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7962A - 고농도 폐수에서 저밀도 물질을 제거 및 선별하기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고농도 폐수에서 저밀도 물질을 제거 및 선별하기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7962A
KR20130017962A KR20110080723A KR20110080723A KR20130017962A KR 20130017962 A KR20130017962 A KR 20130017962A KR 20110080723 A KR20110080723 A KR 20110080723A KR 20110080723 A KR20110080723 A KR 20110080723A KR 20130017962 A KR20130017962 A KR 201300179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
waste water
low density
density material
reaction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100807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홍복
Original Assignee
(주) 에코데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에코데이 filed Critical (주) 에코데이
Priority to KR201100807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17962A/ko
Priority to CA 2771637 priority patent/CA2771637A1/en
Publication of KR201300179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79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t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1Density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2Liquid lev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30Fuel from waste, e.g. synthetic alcohol or diese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urification Treatments By Anaerobic Or Anaerobic And Aerobic Bacteria Or Animals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폐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오폐수 처리장치는 오폐수가 유입되어 처리된 후, 배출되는 반응조와; 상기 반응조에 구비되어 오폐수 및 기포를 교반시켜서 균일하게 혼합시키는 교반부와; 상기 반응조의 내부를 상하로 구획하여 유입된 오폐수 및 내부에서 발생된 기포 또는 상기 반응조의 일측에 연결된 가스관을 통하여 외부에서 가스 주입에 의한 가스의 상향 이동 과정에서, 상부로부터 이동관이 하부로 돌출되어 있어 돌출된 길이 만큼의 가스층이 발생되며, 이 가스층으로 인하여 상승하는 오폐수의 상부에 체류공간이 형성되어 저밀도 물질을 포집할 수 있고, 이 체류공간에 포집되는 가스양을 제어함으로써 수위의 높이를 조절하여 수면에 부유하는 저밀도 물질이 상승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1차적으로 분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저밀도 물질 분리부와; 그리고 상기 저밀도 물질 분리부의 인접위치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체류공간의 수위가 낮아질 때, 상기 오폐수 수면에 부유하는 저밀도 물질이 외부로 배출되는 협잡물 유출관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고농도 폐수에서 저밀도 물질을 제거 및 선별하기 위한 장치{APPARATUS FOR SEPARATING LOW DENSITY MATERIAL IN HIGH DENSITY WASTEWATER}
본 발명은 오폐수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처리 공정에서 오폐수중에 함유된 저밀도 물질이 밀도차이에 의하여 분리됨으로써 본처리 공정 전에 처리될 수 있어서 고농도 폐수가 효율적으로 처리될 수 있는 오폐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폐수처리는 공장이나 사업소 등에서 배출되는 폐수 속의 유해물질이나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과정이다.
이러한 오폐수처리 공정은 오폐수의 종류나 내용에 따라 물리적 처리, 화학적 처리, 생물학적 처리, 열처리, 고도산화법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또한, 오폐수 처리공정은 폐수를 1차적으로 처리하는 전처리 공정과, 전처리된 폐수를 2차적으로 처리하는 본처리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전처리 공정은 본 처리 공정의 효율을 향상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전처리 공정에서는 폐수 중에 함유된 기름 성분, 각종 과일 씨앗, 분해가 느린 각종 식물류, 분해 자체가 불가능한 비닐류 등을 처리한다.
그리고, 이러한 물질은 전처리 공정을 통하여 1차 분해 됨으로써 본 처리 공정에서 쉽게 처리될 수 있는 유기물로 전환될 수 있다.
또는, 전처리 공정을 통하여 비닐, 모래 등 분해가 불가능 물질은 선별됨으로써 본 처리공정으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된다.
