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7334A - 대화 중 웹 기반 서비스를 공유하는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대화 중 웹 기반 서비스를 공유하는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7334A
KR20130017334A KR1020110079706A KR20110079706A KR20130017334A KR 20130017334 A KR20130017334 A KR 20130017334A KR 1020110079706 A KR1020110079706 A KR 1020110079706A KR 20110079706 A KR20110079706 A KR 20110079706A KR 20130017334 A KR20130017334 A KR 201300173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device
web page
multimedia content
web
process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97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81893B1 (ko
Inventor
전윤호
구경훈
원석진
Original Assignee
리얼네트웍스아시아퍼시픽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얼네트웍스아시아퍼시픽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리얼네트웍스아시아퍼시픽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797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1893B1/ko
Publication of KR201300173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73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18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18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6Provisioning of proxy services
    • H04L67/563Data redirection of data network stre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장치들을 이용하여 대화 중 웹 기반 서비스를 공유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제1 단말장치는 제2 단말장치와의 대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화 서비스 제공부, 및 상기 대화 서비스의 제공 중에, 제1 유알엘을 이용하여 표시되는 제1 웹 페이지와 상기 제2 단말장치의 웹 브라우져에서 표시되는 제2 웹 페이지가 동기화되도록 제어하는 웹 브라우져 동기화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웹 브라우져 동기화 처리부는, 상기 제1 유알엘이 리디렉션되는 유알엘인지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제1 웹 페이지 및 상기 제2 웹 페이지의 동기화에 반영할 수 있다.

Description

대화 중 웹 기반 서비스를 공유하는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OF SHARING WEB-BASED SERVICE DURING CONVERSATION}
본 발명은 단말장치들을 이용하여 대화 중 웹 기반 서비스를 공유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대화 중에 웹 방식으로 제공되는 서비스를 상대방과 함께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과 방법에 대한 것이다.
데스크탑 컴퓨터에서 화면을 원격지의 다른 컴퓨터와 공유하는 기능은 많이 있었으나, 이 때 동시에 음성 통화는 별도의 일반 전화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서 전화 연결과 화면 공유가 각각 이루어져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와 같은 기술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 화면 공유와 음성 통화를 함께 제공할 수도 있으나 기존 전화번호와 별도의 아이디를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데스크탑이나 스마트폰의 온라인 게임등과 같은 특정한 애플리케이션 내에서 게임 상대방과 음성/문자 채팅을 제공하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스마트폰의 경우에는 보안 문제 때문에 애플리케이션 간의 정보 공유나 기능 연동이 제한되어 있는 문제가 있다. 다시 말해,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에서 음성/문자 채팅을 시작한 후 대화 상대방과 다른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고자 하면 음성/문자 채팅을 종료해야만 한다.
근래, 데스크탑 컴퓨터나 스마트 폰과 같이 웹 페이지를 표시할 수 있는 단말기들은 원격지에 위치하는 다른 단말기와 웹 브라우져를 공유하여 동일한 웹 페이지를 표시하는 기능이 있다.
웹 브라우져는 매우 복잡한 소프트웨어이기 때문에 단말장치의 OS(iOS, Android 등)가 UI 컴포넌트(iOS의 경우 UIWebView, Android의 경우 WebView 클래스. 이하 "웹뷰 컴포넌트"로 통칭)의 형태로 제공하는 웹뷰 컴포넌트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웹뷰 컴포넌트에서 새로운 유알엘을 오픈하고자 하는 것을 애플리케이션 쪽에서 가로채어 유알엘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이 유알엘을 다른 단말장치에 전송함으로써 동일한 페이지를 보여주도록 할 수 있으나 웹뷰 컴포넌트가 애플리케이션에 제공하는 정보와 기능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두 단말장치의 브라우져를 동기화시키는 것은 쉽지 않은 문제이다.
특히, 애플리케이션에서는 웹뷰 컴포넌트의 유알엘 히스토리를 액세스하거나 변경할 수 없고, 사용자에 의해 열리는 유알엘과 하나의 웹 페이지가 다른 웹 페이지로 자동적으로 리디렉션(redirection)을 하는 것을 구분하기 어렵다.
만약 사용자가 클릭한 링크의 웹 페이지가 리디렉션되는 경우, 단순히 오픈하는 유알엘을 다른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식으로 동기화하고자 하는 경우 로딩하려는 웹 페이지가 자동으로 리디렉션되는 경우에 양쪽 단말장치가 서로 다른 히스토리를 저장하는 등 정확한 동기화가 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단말장치는 제2 단말장치와의 대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화 서비스 제공부, 및 상기 대화 서비스의 제공 중에, 제1 유알엘을 이용하여 표시되는 제1 웹 페이지와 상기 제2 단말장치의 웹 브라우져에서 표시되는 제2 웹 페이지가 동기화되도록 제어하는 웹 브라우져 동기화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웹 브라우져 동기화 처리부는, 상기 제1 유알엘이 리디렉션되는 유알엘인지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제1 웹 페이지 및 상기 제2 웹 페이지의 동기화에 반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단말장치는 제2 단말장치와의 대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화 서비스 제공부, 상기 대화 서비스의 제공 중에, 제1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상기 입력된 제어 신호로부터, 상기 제1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저장된 주소인 제1 유알엘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제1 유알엘을 상기 제2 단말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제2 단말장치가 제2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동기화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은 대화 서비스 제공부에서 제2 단말장치와의 대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 및 웹 브라우져 동기화 처리부에서, 상기 대화 서비스의 제공 중에, 제1 유알엘을 이용하여 표시되는 제1 웹 페이지와 상기 제2 단말장치의 웹 브라우져에서 표시되는 제2 웹 페이지가 동기화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웹 브라우져 동기화 처리부는, 상기 제1 유알엘이 리디렉션되는 유알엘인지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제1 웹 페이지 및 상기 제2 웹 페이지의 동기화에 반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은 대화 서비스 제공부에서, 제2 단말장치와의 대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대화 서비스의 제공 중에, 제1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및 멀티미디어 컨텐츠 동기화 처리부에서, 상기 입력된 제어 신호로부터, 상기 제1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저장된 주소인 제1 유알엘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제1 유알엘을 상기 제2 단말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제2 단말장치가 제2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음성 통화와 범용 컴퓨팅 기능을 함께 가지고 있는 스마트폰에서 다른 사람과 음성통화 또는 문자채팅 형태의 대화를 하면서 동시에 같은 웹 서비스를 사용하거나 게임, 음악, 동영상 등을 함께 즐길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마트폰의 전화번호부에 기 입력된 전화번호를 사용하여 상대방과 대화를 할 수 있고, 일반적인 모바일 웹 페이지를 함께 브라우징하거나 웹 기반 애플리케이션을 함께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 간의 대화 중 웹 기반 서비스를 공유하는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웹 브라우져 동기화 처리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단말장치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단말장치에서 웹 기반 서비스를 공유하기 위한 동작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들 간에 웹 페이지를 공유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들 간에 웹 기반의 멀티미디어컨텐츠를 공유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대화 중 미디어 공유를 위해 웹 페이지로부터의 음악 또는 비디오 재생시 동기화된 미디어 플레이어를 구동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 간의 대화 중 웹 기반 서비스를 공유하는 시스템(100)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단말장치(130, 140)라 함은 스마트폰 및 태블릿 등과 같이, 통신 기능, 화면 입출력 기능, 및 웹 브라우져를 갖는 장치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장치(130, 14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은 독립적인 애플리케이션으로서 다운로드되어 설치될 수도 있고, 제조단계에서 포함될 수도 있다.
