선 충전기 내장 임의의 위치에서 세워 보는 장치의 코일부에서의 1차 측 단일 코일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끈적이 접착 재질을 사용한 무접점 무선 충전기 내장 임의의 위치에서 세워 보는 장치의 코일부에서의 1차 측 코일을 복수개로 배치한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front of the device standing up at any position built-in contactless wireless charger using a sticky adhesive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rear surface when two cradles are used in a device standing up at an arbitrary position of a contactless wireless charger using a sticky adhesive materi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rear surface when a cradle is one in a device standing up at an arbitrary position of a contactless wireless charger using a sticky adhesive materi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mobile device is placed and charged on a device standing up at an arbitrary position of a contactless wireless charger using a sticky adhesive materi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mobile device is placed on a device in which a sticky device is standing at an arbitrary position incorporating a contactless wireless charger using an adhesive materi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charged.
6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TA unit of the device standing up at any position of the built-in contactless wireless charger using a sticky adhesive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frequency generator (oscillator) in a circuit portion of an apparatus built in a contactless wireless charger built in a sticky adhesive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rimary side single coil structure in a coil part of a device in which a sticky built-in wireless charger built-in arbitrary position using a sticky adhesive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primary side coils are disposed in a coil part of a device in which a sticky device built in a contactless wireless charger using an adhesive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tands up at an arbitrary position. .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ereinafter, a repeated description, a known function that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onfiguration will be omitt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more ful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ccordingly, the shape and size of element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끈적이 접착 재질을 사용한 무접점 무선 충전기 내장 임의의 위치에서 세워 보는 장치의 앞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front of the device standing up at any position built-in contactless wireless charger using a sticky adhesive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끈적이 접착 재질을 사용한 무접점 무선 충전기 내장 임의의 위치에서 세워 보는 장치는 베이스부, TA부, 거치대 및 베이스부의 일면에 부착된 끈적이부로 구성되고, 베이스부에는 회로부와 코일부가 내장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끈적이 접착 재질을 사용한 무접점 무선 충전기 내장 임의의 위치에서 세워 보는 장치는 뒷쪽에서 1개 또는 2개 이상의 거치대를 뒤로 뽑아 세울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As shown in FIG. 1, a device that stands up at any position of a built-in contactless wireless charger using a sticky adhesive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ickiness attached to one surface of a base part, a TA part, a cradle, and a base part. The circuit part and the coil part are built in the base part. Built-in contactless wireless charger using a sticky adhesive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tanding up at any position is made of a structure that can be pulled back one or more cradles from the rear.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거치대에 고정하는 방식은 베이스부의 일면에 부착된 끈적이부가 끈적이 재질, 예를 들어 끈적이 재질의 재료로서 폴리우레탄 고무, 실리콘 패드 등의 젤과 같은 재질로 구성됨으로써 약간의 끈적성의 접착력으로 휴대용 모바일 기기를 별도의 받침지지대 없이 붙여 놓을 수 있다. 즉, 거치대에 휴대용 모바일 기기를 고정하는 방법으로 약간의 끈적이 재질 또는 테이프를 사용하면 휴대용 모바일 기기가 거치대에 고정되게 된다. 휴대용 기기를 밑에서 받쳐주는 받침 지지대를 별도로 꼽아 놓지 않아도 되고, 경우에 따라서는 휴대용 기기를 밑에서 받쳐주는 받침 지지대를 별도로 꼽을 수도 있다.
Basically, the method of fixing to the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icky material attached to one side of the base part is a sticky material, for example, as a material of sticky material, it is composed of a material such as a polyurethane rubber, a silicone pad, gel, etc. Sticky adhesive allows portable mobile devices to be attached without additional support. In other words, if a little sticky material or tape is used to fix the portable mobile device to the holder, the mobile mobile device is fixed to the holder. It is not necessary to separately attach a support for supporting a portable device from the bottom, and in some cases, a support for supporting a portable device from the bottom may be separately attached.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끈적이 접착 재질을 사용한 무접점 무선 충전기 내장 임의의 위치에서 세워 보는 장치에서 있어서, 거치대가 2개인 경우 뒷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 2 is a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rear surface when two cradles are used in a device standing up at an arbitrary position of a contactless wireless charger using a sticky adhesive materi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끈적이 접착 재질을 사용한 무접점 무선 충전기 내장 임의의 위치에서 세워 보는 장치에서 있어서, 거치대가 1개인 경우 뒷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 3 is a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rear surface when a cradle is one in a device standing up at an arbitrary position of a contactless wireless charger using a sticky adhesive materi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끈적이 접착 재질을 사용한 무접점 무선 충전기 내장 임의의 위치에서 세워 보는 장치에 모바일 기기를 올려놓고 세워서 충전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4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mobile device is placed and charged on a device standing up at an arbitrary position of a contactless wireless charger using a sticky adhesive materi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끈적이 접착 재질을 사용한 무접점 무선 충전기 내장 임의의 위치에서 세워 보는 장치에 모바일 기기를 올려놓고 세워서 충전하면서 모바일 기기를 사용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위성 수신기, 지상파 수신기 등과 같은 모바일 기기에서 TV를 보기 편리하게 세워서 시청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the mobile device can be used while charging the mobile device by standing it upright and charging the device at an arbitrary position incorporating a contactless wireless charger using a sticky adhesive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result, TVs can be conveniently viewed and viewed on mobile devices such as satellite receivers and terrestrial receivers.

