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5793A - 공기정화필터를 가지고 별도의 토출구 노즐간격 조절판이 불필요한 일체형 구조의 에어커튼 - Google Patents

공기정화필터를 가지고 별도의 토출구 노즐간격 조절판이 불필요한 일체형 구조의 에어커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5793A
KR20130015793A KR1020110078020A KR20110078020A KR20130015793A KR 20130015793 A KR20130015793 A KR 20130015793A KR 1020110078020 A KR1020110078020 A KR 1020110078020A KR 20110078020 A KR20110078020 A KR 20110078020A KR 20130015793 A KR20130015793 A KR 201300157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blower
air flow
plate
curt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8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10081B1 (ko
Inventor
최민호
Original Assignee
최민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민호 filed Critical 최민호
Priority to KR10201100780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0081B1/ko
Publication of KR201300157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57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00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00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9/00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e.g. air curta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Use In Laboratory Experiments (AREA)

Abstract

산업용 에어커튼과 동일한 수준 이상의 풍속을 제공하여 적은 비용으로도 효율적인 차단이 가능하고, 바람이 나오지 못하는 공간이 존재하지 않으며, 공기정화필터를 가지고 별도의 토출구 노즐간격 조절판이 불필요한 일체형 구조의 에어커튼이 개시된다. 이를 위하여 블로어와, 상기 블로어에 연결되어 블로어로부터 배출된 공기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공기 유동부와, 상기 공기 유동부의 내부에 설치되어 공기 유동부의 내부공간을 상하로 분획하고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이 관통홀이 구비된 저항판, 및 상기 공기 유동부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하부에 상기 공기 유동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공기를 배출하는 토출구가 형성된 공기 분사부를 포함하는 공기정화필터를 가지고 별도의 토출구 노즐간격 조절판이 불필요한 일체형 구조의 에어커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일반용 에어커튼보다 저렴하거나 동등한 가격(산업용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생산하여 산업용 에어커튼에 버금가는 효율을 달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정화필터를 가지고 별도의 토출구 노즐간격 조절판이 불필요한 일체형 구조의 에어커튼{SINGLE UNIT AIR CURTAIN WITHOUT SEPARATE GAP CONTROLLABLE-BOARD OF EXHAUST HOLE HAVING AIR PURIFYING FILTER}
본 발명은 공기유막을 생성하는 에어커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산업용 에어커튼과 동일한 수준 이상의 풍속을 제공하여 적은 비용으로도 효율적인 차단이 가능하고, 바람이 나오지 못하는 공간이 존재하지 않으며, 공기정화필터를 가지고 별도의 토출구 노즐간격 조절판이 불필요한 일체형 구조의 에어커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커튼은 서로 다른 공기조건을 갖는 경계부에서 양측의 공기가 서로 혼합되지 않도록 강력한 기류를 형성하여 경계부를 형성하도록 함으로서 냉, 온기의 보전이나 냄새 등의 확산을 방지하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에어커튼이 주로 적용되는 것은 상점에서 생선이나 야채와 같이 냉장을 요하나 수시로 상품을 입고 또는 출고해야 하는 경우 사용되는 오픈 쇼케이스의 입구에 적용되거나, 또는 수많은 사람들이 수시로 왕래하여 도어를 항상 개방하고 있는 공공장소에서 냉/난방시스템의 열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출입구 등에 설치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에어커튼은 냉각된 온도나 가열된 공기를 분사시켜 주는 것으로 대부분 단일 온도의 공기를 단일 방향으로 분사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일예로서, 종래의 에어커튼 구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부 전면에 외부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구(112)가 형성되며 상기 흡입구의 전면에서 직하방으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송풍구가 형성된 케이스(110)와, 케이스 내측에 설치되어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토출구(114)를 통해 배출하여 공기차단막을 형성하는 송풍팬(120)과 송풍팬을 회전시키는 송풍모터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조는 송풍모터와 송풍팬의 구동에 의해 케이스의 흡입구로 공기를 흡입하여 토출구를 통해 직하방으로 흡입공기를 배출함으로써 공기유막을 형성하는 것이다.