단말장치(130, 140)는 전화번호부의 전화번호 목록을 단말장치 자신의 전화번호와 함께 통화 서버(110)에 업로드, 등록한다. 통화 서버(110)는 각 단말장치(130, 140)에서 업로드한 전화번호 목록 중, 등록된 사용자에 해당하는 번호의 목록을 각 단말장치(130, 140)에 돌려준다. 이로써 각 단말의 사용자는 자신의 전화번호 목록 중 어떤 번호가 본 발명이 제공하는 서비스를 함께 사용할 수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가 하나의 번호를 선택하면 단말장치(130, 140)는 선택된 번호의 단말장치로 전화를 한다. 이 때 전화는 기존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방식의 일반 전화일 수도 있고, 또는 상기 통화 서버나 제3의 서버에 의해 제공되는 패킷 방식의 전화(VoIP: Voice over IP)일 수도 있다.
서로 대화 중인 두 대의 단말장치(130, 140)는 음성 통화 또는 문자 채팅 형태의 대화를 나누면서 컨텐츠 서버에 웹 페이지, 음악, 비디오를 요청하여 웹 페이지를 같이 브라우징하거나 음악을 같이 듣거나 비디오를 같이 볼 수 있다.
이하에서는, 편의상 두 대의 단말장치(130, 140)가 음성 통화 형태의 대화를 수행하는 실시예를 통해서 본 발명을 설명한다.
구체적인 예로써, 제1 단말장치(130)는 표시되는 웹 페이지를 동기화하기 위해서, 웹 페이지의 표시를 위한 스크린(131), 웹 브라우져 동기화 처리부(132), 및 대화 서비스 제공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대화 서비스 제공부(133)는 음성 통화 및 문자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미디어 플레이어, 전화 번호부, 및 통화 모듈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단말장치(140)는 표시되는 웹 페이지를 동기화하기 위해서, 웹 페이지의 표시를 위한 스크린(141), 웹 브라우져 동기화 처리부(142), 및 대화 서비스 제공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
웹 브라우져 동기화 처리부(132, 142)는 제1 단말장치(130) 및 제2 단말장치(140)에 표시되는 웹 페이지를 동기화할 수 있다.
두 단말장치(130, 140)가 서로 대화할 수 있도록 연결된 후, 웹 브라우져 동기화 처리부(132)와 웹 브라우져 동기화 처리부(142)는 두 단말장치(130, 140)의 웹 브라우져에 대해서 웹 페이지 단위로 서로 동기화시킬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제1 단말장치(130)의 웹 브라우져에 새로운 유알엘을 입력하거나, 다른 웹사이트로의 링크를 클릭하거나, 뒤로 가기 버튼을 눌렀을 때 이러한 행동에 대한 정보가 제2 단말장치의 웹 브라우져로 전달되어 두 단말장치(130, 140)의 웹 브라우져가 동일한 웹 페이지를 표시할 수 있다.
이 기능은 양방향으로 제공된다. 다시 말해, 두 단말장치(130, 140)의 사용자 모두 새로운 페이지를 열 수 있고 다른 단말장치에 이것이 반영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대화 서비스 제공부(133)를 통해 대화 서비스의 제공 중에, 웹 브라우져 동기화 처리부(132)는 제1 단말장치(130)에서 제1 유알엘을 이용하여 표시되는 제1 웹 페이지와 상기 제2 단말장치(140)의 웹 브라우져에서 표시되는 제2 웹 페이지가 동기화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웹 브라우져 동기화 처리부(132)는 상기 제1 유알엘이 리디렉션되는 유알엘인지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제1 웹 페이지 및 상기 제2 웹 페이지의 동기화에 반영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웹 브라우져 동기화 처리부(132)는 상기 제1 웹 페이지의 로딩에 이용되는 상기 제1 유알엘을 제2 단말장치(140)에 전송하여, 제2 단말장치(140)의 웹 브라우져가 상기 제1 유알엘로 식별되는 제2 웹 페이지를 로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웹 브라우져 동기화 처리부(132)는 상기 제1 유알엘이 리디렉션되는 유알엘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리디렉션되는 유알엘인 경우 제2 단말장치(140)로 전송하지 않고, 리디렉션되는 유알엘이 아닌 경우에만 제2 단말장치(140)로 전송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웹 브라우져 동기화 처리부(132)는 상기 제1 유알엘이 사용자의 제어에 의해서 생성되는 경우, 예를 들어, 유알엘 입력, 링크 클릭, 뒤로 가기 클릭 등의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에만, 상기 제1 유알엘을 제2 단말장치(14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져 동기화 처리부(132)는 사용자 입력 변수값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유알엘이 사용자의 제어에 의해서 발생한 유알엘인지 아니면 리디렉션에 의해서 발생한 유알엘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웹 브라우져 동기화 처리부(132)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발생하는 입력신호를 확인하고, 상기 입력신호에 의해서 상기 제1 유알엘이 발생한 경우 사용자 입력 변수값을 트루(true)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에, 웹 브라우져 동기화 처리부(132)는 상기 사용자 입력 변수값을 확인하여, 트루(true) 값으로 설정된 경우 사용자의 제어에 의해서 발생한 유알엘이라고 판단하여 상기 제2 단말장치로 상기 제1 유알엘을 전송할 수 있다.
반대로, 웹 브라우져 동기화 처리부(132)는 상기 사용자 입력 변수값을 확인하여, 트루(true) 값으로 설정되지 않은 경우에 사용자의 제어에 의해서 발생한 유알엘이라고 판단하여 제2 단말장치(140)로 상기 제1 유알엘을 전송하지 않는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써, 제1 단말장치(130)에서 사용자가 웹뷰 컴포넌트가 보여주고 있는 'http://www.company.com'링크를 클릭하는 경우, 제1 단말장치(130)의 웹 브라우져 동기화 처리부(132)는 'www.company.com' 주소를 가로채어 제2 단말장치로 바로 전송하고, 제1 단말장치(130)의 웹뷰 컴포넌트는 'www.company.com' 페이지를 계속 로딩한다.
