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5489A - 유연성 필름 히터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유연성 필름 히터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5489A
KR20130015489A KR1020110077501A KR20110077501A KR20130015489A KR 20130015489 A KR20130015489 A KR 20130015489A KR 1020110077501 A KR1020110077501 A KR 1020110077501A KR 20110077501 A KR20110077501 A KR 20110077501A KR 20130015489 A KR20130015489 A KR 201300154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pet film
printing
pet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75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70391B1 (ko
Inventor
오점열
Original Assignee
오점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점열 filed Critical 오점열
Priority to KR10201100775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0391B1/ko
Publication of KR201300154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54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03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03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H05B3/34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flexible, e.g. heating nets or web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2Details
    • H05B3/06Heater element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oupling elements or hold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10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 H05B3/12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 H05B3/14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the material being non-metallic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10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 H05B3/12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 H05B3/14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the material being non-metallic
    • H05B3/145Carbon only, e.g. carbon black, graphit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17Manufacturing methods or apparatus for heaters

Landscapes

  • Surface Heating Bodies (AREA)
  • Resistance Hea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합성수지재 필름 상에 인쇄기법으로 제조되는 필름 히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PET 필름과 우레탄 필름을 합지하여 유연성을 향상시킨 필름 히터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PET 필름은 전기적 및 열적 안정성이 우수하고 인쇄성이 양호한 반면, 꺾임 등의 외력이 가해졌을 때 꺾임면에 소성 변형이 일어나 복원이 되지 않고 특히 인쇄 면에 미세 균열을 초래하여 발열 기능이 현저히 저하되거나, 단선 또는 소손으로 이어지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반면, 우레탄 필름은 외력이 제거되었을 때 원래의 상태로 복원하는 특성이 우수한 소재이기는 하나, 쉽게 늘어나는 특성이 있어서 인쇄면이 쉽게 갈라져서 필름 히터의 인쇄기판으로는 적당하지 못하다.
본 발명에서는 PET 필름과 우레탄 필름이 각각 갖고 있는 장점을 살리고 단점을 상쇄시킨 유연성 필름 히터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주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비극성 소재인 PET 필름과 극성 소재인 우레탄 필름을 합지하는 기술이 요구되는 바,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은 PET 필름의 피착면을 PET 필름에 비해 표면장력이 높은 비극성 프라이머제로 코팅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을 적용하여 만들어진 유연성 필름 히터는, 구김이나 접힘 등의 외부 충격이 반복적으로 가해지더라도 필름의 영구 변형이 발생하지 않아 발열 저항값의 증가로 인한 발열량의 급격한 저하 또는 끊김 등으로 인한 발열 기능 상실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유연성 필름 히터의 제조 방법 {Manufacturing Method for Flexible Film Heater}
본 발명은 전기적 저항체의 특성을 갖는 카본 잉크를 PET 필름에 실크 인쇄하여 제조하는 필름 히터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발열 방석, 발열 침구류와 같이 통상의 사용 조건에서 접힘 등의 외력이 반복적으로 가해지더라도 복원력이 우수한 유연성 필름 히터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전성 물질이면서도 전기 전도도가 상대적으로 낮아서 전기적 저항 특성을 갖는 물질로 가장 널리 알려진 물질이 니크롬선이다. 니크롬선과 같은 저항체에 전기를 가하면 열이 발생하게 된다는 것은 공지의 사실이다. 우리 주변에서 흔히 사용하는 헤어드라이어나 다리미 같은 전열기기의 대부분은 기본적으로 니크롬선의 저항 특성을 이용한 것이다. 한편, 겨울철에 자동차 뒤 유리창이나 사이드 미러에 끼는 성에를 제거하기 위한 수단으로 투명 필름에 저항 물질을 도포하여 부착하고 자동차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인가함으로써 열을 발생시키는 원리가 적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형태의 발열체를 이것이 필름 히터라 한다.
니크롬 발열체에 비해 필름 히터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80~300 ㎛ 정도의 얇은 필름으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히터를 수용하기 위해 두툼한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또 다른 특징은 인쇄 패턴을 배치하기에 따라 필요로 하는 부위에 열을 집중시킬 수 있어서 한정된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적용되는 카본 잉크의 성분 조성비를 달리함에 의해 저항치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는 점이다. 필름 히터의 이러한 특성 때문에 그 활용 분야가 점차 확대되고 있으며, 대표적인 사례가 발열 침구류이다.