다만, 이러한 구조는 견고한 공기유막을 형성하기 어렵고, 케이스의 전면에 이물질이 쌓이게 되어 미관을 해칠 뿐만 아니라, 잦은 정비를 해주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배출구가 여러 개로 구성되고, 각 케이스 사이에 송풍모터의 설치폭 만큼 갭이 존재하게 되며, 이러한 갭에 의해 송풍음영지역(사각지역; dead zone)이 생성되어, 균일하고 넓은 범위로 공기를 배출시킬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진동 또는 소음을 유발시키는 등의 여러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송풍팬을 내장한 넓은 공간에서 바람이 분사되므로, 고속분사를 위해서는 많은 에너지가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다.
다른 일예로서, 종래의 에어커튼 구조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배출하는 블로어와, 상기 블로어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사각기둥형의 챔버(210)와, 상기 챔버의 하부에 부착되어 공기가 토출되는 노즐을 형성하도록 한 쌍으로 조립되는 노즐 간격조절판(221, 222) 및 상기 노즐 간격조절판을 챔버에 고정시키는 고정용 볼트(223, 224)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조는 블로어의 구동에 의해 공기를 흡입하여 한 쌍의 노즐 간격조절판을 통해 형성된 노즐을 통해 하방으로 흡입공기를 배출함으로써 공기유막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는 송풍음영지역이 생성되지 않고, 설치되는 장소에 맞게 챔버에 부착되는 노즐 간격조절판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노즐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챔버 내부를 이동하는 공기의 압력이 균일하지 못하여 노즐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를 통해 형성되는 공기유막의 세기가 균일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가공이 어렵고 부품수가 많아 비교적 높은 제조비용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1-0052006호(2011.05.18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9-0107980호(2009.10.14 공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먼지 등의 이물질이 제거된 공기를 흡입하여 자체의 오염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정화된 공기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길이 방향을 따라 흡입한 공기를 균일하게 배출하며,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토출구의 크기 조절을 위한 조작이 불필요한 일체형 구조의 에어커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배출하는 블로어와, 상기 블로어에 연결되어 블로어로부터 배출된 공기의 이동 경로를 제공할 수 있도록 중공이 형성된 외형을 가지며, 하부가 개방된 구조로 형성된 공기 유동부와, 상기 공기 유동부의 내부에 설치되어 공기 유동부의 내부공간을 상하로 분획하고,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관통홀이 구비되어 공기 유동부 내부의 분사압력을 조절하는 저항판, 및 상기 공기 유동부의 하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광하협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부에 상기 공기 유동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공기를 배출하는 토출구가 형성된 공기 분사부를 포함하는 공기정화필터를 가지고 별도의 토출구 노즐간격 조절판이 불필요한 일체형 구조의 에어커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에어커튼은 송풍팬에 의한 직접분사방식이 아니라 블로어에 의한 간접분사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송풍팬을 사용하는 에어커튼에 비해 작은 부피를 가지며, 하나의 필터만을 사용하여도 이물질이 제거된 공기유막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에어커튼을 설치하는데 요구되는 면적이 감소되기 때문에 실내의 공간 활용성이 향상된다. 그리고 흡입된 공기가 이동하는 통로를 작게 형성할 수 있어 저전력을 가지고도 고압력의 공기분사가 가능하므로,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또한, 필터에 의해 이물질의 유입이 차단되기 때문에 내부에서 곰팡이나 미생물이 번식하지 않아 청정한 공기유막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복수개의 모터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송풍음영지역이 생성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챔버와 노즐 간격조절판의 분리형 구조가 아니라 일체형 구조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부품수가 적고, 가공이 쉽다.
아울러, 본 발명은 일반용 에어커튼보다 저렴하거나 동등한 가격(산업용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생산하여 산업용 에어커튼에 버금가는 효율을 달성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에어커튼을 사용하면 일반용 에어커튼에 비해 견고한 공기유막을 형성하므로, 실내의 냉방 또는 난방 효율이 향상된다.
도 1은 종래의 송풍팬이 사용된 에어커튼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블로어가 사용된 에어커튼의 토출프레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커튼으로 유입된 공기의 이동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커튼의 토출프레임을 나타내는 투과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커튼의 토출프레임의 공기이동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커튼을 설명하기 위한 토출프레임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한 공기정화필터를 가지고 별도의 토출구 노즐간격 조절판이 불필요한 일체형 구조의 에어커튼(이하, '에어커튼'이라 약칭함.)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커튼으로 유입된 공기의 이동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커튼의 토출프레임을 나타내는 투과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커튼은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배출하는 블로어(10), 및 상기 블로어(10)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직하방으로 배출함으로써 공기유막을 형성하는 토출프레임을 포함하며, 필요에 따라 블로어(10)로 흡입되는 외부의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토출프레임은 상기 블로어(10)로부터 배출된 공기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며 하부로 공기를 배출하는 공기 유동부(20)와, 상기 공기 유동부(20)의 내부를 이동하는 공기의 압력을 조절하기 위해 공기 유동부(20)의 내부에 설치되는 저항판(30), 및 상기 공기 유동부(20)를 이동하는 공기의 분사방향을 하부로 기울어지게 가이드하는 공기 분사부(40)를 포함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각 구성요소별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에어커튼은 블로어(10)를 포함한다.