또한, 모바일 기기의 TV 기능을 이용함에 있어서, 세로로 보기를 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가로로도 쉽게 볼 수 있다.
In addition, in using the TV function of the mobile device, not only can be viewed vertically, but also can be easily viewed horizontally.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끈적이 접착 재질을 사용한 무접점 무선 충전기 내장 임의의 위치에서 세워 보는 장치에 모바일 기기를 올려놓고 눕혀서 충전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5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mobile device is placed on a device in which a sticky device is standing at an arbitrary position incorporating a contactless wireless charger using an adhesive materi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charged.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끈적이 접착 재질을 사용한 무접점 무선 충전기 내장 임의의 위치에서 세워 보는 장치에 모바일 기기를 올려놓고 거치대를 접어 눕혀서 충전하게 되면, 평편한 곳에서 충전하면서 모바일 기기를 사용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ure 5, when the mobile device is placed on the device standing up at any position built-in contactless wireless charger using a sticky adhesive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harging stand lying flat, You can use your mobile device while charging.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끈적이 접착 재질을 사용한 무접점 무선 충전기 내장 임의의 위치에서 세워 보는 장치의 TA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6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TA unit of the device standing up at any position of the built-in contactless wireless charger using a sticky adhesive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끈적이 접착 재질을 사용한 무접점 무선 충전기 내장 임의의 위치에서 세워 보는 장치의 TA부의 출력이 5Vdc 내지 19Vdc가 될 수 있도록 트랜스포머의 n1, n2의 권선비가 구성되었다.
As shown in Figure 6, n1, n2 of the transformer so that the output of the TA portion of the device standing up at any position built-in contactless wireless charger using a sticky adhesive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5Vdc to 19Vdc The turns ratio of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끈적이 접착 재질을 사용한 무접점 무선 충전기 내장 임의의 위치에서 세워 보는 장치의 회로부에서의 무선전력 전달 주파수 발생기(발진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7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frequency generator (oscillator) in a circuit portion of an apparatus built in a contactless wireless charger built in a sticky adhesive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끈적이 접착 재질을 사용한 무접점 무선 충전기 내장 임의의 위치에서 세워 보는 장치의 회로부에서의 무선 전력 전달 주파수 발생기(발진기)는 전달 주파수를 발생하는 마이컴, 전류 드라이브 회로, 전력 전달 주파수 발진기를 포함하며, 1차 코일에 연결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7,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frequency generator (oscillator) in the circuit part of the device standing at an arbitrary position incorporating a contactless wireless charger using a sticky adhesive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a transmission frequency. It includes a microcomputer, a current drive circuit, a power delivery frequency oscillator, and is connected to the primary coil.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끈적이 접착 재질을 사용한 무접점 무선 충전기 내장 임의의 위치에서 세워 보는 장치의 코일부에서의 1차 측 단일 코일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8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rimary side single coil structure in a coil part of a device in which a sticky built-in wireless charger built-in arbitrary position using a sticky adhesive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끈적이 접착 재질을 사용한 무접점 무선 충전기 내장 임의의 위치에서 세워 보는 장치의 코일부에서의 1차 측 단일 코일 구조는 한 개의 코일을 외곽에 사각형으로 구성한 후 내부에 작은 사각형으로 구성하였다.As shown in FIG. 8, the primary-side single coil structure in the coil portion of the device standing up at an arbitrary position with a built-in contactless wireless charger using an adhesive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urrounds one coil. It consists of a square and then a small square inside.

이렇게 이중으로 코일을 배열한 결과, 중앙부에도 자속이 발생되어 중앙부에 자속이 약한 것을 개선하여 전체적으로 자속을 균일하게 발생시킬 수 있었다.As a result of arranging the coils in this way, magnetic flux was generated in the center part, and the magnetic flux was weakened in the center part, thereby improving the magnetic flux as a whole.