도 1 내지 도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PET 필름을 이용한 종래 방식의 필름 히터의 전형적인 제조 방법은, 80㎛ ~ 150㎛ 두께의 제1 PET 필름(110) 상에 전원 공급 패턴(120) 및 발열 패턴(130)을 실크스크린 기법으로 인쇄(P120, P140)하고, 건조 (P130, P150)를 시킨 후, 전원 공급 단자(140, 150)를 부착(P160)한 다음, 상기 인쇄면을 보호하기 위해 80㎛ ~ 150㎛의 제2 PET 필름(160)을 가열 압착 방식으로 합지(P170)시키는 단계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두 장의 PET 필름을 합지하여 구성된 필름 히터의 총 두께는 약 160㎛ ~ 300㎛이 된다. 그러나, PET 필름은 특성상 경질 소재이기 때문에 접히는 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했을 때 꺾이는 현상이 발생한다는 단점이 있다. 이 같은 꺾임 현상은 두께가 두꺼워질수록 현저히 발생한다. 필름 히터에 있어서 꺾임 현상은 인쇄면의 변형을 유발하게 되고, 이는 전원 공급 패턴 또는 발열 패턴의 저항치의 급격한 증가로 이어지고, 이는 다시, 꺾임부에서 과열이 발생하여 소손이 되거나, 발열량의 급격한 저하라는 치명적 결함을 초래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
전기적, 열적 안정성은 물론 인쇄 품질적 측면에서의 우수성을 바탕으로 필름 히터의 기판 소재로 널리 활용되고 있는 PET 필름 만으로 구성된 필름 히터는, 상기 문제점 때문에 그 활용 분야에 제약을 받아 왔다. 특히, 의류나 침구등과 같이 통상의 사용 조건에서 접힘, 눌림 등의 외력이 가해지는 제품에 필름 히터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유연성을 갖는 필름 히터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종래 방식의 필름 히터가 꺾임 등의 외력에 의해 필름 자체가 소성 변형을 일으킴으로써 전기적 특성이 변하는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써, 유연성과 탄성이 우수하여 접힘이나 구김 등의 외력이 가해졌다가 외력이 해소되면 원래의 형태로 회복하는 능력을 갖고 있는 폴리우레탄 필름과, 전기적 열적 특성이 양호한 PET 필름을 합지하는 것을 핵심으로 하는 유연성 필름 히터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유연성 필름 히터의 제조 방법은, 제1 PET 필름을 건조로에서 열처리하는 단계와,상기 제1 PET 필름의 배면에 비극성 프라이머제로 코팅 처리를 하는 단계와,상기 프라이머 처리된 제1 PET 필름을 우레탄 필름 압출 성형기에서 제1 우레탄 필름이 나오는 가열 압착 롤러에 밀어 넣어 합지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인쇄 필름 제조 단계와; 제2 PET 필름의 표면에 EVA 핫멜트를 코팅하는 단계와,상기 제2 PET 필름의 배면에 비극성 프라이머제로 코팅 처리를 하는 단계와,상기 프라이머 처리된 제2 PET 필름을 우레탄 필름 압출 성형기에서 제2 우레탄 필름이 나오는 가열 압착 롤러에 밀어 넣어 합지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보호 필름 제조 단계와; 상기에서 제조된 인쇄 필름의 제1 PET 필름의 표면 위에 전원 공급 패턴 및 발열 패턴을 실크스크린 방식으로 인쇄하는 단계와, 상기 전원 공급 패턴 상에 전원 연결 단자를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포함하여 구성되는 인쇄 단계와; 상기 인쇄 단계를 거친 인용 필름의 제1 PET 필름 위에 보호 필름의 제2 PET 필름이 맞닿도록 포갠 상태에서 가열 압착기의 입구 롤러에 밀어 넣어 가열 압착하여 합지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비극성 소재인 PET 필름과 극성 소재인 우레탄 필름은 표면 장력의 차이로 서로 접착되기 어려운 소재인 바, 본 발명에서 PET 필름의 피착면에 비극성 프라이머제로 코팅을 행한 후, 우레탄 필름에 가열 압착시킴으로써 PET 필름과 우레탄 필름간의 난접착성 문제를 해결하게 되었고, 이를 통해, 전기적 및 열적으로 우수하며 인쇄성이 양호한 PET 필름의 장점과 외부 응력에 대한 흡수 및 복원력이 우수한 우레탄 필름의 장점을 융합한 유연성 필름 히터의 제조가 가능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을 적용하여 만들어진 유연성 필름 히터는, 구김이나 접힘 등의 외부 충격이 반복적으로 가해지더라도 필름의 영구 변형이 발생하지 않아 발열 저항값의 증가로 인한 발열량의 급격한 저하 또는 끊김 등으로 인한 발열 기능 상실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유연성 필름 히터는, 실용 상태에서 꺾임이나 접힘 등의 외력이 반복적으로 가해지는 발열 의류나 발열 침구류 등으로 필름 히터의 활용 분야를 넓힐 수 있게 되었다.
