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9876A - 기상자료기반 고해상도 태양 기상자원지도 개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기상자료기반 고해상도 태양 기상자원지도 개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9876A
KR20130019876A KR1020110082156A KR20110082156A KR20130019876A KR 20130019876 A KR20130019876 A KR 20130019876A KR 1020110082156 A KR1020110082156 A KR 1020110082156A KR 20110082156 A KR20110082156 A KR 20110082156A KR 20130019876 A KR20130019876 A KR 201300198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meteorological
solar
solar radiation
re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21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준범
이규태
최영진
조일성
박영산
이승우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국립기상연구소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국립기상연구소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국립기상연구소장)
Priority to KR10201100821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19876A/ko
Priority to US13/588,597 priority patent/US20130046470A1/en
Publication of KR201300198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98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1/00Meteorolog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38Arrangements for parallely feeding a single network by two or more generators, converters or transformers
    • H02J3/381Dispersed gener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004Generation forecast, e.g. methods or systems for forecasting future energy gener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00/00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decentralized, dispersed, or local generation
    • H02J2300/20The dispersed energy generation being of renewable origin
    • H02J2300/22The renewable source being solar energy
    • H02J2300/24The renewable source being solar energy of photovoltaic orig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6Power conversion systems, e.g. maximum power point track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50Systems or methods supporting the power network operation or management, involving a certain degree of interaction with the load-side end user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상자료기반 고해상도 태양 기상자원지도 개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기상자료기반 고해상도 태양 기상자원지도 개발 방법은 지도상의 선정된 영역에 대하여 기 설정된 길이의 격자를 생성하여 상기 격자의 크기에 상응하는 해상도를 설정하는 단계; 지형 고도 자료 및 지표면의 알베도(albedo) 자료를 상기 격자의 크기에 상응하는 해상도로 변환하는 단계; 기상 자료를 상기 격자의 크기에 상응하는 해상도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변환된 지형 고도 자료, 상기 지표면의 알베도 자료 및 상기 기상자료를 이용하여 전천 일사량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계산한 전천 일사량을 일정기간 누적하는 단계; 및 상기 누적한 전천 일사량을 이용하여 태양 기상자원지도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기상자료기반 고해상도 태양 기상자원지도 개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DEVELOPING HIGH RESOLUTION SOLAR METEOROLOGICAL RESOURCE MAP BASED ON METEOROLOGICAL DATA}
본 발명은 태양 기상자원지도 개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상자료기반 고해상도 태양 기상자원지도 개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기후변화와 지구 온난화 및 에너지 고갈에 따른 대체 에너지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원자력 발전은 효율은 높으나 최근 쓰나미에 의한 일본 원전의 파괴와 방사능 누출로 인한 위험으로 추후 개발 및 이용에 어려움이 대두되고 있다. 또한, 풍력에너지 또는 태양에너지는 청정에너지로서 무한히 발전 가능한 신재생에너지로 부각되고 있으나, 그 효율성이 아직은 미진한 실정이다.
이와 같은 태양에너지 발전 시에는 태양발전시설의 입지선정이나 발전설비의 설치가 태양광 발전의 중요한 요소로서, 태양광 발전에 중요한 기초 자료로서 과거 관측자료를 이용하여 구성한 태양 기상자원지도가 사용되고 있다. 또한 태양 기상자원지도는 태양광 발전시설의 입지선정과 발전 사업자의 수익성 조사 및 운영 등에 이용된다.
