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6233B1 - Method and system for snoring analysis service providing snoring analysis and disease diagnosis prediction service based on snoring sound analysis - Google Patents

Method and system for snoring analysis service providing snoring analysis and disease diagnosis prediction service based on snoring sound analysi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6233B1
KR102346233B1 KR1020200102446A KR20200102446A KR102346233B1 KR 102346233 B1 KR102346233 B1 KR 102346233B1 KR 1020200102446 A KR1020200102446 A KR 1020200102446A KR 20200102446 A KR20200102446 A KR 20200102446A KR 102346233 B1 KR102346233 B1 KR 1023462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noring
information
posture
analysis
slee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244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성연제
박민영
조승현
최사규
김동영
성명훈
권중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피아이랩
서울대학교병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피아이랩, 서울대학교병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피아이랩
Priority to KR10202001024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6233B1/en
Priority to KR1020210185655A priority patent/KR102619758B1/en
Priority to KR1020210185654A priority patent/KR10255278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62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623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06Sleep evalu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A61B5/0826Detecting or evaluating apnoea ev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16Determining posture tran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26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using a particular sensing technique
    • A61B5/1128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using a particular sensing technique using image analy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03Speech analysis specially adapted for diagnostic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06Sleep evaluation
    • A61B5/4818Sleep apnoe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35Details of waveform analysis
    • A61B5/7264Classification of physiological signals or data, e.g. using neural networks, statistical classifiers, expert systems or fuzzy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71Specific aspects of physiological measurement analysis
    • A61B5/7275Determining trends in physiological measurement data; Predicting development of a medical condition based on physiological measurements, e.g. determining a risk factor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5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simulation or modelling of med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19Inertial sensors, e.g. accelerometers, gyroscopes, tilt switch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sychiatr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Fuzzy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ulmonolog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noring analysis service method for providing a snoring analysis and disease diagnosis/prediction service based on biometric signal analysis, which easily identify the location of snoring without using expensive specialized equipment, and a snoring analysis service system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noring analysis service system comprises: a snoring analysis module analyzing a snoring sound to detect a snoring state and a snoring location; a posture and snoring relationship modeling unit detects a sleeping posture to match the detected sleeping posture and snoring state information and displaying the snoring location on a human body modeling figure; and a disease prediction module using the snoring monitoring information and snor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noring analysis module and using correlation information between snoring and posture of the posture and snoring relationship modeling unit to perform snoring evaluation and sleep evaluation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evaluation algorithm, accumulate, store, and manage evaluation results in a database, and analyzing a change trend of the snoring monitoring and location information, evaluation information, and accumulated and managed information to perform diagnostic prediction on diseases causing the snoring.

Description

생체신호 분석 기반 코골이 분석과 질병 진단 예측 서비스를 제공하는 코골이 분석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snoring analysis service providing snoring analysis and disease diagnosis prediction service based on snoring sound analysis}Snoring analysis service method and system providing snoring analysis based on biosignal analysis and disease diagnosis prediction service

본 발명은 코골이 소리 분석 기반 코골이 분석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코골이 소리를 분석하여 코골이-수면무호흡(이하 “코골이”)가 발생되는 위치를 추정하여 검출하고, 이를 분석하여 코골이를 발생할 원인이 되는 질병 진단을 예측하여 코골이 분석 서비스를 제공하는 생체신호 분석 기반 코골이 분석과 질병 진단 예측 서비스를 제공하는 코골이 분석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noring sound analysis-based snoring analysis service method and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by analyzing a snoring sound to estimate and detect a location where snoring-sleep apnea (hereinafter "snoring") occurs, and , It relates to a snoring analysis service method and system that provides a biosignal analysis-based snoring analysis that provides a snoring analysis service by predicting the diagnosis of a disease that causes snoring by analyzing it and a disease diagnosis prediction service.

코골이는 수면 중 여러 이유로 상기도가 좁아져 연구개 등의 신체 조직이 진동을 일으켜 발생하는 호흡 잡음이다. 코골이는 호흡 시 산호 흡입량을 감소시켜 주간 피로감, 두통, 주간 졸림증, 성격 변화(공격적 성격, 자극 과민성, 불안감, 우울 반응 등)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시간의 코골이는 폐쇄성수면 무호흡증후군(OSAS: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을 유발할 수 있다.Snoring is a breathing noise caused by vibration of body tissues such as the soft palate due to narrowing of the upper airway for various reasons during sleep. Snoring reduces the amount of coral inhaled during respiration, so symptoms such as daytime fatigue, headache, daytime sleepiness, personality changes (aggressive personality, irritability, anxiety, depressive reaction, etc.) may appear. It can cause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OSAS).

이처럼 코골이는 신체 내분비 기관에 이상을 불러올 수 있다. 그러나 수면자가 평상시 자신의 수면 질환을 스스로 판단하는 것을 불가능하다. 전문 의료기관에서 수면 질환을 진단하는 검사는 심전도(Electrocardiography), 뇌전도(Electroencephalography) 등 측정 장비를 여러 곳에 부착하고 익숙하지 않은 곳에서 수면을 취해야 하는 등의 불편을 야기하며 또한 비용도 고가이다.As such, snoring can cause abnormalities in the endocrine system of the body. However, it is impossible for a sleeper to judge his or her sleep disorder on his/her own. Examinations for diagnosing sleep disorders at specialized medical institutions cause inconvenience such as attaching measuring equipment such as electrocardiography and electroencephalography to various places and having to sleep in unfamiliar places, and are also expensive.

따라서, 무구속, 무자각적인 방법으로 수면 중 코골이의 발생 여부를 알아내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필요에 따라서, 코골이 음향으로부터 코골이 신호를 검출하는 종래의 기술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0-0063265호(200.11.06. 공개) "신경회로망을 이용한 음향식별에 기반한 코골이 음향식별방법",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3-0015071호(2013.02.13. 공개) "코골이 방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코골이 방지 방법",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299679호(2013.08.27. 공개), "코골이방지베게",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96905호(2016.08.17. 공개) "음향신호 재구성에 의한 코골이검출방법", (특허문헌 005) 한국등록특허 제10-2068484호(2020.01.15 등록) "수면무호흡증 예측 모델의 생성 방법 및 이 모델을 이용한 수면무호흡증 예측 방법" 등등이 있다.Therefore, it is necessary to find out whether snoring occurs during sleep in an unconstrained, non-subconscious way. According to this need, as a conventional technology for detecting a snoring signal from a snoring sound,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0-0063265 (published on Nov. 6, 200) "Snoring sound identification based on acoustic identification using a neural network" Method",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3-0015071 (published on February 13, 2013) "Snoring prevention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snoring using the same",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299679 (published on August 27, 2013) , "Anti-snoring pillow",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6-0096905 (published on August 17, 2016) "Snoring detection method by reconstructing an acoustic signal", (Patent Document 005) Korean Patent No. 10-2068484 Issue (registration on January 15, 2020) "A method of generating a sleep apnea prediction model and a method of predicting sleep apnea using this model" and the like.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들은 소리를 분석하여 코골이 여부를 판단하고, 코골이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거나, 코골이 방지를 위하여 소리를 내거나, 움직임을 주거나, 코골이 방지 베게나, 매트리스 제어등을 하도록 되어 있다.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alyze the sound to determine whether snoring is present, provide information on the snoring state, make a sound to prevent snoring, give movement, or control a snoring pillow or mattress, etc. it is to be done

그런데, 코골이는 수면 자세에 의해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수면중 자세를 바르게 함으로써 코골이를 어느정도 예방할 수 있으나, 종래의 코골이 감지 방법만으로는 수면중 자세와 코골이와의 상관 관계를 알수 없었다. 또한,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OSA) 환자의 경우, 코골이 발생 폐쇄 위치를 알아야 전문 의료진단 요청이나 수술가능 여부등을 참조할 수 있다. 하지만 종래 기술만으로는 코골이 소리만으로 코골이 위치를 찾는 방법은 제안되어 있지 않다.However, since snoring is greatly affected by sleeping posture, it is possible to prevent snoring to some extent by correcting posture during sleep. In addition, in the case of obstructive sleep apnea (OSA) patients, it is necessary to know the location of the snoring and obstructive occlusion so that it is possible to refer to a request for professional medical diagnosis or whether surgery is possible. However, a method for finding a snoring position only with a snoring sound has not been proposed in the prior art.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0-0063265호(200.11.06. 공개) "신경회로망을 이용한 음향식별에 기반한 코골이 음향식별방법",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00-0063265 (published on Nov. 6, 200) "A method for snoring sound identification based on acoustic identification using a neural network",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3-0015071호(2013.02.13. 공개) "코골이 방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코골이 방지 방법",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3-0015071 (published on February 13, 2013) "Snoring prevention system and snoring prevention method using the same",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299679호(2013.08.27. 공개), "코골이방지베게",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299679 (published on August 27, 2013), "Anti snoring pillow",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96905호(2016.08.17. 공개) "음향신호 재구성에 의한 코골이검출방법"Korean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16-0096905 (published on Aug. 17, 2016) "A method for detecting snoring by reconstructing an acoustic signal" 한국등록특허 제10-2068484호(2020.01.15 등록) "수면무호흡증 예측 모델의 생성 방법 및 이 모델을 이용한 수면무호흡증 예측 방법"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2068484 (registered on January 15, 2020) "A method for predicting sleep apnea and a method for predicting sleep apnea using this model"

LDA를 이용한 코골이 검출방법에 대한 연구. 한국통신학회 2015년도 동계종합학술발표회, 2015.01A study on snoring detection method using LDA. Korea Communication Society 2015 Winter Comprehensive Academic Presentation, 2015.01

본 발명의 목적은, 코골이 소리와, 산소포화도와 같은 생체신호, 수면중 자세 및 코골이 소리에 따른 코골이 위치 검출과, 코골이 모니터링 누적 정보에 따른 변화 추이 등을 감안하여 코골이와 수면 평가로 코골이의 원인이 되는 질병 구조의 진단예측과, 사용자의 수면질 향상을 위한 추천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생체신호 분석 분석 기반 코골이 분석과 질병 진단 예측 서비스를 제공하는 코골이 분석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consider snoring and sleep in consideration of snoring sound, biosignals such as oxygen saturation, snoring position detection according to sleeping posture and snoring sound, and change trend according to snoring monitoring accumulated information. A snoring analysis service method that provides snoring analysis and disease diagnosis prediction service based on biosignal analysis to provide diagnosis prediction of disease structure that causes snoring by evaluation and recommendation information for improving the user's sleep quality; to provide a system.

상기한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골이 소리 분석 기반 코골이 분석과 질병 진단 예측 서비스를 제공하는 코골이 분석 서비스 방법은, 소리 분석에 의해 코골이 상태를 검출하여 코골이 분석 정보를 서비스하는 코골이 분석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수면 시간 동안 수집되는 오디오를 분석하여, 수면 무호흡증을 포함하는 코골이 모니터링 정보 및 코골이 위치를 검출하는 코골이 검출단계; 사용자의 수면 시간 동안 측정되는 수면 자세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수면 자세를 검출하는 자세 검출단계; 상기 자세정보와 수면중 코골이 모니터링 정보와 매칭하고, 호흡 경로를 해부학적 경로로 모델링하여 상기 코골이 위치 정보를 매칭하는 단계; 상기 코골이 모니터링 정보와, 코골이 평가정보, 수면 평가 정보를 누적관리하고, 코골이 상태 및 평가 정보들의 변화 추이를 분석하여 코골이를 유발할 수 있는 질병에 대한 질병 진단예측 단계와; 상기 상기 코골이 상태 모니터링 정보와, 코골이 평가정보, 수면 평가 정보를 제공함과 아울러 상기 진단예측 결과 및 코골이 방지를 위한 추천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 단계; 를 포함한다.A snoring analysis service method that provides a snoring sound analysis-based snoring analysis and disease diagnosis prediction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object detects a snoring state by sound analysis and analyzes snoring A snoring analysis service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comprising: a snoring detection step of analyzing audio collected during a user's sleep time to detect snoring monitoring information including sleep apnea and a snoring position; a posture detecting step of analyzing the sleeping posture information measured during the user's sleeping time to detect the user's sleeping posture; Matching the posture information and sleep snoring monitoring information, and modeling the breathing path as an anatomical path to match the snoring position information; a disease diagnosis and prediction step for accumulating and managing the snoring monitoring information, snoring evaluation information, and sleep evaluation information, and analyzing a change trend of the snoring state and evaluation information to cause snoring; a service step of providing the snoring status monitoring information, snoring evaluation information, and sleep evaluation information, as well as providing the diagnosis prediction result and recommendation information for snoring prevention; includes

