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9687A - 우산 - Google Patents

우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9687A
KR20130019687A KR1020110081796A KR20110081796A KR20130019687A KR 20130019687 A KR20130019687 A KR 20130019687A KR 1020110081796 A KR1020110081796 A KR 1020110081796A KR 20110081796 A KR20110081796 A KR 20110081796A KR 20130019687 A KR20130019687 A KR 201300196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coupled
line
alignment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17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79138B1 (ko
Inventor
오효미
Original Assignee
광주광역시 광산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주광역시 광산구 filed Critical 광주광역시 광산구
Priority to KR10201100817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9138B1/ko
Publication of KR201300196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96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91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91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19/00Special folding or telescoping of umbrellas
    • A45B19/10Special folding or telescoping of umbrellas with collapsible rib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02Umbrella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14Devices for opening and for closing umbrellas

Landscapes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산에 관한 것으로 우산대와, 우산대의 상단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되되 우산대를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게 결합된 슬라이더에 의하여 접힘 동작과 펼침 동작을 수행하도록 복수의 링크부재들로 이루어져 다단으로 접철가능하게 결합된 링크조립체들과, 링크조립체들에 결합되어 링크부재들의 접힘 동작과 펼침 동작에 의해 접히거나 펼쳐지는 방수포와, 방수포에 결합되어 링크조립체의 접힘 동작시 방수포에 접힘 라인을 형성되게 안내하는 안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우산에 의하면, 우산의 펼침 동작시에는 방수포의 장력에 의해 외형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펼쳐졌다가 우산의 접힘 동작시에는 정해진 위치에서 방수포를 접을 수 있도록 접힘 라인을 형성되게 하는 안내부에 의해 방수포의 정리가 용이하다.

Description

우산{Umbrella}
본 발명은 우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방수포의 정리가 용이한 우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산(雨傘)은 비 등을 피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우비(雨備)의 일종으로서,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간편하게 펴고 접을 수 있는 접철식 구조를 지니고 있다.
이러한 우산은 생산공장에서 우산대가 접혀진 상태로 출하되고, 이때 출하되는 우산은 방수포가 구겨지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외관을 보다 좋게 하기 위하여 방수포를 일정한 방향으로 말아서 정렬한 후 밴드 및 체결버튼을 사용하여 고정한다.
종래에는 우산의 방수포를 정렬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방수포를 일 방향으로 말은 후, 밴드 및 체결버튼을 이용하여 정렬상태를 고정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의 우산은 대중교통을 이용하거나 건물의 내부에 들어갈 때 사용자가 비에 젖은 방수포를 손으로 일일이 펴서 정리하는 데 불편함이 있을 뿐 아니라 상당한 시간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방수포를 정렬할 수 있는 시간적·장소적 여유가 없을 경우에는 주위사람들의 옷 또는 물품을 젖게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우산을 접을 때 방수포가 정해진 위치에서 라인을 형성되게 하여 방수포의 정리가 용이한 우산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우산은 우산대와, 상기 우산대의 상단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되되 상기 우산대를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게 결합된 슬라이더에 의하여 접힘 동작과 펼침 동작을 수행하도록 복수의 링크부재들로 이루어져 다단으로 접철가능하게 결합된 링크조립체들과, 상기 링크조립체들에 결합되어 상기 링크들의 접힘 동작과 펼침 동작에 의해 접히거나 펼쳐지는 방수포와, 상기 방수포에 결합되어 상기 링크조립체의 접힘 동작시 상기 방수포에 소정의 패턴이 형성되게 안내하는 안내부를 포함한다.
