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8130A -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8130A
KR20130018130A KR1020120085048A KR20120085048A KR20130018130A KR 20130018130 A KR20130018130 A KR 20130018130A KR 1020120085048 A KR1020120085048 A KR 1020120085048A KR 20120085048 A KR20120085048 A KR 20120085048A KR 20130018130 A KR20130018130 A KR 201300181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media
host
playback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5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겐지로 우에다
히로시 구노
다까미찌 하야시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300181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81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04N21/4627Rights management associated to the conten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8External card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client device, e.g. for conditional access
    • H04N21/4184External card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client device, e.g. for conditional access providing storage capabilities, e.g. memory sti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2Content retrieval operation from a local storage medium, e.g. hard-disk
    • H04N21/4325Content retrieval operation from a local storage medium, e.g. hard-disk by playing back content from the storage mediu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H04N21/4334Recording op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5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video stream decryp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35Generation of protective data, e.g. certific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13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for scrambling ; for copy pro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13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for scrambling ; for copy protection
    • H04N2005/91307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for scrambling ; for copy protection by adding a copy protection signal to the video signal
    • H04N2005/91328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for scrambling ; for copy protection by adding a copy protection signal to the video signal the copy protection signal being a copy management signal, e.g. a copy generation management signal [CG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13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for scrambling ; for copy protection
    • H04N2005/91357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for scrambling ; for copy protection by modifying the video signal
    • H04N2005/91364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for scrambling ; for copy protection by modifying the video signal the video signal being scramb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echnology Law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보 처리 시스템으로서, 재생 대상으로 기능하는 콘텐츠가 저장되는 미디어와, 상기 미디어에 저장된 콘텐츠를 재생하도록 구성된 재생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재생 장치는, 재생 대상으로서 선택된 콘텐츠의 콘텐츠 타입을 판별하고, 판별된 콘텐츠 타입에 연관되는 장치 증명서를 기억부로부터 선택 취득하고, 선택 취득된 장치 증명서를 상기 미디어에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장치 증명서는, 장치 증명서를 이용할 수 있는 콘텐츠 타입 정보가 기록된 콘텐츠 타입에 대한 장치 증명서이며, 상기 미디어는, 상기 재생 장치로부터 판독 요구가 행해진 암호키가 상기 장치 증명서에 기록된 이용 가능한 콘텐츠 타입과 일치하는 암호화 콘텐츠의 복호용 암호키인지 여부를 판정하고, 일치할 경우에만 암호키의 판독을 허용한다.

Description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본 발명은,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메모리 카드 등의 기록 미디어에 기록되는 콘텐츠의 부정 이용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 기록 매체로서, DVD(Digital Versatile Disc), Blu-ray Disc(등록상표), 플래시 메모리 등 다양한 미디어가 이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대용량의 플래시 메모리를 갖는 USB 메모리 등의 메모리 카드의 이용이 유행하고 있다. 유저는, 이러한 다양한 정보 기록 매체(미디어)에 음악이나 영화 등의 콘텐츠를 기록하고 재생 장치(플레이어)에 장착해서 콘텐츠의 재생을 행할 수 있다.
그러나, 음악 데이터, 화상 데이터 등의 많은 콘텐츠는, 그 작성자 또는 판매자에게 저작권, 반포권 등이 보유된다. 따라서, 유저에게 콘텐츠를 제공할 경우에는, 일정한 이용 제한, 즉 정당한 이용권을 갖는 유저에게만 콘텐츠의 이용을 허락하고, 허가가 없는 카피 등의 무질서한 이용을 제한하도록 제어를 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예를 들면, 콘텐츠의 이용 제어에 관한 규격으로서 AACS(Advanced Access Content System)가 사용되고 있다. AACS의 규격은, 예를 들면 Blu-ray Disc(등록상표)의 기록 콘텐츠에 대한 이용 제어 구성을 정의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AACS의 규격은 예를 들면 Blu-ray Disc(등록상표)에 기록되는 콘텐츠를 암호화 콘텐츠로 하여, 그 암호키를 취득할 수 있는 유저를 정규 유저에게만 한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알고리즘 등을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현행의 AACS 규정에는, Blu-ray Disc(등록상표) 등의 디스크 기록 콘텐츠에 대한 이용 제어 구성에 관한 규정은 존재하지만, 예를 들면 메모리 카드 등의 플래시 메모리에 기록되는 콘텐츠 등에 대해서는, 충분한 규정이 없다. 따라서, 이러한 메모리 카드의 기록 콘텐츠에 대해서는, 저작권의 보호가 불충분해질 수 있고, 이에 따라 메모리 카드 등의 미디어를 이용한 콘텐츠 이용에 대한 이용 제어 구성을 구축하는 것이 요청되고 있다.
예를 들면 AACS 규정에서는, Blu-ray Disc(등록상표) 등의 디스크 기록 콘텐츠에 대한 이용 제어 구성으로서 이하와 같은 규정이 있다.
(a) 이미 콘텐츠가 기록된 미디어(예를 들면 ROM 디스크)로부터 Blu-ray Disc(등록상표) 등의 디스크에 카피된 콘텐츠에 대한 이용 규정
(b) 서버로부터 다운로드해서 Blu-ray Disc(등록상표) 등의 디스크에 기록된 콘텐츠에 대한 이용 규정
예를 들면, 이러한 콘텐츠의 이용 제어에 대해서 규정하고 있다.
AACS에서는, 예를 들면 상기 (a)의 미디어간의 콘텐츠 카피를 실행하는 경우, 관리 서버로부터 카피 허가 정보를 취득하는 것을 조건으로 한 매니지드 카피(MC: Managed Copy)에 대해서 규정하고 있다.
또한, 상기 (b)의 서버로부터의 콘텐츠의 다운로드 처리로서, AACS에서는, PC 등의 유저 장치를 이용한 EST(Electric Sell Through)나, 편의점 등에 설치된 공용 단말기를 이용한 MoD(Manufacturing on Demand) 등과 같은 각종 다운로드 형태를 규정하고, 이들 각 다운로드 처리에 의해 디스크에 콘텐츠를 기록해서 이용하는 경우에, 소정의 룰에 따른 처리를 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이들의 처리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일본 미심사 특허 출원 공개 제2008-98765호에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AACS의 규정은, Blu-ray Disc(등록상표) 등의 디스크 기록 콘텐츠를 이용 제어를 행하는 것을 상정하고 있는 것이며, USB 메모리 등을 포함하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 등의 메모리 카드에 기록되는 콘텐츠에 대해서는 충분한 이용 제어에 관한 규정이 없는 문제가 있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8-98765호 공보
플래시 메모리 등의 정보 기록 매체에 콘텐츠를 기록해서 이용하는 경우 이용 제어 구성을 확립해서 부정한 콘텐츠 이용을 방지하는,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알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재생 대상으로 기능하는 콘텐츠를 저장한 미디어와, 상기 미디어에 저장된 콘텐츠를 재생하는 재생 장치를 갖고, 상기 재생 장치는, 재생 대상으로서 선택된 콘텐츠의 콘텐츠 타입을 판별하고, 판별된 콘텐츠 타입에 연관되는 장치 증명서를 기억부로부터 선택 취득하고, 선택 취득한 장치 증명서를 상기 미디어에 송신하는 구성이며, 상기 장치 증명서는, 장치 증명서를 이용할 수 있는 콘텐츠 타입 정보가 기록된 콘텐츠 타입에 대한 장치 증명서이며, 상기 미디어는, 상기 재생 장치로부터 판독 요구된 암호키가 상기 장치 증명서에 기록된 이용 가능한 콘텐츠 타입과 일치하는 암호화 콘텐츠의 복호용 암호키인지 여부를 판정하고, 일치할 경우에만 암호키의 판독을 허용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정보 처리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재생 장치는, 콘텐츠 타입에 의존하지 않는 콘텐츠 재생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이 콘텐츠 재생 프로그램에 따라 재생 대상으로서 선택된 콘텐츠의 타입을 판별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정보 처리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장치 증명서는, 고부가가치 콘텐츠 또는 고부가가치 콘텐츠 이외의 통상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가, 장치 증명서를 이용할 수 있는 콘텐츠 타입으로서 기록한 구성이며, 상기 미디어는, 상기 재생 장치로부터 판독 요구된 암호키가 상기 장치 증명서에 기록된 이용 가능한 콘텐츠 타입인 고부가가치 콘텐츠 또는 통상 콘텐츠와 일치하는 암호화 콘텐츠의 복호용 암호키인지 여부를 판정하고, 일치할 경우에만 암호키의 판독을 허용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정보 처리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재생 장치는, 취득한 장치 증명서를 상기 미디어에 송신해서 인증 처리를 실행하고, 상기 미디어는, 상기 인증 처리의 성립을 조건으로 해서, 상기 재생 장치로부터의 암호키 판독 요구의 허용 판정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정보 처리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재생 장치는, 재생 대상으로서 선택된 콘텐츠에 대응되는 속성 정보에 따라, 선택된 콘텐츠의 타입을 판별하고, 판별된 콘텐츠 타입에 연관되는 장치 증명서를 기억부로부터 선택 취득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정보 처리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미디어는, 재생 장치의 액세스권의 확인에 기초하여, 액세스를 허용하는 보호 영역에 암호키를 저장하고, 상기 재생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장치 증명서에 기록된 보호 영역 액세스권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암호키가 저장된 보호 영역의 액세스권을 확인하고, 상기 재생 장치의 액세스권이 확인되었을 경우에, 상기 재생 장치에 의한 암호키의 판독을 허용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정보 처리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장치 증명서는, 장치 증명서를 이용할 수 있는 재생 장치 타입 정보를 기록한 구성이며, 상기 미디어는, 상기 장치 증명서에 기록된 재생 장치 타입 정보에 따라 선택되는 부호화 알고리즘에 따라, 상기 미디어의 식별 정보인 미디어 ID의 부호화 처리를 실행해서 상기 재생 장치로 송신하고, 상기 재생 장치는, 상기 미디어로부터 수신한 부호화 미디어 ID를 자기 장치의 장치 타입에 대응하는 복호 알고리즘에 따라 복호하고, 취득한 미디어 ID를 적용한 데이터 처리를 수반하는 콘텐츠의 복호, 재생을 행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정보 처리 장치는, 미디어에 저장된 콘텐츠의 판독과 재생 처리를 실행하도록 구성된 데이터 처리부를 갖고,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재생 대상으로서 선택된 콘텐츠의 콘텐츠 타입을 판별하고, 판별된 콘텐츠 타입에 연관되는 장치 증명서를 기억부로부터 선택 취득하고, 선택 취득한 장치 증명서를 상기 미디어에 송신하고, 또한, 암호화 콘텐츠와, 이 암호화 콘텐츠의 복호에 적용하는 암호키의 판독 요구를 상기 미디어에 출력하고, 판독 요구가 행해진 암호키가 상기 장치 증명서에 기록된 이용 가능한 콘텐츠 타입과 일치하는 콘텐츠의 암호키인지 확인이 상기 미디어에서 이루어진 것을 조건으로 해서, 상기 미디어로부터 암호키를 취득하고, 취득된 암호키를 적용해서 암호화 콘텐츠의 복호를 행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정보 처리 장치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콘텐츠 타입에 의존하지 않는 콘텐츠 재생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이 콘텐츠 재생 프로그램에 따라 재생 대상으로서 선택된 콘텐츠의 타입을 판별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정보 처리 장치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장치 증명서는, 고부가가치 콘텐츠 또는 고부가가치 콘텐츠 이외의 통상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가, 장치 증명서를 이용할 수 있는 콘텐츠 타입으로서 기록한 구성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정보 처리 장치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취득한 장치 증명서를 상기 미디어에 송신해서 인증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정보 처리 장치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재생 대상으로서 선택된 콘텐츠에 대응되는 속성 정보에 따라, 선택된 콘텐츠의 타입을 판별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정보 처리 장치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장치 증명서는, 장치 증명서를 이용할 수 있는 재생 장치 타입 정보를 기록한 구성을 갖고, 상기 미디어는, 상기 장치 증명서에 기록된 재생 장치 타입 정보에 따라 선택되는 부호화 알고리즘에 따라, 상기 미디어의 식별 정보인 미디어 ID의 부호화 처리를 실행해서 상기 재생 장치로 송신하고, 상기 정보 처리 장치의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미디어로부터 수신한 부호화 미디어 ID를 자기 장치의 장치 타입에 대응하는 복호 알고리즘에 따라 복호하고, 취득한 미디어 ID를 적용한 데이터 처리를 수반하는 콘텐츠의 복호, 재생을 행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재생 대상으로 기능하는 콘텐츠를 저장한 미디어와, 상기 미디어에 저장된 콘텐츠를 재생하는 재생 장치를 갖는 정보 처리 시스템에서 실행하는 정보 처리 방법으로서, 상기 재생 장치가 재생 대상으로서 선택된 콘텐츠의 콘텐츠 타입을 판별하고, 판별된 콘텐츠 타입에 연관되는 장치 증명서를 기억부로부터 선택 취득하고, 선택 취득한 장치 증명서를 상기 미디어에 송신하고, 상기 장치 증명서는, 장치 증명서의 이용 가능한 콘텐츠 타입 정보를 기록한 장치 증명서이며, 상기 미디어가 상기 재생 장치로부터 판독 요구된 암호키가 상기 장치 증명서에 기록된 이용 가능한 콘텐츠 타입과 일치하는 암호화 콘텐츠의 복호용 암호키인지 여부를 판정하고, 일치할 경우에만 암호키의 판독을 허용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정보 처리 장치에서 실행하는 정보 처리 방법으로서, 데이터 처리부가 재생 대상으로서 선택된 콘텐츠의 콘텐츠 타입을 판별하고, 판별된 콘텐츠 타입에 연관되는 장치 증명서를 기억부로부터 선택 취득하고, 선택 취득한 장치 증명서를 상기 미디어에 송신하고, 또한, 암호화 콘텐츠와, 이 암호화 콘텐츠의 복호에 적용하는 암호키의 판독 요구를 상기 미디어에 출력하고, 판독 요구가 행해진 암호키가 상기 장치 증명서에 기록된 이용 가능한 콘텐츠 타입과 일치하는 콘텐츠의 암호키인지 확인이 상기 미디어에서 이루어진 것을 조건으로 해서, 상기 미디어로부터 암호키를 취득하고, 취득된 암호키를 적용해서 암호화 콘텐츠의 복호를 행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정보 처리 장치에서 정보 처리를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으로서, 데이터 처리부에, 재생 대상으로서 선택된 콘텐츠의 콘텐츠 타입을 판별시키고, 판별된 콘텐츠 타입에 연관되는 장치 증명서를 기억부로부터 선택 취득시키고, 선택 취득한 장치 증명서를 상기 미디어에 송신하고, 또한, 상기 미디어에 대하여, 암호화 콘텐츠와, 이 암호화 콘텐츠의 복호에 적용하는 암호키의 판독 요구를 출력하고, 판독 요구가 행해진 암호키가 상기 장치 증명서에 기록된 이용 가능한 콘텐츠 타입과 일치하는 콘텐츠의 암호키인지 확인이 상기 미디어에서 이루어진 것을 조건으로 해서, 상기 미디어로부터 암호키를 취득하고, 취득된 암호키를 적용해서 암호화 콘텐츠의 복호를 행한다.
또한, 본 발명의 프로그램은, 예를 들면, 다양한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 가능한 정보 처리 장치나 컴퓨터-시스템에 대하여, 컴퓨터 판독 가능한 형식으로 제공하는 기억 매체 또는 통신 매체에 의해 제공가능한 프로그램이다. 이러한 프로그램을 컴퓨터 판독 가능한 형식으로 제공하는 것에 의해, 정보 처리 장치나 컴퓨터 시스템 상에서 프로그램에 따른 처리가 실현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 특징이나 이점은, 후술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나 첨부하는 도면에 기초하는 것으로부터 상세한 설명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시스템이란, 복수의 장치의 논리적 집합 구성이며, 각 구성의 장치가 동일 케이스 내에 있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미디어에 저장된 콘텐츠의 콘텐츠 타입에 따른 콘텐츠 이용 제어가 실현된다.
