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7642A - 생체신호 화면 표시 방법 - Google Patents

생체신호 화면 표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7642A
KR20130017642A KR1020110080207A KR20110080207A KR20130017642A KR 20130017642 A KR20130017642 A KR 20130017642A KR 1020110080207 A KR1020110080207 A KR 1020110080207A KR 20110080207 A KR20110080207 A KR 20110080207A KR 20130017642 A KR20130017642 A KR 201300176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activity
display
electrocardiogram
subj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02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38352B1 (ko
Inventor
장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이오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이오넷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이오넷
Priority to KR10201100802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8352B1/ko
Publication of KR201300176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76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83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83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04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hysiological signal transmitted
    • A61B5/0006ECG or EEG sign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61B5/024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by using sensing means generating electric signals, i.e. ECG sign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18Determining activity leve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61B5/743Displaying an image simultaneously with additional graphical information, e.g. symbols, charts, function plots

Abstract

본 발명은 피험자로부터 측정된 심전도와 피험자의 활동 상태를 동시에 표시하기 위한 생체신호의 화면 표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생체신호 화면 표시 방법은 심전도 측정 장치에 의해 피험자로부터 측정된 심전도 정보와 상기 심전도가 측정된 시간 구간에 상기 피험자로부터 측정된 활동 정보를 입력 받는 데이터 입력 단계, 상기 심전도 정보가 측정된 시간과 상기 활동 정보가 측정된 시간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는 데이터 동기 확인 단계, 화면 표시 장치에 미리 설정된 심전도 정보 표시 시간 스케일(scale)을 확인하는 화면 표시 설정 확인 단계, 상기 활동 정보와 같은 시간 구간에 측정된 상기 심전도 정보를 동기화하고, 상기 활동정보로부터 판단된 상기 피험자의 활동 상태를 포함해 상기 심전도 정보와 함께 상기 화면 표시 설정에 따라 생체신호 표시장치의 화면에 표시하는 화면 표시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생체신호 화면 표시 방법 {Display Method for Bio-signal}
본 발명은 피험자로부터 측정된 심전도와 피험자의 활동 상태를 동시에 표시하기 위한 생체신호의 화면 표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심전도 측정 장치에 의해 피험자로부터 측정된 심전도 정보와 상기 심전도가 측정된 시간 구간에 상기 피험자로부터 측정된 활동 정보를 입력받는 데이터 입력 단계와, 상기 심전도 정보가 측정된 시간과 상기 활동 정보가 측정된 시간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는 데이터 동기 확인 단계와, 화면 표시 장치에 미리 설정된 심전도 정보 표시 시간 스케일(Scale)을 확인하는 화면 표시 설정 확인 단계와 상기 활동 정보와 같은 시간 구간에 측정된 상기 심전도 정보를 동기화하여, 상기 활동정보로부터 판단된 상기 피험자의 활동 상태를 포함하여 상기 화면 표시 설정에 따라 생체신호 표시장치의 화면에 표시하는 화면 표시 단계를 포함하는 생체신호 표시 장치의 생체신호 화면 표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휴대용 생체 신호 모니터링 측정 장치는 피험자의 심전도를 측정하기 위해 피험자의 피부에 심전도 측정 전극을 부착하고, 상기 전극을 통해 측정된 심전도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하거나 파일로 전달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의사는 전송 받은 심전도 정보를 생체신호 표시 장치의 화면에 표시하여 분석하게 되나, 종래의 생체 신호 표시 장치는 피험자의 심전도 정보만을 화면에 표시하고, 피험자의 활동 정보를 표시하지 않았다. 따라서 종래에는 의사가 피험자 스스로 작성한 일지를 통해 심전도 정보 분석에 필요한 피험자의 활동 상태를 참고하였다.
