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4598A - Flip-up table, top board for flip-up table, leg for flip-up table, and method for stowing top board - Google Patents

Flip-up table, top board for flip-up table, leg for flip-up table, and method for stowing top boar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4598A
KR20130014598A KR1020127031736A KR20127031736A KR20130014598A KR 20130014598 A KR20130014598 A KR 20130014598A KR 1020127031736 A KR1020127031736 A KR 1020127031736A KR 20127031736 A KR20127031736 A KR 20127031736A KR 20130014598 A KR20130014598 A KR 201300145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p plate
leg
plate body
cam
support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3173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452347B1 (en
Inventor
아키라 요시모리
Original Assignee
고도부끼 시팅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도부끼 시팅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고도부끼 시팅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145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459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23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234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08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legs pivoted to top or underfram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2Underframes
    • A47B13/06Underframes of meta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1/00Feet for furniture in general
    • A47B91/06Glider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35Tables or desks with features relating to adjustability or folding
    • A47B2200/0036Table tops pivotable around longitudinal axi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 Legs For Furniture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판 본체를 사용 위치에서 수납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는 플립업식 테이블의 부품수를 삭감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플립업식 테이블은, 사용 위치와 수납 위치로 이동 가능한 천판 본체와, 천판 본체에 접속되어, 지지축을 중심으로 천판 본체의 이동에 따라서 요동 가능한 캠과, 지지축에 접속되어, 천판 본체가 사용 위치에 있을 때에 천판 본체를 지지하는 제 1 다리와, 제 1 다리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며, 천판 본체가 수납 위치에 있을 때에 지지면을 통하여 천판 본체를 지지하는 제 2 다리를 구비하고, 천판 본체가 사용 위치에 있을 때에는 지지면은 캠의 대향부와 대향하며, 천판 본체가 수납 위치에 있을 때에는 지지면은 캠의 맞닿음부와 맞닿고, 지지축에서 맞닿음부까지의 거리는, 지지축에서 대향부까지의 거리보다 길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duce the number of parts of a flip-up table capable of moving a top plate body from a use position to a storage position. The flip-up tab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 top plate main body that is movable to a use position and a storage position, and a top plate main body, which is connected to a cam that can swing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top plate main body around the support shaft, and a support shaft. A top plate body having a first leg for supporting the top plate body when in the use position and a second leg that is movable relative to the first leg and supporting the top plate body through the support surface when the top plate body is in the storage position; Is in the use position, the support surface opposes the opposing portion of the cam, and when the top plate body is in the retracted position, the support surface is in contact with the contact portion of the cam, and the distance from the support shaft to the contact portion is It is longer than the distance to the opposite part.

Description

플립업식 테이블, 플립업식 테이블용 천판, 플립업식 테이블용 다리, 및 천판의 수납방법{Flip-up Table, Top Board for Flip-up Table, Leg for Flip-up Table, and Method for Stowing Top Board}Flip-up Table, Top Board for Flip-up Table, Leg for Flip-up Table, and Method for Stowing Top Board}

본 발명은 천판을 사용 위치에서 수납 위치로 수납할 수 있는 플립업식 테이블, 그 플립업식 테이블용 천판, 그 플립업식 테이블용 다리, 및 천판의 수납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ip-up table, a flip-up table top plate, a flip-up table leg, and a storing method of the top plate, which can store the top plate from the use position to the storage position.

종래, 창고 등에 저장하기 위하여, 천판을 사용 위치에서 수납 위치로 수납시킬 수 있는 플립업식 테이블이 알려져 있다. 또한, 이러한 플립업식 테이블로서, 캐스터가 다리부의 하단에서 아래쪽으로 돌출되어 바닥면에 접지되고, 바닥면 위를 이동 가능하게 되는 이동 테이블이 있었다(일본공개특허공보 2008-104793호(요약,도 1 및 도 7)). 이러한 이동 테이블은, 요동 가능한 미조정 락레버, 미조정 락레버가 요동됨에 따라서 플로트 연동 파이프를 회전시키는 링크 부재, 및 플로트 연동 파이프의 회전에 따라서 캐스터를 돌출시키는 승강기구 등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승강기구에 의하여, 천판이 사용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캐스터가 바닥면으로부터 떨어지며, 천판이 수납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캐스터가 바닥면에 접지된다.Background Art In the past, flip-up tables are known which can accommodate a top plate from a use position to a storage position for storage in a warehouse or the like. In addition, as such a flip-up table, there was a moving table in which the caster protrudes down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leg to be grounded to the bottom surface and is movable over the bottom surface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8-104793 (summary, FIG. 1 And FIG. 7)). Such a moving table includes a fine adjustment lock lever capable of swinging, a link member for rotating the float interlocking pipe as the fine adjustment lock lever swings, and a lifting mechanism for protruding the caster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float interlocking pipe. By this lifting mechanism, the caster is separated from the bottom surface in the state where the top plate is in the use position, and the caster is grounded to the bottom surface in the state where the top plate is in the storage position.

하지만, 이러한 이동 테이블에서는, 승강기구에 로드, 지레 및 플로트 등의 복수의 부재를 필요로 하였다. 또한, 이들의 로드 등을 각각 동작 가능하게 연결할 필요가 있었다. 그 때문에, 부품수가 많으며 조립이 복잡하고, 제조 비용이 높아지는 동시에, 제조시간도 길어졌다.However, in such a moving table, a plurality of members such as rods, levers, and floats are required for the lifting mechanism. Moreover, it was necessary to connect these rods etc. to each other operatively. Therefore, the number of parts is large, assembly is complicated, manufacturing cost increases, and manufacturing time also becomes long.

본 발명의 플립업식 테이블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사용 위치와 수납 위치로 이동 가능한 천판 본체와, 상기 천판 본체에 접속되며, 지지축을 중심으로 상기 천판 본체의 이동에 따라서 요동 가능한 캠과, 상기 지지축에 접속되며, 상기 천판 본체가 상기 사용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천판 본체를 지지하는 제 1 다리와, 상기 제 1 다리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고, 상기 천판 본체가 상기 수납 위치에 있을 때에 지지면을 통하여 상기 천판 본체를 지지하는 제 2 다리를 구비하며, 상기 천판 본체가 상기 사용 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지지면은 상기 캠의 대향부와 대향하고, 상기 천판 본체가 상기 수납 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지지면은 상기 캠의 맞닿음부와 맞닿으며, 상기 지지축에서 상기 맞닿음부까지의 거리는, 상기 지지축에서 상기 대향부까지의 거리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flip-up tabl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op plate main body which is movable to a use position and a storage position, a cam connected to the top plate main body, and which can swing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top plate main body about a support shaft; A first leg that is connected to the support shaft and supports the top plate body when the top plate body is in the use position, and movable relative to the first leg, and a support surface when the top plate body is in the storage position And a second leg for supporting the top plate body through the support plate, wherein the support surface faces the opposing portion of the cam when the top plate body is in the use position, and the support when the top plate body is in the stowed position. The surface abuts against the contact portion of the cam, and the distance from the support shaft to the contact portion is from the support shaft to the opposite portion. It is characterized by longer than the distance of the ground.

본 발명의 플립업식 테이블에 따르면, 천판 본체를 사용 위치에서 수납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제 1 다리에 의한 지지에서 제 2 다리에 의한 지지로 쉽게 전환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전환을 천판 본체에 접속된 캠과 제 2 다리의 지지면에 의하여 달성하고 있다. 그 때문에, 종래에 비하여, 플립업식 테이블의 부품수를 삭감할 수 있다. 또한, 부품수가 적기 때문에, 쉽게 플립업식 테이블을 조립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조비용이 저렴해지는 동시에, 제조시간도 단축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flip-up table of the present invention, by moving the top plate body from the use position to the storage posi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switch from the support by the first leg to the support by the second leg. And this switching is achieved by the support surface of the cam and the 2nd leg connected to the top plate main body. Therefore, the number of parts of a flip-up table can be reduced compared with the past. In addition, since the number of parts is small, the flip-up table can be easily assembled. As a result,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and the manufacturing time can be shortened.

도 1은 플립업식 테이블의 상면 및 배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사용시 및 수납시의 플립업식 테이블의 측면도이다.
도 3은 천판의 개략 측면도이다.
도 4는 락레버, 락플레이트 및 락스프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다리의 개략 측면도이다.
도 6은 사용시의 플립업식 테이블 일부의 확대단면도이다.
도 7은 제 1 다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가이드캡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제 2 다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플립업식 테이블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the top and back of the flip-up table.
2 is a side view of a flip-up table in use and storage.
3 is a schematic side view of the top plate.
4 is a view showing a lock lever, a lock plate and a lock spring.
5 is a schematic side view of the leg.
6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of a flip-up table in use.
It is a figure explaining a 1st leg.
8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guide cap.
9 is a view for explaining a second leg.
10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flip-up table.

이하, 도면에 근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의 A는 본 발명의 플립업식 테이블의 상면도이다. 또한, 도 1의 B는 배면도이고, 사용자측에서 플립업식 테이블을 본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한편, 도 1의 A 및 도 1의 B는, 천판(1)이 사용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the Example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based on drawing. 1A is a top view of the flip-up tabl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B of FIG. 1 is a rear view, and has shown the state which saw the flip-up table from the user side. On the other hand, A of FIG. 1 and B of FIG. 1 have shown the state in which the top plate 1 is in a use position.

플립업식 테이블은, 천판(1)과, 천판(1)을 지지하기 위한 한 쌍의 다리(2)를 구비하고 있다. 이 천판(1)은 한 쌍의 다리(2)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천판(1)은 사용시에 접지면(3)에 대하여 대략 수평으로 지지되어 있는 천판 본체(11)를 구비하고 있다. 한편, 수용시에는 천판 본체(11)는 접지면(3)에서 플립업식 테이블을 향하여 뻗은 수직선에 대하여 몇도 기울어진 상태로 지지된다.The flip-up table has a top plate 1 and a pair of legs 2 for supporting the top plate 1. The top plate 1 is supported to be movable relative to the pair of legs 2. And the top plate 1 is equipped with the top plate main body 11 supported substantially horizontally with respect to the ground plane 3 at the time of use. On the other hand, at the time of accommodation, the top plate body 11 is supported in a state inclined a few degrees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line extending from the ground plane 3 toward the flip-up table.