본 코일의 외곽 크기는 전력전달 주파수와 코일을 감는 권선수에 따라 코일의 크기에 따라 달라진다. 본 실시 예는 6.5Mhz를 사용하였으며,코일의 크기는 외각에 있는 코일의 크기는 A는 38mm , B는 42mm로 하였고 중앙부에 배열된 작은 코일의 크기는 a는 19mm, b는 24mm로 제작하였다. 권선수는 총 4회전(turns)으로 외곽 사각형 코일부에0 2회(turns), 중앙부의 작은 코일부에 2회(turns)를 만들었다. 권선수를 2 turns를 하였다. 이 결과 코일의 인덕턴스는 1uH 이하의 값을 가졌다. The outer size of this coil depends on the size of the coil, depending on the power delivery frequency and the number of turns wound. In this embodiment, 6.5Mhz was used, and the size of the coil was 38 mm in the outer shell, B was 42 mm, and the size of the small coil arranged in the center was 19 mm and b was 24 mm. The number of turns was 4 turns, making 0 turns in the outer rectangular coil section and 2 turns in the small coil section in the center. The number of turns was 2 turns. As a result, the inductance of the coil had a value of 1 uH or less.

이때, 구성되는 1차 측 코일의 구성은 에나멜로 코팅된 250um 정도의 구리 동선을 사용하여 구성하였으며, PCB 또는 FPCB(FLEXABLE PCB)를 사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figuration of the primary coil is configured using a copper copper wire of about 250um coated with enamel, can be configured using a PCB or FPCB (FLEXABLE PCB).

임의의 위치에서 무선충전을 하기 위해서 2차 코일과 같은 형상의 코일을 1차 코일에서도 만들어야 2차 코일을 전후 좌우, 회전등을 하여도 무선충전 전류가 전송되는 구조가 된다.In order to wirelessly charge at an arbitrary position, the coil having the same shape as the secondary coil should be made in the primary coil, so that the wireless charging current is transmitted even when the secondary coil is moved back and forth, left and right, and the like.

본 발명의 실시 예로 1차 코일 가로(A) : 세로(B)의 비를 1:1에서 1:1.3 로 실시하였다. 또한, 내부에 구성되어 있는 작은 코일도 가로(a) : 세로(b)의 비를 1:1에서 1:1.3 로 실시하였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atio of primary coil width (A) to length (B) was performed from 1: 1 to 1: 1.3. In addition, the ratio of the width | variety (a): length (b) also implemented the small coil comprised inside from 1: 1 to 1: 1.3.

이에 따라, 모바일 기기를 세워서 볼 때, 충전이 자유로운 임의의 위치에서 가능하게 되어 있어서, 임의의 위치에 모바일 기기를 올려 놓기만 하면 충전하면서 모바일 기기의 TV 기능 등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when the mobile device is standing up, the mobile device can be charged at an arbitrary position where charging is free, and the TV function of the mobile device can be used while charging while simply placing the mobile device at an arbitrary position.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끈적이 접착 재질을 사용한 무접점 무선 충전기 내장 임의의 위치에서 세워 보는 장치의 코일부에서의 1차 측 코일을 복수개로 배치한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9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primary side coils are disposed in a coil part of a device in which a sticky device built in a contactless wireless charger using an adhesive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tands up at an arbitrary position. .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끈적이 접착 재질을 사용한 무접점 무선 충전기 내장 임의의 위치에서 세워 보는 장치의 코일부에서 코일을 다중으로 중첩으로 겹치게 하는 목적은 겹치는 부분이 코일 상호가 발생하는 자속이 합치가 되어 자속의 세기를 크게 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그 결과 자속의 세기가 커게 되어 보다 먼 거리까지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9, the purpose of overlapping the coils in multiple overlaps in the coil part of a device in which the sticky built-in wireless charger built-in arbitrary position using the adhesive materi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verlapped is an overlapping part. The magnetic flux generated between the coils is matched to increase the strength of the magnetic flux. As a result, the strength of the magnetic flux is increased so that power can be transmitted wirelessly over a longer distance.

또한, 다수개의 코일을 중첩하여 코일간 발생하는 자속을 상호 감쇄하지 않고 상승하게 합치한 결과 보다 먼 거리의 무선 전력 전송은 물론 넓은 면적의 전력 전송 장치를 구성하여 무선 충전판 위에 어느 위치에서도 자유롭게 충전할 수 있다.In addition, as a result of overlapping a plurality of coils to increase the magnetic flux generated between the coils without mutual attenuation, as a result, wireless power transmission over a longer distance as well as a large area of power transmission device is configured to freely charge anywhere on the wireless charging plate can do.