이때, 제1 단말장치(130)의 웹뷰 컴포넌트가 오픈한 'www.company.com' 웹 페이지는 'company.com/index.jsp' 페이지로 자동 리디렉션(redirection)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단말장치(130)는 자동 리디렉션에 의해서 'company.com/index.jsp' 페이지를 로딩한다. 또한, 제1 단말장치(130)의 웹 브라우져 동기화 처리부(132)는 새로운 'company.com/index.jsp'의 웹 페이지를 로딩함에 따라서 'company.com/index.jsp'를 제2 단말장치(140)로 전송할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웹 브라우져 동기화 처리부(132)는 상기 'company.com/index.jsp'의 웹 페이지가 사용자의 제어가 아닌 리디렉션에 의해서 로딩되는 페이지임을 확인하고, 제2 단말장치(140)로 전송하지 않는다.
결국, 제1 단말장치(130)와 제2 단말장치(140)는 동일하게 'www.company.com'의 웹 페이지를 열기 시작하고, 다시 'company.com/index.jsp' 페이지로 리디렉션될 수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서, 웹 브라우져 동기화 처리부(132)는 사용자가 웹뷰 컴포넌트의 화면을 터치하거나, 사용자가 새로운 유알엘을 입력할 때 사용자 입력 변수값을 트루값으로 지정하고, 웹뷰 컴포넌트가 새로운 유알엘을 오픈하고자 할 때, 만약 사용자 입력 변수값이 트루이면 이 유알엘을 상대방으로 전송하고 사용자 입력 변수값을 다시 펄스(false)로 지정할 수 있다.
즉, 웹 브라우져 동기화 처리부(132)는 새로운 유알엘의 페이지가 로딩될 때 해당 페이지가 리디렉션되는 경우라면 유알엘을 상대방으로 전송하지 않고 새로운 페이지의 로딩을 실행하게 되므로 상대편 웹뷰 컴포넌트가 동일한 페이지를 두번 로드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단말장치는 현재 로딩 중인 제1 웹 페이지와, 제2 단말장치(140)에서 로딩 중인 제2 웹 페이지의 로딩 상황을 표시하는 로딩 인디케이터 표시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딩 인디케이터 표시부는 상기 제1 웹 페이지 및 상기 제2 웹 페이지가 모두 로딩 중인 경우, 상기 제2 웹 페이지만 로딩 중인 경우, 및 상기 제1 웹 페이지만 로딩 중인 경우를 구분하여 표시할 수가 있다.
웹 브라우져가 웹 페이지를 로딩하기 위해서는 대개 수초 이상의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제1 단말장치(130)는 로딩 인디케이터 표시부를 통해서 그 동안 사용자에게 "프로그레스 바(progress bar)"나, 애니메이션 형태의 아이콘 등과 같은 "로딩 인디케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두 단말 장치(130, 140)가 각각 동일한 웹 페이지를 로딩하지만 각 단말이 위치한 지역의 네트웍 속도 등에 따라서 웹 페이지가 로드되는데 걸리는 시간에는 많은 차이가 있을 수 있다. 한 사용자가 대화 중인 상대방과 동일한 웹 페이지의 내용에 대해 얘기를 하려면 두 단말장치(130, 140)의 웹 페이지가 모두 로드 되었음을 쉽게 알 수 있어야 편리하다.
이를 위하여 두 단말 장치(130, 140) 각각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자신 및 상대방의 브라우져의 로딩 상태를 알 수 있는 두 비트를 이용하여 로딩 인디케이터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로딩 인디케이터는
00: 평상시: 보이지 않거나 정지되어 있음
11: 두 브라우져가 모두 로딩 중
01: 자신의 브라우져는 로딩을 완료하였으나 상대방 브라우져는 로딩 중
10: 상대방 브라우져는 로딩을 완료하였으나 자신의 브라우져는 로딩 중
과 같은 네 가지의 상태로 표시되어 웹 페이지의 로딩 상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단말장치(130)의 웹 브라우져 동기화 처리부(132)는, 대화 중 웹 게임 공유를 위한 사용자 구별 및 게임 이벤트 교환을 가능하게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웹 브라우져 동기화 처리부(132)는 제2 단말장치(140)의 웹뷰 컴포넌트에서 실행될 자바스크립트를 이벤트 전달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의 인자로 설정하고 상기 이벤트 전달 API를 실행하여, 제 2단말장치로 게임 이벤트를 전송하여 실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웹 게임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 서버는, 상기 대화 서비스를 이용중인 상기 제1 단말장치(130) 및 상기 제2 단말장치(140)가 쿠키에 저장하는 콜 세션 아이디와 단말 식별 아이디를 사용하여 게임 내에서의 아이덴티티 (Identity)를 결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웹 페이지와 달리 게임 서비스의 경우 단순히 동일한 내용을 보는 것으로 공유될 수 없고 게임을 하는 두 사람에게 일부 또는 전혀 다른 화면을 보여주거나 각 사용자의 입력 또는 조작을 상대방에게 전달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서 웹 게임을 구현하는 웹 서버 또는 웹 페이지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웹 브라우져 동기화 처리부(132)를 통해서 대화로 연결된 두 명의 사용자를 인식하게 하고 게임 진행 중에 서로 상대방 쪽에 자신의 입력 또는 조작, 즉 게임 이벤트를 교환할 수 있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는 대화와 함께 웹 게임을 공유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을 사용한다.
콜 서버(웹 서버)는 개별 대화와 대화 참여자를 식별할 수 있는 콜 세션 아이디를 부여하며 이를 단말 장치들(130, 140)에 전달한다. 콜 세션 아이디는 서로 대화 중인 두 단말 장치들(130, 140)의 경우 동일한 값이다.
대화 중인 단말 장치들(130, 140)은 콜 세션 아이디와 자신 및 상대편의 단말 식별 아이디를 웹뷰 컴포넌트의 쿠키 값으로 저장하여 웹 페이지 또는 웹 서버에서 읽을 수 있도록 한다. 단말 식별 아이디는 개별 단말 장치를 구별하는 식별자로서 시스템에서 부여한 사용자 아이디를 사용하거나 단말 제조사들이 고유하게 부여한 디바이스 아이디를 사용할 수 있다. 상대편의 단말 식별 아이디는 콜 연결 과정에서 단말 식별 아이디를 교환하여 얻는다.
웹 페이지 또는 웹 서버는 웹뷰 컴포넌트의 쿠키에 저장된 콜 세션 아이디와 자신과 상대방의 단말 식별 아이디 값을 읽어서 2명의 대화자가 같이 게임을 하고 있음을 알고 접속자의 단말 식별 아이디를 통해 게임 내에서의 아이덴티티(identity)를 결정하고 상대편 단말 식별 아이디를 통해 게임에 참여하는 상대방의 아이덴티티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게임 이벤트를 전달하는 목적은 상대방의 웹뷰 컴포넌트에 임의의 자바스크립트(Javascript)를 실행하는 것이며, 이는 이벤트를 전달하는 자바스크립트 API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두 명이 오목 게임을 하는 도중에 하얀 돌을 사용하는 게임 참여자가 돌을 특정 위치에 놓았을 때의 내부 처리 과정은 아래와 같다.