한 쌍의 다리(2)는 천판 본체(11)가 사용 위치에 있을 때에 천판(1)을 지지하는 제 1 다리로서, 다리 프레임(21)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한 쌍의 다리 프레임(21)끼리는, 관통재(22)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한편, 도 1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다리 프레임(21)의 내측에는, 천판 본체(11)가 수납 위치에 있을 때에 천판(1)을 지지하는 제 2 다리로서, 내부 다리(23)가 수용되어 있다(도 5).The pair of legs 2 are provided with a leg frame 21 as a first leg for supporting the top plate 1 when the top plate body 11 is in the use position. In addition, the pair of leg frames 21 are connected by the penetrating material 22. 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in FIG. 1, an inner leg 23 is accommodated inside the leg frame 21 as a second leg that supports the top plate 1 when the top plate body 11 is in a storage position. (FIG. 5).

이러한 천판 본체(11)에는 프리즈보드(12)가 설치되어 있다. 더욱이, 천판 본체(11)에는 천판 프레임(13)이 설치되어 있고, 이러한 천판 프레임(13)은 한 쌍의 천판 암(17)(도 2)에 용접되어 있다. 즉, 한 쌍의 천판 암(17)은, 천판 프레임(13)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한 쌍의 천판 암(17)의 각각에는, 천판(1)을 잠그기 위한, 또는 천판(1)의 잠금을 해제하기 위한 락레버(14)가 요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한 쌍의 락레버(14)는, 레버축(15)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그 때문에, 한쪽 락레버(14)를 레버축(15)을 중심으로 요동하게 하면, 다른 쪽 락레버(14)도 연동하여 레버축(15)을 중심으로 요동한다.A freeze board 12 is provided on the top plate body 11. Moreover, the top plate frame 13 is provided in the top plate main body 11, and this top plate frame 13 is welded to a pair of top plate arms 17 (FIG. 2). That is, the pair of top plate arms 17 are connected by the top plate frame 13. In each of the pair of top plate arms 17, a lock lever 14 for locking the top plate 1 or for releasing the locking of the top plate 1 is provided to be swingable. The pair of lock levers 14 is connected by a lever shaft 15. Therefore, when one lock lever 14 is rocked about the lever shaft 15, the other lock lever 14 also interlocks and swings around the lever shaft 15. As shown in FIG.

도 2는 플립업식 테이블의 측면도이다. 도 2의 A는 천판본체(11)가 사용 위치에 있는 상태, 즉 사용시의 플립업식 테이블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2의 B는 천판 본체(11)가 수납 위치에 있는 상태, 즉 수납시의 플립업식 테이블을 나타내고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플립업식 테이블은 좌우대칭이기 때문에, 한쪽 측면만을 나타내며 다른 쪽 측면은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2 is a side view of a flip-up table. 2A shows a state where the top plate body 11 is in the use position, that is, a flip-up table at the time of use. In addition, B of FIG. 2 has shown the state in which the top plate main body 11 is in a storage position, ie, the flip-up table at the time of storing. On the other hand, since the flip-up tab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ymmetrical, only one side is shown and the other side is not shown.

천판 본체(11)에는 천판(1)과 다리(2)를 접속하는 접속부로서 천판 암(17)이 나사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천판 암(17)에는 락레버(14)가 설치되어 있다. 이 락레버(14)를 천판(1)을 향하여 화살표(50)로 표시하는 방향으로 요동하게 하면, 잠금이 해제된다. 사용 위치에 있어서 천판 본체(11)는 접지면(3)에 대하여 대략 수평으로 지지된다. 그리고, 천판(1)의 잠금을 해제함으로써, 천판(1)을 도 2의 B에 나타내는 수납 위치까지 회전 운동시킬 수 있다. 또한, 프리즈보드(12)는 링크(18)를 통하여 다리 프레임(21)에 연결되어 있는 동시에, 도시하지 않은 링크를 통하여 천판(1)에 연결되어 있다. 그 때문에, 천판(1)을 사용 위치와 수납 위치 사이에서 회전 이동시키면, 프리즈보드(12)도 천판(1)의 회전 운동에 따라서 이동한다.The top plate arm 17 is screwed to the top plate main body 11 as a connecting portion for connecting the top plate 1 and the legs 2. The lock lever 14 is provided on the top plate arm 17. When the lock lever 14 swings in the direction indicated by the arrow 50 toward the top plate 1, the lock is released. In the use position, the top plate body 11 is supported substantially horizontally with respect to the ground plane 3. Then, by releasing the locking of the top plate 1, the top plate 1 can be rotated to the storage position shown in FIG. In addition, the freeze board 12 is connected to the leg frame 21 through the link 18 and to the top plate 1 via a link (not shown). Therefore, when the top plate 1 is rotated between the use position and the storage position, the freeze board 12 also moves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top plate 1.

사용시의 천판(1)은 다리 프레임(21)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다. 그 때문에, 다리 프레임(21)의 베이스 프레임(213)에 설치된 베이스캡(24)과, 베이스 프레임(213)에 나사 고정된 조정장치(25)가 접지면(3)에 접지되어 있다. 그리고, 천판(1)을 수납 위치로 이동시키면, 천판(1)은 다리 프레임(21)에 수용된 내부 다리(23)를 지지대로 하여 접지면(3)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다리 프레임(21)도 천판(1)을 따라서 이동하므로, 베이스캡(24)과 조정장치(25)도 접지면(3)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수납시의 천판(1)은 내부 다리(23)에 의하여 지지된다. 그 때문에, 내부 다리(23)에 설치된 한 쌍의 캐스터(26)만이 접지면(3)에 접지되어 있다.The top plate 1 at the time of use is supported by the leg frame 21. Therefore, the base cap 24 provided in the base frame 213 of the leg frame 21 and the adjusting device 25 screwed to the base frame 213 are grounded to the ground plane 3. When the top plate 1 is moved to the storage position, the top plate 1 moves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ground plane 3 with the inner leg 23 accommodated in the leg frame 21 as a support. At this time, since the leg frame 21 also moves along the top plate 1, the base cap 24 and the adjusting device 25 also move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ground plane 3. Thus, the top plate 1 at the time of storage is supported by the inner leg 23. Therefore, only a pair of casters 26 provided on the inner leg 23 are grounded to the ground plane 3.

다리 프레임(21)의 선단에는 가이드캡(27)이 끼워져 있다. 이 가이드캡(27)에 의하여, 천판 암(17)의 캠부 등이 외부로부터 차폐되어 있다. 그 때문에, 천판 암(17)과 다리 프레임(21)의 틈 등에 사용자가 잘못하여 손가락 등이 끼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캡(27)에는 물건을 걸기 위한 후크(28)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물건을 걸 필요가 없다면, 이 후크(28)를 형성하지 않아도 좋다.Guide caps 27 are fitted to the ends of the leg frames 21. By this guide cap 27, the cam part etc. of the top plate arm 17 are shielded from the exterior.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a user from being caught by a finger or the like accidentally in a gap between the top plate arm 17 and the leg frame 21. In addition, the guide cap 27 is formed with a hook 28 for hanging the object. On the other hand, it is not necessary to form this hook 28, if it is not necessary to hang an object.

도 3은 플립업식 테이블의 천판(1)을 나타내고 있다. 도 3의 A는 천판(1)의 개략 측면도이고, 도 3의 B는 도 3의 A의 A-A 단면을 확대하여 나타내고 있다. 한편, 도 3의 A에서는 프리즈보드(12) 및 락스프링의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 또한, 천판(1)은 좌우대칭의 구성을 구비하므로, 도 3의 A에 있어서는 천판(1)의 한쪽 측면만을 나타내고 있다.3 shows the top plate 1 of the flip-up table. FIG. 3A is a schematic side view of the top plate 1, and FIG. 3B is an enlarged view of the A-A cross section of A of FIG. In FIG. 3A, the freeze board 12 and the lock spring are not illustrated. In addition, since the top plate 1 has the structure of right and left symmetry, only one side surface of the top plate 1 is shown in A of FIG.

도 3의 A에 있어서 천판(1)의 천판 본체(11)의 하면, 즉 다리(2)측의 면에는, 강판으로 형성된 천판 암(17)이 나사 고정되어 있다. 이 천판 암(17)은, 천판 본체(11)를 지지하는 지지부(171)와, 플립업식 테이블의 캠인 캠부(172)와, 지지부(171) 및 캠부(172) 사이의 중앙부(173)로 이루어지는 단면이 コ형상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천판 암(17)은 중앙부(173)에 형성된 나사구멍에 삽입된 나사에 의하여 천판 본체(11)에 나사 고정되어 있다. 또한, 지지부(171)에는 천판 프레임(13)이 용접되어 있다.In A of FIG. 3, the top plate arm 17 formed from the steel plate is screw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top plate main body 11 of the top plate 1, that is, the surface of the leg 2 side. This top plate arm 17 consists of the support part 171 which supports the top plate main body 11, the cam part 172 which is a cam of a flip-up table, and the center part 173 between the support part 171 and the cam part 172. The cross section is co-shaped. The top plate arm 17 is screwed to the top plate body 11 by a screw inserted into a screw hole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173. In addition, the top plate frame 13 is welded to the support part 171.

더욱이, 천판 암(17)에는 락레버(14)가 설치되어 있다. 락레버(14)는 레버축(15)을 중심으로 요동 가능하고, 락레버(14)의 안쪽에는 락플레이트(141)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락플레이트(141)는 천판(1)이 사용 위치에서 지지되어 있을 때, 다리 프레임(21)의 관통재 프레임(219)의 제 1 계지홈(41)(도 5의 A)에 맞닿는다. 또한, 천판 암(17)의 지지부(171)와 캠부(172)는, 스톱퍼(174)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이 스톱퍼(174)는 천판(1)이 사용 위치에서 지지되어 있을 때, 관통재 프레임(219)의 제 2 계지홈(42)(도 5의 A)에 맞닿는다. 더욱이, 지지부(171) 및 캠부(172)에는 천판(1)을 지지하는 지지축이 삽입되는 구멍(177)이 형성되어 있다.Moreover, the lock lever 14 is provided in the top plate arm 17. The lock lever 14 is swingable around the lever shaft 15, and a lock plate 141 is provided inside the lock lever 14. The lock plate 141 abuts against the first locking groove 41 (A in FIG. 5) of the penetrating material frame 219 of the leg frame 21 when the top plate 1 is supported at the use position. . In addition, the support part 171 and the cam part 172 of the top plate arm 17 are connected by the stopper 174. As shown in FIG. This stopper 174 abuts against the second locking groove 42 (A in FIG. 5) of the penetrating material frame 219 when the top plate 1 is supported in the use position. Moreover, the support part 171 and the cam part 172 are formed with the hole 177 into which the support shaft which supports the top plate 1 is inserted.

