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8546A - 억제제 액츄에이터 - Google Patents

억제제 액츄에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8546A
KR20130018546A KR1020120082240A KR20120082240A KR20130018546A KR 20130018546 A KR20130018546 A KR 20130018546A KR 1020120082240 A KR1020120082240 A KR 1020120082240A KR 20120082240 A KR20120082240 A KR 20120082240A KR 20130018546 A KR20130018546 A KR 201300185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hibitor
bias
actuator assembly
sink
soleno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2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54780B1 (ko
Inventor
존 라이트 주니어 포터필드
데이비드 프래셔
앤드류 더블유. 필립스
조지 에프. 주니어 하워드
Original Assignee
지.더블유. 리스크 컴퍼니, 인크.
키드테크놀러지스.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더블유. 리스크 컴퍼니, 인크., 키드테크놀러지스.인크 filed Critical 지.더블유. 리스크 컴퍼니, 인크.
Publication of KR201300185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85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47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47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A62C37/4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with electric connection between sensor and actuator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46Construction of the actuator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7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vehicles, e.g. in road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02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 A62C35/023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the extinguishing material being expelled by compressed gas, taken from storage tanks, or by generating a pressure ga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4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with electrically-controlled releas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 A62C37/10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lectromagnets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otors (AREA)
  • Actuator (AREA)

Abstract

예시적인 억제제 액츄에이터 조립체는 억제제의 흐름을 제한하는 제1 위치에서 억제제의 흐름을 허용하는 제2 위치로 이동 가능한 방출 부재를 포함한다. 바이어스 부재는 방출 부재를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더 편의된 위치에서 덜 편의된 위치로 이동된다. 솔레노이드는 바이어스 부재의 이동을 허용하기 위해 작동된다.

Description

억제제 액츄에이터{SUPPRESSANT ACTUATOR}
본 개시는 2011년 8월 2일 출원되고 본 명세서에 원용되는 미국 가출원 제61/514145호의 우선권을 주장한다.
본 개시는 억제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바이어스 부재와 솔레노이드를 갖는 억제제 액츄에이터에 관한 것이다.
화제 억제 시스템과 같은 억제 시스템은 억제제를 포함한다. 이런 시스템은 액츄에이터를 개방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억제제가 방출된다. 방출되는 억제제는 화재를 진압하거나 억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억제 시스템은 다양한 환경에서 운용된다.
다수의 화재 억제 시스템은 점화(pyrotechnic)계열 피스톤 액츄에이터를 포함한다. 이런 액츄에이터는 환경 조건으로 인해 특히 마모되기 쉽다. 따라서, 액츄에이터의 고장을 방지하기 위해, 점화계열 피스톤 액츄에이터는 정기적으로 점검되고 교체된다. 점검과 교체에는 많은 비용이 든다.
예시적인 억제제 액츄에이터 조립체는, 억제제의 흐름을 제한하는 제1 위치에서 억제제의 흐름을 허용하는 제2 위치로 이동 가능한 방출 부재를 포함한다. 바이어스 부재는 방출 부재를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더 편의된 위치에서 덜 편의된 위치로 이동된다. 솔레노이드는 바이어스 부재의 이동을 허용하기 위해 작동된다.
예시적인 억제 시스템은 제어기와 억제제 공급기를 포함한다. 방출 부재는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 가능하다. 제2 위치는 제1 위치에 비해 공급기로부터의 더 많은 억제제의 흐름을 허용한다. 바이어스 부재는 방출 부재를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더 편의된 위치에서 덜 편의된 위치로 이동된다. 솔레노이드는 제어기로부터의 명령에 반응하여 작동되어 더 편의된 위치에서 덜 편의된 위치를 향한 바이어스 부재의 이동을 개시시킨다.
억제 시스템을 작동시키는 예시적인 방법은 바이어스 부재의 이동을 허용하기 위해 솔레노이드를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어서 본 방법은 억제제의 흐름을 제한하는 제1 위치에서 억제제의 흐름을 허용하는 제2 위치로 방출 부재를 이동시키기 위해 바이어스 부재를 사용한다.
개시된 실시예의 다양한 특징부와 이점은 상세한 설명을 통해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분명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 첨부되는 도면은 다음과 같이 간략하게 설명될 수 있다.
