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9229A - 배전계통 고장구간 검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배전계통 고장구간 검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9229A
KR20130019229A KR1020110081265A KR20110081265A KR20130019229A KR 20130019229 A KR20130019229 A KR 20130019229A KR 1020110081265 A KR1020110081265 A KR 1020110081265A KR 20110081265 A KR20110081265 A KR 20110081265A KR 20130019229 A KR20130019229 A KR 201300192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fuzzy
data
magnitude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12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68608B1 (ko
Inventor
권성철
윤상윤
추철민
손주환
김병구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100812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8608B1/ko
Priority to PCT/KR2011/006080 priority patent/WO2013024924A1/ko
Publication of KR201300192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92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86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86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8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 G01R31/081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 G01R31/086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in power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networks, i.e. with interconnected conduc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8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02Detai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8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 G01R31/088Aspects of digital compu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50Systems or methods supporting the power network operation or management, involving a certain degree of interaction with the load-side end user applications
    • Y04S10/52Outage or fault management, e.g. fault detection or loc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배전계통에 설치된 복수의 자동화 개폐기들의 영상전류 데이터를 근거로 퍼지 로직을 수행하여 고장구간을 검출하도록 한 배전계통 고장구간 검출 장치 및 방법이 제시된다. 제시된 배전계통 고장구간 검출 장치는 데이터 통신 프로세서 또는 피더 FEP를 통해 복수의 배전자동화 단말장치에서 발생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장 표시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수신부를 통해 수신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장 표시 신호 중에서 영상전류에 의해 발생한 고장 표시 신호를 필터링한 고장 표시 신호를 근거로 배전계통의 고장구간을 검출하는 검출부; 및 검출부에서 검출한 배전계통의 고장구간을 단말장치 또는 배전자동화 메인 서버로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배전계통 고장구간 검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A FAULT SECTION IN DISTRIBUTION SYSTEM}
본 발명은 배전계통 고장구간 검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전계통의 선로에서 고장발생시 선로 복구를 위해 고장구간을 검출하는 배전계통 고장구간 검출 장치 및 방법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전계통 고장구간 검출 시스템은 배전계통에서 고장이 발생하면 배전선로에 설치된 복수의 배전자동화 단말장치(이하, FRTU(feeder remote terminal unit))에서 감지하는 고장전류를 근거로 배전선로의 고장구간을 검출한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전계통 현장의 상태 데이터를 취득하는 FRTU(10)는 배전계통의 고장 발생시 발생하는 고장전류를 감지한다. 고장전류를 감지한 FRTU(10)는 배전자동화 메인 서버(30; DAS Server)와 FRTU(10) 간의 통신제어를 담당하는 피더 FEP(20; feeder front end processor)로 고장 표시 신호(이하, FI(fault indication) 신호)를 전송한다. 피더 FEP(20)는 FRTU(10)들로부터 수신한 FI 신호를 배전자동화 메인 서버(30)에 전송한다. 배전자동화 메인 서버(30)는 미들웨어 기능에 의해 피더 FEP(20)로부터 수신한 FI 신호를 실시간 데이터베이스(32)에 전송 및 저장한다. 동시에, 배전자동화 메인 서버(30)는 운전원의 단말장치(40)로 FI 신호를 전송하고, 단말장치(40)는 수신한 FI 신호를 FI 알람으로 화면표시한다. 운전원은 화면에 표시되는 FI 알람을 확인하여 배전계통의 고장구간을 파악하며 건전구간 복구를 위한 절차를 수행한다.
종래의 배전계통 고장구간 검출 시스템은 FRTU(10)의 FI 신호의 발생에 전적으로 의존하여 배전계통의 고장구간을 검출한다. 이때, 방사상으로 운영되는 배전계통의 특성상 고장이 발생하면 전원과 고장점 사이의 구간들에 고장전류가 흐르게 된다. 종래의 배전계통 고장구간 검출 시스템에서는 고장 발생시 전원과 고장점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FRTU(10) 들만 고장전류를 감지하여 FI 신호를 발생한다. 따라서, 고장구간 이후에 설치되어 있는 FRTU(10)들에서는 고장전류가 감지되지 않기 때문에 FI 신호를 피더 FEP(20)로 전송하지 않는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전계통에는 배전선로(70)를 따라 차단기(50; 이하, CB), 복수의 개폐기(60; 이하, SW)가 설치된다. 이때, SW2(60b)와 SW3(60c) 사이에서 고장이 발생하여 CB(50)와 SW2(60b)사이의 배전선로(70)에 고장전류(80)가 흐르게 되면 CB(50), SW1(60a) 및 SW2(60b)에 설치된 FRTU(10)에서는 고장전류(80)를 감지하여 FI 신호를 발생한다. 이때, 고장전류(80)가 감지되지 않는 SW3(60c) 및 SW4(60d)에 설치되어 있는 FRTU(10)에서는 FI 신호가 발생하지 않는다. CB(50), SW1(60a) 및 SW2(60b)에 설치된 FRTU(10)들은 피더 FEP(20)를 통해 배전자동화 메인 서버(30)로 FI 정보를 전송하고, 배전자동화 메인 서버(30)는 수신한 FI 정보를 운전원의 단말장치(40)에게로 전달된다. 운전원은 마지막으로 FI 신호가 발생한 SW2(60b)와 고장표시 신호가 발생하지 않은 SW3(60c) 사이를 고장구간으로 판단한다. 따라서 운전원은 이 구간을 제외한 나머지 건전 구간에 대한 정전 복구 절차를 수행한다. 이처럼, 종래의 배전계통 고장구간 검출 시스템은 FI 신호가 발생한 부분과 발생하지 않은 부분으로 구분하여 고장구간을 판정하는 'YES-NO 판정기법'을 이용하여 배전계통의 고장구간을 검출한다.
그런데, 종래의 배전계통 고장구간 검출 시스템은 배전계통에 1선 지락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 고장점에서 전원까지의 구간뿐만 아니라 고장구간 이후의 구간에 대해서도 3상 불평형 전류가 흐르게 되고 이로 인해 고장구간 이후에 있는 중성선(N상) 고장 표시기가 오동작하게 되어 고장구간을 정확하게 검출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설명하기 위해 도 2에 도시된 배전계통에 대해 일반적인 국내 배전계통(22.9kV 전압계통)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고장전류(80) 발생을 모의한 결과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파형을 얻었다. 도 3은 1선 지락 고장 발생 시 고장구간 전원측 개폐기(60)인 SW2(60b)와 부하측 개폐기(60)인 SW3(60c)의 상전류 및 영상전류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A상 지락 고장 발생시 고장구간 이전의 배전선로(70)에는 A상으로 큰 고장전류(80)가 흐르게 되고, 큰 고장 전류로 인해 선로는 불평형 상태가 된다. 따라서, 불평형 상태인 1선 지락 고장 발생시 전류의 합은 0이 아니라 고장점에서 대지로 빠져나가는 전류값이 되고 이는 중성선(N상)에 흐르는 전류가 된다. 고장구간 이후에 연결되어 있는 선로에는 A상의 전류가 거의 흐르지 않기 때문에 부하측 또한 3상 불평형 상태가 되고, N상에 3상 불평형 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러한 불평형 전류로 인해 고장구간 이후에 설치되어 있는 N상 고장표시기가 오동작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종래의 배전계통 고장구간 검출 시스템에서는 FRTU(10)에서 발생한 FI 신호를 그대로 운전원에게 전달하여 고장구간을 검출하기 때문에 영상전류 등에 의해 운전원에게 잘못된 FI 신호가 전달되는 경우가 발생하여 운전원에 의한 실제 고장구간의 판정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즉, 완전 지락고장(bolted ground fault)이 발생하는 경우 영상전류의 크기차이(고장구간의 전원측 FRTU(10)와 부하측 FRTU(10)가 경험하는 영상전류의 차이)가 육안으로 구분될 수 있을 정도로 확실하게 나타난다. 하지만, 고장 발생시 운전원은 고장전류(80)의 크기를 보고 고장구간을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FI 신호에 의해 판단하기 때문에 전류의 크기 차이는 의미가 없을 수 있다. 이것은 단일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 및 다중 지점의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 더욱 그렇다. 또한, 계통의 대부분의 지락고장은 고장점 임피던스(fault impedance)가 존재하는 상태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전원측의 영상전류와 부하측의 영상전류 차이가 작게 발생하기 때문에, 운전원은 FI 신호 오류를 찾기가 더욱 어려울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방사상으로 운영되는 배전계통에서 고장 발생시 배전계통에 설치된 복수의 자동화 개폐기들의 영상전류 데이터를 근거로 퍼지 로직을 수행하여 고장구간을 검출하도록 한 배전계통 고장구간 검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계통 고장구간 검출 장치는, 복수의 배전자동화 단말장치가 데이터 통신 프로세서 또는 피더 FEP와 연결되고, 데이터 통신 프로세서 또는 피더 FEP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배전계통의 고장구간을 검출하여 운전원의 단말장치 또는 배 전자동화 메인 서버로 전송하는 배전계통 고장구간 검출 장치에 있어서, 데이터 통신 프로세서 또는 피더 FEP를 통해 복수의 배전자동화 단말장치에서 발생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장 표시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수신부를 통해 수신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장 표시 신호 중에서 영상전류에 의해 발생한 고장 표시 신호를 필터링한 고장 표시 신호를 근거로 배전계통의 고장구간을 검출하는 검출부; 및 검출부에서 검출한 배전계통의 고장구간을 단말장치 또는 배전자동화 메인 서버로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한다.
