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4777A - 세탁기 - Google Patents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4777A
KR20130014777A KR1020110076436A KR20110076436A KR20130014777A KR 20130014777 A KR20130014777 A KR 20130014777A KR 1020110076436 A KR1020110076436 A KR 1020110076436A KR 20110076436 A KR20110076436 A KR 20110076436A KR 20130014777 A KR20130014777 A KR 201300147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washing machine
base plate
washing
rotating t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64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황묵
표상연
박재룡
김성훈
방은숙
서동필
이지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764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14777A/ko
Priority to EP12178477.1A priority patent/EP2554734B1/en
Priority to CN201210270269.2A priority patent/CN102912593B/zh
Priority to US13/564,123 priority patent/US9388524B2/en
Publication of KR201300147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47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13/00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ith agitators therein contacting the articles being washed 
    • D06F13/02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ith agitators therein contacting the articles being washed  wherein the agitator has an oscillatory rotary motion on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12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4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42Safety arrangements, e.g. for stopping rotation of the receptacle upon opening of the casing do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1Safety arrangements for preventing water dam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세탁기의 외관 크기는 키우지 않으면서 세탁 용량을 늘릴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로, 세탁 및 탈수시 방출되는 세탁수로부터 전장물을 완벽하게 고립시켜 단전 및 화제의 위험을 줄일 수 있는 세탁기를 제공한다.
세탁기는 본체와, 본체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회전조와, 회전조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펄세이터와, 회전조 및 펄세이터를 선택적으로 회전시키도록 회전조의 하부에 마련되는 구동부와, 구동부가 고정되도록 마련되는 베이스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베이스 플레이트와 본체 바닥 사이에서 구동부를 밀폐하여 수분 침투를 방지하는 방수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세탁기{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세탁기는 전력을 이용하여 의류를 세탁하는 기계로서, 일반적으로 세탁수를 저수하는 터브와, 터브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조와, 회전조의 바닥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펄세이터와, 회전조 및 펄세이터를 회전 구동하기 위한 모터 및 클러치를 구비한다.
회전조의 내부에 세탁물 및 세제수가 투입된 상태에서 회전조 및 펄세이터가 회전하면 펄세이터는 회전조의 내부로 투입된 세탁물을 세탁수와 함께 교반시켜 세탁물에 묻은 때를 제거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회전조와, 상기 회전조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펄세이터와, 상기 회전조 및 펄세이터를 선택적으로 회전시키도록 상기 회전조의 하부에 마련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가 고정되도록 마련되는 베이스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본체 바닥 사이에서 상기 구동부를 밀폐하여 수분 침투를 방지하는 방수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수부재는 상기 구동부의 진동을 흡수하도록 마련되는 다이어프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수부재는 복수의 주름부와, 상기 주름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고정부와, 상기 주름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상기 방수부재의 제1 고정부와 결합될 수 있도록 그 저면에 마련되는 제1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를 지지하는 받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받침부는 상기 본체 바닥을 형성하는 바닥판과, 상기 방수부재의 제2 고정부와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바닥판의 저면에 마련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수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 고정부의 외측을 가압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환 형상의 와이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받침부는 상기 구동부로부터 인출되는 케이블의 수분 침투를 방지하기 위한 수분 침투 방지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분 침투 방지 가이드는 상기 본체 내부에서 수직 방향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조는 바닥으로부터 그 직경이 