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7806A - Hot water cock - Google Patents

Hot water coc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7806A
KR20130017806A KR1020110080450A KR20110080450A KR20130017806A KR 20130017806 A KR20130017806 A KR 20130017806A KR 1020110080450 A KR1020110080450 A KR 1020110080450A KR 20110080450 A KR20110080450 A KR 20110080450A KR 20130017806 A KR20130017806 A KR 201300178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link
hot water
opening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045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886632B1 (en
Inventor
이수윤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804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6632B1/en
Publication of KR201300178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780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66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663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4Liquid-dispensing taps or cocks adapted to seal and open tapping holes of casks, e.g. for beer
    • B67D3/043Liquid-dispensing taps or cocks adapted to seal and open tapping holes of casks, e.g. for beer with a closing element having a linear movement,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25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provided with dispensing valves actuated by the receptacle to be fil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60Handles
    • F16K31/602Pivoting levers, e.g. single-sid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5/00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 F16K35/02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to be locked or disconnected by means of a pushing or pulling action
    • F16K35/022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to be locked or disconnected by means of a pushing or pulling action the locking mechanism being actuated by a separate actuating element
    • F16K35/025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to be locked or disconnected by means of a pushing or pulling action the locking mechanism being actuated by a separate actuating element said actuating element being operated manually (e.g. a push-button located in the valve actu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ly-Actuated Valves (AREA)

Abstract

PURPOSE: A hot water cock is provided to facilitate the blowout of water by pressing a button part and a lever. CONSTITUTION: A hot water cock(100) comprises a valve housing(110), a button part(120), a lever rod(130), a lever(140), an opening and closing member(150), a push rod(160), and a link member(170). An outlet(111) is formed in the valve housing. The button part is coupled to the valve housing. The lever rod is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valve housing. The lever is rotatably coupled to the lever rod to lift the lever rod.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is coupled to the outlet of the valve housing. The push rod is coupled to the inner side of the valve housing and is reciprocated by the button part. The push rod has a slide hole. The link member is coupled to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the slide hole, and the lever rod and lifts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when the lever and the button part are pressed.

Description

온수 코크{HOT WATER COCK}Hot water coke {HOT WATER COCK}

본 발명은 온수 취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온수 코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hot water coke that can facilitate hot water extraction.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는 깨끗한 식수를 취수할 수 있도록 정수기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정수기에서는 정수, 냉수 또는 온수를 선택적으로 취출할 수 있다.In general, a water purifier may be arranged in a home or an office so that clean drinking water is withdrawn. The water purifier can selectively take out purified water, cold water or hot water.

상기 정수기에는 정수 또는 냉수를 취출하기 위한 냉수 코크와, 온수를 취출하기 위한 온수 취출 코크가 설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냉수 코크와 온수 코크를 선택적으로 조작하여 정수, 냉수 및 온수를 취출할 수 있다.The water purifier may be provided with a cold water coke for extracting purified or cold water, and a hot water extracting coke for extracting hot water. The user can selectively operate cold water coke and hot water coke to take out purified water, cold water and hot water.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2187호(2008.06.24 등록)에는 안전용 개폐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안전용 개폐장치는 한 손으로 조절레버를 가압한 상태에서 다른 손으로 개폐커버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온수배출구를 통해 온수가 추출된다. 이때, 개폐커버의 가압이 해제되면 스프링에 의해 개폐커버가 원위치로 회전되어 온수배출구가 폐쇄된다. 이러한 안전용 개폐장치는 조절레버를 가압한 상태에서 개폐커버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야 하므로, 개폐커버가 스프링의 탄성력을 능가하여 작동축을 상승시킬만한 충분한 힘으로 회전되어야 했다. 따라서, 온수의 취수가 불편할 수 있다.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082187 (registered on June 24, 2008) discloses a safety switch. The safety opening and closing device is the hot water is extracted through the hot water outlet by rotating the opening and closing cover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with the other hand while pressing the control lever with one hand. At this time, when the pressure of the opening and closing cover is released, the opening and closing cover is rotated to its original position by a spring, and the hot water discharge port is closed. Since the safety opening and closing device must rotate the opening and closing cover counterclockwise while the control lever is pressurized, the opening and closing cover had to be rotated with sufficient force to elevate the working shaft by exceeding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Therefore, intake of hot water may be inconvenient.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온수가 용이하게 취출될 수 있는 온수 코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to provide a hot water coke that hot water can be easily taken ou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취출구가 형성된 밸브 하우징; 상기 밸브 하우징에 결합되는 버튼부; 상기 밸브 하우징의 상측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레버 로드; 상기 레버 로드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레버 로드를 승강시키는 레버; 상기 밸브 하우징의 취출구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개폐부재; 상기 밸브 하우징의 내부에 상기 버튼부에 의해 왕복 가능하게 결합되고, 전방측에서 후방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의 슬라이드홀이 형성된 푸시 로드; 및 상기 개폐부재, 슬라이드홀 및 레버 로드에 링크 결합되고, 상기 레버와 버튼부가 가압되었을 때에 상기 개폐부재를 상승시키는 링크부재를 포함하는 온수 코크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alve housing is formed with the outlet; A button unit coupled to the valve housing; A lever rod rotatably coupled to an upper side of the valve housing; A lever rotatably coupled to the lever rod to elevate the lever rod; An opening and closing member coupled to the outlet of the valve housing to be lifted and lowered; A push rod reciprocall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valve housing by the button unit and having a slide hole having a shape narrowing from the front side to the rear side; And a link member coupled to the opening / closing member, the slide hole, and the lever rod, and configured to raise the opening / closing member when the lever and the button portion are pressed.