또한 상기한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코골이 소리 분석 기반 코골이 분석과 질병 진단 예측 서비스를 제공하는 코골이 분석 서비스 시스템은, 코골이 소리를 수집하여 오디오 특성 분석에 의해 코골이 모니터링 정보와, 코골이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코골이 분석모듈과; 수면 자세를 검출하여 상기 코골이 모니터링 정보를 맵핑하고, 코골이 위치정보를 인체 모델링 정보에 맵핑하는 자세와 코골이 관계 모델링부와; 상기 코골이 모니터링 정보 및 코골이 위치정보와 자세와 코골이와의 상관관계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누적저장하여 관리함과 누적관리되는 정보 및 그들의 변화추이를 분석하여 코골이를 발생할 질병 진단예측을 하는 질병 예측 모듈; 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snoring analysis service system that provides a snoring sound analysis-based snoring analysis and disease diagnosis prediction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executing the above method collects snoring sounds and analyzes audio characteristics for snoring monitoring information And, a snoring analysis module for detecting snoring location information; a posture and snoring relationship modeling unit that detects a sleeping posture, maps the snoring monitoring information, and maps snoring position information to human body modeling information; A disease prediction module that accumulates and manages the snoring monitoring information, snoring location information, posture and correlation information between snoring in a database, and analyzes the accumulated management information and their change trends to predict the diagnosis of snoring disease ; includes

본 발명은 소리 분석에의해 코골이 상태를 검출할 수 있고, 수면중 자세 정보에 코골이 상태 정보를 매칭시킴으로써, 코골이가 발생되는 자세정보와, 코골이의 정도 정보를 추출하여 제공할 수 있다. 코골이와 자세의 상관 관계를 추출하여 코골이를 방지하거나 줄일 수 있는 자세 및 코골이 방지 베개 등의 보조수단을 사용자가 쉽게 찾아 적용해볼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detect a snoring state by sound analysis, and by matching the snoring state information to the sleeping posture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extract and provide information on the posture in which snoring occurs and information on the degree of snoring. . By extracting the correlation between snoring and postur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user can easily find and apply auxiliary means such as a posture for preventing or reducing snoring and an anti-snoring pillow.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소리분석에 의하여 코골이와 코골이 위치를 검출할 수 있어서, 코골이 및 코골이 위치 분석에 의해 고비용의 전문 장비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코골이 발생 위치정보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detect snoring and snoring positions by sound analysis, so that snoring and snoring position information can be easily grasped without using expensive specialized equipment by snoring and snoring position analysis. .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코골이 소리 분석에 의한 코골이 검출과, 코골이 위치 검출, 자세파악 센서를 이용하여 수면 중 자세를 검출할 수 있고 이를 모니터링 정보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코골이와 코골이 위치, 자세 정보를 상호 매칭시켜 자세별 코골이 상태를 분석할 수 있고 모니터링 정보를 누적하여 이력으로 관리하고, 상태 변화 추이를 분석하여 유발가능한 질병을 예측하거나, 전문의에게 코골이 모니터링 정보를 제공하여 정밀 진단을 받을 수 있도록 안내할 수 있으며, 수면 질 향상 및 코골이 방지를 위한 추천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detect a posture during sleep using snoring detection by snoring sound analysis, snoring position detection, and a posture detection sensor, and this can be provided as monitoring information. In addition, snoring and snoring positions and posture information are matched to each other to analyze the snoring status by posture, and monitoring information is accumulated and managed as a history. By providing this monitoring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guide them to receive a precise diagnosis, and it has the effect of providing recommended information for improving sleep quality and preventing snoring.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코골이와 자세 분석 서비스 시스템 개요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사용자 스마트단말 개요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서버의 코골이와 자세분석부 개념도이다.
도 4의 (가) 및 (나)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수면 자세와 베개 사용에 따른 수면 자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코골이 위치 예시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에 의한 서버의 서비스 제공부의 개요도이다.
도 7는 본 발명에 의한 분석결과 리포트 생성부의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독립형 디바이스로 구성되는 코골이 분석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골이와 자세 모니터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골이 소리 분석에 의한 코골이 위치 검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골이 분석에 따른 진단예측 및 추천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snoring and posture analysis servi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diagram of a user smart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onceptual diagram of the snoring and posture analysis unit of the ser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A) and (B) are exemplary sleeping postures according to the use of a sleeping posture and a pillow for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snoring position for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chematic diagram of a service providing unit of a ser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emplary diagram of an analysis result report generation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snoring analysis apparatus configured as a standalon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xplanatory diagram for explaining a snoring and posture monitor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n explanatory diagram for explaining a snoring position detection method by snoring sound analys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n explanatory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a diagnosis prediction and recommendation information service according to snoring analys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의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와 방법을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 예들은 원칙적으로, 본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 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following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principles of the invention. Therefor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devise various devices and methods that, although not explicitly described or shown herein, embody the princi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all conditional terms and examples listed herein are, in principle, expressly intended only for the purpose of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y are not limited to the specifically enumerated embodiments and states as such. do.

또한, 본 발명의 원리, 관점 및 실시 예들뿐만 아니라 특정 실시 예를 열거하는 모든 상세한 설명은 이러한 사항의 구조적 및 기능적 균등물을 포함하도록 의도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균등물들은 현재 공지된 균등물뿐만 아니라 장래에 개발될 균등물 즉 구조와 무관하게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발명된 모든 소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Moreover, it is to be understood that all detailed description reciting the principles, aspects, and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s well as specific embodiments, are intended to cover structural and functional equivalents of such matters. It should also be understood that such equivalents include not only currently known equivalents, but also equivalents developed in the future, i.e., all devices invented to perform the same function, regardless of structure.

따라서, 예를 들어, 본 명세서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원리를 구체화하는 예시적인 회로의 개념적인 관점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와 유사하게, 모든 설명도, 상태 변환도, 의사 코드 등은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매체에 실질적으로 나타낼 수 있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가 명백히 도시되었는지 여부를 불문하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다양한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us, for example, the block diagrams herein are to be understood as representing conceptual views of illustrative circuitry embodying the principles of the invention. Similarly, all descriptive diagrams, state transition diagrams, pseudo code, etc. may be materially embodied on computer-readable media and are intended to represent the various processes performed by a computer or processor, whether or not the computer or processor is explicitly shown. should be understood

또한 프로세서, 제어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제시되는 용어의 명확한 사용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를 배타적으로 인용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제한 없이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기 위한 롬(ROM), 램(RAM) 및 비휘발성 메모리를 암시적으로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주지관용의 다른 하드웨어도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lear use of terms presented as processor, control, or similar concepts should not be construed as exclusively referring to hardware having the ability to execute software, and without limitation, digital signal processor (DSP) hardware, ROM for storing software. It should be understood to implicitly include (ROM), RAM (RAM) and non-volatile memory. Other common hardware may also be included.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The above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will become more apparent through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n relation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ccordingl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easily implem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will be. In addi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facilitate the overall understand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in the drawings, and duplicate descriptions of the same components are omitted.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코골이와 자세 분석 서비스 시스템 개요도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snoring and posture analysis servi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디오 입력수단(10), 수면자세측정수단(20), 스마트단말(40), 서비스 서버(10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1 , it includes an audio input unit 10 , a sleeping posture measuring unit 20 , a smart terminal 40 , and a service server 100 .

오디오 입력수단(10)은, 사용자의 수면중 발생되는 코골이 소리를 포함하는 소리를 입력 받는 마이크로폰이 될 수 있다.The audio input means 10 may be a microphone that receives a sound including a snoring sound generated during a user's sleep.

수면자세측정수단(20)은, 수면중인 사용자의 수면 자세를 감지하는 위치자각 장치(gyroscope 등)나 다른 종류의 센서, 촬영하는 카메라 장치 등일 수 있다. 수면자세측정수단(20)으로서, 가슴위에 올려두고 자세를 검출할 수 있는 자이로센서 및 이마에 부착하는 또 다른 센서를 이용하거나, 사용자의 신체부위별 위치변화를 측정하는 라이더 센서등을 이용하여 수면중 자세를 검출할 수도 있다. The sleeping posture measuring means 20 may be a position-aware device (eg, a gyroscope) that detects a sleeping posture of a sleeping user, another type of sensor, or a camera device for photographing. As the sleeping posture measuring means 20, a gyro sensor that can be placed on the chest to detect the posture and another sensor attached to the forehead are used, or the user sleeps using a lidar sensor that measures the position change for each body part. It is also possible to detect the middle posture.

한편, 본 발명에서 생체정보 측정수단(30)을 더 포함시킬 수 있다. 이는 소리분석과 자세 분석만으로 사용자의 수면중 코골이 분석 정보 및 코골이 분석정보에 의한 질병예측시 정확성을 좀더 높이기 위해서 생체정보 측정수단(30)을 추가 구성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iometric information measuring means 30 may be further included. In order to further increase the accuracy in predicting a disease based on the user's sleep snoring analysis information and snoring analysis information only by sound analysis and posture analysis, the biometric information measuring means 30 may be additionally configured.

생체 정보 측정수단(30)으로는, 산소포화도 검출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산호포화도 검출센서 이외에 통상의 생체신호 검출수단들인 심박수 검출수단, 뇌파검출 수단, 호흡검출수단, 등등의 코골이 분석을 위한 생체정보 측정수단(30)을 더 포함 할 수 있다. The biometric information measuring means 30 may include an oxygen saturation detection sensor. In addition to the coral saturation detection sensor, it may further include biometric information measuring means 30 for snoring analysis, such as heart rate detection means, brain wave detection means, respiration detection means, which are common biological signal detection means.

상기 스마트 단말(40)은, 스마트폰이나, 테블릿 PC, 또는 전용 스마트 단말 중 어느 하나로도 구현될 수 있고, 코골이 분석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오디오신호와 수면자세측정신호를 입력 받아 각각 전처리하여 오디오 데이터와 수면자세정보 데이터를 동기화 시켜 서비스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The smart terminal 40 may be implemented as any one of a smart phone, a tablet PC, or a dedicated smart terminal, and a snoring analysis application may be installed. The audio signal and the sleeping posture measurement signal are received and pre-processed, respectively, to synchronize the audio data and the sleeping posture information data and transmit it to the service server 100 .

상기 스마트 단말(40)은, 코골이 분석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 시작시간부터 종료 시간까지 수면 기간 동안의 오디오 데이터와 수면자세 데이터를 서비스 서버(100)로 전송하여 서비스 서버에서 모든 분석처리를 하도록 할 수 있다.The smart terminal 40 transmits audio data and sleep posture data during the sleep period from the start time when the snoring analysis application is executed to the end time to the service server 100 to perform all analysis processing in the service server. have.

하지만 꼭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스마트 단말에서 오디오 데이터의 주파수 분석을 이용해 코골이 구간과 코골이 구간 사이의 무 호흡 구간을 검출하여 코골이 데이터 서비스 서버에 전송하고, 서비스 서버에서 코골이 구간의 오디오 데이터를 학습모듈을 통해 분석하여 코골이 위치를 검출하게 할 수 있다.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apnea section between the snoring section and the snoring section is detected using frequency analysis of the audio data in the smart terminal and transmitted to the snoring data service server, and the audio of the snoring section from the service server is detected. The snoring position can be detected by analyzing the data through the learning module.

또한 수면자세 측정수단(20)으로 영상촬영 카메라를 이용하는 경우, 생체정보 측정수단(30)의 측정 이벤트를 이용하여 영상 촬용용 카메라를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즉, 코골이 검출구간에 대응되는 시간의 수면자세 영상 데이터만을 추출하여 서비스 서버(100)로 전송하게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when an image capturing camera is used as the sleeping posture measuring means 20 , the operation of the image capturing camera may be controlled by using the measurement event of the biometric information measuring unit 30 . That is, only the sleeping posture image data of the time corresponding to the snoring detection section may be extracted and transmitted to the service server 100 .

상기 서비스 서버(100)는, 네트워크를 통해 복수의 스마트 단말(40)과 통신 가능한 클라우드 서비스 서버일 수도 있다. 서비스 서버(100)는, 오디오 분석부(110), 수면자세분석부(120), 생체정보 분석부(130), 코골이와 자세 분석부(200), 서비스 제공부(400) 및 데이터베이스(400)를 포함한다.The service server 100 may be a cloud service server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a plurality of smart terminals 40 through a network. The service server 100 includes an audio analysis unit 110 , a sleeping posture analysis unit 120 , a biometric information analysis unit 130 , a snoring and posture analysis unit 200 , a service providing unit 400 , and a database 400 . ) is included.