상기 링크조립체는 상기 우산대의 상단에 일 단이 결합되되 타 단이 상기 우산대와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도록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링크부재와 상기 제1링크부재의 타단에 일 단이 결합되되 타 단이 상기 제1링크부재와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도록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링크부재와 상기 제2링크부재의 단부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링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안내부는 인접하는 상기 링크조립체들 사이에서 상기 방수포의 영역을 분할하는 제1분할라인상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링크조립체들의 접힘 동작 시 상기 제1링크부재들 사이에서 상기 방수포가 외측으로 돌출되게 접혀지는 상부라인과 상기 제2링크부재들 사이에서 상기 방수포가 내측으로 인입되게 접혀지는 중앙라인과 상기 제3링크부재들 사이에서 상기 방수포가 외측으로 돌출되게 접혀지는 하부라인들 중 상기 하부라인을 따라 상기 방수포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제1정렬부재와, 상기 링크조립체들의 접힘 동작시 상기 제2링크부재와 상기 제3링크부재가 결합되는 결합부로부터 상기 하부라인에 각각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서 상기 방수포가 외측으로 돌출되게 접혀지는 제2분할라인을 각각 형성할 수 있게 상기 결합부로부터 상기 하부라인과 교차하는 방향을 향하여 상기 방수포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제2정렬부재들을 구비한다.
상기 안내부는 상기 중앙라인 내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제2링크부재들 사이의 영역을 점유하는 상기 방수포를 접어지게 하되 상기 방수포의 외측면이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접어지게 하는 제3정렬부재를 더 구비한다.
상기 하부라인과 상기 제2분할라인이 교차하는 지점에 설치되어 제1 내지 제3정렬부재를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며 상기 제1 내지 제3정렬부재의 유동범위를 각각 제한하는 결합브라켓을 더 구비하고, 상기 결합브라켓은 상기 제1 내지 제3정렬부재의 일 단이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체와, 상기 구체를 구속하여 내부에 수용할 수 있게 수용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링크조립체들의 접힘 동작시 상기 하부라인이 형성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1정렬부재가 회동되게 상기 제1정렬부재를 안내하는 제1슬릿과 상기 제2분할라인이 형성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2정렬부재가 회동되게 상기 제2정렬부재를 안내하는 제2슬릿들과 상기 중앙라인이 형성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3정렬부재가 회동되게 상기 제3정렬부재를 안내하는 제3슬릿이 형성된 하우징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우산에 의하면, 우산의 펼침 동작시에는 방수포의 장력에 의해 외형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펼쳐졌다가 우산의 접힘 동작시에는 정해진 위치에서 방수포를 접을 수 있도록 라인을 형성되게 하는 안내부에 의해 방수포의 정리가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우산을 펼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우산의 저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우산의 접은 상태를 도시한 부분절개확대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안내부를 발췌한 발췌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우산의 안내부를 발췌한 발췌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우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우산이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우산(1)은 우산대(10)와, 우산대(10)에 방사상으로 결합되는 링크조립체(20)들과, 링크조립체(20)들에 결합되는 방수포(30)와, 방수포(30)에 결합되는 안내부(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우산(1)은 2단 또는 3단 접이식 구조의 우산을 적용할 수 있고, 본 실시 예에서는 3단 접이식 구조를 갖는 우산에 적용하여 설명한다.
상기의 우산대(10)는 우산을 접을 때 길이의 신장이 가능하며 하부에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게 손잡이(11)가 형성된다.
방수포(30)는 링크조립체(20)들의 접힘 및 펼침 동작에 연동하여 펼쳐지거나 접어지며 방수 재질로 이루어진다.
링크조립체(20)는 우산대(10)의 상단에서 방사상으로 상호 이격되게 결합되며, 우산대(10)를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더(미도시)에 의하여 접힘 동작 및 펼침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의 링크조립체(20)는 제1링크부재(21)와, 제2링크부재(22)와 제3링크부재(23)를 포함한다.
제1링크부재(21)는 우산대(10)의 상단에 결합된 고정브라켓(미도시)에 설치되되 우산대(10)에 대하여 멀어지나 가까워지도록 접철되고, 제2링크부재(22)는 제1링크부재(21)의 타 단에 접철되며, 제3링크부재(23)는 제2링크부재(22)의 단부측에 접철될 수 있게 결합된다.