또한, 캠부(172)에는 천판 본체(11)가 수납 위치에 있을 때에 다리(2)의 지지면에 맞닿는 맞닿음부(175)가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캠부(172)에는 천판 본체(11)가 사용 위치에 있을 때에 다리(2)의 지지면과 대향하는 대향부(176)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축의 구멍(177)에서 맞닿음부(175)까지의 거리는, 지지축의 구멍(177)에서 대향부(176)까지의 거리보다 길다. 그 때문에, 천판 본체(11)의 회전 운동에 의하여, 맞닿음부(175)가 다리(2)의 지지면에 맞닿아 올라가면, 지지축이 접지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캠부(172)를 가지는 천판 암(17)도 접지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한편, 천판(1)을 다리(2)에 설치한 상태에서는, 지지축(19)에서 맞닿음부(175)까지의 거리가, 지지축(19)에서 대향부(176)까지의 거리보다 길어진다(도 10).Moreover, the cam part 172 is provided with the contact part 175 which abuts on the support surface of the leg 2, when the top plate main body 11 is in a storage position. Moreover, the cam part 172 is provided with the opposing part 176 which opposes the support surface of the leg 2 when the top plate main body 11 is in a use position. The distance from the hole 177 of the support shaft to the contact portion 175 is longer than the distance from the hole 177 of the support shaft to the opposing portion 176. Therefore, when the contact part 175 contacts the support surface of the leg 2 by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top plate main body 11, a support shaft will move to the direction away from a ground plane. As a result, the top plate arm 17 having the cam portion 172 also moves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ground plane. On the other hand, in the state where the top plate 1 is attached to the leg 2, the distance from the support shaft 19 to the contact portion 175 is longer than the distance from the support shaft 19 to the opposing portion 176. (FIG. 10).

도 3의 A의 A-A 단면인 도 3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락레버(14)에는 락플레이트(141)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락플레이트(141)는 락레버(14)의 요동에 따라서 요동한다. 또한, 락레버(14)의 스프링 수용부(143)에는 락스프링(144)이 끼워져 있다. 이 락스프링(144)의 일단은 천판 암(17)의 중앙부(173)에 맞닿고, 타단은 락레버(14)의 스톱퍼(148)(도 4)에 맞닿는다. 이에 따라, 락스프링(144)은 락레버(14)를 천판 본체(1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고 있다. 그 때문에, 잠금을 해제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락스프링(144)의 미는 힘에 대항하여 락레버(14)를 요동시키게 된다.As shown in FIG. 3B which is the A-A cross section of A of FIG. 3, the lock lever 14 is provided with the lock plate 141. As shown in FIG. The lock plate 141 swings in accordance with rocking of the lock lever 14. In addition, the lock spring 144 is fitted to the spring receiving portion 143 of the lock lever 14. One end of the lock spring 144 abuts against the central portion 173 of the top plate arm 17, and the other end abuts against the stopper 148 (FIG. 4) of the lock lever 14. Accordingly, the lock spring 144 pushes the lock lever 14 away from the top plate body 11. Therefore, when releasing the lock, the user swings the lock lever 14 against the pushing force of the lock spring 144.

더욱이, 락레버(14) 및 락플레이트(141)에는 레버축(15)이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레버축(15)은 천판 암(17)의 캠부(172) 및 지지부(171)의 구멍(142)에도 삽입되어 있다. 그 때문에, 락레버(14)는 레버축(15)을 중심으로 요동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레버축(15)은 외측 고정구(145)에 의하여 캠부(172)에 설치되며, 내측 고정구(146)에 의하여 지지부(171)에 설치되어 있다.Further, the lever shaft 15 is inserted into the lock lever 14 and the lock plate 141. The lever shaft 15 is also inserted into the cam portion 172 of the top plate arm 17 and the hole 142 of the support portion 171. Therefore, the lock lever 14 can be rocked about the lever shaft 15. In addition, the lever shaft 15 is attached to the cam portion 172 by the outer fastener 145, and is attached to the support portion 171 by the inner fastener 146.

도 4는 락레버(14), 락플레이트(141) 및 락스프링(144)을 분해하여 나타내고 있다. 락레버(14)의 내부에는 락플레이트(141)를 수용하는 홈(147)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홈(147)에 락플레이트(141)가 끼워진다. 또한, 락레버(14)에는 스프링 수용부(14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스프링 수용부(143)에 락스프링(144)이 끼워진다. 스프링 수용부(143)에 끼워진 락스프링(144)의 일단은, 락레버(14)의 스톱퍼(148)에 맞닿는다.4 shows the lock lever 14, the lock plate 141, and the lock spring 144 disassembled. A groove 147 is formed in the lock lever 14 to accommodate the lock plate 141. The lock plate 141 is inserted into the groove 147. In addition, the spring lever 143 is formed in the lock lever 14. Then, the lock spring 144 is fitted to the spring receiving portion 143. One end of the lock spring 144 fitted into the spring receiving portion 143 abuts against the stopper 148 of the lock lever 14.

락플레이트(141) 및 스프링 수용부(143)의 안쪽에는, 레버축(15)이 삽입되는 구멍(149)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레버축(15)은 단면이 직사각형이기 때문에, 구멍(149)은 모두 직사각형의 외형을 가진다. 또한, 락플레이트(141)에는 다리 프레임(21)의 관통재 프레임(219)의 계지홈과 맞닿는 계지 돌기(40)가 형성되어 있다.Inside the lock plate 141 and the spring receiving portion 143, a hole 149 into which the lever shaft 15 is inserted is formed. On the other hand, since the lever shaft 15 of this embodiment is rectangular in cross section, the holes 149 all have a rectangular outer shape. In addition, the locking plate 141 is provided with a locking protrusion 40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locking groove of the penetrating material frame 219 of the leg frame 21.

도 5의 A는 천판(1)이 사용 위치에 있는 상태의 다리(2)를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다. 또한, 도 5의 B는, 도 5의 A의 B-B 단면을 확대하여 나타내고 있다. 한편, 한 쌍의 다리(2)는 모두 대칭인 구성을 가지므로, 도 5에 있어서는 한쪽 다리(2)만을 나타내며, 다른 쪽 다리(2)의 설명은 생략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다리(2)는 후크(28)(도 2)를 가지고 있는데, 설명을 간략화하기 위하여 후크(28)의 도시는 생략하고 있다.FIG. 5A is a schematic side view showing the leg 2 in a state where the top plate 1 is in the use position. In addition, B of FIG. 5 enlarges and shows the B-B cross section of A of FIG. On the other hand, since the pair of legs 2 all have a symmetrical configuration, only one leg 2 is shown in FIG. 5, and the description of the other leg 2 is omitted. In addition, the leg 2 of this embodiment has the hook 28 (FIG. 2), The illustration of the hook 28 is abbreviate | omitted in order to simplify description.

다리(2)의 다리 프레임(21)은, 베이스 프레임(213)과 프레임 본체(212)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프레임 본체(212)는, 베이스 프레임(213)에 대하여 기울어진 상태로 용접되어 있다. 또한, 다리 프레임(21)에는 천판(1)과 다리(2)를 접속하기 위한 지지부재로서, 강판으로 형성된 관통재 프레임(219)이 나사 고정되어 있다. 이 관통재 프레임(219)에는 제 1 계지홈(41) 및 제 2 계지홈(4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계지홈(41) 및 제 2 계지홈(42)에는 락레버(14)에 접속된 락플레이트(141)의 계지돌기(40)(도 4)가 계지된다. 즉, 이 관통재 프레임(219)의 제 1 계지홈(41) 및 제 2 계지홈(42)과, 락 플레이트(141)의 계지 돌기(40)에 의하여, 플립업식 테이블의 락 기구가 구성되어 있다.The leg frame 21 of the leg 2 has a base frame 213 and a frame main body 212. Such a frame main body 212 is welded in inclined state with respect to the base frame 213. Moreover, the penetrating material frame 219 formed of steel plate is screwed to the leg frame 21 as a supporting member for connecting the top plate 1 and the leg 2. The penetrating material frame 219 is formed with a first locking groove 41 and a second locking groove 42. The locking projections 40 (FIG. 4) of the lock plate 141 connected to the lock lever 14 are locked to the first locking groove 41 and the second locking groove 42. That is, the locking mechanism of the flip-up table is comprised by the 1st locking groove 41 and the 2nd locking groove 42 of this penetrating material frame 219, and the locking projection 40 of the lock plate 141. have.

또한, 관통재 프레임(219)에는 관통재(22)가 용접되어 있고, 이러한 관통재(22)를 통하여 다른 쪽 다리의 관통재 프레임(219)과 연결되어 있다. 더욱이, 관통재 프레임(219)에는 천판(1)을 지지하는 지지축(19)(도 6)의 일단이 삽입되는 구멍(21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지지축(19)의 타단은 천판 암(17)의 구멍(177)(도 3)에 삽입된다. 이에 따라, 천판(1)이 다리(2)에 접속되며 지지된다. 이와 같이 천판(1)이 다리(2)에 접속된 상태에 대하여, 도 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In addition, the penetrating member 22 is welded to the penetrating member frame 219, and is connected to the penetrating member frame 219 of the other leg via the penetrating member 22. Moreover, the through-hole frame 219 is formed with a hole 214 into which one end of the support shaft 19 (FIG. 6) for supporting the top plate 1 is inserted. In addition,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shaft 19 is inserted into the hole 177 (FIG. 3) of the top plate arm 17. Thus, the top plate 1 is connected to and supported by the legs 2. Thus, the state in which the top plate 1 is connected to the leg 2 is demonstrated using FIG.