태양광 발전 시설은 유동적이지 못하기 때문에 설비전 많은 타당성 및 수익성에 대한 조사가 필요로 하며, 특히 산악 또는 지형이 복잡한 지역의 태양광 발전에 있어서는 고해상도의 정보가 절실히 필요로 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작성된 일사량분포는 기후적이고 해상도가 아주 낮아 그 정확도에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지표면에 도달하는 태양에너지의 양에 대한 입력 자료 및 기상 자료를 이용하여 보다 정확도가 높은 고해상도의 태양 기상자원지도를 구성하여 에너지 발전 연구, 복사 관측 및 기후 자료 처리 등의 기본 연구에 사용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상자료기반 고해상도 태양 기상자원지도 개발 방법은, 지도상의 선정된 영역에 대하여 기 설정된 길이의 격자를 생성하여 상기 격자의 크기에 상응하는 해상도를 설정하는 단계; 지형 고도 자료 및 지표면의 알베도(albedo) 자료를 상기 격자의 크기에 상응하는 해상도로 변환하는 단계; 기상 자료를 상기 격자의 크기에 상응하는 해상도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변환된 지형 고도 자료, 상기 지표면의 알베도 자료 및 상기 기상자료를 이용하여 전천 일사량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계산한 전천 일사량을 일정기간 누적하는 단계; 및 상기 누적한 전천 일사량을 이용하여 태양 기상자원지도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상자료기반 고해상도 태양 기상자원지도 개발 장치는, 지도상의 선정된 영역에 대하여 기 설정된 길이의 격자를 생성하여 상기 격자의 크기에 상응하는 해상도를 설정하는 설정부; 지형 고도 자료 및 지표면의 알베도(albedo) 자료를 상기 격자의 크기에 상응하는 해상도로 변환하는 기초자료 처리부; 기상 자료를 상기 격자의 크기에 상응하는 해상도로 변환하는 기상자료 처리부; 상기 변환된 지형 고도 자료, 상기 지표면의 알베도 자료 및 상기 기상자료를 이용하여 전천 일사량을 계산하는 일사량 계산부; 상기 계산한 전천 일사량을 일정기간 누적하는 일사량 처리부; 및 상기 누적한 전천 일사량을 이용하여 태양 기상자원지도를 생성하는 태양 기상자원지도 생성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표면에 도달하는 태양에너지의 양에 대한 입력 자료 및 기상 자료를 이용하여 보다 정확도가 높은 고해상도의 태양 기상자원지도를 구성하여 에너지 발전 연구, 복사 관측 및 기후 자료 처리 등의 기본 연구에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상자료기반 고해상도 태양 기상자원지도 개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상자료기반 고해상도 태양 기상자원지도 개발 장치의 구성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상자료기반 고해상도 태양 기상자원지도 개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기상자료기반 고해상도 태양 기상자원지도 개발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해상도 태양 기상자원지도 개발 방법은, 지도상의 선정된 영역에 대하여 기 설정된 길이의 격자를 생성하여 상기 격자의 크기에 상응하는 해상도를 설정한다(S110).
이때, 예를 들어 한반도를 포함하는 33°N 내지 43°N, 123°E 내지 133°E 영역에 대하여 1km 또는 4km의 간격으로 상기 격자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격자의 크기에 상응하도록 해상도를 설정할 수 있다.
이후, 상기 공간격자의 크기에 상응하는 해상도로 내삽(Interpolation) 또는 외삽(Extrapolation)하여 변환한다(S120). 이때, 상기 지형 고도 자료 및 지표면의 알베도(albedo) 자료는 시간변화가 적은 기초자료이다.
예를 들어, 지형 고도 자료가 3초 간격(90m의 해상도)으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외삽하여 1km 격자인 해상도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지표면 알베도 자료가 30초 간격(900m의 해상도)으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외삽하여 1km 격자인 해상도로 변환할 수 있다.
이후, 기상 자료를 상기 격자의 크기에 상응하는 해상도로 변환한다(S130). 이때, 상기 기상 자료는 오존 자료, 에어로솔 자료, 수증기 자료, 기온 자료, 기압 자료, 해면 기압 자료 또는 구름 자료를 말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이와 같은 기상 자료를 시간에 따라 내삽(Interpolation) 또는 외삽(Extrapolation)하여 기 설정된 시간별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오존 자료는 AURA 위성의 OMI(Ozone Monitoring Instrument) 센서를 이용하여 관측된 일별, 1° × 1° 해상도의 자료를, 1시간 간격의 1km 해상도로 변환하고, 에어로솔 자료는 AQUA, TERA 위성의 MODIS(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 센서를 이용하여 관측된 일별, 1° × 1° 해상도의 자료를, 1시간 간격의 1km 해상도로 변환하며, 수증기 자료는 기상청 KLAPS 수치모델의 3시간별, 5km 간격의 수증기혼합비 및 기압 자료를 이용해 연직 누적하여 산출한 자료를, 1시간 간격의 1km 해상도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기온 자료, 기압 자료 및 해면 자료는 기상청 KLAPS 수치모델의 3시간별, 5km 간격의 자료를 1시간 간격의 1km 해상도로 변환하고, 구름 자료는 기상청에서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MTSAT-1R, MTSAT-2의 자료를 이용하여 구름을 판별하고 태양천정각과 위성자료 중 가시채널의 가시반사도와의 관계성을 이용하여 구름량을 산출하여 1시간 간격의 1km 해상도로 변환할 수 있다.