상기 코골이와 자세 분석부(200)는,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를 오디오 분석부(110)를 통해 분석하여 코골이와 코골이 위치정보를 검출하여 코골이 상태를 분석한다. 또한 수신된 수면자세정보를 수면자세 분석부(120)를 통해 분석하여 사용자의 수면 자세를 추출한다. 또한, 수신된 생체정보를 생체정보 분석부(130)를 통해 분석하여 코골이 및 코골이 위치 분석과, 자세분석 및 질병예측에 반영할 수도 있고, 생체정보 자체의 분석처리에 의해 질병예측이나 추천정보 제공 정보로 활용할 수도 있다.The snoring and posture analysis unit 200 analyzes the received audio data through the audio analysis unit 110 to detect snoring and snoring position information to analyze the snoring state. In addition, the user's sleeping posture is extracted by analyzing the received sleeping posture information through the sleeping posture analyzing unit 120 . In addition, the received biometric information can be analyzed through the biometric information analysis unit 130 and reflected in snoring and snoring position analysis, posture analysis, and disease prediction, and disease prediction or recommendation by analysis processing of the biometric information itself It can also be used as information providing information.

그리고, 코골이 분석과, 코골이 위치 및 자세정보를 매칭시켜 자세와 코골이의 관계 및 자세와 코골이 위치 관계를 분석한다. 이러한 코골이 분석과 코골이 위치 분석, 자세분석, 상호 관계 분석 등은 학습 데이터를 기반으로 학습모듈 등을 구축하여두고, 입력된 오디오 분석정보와 자세 분석정보들을 이용하여 인공지능학습에 의해 분석한다.The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sture and snoring and the posture and the position of the snoring are analyzed by matching the snoring analysis with the snoring position and posture information. Such snoring analysis, snoring position analysis, posture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etc. are analyzed by artificial intelligence learning by building a learning module based on the learning data and using the input audio analysis information and posture analysis information. .

또한, 코골이와 자세 분석부(200)에서 분석되는 코골이 정보, 코골이 위치와 자세정보 등을 기반으로 폐쇄성 무 호흡에 대한 진단과 이에 대한 평가, 누적 정보들을 이용한 변화 추이 분석 등을 이용하여 질병 예측 진단과, 추천 정보 생성 등을 더 포함 할 수 있다.In addition, using the diagnosis and evaluation of obstructive apnea based on snoring information analyzed by the snoring and posture analysis unit 200, snoring position and posture information, and change trend analysis using accumulated information, etc. It may further include disease prediction diagnosis and recommendation information generation.

상기 서비스 제공부(400)는, 코골이 분석정보와, 코골이 위치 정보, 자세 분석정보, 코골이와 자세, 코골이 위치와 자세의 상관 관계 분석정보를 기반으로 다양한 서비스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한번의 수면 기간 동안의 코골이 상태 모니터링 정보와, 코골이와 자세와의 관계, 코골이 위치와 자세 정보를 그래픽이나 3D등으로 표현하여 제공할 수 있으며, 분석된 정보들에 의해 전문가 진단요청이나, 질병 예측진단, 코골이 방지를 위한 추천 정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The service providing unit 400 may provide various service information based on snoring analysis information, snoring position information, posture analysis information, snoring and posture, and correlation analysis information of snoring position and posture. . Snoring status monitoring information during one sleep period, relationship between snoring and posture, and snoring position and posture information can be provided in graphic or 3D representations, and expert diagnosis requests or , disease prediction diagnosis, and recommendation information for preventing snoring can be provided.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사용자 스마트단말 개요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단말(40)에는 코골이 분석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으며, 오디오신호를 입력 받아 잡음을 제거하여 전처리 하고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는 오디오 처리부(41)와, 영상 정보를 입력 받아 잡음 제거와 전처리하여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는 수면자세정보 처리부(42)와, 상기 생체정보 측정수단(30)으로부터 입력되는 생체정보를 처리하는 생체정보 처리부(43)와, 상기 오디오 데이터와 수면자세정보 데이터를 동기화시켜 전송을 제어하는 동기화 및 제어부(44)와, 상기 시간동기화 및 제어부(44)의 제어에 의해 상기 오디오 데이터와 수면자세정보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 서버(100)로 전송하고, 서비스 서버(100)로부터 제공되는 코골이 분석 결과 정보를 수신 받는 데이터 송수신부(45)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함과 아울러 상기 서비스 서버(100)에서 분석된 결과 정보를 출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서비스 제공부(46)를 포함한다.2 is a schematic diagram of a user smart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a snoring analysis application may be installed in the smart terminal 40, and an audio processing unit 41 that receives an audio signal, removes noise, pre-processes it and converts it into audio data, and image information A sleep postur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42 that receives input and performs noise removal and pre-processing to convert it into image data, a biometric information processing unit 43 that processes biometric information input from the biometric information measuring means 30, and the audio data and sleep The synchronization and control unit 44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by synchronizing the posture information data, and the time synchronization and control of the control unit 44 to transmit the audio data and the sleeping posture information data to the service server 100 through the network, , a data transceiver 45 for receiving snoring analysis result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service server 100, a user interface that provides a user interface, and a user interface and service product for outputting the result information analyzed by the service server 100 study 46 .

상기 오디오 처리부(41)는, 아날로그 신호로 입력되는 소리 즉, 오디오신호를 입력 받는다. 입력된 오디오 신호를 잡음 필터링하여 데이터 신호로 변환한다. 마찬가지로 수면자세정보 처리부(42)는 수면자세측정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의 잡음 필터링을 거쳐 자세 신호 데이터로 변환한다. 만약, 디지털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경우는 잡음 필터링 만 하여 영상데이터로 전처리를 완료할 수 있다. 또한 생체정보 처리부(43)는,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센서들의 신호를 잡음처리하여 데이터 신호로 변환한다. 생체신호 측정수단(30)으로 산소포화도 측정센서를 구비한 경우 산소포화도 센싱신호를 필터링하여 데이터로 변환처리한다.The audio processing unit 41 receives a sound input as an analog signal, that is, an audio signal. The input audio signal is noise-filtered and converted into a data signal. Similarly, the sleep postur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42 converts the signal input from the sleep posture measurement device into posture signal data through noise filtering. In case of input from a digital camera, preprocessing can be completed with image data by only filtering noise. In addition, the bio-information processing unit 43 converts signals of sensors measuring bio-signals into data signals by noise-processing them. When an oxygen saturation measuring sensor is provided as the biosignal measuring means 30, the oxygen saturation sensing signal is filtered and converted into data.

동기화 및 제어부(44)는, 오디오 입력, 수면자세측정등의 코골이 분석 앱 실행모드를 제어할 수 있고, 사용자가 원하는 레벨이나 시간 조건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오디오 데이터와 영상 데이터는 동기화 시켜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동기화를 시키는 이유는 오디오와 자세를 서로 매칭시키는 시간기준을 맞추기 위함이다.The synchronization and control unit 44 can control the snoring analysis app execution mode such as audio input and sleep posture measurement, and can control the user's desired level or time conditions, etc., by synchronizing audio data and image data control to transmit. The reason for synchronizing is to match the time standard for matching audio and posture.

본 발명에서는 소리를 검출하여 코골이 상태를 분석하는 것인데, 이때 자세를 검출하여 수면중 즉, 코골이 발생구간에서의 자세 정보를 검출한다. 그러므로 자세 검출은 움직임 검출에 의거하여 촬영시작과 촬영 대기를 제어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오디오와 동기신호를 맞추도록 할 수도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noring state is analyzed by detecting the sound. At this time, the posture is detected to detect posture information during sleep, that is, in the snoring generation section. Therefore, the posture detection may control the start of shooting and the standby for shooting based on the motion detection, and in this case, the audio may be synchronized with the synchronization signal.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서비스 제공부(46)는, 사용자의 코골이 분석 애플리케이션 실행 및 중단이나, 사용자의 모니터링 정보 이력 보기나, 상태분석 정보 확인 또는 관련 설문 입력 등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The user interface and service providing unit 46 may provide a user interface such as executing and stopping the user's snoring analysis application, viewing the user's monitoring information history, checking status analysis information, or inputting a related questionnaire.

또한, 서비스 서버(100)로부터 제공받는 코골이 분석 모니터링 정보를 그래프나 수치 및 코골이 발생에 대한 구강 및 인후부를 모델링하여 위치 및 협착상태 표시등으로 보여줄 수도 있고, 코골이 분석 정보에 대한 통계나 변화상태 등등을 출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noring analysis monitoring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service server 100 may be shown as a graph or numerical value and an oral and throat model for the occurrence of snoring as a location and stenosis indicator, and statistics or changes for snoring analysis information You can print status and so on.

또한 진단 예측과 대안 안내정보 출력 및 추천정보 추천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 출력은, 서비스 서버로부터 풀 정보를 받아 단순 출력할 수도 있지만, 서비스 서버로부터는 수신 받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스마트 단말에서 직접 그래프나, 인체 모델링, 분석 리포트 생성 등의 처리를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diagnosis prediction, output of alternative guide information, and recommendation of recommended information. Such information output can be simply output by receiving full information from the service server, but can also be processed such as graphs, human body modeling, and analysis report generation directly in the smart terminal using the data received from the service server.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서비스 서버의 코골이와 자세 분석부 개념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3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snoring and posture analysis unit of a service ser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3,

오디오 분석부(110)와, 코골이 분석모듈(200)과, 코골이 정보 생성부(230)와, 수면자세 분석부(120)와, 자세와 코골이 관계 모델링부(250)과, 자세와 코골이 관계 생성부(260)와, 생체 정보 분석부(130)와, 질병 예측 모듈(270)과, 질병예측 정보 생성부(280)를 포함 할 수 있다.Audio analysis unit 110, snoring analysis module 200, snoring information generation unit 230, sleeping posture analysis unit 120, posture and snoring relationship modeling unit 250, posture and It may include a snoring relationship generation unit 260 , a biometric information analysis unit 130 , a disease prediction module 270 , and a disease prediction information generation unit 280 .

상기 오디오 분석부(110)는, 코골이 검출을 위한 오디오 분석을 한다. 예를 들어 코골이로 판단하기 위해서는 주파수 관련 지표, 주파수 변화에 관련된 지표, 강도 변화에 관련된 지표, 코골이 소리의 잡음 관련 지표, 떨림 지표, 끊김 지표 등등의 오디오 특성을 분석한다.The audio analysis unit 110 performs audio analysis for snoring detection. For example, in order to determine snoring, audio characteristics such as frequency-related index, frequency change-related index, intensity change-related index, snoring sound noise-related index, tremor index, and interruption index are analyzed.

상기 코골이 분석모듈(200)은, 상기한 오디오 분석부(110)에서 분석된 오디오 특성을 이용하여 코골이 여부, 무호흡 여부, 코골이 상태, 코골이 위치 분석을 하고, 코골이 패턴과 코골이 전반에 걸친 분석을 실시한다. 이는 학습 모델을 이용하여 인공지능 분석을 실시함이 바람직하다. 코골이 위치 검출과 같은 경우, 코골이 특성 정보와 코골이 위치간의 상관 관계를 분석한 학습 데이터를 구축해야 한다.The snoring analysis module 200 uses the audio characteristics analyzed by the audio analysis unit 110 to analyze whether snoring, apnea, snoring state, snoring position, and snoring pattern and snoring Conduct an overall analysis. It is desirable to perform artificial intelligence analysis using a learning model. In the case of snoring position detection,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learning data that analyzes the correlation between snoring characteristic information and snoring position.

학습 데이터는, 병원에서 코골이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인, 약물유도하수면내시경(Drug-induced sleep endoscopy)나 수면 비디오 투시법(Sleep videofluoroscopy)에 의해 파악되는 상부기도 폐쇄 부위에 따라 피치 및 포먼트와 같은 코골이 음향의 음향 특성이 달라진 정보를 분석하여, 그 결과를 학습 데이터로 구축한다. 피치(최소, 평균, 최대) 및 포먼트와 같은 코골이 음향 파라메타를 분석하고, 이를 반영하여 학습 데이터를 구축한다. 방해 부위는 SVF에 의해 결정되고, 해부학적 구조 및 방해 수준에 대한 분류를 할 수 있다.Learning data, pitch and formant according to the upper airway occlusion area identified by drug-induced sleep endoscopy or sleep videofluoroscopy, a method for measuring the location of snoring in hospitals Analyzes information on the change in the acoustic characteristics of snoring sounds, such as , and builds the results as learning data. Analyze snoring acoustic parameters such as pitch (minimum, average, maximum) and formant, and build learning data by reflecting them. The obstruction site is determined by the SVF, and the anatomical structure and obstruction level can be classified.