각 링크조립체(20)는 접힘 동작시 제1링크부재(21)와 제2링크부재(22)가 결합되는 제1결합부(24)가 하방을 향하도록 하고, 제2링크부재(22)와 제3링크부재(23)가 결합되는 제2결합부(25)가 상방을 향하도록 접철된다.
즉, 링크조립체(20)들의 펼침 동작시 제2링크부재(22)는 제1결합부(24)를 기준으로 제1링크부재(21)의 하방으로 더 이상 회전되지 않고, 제3링크부재(23)는 제2결합부(25)를 기준으로 제2링크부재(22)의 상방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결합된다.
우산대(10)의 상단에서 각 링크조립체(20)들의 제2결합부(25) 사이의 영역을 점유하는 방수포(30)의 일부 영역은 제1링크부재(21)와 제2링크부재(22)의 접힘 동작에 의하여 외부로부터 은폐되며, 제2결합부(25)에서 제3링크부재(23)의 단부 사이의 영역을 점유하는 방수포(30)의 나머지 영역은 외부로 노출된다.
안내부(40)는 링크조립체(20)의 접힘 동작시 방수포(30)를 정해진 방향을 따라 접힘 라인이 형성되게 하는 것으로 제1정렬부재(41)와 제2정렬부재(42)들을 포함한다. 상기의 접힘 라인은 후술하는 제1분할라인과 제2분할라인 및 그외 방수포에 형성된 복잡한 패턴의 라인들을 포함한다.
제1정렬부재(41) 및 제2정렬부재(42)는 링크조립체(20)들의 접힘 동작시 방수포(30)에 정해진 방향을 따라 라인이 형성될 수 있게 'U'자 형상과 유사한 완만한 곡선의 형태를 유지하다 링크조립체(20)들의 펼침 동작시에는 '一' 형태로 펼쳐질 수 있게 탄성력을 가지며, 방수포(30)의 내측면에 부착가능하도록 소정의 면적을 갖도록 형성된다.
제1 및 제2정렬부재(42)는 링크조립체(20)의 펼침 동작시 링크조립체(20)들과 제1 내지 제3링크부재(21,22,23)들에 의해 방수포(30)를 펼쳐지게 하는 힘에 의해 펼쳐질 수 있을 정도의 탄성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정렬부재(41) 및 제2정렬부재(42)는 방수포(30)의 내측면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부착되거나 재봉하여 결합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1정렬부재(41) 및 제2정렬부재(42)는 반복적인 접힘 및 펼침 동작에 의해서 탄성력이 소멸되지 않도록 내구성이 우수한 소재로 이루어진다.
제1정렬부재(41)는 링크조립체(20)들의 접힘 동작에 의해 방수포(30)가 접혀지는 부분에 자연적으로 형성되는 수많은 라인들 중 상호 인접하는 링크조립체(20)들 사이 영역의 방수포(30)를 양분하는 제1분할라인(31)상에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의 제1분할라인(31)은 제1링크부재(21)들 사이에서 방수포(30)가 외측으로 돌출되게 접혀지는 상부라인(31a)과, 상기 제2링크부재(22)들 사이에서 상기 방수포(30)가 내측으로 인입되게 접혀지는 중앙라인(31b)과, 상기 제3링크부재(23)들 사이에서 상기 방수포(30)가 외측으로 돌출되게 접혀지는 하부라인(31c)을 포함한다. 상기의 상부라인(31a), 중앙라인(31b) 및 하부라인(31c)은 일직선상으로 형성된다.
상기의 제1정렬부재(41)는 제3링크부재(23)들 사이 영역의 방수포(30)가 외부로 노출되는 방향으로 접어질 수 있게 하부라인(31c)을 따라 방수포(30)의 내측에 결합된다. 제1정렬부재(41)는 하부라인(31c) 상에 외주면(41a)이 방수포의 내측을 향하고 내주면(41b)이 우산대를 향하는 방향으로 부착된다.
