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6887A - 응급 구조용 키트 - Google Patents

응급 구조용 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6887A
KR20130016887A KR1020110079074A KR20110079074A KR20130016887A KR 20130016887 A KR20130016887 A KR 20130016887A KR 1020110079074 A KR1020110079074 A KR 1020110079074A KR 20110079074 A KR20110079074 A KR 20110079074A KR 20130016887 A KR20130016887 A KR 201300168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xygen
breathing mask
unit
pad
oxygen breat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9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74355B1 (ko
Inventor
김장석
이해인
Original Assignee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0790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4355B1/ko
Publication of KR201300168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68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43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43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producing shock effects
    • A61N1/39Heart defibrillators
    • A61N1/3904External heart defibrillators [EHD]
    • A61N1/39044External heart defibrillators [EHD] in combination with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PR]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1/00Artificial respiration or heart stimulation, e.g. heart mass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6Respiratory or anaesthetic mas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producing shock effects
    • A61N1/39Heart defibrillators
    • A61N1/3975Power supply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1/00Containers or portable cabins for affording breathing protection with devices for reconditioning the breathing air or for ventilating, in particular those that are suitable for invalids or small children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7/00Respiratory apparatus
    • A62B7/02Respiratory apparatus with compressed oxygen or ai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Critical Car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가 간편하면서도 응급환자에 대한 산소호흡과 심폐소생술을 편리하고 신속하게 시행하여 응급환자의 구조에 활용할 수 있는 응급 구조용 키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응급환자의 호흡기 형태에 부합되게 형성된 산소호흡 마스크(11)와 상기 산소호흡 마스크(11)와 파이프(17)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산소호흡 마스크(11)로 산소를 공급하는 산소탱크(15)를 포함하는 산소공급부(10); 일단에는 상기 산소호흡 마스크(11)가 설치되고 타단에는 산소탱크(15)가 설치되며, 측단이 힌지결합되어 회동되는 베이스부(30)와 회동부(40)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부(30)의 내측에는 의료용품의 수납공간(33)이 마련되고 외측에는 디스플레이부(50)가 구비되며, 상기 회동부(40)에는 내측으로 배터리 장착부(43)가 구비되는 케이스부(20); 상기 베이스부(30)의 양단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패드(61)를 포함하고, 상기 패드(61)와 연결된 전선을 통해 심장박동을 확인하고 전류를 공급하는 자동제세동기부(60); 및 상기 배터리 장착부(43)에 실장되는 배터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응급 구조용 키트{FIRST AID KIT}
본 발명은 응급 구조용 키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가 간편하면서도 응급환자에 대한 산소호흡과 심폐소생술을 편리하고 신속하게 시행하여 응급환자의 구조에 활용할 수 있는 응급 구조용 키트에 관한 것이다.
해가 거듭될수록 심장질환으로 인한 사망자는 갈수록 증가하고 있다. 그로 인해 2000년 9월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이 개정되어 공공 보건의료기관, 다중 이용시설 등에 심폐소생을 위한 응급장비 구비가 의무화되었다.
그런데도 불구하고, 통계자료에 의하면 심장질환에 관련된 심폐소생술을 배우거나 할 줄 아는 사람은 거의 없는 실정이다. 그리고 심장이 갑자기 멎는 응급상황의 대부분이 가정이나 공공장소에서 발생한다고 한다. 하지만 구조요원을 호출하는 것 이외에는 가정이나 공공장소에서 대처할 수 있는 방안이 거의 없어 응급환자의 구조에 어려움이 있었다.
한편, 가정이나 공공장소에 응급 구조용 장비가 구비되어 있다 하더라도, 그러한 장비는 전문성이 없거나, 너무 전문적이어서 일반인들은 쉽게 이용할 수 없는 것들이었다. 따라서 장비가 있더라도 실제로는 무용지물에 가까워 응급환자의 구조에는 활용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언제 어디서나 응급상황 발생시 전문적인 지식이 없어서 쉽게 응급조치가 가능한 응급 구조용 키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컴팩트하여 휴대가 가능하면서도 응급구조 장비의 안정적인 설치 및 사용이 가능한 응급 구조용 키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응급 구조용 키트에 관한 것으로, 응급환자의 호흡기 형태에 부합되게 형성된 산소호흡 마스크와 상기 산소호흡 마스크와 파이프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산소호흡 마스크로 산소를 공급하는 산소탱크를 포함하는 산소공급부; 일단에는 상기 산소호흡 마스크가 설치되고 타단에는 산소탱크가 설치되며, 측단이 힌지결합되어 회동되는 베이스부와 회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부의 내측에는 의료용품의 수납공간이 마련되고 외측에는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며, 상기 회동부에는 내측으로 배터리 장착부가 구비되는 케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양단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패드와 연결된 전선을 통해 심장박동을 확인하고 전류를 공급하는 자동제세동기부; 및 상기 배터리 장착부에 실장되는 배터리;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산소호흡 마스크의 일측에는 상기 산소호흡 마스크를 파지할 수 있는 파지부가 마련되고, 상기 파지부는 상기 케이스의 일단에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산소호흡 마스크는 단면상 상기 파지부에 포함되는 크기를 갖는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는, 상기 산소탱크에 의한 산소 공급여부와, 상기 자동제세동기부의 작동, 조작 요령 및 심박동수가 표시된다.