도 1은 종래 필름 히터의 발열부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2는 종래 필름 히터의 적층 구조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며,
도 3은 종래 필름 히터의 제조 단계를 나타낸 제조 흐름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필름 히터의 발열부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유연성 필름 히터의 발열부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부분 확대도이며,
도 6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유연성 필름 히터의 적층 구성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인쇄 필름의 제조 단계를 주요 공정 순서로 나타낸 부분 제조 흐름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보호 필름의 제조 단계를 주요 공정 순서로 나타낸 부분 제조 흐름도이며,
도 9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인쇄 단계를 주요 공정 순서로 나타낸 부분 제조 흐름도이며,
도 10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유연성 필름 히터의 전체 제조 단계를 주요 공정 순서로 나타낸 제조흐름도 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내용을 주요 제조 단계별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유연성 필름 히터의 발열부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며,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유연성 필름 히터의 발열부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부분 확대도이며, 도 6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유연성 필름 히터의 적층 구성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인쇄 필름의 제조 단계를 주요 공정 순서로 나타낸 부분 제조 흐름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보호 필름의 제조 단계를 주요 공정 순서로 나타낸 부분 제조 흐름도이며, 도 9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인쇄 단계를 주요 공정 순서로 나타낸 부분 제조 흐름도이며, 도 10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유연성 필름 히터의 전체 제조 단계를 주요 공정 순서로 나타낸 제조 흐름도이다.
우선, 도 4에서 도 6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유연성성 필름 히터(200)의 구성을 설명하면,
본 발명의 내 굴신성 필름히터(200)는 인쇄 필름(200-1)과 보호 필름(200-2)이 가열 압착 방식으로 합지되어 구성된다.
또, 상기 인쇄 필름(200-1)은 제1 PET 필름(210), 제1 우레탄 필름(270)을 가열 압착 방식으로 합지시킨 후, 상기 제1 PET 필름(210)의 표면(210-2) 상에 전원 공급 패턴(220) 및 발열 패턴(230)을 실크 스크린 인쇄 방식으로 인쇄하여 구비시키고, 전원 공급 패턴(220) 상의 전원 인입 지점에 전원 연결 단자(240, 250)를 결합하여 구성된다. 특히, 전원의 주 공급 통로인 주 패턴 상에는 동박 밴드(240-1, 250-1)가 추가로 점착 구비될 수도 있는데, 이는 전기가 전원부로부터 멀리 이격된 발열 패턴(230)까지 공급될 때 일어나는 전압 손실을 감소시켜서 전체적으로 열이 고르게 발생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보호 필름(200-2)은 제2 PET 필름(260), 제2 우레탄 필름(280)을 가열 압착 방식으로 합지시켜서 구성된다.
한편, 필름 히터의 기본 기능은 외부전원으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열을 발생시키는 것이며, 전기 에너지를 열에너지를 변환시키기 위해서는 전기적 저항체로서의 역할을 하는 물질이 있어야 하고, 이 저항 물질에 전기를 공급하는 도전체로서의 기능을 갖는 물질이 또한 존재하여야 한다. 필름 히터는 이들 물질을 실크 스크린 인쇄 방식으로 필름 상에 원하는 형태로 인쇄를 함으로써 구비하게 된다.
필름 히터의 기판으로 사용되는 필름은 표면 조직이 조밀하고 단단하여 인쇄 물질이 균일하게 도포되고, 섭씨 130도 내지 섭씨 150도의 고온 상태에서도 소성 변형이 일어나지 않고, 표면 온도 상승에 따른 선팽창 계수가 작아야 하며, 전기적 절연성이 우수하고, 아울러 습기를 흡수하지 않아야 한다.