Claims (5)

접착성 있는 재질의 끈적이부를 사용하여 모바일 기기를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끈적이 접착 재질을 사용한 무접점 무선 충전기 내장 임의의 위치에서 세워 보는 장치.A device that stands up at an arbitrary position with a built-in contactless wireless charger using an adhesive material, wherein the mobile device can be fixed using an adhesive material of the adhesive material.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끈적이부는 모바일 기기가 받침 지지대 없이 거치대에 붙을 수 있도록 접착성 테입 또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끈적이 접착 재질을 사용한 무접점 무선 충전기 내장 임의의 위치에서 세워 보는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icky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obile device is made of adhesive tape or material so that it can be attached to the cradle without the support, built-in device using a sticky adhesive material stand up from any position.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끈적이부의 접착성 재질은 모바일 기기를 쉽게 이탈하게 할 수 있어야 하고, 모바일 기기를 붙이면 고정되는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끈적이 접착 재질을 사용한 무접점 무선 충전기 내장 임의의 위치에서 세워 보는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adhesive material of the sticky part should be able to easily detach the mobil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material is fixed by attaching the mobile device, the device to stand up at any position with a built-in contactless wireless charger using the sticky adhesive material .
청구항 1에 있어서,
모바일 기기를 세워서 충전하거나 눕혀서 평면에서 충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끈적이 접착 재질을 사용한 무접점 무선 충전기 내장 임의의 위치에서 세워 보는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device that stands up at any position with a built-in contactless wireless charger using a sticky adhesive material, characterized in that the mobile device can be charged upright or lying down.
청구항 1에 있어서,
모바일 기기를 자유로운 임의의 위치에서 거치만 하면 충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끈적이 접착 재질을 사용한 무접점 무선 충전기 내장 임의의 위치에서 세워 보는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device that stands up at any position with a built-in contactless wireless charger using a sticky adhesive material, which can be charged by simply mounting the mobile device at an arbitrary position.
KR1020110082925A 2011-08-19 2011-08-19 Built-in contactless wireless charger using sticky adhesive material KR2013002034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2925A KR20130020341A (en) 2011-08-19 2011-08-19 Built-in contactless wireless charger using sticky adhesive materi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2925A KR20130020341A (en) 2011-08-19 2011-08-19 Built-in contactless wireless charger using sticky adhesive materi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0341A true KR20130020341A (en) 2013-02-27

Family

ID=47898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2925A KR20130020341A (en) 2011-08-19 2011-08-19 Built-in contactless wireless charger using sticky adhesive materi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20341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0807A (en) * 2014-04-18 2015-10-28 주식회사 한림포스텍 Wireless power transmitting apparatus for vehicle
CN105762901A (en) * 2014-11-06 2016-07-13 丝奈尔菲克斯株式会社 Adhesive wireless power supply apparatus
KR20210010590A (en) * 2014-04-18 2021-01-27 지이 하이브리드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Wireless power transmitting apparatus for vehicl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0807A (en) * 2014-04-18 2015-10-28 주식회사 한림포스텍 Wireless power transmitting apparatus for vehicle
KR20210010590A (en) * 2014-04-18 2021-01-27 지이 하이브리드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Wireless power transmitting apparatus for vehicle
CN105762901A (en) * 2014-11-06 2016-07-13 丝奈尔菲克斯株式会社 Adhesive wireless power supply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3007B1 (en) Mobile Device Cradle having Wireless Charging Function
US9570937B2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US9257866B2 (en) Wireless charging device
US9059592B2 (en) Fixing apparatus with wireless charging
KR101751389B1 (en) Smartphone case built in a wireless rechargeable auxiliary battery
KR101461101B1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for vehicle
US20150008875A1 (en) Wireless charging holder and assembly of electronic device and wireless charging holder
US20150137732A1 (en) Wireless charging storage stand
CN203537034U (en) Vehicle wireless charger
KR20170028137A (en) Cup shaped wireless charging apparatus for mobile device
CN103533122A (en) Multifunctional mobile phone bracket
WO2006099094A2 (en) Headset charging system with interchangeable charge devices
KR20170134999A (en) Smartphone Charging Device
KR20130020341A (en) Built-in contactless wireless charger using sticky adhesive material
KR200488549Y1 (en) A wireless charged spare battery and stand
WO2013011907A1 (en) Secondary-side power receiving apparatus, and charging stand and secondary-side power receiving apparatus
KR101364973B1 (en) Portable apparatus for supplying power supply in wireless manner
KR20140062837A (en) Portabl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and support type docking station for portabl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KR20130020342A (en) Built-in contactless wireless charger
KR200484841Y1 (en) Wireless charging apparatus of mobil device
EP2735935B1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KR101932225B1 (en) Wireless-chargable battery contained band and system for wirelessly charging battery of band
US20150069961A1 (en) Wireless charging device
KR2014005462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wirelessly charging portable terminal
KR20170142738A (en) Hybrid charger to charge using the USB and wired and wirele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