이후, 상기와 같이 변환된 지형 고도 자료, 상기 지표면의 알베도 자료 및 상기 기상자료를 이용하여 전천 일사량을 계산한다(S140). 이때, 상기 변환된 지형 고도 자료, 상기 지표면의 알베도 자료 및 상기 기상자료를 이용하여 직달 일사량과 산란 일사량을 계산하고, 이와 같이 계산한 직달 일사량 및 산란 일사량을 이용하여 전천 일사량을 계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계산한 전천 일사량을 일정기간 누적한다(S150). 이때, 계산한 전천 일사량을 일간, 월간 또는 연간으로 누적하며, 또한 직달 일사량 및 산란 일사량을 각각 따로 누적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누적한 전천 일사량을 이용하여 태양 기상자원지도를 생성할 수 있으며(S160), 그 뿐만 아니라 직달 일사량 또는 산란 일사량을 각각 이용하여 태양 기상자원지도를 생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생성된 태양 기상자원지도의 해상도를 변경하거나 단위를 변경하거나, 또는 보정값을 적용하는 등 사용 목적에 적합하도록 변형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상자료기반 고해상도 태양 기상자원지도 개발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상자료기반 고해상도 태양 기상자원지도 개발 장치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상자료기반 고해상도 태양 기상자원지도 개발 장치는 설정부(210), 기초자료 처리부(220), 기상자료 처리부(230), 일사량 계산부(240), 일사량 처리부(250) 및 태양 기상자원지도 생성부(260)를 포함한다.
설정부(210)는 지도상의 선정된 영역에 대하여 기 설정된 길이의 격자를 생성하여 상기 격자의 크기에 상응하는 해상도를 설정한다.
이때, 설정부(210)는 예를 들어 한반도를 포함하는 33°N 내지 43°N, 123°E 내지 133°E 영역에 대하여 1km 또는 4km의 간격으로 격자를 생성할 수 있으며, 격자의 크기에 상응하도록 해상도를 설정할 수 있다. 또 달리 설정부(210)는 정지궤도 위성에서 사용하는 격자의 크기로 상기 격자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기초자료 처리부(220)는 지형 고도 자료 및 지표면의 알베도(albedo) 자료를 상기 격자의 크기에 상응하는 해상도로 변환한다.
이때, 기초자료 처리부(220)는 시간에 따라 변화가 적은 기초자료의 처리과정으로 상기 지형 고도 자료 및 지표면의 알베도(albedo) 자료를 공간에 따라 내삽(Interpolation) 또는 외삽(Extrapolation)하여 변환할 수 있다. 기초자료 처리부(220)는 예를 들어, 지형 고도 자료가 3초 간격(90m의 해상도)으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외삽하여 1km 격자인 해상도로 변환하거나, 지표면 알베도 자료가 30초 간격(900m의 해상도)으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외삽하여 1km 격자인 해상도로 변환할 수 있다.
기상자료 처리부(230)는 기상 자료를 상기 격자의 크기에 상응하는 해상도로 변환한다.
기상자료 처리부(230)는 오존 자료, 에어로솔 자료, 수증기 자료, 기온 자료, 기압 자료, 해면 기압 자료 또는 구름 자료 등의 기상 자료를 상기 격자의 크기에 상응하는 해상도로 변환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기상자료 처리부(230)는 설정부(210)에서 1시간 간격의 1km 해상도로 설정한 경우에 기상 자료를 상기와 같은 1시간 간격의 1km 해상도로 설정한다.
일사량 계산부(240)는 상기와 같이 변환된 지형 고도 자료, 상기 지표면의 알베도 자료 및 상기 기상자료를 이용하여 전천 일사량을 계산한다. 이때, 일사량 계산부(240)는 상기와 같이 변환된 지형 고도 자료, 상기 지표면의 알베도 자료 및 상기 기상자료를 이용하여 직달 일사량과 산란 일사량을 계산하고, 이와 같이 계산한 직달 일사량 및 산란 일사량을 이용하여 전천 일사량을 계산할 수 있다.
일사량 처리부(250)는 상기와 같이 계산한 전천 일사량을 일정기간 누적한다.