상기 블로어(10)는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를 공기 유동부(20)로 배출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면 어떠한 블로어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이때, 상기 블로어(10)와 공기 유동부(20)를 연결함에 있어 다양한 방식을 사용할 수 있지만 설치작업, 제조원가 등을 고려하여 파이프나 호스 등을 사용해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에어커튼은 필터(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50)는 블로어(10)의 전면 또는 후면에 설치되어 블로어(10)로 흡입되는 외부의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이다.
이러한 필터(50)로는 다공성(porous) 필터를 사용할 수 있는데, 상기 다공성 필터의 바람직한 양태는 입자상 물질의 축적에 따른 막힘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비교적 공극율이 높은 것이 좋고, 제거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입자상 물질과의 유효 접촉면적이 넓은 것이 바람직한 바, 세라믹 허니컴(ceramic honeycomb), 세라믹 폼(ceramic foam) 및 메탈릭 폼(metallic foam)이 좋지만 특별히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필터(50)로는 입자 직경 10㎛ 이상의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포집하는 필터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에, 상기 필터(50)를 사용하면 공기 중에 부유하는 꽃가루나 먼지가 제거된 공기가 블로어(10)에 의해 흡기된다. 또한, 필터(50)로는 공기 중에 포함된 세균을 살균하기 위해 1 내지 30 ㎚ 크기의 금 분말 또는 은 분말이 코팅된 필터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은, 아연, 금, 구리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이온이 흡착된 인산칼륨 분말이 코팅된 필터를 사용할 수도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에어커튼은 공기 유동부(20)를 포함한다.
상기 공기 유동부(20)는 블로어(10)에 연결되어 블로어(10)로부터 배출된 공기의 이동 경로를 제공할 수 있도록 중공이 형성된 외형을 가지는 것으로서, 블로어(10)로부터 배출된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21)가 구비되며, 하부가 개방된 구조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흡입구(21)는 공기 유동부(20)의 상부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흡입구(21)로 유입시킨 공기가 공기 유동부(20) 상부의 선단으로부터 후단으로 이동된 이후 후단면을 따라 공기 유동부(20)의 하부로 이동된 다음 후단으로부터 선단으로 순환되는 과정을 통해 유입시킨 공기를 공기 유동부(20)의 하부로 원활하게 배출시키기 위함이다. 여기서, 상기 선단은 흡입구(21)가 구비된 공기 유동부(20)의 일측면을 의미하며, 상기 후단은 선단에 마주보는 공기 유동부(20)의 타측면을 의미한다.
이러한 공기 유동부(20)는 다면체 형상, 바람직하게는 관 형상 또는 사각기둥 형상(직육면체형 하우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선단에서 후단에 이르기까지 횡축 단면이 동일한 단면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 유동부(20)의 내측면에는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제 1 거치부(22)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제 1 거치부(22)는 저항판(30)을 공기 유동부(20)의 내측면에 수평으로 거치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서, 공기 유동부(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공기 유동부(20)의 내측면에 구비된다. 이때, 제 1 거치부(22)는 저항판(30)을 원활하게 거치할 수 있도록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거치부(22)는 공기 유동부(20)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접착제 등을 통해 공기 유동부(20)의 내측면에 부착될 수도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에어커튼은 저항판(30)을 포함한다.
상기 저항판(30)은 공기 유동부(20)의 내부에 설치되어 공기 유동부의 내부공간을 상하로 분획하는 것으로서,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관통홀(32)이 구비된다. 이때, 관통홀(32)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배출량을 균일하게 조절하기 위해서 상기 복수개의 관통홀(32)은 일정한 간격으로 저항판(30)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관통홀(32)은 공기 유동부(20)의 내부에 형성된 분사압력의 세기에 의한 공기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것으로서, 공기의 배출통로의 면적을 제한하여 분사압력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높은 구간에서도 공기배출량이 다른 구간과 비교하여 더 많이 배출되지 않도록 제어한다.