증가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는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측벽의 상단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배수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닥판에는 탈수시 상기 배수홀로부터 배출되어 낙하하는 세탁수를 배출하기 위한 제1 배수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부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동력을 상기 회전조 및 상기 펄세이터에 선택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클러치와, 상기 클러치의 구동축과 상기 회전조 바닥을 연결하는 플랜지를 포함하며, 상기 플랜지는 상기 구동축과 결합할 수 있도록 그 중심을 관통하는 제1 관통홀과, 상기 제1 관통홀 주위에서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어 세탁 및 헹굼시 세탁수가 배출되는 제2 관통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세탁 또는 헹굼시 상기 제2 관통홀로부터 배출되어 낙하하는 세탁수를 배출하기 위한 제2 배수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본체 상부를 연결하는 서스펜션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서스펜션 부재의 일단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브라켓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본체 상부 모서리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하부에 구동부가 마련되는 회전조와, 상기 구동부가 고정되도록 상기 본체 상부와 적어도 하나의 서스펜션 부재에 의해 연결되어 지지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구동부를 밀폐하고 진동을 흡수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본체 바닥 사이에 배치되는 다이어프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이어프램은 다수의 주름부와, 상기 주름부로부터 상하측으로 연장 형성된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상기 고정부의 일측이 고정되도록 그 저면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결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 바닥은 상기 구동부가 관통하도록 그 중심에 형성되는 설치홀을 포함하고, 상기 설치홀의 테두리는 상기 고정부의 타측이 고정되도록 하측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절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이어프램은 상기 고정부의 외주면을 가압하여 고정하도록 마련되는 환 형상의 와이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 바닥에는 상기 구동부로부터 인출되는 케이블을 안내하기 위한 수분 침투 방지 가이드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세탁기의 크기를 키우지 않으면서 세탁 용량을 늘릴 수 있으므로, 한 번의 세탁으로 많은 양의 세탁물을 세탁할 수 있어 세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같은 용량일 경우 일반적인 세탁기에 비해 외관 크기가 작으므로, 설치 공간의 제약에 따른 부담이 적고, 세탁물을 편리하게 투입하고 꺼낼 수 있어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이 향상된다.
또한, 세탁 및 탈수시 방출되는 물로부터 전장물을 완벽하게 고립시킬 수 있어 단전 및 화재의 위험을 줄일 수 있고, 이상 진동 상태에서 회전체의 벽면 충돌 현상을 막아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회전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구동부 및 방수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5 는 도 4의 'A' 부분의 확대도.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세탁 및 탈수시 물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기는 외형을 이루는 본체(1)와, 본체(1)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회전조(20), 회전조(20)를 회전시키기 위해 회전조(20) 하부에 배치되는 구동부(100)를 포함한다.
본체(1)의 상부에는 회전조(20) 내부로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도록 세탁물 투입구(1a)가 형성되고, 세탁물 투입구(1a)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미도시)가 마련된다.
본체(1)의 하부에는 세탁기를 바닥에 안착시킬 수 있도록 다리(5)가 설치되는 받침부(2)가 마련된다.
회전조(20)는 본체(1)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그 상부에는 회전조(2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다수의 배수홀(22)을 구비한다.
회전조(20)의 바닥에는 펄세이터(6)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펄세이터(6)는 회전조(20)의 내부로 유입된 세탁수와 함께 세탁물을 교반시키는 역할을 한다.
회전조(20)의 상부에는 회전조(20) 내부로 세탁수를 공급하기 위한 급수장치(160)가 설치된다. 급수장치(160)는 급수를 제어하는 급수밸브(161)와, 급수밸브(161)와 세제공급장치(163)를 연결하는 급수관(162)을 포함한다.
급수관(162)을 통해 공급되는 물은 세제공급장치(163)를 경유하여 세제와 함께 회전조(20) 내부로 공급된다.
회전조(20)의 하부에는 세탁 또는 탈수 과정이 완료된 후, 세탁수를 본체(1)의 외부로 안내하는 제1 배수호스(231)와 제2 배수호스(230)가 마련된다.
구동부(100)는 회전조(20)와 펄세이터(6)를 회전시키는 클러치(120)와, 클러치(120)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140)를 포함한다.
클러치(120)는 구동모터(140)와 풀리(141) 및 벨트(142)로 연결되어 구동모터(140)의 구동력을 회전조(20) 또는 펄세이터(6)에 선택적으로 전달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회전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구동부 및 방수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 는 도 4의 'A'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 내부에는 본체(1)와 일정 간격을 두고 회전조(20)가 배치된다.
회전조(20)의 외측에는 회전조(20)를 본체(1)에 매달아 지지하기 위한 서스펜션 부재(240)가 설치된다.