도 6은 사용시의 플립업식 테이블의 천판(1) 및 다리(2)의 접속 부분을 나타내고 있고, 도 2의 C-C 단면을 확대하여 나타내고 있다. 도 6에 있어서, 다리 프레임(21)의 프레임 본체(212)에는 관통재(22)가 용접된 관통재 프레임(219)이 접속되어 있다. 또한, 지지축(19)이 천판 암(17)의 지지부(171) 및 캠부(172)의 구멍(177)에 삽입되어 있다. 이에 따라, 지지부(171) 및 캠부(172)는, 지지축(19)을 통하여 관통재 프레임(219)에 접속되어 있다. 즉, 천판(1)은 지지부(171) 및 캠부(172)를 통하여 프레임 본체(212)를 가지는 다리(2)에 대하여 접속되어 있다.FIG. 6: shows the connection part of the top plate 1 and the leg 2 of the flip-up table at the time of use, and has expanded and showed the C-C cross section of FIG. In FIG. 6, the penetrating material frame 219 to which the penetrating material 22 is welded is connected to the frame main body 212 of the leg frame 21. In addition, the support shaft 19 is inserted into the support portion 171 of the top plate arm 17 and the hole 177 of the cam portion 172. Thereby, the support part 171 and the cam part 172 are connected to the penetration material frame 219 through the support shaft 19. As shown in FIG. That is, the top plate 1 is connected to the leg 2 which has the frame main body 212 via the support part 171 and the cam part 172. As shown in FIG.

이와 같이, 천판(1)은 지지축(19)만에 의하여 다리(2)에 접속되며 지지되어 있다. 그 때문에, 부품수를 적게할 수 있어, 쉽게 플립업식 테이블을 조립할 수 있다. 더욱이, 지지축(19)을 떼어내는 것만으로, 천판(1)과 다리(2)를 쉽게 분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립업식 테이블의 수납 공간을 작게 할 수 있는 동시에, 쉽게 플립업식 테이블을 운반할 수 있다. 한편, 사용시에 있어서는, 캠부(172)의 대향부(176)와 다리 프레임(21) 내에 수용된 내부 다리(23)의 내부단(231)과의 사이에 틈이 존재한다. 즉, 내부 다리(23)는 천판(1)을 지지하고 있지 않다.In this way, the top plate 1 is connected to and supported by the legs 2 only by the support shaft 19. Therefore, the number of parts can be reduced and the flip-up table can be easily assembled. Moreover, only by removing the support shaft 19, the top plate 1 and the leg 2 can be easily separated. As a result, the storage space of the flip-up table can be reduced, and the flip-up table can be easily carried. On the other hand, in use, a gap exists between the opposing portion 176 of the cam portion 172 and the inner end 231 of the inner leg 23 accommodated in the leg frame 21. That is, the inner leg 23 does not support the top plate 1.

한편, 도 6에 있어서는, 프레임 본체(212)와 내부 다리(23) 사이에 안쪽 플레이트(215)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관통재 프레임(219)은 안쪽 플레이트(125)와 함께 다리 프레임(21)에 대하여 나사 고정되어 있다. 하지만, 관통재 프레임(219)을 다리 프레임(21)과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다리 프레임(21)에 관통재(22)가 용접되는 동시에, 다리 프레임(21)의 프레임 본체(212)의 일부가 천판(1) 방향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락플레이트(141)의 계지 돌기(40)(도 4)는 이렇게 연장된 부분에 계지된다.In FIG. 6, the inner plate 215 is disposed between the frame body 212 and the inner leg 23. The penetrating material frame 219 is screwed to the leg frame 21 together with the inner plate 125. However, the penetrating material frame 219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leg frame 21. In this case, the penetration material 22 is welded to the leg frame 21, and a part of the frame main body 212 of the leg frame 21 extends in the direction of the top plate 1. And the locking projection 40 (FIG. 4) of the lock plate 141 is latched by the extended part in this way.

도 5로 되돌아가서, 다리 프레임(21) 내에는 캐스터(26)가 설치된 내부 다리(23)가 수용되어 있다. 그리고, 다리 프레임(21)의 선단에는 내부 다리(23)의 이동을 제한하는 가이드캡(27)이 끼워져 있다. 그 때문에, 내부 다리(23)가 다리 프레임(21)의 안쪽을 천판(1) 방향으로 이동한 경우, 내부 다리(23)가 가이드캡(27)의 일부에 부딪힌다. 이에 따라, 다리(2)를 조립할 때에 내부 다리(23)가 다리 프레임(21)으로부터 빠져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캡(27)은 다리 프레임(21) 내에 끼워지는 가이드부(271)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내부 다리(23)를 설치할 때에는 가이드부(271)의 안쪽에 내부 다리(23)의 내부단(231)이 삽입된다. 이에 따라, 다리 프레임(21) 내부에서 내부 다리(23)가 움직이더라도 가이드부(271)와 내부단(231)이 맞닿아 내부 다리(23)의 움직임을 규제한다. 그 때문에, 플립업식 테이블의 이동시 등에 내부 다리(23)가 다리 프레임(21)의 내면에 접촉하여 이상음을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5, the inner leg 23 in which the caster 26 was installed is accommodated in the leg frame 21. As shown in FIG. At the distal end of the leg frame 21, a guide cap 27 f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inner leg 23 is fitted. Therefore, when the inner leg 23 moves the inside of the leg frame 21 in the direction of the top plate 1, the inner leg 23 hits a part of the guide cap 27. As a result, when the leg 2 is assembled, the inner leg 23 can be prevented from falling out of the leg frame 21. In addition, the guide cap 27 has a guide portion 271 fitted in the leg frame 21. When the inner leg 23 is installed, the inner end 231 of the inner leg 23 is inserted into the guide part 271. Accordingly, even when the inner leg 23 moves inside the leg frame 21, the guide part 271 and the inner end 231 contact with each other to regulate the movement of the inner leg 23.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nner leg 23 from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leg frame 21 to generate an abnormal sound when the flip-up table moves.

더욱이, 내부 다리(23)는 캐스터(26)가 설치된 베이스부(232)와, 베이스부(232)에 연결된 내부 다리 본체(233)를 구비한다. 내부 다리 본체(233)는 내부가 빈통 형상이고, 내부 다리(23)와 다리 프레임(21) 사이에는 내부 가이드(234)가 설치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 가이드(234)는 내부 다리 본체(233)의 바깥쪽이며 프레임 본체(212)의 안쪽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내부 다리(23)는 내부 가이드(234)가 설치된 상태로 다리 프레임(21) 내에 수용된다.Furthermore, the inner leg 23 has a base portion 232 provided with the caster 26 and an inner leg body 233 connected to the base portion 232. The inner leg main body 233 is hollow in shape, and an inner guide 234 is provided between the inner leg 23 and the leg frame 21. More specifically, the inner guide 234 is outside the inner leg main body 233 and is provided inside the frame main body 212. The inner leg 23 is accommodated in the leg frame 21 with the inner guide 234 installed.

내부 가이드(234)에 대하여, 도 5의 B를 이용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내부 가이드(234)는 계합 돌기(235)를 가지고 있고, 이 계합 돌기(235)는 내부 다리 본체(233)의 계합 구멍(236)과 계합한다. 또한, 내부 가이드(234)의 외면에는 프레임 본체(212)의 내면에 맞닿도록 복수의 돌출부(237)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다리 프레임(21) 내의 내부 다리(23)에 힘이 가해져도, 복수의 돌출부(237)가 프레임 본체(212)의 내면에 맞닿아, 내부 다리(23)의 이동이 규제된다.The inner guide 234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5B. The inner guide 234 has an engaging projection 235, which engages with the engaging hole 236 of the inner leg body 233. In addition, a plurality of protrusions 237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guide 234 to abut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rame body 212. Accordingly, even when a force is applied to the inner leg 23 in the leg frame 21,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237 abuts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rame main body 212, whereby the movement of the inner leg 23 is restricted.

한편, 내부 가이드(234)의 안쪽 크기는, 내부 다리 본체(233)의 외면에 맞닿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내부 가이드(234)는 내부 다리(23)의 선단으로부터 끼워져서, 내부 다리 본체(233)의 계합 구멍(236)까지 슬라이드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내부 가이드(234)의 계합 돌기(235)를 계합 구멍(236)과 계합하는 위치까지 슬라이드하게 함으로써, 내부 가이드(234)를 설치할 수 있다. 한편, 내부 다리(23)는 다리 프레임(21)에 대하여 접지면(3) 방향 및 천판(1)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즉, 내부 다리(23)는 다리 프레임(21) 내를 접지면(3) 방향 및 천판(1)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inner size of the inner guide 234 is set to abut on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leg main body 233. In addition, the inner guide 234 can be fitted from the tip of the inner leg 23 to slide to the engagement hole 236 of the inner leg body 233. And the inner guide 234 can be provided by making the engaging protrusion 235 of the inner guide 234 slide to the position which engages with the engaging hole 236. FIG. On the other hand, the inner leg 23 is movable relative to the leg frame 21 in the direction of the ground plane 3 and the top plate (1). That is, the inner leg 23 may move in the leg frame 21 in the direction of the ground plane 3 and the top plate 1.

또한, 다리 프레임(21)의 베이스 프레임(213)의 뒤쪽 높이는, 앞쪽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어 있다. 즉, 베이스 프레임(213)의 사용자측의 높이는, 프리즈보드(12)측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베이스 프레임(213)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는 내부 다리(23)의 베이스부(232)도 뒤쪽 높이가 앞쪽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플립업식 테이블의 사용자측 공간에 사용자가 출입할 때, 베이스 프레임(213)에 다리가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사용자는 쉽게 출입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ar height of the base frame 213 of the leg frame 21 is formed lower than the front height. That is, the height of the user side of the base frame 213 is formed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freeze board 12 side. In addition, the rear portion of the base portion 232 of the inner leg 23 disposed inside the base frame 213 is formed to be lower than the front height. Accordingly, when the user enters and exits the user-side space of the flip-up tabl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legs from being caught by the base frame 213. Therefore, the user can easily enter and exit.

도 7을 참조하여, 다리 프레임(21)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도 7은 다리 프레임(21)을 플립업식 테이블의 안쪽, 즉 플립업식 테이블의 중앙측에서 본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7의 위쪽에는 다리 프레임(21)에 끼워지는 가이드캡(27)이 나타나 있다. 더욱이, 도 7의 오른쪽에는 다리 프레임(21)의 바깥쪽에 나사 고정되는 관통재 프레임(219)이 나타나 있다.With reference to FIG. 7, the leg frame 21 is demonstrated in more detail. 7 shows the leg frame 21 as seen from the inside of the flip-up table, that is, the center side of the flip-up table. In addition, the upper portion of the guide cap 27 is fitted to the leg frame 21 is shown. Furthermore, a right through frame 219 is shown screwed to the outside of the leg frame 21 on the right side of FIG. 7.