상기 링크 부재는, 상기 레버 로드와 링크 결합되는 제1링크; 상기 개폐부재와 링크 결합되는 제2링크; 및 상기 제1링크와 제2링크를 링크 결합시키고, 상기 슬라이드홀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슬라이드축을 포함할 수 있다.The link member may include a first link coupled to the lever rod; A second link coupled to the opening / closing member; And a slide shaft which couples the first link and the second link to each other and is movably inserted into the slide hole.

상기 슬라이드홀은 삼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slide hole may be formed in a triangular shape.

상기 슬라이드홀은, 상기 푸시 로드의 왕복 방향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밑변; 상기 레버 로드의 승강 방향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높이변; 및 상기 밑변과 높이변을 연결하는 경사변을 포함할 수 있다.The slide hole, the bottom side is disposed parallel to the reciprocating direction of the push rod; A height side disposed parallel to the lifting direction of the lever rod; And it may include an inclined side connecting the bottom side and the height side.

상기 슬라이드홀은 버튼이 가압되었을 때에 상기 레버 로드의 후방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The slide hole may be moved to the rear side of the lever rod when the button is pressed.

상기 푸시 로드는 상기 제1링크와 제2링크가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도록 상하부가 개방되고, 그 양측에 슬라이드홀이 형성된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push rod may include an accommodating part having upper and lower parts opened to move the first link and the second link so as to be movable, and slide holes formed at both sides thereof.

상기 수용부는 상하부가 개방된 중공부를 갖는 박스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accommodating part may be formed in a box shape having a hollow part having an upper and lower part open.

상기 개폐부재는 취출구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개폐부재에 탄성력을 작용하는 개폐용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may further include an opening and closing elastic member for applying an elastic force to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in the direction of closing the outlet.

본 발명에 의하면, 버튼부와 레버를 가압하여 온수를 취출하므로, 온수를 용이하게 취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hot water is taken out by pressing the button and the lever, there is an effect that hot water can be easily taken ou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온수 코크의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온수 코크를 구성하는 푸시 로드와 링크부재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온수 코크에서 버튼부만 가압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버튼부가 가압된 후 레버가 가압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온수 코크에서 레버만 가압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레버가 가압된 후 버튼부가 가압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hot water cok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a push rod and a link member constituting the hot water coke of FIG. 1.
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only the button unit is pressed in the hot water cock of FIG. 1.
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lever is pressed after the button unit of FIG. 3 is pressed.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only a lever is pressed in the hot water coke of FIG. 1.
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button unit is pressed after the lever of FIG. 5 is pressed.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온수 코크의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온수 코크를 구성하는 푸시 로드와 링크부재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hot water c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push rod and the link member constituting the hot water cock.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온수 코크(100)는, 밸브 하우징(110), 버튼부(120), 레버 로드(130), 레버(140), 개폐부재(150), 푸시 로드(160) 및 링크부재(170)를 포함할 수 있다.1 and 2, the hot water coke 100 includes a valve housing 110, a button part 120, a lever rod 130, a lever 140, an opening and closing member 150, and a push rod 160. ) And a link member 170.

상기 밸브 하우징(110)은 파이프 형태의 커넥터(미도시)에 의해 배수관(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밸브 하우징(110)의 내측면과 커넥터의 외측면에는 나사선이 형성되어 상기 밸브 하우징(110)을 회전시킴에 의해 커넥터에 결합시킬 수 있다.The valve housing 110 may be connected to the drain pipe (not shown) by a pipe-shaped connector (not shown). At this time, the inner surface of the valve housing 110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connector is formed with a screw thread can be coupled to the connector by rotating the valve housing 110.

상기 배수관은 온수가 저장된 온수 탱크(미도시)에 연결되거나 또는 유동되는 정수를 직접 가열하는 가열장치(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다.The drain pipe may be connected to a hot water tank (not shown) in which hot water is stored or to a heating device (not shown) for directly heating a purified water flowing therein.