도 1은 예시적인 억제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미방출 위치에 있는 도 1의 시스템에 사용되는 예시적인 억제제 액츄에이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방출 위치에 있는 도 2의 억제제 액츄에이터의 제2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억제제 시스템의 공급기와 액츄에이터의 예시적인 상세도이다.
도 5는 도 2에서 "도 5"로 표기된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예시적인 억제 시스템(10)은 제2 위치에서 공급기(22)로부터 배출되는 저장된 억제제(18)의 흐름을 제어하는 액츄에이터 조립체(14)를 포함한다. 공급기(22)와 액츄에이터(14)는 예컨대 소화기로 함께 간주된다.
억제제 액츄에이터(14)는 억제제(18)가 압축 저장되고 공급기(22) 내부의 개구(20)가 폐쇄되는 제1 미방출 위치 및 개구(20)가 개방되는 제2 방출 위치 간에 방출 부재(56)(도 2)를 이동시킨다. 방출 부재(56)는 피스톤 조립체(24)의 일부일 수 있거나, 피스톤 조립체에 연결될 수도 있다. 피스톤 조립체(24)는 예컨대 액츄에이터(14)에서 공급기(22)의 개구(20)까지 연장되는 구조물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피스톤 조립체(24)는 단일 구조일 수도 있다.
피스톤 조립체(24)의 제1 위치 및 제2 위치 간의 이동은, 피스톤 조립체(24)(도 2)를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억제제 액츄에이터(14)에 전기 신호를 전송하는 제어기(26)를 통해 제어된다. 제어기(26)는 다양한 이벤트에 반응하여 전기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기(26)는 특정한 열에너지 수준에 반응하여 이동을 개시시킨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어기(26)는 화재의 육안 탐지에 기초하여 이동을 개시시킨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어기(26)는 조작자의 수동 명령에 반응하여 억제제(18)의 방출을 개시시킨다.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방출 부재(56)를 이동시킬 때, 방출 부재(56)는 공급기(22) 내에 개구(20)가 설정되도록 피스톤 조립체(24)를 이동시킴으로써, 공급기(22) 내부의 압축 저장된 억제제(18)가 개구(20)를 통해 예컨대 엔진 베이(bay)(30) 내로 억제제(18a)를 방출하는 것을 허용한다.
본 실시예에서, 억제제 액츄에이터(14)는 피스톤 조립체(24)를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단 한 차례만 이동시키는 일회용 액츄에이터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억제제 액츄에이터(14)는 피스톤 조립체(24)를 제1 위치와 제2 위치 간에 왕복 이동시키는 것은 물론 제1 및 제2 위치 사이의 중간 위치로도 이동시킨다.
도 1에는 억제제 액츄에이터(14)가 공급기(22) 외측에 부분적으로 연장되고 피스톤 조립체(24)와 독립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대안으로서, 액츄에이터(14)와 공급기(22)는 완전히 공급기(22)의 내측 또는 내부에 배치되는 단일 장치로 합체될 수도 있다.
도 1의 억제 시스템(10)은 차량(34)의 엔진 베이(30) 내부에 보유될 수 있다. 공급기(22)에서 방출되는 억제제(18a)는 차량(34) 내부, 특히 엔진 베이(30) 내부의 불을 끈다. 다른 실시예에서, 억제제 액츄에이터(14)는 승무원실, 건조실 또는 차량(34) 외부에서 사용된다. 억제 시스템(10)은 폭발도 억제할 수 있다.
억제제(18)는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억제제는 건식 화학제(dry chemical)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억제제는 액체, 거품 또는 기체 억제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제 도 1과 더불어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예시적인 억제제 액츄에이터(14)는 솔레노이드 조립체(50)와 바이어스 조립체(54)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이어스 조립체(54)는 바람직하게는 바이어스 부재(62), 방사상 플랜지(74), 복수의 볼 베어링(112) 및 방출 부재(56)를 포함한다. 피스톤 조립체(24)의 제1 단부(29)는 억제제 액츄에이터(14) 내에 수납되어 방출 부재(56)에 연결된다.
피스톤 조립체(24)에 연결되는 방출 부재(56)가 억제제 액츄에이터(14)에 의해 제2 위치로 이동될 때, 피스톤 조립체(24)의 제2 단부(144)는 파열판(148)을 관통하도록 강제되어 홀(20)을 형성한다. 이어서 저장된 억제제(18)가 파열판(148)의 홀(20)을 통해 공급기(22)로부터 배출된다.