구체적으로는, 콘텐츠의 타입, 예를 들면 대중에게 공개 후 얼마 안 된 영화 등의 고부가가치 콘텐츠와 그 이외의 통상 콘텐츠 등의 콘텐츠 타입에 따라 이용 가능한 콘텐츠 타입에 대응하는 장치 증명서를 재생 장치가 유지한다. 재생 장치는, 유저가 선택한 재생 콘텐츠의 타입을 판별하고, 판별된 콘텐츠의 타입에 따라, 이 콘텐츠 타입에 대응한 장치 증명서를 취득해서 미디어에 송신한다. 미디어는, 장치 증명서에 기록된 대응 콘텐츠 타입 정보를 확인하고, 재생 장치가 요구하는 암호키인 타이틀 키가 장치 증명서에 기록된 대응 콘텐츠 타입과 일치하는 콘텐츠에 대응할 경우에만 타이틀 키의 판독을 허용한다.
이들의 처리에 의해, 콘텐츠 타입에 따른 타이틀 키 판독 제어가 가능해지고, 결과적으로 콘텐츠 타입에 따른 콘텐츠 이용 제어가 실현된다.
도 1은 콘텐츠 제공 처리 및 이용 처리의 개요에 대해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메모리 카드에 기록된 콘텐츠의 이용 형태에 대해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메모리 카드의 기억 영역의 구체적 구성예에 대해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호스트 증명서(Host Certificate)에 대해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메모리 카드의 기억 영역의 구체적 구성예와 액세스 제어 처리의 일례에 대해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메모리 카드의 저장 데이터의 일례에 대해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장치 타입과, 대응 콘텐츠 타입의 타입 정보를 기록한 호스트 증명서(Host Certificate)의 데이터 구성예에 대해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호스트 증명서(Host Certificate)에 기록되는 장치 타입과, 대응 콘텐츠 타입의 타입 정보의 구체예에 대해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콘텐츠 타입에 따라, 재생 프로그램을 선택 기동하고, 기동한 재생 프로그램에 대응되는 호스트 증명서(Host Certificate)를 이용해서 실행하는 콘텐츠 이용 시퀀스에 대해서 설명하는 플로우차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콘텐츠 타입에 따라, 재생 프로그램을 선택 기동하고, 기동한 재생 프로그램에 대응되는 호스트 증명서(Host Certificate)를 이용해서 실행하는 콘텐츠 이용 시퀀스에 대해서 설명하는 플로우차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콘텐츠 타입에 따라, 재생 프로그램을 선택 기동하고, 기동한 재생 프로그램에 대응되는 호스트 증명서(Host Certificate)를 이용해서 실행하는 콘텐츠 이용 시퀀스에 대해서 설명하는 플로우차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재생 프로그램이 콘텐츠 타입에 따라 호스트 증명서(Host Certificate)를 선택 이용하는 시퀀스에 대해서 설명하는 플로우차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재생 프로그램이 콘텐츠 타입에 따라 호스트 증명서(Host Certificate)를 선택 이용하는 시퀀스에 대해서 설명하는 플로우차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재생 프로그램이 콘텐츠 타입에 따라 호스트 증명서(Host Certificate)를 선택 이용하는 시퀀스에 대해서 설명하는 플로우차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메모리 카드의 저장 데이터의 일례에 대해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6은 미디어 ID(MID)를 이용한 콘텐츠 복호, 재생 시퀀스에 대해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7은 호스트(재생 장치)의 타입에 따라 미디어 ID(MID)의 변환 양태를 서로 다르게 한 처리에 대해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8은 호스트(재생 장치)의 타입에 따라 미디어 ID(MID)의 변환 양태를 서로 다르게 했을 경우의 콘텐츠 복호, 재생 처리에 대해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9는 호스트(재생 장치)의 타입에 따라 미디어 ID(MID)의 변환 양태를 변경시켜, 콘텐츠 복호, 재생 처리를 실행하는 경우의 처리 시퀀스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호스트(재생 장치)의 타입에 따라 미디어 ID(MID)의 변환 양태를 변경시켜, 콘텐츠 복호, 재생 처리를 실행하는 경우의 처리 시퀀스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호스트(재생 장치)의 타입에 따라 미디어 ID(MID)의 변환 양태를 변경시켜, 콘텐츠 복호, 재생 처리를 실행하는 경우의 처리 시퀀스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는 호스트(재생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예에 대해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3은 메모리 카드의 하드웨어 구성예에 대해서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정보 처리 장치, 및 정보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의 상세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설명은 이하의 항목에 따라서 행한다.
1. 콘텐츠 제공 처리 및 이용 처리의 개요
2. 메모리 카드의 구성예와 이용예
3. 보호 영역에 대한 액세스 허용 정보를 갖는 증명서
4. 각 장치의 증명서를 적용한 메모리 카드에 대한 액세스 처리예
5. 호스트(재생 장치)와 미디어(메모리 카드) 간의 처리예
5-1. (실시예 1) 콘텐츠 타입에 따른 장치 증명서를 이용한 호스트-미디어간 처리예
5-2. (실시예 2) 재생 프로그램이 적용하는 장치 증명서를 선택하는 처리예
5-3. (실시예 3) 재생 기기의 타입에 따라 미디어(메모리 카드)의 식별자(미디어 ID)의 변환 양태를 변경하는 처리예
6. 각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예
7. 본 발명의 구성의 개요
[1. 콘텐츠 제공 처리 및 이용 처리의 개요]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 1 및 이하를 참조하여, 콘텐츠 제공 처리 및 이용 처리의 개요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에는, 좌측으로부터 다음 예를 도시한다.
(a) 콘텐츠 제공원
(b) 콘텐츠 기록/재생 장치(호스트)
(c) 콘텐츠 기록 미디어
(c) 콘텐츠 기록 미디어는 유저가 콘텐츠를 기록하고, 콘텐츠의 재생 처리에 이용하는 미디어이다. 여기에서는 예를 들면 플래시 메모리 등의 정보 기록 장치인 메모리 카드(31)를 나타낸다.
유저는, 예를 들면 음악이나 영화 등의 다양한 콘텐츠를 메모리 카드(31)에 기록해서 이들을 이용한다. 이들 콘텐츠에는 예를 들면 저작권의 관리 대상으로 기능하는 콘텐츠 등의 이용 제어 대상으로 기능하는 콘텐츠가 포함된다.
이용 제어 대상으로 기능하는 콘텐츠란, 예를 들면 무질서한 카피나 카피 데이터 배포 등이 금지된 콘텐츠이다. 또한, 메모리 카드(31)에 이용 제어 콘텐츠를 기록하는 경우, 이 콘텐츠에 대응하는 이용 제어 정보(Usage Rule), 구체적으로는, 허용되는 카피 횟수 등의 카피 제한 정보 등을 규정한 이용 제어 정보(Usage Rule)도 메모리 카드(31)에 함께 기록된다.
(a) 콘텐츠 제공원은, 음악이나 영화 등의 콘텐츠의 제공원이다. 도 1에는, 일례로서, 방송국(11)과, 콘텐츠 서버(12)를 콘텐츠 제공원으로서 나타낸다. 방송국(11)은, 예를 들면 텔레비전국이며, 다양한 방송 콘텐츠를 지상파나 위성을 통한 위성파에 실어서 유저 장치[(b) 콘텐츠 기록/재생 장치(호스트)]에 제공한다. 콘텐츠 서버(12)는, 음악, 영화 등의 콘텐츠를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하는 서버이다.
유저는, 예를 들면 (c) 콘텐츠 기록 미디어인 메모리 카드(31)를 (b) 콘텐츠 기록/재생 장치(호스트)에 장착하고, (b) 콘텐츠 기록/재생 장치(호스트) 자체의 수신부 또는 (b) 콘텐츠 기록/재생 장치(호스트)에 접속된 수신 장치를 통해, 방송국(11)이나 콘텐츠 서버(12)가 제공하는 콘텐츠를 수신해서 이 콘텐츠를 메모리 카드(31)에 기록한다.
(b) 콘텐츠 기록/재생 장치(호스트)는, (c) 콘텐츠 기록 미디어인 메모리 카드(31)를 장착하고, (a) 콘텐츠 제공원인 방송국(11)이나 콘텐츠 서버(12)로부터 수신한 콘텐츠를 메모리 카드(31)에 기록한다.
(b) 콘텐츠 기록/재생 장치(호스트)로서는, 예를 들면 DVD 플레이어 등, 하드디스크나 DVD, BD 등의 디스크를 구비한 기록 재생 전용기(CE 기기: Consumer Electronics 기기)(21)를 포함하고, PC(22), 스마트 폰, 휴대 전화, 휴대 플레이어, 타블렛 단말기 등의 휴대 단말기(23) 등을 포함하고 있다. 이들은 전부 (c) 콘텐츠 기록 미디어인 메모리 카드(31)를 장착가능한 장치이다.
유저는, 기록/재생 전용기(21), PC(22), 휴대 단말기(23) 등을 이용하고, 방송국(11)이나 콘텐츠 서버(12)로부터 음악이나 영화 등의 콘텐츠를 수신하고, 메모리 카드(31)에 기록한다.
메모리 카드(31)에 기록된 콘텐츠의 이용 형태에 대해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메모리 카드(31)는, 예를 들면 PC 등의 콘텐츠 재생기에 대하여 착탈가능한 기록 미디어이며, 콘텐츠 기록을 실행한 기기로부터 자유롭게 제거하고, 그 밖의 유저 기기에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음 처리의 실행 기기는 동일한 것은 필수적인 것은 아니고, 유저는 자유롭게 기록 기기와 재생 기기를 선택해서 이용할 수 있다.
(1) 기록 처리
(2) 재생 처리
또한, 대부분의 경우, 메모리 카드(31)에 기록된 이용 제어 콘텐츠는 암호화 콘텐츠로서 기록되고, 기록 재생 전용기(21)나 PC(22), 휴대 단말기(23) 등의 콘텐츠 재생 장치는, 소정의 시퀀스를 따른 복호 처리를 실행한 후, 콘텐츠 재생을 행한다.
[2. 메모리 카드의 구성예와 이용예]
다음에, 콘텐츠의 기록 미디어로서 이용되는 플래시 메모리 등의 메모리 카드의 구성예와 이용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메모리 카드(31)의 기억 영역의 구체적 구성예를 도 3에 나타낸다.
메모리 카드(31)의 기억 영역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음의 2개의 영역으로 구성된다.
(a) 보호 영역(Protected Area)(51)
(b) 범용 영역(General Purpose Area)(52)
(b) 범용 영역(General Purpose Area)(52)은 유저가 이용하는 기록/재생 장치에 의해, 자유롭게 액세스가능하고, 콘텐츠나 일반의 콘텐츠 관리 데이터 등이 기록되는 영역이고, 예를 들면 서버나 유저의 기록/재생 장치에 의해 자유롭게 데이터의 기입이나 판독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영역이다.
한편,(a) 보호 영역(Protected Area)(51)은, 자유로운 액세스가 허용되지 않는 영역이다.
예를 들면, 유저가 이용하는 기록/재생 장치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는 서버 등에 의해 데이터의 기입 또는 판독을 행하고자 하는 경우, 메모리 카드(31)의 데이터 처리부가 메모리 카드(31)에 미리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각 장치에 따라 판독(Read) 또는 기입(Write)의 여부를 결정한다.
메모리 카드(31)는, 미리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부와 인증 처리를 실행하는 인증 처리부를 구비하고 있고, 우선, 메모리 카드(31)에 대하여 데이터의 기입 또는 판독을 실행하려고 하는 장치와의 인증 처리를 행한다.
이 인증 처리 단계에서, 메모리 카드(31)는 상대 장치, 즉 액세스 요구 장치로부터 공개키 증명서 등의 장치 증명서를 수신한다. 예를 들면 액세스 요구 장치가 서버인 경우에는, 메모리 카드(31)는 서버가 보유하는 서버 증명서(Server Certificate)를 수신하고, 그 증명서에 기재된 정보를 이용하여, 보호 영역(Protected Area)(51)의 각 구분 영역의 액세스가 허용될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또한, 액세스 요구 장치가 예를 들면 콘텐츠 기록/재생을 실행하는 유저 기기로서의 기록/재생 장치(호스트)인 경우에는, 메모리 카드(31)는 기록/재생 장치(호스트)가 보유하는 호스트 증명서(Host Certificate)를 수신하고, 그 증명서에 기재된 정보를 이용하고, 보호 영역(Protected Area)(51)의 각 구분 영역의 액세스가 허용될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이 액세스권 판정 처리는, 도 3에 나타내는 보호 영역(Protected Area)(51)내의 구분 영역(도에 나타내는 영역 #0, #1, #2 등) 단위로 행해지고, 메모리 카드(31)는, 허가된 구분 영역에서 허가된 처리(데이터의 판독/기입 등의 처리)만을 허용하여, 서버나 호스트에 실행시킨다.
이 미디어에 대한 판독/기입 제한 정보(PAD Read/PAD Write)는, 예를 들면, 액세스하려고 하는 장치, 예를 들면 콘텐츠 서버 또는 기록/재생 장치(호스트) 단위로 설정된다. 이들 정보는 각 장치 대응의 서버 증명서(Server Certificate)나, 호스트 증명서(Host Certificate)에 기록된다.
또한,이하에 있어서 「Certificate」는, 간략화해서 「Cert」로서 기재한다.
이렇게, 메모리 카드(31)는, 메모리 카드(31)에 미리 저장된 규정의 프로그램에 따라, 서버 증명서(Server Cert)나, 호스트 증명서(Host Cert)의 기록 데이터를 검증하고, 액세스 허가가 이루어진 영역에 대해서만 액세스를 허용하는 처리를 행한다.
[3. 보호 영역에 대한 액세스 허용 정보를 갖는 증명서]
다음에, 전술한 메모리 카드(31)의 보호 영역(Protected Area)(51)에 대한 액세스를 행할 경우에, 메모리 카드에 제시가 필요해지는 증명서의 구성예에 대해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메모리 카드(31)는, 메모리 카드(31)에 대하여 데이터의 기입 또는 판독을 실행하려고 하는 장치와의 인증 처리를 행한다. 이 인증 처리의 단계에서, 메모리 카드(31)는 상대 장치, 즉 액세스 요구 장치로부터 공개키 증명서 등의 장치 증명서(예를 들면 서버 증명서(Server Cert)나 호스트 증명서(Host Cert))를 수신하고, 그 증명서에 기재된 정보를 이용하여, 보호 영역(Protected Area)(51)의 각 구분 영역의 액세스를 허용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 인증 처리에 이용되는 장치 증명서의 일례로서, 도 1에 나타내는 기록/재생 장치(21), PC(22), 휴대 단말기(23) 등의 유저 기기(호스트 기기)에 저장되는 호스트 증명서(Host Cert)의 구성예에 대해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호스트 증명서(Host Cert)는, 예를 들면, 공개키 증명서 발행 주체인 인증국에 의해 각 유저 기기(호스트 기기)에 제공된다. 예를 들면, 호스트 증명서(Host Cert)는, 인증국이 콘텐츠 이용 처리를 인정한 유저 기기(호스트 기기)에 대하여 발행하는 유저 기기의 증명서이며, 공개키 등을 저장한 증명서이다. 호스트 증명서(Host Cert)는, 인증국 비밀키에 의해 서명이 설정되어, 위조가 방지된 데이터로서 구성된다. 또한, 장치 증명서는, 장치 제조시 등과 같이 장치의 타입 등의 장치 확인에 기초해서 미리 장치 내의 메모리에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유저가 구입 후, 장치 증명서를 취득하는 경우는, 장치와 인증국 또는 그 밖의 관리국과의 소정의 시퀀스에 따른 장치 타입이나 이용 가능한 콘텐츠 타입 등의 확인 처리를 행하고, 각 장치에 대하여 장치 증명서를 발행해 장치 내의 메모리에 저장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또한, 메모리 카드(31)의 보호 영역에 대한 액세스를 행하는 서버는, 호스트 증명서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갖는 서버 공개키와 메모리 카드의 액세스 허용 정보가 기록된 서버 증명서(Server Cert)를 유지한다.
도 4에 인증국이 각 호스트 기기(유저 기기)에 제공하는 호스트 증명서(Host Cert)의 구체예를 나타낸다.
호스트 증명서(Host Cert)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하의 데이터가 포함된다.