서스펜션 부재(240)의 일측은 본체(1)의 상부에 타측은 후술하게 되는 베이스플레이트(200)의 연결 브라켓(241)에 결합되어, 회전조(20)를 지지한다.
본체(1)는 그 하부에 바닥으로부터 본체(1)를 지지하기 위한 받침부(2)를 포함한다.
받침부(2)는 본체(1)의 바닥을 형성하는 바닥판(3)과, 구동부(100)가 관통되어 설치될 수 있도록 중심에 소정 직경으로 형성된 설치홀(2a)을 포함한다.
바닥판(3)에는 탈수 과정시, 회전조(20)외측으로 배출되는 물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제1 배수호스(231)과 연결된 제1 배수구(3a)가 마련된다.
제1 배수호스(231)은 후술하는 제2 배수호스(230)과 연결되어 세탁 및 헹굼시 제2 배수구(201)를 통해 배출되는 물과 같이 본체(1) 외부로 배출된다.
받침부(2)의 상측에는 수직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회전조(20)가 마련된다.
회전조(20)는 바닥부(24)와, 바닥부(24)와 연결되어 세탁수를 저수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측벽(21)을 포함한다.
회전조(20)의 바닥부(24) 중심부에는 구동부(100)의 구동축(124)이 설치되기 위한 관통홀(150)이 형성되며, 회전조(20)의 상단부에는 회전조(20)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액체 발란서(25)가 마련된다.
측벽(21)은 바닥부(24)로부터 회전조(20) 직경이 증가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세탁물을 탈수하는 과정에서 회전조(20)가 대략 280rpm 이상의 고속으로 회전하면 세탁물에서 탈수된 물은 원심력에 의해 측벽(21)에 도달하고, 경사지게 마련된 측벽(21)의 내벽을 따라 회전조(20)의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측벽(21)과 바닥부(24)에 수직한 직선(l)이 이루는 경사각(θ)은 대략 2˚ 내지 10˚ 사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경사각(θ)이 2˚ 미만으로 작을 경우, 물이 측벽(21)의 내주면을 따라 회전조(20)의 상부로 원활하게 이동하지 못하게 되어 탈수의 성능이 떨어질 수 있으며, 경사각(θ)이 10˚를 초과하여 클 경우, 회전조(20)의 상부가 넓어져 본체(1)의 전체적인 폭이 커질 수 있기 때문이다.
측벽(21)의 상측에는 세탁물에서 탈수된 물이 회전조(2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배수홀(22)이 다수개 형성되고, 배수홀(22)을 통해 회전조(20)의 외부로 배출된 물은 본체(1) 내주면을 따라 받침부(2)의 바닥판(3)으로 흘러내려 제1 배수구(3a)와 제1 배수호스(23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배수홀(22)은 측벽(21)의 둘레를 따라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며, 배수홀(22)의 높이는 대략 회전조(20) 높이의 2/3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조(20)의 하부에는 회전조(20) 또는 회전조(20) 내부에 배치되는 펄세이터(6)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100)가 설치된다.
구동부(100)는 회전조(20) 및 펄세이터(6)를 선택적으로 회전시키는 클러치(120)와, 클러치(120)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140)와, 클러치(120)의 구동축(124)과 회전조(20)의 바닥부(24)를 연결하여 구동축(124)의 회전력을 회전조(20)에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플랜지부재(130)와, 클러치(120) 및 구동모터(140)를 고정하는 베이스 플레이트(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도 4)
이러한 구동부(100)는 회전조(20)의 하부, 베이스 플레이트(200)의 저면에 고정되기 때문에, 탈수 과정 후 본체(1)의 내면을 타고 아래쪽으로 흘러내려 바닥판(3)의 제1 배수구(3a)를 통해 배출되는 물에 노출될 수 있는 위험이 있다.
따라서, 베이스 플레이트(200)와 본체(1) 바닥 사이에 구동부(100)를 밀폐할 수 있는 방수부재(10)를 포함한다.
또, 받침부(2)는 구동부(100)의 전장물에 연결되는 다수의 케이블(C)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수분 방지 가이드(30)를 포함한다.
