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5071A - Method and device for snoring prevention - Google Patents

Method and device for snoring preven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5071A
KR20130015071A KR1020110076887A KR20110076887A KR20130015071A KR 20130015071 A KR20130015071 A KR 20130015071A KR 1020110076887 A KR1020110076887 A KR 1020110076887A KR 20110076887 A KR20110076887 A KR 20110076887A KR 20130015071 A KR20130015071 A KR 201300150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noring
mode
sound
snoring prevention
slee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688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388661B1 (en
Inventor
이규성
Original Assignee
이규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규성 filed Critical 이규성
Priority to KR10201100768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8661B1/en
Publication of KR201300150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507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86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866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56Devices for preventing sno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A61B5/0826Detecting or evaluating apnoea ev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3/00Alarms responsive to un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athology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hysi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PURPOSE: A snoring prevention system and a snoring prevention method using the same are provided to improve user convenience. CONSTITUTION: A snoring prevention method comprises a step(S100) of setting a snoring prevention mode when a snoring prevention mode is set up and changing the mode into a sound reception standby mode, a step(S200) of confirming the set snoring prevention mode when the snoring sound of a sleeper is inputted, and a step(S300) of carrying out a snoring prevention motion corresponding to the confirmed snoring prevention mode. [Reference numerals] (S10) Step of acquiring sample sound; (S100) Step of setting a set snoring prevention mode when a snoring monitoring mode carries out and changing the mode into a sound reception standby mode; (S20) Step of setting an external auxiliary device; (S200) Step of confirming the set snoring prevention mode when the snoring sound of a sleeper is input in the sound reception standby mode state; (S30) Step of storing the snoring information of the sleeper as history data; (S300) Step of carrying out a snoring prevention motion corresponding to the confirmed snoring prevention mode

Description

코골이 방지 방법 및 장치{Method and device for snoring prevention}Method and device for snoring prevention

본 발명은 코골이 방지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면 중 수면자가 코를 고는 것이 감지되면, 수면자의 코골이를 방지하도록 유도하거나 해당 수면자에게 자신이 코골이를 하고 있다는 것을 알려주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snoring, and more particularly,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sleeping person snores during sleep, induces to prevent the sleeping person from snoring or informs the sleeping person that she is snoring. It is to be.

특히, 본 발명은 해당 수면자의 코골이 증상을 이력데이터로 관리하여, 코골이 증상의 치유 또는 악화 정도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코골이 방지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snoring, by managing the snoring symptoms of the sleeper as historical data, so that the degree of healing or worsening of snoring symptoms can be easily confirmed.

일반적으로, 코골이는 수면 중 호흡 기류가 여러 가지 원인으로 좁아진 기도를 지나면서 이완된 연개구(입 천정에서 비교적 연한 뒤쪽 부분)와 구개구(목젖, 구강 연개구의 중앙 아래 늘어진 모양의 것으로 현옹수라고도 함) 등의 주위 구조에 진동을 일으켜 발생되는 호흡 잡음으로, 중증의 경우에는 수면 중 호흡 정지가 발생되는 수면 무호흡 등의 수면장애를 유발할 수 있다.In general, snoring is a loose opening (relative to the softer posterior part of the mouth ceiling) and palatal opening (neck, oral palate) that passes through the narrowed airways due to various causes of respiratory airflow during sleep. Respiratory noise caused by vibrations in surrounding structures, and in severe cases, may cause sleep disorders such as sleep apnea, in which breathing stops during sleep.

이러한 코골이 및 이로 인해 유발되는 수면 무호흡은 피로감, 졸림증, 성격변화, 발기부전, 이산화탄소 축적 등으로 인한 두통, 부정맥, 고혈압, 허혈성 심장질환, 좌심실부전, 폐질환 등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지속적인 관리 및 치료가 필요한 질병으로 분류되고 있다.Since snoring and sleep apnea caused by this can cause symptoms such as headache, arrhythmia, high blood pressure, ischemic heart disease, left ventricular failure, and lung disease due to fatigue, drowsiness, personality change, erectile dysfunction, and carbon dioxide accumulation, It is classified as a disease that requires continuous management and treatment.

코골이의 치료방법으로는 비수술적인 방법과 수술적인 방법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중증의 경우를 제외하면 비수술적인 방법을 통해 자연적인 치유를 유도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Treatment for snoring can be divided into non-surgical methods and surgical methods, except for severe cases, it is preferable to induce natural healing through non-surgical methods.

이를 위하여, 수면 중 대상 수면자의 수면 습관을 개선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To this end, various types of devices have been developed to improve sleep habits of the target sleeper during sleep.

그러나, 이러한 장치들은 대부분 그 크기가 크기 때문에, 한정된 공간(예를 들어, 대상 수면자가 거주하는 집)에서만 사용이 가능할 뿐, 여행 등으로 인해 대상자가 다른 공간에서 수면을 취할 경우에는 사용하지 못하여, 주변 사람들에게 피해를 주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since these devices are large in size, they can only be used in a limited space (e.g., the house where the target sleeper lives), and cannot be used when the person sleeps in another space due to travel. There is a problem that damages the people around.

따라서, 대상 수면자의 코골이를 방지 및 개선 유도를 수행하면서도, 휴대가 간편한 코골이 방지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Therefore, while preventing and improving snoring of the target sleeper, development of a portable snoring prevention device is requir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해 개발된 것으로서, 휴대가 간편하면서도 대상 수면자의 코골이 증상을 효율적으로 방지 및 치유할 수 있는 코골이 방지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eloped by the above-described need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snoring, which is easy to carry and can effectively prevent and cure snoring symptoms of a target sleeper.

특히, 본 발명은 해당 수면자의 코골이 증상을 이력데이터로 관리하여, 코골이 증상의 치유 또는 악화 정도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코골이 방지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In particular,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snoring that can manage the snoring symptoms of the sleeper as historical data, so that the snoring symptom can be easily healed or worsened.