이때, 일사량 처리부(250)는 계산한 전천 일사량을 일간, 월간 또는 연간으로 누적할 수 있으며, 또한 직달 일사량 및 산란 일사량을 각각 따로 누적할 수 있다.
태양 기상자원지도 생성부(260)는 상기와 같이 누적한 전천 일사량을 이용하여 태양 기상자원지도를 생성한다. 또한, 태양 기상자원지도 생성부(260)는 직달 일사량 또는 산란 일사량을 각각 이용하여 태양 기상자원지도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생성한 태양 기상자원지도의 해상도를 변경하거나 단위를 변경하거나, 또는 보정값을 적용하는 등 사용 목적에 적합하도록 변형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210: 설정부 220: 기초자료 처리부
230: 기상자료 처리부 240: 일사량 계산부
250: 일사량 처리부 260: 태양 기상자원지도 생성부

Claims (18)

  1. 지도상의 선정된 영역에 대하여 기 설정된 길이의 격자를 생성하여 상기 격자의 크기에 상응하는 해상도를 설정하는 단계;
    지형 고도 자료 및 지표면의 알베도(albedo) 자료를 상기 격자의 크기에 상응하는 해상도로 변환하는 단계;
    기상 자료를 상기 격자의 크기에 상응하는 해상도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변환된 지형 고도 자료, 상기 지표면의 알베도 자료 및 상기 기상자료를 이용하여 전천 일사량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계산한 전천 일사량을 일정기간 누적하는 단계; 및
    상기 누적한 전천 일사량을 이용하여 태양 기상자원지도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기상자료기반 고해상도 태양 기상자원지도 개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자의 크기에 상응하는 해상도를 설정하는 단계는,
    정지궤도 위성에서 사용하는 격자의 크기로 상기 격자를 생성하는 기상자료기반 고해상도 태양 기상자원지도 개발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자의 크기에 상응하는 해상도를 설정하는 단계는,
    한반도를 포함하는 33°N 내지 43°N, 123°E 내지 133°E 영역에 대하여 1km 또는 4km의 간격으로 상기 격자를 생성하는 기상자료기반 고해상도 태양 기상자원지도 개발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형 고도 자료 및 지표면의 알베도(albedo) 자료를 상기 격자의 크기에 상응하는 해상도로 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지형 고도 자료 및 지표면의 알베도(albedo) 자료를 공간에 따라 내삽(Interpolation) 또는 외삽(Extrapolation)하여 기 설정된 시간별로 변환하는 기상자료기반 고해상도 태양 기상자원지도 개발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상 자료를 상기 격자의 크기에 상응하는 해상도로 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기상 자료를 시간에 따라 내삽(Interpolation) 또는 외삽(Extrapolation)하여 기 설정된 시간별로 변환하는 기상자료기반 고해상도 태양 기상자원지도 개발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상 자료는,
    오존 자료, 에어로솔 자료, 수증기 자료, 기온 자료, 기압 자료, 해면 기압 자료 또는 구름 자료인 기상자료기반 고해상도 태양 기상자원지도 개발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산한 전천 일사량을 일정기간 누적하는 단계는,
    상기 계산한 전천 일사량을 일간, 월간 또는 연간으로 누적하는 기상자료기반 고해상도 태양 기상자원지도 개발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천 일사량을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변환된 지형 고도 자료, 상기 지표면의 알베도 자료 및 상기 기상자료를 이용하여 직달 일사량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변환된 지형 고도 자료, 상기 지표면의 알베도 자료 및 상기 기상자료를 이용하여 산란 일사량을 계산하는 단계; 및
    계산된 상기 직달 일사량 및 상기 산란 일사량을 이용하여 상기 전천 일사량을 계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기상자료기반 고해상도 태양 기상자원지도 개발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천 일사량을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전천 일사량을 기 설정된 시간별로 계산하는 기상자료기반 고해상도 태양 기상자원지도 개발 방법.