상기 밸브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커넥터와 연결되는 온수 유입 챔버(112)와, 상기 온수 유입 챔버(112)와 연결된 온수 토출 챔버(11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온수 유입 챔버(112)는 커넥터와 평행한 공간이고, 상기 온수 토출 챔버(113)는 온수 유입 챔버(112)보다 넓은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온수 유입 챔버(112)와 온수 토출 챔버(113)는 실질적으로 하나의 유로이다.The hot water inflow chamber 112 connected to the connector and the hot water discharge chamber 113 connected to the hot water inflow chamber 112 may be formed in the valve housing 110. The hot water inflow chamber 112 may be a space parallel to the connector, and the hot water discharge chamber 113 may be defined as a wider space than the hot water inflow chamber 112. The hot water inflow chamber 112 and the hot water discharge chamber 113 are substantially one flow path.

상기 밸브 하우징(110)에는 온수가 취출될 수 있도록 취출구(111)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취출구(111)는 온수 토출 챔버(113)의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The valve housing 110 is formed with a blowout port 111 so that hot water can be blown out. In this case, the outlet 111 may be formed below the hot water discharge chamber 113.

상기 밸브 하우징(110)에는 버튼부(120)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밸브 하우징(110)의 온수 토출 챔버(113)의 전방측에는 버튼부 결합홀(11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버튼부 결합홀(115)에는 온수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도록 버튼 실링 부재(121)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버튼 실링 부재(121)는, 예컨대 원형 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버튼 실링 부재(121)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버튼부 결합홀(115)에 결합되어 온수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능하다.The button unit 120 may be coupled to the valve housing 110. In this case, a button unit coupling hole 115 may be formed at the front side of the hot water discharge chamber 113 of the valve housing 110. The button sealing member 121 may be coupled to the button unit coupling hole 115 to prevent leakage of hot water. The button sealing member 121 may be formed, for example, in the form of a circular ring. However, the shape of the button sealing member 121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any shape as long as it is coupled to the button portion coupling hole 115 to prevent leakage of hot water.

상기 레버 로드(130)는 밸브 하우징(110)의 상측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밸브 하우징(110)의 온수 토출 챔버(113)의 상측에는 레버 로드 결합홀(11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레버 로드 결합홀(116)에는 온수가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실링캡(117)이 결합될 수 있다.The lever rod 130 may be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valve housing 110 to be elevated. In this case, a lever rod coupling hole 116 may be formed at an upper side of the hot water discharge chamber 113 of the valve housing 110. A sealing cap 117 may be coupled to the lever rod coupling hole 116 to prevent the hot water from leaking.

상기 레버 로드 결합홀(116)의 상측에는 커버(118)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레버 로드 결합홀(116)의 외측면과 상기 커버(118)의 내측면에는 각각 나사선이 형성되어, 상기 커버(118)를 회전시켜 상기 레버 로드 결합홀(116)에 나사 결합할 수 있다. The cover 118 may be coupled to an upper side of the lever rod coupling hole 116. Threads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ever rod coupling hole 116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118, respectively, so that the cover 118 may be rotated to be screwed to the lever rod coupling hole 116.

상기 커버(118)의 중심에는 레버 로드(130)가 관통하여 삽입된다. 상기 레버 로드(130)는 봉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lever rod 130 is inserted through the center of the cover 118. The lever rod 130 may be formed in a rod shape.

상기 레버 로드(130)에는 상기 레버 로드(130)를 하측으로 가압하도록 탄성부재(119)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부재(119)는 나선형의 코일 스프링일 수 있다.An elastic member 119 may be installed on the lever rod 130 to press the lever rod 130 downward. The elastic member 119 may be a spiral coil spring.

상기 레버(140)는 상기 레버 로드(1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레버 로드(130)를 승강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레버(140)는 레버 로드(130)의 상단부에 힌지핀(131)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레버(140)는 힌지핀(131)을 중심으로 회전됨에 의해 상기 레버 로드(130)를 승강시킨다.The lever 14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lever rod 130 to elevate the lever rod 130. In this case, the lever 140 may be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lever rod 130 by a hinge pin 131. The lever 140 lifts the lever rod 130 by being rotated about the hinge pin 131.

상기 레버(140)의 하단부는 밸브 하우징(110)의 취출구(111)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레버(140)는 대략 "ㄷ"형태로 형성되고, 그 하단부에는 하측으로 연장된 가압면부(14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압면부(141)는 온수 취출시 가압할 수 있는 부분이다.The lower end of the lever 140 may be disposed below the outlet 111 of the valve housing 110. At this time, the lever 140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c" shape, the lower end portion may be formed with a pressing surface portion 141 extending downward. The pressing surface portion 141 is a portion that can pressurize when hot water is taken out.