또한, 본 발명은 대상 수면자에게 중증 코골이로 인한 무호흡이 발생하게 되면, 이를 주위 사람이나 병원 등의 응급센터에 신속히 알려줄 수 있는 코골이 방지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noring prevention method and apparatus that can quickly notify the emergency centers such as people or hospitals when apnea caused by severe snoring occurs in the target sleeper.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The above objects and various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코골이 방지 방법은, a) 코골이 감시모드가 실행되면 코골이 방지모드를 설정하고 음향수신 대기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b) 상기 음향수신 대기모드 상태에서 대상 수면자의 코골이 음향이 입력되면, 상기 설정된 코골이 방지모드를 확인하는 단계; 및 c) 상기 확인된 코골이 방지 모드에 대응하여 코골이 방지동작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snoring preven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a) setting the snoring prevention mode when the snoring monitoring mode is executed, and switching to the acoustic reception standby mode; b) if the snoring sound of the target sleeper is input in the acoustic reception standby mode, checking the set snoring prevention mode; And c) executing the snoring prevention operation in response to the identified snoring prevention mod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코골이 방지 방법은, 상기 단계 a) 이전에 실행되는 대상 수면자의 코골이 샘플음향을 획득하는 단계와, 외부보조장치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단계 c) 이후에 실행되는 대상 수면자의 코골이 정보를 이력데이터로 저장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noring prevention method, the snoring of the target sleeper performed before the step a) to obtain a sample sound, setting the external auxiliary device and the object to be executed after the step c) The sleeper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of snoring information.

예를 들어, 상기 단계 a)는, a-1) 코골이 방지모드가 설정되면 외부보조장치의 사용여부를 확인하는 과정; a-2) 상기 확인결과, 외부보조장치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음향수신 대기모드를 실행하고, 외부보조장치의 사용이 선택되면 해당 외부보조장치의 등록여부를 검색하는 과정; 및 a-3) 상기 검색결과, 해당 외부보조장치가 등록된 경우에는 음향수신 대기모드를 실행하고, 해당 외부보조장치가 등록되지 않은 경우에는 구동드라이버를 검색하여 해당 외부보조장치를 등록하고 음향수신 대기모드를 실행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tep a), a-1) when the snoring prevention mode is set, checking whether the external auxiliary device is used; a-2) when the external auxiliary device is not used, executing the acoustic reception standby mode and searching whether the external auxiliary device is registered if the use of the external auxiliary device is selected; And a-3) If the external auxiliary device is registered as a result of the search, the sound receiving standby mode is executed. If the external auxiliary device is not registered, the driver is searched for a driver to register the external auxiliary device. It may include executing a standby mode.

또한, 상기 단계 b)는, b-1) 입력되는 음향을 분석하여 대상 수면자의 코골이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 b-2) 상기 판단결과, 코골이가 아닌 경우에는 상기 음향수신 대기모드를 유지하고, 코골이인 경우 코골이 방지모드를 확인하는 과정; 및 b-3) 상기 확인결과, 코골이 방지모드가 인식모드인 경우에는 대상 수면자에게 코골이를 알려주기 위한 휴대단말기 및 외부보조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확인하고 현재의 인식모드를 유지하고, 코골이 방지모드가 유도모드인 경우에는 대상 수면자의 코골이를 중지시키기 위한 외부보조장치의 동작을 확인하고 현재의 유도모드를 유지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ep b), b-1) the process of determining the snoring of the target sleeper by analyzing the input sound; b-2) if the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s not snoring, maintaining the sound reception standby mode and, if snoring, checking the snoring prevention mode; And b-3) when the snoring prevention mode is the recognition mode, checking at least one of a mobile terminal and an external auxiliary device for notifying the snoring to the target sleeper and maintaining the current recognition mode. If the snoring prevention mode is the induction mode, it may include a process of checking the operation of the external auxiliary device for stopping the snoring of the target sleeper and maintaining the current induction mode.

한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코골이 방지 장치는, 대상 수면자의 코골이 음향을 수신하는 음향입력부; 상기 음향입력부로 입력되는 음향을 분석하여, 대상 수면자의 코골이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결과에 기초하여 코골이방지 유도모드, 수면자 인식모드 및 응급알림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며, 상기 선택된 모드별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데이터처리부; 및 상기 데이터처리부에서 선택되는 각 모드에 대응하는 장치별 동작이 설정되고, 상기 데이터처리부의 선택에 대응하여 설정된 장치별 동작데이터를 제공하는 동작설정부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snoring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ound input unit for receiving the snoring sound of the target sleeper; The sound input to the sound input unit is analyzed to determine whether the target sleeper is snoring, and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selects at least one of the snoring prevention mode, sleeper recognition mode and emergency notification mode, the selected A data processor controlling an operation of a device for each mode; And an operation setting unit for setting device-specific operation corresponding to each mode selected by the data processing unit and providing operation data for each device set corresponding to the selection of the data processing unit.

일 실시예에서, 상기 코골이 방지 장치는, 상기 데이터처리부와 연동하며 각 장치별 동작을 제어하는 구동드라이버를 저장하는 구동드라이버 저장부; 상기 데이터처리부와 연동하며 대상 수면자의 코골이 샘플음향을 저장하는 매칭데이터 저장부; 및 상기 데이터처리부와 연동하며 대상 수면자의 코골이 증상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이력데이터 저장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noring prevention device, the drive driver storage unit for interlocking with the data processing unit and stores a drive driver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each device; Matching data storage unit for interlocking with the data processing unit and stores the sample sound snoring of the target sleeper; And a history data storage unit interworking with the data processor and storing information on snoring symptoms of the target sleeper.

예를 들어, 상기 데이터처리부는, 상기 매칭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코골이 샘플음향과 상기 음향입력부로 입력되는 음향을 비교하여, 대상 수면자의 코골이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결과를 이력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하며, 상기 구동드라이버 저장부에 저장된 구동드라이버를 실행하여 모드별 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data processor may compare the snoring sample sound stored in the matching data storage unit with the sound input to the sound input unit to determine whether the target sleeper is snoring, and the determination result is stored in the history data storage unit. The control unit may be configure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each mode device by executing the driver stored in the driver driver storage unit.

상기와 같은 해결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수면 중 대상 수면자의 코골이를 방지하고 치유를 유도함으로써, 대상 수면자인 코골이 환자의 건강과 생명을 지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By the above solving means, the present invention by preventing the snoring of the target sleeper during sleep and induces healing, there is an effect that the target snoring can protect the health and life of the patient.

특히, 본 발명의 코골이 방지 방법을 어플리케이션으로 제공하여, 이미 널리 보급된 셀룰러폰, 스마트폰 및 PDA를 포함하는 개인용 휴대단말기를 통해 다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코골이 환자들이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In particular, by providing a method for preventing snor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 application, it can be downloaded through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including a cellular phone, a smartphone and a PDA already widely spread, so that snoring can be easily used by patients. There is an advantage.

이로 인해, 경증의 환자들은 병원에서 진료받지 않더라도, 자신의 코골이 증상을 치유할 수 있는 편리함이 있다.As a result, mild patients have the convenience of curing their snoring symptoms even if they are not treated at the hospital.