(1) 타입 정보
(2) 호스트 ID(유저 기기 ID)
(3) 호스트 공개키(Host Public Key)
(4) 보호 영역 액세스권 정보(미디어의 보호 영역에 대한 판독/기입 제한 정보(PAD Read/PAD Write))
(5) 그 외의 정보
(6) 서명(Signature)
이하, 상기 (1)~(6)의 각 데이터에 대해서 설명한다.
(1) 타입 정보
타입 정보는, 증명서의 타입이나 유저 기기의 타입을 나타내는 정보이며, 예를 들면 본 증명서가 호스트 증명서인 것을 나타내는 데이터나, 기기의 타입, 예를 들면 PC라든가 음악 재생 플레이어의 기기의 타입 등을 나타내는 정보가 기록된다.
(2) 호스트 ID 
호스트 ID는 기기 식별 정보로서의 기기 ID를 기록하는 영역이다.
(3) 호스트 공개키(Host Public Key)
호스트 공개키(Host Public Key)는 호스트 기기의 공개키이다. 호스트 기기(유저 기기)에 제공되는 비밀키와 함께 공개키 암호 방식에 따른 키 페어를 구성한다.
(4) 보호 영역 액세스권 정보(미디어의 보호 영역에 대한 판독/기입 제한 정보(PAD Read/PAD Write))
보호 영역 액세스권 정보는, 콘텐츠를 기록하는 미디어, 예를 들면 도 3에 나타내는 메모리 카드(31)의 기억 영역 중에 설정되는 보호 영역(PDA: Protected Area)(51) 내의 데이터 판독(Read)과, 기입(Write)이 허용된 구분 영역에 관한 정보가 기록된다.
(5) 그 외의 정보, (6)서명(Signature)
호스트 증명서에는, 상기 (1)~(4) 외, 여러가지 정보가 기록되고, (1)~(5)의 정보에 대한 서명 데이터가 기록된다. 서명은, 인증국의 비밀키에 의해 실행된다. 호스트 증명서에 기록된 정보, 예를 들면 호스트 공개키를 취출해서 이용하는 경우에는, 우선 인증국의 공개키를 적용한 서명 검증 처리를 실행하고, 호스트 증명서의 위조가 없는 것을 확인하고, 그 확인이 이루어진 것을 조건으로 해서, 호스트 공개키 등의 증명서 저장 데이터의 이용이 행해지게 된다.
또한, 도 4는, 메모리 카드의 보호 영역에 대한 유저 기기(호스트 기기)의 액세스 허용 정보를 기록한 호스트 증명서이지만, 보호 영역에 대한 액세스가 필요해지는 서버에 대해서는, 도 4에 나타내는 호스트 증명서와 마찬가지로, 메모리 카드의 보호 영역에 대한 액세스 허용 정보를 기록한 증명서[서버 증명서(예를 들면 서버 공개키를 저장한 공개키 증명서)]가 제공된다.
[4. 각 장치의 증명서를 적용한 메모리 카드에 대한 액세스 처리예]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 같이 메모리 카드(31)의 보호 영역(Protected Area)(51)에 대하여 액세스를 행할 경우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은 증명서를 메모리 카드에 제시하는 것이 필요해진다.
메모리 카드는, 도 4에 나타내는 증명서를 확인하고, 도 3에 나타내는 메모리 카드(31)의 보호 영역(Protected Area)(51)에 대한 액세스 여부를 판정한다.
호스트 기기는, 예를 들면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호스트 증명서(Host Cert)를 유지하고, 콘텐츠의 제공 등을 행하는 서버는, 서버에 대응하는 증명서(Server Certificate: Server Certificate)를 유지한다.
이들 각 장치가 메모리 카드의 보호 영역(Protected Area)에 대한 액세스를 행할 경우에는, 각 장치가 보유하고 있는 증명서를 메모리 카드에 제공해서 액세스 여부에 관한 메모리 카드측의 검증에 기초하여 판정을 받는 것이 필요해진다.
도 5를 참조하여, 메모리 카드에 대한 액세스 요구 장치가 기록/재생 장치 등의 호스트 기기일 경우의 액세스 제한의 설정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에는, 좌측으로부터, 메모리 카드에 대한 액세스 요구 장치인 호스트(기록/재생 장치)(70)와, 메모리 카드(31)를 나타낸다.
호스트(기록/재생 장치)(70)는, 도 1에 나타내는 기록 재생 전용기(21), PC(22), 휴대 단말기(23) 등의 유저 기기이며, 메모리 카드(31)에 대한 콘텐츠의 기록 처리나, 메모리 카드(31)에 기록된 콘텐츠 재생을 실행하는 장치이다.
호스트(기록/재생 장치)(70)는, 방송국이나 서버로부터 수신한 콘텐츠 또는 자기 장치의 기억부에 저장된 콘텐츠를 메모리 카드(31)에 출력해서 기록할 때에, 콘텐츠의 암호화나 복호 처리에 적용되는 타이틀 키 또는 타이틀 키의 암호화 또는 변환 데이터를 메모리 카드(31)의 보호 영역(Protected Area)(51)에 기입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호스트(기록/재생 장치)(70)는 메모리 카드(31)에 기록된 암호화 콘텐츠를 재생하는 경우에, 메모리 카드(31)의 보호 영역(Protected Area)(51)에 기입된 타이틀 키 또는 타이틀 키의 암호화 또는 변환 데이터를 취득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호스트(기록/재생 장치)(70)는, 이렇게 콘텐츠 기록/재생 처리에 있어서 메모리 카드(31)의 보호 영역(Protected Area)(51)에 대한 액세스를 행하는 것이 필요해진다.
메모리 카드(31)는, 보호 영역(Protected Area)(51)과, 범용 영역(General Purpose Area)(52)을 갖고, 암호화 콘텐츠 등은 범용 영역(General Purpose Area)(52)에 기록된다.
콘텐츠 재생에 사용되는 키인 타이틀 키는 보호 영역(Protected Area)(51)에 기록된다.
앞에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 같이 보호 영역(Protected Area)(51)은,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된다.
도 5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영역 #0(Protected Area #0)(61), 구분 영역 #1(Protected Area #1)(62), 이들 두 구분 영역을 갖는 예를 나타낸다.
이들 구분 영역의 설정 양태로서는 다양한 설정이 가능하다. 도 5에는, 호스트(기록/재생 장치)(70)가 유지하는 호스트 증명서(Host Cert)의 보호 영역 액세스권 정보를 나타낸다.
도 5에 나타내는 호스트 증명서의 액세스 제어 정보에는, 다음의 설정이 행해진다.
구분 영역 #0(Protected Area #0)에 대해서는, 데이터의 기록(Write)과 판독(Read)의 쌍방의 처리가 허가된다.
구분 영역 #1(Protected Area #1)에 대해서는, 판독(Read) 처리만이 허가된다.
도 5에 나타내는 호스트 증명서(Host Cert)에는, 구분 영역 #1(Protected Area #1)에 대한 기입(Write) 허가가 설정되어 있지 않다. 예를 들면, 이러한 보호 영역 액세스권 정보가 기록된 증명서가 유저 기기에 제공된다.
메모리 카드(31)의 보호 영역(Protected Area)(51)을 액세스하려고 하는 장치는, 이 보호 영역 액세스권 정보가 기록된 증명서를 메모리 카드에 출력한다. 메모리 카드는, 메모리 카드 내의 데이터 처리부에 있어서의 증명서 검증 처리에 기초하여, 액세스 여부를 결정한다. 호스트(기록/재생 장치)(70)는, 결정 정보에 따라 메모리 카드(31)의 보호 영역(Protected Area)(51)을 액세스하게 된다.
이렇게, 메모리 카드의 보호 영역(Protected Area)은, 액세스 요구 장치 단위, 또한 구분 영역(#0, #1, #2 등) 단위로, 데이터의 기입(Write), 판독(Read)의 허용, 비허용이 설정된 액세스 제어 영역으로서 구성된다.
보호 영역 액세스권 정보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 같이 각 액세스 요구 장치의 증명서(서버 증명서, 호스트 증명서 등)에 기록되고, 메모리 카드는, 액세스 요구 장치로부터 수신한 증명서에 대해서, 우선 서명 검증을 행하고, 정당성을 확인한 후, 증명서에 기재된 액세스 제어 정보, 즉, 이하의 정보를 판독한다.
판독 허용 영역 정보(PAD Read), 기입 허용 영역 정보(PAD Write), 이들 정보에 기초하여, 메모리 카드는 액세스 요구 장치에 대하여 인정을 받은 처리만을 허용해서 실행한다.
또한, 호스트 기기에도, 예를 들면 레코더, 플레이어 등의 CE 기기나, PC 등, 다양한 기기의 타입이 있다.
장치 증명서는, 이들 각 장치가 개별로 유지하는 증명서이며, 이들 장치의 타입에 따라 다른 설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 카드의 데이터 처리부는, 장치 증명서에 기록된 이하의 정보, 즉, 판독 허용 영역 정보(PAD Read), 기입 허용 영역 정보(PAD Write), 이들 정보뿐만 아니라, 예를 들면,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증명서에 포함되는 타입 정보(Type)에 기초하여, 보호 영역의 구분 영역 단위의 액세스의 허용 판정을 행해도 된다.
[5. 호스트(재생 장치)와 미디어(메모리 카드) 간의 처리예]
다음에, 미디어(메모리 카드)에 저장된 콘텐츠의 재생 처리를 실행하는 호스트(재생 장치)와 미디어(메모리 카드) 간의 처리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5-1. (실시예 1) 콘텐츠 타입에 따른 장치 증명서를 이용한 호스트-미디어 간 처리예]
우선, 호스트(재생 장치)와 미디어(메모리 카드) 간의 처리예의 실시예 1로서, 콘텐츠 타입에 따른 장치 증명서를 이용한 처리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방송국이나 콘텐츠 서버로부터 유저 장치에 제공되는 콘텐츠에는 다양한 타입의 콘텐츠가 있다.
예를 들면, 영화 콘텐츠, 음악 콘텐츠, 동화상 콘텐츠, 정지 화상 콘텐츠와 같은 다양한 콘텐츠의 타입이 존재한다.
또한, 예를 들면 영화 콘텐츠 중에도, 공개 후 얼마 안 된 영화 콘텐츠, 및 공개 후, 시간이 경과한 영화 콘텐츠가 있다.
공개 후, 얼마 안 된 새로운 영화 등, 새로운 콘텐츠의 부정 카피가 유통해버리면, 이 콘텐츠 가치는 급격하게 저하하고, 저작권자나 반포권자의 이익이 현저하게 손상된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한편, 공개 후, 몇 년 경과하고, DVD 등의 판매 피크가 지나간 오래된 영화 등의 오래된 콘텐츠에 대해서는, 저작권자나 반포권자의 이익 수준도 이미 저하하고, 부정 카피가 생성되어도, 비교적, 영향은 작은 것이 된다.
이렇게, 콘텐츠의 타입에 따라, 그 가치는 상이하고,보다 강고한 부정이용 방지를 도모해야 할 부가가치가 높은 콘텐츠와, 그 이외의 콘텐츠가 존재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강고한 부정이용 방지를 행해야 할 콘텐츠를 고부가가치 콘텐츠(Enhanced Content), 고부가가치 콘텐츠 이외의 콘텐츠를 통상 콘텐츠(Basic Content)라 부른다.
이러한 다양한 타입의 콘텐츠가 존재하는 현상에 대응하여, 고부가가치 콘텐츠(Enhanced Content)의 보호를 강화하기 위한 대책의 일례로서, 콘텐츠 타입에 따른 장치 증명서를 이용한 처리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장치 증명서는, 예를 들면 먼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호스트 증명서(Host Cert)이다. 도 4,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 같이 장치 증명서에는, 메모리 카드의 보호 영역(Protected Area)의 구분 영역(#0, #1, #2 등) 단위의 액세스권, 구체적으로는, 판독(Read)만 허용, 기입(Write)만 허용, 판독 기입(Read/Write) 허용 등의 다양한 액세스권 정보가 기록된다.
이 장치 증명서를 콘텐츠의 타입에 따라 복수 발행하고, 하나의 콘텐츠 증명서를, 특정한 타입의 콘텐츠에 대하여만 이용 가능한 콘텐츠 증명서라고 한다.
도 6에는 메모리 카드(100)에 기록되는 암호화 콘텐츠와 암호화 콘텐츠의 복호에 적용하는 타이틀 키의 저장 예를 나타낸다.
메모리 카드(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다음의 2개의 영역으로 구분된다.
보호 영역(Protected Area)(101)
범용 영역(General Purpose Area)(102)
암호화 콘텐츠는, 범용 영역(General Purpose Area)(102)에 기록된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콘텐츠는, 다음 두 타입으로 구분된다.
(a) 통상 콘텐츠(Basic Content)
(b) 고부가가치 콘텐츠(Enhanced Content)
각 콘텐츠는, 콘텐츠 타입, 예를 들면, (a) 통상 콘텐츠(Basic Content)나, (b) 고부가가치 콘텐츠(Enhanced Content)가 판별가능한 설정으로서 기록된다. 예를 들면 이들 콘텐츠 타입을 기록한 메타데이터와 함께 기록된다. 이들 콘텐츠는 암호화 콘텐츠이며, 콘텐츠 재생 시에는, 각 콘텐츠(타이틀)에 대응하는 타이틀 키를 이용한 복호 처리를 행하는 것이 필요해진다.
타이틀 키는, 보호 영역(Protected Area)(101)에 기록된다. 또한, 타이틀 키는, 암호화 또는 변환 데이터로서 기록될 경우가 있다. 이것은, 누설 대책의 하나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호 영역(Protected Area)(101)에 기록되는 타이틀 키도, 암호화 콘텐츠의 타입과 같이 이하의 두 타입으로 대별된다.
(a) 통상 콘텐츠 대응 타이틀 키(Title Key for Basic Content)
(b) 고부가가치 콘텐츠 대응 타이틀 키(Title Key for Enhanced Content)
각 타이틀 키는, 타이틀 키에 의해 복호되는 콘텐츠의 타입, 예를 들면, (a) 통상 콘텐츠(Basic Contents)나, (b) 고부가가치 콘텐츠(Enhanced Contents)가 판별가능한 설정으로서 기록된다. 예를 들면 이들 콘텐츠 타입을 기록한 메타데이터와 함께 기록된다. 또한, 이들 두 타입의 타이틀 키는, 타입마다 다른 구분 영역에 저장하는 설정으로 해서 기록된 구분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콘텐츠 타입을 판별가능한 설정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구분 단위의 다른 액세스권 하에서 액세스 제어를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콘텐츠 재생 처리를 실행하는 재생 장치(호스트), 예를 들면, 기록 재생 전용기, PC, 휴대 단말기 등의 재생 장치는, 콘텐츠 재생을 행할 경우, 재생 콘텐츠에 대응하는 타이틀 키를 메모리 카드의 보호 영역으로부터 읽어내는 것이 필요해진다.
이 타이틀 키 판독 처리를 행하기 위해, 재생 장치(호스트)는, 장치 증명서(Cert)를 메모리 카드에 제시한다.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이 장치 증명서는, 콘텐츠 타입에 따른 장치 증명서로서 설정된다.
콘텐츠 타입에 따른 호스트 증명서(Host Cert)의 구성예를 도 7에 나타낸다.
도 7은 다음 두 타입의 호스트 증명서(Host Cert)의 예를 나타낸다.
(A) 고부가가치 콘텐츠와 통상 콘텐츠의 쌍방의 콘텐츠 재생에 이용 가능한 호스트 증명서(Host Cert)
(B) 통상 콘텐츠만의 콘텐츠 재생에 이용 가능한 호스트 증명서(Host Cert)
도 7에 나타내는 호스트 증명서(Host Cert)는, 먼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했던 것과 같이 이하의 데이터를 기록한 증명서이다.
(1) 타입 정보
(2) 호스트 ID(유저 기기 ID)
(3) 호스트 공개키(Host Public Key)
(4) 보호 영역 액세스권 정보(미디어의 보호 영역에 대한 판독/기입 제한 정보(PAD Read/PAD Write))
(5) 그 외의 정보
(6) 서명(Signature)
그러나, 도 7에 나타내는 호스트 증명서는, (1) 타입 정보에, 이하의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점이 상이하다.