이러한 요건을 갖춘 최적의 소재가 PET 필름이다. PET 필름의 두께는 두꺼울수록 인쇄 안정성은 우수하나, 유연성이 떨어져서, 얇고 유연함이 핵심 특징인 필름 히터로서는 적합하지 못하다. 이런 이유로 일반적인 필름 히터의 두께는 80㎛ 내지 150㎛의 것이 사용되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내굴신성 필름 히터에 적용되는 PET 필름은 꺾임 응력이 가해진 경우에도 조직의 변형이 최소화되도록 30㎛ ~ 50㎛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인쇄 물질의 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인쇄가 이루어지는 면에는 코로나 처리를 실시한 PET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여, 인쇄 필름의 제조 단계를 상세히 기술하면,
첫째, 제1 PET 필름(210)을 내부 온도가 섭씨 130도인 건조로를 통과시키면서 약 10분 정도 에이징시킨다.(P210) 이것은 필름 내부의 잔류응력을 완화시켜주고, 추후 히터로서 기능을 수행할 때 발열로 인해 추가적인 수축이나 팽창이 일어나 인쇄면이 미세하게 갈라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전처리 과정이다.
둘째, 제1 PET 필름()의 배면()에 비극성 프라이머제를 사용하여 코팅을 한다.(P220) 이때 코팅 두께는 10㎛ 이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단계는 극성 물질인 우레탄 필름과 비극성 물질인 PET 필름은 접착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같은 비극성이면서도 표면 장력이 PET에 비해 높아서 극성인 우레탄 필름과도 접착이 이루어지는 프라이머제를 PET 필름의 배면에 코팅을 하는 과정이다.
다음 단계로, 프라이머 처리된 PET 필름을 섭씨 80도에서 10분간 건조시킨 후 상온 상태에서 최소 1일 이상 방치한다.(P230)
다음 단계는 제1 우레탄 필름을 압출 성형(P310)하고 제1 PET 필름(210)과 합지하는 단계(P320)인데, 이 단계는 우레탄 필름 압출 성형기에서 이루어진다. 우레탄 압출 성형기를 통해 우레탄 필름이 성형될 때 출구 다이스를 통과하게 되는 바, 이 출구에 프라이머 처리된 제1 PET 필름(210)의 배면(210-1)이 제1 우레탄 필름(270)의 일면과 접하도록 밀어 넣어 두 개의 롤러 사이를 통과시키면서 가열 압착을 시킴으로써 견고하게 합지가 되는 것이다.
다음,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보호 필름(200-2)의 제조 단계는,
첫째, 제2 PET 필름(260)의 표면(260-2)을 EVA 핫멜트로 코팅한다.(P410) 이 단계는 최종 단계에서 행해질 제1 PET 필름(210)의 표면(210-2)과의 가열 압착을 하기 위한 전 처리 과정이다.
둘째, 제2 PET 필름(260)의 배면(260-1)에 비극성 프라이머제를 사용하여 코팅을 한다.(P420) 이때 코팅 두께는 10㎛ 이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단계는 극성 물질인 우레탄 필름과 비극성 물질인 PET 필름은 접착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같은 비극성이면서도 표면 장력이 PET에 비해 높아서 극성인 우레탄 필름과도 접착이 이루어지는 프라이머제를 PET 필름의 배면에 코팅을 하는 과정이다.
다음 단계로, 프라이머 처리된 PET 필름을 섭씨 80도에서 10분간 건조시킨 후 상온 상태에서 최소 1일 이상 방치한다.(P430)
다음 단계는 제2 우레탄 필름을 압출 성형(P510)하고, 제2 PET 필름(260)과 합지하는 단계(P520)인데, 이 단계는 우레탄 필름 압출 성형기에서 이루어진다. 우레탄 압출 성형기를 통해 우레탄 필름이 성형될 때 출구 다이스를 통과하게 되는 바, 이 출구에 프라이머 처리된 제2 PET 필름(260)의 배면(260-1)이 제2 우레탄(280)의 일면과 접하도록 밀어 넣어 두 개의 롤러 사이를 통과시키면서 가열 압착을 시킴으로써 견고하게 합지가 되는 것이다.