하지만, 피험자가 스스로 일지를 작성하는 것은 매우 불편하므로 피험자 활동 정보의 누락 정도가 심각하였으며, 피험자가 직접 그 활동 상태를 포함한 활동 정보를 주관적으로 판단하여 작성하는 방식이므로 해당 활동 정보에 대한 신뢰성 역시 높지 않았다. 피험자의 일지 작성에 대한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해 보이스 레코딩 방식이 채용되기도 했지만, 보이스 레코딩(Voice Recording) 방식은 피험자가 스스로 일지를 레코딩하지 않으면 피험자 활동 정보가 누락된다는 문제점과 해당 활동 정보에 대한 신뢰성이 여전히 낮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정확한 심전도 분석에 도움이 되도록 피험자의 심전도 정보와 해당 심전도 정보 측정 시간에 측정된 피험자의 활동 상태를 포함하는 활동 정보를 동시에 표시 가능한 생체신호 화면 표시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심전도 정보 분석이 용이하도록 사용자가 알기 쉽게 피험자의 활동 상태를 표시하는 생체신호 화면 표시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생체 화면 표시 장치에 동시에 표시되는 피험자의 심전도 정보 및 활동 정보가 비교적 긴 시간 동안에 측정된 정보일 경우, 심전도 정보 표시 시간 스케일(Scale)에 따라 다르게 생체 신호를 화면에 표시함으로써 심전도 정보 분석이 용이한 생체신호 화면 표시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생체 화면 표시 장치에 동시에 표시되는 피험자의 심전도 정보 및 활동 정보가 비교적 긴 시간 동안에 측정된 정보일 경우, 심전도 정보 또는 심박수(Heart Rate) 정보에서 동일한 활동 상태의 정보만을 측정 시간 순서대로 서로 연결하여 봄으로써 심전도 정보 분석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는 생체신호 화면 표시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피험자의 활동량으로부터 피험자의 정확한 활동 상태를 판단 가능한 피험자 활동 상태 분석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다수의 피험자로부터 측정된 심전도 정보 또는 심박수 정보와 해당 피험자의 활동 상태를 실시간으로 생체 신호 표시 장치에 표시할 경우, 해당 피험자의 심전도 이상 상황을 정확하고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는 생체신호 화면 표시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생체신호 화면 표시 방법은 심전도 측정 장치에 의해 피험자로부터 측정된 심전도 정보와 상기 심전도가 측정된 시간 구간에 상기 피험자로부터 측정된 활동 정보를 입력 받는 데이터 입력 단계, 상기 심전도 정보가 측정된 시간과 상기 활동 정보가 측정된 시간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는 데이터 동기 확인 단계, 화면 표시 장치에 미리 설정된 심전도 정보 표시 시간 스케일(scale)을 확인하는 화면 표시 설정 확인 단계, 상기 활동 정보와 같은 시간 구간에 측정된 상기 심전도 정보를 동기화하고, 상기 활동정보로부터 판단된 상기 피험자의 활동 상태를 포함해 상기 심전도 정보와 함께 상기 화면 표시 설정에 따라 생체신호 표시장치의 화면에 표시하는 화면 표시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데이터 입력단계의 상기 심전도 정보와 상기 활동 정보 데이터 입력은 유무선 통신을 통해 심전도 장치로부터 실시간 입력 받거나, 저장된 파일을 통해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화면 표시 단계는 상기 피험자의 활동 상태를 구별하는 구별 표시를 포함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면 표시 설정 확인 단계에서 확인된 심전도 정보 표시 시간 스케일(Scale)이 미리 설정된 기준 값보다 클 경우, 상기 화면 표시 설정 확인 단계 이후에 상기 심전도 정보로부터 심박수(Heart Rate) 정보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화면 표시 단계의 상기 심전도 정보는 상기 심전도 정보로부터 판단된 상기 피험자의 심박수 정보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면 표시 단계는 상기 심전도 정보 또는 상기 심박수 정보로부터 상기 피험자의 동일한 활동 상태의 심전도 정보 또는 동일한 활동 상태의 심박수 정보만을 각각 분리하여 측정 시간 순서대로 연결해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리된 심전도 정보 또는 심박수 정보가 연결되는 각각의 연결 부분에 구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동기 확인 단계 이후에, 상기 피험자의 활동량과 활동 상태가 상기 활동 정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활동량만 존재할 경우 미리 정해진 활동 상태 판단 방법에 의해 상기 활동량으로부터 활동 상태를 판단하는 데이터 변환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 변환 단계의 상기 활동 상태 판단은, 상기 피험자의 활동량이 미리 정해진 활동량 기준값보다 낮은 경우와 높은 경우에 미리 정해진 서로 다른 활동 상태 판단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생체신호 화면 표시 방법은 심전도 장치에 의해 피험자로부터 측정된 심전도 정보와 상기 심전도가 측정된 시간 구간에 동시에 측정된 상기 피험자의 활동 정보를 함께 입력 받는 데이터 입력 단계, 상기 심전도 정보가 측정된 시간과 상기 활동 정보가 측정된 시간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는 데이터 동기 확인 단계, 생체정보 표시 장치에 미리 설정된 심박수 정보 표시 설정을 확인하는 화면 표시 설정 확인 단계, 상기 심전도 정보로부터 상기 피험자의 심박수(Heart Rate) 정보를 판단하는 심박수 판단 단계, 상기 심박수를 생체신호 표시 장치의 화면에 숫자로 표시하며, 상기 화면 표시 설정에 설정된 표시 시간 간격에 따라 상기 숫자를 변화시키고, 상기 활동정보로부터 판단된 상기 피험자의 활동 상태를 활동 상태마다 서로 다르게 구별하여 표시하는 화면 표시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피험자의 심전도 정보와 해당 심전도 정보 측정 시간에 측정된 피험자의 활동 상태를 포함하는 활동 정보를 생체신호 표시 장치의 화면에 동시에 표시함으로써 심전도 정보 분석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생체신호 표시 장치 사용자가 심전도 정보와 동시에 표시되는 피험자의 활동 상태를 동시에 확인 가능하고, 피험자의 활동 상태를 쉽게 파악할 수 있어 심전도 정보 분석이 용이할 수 있다.
또한, 생체신호 표시 장치에 동시에 표시되는 피험자의 심전도 정보와 활동 정보가 비교적 긴 시간 동안에 측정된 정보일 경우, 심전도 정보 표시 시간 스케일(Scale)에 따라 생체 신호 화면 표시를 달리함으로써 심전도 정보 분석이 용이할 수 있다.