(1a) 장치 타입 정보
(1b) 대응 콘텐츠 타입 정보
「(1a) 장치 타입 정보」는, 이 호스트 증명서(Host Cert)를 유지하는 호스트가 어떤 장치인지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이 정보는 다음 호스트가 어느 타입의 장치인지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 기록 재생 전용기
* PC 또는
* 휴대 단말기(Tablet형 단말기 등)
「(1b) 대응 콘텐츠 타입 정보」는, 이 호스트 증명서(Host Cert)를 이용하고, 메모리 카드로부터 취득하는 것이 허용되는 타이틀 키의 콘텐츠 타입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구체적으로, 이 정보는, 다음의 콘텐츠 중 어느 하나 또는 쌍방의 콘텐츠에 대응하는 타이틀 키의 취득에 이용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 고부가가치 콘텐츠(Enhanced Content), 및
* 통상 콘텐츠(Basic Content)
상술한 바와 같이 장치 증명서에는, 장치 자신의 장치 타입을 나타내는 장치 타입과, 장치 증명서를 적용해서 취득가능한 타이틀 키에 대응하는 콘텐츠의 타입을 나타내는 대응 콘텐츠 타입 정보가 기록된다.
도 8을 참조하여, 다음의 정보의 조합의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1a) 장치 타입 정보
(1b) 대응 콘텐츠 타입 정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1a) 장치 타입 정보로서는, 다음 두 타입으로 분류된다.
기록 재생 전용기(코드: 0x0001)
PC/휴대 단말기(Tablet형 단말기 등)(코드: 0x0002)
또한, 이 타입 구분은 일례이며, 더욱 정밀하게 분류해도 좋다.
또한,(1b) 대응 콘텐츠 타입 정보로서는, 다음의 세 타입으로 분류된다.
통상 콘텐츠에만 대응(코드: 0x0001)
고부가가치 콘텐츠에만 대응(코드: 0x0002)
고부가가치 콘텐츠와 통상 콘텐츠의 쌍방에 대응(코드: 0x0003)
또한, 이 타입 구분은 일례이며, 더욱 정밀하게 분류해도 좋다. 예를 들면 동화상 콘텐츠, 영화 콘텐츠, 정지 화상 콘텐츠, 동화상 콘텐츠 등, 다양한 콘텐츠의 타입에 따른 분류를 설정해도 좋다.
다음에, 콘텐츠 타입에 따른 장치 증명서를 이용한 콘텐츠 재생 처리의 시퀀스에 대해서, 도 9~도 11에 나타내는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도 11에 나타내는 플로우차트는, 좌측에 콘텐츠 재생을 실행하는 호스트(재생 장치), 우측에 암호화 콘텐츠와 타이틀 키를 저장한 미디어(메모리 카드), 이들 두 장치의 실행하는 처리를, 차례로 나타낸다. 각 스텝의 처리의 상세에 대해서 설명한다.
미디어(메모리 카드)가 장착된 호스트(재생 장치)는, 스텝 S111에서, 재생 콘텐츠의 선택 정보를 입력한다.
예를 들면, 호스트의 디스플레이에 메모리 카드의 저장 콘텐츠의 일람 리스트를 표시하고, 표시된 콘텐츠 리스트로부터 유저가 재생 콘텐츠를 선택함으로써, 호스트의 데이터 처리부가 유저가 지정한 선택된 콘텐츠를 식별한다.
스텝 S112에서는, 호스트가 선택된 콘텐츠의 타입에 따른 재생 프로그램을 기동한다.
본 처리예에서, 콘텐츠의 타입은, 다음 (a), (b) 중 어느 하나이다.
(a) 통상 콘텐츠, 및
(b) 고부가가치 콘텐츠
또한, 각 콘텐츠에는, 콘텐츠 타입을 나타내는 정보가 콘텐츠에 대응되는 속성 정보(메타데이터) 중에 기록되고, 이 속성 정보에 기초해서 콘텐츠 타입을 판별한다. 또는, 콘텐츠 파일을, 콘텐츠 타입에 따라 다른 확장자를 갖는 설정으로서 기록하고, 이 확장자를 참조해서 판별하는 설정으로 해도 좋다.
또는, 확장자에 따라서 기동 프로그램을 자동 선택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호스트는, 통상 콘텐츠의 재생 처리를 실행하는 통상 콘텐츠 재생 프로그램과, 고부가가치 콘텐츠의 재생 처리를 실행하는 고부가가치 콘텐츠 재생 프로그램을 유지하고, 재생 대상으로서 선택된 콘텐츠의 타입에 대응하는 재생 프로그램을 기동한다. 또한, 호스트는, 통상 콘텐츠 재생 프로그램만을 갖고 있을 경우도 있지만, 이러한 호스트는 고부가가치 콘텐츠의 재생 처리는 실행할 수 없다. 또한, 고부가가치 콘텐츠 재생 프로그램은, 고부가가치 콘텐츠만을 재생가능한 설정으로 해도 좋고 또는 고부가가치 콘텐츠와 통상 콘텐츠 양쪽을 재생가능한 프로그램으로서 설정해도 좋다.
다음에, 호스트는, 스텝 S113에 있어서, 콘텐츠의 타입에 따라 기동한 재생 프로그램에 대응되는 장치 증명서(Host Cert)를 자기 장치의 메모리로부터 취득한다. 이 장치 증명서(Host Cert)는 먼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호스트 증명서(Host Cert)이며, 다음의 정보가 타입 정보로서 기록된 증명서이다.
(1a) 장치 타입 정보
(1b) 대응 콘텐츠 타입 정보
또한, 예를 들면, 통상 콘텐츠 재생 프로그램은, 도 7의 (B)에 도시하는 통상 콘텐츠에만 대응한 호스트 증명서만 취득가능하고, 고부가가치 콘텐츠 재생 프로그램은, 도 7의 (A)에 도시하는 고부가가치 콘텐츠와 통상 콘텐츠에 대응한 호스트 증명서만 취득가능하다. 예를 들면 각 재생 프로그램에 기록된 호스트 증명서의 취득용 정보(예를 들면 메모리 어드레스)에는, 도 7의 (A), (B) 어느 한쪽의 호스트 증명서에 대응하는 정보(어드레스)만이 기록되고, 각 재생 프로그램은, 자기의 이용 가능한 유일한 호스트 증명서를 취득할 수 있다.
다음에, 스텝 S114a와 스텝 S114b에 있어서, 호스트(재생 장치)와 미디어(메모리 카드) 간의 상호 인증 처리를 실행한다. 이 상호 인증 처리에서는, 호스트(재생 장치)는 호스트의 메모리로부터 취득한 호스트 증명서(Host Cert)를 미디어(메모리 카드)에 송신한다.
한편, 미디어(메모리 카드)는, 미디어(메모리 카드) 내의 메모리에 저장된 미디어 대응 장치 증명서(Media Cert)를 호스트(재생 장치)에 송신한다. 이 인증 처리는, 예를 들면 이들 쌍방의 공개키 증명서를 적용한 공개키 암호 방식의 상호 인증 처리로서 실행된다.
다음에 도 10에 나타내는 스텝 S115a 및 S1115b 이하의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스텝 S115a 및 S115b에서는, 호스트(재생 장치), 미디어(메모리 카드) 간의 상호 인증이 성립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상호 인증이 성립하지 않을 경우, 쌍방의 기기의 신뢰성을 확인할 수 없다고 판단하고, 스텝 S130으로 진행하고, 콘텐츠 재생 처리는 중지된다.
상호 인증이 성립한 경우에는, 스텝 S116a 및 S116b로 진행한다.
호스트(재생 장치)는, 스텝 S116a에 있어서, 재생 콘텐츠에 대응하는 타이틀 키의 판독 요구를 미디어(메모리 카드)에 송신한다.
미디어(메모리 카드)는, 스텝 S116b에 있어서, 이 타이틀 키 판독 요구를 수신한다.
다음에, 미디어(메모리 카드)는, 스텝 S117에 있어서, 앞의 인증 처리에 있어서 호스트(재생 장치)로부터 수신한 호스트 증명서(Host Cert)의 타입 정보를 참조하고, 호스트(재생 장치)로부터 수신한 호스트 증명서(Host Cert)가 호스트가 요구하고 있는 타이틀 키에 대응하는 콘텐츠의 타입에 대응하는 대응 콘텐츠 타입 정보를 기록한 호스트 증명서(Host Cert)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예를 들면, 도 7에 나타내는 두 타입의 호스트 증명서(Host Cert)가 이용 가능한 구성이라고 가정한다. 재생 예정 콘텐츠가 통상 콘텐츠이며, 호스트가 요구하는 타이틀 키가 통상 콘텐츠에 대응하는 타이틀 키인 경우에는, 호스트로부터 수신한 호스트 증명서가 도 7에 나타내는 이하의 두 증명서, (A) 고부가가치 콘텐츠와 통상 콘텐츠의 쌍방의 콘텐츠 재생에 이용 가능한 호스트 증명서(Host Cert), (B) 통상 콘텐츠만의 콘텐츠 재생에 이용 가능한 호스트 증명서(Host Cert), 이들 두 타입의 호스트 증명서(Host Cert) 중 어느 것이라도, 스텝 S117의 판정은 '예'가 된다.
또한, 재생 예정 콘텐츠가 고부가가치 콘텐츠이며, 호스트가 요구하는 타이틀 키가 고부가가치 콘텐츠에 대응하는 타이틀 키인 경우에는, 호스트로부터 수신한 호스트 증명서가 도 7에 나타낸, (A) 고부가가치 콘텐츠와 통상 콘텐츠의 쌍방의 콘텐츠 재생에 이용 가능한 호스트 증명서(Host Cert), 이 타입의 호스트 증명서(Host Cert)의 경우에만, 스텝 S117의 판정은 '예'가 된다.
호스트로부터 수신한 호스트 증명서가 도 7에 나타낸, (B) 통상 콘텐츠만의 콘텐츠 재생에 이용 가능한 호스트 증명서(Host Cert), 이 타입의 호스트 증명서(Host Cert)의 경우에는, 스텝 S117의 판정은 '아니오'가 된다.
스텝 S117의 판정이 '아니오'가 된 경우에는, 스텝 S130으로 진행하고, 콘텐츠 재생은 중지된다. 즉, 호스트에 대한 타이틀 키의 제공은 실행되지 않는다.
호스트(재생 장치)로부터 수신한 호스트 증명서(Host Cert)가 호스트가 요구하고 있는 타이틀 키에 대응하는 콘텐츠의 타입에 대응하는 대응 콘텐츠 타입 정보를 기록한 호스트 증명서(Host Cert)라고 판정되면 스텝 S117의 판정은 '예'가 되고, 스텝 S118로 진행한다.
다음에, 미디어(메모리 카드)는, 스텝 S118에 있어서, 앞의 인증 처리에 있어서 호스트(재생 장치)로부터 수신한 호스트 증명서(Host Cert)의 보호 영역 액세스권 정보를 참조하여, 호스트가 요구하는 타이틀 키의 저장 영역, 즉 보호 영역의 구분 영역이 데이터 판독 허용 영역으로서 설정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앞에, 도 4, 도 5를 참조해서 설명한 바와 같이 호스트 증명서(Host Cert)의 보호 영역 액세스권 정보 영역에는, 메모리 카드의 보호 영역의 구분 영역 단위의 액세스권(판독/기입)의 허용 정보가 기록되어 있다. 미디어(메모리 카드)는, 이 보호 영역 액세스권 정보를 참조하여, 호스트가 요구하는 타이틀 키의 저장 영역, 즉 보호 영역의 구분 영역이 데이터 판독 허용 영역에 설정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도 11에 나타내는 스텝 S119에 있어서, 호스트가 요구하는 타이틀 키가 저장된 보호 영역의 구분 영역이 호스트 증명서(Host Cert)에 데이터 판독 허용 영역으로서 기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119의 판정은 '아니오'가 된다.
이 경우는, 스텝 S130으로 진행하고, 콘텐츠 재생은 중지된다. 즉, 호스트에 대한 타이틀 키의 제공은 실행되지 않는다.
한편, 호스트가 요구하는 타이틀 키가 저장된 보호 영역의 구분 영역이 호스트 증명서(Host Cert)에 데이터 판독 허용 영역으로서 기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스텝 S119의 판정은 '예'가 되고, 스텝 S120으로 진행한다.
미디어(메모리 카드)는, 스텝 S120a에 있어서, 호스트(재생 장치)로부터 요구된 타이틀 키를 보호 영역으로부터 취득하고, 또한, 암호화 콘텐츠를 범용 영역으로부터 취득하여, 호스트에 송신한다.
호스트(재생 장치)는, 스텝 S120b에 있어서, 미디어(메모리 카드)로부터 타이틀 키와 암호화 콘텐츠를 수신한다.
다음에, 호스트(재생 장치)는, 스텝 S121에서, 취득한 타이틀 키를 적용해 암호화 콘텐츠의 복호 처리를 실행해서 콘텐츠 재생을 개시한다.
[5-2. (실시예 2) 재생 프로그램이 적용하는 장치 증명서를 선택하는 처리예]
도 9~도 11에 나타내는 플로우차트를 참조한 실시예 1의 콘텐츠 재생 시퀀스에서는, 재생 콘텐츠로서 선택된 콘텐츠의 타입에 따라, 기동하는 재생 프로그램을 선택하고, 선택 기동한 재생 프로그램에 대응해서 설정된 호스트 증명서(Host Cert), 즉, 선택 기동한 재생 프로그램에 의해 액세스 가능하게 설정된 하나의 호스트 증명서(Host Cert)를 이용해서 처리를 실행하는 구성이었다.
구체적으로, 재생 프로그램이 통상 콘텐츠 대응의 재생 프로그램 또는 고부가가치 콘텐츠 대응의 재생 프로그램과 같이 콘텐츠의 타입에 따른 전용 프로그램으로서 설정되고, 각 재생 프로그램에 대하여 이용 가능한 호스트 증명서(Host Cert)를 한번에 1개씩 할당한 구성을 전제로 하고 있었다.
다음에, 도 12~도 14에 나타내는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상기 실시예 1과는 다른 처리를 행하는 실시예 2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실시예 2에서는, 호스트(재생 장치)에서 실행하는 재생 프로그램을 하나의 재생 프로그램, 즉, 재생 콘텐츠가 통상 콘텐츠인 경우도, 고부가가치 콘텐츠인 경우도 같은 프로그램에 의한 재생 처리가 행해진다. 본 처리예에서는, 재생 프로그램 자신이 재생 콘텐츠로서 선택된 콘텐츠의 타입을 판별하고, 이 판별 결과에 따라서, 이용하는 호스트 증명서(Host Cert)를 선택해서 이용한다.
구체적으로, 재생 프로그램의 처리로서, 콘텐츠 타입을 판별하고, 판별된 콘텐츠 타입에 따라, 다음 두 타입의 호스트 증명서(Host Cert)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해서 이용한다.
(A) 고부가가치 콘텐츠와 통상 콘텐츠, 쌍방의 콘텐츠 재생에 이용 가능한 호스트 증명서(Host Cert)
(B) 통상 콘텐츠만의 콘텐츠 재생에 이용 가능한 호스트 증명서(Host Cert)
도 12~도 14에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의 각 스텝의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2~도 14에 나타내는 플로우차트는, 도 9~도 11에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와 마찬가지로, 좌측에 콘텐츠 재생을 실행하는 호스트(재생 장치), 우측에 암호화 콘텐츠와 타이틀 키를 저장한 미디어(메모리 카드)를 차례로 나타내고, 이들 두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를 차례로 나타낸다.
호스트(재생 장치)는, 미디어(메모리 카드)를 장착하고, 스텝 S211에서, 재생 콘텐츠의 선택 정보를 입력한다. 예를 들면, 호스트의 디스플레이에 메모리 카드의 저장 콘텐츠의 일람 리스트를 표시하고, 표시된 콘텐츠 리스트로부터 유저가 재생 콘텐츠를 선택함으로써, 호스트의 데이터 처리부가 선택된 콘텐츠를 식별한다. 예를 들면, 이 재생 콘텐츠의 선택을 트리거로서 호스트의 메모리에 저장된 콘텐츠 재생 프로그램이 기동한다.
또한,앞의 도 9~도 11에 나타내는 플로우의 처리에서는, 기동 프로그램은, 콘텐츠의 타입(고부가가치/통상)에 따라서 상이했지만, 본 처리예에서는, 기동 프로그램은, 선택된 콘텐츠의 타입(고부가가치/통상)에 따라서 변경되지 않는다.