수분 방지 가이드(30)는 내부에 케이블(C)이 관통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케이블 수용부(30a)를 포함하고, 받침부(2)의 바닥판(3) 모서리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수부재(10)는 구동부(100)의 진동을 흡수 할 수 있도록 고무 등과 같이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된 다이어프램(diaphragm)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 내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수부재(10)는 다수의 주름부(11)와, 주름부(11)로부터 상ㅇ하측으로 연장 형성된 고정부(12)를 포함한다.
고정부(12)는 주름부(11)의 상측으로 연장 형성된 제1 고정부(12a)와, 주름부(11)의 하측으로 연장 형성된 제2 고정부(12b)를 포함한다.
방수부재(10)는 구동부(100)의 외측을 감싸도록 원통 형상으로 마련되며, 베이스 플레이트(200)와 본체(1) 바닥, 즉 받침부(2)의 바닥판(3) 사이에 배치된다
베이스 플레이트(200)는 방수부재(10)의 제1 고정부(12a)와 결합될 수 있도록 그 저면 외측에 베이스 플레이트(200)의 둘레를 따라 원 중심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결합홈(202a)이 형성된 제1 결합부(202)가 마련된다.
제1 고정부(12a)는 제1 결합부(202)의 결합홈(202a)에 대응되도록 상단이 외측을 향해 굴곡지게 형성된다.
이렇게 결합된 베이스 플레이트(200)의 제1 결합부(202)와 방수부재(10)의 제1 고정부(12a)의 외주면을 환 형상의 와이어(15)가 조여 서로 밀착시킴으로써 고정한다.
그리고, 방수부재(10)의 제2 고정부(12b)는 본체(1)를 지지하는 받침부(2)에 형성된 제2 결합부(4)와 결합된다.
받침부(2)의 바닥판(3) 중심에는 구동부(100)가 관통 설치될 수 있도록 설치홀(2a)이 형성된다. 제2 결합부(4)는 설치홀(2a)의 테두리에 마련된다.
제2 결합부(4)는 하측 방향으로 바닥판(3)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그 단부는 중심으로부터 외측 방향을 향해 소정 경사부(4a)를 갖는다.
방수부재(10)의 제2 고정부(12b)는 제2 결합부(4)에 끼움될 수 있도록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2 결합부(4)에 끼움된 제2 고정부(12b)의 외측을 환 형상의 와이어(15)가 조여 서로 밀착시킴으로써 고정한다.
이때, 제1 결합부(4)와 제2 결합부(4)의 형상은 방수부재(10)의 고정부(12)가 밀착 고정될 수 있도록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베이스 플레이트(200)와 본체(1) 바닥 사이, 구동부(100)의 외측에 마련되는 방수부재(10)는 구동부(100)를 밀폐하여 물의 침투를 방지하고, 구동부(100)의 진동을 흡수 할 수 있다.
또, 세탁 또는 탈수 과정 시 회전조(20)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상하 방향 진동을 흡수할 수 있어 세탁 효율을 향상 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세탁기의 세탁 및 탈수 과정에서의 배수는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수 과정시 발생되는 물(도 6, 실선 화살표)은 회전조(20)의 배수홀(22)을 통해 회전조(20) 외측으로 배출되는 물이 본체(1) 내벽을 따라 하측으로 흐르고 바닥판(3)에 형성된 제1 배수구(3a)와 제1 배수구(3a)에 연결된 제1 배수호스(231) 및 제2 배수호스(23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회전조(20)의 관통홀(150)은 회전조(20) 및 구동부(100)의 구동축(124), 플랜지부재(130)가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구동축(124)이 결합될 수 있도록 그 중심을 관통 형성되는 제1 관통홀(151)과, 제1 관통홀(152)의 주위에 원주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관통홀(152)을 포함한다.