상기와 같은 학습 데이터를 구축하여두고, 상기 학습 데이터를 이용하여 학습모듈을 구축한다. 학습모듈이 구축되면, 사용자의 오디오분석 특성정보를 학습모듈에 적용하여 사용자의 코골이 소리 분석에 따라 코골이 위치 정보를 추출한다. 예를들어, 피크 주파수의 평균값은 연구개와 분리 된 혀 기저 또는 후두개 막힘과 연구개와 혀 기저 또는 후두개와 관련된 복합 폐쇄간에 유의 한 차이를 분석할 수 있다.The learning data as described above is built, and a learning module is constructed using the learning data. When the learning module is built, the user's audio analysis characteristic information is applied to the learning module to extract the snoring posi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user's snoring sound analysis. For example, the mean value of the peak frequency can analyz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basilar or epiglottic obstruction associated with the soft palate and isolated and complex obstruction associated with the soft palate and basilar or epiglottis.

한편, 코골이 분석에 있어서, 수면 무호흡 상태를 정확히 검출하거나 코골이의 정도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센서를 이용한 산소포화도를 검출하고, 산호포화도 정보를 코골이 검출에 반영한다면 좀더 정확한 코골이 상태정보를 분석할 수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in snoring analysis, in order to accurately detect the sleep apnea state or to determine the degree of snoring, the oxygen saturation using a sensor is detected, and if the coral saturation information is reflected in the snoring detection, more accurate snoring status information is analyzed. You can do it.

또한, 코골이의 상태를 분석함에 있어서, 서로 다른 위치의 복수의 센서들을 이용하여 서로 다른 위치에서의 소리검출정보 즉, 시간차 정보나 각각의 위치에서의 소리의 감쇄 정도 등등의 특징 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소리 분석에 의한 코골이 검출에 반영할 수 있다. 이는 코골이 위치나 코골이 정도 분석에 좀더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in analyzing the state of snoring, sound detection information at different locations using a plurality of sensors at different locations, that is, time difference information or feature information such as the degree of attenuation of sound at each location, is extracted and , this can be reflected in snoring detection by sound analysis. This can be used more effectively to analyze the location of snoring or the degree of snoring.

상기 코골이 정보 생성부(230)는, 상기 학습 모델을 통해 분석된 정보를 이용해 서비스할 정보들을 생성한다. 하룻밤 사이의 코골이 상태 즉, 코골이 발생시간, 횟수, 코골이 강도 등의 코골이 모니터링 정보와, 각 코골이 발생시의 코골이 위치정보, 코골이 위치의 막힘 정도 정보 등을 포함하는 코골이와 관련된 정보를 생성한다.The snoring information generation unit 230 generates information to be serviced using the information analyzed through the learning model. Overnight snoring status, that is, snoring monitoring information such as snoring occurrence time, frequency, and intensity of snoring, snoring location information at the time of each snoring occurrence, snoring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degree of blockage of the snoring location, etc. Generate relevant information.

상기 수면자세 분석부(120)는, 수면자세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수면중 자세정보를 검출한다. 이는 사용자의 신체부분을 객체로 검출하여 신체 부위별 관계도를 분석함으로써 자세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의 몸체와 목 및 머리와의 상관 관계에 대응되는 자세정보를 추출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는 코골이의 원인이 자세에 의해서도 많은 영향을 주기 때문에 자세와 코골이의 상관 관계를 분석할 필요가 있다.The sleeping posture analysis unit 120 detects the sleeping posture information of the user by analyzing the sleeping posture information. This can acquire posture information by detecting the user's body part as an object and analyzing the relationship diagram for each body part.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extract postur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rrelation between the user's body, neck, and head.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posture and snoring because the cause of snoring is also greatly influenced by posture.

수면자세측정수단으로서, 영상 카메라를 사용할 수 있으며, 복수의 각도에 수면중 자세를 촬영하고 각 방향에서 촬영된 영상을 3차원 모델링 영상으로 조합시켜 사용자의 수면중 자세를 검출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영상촬영을 깊이 센서 카메라를 이용한 경우, 객체를 입체적으로 분석하고, 상부기도의 뼈와 연질 구조를 포함하여 머리와 목 전체의 시각화하여 표현할 수 있게 된다.As the means for measuring the sleeping posture, an image camera may be used, and a method of detecting the sleeping posture of the user by photographing the sleeping posture at a plurality of angles and combining the images taken in each direction into a three-dimensional modeling image may be used. . In addition, when the depth sensor camera is used for imaging, the object is analyzed three-dimensionally, and the entire head and neck, including the bones and soft structures of the upper airway, can be visualized and expressed.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영상 촬영을 기반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수면자세측정수단(20)으로서, 가슴위에 올려두고 자세를 검출할 수 있는 자이로센서 및 이마에 부착하는 또 다른 센서를 이용하거나, 사용자의 신체부위별 위치변화를 측정하는 라이더 센서등을 이용하여 수면중 자세를 검출할 수도 있다. Although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ased on image capture,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as the sleeping posture measuring means 20 , a gyro sensor that can be placed on the chest to detect the posture and another sensor attached to the forehead It is also possible to detect the posture during sleep by using the .

상기 자세와 코골이 관계 모델링부(250)는, 상기 수면자세 분석부(120)에서 분석된 자세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몸체와 목 및 머리의 자세를 보여주는 자세 모델링을 생성한다.The posture and snoring relationship modeling unit 250 generates posture modeling showing postures of the user's body, neck, and head by using the posture information analyzed by the sleeping posture analysis unit 120 .

도 4의 (가) 및 (나)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수면 자세와 베개 사용에 따른 수면 자세 예시도이다. 4 (A) and (B) are exemplary sleeping postures according to the use of a sleeping posture and a pillow for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수면중 자세는, 위에서 볼때 신체 전체의 자세에 따라 구분할 수 있다. 예를들어, 도 4의 (가)와 같이, 옆으로 웅크린 자세(태아형), 옆으로 쭉 벋은 자세(통나무형), 옆으로 구브린 자세(갈망형, 바르게 누운자세(군인형, 업드린자세, 팔다리를 ㅂf려 누운자세등등 다양한 자세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도 4의 (나)와 같이 바르게 누운 자세에서도 베개의 놀이나 위치에 따라 자세가 달라지고, 옆으로 누운 자세에서도 베개의 사용법에 따라 각각의 자세가 달라진다.Sleeping posture can b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posture of the whole body when viewed from above. For example, as shown in FIG. 4(A), a sideways crouched posture (fetal type), a sideways stretched posture (log type), a sideways bent posture (craving type, a supine position (soldier type, upright) It can be divided into various postures, such as a given posture, a lying position with arms and legs folded, etc. Also, as shown in FIG. Each posture is different depending on how to use it.

상기와 같은 수면 자세는, 코골이에 충분히 영향을 준다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코골이가 발생되는 자세와, 각 자세별 코골이 발생 정도등의 상관 관계를 분석한다면, 수면중 자세를 바르게 하는 것만으로도 코골이를 어느정도 예방할 수 있을 것이다. It can be seen that the sleeping posture as described above has a sufficient effect on snoring. Therefore, if we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osture in which snoring occurs and the degree of snoring in each posture, it will be possible to prevent snoring to some extent just by correcting the posture during sleep.

수면중 자세를 측정하는 방법은, 수면자세의 상부에서 측정하는 신체 자세와, 양측면에서 배게 사용에 따른 머리 자세를 모두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사용자가 이불을 덮고 자는 경우 주위에 다른 사람과 함께 자는 경우 등등, 정확한 사용자 자세를 측정하기 어려울 것이다. 따라서, 이블을 사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부에서 측정하는 신체 자세 및 머리와 목의 양측면에서 측정하는 머리 자세를 기반으로 각각 학습 데이터를 구축하고, 이를 이용하는 인공지능 학습 모델을 구축하며, 이블 사용시의 수면자세를 측정하여 상기 학습 모델을 이용하여 인공지능 학습 방법을 적용한다면, 이블 사용시에도 사용자 자세 정보를 충분히 측정할 수 있고, 수면 자세 정보를 분석하여 모델링할 수 있다.As for the method of measuring the posture during sleep, it is preferable to measure both the body posture measured at the upper part of the sleeping posture and the head posture according to the use of a pillow from both sides. When sleeping, etc., it will be difficult to accurately measure the user's posture. Therefore, each learning data is built based on the body posture measured from the upper part and the head posture measured from both sides of the head and neck in a state where Evil is not used, an artificial intelligence learning model using it is built, and sleep when Evil is used If the artificial intelligence learning method is applied by measuring the posture and using the learning model, the user posture information can be sufficiently measured even when using Evil, and the sleeping posture information can be analyzed and modeled.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상기 수면중 자세는, 사용자의 수면중 신체의 자세와, 목과 머리 및 베개와의 관계에 의한 머리 자세를 각각 측정하고, 상기 신체 자세와, 머리 자세를 동기화하여 각각 시각화시킨 인체형상으로 모델링하고, 상기 코골이 모니터링 정보를 상기 모델링 정보에 맵핑시켜 코골이와 신체자세 및 코골이와 머리자세에 대한 상관 관계를 각각 시각적으로 표현하여 모델링할 수 있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leeping posture is obtained by measuring the user's body posture during sleep and the head posture according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eck, head and pillow, and synchronizing the body posture and the head posture to visualize each. By modeling the human body shape and mapping the snoring monitoring information to the modeling information, correlations between snoring and body posture and snoring and head posture can be visually expressed and modeled.

도 5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비강과 기도에서 발생되는 코골이 위치 예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골이는, 비강코골이와 기도 코골이로 나눌 수 있는데, 비강 코골이의 경우 비강과 부비동의 상태 악화로 인한 코막임, 콧물 증상등으로 나타날수 있고, 잠을 잘때 숨쉬는 숨구멍이 좁아져서 생기는 코에서 나는 코골이 소리이다.Figure 5 is an exemplary diagram of snoring that occurs in the nasal cavity and airway for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is figure, snoring can be divided into nasal snoring and airway snoring. In the case of nasal snoring, nasal snoring may appear as nasal congestion and runny nose symptoms due to worsening of the condition of the nasal passages and sinuses, and breathing pores while sleeping. This is the snoring sound produced by the narrowing of the nose.

또한 비강과 부비동의 좁아지는 상태가 심해질수록 코고 숨을 쉬는 것이 힘들어져 자연스럽게 구강호흡을 하게 된다. 그로인해 혀가 이완되어 후방으로 말려들어가면서 공기 통로를 폐쇄하게 되면 수면 무호흡증이 생길 수 있고, 기도가 좁아지면서 입천장이나 목의 진동이 발생되어 구강 코골이 현상이 발생되는 것이다. 현재 치료방법으로는, 수면중 기도 막힘을 해결하기 위하여 목젖, 연구개 부위, 설근부에 대한 치료를 하게된다.In addition, as the narrowing of the nasal passages and sinuses worsens, it becomes difficult to snore and breathe, resulting in natural oral breathing. As a result, if the tongue relaxes and rolls backward and closes the air passage, sleep apnea can occur. The current treatment method is to treat the uvula, soft palate, and tongue root to resolve airway blockage during sleep.

따라서, 상기와 같이 코골이를 분석함에 있어서, 코골이 위치를 특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고, 코골이 위치를 특정할 수 있어야 코골이 원인을 파악하여 치료방법을 찾거나 코골이 방지 방법을 찾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in analyzing snoring as described above, it is very important to specify the location of snoring, and it is necessary to specify the location of snoring so that the cause of snoring can be identified and a treatment method can be found or a method for preventing snoring can be found. will become

본 발명에서는 소리 분석에 의한 특성과 코골이 위치와의 상관 관계를 기반으로 소리 분석에 의해 코골이 위치를 추출하고, 이를 인체 모델링을 통해 코골이 발생 위치와 코골이 발생 정도등을 시각화하여 도 5와 같은 모델링을 기반으로 코골이 발생 위치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noring position is extracted by sound analysis based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haracteristics by sound analysis and the snoring position, and the snoring location and the snoring occurrence degree are visualized through human body modeling. Based on modeling such as

상기 코골이 분석모듈(220)로부터 코골이 검출정보와 코골이 위치정보를 입력 받아 상기 자세 모델링 및 해부학적 구강 및 후두의 공기 통로 모델링정보에 각각 코골이 검출과, 코골이 위치 정보를 매칭시켜 자세와 코골이 관계 모델링 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오디오 분석에 의한 코골이 위치 검출 정보에서 기도가 협소해지는 정도에 관한 정보를 추출한 경우 이를 이용하여 해당 부분의 협착 정도를 모델링하여 생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자세와 코골이와의 관계 및 코골이 위치 관계를 분석한다.Receive snoring detection information and snoring position information from the snoring analysis module 220, and match snoring detection and snoring position information to the posture modeling and anatomical air passage modeling information of the mouth and larynx, respectively. and snoring relationship modeling information. In addition, when information on the degree of airway narrowing is extracted from the snoring position detection information by audio analysis, the degree of narrowing of the airway may be modeled and generated using the extracted informa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osture and snoring and snoring position are analyzed.