스텝 S212에서, 재생 프로그램이 유저에 의해 선택된 콘텐츠의 타입을 판별한다. 본 처리예에 있어서도, 콘텐츠의 타입은, 다음의 (a), (b) 중 어느 하나이다.
(a) 통상 콘텐츠
(b) 고부가가치 콘텐츠
또한, 각 콘텐츠에는, 콘텐츠 타입을 나타내는 정보가 콘텐츠에 대응되는 속성 정보(메타데이터) 중에 기록되고, 이 속성 정보에 기초해서 콘텐츠 타입을 판별한다. 또는, 콘텐츠 파일을, 콘텐츠 타입에 따라 다른 확장자를 갖는 설정으로서 기록하고, 이 확장자를 참조해서 판별하는 설정으로 해도 좋다.
다음에, 호스트는, 스텝 S213에서, 판정한 콘텐츠 타입에 따라, 이용하는 장치 증명서(Host Cert)를 자기 장치의 메모리로부터 선택해서 취득한다.
이 장치 증명서(Host Cert)는 먼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호스트 증명서(Host Cert)이며, 다음 정보가 타입 정보로서 기록된 증명서이다.
(1a) 장치 타입 정보
(1b) 대응 콘텐츠 타입 정보
이 처리예에서는, 재생 프로그램 자신이 재생 예정 콘텐츠의 타입에 대응한 호스트 증명서(Host Cert)의 선택을 행한다. 재생 콘텐츠로서 선택된 콘텐츠가 고부가가치 콘텐츠인 경우에는, 예를 들면,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호스트 증명서(Host Cert)의 (1b) 대응 콘텐츠 타입 정보에, 고부가가치 콘텐츠를 이용 가능 콘텐츠로 설정하고 있는 호스트 증명서(Host Cert)를 선택 취득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도 7의 (A)에 도시하는 호스트 증명서를 선택 취득한다.
한편, 재생 콘텐츠로서 선택된 콘텐츠가 통상 콘텐츠인 경우에는,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호스트 증명서(Host Cert)의 (1b) 대응 콘텐츠 타입 정보에, 통상 콘텐츠를 이용 가능 콘텐츠로 설정하고 있는 호스트 증명서(Host Cert)를 선택 취득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도 7의 (B)에 도시하는 호스트 증명서를 선택 취득한다. 또한, 이 경우는 도 7의 (A)에 도시하는 증명서도 통상 콘텐츠의 재생에 이용 가능하기 때문에, 도 7의 (A)에 도시하는 증명서를 선택해도 좋다.
그러나, 예를 들면, 호스트(재생 장치)가 도 7의 (B)에 도시하는 통상 콘텐츠 대응의 호스트 증명서(Host Cert)만 유지하는 경우에, 재생 콘텐츠로서 고부가가치 콘텐츠를 선택했을 경우, 이용 가능한 호스트 증명서(Host Cert)를 취득할 수 없으므로, 콘텐츠 재생은 행해지지 않게 된다.
이렇게, 호스트(재생 장치)는, 스텝 S213에서, 다음 두 타입의 호스트 증명서(Host Cert) 중 어느 하나를, 콘텐츠 타입에 따라 선택 취득한다.
(A) 고부가가치 콘텐츠와 통상 콘텐츠, 쌍방의 콘텐츠 재생에 이용 가능한 호스트 증명서(Host Cert)
(B) 통상 콘텐츠만의 콘텐츠 재생에 이용 가능한 호스트 증명서(Host Cert)
다음에 스텝 S214a와 스텝 S214b에 있어서, 호스트(재생 장치)는 호스트(재생 장치)와 미디어(메모리 카드) 간의 상호 인증 처리를 실행한다. 이 상호 인증 처리에서는, 호스트(재생 장치)는 호스트의 메모리로부터, 콘텐츠 타입에 따라 선택한 호스트 증명서(Host Cert)를 미디어(메모리 카드)에 송신한다.
한편, 미디어(메모리 카드)는, 미디어(메모리 카드) 내의 메모리에 저장된 미디어 대응 장치 증명서(Media Cert)를 호스트(재생 장치)에 송신한다. 이 인증 처리는, 예를 들면 이들 쌍방의 공개키 증명서를 적용한 공개키 암호 방식의 상호 인증 처리로서 실행된다.
다음에 도 13에 나타내는 스텝 S215a 및 S215b의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3~도 14에 나타내는 스텝 S215a~S221의 처리는, 기본적으로 앞에 도 9~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 플로우의 스텝 S115a~S121의 처리와 마찬가지이다.
스텝 S215a, S215b에서는, 호스트(재생 장치), 미디어(메모리 카드) 간의 상호 인증이 성립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상호 인증이 성립하지 않을 경우, 쌍방의 기기의 신뢰성을 확인할 수 없다고 판단하고, 스텝 S230으로 진행하고, 콘텐츠 재생 처리는 중지된다.
상호 인증이 성립한 경우에는, 스텝 S216a 및 S216b로 진행한다.
호스트(재생 장치)는, 스텝 S216a에서, 재생 콘텐츠에 대응하는 타이틀 키의 판독 요구를 미디어(메모리 카드)에 송신한다.
미디어(메모리 카드)는, 스텝 S216b에 있어서, 이 타이틀 키 판독 요구를 수신한다.
다음에, 미디어(메모리 카드)는, 스텝 S217에 있어서, 앞의 인증 처리에 있어서 호스트(재생 장치)로부터 수신한 호스트 증명서(Host Cert)의 타입 정보를 참조하고, 호스트(재생 장치)로부터 수신한 호스트 증명서(Host Cert)가 호스트가 요구하고 있는 타이틀 키에 대응하는 콘텐츠의 타입에 대응하는 대응 콘텐츠 타입 정보를 기록한 호스트 증명서(Host Cert)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예를 들면, 도 7에 나타내는 두 타입의 호스트 증명서(Host Cert)가 이용 가능한 구성이라고 가정한다.
재생 예정 콘텐츠가 통상 콘텐츠이며, 호스트가 요구하는 타이틀 키가 통상 콘텐츠에 대응하는 타이틀 키인 경우에는, 호스트로부터 수신한 호스트 증명서가 다음의 두 타입의 호스트 증명서(Host Cert) 중 어느 것이면, 스텝 S217의 판정은 '예'가 된다.
(A) 고부가가치 콘텐츠와 통상 콘텐츠의 쌍방의 콘텐츠 재생에 이용 가능한 호스트 증명서(Host Cert)
(B) 통상 콘텐츠만의 콘텐츠 재생에 이용 가능한 호스트 증명서(Host Cert)
또한, 재생 예정 콘텐츠가 고부가가치 콘텐츠이며, 호스트가 요구하는 타이틀 키가 고부가가치 콘텐츠에 대응하는 타이틀 키인 경우에는, 호스트로부터 수신한 호스트 증명서가 도 7에 나타낸, 다음 타입의 호스트 증명서(Host Cert)의 경우에만, 스텝 S217의 판정은 '예'가 된다.
(A) 고부가가치 콘텐츠와 통상 콘텐츠의 쌍방의 콘텐츠 재생에 이용 가능한 호스트 증명서(Host Cert)
호스트로부터 수신한 호스트 증명서가 도 7에 나타낸 다음 타입의 호스트 증명서(Host Cert)의 경우에는, 스텝 S217의 판정은 '아니오'가 된다.
(B) 통상 콘텐츠만의 콘텐츠 재생에 이용 가능한 호스트 증명서(Host Cert)
스텝 S217의 판정이 '아니오'가 된 경우에는, 스텝 S230으로 진행하고, 콘텐츠 재생은 중지된다. 즉, 호스트에 대한 타이틀 키의 제공은 실행되지 않는다.
호스트(재생 장치)로부터 수신한 호스트 증명서(Host Cert)가 호스트가 요구하고 있는 타이틀 키에 대응하는 콘텐츠의 타입에 대응하는 대응 콘텐츠 타입 정보를 기록한 호스트 증명서(Host Cert)라고 판정되면 스텝 S217의 판정은 '예'가 되고, 스텝 S218로 진행한다.
다음에, 미디어(메모리 카드)는, 스텝 S218에서, 앞의 인증 처리에서 호스트(재생 장치)로부터 수신한 호스트 증명서(Host Cert)의 보호 영역 액세스권 정보를 참조하여, 호스트가 요구하는 타이틀 키의 저장 영역, 즉 보호 영역의 구분 영역이 데이터 판독 허용 영역으로서 설정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앞서 도 4, 도 5를 참조해서 설명한 바와 같이 호스트 증명서(Host Cert)의 보호 영역 액세스권 정보 영역에는, 메모리 카드의 보호 영역의 구분 영역 단위의 액세스권(판독/기입)의 허용 정보가 기록되어 있다. 미디어(메모리 카드)는, 이 보호 영역 액세스권 정보를 참조하여, 호스트가 요구하는 타이틀 키의 저장 영역, 즉 보호 영역의 구분 영역이 데이터 판독 허용 영역에 설정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도 14에 나타내는 스텝 S219에서, 호스트가 요구하는 타이틀 키가 저장된 보호 영역의 구분 영역이 호스트 증명서(Host Cert)에 데이터 판독 허용 영역으로서 기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219의 판정은 '아니오'가 된다.
이 경우는, 스텝 S230으로 진행하고, 콘텐츠 재생은 중지된다. 즉, 호스트에 대한 타이틀 키의 제공은 실행되지 않는다.
한편, 호스트가 요구하는 타이틀 키가 저장된 보호 영역의 구분 영역이 호스트 증명서(Host Cert)에 데이터 판독 허용 영역으로서 기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스텝 S219의 판정은 '예'가 되고, 스텝 S220a 및 S220b로 진행한다.
미디어(메모리 카드)는, 스텝 S220a에 있어서, 호스트(재생 장치)로부터 요구된 타이틀 키를 보호 영역으로부터 취득하고, 또한, 암호화 콘텐츠를 범용 영역으로부터 취득하여, 호스트에 송신한다.
호스트(재생 장치)는, 스텝 S220b에 있어서, 미디어(메모리 카드)로부터 타이틀 키와 암호화 콘텐츠를 수신한다.
다음에, 호스트(재생 장치)는, 스텝 S221에서, 취득한 타이틀 키를 적용해서 암호화 콘텐츠의 복호 처리를 실행해서 콘텐츠 재생을 개시한다.
[5-3. (실시예 3) 재생 기기의 타입에 따라 미디어(메모리 카드)의 식별자(미디어 ID)의 변환 양태를 변경하는 처리예]
다음에, 호스트(재생 장치)와 미디어(메모리 카드) 간의 처리예의 실시예 3으로서, 재생 기기의 타입에 따라 미디어(메모리 카드)의 식별자(미디어 ID)의 변환 양태를 변경하는 처리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암호화 콘텐츠 및 암호화 콘텐츠의 복호에 적용하는 타이틀 키를 저장하는 미디어(메모리 카드)는, 미디어 자신의 식별 정보인 미디어 ID(MID)를 유지한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디어(메모리 카드)(300)는, 각 장치 증명서에 기록된 액세스권 정보에 기초해서 액세스가 허용되는 보호 영역(Protected Area)(311)과, 범용 영역(General Purpose Area)(312)을 갖고, 타이틀 키를 보호 영역(Protected Area)(311)에 저장하고, 암호화 콘텐츠를 범용 영역(General Purpose Area)(312)에 저장한다.
범용 영역(General Purpose Area)(312)에는, 암호화 콘텐츠 외, 콘텐츠의 이용 제어 정보(Usage Rule), 및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디어 ID(MID)(315), 및 그 검증 값으로서의 미디어 ID-MAC(Message Authentication Code)(316)가 기록된다.
미디어 ID(MID)(315)는, 미디어(메모리 카드)의 식별자이며, 미디어 각각과는 다른 값(미디어 고유치)으로서 설정되어 있다.
미디어 ID-MAC(316)는, 미디어 ID(MID)(315)의 위조 검증 값이며, 예를 들면 관리자의 서명이 설정된 데이터로서 구성된다.
미디어 ID(MID)(315)와, 미디어 ID-MAC(316)는, 미디어(메모리 카드)(300)에 기록된 콘텐츠를 재생하는 경우, 재생 장치(호스트)에 의해 판독되고, MAC를 이용한 검증 처리가 실행된다. 이 검증 처리에 따라, 미디어 ID(MID)(315)의 정당성이 확인된 것을 조건으로 해서, 타이틀 키를 이용한 암호화 콘텐츠의 복호에 이행할 수 있다.
재생 장치(호스트)에 미리 저장된 콘텐츠 재생 프로그램은, 이렇게 미리 결정된 재생 처리 시퀀스에 따라서, 미디어 ID(MAC)의 검증과, 타이틀 키를 적용한 암호화 콘텐츠의 복호를 실행한다.
도 16을 참조하여, 미디어 ID(MAC)의 검증과, 타이틀 키를 적용한 암호화 콘텐츠의 복호 처리의 시퀀스의 일례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6에는, 암호화 콘텐츠 등을 저장한 미디어(메모리 카드)(320)와, 미디어(메모리 카드)(320)에 저장된 암호화 콘텐츠의 복호, 재생을 실행하는 호스트(재생 장치)(350)를 나타낸다.
미디어(메모리 카드)(320)에는,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하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다: 미디어 ID-MAC(321), 미디어 ID(MID)(322), 변환 타이틀 키(XORed Title Key)(323), 이용 제어 정보(Usage Rule)(324), 암호화 콘텐츠(Encrypted Content)(325).
또한, 미디어(메모리 카드)(320)에는, 이 밖에도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지만, 미디어 ID(MAC)의 검증과, 타이틀 키를 적용한 암호화 콘텐츠의 복호 처리의 시퀀스에서 적용되는 데이터만을 나타낸다.
이용 제어 정보(Usage Rule)(324)는, 암호화 콘텐츠(Encrypted Content)(325)에 대응하는 이용 제어 정보이며,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콘텐츠의 카피 허용 정보 등 이용 허용 정보를 기록한 데이터이다. 호스트(재생 장치)는, 암호화 콘텐츠(325)의 이용 시에, 이용 제어 정보(Usage Rule)(324)의 규정에 따라서 콘텐츠 이용을 행한다.
변환 타이틀 키(XORed Title Key)(323)는, 타이틀 키의 변환 데이터이며, 메모리 카드의 보호 영역(Protected Area)에 저장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타이틀 키 데이터와, 이용 제어 정보(Usage Rule)(324)의 해시값과의 배타적 논리합(OR)(XOR) 결과를 변환 타이틀 키로서 저장한다.
호스트(재생 장치)(350)의 처리 시퀀스에 대해서 설명한다. 호스트(재생 장치)(350)가 실행하는 처리에 대해서, 도 16에 나타내는 스텝 S301~S305의 순으로 설명한다.
우선, 호스트(재생 장치)(350)는, 스텝 S301에 있어서, 미디어(메모리 카드)(320)로부터 이용 제어 정보(Usage Rule)(324)를 판독하고, 그 해시값을 산출하고, 예를 들면 AES 암호 알고리즘을 따른 해시값 산출을 행한다.
다음에, 스텝 S302에서, 호스트(재생 장치)(350)는 미디어(메모리 카드)(320)의 보호 영역(Protected Area)으로부터, 액세스권의 확인 등, 소정의 수속에 따라서 읽어낸 변환 타이틀 키(XORed Title Key)(323)와, 이용 제어 정보(Usage Rule)(324)의 해시값과의 배타적 논리합(OR)(XOR)을 산출한다. 이 처리에 따라, 타이틀 키가 생성된다.
다음에, 스텝 S303에 있어서, 호스트(재생 장치)(350)는 미디어(메모리 카드)(320)로부터 읽어낸 미디어 ID(MID)(322)에 대하여, 스텝 S302에서 생성한 타이틀 키를 적용해서 MAC 산출을 행한다.
다음에, 스텝 S304에 있어서, 호스트(재생 장치)(350)는 미디어(메모리 카드)(320)로부터 읽어낸 미디어 ID-MAC(321)와, 스텝 S303에서 산출한 MAC값과의 일치 처리(matching processing)를 실행한다.
이 일치 처리에서, 미디어(메모리 카드)(320)로부터 읽어낸 미디어 ID-MAC(321)와, 스텝 S303에서 산출한 산출 MAC값이 일치하면, MAC 일치가 성립되고, 미디어(메모리 카드)(320)의 정당성이 확인된 것으로 판정되어, 타이틀 키를 적용한 암호화 콘텐츠의 복호 처리로 진행한다.