돌은 놓은 참여자의 웹뷰 컴포넌트에서 이벤트 전달 API가 실행되며 해당 이벤트 전달 API의 인자로 게임 이벤트인 상대편의 웹뷰 컴포넌트에서 실행될 자바스크립트 함수명과 좌표값이 들어간다. (예를 들자면 "open(remote://put_stone(10,10)); "
웹뷰 컴포넌트에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웹 브라우져 동기화 처리부(132)로 상대방 웹뷰 컴포넌트에 전달할 게임 이벤트가 전달되고, 웹 브라우져 동기화 처리부(132)에서 상대방의 웹 브라우져 동기화 처리부(142)로 게임 이벤트가 전달되며, 상대편 웹 브라우져 동기화 처리부(142)에서 웹뷰 컴포넌트에 대해 전달된 게임 이벤트로 전달된 자바스크립트를 실행한다. 해당 자바스크립트는 미리 작성된 프로그램의 일부이며 오목의 예를 들면 전달된 좌표값을 이용하여 상대방이 놓은 돌을 화면에 표시하는 처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음성 통화와 범용 컴퓨팅 기능을 함께 가지고 있는 스마트폰에서 다른 사람과 음성통화 또는 문자채팅 형태의 대화를 하면서 동시에 같은 웹 서비스를 사용하거나 게임, 음악, 동영상 등을 함께 즐길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마트폰의 전화번호부에 기 입력된 전화번호를 사용하여 상대방과 대화를 할 수 있고, 일반적인 모바일 웹 페이지를 함께 브라우징하거나 웹 기반 애플리케이션을 함께 사용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웹 브라우져 동기화 처리부(200)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웹 브라우져 동기화 처리부(200)는 특징정보 추출부(210), 특징정보 송수신부(220), 및 동일여부 판단부(230)를 이용해서 웹 페이지를 보다 정확하게 동기화시킬 수 있다.
제1 단말장치와 제2 단말장치의 웹 브라우져가 동일한 유알엘을 오픈하더라도, 웹 브라우져의 쿠키값에 따라서 서로 다른 웹 페이지를 로딩하거나, 내용이 랜덤하게 생성되어 서로 다른 웹 페이지를 로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그인이 필요한 웹 페이지의 경우에 로그인한 사용자에 따라서 다른 웹 페이지를 보여줄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웹 브라우져는 공유하고 있는 웹 페이지가 서로 동일하지 않음을 사용자에게 알려주고, 이전의 동일한 웹 페이지로 복귀함으로써 웹 페이지 동일성을 유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특징정보 추출부(210)는 로딩된 상기 제1 웹 페이지에 대한 제1 특징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즉, 특징정보 추출부(210)는 새로 오픈한 웹 페이지의 로딩이 완료되면, 로딩된 웹 페이지의 특성 정보를 추출한다.
또한, 특징정보 송수신부(220)는 상기 제2 단말장치로 상기 제1 특징정보를 전송하거나, 상기 제2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제2 웹 페이지에 대한 제2 특징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특징정보 송수신부(220)는 추출한 특징 정보를 자신의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으며, 상대방으로부터 특징 정보가 전달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특징 정보가 전달될 때까지 대기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동일여부 판단부(230)는 상기 추출된 제1 특징정보와 상기 수신된 제2 특징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제1 웹 페이지와 상기 제2 웹 페이지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특징정보는 상기 제1 웹페이지를 구성하는 HTML 파일의 크기 또는 화면 사이즈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특징정보는 상기 제2 웹페이지를 구성하는 HTML 파일의 크기 또는 화면 사이즈 중에서 상기 제1 특징정보와 동일한 유형의 정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웹 브라우져 동기화 처리부(200)는 두 웹 페이지가 동일하지 않을 경우에 이를 사용자에게 UI로써 알려주고, 다시 이전의 동일한 웹페이지로 자동 복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동일여부 판단부(230)는 두 웹 페이지 간의 동일 여부를 판단하고, 동일하지 않다고 판단되면, "공유할 수 없는 웹 페이지입니다"라는 팝업을 띄워서 사용자에게 동일하지 않음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제1 웹 페이지와 상기 제2 웹 페이지가 동일하지 않은 경우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웹 브라우져 동기화 처리부(200)는 상기 제1 웹 페이지 및 상기 제2 웹 페이지를 마지막으로 동일하다고 판단되었던 웹 페이지의 유알엘을 이용하여 동기화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웹 브라우져 동기화 처리부(200)는 동일하다고 판단되는 웹 페이지의 유알엘을 기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단말장치는 대화 중 음악 및 비디오의 재생 동기화를 통한 미디어 공유가 가능하다. 이는 도 3을 통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단말장치(300)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단말장치(300)는 대화 서비스 제공부(310), 사용자 인터페이스(320), 및 멀티미디어 컨텐츠 동기화 처리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대화 서비스 제공부(310)는 제2 단말장치와의 대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320)는 상기 대화 서비스의 제공 중에, 제1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멀티미디어 컨텐츠 동기화 처리부(330)는 상기 입력된 제어 신호로부터, 상기 제1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저장된 주소인 제1 유알엘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제1 유알엘을 상기 제2 단말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제2 단말장치가 제2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대화 중인 두 단말 장치는 웹 페이지를 브라우징하는 것 외에 음악 또는 비디오를 요청할 수 있으며 미디어 플레이어에서 재생되는 음악 또는 비디오의 동기화를 위해 다음과 같은 방법을 사용한다.
제1 단말장치에서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320)를 통해서, 미디어 플레이어 컴포넌트의 재생 버튼을 클릭하면, 제1 단말장치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동기화 처리부(330)는 미디어 플레이어 컴포넌트가 재생하려는 음악 또는 비디오의 주소를 대화 중인 제2 단말장치로 전송하고 제1 단말장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동기화 처리부(330)를 통해 상기 음악 또는 비디오를 로딩, 로딩이 완료되면 상대편에게 로딩 완료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제2 단말장치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동기화 처리부는 음악 또는 비디오의 주소를 미디어 플레이어 컴포넌트에 전달하여 상기 음악 또는 비디오를 로딩, 로딩이 완료되면 상대편에게 로딩 완료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제1 단말장치와 제2 단말장치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동기화 처리부들은 각각 자신의 미디어 로딩이 완료되고 상대편으로부터 로딩 완료 메시지를 받으면 미디어 재생을 시작할 수 있다.
제1 단말장치와 제2 단말장치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동기화 처리부들은 각각 미디어 재생 도중에 네트웍 속도의 문제로 일시 정지 상태가 되거나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일시 정지 또는 정지 상태가 된 경우 상대편에 재생 중지 메시지를 전송하여 재생을 중지할 수 있다.
