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8144A - 디바이스 간 직접 통신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디바이스 간 직접 통신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8144A
KR20130018144A KR1020120086759A KR20120086759A KR20130018144A KR 20130018144 A KR20130018144 A KR 20130018144A KR 1020120086759 A KR1020120086759 A KR 1020120086759A KR 20120086759 A KR20120086759 A KR 20120086759A KR 20130018144 A KR20130018144 A KR 201300181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tone
peripheral device
region
transm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67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96385B1 (ko
Inventor
임치우
박승훈
이남윤
김경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JP2014524936A priority Critical patent/JP5960821B2/ja
Priority to EP12821490.5A priority patent/EP2742613B1/en
Priority to CN201280039243.5A priority patent/CN103733543B/zh
Priority to PCT/KR2012/006350 priority patent/WO2013022291A2/en
Priority to AU2012295038A priority patent/AU2012295038B2/en
Priority to US13/584,169 priority patent/US9680604B2/en
Publication of KR201300181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81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63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63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56Systems characterized by the type of code used
    • H04L1/0061Error detection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diversity reception
    • H04L1/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diversity reception using frequency 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47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only
    • H04L27/265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L27/2666Acquisition of further OFDM parameters, e.g. bandwidth, subcarrier spacing, or guard interval l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6Optimizing the usage of the radio link, e.g. header compression, information sizing, discarding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Electric Clocks (AREA)
  • Position Fixing By Use Of Radio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바이스 간 직접 통신 서비스를 지원하는 시스템에서 주변 디바이스를 탐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때, 주변 디바이스를 탐색하기 위한 방법은, 디바이스 정보에 포함되는 제 1 정보와 제 2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과, 탐색 구간의 제 1 영역에 포함되는 다수 개의 톤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제 1 톤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제 1 톤의 부반송파 인덱스와 심볼 인덱스를 전치시켜 상기 탐색 구간의 제 2 영역에서 상기 제 1 정보를 전송할 적어도 하나의 제 2 톤을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제 2 톤을 통해 상기 제 1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탐색 구간의 제 3 영역에서 상기 제 1 톤에 대응되는 자원 영역을 통해 상기 제 2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디바이스 간 직접 통신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DEVICE TO DEVICE SERVICE}
본 발명은 디바이스 간 직접 통신 서비스(D2D: Device to Device)를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신 기기와 통신시스템의 발달로 통신 기기의 사용자들은 자신이 원하는 정보를 언제든 쉽게 얻거나 공유할 수 있는 서비스를 필요로 하고 있다. 최근 스마트폰 및 테블릿 PC의 등장으로 무선통신시스템을 통해서 다양한 정보를 획득 및 공유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되어 있다. 하지만, 무선통신시스템은 통신 인프라가 구축된 경우에만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획득 및 공유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무선통신시스템은 시스템의 복잡도나 시간적인 지연에 의해 일상 생활 공간에서의 사소하지만 유용한 실시간 정보들을 효율적으로 제공하는데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통신 인프라가 없는 공간에서 디바이스 간 통신 링크를 구성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 획득 및 공유할 수 있는 디바이스 간 직접 통신 서비스(D2D)가 대두 되고 있다.
디바이스 간 직접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디바이스는 디바이스 간 직접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주변 디바이스와의 동기를 획득한다. 이후, 디바이스 간 직접 통신 서비스를 지원하는 디바이스는 기 설정된 시점 및 자원을 이용하여 주변 디바이스를 탐색하여 주변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정보를 획득한다. 여기서, 상기 디바이스 정보는,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 디바이스 사용자의 관심 분야(interest) 및 응용 프로그램 정보 등을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디바이스는 기 설정된 탐색 구간 동안 기 설정된 자원을 이용하여 주변 디바이스를 탐색한다. 즉, 디바이스는 탐색 구간 동안 기 설정된 자원을 통해 주변 디바이스들이 방송하는 디바이스 정보를 수신하여 주변 디바이스를 탐색한다. 또한, 디바이스는 주변 디바이스들이 자신을 탐색할 수 있도록 탐색 구간 동안 기 설정된 자원을 통해 주변 디바이스들로 자신의 디바이스 정보를 방송한다.
만일, 디바이스의 송신 주파수와 수신 주파수가 동일한 경우, 디바이스는 동일한 시점에 신호의 전송 및 수신을 함께 수행할 수 없다. 