상기 자세와 코골이 관계 생성부(260)는, 상기 모델링부(250)에서 모델링 된 자세와 코골이 관계에 대해 시각적으로 보여줄 수 있도록 매칭시켜 시각화 정보를 생성한다.The posture and snoring relationship generating unit 260 generates visualization information by matching the posture modeled by the modeling unit 250 to visually show the snoring relationship.

상기 질병예측 학습모듈(270)은, 사용자의 코골이에 대한 모니터링정보와, 코골이와 자세관계 정보에 대해 누적 관리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질병 예측과 추천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코골이의 상태정보와, 코골이 상태 변화 정보 및 자세와 코골이 정보, 코골이 위치 정보 등에 대한 고려할 수 있는 현재 및 향후 질병 예측, 추천 정보 등을 학습 데이터로 구축하고, 학습데이터를 이용한 질병 예측 및 추천정보 학습 모델을 구축한다. 이는 지도학습 또는 비지도 학습을 병행하여 학습데이터를 대량으로 구축하여 학습모듈을 적용하게 한다.The disease prediction learning module 270 can provide disease prediction and recommendation information by using the information accumulated and managed for the user's snoring monitoring information and the snoring and posture relationship information. This is to build the current and future disease prediction and recommendation information that can be considered for snoring status information, snoring status change information, posture and snoring information, snoring location information, etc. as learning data, and disease using the learning data. Build a prediction and recommendation information learning model. This makes it possible to apply a learning module by constructing a large amount of learning data in parallel with supervised or unsupervised learning.

상기 질병예측정보 생성부(280)는, 학습모듈을 통하여 코골이와 코골이 위치에 대한 진단과, 상태변화에 대한 진단, 코골이와 자세 및 자세 변화 등에 대한 진단과 추천정보를 생성한다.The disease prediction information generating unit 280 generates diagnosis and recommendation information for snoring and snoring position, diagnosis for state change, snoring and posture and posture change through the learning module.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생체정보 측정수단(30)을 더 포함시켜 구성할 수 있다. 생체정보 측정수단(30)으로는, 호흡검출센서와, 산소포화도 검출센서, 심박수 측정센서, 뇌파 측정 센서등등, 다양한 생체정보 측정수단을 더 포함시켜 활용할 수 있다. 이러한 생체정보들을 활용하게 되면, 단순 소리 분석만으로 코골이를 분석하는 것에 비해 수면 무호흡증 검출과 같은 경우에는 검출되는 산소포화도를 반영하여 수면 무호흡증의 심각정도를 좀더 세밀하게 분석할 수 있다.Meanwhil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iometric information measuring means 30 may be further included. As the biometric information measuring means 30, various biometric information measuring means, such as a respiration detection sensor, an oxygen saturation detection sensor, a heart rate measurement sensor, an EEG sensor, etc., may be further included and utilized. If such bioinformation is utilized, the severity of sleep apnea can be analyzed more precisely by reflecting the detected oxygen saturation in the case of sleep apnea detection, compared to analyzing snoring only by simple sound analysis.

또한, 수면 질 평가나, 질병 예측등에는 생체정보를 반영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일 것이다. 또한 생체정보에서 이벤트 발생(예; 산소포화도가 임계치 이하로 떨어지는 이벤트발생, 부정맥 판단 이벤트, 수면중 뇌파 정보 변화 이벤트 등등..)을 추출하고 이벤트 발생에 대응하여 자세검출이나 소리분석에 반영할 수도 있으며, 질병 예측을 위한 누적 변화정보등으로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it will be more effective to reflect biometric information in sleep quality evaluation or disease prediction. In addition, event occurrences (e.g., occurrence of an event where oxygen saturation falls below a threshold value, arrhythmia judgment event, EEG information change event during sleep, etc.) can be extracted from biometric information and reflected in posture detection or sound analysis in response to the occurrence of the event. And it can be used as cumulative change information for disease prediction.

도 6는 본 발명에 의한 서버의 서비스 제공부의 개요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의 서비스 제공부(300)는 분석결과 리포트생성부(310), 서비스 정보 출력부(320)를 포함한다.6 is a schematic diagram of a service providing unit of a ser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6 , the service providing unit 300 of the server includes an analysis result report generating unit 310 and a service information outputting unit 320 .

도 7는 본 발명에 의한 분석 결과 리포트 생성부의 예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석결과 리포트 생성부(310)는, 코골이 상태정보 생성부(311)와, 자세모델링부(312)와, 코골이 위치 모델링부(313)와, 평가정보 생성부(314)와, 진단예측 정보 생성부(315)와, 추천 정보 생성부(316)를 포함할 수 있다.7 is an exemplary diagram of an analysis result report generation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7 , the analysis result report generation unit 310 includes a snoring state information generation unit 311 , a posture modeling unit 312 , a snoring position modeling unit 313 , and evaluation information generation It may include a unit 314 , a diagnosis prediction information generation unit 315 , and a recommendation information generation unit 316 .

상기 코골이 상태정보 생성부(311)는, 코골이와 자세 분석부(200)로부터 코골이 상태정보, 코골이 위치정보 정보에 의거하여 수면 기간동안의 코골이 발생여부와 코골이의 강도, 수면 무 호흡 상태를 그래프를 포함하는 상태 정보로 생성한다.The snoring state information generation unit 311 is, based on the snoring state information and snoring location information information from the snoring and posture analysis unit 200, whether snoring occurs during the sleep period, the intensity of snoring, sleep Creates an apnea state as state information including a graph.

상기 자세 모델링부(312)는, 제세자세 정보와, 자세와 코골이 관계 정보에 의거하여 사용자의 수면중 수면자세를 모델링하고 코골이와 연계시켜 어떤 자세에서 어떤 코골이가 발생되는지를 알 수 있도록 모델링 한다. 또한 자세 모델링부는, 코골이 발생 구간과 무호흡 발생 구간의 자세를 쉽게 확인 할 수 있도록 코골이 오디오를 포함하는 동영상으로 구현할 수도 있다.The posture modeling unit 312 models the user's sleeping posture during sleep based on the posture information and the posture and snoring relationship information, and connects it with snoring so that it can be known in which posture and which snoring occurs. Model it. In addition, the posture modeling unit may be implemented as a video including snoring audio so that the postures of the snoring generation section and the apnea generation section can be easily checked.

상기 코골이 위치 모델링부(313)는, 인체의 구강 및 후두부분에 대해 호흡에 따른 공기 유로를 기반으로 해부학적 시각화하여 모델링하고, 코골이 위치와, 코골이 정도에 따른 협착정보를 표현할 수 있도록 모델링 한다. 또한 호흡에 의한 공기 흐름을 모델링하여 동적 표현으로 제공함으로써 코골이 발생 원인과 코골이 발생 위치 및 협착 정도와 코골이 소리를 포함하는 모델링 된 영상을 생성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The snoring position modeling unit 313 is anatomically visualized and modeled based on the air flow path according to respiration for the oral cavity and larynx of the human body, and to express the snoring position and stenosis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degree of snoring. Model it. In addition, by modeling the air flow by respiration and providing it as a dynamic expression, it is also possible to generate and provide a modeled image including the cause of snoring, the location of the snoring, the degree of stenosis, and the sound of snoring.

상기 평가정보 생성부(314)는, 하루 만 수면 동안의 코골이 구간과, 수면 무 호흡구간, 코골이 강도, 코골이 위치, 코골이시의 자세, 발생횟수나 이에 대한 통계정보 등을 이용하여 수면 평가하고, 코골이와 자세 관련 분석 통계정보를 수치화하여 평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The evaluation information generation unit 314, the snoring section during sleep for only one day, sleep apnea section, snoring intensity, snoring position, posture at the time of snoring, the number of occurrences or statistical information about it, etc. It is possible to generate evaluation information by evaluating sleep and quantifying statistical information related to snoring and posture.

상기 진단 예측 정보 생성부(315)는, 현재 검출된 코골이 상태정보와 위치정보, 자세정보등을 고려하고, 데이터베이스(400)에 누적 관리되는 사용자의 코골이 분석 정보의 상태 변화 등을 추적하여 사용자의 코골이 상태 및 상태변화에 의해 코골이를 유발할수 있는 원인이 되는 질병 진단 예측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The diagnosis prediction information generation unit 315 considers the currently detected snoring state information, location information, posture information, etc., and tracks the status change of the user's snoring analysis information accumulated in the database 400 and It is possible to generate and provide disease diagnosis prediction information that may cause snoring by the user's snoring state and state change.

상기 추천 정보 생성부(316)는, 상기 코골이와 자세분석에 의거한 코골이 예방을 위한 추천정보와, 상기 진단예측 정보에 의거한 추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추천정보 생성은 코골이 상태정보와, 위치 정보, 자세 정보 및 이들 각각의 변화 추이 정보 등을 인공지능 학습모듈을 이용하여 분석하여 최적의 추천정보들을 생성하는 학습모듈을 이용할 수도 있다.The recommendation information generating unit 316 may generate recommendation information for snoring prevention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snoring and posture, and recommend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diagnosis prediction information. Recommendation information generation may use a learning module that generates optimal recommendation information by analyzing snoring state information, location information, posture information, and each change trend information using an artificial intelligence learning module.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독립형 디바이스로 구성되는 코골이 분석 장치의 개념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8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snoring analysis apparatus configured as a standalon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is,

본 발명은 도 1의 개요와 같이 스마트단말에서 측정정보를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여 서비스서버에서 분석된 정보를 제공하는 온라인 시스템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수단들을 구비한 스탠드-얼론디바이스(stand-alone device)로도 구성될 수 있다. 스탠드-얼론디바이스 타입으로 코골이 분석장치를 구성하게 되면, 건강관리에 대한 여러가지 통신상의 제한을 거치치 않고도 오프라인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as an online system that transmits measurement information from a smart terminal to a service server as shown in the outline of FIG. 1 and provides information analyzed in the service serv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as shown in FIG. It can also be configured as a stand-alone device with measuring means. If the snoring analysis device is configured as a stand-alone device type, it can be implemented offline without going through various communication restrictions for health care.

또한, 본 발명의 서비스 서버의 분석과 서비스 제공기능을 스마트 단말내에 일체형으로 구축하게 된다면, 스마트 단말 자체를 스탠드-얼론디바이스로 구성하여, 스마트단말에 측정수단만 연결하는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고, 미리 구축된 학습모델이나 학습데이터를 이용하는 방법으로 단순기능을 구현하게 할 수 있다. In addition, if the analysis and service provision functions of the service server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grated into the smart terminal, the smart terminal itself can be configured as a stand-alone device and implemented in a way that only the measurement means is connected to the smart terminal, A simple function can be implemented by using the built learning model or learning data.

또한, 상기한 본 발명의 장치들은 선택적으로 코골이와 자세를 매칭시켜 모니터링 하기 위한 코골이 자세 모니터링 방법과, 소리 분석에 의해 코골이와 코골이 위치를 검출하여 분석하기 위한 코골이 위치 검출 방법과, 코골이와 자세 및 코골이 위치를 매칭하여 분석하고 이들의 이력정보를 이용한 질병예측 및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는 코골이 검출 분석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evice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nclude a snoring posture monitoring method for selectively matching and monitoring snoring and posture, a snoring position detection method for detecting and analyzing snoring and snoring positions by sound analysis, and ,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ethod of providing a snoring detection analysis service that matches and analyzes snoring, posture, and snoring position, and provides disease prediction and recommendation service using their history information.

도 9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골이와 자세 모니터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9 is an explanatory diagram for explaining a snoring and posture monitor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9,

상기 제1목적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골이 모니터링 방법은,Snoring monitor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problem of the first object,

사용자의 수면 시간 동안 발생되는 소리를 수집하여 오디오 분석에 의해 코골이 및 무 호흡 상태를 검출하는 코골이 검출단계(S10); 사용자의 수면 시간 동안 수면자세정보를 획득하여 수면 중 자세를 검출하는 자세 검출단계(S20); 및 상기 수면중 자세 정보에 상기 코골이 검출 정보를 매칭시켜 코골이와 자세의 상관 관계를 분석하여 코골이 자세정보를 출력하는 단계(S30)를 포함한다.A snoring detection step (S10) of collecting sounds generated during the user's sleep time and detecting snoring and apnea by audio analysis; A posture detection step of detecting a posture during sleep by acquiring sleep posture information during the user's sleep time (S20); and matching the snoring detection information with the sleeping posture information to analyze a correlation between snoring and posture, and outputting snoring posture information (S30).