다시 말해, 복수개의 관통홀(32)은 공기가 이동되는 통로의 면적을 제한하여 상대적으로 분사압력이 높은 공기 유동부(20)의 후단이 선단과 비교하여 공기배출량의 차이가 크지 않도록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복수개의 관통홀이 서로 이웃한 관통홀들과 차단된 상태로 다른 분사압력을 제공받는다면 상대적으로 높은 분사압력을 제공받은 관통홀이 다른 관통홀보다 많은 공기를 배출할 수 있지만, 본원발명의 복수개의 관통홀은 서로 이웃한 관통홀과 공기의 흐름이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각 관통홀이 서로 다른 분사압력을 제공받아도 각 관통홀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량은 비교적 균일하게 유지된다. 이는, 분사압력이 상대적으로 높은 구간에 구비된 관통홀을 통해 미처 다 배출되지 못한 공기가 공기 유동부(20)의 내부에서 작용하는 공기의 흐름에 의해 저항판(30)을 따라 선단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이웃한 관통홀들을 통해 배출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저항판(30)이 공기 유동부(2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지 아니하면, 공기 유동부(20)의 분사압력은 지속적으로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블로어(10)에 연결된 선단과 대향되는 후단이 가장 높게 형성되며, 상기 후단에서 선단 방향으로 이동될수록 분사압력이 낮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공기 분사부(40)에 형성된 토출구로 배출되는 공기량은 상기 후단에서 선단으로 진행될수록 작아지게 된다.
한편, 상기 저항판(30)은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제 1 거치부(2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커버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거치부(22)의 상부에 거치된다.
특정 양태로서, 저항판(30)은 사각형 평판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사각형 평판의 하부에 단차가 형성되도록 돌출부가 추가로 구비되는 ""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차가 형성된 저항판은 상부 양측이 제 1 거치부(22)에 안착되어 상기 제 1 거치부(22)에 의해 지지되며, 돌출부의 저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관통홀(32)이 형성된다. 이러한 저항판은 단차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외력이 작용하여도 좌우 방향으로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제 1 거치부(22)에 거치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에어커튼은 공기 분사부(40)를 포함한다.
상기 공기 분사부(40)는 공기 유동부(20)의 하부로부터 일체로 연장되어 공기 유동부(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공기를 하부로 토출하는 것으로서, 공기의 배출속도를 높일 수 있도록 상광하협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공기 분사부(40)는 그 하부에 공기 유동부(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공기를 배출하는 토출구가 형성된다. 이때, 토출구의 너비는 에어커튼의 사용 장소에 따라 변경될 수 있기 때문에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아울러, 상기 토출구는 복수개의 단속적인 구멍이나 연속적인 틈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커튼의 토출프레임의 공기이동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커튼을 설명하기 위한 토출프레임의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에어커튼은 하나 이상의 공기압 조절판(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압 조절판(60)은 저항판(30)에 이격된 상태로 저항판(30)의 하부에 구비되며 공기 유동부(30) 또는 공기 분사부(40)의 내부에 하나 이상이 설치되는 것으로서, 토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량을 균일하게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공기압 조절판(60)의 설치 개수는 에어커튼의 사용처 및 크기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므로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상기 공기압 조절판(60)은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관통홈(62)이 구비된다. 이러한 복수개의 관통홈(62)은 저항판(30)에 형성된 복수개의 관통홀(32)과 서로 엇갈리도록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복수개의 관통홈(62)이 복수개의 관통홀(32)과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되면, 관통홀(32)을 통과하는 공기가 그대로 관통홀(32)을 통과한 후 토출구로 배출되므로, 공기압 조절판(60)의 토출구 배출량 조절기능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공기압 조절판(60)은 저항판(30)의 관통홀(32)을 통해 1차 조절한 공기 유동부(20) 내부의 분사압력을 관통홈(62)을 통해 2차 조절하여 어느 위치의 토출구에서도 배출되는 공기량이 균일하게 되도록 제어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유동부(30)의 후단에 위치한 임의의 제 1 관통홀로 배출된 공기는 일부가 공기 유동부(30) 또는 공기 분사부(40)의 후단에 위치한 임의의 제 1 관통홈으로 배출되며, 나머지 일부는 공기압 조절판(60)을 따라 이동되다가 상기 제 1 관통홈에 이웃한 관통홈들을 통해 배출된다.