또한, 중증 코골이 증상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수면자의 코골이를 방지하도록 함은 물론, 무호흡 발생시 이를 주위 사람이나 병원 등의 응급센터에 신속히 알려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f you have severe snoring symptoms, as well as to prevent snoring of sleep, as well as to quickly notify the emergency centers, such as people around the hospital when apnea occurs.

따라서, 코골이 증상을 갖는 사람 및 그 주위 사람들에게 편안하고 건강한 수면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제공되는 코골이 방지 방법 및 장치에 대한 신뢰성 및 경쟁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ovide comfortable and healthy sleep to people with snoring symptoms and those around them, and there is an effect of improving the reliability and competitiveness of the snoring prevention method and apparatus provided therefor.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코골이 방지 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코골이 방지 장치와 연동하는 시스템에 대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코골이 방지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3의 단계 'S100'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도 3의 단계 'S200'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6은 도 3의 단계 'S300'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snoring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system interworking with the snoring prevention device of FIG. 1.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snoring preven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flowchart for describing a specific embodiment of step S100 of FIG. 3.
FIG. 5 is a flowchart for describing a specific embodiment of step S200 of FIG. 3.
FIG. 6 is a flowchart for describing a specific embodiment of step S300 of FIG. 3.

본 발명에 따른 코골이 방지 방법 및 장치에 대한 예는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Examples of the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sno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applied, and hereinafter,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코골이 방지 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snoring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코골이 방지 장치(100)는 음향입력부(110), 데이터처리부(120) 및 동작설정부(13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snoring prevention device 100 includes a sound input unit 110, a data processor 120, and an operation setting unit 130.

음향입력부(110)는 대상 수면자의 코골이 음향을 수신한다. 일 실시예에서, 음향입력부(110)는 본 발명의 코골이 방지 방법이 적용된 프로그램(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받은 개인용 휴대단말기의 마이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인용 휴대단말기는 셀룰러폰, 스마트폰 및 PDA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sound input unit 110 receives the snoring sound of the target sleeper. In one embodiment, the sound input unit 110 may include a microphone of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that has downloaded a program (for example, an application) to which the snoring preven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or example,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may comprise at least one of a cellular phone, a smartphone and a PDA.

데이터처리부(120)는 음향입력부(110)로 입력되는 음향을 분석하여, 대상 수면자의 코골이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에 기초하여 코골이방지 유도모드, 수면자 인식모드 및 응급알림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며, 선택된 모드별 장치의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코골이방지 유도모드는 수면자를 깨우지 않고 코골이를 방지하도록 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고, 수면자 인식모드는 유도모드 실행 후 일정 시간 이후에 해당 수면자를 깨우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응급알림모드는 수면자가 수면 무호흡 상태임을 알리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The data processor 120 analyzes the sound input to the sound input unit 110 to determine whether the target sleeper is snoring, and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at least one of the snoring prevention mode, the sleeper recognition mode, and the emergency notification mode. Select one and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device for each selected mode. For example, the snoring prevention mode may include an operation to prevent snoring without waking the sleeper, the sleeper recognition mode may include an operation of waking the sleeper after a certain time after the induction mode execution. The emergency notification mode may include an operation for notifying that the sleeper is asleep apnea.

일 실시예에서, 데이터처리부(120)의 대상 수면자의 코골이 여부 판단은 사용자에 의해 녹음된 코골이 음향 중 적어도 일부를 샘플로 추출하여 매칭데이터로 저장하고, 이를 입력되는 음향과 비교하여 판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determination whether the snoring of the target sleeper of the data processor 120 is to extract at least a portion of the snoring sound recorded by the user as a sample to store as a matching data, and to compare it with the input sound to determine Can be.

동작설정부(130)는 데이터처리부(120)에서 선택되는 각 모드에 대응하는 장치별 동작이 설정되고, 데이터처리부(120)의 선택에 대응하여 설정된 장치별 동작데이터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장치는 코골이 방지 장치(100)에 포함된 내부 장치 및 코골이 방지 장치(100)와 연동되는 외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동작설정부(130)는 코골이 방지 장치(100)와 연동되는 외부보조장치의 동작 중 적어도 일부를 각 모드별로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보조장치가 베개인 경우, 동작설정부(130)는 유도모드에서 베개가 일측으로 기울어지도록 동작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고, 인식모드에서는 베개가 수면자의 머리를 흔들도록 동작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The operation setting unit 130 sets a device-specific operation corresponding to each mode selected by the data processing unit 120, and provides device-specific operation data corresponding to the selection of the data processing unit 120. For example, the device may include an internal device included in the snoring prevention device 100 and an external device interlocked with the snoring prevention device 100. In one embodiment, the operation setting unit 130 may store at least a portion of the operation of the external auxiliary device that is interlocked with the snoring prevention device 100 for each mode. For example, when the external auxiliary device is a pillow, the operation setting unit 130 may store data for operating the pillow to be inclined to one side in the induction mode, and data for operating the pillow to shake the head of the sleeper in the recognition mode. Can be stored.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의한 코골이 방지 장치(100)는 무선통신부(140), 구동드라이버 저장부(150), 매칭데이터 저장부(160) 및 이력데이터 저장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nor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40, a driver driver storage unit 150, matching data storage unit 160 and history data storage unit 170. Can be.

무선통신부(140)는 외부의 지원서버 및 외부보조장치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원서버는 개인용 휴대단말기와 통신이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제공서버를 포함할 수 있고, 외부보조장치는 코골이 방지 장치(100)와 근거리 무선통신망으로 연결되며 수면자가 착용하거나 사용하는 코골이 방지용 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40 may wirelessly communicate with at least one of an external support server and an external auxiliary device. For example, the support server may include an application providing server that can communicate with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the external auxiliary device is connected to the snoring prevention device 100 and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o prevent snoring worn or used by sleepers. It may include an appliance.

구동드라이버 저장부(150)는 데이터처리부(120)와 연동하며 각 장치별 동작을 제어하는 구동드라이버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구동드라이버는 본 발명에 의한 코골이 방지 방법이 적용된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구동드라이버는 외부보조장치를 판매하는 업체에서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으로 제공될 수 있다.The driving driver storage unit 150 may store a driving driver that interoperates with the data processing unit 120 and controls operations of each device. In one embodiment, the driver may be included in the application to which the snoring preven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n another embodiment, the drive driver may be provided online or offline at a company that sells an external accessory.