제1 단말장치와 제2 단말장치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동기화 처리부들은 각각 상대편으로부터 재생 중지 메시지를 수신하면 재생 상태에서 일시 정지 또는 정지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제1 단말장치와 제2 단말장치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동기화 처리부들은 각각 자신의 네트웍 속도의 문제로 일시 정지 상태가 된 경우 재생 가능 상태가 되면 상대편에 재생 시작 메시지를 보내고 재생 시작할 수 있다.
제1 단말장치와 제2 단말장치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동기화 처리부들은 각각 상대의 네트웍 속도의 문제로 일시 정지가 된 경우 상대편으로부터 재생 시작 메시지를 받으면 재생 시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단말장치는 대화 중 미디어 공유시 음악 및 비디오의 로딩 및 버퍼링 상태를 표시하기 위해서, 로딩 인디케이터 표시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단말장치는 로딩 인디케이터 표시부(미도시)를 통해서 로딩 중인 제1 멀티미디어 컨텐츠와, 상기 제2 단말장치에서 로딩 중인 제2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로딩 상황을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미디어 플레이어가 음악 또는 비디오 미디어를 재생하기 위해서는 재생 버퍼에 수초 이상의 미디어 데이터를 로딩해야 하고 이를 위해 수초 이상의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단말장치는 그 동안 사용자에게 "프로그레스 바 (progress bar)", 혹은 애니메이션 되는 아이콘 등과 같은 "로딩 인디케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미디어를 재생하는 도중에도 네트웍 속도가 일시적으로 느려지면 재생 버퍼에 재생할 미디어 데이터가 아직 도착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재생 버퍼를 채우는 동안 재생을 일시 정지해야 한다. 본 발명에서는 두 단말 장치가 각각 동일한 미디어를 로딩하지만 각 단말이 위치한 지역의 네트웍 속도 등에 따라서 미디어가 로드되는데 걸리는 시간에는 많은 차이가 있을 수 있다.
한 사용자가 대화 중인 상대방과 동일한 미디어를 감상하면서 대화를 나누기 위해 두 단말장치의 미디어 플레이어가 거의 동시에 재생을 시작한다. 두 단말장치의 미디어 플레이어의 로딩 및 버퍼링 상태를 알 수 있는 로딩 인디케이터를 구현하는 방법은 두가지로 그 첫번째 방법은 두 단말장치의 미디어 플레이어를 구별하지 않고 로딩 인디케이터를 표시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의 로딩 인디케이터 표시부는
0: 평상시: 보이지 않거나 정지되어 있음
1: 자신 또는 상대방 플레이어가 로딩 또는 버퍼링 중
과 같은 두 가지의 다른 비트 값 이용하여 로딩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대화 중 미디어 재생 시 로딩 인디케이터를 구현하는 두 번째 방법은 두 단말장치의 미디어 플레이어의 로딩 또는 버퍼링 상태를 구별하여 표시하는 방법으로 네트웍 속도에 의해 재생 정지가 자주 반복되는 경우 어느 쪽 네트웍 속도가 느린지 확인할 수 있으므로 속도가 느린 상대방의 단말장치의 네트웍을 변경하거나 다른 상대방과의 대화를 시도하게 하는 힌트를 주는 방법이다.
본 발명의 미디어 로딩 인디케이터는
00: 평상시: 보이지 않거나 정지되어 있음
11: 두 미디어 플레이어가 모두 로딩 또는 버퍼링 중
01: 자신의 미디어 플레이어는 로딩 또는 버퍼링을 완료하였으나 상대방 미디어 플레이어는 로딩 또는 버퍼링 중
10: 상대방 미디어 플레이어는 로딩 또는 버퍼링을 완료하였으나 자신의 미디어 플레이어는 로딩 또는 버퍼링 중
과 같은 네 가지의 다른 비트 값을 이용하여 로딩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단말장치는 대화 중 미디어 공유를 위해 웹 페이지로부터의 음악 또는 비디오 재생시 동기화된 미디어 플레이어를 구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컨텐츠 동기화 처리부는, 상기 제1 단말장치가 상기 플레이어를 이용하여 재생하는 상기 제1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정보를 추출하여 전달하고, 상기 제2 단말장치가 상기 플레이어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컨텐츠 동기화 처리부는 상기 제1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는 플레이어에 대한 고유의 유알엘 스킴을 정의하고, 상기 제어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정의된 유알엘 스킴을 확인하여 상기 플레이어를 통해 상기 제1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웹 페이지로부터 음악 또는 비디오를 재생하는 경우 본 발명에 의한 동기화된 미디어 플레이어가 구동되지 않고 단말 장치의 OS가 지정하는 디폴트 미디어 플레이어가 구동될 수 있으며 이 때 대화 중인 사용자들은 동기화된 미디어 재생 기능을 이용할 수 없게 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컨텐츠 동기화 처리부는 웹뷰 컴포넌트에서 동기화된 미디어 플레이어를 이용하여 미디어를 재생하는 고유의 유알엘 스킴(URL Scheme)을 정의하고 어플리케이션에서 웹뷰 컴포넌트가 새롭게 오픈하려는 유알엘을 가로채어 상기 유알엘 스킴에 해당하는 경우 해당 유알엘 요청을 내보내는 대신 동기화된 미디어 플레이어를 구동하고 이를 통해 해당 미디어를 재생하도록 한다.
웹뷰 컴포넌트에서 웹 페이지의 로딩이 완료되면 웹 페이지의 내용을 조사하여 미디어 유알엘이 발견되면 해당 미디어 유알엘 대신 상기 고유의 유알엘로 변경해 놓는다. 사용자가 미디어 재생을 선택하면 원래의 미디어 유알엘 대신 상기 고유의 유알엘에 대한 요청이 발생하게 되므로 동기화된 미디어 재생을 시작할 수 있다.
미디어 유알엘 포함 여부는 어플리케이션에서 웹뷰 컴포넌트에 로딩된 웹 페이지의 DOM(Document Object Model)을 읽어서 판별하며 미디어 유알엘의 변경은 어플리케이션이 로딩된 웹 페이지의 DOM을 수정하는 자바스크립트를 인젝션(injection)하여 처리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웹 페이지로부터의 동기화된 미디어 재생은 아래와 같은 순서로 실행될 수 있다.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웹 페이지 요청이 시작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컨텐츠 동기화 처리부는 해당 유알엘을 가로채어 고유의 미디어 재생 유알엘인지를 비교하여 고유의 미디어 재생 유알엘인 경우 미디어 재생을 진행하고 고유의 미디어 재생 유알엘이 아닌 경우 웹 페이지 로딩을 진행한다.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동기화 처리부는 동기화된 미디어 플레이어를 구동하고 고유의 유알엘을 전달한다.