이어서, 도 9를 참조하여 인쇄 단계를 설명하면,
첫째, 상기에서 제조된 인쇄 필름의 제1 PET 필름(210)의 표면(210-2) 상에 전원 공급 패턴(220)을 실크 스크린 방식으로 인쇄한다.(P610) 전원 공급 패턴(220)은 극성이 서로 다른 두 갈래의 패턴으로 구성되며, 전원 공급 패턴(240,250)은 전기를 원활히 흐르게 하는 것이 주목적이기 때문에, 도전율이 우수한 은(Ag) 분말 입자가 혼입된 비극성 잉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둘째, 내부 온도가 섭씨 120도인 건조로를 10분간 통과시켜서 인쇄물질이 PET 필름면에 완전히 응착건조되도록 한다.(P620)
셋째, 상기 제1 PET 필름(210)의 표면에 발열 패턴(230)을 실크 스크린 방식으로 인쇄한다.(P630) 발열 패턴(230)은 전기 저항을 통해 열을 발생시키는 것이 주목적이기 때문에 저항 특성을 갖는 카본 입자가 혼입된 비극성 잉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넷째, 내부 온도가 섭씨 120도인 건조로를 10분간 통과시켜서 인쇄물질이 PET 필름면에 완전히 응착건조되도록 한다.(P640)
다섯째, 상기 전원 공급 패턴(220)의 주패턴 상에 동박 밴드(240-1,250-1)를 점착한다.(P650) 동박 밴드(240-1,250-1) 이면에 도포하는 접착제는 도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니켈(Ni) 입자가 혼입된 접착제를 사용한다. 다만, 이 단계는 전원 연결 단자(240,250)와 발열 패턴(230)이 멀리 이격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생략할 수도 있다.
여섯째, 전원 공급 패턴(220)의 서로 다른 극성의 주 패턴 또는 동박 밴드 상의 일 지점에 전원 연결 단자(240,250)를 각각 부착한다.(P660) 이 때 전원 연결 단자(240,250)가 전원 공급 패턴(220) 또는 동박 밴드(240-1, 250-1)와 견고하게 밀착되도록 전원 연결 단자 하나 당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아일렛 등의 고정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끝으로, 도 10을 참조하여 인쇄 필름(200-1)과 보호 필름(200-2)을 합지하는 단계를 설명하면,
인쇄 필름(200-1)의 제1 PET 필름(210)의 표면(210-2)과 보호 필름(200-2)의 제2 PET 필름(260)의 표면(260-2)이 서로 맞닿도록 한 상태에서 가령 압착기의 투입 롤러에 밀어 넣어 가열 압착 방식으로 합지함(P710)으로써, 본 발명의 유연성 필름 히터(200)의 제조는 완료된다.(P720)
100 : 종래 기술의 필름 히터
110 : PET 필름
120 : 전원 공급 패턴 130 : 발열 패턴
140, 150 : 전원 연결 단자 160 : 보호 필름
200 : 유연성 필름 히터
200-1: 인쇄 필름 200-2 : 보호 필름
210 : 제1 PET 필름
210-1: 배면 210-2 : 표면
220 : 전원 공급 패턴 230 : 발열 패턴
240, 250 : 전원 연결 단자 240-1, 250-1 : 동박 밴드
260 : 제2 PET 필름
260-1: 배면 260-2 : 표면
270 : 제1 우레탄 필름 280 : 제2 우레탄 필름

Claims (1)

  1. 합성수지 필름 위에 도전성 물질 및 저항성 물질을 실크 스크린 인쇄 기법으로 인쇄함으로써 발열 기능을 수행하는 필름 히터를 제조함에 있어서,
    제1 PET 필름(210)을 가열로에서 열처리하는 단계(P210)와, 상기 제1 PET 필름(210)의 배면에 비극성 프라이머제로 코팅 처리를 하는 단계(P220)와, 상기 프라이머 처리된 제1 PET 필름(210)을 우레탄 필름 압출 성형기에서 제1 우레탄 필름(270)이 나오는 가열 압착 롤러에 밀어 넣어 합지하는 단계(P3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인쇄 필름(200-1) 제조 단계와;
    제2 PET 필름(260)의 표면(260-2)에 EVA 핫멜트로 코팅하는 단계(P410)와, 상기 제2 PET 필름(260)의 배면에 비극성 프라이머제로 코팅 처리를 하는 단계(P420)와, 상기 프라이머 처리된 제2 PET 필름(260)을 우레탄 필름 압출 성형기에서 제2 우레탄 필름(280)이 나오는 가열 압착 롤러에 밀어 넣어 합지하는 단계(P5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보호 필름(200-2) 제조 단계와;
    상기에서 제조된 인쇄 필름(200-1)의 제1 PET 필름(210) 면 위에 전원 공급 패턴(220) 및 발열 패턴(230)을 실크스크린 방식으로 인쇄하는 단계(P610, P630)와, 상기 전원 공급 패턴(220) 상에 전원 연결 단자(240,250)를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포함하여 구성되는 인쇄 단계와;
    상기 인쇄 단계를 거친 인쇄 필름(200-1)의 제1 PET 필름(210)의 표면(210-2)이 보호 필름(200-2)의 제2 PET 필름(260)의 표면(260-2)와 맞닿도록 가열 압착기의 입구 롤러에 밀어 넣어 가열 압착하여 합지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유연성 필름 히터 제조 방법
KR1020110077501A 2011-08-03 2011-08-03 유연성 필름 히터의 제조 방법 KR1012703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7501A KR101270391B1 (ko) 2011-08-03 2011-08-03 유연성 필름 히터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7501A KR101270391B1 (ko) 2011-08-03 2011-08-03 유연성 필름 히터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5489A true KR20130015489A (ko) 2013-02-14
KR101270391B1 KR101270391B1 (ko) 2013-06-05

Family

ID=47895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7501A KR101270391B1 (ko) 2011-08-03 2011-08-03 유연성 필름 히터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039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8637B1 (ko) * 2013-07-29 2014-12-03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유연성 카본 히터 제조방법 및 그 카본 히터