상기 하우징의 취출구(111)에는 승강 가능하도록 개폐부재(15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개폐부재(150)는 취출구(111)를 개폐하는 개폐용 패킹(151)과, 상기 개폐용 패킹(151)에 결합되는 개폐 로드(15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폐부재(150)는 개폐부재(150)가 취출구(111)를 폐쇄하도록 탄성력을 작용하는 개폐용 탄성부재(1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150 may be coupled to the outlet 111 of the housing so as to be elevated.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150 may include an opening and closing packing 151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utlet 111, and an opening and closing rod 153 coupled to the opening and closing packing 151.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150 may further include an opening and closing elastic member 155 to apply an elastic force so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150 closes the outlet 111.

상기 푸시 로드(160)는 밸브 하우징(110)의 내부에 밸브 하우징(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푸시 로드(160)는 상기 버튼부(120)에 의해 전후로 왕복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푸시 로드(160)의 전방측은 버튼부 결합홀(115)에 삽입되고, 상기 푸시 로드(160)의 후방측은 온수 유입 챔버(112)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푸시 로드(160)의 전방측은 버튼부(120)에 접촉되고, 상기 푸시 로드(160)의 후방측은 상기 푸시 로드(160)가 전방측으로 이동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167)에 결합될 수 있다.The push rod 160 may be disposed in the valve housing 11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alve housing 110. The push rod 160 is reciprocally coupled back and forth by the button unit 120. The front side of the push rod 160 may be inserted into the button unit coupling hole 115, and the rear side of the push rod 160 may be inserted into the hot water inflow chamber 112. The front side of the push rod 160 may be in contact with the button unit 120, and the rear side of the push rod 160 may be coupled to an elastic member 167 that applies an elastic force to move the push rod 160 to the front side. have.

상기 푸시 로드(160)에는 전방측에서 후방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의 슬라이드홀(163)이 형성될 수 있다. The push rod 160 may be formed with a slide hole 163 narrowing from the front side to the rear side.

예를 들면, 상기 슬라이드홀(163)은 삼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슬라이드홀(163)은 상기 푸시 로드(160)의 왕복 방향(전후방향)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밑변(163a), 상기 레버 로드(130)의 승강방향(상하방향)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높이변(163b), 및 상기 밑변(163a)과 높이변(163b)을 경사지게 연결하는 경사변(163c)을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lide hole 163 may be formed in a triangular shape. At this time, the slide hole 163 is disposed in parallel to the lower side (163a) disposed in parallel to the reciprocating direction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push rod 160, the lifting direction (up and down direction) of the lever rod 130. It may include a height side 163b, and an inclined side 163c for obliquely connecting the bottom side 163a and the height side 163b.

상기 슬라이드홀(163)은 버튼이 가압되었을 때에 상기 레버 로드(130)의 하방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The slide hole 163 may be moved to the lower side of the lever rod 130 when the button is pressed.

상기 푸시 로드(160)는 상하부가 개방되고 그 양측에 슬라이드홀(163)이 형성된 수용부(16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부(161)는 상하부가 개방된 중공부(162)를 갖는 박스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161)에는 링크부재(170)의 제1링크(171)와 제2링크(172)가 이동 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다.The push rod 160 may include an accommodating part 161 having upper and lower portions open and slide holes 163 formed at both sides thereof. The accommodating part 161 may be formed in a box shape having a hollow part 162 having upper and lower parts open. The first link 171 and the second link 172 of the link member 170 may be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portion 161 to be movable.

상기 링크부재(170)는 개폐부재(150), 슬라이드홀(163) 및 레버 로드(130)에 링크 결합된다. 상기 링크부재(170)는 상기 레버(140)와 버튼부(120)가 가압되었을 때에 상기 개폐부재(150)를 상승시킨다.The link member 170 is linked to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150, the slide hole 163 and the lever rod 130. The link member 170 raises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150 when the lever 140 and the button unit 120 are pressed.

상기 링크부재(170)는, 상기 레버 로드(130)와 결합되는 제1링크(171)와, 상기 개폐부재(150)와 링크 결합되는 제2링크(172)와, 상기 제1링크(171)와 제2링크(172)를 링크 결합시키고, 상기 슬라이드홀(163)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슬라이드축(17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축(175)은 양단부가 슬라이드홈에 지지되어 슬라이드홀(163)에서 빠지지 않게 설치된다.The link member 170 may include a first link 171 coupled to the lever rod 130, a second link 172 linked to the opening / closing member 150, and the first link 171. And a link shaft for coupling the second link 172 to the slide hole 163 to be movably inserted into the slide hole 163. Both ends of the slide shaft 175 are supported by the slide groove so that the slide shaft 175 is not removed from the slide hole 163.