가이드캡(27)에는 제 1 나사 구멍(276)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관통재 프레임(219)에는 제 1 나사 구멍(216), 제 2 나사 구멍(217), 제 3 나사 구멍(218)이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다리 프레임(21)의 프레임 본체(212) 및 다리 프레임(21)의 안쪽에 나사 고정되어 있는 안쪽 플레이트(215)에도 제 1 나사 구멍(226), 제 2 나사 구멍(227), 제 3 나사 구멍(228)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관통재 프레임(219)에는 천판(1)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축(19)이 삽입되는 구멍(214)도 형성되어 있다. 한편, 관통재 프레임(219)의 외면, 즉 프레임 본체(212)에 접하여 있지 않은 면에는 관통재(22)가 용접되어 있다.The first cap hole 276 is formed in the guide cap 27. In the through material frame 219, a first screw hole 216, a second screw hole 217, and a third screw hole 218 are formed. Furthermore, the first screw hole 226, the second screw hole 227, and the third in the frame body 212 of the leg frame 21 and the inner plate 215 screwed to the inside of the leg frame 21. The screw hole 228 is formed. In addition, the through member frame 219 is also provided with a hole 214 into which the support shaft 19 for supporting the top plate 1 is inserted. On the other hand, the penetrating material 22 is weld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penetrating material frame 219, that is, the surface not contacting the frame body 212.

가이드캡(27)의 제 1 나사 구멍(276), 관통재 프레임(219)의 제 1 나사 구멍(216), 프레임 본체(212) 및 안쪽 플레이트(215)의 제 1 나사 구멍(226)은 각각의 위치가 같은 축 상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 2 나사 구멍(217, 227), 제 3 나사 구멍(218, 228)도 각각의 위치가 같은 축 상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나사 구멍(276, 216, 226)에 관통재 프레임(219)의 외면측으로부터 나사가 삽입된다. 이에 따라, 관통재 프레임(219), 내측 플레이트(215) 및 가이드캡(27)이 프레임 본체(212)에 대하여 접속된다. 마찬가지로, 관통재 프레임(219)의 제 2 나사 구멍(217)과, 프레임 본체(212) 및 안쪽 플레이트(215)의 제 2 나사 구멍(227)에도 나사가 삽입되며, 관통재 프레임(219)의 제 3 나사 구멍(218)과, 프레임 본체(212) 및 안쪽 플레이트(215)의 제 2 나사 구멍(228)에도 나사가 삽입된다.The first screw hole 276 of the guide cap 27, the first screw hole 216 of the penetrating material frame 219, the frame body 212 and the first screw hole 226 of the inner plate 215 are respectively. It is arrange | positioned so that the position of may become on the same axis. In addition, the second screw holes 217 and 227 and the third screw holes 218 and 228 are also arranged such that their respective positions are on the same axis. Then, a screw is inserted into the first screw holes 276, 216, 226 from the outer surface side of the penetrating material frame 219. As a result, the penetrating material frame 219, the inner plate 215, and the guide cap 27 are connected to the frame body 212. Similarly, a screw is inserted into the second screw hole 217 of the penetrating material frame 219 and the second screw hole 227 of the frame body 212 and the inner plate 215, and the screw of the penetrating material frame 219 The screw is also inserted into the third screw hole 218 and the second screw hole 228 of the frame body 212 and the inner plate 215.

프레임 본체(212)에는 베이스 프레임(213)이 용접되어 있다. 그리고, 베이스 프레임(213)의 뒤쪽에는 조정장치(25)가 나사 고정되어 있다. 사용시에는 이 조정장치(25)를 회전시킴으로써, 플립업식 테이블의 높이가 조절된다. 또한, 베이스 프레임(213)의 앞쪽에는 베이스캡(24)이 나사 고정되어 있다.The base frame 213 is welded to the frame main body 212. The adjusting device 25 is screwed to the rear of the base frame 213. In use, the height of the flip-up table is adjusted by rotating this adjusting device 25. In addition, the base cap 24 is screwed to the front of the base frame 213.

이러한 베이스캡(24)은 내부에 단차부(241)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 단차부(241)의 위치는, 내부 다리(23)의 베이스부(232)의 단차부(238)(도 9)의 위치에 대응하고 있다. 이에 따라, 내부 다리(23)가 빠져서 떨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도, 내부 다리(23)가 다리 프레임(21)으로부터 빠져서 떨어지기 전에 베이스캡(24)의 단차부(241)에 맞닿는다. 그 때문에, 다리 프레임(21)으로부터 내부 다리(23)가 빠져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차부(241)에 의하여, 내부 다리(23)가 빠져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부재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어, 부품수를 삭감할 수 있다.The base cap 24 has a stepped portion 241 therein. The position of the step portion 241 corresponds to the position of the step portion 238 (FIG. 9) of the base portion 232 of the inner leg 23. Accordingly, even when the inner leg 23 moves away from the leg 23, the inner leg 23 abuts against the stepped portion 241 of the base cap 24 before falling off the leg frame 21. Therefore, the inner leg 23 can be prevented from falling out from the leg frame 21. By such a stepped portion 241, there is no need to separately install a member for preventing the inner leg 23 from falling out and the number of parts can be reduced.

이어서, 도 8을 참조하여, 가이드캡(27)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8의 A는 플립업식 테이블의 안쪽 방향에서 본 가이드캡(27)을 나타내고, 도 8의 B는 도 8의 A의 D-D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8의 C는 플립업식 테이블의 앞쪽에서 본 가이드캡(27)을 나타내고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가이드캡(27)에는 후크(28)가 형성되어 있는데, 후크(28)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더욱이, 도 8의 B에 있어서는, 가이드캡(27) 이외에 내부 다리(23), 안쪽 플레이트(215), 나사(277) 및 다리 프레임(21)을 2점쇄선으로 나타내고 있다.Next, with reference to FIG. 8, the guide cap 27 is demonstrated in more detail. FIG. 8A shows the guide cap 27 seen from the inside of the flip-up table, and FIG. 8B shows the D-D cross section of A of FIG. 8C shows the guide cap 27 seen from the front of the flip-up table. On the other hand, the guide cap 27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formed with a hook 28, the illustration of the hook 28 is omitted. In addition, in FIG. 8B, the inner leg 23, the inner plate 215, the screw 277, and the leg frame 21 in addition to the guide cap 27 are indicated by two dashed lines.

가이드캡(27)에는 내부 다리(23)가 끼워지는 제 1 오목부(279)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오목부(279)의 바깥쪽에는, 다리 프레임(21)의 내면에 설치되는 안쪽 플레이트(215)가 끼워지는 제 2 오목부(278)가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가이드캡(27)에는 나사 구멍(276)이 형성되어 있다. 그 나사 구멍(276)에 삽입되는 나사(277)는 다리 프레임(21) 및 안쪽 플레이트(215)의 제 1 나사 구멍(226)을 관통한다. 이에 따라, 가이드캡(27)은 다리 프레임(21)에 대하여 나사 고정된다. 가이드캡(27)의 하단, 즉 다리 프레임(21)측에는 가이드부(271)가 형성되어 있고, 가이드부(271)의 단부에는 경사면(280)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사면(280)에 의하여, 가이드부(271)의 단부가 가늘어진다. 그 때문에, 내부 다리(23)가 수용된 상태의 다리 프레임(21)으로도 쉽게 가이드캡(27)을 삽입할 수 있다.The guide cap 27 is formed with a first recess 279 into which the inner leg 23 is fitted. Moreover, in the outer side of the 1st recessed part 279, the 2nd recessed part 278 in which the inner plate 215 provided in the inner surface of the leg frame 21 is fitted is formed. Furthermore, the screw hole 276 is formed in the guide cap 27. The screw 277 inserted into the screw hole 276 passes through the leg frame 21 and the first screw hole 226 of the inner plate 215. Accordingly, the guide cap 27 is screwed with respect to the leg frame 21. A guide part 271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guide cap 27, that is, the leg frame 21, and an inclined surface 280 is formed at the end of the guide part 271. By this inclined surface 280, the end part of the guide part 271 becomes thin. Therefore, the guide cap 27 can be easily inserted into the leg frame 21 in which the inner leg 23 is accommodated.

또한, 도 8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이드캡의 선단 부분에는 천판(1) 암의 캠부(172)의 배치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제 3 오목부(281)가 형성되어 있다. 플립업식 테이블을 조립한 상태에서는, 캠부(172)의 대향부(176) 및 맞닿음부(175)는 제 3 오목부(281)의 안쪽에 위치한다. 그 때문에, 사용시 및 수납시의 어느 때에도 대향부(176) 및 맞닿음부(175)가 가이드캡(27)의 머리부(282)에 의하여 차폐된 상태가 된다.As shown in FIG. 8C, a third concave portion 281 is formed in the tip portion of the guide cap in order to secure an arrangement space of the cam portion 172 of the arm of the top plate 1. In the state where the flip-up table is assembled, the opposing portion 176 and the abutting portion 175 of the cam portion 172 are positioned inside the third concave portion 281. For this reason, the opposing portion 176 and the abutting portion 175 are shielded by the head 282 of the guide cap 27 at any time of use and storage.

이어서, 도 9를 이용하여 내부 다리(23)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내부 다리(23)의 내부 다리 본체(233) 및 베이스부(232)는 강판으로 형성되어 있고, 내부 다리 본체(233)는 베이스부(232)에 용접되어 있다. 그리고, 베이스부(232)의 일부에는 내부 다리 본체(233)를 향하여 돌출되는 용접영역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부(232)의 앞쪽에는 단차부(238)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다리 프레임(21)의 베이스 프레임(213)에 설치된 베이스캡(24)에는, 이 단차부(238)의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단차부(241)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내부 다리(23)가 다리 프레임(21)으로부터 빠져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베이스부(232)와 내부 다리 본체(233)는, 하나의 강판으로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Next, the inner leg 23 is explained in more detail using FIG. The inner leg body 233 and the base portion 232 of the inner leg 23 are formed of a steel plate, and the inner leg body 233 is welded to the base portion 232. A portion of the base portion 232 is provided with a welded area protruding toward the inner leg main body 233. In addition, the step portion 238 is formed in front of the base portion 232. On the other hand, in the base cap 24 provided in the base frame 213 of the leg frame 21, the step part 241 is formed in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is step part 238. As shown in FIG. Accordingly, the inner leg 23 can be prevented from falling out of the leg frame 21. In addition, the base part 232 and the inner leg main body 233 can also be integrally formed with one steel plate.