이에 따라, 디바이스는 탐색 구간 동안 자신이 디바이스 정보를 방송하는 시점에 주변 디바이스들이 방송하는 디바이스 정보를 수신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디바이스 간 직접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디바이스 간 직접 통신을 지원하는 시스템에서 주변 디바이스를 탐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디바이스 간 직접 통신 서비스를 지원하는 시스템에서 주변 디바이스 탐색에 따른 오버헤드를 줄이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견지에 따르면, 디바이스 간 직접 통신 서비스를 지원하는 디바이스에서 디바이스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은, 디바이스 정보에 포함되는 제 1 정보와 제 2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과, 탐색 구간의 제 1 영역에 포함되는 다수 개의 톤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제 1 톤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제 1 톤의 부반송파 인덱스와 심볼 인덱스를 전치시켜 상기 탐색 구간의 제 2 영역에서 상기 제 1 정보를 전송할 적어도 하나의 제 2 톤을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제 2 톤을 통해 상기 제 1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탐색 구간의 제 3 영역에서 상기 제 1 톤에 대응되는 자원 영역을 통해 상기 제 2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2 견지에 따르면, 디바이스 간 직접 통신 서비스를 지원하는 디바이스에서 주변 디바이스를 탐색하기 위한 방법은, 탐색 구간의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에서 제 1 정보를 전송하지 않는 자원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주변 디바이스가 전송하는 제 1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탐색 구간의 제 3 영역에서 제 2 정보를 전송하지 않는 자원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주변 디바이스가 전송하는 제 2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주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제 1 정보와 제 2 정보를 결합하여 적어도 하나의 주변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3 견지에 따르면, 디바이스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주변 디바이스로 신호를 전송하는 송신부와, 탐색 구간의 제 1 영역에 포함되는 다수 개의 톤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제 1 톤을 이용하여 디바이스 정보에 포함되는 제 1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제 1 톤의 부반송파 인덱스와 심볼 인덱스를 전치시켜 상기 탐색 구간의 제 2 영역에서 상기 제 1 정보를 전송할 적어도 하나의 제 2 톤을 통해, 상기 제 1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탐색 구간의 제 3 영역에서 상기 제 1 톤에 대응되는 자원 영역을 통해 디바이스 정보에 포함되는 제 2 정보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4 견지에 따르면, 디바이스 장치는, 탐색 구간의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에서 제 1 정보를 전송하지 않는 자원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주변 디바이스가 전송하는 제 1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탐색 구간의 제 3 영역에서 제 2 정보를 전송하지 않는 자원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주변 디바이스가 전송하는 제 2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주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제 1 정보와 제 2 정보를 결합하여 적어도 하나의 주변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정보를 확인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디바이스 간 직접 통신 서비스를 지원하는 시스템의 디바이스에서 자신의 디바이스 정보 중 일부만을 톤 단위로 반복하여 전송함으로써, 주변 디바이스 탐색에 따른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디바이스에서 디바이스 정보 중 일부만을 톤 단위로 반복하여 전송하는 경우, 톤과 디바이스 정보의 매핑을 전치(transpose)하여 반복적으로 전송함으로써, 주변에서 디바이스 정보를 전송하는 모든 디바이스를 탐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변 디바이스를 탐색하기 위한 탐색 구간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탐색 구간의 톤 전송 구간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탐색 구간의 톤 전송 구간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변 디바이스를 탐색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주변 디바이스를 탐색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 간 직접 통신 서비스를 지원하는 디바이스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은 디바이스 간 직접 통신 서비스를 지원하는 시스템에서 주변 디바이스를 탐색하기 위한 기술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 설명에서 디바이스 간 직접 통신 서비스를 지원하는 시스템의 디바이스는 디바이스 탐색을 위해 자신의 디바이스 정보를 톤(tone) 기반으로 전송할 제 1 정보와 시퀀스(sequency) 기반으로 전송할 제 2 정보로 분할하여 전송한다. 여기서, 디바이스 정보는,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 디바이스 사용자의 관심 분야(interest) 및 응용 프로그램 정보 등을 포함한다.
디바이스 간 직접 통신 서비스를 지원하는 시스템의 디바이스는 하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탐색 구간을 이용하여 주변 디바이스를 탐색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변 디바이스를 탐색하기 위한 탐색 구간을 도시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 간 직접 통신 서비스를 지원하는 시스템은 디바이스 간 탐색을 위한 탐색구간(100)을 설정한다. 즉, 디바이스 간 직접 통신 서비스를 지원하는 디바이스들은 탐색 구간(100) 동안 주변 디바이스를 탐색한다. 이때, 디바이스 간 직접 통신 서비스를 지원하는 디바이스들은 주변 디바이스가 자신의 디바이스 정보를 탐색하도록 탐색 구간(100) 동안 자신의 디바이스 정보를 전송한다. 이때, 탐색 구간은 일정 주기로 존재한다.
탐색 구간(100)은 제 1 톤 전송 구간(102)과 제 2 톤 전송 구간(104) 및 시퀀스 전송 구간(106)을 포함한다.
디바이스는 제 1 톤 전송 구간(102) 동안 자신의 디바이스 정보의 일부분인 제 1 정보를 제 1 톤 전송 구간(102)에 포함되는 특정 톤을 이용하여 전송한다. 이때, 제 1 톤 전송 구간(102)에 포함되는 각 톤은 각 디바이스의 제 1 정보와 일대일로 매핑된다. 예를 들어, 제 1 톤 전송 구간(102)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x개의 부반송파들과 y 개의 심볼들로 구성된 경우, 디바이스는 자신의 디바이스 정보에서 M비트(log2(x×y))의 제 1 정보를 추출한다. 이후, 디바이스는 제 1 정보에 매핑된 제 1 톤 전송 구간(102)의 어느 하나의 톤을 이용하여 M 비트의 제 1 정보를 방송한다. 여기서, 디바이스의 제 1 정보와 톤의 매핑 정보는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 또는 M비트에 따른 톤 인덱스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는 제 2 톤 전송 구간(104) 동안 자신의 디바이스 정보의 일부분인 제 1 정보를 제 2 톤 전송 구간(104)에 포함되는 특정 톤을 이용하여 전송한다. 이때, 디바이스는 제 1 톤 전송 구간(102)에서 제 1 정보를 전송한 톤의 자원 인덱스를 전치(transpose)하여 제 2 톤 전송 구간(104)에서 제 1 정보를 전송할 톤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디바이스가 제 1 톤 전송 구간(102)에서 1번째 부반송파 및 3번째 심볼로 구성된 톤(200)을 이용하여 제 1 정보를 전송한 경우, 제 1 디바이스는 제 2 톤 전송 구간(104)에서 3번째 부반송파 및 1번째 심볼로 구성된 톤(210)을 이용하여 제 1 정보를 전송한다. 이에 따라, 제 1 톤 전송 구간(102)을 구성하는 부반송파의 개수와 심볼의 개수가 다른 경우, 제 1 톤 전송 구간(102)과 제 2 톤 전송 구간(104)을 구성하는 심볼의 개수가 달라질 수도 있다. 여기서, 디바이스가 제 1 톤 전송 구간(102) 동안 전송하는 제 1 정보와 제 2 톤 전송 구간(104) 동안 전송하는 제 1 정보는 동일하다.
디바이스는 시퀀스 전송 구간(106) 동안 자신의 디바이스 정보에 포함되는 제 2 정보를 전송한다. 이때, 디바이스는 제 1 톤 전송 구간(102)에서 제 1 정보를 전송하는데 사용한 톤의 인덱스 순서에 대응되는 시퀀스 전송 구간(106)의 적어도 하나의 심볼을 이용하여 제 2 정보를 전송한다. 예를 들어, 제 1 톤 전송 구간(102)은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심볼 방향을 우선적으로 톤 인덱스를 할당할 수 있다. 만일, 제 1 디바이스가 1번째 부반송파 및 3번째 심볼로 구성된 3번 톤을 이용하여 제 1 정보를 전송한 경우, 제 1 디바이스는 시퀀스 전송 구간(106)에서 3번째 심볼 영역을 이용하여 제 2 정보를 전송한다.