수신부는, 배전계통의 각 구간별 전원측 및 부하측 스위치에 설치된 배전자동화 단말장치에서 측정된 개폐기의 영상전류를 포함하는 고장 표시 신호를 데이터 통신 프로세서 또는 피더 FEP로부터 수신한다.
검출부는, 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고장 표시 신호에 포함된 개폐기의 영상전류의 물리적 크기를 퍼지화하여 퍼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퍼지화 모듈; 퍼지화 모듈에서 퍼지화된 퍼지 데이터를 근거로 Min-Max Composition을 이용한 퍼지 추론을 수행하는 퍼지 추론 모듈; 및 퍼지 추론 모듈에서의 퍼지 추론 결과를 비퍼지화하여 배전계통의 고장구간을 검출하는 비퍼지화 모듈을 포함한다.
퍼지화 모듈은, 각 구간의 전원측 개폐기 영상전류 및 부하측 개폐기 영상전류의 크기에 대한 퍼지 데이터를 생성한다.
퍼지화 모듈은, 조건부 멤버쉽 함수를 이용하여 전원측 개폐기 영상전류 및 부하측 개폐기 영상전류를 크다(Big), 작다(Small), 보통(Medium) 중에 적어도 하나의 성분으로 구분한 퍼지 데이터를 생성하되, 퍼지 데이터에 포함된 성분들의 성분값들은 0 이상 1 이하로 설정된다.
퍼지화 모듈은, 영상전류의 크기가 500A 이하이면 작다(Small) 성분으로 구분하고, 영상전류의 크기가 40A 이상 1000A 이하이면 보통(Medium) 성분으로 구분하고, 영상전류의 크기가 500A 이상이면 크다(Big) 성분으로 구분하는 조건부 멤버쉽 함수를 이용하여 퍼지 데이터를 생성하되, 하나의 영상전류에 대한 각 성분들에 대한 성분값의 합이 1이 되도록 설정된다.
퍼지화 모듈은, 영상전류의 크기가 0A 이상 40A 이하이면 작다(Small) 성분의 성분값을 1로 설정하고, 영상전류의 크기가 500A이면 작다(Small) 성분의 성분값을 0으로 설정하고, 영상전류의 크기가 40A 초과 500A 미만이면 작다(Small) 성분의 성분값을 영상전류의 크기에 비례하여 감소하는 값으로 설정하되 0 초과 1 미만의 성분값으로 설정한다.
퍼지화 모듈은, 영상전류의 크기가 40A 또는 1000A이면 보통(Medium) 성분의 성분값을 0으로 설정하고, 영상전류의 크기가 500A이면 보통(Medium) 성분의 성분값을 1로 설정하고, 영상전류의 크기가 40A 이상 500A 미만이면 보통(Medium) 성분의 성분값을 영상전류의 크기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값으로 설정하되 0 초과 1 미만의 성분값으로 설정하고, 영상전류의 크기가 500A 초과 1000A 미만이면 보통(Medium) 성분의 성분값을 영상전류의 크기에 비례하여 감소하는 값으로 설정하되 0 초과 1 미만의 성분값으로 설정한다.
퍼지화 모듈은, 영상전류의 크기가 500A이면 크다(Big) 성분의 성분값을 0으로 설정하고, 영상전류의 크기가 1000A 이상이면 크다(Big) 성분의 성분값을 1로 설정하고, 영상전류의 크기가 500A 초과 1000A 미만이면 크다(Big) 성분의 성분값을 영상전류의 크기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값으로 설정하되 0 초과 1 미만의 성분값으로 설정한다.
퍼지 추론 모듈은, 퍼지화 모듈에서 생성된 전원측 개폐기 영상전류 및 부하측 개폐기 영상전류에 대한 퍼지 데이터를 퍼지 룰과 비교하여 낮다(Low), 보통(Medium), 높다(High) 중에 적어도 하나의 성분을 0 이상 1 이하의 성분값으로 설정하여 하나의 영상전류에 포함된 성분들의 성분값의 합이 1이 되는 퍼지 추론 데이터를 생성하되, 퍼지 추론 데이터를 이용하여 배전계통의 각 구간에 대해 설정된 성분값에 해당하는 결론부 멤버쉽 함수의 면적을 산출한다.
퍼지 추론 모듈은, 전원측 개폐기의 퍼지 데이터의 성분이 작다(Small) 성분이거나 부하측 개폐기의 퍼지 데이터의 성분이 크다(Big) 성분이면 낮다(Low) 성분으로 분류하고, 전원측 개폐기의 퍼지 데이터의 성분이 보통(Medium) 성분이고 부하측 개폐기의 퍼지 데이터의 성분이 작다(Small) 성분이거나, 전원측 개폐기의 퍼지 데이터의 성분이 크다(Big) 성분이고 부하측 개폐기의 퍼지 데이터의 성분이 보통(Medium) 성분이면 보통(Medium) 성분으로 분류하고, 전원측 개폐기의 퍼지 데이터의 성분 및 부하측 개폐기의 퍼지 데이터의 성분이 모두 보통(Medium) 성분이면 낮다(Low) 성분으로 분류하고,
전원측 개폐기의 퍼지 데이터의 성분이 크다(Big) 성분이고 부하측 개폐기의 퍼지 데이터의 성분이 작다(Small) 성분이면 높다(High) 성분으로 분류하는 퍼지 롤을 이용하여 퍼지 추론 데이터를 생성한다.
비퍼지화 모듈은, 퍼지 추론 모듈에서 산출한 각 구간의 면적에 대한 무게중심을 산출하고, 산출한 각 구간의 무게중심 중에서 가장 큰 무게중심을 갖는 구간을 고장구간으로 검출한다.
비퍼지화 모듈은, 각 구간의 무게중심을 하기의 수학식에 의해 산출한다.