제2정렬부재(42)는 제2링크부재(22)와 상기 제3링크부재(23)가 결합되는 제2결합부(25)로부터 하부라인(31c)에 경사지게 각각 교차하는 제2분할라인(32)을 형성하도록 제2결합부(25)로부터 하부라인(31c)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방수포(30)의 내측에 결합된다.
상기의 제1정렬부재(41)와 제2정렬부재(42)는 하부라인(31c)과 제2분할라인(32)들이 교차하는 교차지점(33)을 중심으로 'Y'자 상으로 배치되어 링크조립체(20)들의 접힘 동작시 교차지점(33)이 우산대(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모서리를 형성한다.
한편, 상기 중앙라인(31b)에는 링크조립체(20)들의 접힘 동작시 제2링크부재(22)들 사이 영역의 방수포(30)가 외측면이 상호 마주하는 방향으로 접힐 수 있도록 상기 방수포(30)의 내측면에 결합된다.
도 5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우산의 작동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산이 펼쳐진 상태에서 슬라이더를 우산대(10)를 따라 하방으로 잡아당기게 되면 제1링크부재(21)들 사이 영역의 방수포(30)의 외측면과 제2링크부재(22)들 사이 영역의 방수포(30)의 외측면이 서로 마주하게 되고, 제3링크부재(23)들 사이 영역의 방수포(30)의 외측면이 제2링크부재(22)들 사이 영역의 방수포(30) 내측면에 상호 마주하게 되는 3단 구조로 접히게 되며 접힘 과정에서 방수포(30)에 복잡한 라인들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제1정렬부재(41)는 방수포(30)에 발생하는 라인들 중 제3링크부재(23)들 사이에 하부라인(31c)이 형성되게 안내하며, 제2정렬부재(42)는 제2링크부재(22)와 제3링크부재(23)가 결합된 제2결합부(25)로부터 하부라인(31c)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제2분할라인(32)이 형성되게 안내하며, 제3정렬부재(43)는 제2링크부재(22)들 사이에 중앙라인(31b)이 형성되게 안내한다.
상기의 제3정렬부재(43)는 제1 및 제2정렬부재(41,42)와 동일형상 및 재질로 이루어지되 제1 및 제2정렬부재(41,42)의 부착방향과는 다르게 탄성력에 의해 접어질 때 상호 마주하는 내주면이 방수포(30)의 내측을 향하도록 부착된다.
제1 내지 제3정렬부재(41,42,43)는 우산의 접힘 동작시 방수포(30)에 발생하는 라인을 정렬되게 함으로써 방수포(30)의 정리를 용이하게 한다.
한편, 도 5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우산이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우산은 우산대(10)와, 상기 우산대(10)를 중심으로 접힘 및 펼침 동작이 가능한 링크조립체(20)들과, 링크조립체(20)들에 연결 설치되는 방수포(30) 및 링크조립체(20)들 사이에 설치되어 링크조립체(20)들의 접힘 동작시 방수포(30)에 라인을 형성시키는 안내부(50)를 포함한다.
상기 안내부(50)는 제1정렬부재(51), 제2정렬부재(52), 제3정렬부재(53) 및 결합브라켓(54)을 포함한다. 제1 내지 제3정렬부재(51,52,53)는 소정길이로 연장된 봉 형으로 형성되되 일 단에는 원형의 돌기(미도시)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1 내지 제3정렬부재(53)는 길이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할 때 휘어졌다가 원래의 상태로 복원 가능하도록 탄성을 갖는다. 제1 및 제2정렬부재(51,52)는 방수포(30)의 내측면에 상기 하부라인(31c)과 제2분할라인(32)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제3정렬부재(43)는 중앙라인(31b)을 따라 배치된다.
결합브라켓(54)은 제1 내지 제3정렬부재(51,52,53)의 일단을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것으로 하부라인(31c)과 제2분할라인(32)이 교차하는 지점에 배치되며 구체(55)와, 하우징(56)을 포함한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 구체(55)에는 제1 내지 제3정렬부재(43)의 일 단에 각각 마련된 돌기가 삽입될 수 있게 외주면에 중심부분을 향하여 인입된 복수의 끼움홈이 마련된다.