다른 예를 들어, 제 1 톤 전송 구간(102)은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반송파 방향을 우선적으로 톤 인덱스를 할당할 수 있다. 만일, 제 2 디바이스가 3번째 부반송파 및 1번째 심볼로 구성된 3번 톤을 이용하여 제 1 정보를 전송한 경우, 제 2 디바이스는 시퀀스 전송 구간(106)에서 3번째 심볼 영역을 이용하여 제 2 정보를 전송한다.
이때, 디바이스는 제 2 정보의 시퀀스 길이에 따라 시퀀스 전송 구간(106)에서 다수 개의 심볼들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는 제 2 정보의 양에 따라 전체 시퀀스를 사용하거나 부분 시퀀스를 사용하여 제 2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심볼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심볼을 포함한다.
시퀀스 전송 구간(106)의 심볼과 제 1 톤 전송 구간(102)의 톤은 일대일 또는 일대다로 매핑된다. 즉, 제 1 톤 전송 구간(102) 동안 5번 톤을 이용하여 제 1 정보를 전송한 디바이스는 시퀀스 전송 구간(106)에서 5번째 심볼 영역을 이용하여 제 2 정보를 전송한다. 이때, 시퀀스 전송 구간(106)의 심볼은 제 1 톤 전송 구간(102)의 전체 톤이 아니라 제 1 정보를 전송한 톤과 일대일 또는 일대다로 매핑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1 톤 전송 구간(102) 동안 1번 톤, 5번 톤 및 7번 톤만을 통해 제 1 정보가 전송된 경우, 1번 톤을 통해 제 1 정보를 전송한 디바이스는 시퀀스 전송 구간(106)의 첫 번째 심볼 영역을 이용하여 제 2 정보를 전송한다. 또한, 5번 톤을 통해 제 1 정보를 전송한 디바이스는 시퀀스 전송 구간(106)의 두 번째 심볼 영역을 이용하여 제 2 정보를 전송하고, 7번 톤을 통해 제 1 정보를 전송한 디바이스는 시퀀스 전송 구간(106)의 세 번째 심볼 영역을 이용하여 제 2 정보를 전송한다. 여기서, 첫 번째 심볼 영역과 두 번째 심볼 영역 및 세 번째 심볼 영역은 연속적으로 위치하거나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톤 전송 구간(102 및 104)에 포함되는 각 톤과 각 디바이스의 제 1 정보는 일대일 매핑된다. 이때, 제 1 톤 전송 구간(102)에 포함되는 각각의 톤에 매핑되는 디바이스의 제 1 정보는 시간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다. 또한, 디바이스의 제 1 정보는 톤 전송 구간(102 및 104)에 포함되는 톤들과 일대다로 매핑될 수 있다. 즉, 하나의 제 1 정보는 다수 개의 톤들에 매핑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디바이스는 제 1 톤 전송 구간(102)에서 제 1 정보를 전송하는데 사용한 톤의 인덱스 순서에 대응되는 시퀀스 전송 구간(106)의 적어도 하나의 심볼을 이용하여 제 2 정보를 전송한다. 이에 따라, 시퀀스 전송 구간(106)은 최소한 제 1 톤 전송 구간(102)에 포함되는 톤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의 심볼들을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디바이스는 제 1 정보와 제 2 정보의 연결 정보를 상기 제 2 정보에 추가하여 전송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는 디바이스 정보에 대한 CRC(Cyclic Redundancy Check)를 제 1 정보와 제 2 정보의 연결 정보로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디바이스는 자신의 디바이스 정보에 대한 CRC를 포함하는 N비트의 디바이스 정보를 생성한다. 이후, 디바이스는 N비트 중 M 비트의 제 1 정보를 제 1 톤 전송 구간(102) 및 제 2 톤 전송 구간(104)을 통해 전송하고, 나머지 N-M 비트의 제 2 정보를 시퀀스 전송 구간(106)을 통해 전송한다. 이에 따라, 제 2 디바이스는 제 1 톤 전송 구간(102) 및 제 2 톤 전송 구간(104)을 통해 수신한 제 1 정보와 시퀀스 전송 구간(106)을 통해 수신 한 제 2 정보의 CRC를 이용하여 수신한 디바이스 정보의 유효성을 검증할 수 있다. 이때, 디바이스 정보에 추가하는 CRC는 기 설정된 길이로 구성되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디바이스는 제 1 톤 전송 구간(102)과 제 2 톤 전송 구간(104)에서 제 1 정보를 전송할 자원을 전치(transpose)함으로써, 제 1 톤 전송 구간(102)에서 제 1 정보를 전송한 심볼과 제 2 톤 전송 구간(104)에서 제 1 정보를 전송할 심볼을 다르게 한다. 이에 따라, 디바이스는 주변에 위치하는 모든 디바이스에 대한 디바이스 정보를 탐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의 제 1 톤 전송 구간(102) 동안 제 1 디바이스는 1번째 부반송파 및 1번째 심볼로 구성된 톤을 이용하여 제 1 정보를 전송하고, 제 2 디바이스는 2번째 부반송파 및 1번째 심볼로 구성된 톤을 이용하여 제 1 정보를 전송하며, 제 3 디바이스는 3번째 부반송파 및 1번째 심볼로 구성된 톤을 이용하여 제 1 정보를 전송한다. 제 2 톤 전송 구간(104)에서는 전치를 통해 제 1 디바이스는 1번째 부반송파 및 1번째 심볼로 구성된 톤을 이용하여 제 1 정보를 전송하고, 제 2 디바이스는 1번째 부반송파 및 2번째 심볼로 구성된 톤을 이용하여 제 1 정보를 전송하며, 제 3 디바이스는 1번째 부반송파 및 3번째 심볼로 구성된 톤을 이용하여 제 1 정보를 전송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제 1 디바이스는 제 1 톤 전송 구간(102)의 1번째 심볼에서 제 1 정보를 전송함으로 인해 수신하지 못한 제 2 디바이스와 제 3 디바이스의 제 1 정보를 제 2 톤 전송 구간(104)의 2번째 심볼과 3번째 심볼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디바이스는 401단계에서 자신의 디바이스 정보 중 톤 기반으로 전송할 제 1 정보를 확인한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는 N비트의 디바이스 정보 중 톤 기반으로 전송할 M 비트의 제 1 정보를 추출한다. 이때, M은 N보다 작다.