아울러, 상기 자동제세동기부의 패드는 상기 회동부에 대한 안정적인 장착과 임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복수개의 클립으로 상기 회동부에 설치되고, 상기 클립을 파지하여 상기 패드를 상기 회동부로부터 이탈시키면 상기 자동제세동기부는 작동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응급 구조용 키트에 의하면, 언제 어디서나 응급상황 발생시 전문적인 지식이 없어서 쉽게 응급조치가 가능하므로, 응급환자를 병원에 이송하기 전에도 응급환자의 생존률을 현저히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컴팩트하여 휴대가 가능하면서도 응급구조 장비의 안정적인 설치 및 사용이 가능하여 휴대성, 보관성 및 사용편의성이 증대되는 이점이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응급 구조용 키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응급 구조용 키트의 개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부분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산소공급부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제세동기부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응급 구조용 키트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더불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응급 구조용 키트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응급 구조용 키트의 개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부분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산소공급부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제세동기부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응급 구조용 키트는 산소공급부(10), 케이스부(20), 자동제세동기부(60) 및 배터리(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산소공급부(10)는 응급환자의 호흡기 형태에 부합되게 형성된 산소호흡 마스크(11)와, 상기 산소호흡 마스크(11)와 플랙서블한 파이프(17)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산소호흡 마스크(11)로 산소를 공급하는 산소탱크(15)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산소호흡 마스크(11)의 일측에는 상기 산소호흡 마스크(11)를 파지할 수 있는 파지부(13)가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파지부(13)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스부(20)의 일단에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케이스가 원통형으로 이루어졌으므로, 상기 파지부(13)는 상기 원통형의 케이스부(20)에 삽입될 수 있는 원형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산소호흡 마스크(11)는 단면상 상기 파지부(13)에 포함되는 크기를 갖는다. 이는 상기 파지부(13)의 외형이 상기 케이스부(20)에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마련되므로, 상기 산소호흡 마스크(11)가 상기 파지부(13)의 외형으로 돌출되지 않고 단면상 상기 파지부(13)에 포함되어야 상기 파지부(13)의 삽입시 산소호흡 마스크(11)도 케이스부(20)로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기 때문이다.
아울러, 상기 파이프(17)는 상기 케이스부(20)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케이스부(20)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상기 케이스부(20)의 베이스부(30) 내부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산소탱크(15)의 개폐는 전자밸브(미도시)에 의해 이루어지고, 케이스부(20)의 디스플레이부(50)에 마련된 시작 버튼(38b)을 누름에 의해 개방되고, 정지 버튼(38c)을 누름에 의해 폐쇄된다.
케이스부(20)는 본 발명의 외관을 형성하는 구성으로서, 베이스부(30)와 회동부(40) 및 디스플레이부(50)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부(30)의 일단에는 상기 산소호흡 마스크(11)가 파지부(13)에 의해 설치되고, 타단에는 산소탱크(15)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산소탱크(15)는 상기 베이스부(30)의 타단에 마련된 장착부(31)에 설치되고, 상기 장착부(31)에는 상기 산소탱크(15)의 착탈과 보호를 위한 커버(32)가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부(30)의 중단에는 의료용품의 수납을 위한 수납공간(33)이 마련된다.