그러나, 종래의 전처리 공정은 상기에서 언급된 2개의 전처리 조건을 충분히 만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즉, 전처리조에서 저밀도 물질을 선별하여 분리하는 기능이 없고, 또한 전처리조의 내부에 유입된 협잡물 중에서 분해가 매우 느린 물질이 전처리 없이 본 처리공정으로 유입됨으로써, 본 처리공정이 지나치게 과다한 시설이 되거나 효율이 매우 낮아진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로 인하여, 전처리 공정의 효율 저하는 곧, 본처리 공정의 효율 저하로 이어짐으로써 전체 공정에 문제가 발생한다.
결과적으로, 종래의 전처리 및 본처리 장치의 경우, 일정시간 동안 가동한 후에 본처리 공정을 중지하고 본 처리 공정 전체를 보수하거나 청소를 실시하여야 하므로 이 기간 동안에는 불가피하게 정상 가동이 중단된다.
특히 음식물 쓰레기와 같은 오폐수의 경우, 분리 등 물질적 전처리만 적용된다면, 분리된 유지 성분이 매우 많아 분리 후 처리 문제가 또 다른 문제점을 낳고 있다.
결국, 종래 기술의 경우, 전처리 공정에 생물학적인 전처리도 반드시 동반되어야 하므로 제조단가가 증가하고 구조가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처리 공정에서 오폐수중의 저밀도 물질인 유지성분, 기타 유기성물질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고, 또한 유기산으로 분해하여 후속 혐기성 소화를 촉진시키는 역할을 함으로써 본처리 공정에서 유지류를 별도로 분리하여 처리하지 않고 소화가스로 전환하여 처리할 수 있는 오폐수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오폐수가 유입되어 처리된 후, 배출되는 반응조와;
상기 반응조에 구비되어 오폐수 및 기포를 교반시켜서 균일하게 혼합시키는 교반부와;
상기 반응조의 내부를 상하로 구획하여 유입된 오폐수 및 내부에서 발생된 기포 또는 외부에서 가스 주입에 의한 가스의 상향 이동 과정에서, 상부로부터 이동관이 하부로 돌출되어 있어 돌출된 길이 이하 만큼의 가스층이 발생되며, 이 가스층으로 인하여 상승하는 오폐수의 상부에 체류공간이 형성되어 저밀도 물질을 포집할 수 있고, 이 체류공간에 포집되는 가스양을 제어함으로써 수위의 높이를 조절하여 수면에 부유하는 저밀도 물질이 상승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1차적으로 분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저밀도 물질 분리부와; 그리고
상기 저밀도 물질 분리부의 인접위치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체류공간의 수위가 낮아질 때, 상기 오폐수 수면에 부유하는 저밀도 물질이 외부로 배출되는 협잡물 유출관을 포함하는 오폐수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오폐수가 유입되어 처리된 후, 배출되는 반응조와;
상기 반응조에 구비되어 오폐수 및 기포 배출을 통한 교반과 균일하게 혼합시키는 교반부와;
상기 반응조의 내부를 상하로 구획하고 다수의 패스홀이 형성되는 차단판과, 상기 차단판의 저면에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패스홀과 연통함으로써 오폐수가 통과하는 다수개의 이동관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저밀도 물질 분리부와; 그리고
일측에는 상기 다수개의 이동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저밀도 물질이 유입되는 입구가 형성되고, 타측은 상기 반응조의 외부로 돌출됨으로써 유입된 저밀도 물질이 배출되는 출구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체류공간의 수위가 낮아질 때, 상기 오폐수 수면에 부유하는 저밀도 물질이 상기 입구를 통하여 유입되어 상기 출구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협잡물 유출관을 포함하며,
상기 저밀도 물질 분리부는 오폐수 및 기포가 상기 가스관 통하여 배출될 때(수면 상승) 저밀도 물질이 전처리조 내에서 체류하는 시간이 증가하여 오염물을 분해할 수 있고,