한편, 일치 처리에서, 미디어(메모리 카드)(320)로부터 읽어낸 미디어 ID-MAC(321)와, 스텝 S303에서 산출한 산출 MAC값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MAC 일치가 성립되지 않고, 미디어(메모리 카드)(320)의 정당성이 확인되지 않은 것으로 판정되어, 타이틀 키를 적용한 암호화 콘텐츠의 복호 처리는 실행되지 않는다.
또한, 도 16에는, 이 판정 처리에 기초하는 처리의 실행/비실행을 설명하기 위해서 스위치(351)를 나타낸다. 이 스위치(351)는 처리 알고리즘을 설명하기 위해서 도시하는 것이며, 실제의 하드웨어 상의 구성으로서 포함되는 것이 필요하지는 않다.
스텝 S304에서의 MAC 검증 처리에서, 미디어(메모리 카드)(320)로부터 읽어낸 미디어 ID-MAC(321)와, 스텝 S303에서 산출한 산출 MAC값이 일치하고, 미디어의 정당성이 확인되면, 스텝 S305로 진행한다.
스텝 S305에서는, 호스트(재생 장치)(350)는 미디어(메모리 카드)(320)로부터 읽어낸 암호화 콘텐츠(325)에 대하여, 변환 타이틀 키(323)로부터 생성한 타이틀 키를 적용한 복호 처리를 실행해 콘텐츠(Content)(371)를 생성해서 콘텐츠 재생 등의 콘텐츠 이용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이 콘텐츠 이용은, 미디어(메모리 카드)(320)로부터 읽어낸 이용 제어 정보(Usage Rule)(372)의 규정에 따른 이용 양태로서 행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렇게, 미디어(메모리 카드)에 저장된 콘텐츠의 복호/재생 처리에 있어서는, 미디어의 식별자인 미디어 ID(MID)를 이용한 미디어의 정당성 확인을 행하는 것이 필요해진다.
한편, 콘텐츠 재생을 실행하는 콘텐츠 기기에는, 다양한 타입이 있다. 예를 들면, 먼저 도 1, 도 2를 참조해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하의 다양한 기기가 존재한다.
* DVD 플레이어, BD 플레이어 등의 기록 재생 전용기(CE 기기)(21)
* PC(22)
* 스마트 폰 또는 타블렛 단말기 등의 휴대 단말기(23)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예는, 이들 다양한 재생 기기의 타입에 따라, 미디어(메모리 카드)의 식별자(미디어 ID)의 변환 양태를 변경하는 구성예이다. 즉, 미디어(메모리 카드)는, 콘텐츠 재생을 실행하는 호스트(재생 장치)에 미디어 ID(MID)를 출력할 때, 호스트(재생 장치)의 타입에 따라 다른 데이터 변환 처리(Encode)를 실행하여, 호스트(재생 장치)에 제공한다. 호스트(재생 장치)는, 미디어(메모리 카드)로부터 수신한 변환 미디어 ID(MID)에 대하여, 장치의 타입에 따른 복원 처리(Decode)를 실행해서 미디어 ID(MID)를 취득한다.
구체예에 대해서,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7은, 콘텐츠 재생을 실행하는 기기(호스트)를 다음 두 타입으로 분류한 예이다.
(1) 호스트=기록 재생 전용기
(2) 호스트=PC와 휴대 단말기
도 17은, 장치(호스트)를 이들 두 타입으로 분류하고, 각 타입에 따라 다른 처리를 실행하는 예를 나타낸다.
미디어(메모리 카드)는, 미디어 ID(MID)(401)를 메모리 내에 저장하고 있다.
미디어(메모리 카드)는, 미디어(메모리 카드)를 장착하고, 미디어 내의 콘텐츠를 재생하는 호스트(재생 장치)의 타입이 이하의 어느 하나의 타입인지를 확인한다.
(1) 호스트=기록/재생 전용기
(2) 호스트=PC와 휴대 단말기
호스트(재생 장치)의 타입이 상기의 어느 타입인지를 확인한다.
또한, 이 호스트 타입(재생 장치 타입)의 확인 처리는, 예를 들면, 호스트(재생 장치)와 미디어(메모리 카드) 사이에 실행되는 상호 인증 처리 시에, 미디어(메모리 카드)가 호스트(재생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호스트 증명서(Host Cert)의 타입 정보(도 7, 도 8 참조)를 확인함으로써 실행 가능하다.
미디어(메모리 카드)가 호스트(재생 장치)가 기록/재생 전용기인 것을 확인한 경우에는, 도 17의 좌측에 나타낸, (1) 호스트=기록/재생 전용기의 처리가 실행된다.
한편, 미디어(메모리 카드)가 호스트(재생 장치)가 PC 또는 휴대 단말기인 것을 확인한 경우에는, 도 17의 우측에 나타낸, (2) 호스트=PC/휴대 단말기의 처리가 실행된다.
(1) 호스트=기록/재생 전용기의 처리에서는, 미디어(메모리 카드)는, 스텝 S321에서, 기록/재생 전용기 대응의 미디어(MID)의 부호화 처리(Encode)를 실행한다. 이 부호화 결과로서 기능하는 기록/재생 전용기 대응 부호화(MID)(411)는, 호스트(재생 장치)인 기록/재생 전용기에 제공된다.
스텝 S322에서, 호스트(재생 장치)인 기록/재생 전용기는 자기 장치가 갖는 기록/재생 전용기 대응의 복호 알고리즘을 적용해서, 미디어(메모리 카드)로부터 수신한 기록/재생 전용기 대응 부호화(MID)(411)를 복호해서 미디어 ID(MID)(431)를 취득한다.
한편,(2) 호스트=PC 또는 휴대 단말기의 경우에는, 미디어(메모리 카드)는, 스텝 S331에서, PC와 휴대 단말기 대응의 미디어(MID)의 부호화 처리(Encode)를 실행한다. 이 부호화 결과로서의 PC/휴대 단말기 부호화(MID)(412)는, 호스트(재생 장치)인 PC 또는 휴대 단말기에 제공된다.
스텝 S332에서, 호스트(재생 장치)인 PC 또는 휴대 단말기는 자기 장치가 갖는 PC와 휴대 단말기에 대응하는 복호 알고리즘을 적용해서, 미디어(메모리 카드)로부터 수신한 PC/휴대 단말기 부호화(MID)(412)를 복호해서 미디어 ID(MID)(431)를 취득한다.
미디어(메모리 카드)는, 미디어(MID)의 부호화 처리(Encode)를 실행하는 상이한 복수의 부호화 알고리즘을 실행 가능한 구성이며, 예를 들면, 호스트=기록/재생 전용기의 경우에는, 제1 부호화 알고리즘을 적용하고, 호스트=PC 또는 휴대 단말기의 경우에는, 제2 부호화 알고리즘을 적용하는 바와 같이 호스트(재생 장치)의 타입에 따라 부호화 알고리즘을 선택 적용한다.
이러한 호스트(재생 장치)의 타입에 따른 미디어 ID(MID) 부호화 처리를 실행하는 경우의 콘텐츠 복호/재생 시퀀스에 대해서, 도 1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8은, 먼저 설명한 도 16과 마찬가지로, 미디어 ID(MAC)의 검증과, 타이틀 키를 적용한 암호화 콘텐츠의 복호 처리의 시퀀스에 대해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8에는, 도 16과 마찬가지로, 암호화 콘텐츠 등을 저장한 미디어(메모리 카드)(320)와, 미디어(메모리 카드)(320)에 저장된 암호화 콘텐츠의 복호/재생을 실행하는 호스트(재생 장치)(350)를 나타낸다.
미디어(메모리 카드)(320)에는,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하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다: 미디어 ID-MAC(321), 미디어 ID(MID)(322), 변환 타이틀 키(XORed Title Key)(323), 이용 제어 정보(Usage Rule)(324), 암호화 콘텐츠(Encrypted Content)(325)
또한, 미디어(메모리 카드)(320)에는, 이 밖에도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지만, 미디어 ID(MAC)의 검증과, 타이틀 키를 적용한 암호화 콘텐츠의 복호 처리의 시퀀스에 적용되는 데이터만을 나타낸다.
변환 타이틀 키(XORed Title Key)(323)는, 먼저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했던 것과 마찬가지로, 타이틀 키의 변환 데이터이며, 메모리 카드의 보호 영역(Protected Area)에 저장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타이틀 키 데이터와, 이용 제어 정보(Usage Rule)(324)의 해시값과의 배타적 논리합(OR)(XOR) 결과를 변환 타이틀 키로서 저장하고 있다.
우선, 미디어(메모리 카드)(320)는, 스텝 S331에서, 콘텐츠 재생을 실행하는 호스트(재생 장치)의 타입에 따른 미디어 ID(MID)(322)의 부호화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이 처리를 전제로 하여, 미디어(메모리 카드)(320)와 호스트(재생 장치)(350)는 상호 인증 처리를 실행하고, 이 상호 인증의 실행 처리 시에, 미디어(메모리 카드)(320)는, 호스트(재생 장치)(350)로부터 호스트 증명서(Host Cert)를 수신한다. 호스트 증명서(Host Cert)에는, 먼저 도 7,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 같이 타입 정보가 기록되고, 그 타입 정보에는, 장치의 타입을 나타내는 장치 타입 정보가 기록된다.
미디어(메모리 카드)(320)는 호스트(재생 장치)(350)로부터 수신한 호스트 증명서(Host Cert)에 기록된 타입 정보(장치 타입 정보)를 참조해서 호스트(재생 장치)의 타입을 확인한다. 이 장치 타입의 확인에 따라서, 미디어 ID(MID)의 부호화(Encode) 양태(부호화 알고리즘)를 결정하고, 결정한 부호화(Encode) 양태(부호화 알고리즘)에 따라서 미디어 ID(MID)의 부호화 처리를 실행한다.
미디어(메모리 카드)(320)는, 스텝 S331에서 생성한 장치 타입에 대응하는 부호화 미디어 ID(MID)를 호스트(재생 장치)(350)에 제공한다.
호스트(재생 장치)(350)는, 스텝 S351에서, 미디어(메모리 카드)(320)로부터 수신한 부호화 미디어 ID(MID)의 복호 처리(Decode)를 실행한다. 호스트(재생 장치)(350)는 그 장치 타입에 따른 복호 프로그램 또는 디코더를 구비하고, 그 장치 타입에 따른 복호 프로그램 또는 디코더를 적용하고, 부호화 미디어 ID(MID)의 복호 처리(Decode)를 실행한다.
호스트(재생 장치)(350)가 기록/재생 전용기일 경우, 기록/재생 전용기는, 기록/재생 전용기에 대응되는 복호 프로그램 또는 디코더를 유지하고, 이 복호 프로그램 또는 디코더를 적용한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호스트(재생 장치)(350)가 PC 또는 타블렛 단말기 등의 휴대 단말기일 경우, PC 또는 휴대 단말기는, PC와 휴대 단말기에 대응되는 복호 프로그램 또는 디코더를 유지하고, 이 복호 프로그램 또는 디코더를 적용한 처리를 실행한다.
호스트(재생 장치)(350)는, 스텝 S351의 복호 처리에 의해, 미디어 ID(MID)를 취득한다.
또한, 예를 들면 호스트(재생 장치)(350)가 PC인 것에 관계없이 예를 들면, 기록/재생 전용기의 호스트 증명서(Host Cert)를 부정하게 유용하고, 기록/재생 전용기를 가장하여 처리를 행한 경우에는, PC는, 미디어 ID(MID)를 취득할 수 없고, 그 후의 콘텐츠 재생을 실행할 수는 없다. 이와 같은 경우, 미디어(메모리 카드)가 제공하는 부호화 미디어 ID(MID)는, 기록/재생 전용기만이 유지하는 복호 프로그램 또는 디코더에 의해서만 복호 취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이다.
호스트(재생 장치)(350)가 미디어 ID(MID)를 취득한 후의 처리, 즉, 스텝 S352~S356의 처리는, 먼저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 스텝 S301~S305의 처리와 마찬가지의 처리가 된다.
호스트(재생 장치)(350)는, 스텝 S352에 있어서, 미디어(메모리 카드)(320)로부터 이용 제어 정보(Usage Rule)(324)를 읽어내고, 그 해시값을 산출, 즉, 예를 들면 AES 암호 알고리즘에 따른 해시값 산출을 행한다.
다음에, 스텝 S353에서, 호스트(재생 장치)(350)는 액세스권의 확인 등, 소정의 수속에 따라서 읽어낸 변환 타이틀 키(XORed Title Key)(323)와, 이용 제어 정보(Usage Rule)(324)의 해시값과의 배타적 논리합(OR)(XOR)을 산출한다. 이 처리에 따라, 타이틀 키가 생성된다.
다음에, 스텝 S354에서, 호스트(재생 장치)(350)는 미디어(메모리 카드)(320)로부터 읽어낸 미디어 ID(MID)(322)에 대하여, 스텝 S353에서 생성한 타이틀 키를 적용해서 MAC 산출을 행한다.
다음에, 스텝 S355에서, 호스트(재생 장치)(350)는 미디어(메모리 카드)(320)로부터 읽어낸 미디어 ID-MAC(321)와, 스텝 S354에서 산출한 MAC값과의 일치 처리를 실행한다.
이 일치 처리에서, 미디어(메모리 카드)(320)로부터 읽어낸 미디어 ID-MAC(321)와, 스텝 S354에서 산출한 산출 MAC값이 일치하면, MAC 일치가 성립되고, 미디어(메모리 카드)(320)의 정당성이 확인된 것으로 판정되어, 스텝 S356의 타이틀 키를 적용한 암호화 콘텐츠의 복호 처리로 진행한다.
한편, 스텝 S355의 일치 처리에서, 미디어(메모리 카드)(320)로부터 읽어낸 미디어 ID-MAC(321)와, 스텝 S303에서 산출한 산출 MAC값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MAC 일치가 성립되지 않고, 미디어(메모리 카드)(320)의 정당성이 확인되지 않은 것으로 판정되어, 스텝 S356에서 타이틀 키를 적용한 암호화 콘텐츠의 복호 처리는 실행되지 않는다.
또한, 이 콘텐츠 이용은, 미디어(메모리 카드)(320)로부터 읽어낸 이용 제어 정보(Usage Rule)(324)의 규정에 따른 이용 양태로서 행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렇게, 본 실시예에서는, 미디어(메모리 카드)가 호스트(재생 장치)의 타입을 판별하고, 판별한 호스트 타입에 따라, 미디어 ID의 변환 양태를 변경하여, 호스트에 제공한다. 호스트는 자기 장치에 구비된 장치 타입에 대응한 복호 알고리즘을 적용해서 미디어 ID(MID)를 취득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미디어(메모리 카드)는, 호스트(재생 장치)의 타입에 따른 처리 제어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에, 도 19~도 21에 나타내는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서의 콘텐츠 재생 처리의 시퀀스에 대해서 설명한다. 즉, 이러한 플로우차트는 호스트(재생 장치) 타입에 따른 미디어 ID(MID)의 변환 처리를 수반하는 콘텐츠의 재생 처리 시퀀스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9~도 21에 나타내는 플로우차트는, 좌측에 콘텐츠 재생을 실행하는 호스트(재생 장치), 우측에 암호화 콘텐츠와 타이틀 키를 저장한 미디어(메모리 카드)를 나타내고, 이들 두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를 차례로 나타낸다. 각 스텝의 처리의 상세에 대해서 설명한다.
미디어(메모리 카드)가 장착된 호스트(재생 장치)는, 스텝 S511에서, 재생 콘텐츠의 선택 정보를 입력한다. 예를 들면, 호스트의 디스플레이에 메모리 카드에 저장된 콘텐츠의 리스트를 표시하고, 표시된 콘텐츠 리스트로부터 유저가 재생 콘텐츠를 선택함으로써, 호스트의 데이터 처리부가 유저의 특정 선택된 콘텐츠를 식별한다.
스텝 S512에서는, 호스트가 선택된 콘텐츠의 타입에 따른 재생 프로그램을 기동한다.
본 처리예에서, 콘텐츠의 타입은, 다음 (a), (b) 중 하나이다.