제1 관통홀(151)은 구동축(124)이 플랜지부재(130)를 관통하여 회전조(20) 및 펄세이터(6)와 연결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제2 관통홀(152)은 세탁 과정이 완료 된 후 회전조(20) 내부에 저수된 물이 후술하게 되는 제2 배수구(201)를 통해 회전조(2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 구동축(124)은 제1 관통홀(151)과 결합되는 제1 구동축(124a)과, 제1 구동축(124a)에서 연장되어 펄세이터(6)와 결합되는 제2 구동축(124b)으로 구성된다.
제1 구동축(124a)과 제2 구동축(124b)은 세탁 또는 탈수 과정에 따라서 동시에 회전하거나 별개로 회전하게 된다.
세탁 과정에서는 제2 구동축(124b)이 회전하여 제2 구동축(124b)과 결합된 펄세이터(6)를 회전시키며, 탈수 과정에서는 제1 구동축(124a)과 제2 구동축(124b)이 동시에 회전하여 회전조(20) 및 펄세이터(6)를 동시 회전시키게 된다.
구동축(124)의 타단에는 풀리(141)가 결합되어 구동모터(140)의 회전력이 클러치(120)에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또, 제2 관통홀(152)을 통해 배출되는 물이 가이드 되도록 베이스 플레이트(200)에는 베이스 플레이트 커버(210)가 마련된다.
베이스 플레이트 커버(210)는 플랜지부재(130)와 베이스 플레이트(200) 사이에 배치되며, 베이스 플레이트(200)에 형성된 제2 배수구(201)를 포함하도록 마련된다.
베이스 플레이트(200)의 하부에는 배수 케이스(220)가 결합되는데, 배수 케이스(220)는 베이스 플레이트 커버(210) 및 베이스 플레이트(200)에 의해 형성된 공간을 지나 유입된 세탁수를 수용하도록 소정 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배수 케이스(220)의 일단에는 배수 케이스(220)로 유입된 세탁수가 연결되어 본체(1) 외측으로 안내 될 수 있도록 제2 배수관(230)이 연결된다.
제2 배수호스(230)에는 밸브(221)가 마련되어, 물이 선택적으로 배수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세탁 또는 헹굼 과정에서 사용된 물(도 6, 점선화살표)은 제2 관통홀(152)을 통해 베이스 플레이트 커버(210) 및 베이스 플레이트(200) 사이 공간으로 유입되고, 배수 케이스(220) 및 제2 배수호스(230)을 통해 본체(1) 외부로 배수된다.
이러한 세탁 및 헹굼, 탈수 과정에서 회전조(20)의 하부에 마련되는 구동부(100)는 베이스 플레이트(200)와 본체(1) 바닥판(3) 사이에 마련되는 방수부재(10)에 의해 완전 밀폐되기 때문에 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구동부(100)에 연결된 케이블(C) 역시 바닥판(3)에 형성된 케이블 수용부(30a)에 의해 물에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 구동부(100)의 외측을 방수부재(10)가 감싸고 있기 때문에 구동부(100)의 진동 및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체(1)과 회전조(20) 사이에 별도의 물을 저수하는 구성이 생략되므로, 본체(1) 내부의 공간 활용을 극대화 할 수 있고. 회전조(20) 하부의 방수부재(10)에 의해 회전조(20)의 상하 진동 및 구동부(100)의 진동을 흡수 할 수 있고, 구동부(100)의 전장물에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1 : 본체 2 : 받침부
3 : 바닥판 6 : 펄세이터
10 : 방수부재 11 : 주름부
12 : 고정부 15 : 와이어
20 : 회전조 21 : 측벽
22 : 배수홀 30 : 수분 방지 가이드
100 : 구동부 200 : 베이스 플레이트

Claims (19)

  1.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회전조와,
    상기 회전조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펄세이터와,
    상기 회전조 및 펄세이터를 선택적으로 회전시키도록 상기 회전조의 하부에 마련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가 고정되도록 마련되는 베이스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본체 바닥 사이에서 상기 구동부를 밀폐하여 수분 침투를 방지하는 방수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부재는 상기 구동부의 진동을 흡수하도록 마련되는 다이어프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부재는 복수의 주름부와, 상기 주름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고정부와, 상기 주름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상기 방수부재의 제1 고정부와 결합될 수 있도록 그 저면에 마련되는 제1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를 지지하는 받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받침부는 상기 본체 바닥을 형성하는 바닥판과, 상기 방수부재의 제2 고정부와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바닥판의 저면에 마련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 고정부의 외측을 가압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환 형상의 와이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상기 구동부로부터 인출되는 케이블의 수분 침투를 방지하기 위한 수분 침투 방지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 침투 방지 가이드는 상기 본체 내부에서 수직 방향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조는 바닥으로부터 그 직경이 증가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는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측벽의 상단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배수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에는 탈수시 상기 배수홀로부터 배출되어 낙하하는 세탁수를 배출하기 위한 제1 배수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동력을 상기 회전조 및 상기 펄세이터에 선택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클러치와, 상기 클러치의 구동축과 상기 회전조 바닥을 연결하는 플랜지를 포함하며,