상기 오폐수의 수면이 상승하는 경우, 상기 차단판의 저면과 이동관의 외주면 사이에 상기 체류공간이 형성되고, 이 체류공간의 오폐수에는 고밀도 물질이 부유하며, 수면 근처에 있는 저밀도 물질부터 우선적으로 상기 이동관을 통하여 상향 이동할 수 있는 오폐수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 처리장치는 반응조의 내부에 저밀도 물질 분리부를 다단으로 배치하고, 이 저밀도 물질 분리부의 하부에 오폐수로 인하여 체류공간이 형성되고, 오폐수가 전처리된 후 배출되어 본처리 공정으로 공급될 때, 저밀도 물질이 이 체류공간의 수면상에 부유되어 오폐수와 같이 배출되지 않음으로써, 오폐수중의 저밀도 물질인 유지성분이 본처리 전에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고, 또한 유기산으로 분해되어 후속 혐기성 소화를 촉진시키는 역할을 함으로써 유지류가 별도로 분리되어 처리되지 않고 소화가스로 전환되여 처리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체류공간에 연결되는 가스관을 통하여 가스를 공급하거나 배출시킴으로써 체류공간의 수위 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서 저밀도 물질을 보다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오폐수 처리 장치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2 는 도1 에 도시된 오폐수 처리 장치의 이동관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오폐수 처리장치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제안하는 오폐수처리 장치(1)는 오폐수가 유입되어 처리된 후, 배출되는 반응조(2)와;
상기 반응조(2)에 구비되어 오폐수 및 기포 배출을 통하여 교반시키고 균일하게 혼합시키는 교반부(3)와;
상기 반응조(2)의 내부를 상하로 구획하고, 유입된 오폐수에서 발생된 기포 또는 외부에서 주입된 가스로 인하여 오폐수의 상부에 체류공간(V)이 형성되어 저밀도 물질이 수면상에 부유되고, 이 체류공간(V)에 공급되는 가스양이 제어됨으로써 수위의 높이도 조절되어 수면에 부유하는 저밀도 물질이 상승되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1차적으로 분리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저밀도 물질 분리부(5)와; 그리고
상기 저밀도 물질 분리부(5)의 인접위치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체류공간(V)의 수위가 낮아질 때, 상기 오폐수 수면(L)에 부유하는 저밀도 물질이 외부로 배출되는 협잡물 유출관(7)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수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반응조(2)는 그 내부에 일정한 공간이 형성된 통 형상을 갖음으로써 오폐수가 유입되어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오폐수는 상기 반응조(2)의 하부에 제공되는 원수 유입관(9) 을 통하여 반응조(2)의 내부로 공급된다.
따라서, 상기 원수 유입관(9)을 통하여 유입된 오폐수는 상기 반응조(2)의 내부를 하부에서부터 채움으로써 점차 상승하게 된다.
이때, 오폐수 중에 함유된 일정 중량이상의 슬러지는 침전조로 침전된다.
그리고, 상기 반응조(2)의 일측에는 가스관(15)이 연결되며, 상기 가스관(15)은 상기 체류공간(V)에 연결됨으로써 저밀도 물질 분리부(5)에 의하여 포집된 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거나, 외부의 가스를 체류공간(V)으로 주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응조(2)의 타측에는 상기 저밀도 물질 분리부(5)를 통과하여 처리된 처리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처리수 배출관(17)과; 상기 반응조(2)의 하부에 제공되어 침전물을 농축 배출시키는 침전물 배출관(19)이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교반부(3)는 반응조(2)의 상부에 배치된 모터조립체(M)와; 상기 모터조립체(M)의 회전축(S)에 장착된 임펠러(B)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임펠러(S)는 회전축의 하단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최상단 수면(L1)의 하부에 배치된다.
또한, 임펠러(B)의 크기 및 개수 등의 규격은 반응조(2)의 처리용량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되어 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모터 조립체(M)가 구동하는 경우, 상기 임펠러(B)가 회전함으로써 반응조(2) 내부에 채워진 오폐수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본처리 공정으로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저밀도 물질 분리부(5)는 단수개 혹은 복수개의 저밀도 물질 분리부(5)로 이루어진다.