억제제 액츄에이터(14)의 솔레노이드(51)는 제어기(26)가 솔레노이드(51)에 전기 신호를 전송할 때까지 방출 부재(56)의 위치 및 이에 따른 피스톤 조립체(24)의 위치를 유지한다.
본 발명의 억제제 액츄에이터(14)는 보어(12)를 한정하는 외측 하우징(66)을 가진다. 피스톤 조립체(24)에 연결되는 방출 부재(56)는 보어(12)의 제1 단부 내에 활주 가능하게 수납된다. 방출 부재(56)는 네크부(21)와 스템부(82)에 연결되는 방사상 플랜지(70)를 가진다. 피스톤 조립체(24)의 제1 단부(29)의 일부는 방출 부재(56)의 네크부(21)의 바이어스 스프링 보어(23) 내부에 연장된다. 바이어스 스프링 보어(23)는 방출 핀(56)의 스템부(82)의 길이를 연장하는 공동(25)에 연결된다. 압축된 바이어스 스프링(9)은, 스프링의 제1 단부(9a)가 피스톤 조립체(24)와 접촉되고 바이어스 스프링(9)의 제2 단부(9b)는 바이어스 스프링 보어(23) 내부에 활주 가능하게 수납되는 핀 가이드(8)와 접촉되는 상태로, 바이어스 스프링 보어(23) 내부에 존재한다. 방출 부재(56)의 스템부(82)의 공동(25) 길이의 일부를 연장하는 바이어스 핀(7)은 핀 가이드(8)에 일체로 연결된다. 스템부(82)의 일 단부는 방사상 플랜지(74)의 헤더(78)의 스템부(88)에 의해 한정되는 보어(27) 내에 활주 가능하게 수납된다.
바이어스 부재(62)는, 바이어스 부재(62)의 제1 단부(62a)가 방출 부재(56)의 방사상 플랜지(70)와 접촉되고 바이어스 부재(62)의 제2 단부(62b)가 방사상 플랜지(74)와 접촉되는 상태에서, 방출 부재(56)의 네크부(21)와 스템부(82) 및 방사상 플랜지(74)의 헤더(78)를 둘러싼다. 바이어스 부재(62)는 하우징(66)에서 외향으로 또는 D 방향으로 방출 부재(56)를 이동시키는 반면, 바이어스 부재(62)의 제2 단부(62b)는 움직이지 않고 방사상 플랜지(74)에 접촉된 상태로 남아있다. 방사상 플랜지(74)는 격침(104)의 위치와는 상관없이, 격침(104)이 바이어스 부재(62)에 절대 접촉되지 못하도록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코일 스프링인 바이어스 부재(62)는 바람직하게는 1557 N 내지 1802 N(350 lbf 내지 405 lbf)의 힘을 가할 수 있다. 대안 실시예에서는, 고유한 출력 힘을 가지는 다른 유형의 바이어스 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보어(12)의 제2 단부 내부에는 솔레노이드 조립체(50)가 있다. 솔레노이드 조립체(50)는 예컨대 제어기(26)와 같은 전원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코일(136)이 구비된 솔레노이드(51), 보빈(140) 및 이동 가능 플런저(132)를 포함한다. 이동 가능 플런저(132)는 격침(104)의 당김 단부(17)에 연결되는 헤드(128)를 수납한다. 격침(104)의 헤드(128)의 대향측에는 스템부(88) 내부의 공동(25)과 방사상 플랜지(74)의 헤더(78)에 의해 한정되는 보어(27)에 수납되는 로드 단부(16)가 있다.
격침(104)의 당김 단부(17)는 제1 외경(D1)을 가지고 로드 단부(16)는 제2 외경(D2)을 가진다. 제1 외경(D1)과 제2 외경(D2) 간의 전이는 경사 구역(122)을 통해 이루어진다. 제1 외경(D1)은 제2 외경(D2)보다 크다. 격침(104)이 이동되는 동안, 복수의 볼 베어링(112)은 제1 외경부(D1)에서 경사 구역(122)을 거쳐 제2 외경부(D2)까지 활주한다.
보어(108)는 스템부(82) 내에 한정되고, 그 각각은 복수의 볼 베어링(112) 중 하나를 수납한다. 보어(108)는 보어(100)에서 스템부(82)의 외벽까지 방사상으로 연장된다(도 4). 볼 베어링(112)이 보어(108) 내부에 배치될 때, 볼 베어링(112)의 방사상 외부(116)는 헤더(78)의 플랜지(74)에 접촉되어 피스톤 조립체(24)를 제1 위치에 유지시킨다.