KR101480160B1 (ko) * 2014-04-04 2015-01-07 한국기계연구원 인쇄전극을 이용한 발열 시트
RU2554097C2 (ru) * 2013-10-09 2015-06-27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автоном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Самар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аэрокосмиче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имени академика С.П. Королева" (национальный 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СГАУ) Тонкопленочный гибкий электронагреватель
CN117098259A (zh) * 2023-10-17 2023-11-21 哈尔滨工业大学(威海) 一种柔性高强防水绝缘加热装置的制造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2683B1 (ko) 2014-04-18 2015-09-14 김동주 히팅필름 제작 장치 및 히팅필름 제작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8392B1 (ko) * 2008-01-04 2009-07-17 (주)오리엔탈드림 발열체의 코팅장치 및 그 방법
KR101236072B1 (ko) * 2008-01-11 2013-02-22 주식회사 엘지화학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버퍼층을 갖는 투명도전성 적층체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8637B1 (ko) * 2013-07-29 2014-12-03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유연성 카본 히터 제조방법 및 그 카본 히터
RU2554097C2 (ru) * 2013-10-09 2015-06-27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автоном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Самар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аэрокосмиче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имени академика С.П. Королева" (национальный 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СГАУ) Тонкопленочный гибкий электронагреватель
KR101480160B1 (ko) * 2014-04-04 2015-01-07 한국기계연구원 인쇄전극을 이용한 발열 시트
CN117098259A (zh) * 2023-10-17 2023-11-21 哈尔滨工业大学(威海) 一种柔性高强防水绝缘加热装置的制造方法
CN117098259B (zh) * 2023-10-17 2024-03-19 哈尔滨工业大学(威海) 一种柔性高强防水绝缘加热装置的制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0391B1 (ko) 2013-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0391B1 (ko) 유연성 필름 히터의 제조 방법
KR101328353B1 (ko) 탄소나노튜브 발열시트
Rahman et al. Conductive cotton textile from safely functionalized carbon nanotubes
KR101575500B1 (ko) 면상발열천
JP2009543288A (ja) カーボンマイクロファイバーを用いた面状発熱体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4135958A4 (en) Method of printing electronic systems on textile substrates
EP2801658A1 (en) Heatable textile sheet using light
CN108271280B (zh) 一种石墨烯变流电热膜
KR102049508B1 (ko) 표면이 평탄화된 코팅원단시트를 적용한 면상발열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051064A (ko) 면상발열 기기 및 이의 적용 방법
CN109699094A (zh) 一种柔性石墨烯电热膜及其制作方法
JP2007179776A (ja) 面状発熱体
CN104476890B (zh) 一种发热布及其制造方法
JP4921995B2 (ja) 面状発熱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468637B1 (ko) 유연성 카본 히터 제조방법 및 그 카본 히터
JP2008218350A (ja) 面状発熱体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5097218A1 (en) Heating element with adjustable temperature distribution
CA2871029A1 (en) Improving properties of printed conductive tracks
KR20120036702A (ko) 폴리우레탄 필름을 이용한 필름 히터 제조 방법
KR20150094124A (ko) 선상 및 면상 복합 발열체
Sun et al. Optimizing the electrical conductivity of screen printed silver conductive tracks by post treatment
KR100703029B1 (ko) 저항특성이 우수한 면상발열체
KR20130004532A (ko) 하부 피복절연시트와 망사형 직조물을 발열 베이스로 이용한 면상발열체와 그 제조방법
KR100847055B1 (ko) 면상 발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0878568B1 (ko) 직조섬유를 사용한 면상 발열체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