상기 저밀도 물질 분리부(5)는 반응조(2)의 내부를 상하로 구획하며 다수의 패스홀(h)이 형성되는 차단판(21)과; 상기 차단판(21)의 저면에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패스홀(h)과 연통함으로써 오폐수가 통과하는 다수개의 이동관(23)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저밀도 물질 분리부에 있어서, 상기 차단판(21)은 반응조(2)의 내부에 가로 방향으로 배치됨으로써 반응조(2)의 내부를 상하로 구획한다.
따라서, 차단판(21)의 하부에 채워진 오폐수는 이 차단판(21)에 형성된 패스홀(h)과 이 패스홀(h)에 연통한 상기 이동관(23)을 통과하여서만 차단판(21)의 상부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이동관(23)은 내부에 통로가 형성되는 관체 형상이므로 오폐수가 이동관(23)을 통하여 상하부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이동관(23)은 차단판(21)의 하부로 일정 길이로 돌출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된다.
그리고, 반응조(2)의 내부에 오폐수가 채워지는 경우, 수면(L)이 형성되어 점차로 상승하게 되며, 이동관(23)의 하단부에 도달함으로써 차단판(21)과, 이동관(23)의 외주면과, 수면(L)에 의하여 둘러싸인 체류공간(V)이 형성된다.
이때, 이동관(23)의 최하단 부위와 동일선상에 수면(L)이 형성된다. 따라서, 체류공간(V)에 오폐수로부터 발생된 가스가 추가로 채워지거나 가스관(15)을 통하여 외부의 가스가 추가로 주입되는 경우, 수위가 하강함으로써 오폐수는 이동관(23)의 하부로 이동하게 되고, 결국은 이동관(23)을 통하여 상부 공간으로 상승하게 된다.
그리고, 저밀도 물질 분리부(5)를 통과하여 상승한 오폐수는 상기 처리수 배출관(17)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반면에, 수면(L)에 부유하는 슬러지중 저 밀도 물질인 스컴, 기름성분, 과일씨앗 등이 이동관(23)의 하부 테두리에 걸려서 상부로 이동되지 못한다.
더욱이, 이동관(23)의 하부 테두리에는 톱니형상의 거름부(29)가 형성됨으로써, 이 스컴, 기름 성분, 과일씨앗 등이 이 거름부(29)에 의하여 걸러지고, 그러한 물질이 장시간 동안 수면상에 부유함으로써 자연분해 되는 시간을 확보하게 되고 분해된 물질이 상부로 이동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그리고, 체류공간(V)에 형성된 수면(L)에 있어서, 오폐수로부터 발생한 가스가 체류공간(V)에 포집되거나, 가스관(15)을 통하여 체류공간(V)으로 주입되는 외부 가스의 양이 증가할수록 수위는 낮아지고, 동시에 저밀도 물질의 누적양도 감소한다(저밀도 물질이 비교적 적은 물질의 경우).
이와 같이 수위가 낮아지는 경우, 후술하는 바와 같이 협잡물 배출관(7)을 통하여 저밀도 물질이 2차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반대로, 가스관(15)의 밸브(6)를 개방하는 경우에는, 체류공간(V)에 포집된 가스가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체류공간(V)의 압력이 낮아져서 수위(L)가 상승하게 되므로 저밀도 물질의 누적양도 증가한다.
이때, 수위(L)가 협잡물 배출관(7) 보다 상부에 형성됨으로써 저밀도 물질이 협잡물 배출관(7)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지는 않고, 수면상에 장기간 부유함으로써 자연분해된다.