베이스부(232)에는 캐스터(26)가 나사 고정되어 있고, 캐스터(26)는 나사를 중심으로 회전 동작이 가능하다. 그 때문에 플립업식 테이블을 이동할 때에는, 캐스터(26)의 방향을 진행방향으로 바꿀 수 있다. 한편, 캐스터(26)를 나사 고정하기 위한 나사 구멍은 2개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3개 이상의 나사 구멍을 형성함으로써, 캐스터(26)의 위치를 변하게 할 수도 있다.The caster 26 is screwed to the base part 232, and the caster 26 is rotatable about a screw. Therefore, when moving the flip-up table, the direction of the caster 26 can be changed to a progress direction. In addition, the screw hole for screwing the caster 26 is not limited to two. By forming three or more screw holes, the position of the caster 26 can also be changed.

내부 다리(23)의 내부 다리 본체(233)의 선단, 즉 천판(1)측의 단부에는 수지제의 내부단(231)이 끼워져 있다. 이 내부단(231)에는 캠부(172)의 대향부(176)에 대하여 기울어진 지지면(239)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면(239)은 천판(1)이 수납 위치에 있을 때에, 천판 암(17)의 캠부(172)의 맞닿음부(175)와 맞닿는다. 이에 따라, 천판(1)이 내부단(231), 내부 다리 본체(233), 베이스부(232) 및 캐스터(26)를 통하여 지지되게 된다.A resin inner end 231 is fitted to the front end of the inner leg main body 233 of the inner leg 23, that is, the end of the top plate 1 side. The inner end 231 is formed with a support surface 239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opposing portion 176 of the cam portion 172. And the support surface 239 abuts against the contact part 175 of the cam part 172 of the top plate arm 17 when the top plate 1 is in a storage position. Accordingly, the top plate 1 is supported through the inner end 231, the inner leg body 233, the base portion 232, and the caster 26.

이러한 내부 다리(23)를 구비하는 다리(2)를 조립하는 경우, 우선 내부 다리(23)의 베이스부(232)에 캐스터(26)가 나사 고정된다. 이어서, 내부 가이드(234)가 내부 다리 본체(233)에 끼워진다. 이때, 내부 가이드(234)는 계합 돌기(235)(도 5)가 내부 다리 본체(233)의 계합 구멍(236)과 계합할 때까지 슬라이드된다. 그 후, 내부단(231)이 내부 다리 본체(233)의 선단에 끼워진다.When assembling the leg 2 having such an inner leg 23, the caster 26 is first screwed to the base portion 232 of the inner leg 23. Subsequently, the inner guide 234 is fitted to the inner leg body 233. At this time, the inner guide 234 slides until the engaging projection 235 (FIG. 5) engages with the engaging hole 236 of the inner leg body 233. Thereafter, the inner end 231 is fitted to the tip of the inner leg body 233.

이어서, 조립된 내부 다리(23)는 다리 프레임(21) 안에 삽입된다. 그리고, 관통재 프레임(219) 및 안쪽 플레이트(215)가 다리 프레임(21)에 나사 고정된다. 마지막으로, 가이드캡(27)이 다리 프레임(21)의 선단에 끼워지고, 다리 프레임(21)에 나사 고정된다. 한편, 조립된 다리(2)의 관통재 프레임(219)은 천판(1)의 천판 암(17)과 지지축(19)에 의하여 접속된다.The assembled inner leg 23 is then inserted into the leg frame 21. Then, the penetrating material frame 219 and the inner plate 215 are screwed to the leg frame 21. Finally, the guide cap 27 is fitted to the tip of the leg frame 21 and screwed to the leg frame 21. On the other hand, the penetrating material frame 219 of the assembled leg 2 is connected by the top plate arm 17 and the support shaft 19 of the top plate 1.

다음으로, 도 10을 이용하여 플립업식 테이블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의 A는 사용시의 상태를 나타내고, 도 10의 B는 플립업 도중의 상태를 나타내며, 도 10의 C은 수납시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0에서는 잠금 기구의 동작과, 캠부(172)의 동작도 나타내고 있다. 한편, 설명을 위하여, 가이드캡(27) 등의 부재의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Next, the operation of the flip-up tabl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FIG. 10A shows a state at the time of use, FIG. 10B shows a state during flip-up, and FIG. 10C shows a state at the time of storage. 10, the operation | movement of the locking mechanism and the operation | movement of the cam part 172 are also shown. In addition, illustration of members, such as the guide cap 27, is abbreviate | omitted for description.

우선, 잠금 기구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사용시의 플립업식 테이블에 있어서는, 락플레이트(141)의 계지 돌기(40)가 관통재 프레임(219)의 제 1 계지홈(41)에 맞닿아 있다. 또한, 천판 암(17)의 스톱퍼(174)가 관통재 프레임(219)의 제 2 계지홈(42)에 맞닿아 있다. 이에 따라, 천판(1)은 사용 위치에 있어서 다리(2)에 대하여 잠겨 고정되어 있다. 한편, 천판(1)이 사용 위치에 있을 때, 락레버(14)는 락스프링(144)(도 4)에 의하여 다리(2) 방향으로 밀려 있다.First, the operation of the locking mechanism will be described. In the flip-up table at the time of use, the locking projection 40 of the lock plate 141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locking groove 41 of the penetrating material frame 219. The stopper 174 of the top plate arm 17 is in contact with the second locking groove 42 of the penetrating material frame 219. Thereby, the top plate 1 is locked and fixed with respect to the leg 2 in a use position. On the other hand, when the top plate 1 is in the use position, the lock lever 14 is pushed toward the leg 2 by the lock spring 144 (FIG. 4).

천판(1)을 수납할 때에는, 사용자는 락스프링(144)의 미는 힘에 대항하여 레버축(15)을 중심으로 락레버(14)를 천판(1) 방향으로 요동하게 한다. 이에 따라, 계지 돌기(40)와 제 1 계지홈(41)의 계지가 해제된다. 그리고, 잠금이 해제된 후, 사용자는 지지축(19)을 중심으로 화살표(51)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천판(1)을 플립업한다. 이에 따라, 락레버(14) 및 락플레이트(141)는 도 10의 B에 나타내는 플립업 도중의 위치로 이동한다. 또한, 스톱퍼(174)도 동시에 도 10의 B에 나타내는 플립업 도중의 위치로 이동한다. 그 결과, 스톱퍼(174)는 제 2 계지홈(4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When storing the top plate 1, the user swings the lock lever 14 in the direction of the top plate 1 about the lever shaft 15 against the pushing force of the lock spring 144. As a result, the locking of the locking projection 40 and the first locking groove 41 is released. After the lock is released, the user flips up the top plate 1 in the direction indicated by the arrow 51 about the support shaft 19. As a result, the lock lever 14 and the lock plate 141 move to the position during the flip up shown in FIG. The stopper 174 also moves to the position during flip-up shown in Fig. 10B at the same time. As a result, the stopper 174 moves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second locking groove 42.

천판(1)을 도 10의 C에 나타내는 수납 위치까지 회전 운동시킨 후, 사용자는 락레버(14)의 조작을 그만둔다. 그렇게 하면, 락레버(14)는 락스프링(144)에 의하여 다시 다리(2) 방향으로 밀린다. 이에 따라, 락레버(14)는 레버축(15)을 중심으로 화살표(52)로 나타내는 다리 방향으로 요동한다. 그 결과, 락 플레이트(141)의 계지 돌기(40)가 제 2 계지홈(42)에 맞닿아, 천판(1)이 수납 위치에 있어서 다리(2)에 대하여 잠겨 고정된다.After the top plate 1 is rotated to the storage position shown in FIG. 10C, the user stops the operation of the lock lever 14. The lock lever 14 is then pushed back to the leg 2 by the lock spring 144. As a result, the lock lever 14 swings about the lever shaft 15 in the leg direction indicated by the arrow 52. As a result, the locking projection 40 of the lock plate 141 abuts against the second locking groove 42, and the top plate 1 is locked to the leg 2 at the storage position.

이어서, 캠부(172)의 동작과, 그에 따르는 플립업식 테이블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용시의 플립업식 테이블에 있어서는, 천판 암(17)의 캠부(172)의 대향부(176)와 내부단(231)의 지지면(239) 사이에는 화살표 a로 나타내는 틈이 존재한다. 그리고, 천판(1)은 천판 암(17)의 지지부(171), 지지축(19), 관통재 프레임(219), 프레임 본체(212), 베이스 프레임(213), 베이스캡(24) 및 조정장치(25)를 통하여 지지되어 있다.Next, the operation of the cam portion 172 and the operation of the flip-up table that follow will be described. As shown in FIG. 10A, in a flip-up table during use, an arrow a is provided between the opposing portion 176 of the cam portion 172 of the top plate arm 17 and the support surface 239 of the inner end 231. There is a gap to indicate. The top plate 1 includes a support 171, a support shaft 19, a penetrating material frame 219, a frame body 212, a base frame 213, a base cap 24, and an adjustment of the top plate arm 17. It is supported via the device 25.

그 때문에, 사용시에 있어서는, 베이스 프레임(213)의 베이스캡(24) 및 조정장치(25)가 화살표 b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지면(3)과 맞닿아 있다. 즉, 사용시에 있어서는, 천판(1)이 다리 프레임(21)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다. 한편, 사용시에 있어서는, 내부 다리(23)가 자체 무게에 의하여 다리 프레임(21) 내를 접지면(3) 방향으로 이동하고 있다. 그 때문에, 내부 다리(23)의 캐스터(26)도 접지면(3)과 맞닿아 있다.Therefore, at the time of use, the base cap 24 and the adjusting device 25 of the base frame 213 are in contact with the ground plane 3 as indicated by the arrow b. That is, at the time of use, the top plate 1 is supported by the leg frame 21. On the other hand, at the time of use, the inner leg 23 moves the inside of the leg frame 21 to the ground plane 3 direction by its own weight. Therefore, the caster 26 of the inner leg 23 is also in contact with the ground plane 3.