Figure pat00001
(여기서, xi는 결론부 퍼지 멤버쉽 함수의 x축값이고, f(xi)는 xi에 해당하는 결론부 퍼지 멤버쉽 함수의 y축 값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계통 고장구간 검출 방법은, 복수의 배전자동화 단말장치가 데이터 통신 프로세서 또는 피더 FEP와 연결되고, 데이터 통신 프로세서 또는 피더 FEP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배전계통의 고장구간을 검출하여 운전원의 단말장치 또는 배전자동화 메인 서버로 전송하는 배전계통 고장구간 검출 장치를 이용한 배전계통 고장구간 검출 방법에 있어서, 데이터 통신 프로세서 또는 피더 FEP를 통해 복수의 배전자동화 단말장치에서 발생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장 표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한 고장 표시 신호에 포함된 개폐기의 영상전류의 물리적 크기를 퍼지화하여 퍼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생성된 퍼지 데이터를 근거로 Min-Max Composition을 이용한 퍼지 추론을 수행하는 단계; 퍼지 추론 결과를 비퍼지화하여 배전계통의 고장구간을 검출하는 단계; 및 검출한 배전계통의 고장구간을 단말장치 또는 배전자동화 메인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수신하는 단계에서는, 배전계통의 각 구간별 전원측 및 부하측 스위치에 설치된 배전자동화 단말장치에서 측정된 개폐기의 영상전류를 포함하는 고장 표시 신호를 데이터 통신 프로세서 또는 피더 FEP로부터 수신한다.
퍼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에서는, 각 구간의 전원측 개폐기 영상전류 및 부하측 개폐기 영상전류의 크기에 대한 퍼지 데이터를 생성한다.
퍼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에서는, 조건부 멤버쉽 함수를 이용하여 전원측 개폐기 영상전류 및 부하측 개폐기 영상전류를 크다(Big), 작다(Small), 보통(Medium) 중에 적어도 하나의 성분으로 구성되는 퍼지 데이터를 생성하되, 퍼지 데이터에 포함된 성분값들은 0 이상 1 이하로 설정된다.
퍼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에서는, 영상전류의 크기가 500A 이하이면 작다(Small) 성분으로 구분하고, 영상전류의 크기가 40A 이상 1000A 이하이면 보통(Medium) 성분으로 구분하고, 영상전류의 크기가 500A 이상이면 크다(Big) 성분으로 구분하는 조건부 멤버쉽 함수를 이용하여 퍼지 데이터를 생성하되, 하나의 영상전류에 대한 각 성분들에 대한 성분값의 합이 1이 되도록 설정된다.
퍼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에서는, 영상전류의 크기가 0A 이상 40A 이하이면 작다(Small) 성분의 성분값을 1로 설정하고, 영상전류의 크기가 500A이면 작다(Small) 성분의 성분값을 0으로 설정하고, 영상전류의 크기가 40A 초과 500A 미만이면 작다(Small) 성분의 성분값을 영상전류의 크기에 비례하여 감소하는 값으로 설정하되 0 초과 1 미만의 성분값으로 설정한다.
퍼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에서는, 영상전류의 크기가 40A 또는 1000A이면 보통(Medium) 성분의 성분값을 0으로 설정하고, 영상전류의 크기가 500A이면 보통(Medium) 성분의 성분값을 1로 설정하고, 영상전류의 크기가 40A 이상 500A 미만이면 보통(Medium) 성분의 성분값을 영상전류의 크기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값으로 설정하되 0 초과 1 미만의 성분값으로 설정하고, 영상전류의 크기가 500A 초과 1000A 미만이면 보통(Medium) 성분의 성분값을 영상전류의 크기에 비례하여 감소하는 값으로 설정하되 0 초과 1 미만의 성분값으로 설정한다.
퍼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에서는, 영상전류의 크기가 500A이면 크다(Big) 성분의 성분값을 0으로 설정하고, 영상전류의 크기가 1000A 이상이면 크다(Big) 성분의 성분값을 1로 설정하고, 영상전류의 크기가 500A 초과 1000A 미만이면 크다(Big) 성분의 성분값을 영상전류의 크기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값으로 설정하되 0 초과 1 미만의 성분값으로 설정한다.
퍼지 추론을 수행하는 단계는, 퍼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에서 생성된 전원측 개폐기 영상전류 및 부하측 개폐기 영상전류에 대한 퍼지 데이터를 퍼지 룰과 비교하여 낮다(Low), 보통(Medium), 높다(High) 중에 적어도 하나의 성분을 0 이상 1 이하의 성분값으로 설정하여 하나의 영상전류에 포함된 성분들의 성분값의 합이 1이 되는 퍼지 추론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퍼지 추론 데이터를 이용하여 배전계통의 각 구간에 대해 설정된 성분값에 해당하는 결론부 멤버쉽 함수의 면적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퍼지 추론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에서는, 전원측 개폐기의 퍼지 데이터의 성분이 작다(Small) 성분이거나 부하측 개폐기의 퍼지 데이터의 성분이 크다(Big) 성분이면 낮다(Low) 성분으로 분류하고, 전원측 개폐기의 퍼지 데이터의 성분이 보통(Medium) 성분이고 부하측 개폐기의 퍼지 데이터의 성분이 작다(Small) 성분이거나, 전원측 개폐기의 퍼지 데이터의 성분이 크다(Big) 성분이고 부하측 개폐기의 퍼지 데이터의 성분이 보통(Medium) 성분이면 보통(Medium) 성분으로 분류하고, 전원측 개폐기의 퍼지 데이터의 성분 및 부하측 개폐기의 퍼지 데이터의 성분이 모두 보통(Medium) 성분이면 낮다(Low) 성분으로 분류하고, 전원측 개폐기의 퍼지 데이터의 성분이 크다(Big) 성분이고 부하측 개폐기의 퍼지 데이터의 성분이 작다(Small) 성분이면 높다(High) 성분으로 분류하는 퍼지 롤을 이용하여 퍼지 추론 데이터를 생성한다.
배전계통의 고장구간을 검출하는 단계는, 퍼지 추론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에서 산출한 각 구간의 면적에 대한 무게중심을 산출하는 단계; 및 산출한 각 구간의 무게중심 중에서 가장 큰 무게중심을 갖는 구간을 고장구간으로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무게중심을 산출하는 단계에서는, 각 구간의 무게중심을 하기의 수학식에 의해 산출한다.
Figure pat00002
(여기서, xi는 결론부 퍼지 멤버쉽 함수의 x축값이고, f(xi)는 xi에 해당하는 결론부 퍼지 멤버쉽 함수의 y축 값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배전계통 고장구간 검출 장치 및 방법은 배전계통의 고장발생시 복수의 자동화 개폐기들의 영상전류 데이터를 근거로 퍼지 로직을 수행하여 고장구간을 검출함으로써, 영상전류에 의한 고장표시 오류 및 이를 통한 운전원의 고장구간 검출이 어려운 종래기술에 비해 정확하고 신속하게 고장구간을 검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배전계통 고장구간 검출 장치 및 방법은 배전계통의 고장발생시 복수의 자동화 개폐기들의 영상전류 데이터를 근거로 퍼지 로직을 수행하여 고장구간을 검출함으로써, 운전원이 직접 고장구간 판정을 하는 종래기술에 비해 운전원이 더욱 효과적으로 고장구간 검출하여 복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배전계통 고장구간 검출 장치 및 방법은 배전계통의 고장발생시 복수의 자동화 개폐기들의 영상전류 데이터를 근거로 퍼지 로직을 수행하여 고장구간을 검출함으로써, 종래기술에 비해 운전원의 고장구간 탐색 시간이 줄어듦으로써 고장 복구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배전계통 고장구간 검출 장치 및 방법은 배전계통의 고장발생시 복수의 자동화 개폐기들의 영상전류 데이터를 근거로 퍼지 로직을 수행하여 고장구간을 검출함으로써, 통계적으로 발생사고의 약 80%를 차지하는 1선 지락사고시 고장점 복구시간의 단축을 통해 정전시간을 단축하여 정정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종래의 배전계통 고장구간 검출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계통 고장구간 검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계통 고장구간 검출 장치를 포함하는 배전계통 고장구간 검출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도 5의 퍼지 추론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계통 고장구간 검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0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계통 고장구간 검출 장치 및 방법을 적용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에 앞서 종래기술과 본 발명과의 차이점을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배경기술에서 언급한 종래의 배전계통 고장구간 검출 시스템 및 방법(즉, YES-NO 판정 방법)에서는 배전자동화 단말장치(이하, FRTU라 함)에 의해 계측된 고장 표시 신호(이하, FI 신호)에 오류가 없다는 가정하에 운전원이 FI 신호를 근거로 고장구간을 판단한다. 반면, 본 발명에서는 측정된 FI 신호에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는 가정하에 배전계통 고장구간 검출 장치에서 오류가 발생한 FI 신호를 필터링하여 오류가 없는 FI 신호만을 근거로 퍼지 로직을 통해 배전계통의 고장구간을 검출하여 운전원에게 제공하는 것에서 차이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계통 고장구간 검출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계통 고장구간 검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계통 고장구간 검출 장치를 포함하는 배전계통 고장구간 검출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5의 퍼지 추론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전계통 고장구간 검출 장치(100)는 수신부(120), 퍼지화 모듈(142)과 퍼지 추론 모듈(144) 및 비퍼지화 모듈(146)을 포함하는 검출부(140), 송신부(160)로 구성된다. 배전계통 고장구간 검출 장치(100)는 복수의 배전자동화 단말장치(10; 이하, FRTU)와 연결된 데이터 통신 프로세서 또는 피더 FEP(2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배전계통의 고장구간을 검출하고, 운전원의 단말장치(40) 또는 배전자동화 메인 서버(30)로 검출한 고장구간을 전송한다. 이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전계통 고장구간 검출 장치(100)는 별도의 장치로 구성되어 데이터 통신 프로세서 또는 피더 FEP(20)으로부터 고장 표시 신호(이하, FI 신호)를 수신하고, 검출한 고장구간을 운전원의 단말장치(40) 또는 배 전자동화 메인 서버로 전송한다. 물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전계통 고장구간 검출 장치(100)는 모듈로 구성되어 배전자동화 메인 서버(30) 내에 설치될 수도 있다.