    상기 플랜지는 상기 구동축과 결합할 수 있도록 그 중심을 관통하는 제1 관통홀과, 상기 제1 관통홀 주위에서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어 세탁 및 헹굼시 세탁수가 배출되는 제2 관통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세탁 또는 헹굼시 상기 제2 관통홀로부터 배출되어 낙하하는 세탁수를 배출하기 위한 제2 배수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본체 상부를 연결하는 서스펜션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서스펜션 부재의 일단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브라켓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본체 상부 모서리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4.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하부에 구동부가 마련되는 회전조와,
    상기 구동부가 고정되도록 상기 본체 상부와 적어도 하나의 서스펜션 부재에 의해 연결되어 지지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구동부를 밀폐하고 진동을 흡수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본체 바닥 사이에 배치되는 다이어프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프램은 다수의 주름부와, 상기 주름부로부터 상하측으로 연장 형성된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상기 고정부의 일측이 고정되도록 그 저면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결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바닥은 상기 구동부가 관통하도록 그 중심에 형성되는 설치홀을 포함하고,
    상기 설치홀의 테두리는 상기 고정부의 타측이 고정되도록 하측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절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프램은 상기 고정부의 외주면을 가압하여 고정하도록 마련되는 환 형상의 와이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바닥에는 상기 구동부로부터 인출되는 케이블을 안내하기 위한 수분 침투 방지 가이드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KR1020110076436A 2011-08-01 2011-08-01 세탁기 KR20130014777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6436A KR20130014777A (ko) 2011-08-01 2011-08-01 세탁기
EP12178477.1A EP2554734B1 (en) 2011-08-01 2012-07-30 Washing machine
CN201210270269.2A CN102912593B (zh) 2011-08-01 2012-07-31 洗衣机
US13/564,123 US9388524B2 (en) 2011-08-01 2012-08-01 Wash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6436A KR20130014777A (ko) 2011-08-01 2011-08-01 세탁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4777A true KR20130014777A (ko) 2013-02-12

Family

ID=46639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6436A KR20130014777A (ko) 2011-08-01 2011-08-01 세탁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388524B2 (ko)
EP (1) EP2554734B1 (ko)
KR (1) KR20130014777A (ko)
CN (1) CN102912593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4274A (ko) * 2013-11-11 2015-05-20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조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기
KR20150091972A (ko) * 2014-02-04 2015-08-12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JP2020509846A (ja) * 2017-03-10 2020-04-02 青島海爾洗衣机有限公司QingDao Haier Washing Machine Co.,Ltd. 洗濯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28714B2 (en) 2013-08-20 2017-11-28 Whirlpool Corporation Laundry treating appliance with a static tub
US9896792B2 (en) 2013-08-20 2018-02-20 Whirlpool Corporation Laundry treating appliance with a static tub and a water trap vapor seal
US9284672B2 (en) 2013-10-17 2016-03-15 Whirlpool Corporation Laundry treating appliance with tub and basket having matched characteristics
WO2015119404A1 (en) * 2014-02-04 2015-08-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ing machine
KR20160038246A (ko) * 2014-09-30 2016-04-07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및 이의 제조방법
US9765467B2 (en) 2014-12-18 2017-09-19 Whirlpool Corporation Washing machine having an exoskeleton