상기 코골이 검출단계(S10)는, 스마트단말(40)을 통해 수면중 사용자의 코골이 소리를 포함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서비스 서버(100)에서 수신 받아 오디오 분석을 한다. 오디오 분석부(110)를 통해 주파수와 주파수 변화 진폭 및 패턴 등을 포함하는 소리 특성 파라메타를 추출한다.In the snoring detection step (S10), the service server 100 receives audio data including the user's snoring sound during sleep through the smart terminal 40 and analyzes the audio. The audio analysis unit 110 extracts sound characteristic parameters including frequency and frequency change amplitude and pattern.

이렇게 분석된 소리 특성 파라메타를 코골이 분석모듈(220)로 입력하여 코골이 검출 학습 모델을 통해서 코골이 상태를 검출할 수 있다. 물론 코골이 여부와 무 호흡 상태 여부만을 검출하는 학습모듈을 구비할 수 있지만 단순한 코골이 모니터링 및 무 호흡 상태정보 검출에는 학습모듈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주파수 특성과 소리 강도 변화 등의 파라메타만을 이용하여 코골이를 검출하는 알고리즘만으로도 검출할 수 있다. By inputting the sound characteristic parameters analyzed in this way to the snoring analysis module 220, the snoring state can be detected through the snoring detection learning model. Of course, it is possible to have a learning module that detects only snoring and apnea status. It can be detected only by an algorithm that detects it.

상기 자세 검출단계(S20)는, 수면중 사용자를 촬영상 영상정보를 스마트 단말(40)로부터 서비스 서버(100)가 수신 받고, 영상 정보 분석부(120)에서 사용자 객체를 추출하고 움직임 정보를 검출하여 움직임에 따른 자세 변화 정보를 검출할 수 있으며, 사용자 객체 정보를 모델링하여 자세 변화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In the posture detection step (S20), the service server 100 receives image information from the smart terminal 40 on the user while sleeping, extracts the user object from the image information analysis unit 120, and detects motion information Thus, it is possible to detect posture change information according to movement, and to analyze the posture change information by modeling user object information.

상기 코골이와 자세 관계 매칭단계(S30)는, 상기와 같이 자세 정보가 분석되면, 상기 코골이 정보를 자세정보와 매칭시켜 자세와 코골이 관계 모델링부(250)를 통해서 코골이와 자세간의 상호 관계 정보를 모델링하여 제공할 수 있다. 즉, 코골이 발생구간의 자세와 자세변화, 각 자세에서의 코골이 정도 및 무 호흡 발생 여부 등등을 분석하여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In the snoring and posture relationship matching step (S30), when the posture information is analyzed as described above, the snoring information is matched with the posture informa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noring and posture through the posture and snoring relationship modeling unit 250 is mutual. Relational information can be provided by modeling. That is, it is possible to provide by analyzing the posture and posture change in the snoring generation section, the degree of snoring in each posture, and whether apnea occurs.

따라서, 코골이와 자세정보를 매칭시켜 제공하게 되면, 사용자가 수면중 어떤 자세에서 코골이가 발생되고 수면 진행 시간 정보에 따른 코골이 발생 및 코골이 발생 빈도 등을 알 수 있으며, 자세별 코골이 강도와 지속시간 및 무호흡 구간 등의 분석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이렇게 코골이와 자세 관계 분석 정보를 알게 되면 수면중 자세를 바르게 하기 위한 조치를 취하거나 관련 상품을 이용할 수 있고, 사용자에게 분석된 결과에 따른 수면자세 추천정보나 관련 도구나 상품 추천 등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코골이와 자세관계 모니터링 서비스 및 상품 추천정보 등을 수익모델로 이용할 수도 있다.Therefore, if snoring and posture information are matched and provided, the user can know which position snoring occurs in, and the frequency of occurrence of snoring and snoring according to sleep progress time information, and snoring by posture. Analysis information such as intensity and duration and apnea interval can be obtained. When you know the analysis inform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noring and posture, you can take measures to correct your posture during sleep or use related products, and you can recommend sleeping posture recommendations or related tools or products to the user according to the analyzed results. there will be The snoring and posture relationship monitoring service and product recommendation information can also be used as a revenue model.

도 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골이 소리 분석에 의한 코골이 위치 검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10 is an explanatory diagram for explaining a snoring position detection method by snoring sound analys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10,

사용자의 수면 시간 동안 발생되는 소리를 수집하고, 수집된 소리 분석에 의해 코골이 소리 특성을 추출하는 코골이 소리 분석단계(S110); 및 코골이 소리 특성과 코골이 위치와의 상관 관계에 대한 임상 데이터를 기반으로 학습 데이터를 구축하고, 상기 학습 데이터를 이용하여 구축되는 학습 모델을 통하여 상기 소리분석 단계에서 추출된 코골이 소리 특성에 대응된 코골이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S120); 인체의 호흡경로를 해부학적으로 시각화하여 모델링하고, 코골이 위치정보를 매칭하는 단계(S130);를 포함한다.A snoring sound analysis step (S110) of collecting sounds generated during the user's sleep time and extracting snoring sound characteristics by analyzing the collected sounds; and constructing learning data based on clinical data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noring sound characteristic and the snoring position, and using the learning data to build the snoring sound characteristic extracted in the sound analysis step through a learning model built Detecting the corresponding snoring position (S120); Visualizing and modeling the respiratory path of the human body, and matching the snoring location information (S130); includes.

상기 코골이 소리분석단계(S110)는, 스마트단말(40)로부터 사용자의 수면중 소리를 수집하여 수신 받고, 오디오분석부(110)를 통해 분석하여 소리 특성정보를 검출하며, 코골이 분석모듈(100)을 통해서 코골이 상태 검출 및 코골이 위치를 검출한다. 이때 오디오 분석에 의거한 코골이 소리 특성과 코골이 위치 관계 데이터를 학습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코골이 분석모듈(100)을 구축하여두고 학습모듈을 이용하여 코골이 상태정보와 코골이 위치를 검출하고 분석한다. 인체의 호흡경로를 해부학적으로 시각화하여 모델링하고, 상기와 같이 분석된 정보를 이용하여 코골이 위치 정보를 매칭하여 코골이 위치 분석정보로서 서비스를 제공한다.In the snoring sound analysis step (S110), the user's sleep sound is collected and received from the smart terminal 40, analyzed through the audio analysis unit 110 to detect sound characteristic information, and the snoring analysis module ( 100) to detect the snoring state and the snoring position. At this time, the snoring sound characteristic and snoring position relation data based on audio analysis are built up with the snoring analysis module 100 based on the learning data, and the snoring state information and snoring position are detected using the learning module. Analyze. Anatomically visualize and model the breathing path of the human body, and match the snoring position information using the analyzed information as described above to provide a service as snoring position analysis information.

상기와 같이 소리 분석에 의해 코골이 상태 모니터링 정보와, 코골이 위치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코골이 위치 정보는 폐쇄성 무호흡 증상이 발생되는 구간에서의 협착되는 위치를 검출하는 것이므로, 복합적인지 어느 한 부분인지의 여부와, 협착 정도 등의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이러한 코골이 상태 및 코골이 위치정보 분석 정보를 알게 되면 전문의료 진단이 필요할 지의 여부와, 수술이 필요한지의 여부, 수술해야할 위치 정보 등등의 코골이 방지와 치료 목적의 정보로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detect snoring state monitoring information and snoring position information by sound analysis. Since the snoring location information detects the location of the stenosis in the section where the symptom of obstructive apnea occurs, information such as whether it is a complex or one part and the degree of stenosis can be analyzed. Knowing such snoring state and snoring location information analysis information can be used as information for snoring prevention and treatment purposes, such as whether specialized medical diagnosis is required, whether surgery is required, location information to be operated, and the like.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골이 분석에 따른 진단예측 및 추천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11 is an explanatory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a diagnosis prediction and recommendation information service according to snoring analys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11,

사용자의 수면 시간 동안 발생되는 소리를 수집하여 오디오 분석에 의해 코골이를 검출하는 코골이 검출단계(S210); 상기 오디오 분석에 의한 추출되는 코골이 소리 특성검출하고, 학습 모델을 통해 소리 특성과 상관관계가 있는 코골이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코골이 위치검출단계(S230); 사용자의 수면 시간 동안 수집된 자세 정보로 수면 중 자세를 검출하는 자세 검출단계(S230); 상기 자세정보를 모델링하여 수면중 코골이 상태정보와 매칭하고, 자세정보에 따른 호흡 경로를 해부학적 경로로 모델링하여 상기 코골이 위치 정보를 매칭하는 단계(250); 상기 코골이 검출정보와, 상기 자세 검출정보와, 상기 코골이 위치 정보를 상호 매칭시켜 코골이 모니터링 정보로 제공함과 아울러 코골이 상태 평가 분석 및 수면 평가 분석하는 코골이 평가단계(260); 및 상기 코골이 상태 모니터링 정보와, 코골이 평가정보, 수면 평가 정보를 누적관리하고, 코골이 상태 및 평가 정보들의 변화 추이를 분석하여 코골이를 유발할 수 있는 질병에 대한 진단예측과, 진단예측 및 코골이 방지를 위한 추천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 단계(270); 를 포함한다.A snoring detection step (S210) of collecting sounds generated during the user's sleep time and detecting snoring by audio analysis; a snoring position detection step of detecting snoring sound characteristics extracted by the audio analysis, and detecting snoring position information correlated with the sound characteristics through a learning model (S230); a posture detecting step of detecting a sleeping posture with the posture information collected during the user's sleeping time (S230); Modeling the posture information to match the snoring state information during sleep, and modeling the breathing path according to the posture information as an anatomical path to match the snoring position information (250); The snoring detection information, the posture detection information, and the snoring position information are matched to each other and provided as snoring monitoring information, and a snoring evaluation step 260 of snoring state evaluation analysis and sleep evaluation analysis; And the snoring state monitoring information, snoring evaluation information, and sleep evaluation information are accumulated and managed, and the snoring state and the change trend of the evaluation information are analyzed to predict and predict a disease that can cause snoring, and diagnosis prediction and A service step 270 for providing recommended information for snoring prevention; includes

상기 코골이 상태검출단계(S210)는, 수면중 사용자의 소리를 수집하여 오디오분석에 의해 코골이 상태를 검출하며, 코골이위치 검출단계(S220)는, 오디오 분석에 의해 추출되는 코골이 특성에 대한 파라 메타를 이용하고, 미리 구축해둔 학습모듈(201)을 이용하여 코골이 상태와 코골이 위치를 추출할 수 있다. 물론 학습모듈을 이용하여 오디오 분석된 소리 특성 파라 메타를 이용해 코골이 상태 검출(S210) 및 코골이 위치검출(S220)을 함께 진행할 수 있다.The snoring state detection step (S210) collects the user's sound during sleep and detects the snoring state by audio analysis, and the snoring position detection step (S220) is based on the snoring characteristics extracted by audio analysis. It is possible to extract the snoring state and the snoring position by using the parameters for the snoring and using the previously built learning module 201 . Of course, the snoring state detection (S210) and the snoring position detection (S220) can be performed together using the audio-analyzed sound characteristic parameter using the learning module.

상기 자세 검출 단계(S230)는, 수면중 사용자 영상을 촬영하여 영상을 분석하고, 영상 분석에 의해 사용자 자세를 객체로 검출(S230)하여 자세 모델링 및 해부학적 호흡 경로 모델링(S231)을 수행할 수 있다.In the posture detection step (S230), a user image is captured during sleep, the image is analyzed, and the user posture is detected as an object by image analysis (S230) to perform posture modeling and anatomical breathing path modeling (S231). have.

상기 자세와 코골이 위치관계 매칭단계(S250)는, 상기 코골이 검출정보와, 코골이 위치정보를 상기 자세정보에 매칭시킨다. 자세 모델링 정보와, 호흡 경로 모델링 정보에 각각 매칭시켜 상호 관계를 알 수 있도록 자세와 코골이 및 코골이 위치정보를 모델링 정보에 매칭한다.The posture and snoring position relationship matching step (S250), the snoring detection information and snoring position information is matched to the posture information. The posture, snoring, and snoring position information are matched to the modeling information so that the posture modeling information and the breathing path modeling information are matched to know the mutual relationship.

상기 코골이 평가 단계(S260)는, 코골이 검출정보, 자세정보, 매칭된 코골이 위치관계정보를 모니터링정보로 제공함과 아울러 코골이 및 수면 분석평가를 수행한다. 이때 평가분석과 변화추이 대응 질병예측과 추천정보 학습데이터 기반 학습모듈(S202)를 이용할 수 있다.In the snoring evaluation step (S260), snoring detection information, posture information, and matched snoring positional relationship information are provided as monitoring information, and snoring and sleep analysis and evaluation are performed. 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use the evaluation analysis and change trend response disease prediction and recommendation information learning data-based learning module (S202).