수신부(120)는 데이터 통신 프로세서 또는 피더 FEP(20)를 통해 복수의 배전자동화 단말장치에서 발생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장 표시 신호를 수신한다. 이때, 수신부(120)는 배전계통의 각 구간별 전원측 및 부하측 스위치에 설치된 배전자동화 단말장치에서 측정된 개폐기의 영상전류를 포함하는 고장 표시 신호를 데이터 통신 프로세서 또는 피더 FEP(20)로부터 수신한다. 즉, 수신부(120)는 각 구간별로 전원측 스위치의 FRTU(10)에서 감지된 영상전류와 부하측 스위치의 FRTU(10)에서 감지된 영상전류를 수신한다.
검출부(140)는 수신부(120)를 통해 수신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장 표시 신호 중에서 영상전류에 의해 발생한 고장 표시 신호를 필터링한 고장 표시 신호를 근거로 배전계통의 고장구간을 검출한다. 이를 위해, 검출부(140)는 퍼지화 모듈(142)과 퍼지 추론 모듈(144) 및 비퍼지화 모듈(14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퍼지화 모듈(142)은 수신부(120)를 통해 수신되는 고장 표시 신호에 포함된 개폐기의 영상전류의 물리적 크기를 퍼지화하여 퍼지 데이터를 생성한다. 즉, 퍼지화 모듈(142)은 각 구간의 전원측 개폐기 영상전류 및 부하측 개폐기 영상전류의 크기에 대한 퍼지 데이터를 생성한다. 즉, 퍼지화 모듈(142)은 각 구간의 전원측 개폐기 영상전류 및 부하측 개폐기 영상전류의 실제 물리적 값을 조건부 멤버쉽 함수(membership function)를 이용하여 퍼지 로직에서의 값으로 퍼지화한다.
퍼지화 모듈(142)은 조건부 멤버쉽 함수를 이용하여 전원측 개폐기 영상전류 및 부하측 개폐기 영상전류를 크다(Big), 작다(Small), 보통(Medium) 중에 적어도 하나의 성분으로 구분한 퍼지 데이터를 생성한다. 퍼지화 모듈(142)은 퍼지 데이터에 포함된 성분들의 성분값들을 0 이상 1 이하로 설정하며, 하나의 영상전류에 대한 각 성분들에 대한 성분값의 합이 1이 되도록 설정한다. 이는 조건부 멤버쉽 함수에 의해 설정되는 것으로 조검부 멤버쉽 함수의 조건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도 있다.
퍼지화 모듈(142)은 조건부 멤버쉽 함수를 근거로 영상전류의 크기가 500A 이하이면 작다(Small) 성분으로 구분한다. 이때, 퍼지화 모듈(142)은 조건부 멤버쉽 함수를 근거로 영상전류의 크기가 0A 이상 40A 이하이면 작다(Small) 성분의 성분값을 1로 설정하고, 영상전류의 크기가 500A이면 작다(Small) 성분의 성분값을 0으로 설정하고, 영상전류의 크기가 40A 초과 500A 미만이면 작다(Small) 성분의 성분값을 영상전류의 크기에 비례하여 감소하는 값으로 설정하되 0 초과 1 미만의 성분값으로 설정한다.
퍼지화 모듈(142)은 조건부 멤버쉽 함수를 근거로 영상전류의 크기가 40A 이상 1000A 이하이면 보통(Medium) 성분으로 구분한다. 이때, 퍼지화 모듈(142)은 조건부 멤버쉽 함수를 근거로 영상전류의 크기가 40A 또는 1000A이면 보통(Medium) 성분의 성분값을 0으로 설정하고, 영상전류의 크기가 500A이면 보통(Medium) 성분의 성분값을 1로 설정하고, 영상전류의 크기가 40A 이상 500A 미만이면 보통(Medium) 성분의 성분값을 영상전류의 크기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값으로 설정하되 0 초과 1 미만의 성분값으로 설정하고, 영상전류의 크기가 500A 초과 1000A 미만이면 보통(Medium) 성분의 성분값을 영상전류의 크기에 비례하여 감소하는 값으로 설정하되 0 초과 1 미만의 성분값으로 설정한다.
퍼지화 모듈(142)은 조건부 멤버쉽 함수를 근거로 퍼지화 모듈(142)은 영상전류의 크기가 500A 이상이면 크다(Big) 성분으로 구분한다. 이때, 퍼지화 모듈(142)은 조건부 멤버쉽 함수를 근거로 영상전류의 크기가 500A이면 크다(Big) 성분의 성분값을 0으로 설정하고, 영상전류의 크기가 1000A 이상이면 크다(Big) 성분의 성분값을 1로 설정하고, 영상전류의 크기가 500A 초과 1000A 미만이면 크다(Big) 성분의 성분값을 영상전류의 크기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값으로 설정하되 0 초과 1 미만의 성분값으로 설정한다.
퍼지 추론 모듈(144)은 퍼지화 모듈(142)에서 퍼지화된 퍼지 데이터를 근거로 퍼지 추론을 수행한다. 즉, 퍼지 추론 모듈(144)은 결론부 멤버쉽 함수와 퍼지 룰을 이용하여 MIN-MAX Composition 방식의 퍼지 추론을 수행한다. 퍼지 추론 모듈(144)은 퍼지화 모듈(142)에서 생성된 전원측 개폐기 영상전류 및 부하측 개폐기 영상전류에 대한 퍼지 데이터를 퍼지 룰과 비교하여 낮다(Low), 보통(Medium), 높다(High)로 구분한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퍼지 추론 모듈(144)은 전원측 개폐기의 퍼지 데이터와 부하측 개폐기의 퍼지 데이터에 따른 퍼지 추론 결과를 포함하는 퍼지 롤을 이용하여 퍼지 추론을 수행한다. 여기서, 전원측 개폐기의 퍼지 데이터의 성분이 작다(Small) 성분이거나 부하측 개폐기의 퍼지 데이터의 성분이 크다(Big) 성분이면 낮다(Low) 성분으로 분류하고, 전원측 개폐기의 퍼지 데이터의 성분이 보통(Medium) 성분이고 부하측 개폐기의 퍼지 데이터의 성분이 작다(Small) 성분이거나, 전원측 개폐기의 퍼지 데이터의 성분이 크다(Big) 성분이고 부하측 개폐기의 퍼지 데이터의 성분이 보통(Medium) 성분이면 보통(Medium) 성분으로 분류하고, 전원측 개폐기의 퍼지 데이터의 성분 및 부하측 개폐기의 퍼지 데이터의 성분이 모두 보통(Medium) 성분이면 낮다(Low) 성분으로 분류하고, 전원측 개폐기의 퍼지 데이터의 성분이 크다(Big) 성분이고 부하측 개폐기의 퍼지 데이터의 성분이 작다(Small) 성분이면 높다(High) 성분으로 분류하는 퍼지 롤을 이용하여 퍼지 추론 데이터를 생성한다.