제 1 정보를 추출한 후, 디바이스는 403단계로 진행하여 401단계에서 추출한 제 1 정보를 전송할 제 1 톤 전송 구간의 톤을 확인한다. 예를 들어, 제 1 톤 전송 구간에 포함되는 각 톤과 디바이스 간 직접 통신 서비스를 지원하는 각 디바이스의 제 1 정보는 일대일로 매핑된다. 이에 따라, 디바이스는 제 1 톤 전송 구간의 톤들 중 제 1 정보에 매핑된 어느 하나의 톤을 확인한다. 여기서, 디바이스의 제 1 정보와 톤의 매핑 정보는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 또는 M비트에 따른 톤 인덱스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후, 디바이스는 405단계로 진행하여 403단계에서 확인한 제 1 톤 전송 구간의 톤을 통해 제 1 정보를 전송한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는 자신의 디바이스 정보 중 일부분인 제 1 정보를 도 2에 도시된 제 1 톤 전송 구간(102)의 1번째 부반송파 및 3번째 심볼로 구성된 톤(200)을 통해 방송한다.
제 1 톤 전송 구간을 통해 제 1 정보를 전송한 후, 디바이스는 407단계로 진행하여 제 2 톤 전송 구간에서 제 1 정보를 전송할 톤을 확인한다. 이때, 디바이스는 제 1 톤 전송 구간에서 제 1 정보를 전송한 톤의 자원 인덱스를 전치(transpose)하여 제 2 톤 전송 구간에서 제 1 정보를 전송할 톤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가 도 2에 도시된 제 1 톤 전송 구간(102)의 1번째 부반송파 및 3번째 심볼로 구성된 톤(200)을 이용하여 제 1 정보를 전송한 경우, 디바이스는 제 2 톤 전송 구간(104)에서 3번째 부반송파 및 1번째 심볼로 구성된 톤(210)을 제 1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톤으로 결정한다.
이후, 디바이스는 409단계로 진행하여 407단계에서 확인한 제 2 톤 기반 전송 구간의 톤을 통해 제 1 정보를 전송한다. 여기서, 디바이스가 제 1 톤 전송 구간 동안 전송하는 제 1 정보와 제 2 톤 전송 구간 동안 전송하는 제 1 정보는 동일하다.
제 2 톤 전송 구간을 통해 제 1 정보를 전송한 후, 디바이스는 411단계로 진행하여 제 1 톤 전송 구간(102)을 통해 제 1 정보를 전송하는데 사용한 톤을 고려하여 시퀀스 전송 구간에서 제 2 정보를 전송할 심볼 영역을 확인한다. 예를 들어, 제 1 톤 전송 구간(102)이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심볼 방향으로 톤 인덱스를 할당하는 경우, 디바이스는 제 1 톤 전송 구간(102)의 1번째 부반송파 및 3번째 심볼로 구성된 3번 톤을 이용하여 제 1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디바이스는 시퀀스 전송 구간(106)에서 3번 톤에 대응되는 3번째 심볼 영역을 제 2 정보를 전송할 영역으로 인식한다. 다른 예를 들어, 제 1 톤 전송 구간(102)이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반송파 방향으로 톤 인덱스를 할당하는 경우, 디바이스는 제 1 톤 전송 구간(102)의 3번째 부반송파 및 1번째 심볼로 구성된 3번 톤을 이용하여 제 1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디바이스는 시퀀스 전송 구간(106)에서 3번 톤에 대응되는 3번째 심볼 영역을 제 2 정보를 전송할 영역으로 인식한다. 여기서, 제 2 정보는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정보에서 제 1 정보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포함한다. 또한, 심볼 영역은 제 2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심볼을 포함한다.
제 2 정보를 전송할 심볼 영역을 확인한 후, 디바이스는 413단계로 진행하여 411단계에서 확인한 심볼 영역을 통해 제 2 정보를 전송한다. 이때, 디바이스는 채널 코딩을 통해 시퀀스 기반으로 전송하는 제 2 정보의 전송 거리가 톤 기반으로 전송한 제 1 정보의 전송 거리보다 짧아지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는 제 2 정보의 양에 따라 전체 시퀀스를 사용하거나 부분 시퀀스를 사용하여 제 2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후, 디바이스는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상술한 실시 예에서 디바이스는 제 1 톤 전송 구간(102)에서 제 1 정보를 전송하는데 사용한 톤의 인덱스 순서에 대응되는 시퀀스 전송 구간(106)의 적어도 하나의 심볼을 제 2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심볼 영역으로 결정한다. 이때, 전체 디바이스 정보 중 제 1 정보가 동일한 디바이스가 다수 개인 경우, 동일한 제 1 정보를 사용하는 디바이스들은 시퀀스 전송 구간(106)에서 동일한 심볼 영역을 사용하여 제 2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디바이스는 제 1 정보와 제 2 정보의 연결 정보를 추가적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는 디바이스 정보에 대한 CRC를 제 1 정보와 제 2 정보의 연결 정보로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디바이스는 자신의 디바이스 정보에 대한 CRC를 포함하는 N비트의 디바이스 정보를 생성한다. 이후, 디바이스는 N비트 중 M 비트의 제 1 정보를 제 1 톤 전송 구간(102) 및 제 2 톤 전송 구간(104)을 통해 전송하고, 나머지 N-M 비트의 제 2 정보를 시퀀스 전송 구간(106)을 통해 전송한다. 이에 따라, 제 2 디바이스는 제 1 톤 전송 구간(102) 및 제 2 톤 전송 구간(104)을 통해 수신한 제 1 정보와 시퀀스 전송 구간(106)을 통해 수신한 제 2 정보의 CRC를 이용하여 디바이스 정보의 유효성을 검증할 수 있다. 이때, 디바이스 정보에 추가하는 CRC는 기 설정된 길이로 구성되어야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변 디바이스를 탐색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디바이스는 501단계로 진행하여 탐색 구간이 도래하는지 확인한다.