또한, 생체신호 표시 장치에 동시에 표시되는 피험자의 심전도 정보와 활동 정보가 비교적 긴 시간 동안에 측정된 정보일 경우, 심전도 정보 또는 심박수(Heart Rate) 정보에서 동일한 활동 상태의 정보만을 측정 시간 순서대로 서로 연결하여 봄으로써 심전도 정보 분석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피험자의 활동량으로부터 피험자의 정확한 활동 상태를 판단 가능하다.
또한, 다수의 피험자로부터 측정된 심전도 정보 또는 심박수 정보와 해당 피험자의 활동 상태를 실시간으로 생체신호 표시 장치에 표시할 경우, 해당 피험자들의 심전도 이상 상황을 정확하고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체신호 표시 장치의 생체신호 표시 방법에 따른 생체 신호 표시 화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체신호 표시 장치의 생체신호 표시 방법에 따른 생체 신호 표시 화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체신호 표시 장치의 생체신호 표시 방법에 따른 생체 신호 표시 화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체신호 표시 장치의 생체신호 표시 방법에 따른 생체 신호 표시 화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체신호 표시 장치의 생체신호 표시 방법에 따른 생체 신호 표시 화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체신호 표시 장치의 생체신호 표시 방법에 따른 생체 신호 표시 화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체신호 표시 장치의 생체신호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이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활동 정보는 피험자의 움직임에 대한 정보로써, 그 움직임의 스칼라 크기를 나타내는 활동량과 해당 움직임의 상태를 정의하는 미리 정해진 일정 종류의 활동 상태 모두를 포함하고 있거나, 피험자의 활동량만을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상기 활동량 측정은 종래의 X, Y, Z 축 가속도 센서를 이용해 피험자의 움직임 정도를 벡터(Vector)로 측정하고, 다시 일정한 공식을 통하여 스칼라(Scalar)로 변환하는 방법에 한정되지 않고, 자이로 센서 이용 방법, GPS를 이용한 위치 변화 이용 방법 등 피험자의 운동량을 표현 가능한 모든 운동량 측정 방법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상기 활동량은 스칼라 변환 이전의 벡터형태일 수도 있고, 변환 후의 스칼라 형태일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활동 상태는 피험자의 활동량에 대한 미리 정해진 일정 단계의 활동 등급 표시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서 활동량에 따라 3단계로 표현할 경우 쉬기, 걷기, 뛰기로 나타내어 질 수 있고, 그 단계의 표현이나 단계 수에 한정되지 않는다고 할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체신호 표시 장치의 생체신호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생체신호 표시 장치의 생체 신호 화면 표시 방법은 심전도 측정 장치에 의해 피험자로부터 측정된 심전도 정보와 상기 심전도가 측정된 시간 구간에 상기 피험자로부터 측정된 활동 정보를 입력 받는 데이터 입력 단계(710), 상기 심전도 정보가 측정된 시간과 상기 활동 정보가 측정된 시간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는 데이터 동기 확인 단계(720), 화면 표시 장치에 미리 설정된 심전도 정보 표시 시간 스케일(scale)을 확인하는 화면 표시 설정 확인 단계(750), 상기 활동 정보와 같은 시간 구간에 측정된 상기 심전도 정보를 동기화하고, 상기 활동정보로부터 판단된 상기 피험자의 활동 상태를 포함해 상기 심전도 정보와 함께 상기 화면 표시 설정에 따라 생체신호 표시장치의 화면에 표시하는 화면 표시 단계(760)를 포함한다.
상기 심전도 정보가 측정되는 심전도 정보 측정 장치는 특별히 휴대용 심전도 장치에 그 종류를 한정하지 않은 다양한 심전도 정보 측정 장치일 수 있다.
피험자가 일정 시간 동안 심전도 정보 측정 장치를 통해 상기 피험자의 심전도 정보를 측정하여 파일로 저장한 후 또는 측정과 동시에 상기 심전도 정보 측정 장치가 유무선 통신 또는 오프라인 파일 전달을 통해 상기 심전도 정보를 관리 서버나 본 발명의 생체 신호 표시 장치로 전송 또는 전달함으로써 본 발명의 생체 신호 표시 장치에서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이 사용되는 생체 신호 표시 장치의 화면에 상기 심전도 정보와 동시에 표시되는 피험자의 활동 정보는, 상기 심전도 정보가 측정되는 시간 동안에 측정된 것이고, 상기 심전도 정보 측정 장치를 통해 상기 활동 정보가 측정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별도의 활동 정보 측정 장치를 통해서도 측정 가능하다.
이 경우에도 상기 활동 정보 측정 장치 또는 심전도 정보 측정 장치가 유무선 통신 또는 오프라인 파일 전달을 통해 상기 활동 정보를 관리 서버나 본 발명의 생체 신호 표시 장치로 전송 또는 전달함으로써 본 발명의 생체 신호 표시 장치에서 데이터를 입력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이 사용되는 생체 신호 표시 장치에 상기 설명한 것처럼 동일한 피험자의 심전도 정보와 활동 정보를 입력받는 데이터 입력 단계(710) 후에는, 데이터 동기 확인 단계(720)에서 상기 심전도 정보와 상기 활동 정보가 동일한 시간 구간에 측정된 것인지 확인한다.