US10094062B2 (en) 2014-12-18 2018-10-09 Whirlpool Corporation Laundry treating appliance with suspension and seal
US9909247B2 (en) 2015-09-10 2018-03-06 Whirlpool Corporation Laundry treating appliance with an oversized wash tub
US10125446B2 (en) 2015-12-01 2018-11-13 Whirlpool Corporation Laundry treating appliance
US10487432B2 (en) 2015-12-01 2019-11-26 Whirlpool Corporation Laundry treating appliance
US10036114B2 (en) 2015-12-01 2018-07-31 Whirlpool Corporation Laundry treating appliance
US10053808B2 (en) 2015-12-01 2018-08-21 Whirlpool Corporation Laundry treating appliance
CN106562745A (zh) * 2016-07-31 2017-04-19 胡波楹 一种碗篮旋转式洗碗机
CN108625088B (zh) * 2017-03-16 2022-03-01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
CN108691156B (zh) * 2017-04-12 2022-01-18 重庆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
CN108797003B (zh) * 2017-04-28 2021-04-20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洗衣机
CN109234976B (zh) * 2017-07-11 2021-01-26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
JP7026769B2 (ja) * 2017-09-20 2022-02-28 ▲無▼▲錫▼小天鵝電器有限公司 洗濯機
CN110565327B (zh) * 2017-09-20 2021-04-20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洗衣机
US10988885B2 (en) 2018-12-28 2021-04-27 Whirlpool Corporation Extended tub for a laundry treating appliance
CN113293570A (zh) * 2020-02-21 2021-08-24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波轮洗衣机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625326A (en) * 1944-08-25 1949-06-27 British Thomson Houston Co Ltd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washing machines
FR1153863A (fr) * 1955-11-14 1958-03-28 Thomson Houston Comp Francaise Perfectionnements aux machines à laver le linge
US3807201A (en) * 1972-12-27 1974-04-30 Westinghouse Electric Corp Flexible diaphragm clothes washer
CN101498086B (zh) * 2008-02-01 2011-12-21 叶小舟 竖滚洗洗衣机及其方法
KR101016911B1 (ko) * 2008-09-01 2011-0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회전축 실링 기구 및 그를 이용한 세탁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4274A (ko) * 2013-11-11 2015-05-20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조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기
KR20150091972A (ko) * 2014-02-04 2015-08-12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JP2020509846A (ja) * 2017-03-10 2020-04-02 青島海爾洗衣机有限公司QingDao Haier Washing Machine Co.,Ltd. 洗濯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912593A (zh) 2013-02-06
EP2554734A1 (en) 2013-02-06
US9388524B2 (en) 2016-07-12
CN102912593B (zh) 2016-08-17
EP2554734B1 (en) 2017-03-08
US20130031938A1 (en) 2013-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14777A (ko) 세탁기
KR101605760B1 (ko) 세탁기
EP2530198B1 (en) Washing machine
KR20130016932A (ko) 세탁기
KR100765277B1 (ko) 드럼세탁기
KR101354216B1 (ko) 세탁기
JP2010046125A (ja) 洗濯機
CN109868614B (zh) 一种洗衣机
KR20130062182A (ko) 세탁기
KR20140018681A (ko) 세탁기
CN110863324B (zh) 一种顶开式洗衣机
KR20140115157A (ko) 전자동 세탁기
WO2013042402A1 (ja) 洗濯機
KR20080107500A (ko) 배수펌프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기
EP3971337A1 (en) Washing machine
KR20130106506A (ko) 세탁기
KR100826206B1 (ko) 드럼세탁기
JP2000350897A (ja) 洗濯機
KR20130116633A (ko) 뎀핑장치를 구비하는 세탁기
KR101674527B1 (ko) 세탁기
JP2007222260A (ja) 洗濯機
KR102434445B1 (ko) 세탁기용 펄세이터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세탁기
JP4126797B2 (ja) 洗濯機
KR100820742B1 (ko) 드럼세탁기
JP2022180071A (ja) 洗濯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0512;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0205

Effective date: 201906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