또한 상기 회동부(40)는 상기 베이스부(30)와 측단에서 힌지 결합되어 회동함으로서 케이스부(20)의 내부를 개방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베이스부(30)에 대한 회동부(40)의 개폐 동작과 케이스부(20)의 파지를 용이하게 하도록 상기 베이스부(30)와 회동부(40)에는 각각 손잡이(34, 41)가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회동부(40)의 임의 회동에 의한 케이스부(20)의 개방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회동부(40)와 베이스부(30)가 접촉하는 부위에는 잠금편(42)이 마련된다. 이때 상기 잠금편(42)으로는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잘 알려진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동부(40)의 내측에는 배터리 장착부(43)가 마련되어 상기 배터리 장착부(43)로 배터리가 장착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아울러, 상기 베이스부(30)의 외측에는 디스플레이부(50)가 마련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50)와 인접하여 전원 버튼(38a), 시작 버튼(38b), 정지 버튼(38c), 상/하 이동 버튼(38d) 등이 마련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50)에는, 상기 산소탱크(15)에 의한 산소 공급여부와, 자동제세동기부(60)의 작동, 조작 요령 및 심박동수가 표시된다.
자동제세동기부(AED)(60)는 상기 베이스부(30)의 양단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패드(61)를 포함하고, 상기 패드(61)와 연결된 전선을 통해 심장박동을 확인하고 전류를 공급한다. 이때 상기 자동제세동기부(60)는 상기 배터리 장착부(43)에 실장되는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다.
그리고 상기 패드(61)는 상기 베이스부(30)에 대한 안정적인 장착과 임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복수개의 클립(63)으로 상기 베이스부(30)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패드(61)는 평판 형태로 이루어지는데 반해, 상기 베이스부(30)의 삽입부(35)는 곡면을 이루고 있다. 또한 상기 클립(63)은 복수개로 이루어지고, 전후진시 상기 삽입부(35)에 마련된 걸림편(36)에 장착 및 이탈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패드(61)를 상기 삽입부(35)에 삽입하려면 상기 패드(61)를 약간 구부려 진입시키고, 진입되는 도중에 상기 클립(63)이 걸림편(36)에 걸리면서 임의 이탈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걸림편(36)에는 스위칭 단자(37)가 마련되어 상기 클립(63)의 장착시에는 개방되고 클립(63)의 이탈시에는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클립(63)을 파지하여 상기 패드(61)를 상기 베이스부(30)로부터 이탈시키면 상기 자동제세동기부(60)는 스위칭 단자(37)가 연결됨에 따라 작동을 개시한다.
아울러, 상기 클립(63)은 응급환자의 의복에 패드(61)를 설치할 때도 사용될 수 있고, 패드(61)를 임시로 보관할 때에도 임의의 위치에 장착하는 용도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 : 산소공급부 20 : 케이스부
30 : 베이스부 40 : 회동부
50 : 디스플레이부 60 : 자동제세동기부

Claims (4)

  1. 응급환자의 호흡기 형태에 부합되게 형성된 산소호흡 마스크(11)와 상기 산소호흡 마스크(11)와 파이프(17)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산소호흡 마스크(11)로 산소를 공급하는 산소탱크(15)를 포함하는 산소공급부(10);
    일단에는 상기 산소호흡 마스크(11)가 설치되고 타단에는 산소탱크(15)가 설치되며, 측단이 힌지결합되어 회동되는 베이스부(30)와 회동부(40)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부(30)의 내측에는 의료용품의 수납공간(33)이 마련되고 외측에는 디스플레이부(50)가 구비되며, 상기 회동부(40)에는 내측으로 배터리 장착부(43)가 구비되는 케이스부(20);
    상기 베이스부(30)의 양단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패드(61)를 포함하고, 상기 패드(61)와 연결된 전선을 통해 심장박동을 확인하고 전류를 공급하는 자동제세동기부(60); 및
    상기 배터리 장착부(43)에 실장되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 구조용 키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소호흡 마스크(11)의 일측에는 상기 산소호흡 마스크(11)를 파지할 수 있는 파지부(13)가 마련되고,
    상기 파지부(13)는 상기 케이스의 일단에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산소호흡 마스크(11)는 단면상 상기 파지부(13)에 포함되는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 구조용 키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50)에는, 상기 산소탱크(15)에 의한 산소 공급여부와, 상기 자동제세동기부(60)의 작동, 조작 요령 및 심박동수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 구조용 키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제세동기부(60)의 패드(61)는 상기 베이스부(30)에 대한 안정적인 장착과 임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복수개의 클립(63)으로 상기 베이스부(30)에 설치되고,
    상기 클립(63)을 파지하여 상기 패드(61)를 상기 베이스부(30)로부터 이탈시키면 상기 자동제세동기부(60)는 작동을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 구조용 키트.