탐색 구간이 아닌 경우, 디바이스는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즉, 디바이스는 탐색 구간 동안 주변 디바이스 탐색을 수행한다.
한편, 탐색 구간이 도래한 경우, 디바이스는 503단계로 진행하여 제 1 톤 전송 구간 동안 자신의 제 1 정보를 전송하지 않는 심볼 동안 주변 디바이스들이 전송하는 제 1 정보를 수신한다.
이후, 디바이스는 505단계로 진행하여 제 2 톤 전송 구간 동안 자신의 제 1 정보를 전송하지 않는 심볼 동안 주변 디바이스들이 전송하는 제 1 정보를 수신한다.
이후, 디바이스는 507단계로 진행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주변 디바이스가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즉, 디바이스는 제 1 톤 전송 구간 및 제 2 톤 전송 구간을 통해 수신된 제 1 정보가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주변 디바이스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디바이스는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한편,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주변 디바이스가 존재하는 경우, 디바이스는 509단계로 진행하여 시퀀스 전송 구간 동안 자신의 제 2 정보를 전송하지 않는 심볼을 통해 주변 디바이스들이 전송하는 제 2 정보를 수신한다.
이후, 디바이스는 511단계로 진행하여 제 1 정보와 제 2 정보를 결합하여 적어도 하나의 주변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정보를 확인한다. 예를 들어, 주변 디바이스는 제 1 톤 전송 구간에서 제 1 정보를 전송하는데 사용한 톤에 대응되는 심볼 영역을 이용하여 제 2 정보를 전송한다. 이에 따라, 디바이스는 제 1 정보를 수신한 톤에 대응되는 심볼 영역을 통해 수신한 제 2 정보를 결합하여 해당 주변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정보를 확인한다. 다른 예를 들어, 주변 디바이스는 제 1 톤 전송 구간에서 제 1 정보를 전송하는데 사용한 톤의 부반송파와 동일한 부반송파를 이용하여 제 2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디바이스는 제 1 정보를 수신한 톤의 부반송파와 동일한 부반송파를 통해 수신한 제 2 정보를 결합하여 해당 주변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정보를 확인한다.
이후, 디바이스는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미 도시되었지만, 디바이스는 다수 개의 주변 디바이스들이 탐색된 경우, 각 주변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정보를 고려하여 통신 링크를 연결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를 선택할 수도 있다.
상술한 실시 예에서 디바이스는 제 1 정보를 수신한 톤의 인덱스에 대응되는 심볼 영역 또는 톤의 부반송파와 동일한 부반송파를 통해 수신한 제 2 정보를 결합하여 디바이스 정보를 확인한다.
다른 실시 예에서 디바이스는 하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정보와 함께 수신된 연결 정보를 이용하여 제 1 정보와 제 2 정보를 결합하여 디바이스 정보를 확인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주변 디바이스를 탐색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디바이스는 601단계로 진행하여 탐색 구간이 도래하는지 확인한다.
탐색 구간이 아닌 경우, 디바이스는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즉, 디바이스는 탐색 구간 동안 주변 디바이스 탐색을 수행한다.
한편, 탐색 구간이 도래한 경우, 디바이스는 603단계로 진행하여 제 1 톤 전송 구간 동안 자신의 제 1 정보를 전송하지 않는 심볼동안 주변 디바이스들이 전송하는 제 1 정보를 수신한다.
이후, 디바이스는 605단계로 진행하여 제 2 톤 전송 구간 동안 자신의 제 1 정보를 전송하지 않는 심볼동안 주변 디바이스들이 전송하는 제 1 정보를 수신한다.
이후, 디바이스는 607단계로 진행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주변 디바이스가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즉, 디바이스는 제 1 톤 전송 구간 및 제 2 톤 전송 구간을 통해 수신된 제 1 정보가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주변 디바이스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디바이스는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한편,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주변 디바이스가 존재하는 경우, 디바이스는 609단계로 진행하여 시퀀스 전송 구간 동안 자신의 제 2 정보를 전송하지 않는 심볼을 통해 주변 디바이스들이 전송하는 제 2 정보를 수신한다.
이후, 디바이스는 611단계로 진행하여 시퀀스 전송 구간을 통해 제 2 정보와 함께 수신된 제 1 정보와 제 2 정보의 연결 정보를 확인한다. 여기서, 연결 정보는 제 1 톤 전송 구간에서 제 1 정보를 수신한 톤의 심볼 순서 정보를 포함한다.
제 1 정보와 제 2 정보의 연결 정보를 확인한 후, 디바이스는 613단계로 진행하여 제 1 정보와 제 2 정보의 연결 정보에 따라 제 1 정보와 제 2 정보를 결합하여 적어도 하나의 주변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정보를 확인한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 정보의 CRC를 제 1 정보와 제 2 정보의 연결 정보로 사용하는 경우, 디바이스는 제 1 정보와 제 2 정보의 CRC를 이용하여 제 1 정보와 제 2 정보로 구성되는 디바이스 정보의 유효성을 검증한다. 이때, 디바이스는 유효성이 검증된 디바이스 정보를 주변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정보인 것으로 인식한다.
이후, 디바이스는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이때, 미 도시되었지만, 디바이스는 다수 개의 주변 디바이스들이 탐색된 경우, 각 주변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정보를 고려하여 통신 링크를 연결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를 선택할 수도 있다.
이하 설명은 탐색 구간 동안 제 1 디바이스에서 주변 디바이스를 탐색하기 위한 디바이스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 간 직접 통신 서비스를 지원하는 디바이스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는 듀플렉서(700), 제어부(710), 디바이스 정보 확인부(712), 송신부(720) 및 수신부(7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듀플렉서(700)는 듀플렉싱 방식에 따라 송신부(720)로부터 제공받은 송신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고, 안테나로부터의 수신신호를 수신부(730)로 제공한다.