상기 서비스 단계(S270)는, 코골이 모니터링정보와 평가정보를 누적 관리함과 아울러 변화추이를 분석하여 질병예측 및 추천정보 제공한다. 이때 평가분석과 변화추이 대응 질병예측과 추천정보 학습데이터 기반 학습모듈(S202)를 이용할 수 있다.In the service step (S270), the snoring monitoring information and evaluation information are accumulated and managed, and the change trend is analyzed to provide disease prediction and recommendation information. 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use the evaluation analysis and change trend response disease prediction and recommendation information learning data-based learning module (S202).

이와 같이, 소리 분석에 의한 코골이 분석과, 코골이 위치 분석, 수면중 자세분석을 한다. 모델링된 자세정보와 코골이 정보 및 코골이 위치 정보를 매칭시켜 코골이 모니터링 서비스 정보로 제공한다. 이를 누적 관리함과 아울러 분석하여 코골이 상태 분석정보와 수면평가 정보를 제공한다. 학습모듈을 통해 누적된 코골이 상태정보 변화 추이와 자세 및 수면 평가 정보를 분석하여 코골이를 유발할 수 있는 질병 예측 정보 및 이에 대응되는 추천 정보를 서비스 정보로서 제공할 수 있다.In this way, snoring analysis by sound analysis, snoring position analysis, and sleep posture analysis are performed. Modeled posture information, snoring information, and snoring location information are matched to provide snoring monitoring service information. It provides snoring state analysis information and sleep evaluation information by cumulative management and analysis. By analyzing the accumulated snoring state information change trend and posture and sleep evaluation information through the learning module, it is possible to provide disease prediction information that can cause snoring and corresponding recommended information as service information.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제작되어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may be produced as a program to be executed by a computer and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 a floppy disk, an optical data storage device, and the like, and also includes thos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arrier wave (eg, transmission through the Internet).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s distributed in a network-connected computer system, so that the computer-readable code can be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In addition, functional programs, codes, and code segments for implementing the method can be easily inferred by programmers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In addition, although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persp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오디오 입력수단
20 : 수면자세정보 측정수단
30 : 생체정보 측정수단
40 : 스마트 단말
100 : 서비스 서버
110 : 오디오 분석부
120 : 수면자세 분석부
130 : 생체정보 분석부
200 : 코골이와 자세 분석부
220 : 코골이 분석모듈
250 : 자세와 코골이 관계 모델링부
270 : 질병 예측모듈
300 : 서비스 제공부
400 : 데이터 베이스
10: audio input means
20: Sleep posture information measurement means
30: means for measuring biometric information
40: smart terminal
100 : service server
110: audio analysis unit
120: sleep posture analysis unit
130: biometric information analysis unit
200: snoring and posture analysis unit
220: snoring analysis module
250: Posture and snoring relationship modeling unit
270: disease prediction module
300: service provider
400 : database

Claims (16)

코골이 소리를 수집하여 오디오 특성 분석에 의해 코골이 모니터링 정보와, 코골이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코골이 분석모듈과;
사용자의 수면 시간 동안 복수의 각도에 대한 사용자의 수면 중 자세를 촬영한 영상정보로부터, 수면자세의 상부에서 측정하는 상기 사용자의 수면중 신체 자세와, 수면자세의 양측면에서 측정하는 베게 사용에 따른 목과 머리 및 베개와의 관계에 의한 상기 사용자의 머리 자세를 각각 측정하고, 사전 구축된 학습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신체 자세와 상기 머리 자세를 동기화하여 각각 시각화시킨 인체형상으로 모델링하는 수면 자세 분석부;
상기 수면 자세 분석부에서 모델링된 수면 자세 정보에 상기 코골이 모니터링 정보를 맵핑하여 코골이와 신체자세 및 코골이와 머리자세에 대한 상관 관계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도록 모델링하고, 코골이 위치정보를 인체 모델링 정보에 맵핑하여 코골이 발생 위치가 해부학적 구강 및 후두의 공기 통로 모델링 정보에 표시되도록 모델링하는 자세와 코골이 관계 모델링부와;
상기 코골이 모니터링 정보 및 상기 코골이 위치정보와, 상기 자세와 코골이 관계 모델링부에서 모델링된 자세와 코골이와의 상관관계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누적저장하여 관리하고, 누적관리되는 정보 및 그들의 변화추이를 분석하여 코골이를 발생할 질병 진단예측을 하는 질병 예측 모듈; 을 포함하는
코골이 분석 서비스 시스템.
a snoring analysis module that collects snoring sounds and detects snoring monitoring information and snoring location information by analyzing audio characteristics;
From the image information photographing the user's sleeping posture for a plurality of angles during the user's sleeping time, the user's sleeping body posture measured from the upper part of the sleeping posture and the neck and neck according to the use of a pillow measured from both sides of the sleeping posture a sleeping posture analysis unit that measures the user's head posture according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ead and the pillow, and uses pre-established learning data to synchronize the body posture and the head posture and model them into a visualized human body shape;
By mapping the snoring monitoring information to the sleeping posture information modeled by the sleep posture analysis unit, modeling is performed to visually express the correlation between snoring and body posture and snoring and head posture, and snoring position information is modeled on the human body a posture and snoring relationship modeling unit that maps to information so that the location of snoring is displayed on the anatomical oral and larynx air passage modeling information;
The snoring monitoring information, the snoring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correlation information between the posture and snoring modeled by the posture and snoring relationship modeling unit are accumulated and stored in a database to manage, and to collect and manage information and their change trends. a disease prediction module that analyzes and predicts a disease that will cause snoring; containing
Snoring Analysis Service Syste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골이 분석 모듈은,
사용자의 수면중 수집되는 코골이 소리를 분석하여 주파수 관련 지표, 주파수 변화에 관련된 지표, 강도 변화에 관련된 지표, 코골이 소리의 잡음 관련 지표, 떨림 지표, 끊김 지표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오디오 특성 정보를 추출하는 오디오 분석부;를 포함하고, 상기 코골이 소리를 분석한 오디오 특성정보를 분석하여 수면 시간 동안의 코골이 발생, 코골이 정도, 수면 무호흡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코골이 모니터링 정보를 생성함과 아울러 코골이 소리 특성 대비 코골이 위치 검출 학습모델을 통해 코골이 위치정보를 검출하는
코골이 분석 서비스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snoring analysis module,
An audio characteristic comprising at least one of a frequency-related index, an index related to a frequency change, an index related to an intensity change, a noise-related index of a snoring sound, a tremor index, and a discontinuity index by analyzing the snoring sound collected during the user's sleep Audio analysis unit for extracting information; Contain, and by analyzing the audio characteristic information analyzed by the snoring sound, snoring monitoring information including snoring occurrence, snoring degree, and sleep apnea state information during sleep time is generated. In addition, it is a method to detect snoring position information through a snoring position detection learning model compared to snoring sound characteristics.
Snoring Analysis Service System.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질병 예측 모듈은,
코골이 분석모듈의 코골이 모니터링 정보 및 코골이 위치 정보와, 상기 자세와 코골이 관계 모델링부의 코골이와 자세와의 상관관계정보를 이용하여 사전에 정해진 평가 알고리즘에 의한 코골이 평가, 수면 평가를 수행함과 아울러 데이터베이스에 누적저장 관리하고, 상기 코골이 모니터링 및 위치 정보와, 상기 코골이 평가에 따른 평가정보, 상기 수면 평가에 따른 평가정보 및 누적 관리되는 정보들의 변화 추이를 분석하여 코골이를 유발할 수 있는 질병에 대한 진단예측을 수행하는
코골이 분석 서비스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disease prediction module,
Using the snoring monitoring information and snoring position information of the snoring analysis module, and the correlation information between the snoring and the posture of the posture and snoring relationship modeling unit, snoring evaluation and sleep evaluation by a predetermined evaluation algorithm are performed. In addition to performing, cumulative storage and management in the database, the snoring monitoring and location information, the evalu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snoring evaluation, the evalu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sleep evaluation, and the accumulated management information are analyzed to cause snoring Diagnosing and predicting possible diseases
Snoring Analysis Service System.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질병 예측모듈은,
코골이의 상태정보와, 코골이 상태 변화 정보 및 자세와 코골이 정보, 코골이 위치 정보에 대해 고려할 수 있는 현재 및 향후 질병 예측 정보 및 추천정보를 학습 데이터로 구축하고, 학습데이터를 기반으로 질병 예측 및 추천정보를 추출하는 학습 모델을 구축하여 학습모델을 통해 질병 예측 및 추천정보를 생성하는
코골이 분석 서비스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The disease prediction module,
Construct current and future disease prediction information and recommendation information that can be considered for snoring status information, snoring status change information, posture and snoring information, and snoring location information as learning data, and disease based on the learning data It builds a learning model that extracts prediction and recommendation information and generates disease prediction and recommendation information through the learning model.
Snoring Analysis Service System.
제 1 항에 있어서,
생체정보 측정수단을 통해서 수면중 사용자의 호흡, 맥박, 뇌파, 산소 포화도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생체정보를 측정하여 분석하고, 분석된 생체정보를 상기 코골이 분석모듈의 수면 무호흡 상태 및 코골이 상태검출을 위한 분석에 반영하고, 상기 질병 예측 모듈의 질병예측을 위한 정보로 반영하는 생체정보 분석부를 더 포함하는
코골이 분석 서비스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rough the biometric information measuring means, biometric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user's respiration, pulse, brain wave, and oxygen saturation during sleep is measured and analyzed, and the analyzed biometric information is analyzed by the sleep apnea state and snoring of the snoring analysis module. Reflecting on the analysis for the state detection, further comprising a biometric information analysis unit that reflects the information for the disease prediction of the disease prediction module
Snoring Analysis Service Syste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골이 분석모듈, 상기 자세와 코골이 관계 모델링부, 상기 질병 예측 모듈의 출력정보들을 입력받아 수면중 코골이 구간, 수면 무호흡 구간, 각각의 코골이 강도에 대한 코골이 상태 정보와, 코골이와 자세 상관관계, 코골이 상태 변화 추이 분석정보, 질병예측에 정보 및 코골이 방지와 질병예측에 따른 추천 정보를 그래픽 및 인체 모델링을 포함하는 분석 결과 리포트로 생성하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관리함과 아울러 서비스 정보로 출력하는 분석 결과 리포트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코골이 분석 서비스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Receive output information from the snoring analysis module, the posture and snoring relationship modeling unit, and the disease prediction module, snoring section during sleep, sleep apnea section, snoring status information for each snoring intensity, snoring Postural correlation, snoring status change analysis information, disease prediction information, and snoring prevention and disease prediction recommendation information are generated as an analysis result report including graphic and human modeling, stored in a database, and managed. Further comprising an analysis result report generation unit to output as service information
Snoring Analysis Service System.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결과 리포트 생성부에서 생성된 분석결과 리포트를 서비스 시스템에 구비되는 출력부를 통해 출력함과 아울러 미리 설정된 스마트 단말로 전송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고,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사용자의 모니터링 정보 이력 보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정보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코골이 분석 서비스 시스템.
8. The method of claim 7,
The analysis result report generated by the analysis result report generation unit is outputted through the output unit provided in the service system, and the service is provided by transmitting it to a preset smart terminal, and the user's monitoring information history viewing service is provided at the request of the user. Further comprising a service information output unit to provide
Snoring Analysis Service System.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12 was abandoned when paying the registration fee.◈ 소리 분석에 의해 코골이 상태를 검출하여 코골이 분석 정보를 서비스하는 코골이 분석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수면 시간 동안 수집되는 오디오를 분석하여, 수면 무호흡증을 포함하는 코골이 모니터링 정보 및 코골이 위치를 검출하는 코골이 검출단계;
상기 사용자의 수면 시간 동안 복수의 각도에 대한 사용자의 수면 중 자세를 촬영한 영상정보로부터, 수면자세의 상부에서 측정하는 사용자의 수면중 신체 자세와, 수면자세의 양측면에서 측정하는 베게 사용에 따른 목과 머리 및 베개와의 관계에 의한 상기 사용자의 머리 자세를 각각 측정하고, 사전 구축된 학습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신체 자세와 상기 머리 자세를 동기화하여 각각 시각화시킨 인체형상으로 모델링하는 수면 자세 모델링 단계;
상기 모델링된 수면 자세 정보에 수면중 코골이 모니터링 정보를 매칭하여 코골이와 신체자세 및 코골이와 머리자세에 대한 상관 관계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도록 모델링하고, 코골이 위치정보를 인체 모델링 정보에 맵핑하여 코골이 발생 위치가 해부학적 구강 및 후두의 공기 통로 모델링 정보에 표시되도록 모델링하는 자세와 코골이 관계 모델링 단계;
상기 자세와 코골이 관계 모델링 단계에서 모델링된 자세와 코골이 상관관계 정보와, 상기 코골이 모니터링 정보와, 코골이 평가정보 및 수면 평가 정보를 누적관리하고, 상기 자세와 코골이 상관관계 정보와, 상기 코골이 모니터링 정보와, 코골이 평가정보 및 상기 수면 평가 정보의 변화 추이를 분석하여 코골이를 유발할 수 있는 질병에 대한 질병 진단예측 단계와;
상기 자세와 코골이 상관관계 정보와, 상기 코골이 모니터링 정보와, 코골이 평가정보 및 수면 평가 정보를 제공함과 아울러 상기 질병 진단예측 단계 수행에 따른 진단예측 결과 및 코골이 방지를 위한 추천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 단계; 를 포함하는
코골이 분석 서비스 방법.
In the snoring analysis service method of detecting a snoring state by sound analysis and providing snoring analysis information,
A snoring detection step of analyzing the audio collected during the user's sleep time to detect snoring monitoring information including sleep apnea and a snoring position;
From the image information photographing the user's sleeping posture for a plurality of angles during the user's sleeping time, the user's sleeping body posture measured at the upper part of the sleeping posture and the neck and neck according to the pillow use measured from both sides of the sleeping posture a sleeping posture modeling step of measuring the user's head posture according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ead and the pillow, and modeling the human body shape visualized by synchronizing the body posture and the head posture using pre-established learning data;
By matching the snoring monitoring information during sleep with the modeled sleep posture information, modeling is performed to visually express the correlation between snoring and body posture and snoring and head posture, and snoring position information is mapped to human body modeling information. Posture and snoring relationship modeling step of modeling so that the location of snoring is displayed in the anatomical oral and larynx air passage modeling information;
The posture and snoring relationship modeling step and the modeled posture and snoring correlation information, the snoring monitoring information, snoring evaluation information, and sleep evaluation information are accumulated and managed, the posture and snoring correlation information, a disease diagnosis and prediction step for a disease that can cause snoring by analyzing the snoring monitoring information, the snoring evaluation information, and the change trend of the sleep evaluation information;
The posture and snoring correlation information, the snoring monitoring information, snoring evaluation information, and sleep evaluation information are provided as well as diagnosis prediction results according to the disease diagnosis prediction step and recommendation information for snoring prevention. service steps to; containing
Snoring analysis service method.
◈청구항 1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13 was abandoned when paying the registration fee.◈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코골이 검출단계는,
사용자의 수면 시간 동안 발생되는 소리를 수집하고, 수집된 소리 분석에 의해 코골이 소리 특성정보를 추출하는 코골이 소리 분석단계;
상기 코골이 소리 특성정보를 분석하여 코골이 여부와 수면 무호흡 상태를 검출하고, 수면중 코골이 구간과, 각 코골이 구간의 코골이 강도, 코골이 시간 정보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코골이 모니터링 정보 검출단계와;
상기 코골이 소리 특성과 코골이 위치와의 상관 관계에 대한 임상 데이터를 기반으로 학습 데이터를 구축하고, 상기 학습 데이터를 이용하여 구축되는 학습 모델을 통하여 상기 코골이 소리분석 단계에서 추출된 코골이 소리 특성에 대응된 코골이 위치를 검출하는 코골이 위치 검출단계; 를 포함하는
코골이 분석 서비스 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snoring detection step is,
A snoring sound analysis step of collecting sounds generated during the user's sleep time, and extracting snoring sound characteristic information by analyzing the collected sounds;
Snoring monitoring including at least one of snoring and sleep apnea status by analyzing the snoring sound characteristic information, snoring section during sleep, snoring intensity of each snoring section, and snoring time information information detection step;
The snoring sound extracted in the snoring sound analysis step through a learning model built by constructing learning data based on clinical data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noring sound characteristics and the snoring position, and using the learning data a snoring position detection step of detecting a snoring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haracteristic; containing
Snoring analysis service method.
삭제delete ◈청구항 1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15 was abandoned when paying the registration fee.◈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코골이 검출정보와, 상기 모델링된 수면 자세 정보와, 상기 코골이 위치 정보를 상호 매칭시켜 코골이 모니터링 정보로 제공함과 아울러 코골이 상태 평가 분석 및 수면 평가 분석을 하여 상기 질병 진단예측 단계의 질병 예측을 위한 분석 정보로 반영하고, 상기 서비스 단계의 서비스 정보로 반영하도록 평가정보를 제공하는 코골이 평가단계;를 더 포함하는
코골이 분석 서비스 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snoring detection information, the modeled sleep posture information, and the snoring position information are matched to each other to provide snoring monitoring information, and the snoring state evaluation analysis and sleep evaluation analysis are performed to predict the disease diagnosis stage disease The snoring evaluation step of reflecting as analysis information for prediction and providing evaluation information to reflect it as the service information of the service step; further comprising
Snoring analysis service method.
삭제delete
KR1020200102446A 2020-08-14 2020-08-14 Method and system for snoring analysis service providing snoring analysis and disease diagnosis prediction service based on snoring sound analysis KR102346233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2446A KR102346233B1 (en) 2020-08-14 2020-08-14 Method and system for snoring analysis service providing snoring analysis and disease diagnosis prediction service based on snoring sound analysis
KR1020210185655A KR102619758B1 (en) 2020-08-14 2021-12-23 A System for snoring analysis service providing snoring analysis and disease diagnosis prediction service based on snoring sound analysis
KR1020210185654A KR102552787B1 (en) 2020-08-14 2021-12-23 Method for snoring analysis service providing snoring analysis and disease diagnosis prediction service based on snoring sound analysi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2446A KR102346233B1 (en) 2020-08-14 2020-08-14 Method and system for snoring analysis service providing snoring analysis and disease diagnosis prediction service based on snoring sound analysis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5655A Division KR102619758B1 (en) 2020-08-14 2021-12-23 A System for snoring analysis service providing snoring analysis and disease diagnosis prediction service based on snoring sound analysis
KR1020210185654A Division KR102552787B1 (en) 2020-08-14 2021-12-23 Method for snoring analysis service providing snoring analysis and disease diagnosis prediction service based on snoring sound analysi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6233B1 true KR102346233B1 (en) 2022-01-05