상기 심전도 정보와 상기 활동 정보는 동일한 측정장치뿐만 아니라, 별도의 측정 장치를 통해서도 각각 별도로 측정되어 생체 신호 표시 장치로 입력될 수 있고 파일로 입력될 수도 있으므로, 상기 심전도 정보와 상기 활동 정보가 동일한 시간 구간에 측정된 것인지 확인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그 밖에도 본 단계에서는 각 정보가 별도의 측정 장치로부터 측정된 경우나 파일을 통해 입력되는 경우에 대비하여 동일한 피험자로부터 각각 측정된 것인지 여부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활동 정보는 상기 심전도 정보가 측정되는 동일한 피험자로부터 측정되는 것을 의미하며, 상기 활동 정보는 피험자의 활동량과 활동 상태 모두를 포함하고 있거나 피험자의 활동량만을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피험자의 활동량만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는 추후 설명하게 될 데이터 변환 단계(730, 740) 통해 상기 피험자의 활동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활동 상태를 대응되는 시간에 측정된 심전도 정보와 동시에 생체 신호 화면 표시 장치에 표시하게 된다.
본 발명이 사용되는 생체 신호 표시 장치는 상기 데이터 동기 확인 단계(720)를 수행한 후에 화면 표시 설정 확인 단계(750)를 수행한다.
화면 표시 설정 확인 단계(750)에서는 본 발명이 사용되는 생체 신호 표시 장치가 미리 설정된 심전도 정보 표시 시간 스케일(Scale)을 확인한다.
심전도 정보 표시 시간 스케일은 심전도 정보를 볼 때, 해당 표시 화면에 정보를 표시할 시간 구간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표시 화면에서 1시간 구간으로 스케일을 정해 놓은 경우, 입력된 데이터가 10시간 구간에 걸쳐 측정된 것이라면, 최초 측정시간으로부터 1시간 이후까지의 데이터를 화면에 표시하고 그 이후의 데이터는 화면 자동 또는 수동 스크롤(Scroll) 등의 방법으로 계속해서 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단계에서는 심전도 정보 표시에 필요한 심전도 정보 표시 시간 스케일뿐만 아니라, 그 밖의 화면 표시를 위한 생체 신호 표시 장치에 미리 설정된 각종 설정 값들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면의 해상도 설정, 이상 상황 표시 설정, 피험자의 활동상태 표현 설정 등의 심전도 정보의 표시에 중요한 미리 설정해 놓은 설정 값들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사용되는 생체 신호 표시 장치는 상기 화면 표시 설정 확인 단계(750)를 수행한 후에 화면 표시 단계(760)를 수행한다.
이때, 표시하고자 하는 심전도 정보와 상기 심전도 정보가 측정된 동일한 피험자의 활동 상태 정보를 동기화하게 된다.
예를 들어, 심전도 정보와 활동 상태 정보가 동일한 기기에서 동일한 시간 구간에 측정 되었을 경우에도 심전도 정보 측정부와 활동량 측정부의 신호 샘플링 비율(Sampling Rate)이 다를 수 있으므로 화면에 표시하게 될 시간 스케일에 맞추어 상기 양 정보를 시간 구간을 맞출 수 있다. 또는, 서로 다른 측정기기에서 심전도 정보와 활동 상태 정보가 측정이 되었고, 예를 들어 심전도 정보가 측정된 시간 구간이 활동 상태 정보의 측정 시간 구간에 포함된 경우라면, 심전도 정보의 측정 시간 구간에 활동 상태 정보 데이터를 동기화할 수 있다.
양 정보의 동기화가 끝난 후에는, 이전 단계에서 확인된 각종 화면 표시 설정에 따라 생체신호 표시 장치의 화면에 심전도 정보와 활동 상태를 포함하는 활동 정보를 표시하게 된다.
예를 들어 도 1을 참조하면, 표시 화면을 심전도 정보 표시부(110)와 활동 정보 표시부(120) 상하 두 부분으로 나누어 양 정보를 화면 표시 설정과 시간 스케일에 맞추어 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의 활동 정보 표시부(120)에서는 활동량을 막대 그래프의 높이로 표시하고, 활동 상태를 막대 그래프의 높이가 위치한 세로축에 Run, Fast Walk, Stand up, Static 등의 상태로 구분하여 표시하는 것을 예를 들고 있다.