제어부(710)는 디바이스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710)는 탐색 구간 동안 주변 디바이스를 탐색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7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탐색 구간 동안 자신의 디바이스 정보를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제어부(710)는 탐색 구간 동안 자신의 디바이스 정보를 톤 기반으로 전송할 제 1 정보와 시퀀스 기반으로 전송할 제 2 정보로 분할하여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톤 기반으로 제 1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 제어부(710)는 제 1 톤 전송 구간 동안 제 1 정보에 매핑된 톤을 통해 제 1 정보를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이후, 제어부(710)는 제 1 톤 전송 구간에서 제 1 정보를 전송한 톤의 자원 인덱스를 전치(transpose)하여 결정한 제 2 톤 전송 구간의 톤을 통해 제 1 정보를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가 제 1 톤 전송 구간(102)에서 1번째 부반송파 및 3번째 심볼로 구성된 톤(200)을 이용하여 제 1 정보를 전송한 경우, 제어부(710)는 제 2 톤 전송 구간(104)에서 3번째 부반송파 및 1번째 심볼로 구성된 톤(210)을 이용하여 제 1 정보를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시퀀스 기반으로 전송할 제 2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 제어부(710)는 제 1 톤 전송 구간에서 제 1 정보를 전송하는데 사용한 톤 정보를 고려하여 결정한 시퀀스 전송 구간의 제 2 정보 전송 영역을 통해 제 2 정보를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710)는 제 1 톤 전송 구간에서 제 1 정보를 전송하는데 사용한 톤의 인덱스 순서에 대응되는 시퀀스 전송 구간의 심볼 영역을 이용하여 제 2 정보를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 1 톤 전송 구간(102)은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심볼 방향으로 톤 인덱스를 할당한다. 만일, 디바이스가 1번째 부반송파 및 3번째 심볼로 구성된 3번 톤을 이용하여 제 1 정보를 전송한 경우, 제어부(710)는 시퀀스 전송 구간(106)에서 3번째 심볼 영역을 이용하여 제 2 정보를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제 1 톤 전송 구간(102)은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반송파 방향으로 톤 인덱스를 할당할 수도 있다. 만일, 디바이스가 3번째 부반송파 및 1번째 심볼로 구성된 3번 톤을 이용하여 제 1 정보를 전송한 경우, 제어부(710)는 시퀀스 전송 구간(106)에서 3번째 심볼 영역을 이용하여 제 2 정보를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다른 예를 들어, 제어부(710)는 제 1 톤 전송 구간에서 제 1 정보를 전송하는데 사용한 톤의 부반송파와 동일한 부반송파를 이용하여 제 2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710)는 도 5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탐색 구간 동안 자신의 디바이스 정보를 전송하지 않는 자원을 이용하여 주변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정보를 수신하도록 제어한다.
디바이스 정보 확인부(712)는 제어부(710)의 제어에 따라 탐색된 주변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정보를 구성한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 정보 확인부(712)는 제 1 정보를 수신한 톤의 톤 인덱스에 대응되는 심볼 영역을 확인한다. 이후, 디바이스 정보 확인부(712)는 해당 심볼 영역을 통해 수신한 제 2 정보와 제 1 정보를 결합하여 주변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정보를 확인한다. 다른 예를 들어, 디바이스 정보 확인부(712)는 시퀀스 전송 구간을 통해 제 2 정보와 함께 수신된 제 1 정보와 제 2 정보의 연결 정보를 확인한다. 이후, 디바이스 정보 확인부(712)는 제 1 정보와 제 2 정보의 연결 정보에 따라 제 1 정보와 제 2 정보를 결합하여 적어도 하나의 주변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정보를 확인할 수도 있다. 여기서, 연결 정보는 제 1 톤 전송 구간에서 제 1 정보를 수신한 톤의 심볼 순서 정보 또는 디바이스 정보의 CRC 정보를 포함한다.
송신부(720)는 주변 디바이스들로 전송할 데이터 및 제어 메시지를 듀플렉서(700)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송신부(720)는 메시지 생성부(722)와 송신 모뎀(72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메시지 생성부(722)는 제어부(710)의 제어에 따라 주변 디바이스들로 전송할 제어 메시지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메시지 생성부(722)는 톤 기반으로 전송할 제 1 정보와 시퀀스 기반으로 전송할 제 2 정보를 생성한다. 이때, 메시지 생성부(722)는 제 2 정보와 함께 전송할 제 1 정보와 제 2 정보에 대한 연결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연결 정보는 제 1 톤 전송 구간에서 제 1 정보를 수신한 톤의 심볼 순서 정보 또는 디바이스 정보의 CRC 정보를 포함한다.
송신 모뎀(724)은 주변 디바이스들로 전송할 데이터 및 메시지 생성부(722)에서 생성한 제어 메시지를 무선 자원을 통해 전송하도록 변환하여 듀플렉서(700)로 전송한다.
수신부(730)는 듀플렉서(700)로부터 주변 디바이스들이 전송한 데이터 및 제어 메시지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수신부(730)는 수신 모뎀(732)과 메시지 처리부(7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수신 모뎀(732)은 듀플렉서(700)로부터 제공받은 주변 디바이스들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및 제어 메시지를 기저대역의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메시지 생성부(734)는 수신 모뎀(732)로부터 제공받은 제어 메시지를 분석하여 주변 디바이스의 제 1 정보와 제 2 정보를 추출하여 제어부(710)로 전송한다.