매칭데이터 저장부(160)는 데이터처리부(120)와 연동하며 대상 수면자의 코골이 샘플음향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코골이 샘플음향은 대상 수면자가 수면이 들기 이전에, 코골이 방지 장치(100)의 녹음기능을 선택한 후 수면에 들면, 이후 녹음된 음향에서 사용자 제어 하에 선택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녹음된 음향에서 선택되는 샘플 음향은 음성인식처리를 이용하여 데이터처리부(120)에서 자동으로 선택될 수 있다.The matching data storage unit 160 may interwork with the data processing unit 120 and store the snoring sample sound of the target sleeper. In one embodiment, the snoring sample sound may be selected under the user's control in the recorded sound after the subject sleep enters the sleep after selecting the recording function of the snoring prevention device 100 before the sleep. In another embodiment, the sample sound selected from the recorded sound may be automatically selected by the data processor 120 using voice recognition processing.

이력데이터 저장부(170)는 데이터처리부(120)와 연동하며 대상 수면자의 코골이 증상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이력데이터는 수면자의 코골이 음향, 코골이 음향이 입력된 날자 및 시간, 코골이 횟수, 코골이 지속 시간 및 각 장치별 모드의 동작에 따른 코골이의 변화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력데이터는 수면자의 수면 무호흡 상태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history data storage unit 170 may interwork with the data processor 120 and store information on snoring symptoms of the target sleeper. In one embodiment, the historical data is at least one of the snoring sound of the sleeper, the date and time the snoring sound is input, the number of snoring, the snoring duration and the change information of the snoring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each device mode. It may include. For example, the history data may further include information on the sleep apnea state of the sleeper.

다시 말해, 데이터처리부(120)는 매칭데이터 저장부(160)에 저장된 코골이 샘플음향과 음향입력부(110)로 입력되는 음향을 비교하여, 대상 수면자의 코골이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처리부(120)는 판단결과를 이력데이터 저장부(17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처리부(120)는 구동드라이버 저장부(150)에 저장된 구동드라이버를 실행하여 모드별 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data processor 120 may determine whether the target sleeper is snoring by comparing the snoring stored in the matching data storage unit 160 with the sound input to the sound input unit 110. The data processor 120 may store the determination result in the history data storage unit 170. In addition, the data processor 120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device for each mode by executing the driver stored in the driver driver storage 150.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코골이 방지 방법이 적용된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 실행한 개인용 휴대단말기의 경우에는, 해당 휴대단말기에 구성된 진동기능, 소리출력기능, 화면밝힘기능 및 깜빡임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유도모드 및 인식모드를 수행할 수 있고, 응급알림기능의 경우에는 무선통신망을 통해 다른 사람의 휴대단말기 또는 응급센터에 음성 또는 문자 메시지를 전송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that downloads and executes the application to which the snoring preven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t is induced by using at least one of a vibration function, a sound output function, a screen brightness function, and a flicker function configured on the portable terminal. Mode and recognition mode can be performed, the emergency notification function can be made by transmitting a voice or text message to another person's mobile terminal or emergency center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도 2는 도 1의 코골이 방지 장치와 연동하는 시스템에 대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system interworking with the snoring prevention device of FIG. 1.

도 2를 참조하면, 코골이 방지 장치(100)는 외부보조장치(200) 및 지원서버(300)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snoring prevention device 100 may be configured to enabl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t least one of the external auxiliary device 200 and the support server 300.

외부보조장치(200)는 수면자의 코골이 상태에 대응하여, 코골이방지 유도모드 및 수면자 인식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In response to the snoring state of the sleeper, the external auxiliary device 200 may operate in at least one of the snoring prevention mode and the sleeper recognition mode.

일 실시예에서, 외부보조장치(200)는 밴드형 보조장치(210), 베개형 보조장치(220) 및 시트형 보조장치(230)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external auxiliary device 200 may include a band-type auxiliary device 210, a pillow-type auxiliary device 220 and a sheet-type auxiliary device 230.

밴드형 보조장치(210)는 수면자의 팔 등에 착용될 수 있으며, 유도모드에서 지압 또는 맛사지 기능으로 동작될 수 있고, 인식모드에서 진동기능으로 동작될 수 있다.Band-type auxiliary device 210 may be worn on the sleeper's arm, etc., may be operated in acupressure or massage function in the induction mode, it may be operated in a vibration function in the recognition mode.

베개형 보조장치(220)는 수면자가 머리에 베고 수면을 취할 수 있으며, 유도모드에서 수면자의 머리를 기울이도록 동작될 수 있고, 인식모드에서 수면자의 머리를 흔들도록 동작될 수 있다.The pillow-type assisting device 220 may sleep by sleeping by the sleeper, may be operated to tilt the sleeper's head in the induction mode, and may be operated to shake the sleeper's head in the recognition mode.

시트형 보조장치(230)는 수면자가 누워서 수면을 취할 수 있으며, 유도모드에서 수면자의 몸을 기울이도록 동작될 수 있고, 인식모드에서 수면자의 몸을 흔들도록 동작될 수 있다.The sheet-type auxiliary device 230 may sleep while sleeping by sleeping, may be operated to tilt the sleeper's body in the induction mode, and may be operated to shake the sleeper's body in the recognition mode.

다른 일 실시예에서, 외부보조장치(200)는 반지형 보조장치(도시하지 않음) 및 이어폰형 보조장치(도시하지 않음)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external auxiliary device 200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of a ring type auxiliary device (not shown) and an earphone type auxiliary device (not shown).

반지형 보조장치는 수면자의 손가락에 착용될 수 있으며, 유도모드에서 지압 기능으로 동작될 수 있고, 인식모드에서 수면자를 깨울 수 있는 전기에너지를 방출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지형 보조장치는 기관지 계통의 혈자리가 위치하는 중지에 착용될 수 있다.The ring assist device can be worn on the sleeper's finger, can be operated in acupressure function in induction mode, and can be operated to release electrical energy to wake the sleeper in recognition mode. For example, an annular assistive device may be worn at the middle finger where the blood vessels of the bronchial system are located.

이어폰형 보조장치는 수면자의 귀에 착용될 수 있으며, 유도모드에서 심리를 안정시키는 음향을 출력할 수 있고, 인식모드에서 수면자를 깨울 수 있는 음향이 출력될 수 있다.The earphone-type auxiliary device may be worn on the sleeper's ear, may output a sound to stabilize the mind in the induction mode, and may output a sound to wake the sleeper in the recognition mode.

이상에서 설명된 외부보조장치(200)는 당업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형태 및 구성으로 변형이 가능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에서 설명된 것으로 제한하지 않음은 물론이다.Since the external auxiliary apparatus 200 described above may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and configurations according to the needs of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ose described above.