피스톤 조립체(24)가 제1 미방출 위치에 있을 때, 격침(104)은 볼 베어링(112)이 헤더(78)에 밀착되게 보어(108) 내부에 유지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피스톤 조립체(24)가 제1 미방출 위치에 있을 때, 볼 베어링(112)의 방사상 외부(116)는 플랜지(74)의 각진 면(120)과 접촉된다. 각진 면(120)은 액츄에이터 조립체(14)의 축에 대하여 각이 진다. 제1 미방출 위치는 또한 잠금 위치로 간주될 수도 있다.
물론, 바이어스 부재(62)는 압축될 때, 헤더(78)에서 멀어지는 방향(D)으로 피스톤 조립체(24)를 편의시킨다. 보어(108) 내에 배치되는 볼 베어링(112)은 바이어스 부재(62)의 이동을 제한하여 피스톤 조립체(24)가 방향(D)으로 이동되는 것을 막는다. 구체적으로는, 볼 베어링(112)의 방사상 외부(116)와 헤더(78)의 각진 면(120) 간의 접촉은 제2 위치를 향한 피스톤 조립체(24)의 이동을 제한한다.
억제제 액츄에이터(14)가 도 2에 도시된 미방출 위치로 방출 부재(56)를 이동시킬 때, 방출 부재(56)의 방사상 플랜지(70)는 외측 하우징(66)의 보어(12)의 단부에 접촉되지 않으며, 바이어스 부재(62)가 압축된다. 격침(104)의 로드 단부(16)는 피스톤 조립체(24)에 연결되는 바이어스 핀(7)과 핀 가이드(8)를 편의시키며, 이로써 바이어스 스프링(9)을 더 압축시킨다. 복수의 볼 베어링(112)은, 방사상 플랜지(74)의 경사 구역(120), 격침(104)의 경사 구역(122) 및 장착 부재(56)의 스템부(82) 모두에 마찰 안착됨으로써, 격침(104)의 제1 외경부(D1) 상에 고정된다. 미방출 위치는 또한 잠금 해제 위치로 간주될 수도 있다.
미방출 위치에서 도 3에 도시된 방출 위치로 메커니즘을 방출하기 위해, 솔레노이드 조립체(50)의 적어도 하나의 코일(136)이 통전된다. 이는 도면의 방향(D) 반대편에 이동 가능 플런저(132)를 견인하고, 격침(104)의 당김 단부(17)의 헤드(128) 또한 방향(D)의 대향측 또는 반대 방향으로 견인한다. 이 운동은 복수의 볼 베어링(112)이 제1 외경부(D1)에서 경사 섹션(122)을 지나 격침(104)의 제2 외경부(D2)까지 이동되어 방사상 플랜지(74)의 경사 구역(120)에서 이탈하는 것을 허용한다. 방향(D)의 반대 방향을 향한 격침(104)의 이동은 핀 가이드(8) 또한 방향(D)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허용한다. 이와 동시에, 바이어스 부재(62)는, 방출 부재(56)의 방사상 플랜지(70)가 보어(12)의 단부에 접촉될 때까지 D의 방향으로 방출 부재(56)와 피스톤 조립체(24)를 편의시킨다.
유의해야 하는 것은, 바이어스 부재(62)는 격침(104), 방출 부재(56) 및 방사상 플랜지(74)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볼 베어링(112)을 통해 전달되는 마찰력에 의해 압축 상태로 남아있다는 점이다. 방출 부재(56)는, 압축되어 있는 동안에, 방출 부재(56) 전체를 외향으로 견인하려는 힘을 발생시킨다. 이 힘 벡터는 방사상 플랜지(74) 상에 배치된 경사 구역(120)에 반발력을 생성한다. 복수의 볼 베어링(112)에 작용하는 이 힘 벡터의 수직 성분은 바이어스 부재(62)를 압축 위치에 내재적으로 고정시키는 마찰력을 생성한다.