제1 내지 제3정렬부재(51,52,53)의 돌기는 끼움홈에 미끄럼접촉되면서 제1 내지 제3정렬부재(51,52,5353)들이 구체에 대하여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게 한다.
하우징(56)은 구체(55)를 구속하며 상기 구체(55)를 내부에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마련되고, 링크조립체(20)들의 접힘 동작시 제1분할라인(31)과 제2분할라인(32)들이 교차하는 교차지점(33)을 중심으로 하부라인(31c)이 형성되는 방향으로 제1정렬부재(51)를 회동시킬 수 있게 제1정렬부재(51)의 회동방향을 안내하는 제1슬릿(56a)과, 제2분할라인(32)이 형성되는 방향으로 제2정렬부재(52)를 회동시킬 수 있게 제2정렬부재(52)의 회동방향을 안내하는 제2슬릿(56b)들과, 중앙라인(31b)이 형성되는 방향으로 제3정렬부재(53)를 회동시킬 수 있게 제3정렬부재(53)의 회동방향을 안내하는 제3슬릿이 마련된다.
상기 제1슬릿(56a)은 도면을 기준으로 하우징(56)의 외주면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되고, 제2슬릿(56b)은 하우징(56)의 외주면 좌우방향으로 각각 형성되며, 제3슬릿은 하우징(56)의 중심을 기준으로 제1슬릿(56a)과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제1 내지 제3정렬부재(51,52,53)는 방수포(3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방수포(30)의 내주면에 결합되되 방수포(30)와 소정의 유격을 갖는 상태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우산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우산대 20 : 링크조립체
21 : 제1링크부재 22 : 제2링크부재
23 : 제3링크부재 24 : 제1결합부
25 : 제2결합부 30 : 방수포
31 : 제1분할라인 31a : 상부라인
31b : 중앙라인 31c : 하부라인
32 : 제2분할라인 40 : 안내부
41 : 제1정렬부재 42 : 제2정렬부재
43 : 제3정렬부재 54 : 결합브라켓
55 : 구체 56 : 하우징

Claims (4)

  1. 우산대와;
    상기 우산대의 상단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되되 상기 우산대를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게 결합된 슬라이더에 의하여 접힘 동작과 펼침 동작을 수행하도록 복수의 링크부재들로 이루어져 다단으로 접철가능하게 결합된 링크조립체들과;
    상기 링크조립체들에 결합되어 상기 링크부재들의 접힘 동작과 펼침 동작에 의해 접어지거나 펼쳐지는 방수포와;
    상기 방수포에 결합되어 상기 링크조립체의 접힘 동작시 상기 방수포에 접힘 라인이 형성되게 안내하는 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조립체는
    상기 우산대의 상단에 일 단이 결합되되 타 단이 상기 우산대와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도록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링크부재와 상기 제1링크부재의 타단에 일 단이 결합되되 타 단이 상기 제1링크부재와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도록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링크부재와 상기 제2링크부재의 단부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링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안내부는
    인접하는 상기 링크조립체들 사이에서 상기 방수포의 영역을 분할하는 제1분할라인상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링크조립체들의 접힘 동작 시 상기 제1링크부재들 사이에서 상기 방수포가 외측으로 돌출되게 접혀지는 상부라인과 상기 제2링크부재들 사이에서 상기 방수포가 내측으로 인입되게 접혀지는 중앙라인과 상기 제3링크부재들 사이에서 상기 방수포가 외측으로 돌출되게 접혀지는 하부라인들 중 상기 하부라인을 따라 상기 방수포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제1정렬부재와,
    상기 링크조립체들의 접힘 동작시 상기 제2링크부재와 상기 제3링크부재가 결합되는 결합부로부터 상기 하부라인에 각각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서 상기 방수포가 외측으로 돌출되게 접혀지는 제2분할라인을 각각 형성할 수 있게 상기 결합부로부터 상기 하부라인과 교차하는 방향을 향하여 상기 방수포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제2정렬부재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는