결과적으로, 가스관(15)의 밸브(6)를 적절하게 제어함으로써 체류공간(V)에 형성된 수위 높이를 적절하게 조절하여 저밀도 물질을 거르거나, 장기간 부유시켜서 분해시키는 생물학적인 처리를 통하여 효율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오폐수 중에 함유된 이물질 중 밀도가 높은 이물질은 하부로 침전되고, 상대적으로 밀도가 낮은 이물질은 이동관(23) 주위에 형성된 체류공간(V)의 수면(L)에 부유함으로써 분해되어 처리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수면(L)에 부유하는 저밀도 물질은, 수위가 낮아져서 상기 협잡물 유출관(7)의 높이에 도달하는 경우, 협잡물 유출관(7)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2차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협잡물 유출관(7)은 저밀도 물질이 유입되는 입구(31)와; 유입된 저밀도 물질이 배출되는 출구(33)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입구(31)는 넓은 면적을 갖음으로써 수면(L)에 부유하는 저밀도 물질이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다. 반면에, 출구(33)는 입구(31)보다 면적이 작게 형성됨으로써 저밀도 물질이 효율적으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구(31)는 수면(L) 보다 낮고, 이동관(23)의 최하단 보다는 높은 위치에 배치된다.
따라서, 수면(L)에 부유중인 스컴, 기름과 같은 저밀도 물질은 수위가 하강하여 입구(31)선상에 도달하면, 입구(31)를 통하여 유입되어 배출됨으로써 2차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협잡물 배출관(7)중 가장 상단의 협잡물 배출관(35)은 입구(37)가 최상단 수면(L1)의 인접 위치에 배치되고, 출구(39)는 반응조(2)의 외부로 연장된 후, 반응조(2)의 하부에 연결된다.
따라서, 최상단의 수면(L1)에 저밀도 물질인 스컴, 기름성분, 과일씨앗 등이 부유하는 경우에도, 이 저밀도 물질이 협잡물 배출관(35)의 입구(37)를 통하여 유입되어 출구(39)를 통하여 반응조(2)의 하부로 복귀됨으로써 이 저밀도 물질이 반응조(2)의 내부에 지속적으로 체류하여서 본처리로 넘어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오폐수중에 함유된 슬러지중 고밀도 물질은 하부로 침전되어 반응조(2)의 내저부에 적층된다.
그리고, 침전된 고밀도 물질은 상기 침전물 배출관(19)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에서는 하나의 저밀도 물질 분리부(5)에 의하여 설명하였지만, 상기한 바와 같이 저밀도 물질 분리부(5)는 다단으로도 배치될 수 있다.
즉, 반응조(2)의 내부에 다수의 저밀도 물질 분리부(5)가 배치되고, 오폐수가 반응조(2)의 하부에서부터 상승하는 과정에서 다단의 저밀도 물질 분리부(5)를 순차적으로 통과함으로써 오폐수 중에 함유된 저밀도 물질이 각 단에서 걸러지거나 장기간 부유하는 과정에서 분해됨으로써 반응조(2)의 내부에 지속적으로 체류하여 본처리 공정으로 넘어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오폐수 처리 장치의 작동과정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오폐수가 원수 유입관(9) 및 기체 주입관(11)을 통하여 반응조(2)의 내부로 유입된다.
그리고, 반응조(2)의 내부로 유입된 오폐수는 상승함으로써 제1 저밀도 물질 분리부(5)의 이동관(23) 하부에 도달하게 된다.
따라서, 이동관(23)의 하부와 동일선상에 오폐수의 수면(L)이 형성되고, 이동관(23)의 주위에는 체류공간(V)이 형성되어 오폐수에서 발생되거나 가스관(15)을 통하여 외부에서 주입된 가스가 포집된다.
그리고, 오폐수의 공급에 따라 수위가 점차로 상승하게 되고, 오폐수는 이동관(23)을 통하여 상부공간으로 상승하게 된다.
이때, 반응조(2)의 하부에 존재하는 물질이 상부로 이동하는 출발점은 이동관(23)의 최하단 부위이므로 오폐수에 부유하는 물질들은 밀도차이에 의하여 선별되어 상부로 이동한다.