방출 위치에서 미방출 위치로 메커니즘을 리셋하기 위해서는, 메커니즘이 수동으로 리셋될 필요가 있다. 메커니즘을 리셋하기 위해서는, 바이어스 부재(62)와 방출 부재(56)가 도 2에 도시된 초기 위치로 도로 압축되어야 한다. 방출 부재(56)를 초기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바이어스 스프링(9)과 격침(104) 또한 도 2에 도시된 초기 위치로 도로 이동된다. 방출 부재(56)가 초기 위치로 도로 이동되는 동안, 복수의 볼 베어링(112)은 격침(104)의 경사 구역(122)에 접촉될 때까지 제자리에 유지된다. 격침(104)의 경사 구역(122)과 방출 핀(56)의 이동은 복수의 볼 베어링(112)이 격침의 경사 구역(122) 및 방사상 플랜지(74)의 경사 구역(120) 상에 위치되도록 강제함으로써, 제1 외경부(D1)에 복수의 볼 베어링(112)을 고정시킨다.
유의해야 하는 것은, 바이어스 스프링(9)의 힘이, 솔레노이드 조립체(50)의 이동 가능 플런저(132)의 이동과 동일한 방향인 바이어스 스프링(9)에 의한 스프링력을 제공함으로써 솔레노이드 조립체(50)를 지원한다는 점이다. 이러한 양의(positive) 알짜힘(net force)은 솔레노이드 조립체(50)가 수행해야 하는 일을 저감시킨다. 바이어스 스프링(9)에 의해 제공되는 추가적인 힘은 또한 솔레노이드로부터의 힘의 출력이 저감되도록 허용하며, 따라서 솔레노이드의 크기가 현저히 축소될 수 있다. 즉, 바이어스 스프링(9)은 소량의 힘으로 큰 효과를 보는, 평형력을 갖는 힘 등가물로서의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억제제 액츄에이터(14)는 종래의 액츄에이터 설계를 능가하는 많은 이점을 제공한다. 예컨대, 본 발명의 억제제 액츄에이터는, 바이어스 스프링이 없는 종래 설계의 25 ms와 비교하여, 바이어스 스프링의 구비에 의해 대략 4 ms의 신속한 솔레노이드 반응 시간을 가진다. 본 발명은 또한, 바이어스 스프링이 없는 종래 설계의 133 N(30 lbf)와 비교하여, 22 N(5 lbf)의 힘 소요만으로 보다 강한 힘 출력을 원거리에 걸쳐 제공한다. 본 발명의 메커니즘의 힘은 22 N(5 lbf)의 솔레노이드 출력 힘으로 가동되는 1890 N(425 lbf)의 저장력이다. 나아가, 본 발명의 메커니즘은 12.7 ㎜(0.500 인치)를 초과하는 범위의 스트로크를 가진다. 본 실시예의 전력 소모는, 바이어스 스프링이 없는 종래 설계의 160 와트와 비교하여, 대략 120 와트이다. 게다가 패키지 크기가, 직경은 대략 20.32 ㎜(0.8 인치)만큼, 길이는 대략 20.32 ㎜(0.8 인치)만큼 작게 제작될 수 있다.
예시적인 억제제 액츄에이터(14)는 원주방향으로 격침(104)을 둘러싸는 네 개의 볼 베어링(112)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볼 베어링(112)은 원주방향으로 등간격 이격된다. 예컨대, 볼 베어링(112) 중 하나가 12시 방향에 위치하고, 나머지는 3시 방향 등에 위치한다.
본 실시예에서, 바이어스 부재(62)와 피스톤 조립체(24)는 공통 축을 따라 이동된다.
예시적인 파열판(148)은 비교적 얇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원통형 탱크인 공급기(22)에 밀봉 용접된다. 일 실시예에서, 억제제 액츄에이터(14)는 공급기(22)의 피팅부(fitting) 내로 삽입되며, 이어서 영역 W1과 W2에서 공급기(22)에 밀봉 용접된다. 이어서 MIL-DTL형 원형 커넥터 또는 플라잉 리드에서 종단되는 자동차 계열 커넥터와 같은 다양한 커넥터가 억제제 액츄에이터(14)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바이어스 조립체(54)의 하우징(66)은 304L 스테인레스강으로 제조되고, 하우징(140)은 430FR 스테인레스강이다. 하우징(140)은 영역 W1과 W2에서 하우징(66)에 용접된다. 하우징(66)과 하우징(140)은 밀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방사상 플랜지를 각각 제공한다. 다른 실시예에는 다른 재료가 사용된다.
예시적인 억제제 액츄에이터(14)의 크기는 억제제 액츄에이터(14)에 요구되는 밸런싱 힘, 스트로크, 반응 시간 및 패키지 크기 요건을 토대로 정해진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보다 엄격한 공차가 적용되며, 결합면은 경화되거나 마찰을 저감하기 위해 세라믹 코팅된다.