퍼지 추론 모듈(144)은 퍼지 추론 결과로 생성되는 퍼지 추론 데이터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성분을 0 이상 1 이하의 성분값으로 설정하여 하나의 영상전류에 포함된 성분들의 성분값의 합이 1이 되는 퍼지 추론 데이터를 생성한다.
퍼지 추론 모듈(144)은 퍼지 추론 데이터를 이용하여 배전계통의 각 구간에 대해 설정된 성분값에 해당하는 결론부 멤버쉽 함수의 면적을 산출한다.
비퍼지화 모듈(146)은 퍼지 추론 모듈(144)에서의 퍼지 추론 결과를 비퍼지화하여 배전계통의 고장구간을 검출한다. 이를 위해, 비퍼지화 모듈(146)은 퍼지 추론 모듈(144)에서 산출한 각 구간의 면적에 대한 무게중심을 산출한다. 비퍼지화 모듈(146)은 산출한 각 구간의 무게중심 중에서 가장 큰 무게중심을 갖는 구간을 고장구간으로 검출한다. 이와 같이, 비퍼지화 모듈(146)은 비퍼지화에 무게중심법을 이용하여 배전계통의 고장구간을 검출한다. 이때, 비퍼지화 모듈(146)은 하기의 수학식 1을 이용하여 각 구간의 무게중심을 산출한다.
Figure pat00003
여기서, xi는 △x 만큼의 편차를 갖는 결론부 퍼지 멤버쉽 함수의 x축값이고, f(xi)는 xi에 해당하는 결론부 퍼지 멤버쉽 함수의 y축 값이다.
송신부(160)는 검출부(140)에서 검출한 배전계통의 고장구간을 단말장치(40) 또는 배전자동화 메인 서버(30)로 전송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계통 고장구간 검출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계통 고장구간 검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배전계통에 설치된 복수의 차단기 및 개폐기에는 FRTU(10)가 설치된다. FRTU(10)는 배전선로에서 발생하는 고장전류를 감지하면 FI 신호를 피더 FEP(20; 또는 데이터 통신 프로세서(DCP;Data Communication Processor))로 전송한다. 피더 FEP(20)는 복수의 FRTU(10)로부터 수신한 FI 신호를 수집하여 배전계통 고장구간 검출 장치(100)로 전송한다. 이때, 피더 FEP(20)는 배전계통의 각 구간별 전원측 및 부하측 스위치에 설치된 배전자동화 단말장치에서 측정된 개폐기의 영상전류를 포함하는 고장 표시 신호를 전송한다.
피더 FEP(20)로부터 FI 신호가 수신되면(S100; YES), 배전계통 고장구간 검출 장치(100)는 각 개폐기로부터 입력된 FI 신호에 포함된 영상전류를 퍼지화 처리한다(S00). 즉, 배전계통 고장구간 검출 장치(100)는 영상전류르 퍼지화 처리하여 퍼지 데이터를 생성한다. 여기서, 퍼지화 처리는 입력된 계폐기(각 구간의 전원측 및 부하측 개폐기 쌍(pair))의 물리적 영상전류 크기(A 또는 kA 등)를 0~1 사이의 값으로 변환하는 과정이다. 영상전류의 크기가 '크다', '보통', '작다'라는 값을 결정하기 위한 기준값이 애매모호하다. 따라서, 조건부 멤버십 함수를 이용하여 입력된 영상전류의 값이 크다(Big) 성분, 작다(Small) 성분, 보통(Medium) 성분으로 분류한다. 여기서, 퍼지 멤버쉽 함수는 조건부와 결론부 멤버쉽 함수로 구분된다. 조건부 멤버쉽 함수는 입력된 전원측 및 부하측 개폐기 각각의 영상전류에 대한 퍼지 멤버쉽 성분(즉, 퍼지 데이터의 성분)의 성분값을 계산하기 위한 함수이다. 결론부 멤버쉽 함수는 퍼지 추론을 위한 멤버쉽 함수로 전원측 및 부하측 멤버쉽 값을 이용한 최종적인 합성 멤버쉽 성분(즉, 퍼지 추론 데이터의 성분)의 성분값을 계산하기 위한 함수이다.
배전계통 고장구간 검출 장치(100)는 퍼지화 처리된 데이터를 퍼지 룰과 비교하여 퍼지 추론을 수행한다(S300). 즉, 배전계통 고장구간 검출 장치(100)는 퍼지화된 데이터와 퍼지 룰을 비교하고, MIN-MAX Composition을 이용하여 퍼지추론을 수행한다. 배전계통 고장구간 검출 장치(100)는 구간의 전원측 개폐기 영상전류 크기와 부하측 개폐기 영상전류 크기에 대한 퍼지 데이터('작다', '보통', '크다'에 소속되는 정도)를 비교한다. 배전계통 고장구간 검출 장치(100)는 퍼지 데이터 중에서 가장 작은 값을 퍼지룰에 적용하여 입력 값이 결론부 멤버십 함수('낮다', '보통', '높다')중에서 어느 값에 소속되는지를 결정한다. 그리고, 결론부 멤버쉽 함수의 요소별값 중에서 최대값을 사용하여 면적을 산출한다. 여기서, 결론부 멤버쉽 함수의 요소는 'Low, Medium, Big'이며 이것은 해당 구간이 고장구간일 확률이 '작다, 보통, 높다'의 의미이다. 이때, 퍼지 롤에서는 전원측 개폐기의 퍼지 데이터의 성분이 작다(Small) 성분이거나 부하측 개폐기의 퍼지 데이터의 성분이 크다(Big) 성분이면 낮다(Low) 성분으로 분류하고, 전원측 개폐기의 퍼지 데이터의 성분이 보통(Medium) 성분이고 부하측 개폐기의 퍼지 데이터의 성분이 작다(Small) 성분이거나, 전원측 개폐기의 퍼지 데이터의 성분이 크다(Big) 성분이고 부하측 개폐기의 퍼지 데이터의 성분이 보통(Medium) 성분이면 보통(Medium) 성분으로 분류하고, 전원측 개폐기의 퍼지 데이터의 성분 및 부하측 개폐기의 퍼지 데이터의 성분이 모두 보통(Medium) 성분이면 낮다(Low) 성분으로 분류하고, 전원측 개폐기의 퍼지 데이터의 성분이 크다(Big) 성분이고 부하측 개폐기의 퍼지 데이터의 성분이 작다(Small) 성분이면 높다(High) 성분으로 분류한다.
배전계통 고장구간 검출 장치(100)는 퍼지 추론을 통해 구성된 면적을 이용하여 고장구간을 검출한다(S400). 이때, 배전계통 고장구간 검출 장치(100)는 무게중심법을 이용하여 퍼지 추론을 통해 구성된 면적의 무게중심을 산출한다. 배전계통 고장구간 검출 장치(100)는 산출한 각 구간의 무게중심 중에서 가장 큰 값을 무게중심을 갖는 구간을 고장구간으로 판단한다.