(a) 통상 콘텐츠, 및
(b) 고부가가치 콘텐츠
구체적으로, 호스트는, 통상 콘텐츠의 재생 처리를 실행하는 통상 콘텐츠 재생 프로그램과, 고부가가치 콘텐츠의 재생 처리를 실행하는 고부가가치 콘텐츠 재생 프로그램을 유지하고, 재생 대상으로서 선택된 콘텐츠의 타입에 대응하는 재생 프로그램을 기동한다.
또한, 호스트는, 통상 콘텐츠 재생 프로그램만을 갖고 있을 경우도 있지만, 이러한 호스트는, 고부가가치 콘텐츠의 재생 처리는 실행할 수 없다. 또한, 고부가가치 콘텐츠 재생 프로그램은, 고부가가치 콘텐츠만을 재생가능한 설정으로 해도 좋고, 고부가가치 콘텐츠와 통상 콘텐츠의 어느 쪽도 재생가능한 프로그램으로서 설정해도 좋다.
다음에, 호스트는, 스텝 S513에서, 콘텐츠의 타입에 따라 기동되는 재생 프로그램에 대응되는 장치 증명서(Host Cert)를 자기 장치의 메모리로부터 취득한다. 이 장치 증명서(Host Cert)는 먼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호스트 증명서(Host Cert)이며, 다음의 정보가 타입 정보로서 기록된 증명서이다.
(1a) 장치 타입 정보
(1b) 대응 콘텐츠 타입 정보
또한, 예를 들면, 통상 콘텐츠 재생 프로그램은, 도 7의 (B)에 도시하는 통상 콘텐츠에만 대응한 호스트 증명서만 취득가능하고, 고부가가치 콘텐츠 재생 프로그램은, 도 7의 (A)에 도시하는 고부가가치 콘텐츠와 통상 콘텐츠에 대응한 호스트 증명서만 취득가능하다. 예를 들면 각 재생 프로그램에 기록된 호스트 증명서 취득용 정보(예를 들면 메모리 어드레스)에는, 도 7의 (A), (B) 어느 한쪽의 호스트 증명서에 대응하는 정보(어드레스)만이 기록되고, 각 재생 프로그램은, 자기의 이용 가능한 유일한 호스트 증명서를 취득할 수 있다.
다음에, 스텝 S514a와 스텝 S514b에서, 호스트(재생 장치)와 미디어(메모리 카드) 간의 상호 인증 처리를 실행한다. 이 상호 인증 처리에서는, 호스트(재생 장치)는 호스트의 메모리로부터 취득한 호스트 증명서(Host Cert)를 미디어(메모리 카드)에 송신한다.
한편, 미디어(메모리 카드)는, 미디어(메모리 카드) 내의 메모리에 저장된 미디어 대응 장치 증명서(Media Cert)를 호스트(재생 장치)에 송신한다. 이 인증 처리는, 예를 들면 이들, 쌍방의 공개키 증명서를 적용한 공개키 암호 방식의 상호 인증 처리로서 실행된다.
다음에 도 20에 나타내는 스텝 S515a 및 S515b 및 이하의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스텝 S515a 및 S515b에서는, 호스트(재생 장치)와 미디어(메모리 카드) 간의 상호 인증이 성립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상호 인증이 성립하지 않을 경우, 쌍방의 기기의 신뢰성을 확인할 수 없다고 판단하고, 스텝 S530으로 진행하고, 콘텐츠 재생 처리는 중지된다.
상호 인증이 성립했을 경우, 미디어(메모리 카드)는, 스텝 S516에서, 장치 증명서(Host Cert)의 타입 정보에 포함되는 장치 타입 정보에 기초하여, 호스트(재생 장치)의 타입을 판별한다. 예를 들면 미디어(메모리 카드)는 호스트가 기록 재생 전용기인지, PC인지, 타블렛 단말기 등의 휴대 단말기인지 등의 장치 타입을 판별한다.
다음에, 미디어(메모리 카드)는, 스텝 S517에서, 장치 증명서(Host Cert)의 타입 정보에 기초해서 판별한 호스트(재생 장치)의 타입(예를 들면 기록 재생 전용기인지, PC인지, 휴대 단말기인지)에 따라, 미리 장치 타입에 대응되어 설정된 부호화(Encode) 알고리즘에 따라, 미디어 ID(MID)의 부호화 처리를 실행한다.
미디어(메모리 카드)는, 복수의 부호화 알고리즘을 선택해서 실행 가능한 구성이며, 호스트(재생 장치)의 타입에 따라, 이들 복수의 부호화 알고리즘으로부터 1개 선택하고, 미디어 ID(MID)의 부호화(Encode)를 실행한다.
다음에, 스텝 S518a에서, 미디어(메모리 카드)는 부호화된 미디어 ID(MID)를 호스트(재생 장치)에 송신한다.
스텝 S518b에서, 호스트(재생 장치)는, 미디어(메모리 카드)로부터 부호화된 미디어 ID(MID)를 수신한다.
다음에, 호스트(재생 장치)는, 도 21에 나타내는 스텝 S519에서, 자기 장치의 실행 가능한 장치 전용의 복호 알고리즘을 적용하고, 부호화 미디어 ID(MID)의 복호 처리(Decode)를 실행한다.
스텝 S520에서, 복호 실패로 판정된 경우에는, 스텝 S530으로 진행하고, 콘텐츠 재생 처리는 중지된다.
스텝 S520에서, 복호 성공으로 판정되어, 미디어 ID(MID)의 취득에 성공한 경우에는, 스텝 S521로 진행한다.
미디어(메모리 카드)는, 스텝 S521a에서, 콘텐츠 재생에 사용되는 데이터의 제공 처리를 실행한다. 구체적으로, 이 데이터의 예는 보호 영역에 저장된 타이틀 키, 범용 영역에 저장된 암호화 콘텐츠 등이다.
호스트(재생 장치)는, 스텝 S521b에서, 미디어(메모리 카드)로부터 타이틀 키, 암호화 콘텐츠 등을 수신한다.
최후에, 호스트(재생 장치)는, 미디어(메모리 카드)로부터 수신한 타이틀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 콘텐츠의 복호 처리를 실행해서 콘텐츠 재생을 행한다.
또한, 스텝 S518a~S522의 처리는, 본 플로우에서는 간략화해서 나타내고 있지만, 이들 처리는, 먼저 도 18을 참조하여 설명한 처리에 대응하고, 미디어 ID의 MAC 검증 처리, 이용 제어 정보에 기초하는 변환 타이틀 키의 연산에 의한 타이틀 키 취득 등의 처리가 실행되게 된다.
이렇게, 미디어(메모리 카드)는, 콘텐츠 재생을 실행하는 호스트(재생 장치)에 따라서 미디어 ID(MID)의 변환 양태를 변경해서 실행한다. 이 처리에 따라, 호스트(재생 장치)의 타입과 호스트(재생 장치)가 제시하는 호스트 증명서의 타입 정보의 일치가 확인된 경우에만, 콘텐츠 재생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미디어(메모리 카드)는, 호스트 증명서(Host Cert)에 기초하여, 호스트(재생 장치)의 타입이 확인 가능해지고, 호스트(재생 장치)에 따른 콘텐츠의 이용 제어를 실행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면, 특정 콘텐츠에 대해서는, 기록/재생 기기로만 이용 가능하고, PC나 휴대 단말기로는 이용하지 않는다고 하는, 호스트(재생 장치)의 타입에 따른 콘텐츠 이용 제어를 실행하는 것 등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또한, 도 19~도 21의 플로우차트에서는, 도 9~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스텝 S512에서, 선택된 콘텐츠의 타입에 따른 재생 프로그램을 기동하고, 재생 프로그램에 대응되는 호스트 증명서(Host Cert)를 선택하는(S513) 설정을 하고 있지만, 도 12~도 14를 참조해서 설명한 플로우와 같이 콘텐츠 재생 프로그램 자신이 콘텐츠 타입에 따라 호스트 증명서를 선택하는 설정으로 해도 좋다.
또한, 전술한 복수의 실시예, 즉, (실시예 1) 콘텐츠 타입에 따라, 재생 프로그램을 선택 기동하고, 기동한 재생 프로그램에 대응되는 호스트 증명서(Host Cert)를 이용한 처리, (실시예 2) 재생 프로그램이 콘텐츠 타입에 따라 호스트 증명서(Host Cert)를 선택 이용하는 처리, (실시예 3) 호스트(재생 장치)의 타입에 따라 미디어 ID(MID)의 변환 양태를 서로 다르게 한 처리, 이들 처리는, 각각 단독으로 실행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지만, 실시예 1과 실시예 3의 조합 또는 실시예 2와 실시예 3의 조합으로서 실행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6. 각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예]
마지막으로, 도 22, 도 23을 참조하여, 상술한 처리를 실행하는 각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도 22를 참조하여, 메모리 카드를 장착해서 데이터의 기록이나 재생 처리를 행하는 호스트 기기의 하드웨어 구성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CPU(Central Processing Unit)(701)는, ROM(Read Only Memory)(702) 또는 기억부(708)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따라 각종 처리를 실행하는 데이터 처리부로서 기능한다. 예를 들면, CPU(701)는 방송국이나 서버로부터의 콘텐츠 수신 처리, 수신 데이터의 메모리 카드(도면 중의 리무버블 미디어(711))에 대한 기록 처리, 메모리 카드(도면 중의 리무버블 미디어(711))로부터의 데이터 재생 처리 등을 실행한다. RAM(Random Access Memory)(703)에는, CPU(701)가 실행하는 프로그램이나 데이터 등이 적절히 기억된다. 이들 CPU(701), ROM(702), 및 RAM(703)은, 버스(704)에 의해 서로 접속된다.
CPU(701)는 버스(704)를 통해 입출력 인터페이스(705)에 접속되고, 입출력 인터페이스(705)에는, 각종 스위치, 키보드, 마우스, 마이크로폰 등으로 이루어지는 입력부(706), 디스플레이 스피커 등으로 이루어지는 출력부(707)가 접속되어 있다. CPU(701)는, 입력부(706)로부터 입력되는 명령에 대응해서 각종 처리를 실행하고, 처리 결과를 예를 들면 출력부(707)에 출력한다.
입출력 인터페이스(705)에 접속되어 있는 기억부(708)는, 예를 들면 하드디스크 등으로 이루어지고, CPU(701)가 실행하는 프로그램과 각종 데이터를 기억한다. 통신부(709)는, 인터넷이나 로컬 에어리어 네트워크 등의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의 장치와 통신한다.
입출력 인터페이스(705)에 접속되어 있는 드라이브(710)는,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 광 자기 디스크 또는 메모리 카드와 같은 반도체 메모리 등의 리무버블 미디어(711)를 구동하고, 기록되어 있는 콘텐츠와 키 정보 등의 각종 데이터를 취득한다. 예를 들면, 취득된 콘텐츠 및 키 데이터를 이용하여, CPU에 의해 실행하는 재생 프로그램에 따라 콘텐츠의 복호/재생 처리 등이 행하여진다.
도 23은, 메모리 카드의 하드웨어 구성예를 나타낸다. CPU(Central Processing Unit)(801)는, ROM(Read Only Memory)(802) 또는 기억부(807)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따라 각종 처리를 실행하는 데이터 처리부로서 기능한다. 예를 들면, CPU(801)는 전술한 상기 실시예에서 설명한 서버나 호스트 기기와의 통신 처리나 데이터의 기억부(807)에 대한 기입, 판독 등의 처리, 기억부(807)의 보호 영역(811)의 구분 영역 단위의 액세스 여부 판정 처리 등을 실행한다. RAM(Random Access Memory)(803)에는, CPU(801)가 실행하는 프로그램이나 데이터 등이 적절히 기억된다. 이들 CPU(801), ROM(802), 및 RAM(803)은, 버스(804)에 의해 서로 접속되어 있다.
CPU(801)는 버스(804)를 통해 입출력 인터페이스(805)에 접속되고, 입출력 인터페이스(805)에는, 통신부(806), 기억부(807)가 접속된다.
입출력 인터페이스(805)에 접속되어 있는 통신부(804)는, 예를 들면 서버나 호스트와의 통신을 실행한다. 기억부(807)는, 데이터의 기억 영역이며,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액세스 제한이 있는 보호 영역(Protected Area)(811), 자유롭게 데이터 기록 판독을 할 수 있는 범용 영역(General Purpose Area)(812)을 갖는다.
또한, 서버는, 예를 들면 도 22에 나타내는 호스트 기기와 마찬가지의 하드웨어 구성을 갖는 장치에 의해 실현 가능하다.
[7. 본 발명의 구성의 개요]
이상, 특정한 실시예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자세히 해석해 왔다. 그러나,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당업자가 실시예의 수정이나 변경을 할 수 있는 것은 자명하다. 즉, 예시 형태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한정적으로 해석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요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특허청구범위를 참조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개시한 기술은, 이하와 같은 구성을 취할 수 있다.
(1) 재생 대상으로 기능하는 콘텐츠를 저장한 미디어와, 상기 미디어에 저장된 콘텐츠를 재생하는 재생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재생 장치는, 재생 대상으로서 선택된 콘텐츠의 콘텐츠 타입을 판별하고, 판별된 콘텐츠 타입에 연관되는 장치 증명서를 기억부로부터 선택 취득하고, 선택 취득한 장치 증명서를 상기 미디어에 송신하는 구성이며, 상기 장치 증명서는, 장치 증명서를 이용할 수 있는 콘텐츠 타입 정보가 기록된 콘텐츠 타입에 대한 장치 증명서이며, 상기 미디어는, 상기 재생 장치로부터 판독 요구된 암호키가 상기 장치 증명서에 기록된 이용 가능한 콘텐츠 타입과 일치하는 암호화 콘텐츠의 복호용 암호키인지 여부를 판정하고, 일치할 경우에만 암호키의 판독을 허용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
(2) 상기 재생 장치는, 콘텐츠 타입에 의존하지 않는 콘텐츠 재생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이 콘텐츠 재생 프로그램에 따라 재생 대상으로서 선택된 콘텐츠의 타입을 판별하는 상기 (1)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
(3) 상기 장치 증명서는, 고부가가치 콘텐츠 또는 고부가가치 콘텐츠 이외의 통상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가, 장치 증명서를 이용할 수 있는 콘텐츠 타입으로서 기록한 구성이며, 상기 미디어는, 상기 재생 장치로부터 판독 요구된 암호키가 상기 장치 증명서에 기록된 이용 가능한 콘텐츠 타입인 고부가가치 콘텐츠 또는 통상 콘텐츠와 일치하는 암호화 콘텐츠의 복호용 암호키인지 여부를 판정하고, 일치할 경우에만 암호키의 판독을 허용하는 상기 (1) 또는 (2)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
(4) 상기 재생 장치는, 취득한 장치 증명서를 상기 미디어에 송신해서 인증 처리를 실행하고, 상기 미디어는, 상기 인증 처리의 성립을 조건으로 해서, 상기 재생 장치로부터의 암호키 판독 요구의 허용 판정 처리를 실행하는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
(5) 상기 재생 장치는, 재생 대상으로서 선택된 콘텐츠에 대응되는 속성 정보에 따라, 선택된 콘텐츠의 타입을 판별하고, 판별된 콘텐츠 타입에 연관되는 장치 증명서를 기억부로부터 선택 취득하는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
(6) 상기 미디어는, 재생 장치의 액세스권의 확인에 기초하여, 액세스를 허용하는 보호 영역에 암호키를 저장하고, 상기 재생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장치 증명서에 기록된 보호 영역 액세스권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암호키가 저장된 보호 영역의 액세스권을 확인하고, 상기 재생 장치의 액세스권이 확인되었을 경우에, 상기 재생 장치에 의한 암호키의 판독을 허용하는 상기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
(7) 상기 장치 증명서는, 장치 증명서를 이용할 수 있는 재생 장치 타입 정보를 기록한 구성이며, 상기 미디어는, 상기 장치 증명서에 기록된 재생 장치 타입 정보에 따라 선택되는 부호화 알고리즘에 따라, 상기 미디어의 식별 정보인 미디어 ID의 부호화 처리를 실행해서 상기 재생 장치로 송신하고, 상기 재생 장치는, 상기 미디어로부터 수신한 부호화 미디어 ID를 자기 장치(apparatus itself)의 장치 타입에 대응하는 복호 알고리즘에 따라 복호하고, 취득한 미디어 ID를 적용한 데이터 처리를 수반하는 콘텐츠의 복호, 재생을 행하는 상기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
(8) 미디어에 저장된 콘텐츠의 판독과 재생 처리를 실행하는 데이터 처리부를 갖고,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재생 대상으로서 선택된 콘텐츠의 콘텐츠 타입을 판별하고, 판별된 콘텐츠 타입에 연관되는 장치 증명서를 기억부로부터 선택 취득하고, 선택 취득한 장치 증명서를 상기 미디어에 송신하고, 또한, 상기 미디어에 대하여, 암호화 콘텐츠와, 이 암호화 콘텐츠의 복호에 적용하는 암호키의 판독 요구를 출력하고, 판독 요구가 행해진 암호키가 상기 장치 증명서에 기록된 이용 가능한 콘텐츠 타입과 일치하는 콘텐츠의 암호키인지 확인이 상기 미디어에서 이루어진 것을 조건으로 해서, 상기 미디어로부터 암호키를 취득하고, 취득된 암호키를 적용해서 암호화 콘텐츠의 복호를 행하는 정보 처리 장치.