상술한 구성에서, 제어부(710)는 프로토콜 제어부로서, 디바이스 정보 확인부(712)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를 별도로 구성한 것은 각 기능들을 구별하여 설명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실제로 구현하는 경우 이들 모두 또는 일부를 제어부(710)에서 처리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24)

  1. 디바이스 간 직접 통신 서비스를 지원하는 디바이스에서 디바이스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디바이스 정보에 포함되는 제 1 정보와 제 2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과,
    탐색 구간의 제 1 영역에 포함되는 다수 개의 톤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제 1 톤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제 1 톤의 부반송파 인덱스와 심볼 인덱스를 전치시켜 상기 탐색 구간의 제 2 영역에서 상기 제 1 정보를 전송할 적어도 하나의 제 2 톤을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제 2 톤을 통해 상기 제 1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탐색 구간의 제 3 영역에서 상기 제 1 톤에 대응되는 자원 영역을 통해 상기 제 2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정보는,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 관심 분야(interest) 및 응용 프로그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은,
    상기 탐색 구간의 제 1 영역에 포함되는 다수 개의 톤들 중 상기 제 1 정보에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톤을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제 1 톤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은,
    상기 탐색 구간의 제 3 영역에 포함되는 다수 개의 심볼들 중 상기 제 1 톤의 인덱스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심볼을 통해 상기 제 2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은,
    상기 탐색 구간의 제 3 영역에서 상기 제 1 톤의 부반송파와 동일한 부반송파를 통해 상기 제 2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탐색 구간의 제 3 영역에서 상기 제 1 톤에 대응되는 자원 영역을 통해 상기 제 2 정보 및 상기 제 1 정보와 상기 제 2 정보의 연결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정보는, 상기 제 1 영역에서 상기 제 1 톤의 심볼 순서 및 상기 디바이스 정보의 CRC(Cyclic Redundancy Check)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8. 디바이스 간 직접 통신 서비스를 지원하는 디바이스에서 주변 디바이스를 탐색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탐색 구간의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에서 제 1 정보를 전송하지 않는 자원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주변 디바이스가 전송하는 제 1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탐색 구간의 제 3 영역에서 제 2 정보를 전송하지 않는 자원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주변 디바이스가 전송하는 제 2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주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제 1 정보와 제 2 정보를 결합하여 적어도 하나의 주변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은,
    상기 주변 디바이스의 제 1 정보를 수신한 톤의 부반송파와 동일한 부반송파를 통해 수신한 제 2 정보와 상기 제 1 정보를 결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은,
    상기 주변 디바이스의 제 1 정보를 수신한 톤의 인덱스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심볼을 통해 수신한 제 2 정보와 상기 제 1 정보를 결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은,
    상기 주변 디바이스의 제 1 정보와 상기 제 2 정보에 대한 연결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연결 정보에 따라 상기 주변 디바이스의 제 1 정보와 상기 제 2 정보를 결합하여 상기 주변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은,
    상기 주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제 1 정보와 상기 제 2 정보를 결합하여 생성한 CRC(Cyclic Redundancy Check)를 통해 상기 제 1 정보와 상기 제 2 정보를 결합하여 생성한 디바이스 정보의 유효성을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디바이스 정보가 유효한 경우, 상기 디바이스 정보를 주변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정보로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13. 디바이스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주변 디바이스로 신호를 전송하는 송신부와,
    탐색 구간의 제 1 영역에 포함되는 다수 개의 톤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제 1 톤을 이용하여 디바이스 정보에 포함되는 제 1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제 1 톤의 부반송파 인덱스와 심볼 인덱스를 전치시켜 상기 탐색 구간의 제 2 영역에서 상기 제 1 정보를 전송할 적어도 하나의 제 2 톤을 통해, 상기 제 1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탐색 구간의 제 3 영역에서 상기 제 1 톤에 대응되는 자원 영역을 통해 디바이스 정보에 포함되는 제 2 정보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정보는,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 관심 분야(interest) 및 응용 프로그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장치.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탐색 구간의 제 1 영역에 포함되는 다수 개의 톤들 중 상기 제 1 정보에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톤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정보를 전송하는 장치.
  16.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탐색 구간의 제 3 영역에 포함되는 다수 개의 심볼들 중 상기 제 1 톤의 인덱스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심볼을 통해 상기 제 2 정보를 전송하는 장치.
  17.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탐색 구간의 제 3 영역에서 상기 제 1 톤의 부반송파와 동일한 부반송파를 통해 상기 제 2 정보를 전송하는 장치.
  18.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탐색 구간의 제 3 영역에서 상기 제 1 톤에 대응되는 자원 영역을 통해 상기 제 2 정보 및 상기 제 1 정보와 상기 제 2 정보의 연결 정보를 전송하는 장치.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정보는, 상기 제 1 영역에서 상기 제 1 톤의 심볼 순서 및 상기 디바이스 정보의 CRC(Cyclic Redundancy Check)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장치.
  20. 디바이스 장치에 있어서,
    탐색 구간의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에서 제 1 정보를 전송하지 않는 자원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주변 디바이스가 전송하는 제 1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탐색 구간의 제 3 영역에서 제 2 정보를 전송하지 않는 자원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주변 디바이스가 전송하는 제 2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주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제 1 정보와 제 2 정보를 결합하여 적어도 하나의 주변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정보를 확인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장치.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변 디바이스의 제 1 정보를 수신한 톤의 부반송파와 동일한 부반송파를 통해 수신한 제 2 정보와 상기 제 1 정보를 결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정보를 확인하는 장치.
  22.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변 디바이스의 제 1 정보를 수신한 톤의 인덱스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심볼을 통해 수신한 제 2 정보와 상기 제 1 정보를 결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정보를 확인하는 장치.
  23.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변 디바이스의 제 1 정보와 상기 제 2 정보에 대한 연결 정보에 따라 상기 주변 디바이스의 제 1 정보와 상기 제 2 정보를 결합하여 상기 주변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정보를 확인하는 장치.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제 1 정보와 상기 제 2 정보를 결합하여 생성한 CRC(Cyclic Redundancy Check)를 통해 상기 제 1 정보와 상기 제 2 정보를 결합하여 생성한 디바이스 정보의 유효성을 확인하고, 상기 디바이스 정보가 유효한 경우, 상기 디바이스 정보를 주변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정보로 확인하는 장치.