    상기 중앙라인 내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제2링크부재들 사이의 영역을 점유하는 상기 방수포를 접어지게 하되 상기 방수포의 외측면이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접어지게 하는 제3정렬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라인과 상기 제2분할라인이 교차하는 지점에 설치되어 제1 내지 제3정렬부재를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며 상기 제1 내지 제3정렬부재의 유동범위를 각각 제한하는 결합브라켓을 더 구비하고,
    상기 결합브라켓은
    상기 제1 내지 제3정렬부재의 일 단이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체와,
    상기 구체를 구속하여 내부에 수용할 수 있게 수용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링크조립체들의 접힘 동작시 상기 하부라인이 형성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1정렬부재가 회동되게 상기 제1정렬부재를 안내하는 제1슬릿과 상기 제2분할라인이 형성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2정렬부재가 회동되게 상기 제2정렬부재를 안내하는 제2슬릿들과 상기 중앙라인이 형성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3정렬부재가 회동되게 상기 제3정렬부재를 안내하는 제3슬릿이 형성된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KR1020110081796A 2011-08-17 2011-08-17 우산 KR1012791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1796A KR101279138B1 (ko) 2011-08-17 2011-08-17 우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1796A KR101279138B1 (ko) 2011-08-17 2011-08-17 우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9687A true KR20130019687A (ko) 2013-02-27
KR101279138B1 KR101279138B1 (ko) 2013-06-26

Family

ID=47897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1796A KR101279138B1 (ko) 2011-08-17 2011-08-17 우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913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4337B1 (ko) * 2014-01-14 2015-02-23 김동교 접힘이 가능한 우산
KR102036415B1 (ko) * 2017-10-20 2019-10-24 주식회사 동양지티에스 외부가 비정형 곡률인 건축물의 곡면형성을 위한 면 및 점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2828Y1 (ko) * 1999-09-18 2000-03-15 양문칠 우산
KR200268406Y1 (ko) * 2001-12-10 2002-03-16 정명래 접기가 용이한 커버 일체형의 우산
KR100792581B1 (ko) 2006-09-05 2008-01-09 김민아 우산포 자동정렬 우산
KR20110104635A (ko) * 2010-03-17 2011-09-23 김성환 접은 천의 각이 살아 있는 우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9138B1 (ko) 2013-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7475Y1 (ko) 텐트
US20120311768A1 (en) Sock with pairing device
US20170292286A1 (en) Tent frame and tent with slidably coupled top poles
KR101279138B1 (ko) 우산
TW201438634A (zh) 收折椅
JP7154345B2 (ja) 折り畳みスツール
KR20080065797A (ko)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텐트의 원단 길이 조절기
CN105962585A (zh) 一种伞具开合装置
CN204163469U (zh) 一种帐篷边脚的固定结构
KR200347258Y1 (ko) 텐트 또는 천막의 프레임 구조
KR100792581B1 (ko) 우산포 자동정렬 우산
KR101195096B1 (ko) 슬라이드 방식의 접이식 우산
KR100650177B1 (ko) 파라솔의 그늘막 개폐구조
KR200385637Y1 (ko) 우산천 연결구조
KR20200000789U (ko) 자동 접힘 구조를 가지는 접이식 우산
KR101078014B1 (ko) 우산 구조체
WO2017067128A1 (zh) 帐篷
KR960003026Y1 (ko) 우산
CN205728490U (zh) 一种伞具的下巢
KR20100029614A (ko) 자동우산
KR102031498B1 (ko) 안전 우산
KR200477311Y1 (ko) 바람에 대한 저항력이 향상된 우산
KR200317335Y1 (ko) 바닥천의 탈착이 가능토록 된 원터치 텐트
KR200255857Y1 (ko) 절첩식 파라솔
TWI540980B (zh) 擴大傘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