동일한 시간 구간에 동일한 피험자로부터 측정된 심전도 정보와 활동 정보를 동시에 생체신호 화면 표시 장치의 화면에 표시함으로써, 심전도 정보 분석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시간 구간에 측정된 심전도 정보의 파형 간격이 좁은 경우(심박수가 높은 경우), 피험자의 상기 동일한 구간의 활동 상태가 RUN(달리기)으로 확인이 된다면 특별히 피험자의 심장 상태의 이상이 아니라 운동으로 인한 심장 활동 증가로 분석할 수 있을 것이다. 반대로, 피험자의 활동 상태가 Static으로 매우 낮은 활동량을 보이는 구간에 심전도 파형이 빠르게 변화한다면, 피험자의 심장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분석할 수 있고 후속 조치를 취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방법을 통해서, 종래의 보이스 레코딩이나 환자 스스로 작성하는 일지로 해결하지 못하는 심전도 분석의 정확성 및 신뢰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피험자의 심전도 정보와 활동 상태를 포함하는 활동 정보를 함께 표시하는 방법은 도 1의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활동 정보의 활동 상태는 생체신호 표시 장치 사용자가 용이하게 피험자의 정보를 확인하게 하기 위해서, 활동 상태를 서로 다르게 구별이 가능한 표시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서는 단순히 활동량을 나타내는 막대 그래프의 높이가 위치한 세로축을 통해서 활동 상태를 알 수 있게 하였지만, 도 3의 활동 정보 표시부(320)처럼 활동 상태가 다른 막대 그래프에 구별되는 색깔을 통해 세로축의 확인 없이 바로 피험자의 활동 상태를 알 수 있게 하는 방법도 가능할 것이다.
또 다른 활동 상태 구별 가능 표시의 예를 들면, 도 2에서 보는 것처럼, 세로형의 막대 그래프가 아닌, 가로 형태의 막대 그래프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색깔이 다른 막대 그래프가 아닌 경우는 막대 그래프의 높이를 통해 정보가 측정된 해당 구간의 피험자 활동 상태를 알 수 있고, 색깔이 다른 구별 가로형 막대 그래프를 통해 바로 활동 상태를 알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예에서는 색깔과 가로형 막대 그래프를 예로 들었지만, 색깔을 통한 활동 상태 구별 표시에 한정되지 않고 서로 다른 활동 상태를 구별하게 하기 위한 모든 방법이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상기 방법들을 통해, 생체 신호 표시 장치 사용자는 일일이 활동 상태 표시부의 세로축을 확인하지 않고도 심전도 정보가 측정된 해당 측정 시간 구간의 피험자 활동 상태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심전도 정보 분석의 정확도와 능률이 향상될 수 있을 것이다.
심전도 정보 표시 방법도 도 1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의 방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1의 경우는 표시 시간 스케일이 작아서 측정된 심전도 정보의 PQRST 피크의 확인이 가능할 정도이다. 하지만, 표시 시간 스케일이 큰 경우, 예를 들어 심전도 정보 표시부의 가로축이 24시간으로 설정되어 있고, 24시간 동안 측정된 심전도 정보를 표시하려 할 경우 큰 피크들만 확인 가능 정도로 심전도 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도 3의 심전도 정보 표시부(310)에서 보이는 것처럼 심전도 정보로부터 판단된 심박수(Heart Rate) 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다. 생체신호 표시 장치는 해당 심박수 정보 파형(Heart Rate Trend)을 넓은 시간 간격에서 표시하다가, 사용자가 이상이 있는 부분을 선택하는 경우, 표시 시간 스케일을 좁혀 다시 도 1의 심전도 정보 표시부(110)에서처럼 자세하게 표시할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든 것처럼, 설정된 표시 시간 스케일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과 크기를 비교하여, 심박수 정보 파형으로 표시할지, 자세한 심전도 정보 파형을 표시할 지 여부를 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매우 오랜 동안의 시간에 측정된 피험자의 심전도 정보를 확인할 경우에, 넓은 시간 간격에서 심전도 정보를 확인한 후, 이상이 있는 경우에 해당 부분만 좁은 시간 간격에서 심전도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심전도 정보 분석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생체 신호 표시 장치에 여러 명의 피험자 정보를 동시에 표시하는 경우에도, 보다 편하게 피험자들의 심전도 정보 관리 및 분석이 가능하다.
심전도 정보와 활동 상태를 포함하는 활동정보를 표시하는 다른 방법으로서, 피험자가 동일한 특정 활동 상태의 정보만을 각각 분리하여 측정 시간 순서대로 연결해 표시할 수 있다.
도 2와 도 4를 예를 들어서 설명하면, 도 2와 보이는 것처럼 심전도 및 활동 정보를 표시하다가, 해당 피험자의 심전도 정보가 RUN 상태인 부분만을 분리하여 따로 도 4와 같이 볼 수도 있다. 이 경우, 피험자의 활동 상태가 자주 변해서 RUN 상태인 경우가 다른 시간 구간에 여러 번 나타난다면, 해당 시간 구간의 심전도 정보들만을 분리하고 분리된 정보들을 측정 시간 순서에 따라 연결해서 표시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연결된 부분에 특정 표시를 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을 것이다.
도 4의 경우는 연결 부분에 특정 표시를 한 것으로서, 서로 다른 시간 구간에서 측정된 심전도 정보들 중에서 RUN 상태인 심전도 정보들을 분리하여 연결한 것을 표시하고 있다.