배전계통 고장구간 검출 장치(100)는 검출한 고장구간을 배전자동화 메인 서버(30) 또는 운전원의 단말 장치로 전송한다(S500).
상술한 바와 같이, 배전계통 고장구간 검출 장치(100) 및 방법은 배전계통의 고장발생시 복수의 자동화 개폐기들의 영상전류 데이터를 근거로 퍼지 로직을 수행하여 고장구간을 검출함으로써, 영상전류에 의한 고장표시 오류 및 이를 통한 운전원의 고장구간 검출이 어려운 종래기술에 비해 정확하고 신속하게 고장구간을 검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배전계통 고장구간 검출 장치(100) 및 방법은 배전계통의 고장발생시 복수의 자동화 개폐기들의 영상전류 데이터를 근거로 퍼지 로직을 수행하여 고장구간을 검출함으로써, 운전원이 직접 고장구간 판정을 하는 종래기술에 비해 운전원이 더욱 효과적으로 고장구간 검출하여 복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배전계통 고장구간 검출 장치(100) 및 방법은 배전계통의 고장발생시 복수의 자동화 개폐기들의 영상전류 데이터를 근거로 퍼지 로직을 수행하여 고장구간을 검출함으로써, 종래기술에 비해 운전원의 고장구간 탐색 시간이 줄어듦으로써 고장 복구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배전계통 고장구간 검출 장치(100) 및 방법은 배전계통의 고장발생시 복수의 자동화 개폐기들의 영상전류 데이터를 근거로 퍼지 로직을 수행하여 고장구간을 검출함으로써, 통계적으로 발생사고의 약 80%를 차지하는 1선 지락사고시 고장점 복구시간의 단축을 통해 정전시간을 단축하여 정정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계통 고장구간 검출 장치(100) 및 방법을 적용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10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계통 고장구간 검출 장치(100) 및 방법을 적용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용성을 검증하기 위해 PSCAD/EMTDC를 사용하여 제1개폐기(SW1) 내지 제5개폐기(SW5)를 포함하여 4개의 구간으로 구성되는 배전계통을 구성한다. 이때, 구간 2에서 1선 지락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가정한다. 일반적으로, 국내배전계통에 있어서는 고장표시 설정치가 영상전류의 경우 40~80[A] 정도이다. 따라서, 고장 모의시 영상전류 분석 결과 고장구간 이후에 설치되어 있는 SW3 및 SW4의 N상 고장표시기가 오동작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이 제안하는 배전계통 고장구간 검출 장치(100) 및 방법을 통해 정확한 고장구간을 판단하는지 살펴보았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SW1 내지 SW5에 영상전류가 입력된다. 이때,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건부 멤버쉽 함수에서 성분을 분류하는 기준은 영상전류가 500[A] 이하일 때 '작다(Small)', 40[A] 이상 1000[A] 이하일 때 '보통(Medium)', 500[A] 이상일 때 '크다(Big)'이다.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론부 멤버쉽 함수에서 성분을 분류하는 기준은 고장구간 평가값이 0.5 이하일 때 '낮다(Low)'이고, 0.1 이상 1.0 이하일 때 '보통(Medium)', 그리고 0.5 이상일 때 '높다(High)'이다.
구간 2의 전원측 개폐기는 SW2이고, 부하측 개폐기는 SW3이며 영상전류의 크기는 각각 3414.24[A], 91.61[A]이다. SW2 및 SW3의 영상전류를 이용하여 퍼지화를 수행하면, SW2의 퍼지 데이터는 'Big(1.0)'이고(도 14 참조), SW3의 퍼지 데이터는 'Small(0.8), Medium(0.2)'이다(도 15 참조).
생성된 퍼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퍼지 추론을 수행하면 전원측 퍼지 데이터 'Big(1.0)'는 부하측 퍼지 데이터 'Small(0.8)'보다 크기 때문에, Min-Max Composition에 의해 부하측 퍼지 데이터 'Small(0.8)'에 의한 결론부 멤버십 함수는 'High(0.8)'로 결정된다.
그리고 전원측 퍼지 데이터 'Big(1.0)'은 부하측 퍼지 데이터 'Medium(0.2)'보다 크기 때문에, 결론부 멤버십 함수는 'Medium(0.2)'이 된다. 따라서, 'High(0.8), Medium(0.2)'로 구성된 결론부 멤버십 함수의 면적을 계산한다.
상기한 과정을 각 구간별로 반복하여 각 구간의 면적을 산출하고, 하는 면적의 무게중심을 산출한다. 도 17은 상기한 단계를 거처 산출된 각 구간의 무게중심이다. 이때, 구간 2의 무게중심이 0.69로 가장 기 때문에 구간 2를 고장구간으로 판단한다.
나머지 구간인 구간 1, 3, 4에서 1선 지락고장이 발생한 경우 개폐기별 영상전류와 무게중심 계산 결과는 도 18 및 도면 19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처럼, 시뮬레이션을 통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방식이 고장구간을 정확하게 판정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며,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예 및 수정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10: FRTU 20: 피더 FEP
30: 배전자동화 메인 서버 32: 실시간 데이터베이스
34: 제어 데이터베이스 40: 단말장치
50: 차단기(CB) 60: 개폐기(SW)
70: 배전선로 80: 고장전류
100: 고장구간 검출 장치 120: 수신부
140: 검출부 142: 퍼지화 모듈
144: 퍼지 추론 모듈 146: 비퍼지화 모듈
160: 송신부

Claims (25)

  1. 복수의 배전자동화 단말장치가 데이터 통신 프로세서 또는 피더 FEP와 연결되고, 데이터 통신 프로세서 또는 피더 FEP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배전계통의 고장구간을 검출하여 운전원의 단말장치 또는 배전자동화 메인 서버로 전송하는 배전계통 고장구간 검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통신 프로세서 또는 피더 FEP를 통해 복수의 배전자동화 단말장치에서 발생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장 표시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를 통해 수신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장 표시 신호 중에서 영상전류에 의해 발생한 고장 표시 신호를 필터링한 고장 표시 신호를 근거로 배전계통의 고장구간을 검출하는 검출부; 및
    상기 검출부에서 검출한 배전계통의 고장구간을 상기 단말장치 또는 상기 배전자동화 메인 서버로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계통 고장구간 검출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배전계통의 각 구간별 전원측 및 부하측 스위치에 설치된 배전자동화 단말장치에서 측정된 개폐기의 영상전류를 포함하는 고장 표시 신호를 상기 데이터 통신 프로세서 또는 피더 FEP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계통 고장구간 검출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고장 표시 신호에 포함된 개폐기의 영상전류의 물리적 크기를 퍼지화하여 퍼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퍼지화 모듈;
    상기 퍼지화 모듈에서 퍼지화된 퍼지 데이터를 근거로 Min-Max Composition을 이용한 퍼지 추론을 수행하는 퍼지 추론 모듈; 및
    상기 퍼지 추론 모듈에서의 퍼지 추론 결과를 비퍼지화하여 배전계통의 고장구간을 검출하는 비퍼지화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계통 고장구간 검출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퍼지화 모듈은,
    각 구간의 전원측 개폐기 영상전류 및 부하측 개폐기 영상전류의 크기에 대한 퍼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계통 고장구간 검출 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퍼지화 모듈은,
    조건부 멤버쉽 함수를 이용하여 전원측 개폐기 영상전류 및 부하측 개폐기 영상전류를 크다(Big), 작다(Small), 보통(Medium) 중에 적어도 하나의 성분으로 구분한 퍼지 데이터를 생성하되,
    상기 퍼지 데이터에 포함된 성분들의 성분값들은 0 이상 1 이하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계통 고장구간 검출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퍼지화 모듈은,
    영상전류의 크기가 500A 이하이면 작다(Small) 성분으로 구분하고, 영상전류의 크기가 40A 이상 1000A 이하이면 보통(Medium) 성분으로 구분하고, 영상전류의 크기가 500A 이상이면 크다(Big) 성분으로 구분하는 조건부 멤버쉽 함수를 이용하여 퍼지 데이터를 생성하되,
    하나의 영상전류에 대한 각 성분들에 대한 성분값의 합이 1이 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계통 고장구간 검출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퍼지화 모듈은,
    영상전류의 크기가 0A 이상 40A 이하이면 작다(Small) 성분의 성분값을 1로 설정하고,
    영상전류의 크기가 500A이면 작다(Small) 성분의 성분값을 0으로 설정하고,
    영상전류의 크기가 40A 초과 500A 미만이면 작다(Small) 성분의 성분값을 상기 영상전류의 크기에 비례하여 감소하는 값으로 설정하되 0 초과 1 미만의 성분값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계통 고장구간 검출 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퍼지화 모듈은,
    영상전류의 크기가 40A 또는 1000A이면 보통(Medium) 성분의 성분값을 0으로 설정하고,
    영상전류의 크기가 500A이면 보통(Medium) 성분의 성분값을 1로 설정하고,
    영상전류의 크기가 40A 이상 500A 미만이면 보통(Medium) 성분의 성분값을 상기 영상전류의 크기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값으로 설정하되 0 초과 1 미만의 성분값으로 설정하고,
    영상전류의 크기가 500A 초과 1000A 미만이면 보통(Medium) 성분의 성분값을 상기 영상전류의 크기에 비례하여 감소하는 값으로 설정하되 0 초과 1 미만의 성분값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계통 고장구간 검출 장치.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퍼지화 모듈은,
    영상전류의 크기가 500A이면 크다(Big) 성분의 성분값을 0으로 설정하고,
    영상전류의 크기가 1000A 이상이면 크다(Big) 성분의 성분값을 1로 설정하고,
    영상전류의 크기가 500A 초과 1000A 미만이면 크다(Big) 성분의 성분값을 상기 영상전류의 크기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값으로 설정하되 0 초과 1 미만의 성분값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계통 고장구간 검출 장치.