상기 제1링크(171)와 제2링크(172)의 양측면은 푸시 로드(160)의 중공부(162)와 접촉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링크(171)와 제2링크(172)는 중공부(162)에 접촉되게 설치되어 양측으로 흔들리지 않게 설치될 수 있다. Both side surfaces of the first link 171 and the second link 172 may be installed to be in contact with the hollow portion 162 of the push rod 160. The first link 171 and the second link 172 may be installed to be in contact with the hollow portion 162 may be installed so as not to shake to both sides.

또한, 상기 제1링크(171)와 제2링크(172)의 양측면은 푸시 로드(160)의 중공부(162)와 이격되게 설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제1링크(171)와 제2링크(172)는 슬라이드축(175)에 의해 지지되어 양측으로 흔들리지 않게 설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both side surfaces of the first link 171 and the second link 172 may be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hollow portion 162 of the push rod 160. The first link 171 and the second link 172 are supported by the slide shaft 175 may be installed so as not to shake to both sides.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온수 코크의 작용에 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 operation of the hot water cok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상기 온수 코크(100)에서 버튼부(120)와 레버(140)가 가압되지 않은 경우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First, a case in which the button unit 120 and the lever 140 are not pressed in the hot water coke 100 will be describ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온수 코크의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hot water cok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버튼부(120)와 레버(140)가 가압되지 않은 경우, 상기 슬라이드축(175)은 슬라이드홀(163)의 후방측 모서리에 배치되어 슬라이드홀(163)의 높이변(163b)이 슬라이드축(175)과 가장 멀리 위치된다. 이때, 상기 제1링크(171)와 제2링크(172)는 슬라이드축(175)을 기준으로 상측과 하측으로 경사진 형태를 갖는다.
Referring to FIG. 1, when the button unit 120 and the lever 140 are not pressed, the slide shaft 175 is disposed at the rear edge of the slide hole 163 and the height side of the slide hole 163 is provided. 163b is located farthest from the slide axis 175. In this case, the first link 171 and the second link 172 is inclined upward and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slide shaft 175.

다음으로, 상기 온수 코크에서 버튼부(120)만 가압된 경우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Next, a case in which only the button unit 120 is pressed in the hot water coke will be described.

도 3은 온수 코크에서 버튼부만 가압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only the button portion is pressed in the hot water cock.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버튼부(120)가 가압되면, 상기 버튼부(120)는 푸시 로드(160)를 가압하여 후방측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슬라이드홀(163)은 푸시 로드(160)와 함께 온수 코크(100)의 후방측으로 이동된다. 이때, 상기 슬라이드축(175)은 슬라이드홀(163)의 후방측 모서리에서 슬라이드홀(163)의 밑변(163a)을 따라 상대적으로 이동되어 상기 슬라이드홀(163)의 높이변(163b)의 하측 모서리에 위치된다. 또한, 상기 제1링크(171)와 제2링크(172)는 슬라이드축(175)을 기준으로 상측과 하측으로 경사진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상기 개폐부재(150)의 탄성부재(167)는 개폐부재(150)를 하측으로 밀착시키도록 탄성력을 작용한다.Referring to FIG. 3, when the button unit 120 is pressed, the button unit 120 presses the push rod 160 to move to the rear side. The slide hole 163 is moved to the rear side of the hot water coke 100 together with the push rod 160. In this case, the slide shaft 175 is relatively moved along the bottom side 163a of the slide hole 163 from the rear edge of the slide hole 163 to the lower edge of the height side 163b of the slide hole 163. Is located in. In addition, the first link 171 and the second link 172 maintains the inclined state to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with respect to the slide shaft 175. In addition, the elastic member 167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150 acts an elastic force to close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150 to the lower side.

이와 같이, 버튼부(120)만 가압된 경우에는 상기 제1링크(171)와 제2링크(172)에는 힘이 작용하지 않으므로, 상기 개폐부재(150)는 취출구(111)를 폐쇄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한다. As such, when only the button unit 120 is pressed, since no force acts on the first link 171 and the second link 172, the opening / closing member 150 closes the outlet 111. Keep it.

다음으로, 상기 온수 코크(100)에서 버튼부(120)가 가압된 후 상기 레버(140)가 가압되는 경우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Next, a case in which the lever 140 is pressed after the button unit 120 is pressed in the hot water coke 100 will be described.