예시적인 억제제 액츄에이터(14)는 3.7 Joule의 에너지를 출력한다. 다른 설계는 9 내지 10 Joule의 에너지를 제공한다.
개시된 실시예의 특징부는 환경 조건으로 인한 성능 열화를 비교적 덜 겪는 억제제 액츄에이터를 포함한다. 이들 실시예의 일부의 내용년수는 30년에 육박하고, 이는 종래 기술의 액츄에이터에 비해 교체 빈도를 크게 저감시킨다. 예시적인 억제제 액츄에이터는 비교적 크기가 작고 선형 가동을 제공한다.
위의 설명은 사실상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이다.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본 개시의 본질에서 벗어나지 않는, 실시예에 대한 변형 및 변경을 명백히 인지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 부여되는 법적 보호의 범위는 오직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질 수 있다.

Claims (22)

  1. 억제제 액츄에이터 조립체이며,
    억제제의 흐름을 제한하는 제1 위치에서 억제제의 흐름을 허용하는 제2 위치로 이동 가능한 방출 부재와,
    상기 방출 부재를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더 편의된 위치에서 덜 편의된 위치로 이동시키는 바이어스 부재와,
    상기 바이어스 부재의 이동을 허용하기 위해 작동되는 솔레노이드를 포함하는 억제제 액츄에이터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솔레노이드에 의해 결합 위치에서 분리 위치로 이동되는 격침을 포함하되, 결합 위치의 격침은 상기 바이어스 부재의 이동을 분리 위치의 격침보다 더 많이 제한하는 억제제 액츄에이터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격침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으로 배열되는 베어링을 포함하되, 상기 베어링은 상기 격침이 결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방출 부재의 일부와 상기 방출 부재의 헤더 사이의 유지 위치에 존재하고, 상기 격침이 분리 위치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방출 부재가 제2 위치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베어링의 유지 위치로부터의 이동이 허용되는 억제제 액츄에이터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위치의 베어링은 격침, 헤더의 각진 면 및 방출 부재에 직접 접촉되는 억제제 액츄에이터 조립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출 부재는 제1 축을 따라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되고, 상기 바이어스 부재는 제1 축에 나란한 제2 축을 따라 더 편의된 위치에서 덜 편의된 위치로 이동되는 억제제 액츄에이터 조립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축은 상기 제2 축과 동축 상에 있는 억제제 액츄에이터 조립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어스 부재는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는 억제제 액츄에이터 조립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스프링은 적어도 667N의 힘을 가하도록 구성되는 억제제 액츄에이터 조립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어스 부재는 상기 방출 부재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방출 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수납하는 억제제 액츄에이터 조립체.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억제제는 화재 억제제를 포함하는 억제제 액츄에이터 조립체.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출 부재는 피스톤을 포함하는 억제제 액츄에이터 조립체.
  12. 억제제 시스템이며,
    제어기와,
    억제제 공급기와,
    제1 위치로부터 제1 위치에 비해 공급기로부터의 억제제 흐름을 더 많이 양 허용하는 제2 위치로 이동 가능한 방출 부재와,
    상기 방출 부재를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더 편의된 위치에서 덜 편의된 위치로 이동하는 바이어스 부재와,
    더 편의된 위치에서 덜 편의된 위치를 향한 바이어스 부재의 이동을 개시시키기 위해 제어기에서 전송되는 명령에 따라 작동되는 솔레노이드를 포함하는 억제제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증가된 온도의 탐지에 반응하여 솔레노이드를 작동시키는 억제제 시스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의 적어도 일부는 차량의 엔진 베이에 수용되는 억제제 시스템.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방출 부재, 바이어스 부재 및 솔레노이드는 공통축을 따라 이동하는 억제제 시스템.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어스 부재는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는 억제제 시스템.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방출 부재는 피스톤을 포함하는 억제제 시스템.
  18. 억제제 시스템을 작동시키는 방법이며,
    솔레노이드를 작동시켜서 바이어스 부재의 이동을 허용하는 단계와,
    바이어스 부재를 사용하여 억제제의 흐름을 제한하는 제1 위치에서 억제제의 흐름을 허용하는 제2 위치로 방출 부재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억제제 시스템을 작동시키는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어스 부재는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는 억제제 시스템을 작동시키는 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어스 부재가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 중일 때, 억제제를 방출하기 위해 방출 부재를 사용하여 멤브레인을 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억제제 시스템을 작동시키는 방법.