그 후, 사용자가 천판(1)의 잠금을 해제하여 천판(1)을 플립업하면, 도 10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천판(1)의 회전 운동에 따라서 캠부(172)도 요동한다. 즉, 지지축(19)을 중심으로 요동 가능한 캠부(172)는, 천판 암(17)의 일부로서 천판 본체(11)에 접속되어 있다. 그 때문에, 캠부(172)가 천판 본체(11)의 회전 운동을 따라서 요동한다. 그 결과, 화살표 c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캠부(172)의 맞닿음부(175)가 내부단(231)의 지지면(239)과 맞닿는다.After that, when the user unlocks the top plate 1 and flips the top plate 1 up, as shown in FIG. 10B, the cam portion 172 also swings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top plate 1. That is, the cam part 172 which can be rocked about the support shaft 19 is connected to the top plate main body 11 as a part of the top plate arm 17. Therefore, the cam part 172 oscillates along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top plate main body 11. As a result, as shown by the arrow c, the contact part 175 of the cam part 172 abuts on the support surface 239 of the inner end 231.

한편, 도 10의 A에 있어서, 천판(1)의 지지축(19)에서 캠부(172)의 맞닿음부(175)까지의 거리를 화살표 g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천판(1)의 지지축(19)에서 캠부(172)의 대향부(176)까지의 거리를 화살표 h로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화살표 g로 나타내는 거리는, 화살표 h로 나타내는 거리보다 짧다. 즉, 지지축(19)에서 맞닿음부(175)까지의 거리는, 지지축(19)에서 대향부(176)까지의 거리보다 길다.10A, the distance from the support shaft 19 of the top plate 1 to the contact part 175 of the cam part 172 is shown by the arrow g. In addition, the distance from the support shaft 19 of the top plate 1 to the opposing part 176 of the cam part 172 is shown by the arrow h. The distance indicated by arrow g is shorter than the distance indicated by arrow h. That is, the distance from the support shaft 19 to the contact part 175 is longer than the distance from the support shaft 19 to the opposing part 176.

그 때문에, 천판(1)을 회전 운동시킴에 따라서, 맞닿음부(175)는 지지면(239) 위로 올라가도록 지지면(239)의 위쪽으로 이동한다. 바꿔 말하면, 맞닿음부(175)는 지지면(239) 상에 올라가서 접지면(3)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여 이동한다. 이에 따라, 맞닿음부(175)는 내부단(231)의 보다 선단과 맞닿게 된다. 그 결과, 천판(1)을 회전 운동시킴에 따라서, 지지축(19)에서 접지면(3)까지의 거리가 길어진다. 즉, 지지축(19)이 접지면(3)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Therefore, as the top plate 1 is rotated, the contact portion 175 moves above the support surface 239 to rise above the support surface 239. In other words, the abutment portion 175 moves up on the support surface 239 and moves away from the ground surface 3. Accordingly, the contact portion 175 is in contact with the front end of the inner end 231. As a result, as the top plate 1 is rotated, the distance from the support shaft 19 to the ground plane 3 becomes long. That is, the support shaft 19 moves in the direction away from the ground plane 3.

이 지지축(19)은 천판 암(17)의 지지부(171)를 통하여 천판 본체(11)에 접속되는 동시에, 관통재 프레임(219)을 통하여 다리 프레임(21)의 프레임 본체(212)에 접속되어 있다. 그 때문에, 지지축(19)이 접지면(3)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천판 본체(11) 및 다리 프레임(21)도 접지면(3)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다리 프레임(21)이 접지면(3)으로부터 멀어지면, 천판(1)은 캠부(172)를 통하여 내부 다리(23)에 지지되게 된다.This support shaft 19 is connected to the top plate body 11 through the support portion 171 of the top plate arm 17 and is connected to the frame body 212 of the leg frame 21 via the penetrating material frame 219. It is. Therefore, when the support shaft 19 moves away from the ground plane 3, the top plate body 11 and the leg frame 21 also move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ground plane 3. And when the leg frame 21 moves away from the ground surface 3, the top plate 1 is supported by the inner leg 23 via the cam part 172. As shown in FIG.

도 10의 B는 천판(1)을 어느 정도 플립업하여, 천판(1)이 내부 다리(23)에 지지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에서는, 화살표 d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정장치(25) 및 베이스캡(24)이 접지면(3)에서 떠있다. 그 때문에, 천판(1)은 접지면(3)에 맞닿는 캐스터(26)를 통하여 내부 다리(23)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다.FIG. 10B shows a state in which the top plate 1 is flipped up to some extent and the top plate 1 is supported by the inner leg 23. In this state, as shown by the arrow d, the adjusting device 25 and the base cap 24 float on the ground plane 3. Therefore, the top plate 1 is supported by the inner leg 23 via the caster 26 which abuts on the ground surface 3.

더욱이, 천판(1)을 회전 운동시켜, 천판(1)을 도 10의 C에 나타내는 수납 위치로 이동시키면, 맞닿음부(175)와 지지면(239)이 맞닿는 위치는 화살표 e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면(239)의 보다 위쪽으로 이동한다. 그 때문에, 지지축(19)이 접지면(3)으로부터 보다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천판 본체(11) 및 다리 프레임(21)도 접지면(3)으로부터 보다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 결과, 천판(1)을 수납 위치까지 회전 운동시키면, 화살표 f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지면(3)과 조정장치(25) 및 베이스캡(24)의 간격은 최대가 된다.Furthermore, when the top plate 1 is rotated and the top plate 1 is moved to the storage position shown in FIG. 10C, the position where the contact portion 175 and the support surface 239 contact each other is indicated by an arrow e. Move above the support surface 239. Therefore, the support shaft 19 moves in a direction further away from the ground plane 3, and the top plate body 11 and the leg frame 21 also move in a direction further away from the ground plane 3. As a result, when the top plate 1 is rotated to the storage position, the gap between the ground plane 3, the adjusting device 25 and the base cap 24 becomes maximum as indicated by the arrow f.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은 실시예의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내용을 실질적으로 변경하지 않는 범위에서 상기 실시예의 구성을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예의 관통재 프레임(219)은 다리 프레임(21)의 내측측면, 즉 천판(1) 측의 측면에 나사 고정되어 있다. 하지만, 다리 프레임(21)과 일체로 형성된 관통재 프레임(219)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다리 프레임(21)의 일부를 연장시키고, 그 연장 부분에 의하여 관통재 프레임(219)을 형성한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e Example of this invention was described,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tructure of an Example. The structure of the said embodiment can be changed suitably in the range which does not substantially change the content of this invention. For example, the penetrating material frame 219 of the above embodiment is screwed to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leg frame 21, that is, the side surface of the top plate 1 side. However, the penetrating material frame 219 formed integrally with the leg frame 21 may be used. In this case, a part of leg frame 21 is extended and the penetrating material frame 219 is formed by the extension part.

또한, 상기 실시예의 천판 암(17)은 지지부(171)와 캠부(17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하지만, 지지부(171)와 캠부(172)는, 각각 별개로 형성하여도 좋다. 이 경우, 지지부(171)와 캠부(172)는, 각각 천판 본체(11)에 나사 고정되게 된다.In the top plate arm 17 of the above embodiment, the support portion 171 and the cam portion 172 are integrally formed. However, the support part 171 and the cam part 172 may be formed separately, respectively. In this case, the support part 171 and the cam part 172 are screwed to the top plate main body 11, respectively.

더욱이, 상기 실시예의 내부 다리(23)는 가이드캡(27)에 의하여 빠져서 떨어지는 것이 방지되어 있다. 하지만, 내부 다리(23)에 기다란 구멍을 형성하고, 관통재 프레임(219)의 나사 구멍에 삽입된 나사를 이 기다란 구멍에 삽입함으로써 빠져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여도 좋다. 이 경우, 다리 프레임(21) 내의 내부 다리(23)에 힘이 가해졌더라도 기다란 구멍의 가장자리에 나사가 맞닿기 때문에, 내부 다리(23)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Moreover, the inner leg 23 of the embodiment is prevented from falling off by the guide cap 27. However, an elongated hole may be formed in the inner leg 23, and the screw inserted into the screw hole of the penetrating material frame 219 may be inserted into this elongated hole to prevent it from falling out. In this case, even if a force is applied to the inner leg 23 in the leg frame 21, since the screw abuts on the edge of the elongated hole, the movement of the inner leg 23 can be restricted.

또한, 본 발명에서의 내부단(231)의 지지면(239)은 캐스터(26)로부터의 높이가 높아지는 형상이면 좋다. 그 때문에, 지지면(239)의 형상은 경사진 평면으로 한정되지는 않고, 곡면 형상 또는 약간의 단차를 가지는 계단 형상의 형상이어도 좋다. 더욱이, 내부단(231)을 설치하지 않고, 내부 다리(23)의 선단에 지지면(239)을 직접 형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support surface 239 of the inner end 231 in this invention should just be a shape from which the height from the caster 26 becomes high. Therefore, the shape of the support surface 239 is not limited to the inclined plane, but may be a curved shape or a stepped shape having a slight step. Furthermore, the support surface 239 may be directly formed at the tip of the inner leg 23 without providing the inner end 231.

그리고, 상술한 각 변형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실질적으로 변경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조합할 수 있다.In addition, each modification mentioned above can be combined suitably in the range which does not substantially change the content of this invention.

본 출원은 2010년 5월 21일에 출원된 일본특허출원 2010-117735호로부터의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으로, 그 내용을 인용하여 본 출원의 일부로 하는 것이다.This application claims the priority from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2010-117735 for which it applied on May 21, 2010, and quotes the content as a part of this application.