도 4는 버튼부가 가압된 후 레버가 가압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ever is pressed after the button portion is pressed.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버튼부(120)가 가압된 후 상기 레버(140)가 가압되면, 상기 레버(140)가 회전됨에 의해 레버 로드(130)를 상측으로 상승시킨다. 상기 레버 로드(130)가 상승됨에 따라 제1링크(171)가 상측으로 이동된다. 이때, 상기 슬라이드축(175)은 슬라이드홀(163)의 높이변(163b)에 의해 전방측으로 이동할 수 없으므로 상기 슬라이드홀(163)의 높이변(163b)을 따라 상승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축(175)이 상승됨에 따라 제1링크(171)도 상승되어 개폐부재(150)를 상승시킨다. 또한, 상기 개폐용 탄성부재(155)는 수축된다. Referring to FIG. 4, when the lever 140 is pressed after the button 120 is pressed, the lever 140 is rotated to raise the lever rod 130 upward. As the lever rod 130 is raised, the first link 171 is moved upward. At this time, since the slide shaft 175 cannot move forward by the height side 163b of the slide hole 163, the slide shaft 175 is raised along the height side 163b of the slide hole 163. In addition, as the slide shaft 175 is raised, the first link 171 is also raised to raise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150. In addition, the opening and closing elastic member 155 is contracted.

이때, 상기 슬라이드축(175)은 슬라이드홀(163)의 상측 모서리에 위치된다. 또한, 상기 제1링크(171)와 제2링크(172)는 슬라이드축(175)을 중심으로 상측과 하측으로 경사진 상태를 갖는다. In this case, the slide shaft 175 is located at the upper edge of the slide hole 163. In addition, the first link 171 and the second link 172 has a state inclined upward and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slide shaft 175.

상기와 같이, 상기 버튼부(120)가 가압된 후 상기 레버(140)가 가압되면, 상기 링크부재(170)가 상승됨에 따라 개폐부재(150)가 상승되어 상기 취출구(111)가 개방된다. 따라서, 온수가 취출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lever 140 is pressed after the button unit 120 is pressed,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150 is raised as the link member 170 is raised to open the outlet 111. Therefore, hot water can be taken out.

다음으로, 상기 온수 코크(100)에서 레버(140)만 가압된 경우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Next, a case in which only the lever 140 is pressed in the hot water coke 100 will be described.

도 5는 온수 코크에서 레버만 가압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only the lever is pressed in the hot water coke.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레버(140)가 가압되면, 상기 레버(140)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레버 로드(130)가 상승된다. 상기 레버 로드(130)가 상승되면, 상기 슬라이드축(175)은 슬라이드홀(163)의 후방측 모서리에서 경사진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홀(163)의 높이변(163b)측으로 이동한다. 또한, 상기 제1링크(171)와 제2링크(172)는 슬라이드축(175)이 상승됨에 따라 점차적으로 펴진다. 상기 슬라이드축(175)이 슬라이드홀(163)의 높이변(163b)의 상측 모서리에 위치되면, 상기 제1링크(171)와 제2링크(172)는 평행하게 펴진다. 또한, 상기 개폐용 탄성부재(155)는 개폐부재(150)를 하측으로 밀착시키도록 탄성력을 작용한다.Referring to FIG. 5, when the lever 140 is pressed, the lever rod 130 is raised as the lever 140 is rotated. When the lever rod 130 is raised, the slide shaft 175 moves toward the height side 163b of the slide hole 163 along the direction inclined from the rear edge of the slide hole 163. In addition, the first link 171 and the second link 172 is gradually extended as the slide shaft 175 is raised. When the slide shaft 175 is positioned at the upper edge of the height side 163b of the slide hole 163, the first link 171 and the second link 172 are extended in parallel. In addition, the opening and closing elastic member 155 acts an elastic force to close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150 to the lower side.

상기와 같이, 상기 레버(140)만 가압되면, 상기 제1링크(171)와 제2링크(172)가 평행하게 펴지더라도 상기 개폐부재(150)에는 힘이 작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개폐부재(150)는 취출구(111)를 폐쇄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한다.As described above, when only the lever 140 is pressed, even if the first link 171 and the second link 172 are unfolded in parallel, no force acts on the opening / closing member 150. Therefore,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150 maintains the state in which the outlet 111 is closed.

다음으로, 상기 레버(140)가 가압된 후 상기 버튼부(120)가 가압되는 경우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Next, a case in which the button unit 120 is pressed after the lever 140 is pressed will be described.