KR1020110079074A 2011-08-09 2011-08-09 응급 구조용 키트 KR1012743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9074A KR101274355B1 (ko) 2011-08-09 2011-08-09 응급 구조용 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9074A KR101274355B1 (ko) 2011-08-09 2011-08-09 응급 구조용 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6887A true KR20130016887A (ko) 2013-02-19
KR101274355B1 KR101274355B1 (ko) 2013-06-13

Family

ID=47896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9074A KR101274355B1 (ko) 2011-08-09 2011-08-09 응급 구조용 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435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7596A (ko) * 2015-04-27 2016-11-04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환자 감시 및 응급소생처치를 위한 통합 기능성 구급 침상 플랫폼 장치
AU2019203196A1 (en) * 2018-08-16 2020-03-05 Commhealth Systems Pty Limited Portable monitored aed system and street furniture for an aed
CN112043508A (zh) * 2020-09-22 2020-12-08 深圳市安保科技有限公司 急救包
KR20230027524A (ko) * 2021-08-19 2023-02-28 장연희 원격관리가 가능한 인명구조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5646A (ko) 2015-04-22 2016-11-01 정재은 다기능 의료가방
KR20210038082A (ko) 2019-09-30 2021-04-07 주식회사 이안로드 응급 키트 및 이를 위한 자동 판매기
KR20210104262A (ko) 2020-02-17 2021-08-25 주식회사 이안로드 응급 키트 자동 판매기 및 그의 처리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26427B2 (en) * 2003-05-12 2007-06-05 Jolife Ab Systems and procedures for treating cardiac arrest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7596A (ko) * 2015-04-27 2016-11-04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환자 감시 및 응급소생처치를 위한 통합 기능성 구급 침상 플랫폼 장치
AU2019203196A1 (en) * 2018-08-16 2020-03-05 Commhealth Systems Pty Limited Portable monitored aed system and street furniture for an aed
AU2019203196B2 (en) * 2018-08-16 2020-08-20 Commhealth Systems Pty Limited Portable monitored aed system and street furniture for an aed
US10905892B2 (en) 2018-08-16 2021-02-02 Zapstand, LLC Portable monitored AED system and street furniture for an AED
US11596799B2 (en) 2018-08-16 2023-03-07 Commhealth Systems Pty Limited Portable monitored AED system and street furniture for an AED
CN112043508A (zh) * 2020-09-22 2020-12-08 深圳市安保科技有限公司 急救包
CN112043508B (zh) * 2020-09-22 2024-03-01 深圳市安保医疗科技股份有限公司 急救包
KR20230027524A (ko) * 2021-08-19 2023-02-28 장연희 원격관리가 가능한 인명구조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4355B1 (ko) 2013-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4355B1 (ko) 응급 구조용 키트
JP5809158B2 (ja) 換気マスク用の保管装置
US9101527B2 (en) Combined cardio pulmonary resuscitation (CPR) and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AED) apparatus and method
BRPI0715035A2 (pt) aparelho de suspensço de dispositivo mÉdico e aparelho para o tratamento de pressço reduzida
US20110218467A1 (en) Portable cardiopulmonary resuscitator for implementing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N207590866U (zh) 一种急救箱
CN110063844A (zh) 一种急救装置
CN208259907U (zh) 一种便携式数字电针治疗仪
CN214208681U (zh) 一种麻醉复苏急救箱
CN211750111U (zh) 一种临床麻醉科用便于携带的诊疗箱
CN211658108U (zh) 一种小儿内科咽喉观察辅助装置
CN208877022U (zh) 一种医疗急救箱
CN211460867U (zh) 一种呼吸内科用急救箱
CN208693838U (zh) 便携式超声机专用消毒盒
CN208659728U (zh) 一种医用护理箱
CN211723701U (zh) 一种哮喘病人用急救护理箱
JP3160689U (ja) 自動体外式除細動器の移送用バッグ
CN211433719U (zh) 一种医用外科护理箱
CN213589171U (zh) 听诊器用紫外杀菌设备
CN220588239U (zh) 一种口腔探照灯
CN219506543U (zh) 一种氧气流量表收纳装置
CN218606824U (zh) 一种带可伸缩磁吸杆的aed急救放置柜
CN211068010U (zh) 雷火灸条用伸缩式手握持装置
CN207837755U (zh) 一种麻醉科用急救箱
CN214549619U (zh) 一种心脏外科微型切口手术器械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