Family

ID=79348728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2446A KR102346233B1 (en) 2020-08-14 2020-08-14 Method and system for snoring analysis service providing snoring analysis and disease diagnosis prediction service based on snoring sound analysis
KR1020210185654A KR102552787B1 (en) 2020-08-14 2021-12-23 Method for snoring analysis service providing snoring analysis and disease diagnosis prediction service based on snoring sound analysis
KR1020210185655A KR102619758B1 (en) 2020-08-14 2021-12-23 A System for snoring analysis service providing snoring analysis and disease diagnosis prediction service based on snoring sound analysis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5654A KR102552787B1 (en) 2020-08-14 2021-12-23 Method for snoring analysis service providing snoring analysis and disease diagnosis prediction service based on snoring sound analysis
KR1020210185655A KR102619758B1 (en) 2020-08-14 2021-12-23 A System for snoring analysis service providing snoring analysis and disease diagnosis prediction service based on snoring sound analysi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234623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1900A (en) * 2020-08-14 2022-02-22 주식회사 이피아이랩 A System for snoring analysis service providing snoring analysis and disease diagnosis prediction service based on snoring sound analysi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2188A (en) * 2022-03-08 2023-09-15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Snoring and sleep apnea prevention system using snoring and sleep apnea prevention device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3265A (en) 2000-06-10 2000-11-06 김성석 Snoring identification method based on acoustic identification using neural network
KR20130015071A (en) 2011-08-02 2013-02-13 이규성 Method and device for snoring prevention
KR101299679B1 (en) 2010-08-12 2013-08-27 김라라 Pillow for prevention of snoring
KR20130135677A (en) * 2012-06-01 2013-12-11 주식회사 오코웰 Healthecare method utilizing a self-monitoring of blood sugar date and system thereof
KR20130141289A (en) * 2012-06-15 2013-12-26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Sound sleep guidance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bio signal
KR20150113700A (en) * 2014-03-31 2015-10-08 삼성전자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diagnosis
KR20160096905A (en) 2015-02-06 2016-08-17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snoring
KR20180056196A (en) * 2016-11-18 2018-05-28 주식회사 바이랩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sleep apnea
KR102068484B1 (en) 2018-08-01 2020-01-21 서울대학교병원 Method for making prediction model for sleep apnea syndrome and method for predicting sleep apnea syndrome by using the same model
KR20200069776A (en) * 2018-12-07 2020-06-17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Analysis apparatus for sleep posture and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6233B1 (en) * 2020-08-14 2022-01-05 주식회사 이피아이랩 Method and system for snoring analysis service providing snoring analysis and disease diagnosis prediction service based on snoring sound analysis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3265A (en) 2000-06-10 2000-11-06 김성석 Snoring identification method based on acoustic identification using neural network
KR101299679B1 (en) 2010-08-12 2013-08-27 김라라 Pillow for prevention of snoring
KR20130015071A (en) 2011-08-02 2013-02-13 이규성 Method and device for snoring prevention
KR20130135677A (en) * 2012-06-01 2013-12-11 주식회사 오코웰 Healthecare method utilizing a self-monitoring of blood sugar date and system thereof
KR20130141289A (en) * 2012-06-15 2013-12-26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Sound sleep guidance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bio signal
KR20150113700A (en) * 2014-03-31 2015-10-08 삼성전자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diagnosis
KR20160096905A (en) 2015-02-06 2016-08-17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snoring
KR20180056196A (en) * 2016-11-18 2018-05-28 주식회사 바이랩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sleep apnea
KR102068484B1 (en) 2018-08-01 2020-01-21 서울대학교병원 Method for making prediction model for sleep apnea syndrome and method for predicting sleep apnea syndrome by using the same model
KR20200069776A (en) * 2018-12-07 2020-06-17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Analysis apparatus for sleep posture and method thereof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LDA를 이용한 코골이 검출방법에 대한 연구. 한국통신학회 2015년도 동계종합학술발표회, 2015.01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1900A (en) * 2020-08-14 2022-02-22 주식회사 이피아이랩 A System for snoring analysis service providing snoring analysis and disease diagnosis prediction service based on snoring sound analysis
KR102619758B1 (en) * 2020-08-14 2024-01-02 주식회사 이피아이랩 A System for snoring analysis service providing snoring analysis and disease diagnosis prediction service based on snoring sound analysi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2787B1 (en) 2023-07-10
KR20220021899A (en) 2022-02-22
KR20220021900A (en) 2022-02-22
KR102619758B1 (en) 2024-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99312B2 (en) Chainstalks breathing pattern discrimination
US20190343456A1 (en) Patient monitoring
US20160224750A1 (en) Monitoring system for assessing control of a disease state
JP6054584B2 (en) Treatment system having a patient interface for acquiring a patient's life state
KR102552787B1 (en) Method for snoring analysis service providing snoring analysis and disease diagnosis prediction service based on snoring sound analysis
US8758243B2 (en) System and method for diagnosing sleep apnea based on results of multiple approaches to sleep apnea identification
JP2016508382A (en) Detection of sleep apnea using respiratory signals
US20240046461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sleep analysis based on a body image
KR102243012B1 (en) Estimation method of blood vessel elasticity and arrhythmia using skin image
KR20220021989A (en) Method and device for monitoring correlation between snoring and posture based on snoring sound and sleep posture analysis during sleep
KR101849147B1 (en) diagnosis systems of sleeprelated breathing disorders go abreast remote-diagnosis
Ozdemir et al. A time-series approach to predict obstructive sleep apnea (OSA) Episodes
KR20220021986A (en) A method for detecting snoring/airway stricture location based on bio-signal and system for providing snoring analysis service
KR20220021991A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cting snoring/airway stenosis location based on snoring sound analysis
US20220151582A1 (en) System and method for assessing pulmonary health
KR20170043787A (en) 3D imaging systems of oropharyngeal airway for sleep apnea diagnosis
US20210236050A1 (en) Dynamic anatomic data collection and modeling during sleep
TWI840265B (en) Inspiration system related symptom sensing system and apparatus
US2023036436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user interface comfort evaluation
Otero et al. Visual knowledge-based metaphors to support the analysis of polysomnographic recordings
KR20230124414A (en) Method of calculating a pain rate of object, apparatus for calculating a pain rate of object, and computer program for the method
TW202239369A (en) Evaluation of sleep data
WO2023061591A1 (en) Determining the quality of setting up a headset for cranial accelerometry
JP2023066909A (en) Sleep apnea determination device, sleep apnea determination method, and sleep apnea determination program
JP2022141984A (en) Blood pressure monitoring device, blood pressure monitoring method, and blood pressure monitoring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