KR1020120086759A 2011-08-11 2012-08-08 디바이스 간 직접 통신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8963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524936A JP5960821B2 (ja) 2011-08-11 2012-08-09 デバイス間の直接通信サービスを支援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EP12821490.5A EP2742613B1 (en) 2011-08-11 2012-08-09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D2D transmissions
CN201280039243.5A CN103733543B (zh) 2011-08-11 2012-08-09 用于支持设备到设备服务的装置和方法
PCT/KR2012/006350 WO2013022291A2 (en) 2011-08-11 2012-08-09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device to device service
AU2012295038A AU2012295038B2 (en) 2011-08-11 2012-08-09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device to device service
US13/584,169 US9680604B2 (en) 2011-08-11 2012-08-13 Method and apparatus for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080055 2011-08-11
KR1020110080055 2011-08-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8144A true KR20130018144A (ko) 2013-02-20
KR101896385B1 KR101896385B1 (ko) 2018-09-11

Family

ID=47897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6759A KR101896385B1 (ko) 2011-08-11 2012-08-08 디바이스 간 직접 통신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680604B2 (ko)
EP (1) EP2742613B1 (ko)
JP (1) JP5960821B2 (ko)
KR (1) KR101896385B1 (ko)
CN (1) CN103733543B (ko)
AU (1) AU2012295038B2 (ko)
WO (1) WO2013022291A2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65073A1 (ko) * 2013-11-01 2015-05-07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한 2 단계 탐색 절차
WO2015122556A1 (ko) * 2014-02-13 2015-08-20 경상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중 주파수 네트워크에서 단말간 직접 통신 기법
WO2015178648A1 (ko) * 2014-05-18 2015-1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장치 대 장치 단말의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571167B (zh) * 2013-09-28 2017-02-11 財團法人資訊工業策進會 裝置對裝置使用者裝置及基地台
US9936508B2 (en) * 2015-03-13 2018-04-03 Qualcomm Incorporated Mechanisms for association request signaling between IoE devices
US10057352B2 (en) 2015-03-13 2018-08-21 Qualcomm Incorporated Internet of everything device relay discovery and selection
US10645631B2 (en) 2016-06-09 2020-05-05 Qualcomm Incorporated Device detection in mixed static and mobile device networks
CN110149183B (zh) * 2018-02-13 2021-01-29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设备
DE102020105794B4 (de) * 2020-03-04 2022-02-03 Infineon Technologies Ag Vorrichtung, Steuerung für ein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Kommunikat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76852A1 (en) * 2001-10-23 2003-04-24 Kiyoshi Fukui Communication apparatus capable of selectively using a plurality of access channels
US20060040670A1 (en) * 2002-09-13 2006-02-23 Hui Li Method for routing a connection from a first mobile station to a second mobile statio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entral routing device, and mobile station
JP2006115354A (ja) * 2004-10-15 2006-04-27 Ntt Docomo Inc 移動端末、制御装置及び移動通信方法
US20110032834A1 (en) * 2009-08-04 2011-02-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ervi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ZA200708854B (en) * 2005-04-22 2009-01-28 Microsoft Corp Wireless device discovery and configuration
US8498237B2 (en) 2006-01-11 2013-07-3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device capability and/or setup information
US7961708B2 (en) * 2007-07-10 2011-06-14 Qualcomm Incorporated Coding methods of communicating identifiers in peer discovery in a peer-to-peer network
US7984132B2 (en) * 2008-06-27 2011-07-19 Qualcomm Incorporated Multi-rate peer discovery methods and apparatus
US8121097B2 (en) * 2008-11-04 2012-02-21 Qualcomm Incorporated Transmission with hopping for peer-peer communication
EP2192807B1 (en) 2008-12-01 2012-10-03 Vodafone Holding GmbH Access control for M2M ("machine-to-machine") devices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76852A1 (en) * 2001-10-23 2003-04-24 Kiyoshi Fukui Communication apparatus capable of selectively using a plurality of access channels
US20060040670A1 (en) * 2002-09-13 2006-02-23 Hui Li Method for routing a connection from a first mobile station to a second mobile statio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entral routing device, and mobile station
JP2006115354A (ja) * 2004-10-15 2006-04-27 Ntt Docomo Inc 移動端末、制御装置及び移動通信方法
US20110032834A1 (en) * 2009-08-04 2011-02-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ervi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65073A1 (ko) * 2013-11-01 2015-05-07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한 2 단계 탐색 절차
US10542479B2 (en) 2013-11-01 2020-01-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Two-step search procedure for D2D communication
WO2015122556A1 (ko) * 2014-02-13 2015-08-20 경상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중 주파수 네트워크에서 단말간 직접 통신 기법
WO2015178648A1 (ko) * 2014-05-18 2015-1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장치 대 장치 단말의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US10321500B2 (en) 2014-05-18 2019-06-11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signal by device-to-device U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42613B1 (en) 2017-04-19
WO2013022291A3 (en) 2013-04-04
KR101896385B1 (ko) 2018-09-11
CN103733543A (zh) 2014-04-16
JP5960821B2 (ja) 2016-08-02
US9680604B2 (en) 2017-06-13
US20130039440A1 (en) 2013-02-14
AU2012295038B2 (en) 2016-08-11
JP2014525696A (ja) 2014-09-29
CN103733543B (zh) 2017-06-09
AU2012295038A1 (en) 2014-02-20
EP2742613A2 (en) 2014-06-18
EP2742613A4 (en) 2015-04-15
WO2013022291A2 (en) 2013-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6385B1 (ko) 디바이스 간 직접 통신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11727655B (zh) 用于提供rach时机指示的方法以及相关的无线终端和基站
US10506593B2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in unlicensed frequency band
KR101958538B1 (ko) 무선 통신 시스템
US10756802B2 (en) Communication method and terminal device
RU2014123307A (ru) Способы и устройства для расширяемого и масштабируемого канала управления для беспроводных сетей
US20160234221A1 (en) Audio based discovery and connection to a service controller
KR20110115536A (ko) 네트워크에서 장치 간의 통신 관리 방법
TW200742317A (en) Method of allocating radio resources in multi-carrier system
KR20130053650A (ko) 디바이스간 직접 통신 서비스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신 방법 및 장치
KR20130042456A (ko) 디바이스간 직접 통신을 위한 커넥션 아이디 생성 방법 및 장치
US10251175B2 (en) Sub-frequency band sharing method and base station, and user terminal
WO2022067825A1 (zh) 通信方法及装置
JP7328986B2 (ja) 上り伝送方法及び端末
JP2022534611A (ja) データ多重化送信方法、基地局、端末、および記憶媒体
US9161173B2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location registration method, repeater, and radio client device
KR101199124B1 (ko) 캐리어 어그리게이션 환경에서 호 설정을 수행하는 장치
JP6347288B2 (ja) 無線通信方法、無線通信システム、基地局および端末
KR20230098166A (ko) 통신 장치 및 통신 방법
CN111954216A (zh) 无线接入方法、设备、系统和存储介质
CN114980267A (zh) 一种网络共享方法及设备、存储介质
CN115086370A (zh) 物联网设备的绑定方法、装置、设备、存储介质及产品
CN113329359A (zh) 一种通信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KR20100051886A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다자간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RU2020117767A (ru) Термина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устройство базовой станции и спосо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