또한, 각각의 밀도 차이는 깔때기 모양의 이동관(23)의 길이와 수면에서 비롯되는 표면장력에 의해서 결정된다. 즉, 깔때기 모양의 이동관(23)과 수심이 깊고 수면(L)이 넓을수록 밀도차이는 크게 나타난다.
따라서, 반응조(2)에서 발생된 거품은 대부분 오폐수 수위의 상단에 머물게 되며, 오폐수 수면(L)의 경우 표면장력에 의해서 비교적 저농도의 물질들이 주류를 이루게 된다.
결과적으로, 각 단에서 저농도의 물질들이 상부에 위치하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반응조(2)의 상단으로 갈수록 물질 농도가 낮아지는 물질분리가 일어난다.
또한, 상기 반응조(2)의 내부에는 교반부(3)의 모터 조립체(M)가 구동함으로써 임펠러(B)의 회전에 의하여 오폐수가 균일하게 혼합될 수 있다.
한편, 수면(L)에 부유하는 슬러지중 스컴, 기름성분, 과일씨앗 등의 저 밀도인 물질은 이동관(23)의 하부 테두리에 걸려서 상부로 이동되지 못한다.
더욱이, 이동관(23)의 하부 테두리에는 톱니형상의 거름부(29)가 형성됨으로써, 이 저밀도 물질 등이 이 거름부(29)에 의하여 걸러짐으로써 상부로 이동되는 것이 1차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이때, 걸러진 저밀도 물질은 수면상에 장시간 부유함으로써 자연분해될 수 있다.
또한, 가스관(15)의 밸브(6)를 적절하게 제어함으로써 체류공간(V)에 포집된 가스의 양을 조절하여 수위를 가변시킬 수 있음으로 저밀도 물질의 배출양도 조절할 수 있다.
즉, 오폐수로부터 발생한 가스가 체류공간(V)에 포집되거나, 가스관(15)을 통하여 체류공간(V)으로 주입되는 외부 가스의 양이 증가할수록 수위는 낮아지고, 동시에 저밀도 물질의 누적양도 감소한다(저밀도 물질이 비교적 적은 경우).
반대로, 가스관(15)의 밸브(6)를 개방하는 경우에는, 체류공간(V)에 포집된 가스가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체류공간(V)의 압력이 낮아져서 수위(L)가 상승하게 되므로 저밀도 물질의 누적양도 증가한다.
이때, 수위(L)가 협잡물 배출관(7)의 입구(31) 보다 상부에 형성됨으로써 저밀도 물질이 협잡물 배출관(7)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지는 않는다. 즉, 저밀도 물질이 수면상에 장기간 부유하게 된다.
그리고, 수위가 낮아져서 상기 협잡물 유출관(7)의 높이에 도달하는 경우, 수면(L)에 부유하는 저밀도 물질은 협잡물 유출관(7)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2차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즉, 수면(L)에 부유중인 스컴, 기름과 같은 저밀도 물질은 수위가 하강하여 입구(31)선상에 도달하면, 입구(31)를 통하여 유입되어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반응조의 최상단에 형성된 수면에 저밀도 물질인 스컴, 기름성분, 과일씨앗 등이 부유하는 경우에도, 이 저밀도 물질이 협잡물 배출관(35)의 입구(37)를 통하여 유입되어 출구(39)를 통하여 반응조(2)의 하부로 복귀됨으로써 이 저밀도 물질이 반응조(2)의 내부에 지속적으로 체류하여서 본처리로 넘어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저밀도 물질 분리부(5)는 오폐수중의 유지성분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고, 또한 유기산으로 분해하여 후속 혐기성 소화를 촉진시키는 역할을 함으로써 유지류를 별도로 분리하여 처리하지 않고 소화가스로 전환하여 처리할 수 있다.
그리고, 오폐수중에 함유된 슬러지중 고밀도 물질은 하부로 침전되어 반응조(2)의 내저부에 적층된다.
