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3350A - 터치 패널 및 이를 포함한 터치 디스플레이 - Google Patents

터치 패널 및 이를 포함한 터치 디스플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3350A
KR20130013350A KR1020110074945A KR20110074945A KR20130013350A KR 20130013350 A KR20130013350 A KR 20130013350A KR 1020110074945 A KR1020110074945 A KR 1020110074945A KR 20110074945 A KR20110074945 A KR 20110074945A KR 20130013350 A KR20130013350 A KR 201300133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touch
area
touch pane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49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건준
오영진
박동훈
Original Assignee
크루셜텍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루셜텍 (주) filed Critical 크루셜텍 (주)
Priority to KR10201100749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13350A/ko
Publication of KR201300133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33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single layer of sensing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조 공정에서의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터치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디스플레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터치 패널은 기판, 기판의 가장자리에 배치된 인쇄부, 인쇄부를 덮으며 기판 위에 형성되는 평탄화부 및 평탄화부 위에 형성되는 센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터치 패널 및 이를 포함한 터치 디스플레이 {TOUCH PANNEL AND TOUCH DISPLAY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터치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제조 공정에서의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터치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이다.
터치 패널은 영상 표시 장치 등의 화면에 나타난 지시 내용을 사람의 손 또는 물체로 선택하여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한 입력장치이다.
이를 위해, 터치 패널은 영상 표시 장치의 전면(front face)에 구비되어 사람의 손 또는 물체에 직접 접촉된 접촉 위치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다. 이에 따라, 접촉위치에서 선택된 지시 내용이 입력신호로 받아들여진다.
이와 같은 터치 패널은 키보드 및 마우스와 같이 영상표시 장치에 연결되어 동작하는 별도의 입력장치를 대체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이용범위가 점차 확장되고 있는 추세이다.
터치 패널을 구현하는 방식으로는 저항막 방식, 광감지 방식 및 정전용량 방식 등이 알려져 있다. 이 중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은, 사람의 손 또는 물체가 접촉될 때 도전성 감지 패턴이 주변의 다른 감지패턴 또는 접지전극 등과 형성하는 정전용량의 변화를 감지함으로써, 접촉위치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다.
본 발명은 제조 공정에서의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터치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디스플레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 패널 및 이를 포함한 터치 디스플레이는 기판, 기판의 가장자리에 배치된 인쇄부, 인쇄부를 덮으며 기판 위에 형성되는 평탄화부 및 평탄화부 위에 형성되는 센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 패널 및 이를 포함한 터치 디스플레이는 제조 공정에서의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디스플레이의 단면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100)을 나타낸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터치 패널(100)은 기판(10), 인쇄부(20), 평탄화부(30) 및 센서부(40)를 포함한다.
기판(10)은 투명한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유리 및 석영과 같은 투명 무기 기판이 사용되거나, 플라스틱 등의 플렉서블 투명 기판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투명 기판으로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 naphathalate), 폴리에틸렌 설폰(polyethylene sulfone),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스티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폴리이미드, 폴리이써이써케톤(polyetheretherketon), 폴리이써이미드(polyetherimide), 아크릴 수지, 올레핀 말레이미드 공중합체, 노르보넨계 수지 등을 각각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사용할 수 있다.
편의상, 기판(10)은 유효영역(A)과 비유효영역(B)으로 구분할 수 있다. 유효영역(A)은 기판(10)의 가운데 표시 영역으로 사용자는 유효영역(A)에 표시되는 정보를 확인하거나 터치를 통해 기능을 선택할 수 있다. 비유효영역(B)은 유효영역(A)을 둘러싸고 있는 기판(10)의 가장자리 부분이다. 비유효영역(B)은 사용자에게 보여지지 않는 부분이며, 터치 패널을 구동시키는데 사용되는 전극배선(미도시)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인쇄부(20)는 기판(10)의 비유효영역(B)에 형성된다. 인쇄부(20)는 전극배선을 보호하고 상기 전극배선이 시각적으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인쇄부(20)는 기판(10)에 잉크를 인쇄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잉크는 일례로 흑색일 수 있다.
평탄화부(30)는 기판(10) 및 인쇄부(20)의 위로 형성된다. 다시 말해, 평탄화부(30)는 인쇄부(20)를 덮으면서 기판(10)의 전면에 형성된다. 평탄화부(30)는 평면을 가진다. 상기 평면은 평탄화부(30)를 중심으로 기판(10)이 위치한 방향의 반대쪽 일면이다. 일례로, 도 1에서 상기 평면은 평탄화부(30)의 상측 표면이다.
평탄화부(30)는 광투과성이 우수한 투명 물질을 인쇄하여 형성한다. 투명물질로는 UV 잉크가 사용될 수 있다. 평탄화부(30)는 스핀코팅법을 통해 형성할 수 있다. 기판(10) 위에 투명 물질을 떨어뜨린 후 고속 회전시킴으로써 평평한 표면의 평탄화부(30)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평탄화부(30)는 그 표면의 증착성이 우수하여 기판(10)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다.
센서부(40)는 평탄화부(30) 위에 형성된다. 센서부(40)는 광투과성이 우수한투명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투명 도전성 물질은 ITO, IZO, ZnO 또는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40)는 평탄화부(30) 위에 증착된 다수의 패턴들을 포함한다. 상기 패턴들은 다각형, 원형, 타원형 등의 소정 형상을 가지며 평탄화부(30) 위에 배열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100)은 제조 공정에서의 불량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종래에는 기판 위에 인쇄부를 형성하고, 기판과 인쇄부 위로 센서부를 형성하였다. 센서부는 유효영역에서는 기판 위에 형성되고 비유효영역에서는 인쇄부 위에 형성되었다. 따라서 기판과 인쇄부의 높이 차이에 의해 기판과 인쇄부의 경계 부분에서 센서부가 끊기거나 꺾이는 등의 손상이 발생하였다. 이와 같이 센서부가 손상된 부분에서는 터치 동작이 제대로 감지되지 않으므로 터치 패널의 성능 불량이 야기되었고, 그 결과 제품화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100)은 기판(10) 위에 기판(10)과 인쇄부(20)의 높이 차이를 제거하기 위한 평탄화부(30)를 형성한다. 센서부(40)는 평탄화부(30)의 평면에 증착되기 때문에 끊김이나 꺾임 등의 손상이 방지된다. 또한, 평탄화부(30)는 증착용이성을 갖기 때문에 센서부(40)의 패턴들이 평탄화부(30) 위에 안정적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하며, 기판(10)에 대해서는 비산을 방지하는 효과도 구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100)은 센서부(40)의 손상에 의한 제품 불량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디스플레이(200)을 나타낸다.
터치 디스플레이(200)는 G1F(Glass-1-Film) 방식 또는 G2 방식의 터치 디스플레이이다. 터치 디스플레이(200)는 터치 패널(100)과 표시 장치(50)를 포함한다. 터치 패널(100)은 도 1에 도시한 것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표시 장치(50)는 통상의 표시 장치, 일례로 LCD(Liquid Crystal Display) 또는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디스플레이(200)는 센서부(40)의 손상이 최소화되므로 터치 인식성이 양호해지는 효과가 있다.
전술한 본 개시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보호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