또한,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동기화 처리부는 웹뷰 컴포넌트에 새로운 웹 페이지를 로딩하며 로딩 완료시 웹 페이지의 내용을 조사하여 미디어 유알엘이 발견되면 해당 미디어 유알엘 대신 고유의 유알엘로 변경해 놓는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단말장치에서 웹 기반 서비스를 공유하기 위한 동작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은 대화 서비스 제공부에서 제2 단말장치와의 대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단계 401).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웹 브라우져 동기화 처리부에서, 상기 대화 서비스의 제공 중에 제1 유알엘을 이용하여 표시되는 제1 웹 페이지와 상기 제2 단말장치의 웹 브라우져에서 표시되는 제2 웹 페이지가 동기화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웹 브라우져 동기화 처리부는 상기 제1 유알엘이 리디렉션되는 유알엘인지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제1 웹 페이지 및 상기 제2 웹 페이지의 동기화에 반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동기화되도록 제어하기 위해서, 상기 웹 브라우져 동기화 처리부를 통해,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발생하는 입력신호를 확인하고, 상기 입력신호에 의해서 상기 제1 유알엘이 발생한 경우 사용자 입력 변수값을 트루(true) 값으로 설정하며, 상기 사용자 입력 변수값을 확인하여, 트루(true) 값으로 설정된 경우에 상기 제2 단말장치로 상기 제1 유알엘을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은 로딩 인디케이터 표시부를 통해, 상기 제1 웹 페이지 및 상기 제2 웹 페이지가 모두 로딩 중인 경우, 상기 제2 웹 페이지만 로딩 중인 경우, 및 상기 제1 웹 페이지만 로딩 중인 경우를 구분하여 로딩 상황을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은 도 5와 같은 방법으로 자신 및 상대방의 브라우져의 로딩 상태를 알 수 있는 두 비트를 이용할 수 있다.
도 5를 살펴보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웹 페이지 로딩이 시작되는 경우(단계 501)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단말장치는 제2 단말장치로 웹 페이지 주소를 전송하고(단계 502), 로딩 인디케이터의 상태 값을 11로 설정한다(단계 503).
만약, 상대편, 즉 제2 단말장치로부터의 메시지에 의해 웹 페이지 로딩이 시작되는 경우(단계 504),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단말장치는 제2 단말장치로 웹 페이지 주소를 전송하지 않고, 바로 로딩 인디케이터의 상태 값을 11로 설정한다(단계 503).
이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단말장치가 웹 페이지의 로딩이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하고(단계 505), 상대편, 즉 제2 단말장치가 웹 페이지의 로딩이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하며(단계 506), 제1 단말장치 및 제2 단말장치의 웹 페이지의 로딩이 모두 완료되지 않아 상태값이 00을 유지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단계 507).
만약, 상기 제1 단말장치가 웹 페이지의 로딩이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한 결과(단계 505), 완료된 경우 상기 제1 단말장치는 비트 1을 클리어할 수 있다(단계 508).
또한, 상기 제1 단말장치가 상기 제2 단말장치의 웹 페이지의 로딩이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한 결과(단계 506), 완료된 경우 상기 제1 단말장치는 비트 2을 클리어 할 수 있다(단계 509).
만약, 상기 제1 단말장치의 판단결과 상기 상태값이 00인 경우에, 상기 제1 단말장치 및 상기 제2 단말장치에서의 웹 페이지들이 모두 로딩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단계 510).
상기 제1 단말장치 및 상기 제2 단말장치에서의 웹 페이지들에 대한 로딩 여부는 도면부호 510과 같이 상태값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고, 로딩 상태는 웹 페이지의 일측에서 도면부호 520의 로딩 인디케이터와 같이 표시될 수 있다.
도면부호 510과 같이 상태값은 아래와 같이 정의될 수 있다.
00: 평상시: 보이지 않거나 정지되어 있음
11: 두 브라우져가 모두 로딩 중
01: 자신의 브라우져는 로딩을 완료하였으나 상대방 브라우져는 로딩 중
10: 상대방 브라우져는 로딩을 완료하였으나 자신의 브라우져는 로딩 중
과 같은 네 가지의 상태로 표시되어 웹 페이지의 로딩 상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웹 브라우져 동기화 처리부에서, 제2 단말장치(140)의 웹뷰 컴포넌트에서 실행될 자바스크립트를 이벤트 전달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의 인자로 설정하고 상기 이벤트 전달 API를 실행하여, 제 2단말장치로 게임 이벤트를 전송하여 실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밖에도,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은 웹 페이지뿐만 아니라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재생을 동기화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은 대화 서비스 제공부에서, 제2 단말장치와의 대화 서비스를 제공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대화 서비스의 제공 중에, 제1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입력받으며, 멀티미디어 컨텐츠 동기화 처리부에서, 상기 입력된 제어 신호로부터, 상기 제1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저장된 주소인 제1 유알엘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제1 유알엘을 상기 제2 단말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제2 단말장치가 제2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2 단말장치가 제2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표시하도록 제어하기 위해서,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동기화 처리부에서, 상기 제1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로딩이 완료된 경우에 상기 제2 단말장치로 로딩 완료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제2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제2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로딩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에 상기 제1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공유는 도 6을 통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들 간에 웹 기반의 멀티미디어컨텐츠를 공유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은 도 6과 같은 방법으로 자신 및 상대방의 멀티미디어 컨텐츠(미디어)의 로딩 상태를 알 수 있는 두 비트를 이용할 수 있다.
도 6을 살펴보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미디어의 로딩이 시작되는 경우(단계 601)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단말장치는 제2 단말장치로 미디어 주소를 전송하고(단계 602), 로딩 인디케이터의 상태 값을 11로 설정한다(단계 603).
만약, 상대편, 즉 제2 단말장치로부터의 메시지에 의해 미디어 로딩이 시작되는 경우(단계 604),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단말장치는 제2 단말장치로 미디어 주소를 전송하지 않고, 바로 로딩 인디케이터의 상태 값을 11로 설정한다(단계 603).
이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단말장치가 미디어의 로딩이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하고(단계 605), 상대편이 미디어의 로딩이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하며(단계 606), 제1 단말장치 및 제2 단말장치의 미디어의 로딩이 모두 완료되지 않아 상태값이 00을 유지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단계 607).
만약, 상기 제1 단말장치가 웹 페이지의 로딩이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한 결과(단계 605), 완료된 경우 상기 제1 단말장치는 비트 1을 클리어할 수 있다(단계 608).
또한, 상기 제1 단말장치가 상기 제2 단말장치의 미디어의 로딩이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한 결과(단계 606), 완료된 경우 상기 제1 단말장치는 비트 2을 클리어 할 수 있다(단계 609).
만약, 상기 제1 단말장치의 판단결과 상기 상태값이 00인 경우에, 상기 제1 단말장치 및 상기 제2 단말장치에서의 웹 페이지들이 모두 로딩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단계 610).