  21. 억제제 액츄에이터 조립체이며,
    공급 컨테이너에 저장되는 억제제와,
    공급 컨테이너로부터의 억제제의 흐름을 제한하는 제1 위치에서 공급 컨테이너로부터의 억제제의 흐름을 허용하는 제2 위치로 축방향 이동 가능한 방출 부재와,
    제2 위치를 향하여 상기 방출 부재를 편의시키는 바이어스 스프링과,
    복수의 볼 베어링과 상호작용하는 격침으로서, 상기 복수의 볼 베어링이 상기 방출 부재의 이동을 방사상으로 방해하여 상기 방출 부재의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의 이동을 막는 잠금 위치와, 상기 방출 부재의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의 이동을 허용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볼 베어링이 격침에 대하여 방사상으로 이동 가능한 잠금 해제 위치를 가지는 격침과,
    가동시 상기 격침을 잠금 해제 위치로 이동시키는 솔레노이드를 포함하는 억제제 액츄에이터 조립체.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격침에 결합되는 바이어스 핀을 추가로 포함하되, 상기 격침은 상기 바이어스 핀과 격침을 제2의 잠금 해제 위치로 편의시키기 위해 상기 방출 부재와 상기 바이어스 핀 사이의 스프링 압입에 의해 편의되는 억제제 액츄에이터 조립체.
KR1020120082240A 2011-08-02 2012-07-27 억제제 액츄에이터 KR1013547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161514145P 2011-08-02 2011-08-02
US61/514,145 2011-08-02
US13/398,156 US9038742B2 (en) 2011-08-02 2012-02-16 Suppressant actuator
US13/398,156 2012-02-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8546A true KR20130018546A (ko) 2013-02-25
KR101354780B1 KR101354780B1 (ko) 2014-01-22

Family

ID=46651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2240A KR101354780B1 (ko) 2011-08-02 2012-07-27 억제제 액츄에이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038742B2 (ko)
EP (1) EP2554221B1 (ko)
KR (1) KR101354780B1 (ko)
AU (1) AU2012208982B2 (ko)
CA (1) CA2782742C (ko)
ES (1) ES2681222T3 (ko)
TW (1) TWI50585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5240863B2 (en) * 2014-04-02 2020-03-12 Tyco Fire Products Lp Electric-pneumatic actuator assembly
US9539452B2 (en) * 2014-07-11 2017-01-10 Kidde Technologies, Inc. Rapid pressure diffusion actuator for a fire extinguisher
US9821183B2 (en) 2014-07-11 2017-11-21 Kidde Technologies, Inc. Motorized actuator for a fire extinguisher
US9649520B2 (en) * 2014-07-11 2017-05-16 Kidde Technologies, Inc. Burst disc puncture pressure-imbalance actuator for a fire extinguisher
US9714718B2 (en) * 2015-06-05 2017-07-25 Tlx Technologies, Llc Sensor for connection detection and actuator including same
US10024454B2 (en) * 2016-07-21 2018-07-17 Kidde Technologies, Inc. Actuators for hazard detection and suppression systems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510445A (en) 1924-02-14 1924-09-30 William H Avery Ball-lock release and spring-actuating mechanism
US3407879A (en) 1966-06-17 1968-10-29 Harrel W. O'rear Fire extinguishing system
US3468169A (en) 1968-01-26 1969-09-23 Atomic Energy Commission Quick release coupling
US3563098A (en) 1968-06-28 1971-02-16 Rex Chainbelt Inc Automatic quick release mechanism
US3643515A (en) * 1970-01-20 1972-02-22 Kidde & Co Walter Multioption control head
US3730005A (en) 1971-12-20 1973-05-01 Clare & Co C P Electromechanical actuator
US4011911A (en) 1974-03-29 1977-03-15 Gow Quinn W Portable fire extinguisher
US4004488A (en) 1975-04-01 1977-01-25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Dual-motion firing device
US4159744A (en) * 1977-12-09 1979-07-03 Monte Anthony J Fire extinguishant mechanism
DE3561362D1 (en) 1984-11-26 1988-02-11 Oerlikon Buehrle Ag Control cable
US4637473A (en) 1986-01-16 1987-01-20 Kidde, Inc. Fire suppression system
FR2612570A1 (fr) * 1987-03-17 1988-09-23 Alsthom Dispositif de stockage d'energie mecanique a force d'accrochage nulle
US4887674A (en) 1988-03-22 1989-12-19 Galosky David G Cartridge operated fire extinguisher
US4891994A (en) 1989-02-13 1990-01-09 Plessey Incorporated Linear electromechanical actuator
IT1228704B (it) 1989-03-09 1991-07-03 Cge Spa Pulsante di emergenza a sgancio.