  10. 지도상의 선정된 영역에 대하여 기 설정된 길이의 격자를 생성하여 상기 격자의 크기에 상응하는 해상도를 설정하는 설정부;
    지형 고도 자료 및 지표면의 알베도(albedo) 자료를 상기 격자의 크기에 상응하는 해상도로 변환하는 기초자료 처리부;
    기상 자료를 상기 격자의 크기에 상응하는 해상도로 변환하는 기상자료 처리부;
    상기 변환된 지형 고도 자료, 상기 지표면의 알베도 자료 및 상기 기상자료를 이용하여 전천 일사량을 계산하는 일사량 계산부;
    상기 계산한 전천 일사량을 일정기간 누적하는 일사량 처리부; 및
    상기 누적한 전천 일사량을 이용하여 태양 기상자원지도를 생성하는 태양 기상자원지도 생성부
    를 포함하는 기상자료기반 고해상도 태양 기상자원지도 개발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부는,
    정지궤도 위성에서 사용하는 격자의 크기로 상기 격자를 생성하는 기상자료기반 고해상도 태양 기상자원지도 개발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부는,
    한반도를 포함하는 33°N 내지 43°N, 123°E 내지 133°E 영역에 대하여 1km 또는 4km의 간격으로 상기 격자를 생성하는 기상자료기반 고해상도 태양 기상자원지도 개발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자료 처리부는,
    상기 지형 고도 자료 및 지표면의 알베도(albedo) 자료를 공간에 따라 내삽(Interpolation) 또는 외삽(Extrapolation)하여 기 설정된 시간별로 변환하는 기상자료기반 고해상도 태양 기상자원지도 개발 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기상자료 처리부는,
    상기 기상 자료를 시간에 따라 내삽(Interpolation) 또는 외삽(Extrapolation)하여 기 설정된 시간별로 변환하는 기상자료기반 고해상도 태양 기상자원지도 개발 장치.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기상 자료는,
    오존 자료, 에어로솔 자료, 수증기 자료, 기온 자료, 기압 자료, 해면 기압 자료 또는 구름 자료인 기상자료기반 고해상도 태양 기상자원지도 개발 장치.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일사량 처리부는,
    상기 계산한 전천 일사량을 일간, 월간 또는 연간으로 누적하는 기상자료기반 고해상도 태양 기상자원지도 개발 장치.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일사량 계산부는,
    상기 변환된 지형 고도 자료, 상기 지표면의 알베도 자료 및 상기 기상자료를 이용하여 직달 일사량 및 산란 일사량을 계산하고, 계산된 상기 직달 일사량 및 상기 산란 일사량을 이용하여 상기 전천 일사량을 계산하는 기상자료기반 고해상도 태양 기상자원지도 개발 장치.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일사량 계산부는,
    상기 전천 일사량을 기 설정된 시간별로 계산하는 기상자료기반 고해상도 태양 기상자원지도 개발 장치.
KR1020110082156A 2011-08-18 2011-08-18 기상자료기반 고해상도 태양 기상자원지도 개발 방법 및 장치 KR2013001987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2156A KR20130019876A (ko) 2011-08-18 2011-08-18 기상자료기반 고해상도 태양 기상자원지도 개발 방법 및 장치
US13/588,597 US20130046470A1 (en) 2011-08-18 2012-08-17 Method and apparatus of developing high-resolution solar meteorological resource map based on meteorological dat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2156A KR20130019876A (ko) 2011-08-18 2011-08-18 기상자료기반 고해상도 태양 기상자원지도 개발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9876A true KR20130019876A (ko) 2013-02-27

Family

ID=47713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2156A KR20130019876A (ko) 2011-08-18 2011-08-18 기상자료기반 고해상도 태양 기상자원지도 개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30046470A1 (ko)
KR (1) KR20130019876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72736A1 (ko) * 2013-11-14 2015-05-21 대한민국(기상청장) 고해상도 지형자료 생성 방법 및 시스템
WO2016182104A1 (ko) * 2015-05-14 2016-11-17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신재생에너지 자원지도 생성 장치 및 방법
KR20160134948A (ko) * 2015-05-14 2016-11-24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일사량 누락 데이터 생성 장치 및 방법
KR20180079159A (ko) * 2016-12-30 2018-07-10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기상위성의 청천일사량 보정방법
KR20210023150A (ko) 2019-08-22 2021-03-04 대한민국(기상청 국립기상과학원장) 상세지형효과를 고려한 고해상도 태양광 기상자원 수치정보 산출 장치 및 그 방법
KR20220101534A (ko) * 2021-01-11 2022-07-19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태양광패널의 설치 위치 및 설치 각도 추천 방법
CN115165955A (zh) * 2022-06-01 2022-10-11 浙江大学 一种基于热量变化的地面材料反照率测试方法及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48175B (zh) * 2019-01-14 2020-11-03 广州地理研究所 基于气象数据的卫星遥感反照率缺失值反演方法
US11995565B2 (en) * 2020-04-07 2024-05-2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Road icing condition prediction for shaded road segments
CN112149365B (zh) * 2020-09-29 2023-06-30 华能新能源股份有限公司 一种微尺度风模型系统及方法