(9)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콘텐츠 타입에 의존하지 않는 콘텐츠 재생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이 콘텐츠 재생 프로그램에 따라 재생 대상으로서 선택된 콘텐츠의 타입을 판별하는 상기 (8)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
(10) 상기 장치 증명서는, 고부가가치 콘텐츠 또는 고부가가치 콘텐츠 이외의 통상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가, 장치 증명서를 이용할 수 있는 콘텐츠 타입으로서 기록한 구성인 상기 (8) 또는 (9)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
(11)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취득한 장치 증명서를 상기 미디어에 송신해서 인증 처리를 실행하는 상기 (8)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
(12)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재생 대상으로서 선택된 콘텐츠에 대응되는 속성 정보에 따라, 선택된 콘텐츠의 타입을 판별하는 상기 (8) 내지 (11)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
(13) 상기 장치 증명서는, 장치 증명서를 이용할 수 있는 재생 장치 타입 정보를 기록한 구성이며, 상기 미디어는, 상기 장치 증명서에 기록된 재생 장치 타입 정보에 따라 선택되는 부호화 알고리즘에 따라, 상기 미디어의 식별 정보인 미디어 ID의 부호화 처리를 실행해서 상기 재생 장치로 송신하고, 상기 재생 장치의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미디어로부터 수신한 부호화 미디어 ID를 자기 장치의 장치 타입에 대응하는 복호 알고리즘에 따라 복호하고, 취득한 미디어 ID를 적용한 데이터 처리를 수반하는 콘텐츠의 복호, 재생을 행하는 상기 (8) 내지 (12)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
또한,상기 장치 및 시스템에서 실행하는 처리 방법, 및 장치 및 시스템이 처리를 실행시키는 프로그램도 본 발명의 구성에 포함된다.
또한, 명세서 중에서 설명한 일련의 처리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또는 양자의 복합 구성에 의해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소프트웨어에 의한 처리를 실행하는 경우는, 처리 시퀀스를 기록한 프로그램을, 전용의 하드웨어에 조립된 컴퓨터 내의 메모리에 인스톨해서 실행시키거나 또는, 각종 처리가 실행 가능한 범용 컴퓨터에 프로그램을 인스톨해서 실행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프로그램은 기록 매체에 미리 기록해 둘 수 있다. 기록 매체로부터 컴퓨터에 인스톨 하는 것 외에,LAN(Local Area Network),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프로그램을 수신하고, 내장 하드디스크 등의 기록 매체에 인스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따른 각종의 처리는, 설명된 시퀀스에 따라서 시계열로 실행될 뿐만 아니라, 처리를 실행하는 장치의 처리 능력 또는 필요에 따라서 병렬적으로 또는 개별로 실행되어도 좋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시스템"이란, 복수의 장치의 논리적 집합 구성이며, 부품들로 기능하는 장치가 동일케이스 내에 포함되지 않는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는 2011년 8월 11일 일본 특허청에 출원된 일본 우선권 특허 출원 JP 2011-175607호에 개시된 것에 관한 요지를 포함하고, 그 전체 내용들은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원용된다.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첨부된 청구범위 또는 그 등가물의 범위 내에 있으면 그 설계 조건 및 다른 팩터에 따라 다양한 변경, 조합, 하위 조합 및 대체가 일어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Claims (16)

  1. 정보 처리 시스템으로서,
    재생 대상으로 기능하는 콘텐츠가 저장되는 미디어와,
    상기 미디어에 저장된 콘텐츠를 재생하도록 구성된 재생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재생 장치는,
    재생 대상으로서 선택된 콘텐츠의 콘텐츠 타입을 판별하고, 판별된 콘텐츠 타입에 연관되는 장치 증명서를 기억부로부터 선택 취득하고, 선택 취득된 장치 증명서를 상기 미디어에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장치 증명서는, 장치 증명서를 이용할 수 있는 콘텐츠 타입 정보가 기록된 콘텐츠 타입에 대한 장치 증명서이며,
    상기 미디어는, 상기 재생 장치로부터 판독 요구가 행해진 암호키가 상기 장치 증명서에 기록된 이용 가능한 콘텐츠 타입과 일치하는 암호화 콘텐츠의 복호용 암호키인지 여부를 판정하고, 일치할 경우에만 암호키의 판독을 허용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장치는, 콘텐츠 타입에 의존하지 않는 콘텐츠 재생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이 콘텐츠 재생 프로그램에 따라 재생 대상으로서 선택된 콘텐츠의 타입을 판별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증명서는, 고부가가치 콘텐츠 및 상기 고부가가치 콘텐츠 이외의 통상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장치 증명서를 이용할 수 있는 콘텐츠 타입으로서 기록되는 구성을 갖고,
    상기 미디어는, 상기 재생 장치로부터 판독 요구된 암호키가 상기 장치 증명서에 기록된 이용 가능한 콘텐츠 타입인 고부가가치 콘텐츠 또는 통상 콘텐츠와 일치하는 암호화 콘텐츠의 복호용 암호키인지 여부를 판정하고, 일치할 경우에만 암호키의 판독을 허용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장치는, 취득된 장치 증명서를 송신해서 인증 처리를 실행하고,
    상기 미디어는, 상기 인증 처리의 성립을 조건으로 해서, 상기 재생 장치로부터의 암호키 판독 요구의 허용 판정 처리를 실행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장치는, 재생 대상으로서 선택된 콘텐츠에 연관되는 속성 정보에 따라, 선택된 콘텐츠의 타입을 판별하고, 판별된 콘텐츠 타입에 연관되는 장치 증명서를 상기 기억부로부터 선택 취득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는, 재생 장치의 액세스권의 확인에 기초하여, 액세스를 허용하는 보호 영역에 암호키를 저장하고, 상기 재생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장치 증명서에 기록된 보호 영역 액세스권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암호키가 저장된 보호 영역의 액세스권을 확인하고, 상기 재생 장치의 액세스권이 확인된 경우에, 상기 재생 장치에 의한 암호키의 판독을 허용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증명서는, 장치 증명서를 이용할 수 있는 재생 장치 타입 정보가 기록되는 구성을 갖고,
    상기 미디어는, 상기 장치 증명서에 기록된 재생 장치 타입 정보에 따라 선택되는 부호화 알고리즘에 따라, 상기 미디어의 식별 정보인 미디어 ID의 부호화 처리를 실행해서 상기 재생 장치로 송신하고,
    상기 재생 장치는, 상기 미디어로부터 수신한 부호화 미디어 ID를 자기 장치(apparatus itself)의 장치 타입에 대응하는 복호 알고리즘에 따라 복호하여 취득한 미디어 ID가 적용된 데이터 처리를 수반하는 콘텐츠의 복호 또는 재생을 행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
  8. 미디어에 저장된 콘텐츠의 판독과 재생 처리를 실행하도록 구성된 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재생 대상으로서 선택된 콘텐츠의 콘텐츠 타입을 판별하고,
    판별된 콘텐츠 타입에 연관되는 장치 증명서를 선택 취득하고, 선택 취득된 장치 증명서를 상기 미디어에 송신하고, 또한,
    암호화 콘텐츠와, 이 암호화 콘텐츠의 복호에 적용되는 암호키의 판독 요구를 상기 미디어에 출력하고,
    판독 요구가 행해진 암호키가 상기 장치 증명서에 기록된 이용 가능한 콘텐츠 타입과 일치하는 콘텐츠의 암호키인지 확인이 상기 미디어에서 이루어진 것을 조건으로 해서, 상기 미디어로부터 암호키를 취득하고, 취득된 암호키를 적용해서 암호화 콘텐츠의 복호를 행하는 정보 처리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콘텐츠 타입에 의존하지 않는 콘텐츠 재생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이 콘텐츠 재생 프로그램에 따라 재생 대상으로서 선택된 콘텐츠의 타입을 판별하는 정보 처리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증명서는, 고부가가치 콘텐츠 및 고부가가치 콘텐츠 이외의 통상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가 장치 증명서를 이용할 수 있는 콘텐츠 타입으로서 기록되는 구성을 갖는, 정보 처리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취득한 장치 증명서를 상기 미디어에 송신해서 인증 처리를 실행하는 정보 처리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재생 대상으로서 선택된 콘텐츠에 연관되는 속성 정보에 따라, 상기 선택된 콘텐츠의 타입을 판별하는 정보 처리 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증명서는, 장치 증명서를 이용할 수 있는 재생 장치 타입 정보가 기록되는 구성을 갖고,
    상기 미디어는, 상기 장치 증명서에 기록된 재생 장치 타입 정보에 따라 선택되는 부호화 알고리즘에 따라, 상기 미디어의 식별 정보인 미디어 ID의 부호화 처리를 실행해서 상기 재생 장치로 송신하고,
    상기 정보 처리 장치의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미디어로부터 수신한 부호화 미디어 ID를 자기 장치의 장치 타입에 대응하는 복호 알고리즘에 따라 복호하여, 취득한 미디어 ID가 적용된 데이터 처리를 수반하는 콘텐츠의 복호 또는 재생을 행하는 정보 처리 장치.
  14. 재생 대상으로 기능하는 콘텐츠가 저장되는 미디어와,
    상기 미디어에 저장된 콘텐츠를 재생하도록 구성된 재생 장치를 갖는 정보 처리 시스템에서 실행되는 정보 처리 방법으로서,
    상기 재생 장치는,
    재생 대상으로서 선택된 콘텐츠의 콘텐츠 타입을 판별하고,
    판별된 콘텐츠 타입에 연관되는 장치 증명서를 기억부로부터 선택 취득하고, 선택 취득된 장치 증명서를 상기 미디어에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장치 증명서는, 장치 증명서를 이용할 수 있는 콘텐츠 타입 정보가 기록되는 장치 증명서이며,
    상기 미디어는, 상기 재생 장치로부터 판독 요구가 행해진 암호키가 상기 장치 증명서에 기록된 이용 가능한 콘텐츠 타입과 일치하는 암호화 콘텐츠의 복호용 암호키인지 여부를 판정하고, 일치할 경우에만 암호키의 판독을 허용하는 정보 처리 방법.
  15. 정보 처리 장치에서 실행되는 정보 처리 방법으로서,
    데이터 처리부는,
    재생 대상으로서 선택된 콘텐츠의 콘텐츠 타입을 판별하고,
    판별된 콘텐츠 타입에 연관되는 장치 증명서를 기억부로부터 선택 취득하고, 선택 취득된 장치 증명서를 상기 미디어에 송신하고, 또한,
    암호화 콘텐츠와, 이 암호화 콘텐츠의 복호에 적용되는 암호키의 판독 요구를 상기 미디어에 출력하고,
    판독 요구가 행해진 암호키가 상기 장치 증명서에 기록된 이용 가능한 콘텐츠 타입과 일치하는 콘텐츠의 암호키인지 확인이 상기 미디어에서 이루어진 것을 조건으로 해서, 상기 미디어로부터 암호키를 취득하고, 취득된 암호키를 적용해서 암호화 콘텐츠의 복호를 행하는 정보 처리 방법.
  16. 정보 처리 장치가 정보 처리를 실행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으로서, 데이터 처리부로 하여금,
    재생 대상으로서 선택된 콘텐츠의 콘텐츠 타입을 판별하게 하고,
    판별된 콘텐츠 타입에 연관되는 장치 증명서를 기억부로부터 선택 취득하고, 선택 취득된 장치 증명서를 상기 미디어에 송신하게 하고, 또한,
    암호화 콘텐츠와, 이 암호화 콘텐츠의 복호에 적용되는 암호키의 판독 요구를 상기 미디어에 출력하게 하고,
    판독 요구가 행해진 암호키가 상기 장치 증명서에 기록된 이용 가능한 콘텐츠 타입과 일치하는 콘텐츠의 암호키인지 확인이 상기 미디어에서 이루어진 것을 조건으로 해서, 상기 미디어로부터 암호키를 취득하고, 취득된 암호키를 적용해서 암호화 콘텐츠의 복호를 행하게 하는 프로그램.
KR1020120085048A 2011-08-11 2012-08-03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KR2013001813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175607 2011-08-11
JP2011175607A JP5765130B2 (ja) 2011-08-11 2011-08-11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8130A true KR20130018130A (ko) 2013-02-20

Family

ID=46832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5048A KR20130018130A (ko) 2011-08-11 2012-08-03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972720B2 (ko)
EP (1) EP2557808A3 (ko)
JP (1) JP5765130B2 (ko)
KR (1) KR20130018130A (ko)
CN (1) CN10295768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4200533A1 (de) * 2014-01-14 2015-07-16 Olympus Winter & Ibe Gmbh Wechseldatenträger, medizinisches Gerät und Verfahren zum Betrieb eines Wechseldatenträgers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21781A (en) * 1995-09-13 1998-02-24 Microsoft Corporation Authent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smart card transactions
CN1217509C (zh) * 2000-03-30 2005-08-31 三洋电机株式会社 内容数据存储装置
EP1402372B1 (en) * 2001-07-05 2017-09-20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Recording apparatus, medium, method, and related computer program
JP4243932B2 (ja) * 2001-07-09 2009-03-2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コンテンツ管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記録媒体
JP4113462B2 (ja) * 2002-06-11 2008-07-0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コンテンツ通信履歴解析システム及びデータ通信制御装置
EP1383327B1 (en) * 2002-06-11 2013-12-25 Panasonic Corporation Content distributing system and data-communication controlling device
CN1726719A (zh) * 2002-12-20 2006-01-25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处理分层媒体数据的方法和设备
JP2004247799A (ja) * 2003-02-12 2004-09-02 Hitachi Ltd 公開鍵証明書を利用したアクセス制御を行う情報システム
WO2005121980A1 (ja) * 2004-06-08 2005-12-2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情報取得装置、情報取得方法、情報取得プログラム
JP4403940B2 (ja) * 2004-10-04 2010-01-2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ネットワーク機能を備えたハードディスク装置
US8595815B2 (en) * 2006-07-26 2013-11-26 Gregory Alan Bolcer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vely granting access to digital content
JP4882653B2 (ja) 2006-10-06 2012-02-22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799626B2 (ja) * 2009-02-04 2011-10-26 ソニーオプティアーク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20100310076A1 (en) * 2009-06-04 2010-12-09 Ron Barzilai Method for Performing Double Domain Encryption in a Memory Device
JP5386403B2 (ja) 2010-02-25 2014-01-15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検査装置及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765130B2 (ja) 2015-08-19
JP2013037651A (ja) 2013-02-21
US8972720B2 (en) 2015-03-03
EP2557808A3 (en) 2015-07-29
US20130042102A1 (en) 2013-02-14
EP2557808A2 (en) 2013-02-13
CN102957686A (zh) 2013-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7525755A (ja) デジタルデータコンテンツの保護
JP5573489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12008756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9652624B2 (en) Method, host, storage, and machine-readable storage medium for protecting content
JP5598115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20140026452A (ko)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JP5935883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20100281275A1 (en) Method of recording content on disc, method of providing title key, apparatus for recording content on disc, and content providing server
KR20090002660A (ko) 암호화된 컨텐츠를 재생하는 방법 및 재생을 인가하는방법과 그 장치
JP5552917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5644467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5776432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5765130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20090092019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disc,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used therewith
JP5999224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13150179A (ja) 情報処理装置、情報記憶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13037652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13141171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10263453A (ja) 情報処理装置、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13146014A (ja) 情報処理装置、情報記憶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