US4974812A (en) 1989-05-31 1990-12-04 Walter Kidde Aerospace, Inc. Quick opening solenoid actuated valve
JPH0450058A (ja) 1990-06-18 1992-02-19 Takata Kk シートベルト装置のプリテンショナー
US5518430A (en) * 1993-08-17 1996-05-21 Deep Six Enterprises, Inc. Triggering mechanism
US5771742A (en) 1995-09-11 1998-06-30 Tini Alloy Company Release device for retaining pin
US5918681A (en) 1996-04-22 1999-07-06 Thomas; Orrett H. Fire extinguish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ES2283909T3 (es) 1999-03-31 2007-11-01 Aerojet-General Corporation Extintor hibrido.
US20020189824A1 (en) 2001-05-04 2002-12-19 Ezekiel Joseph System for fire extinguishing
US6722216B2 (en) * 2001-07-17 2004-04-20 Ansul Incorporated Booster actuator
KR200285159Y1 (ko) * 2002-03-20 2002-08-13 이종한 소화기용 밸브 개방장치
US6785168B2 (en) 2002-12-27 2004-08-31 Hynix Semiconductor Inc.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advanced prefetch block
US6948685B2 (en) 2003-10-27 2005-09-27 Hr Textron, Inc. Locking device with solenoid release pin
US20060016608A1 (en) 2004-07-21 2006-01-26 Kidde Ip Holdings Limited Discharge of fire extinguishing agent
US20070007020A1 (en) 2005-07-11 2007-01-11 Kidde Fenwal, Inc. Thermal detector for fire suppression system
KR100679675B1 (ko) 2005-08-04 2007-02-22 주식회사 진화이앤씨 소화약재 방출헤드 자동개방장치
US7201619B1 (en) 2005-11-30 2007-04-10 Autotether, Inc. Safety shut-off system for a powered vehicle
US7553205B2 (en) 2005-11-30 2009-06-30 Autotether, Inc. Electromechanical spring-powered actuator
JP2009160383A (ja) 2007-12-13 2009-07-23 Hochiki Corp 発煙消火装置
US8511397B2 (en) * 2010-01-12 2013-08-20 Kidde Technologies, Inc. Highly integrated data bus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system
US8640783B2 (en) 2011-06-14 2014-02-04 Tlx Technologies, Llc Solenoid interlock for booster actu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311311A (zh) 2013-03-16
ES2681222T3 (es) 2018-09-12
AU2012208982A1 (en) 2013-02-21
AU2012208982B2 (en) 2014-01-23
EP2554221A3 (en) 2016-01-20
EP2554221B1 (en) 2018-07-18
US20130032741A1 (en) 2013-02-07
EP2554221A2 (en) 2013-02-06
US9038742B2 (en) 2015-05-26
TWI505851B (zh) 2015-11-01
CA2782742A1 (en) 2013-02-02
CA2782742C (en) 2015-02-24
KR101354780B1 (ko) 2014-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4780B1 (ko) 억제제 액츄에이터
US20200300377A1 (en) Valve for Switching Fluids, Extinguishing System, and a Method
EP3023123B1 (en) Poppet valve with a frangible sealing disc for a pressure vessel
JP5655105B2 (ja) 自動消火システムのバルブアセンブリ、自動消火システム、および自動消火システムの作動方法
SG187371A1 (en) Suppressant actuator
US8800585B2 (en) High rate discharge (HRD) valve incorporating a rotating lever release mechanism
JP4195376B2 (ja) ブースターアクチュエータ
AU2002320034A1 (en) Booster actuator
WO2009073853A1 (en) Gas supply system for pneumatic store ejection utilizing a removable, replaceable and on-board rechargeable gas storage vessel
US20240001576A1 (en) Electro-pneumatic cable cutter assembly for aircraft hoist
EP4303168A1 (en) Electro-pneumatic cable cutter assembly for aircraft hoist
RU2575186C1 (ru) Предохранительное мембра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