1: 오폐수 처리장치
2: 반응조
3: 교반부
5: 저밀도 물질 분리부
7: 협잡물 배출관
15: 가스관
17: 처리수 배출관
19: 침전물 배출관

Claims (8)

  1. 오폐수가 유입되어 처리된 후, 배출되는 반응조와;
    상기 반응조에 구비되어 오폐수 및 기포배출에 의하여 교반시켜서 균일하게 혼합시키는 교반부와;
    상기 반응조의 내부를 상하로 구획하고, 유입된 오폐수에서 발생된 기포 또는 외부에서 주입된 가스로 인하여 오폐수의 상부에 체류공간이 형성되어 저밀도 물질이 수면상에 부유되고, 이 체류공간에 포집되는 가스양이 증가하는 경우에는 수위가 낮아지고, 이 체류공간으로부터 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는 경우에는 수위가 높아짐으로써 수면에 부유하는 저밀도 물질이 상승되는 것이 방지되어 1차적으로 분리됨으로써 본처리 공정으로 공급되는 것이 차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저밀도 물질 분리부와; 그리고
    상기 저밀도 물질 분리부의 인접위치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체류공간의 수위가 낮아질 때, 상기 오폐수 수면에 부유하는 저밀도 물질이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2차적으로 차단되는 협잡물 유출관을 포함하는 오폐수 처리장치.
  2. 오폐수가 유입되어 처리된 후, 배출되는 반응조와;
    상기 반응조에 구비되어 오폐수 및 기포를 교반시켜서 균일하게 혼합시키는 교반부와;
    상기 반응조의 내부를 상하로 구획하고 다수의 패스홀이 형성되는 차단판과, 상기 차단판의 저면에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패스홀과 연통함으로써 오폐수가 통과하는 다수개의 이동관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저밀도 물질 분리부와; 그리고
    일측에는 상기 다수개의 이동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저밀도 물질이 유입되는 입구가 형성되고, 타측은 상기 반응조의 외부로 돌출됨으로써 유입된 저밀도 물질이 배출되는 출구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체류공간의 수위가 낮아질 때, 상기 오폐수 수면에 부유하는 저밀도 물질이 상기 입구를 통하여 유입되어 상기 출구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협잡물 유출관을 포함하며,
    상기 저밀도 물질 분리부는 고밀도 오폐수가 상기 이동관을 통하여 상향 이동할 때 저밀도 물질이 수면에 남아 있는 조건이 유도 되고,
    상기 오폐수의 수면이 상승하는 경우, 상기 차단판의 저면과 이동관의 외주면 사이에 상기 체류공간이 형성되고, 이 체류공간의 수면 근처에 있는 물질을 밀도차이에 의하여 상기 이동관을 통하여 상향 이동할 수 있는 오폐수 처리장치.
  3. 제1 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조는 일측이 상기 체류공간에 연결되어 상기 저밀도 물질 분리부에 의하여 포집된 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거나 상기 체류공간에 외부가스를 주입할 수 있는 가스관과; 그리고
    상기 반응조에 연결되어 상기 저밀도 물질 분리부를 통과하여 처리된 오폐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처리수 배출관을 포함하는 오폐수 처리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부는 반응조의 상부에 배치된 모터조립체와; 상기 모터조립체의 회전축에 장착된 임펠러를 포함하는 오폐수 처리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밀도 물질 분리부는 상기 반응조의 내부를 상하로 구획하며 다수의 패스홀이 형성되는 차단판과; 상기 차단판의 저면에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패스홀과 연통함으로써 오폐수가 통과하는 다수개의 이동관을 포함하며,
    상기 오폐수의 수면이 상승하는 경우, 상기 차단판의 저면과 이동관의 외주면 사이에 상기 체류공간이 형성되고, 이 체류공간의 수면 근처에 있는 물질을 밀도차이에 의하여 상기 이동관을 통하여 상향 이동할 수 있는 오폐수 처리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협잡물 유출관은 저밀도 물질이 유입되는 입구와; 유입된 저밀도 물질이 배출되는 출구를 포함하는 오폐수 처리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협잡물 유출관중 최상단에 배치되는 협잡물 유출관은 입구가 최상단의 수면 높이에 배치되고 출구는 상기 반응조의 하부에 연결됨으로써 저밀도 물질을 반응조의 내부에서 순환시키는 오폐수 처리장치.