상기 제1 단말장치 및 상기 제2 단말장치에서의 웹 페이지들에 대한 로딩 여부는 도면부호 620과 같이 상태값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고, 로딩 상태는 웹 페이지의 일측에서 도면부호 630의 로딩 인디케이터와 같이 표시될 수 있다.
도면부호 620과 같이 상태값은 아래와 같이 정의될 수 있다.
00: 평상시: 보이지 않거나 정지되어 있음
11: 두 미디어가 모두 로딩 중
01: 자신의 미디어는 로딩을 완료하였으나 상대방 미디어는 로딩 중
10: 상대방 미디어는 로딩을 완료하였으나 자신의 미디어는 로딩 중
과 같은 네 가지의 상태로 표시되어 웹 페이지의 로딩 상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단말장치는 상태값이 00이 됨에 따라서, 로딩된 미디어를 재생할 수 있다(단계 610).
만약, 재생 중에 네트웍 속도에 의해서 일시정지 되거나 버퍼링된다면(단게 611) 상기 제1 단말장치는 메시지를 이용하여, 제2 단말기에 일시정지의 상태를 전송하고(단계 612), 상태값을 11로 설정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1 단말장치는 상대방으로부터 일시정지와 관련된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단계 613)에 현재 재생 중인 미디어를 일시정지한 후 상태값을 11로 설정할 수 있다.
도 7은 대화 중 미디어 공유를 위해 웹 페이지로부터의 음악 또는 비디오 재생시 동기화된 미디어 플레이어를 구동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새로운 웹 페이지의 요청인 경우(단계 701), 고유의 미디어 요청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단계 702).
만약, 고유의 미디어 요청인 경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은 미디어 플레이어를 구동하여 미디어를 로딩하고 재생을 시작할 수 있다(단계 703).
만약, 고유의 미디어 요청이 아닌 경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은 웹 페이지를 로딩하고(단계 704), 웹 페이지가 로딩 완료되면 DOM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단계 705).
DOM 검사 결과에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은 로딩된 웹 페이지 상에 미디어 요청 유알엘이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단계 706).
만약, 로딩된 웹 페이지 상에 미디어 요청 유알엘이 포함되어있지 않다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은 웹 페이지의 로딩을 완료한다(단계 707).
또한, 로딩된 웹 페이지 상에 미디어 요청 유알엘이 포함되었다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은 미디어 유알엘 변경을 수행한다(단계 708). 미디어 URL의 변경은 어플리케이션이 로딩된 웹 페이지의 DOM을 수정하는 자바스크립트를 인젝션하여 처리하여 웹 페이지의 로딩을 완료한다(단계 707).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시스템 110: 통화 서버
120: 컨텐츠 서버 130: 제1 단말장치
140: 제2 단말장치 131, 141: 스크린
132, 142: 웹 브라우져 동기화 처리부 133: 대화 서비스 제공부

Claims (28)

  1. 제2 단말장치와의 대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화 서비스 제공부; 및
    상기 대화 서비스의 제공 중에, 제1 유알엘을 이용하여 표시되는 제1 웹 페이지와 상기 제2 단말장치의 웹 브라우져에서 표시되는 제2 웹 페이지가 동기화되도록 제어하는 웹 브라우져 동기화 처리부
    를 포함하고,
    상기 웹 브라우져 동기화 처리부는,
    상기 제1 유알엘이 리디렉션되는 유알엘인지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제1 웹 페이지 및 상기 제2 웹 페이지의 동기화에 반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단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웹 브라우져 동기화 처리부는,
    상기 제1 웹 페이지의 로딩에 이용되는 상기 제1 유알엘을 상기 제2 단말장치에 전송하여, 상기 제2 단말장치의 웹 브라우져가 상기 제1 유알엘로 식별되는 제2 웹 페이지를 로딩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단말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웹 브라우져 동기화 처리부는,
    상기 제1 유알엘이 리디렉션되는 유알엘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리디렉션되는 유알엘인 경우 상기 제2 단말장치로 전송하지 않고, 리디렉션되는 유알엘이 아닌 경우 상기 제2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단말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웹 브라우져 동기화 처리부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발생하는 입력신호를 확인하고, 상기 입력신호에 의해서 상기 제1 유알엘이 발생한 경우 사용자 입력 변수값을 트루(true) 값으로 설정하는 제1 단말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웹 브라우져 동기화 처리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 변수값을 확인하여, 트루(true) 값으로 설정된 경우에 상기 제2 단말장치로 상기 제1 유알엘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단말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웹 브라우져 동기화 처리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 변수값을 확인하여, 트루(true) 값으로 설정되지 않은 경우에 상기 제2 단말장치로 상기 제1 유알엘을 전송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단말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로딩 중인 상기 제1 웹 페이지와, 상기 제2 단말장치에서 로딩 중인 제2 웹 페이지의 로딩 상황을 표시하는 로딩 인디케이터 표시부
    를 더 포함하는 제1 단말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로딩 인디케이터 표시부는,
    상기 제1 웹 페이지 및 상기 제2 웹 페이지가 모두 로딩 중인 경우, 상기 제2 웹 페이지만 로딩 중인 경우, 및 상기 제1 웹 페이지만 로딩 중인 경우를 구분하여 표시하는 제1 단말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웹 브라우져 동기화 처리부는,
    상기 제2 단말장치의 웹뷰 컴포넌트에서 실행될 자바스크립트를 이벤트 전달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의 인자로 설정하고 상기 이벤트 전달 API를 실행하여, 상기 제2 단말장치로 게임 이벤트를 전송하여 실행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단말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웹 게임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는, 상기 제1 단말장치 및 상기 제2 단말장치가 쿠키에 저장하는 콜 세션 아이디와 단말 식별 아이디를 사용하여 게임 내에서의 아이덴티티 (Identity)를 결정하는 제1 단말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웹 브라우져 동기화 처리부는,
    로딩된 상기 제1 웹 페이지에 대한 제1 특징정보를 추출하는 특징정보 추출부;
    상기 제2 단말장치로 상기 제1 특징정보를 전송하거나, 상기 제2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제2 웹 페이지에 대한 제2 특징정보를 수신하는 특징정보 송수신부; 및
    상기 추출된 제1 특징정보와 상기 수신된 제2 특징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제1 웹 페이지와 상기 제2 웹 페이지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동일여부 판단부
    를 포함하는 제1 단말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특징정보는 상기 제1 웹 페이지를 구성하는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 파일의 크기 및 화면 사이즈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특징정보는 상기 제2 웹 페이지를 구성하는 HTML 파일의 크기 및 화면 사이즈 중에서 상기 제1 특징정보와 동일한 유형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단말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웹 브라우져 동기화 처리부는,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제1 웹 페이지와 상기 제2 웹 페이지가 동일하지 않은 경우에, 상기 제1 웹 페이지 및 상기 제2 웹 페이지를 마지막으로 동일하다고 판단되었던 웹 페이지의 유알엘을 이용하여 동기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단말장치.