이 경우, RUN 상태의 심전도 정보들을 분리 및 연결해서 본다면, 운동부하 스트레스 심전도 테스트(Stress ECG Test)와 비슷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계단을 오를 때 심장의 이상을 호소한다든지, 수면 중에 심장의 이상을 호소한다든지 하는 등의 피험자마다 특정 상태의 경우에만 심장의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해당 피험자의 심전도 정보를 보다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예처럼 특정 상태의 심장 이상 발생을 분석하기 위해서 해당 상태가 아닌 경우의 심전도 정보도 모두 확인해야 하는 수고를 덜 수 있으므로, 심전도 분석의 편의성과 능률이 향상된다.
또한, 동일한 상태의 심전도 정보들을 분리하여 태그(Tag)를 붙임으로써, 심전도 자동 진단(Computer Aided ECG Diagnosis)에서 보다 다양하고 정확한 컴퓨터 기반 심전도 자동 진단을 구현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이 사용되는 생체신호 표시 장치에 입력되는 데이터 동기확인 단계(720) 이후에 활동 상태 정보 존재 여부를 판단하고(730), 피험자의 활동 정보에 활동량 정보만 존재하고 활동 상태 정보가 없는 경우, 미리 정해진 활동 상태 판단 방법에 의해 상기 활동량으로부터 활동 상태를 판단하는 데이터 변환 단계(740)를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피험자의 활동 정보에 활동량만 있는 경우에도 앞에서 설명한 모든 활동상태 표시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활동 상태 판단 방법은, 앞에서 설명한 것처럼 해당 피험자의 활동량에 대한 미리 정해진 일정 단계의 활동 등급 표시를 의미한다. 따라서, 판단 방법에 따라 자세하게 활동 동급을 나눌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판단 방법은 활동량이 측정된 측정장치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경우도 X, Y, Z 축 개수에 따라 판단 방법이 다르고, GPS 위치를 이용한 활동량 측정의 경우에도 판단 방법이 달라질 수 있다.
이 경우, 환자의 활동량이 크고 움직임이 큰 상태(Dynamic State)와 그 반대의 경우 상태(Static State)의 활동 상태 판단 방법을 다르게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정해진 활동량 기준 값보다 작은 경우는 움직임이 작은 경우로서 활동 상태를 판단할 때보다 작은 스케일에서 활동 상태 판단 방법을 적용한다든지 또는 이동이 없는 상태의 움직임을 판단할 때에는 활동량의 Y축 벡터(Vector) 데이터만을 이용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 경우, 활동량 및 움직임의 크기에 따라 서로 다른 활동 상태 판단 방법을 적용함으로써, 보다 자세하고 정확한 활동 상태의 판단이 가능하다.
도 1 내지 도 4의 경우는, 한 명의 피험자로부터 측정된 심전도 및 활동 정보를 표시하는 경우를 예를 들었지만, 다수의 피험자로부터 측정된 심전도 및 활동 정보를 동시에 표현하는 경우도 이와 다르지 않을 것이다.
예를 들면, 도 3과 같은 표시 화면을 여러 개의 분할 화면으로 표시하여 다수의 피험자 정보를 표시하거나, 도 2와 같은 표시 화면을 여러 개의 분할 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이 경우 생체 정보 표시 장치의 화면이 작은 경우거나 매우 많은 다수의 피험자 정보를 확인 및 관리해야 하는 경우는, 해당 심전도 정보로부터 판단된 심박수 정보만 숫자로 화면에 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생체 신호 표시 장치의 화면(500)에 피험자 6명으로부터 심박수 정보 및 활동 정보가 표시되는 경우를 설명한다. 각 피험자 6명의 심전도로부터 판단된 심박수가 76, 120, 90 등으로 각각 표시되고 있고, 이는 미리 정해진 표시 시간 간격에 따라 변화하여 표시될 수 있다.
또한, 각 피험자의 활동 상태는 해당 분할 화면의 심박수 숫자의 색깔로 구별하여 표시하였지만, 색깔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해당 활동 상태를 서로 다르게 구별하여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심박수를 나타내는 숫자 아래에 각 활동 상태를 나타내는 서로 다른 모양의 아이콘(Icon)을 표시하여 나타낼 수도 있다.
따라서, 앞에서 설명한 것처럼 피험자의 활동 상태를 고려하여 심박수를 분석함으로써 분석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는 여전하다고 할 것이다. 예를 들어, 도 5를 참조하면, 125의 높은 심박수를 보이지만 활동 상태는 RUN 상태를 나타내는 빨간색인 경우(540) 특별한 이상이 없다고 볼 수 있고, 120의 높은 심박수를 보이지만 주황색이 특별한 움직임이 없는 상태를 의미하는 경우(510)라면 이상이 있다고 보아 바로 도 1 또는 도 2의 표시로 전환하여 세밀한 분석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이 경우, 6명의 피험자 정보를 표현하는 경우를 예를 들었지만, 더 많은 피험자 정보를 표시하는 경우 각 피험자의 심박수 정보 이상을 확인하기 어려울 수 있으므로,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해당 심박수가 일정 이상을 넘어서는 경우 도 6에서 보이는 것처럼 특정한 표시(631, 641)를 할 수 있다.