지원서버(300)는 본 발명에 의한 코골이 방지 방법이 적용된 프로그램(어플리케이션) 및 각 장치별 구동드라이버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지원서버(300)는 코골이 방지 장치(100)의 요청에 의해 저장된 프로그램(어플리케이션) 및 각 장치별 구동드라이버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지원서버(300)는 코골이 방지 장치(100)로부터 해당 수면자의 이력데이터를 제공받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원서버(300)는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서버, 응급센터서버, 외부보조장치 판매자 서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지원서버(300)에 저장된 이력데이터는 수면자의 성별, 나이 및 코골이 증상 등의 항목별로 구분되어 통계자료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응급센터를 운용하는 병원은 제공되는 통계자료를 통해 환자의 치료 및 의학정보로 활용할 수 있고, 판매자는 해당 외부보조장치의 판매를 위한 마케팅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The support server 300 may store at least one of a program (application) to which the snoring preven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a driver for each device. In one embodiment, the support server 300 may provide at least one of a stored program (application) and a driver for each device at the request of the snoring device 100. In another embodiment, the support server 300 may receive and store history data of the corresponding sleeper from the snoring prevention device 100. For example, the support server 30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application provider server, an emergency center server, and an external auxiliary device seller server. The historical data stored in the support server 300 may be divided into items such as sex, age and snoring of the sleeping person and may be provided as statistical data. For example, hospitals that operate emergency centers can use the data provided as treatment and medical information for patients, and sellers can use them as marketing data for the sale of external devices.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코골이 방지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snoring preven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코골이 방지 장치(100)는 사용자(수면자) 제어 하에 수면자의 코골이 음향을 녹음하고 비교대상이 되는 샘플음향을 획득할 수 있다(단계 S10). 일 실시예에서, 코골이 방지 장치(100)는 녹음된 코골이 음향을 필터링하여 주위 환경에 의해 입력되는 소음을 제거하고, 대상 수면자의 코골이 소리 및 호흡 소리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호흡 소리는 대상 수면자의 수면 무호흡 상태를 판별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snoring prevention apparatus 100 may record a snoring sound of a sleeper under the control of a user (sleeper) and obtain a sample sound to be compared (step S10). In one embodiment, the snoring prevention device 100 may filter the recorded snoring sound to remove the noise input by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extract the snoring sound and breathing sound of the target sleeper. For example, the breathing sound can be used to determine the sleep apnea state of the subject sleeper.

코골이 방지 장치(100)는 연동되는 외부보조장치(200)를 설정할 수 있다(단계 S20). 일 실시예에서, 코골이 방지 장치(100)는 해당 외부보조장치(200)의 구동드라이버를 실행하고, 해당 구동드라이버를 통해 이루어지는 동작 중 적어도 일부를 선택하여 모드별 동작데이터로 설정할 수 있다.Snoring prevention device 100 may set the external auxiliary device 200 to interlock (step S20). In an embodiment, the snoring prevention device 100 may execute a driving driver of the external auxiliary device 200, select at least some of operations performed through the driving driver, and set the operation data for each mode.

코골이 방지 장치(100)는 사용자 제어 하에 코골이 감시모드가 실행되면 코골이 방지모드를 설정하고 음향수신 대기모드로 전환한다(단계 S100). 일 실시예에서, 코골이 감시모드는 수면자가 수면에 들기 이전에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골이 감시모드는 본 발명에 의한 코골이 방지 방법 전체를 의미할 수 있고, 코골이 방지모드는 유도모드 및 인식모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음향수신 대기모드는 음향입력부(110)만 활성화시킨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The snoring prevention apparatus 100 sets the snoring prevention mode and switches to the acoustic reception standby mode when the snoring monitoring mode is executed under user control (step S100). In one embodiment, the snoring monitoring mode may be selected before the sleeper goes to sleep. For example, the snoring monitoring mode may mean the entire snoring preven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noring prevention mode may include an induction mode and a recognition mode, the sound reception standby mode sound input unit 110 Only activated state may be included.

코골이 방지 장치(100)는 음향수신 대기모드 상태에서 대상 수면자의 코골이 음향이 입력되면, 설정된 코골이 방지모드를 확인한다(단계 S200). 일 실시예에서, 코골이 방지 장치(100)는 코골이 음향이 입력되면 확인된 코골이 방지모드 중 유도모드 또는 인식모드에 따른 장치의 동작데이터에 대응하여 요구되는 구성만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코골이 방지 장치(100) 또는 외부보조장치(200)는 코골이 감시모드에서 각 구성들을 비활성 상태로 전환하고, 각 모드에 따라 요구되는 구성만을 활성화 상태로 전환함으로써, 배터리 등에 의해 제공되는 전기에너지의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Snoring prevention device 100 checks the set snoring prevention mode, if the snoring sound of the target sleeper in the sound reception standby mode state (step S200). In one embodiment, the snoring prevention device 100 may activate only the required configuration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data of the device according to the induction mode or the recognition mode of the snoring prevention mode confirmed when the snoring sound is input. In other words, the snoring prevention device 100 or the external auxiliary device 200 is provided by a battery or the like by switching each of the components in an inactive state in the snoring monitoring mode, and by switching only the required components according to each mode to an active state.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consumption of electrical energy.

코골이 방지 장치(100)는 확인된 코골이 방지모드에 대응하여 코골이 방지동작을 실행한다(단계 S300). 일 실시예에서, 코골이 방지모드는 대상 수면자의 수면 무호흡에 따른 응급알림모드를 포함할 수 있고, 코골이 방지동작은 응급알림모드에 의한 음성 및 문자메시지 전송을 포함할 수 있다.Snoring prevention device 100 performs a snoring prevention operation in response to the confirmed snoring prevention mode (step S300). In one embodiment, the snoring prevention mode may include an emergency notification mode according to the sleep apnea of the target sleeper, the snoring prevention operation may include voice and text message transmission by the emergency notification mode.

코골이 방지 장치(100)는 대상 수면자의 코골이 정보를 이력데이터로 저장할 수 있다(단계 S30).Snoring prevention device 100 may store the snoring information of the target sleeper as the history data (step S30).

도 4는 도 3의 단계 'S100'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FIG. 4 is a flowchart for describing a specific embodiment of step S100 of FIG. 3.