  14. 제2 단말장치와의 대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화 서비스 제공부;
    상기 대화 서비스의 제공 중에, 제1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상기 입력된 제어 신호로부터, 상기 제1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저장된 주소인 제1 유알엘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제1 유알엘을 상기 제2 단말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제2 단말장치가 제2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동기화 처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단말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동기화 처리부는,
    상기 제1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로딩이 완료된 경우에 상기 제2 단말장치로 로딩 완료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단말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동기화 처리부는,
    상기 제2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제2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로딩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에 상기 제1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단말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동기화 처리부는,
    상기 제1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재생이 중지된 경우에, 재생 중지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제2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단말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동기화 처리부는,
    상기 제2 단말장치로부터 재생 중지 메시지를 수신하며, 현재 재생 중인 상기 제1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재생을 중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단말장치.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장치에서 로딩 중인 제1 멀티미디어 컨텐츠와, 상기 제2 단말장치에서 로딩 중인 제2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로딩 상황을 표시하는 로딩 인디케이터 표시부
    를 더 포함하는 제1 단말장치.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동기화 처리부는,
    상기 제1 단말장치가 플레이어를 이용하여 재생하는 상기 제1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정보를 추출하여 전달하고, 상기 제2 단말장치가 상기 플레이어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제어하는 제1 단말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동기화 처리부는,
    상기 제1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는 플레이어에 대한 고유의 유알엘 스킴을 정의하고, 상기 제어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정의된 유알엘 스킴을 확인하여 상기 플레이어를 통해 상기 제1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는 제1 단말장치.
  22. 대화 서비스 제공부에서 제2 단말장치와의 대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 및
    웹 브라우져 동기화 처리부에서, 상기 대화 서비스의 제공 중에, 제1 유알엘을 이용하여 표시되는 제1 웹 페이지와 상기 제2 단말장치의 웹 브라우져에서 표시되는 제2 웹 페이지가 동기화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웹 브라우져 동기화 처리부는,
    상기 제1 유알엘이 리디렉션되는 유알엘인지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제1 웹 페이지 및 상기 제2 웹 페이지의 동기화에 반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웹 브라우져 동기화 처리부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발생하는 입력신호를 확인하고, 상기 입력신호에 의해서 상기 제1 유알엘이 발생한 경우 사용자 입력 변수값을 트루(true) 값으로 설정하며, 상기 사용자 입력 변수값을 확인하여, 트루(true) 값으로 설정된 경우에 상기 제2 단말장치로 상기 제1 유알엘을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
  24. 제22항에 있어서,
    로딩 인디케이터 표시부에서, 상기 제1 웹 페이지 및 상기 제2 웹 페이지가 모두 로딩 중인 경우, 상기 제2 웹 페이지만 로딩 중인 경우, 및 상기 제1 웹 페이지만 로딩 중인 경우를 구분하여 로딩 상황을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제1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
  2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웹 브라우져 동기화 처리부에서,
    상기 제2 단말장치의 웹뷰 컴포넌트에서 실행될 자바스크립트를 이벤트 전달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의 인자로 설정하고 상기 이벤트 전달 API를 실행하여, 상기 제2 단말장치로 게임 이벤트를 전송하여 실행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제1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
  26. 대화 서비스 제공부에서, 제2 단말장치와의 대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대화 서비스의 제공 중에, 제1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및
    멀티미디어 컨텐츠 동기화 처리부에서, 상기 입력된 제어 신호로부터, 상기 제1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저장된 주소인 제1 유알엘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제1 유알엘을 상기 제2 단말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제2 단말장치가 제2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장치가 제2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동기화 처리부에서, 상기 제1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로딩이 완료된 경우에 상기 제2 단말장치로 로딩 완료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제2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로딩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에 상기 제1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
  28. 제22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10079706A 2011-08-10 2011-08-10 대화 중 웹 기반 서비스를 공유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12818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9706A KR101281893B1 (ko) 2011-08-10 2011-08-10 대화 중 웹 기반 서비스를 공유하는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9706A KR101281893B1 (ko) 2011-08-10 2011-08-10 대화 중 웹 기반 서비스를 공유하는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7334A true KR20130017334A (ko) 2013-02-20
KR101281893B1 KR101281893B1 (ko) 2013-07-03

Family

ID=47896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9706A KR101281893B1 (ko) 2011-08-10 2011-08-10 대화 중 웹 기반 서비스를 공유하는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18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05375B2 (en) 2013-11-11 2020-10-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device, method and network system for displaying webpag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3342A (ko) * 2000-01-14 2001-08-01 이정태 웹페이지 동기화 장치 및 방법
KR100429059B1 (ko) * 2001-05-24 2004-04-28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클라이언트간 데이터 직접 통신을 이용한 다자간웹브라우저 동기화 방법 및 시스템
KR100390172B1 (en) 2003-03-22 2003-07-04 Knowledge Info Net Service Inc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internet contents providing service using redirection method
KR101135087B1 (ko) * 2009-08-12 2012-04-16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05375B2 (en) 2013-11-11 2020-10-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device, method and network system for displaying webp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1893B1 (ko) 2013-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264361A1 (en) Web page running method and apparatus, terminal, and storage medium
US9787774B2 (en) Interacting with cloud-based applications using unrelated devices
KR102197248B1 (ko) 다른 형태의 정보 공유를 통한 코브라우징의 통합
US20170311039A1 (en) Interactio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client, service platform, and storage medium
WO2016139977A1 (ja) サーバ、サーバ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936712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llaborative browsing on the telecom web
US20130179491A1 (en) Access controls for communication sessions
CN110149270B (zh) 用于即时消息传送的设备和方法
US11524229B2 (en) Methods, systems, and media for enhancing multiplayer game sessions with asymmetric information
WO2017080145A1 (zh) 一种信息处理方法及终端、计算机存储介质
WO2021190341A1 (zh) 信息交互方法、装置和电子设备
US9592446B2 (en) Electronic game providing device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storing electronic game program
KR20140031399A (ko) 애플리케이션 상태를 송신하는 방법 및 시스템
CN111586452A (zh) 用于跨设备互动的方法及装置、播放设备
CN113411652A (zh) 媒体资源播放方法和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KR20220090411A (ko) 게임 생방송 방법, 장치 및 디바이스
CN110784597A (zh) 自动相机选择
JP2015080561A (ja) 電子ゲーム提供装置、電子ゲーム装置、電子ゲーム提供プログラム及び電子ゲームプログラム
CN111901695B (zh) 视频内容截取方法、装置和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WO2017140226A1 (zh) 视频处理方法及其设备
CN116263914A (zh) 文档处理方法及相关产品
CN107038201A (zh) 个人主页的显示方法、装置、终端及服务器
KR101281893B1 (ko) 대화 중 웹 기반 서비스를 공유하는 시스템 및 방법
US20170289239A1 (en) User interface delegation to a delegated device
WO2017165253A1 (en) Modular communic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