한편, 상기 공기압 조절판(60)을 저항판(30)의 하부에 거치시키기 위해, 상기 공기 유동부(20)나 공기 분사부(40)의 내측면에는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제 2 거치부(24)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제 2 거치부(24)는 제 1 거치부(22)의 하부에 소정거리로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공기압 조절판(60)은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제 2 거치부(24)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커버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제 2 거치부(24)의 상부에 거치된다.
특정 양태로서, 상기 공기압 조절판(60)은 사각형 평판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사각형 평판의 하부에 단차가 형성되도록 돌출부가 추가로 구비되는 "
Figure pat00002
"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차가 형성된 공기압 조절판(60)은 상부 양측이 제 2 거치부(24)에 안착되어 상기 제 2 거치부(24)에 의해 지지되며, 돌출부의 저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관통홈(62)이 형성된다. 이러한 공기압 조절판(60)은 단차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외력이 작용하여도 좌우 방향으로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제 2 거치부(24)에 거치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커튼의 동작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블로어(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스위치를 온하여 블로어(10)가 구동시키면 상기 블로어(10)는 외부의 공기를 흡입한 후 흡입된 공기를 공기 유동부(20)로 배출한다.
그 다음, 상기 블로어(10)로부터 공기 유동부(20)로 유입된 공기는 흡입구(21)를 통과하여 공기 유동부(20)의 내부를 따라 이동하면서 공기 유동부(20)의 내부에 설치된 저항판(30)과 부딪치게 된다. 이러한 과정 중 공기는 저항판(30)에 구비된 복수개의 관통홀(32)을 통해 배출됨으로써 저항판(30)의 상부에서 서로 다른 크기로 작용하는 분사압력이 1차로 조절되어 저항판(30)의 하부에서 비교적 균일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어서, 도 5와 같이 저항판(30)의 관통홀(32)을 통과한 공기가 공기압 조절판(60)에 구비된 복수개의 관통홈(62)을 통과하는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저항판(30)과 공기압 조절판(60)의 사이에서 작용하는 분사압력이 조절되어 공기압 조절판(60)의 하부에서 작용하는 분사압력은 균일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관통홀(32)을 통과한 공기 중 일부는 인접한 위치에 형성된 관통홈(62)을 통과하고, 나머지 일부는 공기압 조절판(60)을 따라 이동하다가 상기 관통홈(62)에 이웃한 관통홈(62)들을 통과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공기압 조절판(60)의 관통홈(62)을 통과한 공기는 공기 분사부(40)를 따라 하부로 이동되다가 토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커튼은 공기 유동부(20)의 내부에 작용하는 분사압력을 부분적으로 제어하는 저항판(30) 및 공기압 조절판(60)이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토출구의 전 구간에서 분사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어 공기 유동부(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세기의 공기유막을 형성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블로어 20 : 공기 유동부
22 : 제 1 거치부 24 : 제 2 거치부
30 : 저항판 32 : 관통홀
40 : 공기 분사부 42 : 관통홈
50 : 필터 60 : 공기압 조절판

Claims (5)

  1.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배출하는 블로어;
    상기 블로어에 연결되어 블로어로부터 배출된 공기의 이동 경로를 제공할 수 있도록 중공이 형성된 외형을 가지며, 하부가 개방된 구조로 형성된 공기 유동부;
    상기 공기 유동부의 내부에 설치되어 공기 유동부의 내부공간을 상하로 분획하고,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관통홀이 구비되어 공기 유동부 내부의 분사압력을 조절하는 저항판; 및
    상기 공기 유동부의 하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광하협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부에 상기 공기 유동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공기를 배출하는 토출구가 형성된 공기 분사부를 포함하는 공기정화필터를 가지고 별도의 토출구 노즐간격 조절판이 불필요한 일체형 구조의 에어커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로어의 전면 또는 후면에 설치되어 상기 블로어로 흡입되는 외부의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필터를 가지고 별도의 토출구 노즐간격 조절판이 불필요한 일체형 구조의 에어커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판에 이격된 상태로 저항판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공기 유동부 또는 공기 분사부의 내부에 설치되며,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관통홈이 구비되어 상기 토출구의 분사압력을 균일하게 조절하는 공기압 조절판을 포함하는 공기정화필터를 가지고 별도의 토출구 노즐간격 조절판이 불필요한 일체형 구조의 에어커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관통홈은
    상기 복수개의 관통홀과 서로 엇갈리도록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필터를 가지고 별도의 토출구 노즐간격 조절판이 불필요한 일체형 구조의 에어커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동부의 내측면에 상기 저항판을 거치시킬 수 있도록 공기 유동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공기 유동부의 내측면에 구비되는 제 1 거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필터를 가지고 별도의 토출구 노즐간격 조절판이 불필요한 일체형 구조의 에어커튼.