  10.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퍼지 추론 모듈은,
    상기 퍼지화 모듈에서 생성된 전원측 개폐기 영상전류 및 부하측 개폐기 영상전류에 대한 퍼지 데이터를 퍼지 룰과 비교하여 낮다(Low), 보통(Medium), 높다(High) 중에 적어도 하나의 성분을 0 이상 1 이하의 성분값으로 설정하여 하나의 영상전류에 포함된 성분들의 성분값의 합이 1이 되는 퍼지 추론 데이터를 생성하되,
    상기 퍼지 추론 데이터를 이용하여 배전계통의 각 구간에 대해 상기 설정된 성분값에 해당하는 결론부 멤버쉽 함수의 면적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계통 고장구간 검출 장치.
  11.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퍼지 추론 모듈은,
    전원측 개폐기의 퍼지 데이터의 성분이 작다(Small) 성분이거나 부하측 개폐기의 퍼지 데이터의 성분이 크다(Big) 성분이면 낮다(Low) 성분으로 분류하고,
    전원측 개폐기의 퍼지 데이터의 성분이 보통(Medium) 성분이고 부하측 개폐기의 퍼지 데이터의 성분이 작다(Small) 성분이거나, 전원측 개폐기의 퍼지 데이터의 성분이 크다(Big) 성분이고 부하측 개폐기의 퍼지 데이터의 성분이 보통(Medium) 성분이면 보통(Medium) 성분으로 분류하고,
    전원측 개폐기의 퍼지 데이터의 성분 및 부하측 개폐기의 퍼지 데이터의 성분이 모두 보통(Medium) 성분이면 낮다(Low) 성분으로 분류하고,
    전원측 개폐기의 퍼지 데이터의 성분이 크다(Big) 성분이고 부하측 개폐기의 퍼지 데이터의 성분이 작다(Small) 성분이면 높다(High) 성분으로 분류하는 퍼지 롤을 이용하여 퍼지 추론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계통 고장구간 검출 장치.
  12.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비퍼지화 모듈은,
    상기 퍼지 추론 모듈에서 산출한 각 구간의 면적에 대한 무게중심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한 각 구간의 무게중심 중에서 가장 큰 무게중심을 갖는 구간을 고장구간으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계통 고장구간 검출 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비퍼지화 모듈은,
    상기 각 구간의 무게중심을 하기의 수학식
    Figure pat00004

    (여기서, xi는 결론부 퍼지 멤버쉽 함수의 x축값이고, f(xi)는 xi에 해당하는 결론부 퍼지 멤버쉽 함수의 y축 값이다.)
    에 의해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계통 고장구간 검출 장치.
  14. 복수의 배전자동화 단말장치가 데이터 통신 프로세서 또는 피더 FEP와 연결되고, 데이터 통신 프로세서 또는 피더 FEP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배전계통의 고장구간을 검출하여 운전원의 단말장치 또는 배전자동화 메인 서버로 전송하는 배전계통 고장구간 검출 장치를 이용한 배전계통 고장구간 검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통신 프로세서 또는 피더 FEP를 통해 복수의 배전자동화 단말장치에서 발생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장 표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고장 표시 신호에 포함된 개폐기의 영상전류의 물리적 크기를 퍼지화하여 퍼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퍼지 데이터를 근거로 Min-Max Composition을 이용한 퍼지 추론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퍼지 추론 결과를 비퍼지화하여 배전계통의 고장구간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한 배전계통의 고장구간을 상기 단말장치 또는 상기 배전자동화 메인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계통 고장구간 검출 방법.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수신하는 단계에서는,
    배전계통의 각 구간별 전원측 및 부하측 스위치에 설치된 배전자동화 단말장치에서 측정된 개폐기의 영상전류를 포함하는 고장 표시 신호를 데이터 통신 프로세서 또는 피더 FEP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계통 고장구간 검출 방법.
  16.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퍼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에서는,
    각 구간의 전원측 개폐기 영상전류 및 부하측 개폐기 영상전류의 크기에 대한 퍼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계통 고장구간 검출 방법.
  17.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퍼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에서는,
    조건부 멤버쉽 함수를 이용하여 전원측 개폐기 영상전류 및 부하측 개폐기 영상전류를 크다(Big), 작다(Small), 보통(Medium) 중에 적어도 하나의 성분으로 구성되는 퍼지 데이터를 생성하되,
    상기 퍼지 데이터에 포함된 성분값들은 0 이상 1 이하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계통 고장구간 검출 방법.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퍼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에서는,
    영상전류의 크기가 500A 이하이면 작다(Small) 성분으로 구분하고, 영상전류의 크기가 40A 이상 1000A 이하이면 보통(Medium) 성분으로 구분하고, 영상전류의 크기가 500A 이상이면 크다(Big) 성분으로 구분하는 조건부 멤버쉽 함수를 이용하여 퍼지 데이터를 생성하되,
    하나의 영상전류에 대한 각 성분들에 대한 성분값의 합이 1이 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계통 고장구간 검출 방법.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퍼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에서는,
    영상전류의 크기가 0A 이상 40A 이하이면 작다(Small) 성분의 성분값을 1로 설정하고,
    영상전류의 크기가 500A이면 작다(Small) 성분의 성분값을 0으로 설정하고,
    영상전류의 크기가 40A 초과 500A 미만이면 작다(Small) 성분의 성분값을 상기 영상전류의 크기에 비례하여 감소하는 값으로 설정하되 0 초과 1 미만의 성분값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계통 고장구간 검출 방법.
  20.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퍼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에서는,
    영상전류의 크기가 40A 또는 1000A이면 보통(Medium) 성분의 성분값을 0으로 설정하고,
    영상전류의 크기가 500A이면 보통(Medium) 성분의 성분값을 1로 설정하고,
    영상전류의 크기가 40A 이상 500A 미만이면 보통(Medium) 성분의 성분값을 상기 영상전류의 크기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값으로 설정하되 0 초과 1 미만의 성분값으로 설정하고,
    영상전류의 크기가 500A 초과 1000A 미만이면 보통(Medium) 성분의 성분값을 상기 영상전류의 크기에 비례하여 감소하는 값으로 설정하되 0 초과 1 미만의 성분값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계통 고장구간 검출 방법.