도 4를 참조하면, 코골이 방지 장치(100)는 사용자 제어 하에 코골이 감시모드가 실행되면(단계 S101), 코골이 방지모드를 설정하고(단계 S102) 외부보조장치(200)의 사용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단계 S103).Referring to FIG. 4, the snoring prevention apparatus 100 sets the snoring prevention mode (step S102) when the snoring monitoring mode is executed under the user control (step S102), and whether the external aid 200 is used. It can be confirmed (step S103).

확인결과, 외부보조장치(20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음향수신 대기모드를 실행하고(단계 S107), 외부보조장치(200)의 사용이 선택되면(단계 S103) 해당 외부보조장치(200)의 등록여부를 검색할 수 있다(단계 S104). 예를 들어, 외부보조장치(20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코골이 방지 장치(100)에 의해 유도모드 및 인식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As a result, when the external auxiliary device 200 is not used, the sound receiving standby mode is executed (step S107), and when the use of the external auxiliary device 200 is selected (step S103), the corresponding external auxiliary device 200 It is possible to search for registration (step S104). For example, when the external auxiliary device 200 is not used, the snoring prevention device 100 may perform the induction mode and the recognition mode.

검색결과, 해당 외부보조장치(200)가 등록된 경우에는(단계 S105) 음향수신 대기모드를 실행하고(단계 S107), 해당 외부보조장치(200)가 등록되지 않은 경우에는(단계 S105) 구동드라이버를 검색하여 해당 외부보조장치(200)를 등록하고(단계 S106) 음향수신 대기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단계 S107). 일 실시예에서, 구동드라이버의 검색은 코골이 방지 장치(100)의 내부 메모리를 검색하여 수행될 수 있다. 다른 일 실싱예에서, 구동드라이버의 검색은 지원서버(300)에 요청하여 수행될 수 있다.As a result of the search, if the external auxiliary device 200 is registered (step S105), the sound reception standby mode is executed (step S107), and if the external auxiliary device 200 is not registered (step S105), the driver Search for and register the corresponding external auxiliary device 200 (step S106) and execute the sound reception standby mode (step S107). In one embodiment, the search of the driver may be performed by searching the internal memory of the snoring prevention device 100. In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the search of the driver may be performed by requesting the support server 300.

여기서, 외부보조장치(200)의 등록은 코골이 방지 장치(200)가 해당 외부보조장치(200)를 곧바로 제어할 수 있도록 설정하여 무선통신망으로 연동될 수 있는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registration of the external auxiliary device 200 may include a state in which the snoring prevention device 200 is set so as to control the external auxiliary device 200 directly, thereby interworking wit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도 5는 도 3의 단계 'S200'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FIG. 5 is a flowchart for describing a specific embodiment of step S200 of FIG. 3.

도 5를 참조하면, 코골이 방지 장치(100)는 음향수신 대기모드가 실행된 상태에서(단계 S201), 입력되는 음향을 분석하여(단계 S202) 대상 수면자의 코골이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단계 S203). 일 실시예에서, 코골이 여부 판단은 코골이 정도에 대한 판단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골이 음향의 크기가 일정크기 이상인 경우 코골이가 심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snoring prevention device 100 may determine whether the target sleeper is snoring by analyzing the input sound (step S202) while the sound reception standby mode is executed (step S201). Step S203). In one embodiment, the determination of snoring may include a determination of the degree of snoring. For example, if the snoring sound is greater than a certain size,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snoring is severe.

판단결과, 코골이가 아닌 경우에는(단계 S203) 음향수신 대기모드를 유지하고(단계 S207), 코골이인 경우 코골이 방지모드를 확인할 수 있다(단계 S204). 일 실시예에서, 코골이 방지모드의 확인은 코골이가 심한 경우 인식모드를 수행하도록 판단할 수 있고, 코골이가 심하지 않은 경우 유도모드를 수행하도록 판단할 수 있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when it is not snoring (step S203), the sound reception standby mode is maintained (step S207), and when snoring, the snoring prevention mode can be checked (step S204). In one embodiment, the identification of the snoring prevention mode may be determined to perform the recognition mode when the snoring is severe, it may be determined to perform the induction mode when the snoring is not severe.

일 실시예에서, 코골이 방지모드가 인식모드인 경우에는(단계 S204) 대상 수면자에게 코골이를 알려주기 위한 코골이 방지 장치(100)(예를 들어, 휴대단말기) 및 외부보조장치(200)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확인하고(단계 S205) 현재의 인식모드를 유지할 수 있다(단계 S207).In one embodiment, when the snoring prevention mode is the recognition mode (step S204), snoring prevention device 100 (for example, a portable terminal) and the external auxiliary device 200 to inform the snoring to the target sleeper At least one of the operations can be checked (step S205) and the current recognition mode can be maintained (step S207).

다른 일 실시예에서, 코골이 방지모드가 유도모드인 경우에는(단계 S204) 대상 수면자의 코골이를 중지시키기 위한 외부보조장치(200)의 동작을 확인하고(단계 S206) 현재의 유도모드를 유지할 수 있다(단계 S207).In another embodiment, when the snoring prevention mode is the induction mode (step S204), check the operation of the external auxiliary device 200 to stop the snoring of the target sleeper (step S206) to maintain the current induction mode It may be (step S207).

도 6은 도 3의 단계 'S300'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FIG. 6 is a flowchart for describing a specific embodiment of step S300 of FIG. 3.

도 6을 참조하면, 코골이 방지 장치(100)는 코골이 방지동작이 실행되는 상태에서(단계 S301), 입력되는 음향을 지속적으로 분석할 수 있고(단계 S302), 대상 수면자의 코골이가 중단되면(단계 S303), 대상 수면자의 호흡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단계 S304). 일 실시예에서, 대상 수면자의 호흡 여부 확인은 저장된 호흡음향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snoring prevention device 100 may continuously analyze the input sound while the snoring prevention operation is performed (step S301), and the snoring of the target sleeper is stopped. When it is determined (step S303), it is possible to check whether the target sleeper breathes (step S304). In one embodiment, checking whether the subject sleeps breathing may be performed based on the stored respiration sound.

일 실시예에서, 대상 수면자가 호흡을 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단계 S305), 대상 수면자의 수면상태가 안정화된 것으로 판단하고 음향수신 대기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단계 S306).In one embodiment,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target sleeper is breathing (step S305),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sleep state of the target sleeper is stabilized and may be switched to the acoustic reception standby mode (step S306).