도 6에 보이는 특정한 표시(631, 641)를 위한 심박수 기준은 활동 상태마다 다르게 하거나, 또는 피험자 개개인의 나이, 건강 특성을 반영하여 설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경우, 도 5 또는 도 6의 각 분할 화면마다 사용자가 화면 터치(Touch)를 통한 방식이나 제스쳐(Gesture) 입력 또는 기존의 마우스 입력 등을 통해서 도 1 내지 도 4의 예로 상호 전환 가능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동일한 피험자로부터 측정된 생체 신호 정보와 활동 상태 정보를 생체 신호 표시 장치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생체 신호 표시 화면
110: 생체 신호 표시 화면의 심전도 정보 표시부
120: 생체 신호 표시 화면의 활동 정보 표시부
200: 생체 신호 표시 화면
210: 생체 신호 표시 화면의 심박수 정보 표시부
220: 생체 신호 표시 화면의 활동 정보 표시부
300: 생체 신호 표시 화면
310: 생체 신호 표시 화면의 심전도 정보 표시부
320: 생체 신호 표시 화면의 활동 정보 표시부
400: 생체 신호 표시 화면
410: 생체 신호 표시 화면의 심전도 정보 표시부
420: 생체 신호 표시 화면의 활동 정보 표시부
421: 생체 신호 표시 화면의 활동 정보 중 활동 상태 정보
422: 서로 측정 시간이 다른 활동 상태 정보의 연결 표시
500: 생체 신호 표시 화면
510: 생체 신호 표시 화면의 심박수 정보 및 활동 상태 표시부
520: 생체 신호 표시 화면의 심박수 정보 및 활동 상태 표시부
530: 생체 신호 표시 화면의 심박수 정보 및 활동 상태 표시부
540: 생체 신호 표시 화면의 심박수 정보 및 활동 상태 표시부
600: 생체 신호 표시 화면
610: 생체 신호 표시 화면의 심박수 정보 및 활동 상태 표시부
620: 생체 신호 표시 화면의 심박수 정보 및 활동 상태 표시부
630: 생체 신호 표시 화면의 심박수 정보 및 활동 상태 표시부
631: 측정된 심전도 정보의 이상 상태 표시부
640: 생체 신호 표시 화면의 심박수 정보 및 활동 상태 표시부
641: 측정된 심전도 정보의 이상 상태 표시부

Claims (10)

  1. 생체신호 표시 장치의 생체신호 화면 표시 방법에 있어서,
    심전도 측정 장치에 의해 피험자로부터 측정된 심전도 정보와 상기 심전도가 측정된 시간 구간에 상기 피험자로부터 측정된 활동 정보를 입력받는 데이터 입력 단계;
    상기 심전도 정보가 측정된 시간과 상기 활동 정보가 측정된 시간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는 데이터 동기 확인 단계;
    생체신호 표시 장치에 미리 설정된 심전도 정보 표시 시간 스케일(Scale)을 확인하는 화면 표시 설정 확인 단계;
    상기 활동 정보와 같은 시간 구간에 측정된 상기 심전도 정보를 동기화하고, 상기 활동정보로부터 판단된 상기 피험자의 활동 상태를 포함해 상기 심전도 정보와 함께 상기 화면 표시 설정에 따라 생체신호 표시장치의 화면에 표시하는 화면 표시 단계;
    를 포함하는 생체신호 화면 표시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입력단계의 상기 심전도 정보와 상기 활동 정보 데이터 입력은 유무선 통신을 통해 심전도 장치로부터 실시간 입력받거나, 저장된 파일을 통해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신호 화면 표시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표시 단계는 상기 피험자의 활동 상태를 구별하는 구별 표시를 포함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전도 표시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표시 설정 확인 단계에서 확인된 심전도 정보 표시 시간 스케일(Scale)이 미리 설정된 기준 값보다 클 경우, 상기 화면 표시 설정 확인 단계 이후에 상기 심전도 정보로부터 심박수(Heart Rate) 정보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화면 표시 단계의 상기 심전도 정보의 화면 표시는 상기 심전도 정보로부터 판단된 상기 피험자의 심박수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전도 표시 방법
  5.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표시 단계는 상기 심전도 정보 또는 상기 심박수 정보로부터 상기 피험자의 동일한 활동 상태의 심전도 정보 또는 동일한 활동 상태의 심박수 정보만을 각각 분리하여 측정 시간 순서대로 연결해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전도 표시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된 심전도 정보 또는 심박수 정보가 연결되는 각각의 연결 부분에 구별 표시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전도 표시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동기 확인 단계 이후에, 상기 피험자의 활동량과 활동 상태가 상기 활동 정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활동량만 존재할 경우 미리 정해진 활동 상태 판단 방법에 의해 상기 활동량으로부터 활동 상태를 판단하는 데이터 변환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신호 화면 표시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변환 단계의 상기 활동 상태 판단은, 상기 피험자의 활동량이 미리 정해진 활동량 기준값보다 낮은 경우와 높은 경우에 미리 정해진 서로 다른 활동 상태 판단 방법을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신호 화면 표시 방법
  9. 생체신호 표시 장치의 생체신호 화면 표시 방법에 있어서,
    심전도 장치에 의해 피험자로부터 측정된 심전도 정보와 상기 심전도가 측정된 시간 구간에 동시에 측정된 상기 피험자의 활동 정보를 함께 입력받는 데이터 입력 단계;
    상기 심전도 정보가 측정된 시간과 상기 활동 정보가 측정된 시간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는 데이터 동기 확인 단계;
    생체신호 표시 장치에 미리 설정된 심박수 정보 표시 설정을 확인하는 화면 표시 설정 확인 단계;
    상기 심전도 정보로부터 상기 피험자의 심박수(Heart Rate) 정보를 판단하는 심박수 판단 단계;