  8. 제 2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는 넓은 면적을 갖음으로써 수면에 부유하는 저밀도 물질이 유입될 수 있고, 출구는 입구보다 면적이 작게 형성됨으로써 저밀도 물질이 배출될 수 있고, 상기 입구의 높이는 상기 체류공간의 수위보다 낮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처리장치.
KR20110080723A 2011-08-12 2011-08-12 고농도 폐수에서 저밀도 물질을 제거 및 선별하기 위한 장치 KR2013001796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080723A KR20130017962A (ko) 2011-08-12 2011-08-12 고농도 폐수에서 저밀도 물질을 제거 및 선별하기 위한 장치
CA 2771637 CA2771637A1 (en) 2011-08-12 2012-03-12 Apparatus for treating wastewa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080723A KR20130017962A (ko) 2011-08-12 2011-08-12 고농도 폐수에서 저밀도 물질을 제거 및 선별하기 위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7962A true KR20130017962A (ko) 2013-02-20

Family

ID=47711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10080723A KR20130017962A (ko) 2011-08-12 2011-08-12 고농도 폐수에서 저밀도 물질을 제거 및 선별하기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30017962A (ko)
CA (1) CA277163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16553A (zh) * 2018-11-26 2019-03-26 上海泓济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高效厌氧脱氮生物反应器
CN114522473B (zh) * 2022-03-01 2023-11-17 昆明理工大学 一种全自动固液增浓分离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771637A1 (en) 2013-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28992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ing Wastewater
US20140076788A1 (en) Sewage treatment system
JP4421256B2 (ja) 濾過ユニット、該濾過ユニットの設置方法、および濾過装置
KR101993675B1 (ko) 산소기포를 이용한 개선된 혼합효율을 갖는 하폐수처리장치
KR20130027439A (ko) 연속 순환식 모래여과기 및 방법
KR100862367B1 (ko) 플러그 흐름 반응기에 의한 오폐수 처리장치 및 방법
JP4440826B2 (ja) 膜分離オキシデーションディッチ
KR20150029938A (ko) 수처리 장치
KR20130017962A (ko) 고농도 폐수에서 저밀도 물질을 제거 및 선별하기 위한 장치
JP2002159990A (ja) 嫌気性処理槽
JP4557851B2 (ja) 嫌気性水処理装置
KR101847930B1 (ko) 혼합효율이 향상된 하폐수처리장치
KR100648972B1 (ko) 유기물질 회수장치
KR101917080B1 (ko) 하폐수처리장치
KR100615434B1 (ko) 오존소독 및 부상분리 일체형 이중 원통형 반응조
KR101204395B1 (ko) 하.폐수의 처리장치
KR101991810B1 (ko) 부유물 및 스컴제거 효율이 개선된 하폐수처리장치
KR101991812B1 (ko) 처리수 배출 사이즈 조절이 가능한 다공격판을 갖는 하폐수처리장치
JP2006007221A (ja) 嫌気性水処理装置
KR101847927B1 (ko) 처리효율이 향상된 하폐수처리장치
KR100763463B1 (ko) 경사판이 결합된 오존소독 및 부상분리 일체형 이중 원통형반응조
KR101181800B1 (ko) 하.폐수의 처리방법 및 장치
KR101991816B1 (ko) 개선된 처리수 배출효율을 갖는 다공격판을 이용한 하폐수처리장치
KR101993666B1 (ko) 산소기포를 이용한 개선된 처리효율을 갖는 하폐수처리장치
KR101991808B1 (ko) 처리효율이 향상된 다공격판을 이용한 하폐수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