CN114444022A (zh) * 2021-12-24 2022-05-06 北京师范大学 反照率利用最佳空间等级的估算方法和系统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72736A1 (ko) * 2013-11-14 2015-05-21 대한민국(기상청장) 고해상도 지형자료 생성 방법 및 시스템
WO2016182104A1 (ko) * 2015-05-14 2016-11-17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신재생에너지 자원지도 생성 장치 및 방법
KR20160134948A (ko) * 2015-05-14 2016-11-24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일사량 누락 데이터 생성 장치 및 방법
KR20180079159A (ko) * 2016-12-30 2018-07-10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기상위성의 청천일사량 보정방법
KR20210023150A (ko) 2019-08-22 2021-03-04 대한민국(기상청 국립기상과학원장) 상세지형효과를 고려한 고해상도 태양광 기상자원 수치정보 산출 장치 및 그 방법
KR20220101534A (ko) * 2021-01-11 2022-07-19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태양광패널의 설치 위치 및 설치 각도 추천 방법
CN115165955A (zh) * 2022-06-01 2022-10-11 浙江大学 一种基于热量变化的地面材料反照率测试方法及系统
CN115165955B (zh) * 2022-06-01 2023-06-16 浙江大学 一种基于热量变化的地面材料反照率测试方法及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046470A1 (en) 2013-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19876A (ko) 기상자료기반 고해상도 태양 기상자원지도 개발 방법 및 장치
Merrouni et al. PV sites suitability analysis in the Eastern region of Morocco
Martín-Pomares et al. Analysis of the long-term solar potential for electricity generation in Qatar
Stökler et al. Solar resource assessment study for Pakistan
Wong et al. Estimation of Hong Kong’s solar energy potential using GIS and remote sensing technologies
Gulyaeva et al. GIM-TEC adaptive ionospheric weather assessment and forecast system
Lave et al. Solar variability of four sites across the state of Colorado
Kleissl et al. Recent Advances in Solar Variability Modeling and Solar Forecasting at UC San Diego
Kim et al. Toward improved solar irradiance forecasts: comparison of the global horizontal irradiances derived from the COMS satellite imagery over the Korean Peninsula
KR101288016B1 (ko) 지형효과를 적용한 태양복사모델의 구성 방법 및 장치
Liu et al. Blending satellite‐based snow depth products with in situ observations for streamflow predictions in the Upper Colorado River Basin
Guo et al. Analysis of the ionospheric equivalent slab thickness based on ground-based GPS/TEC and GPS/COSMIC RO measurements
Cristóbal et al. Validation of a Meteosat Second Generation solar radiation dataset over the northeastern Iberian Peninsula
Sengupta et al. Validation of the National Solar Radiation Database (NSRDB)(2005-2012)
Mauro et al. Mapping land use impact of photovoltaic farms via crowdsourcing in the Province of Lecce (Southeastern Italy)
Rice et al. Typhoon Melor and ionospheric weather in the Asian sector: A case study
Tripathy et al. Impact assessment of short-term variability of solar radiation in Rajasthan using SRRA data
Kim et al. Improving the usage of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s digital forecasts in agriculture: IV. Estimation of daily sunshine duration and solar radiation based on'Sky Condition'product
Ono et al. An investigation of extreme daily rainfall in the Mekong River Basin using a gridded precipitation dataset
Ma et al. Air temperature field distribution estimations over a Chinese mega-city using MODIS land surface temperature data: the case of Shanghai
KR102326375B1 (ko) 일사량 누락 데이터 생성 장치 및 방법
Yu et al. Effects of elevation and longitude on precipitation and drought on the Yunnan–Guizhou Plateau, China
Jain et al. Snow cover depletion under changed climate with the help of remote sensing and temperature data
Tsai et al. A near real-time phenomenological model of ionospheric electron density based on GPS radio occultation data
Mecikalski et al. The use of visible geostationary operational meteorological satellite imagery in mapping the water balance over Puerto Rico for water resource manag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