  1. 기판;
    상기 기판의 가장자리에 배치된 인쇄부;
    상기 인쇄부를 덮으며 상기 기판 위에 형성되는 평탄화부; 및
    상기 평탄화부 위에 형성되는 센서부
    를 포함하는 터치 패널.
KR1020110074945A 2011-07-28 2011-07-28 터치 패널 및 이를 포함한 터치 디스플레이 KR201300133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4945A KR20130013350A (ko) 2011-07-28 2011-07-28 터치 패널 및 이를 포함한 터치 디스플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4945A KR20130013350A (ko) 2011-07-28 2011-07-28 터치 패널 및 이를 포함한 터치 디스플레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3350A true KR20130013350A (ko) 2013-02-06

Family

ID=47893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4945A KR20130013350A (ko) 2011-07-28 2011-07-28 터치 패널 및 이를 포함한 터치 디스플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1335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4332A (ko) 2014-08-25 2016-03-04 삼성전기주식회사 터치센서 모듈
KR20160086697A (ko) 2015-01-12 2016-07-20 삼성전기주식회사 터치센서모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4332A (ko) 2014-08-25 2016-03-04 삼성전기주식회사 터치센서 모듈
KR20160086697A (ko) 2015-01-12 2016-07-20 삼성전기주식회사 터치센서모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0757B1 (ko) 터치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US20140015772A1 (en) Flexible touch-sensing display panel
KR101156782B1 (ko) 터치패널
KR20150028471A (ko) 터치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KR20140006213A (ko) 터치 스크린 패널
KR102325188B1 (ko) 터치 센서 장치
KR20120018065A (ko) 터치 패널을 갖는 표시 장치
KR101461290B1 (ko) 터치패널
US20130293487A1 (en) Touch panel
US9226394B2 (en) Touch-sensing substrate, display panel, and patterned light-shielding layer
US20140204047A1 (en) Touch panel
US20130307826A1 (en) Touch panel and touch-display panel using the same
US20140062959A1 (en) Touch panel
KR102335116B1 (ko) 터치 스크린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07280101A (ja) タッチパネル装置及び表示装置
KR20140057047A (ko) 터치 스크린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
US9703434B2 (en) Touch sensing devic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175361B1 (ko) 터치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1461928B1 (ko) 시인성 개선을 위한 터치 검출 장치
US20140285729A1 (en) Touch screen, touch display panel and touch display device
KR20130013350A (ko) 터치 패널 및 이를 포함한 터치 디스플레이
US9411448B2 (en) Touch display apparatus
KR101859469B1 (ko)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50097055A (ko) 터치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37811B1 (ko) 터치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