도 6은 레버가 가압된 후 버튼부가 가압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utton portion is pressed after the lever is pressed.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레버(140)가 가압된 후 버튼부(120)가 가압되면, 상기 버튼부(120)는 푸시 로드(160)를 후방측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푸시 로드(160)가 후방측으로 이동되면, 상기 슬라이드홀(163) 역시 푸시 로드(160)와 함께 후방측으로 이동된다. 상기 슬라이드홀(163)의 높이변(163b)은 슬라이드축(175)을 후방측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제1링크(171)와 제2링크(172)는 슬라이드축(175)이 후방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서로 경사진 형태로 변경된다. 이때, 상기 슬라이드축(175)은 슬라이드홀(163)의 높이변(163b)의 상측 모서리에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2링크(172)는 개폐부재(150)를 상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취출구(111)가 개방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개폐용 탄성부재(155)는 수축된다.Referring to FIG. 6, when the button unit 120 is pressed after the lever 140 is pressed, the button unit 120 moves the push rod 160 to the rear side. When the push rod 160 is moved to the rear side, the slide hole 163 is also moved to the rear side together with the push rod 160. The height side 163b of the slide hole 163 moves the slide shaft 175 to the rear side. The first link 171 and the second link 172 are changed to be inclined form as the slide shaft 175 is moved to the rear side. In this case, the slide shaft 175 is disposed at the upper edge of the height side 163b of the slide hole 163. Accordingly, the second link 172 moves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150 upward so that the outlet 111 is opened. In addition, the opening and closing elastic member 155 is contracted.

상기와 같이, 상기 레버(140)가 가압된 후 버튼이 가압되면 상기 개폐부재(150)는 취출구(111)를 개방하여 온수가 취출되도록 한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button is pressed after the lever 140 is pressed,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150 opens the outlet 111 so that hot water is taken out.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온수 코크(100)는 버튼부(120)와 레버(140)가 모두 가압될 때에만 온수를 취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들이 부주의로 버튼부(120)나 레버(140)를 가압하더라도 온수가 취출되지 않아 화상의 위험성을 제거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hot water coke 100 may take out hot water only when both the button part 120 and the lever 140 are pressed. Therefore, even if the user inadvertently presses the button unit 120 or the lever 140, the hot water is not taken out, thereby eliminating the risk of burns.

또한, 상기 온수 코크(100)는 버튼부(120)와 레버(140)를 가압함에 의해 온수를 취출하므로, 온수를 용이하게 취출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hot water coke 100 extracts hot water by pressing the button unit 120 and the lever 140, hot water can be easily taken out.

100: 온수 코크 110: 밸브 하우징
111: 취출구 112: 온수 유입 챔버
113: 온수 토출 챔버 115: 버튼부 결합홀
116: 레버 로드 결합홀 117: 실링캡
118: 커버 119: 탄성부재
120: 버튼부 121: 버튼 실링부재
130: 레버 로드 131: 힌지핀
140: 레버 141: 가압면부
150: 개폐부재 151: 개폐용 패킹
153: 개폐 로드 155: 개폐용 탄성부재
160: 푸시 로드 161: 수용부
162: 중공부 163: 슬라이더홀
163a: 밑변 163b: 높이변
163c: 경사변 167: 탄성부재
170: 링크부재 171: 제1링크
172: 제2링크 175: 슬라이더축
100: hot water cock 110: valve housing
111: outlet 112: hot water inlet chamber
113: hot water discharge chamber 115: button portion coupling hole
116: lever rod coupling hole 117: sealing cap
118: cover 119: elastic member
120: button portion 121: button sealing member
130: lever rod 131: hinge pin
140: lever 141: pressing surface portion
150: opening and closing member 151: opening and closing packing
153: opening and closing rod 155: elastic member for opening and closing
160: push rod 161: receiving portion
162: hollow portion 163: slider hole
163a: base 163b: height
163c: inclined side 167: elastic member
170: link member 171: first link
172: second link 175: slider axis

Claims (8)