    상기 심박수를 생체신호 표시 장치의 화면에 숫자로 표시하며, 상기 화면 표시 설정에 설정된 표시 시간 간격에 따라 상기 숫자를 변화시키고, 상기 활동정보로부터 판단된 상기 피험자의 활동 상태를 활동 상태마다 서로 다르게 구별하여 표시하는 화면 표시 단계;
    를 포함하는 생체신호 화면 표시 방법
  10.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의 생체신호 화면 표시 방법을 프로그램으로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KR1020110080207A 2011-08-11 2011-08-11 생체신호 화면 표시 방법 KR1013383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0207A KR101338352B1 (ko) 2011-08-11 2011-08-11 생체신호 화면 표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0207A KR101338352B1 (ko) 2011-08-11 2011-08-11 생체신호 화면 표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7642A true KR20130017642A (ko) 2013-02-20
KR101338352B1 KR101338352B1 (ko) 2013-12-06

Family

ID=47896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0207A KR101338352B1 (ko) 2011-08-11 2011-08-11 생체신호 화면 표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835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1940A (ko) * 2017-12-29 2019-07-09 주식회사 디엔제이휴먼케어 무선 심전도 센서를 이용한 심장 재활 운동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WO2020075973A1 (ko) * 2018-10-12 2020-04-16 부산대학교병원 동시 동작 분석이 가능한 심전도 모니터링 시스템
KR20220101468A (ko) * 2021-01-11 2022-07-19 주식회사 메쥬 생체신호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7415B1 (ko) * 2006-03-29 2013-01-30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생체신호분석을 위한 일중주기 모니터링 시스템
JP5305616B2 (ja) * 2007-06-07 2013-10-02 株式会社東芝 検査データ処理装置及び検査システム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1940A (ko) * 2017-12-29 2019-07-09 주식회사 디엔제이휴먼케어 무선 심전도 센서를 이용한 심장 재활 운동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WO2020075973A1 (ko) * 2018-10-12 2020-04-16 부산대학교병원 동시 동작 분석이 가능한 심전도 모니터링 시스템
KR20200041585A (ko) * 2018-10-12 2020-04-22 부산대학교병원 동시 동작 분석이 가능한 심전도 모니터링 시스템
KR20220101468A (ko) * 2021-01-11 2022-07-19 주식회사 메쥬 생체신호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8352B1 (ko) 2013-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15531B2 (en) Method of medical monitoring
EP2633809B1 (en) Electrocardiogram analysis apparatus, and electrocardiogram analysis program
CN105975780A (zh) 一种基于虚拟现实交互技术的机器问诊系统
EP3981321A1 (en) Electrocardiogram display device, electrocardiogram display method, and program
Kalaivani et al. Real time ecg and saline level monitoring system using Arduino UNO processor
US1039577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a patient
CN106901745A (zh) 患者步态分析诊断系统
KR101338352B1 (ko) 생체신호 화면 표시 방법
JP5659271B2 (ja) 生体情報処理装置、運動負荷心電図検査システム及び生体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20190076420A (ko) 건강지수 표출 방법
US9486154B2 (en) Device and method for recording physiological signal
JP6440796B2 (ja) 心電図解析装置及び心電図解析プログラム
CN205866730U (zh) 一种便携式人体基础指标检测仪
US11259719B2 (en) Vital sign information recording system, vital sign information analyzer, and vital sign information display method
RU129681U1 (ru) Система определения функционального состояния группы людей с обратной связью
JP5230305B2 (ja) 心電図解析装置、運動負荷心電図検査システム及び心電図解析プログラム
JP2010057677A (ja) 生体情報処理装置、生体情報処理方法及び生体情報処理プログラム
TWI802134B (zh) 癲癇發作及歷程偵測系統及其資訊平台
CN109567763A (zh) 一种脉象探测装置
RU129680U1 (ru) Система определения функционального состояния группы людей
RU220408U1 (ru) Кардиорегистратор портативный телемедицинский
KR102295422B1 (ko) 가상 체험의 현실감 측정 장치 및 방법
Horde et al. Is it Stress O’Clock?: Comparing Cardiac Data from Industry-Leading Smartwatches against Subjective Workload Measures
Agrawal et al. Physiological Data Measurement in Digital Manufacturing
KR20220047187A (ko) 피처 결합을 이용한 인지 기능 검사 방법 및 서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