KR1020110078020A 2011-08-05 2011-08-05 공기정화필터를 가지고 별도의 토출구 노즐간격 조절판이 불필요한 일체형 구조의 에어커튼 KR1013100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8020A KR101310081B1 (ko) 2011-08-05 2011-08-05 공기정화필터를 가지고 별도의 토출구 노즐간격 조절판이 불필요한 일체형 구조의 에어커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8020A KR101310081B1 (ko) 2011-08-05 2011-08-05 공기정화필터를 가지고 별도의 토출구 노즐간격 조절판이 불필요한 일체형 구조의 에어커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5793A true KR20130015793A (ko) 2013-02-14
KR101310081B1 KR101310081B1 (ko) 2013-09-24

Family

ID=47895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8020A KR101310081B1 (ko) 2011-08-05 2011-08-05 공기정화필터를 가지고 별도의 토출구 노즐간격 조절판이 불필요한 일체형 구조의 에어커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008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716299C1 (ru) * 2019-08-07 2020-03-11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научное учреждение "Федеральный научный агроинженерный центр ВИМ" (ФГБНУ ФНАЦ ВИМ) Модульная тепловая воздушная завеса для защиты проемов ворот с изменяемым вектором направления воздушной струи и регулируемой шириной щели
KR20210000501A (ko) * 2019-06-25 2021-01-05 세메스 주식회사 기판처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3617B1 (ko) * 2014-07-16 2016-01-11 주식회사 삼우에코 스트립 표면의 유체 유도노즐
KR101583619B1 (ko) * 2014-07-16 2016-01-11 주식회사 삼우에코 스트립 표면의 이물질 제거노즐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70941U (ko) * 1985-04-10 1986-10-23
KR970003678B1 (ko) * 1992-09-17 1997-03-21 김치홍 기체취출(불어서 밖으로 빼는)장치
JP2010117118A (ja) * 2008-11-12 2010-05-27 Tornex Inc 出入口遮断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0501A (ko) * 2019-06-25 2021-01-05 세메스 주식회사 기판처리장치
RU2716299C1 (ru) * 2019-08-07 2020-03-11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научное учреждение "Федеральный научный агроинженерный центр ВИМ" (ФГБНУ ФНАЦ ВИМ) Модульная тепловая воздушная завеса для защиты проемов ворот с изменяемым вектором направления воздушной струи и регулируемой шириной щел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0081B1 (ko) 2013-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53411B1 (en) Air filtration and air purification apparatus
KR100628058B1 (ko) 전열교환기 및 이를 이용한 환기시스템
KR100674271B1 (ko) 환기 청정 장치
KR101310081B1 (ko) 공기정화필터를 가지고 별도의 토출구 노즐간격 조절판이 불필요한 일체형 구조의 에어커튼
KR100912658B1 (ko) 건식 필터청소 기능을 갖는 공기조화기
US20070181000A1 (en) Air quality device
KR101874419B1 (ko) 공기정화장치
US20080092745A1 (en) Air filter with automatic power control device in response to air quality
JP2007192480A (ja) 空気調和機
JP5405943B2 (ja) 空気調和機
KR101776947B1 (ko) 애완동물 하우스
JPH01168316A (ja) 空気清浄装置
JP2010121830A (ja) エアシャワー装置
KR20120033590A (ko) 필터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공기청정기
KR101145604B1 (ko) 에어커튼
KR20120094731A (ko) 공기청정기
KR102344833B1 (ko) 커튼형 공기정화 및 냉방 공급장치
KR100628059B1 (ko) 전열교환기 및 이를 이용한 환기시스템
KR102043834B1 (ko) 벽걸이용 공기청정기
JP2673799B2 (ja) 空気清浄機とパーティションを用いた空調ルーム
KR101211278B1 (ko) 환기 청정 장치
KR20050080473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JP2013127363A (ja) 空気調和機
KR100732043B1 (ko) 공기조화기
NL1024346C2 (nl) Inrichting voor het genereren van een luchtgordij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30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