취출구가 형성된 밸브 하우징;
상기 밸브 하우징에 결합되는 버튼부;
상기 밸브 하우징의 상측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레버 로드;
상기 레버 로드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레버 로드를 승강시키는 레버;
상기 밸브 하우징의 취출구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개폐부재;
상기 밸브 하우징의 내부에 상기 버튼부에 의해 왕복 가능하게 결합되고, 전방측에서 후방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의 슬라이드홀이 형성된 푸시 로드; 및
상기 개폐부재, 슬라이드홀 및 레버 로드에 링크 결합되고, 상기 레버와 버튼부가 가압되었을 때에 상기 개폐부재를 상승시키는 링크부재를 포함하는 온수 코크.
A valve housing having a blowout port formed therein;
A button unit coupled to the valve housing;
A lever rod rotatably coupled to an upper side of the valve housing;
A lever rotatably coupled to the lever rod to elevate the lever rod;
An opening and closing member coupled to the outlet of the valve housing to be lifted and lowered;
A push rod reciprocall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valve housing by the button unit and having a slide hole having a shape narrowing from the front side to the rear side; And
And a link member coupled to the opening / closing member, the slide hole, and the lever rod, wherein the link member raises the opening / closing member when the lever and the button portion are press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부재는,
상기 레버 로드와 링크 결합되는 제1링크;
상기 개폐부재와 링크 결합되는 제2링크; 및
상기 제1링크와 제2링크를 링크 결합시키고, 상기 슬라이드홀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슬라이드축을 포함하는 온수 코크.
The method of claim 1,
The link member,
A first link coupled to the lever rod;
A second link coupled to the opening / closing member; And
Coupling the first link and the second link, the hot water cock including a slide shaft movably inserted into the slide hol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홀은 삼각형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코크.
The method of claim 2,
The slide hole is a hot water cok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 triangular shap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홀은,
상기 푸시 로드의 왕복 방향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밑변;
상기 레버 로드의 승강 방향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높이변; 및
상기 밑변과 높이변을 연결하는 경사변을 포함하는 온수 코크.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lide hole,
A bottom side disposed parallel to the reciprocating direction of the push rod;
A height side disposed parallel to the lifting direction of the lever rod; And
Hot water coke comprising an inclined side connecting the bottom side and the height sid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홀은 버튼이 가압되었을 때에 상기 레버 로드의 후방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코크.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And the slide hole is moved to the rear side of the lever rod when the button is pressed.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 로드는 상기 제1링크와 제2링크가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도록 상하부가 개방되고, 그 양측에 슬라이드홀이 형성된 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코크.
The method of claim 2,
The push rod is a hot water cock,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are opened so that the first link and the second link to be movable, and includes a receiving portion formed with slide holes on both sides thereof.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하부가 개방된 중공부를 갖는 박스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코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receiving part is a hot water cok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form of a box having a hollow opening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는 취출구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개폐부재에 탄성력을 작용하는 개폐용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온수 코크.
The method of claim 1,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further comprises an opening and closing elastic member for applying an elastic force to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in the direction of closing the outlet.
KR1020110080450A 2011-08-12 2011-08-12 Hot water cock KR10188663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0450A KR101886632B1 (en) 2011-08-12 2011-08-12 Hot water co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0450A KR101886632B1 (en) 2011-08-12 2011-08-12 Hot water coc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7806A true KR20130017806A (en) 2013-02-20
KR101886632B1 KR101886632B1 (en) 2018-08-10

Family

ID=47896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0450A KR101886632B1 (en) 2011-08-12 2011-08-12 Hot water coc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6632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1251Y1 (en) * 2003-01-16 2003-04-23 이종득 Safety Valve for Water Filtering Apparatus or Hot and Cold Water Supplier
KR20060114955A (en) * 2005-05-03 2006-11-08 이성주 Hot water cock for water purifier
KR20080102101A (en) * 2007-05-18 2008-11-24 동양매직 주식회사 Hot water cock valve for a water purifier
KR100889807B1 (en) * 2008-03-10 2009-03-20 채기훈 A safe hot water cock for water purifier and the using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1251Y1 (en) * 2003-01-16 2003-04-23 이종득 Safety Valve for Water Filtering Apparatus or Hot and Cold Water Supplier
KR20060114955A (en) * 2005-05-03 2006-11-08 이성주 Hot water cock for water purifier
KR20080102101A (en) * 2007-05-18 2008-11-24 동양매직 주식회사 Hot water cock valve for a water purifier
KR100889807B1 (en) * 2008-03-10 2009-03-20 채기훈 A safe hot water cock for water purifier and the us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6632B1 (en) 2018-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0358B1 (en) Safety water cock valve for hot water
MXPA06009455A (en) Bath drain closure assembly.
KR101246679B1 (en) Steam pressure cooker
KR101303923B1 (en) Tuch safety cock for water dispenser and purifier
KR100912323B1 (en) Hot water cock valve for a water purifier
KR101653582B1 (en) Safety faucet for hot water
KR20130017806A (en) Hot water cock
KR20100078571A (en) Safety hot water cock valve for a water purifier
KR101686052B1 (en) Safety faucet for hot water
KR20100107640A (en) Apparatus for discharging hot water
CN107542952B (en) Kettle equipped with pressure regulating device
KR100919089B1 (en) Safety hot water cock valve for a water purifier
ES2297070T3 (en) DISHWASHER INTEGRATED IN THE SINK WITH INCORPORATED CLOSURE.
KR20130019614A (en) Two-way vacuum packing apparatus
KR20100107150A (en) Apparatus for discharging hot water
KR101692527B1 (en) Cock safety device
KR102307151B1 (en) Beverage extracting apparatus
CN203828689U (en) External kettle of water dispenser
KR20100095844A (en) Apparatus for discharging hot water
KR20100095845A (en) Apparatus for discharging hot water
KR20120031559A (en) System for cooling and heating of water
CN105326399B (en) Beverage dispenser
KR20100127514A (en) Apparatus for discharging hot water
KR101988952B1 (en) Apparatus for discharging water
US1257110A (en) Percol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