  21.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퍼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에서는,
    영상전류의 크기가 500A이면 크다(Big) 성분의 성분값을 0으로 설정하고,
    영상전류의 크기가 1000A 이상이면 크다(Big) 성분의 성분값을 1로 설정하고,
    영상전류의 크기가 500A 초과 1000A 미만이면 크다(Big) 성분의 성분값을 상기 영상전류의 크기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값으로 설정하되 0 초과 1 미만의 성분값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계통 고장구간 검출 방법.
  22.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퍼지 추론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퍼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에서 생성된 전원측 개폐기 영상전류 및 부하측 개폐기 영상전류에 대한 퍼지 데이터를 퍼지 룰과 비교하여 낮다(Low), 보통(Medium), 높다(High) 중에 적어도 하나의 성분을 0 이상 1 이하의 성분값으로 설정하여 하나의 영상전류에 포함된 성분들의 성분값의 합이 1이 되는 퍼지 추론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퍼지 추론 데이터를 이용하여 배전계통의 각 구간에 대해 상기 설정된 성분값에 해당하는 결론부 멤버쉽 함수의 면적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계통 고장구간 검출 방법.
  23.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퍼지 추론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에서는,
    전원측 개폐기의 퍼지 데이터의 성분이 작다(Small) 성분이거나 부하측 개폐기의 퍼지 데이터의 성분이 크다(Big) 성분이면 낮다(Low) 성분으로 분류하고,
    전원측 개폐기의 퍼지 데이터의 성분이 보통(Medium) 성분이고 부하측 개폐기의 퍼지 데이터의 성분이 작다(Small) 성분이거나, 전원측 개폐기의 퍼지 데이터의 성분이 크다(Big) 성분이고 부하측 개폐기의 퍼지 데이터의 성분이 보통(Medium) 성분이면 보통(Medium) 성분으로 분류하고,
    전원측 개폐기의 퍼지 데이터의 성분 및 부하측 개폐기의 퍼지 데이터의 성분이 모두 보통(Medium) 성분이면 낮다(Low) 성분으로 분류하고,
    전원측 개폐기의 퍼지 데이터의 성분이 크다(Big) 성분이고 부하측 개폐기의 퍼지 데이터의 성분이 작다(Small) 성분이면 높다(High) 성분으로 분류하는 퍼지 롤을 이용하여 퍼지 추론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계통 고장구간 검출 방법.
  24.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배전계통의 고장구간을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퍼지 추론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에서 산출한 각 구간의 면적에 대한 무게중심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한 각 구간의 무게중심 중에서 가장 큰 무게중심을 갖는 구간을 고장구간으로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계통 고장구간 검출 방법.
  25. 청구항 24에 있어서,
    상기 무게중심을 산출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각 구간의 무게중심을 하기의 수학식
    Figure pat00005

    (여기서, xi는 결론부 퍼지 멤버쉽 함수의 x축값이고, f(xi)는 xi에 해당하는 결론부 퍼지 멤버쉽 함수의 y축 값이다.)
    에 의해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계통 고장구간 검출 방법.
KR1020110081265A 2011-08-16 2011-08-16 배전계통 고장구간 검출 장치 및 방법 KR1012686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1265A KR101268608B1 (ko) 2011-08-16 2011-08-16 배전계통 고장구간 검출 장치 및 방법
PCT/KR2011/006080 WO2013024924A1 (ko) 2011-08-16 2011-08-18 배전계통 고장구간 검출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1265A KR101268608B1 (ko) 2011-08-16 2011-08-16 배전계통 고장구간 검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9229A true KR20130019229A (ko) 2013-02-26
KR101268608B1 KR101268608B1 (ko) 2013-05-29

Family

ID=47715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1265A KR101268608B1 (ko) 2011-08-16 2011-08-16 배전계통 고장구간 검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68608B1 (ko)
WO (1) WO2013024924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3975A (ko) * 2014-09-19 2016-03-29 최면송 단선도 기반의 배전계통 시각화 장치
KR101654882B1 (ko) * 2015-06-23 2016-09-06 한전케이디엔 주식회사 배전선로 고장분석 및 고장분포 표시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09572A (ko) * 2017-07-19 2019-01-29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개폐기 상태 및 정전구간의 모니터링이 용이한 단선도 기반의 배전계통 시각화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57535B (zh) * 2018-01-17 2019-11-19 国网山东省电力公司德州供电公司 一种基于配电自动化数据的小电流系统单相接地故障选线方法和装置
CN116008731B (zh) * 2023-02-15 2023-08-25 重庆大学 配电网高阻故障辨识方法、装置和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5771B1 (ko) * 2001-03-28 2005-06-17 학교법인 성균관대학 뉴로퍼지 네트워크를 이용한 전력계통의 고장검출 및 그판별방법
KR100709980B1 (ko) 2005-10-21 2007-04-20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비접지 배전계통에서 영상전류 위상차와 크기 비교에 의한고장구간 검출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3975A (ko) * 2014-09-19 2016-03-29 최면송 단선도 기반의 배전계통 시각화 장치
KR101654882B1 (ko) * 2015-06-23 2016-09-06 한전케이디엔 주식회사 배전선로 고장분석 및 고장분포 표시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09572A (ko) * 2017-07-19 2019-01-29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개폐기 상태 및 정전구간의 모니터링이 용이한 단선도 기반의 배전계통 시각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8608B1 (ko) 2013-05-29
WO2013024924A1 (ko) 2013-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8608B1 (ko) 배전계통 고장구간 검출 장치 및 방법
KR101574615B1 (ko) 통계적 위상패턴 기반의 신호검출 방법을 이용한 전력설비 부분 방전 감시진단 시스템
CN107015123B (zh) 一种基于录波数据的输电线路故障精确判定方法
EP0325786B1 (en) Protective relay with selective phase selection for double power transmission lines
US9336491B2 (en) Identification of power system events using fuzzy logic
CN105158647A (zh) 基于电网监控系统的单站端电网故障诊断和辅助决策方法
KR102224838B1 (ko) 퍼지 추론을 적용하여 수배전반 시스템의 절연건전성을 평가하는 장치 및 방법
Srivastava et al. Data driven approach for fault detection and Gaussian process regression based location prognosis in smart AC microgrid
CN117078017A (zh) 一种用于电力电网设备监控智能化决策分析系统
Wang et al. Method for fault location in a low-resistance grounded distribution network based on multi-source information fusion
US9910080B2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locating short-circuits in energy supply systems
CN112924813B (zh) 基于电气数据的配电网短路故障监控方法及装置
CN112882875A (zh) 故障诊断方法
CN115952917A (zh) 一种有源配电网安全态势感知方法与系统
JP4444574B2 (ja) 開閉設備内の変流器の妥当性検査のための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装置、ならびに該装置を有する開閉設備
CN110596529A (zh) 柔性直流电网对地绝缘故障检测装置及系统
CN114047705A (zh) 一种单相接地故障检测定值自适应整定方法及系统
CN112285486A (zh) 电缆线路故障定位装置
KR100538439B1 (ko) 계통 연계 분산 전원의 단독운전 판단 방법
CN111856215A (zh) 一种输电网故障感知系统
CN110783946B (zh) 用于定位微电网中相故障的方法
Fu et al. An expert system for on-line diagnosis of system faults and emergency conrol to prevent a blackout
JPH07264773A (ja) 高圧配電線の断線箇所決定方法及び装置
CN116131231B (zh) 一种低压供配电系统it接法智能保护系统
Yan et al. A hidden fault diagnosis method of relay protection considering the lack of sample synchroniz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