다른 일 실시예에서, 대상 수면자가 호흡을 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단계 S305), 대상 수면자가 수면 무호흡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고, 응급신호를 생성하여 다른 사람의 휴대단말기 또는 병원의 응급센터로 전송할 수 있다(단계 S307). 예를 들어, 응급신호는 음성 및 문자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응급신호의 전송 대상은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대상 수면자의 수면 무호흡 상태가 위험시간을 초과하여 유지되는 경우 코골이 방지 장치(100)는 사용자의 설정에 관계없이 병원의 응급센터로 응급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수면 무호흡 상태에 의해 유발되는 호흡곤란 및 호흡중단 등의 위험상황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target sleeper is not breathing (step S305), it is determined that the target sleeper is in the sleep apnea state, and generates an emergency signal and transmits it to another person's mobile terminal or hospital emergency center. It may be (step S307). For example, the emergency signal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voice and a text message, and the target of the emergency signal may be preset by the user. As another example, when the sleep apnea state of the target sleeper is maintained in excess of the dangerous time, the snoring prevention device 100 may transmit an emergency signal to an emergency center of a hospital regardless of the user's setting.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omptly cope with a dangerous situation such as shortness of breath and interruption of breath caused by the sleep apnea state.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코골이 방지 방법 및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러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n the above, the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sno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는 것이므로,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understoo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therefore the meaning of the claims.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scope and equivalent concept thereof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코골이 방지 장치
110 : 음향입력부 120 : 데이터처리부
130 : 동작설정부 140 : 무선통신부
150 : 구동드리이버 저장부 160 : 매칭데이터 저장부
170 : 이력데이터 저장부
100: snoring prevention device
110: sound input unit 120: data processing unit
130: operation setting unit 140: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50: driving driver storage unit 160: matching data storage unit
170: history data storage

Claims (7)

a) 코골이 감시모드가 실행되면 코골이 방지모드를 설정하고 음향수신 대기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b) 상기 음향수신 대기모드 상태에서 대상 수면자의 코골이 음향이 입력되면, 상기 설정된 코골이 방지모드를 확인하는 단계; 및
c) 상기 확인된 코골이 방지 모드에 대응하여 코골이 방지동작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코골이 방지 방법.
a) setting a snoring prevention mode and switching to a sound reception standby mode when the snoring monitoring mode is executed;
b) if the snoring sound of the target sleeper is input in the acoustic reception standby mode, checking the set snoring prevention mode; And
c) snoring prevention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performing a snoring prevention operation in response to the identified snoring prevention mod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골이 방지 방법은,
상기 단계 a) 이전에 실행되는 대상 수면자의 코골이 샘플음향을 획득하는 단계와, 외부보조장치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단계 c) 이후에 실행되는 대상 수면자의 코골이 정보를 이력데이터로 저장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골이 방지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snoring prevention method,
Acquiring a sample sound of snoring of the target sleeper executed before step a), setting an external auxiliary device, and storing snoring information of the target sleeper executed after the step c) as historical data Snoring prevention method further comprises at least one of.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는,
a-1) 코골이 방지모드가 설정되면 외부보조장치의 사용여부를 확인하는 과정;
a-2) 상기 확인결과, 외부보조장치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음향수신 대기모드를 실행하고, 외부보조장치의 사용이 선택되면 해당 외부보조장치의 등록여부를 검색하는 과정; 및
a-3) 상기 검색결과, 해당 외부보조장치가 등록된 경우에는 음향수신 대기모드를 실행하고, 해당 외부보조장치가 등록되지 않은 경우에는 구동드라이버를 검색하여 해당 외부보조장치를 등록하고 음향수신 대기모드를 실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골이 방지 방법.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step a)
a-1) checking whether the external aid is used when the snoring prevention mode is set;
a-2) when the external auxiliary device is not used, executing the acoustic reception standby mode and searching whether the external auxiliary device is registered if the use of the external auxiliary device is selected; And
a-3) If the external auxiliary device is registered as a result of the search, the sound receiving standby mode is executed; if the external auxiliary device is not registered, the driver is searched to register the external auxiliary device and wait for the sound receiving. Snoring prevention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executing a mode.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는,
b-1) 입력되는 음향을 분석하여 대상 수면자의 코골이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
b-2) 상기 판단결과, 코골이가 아닌 경우에는 상기 음향수신 대기모드를 유지하고, 코골이인 경우 코골이 방지모드를 확인하는 과정; 및
b-3) 상기 확인결과, 코골이 방지모드가 인식모드인 경우에는 대상 수면자에게 코골이를 알려주기 위한 휴대단말기 및 외부보조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확인하고 현재의 인식모드를 유지하고, 코골이 방지모드가 유도모드인 경우에는 대상 수면자의 코골이를 중지시키기 위한 외부보조장치의 동작을 확인하고 현재의 유도모드를 유지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골이 방지 방법.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step b)
b-1) analyzing the input sound to determine whether the target sleeper is snoring;
b-2) if the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s not snoring, maintaining the sound reception standby mode and, if snoring, checking the snoring prevention mode; And
b-3) if the snoring prevention mode is the recognition mode, the operation confirms at least one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external auxiliary device for notifying the snoring to the target sleeper and maintains the current recognition mode; If the snoring prevention mode is the induction mode, the method of checking the operation of the external auxiliary device for stopping the snoring of the target sleeper and maintaining the current induction mode.
대상 수면자의 코골이 음향을 수신하는 음향입력부;
상기 음향입력부로 입력되는 음향을 분석하여, 대상 수면자의 코골이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결과에 기초하여 코골이방지 유도모드, 수면자 인식모드 및 응급알림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며, 상기 선택된 모드별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데이터처리부; 및
상기 데이터처리부에서 선택되는 각 모드에 대응하는 장치별 동작이 설정되고, 상기 데이터처리부의 선택에 대응하여 설정된 장치별 동작데이터를 제공하는 동작설정부를 포함하는 코골이 방지 장치.
A sound input unit for receiving a snoring sound of the target sleeper;
The sound input to the sound input unit is analyzed to determine whether the target sleeper is snoring, and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selects at least one of the snoring prevention mode, sleeper recognition mode and emergency notification mode, the selected A data processor controlling an operation of a device for each mode; And
And an operation setting unit for setting device-specific operations corresponding to each mode selected by the data processing unit and providing operation data for each device set corresponding to the selection of the data processing unit.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코골이 방지 장치는,
상기 데이터처리부와 연동하며 각 장치별 동작을 제어하는 구동드라이버를 저장하는 구동드라이버 저장부;
상기 데이터처리부와 연동하며 대상 수면자의 코골이 샘플음향을 저장하는 매칭데이터 저장부; 및
상기 데이터처리부와 연동하며 대상 수면자의 코골이 증상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이력데이터 저장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골이 방지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snoring prevention device,
A driver driver storage unit interlocking with the data processor and storing a driver driver for controlling an operation of each device;
Matching data storage unit for interlocking with the data processing unit and stores the sample sound snoring of the target sleeper; And
Snoring preven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f the history data storage unit for interlocking with the data processing unit and stores information on the snoring symptoms of the target sleeper.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처리부는,
상기 매칭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코골이 샘플음향과 상기 음향입력부로 입력되는 음향을 비교하여, 대상 수면자의 코골이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결과를 이력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하며, 상기 구동드라이버 저장부에 저장된 구동드라이버를 실행하여 모드별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골이 방지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data processing unit,
The snoring stored in the matching data storage unit compares the sample sound and the sound input to the sound input unit, and determines whether the target sleeper snoring, and stores the determination result in the history data storage unit, the drive driver storage unit Snoring preven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de-specific device by executing a drive driver stored in.
KR1020110076887A 2011-08-02 2011-08-02 System for snoring prevention and method thereof KR10138866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6887A KR101388661B1 (en) 2011-08-02 2011-08-02 System for snoring prevention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6887A KR101388661B1 (en) 2011-08-02 2011-08-02 System for snoring prevention and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5071A true KR20130015071A (en) 2013-02-13
KR101388661B1 KR101388661B1 (en) 2014-04-24