1: 천판 2: 다리
3: 접지면 11: 천판 본체
19: 지지축 21: 제 1 다리
23: 제 2 다리 172: 캠
175: 맞닿음부 176: 대향부
239: 지지면
1: top plate 2: legs
3: ground plane 11: top plate body
19: support shaft 21: first leg
23: second leg 172: cam
175: abutting part 176: opposing part
239: support surface

Claims (11)

사용 위치와 수납 위치로 이동 가능한 천판 본체와,
상기 천판 본체에 접속되며, 지지축을 중심으로 상기 천판 본체의 이동에 따라서 요동 가능한 캠과,
상기 지지축에 접속되며, 상기 천판 본체가 상기 사용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천판 본체를 지지하는 제 1 다리와,
상기 제 1 다리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며, 상기 천판 본체가 상기 수납 위치에 있을 때에 지지면을 통하여 상기 천판 본체를 지지하는 제 2 다리를 구비하고,
상기 천판 본체가 상기 사용 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지지면은 상기 캠의 대향부와 대향하며, 상기 천판 본체가 상기 수납 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지지면은 상기 캠의 맞닿음부와 맞닿고,
상기 지지축에서 상기 맞닿음부까지의 거리는, 상기 지지축에서 상기 대향부까지의 거리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립업식 테이블.
The top plate body which is movable to a use position and a storing position,
A cam connected to the top plate body, the cam being oscillated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top plate body about a support shaft;
A first leg connected to the support shaft and supporting the top plate body when the top plate body is in the use position;
A second leg movable relative to the first leg, the second leg supporting the top plate body through a support surface when the top plate body is in the stowed position;
When the top plate body is in the use position, the support surface opposes the opposing portion of the cam, and when the top plate body is in the storage position, the support surface abuts the abutment portion of the cam,
A distance from the support shaft to the abutting portion is longer than the distance from the support shaft to the opposing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다리가 상기 제 1 다리의 안쪽에 수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립업식 테이블.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second leg is housed inside the first leg.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천판 본체가 상기 사용 위치에서 상기 수납 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캠은 상기 지지면에 올라가도록 요동하고,
상기 캠이 상기 지지면에 올라감에 따라서, 상기 지지축은 상기 플립업식 테이블의 접지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지지축의 이동에 따라서, 상기 제 1 다리는 상기 접지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립업식 테이블.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n the top plate body moves from the use position to the storage position, the cam swings to ascend to the support surface,
As the cam is raised on the support surface, the support shaft moves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ground plane of the flip-up table,
Wherein the first leg moves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ground plane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support shaft.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면은 경사져 있고,
상기 천판 본체가 상기 사용 위치로부터 상기 수납 위치로 이동함에 따라서, 상기 맞닿음부는 상기 지지면 위를 상기 접지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여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립업식 테이블.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support surface is inclined,
And the abutting part moves on the support surface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ground plane as the top plate body moves from the use position to the storage position.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천판 본체는, 상기 지지축을 중심으로 상기 사용 위치와 상기 수납 위치로 회전 운동 가능한 동시에, 상기 사용 위치에 있어서는 상기 지지축을 통하여 상기 제 1 다리에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립업식 테이블.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The top plate body is rotatable in the use position and the storage position around the support shaft, and is supported by the first leg via the support shaft in the use position.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다리의 선단에 상기 제 2 다리의 이동을 제한하는 가이드캡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맞닿음부는 상기 가이드캡에 의하여 차폐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립업식 테이블.
6.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A guide cap is installed at the tip of the first leg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second leg.
And said contact portion is shielded by said guide cap.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다리와 상기 제 2 다리 사이에, 상기 제 1 다리와 상기 제 2 다리와의 접촉을 방지하는 가이드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립업식 테이블.
7.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A guide for preventing a contact between the first leg and the second leg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leg and the second leg.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다리에 캐스터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립업식 테이블.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A cast-up table, characterized in that the caster is provided on the second leg.
사용 위치와 수납 위치로 이동 가능한 천판 본체와, 상기 천판 본체를 지지하는 다리를 구비하는 플립업식 테이블에 이용되는 천판으로서,
천판 본체와,
상기 천판 본체에 접속되고, 지지축을 중심으로 상기 천판 본체의 이동에 따라서 요동 가능한 캠을 구비하며,
상기 캠은, 상기 천판이 상기 사용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다리의 지지면과 대향하는 대향부와, 상기 천판이 상기 수납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지지면과 맞닿는 맞닿음부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축에서 상기 맞닿음부까지의 거리는, 상기 지지축에서 상기 대향부까지의 거리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립업식 테이블용의 천판.
As a top plate used for the flip-up type table which has a top plate main body which can move to a use position and a storage position, and the leg which supports the said top plate main body,
With the top plate body,
A cam connected to the top plate body, the cam being oscillable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top plate body about a support shaft;
The cam includes an opposing portion facing the support surface of the leg when the top plate is in the use position, and an abutting portion that abuts on the support surface when the top plate is in the storage position,
A distance from the support shaft to the abutting portion is longer than the distance from the support shaft to the opposing portion.
사용 위치와 수납 위치로 요동 가능한 천판 본체와, 상기 천판 본체를 지지하는 제 1 다리와 제 2 다리를 구비하는 플립업식 테이블에 이용되는 다리로서,
상기 천판 본체가 상기 사용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천판 본체를 지지하는 상기 제 1 다리와,
상기 제 1 다리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고, 상기 천판 본체가 상기 수납 위치에 있을 때에 지지면을 통하여 상기 천판 본체를 지지하는 상기 제 2 다리를 구비하며,
상기 지지면은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립업식 테이블용의 다리.
As a leg used for a flip-up table provided with a top plate main body which can rock to a use position and a storage position, and the 1st leg and 2nd leg which support the said top plate main body,
The first leg supporting the top plate body when the top plate body is in the use position;
Moveable relative to the first leg, the second leg supporting the top plate body through a support surface when the top plate body is in the stowed position,
The support surface is a leg for a flip-up table, characterized in that inclined.
천판 본체와 상기 천판 본체를 지지하는 제 1 다리 및 제 2 다리를 구비하는 플립업식 테이블에 이용되는 천판을, 사용 위치에서 수납 위치로 수납하는 천판의 수납 방법으로서,
상기 사용 위치에 있는 동시에 상기 제 1 다리에 지지된 상기 천판 본체가, 지지축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하고,
상기 천판 본체에 접속된 캠이, 상기 지지축을 중심으로 상기 천판 본체의 회전 운동을 따라서 요동함으로써, 상기 캠의 맞닿음부가 상기 제 2 다리의 지지면과 맞닿으며,
상기 맞닿음부와 상기 지지면이 맞닿고 있는 상태로 상기 천판 본체가 회전 운동함으로써, 상기 캠이 상기 지지면으로 올라가고,
상기 캠이 상기 지지면으로 올라감에 따라서, 상기 지지축이 상기 플립업식 테이블의 접지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지지축의 이동에 따라서, 상기 제 1 다리가 상기 접지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판의 수납 방법.
As a storage method of a top plate which accommodates a top plate used for the flip-up type table provided with a top plate main body, the 1st leg which supports the said top plate main body, and a 2nd leg from a use position to a storage position,
The top plate body, which is in the use position and supported by the first leg, rotates about the support shaft,
The cam connected to the top plate body swings along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top plate body about the support shaft, whereby the abutting portion of the cam is in contact with the support surface of the second leg,
The cam body rises to the support surface by rotating the top plate body in a state in which the contact portion and the support surface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s the cam is raised to the support surface, the support shaft moves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ground plane of the flip-up table,
The first leg is mov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ground plane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support shaft.
KR1020127031736A 2010-05-21 2011-05-19 Flip-up Table, Top Board for Flip-up Table, Leg for Flip-up Table, and Method for Storing Top Board KR101452347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117735A JP5615040B2 (en) 2010-05-21 2010-05-21 Lifting desk, top board for jumping desk, leg for jumping desk, and method of storing the top board
JPJP-P-2010-117735 2010-05-21
PCT/JP2011/002788 WO2011145350A1 (en) 2010-05-21 2011-05-19 Flip-up table, top board for flip-up table, leg for flip-up table, and method for stowing top boar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4598A true KR20130014598A (en) 2013-02-07
KR101452347B1 KR101452347B1 (en) 2014-10-22

Family

ID=44991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31736A KR101452347B1 (en) 2010-05-21 2011-05-19 Flip-up Table, Top Board for Flip-up Table, Leg for Flip-up Table, and Method for Storing Top Board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2599404B1 (en)
JP (1) JP5615040B2 (en)
KR (1) KR101452347B1 (en)
AU (1) AU2011256668B2 (en)
TW (1) TWI463956B (en)
WO (1) WO2011145350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05864B2 (en) * 2011-12-12 2017-03-29 エビスファニチャー株式会社 Folding table
JP5785145B2 (en) * 2012-10-11 2015-09-24 コトブキシーティング株式会社 Flip-up desk
FR3021852B1 (en) * 2014-06-06 2017-04-21 Les Creations Inova TILT TABLE
JP6362213B2 (en) * 2014-09-03 2018-07-25 コトブキシーティング株式会社 Side plate angle variable type desk
WO2018081415A1 (en) 2016-10-27 2018-05-03 Steelcase Inc. Flip top tabl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14408B2 (en) * 2002-03-08 2005-01-26 愛知株式会社 Mobile desk
US8960106B2 (en) * 2006-05-15 2015-02-24 Aichi Co., Ltd. Desk
JP4809187B2 (en) * 2006-10-27 2011-11-09 愛知株式会社 table
JP4737336B2 (en) 2010-03-04 2011-07-27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Image form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145350A1 (en) 2011-11-24
TWI463956B (en) 2014-12-11
TW201200071A (en) 2012-01-01
EP2599404A4 (en) 2014-01-22
AU2011256668A1 (en) 2012-12-06
KR101452347B1 (en) 2014-10-22
JP2011244845A (en) 2011-12-08
EP2599404A1 (en) 2013-06-05
JP5615040B2 (en) 2014-10-29
EP2599404B1 (en) 2016-12-14
AU2011256668B2 (en) 2014-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14598A (en) Flip-up table, top board for flip-up table, leg for flip-up table, and method for stowing top board
EP2505457B1 (en) Steering apparatus
JP5386071B2 (en) Chair
CN101357607B (en) Lock apparatus of seat for vehicle
KR100972740B1 (en) Latch device and opening/closing device using it
KR101344437B1 (en) Assembly for multi functional chair
JP5137116B2 (en) Holding mechanism for folding side rails
JP6045015B2 (en) Chair armrest equipment
US8052102B2 (en) Foldable supporting stand with stoppers in two directions
JP5785145B2 (en) Flip-up desk
JP2019167693A (en) Extendable leg device of ladder body
JP2006305219A (en) Elevating guide device of top plate or the like
JP2020175010A (en) Desk having top plate tilt function
JP3597114B2 (en) Impact resistant structure of laser marking device
JP2015213608A (en) Table device
US20140238219A1 (en) Foldable Musical Instrument Pedal Service
JP6546484B2 (en) Grand piano large roof support device
CN216344852U (en) Cloud platform bulb locking mechanism and support
JP2917000B2 (en) Furniture leg telescoping mechanism
KR200325743Y1 (en) A medical bed
JP2020109250A (en) Door handle structure and door structure including the same
JP2018012569A (en) Car upper handrail device of elevator
JP6182468B2 (en) Discharge container
JP2019163609A (en) Baby gate
JP2005343188A (en) Cas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