Family

ID=47894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6887A KR101388661B1 (en) 2011-08-02 2011-08-02 System for snoring prevention and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8661B1 (en)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26147A1 (en) * 2015-02-06 2016-08-11 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snoring
KR101866169B1 (en) * 2017-12-11 2018-06-11 (주)웰크론 Personalized system for preventing snoring
KR20210028420A (en) * 2019-09-04 2021-03-12 박양성 Anti-Snoring Device Capable Of Stopping Selectively User`s Snoring Out Of A Plurality Of Snoring Sounds
KR102346233B1 (en) 2020-08-14 2022-01-05 주식회사 이피아이랩 Method and system for snoring analysis service providing snoring analysis and disease diagnosis prediction service based on snoring sound analysis
KR20220021986A (en) 2020-08-14 2022-02-23 주식회사 이피아이랩 A method for detecting snoring/airway stricture location based on bio-signal and system for providing snoring analysis service
KR20220021989A (en) 2020-08-14 2022-02-23 주식회사 이피아이랩 Method and device for monitoring correlation between snoring and posture based on snoring sound and sleep posture analysis during sleep
KR20220021991A (en) 2020-08-14 2022-02-23 주식회사 이피아이랩 Method and device for detecting snoring/airway stenosis location based on snoring sound analysis
KR20220069428A (en) * 2020-11-20 2022-05-27 링크페이스 주식회사 Method of measuring bio-metric data using sensors and system perform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4219B1 (en) 2018-05-11 2019-07-30 주식회사 라이프시맨틱스 A system of detecting sleep disturbance using a microvibration sensor and a sound senso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340869A (en) * 2005-12-20 2009-01-07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snoring and/or sleep apnea of sleeping person
KR20100010417U (en) * 2009-04-15 2010-10-25 (주)에어패스 Abdominal belt for preventing from snoring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26147A1 (en) * 2015-02-06 2016-08-11 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snoring
KR101866169B1 (en) * 2017-12-11 2018-06-11 (주)웰크론 Personalized system for preventing snoring
KR20210028420A (en) * 2019-09-04 2021-03-12 박양성 Anti-Snoring Device Capable Of Stopping Selectively User`s Snoring Out Of A Plurality Of Snoring Sounds
KR102346233B1 (en) 2020-08-14 2022-01-05 주식회사 이피아이랩 Method and system for snoring analysis service providing snoring analysis and disease diagnosis prediction service based on snoring sound analysis
KR20220021899A (en) 2020-08-14 2022-02-22 주식회사 이피아이랩 Method for snoring analysis service providing snoring analysis and disease diagnosis prediction service based on snoring sound analysis
KR20220021900A (en) 2020-08-14 2022-02-22 주식회사 이피아이랩 A System for snoring analysis service providing snoring analysis and disease diagnosis prediction service based on snoring sound analysis
KR20220021986A (en) 2020-08-14 2022-02-23 주식회사 이피아이랩 A method for detecting snoring/airway stricture location based on bio-signal and system for providing snoring analysis service
KR20220021989A (en) 2020-08-14 2022-02-23 주식회사 이피아이랩 Method and device for monitoring correlation between snoring and posture based on snoring sound and sleep posture analysis during sleep
KR20220021991A (en) 2020-08-14 2022-02-23 주식회사 이피아이랩 Method and device for detecting snoring/airway stenosis location based on snoring sound analysis
KR20220069428A (en) * 2020-11-20 2022-05-27 링크페이스 주식회사 Method of measuring bio-metric data using sensors and system perform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8661B1 (en) 2014-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8661B1 (en) System for snoring prevention and method thereof
US11872351B2 (en) Systems and methods of multi-segment transcutaneous vibratory output
US9659475B2 (en) System and method for adapting alarms in a wearable medical device
US9684767B2 (en) System and method for adapting alarms in a wearable medical device
US10939216B2 (en) Health monitoring with ear-wearable devices and accessory devices
US8738183B2 (en) Personally customized electronic furniture and method of implementing the same
US20130108995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nd influencing body position
US20220362095A1 (en) Systems and methods of transcutaneous vibration for sexual arousal
US11020063B2 (en) Support system
JP2005115799A (en) Health care support system
KR101347808B1 (en) System for snoring prevention
Dosani et al. A vibro-tactile display for clinical monitoring: real-time evaluation
KR101319917B1 (en) Method, system for sound sleep using born connection pillow
Pineault Impact of COVID-19 pandemic on mental health and people with hearing problems
US11688508B2 (en) Biometric status sensing media therapy system and methods of use
KR102057760B1 (en) Health care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0771704B1 (en) Asthma diagnosis system
US20230284973A1 (en) Diagnostic tool and therapeutic methods for sleep respiratory issues via a positional therapy ear device using audible notification
JP7041441B1 (en) Infected person medical treatment management system
WO2023278636A1 (en) Systems, methods, and components thereof relating to positional therapy for sleep apnea
US20220293259A1 (en) Technologies for performing dynamic alert management to reduce caregiver fatigue
CN117561021A (en) Sleep apnea posture treatment system, method and assembly thereof
CN111562746A (en) Interactive method and system for applying neck massager to smart home
KR20180034380A (en) 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medical ser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